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2487B1 - 분급기용 리프트 장치 - Google Patents

분급기용 리프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2487B1
KR102212487B1 KR1020200123350A KR20200123350A KR102212487B1 KR 102212487 B1 KR102212487 B1 KR 102212487B1 KR 1020200123350 A KR1020200123350 A KR 1020200123350A KR 20200123350 A KR20200123350 A KR 20200123350A KR 102212487 B1 KR102212487 B1 KR 102212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ssifier
cylinder
lift
clasp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3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성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드로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드로피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드로피아
Priority to KR1020200123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24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2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24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급기의 유지 관리를 위한 분급기용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분급기의 하부에 결합된 결합부, 상기 결합부의 일측부에 결합되고, 상측으로 승강되는 리프트부 및 상기 리프트부의 승강되는 상부에 마련되고, 상기 분급기에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분급기용 리프트 장치{LIFT DEVICE FOR CLASSIFIER}
본 발명은 분급기용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분급기의 유지 관리를 위한 분급기용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분급(classification)이란 화학성분, 입자의 지름, 모양, 색, 밀도, 방사성, 자성 및 정전 특성 등에 따라 고체를 분리하는 것으로, 이러한 고체의 분리를 행하는 분급기는 시멘트, 세라믹원료, 분말형태의 화학품 또는 식품, 슬러지, 전자광물질, 금속 산화물 등의 분체 분쇄공정에서 일정 입도로 분쇄된 원료를 공급받아 일정 기준의 입도를 가진 미분은 선택하고, 그 기준에 미달하는 미분은 다시 순환시켜 재 분쇄 될 수 있도록 분리 선별하는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59126호에는 흑연재의 제조 방법 및 탄소계 원료의 분쇄 장치에 대해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분급기를 사용하여 일정 기준의 입도를 가진 미분의 소재를 생산한다.
그런데 이러한 분급기를 유지 관리하기 위해선 분급기의 상부 덮개를 열어 내부를 개봉해야 하지만 분급기의 상부 덮개 무게가 무겁기 때문에 적어도 3명 이상의 작업자를 동원하여 상부 덮개를 열고 분급기의 내부를 청소, 점검 및 수리하는 등의 작업을 했었다.
따라서 많은 인원의 필요와 장시간의 작업 시간으로 인한 비용 증가 및 생산성 저하 등의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분급기 덮개를 쉽고 빠르게 열고 닫을 수 있는 분급기용 리프트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급기용 리프트 장치는 분급기의 하부에 결합된 결합부, 상기 결합부의 일측부에 결합되고, 상측으로 승강되는 리프트부 및 상기 리프트부의 승강되는 상부에 마련되고, 상기 분급기에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프트부는 상기 결합부의 일측부에 힌지 결합되는 실린더부 및 상기 실린더부의 상부에 기립하고, 상기 실린더부에 의해 승강하는 로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부의 하부와 상기 결합부의 하부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게 상기 실린더부의 하부와 상기 결합부의 하부 사이에 결합된 각도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드부는 상기 실린더부의 상부에 기립된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의 상단부로 승강되게 연장된 승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는 상기 승강부의 상부에 결합된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양측단에 각각 힌지 결합된 걸쇠부 및 상기 연결부와 상기 걸쇠부 사이의 힌지부에 마련되고, 상기 걸쇠부의 선회 이동을 막아서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쇠부의 단부는 상기 분급기에 맞닿는 부분에 볼록한 밀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쇠부는 상기 연결부에 힌지 결합된 힌지 결합부와 상기 힌지 결합부의 반대측인 단부의 사이를 연결하되 상기 힌지 결합부와 상기 단부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폭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쇠부는 상기 연결부와 평행한 각도에서 상기 분급기 방향으로 90°이하 각도로 선회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부는 공기의 압력을 사용하는 공압 실린더 일 수 있다.
상기 체결부는 상기 리프트부의 길이를 따라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급기 덮개를 쉽게 열고 닫을 수 있어서 최소한의 인원으로 분급기를 유지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급기 덮개를 최단 시간으로 열고 닫을 수 있어서 유지 관리 시간을 극소화하고 분급기에서 제조되는 제품의 생산성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의 분급기에 적용할 수 있는 범용성을 갖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급기용 리프트 장치를 분급기의 일측에 설치하고 분급기의 타측에는 설치하기 전의 상태를 정면에서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2는 도 1을 측면에서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3은 도 1을 평면에서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4는 도 1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금기용 리프트 장치만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서 결합부와 리프트부만을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급기용 리프트 장치에서 체결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체결부만을 분리하여 평면에서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급기용 리프트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급기용 리프트 장치를 분급기의 일측에 설치하고 분급기의 타측에는 설치하기 전의 상태를 정면에서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2는 도 1을 측면에서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3은 도 1을 평면에서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4는 도 1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금기용 리프트 장치만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급기용 리프트 장치는 분급기(1)의 하부에 결합된 결합부(100), 상기 결합부(100)의 일측부에 결합되고, 상측으로 승강되는 리프트부(200) 및 상기 리프트부(200)의 승강되는 상부에 마련되고, 상기 분급기(1)에 체결되는 체결부(300)를 포함한다.
도 5는 도 1에서 결합부와 리프트부만을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100)는 분급기(1)의 하부에 볼트 등으로 고정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100)는 본 발명의 분급기용 리프트 장치를 다양한 형상 및 크기의 분급기(1)의 하부에 결합한 상태에서 체결부(300)를 분급기(1)의 상부에 체결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즉. 결합부(100)는 분급기(1)의 하부에 둘레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분급기(1)의 하부 둘레의 크기가 분급기(1)의 상부 둘레의 크기에 비해 작아도 결합부(100)에 결합된 리프트부(200)는 상측으로 기립되어 리프트부(200)의 상부에 마련된 체결부(300)가 분급기(1)의 상부에 체결되게 할 수 있다.
리프트부(200)는 실린더부(210)와 로드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부(210)는 결합부(100)의 일측부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특히 실린더부(210)는 상부를 결합부(100)에 힌지 결합하고, 실린더부(210)의 하부는 결합부(100)의 하부와 각도 조절부(230)에 의해 거리 조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각도 조절부(230)는 볼트와 너트로 형성되고, 실린더부(210)의 하부와 결합부(100)의 하부 사이의 거리를 필요에 따라 변경하여 고정할 수 있다.
즉, 각도 조절부(230)가 실린더부(210)의 하부와 결합부(100)의 하부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면 실린더부(210)의 상부는 결합부(100)와 힌지 결합되어 실리더부(210)의 하부와 결합부(100)의 하부 사이의 거리만큼 선회 이동되어 실린더부(210)가 결합부(100)에 결합된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실린더부(210)는 공기의 압력으로 가동되는 공압 실린더 일 수 있다.
로드부(220)는 실린더부(210)의 상부에 기립하고, 실린더부(210)에 의해 승강할 수 있다.
로드부(220)는 실린더부(210)의 상부에 연장되게 기립된 가이드부(221)와 가이드부(221)의 내부를 통해서 실린더부(210)로 연결되고 가이드부(221)의 상단부로 인출되어 상측으로 연장되며 실린더부(210)의 공압 실린더에 의해 승강하는 승강부(22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급기용 리프트 장치에서 체결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고, 도 7은 도 6에서 체결부만을 분리하여 평면에서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4, 도 6,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300)는 연결부(310), 걸쇠부(320) 및 고정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서 점선은 걸쇠부(320)의 선회 이동을 설명하기 위해 걸쇠부(320)를 선회 이동시킨 것을 도시한 것이다.
연결부(310)는 승강부(223)의 상부에 결합되고, 승강부(223)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걸쇠부(320)는 연결부(310)의 양측 단부에 각각 힌지 결합될 수 있다.
고정부(330)는 연결부(310)와 걸쇠부(320) 사이 힌지부의 힌지 중심축에 볼트 결합되고, 고정부(330)를 조이면 걸쇠부(320)를 힌지 이동 못하도록 고정할 수 있고, 고정부(330)를 풀면 걸쇠부(320)의 힌지 이동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걸쇠부(320)는 단부를 분급기(1)의 상부에 밀착하여 고정할 수 있는데, 걸쇠부(320)의 단부(320b)에 볼록한 밀착부(321)를 포함하고 밀착부(321)가 분급기(1)에 맞닿아 고정력을 높일 수 있다.
특히, 걸쇠부(320)는 분급기(1)의 상부에 형성된 단턱에 걸리도록 위치하여 분급기(1)의 상부에 형성된 덮개를 들어 올릴 때 고정력을 높이게 할 수 있다.
걸쇠부(320)는 연결부(310)에 힌지 결합된 힌지 결합부(320a)와 힌지 결합부(320a)의 반대측인 단부(320b)의 사이를 연결하는 폭 조절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폭 조절부(350)는 힌지 결합부(320a)와 단부(320b)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면서 힌지 결합부(320a)와 단부(320b)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폭 조절부(350)는 힌지 결합부(320a)에 천공된 장홈을 통해 힌지 결합부(320a)와 단부(320b)를 볼트 고정하는 방식일 수 있다.
걸쇠부(320)가 연결부와 평행한 각도에서 분급기(1) 방향으로 90°이하 각도로 선회 이동하도록 하면 걸쇠부(320)를 다양한 형상과 크기의 분급기(1)에 적용할 수 있으면서 작업자가 걸쇠부(320)를 분급기(1)에 고정하는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즉, 걸쇠부(320)가 연결부와 평행한 각도에서 분급기(1) 방향으로 90°이하 각도로 선회 이동하면 걸쇠부(320)의 선회 이동 범위는 충분히 보장할 수 있다. 반면 걸쇠부(320)가 분급기(1)의 반대 방향으로 선회 이동하거나 분급기(1) 방향으로 90°이상 각도로 선회 이동하면 필요 이상의 선회 이동으로 인해 작업자의 작업 시간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되거나 걸쇠부(320)의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걸쇠부(320)는 연결부와 평행한 각도에서 분급기(1) 방향으로 90°이하 각도로 선회 이동하게 함으로써 최적의 선회 이동 각도를 적용할 수 있다.
체결부(300)는 리프트부(200)에서 승강부(223)의 길이를 따라 상하로 복수 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체결부(300)는 작업자의 필요 및 분급기(1)의 구조에 따라 분급기(1)의 다양한 위치에서 분급기(1)의 덮개를 개봉할 수 있다.
즉, 분급기(1)는 상부 덮개를 적층된 복수 개의 다층 구조를 형성하고 다층 구조의 덮개를 사용하여 원재료를 복수의 단계를 거쳐 미세하게 거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분급기용 리프트 장치는 다층 구조의 덮개 중 작업자의 필요에 따라 필요한 부분의 덮개를 개봉할 수 있도록 체결부(300)를 상하로 복수 개 설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분급기 덮개를 쉽게 열고 닫을 수 있어서 최소한의 인원으로 분급기를 유지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급기 덮개를 최단 시간으로 열고 닫을 수 있어서 유지 관리 시간을 극소화하고 분급기에서 제조되는 제품의 생산성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의 분급기에 적용할 수 있는 범용성을 갖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급기용 리프트 장치를 예시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 의해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
1: 분급기
100: 결합부
200: 리프트부
210: 실린더부
220: 로드부
221: 가이드부
223: 승강부
230: 각도 조절부
300: 체결부
310: 연결부
320: 걸쇠부
320a: 결합부
320b: 단부
321: 밀착부
330: 고정부
350: 폭 조절부

Claims (10)

  1. 분급기의 하부에 결합된 결합부;
    상기 결합부의 일측부에 결합되고, 상측으로 승강되는 리프트부; 및
    상기 리프트부의 승강되는 상부에 마련되고, 상기 분급기에 체결되는 체결부; 를 포함하며,
    상기 리프트부는,
    상기 결합부의 일측부에 힌지 결합되는 실린더부 및
    상기 실린더부의 상부에 기립하고, 상기 실린더부에 의해 승강하는 로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드부는,
    상기 실린더부의 상부에 기립된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의 상단부로 승강되게 연장된 승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승강부의 상부에 결합된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양측단에 각각 힌지 결합된 걸쇠부 및
    상기 연결부와 상기 걸쇠부 사이의 힌지부에 마련되고, 상기 걸쇠부의 선회 이동을 막아서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급기용 리프트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부의 하부와 상기 결합부의 하부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게 상기 실린더부의 하부와 상기 결합부의 하부 사이에 결합된 각도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급기용 리프트 장치.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쇠부의 단부는 상기 분급기에 맞닿는 부분에 볼록한 밀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급기용 리프트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쇠부는 상기 연결부에 힌지 결합된 힌지 결합부와 상기 힌지 결합부의 반대측인 단부의 사이를 연결하되 상기 힌지 결합부와 상기 단부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폭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급기용 리프트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쇠부는 상기 연결부와 평행한 각도에서 상기 분급기 방향으로 90°이하 각도로 선회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급기용 리프트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부는 공기의 압력을 사용하는 공압 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급기용 리프트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리프트부의 길이를 따라 복수 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급기용 리프트 장치.
KR1020200123350A 2020-09-23 2020-09-23 분급기용 리프트 장치 KR102212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350A KR102212487B1 (ko) 2020-09-23 2020-09-23 분급기용 리프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350A KR102212487B1 (ko) 2020-09-23 2020-09-23 분급기용 리프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2487B1 true KR102212487B1 (ko) 2021-02-04

Family

ID=74558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3350A KR102212487B1 (ko) 2020-09-23 2020-09-23 분급기용 리프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248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19948A (ja) * 1982-06-14 1983-12-21 バブコツク日立株式会社 スリツト板可変型粉砕分級装置
KR101946506B1 (ko) * 2017-07-05 2019-02-12 강석진 분쇄기용 분체포집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19948A (ja) * 1982-06-14 1983-12-21 バブコツク日立株式会社 スリツト板可変型粉砕分級装置
KR101946506B1 (ko) * 2017-07-05 2019-02-12 강석진 분쇄기용 분체포집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579144B (zh) 矿物材料加工设施以及操作加工设施的方法
KR102212487B1 (ko) 분급기용 리프트 장치
CN105517712B (zh) 矿物材料加工设施以及操作加工设施的方法
US9259739B2 (en) Vertical-type mill
CN105592929B (zh) 矿物材料加工设备以及用于操作加工设备的方法
JP5625473B2 (ja) 竪型ローラミル
CN107930835A (zh) 一种具有可变间距的棒条筛分机构的给料机
EP3074135A1 (de) Zerkleinerungsvorrichtung
CN205397389U (zh) 一种角度可调式放料溜槽
CN110525876A (zh) 一种溜槽
CN111515114A (zh) 一种方便更换筛网的多层密封振动筛
CN216539673U (zh) 分拣下料机构
CN206519242U (zh) 一种永磁式除铁器
JPS636270B2 (ko)
CN209138844U (zh) 一种粉碎机绞龙出料装置
CN209238425U (zh) 一种土木工程用分类筛沙装置
CN108526010B (zh) 一种气流筛护网装置
CN210045528U (zh) 一种砂石分筛机
CN215100753U (zh) 一种包衣机滚筒连续出料控制机构
CN220160149U (zh) 一种超细粉磨机内的阻流装置
CN209093596U (zh) 建筑垃圾回收用除铁筛选系统
CN216296634U (zh) 一种具有密封性的碳化硼粉体研磨设备
CN212183950U (zh) 一种变频传动式输送机自动控制装置
CN219150269U (zh) 一种环保涂料磨粉设备
CN212596001U (zh) 一种混凝土废料回收利用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