KR102654579B1 - 비전 분석을 이용한 차량의 주차 위치 확인 서비스를 차량 이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비전 분석을 이용한 차량의 주차 위치 확인 서비스를 차량 이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4579B1
KR102654579B1 KR1020210070944A KR20210070944A KR102654579B1 KR 102654579 B1 KR102654579 B1 KR 102654579B1 KR 1020210070944 A KR1020210070944 A KR 1020210070944A KR 20210070944 A KR20210070944 A KR 20210070944A KR 102654579 B1 KR102654579 B1 KR 102654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arking
width
parking lo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0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2458A (ko
Inventor
신상용
허원진
Original Assignee
파킹클라우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킹클라우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킹클라우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70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4579B1/ko
Publication of KR20220162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24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4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45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G06V10/46Descriptors for shape, contour or point-related descriptors, e.g. scale invariant feature transform [SIFT] or bags of words [BoW]; Salient regional fe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의 주차 위치 정보를 차량 이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는 방법은, 상기 차량 이용자의 이용자 단말이 식별기호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식별기호의 상기 이미지 내에서의 높이 및 폭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식별기호의 상기 이미지 내에서의 높이 및 폭, 및 상기 식별기호의 실제의 높이 및 폭에 기초하여 촬영 각도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촬영 각도를 이용하여 상기 주차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주차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이 주차한 위치를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의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비전 분석을 이용한 차량의 주차 위치 확인 서비스를 차량 이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PARKING LOCATION SERVICE TO VEHICLE USER BASED ON VISION ANALYSIS}
본 개시는 비전을 이용한 차량의 주차 위치 확인 서비스를 차량 이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 달리 언급하지 않으면 본 섹션에서 기술되는 내용은 본 출원에서의 청구범위의 선행 기술이 아니며, 본 섹션에 기재하였다는 이유로 선행 기술로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대형 마트나 복합 쇼핑몰에 부속된 대형 주차장에 차량을 주차하는 경우, 차량 이용자는 종종 자신의 차량의 주차 위치를 찾지 못하고 헤매는 경우가 있다. 최근의 대형 주차장들은 각 주차 위치마다 카메라를 설치하여 카메라로 촬영한 차량 번호판 이미지로부터 차량 번호판 인식 기술을 통해 주차 차량의 번호를 추출하여 차량의 주차 위치를 차량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을 도입한 주차장에서는 차량 번호 조회를 위한 키오스크를 설치하여, 차량 이용자로 하여금 이 키오스크에서 자신의 차량 번호를 입력하여 주차 위치를 검색 가능하게 한다.
하지만, 이러한 시스템에서는 차량 번호의 오인식 또는 미인식이 종종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시스템을 믿고서 자신의 주차 위치를 기억하지 않은 차량 이용자가 주차 위치를 찾는 데에 곤혹을 치르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이러한 시스템 및 키오스크가 설치되지 않은 주차장에서는 여전히 차량 이용자가 주차 위치를 찾기에 불편할 수 있으며,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많은 비용이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54051호(선행특허문헌)에 따르면, 차량에 설치된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ADAS: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의 전방 카메라를 이용하여 차량 주차 시에 주차장 기둥 등을 촬영해서 이미지를 획득한 후, 획득된 이미지로부터 기둥 등에 표시된 번호를 추출한다. 이 추출된 번호는 AVN(Audio/Video/Navigation) 시스템으로 전송되며, AVN 시스템은 이 번호 또는 이미지를 차량 운전자의 스마트폰으로 전송함으로써, 차량 운전자에게 주차 위치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특허문헌의 기술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차량에 ADAS 시스템 및 AVN 시스템을 필수적으로 탑재해야 하며, 또한, 개별 차량이 AVN 시스템과 스마트폰 간의 통신을 위하여 여러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적인 추가 구성 등을 갖추어야 한다.
공개특허 제10-2017-0054051호
본 개시는 위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에 별도의 장비나 구성을 설치할 필요 없이, 차량 이용자의 스마트폰을 통해 통합 관리 서버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차 위치를 차량 이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시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는 차량 이용자가 스마트폰과 같은 이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식별기호가 표시된 기둥을 촬영하면, 주차장의 기둥맵 데이터와 촬영된 식별기호에 기초하여 정확한 주차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의 주차 위치 정보를 차량 이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는 방법은, 상기 차량 이용자의 이용자 단말이 식별기호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식별기호의 상기 이미지 내에서의 높이 및 폭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식별기호의 상기 이미지 내에서의 높이 및 폭, 및 상기 식별기호의 실제의 높이 및 폭에 기초하여 촬영 각도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촬영 각도를 이용하여 상기 주차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주차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이 주차한 위치를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식별기호의 상기 이미지 내에서의 높이 및 폭, 및 상기 식별기호의 실제의 높이 및 폭에 기초하여 촬영 각도를 계산하는 단계는 아래의 수학식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수학식]
a: 촬영 각도
R: 실제 식별기호의 폭과 실제 식별기호의 높이의 비율값
iw: 이미지 내에서 확인되는 식별기호의 폭
ih: 이미지 내에서 확인되는 식별기호의 높이
일 실시예에 따르는 상기 방법은 상기 차량 이용자의 이용자 단말이 다른 식별기호를 포함하는 다른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다른 식별기호의 상기 다른 이미지 내에서의 높이 및 폭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다른 식별기호의 상기 다른 이미지 내에서의 높이 및 폭, 및 상기 다른 식별기호의 실제의 높이 및 폭에 기초하여 촬영 각도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촬영 각도를 이용하여 이용자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이용자 위치 정보 및 상기 주차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이용자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차량의 주차 위치까지 안내하는 정보증강현실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식별기호는 상기 주차장에 설치된 기둥에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는 상기 방법은 상기 주차장에 대한 기둥맵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둥맵 데이터는 주차장 이름 및 식별 정보, 주차장에 포함된 기둥의 식별기호 및 공간 정보, 및 주차면의 공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는 상기 방법은, 상기 이용자 단말의 GPS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주차장을 특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는 상기 방법은, 상기 이미지 내에서 상기 식별기호에 포함된 주차장 식별기호를 이용하여 상기 주차장을 특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는 상기 방법은, 상기 주차장에 설치된 LPR 장치가 입차한 차량을 확인하고, 확인된 차량에 매칭되는 상기 이용자 단말에 상기 기둥맵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는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의 주차 위치 정보를 차량 이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이용자 단말 장치로서, 상기 이용자 단말은 촬영 장치; 통신 회로; 디스플레이; 상기 촬영 장치, 상기 통신회로 및 상기 디스플레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는, 실행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촬영 장치를 통하여 식별기호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식별기호의 상기 이미지 내에서의 높이 및 폭을 확인하고, 상기 식별기호의 상기 이미지 내에서의 높이 및 폭, 및 상기 식별기호의 실제의 높이 및 폭에 기초하여 촬영 각도를 계산하고, 상기 촬영 각도를 이용하여 상기 주차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및 상기 주차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이 주차한 위치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구성된 명령어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는, 실행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촬영 장치를 통해 다른 식별기호를 포함하는 다른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다른 식별기호의 상기 다른 이미지 내에서의 높이 및 폭을 확인하고, 상기 다른 식별기호의 상기 다른 이미지 내에서의 높이 및 폭, 및 상기 식별기호의 실제의 높이 및 폭에 기초하여 촬영 각도를 계산하고, 상기 촬영 각도를 이용하여 이용자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및 상기 이용자 위치 정보 및 상기 주차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이용자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차량의 주차 위치까지 안내하는 정보증강현실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구성된 명령어를 더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는,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외부 서버로 기둥맵 데이터를 요청하는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서버가 전송한 기둥맵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명령어를 더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는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의 주차 위치 정보를 차량 이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이용자 단말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차량 이용자의 이용자 단말이 식별기호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획득하는 것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 상기 식별기호의 상기 이미지 내에서의 높이 및 폭을 확인하는 것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 상기 식별기호의 상기 이미지 내에서의 높이 및 폭, 및 상기 식별기호의 실제의 높이 및 폭에 기초하여 촬영 각도를 계산하는 것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 상기 촬영 각도를 이용하여 상기 주차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것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 및 상기 주차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이 주차한 위치를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것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용자 단말의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의 간단한 요약 및 효과에 관한 설명은 단순히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개시에서 의도한 기술적 사항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함으로써,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예들과 기술적 특징들에 더하여, 추가적인 실시예와 기술적 특징들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앞서 설명한 본 개시의 특징들과 기타 추가적인 특징들에 대해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도면들은 본 개시에 따르는 단지 몇 가지의 실시예만을 도시한 것이며,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비전 분석을 이용하여 차량 이용자의 차량의 주차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주차장의 평면도이다.
도 2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둥에 표시되는 식별기호를 도시한다. 도 2b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촬영하고 이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기둥을 포함하는 이미지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촬영 각도를 계산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용자 단말에서 주차 위치 확인 서비스를 차량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비전을 이용하여 차량 이용자의 주차 위치 확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도시한 환경도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개시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라 비전 분석을 이용한 차량의 주차 위치 확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엔티티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세스를 설명한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라, 주차 위치 확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프로그램 제품을 도시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구현예 및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현예 및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차량 이용자에게 주차 위치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서버,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서, 주차장에 설치된 복수의 기둥마다 표시된 주차 구역 번호와 같은 식별기호에 기초하여 이용자 단말 또는 클라우드 네트워크에서의 처리를 통해 차량 이용자에게 해당 차량의 정확한 주차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비전 분석을 이용하여 차량 이용자의 차량의 주차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주차장의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주차장 환경(100)에는 복수의 주차면(110)과 복수의 기둥(12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주차면(110)은 적어도 하나의 주차 구역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각 주차 구역의 부근에 위치한 기둥(120)에는 주차 구역을 나타내는 식별기호가 표시될 수 있다.
도 2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둥에 표시되는 식별기호를 도시한다. 도 2a를 참조하면 기둥(120)은 기둥(120) 부근의 주차 구역을 나타내는 식별기호(200)가 표시될 수 있다.
식별기호(200)는 주차장 식별기호(210), 방위 식별기호(220), 기둥 식별기호(230)를 포함할 수 있다. 주차장 식별기호(210)는 로컬 주차장을 식별하는 기호를 나타낼 수 있다. 방위 식별기호(220)는, 기둥(120)에서 식별기호(200)가 표시된 방향을 나타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방위 식별기호(220)는 차량 이용자가 기둥(120)에 표시된 식별기호(200)를 바라보는 방향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a에서 방위 식별기호(220)로서 표시된 문자 'N'은 차량 이용자가 기둥(120)을 북쪽(north)에서 바라보고 있음을 나타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기둥(120)의 다른 면에서는 서쪽, 남쪽, 동쪽을 의미하는 다른 문자가 표시될 수 있으며, 기둥(120)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식별기호가 복수개 표시될 수 있다. 기둥 식별기호(230)는 로컬 주차장에 설치된 복수의 기둥(120) 중에서 어느 기둥인지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a에서 기둥 식별기호(230)로서 표시된 '1F0122'는 1층의 122번 기둥임을 나타낼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차량 이용자(130)는 차량(131)을 주차하고 나서, 주차 구역 또는 정확한 주차 위치를 기억하기 위하여, 식별기호(200)가 표시된 기둥(120)이 포함되도록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차량 이용자(130)가 차량(131)을 주차하고 맞은편의 기둥(122)을 촬영한 상황을 상정하기로 한다.
차량 이용자(130)가 기둥(122)을 촬영한 촬영 각도(a)가 계산된다면, 차량 이용자(130)가 차량(131)을 주차한 후보 주차면(111)이 추정될 수 있다. 촬영 각도(a)는 차량 이용자(130)가 촬영한 기둥(120)을 포함하는 이미지에 대한 비전 분석을 통하여 계산될 수 있다.
도 2b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 이용자(130)가 자신의 이용자 단말(240)을 이용하여 촬영한 기둥(122)을 포함하는 이미지(241)가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b을 참조하면, 촬영된 이미지(241) 내에서 기둥(122)에 표시된 방위 식별기호(220)의 폭(iw) 및 높이(ih)가 확인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이미지(241) 내에서의 방위 식별기호(220)의 폭(iw) 및 높이(ih)가 확인될 수 있다. 이미지(241) 내에서의 폭(iw) 및 높이(ih)는 픽셀과 같은 디지털 이미지를 구성하는 기본 단위로 표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방위 식별기호(220)를 포함하는 식별기호 전체(예: 도 2a의 200)의 폭과 높이가 확인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 이용자(130)가 기둥(122)을 촬영한 촬영 각도(a)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이미지(241) 내에서 확인되는 방위 식별기호(220)의 폭(iw) 및 높이(ih)뿐만 아니라 방위 식별기호(220)의 실제 길이의 확인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도 2a를 참조하면, 방위 식별기호(220)의 실제 폭(RW)과 실제 높이(RH)를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방위 식별기호(220)의 실제 폭(RW)과 실제 높이(RH)의 비율(ration)을 나타내는 비율값(R)이 확인될 수 있다. 방위 식별기호(220)의 실제 폭(RW)과 실제 높이(RH) 또는 실제 폭(RW)과 실제 높이(RH)의 비율값(R, R=RW/RH)은 이용자 단말(240) 내의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고, 외부 서버에 요청하여 획득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위 식별기호(220)의 실제 폭(RW)과 실제 높이(RH)는 모든 기둥마다 같은 값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방위 식별기호(220)의 실제 폭(RW)과 실제 높이(RH)는 기둥 각각에 따라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는데, 방위 식별기호(220)의 실제 폭(RW)과 실제 높이(RH)의 비율값(R)은 기둥마다 같은 값을 가지거나 모두 다른 비율 값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위 식별기호(220)의 실제 폭(RW), 실제 높이(RH) 및 이들의 비율값(R)은 특정 로컬 주차장 및/또는 로컬 주차장에서 기둥이 설치된 층에 대응하는 임의의 값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임의의 주차장에서 지하 1층 주차장에서는 비율값(R)이 1일 수 있고, 지하 2층 주차장에서는 비율값(R)이 2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식별기호(200)가 포함하는 기둥 식별기호(230)를 통해 식별되는 기둥에 대응하는 실제 폭(RW), 실제 높이(RH) 및/또는 실제 폭(RW)과 실제 높이(RH)의 비율값(R)이 확인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반대로 실제 높이(RH) 및/또는 실제 폭(RW)과 실제 높이(RH)의 비율값(R)을 이용하여 식별기호(200)가 표시된 기둥이 설치된 로컬 주차장의 위치, 로컬 주차장에서의 층 및 해당 로컬 주차장에서 어떤 기둥인지도 식별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촬영 각도를 계산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확인되는 방위 식별기호(220)의 실제 폭(RW), 실제 높이(RH), 이미지(241) 내에서 확인되는 폭(iw) 및 높이(ih)를 이용하여 촬영 각도(a)가 계산될 수 있다.
이미지(241) 내에서 확인되는 폭(iw)은 방위 식별기호(220)를 정면으로 봤을 때의 폭(W)이 촬영 각도(a)에 의해 짧아진 길이일 수 있다. 따라서, 90도에서 촬영 각도(a)를 뺀 각도가 (iw/W)의 역-코사인 일 수 있다(). 방위 식별기호(220)를 정면으로 봤을 때의 폭(W)은 차량 이용자(130)가 기둥(122)에서 떨어져 있는 거리에 의해 실제 폭(RW)이 짧아진 길이 일 수 있다. 여기에서, 방위 식별기호(220)의 높이는 폭과는 달리 촬영 각도(a)의 의해서 달라지지 않고, 차량 이용자(130)가 기둥(122)에서 떨어져 있는 거리에 의해서만 달라진다. 따라서, 실제 폭(RW)과 방 위 식별기호(220)를 정면으로 봤을 때의 폭(W)의 비(ratio)는 실제 높이(RH)와 이미지(241) 내에서 확인되는 높이(ih)의 비와 같을 수 있다(RW : W = RH : ih).
종합하면, 촬영 각도(a)는 아래의 수학식 1 또는 수학식 2와 같이 계산될 수 있다.
a: 촬영 각도
RW: 실제 식별기호의 폭이 길이
RH: 실제 식별기호의 높이
R: 실제 식별기호의 폭과 실제 식별기호의 높이의 비율값
iw: 이미지 내에서 확인되는 식별기호의 폭
ih: 이미지 내에서 확인되는 식별기호의 높이
W: 방위 식별기호를 정면으로 봤을 때의 식별기호의 폭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이용자(130)가 촬영한 이미지(241) 내에서는 방위 식별기호(220)뿐만 아니라 주차장 식별기호(예: 도 2a의 도면부호 210) 및 기둥 식별기호(예: 도 2a의 도면부호 230)가 비전 분석을 통하여 확인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차장 식별기호에 대한 비전 분석을 통하여 차량 이용자(130)가 위치하는 로컬 주차장이 특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이용자 단말의 GPS 정보를 이용하여 로컬 주차장이 특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전을 이용한 차량의 주차 위치 확인 서비스를 차량 이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로컬 주차장이 특정되면, 해당 로컬 주차장의 주차 구역, 주차면, 기둥이 표시된 지도 정보, 및 기둥에 표시된 식별기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기둥맵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둥맵 데이터는 로컬 주차장의 주차구역, 주차면(예: 도 1의 도면부호 110) 및 기둥(예: 도 1의 도면부호 120)의 배치 관계에 대한 지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기둥맵 데이터는 로컬 주차장의 기둥에 표시된 식별기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용자 단말이 기둥에 표시된 식별기호를 촬영하면, 촬영된 이미지에 대한 비전 분석을 통하여 이용자자가 촬영한 기둥이 로컬 주차장에 설치된 기둥 중에서 어떤 기둥(및 기둥의 어떤 방향의 면)을 촬영하였는지 기둥맵 데이터에 기초하여 특정될 수 있다. 또한, 촬영 각도(a)가 계산되면, 기둥맵 데이터에 기초하여, 특정된 기둥의 주변에 위치하는 주차면 중에서 어떤 주차면이 이용자의 차량이 주차된 후보 주차면인지 특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기둥맵 데이터에 기초하여, 로컬 주차장에서 어떤 기둥을 촬영되었는지 특정될 수 있고, 주차 구역 및 주차면이 어떻게 배치되어 있는지가 확인될 수 있고, 계산된 촬영 각도(a)를 이용하여 이용자 차량의 정확한 주차 위치가 예측될 수 있다.
주차장 환경(100)은 수많은 주차 구역과 주차면(110)을 포함하고, 하나의 주차 구역 또는 주차면(110)이 하나의 기둥(120)에 대응하는 것도 아니므로, 차량 이용자(130)가 사진을 촬영하더라도, 주차장으로부터 출차를 위해 다시 자신의 차량(131)이 주차된 주차 구역이나 주차면을 정확하게 찾는 것은 매우 어려울 수 있다. 하지만 본 개시에 따르는 비전을 이용한 주차 위치 확인 서비스를 차량 이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방법은 기둥을 촬영한 이미지에 대한 비전 분석을 통하여 기둥을 촬영했을 때의 차량 이용자의 위치를 추정함으로써 차량 이용자로 하여금 차량이 주차된 위치를 보다 쉽게 찾는 것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용자 단말에서 주차 위치 확인 서비스를 차량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이용자 단말(400)은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상에서 차량 이용자에게 주차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이용자 단말(400)은 주차 위치를 나타내는 객체(410)를 표시할 수 있고 현재 위치에서 주차 위치까지의 길 안내를 나타내는 객체(420)를 표시할 수 있으며, 주변 환경은 이용자 단말(400)이 촬영하는 이미지가 실시간으로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주차 위치를 나타내는 객체(410)는 주차 시 촬영된 기둥을 포함하는 이미지에 대한 비전 분석을 통해서 예측된 주차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될 수 있다. 현재 위치에서 주차 위치까지의 길 안내를 나타내는 객체(420)는 주차 위치 정보 및 이용자 단말(400)의 현재 위치, 및 촬영되고 있는 실시간 이미지에 기초하여 표시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주차 위치를 차량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시스템을 도입한 주차장에서는 차량 번호 조회를 위한 키오스크를 설치하여, 차량 이용자로 하여금 이 키오스크에서 자신의 차량 번호를 입력하여 주차 위치를 검색 가능하게 한다. 하지만 본 개시에 따르면, 이용자는 키오스크를 찾는 수고 없이, 이용자 단말(400)을 통해 실시간으로 또는 차량 이용자의 현재 위치를 기초로 길안내를 하여 새로운 사용자 경험을 누릴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용자 단말(400)의 현재 위치는 이용자 단말(400)이 촬영한 이미지 내에서의 식별기호(431, 432)에 대한 비전 분석을 통해서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주차장은 많은 기둥과 지형지물 때문에 외부와의 통신 연결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는데, 이용자 단말(400)은 이용자가 주차한 주차장에 대한 기둥맵 데이터를 이미 저장하고 있으므로, 외부 서버와의 통신 없이도, 이미지에 대한 비전 분석과 기둥맵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용자가 현재 어느 주차장의 어느 층에 위치하고 있는지 구체적인 특정이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용자 단말(400)의 현재 위치는 이용자 단말(400)이 감지하는 위치 데이터(예: GPS 데이터)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GPS 데이터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를 특정하기 때문에, 외부 서버와의 통신 연결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에도 현재 위치의 특정이 가능하다.
도 4에서는 증강 현실을 이용하여 차량 이용자에게 주차 위치 확인 서비스를 차량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예가 도시되고 있지만, 일 실시예에서는 2차원으로 표현된 주차장의 지도를 이용하거나, 음성 출력을 이용하여 주차 위치 정보가 제공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비전을 이용하여 차량 이용자의 주차 위치 확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500)을 도시한 환경도이다. 도 5 참조하면, 시스템(500)은 이용자 단말(510), 클라우드 네트워크(520) 및 복수의 주차장(530)을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500)의 엔티티(entity)로서 이용자 단말(510) 및 복수의 로컬 주차장(530)은 클라우드 네트워크(520)를 통하여 통신 연결되고, 클라우드 네트워크(520)를 통하여 정보, 데이터 및 메시지가 송수신될 수 있다. 여기에서 통신 연결이란, 시스템(500) 내에 포함된 이용자 단말(510), 클라우드 네트워크(520) 및 로컬 주차장(530)에 포함된,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통신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네트워크 방식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용자 단말(510)은 로컬 주차장(530)에 주차된 차량에 탑승한 주차장 이용자가 소지한 무선 통신이 가능한 컴퓨팅 장치를 나타낼 수 있다. 주차장 이용자는 이용자 단말(510)을 이용하여 시스템(500)에서 제공되는 비전을 이용한 차량 이용자의 주차 위치 확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용자 단말(510)은 다양한 타입의 컴퓨팅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용자 단말(510)은 휴대전화, 스마트폰, PDA, 태블릿, 랩탑과 같은 휴대용 장치, 또는 데스크탑, 서버와 같은 휴대용이 아닌 다른 컴퓨팅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용자 단말(510)에는 이용자가 시스템(500)을 이용하여 주차 위치 확인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시스템(500)은 이용자 단말(51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하여 일부 구현될 수 있으며, 이용자는 이용자 단말(51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실행되는 각종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를 통하여 로컬 주차장(530)의 주차 현황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시스템(500)은 이용자 단말(510)에서 실행되는 웹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에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클라우드 네트워크(520)는 시스템(500)이 로컬 주차장(530)의 이용자에게 주차 위치 확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물리적인 위치에 존재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컴퓨팅 자원이 가상화 기술로 통합된 서비스 환경을 지칭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클라우드 네트워크(5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버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버는, 시스템(500)이 주차 위치 확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는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클라우드 네트워크(520)는 단수로 명명하더라도 클라우드 네트워크(520)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로컬 주차장(530)은 이용자에게 시스템(500)의 주차 위치 확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500)에 가입된 가맹 주차장일 수 있다. 로컬 주차장(530)의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진입출 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진입출 장치는 로컬 주차장(530)의 출입구에 설치된 차단기 및 차량번호판을 촬영하여 차량번호를 인식하기 위한 촬영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 장치는 로컬 주차장(530)에 진입하는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고, 촬영된 차량 번호판의 이미지로부터 일반적인 LPR(License Plate Recognition) 기법으로 차량 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차량번호의 인식은 로컬 주차장(530)과 작동적으로 연결된 로컬 서버(미도시)에서 수행되거나, 클라우드 네트워크(520)에서도 이뤄질 수 있다. 로컬 주차장(530) 및/또는 클라우드 네트워크(520)는 인식된 차량 번호를 기초로 해당 차량을 입출차를 입차 처리할 수 있다. 로컬 주차장(530)은 차량번호판을 촬영한 데이터를 클라우드 네트워크(520)에 전송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로컬 주차장(530)에서 인식된 차량번호는 입차하는 차량을 이용자의 이용자 단말을 확인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클라우드 네트워크(520)는 인식된 차량번호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차량인지 여부를 판별하고, 등록된 차량인 경우 해당 차량과 연계된 이용자의 휴대 전화 번호를 추출하여 해당 이용자의 스마트폰과 같은 이용자 단말(510)과 주차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네트워크(520)는 로컬 주차장(530)의 기둥맵 데이터를 이용자 단말(510)에 전송하여 이용자 단말(510)에서 주차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세스가 수행되게 하거나, 주차 위치 정보를 직접 이용자 단말(51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 이용자가 촬영한 기둥에 표시된 식별기호를 포함하는 이미지에 대한 비전 분석을 통해 주차 위치 확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촬영 각도를 계산하는 것뿐만 아니라 주차면 및 기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기둥맵 데이터가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그런데 기둥맵 데이터는 복수의 로컬 주차장(530) 각각에 따라 서로 다른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차량 이용자가 차량을 주차한 로컬 주차장(530)을 특정하는 것이 중요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500) 내에서, 이용자 단말(510)을 통해 이용자가 주차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로컬 주차장(530)을 특정하고, 이용자 단말(510)이 로컬 주차장(530)의 기둥맵 데이터를 획득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전 분석을 이용한 차량의 주차 위치 확인 서비스를 차량 이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예: 도 5의 도면부호 500)의 적어도 하나의 엔티티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프로세스는 이용자 단말(예: 도 5의 도면부호 510), 클라우드 네트워크(예: 도 5의 도면부호 520), 및/또는 로컬 주차장(예: 도 5의 도면부호 530)들에 의해 또는 이에 포함된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개략적인 동작들은 예시로서만 제공되고, 개시된 실시예의 본질에서 벗어남이 없이 그 동작들 중 일부가 선택적이거나, 더 적은 수의 동작으로 조합되거나, 추가 동작으로 확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프로세스(600)는 단계 S601에서 시작된다. 단계 S601에서 이용자 단말(예: 도 5의 이용자 단말(510))은 식별기호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 이미지는 차량이 주차장 내에 주차한 주차 구역 주변의 기둥에 표시된 식별기호(예컨대, 도 2a의 도면부호 200)를 촬영한 이미지일 수 있다.
다음으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S603에서, 이용자 단말은 수신된 이미지로부터 주차 기둥에 표시된 방위 식별기호(예: 도 2a의 도면부호 220)를 인식하고 방위 식별기호의 폭의 길이(iw) 및 높이(ih)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 S603에서, 식별기호를 인식하고 폭과 높이를 확인하는 것은 방위 식별기호가 포함하는 주차장 식별기호 및 기둥 식별기호에 대한 인식 및 길이 확인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S605에서, 이용자 단말은 기둥맵 데이터에서 식별기호의 실제 폭(RW), 및 식별기호의 실제 높이(RH)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용자 단말은 기둥맵 데이터에서 이미지 내의 기둥에 대응하는 식별기호의 실제 폭(RW), 및 식별기호의 실제 높이(RH)를 확인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이용자 단말은 기둥에 대응하는 식별기호의 실제 폭(RW), 식별기호의 실제 높이(RH), 및/또는 식별기호의 실제 폭과 실제 높이의 비율값(R)을 이미 확인했을 수 있기 때문에, 단계 S605는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607에서, 이용자 단말은 이미지 내에서 식별기호의 폭(iw), 이미지 내에서 식별기호의 높이(ih), 식별기호의 실제 폭(RW), 및 식별기호의 실제 높이(RH) (또는 비율값(R))에 기초하여 촬영 각도를 계산할 수 있다.
위 설명에서, 단계 S603 내지 S607은 모두 이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단계 S603 내지 S607 내의 단계들은 적어도 하나가 외부 서버(예: 네트워크 클라우드)에서 수행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단계 S609에서, 이용자 단말은 계산된 촬영 각도를 이용하여 주차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주차 위치 정보는 차량이 주차된 위치를 의미하거나, 또는 주차장 내에서 이용자의 현재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용자 단말이 기둥맵 데이터를 획득하는 프로세스의 설명이다. 일 실시예의 프로세스(700)는 단계 S701에서 시작된다. 단계 S701에서, 이용자 단말은 식별기호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 이미지는 차량이 주차장 내에 주차한 주차 구역 주변의 기둥에 표시된 식별기호(예컨대, 도 2a의 도면부호 200)를 촬영한 이미지일 수 있다.
다음으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S703에서, 이용자 단말은 수신된 이미지로부터 주차 기둥에 표시된 주차장 식별기호(예: 도 2a의 도면부호 210)를 인식할 수 있다. 단계 S703에서 주차장 식별기호의 인식은 식별기호가 포함하는 방위 식별기호 및 기둥 식별기호를 인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705에서, 이용자 단말은 인식된 주차장 식별기호에 기초하여 주차장을 특정할 수 있다. 주차 위치 확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로컬 주차장이 복수개 일 수 있고, 주차장 마다 주차구역, 주차면 및 기둥들의 구성이 상이하므로, 주차 위치 확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선 이용자가 차량을 주차한 로컬 주차장을 특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단계 S707에서 이용자 단말은 특정된 주차장에 대한 기둥맵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용자 단말은 특정된 주차장에 대한 정보를 네트워크 클라우드(예: 도 5의 도면부호 520)에 전송하여 기둥맵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 이에 응답하여 클라우드 네트워크는 특정된 주차장에 대한 기둥맵 데이터를 이용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S701에서 획득된 식별기호를 포함하는 이미지가 이용자 단말에서부터 클라우드 네트워크로 전송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클라우드 네트워크에서 이미지 내에서 주차장 식별기호를 인식하고(단계 S703), 로컬 주차장을 특정하며(단계 S705), 특정된 주차장에 대한 기둥맵 데이터를 이용자 단말에 직접 전송할 수 있다.
이용자 단말은 획득한 기둥맵 데이터를 이용하여, 단계 S701에서 획득한 이미지에서 방위 식별기호 및 기둥 식별기호를 인식하여 주차 위치를 확인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의 프로세스(800)는 단계 S801에서 시작된다. 단계 S801에서, 이용자 단말은 GPS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803에서 획득된 GPS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 이용자가 차량을 주차한 로컬 주차장을 특정할 수 있다. 단계 S805에서 이용자 단말은 특정된 주차장에 대한 기둥맵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용자 단말은 특정된 주차장에 대한 정보를 네트워크 클라우드(예: 도 5의 도면부호 520)에 전송하여 기둥맵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 이에 응답하여 클라우드 네트워크는 특정된 주차장에 대한 기둥맵 데이터를 이용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이용자 단말은 프로세스(800)를 통하여 기둥맵 데이터를 미리 획득하고, 이용자 단말이 식별기호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획득하면, 획득한 이미지에서 방위 식별기호 및 기둥 식별기호를 인식하여 주차 위치를 확인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획득한 이미지의 주차장 식별기호를 통한 로컬 주차장의 특정과 프로세스(800)에서 GPS를 이용한 로컬 주차장 특정 결과를 비교하여 검증하는 단계가 더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의 프로세스(900)는 단계 S901에서 시작된다. 단계 S901에서는 로컬 주차장에 차량의 입차시 촬영된 차량번호판을 포함하는 이미지에 대한 LPR을 이용하여 차량번호를 획득할 수 있다. 차량번호의 인식은 차량번호판을 포함하는 이미지를 촬영한 로컬 주차장에서 수행되거나, 클라우드 네트워크에서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903에서 차량번호에 매핑되는 이용자 단말을 확인할 수 있고, 단계 S905에서 확인된 이용자 단말에 차량번호판을 포함하는 이미지를 획득한 로컬 주차장에 대한 기둥맵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기둥맵 데이터의 전송은 로컬 주차장에서 직접 하거나, 클라우드 네트워크에서도 수행될 수 있다. 이용자 단말은 프로세스(900)를 통하여 로컬 주차장에 입차하는 것만으로 기둥맵 데이터의 획득이 가능하고, 이용자 단말이 식별기호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획득하면, 획득한 이미지에서 방위 식별기호 및 기둥 식별기호를 인식하여 주차 위치를 확인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라, 주차 위치 확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프로그램 제품(1000)을 도시한다. 예시적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신호 포함 매체1002)를 이용하여 제공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1000)의 신호 포함 매체(1002)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1006), 기록 가능 매체(1008) 및/또는 통신 매체(1010)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포함 매체(1002)에 포함된 명령어(1004)는, 예컨대, 도 5에 예시된 이용자 단말(510) 및 클라우드 네트워크(520)와 같은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명령어(1004)는 실행되면,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주차 위치 확인 서비스를 차량 이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명령어(1004)는 차량 이용자의 이용자 단말이 식별기호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획득하게 하는 명령어; 식별기호의 상기 이미지 내에서의 높이 및 폭을 확인하게 하는 명령어; 식별기호의 이미지 내에서의 높이 및 폭, 및 식별기호의 실제의 높이 및 폭에 기초하여 촬영 각도를 계산하게 하는 명령어; 촬영 각도를 이용하여 주차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명령어; 주차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이 주차한 위치를 제공하는 것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도 있다.
이상, 본 개시에서 청구하고자 하는 대상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본 개시에서 청구된 대상은 앞서 기술한 특정 구현예로 그 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어떤 구현예에서는 장치 또는 장치의 조합 상에서 동작 가능하게 사용되는 하드웨어의 형태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예에서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또 다른 구현예에서는 신호 베어링 매체, 저장 매체와 같은 하나 이상의 물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CD-ROM, 컴퓨터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저장 매체는, 예컨대 컴퓨팅 시스템, 컴퓨팅 플랫폼 또는 기타 시스템과 같은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실행될 때 앞서 설명한 구현예에 따라 해당 프로세서의 실행을 야기시킬 수 있는 명령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팅 장치는 하나 이상의 처리 유닛 또는 프로세서, 디스플레이, 키보드 및/또는 마우스와 같은 하나 이상의 입/출력 장치, 및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RAM),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RAM), 플래시 메모리 및/또는 하드 드라이브와 같은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시스템을 하드웨어로 구현할 것인지 아니면 소프트웨어로 구현할 것인지는, 일반적으로 비용 대비 효율의 트레이드오프를 나타내는 설계상 선택 문제이다. 본 개시에서는 프로세스, 시스템, 기타 다른 기술들의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다양한 수단(예를 들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이 있으며, 선호되는 수단은 프로세스 및/또는 시스템 및/또는 다른 기술이 사용되는 맥락(context)에 따라 변경될 것이다. 예를 들어, 구현자가 속도 및 정확성이 가장 중요하다고 결정한다면, 구현자는 주로 하드웨어 및/또는 펌웨어 수단을 선택할 수 있으며, 유연성이 가장 중요하다면, 구현자는 주로 소프트웨어 구현을 선택할 수 있으며; 또는, 다른 대안으로서, 구현자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의 어떤 결합을 선택할 수 있다.
전술한 상세한 설명에서는 블록도, 흐름도 및/또는 기타 예시를 통해 장치 및/또는 프로세스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그러한 블록도, 흐름도, 및/또는 기타 예시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또는 동작을 포함하게 되며, 당업자라면 블록도, 흐름도 및/또는 기타 예시 내의 각각의 기능 및/또는 동작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개별적으로 혹은 집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본 개시에 기재된 대상의 몇몇 부분은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또는 다른 집적의 형태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본 개시의 실시예의 일부 양상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상에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시스템 상에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펌웨어 또는 이들의 실질적으로 임의의 조합으로써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균등하게 집적 회로에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를 위한 코드의 작성 및/또는 회로의 설계는 본 개시에 비추어 당업자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하는 것이다. 또한, 당업자라면, 본 개시의 대상의 매커니즘들이 다양한 형태의 프로그램 제품으로 분배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며, 본 개시의 대상의 예시는 분배를 실제로 수행하는 데 사용되는 신호 베어링 매체의 특정 유형과 무관하게 적용됨을 이해할 것이다.
특정 예시적 기법이 다양한 방법 및 시스템을 이용하여 여기에서 기술되고 도시되었으나, 당업자라면, 청구된 대상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기타의 수정 또는 등가물로의 치환 가능성을 이해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여기에 기술된 중심 개념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특정 상황을 청구된 대상의 교시로 적응시키도록 많은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청구된 대상이 개시된 특정 예시로 제한되지 않으나, 그러한 청구된 대상은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 균등의 범위 내에 들어가는 모든 구현예를 포함할 수 있음이 의도된다.
본 개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 개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나아가, 본 개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개시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4)

  1.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의 주차 위치 정보를 차량 이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이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상기 차량 이용자의 이용자 단말이, 클라우드 네트워크가 상기 주차장에 설치된 LPR 장치가 인식한 차량번호에 매칭하는 상기 이용자 단말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차량인 것으로 판별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클라우드 네트워크가 전송하는 상기 주차장에 매칭되는 기둥맵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차량 이용자의 이용자 단말이 식별기호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식별기호의 상기 이미지 내에서의 높이 및 폭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식별기호의 상기 이미지 내에서의 높이 및 폭, 및 상기 식별기호의 실제의 높이 및 폭에 기초하여 촬영 각도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촬영 각도 및 수신된 상기 기둥맵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주차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주차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이 주차한 위치를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둥맵 데이터는, 주차장 이름 및 식별 정보, 주차장에 포함된 기둥의 식별기호 및 공간 정보, 및 주차면의 공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기호의 상기 이미지 내에서의 높이 및 폭, 및 상기 식별기호의 실제의 높이 및 폭에 기초하여 촬영 각도를 계산하는 단계는 아래의 수학식에 의해 수행되는 것인, 방법.
    [수학식]

    여기에서, a는 촬영 각도, R은 실제 식별기호의 폭과 실제 식별기호의 높이의 비율값, iw는 이미지 내에서 확인되는 식별기호의 폭, ih는 이미지 내에서 확인되는 식별기호의 높이를 의미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이용자의 이용자 단말이 다른 식별기호를 포함하는 다른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다른 식별기호의 상기 다른 이미지 내에서의 높이 및 폭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다른 식별기호의 상기 다른 이미지 내에서의 높이 및 폭, 및 상기 다른 식별기호의 실제의 높이 및 폭에 기초하여 촬영 각도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촬영 각도 및 수신된 상기 기둥맵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용자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이용자 위치 정보 및 상기 주차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이용자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차량의 주차 위치까지 안내하는 정보증강현실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기호는 상기 주차장에 설치된 기둥에 표시되어 있는 것인, 방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 단말의 GPS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주차장을 특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내에서 상기 식별기호에 포함된 주차장 식별기호를 이용하여 상기 주차장을 특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삭제
  9.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의 주차 위치 정보를 차량 이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이용자 단말 장치로서,
    촬영 장치;
    통신 회로;
    디스플레이;
    상기 촬영 장치, 상기 통신회로 및 상기 디스플레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차량 이용자의 이용자 단말이, 클라우드 네트워크가 상기 주차장에 설치된 LPR 장치가 인식한 차량번호에 매칭하는 상기 이용자 단말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차량인 것으로 판별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클라우드 네트워크가 전송하는 상기 주차장에 매칭되는 기둥맵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촬영 장치를 통하여 식별기호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식별기호의 상기 이미지 내에서의 높이 및 폭을 확인하고,
    상기 식별기호의 상기 이미지 내에서의 높이 및 폭, 및 상기 식별기호의 실제의 높이 및 폭에 기초하여 촬영 각도를 계산하고,
    상기 촬영 각도 및 수신된 상기 기둥맵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주차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및
    상기 주차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이 주차한 위치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구성된 명령어를 저장하고,
    상기 기둥맵 데이터는: 주차장 이름 및 식별 정보, 주차장에 포함된 기둥의 식별기호 및 공간 정보, 및 주차면의 공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이용자 단말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기호의 상기 이미지 내에서의 높이 및 폭, 및 상기 식별기호의 실제의 높이 및 폭에 기초하여 촬영 각도를 계산하는 것은 아래의 수학식에 의해 수행되는 것인, 이용자 단말 장치.
    [수학식]

    여기에서, a는 촬영 각도, R은 실제 식별기호의 폭과 실제 식별기호의 높이의 비율값, iw는 이미지 내에서 확인되는 식별기호의 폭, ih는 이미지 내에서 확인되는 식별기호의 높이를 의미함.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실행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촬영 장치를 통해 다른 식별기호를 포함하는 다른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다른 식별기호의 상기 다른 이미지 내에서의 높이 및 폭을 확인하고,
    상기 다른 식별기호의 상기 다른 이미지 내에서의 높이 및 폭, 및 상기 다른 식별기호의 실제의 높이 및 폭에 기초하여 촬영 각도를 계산하고,
    상기 촬영 각도 및 수신된 상기 기둥맵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용자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및
    상기 이용자 위치 정보 및 상기 주차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이용자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차량의 주차 위치까지 안내하는 정보증강현실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구성된 명령어를 더 저장하는, 이용자 단말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기호는 상기 주차장에 설치된 기둥에 표시되어 있는 것인, 이용자 단말 장치.
  13. 삭제
  14.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의 주차 위치 정보를 차량 이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이용자 단말에 의해 실행되고, 상기 이용자 단말의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 이상의 명령어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는 실행되는 경우,
    상기 차량 이용자의 이용자 단말이, 클라우드 네트워크가 상기 주차장에 설치된 LPR 장치가 인식한 차량번호에 매칭하는 상기 이용자 단말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차량인 것으로 판별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클라우드 네트워크가 전송하는 상기 주차장에 매칭되는 기둥맵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차량 이용자의 이용자 단말이 식별기호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식별기호의 상기 이미지 내에서의 높이 및 폭을 확인하는 동작;
    상기 식별기호의 상기 이미지 내에서의 높이 및 폭, 및 상기 식별기호의 실제의 높이 및 폭에 기초하여 촬영 각도를 계산하는 동작;
    상기 촬영 각도 및 수신된 상기 기둥맵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주차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주차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이 주차한 위치를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동작들을 수행하고,
    상기 기둥맵 데이터는, 주차장 이름 및 식별 정보, 주차장에 포함된 기둥의 식별기호 및 공간 정보, 및 주차면의 공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이용자 단말의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10070944A 2021-06-01 2021-06-01 비전 분석을 이용한 차량의 주차 위치 확인 서비스를 차량 이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6545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944A KR102654579B1 (ko) 2021-06-01 2021-06-01 비전 분석을 이용한 차량의 주차 위치 확인 서비스를 차량 이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944A KR102654579B1 (ko) 2021-06-01 2021-06-01 비전 분석을 이용한 차량의 주차 위치 확인 서비스를 차량 이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2458A KR20220162458A (ko) 2022-12-08
KR102654579B1 true KR102654579B1 (ko) 2024-04-05

Family

ID=84436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0944A KR102654579B1 (ko) 2021-06-01 2021-06-01 비전 분석을 이용한 차량의 주차 위치 확인 서비스를 차량 이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45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3535B1 (ko) * 2023-07-05 2024-01-11 주식회사 그린도트 주차장 내 주차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방법,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3292B1 (ko) * 2016-05-30 2016-07-27 (주) 맑은생각 주차 위치 확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주차 위치 확인 방법
KR102200122B1 (ko) * 2019-07-31 2021-01-08 파킹클라우드 주식회사 주차장의 기둥 번호에 기초하여 차량의 주차 위치 정보를 차량 이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방법, 서버,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9919B1 (ko) * 2013-10-30 2015-11-1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의 위치 추정 장치 및 방법
KR102217651B1 (ko) 2015-11-09 2021-02-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영상 기반 주차 위치 확인 방법 및 그를 위한 차량
KR102637041B1 (ko) * 2015-11-12 2024-02-1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 위치 정보 확인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3292B1 (ko) * 2016-05-30 2016-07-27 (주) 맑은생각 주차 위치 확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주차 위치 확인 방법
KR102200122B1 (ko) * 2019-07-31 2021-01-08 파킹클라우드 주식회사 주차장의 기둥 번호에 기초하여 차량의 주차 위치 정보를 차량 이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방법, 서버,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2458A (ko) 2022-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74180B2 (en) Photo-based positioning
KR101823464B1 (ko) 지역 사진 및 거리뷰의 간판 이미지를 활용한 지역 정보 검출 및 보정 방법 및 시스템
CN107203556B (zh) 一种新增兴趣点信息的方法及装置
US10606824B1 (en) Update service in a distributed environment
US9984301B2 (en) Non-matching feature-based visual motion estimation for pose determination
US11170485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automatic quality assessment of cross view feature correspondences using bundle adjustment techniques
Wei et al. Survey of connected automated vehicle perception mode: from autonomy to interaction
Özcan et al. An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 for smart campus urbanization: MSKU campus prototype
WO2019182559A1 (en) Proximity-based shared transportation reservations
US20220198928A1 (en) Navigation system with parking space identification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KR102654579B1 (ko) 비전 분석을 이용한 차량의 주차 위치 확인 서비스를 차량 이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Hoffmann et al. Using social media images for building function classification
CN113012215A (zh) 一种空间定位的方法、系统及设备
US11105649B2 (en) Providing navigational assistance to target location in vehicle parking facility
Al-Azizi et al. DeepAutoMapping: low-cost and real-time geospatial map generation method using deep learning and video streams
Krylov et al. Object geolocation from crowdsourced street level imagery
KR102200122B1 (ko) 주차장의 기둥 번호에 기초하여 차량의 주차 위치 정보를 차량 이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방법, 서버,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Chen et al. Deep learning based real-time tourist spots detection and recognition mechanism
Rajalakshmi et al. Location-based services: Current state of the art and future prospects
Hu et al. ALPS: Accurate landmark positioning at city scales
Lee et al. Distant object localization with a single image obtained from a smartphone in an urban environment
KR101954800B1 (ko) 위치 확인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영상을 이용한 위치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서비스장치 및 이를 위한 단말장치
EP4019898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capturing an image sequence for a visual positioning service request
KR20150021168A (ko)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현장 조사 시스템
CN106102012A (zh) 一种分享位置信息的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