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2428B1 - 상판 높낮이 조절 구조를 갖는 다용도 수납가구 - Google Patents

상판 높낮이 조절 구조를 갖는 다용도 수납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2428B1
KR102212428B1 KR1020190042947A KR20190042947A KR102212428B1 KR 102212428 B1 KR102212428 B1 KR 102212428B1 KR 1020190042947 A KR1020190042947 A KR 1020190042947A KR 20190042947 A KR20190042947 A KR 20190042947A KR 102212428 B1 KR102212428 B1 KR 102212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ixing
furniture
fixed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2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0270A (ko
Inventor
윤점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주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주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주경
Priority to KR1020190042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2428B1/ko
Publication of KR20200120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0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2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24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8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additional top or additional legs for varying the height of the top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3/00Combin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of furniture of different kinds
    • A47B83/04Tables combined with other pieces of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5/00Furniture convertible into other kinds of furniture
    • A47B85/06Tables convertible otherwi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0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 spindle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랍장이나 책장 및 서랍장과 같은 다용도 수납가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구본체의 내부에 가스실린더 및 분할 지주에 의한 승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의 가구본체 상측에는 상기 승강수단과 결합된 승강판을 형성하며, 상기 가구본체의 전면에는 상기 승강수단과 간섭되지 않게 한 서랍을 슬라이딩 삽입하되, 상기 승강판에는 상기 승강수단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 버튼작동구를 결합 형성함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다용도 가구에 있어 상판 역할을 하는 승강판을 임의 높이로 편리하게 높낮이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보조 서랍장이나 협탁 등을 사용자가 스탠딩 상태에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승강판에 대한 높낮이 조절이 편리하게 이루어지므로 더욱 다양한 목적 및 형태로 다용도 가구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승강판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승강수단은 비교적 간단한 구성과 편리한 작동구조를 갖고 있어 매우 효율적인 동시에 사용 수명이 길어 매우 경제적인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상판 높낮이 조절 구조를 갖는 다용도 수납가구 {Multipurpose storage furniture}
본 발명은 서랍장이나 책장 및 서랍장과 같은 다용도 수납가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용도 수납가구의 상판이 내장된 가스실린더 및 분할 지주에 의해 상,하로 높낮이 조절되도록 구성하여, 수납가구 본연의 역할을 수행하는 동시에 상승된 상판을 이용하여 스탠딩 상태에서 다양한 작업이나 업무가 가능하도록 한 다용도 수납가구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구는 요나 옷가지 등을 수납보관하는 장롱, 옷가지 등을 수납하는 서랍장, 독서를 행하는 책상 및 책장, 화장을 행하는 화장대, 협탁 등을 의미하며, 집안 또는 사무실 등의 제한된 공간 내에는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다양한 가구가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제한된 공간 내에 서로 다른 기능을 구비하는 다양한 가구를 배치하게 되면 실내 공간이 좁아지게 되어 공간활용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최근에는 단일기능의 가구보다는 복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가구 등 주변 생활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형태의 다용도 가구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가족구성원의 변화로 인하여, 1∼2인 가구가 급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소형 아파트 또는 오피스텔 등의 수요가 꾸준히 증가되고 있어, 제한된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다용도 가구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다용도 가구는 침대와 책상, 책장과 책상, 수납장과 건조대, 수납장과 테이블 등등 두 개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단순히 부가되거나 절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 조립 및 분해되는 과정에서 연결구조가 복잡하고 안정적이지 못하여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의 다용도 가구는 부가되는 기능의 가구가 그대로 외부로 노출되도록 되어 있어, 가구 본연의 미관을 구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을 뿐 아니라, 서랍식 가구 등과 같이 그 구성이 단순한 가구는 본연의 기능 이외에 또 다른 기능을 부가할 수 없어, 그 활용도가 한정되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근자에 들어서는 상기와 같은 다용도 가구에 여러 가지의 복합적인 기능을 부여함에 따라 더욱 다양화된 형태의 다용도 가구가 안출되고 있는 것으로서, 등록실용신안 제20-0444566호와 같이, 서랍장 내부의 뒤쪽 여유 공간부로 떨어지는 물품이 있을 때 이를 편리하게 꺼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서랍장 상판을 고정식이 아닌 출입식으로 구성하여 서랍장의 상부가 열리도록 한 것이며, 특히 뒤쪽 여유 공간부에 바구니를 만들어서 상기 상판과 연동시킴으로써, 상판을 앞으로 당기는 과정에서 바구니가 올라오므로 허리를 많이 굽히지 않고도 서랍장 뒤쪽 내부로 떨어진 물품을 쉽게 꺼낼 수 있으며, 상기 바구니를 비밀 보관함으로도 활용할 수 있는 다용도의 사무용 서랍장이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0-1546946와 같이, 보조서랍장에 결합하는 하측 가이드부와 승하강이 이루어지는 가동 플레이트에 결합하는 상측 가이드부 및 가동 플레이트의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는 높이조절부로 이루어져 있어, 보조서랍장에 장착하여 보조서랍장의 기능과 더불어 가동 플레이트를 승강시켜 책상의 연장선상에 연결해 보조 책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보조서랍장에서 가동 플레이트를 책상 높이에 맞게 승강시킨 후 사용자의 작업 환경에 맞게 원하는 위치에 배치하여 사용하여 활용도를 높일 수 있음은 물론, 가동 플레이트를 간단하게 각도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보조서랍장에 결합하는 높이 조절 기구가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는 것이다.
이어, 등록특허 제10-1932430호와 같이, 가구본체 및 가구본체의 상면테두리를 따라 개폐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어 상부가 개방된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패널부와; 수납공간내에 위치하도록 가구본체의 상면에 고정설치되는 조절부와; 패널부와 동일한 높이를 구비하도록 또한 수납공간의 개방된 상부가 폐쇄되도록 조절부의 상측에 고정설치되는 상판을 포함하도록 하여, 조절부의 미조작시에는 가구본체와 패널부 및 상판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가구로 구성되고, 조절부의 조작시에는 상판의 경사각이 양측방향으로 조절될 뿐 아니라, 사용자가 스탠딩 상태에서 사용가능하도록 가구본체의 상면로부터 상판의 높이가 조절되게 한 다용도 가구가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서랍장 또는 다용도 가구 등이 적용된 상판 높낮이 조절구조는 구조가 매우 복잡한 것은 물론 기존 다용도 가구의 외형을 그대로 살리지 못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즉, 상판을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수단이 기존 다용도 가구의 상부 또는 측부에 별도로 장착되는 구조인 경우 상기의 승강수단이 외부로 노출되므로 외관상 보기 좋지 못한 것은 물론 사용 과정에서 상기의 승강수단이 간섭을 일으키거나 장애가 되므로 사용이 불편한 것이다.
또한, 다용도 가구의 상부에 상기 승강수단을 함몰 및 수납시킨 경우에는 상기 승강수단이 지나치게 복잡하여 생산원가의 비율이 높아지므로 비경제적인 것이고, 작동 방법도 매우 복잡할 뿐만 아니라 작동소음이나 부하로 인한 내구성 저하 등 사용 수명이 지극히 짧은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20-0444566 (2009.05.13. 등록) 대한민국등록특허 10-1546946 (2015.08.25. 등록) 대한민국등록특허 10-1932430 (2018.12.19. 등록)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가구본체의 내부에 가스실린더 및 분할 지주에 의한 승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의 가구본체 상측에는 상기 승강수단과 결합된 승강판을 형성하며, 상기 가구본체의 전면에는 상기 승강수단과 간섭되지 않게 한 서랍을 슬라이딩 삽입하되, 상기 승강판에는 상기 승강수단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 버튼작동구를 결합 형성함에 따라,
가구본체의 상부에 함몰 삽입되어 있는 승강판을 상기 버튼작동구를 눌러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상기 승강판을 가압하여 원하는 높이로 승강판이 위치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다용도 가구의 사용 편리성이 가일층 향상되도록 한 상판 높낮이 조절 구조를 갖는 다용도 수납가구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가 개구된 가구본체의 내부에 승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가구본체의 상측에는 상기 승강수단과 연결된 승강판을 삽입 형성하며, 상기의 승강판에는 상기 승강수단을 작동시키는 버튼작동구를 결합 형성하여, 상기 버튼작동구 및 승강수단에 의해 상기 승강판이 상,하로 높이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하되,
상기의 승강수단은 가구본체의 내측 바닥에 고정되는 하부지주와; 상기 하부지주의 내부에 삽입되어 하단이 고정된 가스실린더와; 상기 하부지주의 상부 내측으로 삽입되어 내측으로 가스실린더가 수용되도록 한 승강지주와; 상기 승강지주의 선단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판의 저면에 결합되는 동시에 상기 가스실린더의 실린더축이 결합되게 한 고정지지구로 이루어지고, 상기 버튼작동구는 승강판의 상부로 노출되게 한 누름버튼과 승강판의 저면에 위치하여 상기 가스실린더를 향하는 케이블 및 상기 누름버튼과 케이블을 연결하는 회전링크로 구성되어, 상기 누름버튼의 가압에 의한 케이블의 당김에 의해 가스실린더의 실린더축 선단으로 돌출된 작동핀이 눌려짐에 따라 승강판의 높낮이에 대한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여 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다용도 가구에 있어 상판 역할을 하는 승강판을 임의 높이로 편리하게 높낮이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보조 서랍장이나 협탁 등을 사용자가 스탠딩 상태에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승강판에 대한 높낮이 조절이 편리하게 이루어지므로 더욱 다양한 목적 및 형태로 다용도 가구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승강판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승강수단은 비교적 간단한 구성과 편리한 작동구조를 갖고 있어 매우 효율적인 동시에 사용 수명이 길어 매우 경제적인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가구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가구의 요부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가구의 측면 작동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가구의 승강수단에 대한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가구의 승강수단 작동부 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가구의 승강수단 결합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가구의 승강수단 결합부 확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가구의 버튼작동구 결합부 확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가구의 승강수단 작동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가구의 승강수단에 대한 다른 실시예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가구의 승강수단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가구의 다른 실시예도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어,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가구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가구의 요부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가구의 측면 작동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가구의 승강수단에 대한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가구의 승강수단 작동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가구는 사무용 보조 서랍장이나 책상 내 이동식 서랍장 또는 각종 소납장 및 도어를 갖는 책장이나 협탁 등에 모두 적용 가능한 것으로, 다영한 형태로 된 가구본체(10)의 내부에 가구본체(10)의 상부에 위치하는 승강판(130)을 상,하로 높낮이 조절하기 위한 승강수단(100)이 내장되어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승강판(130)은 가구본체(10)에 추가로 구성된 것이 아니라 상기 가구본체(10)의 상판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의 승강판(130)이 완전히 하강된 상태에서는 기존의 가구와 같은 형태를 유지하는 것이고, 필요에 따라 상기 승강판(130)을 상승시키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편리에 맞춰 상승된 승강판(130)을 이용하여 다양한 학습 또는 강의나 작업 등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구본체(10)의 전면에는 슬라이딩 개폐 가능한 다수의 서랍(11)(11')을 삽입 형성한 것으로, 가구본체(10)의 내부에 수직으로 세워 설치된 격벽(12)에 의해 상기 서랍(11)(11')과 승강수단(100)을 서로 분리 구획하여 상호 간섭을 방지한 것이고, 상부가 개구된 가구본체(10)의 선단 내측에는 승강판(130)의 두께만큼 아랫쪽에 고정 형성된 멈춤턱(13)을 돌출 형성함에 따라 하강된 승강판(130)이 상기 멈춤턱(13)에 의해 더 이상 가구본체(10)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상기 승강판(130)이 멈춤턱(13)에 걸려 위치 고정되면 상기 가구본체(10)의 선단과 승강판(130)의 상면이 서로 일치되도록 함에 따라 가구의 외형에 대한 일체감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 가구본체(10)의 내측 상부에는 상기와 같은 서랍(11)(11')이 개구된 가구본체(10)의 상부를 통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획판(도면에서의 부호는 생략함)을 추가로 고정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상기 가구본체(10)의 내부에는 가스실린더(170)에 의한 승강수단(100)을 내장하여 상기 가스실린더(170)가 상기 승강판(130)과 연결되게 하고, 상기 승강판(130)에는 상면으로 노출된 누름버튼(182)을 갖는 버튼작동구(180)를 결합 형성함에 따라 상기 누름버튼(182)의 누름에 의해 상기 승강판(130)의 자동 상승 및 상기 누름버튼(182)을 누른 상태에서 승강판(13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가구본체(10) 내의 승강수단(100)은 가구본체(100)의 내부 바닥면에 하단이 고정된 하부지주(110)와 하부지주(110)의 내부에 하단이 고정 삽입된 가스실린더(170)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지주(110)의 상측으로는 선단에 고정지지구(140)가 결합된 승강지주(120)가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가스실린더(170)는 승강지주(12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동시에 가스실린더(170) 상측의 실린더축(171)은 승강지주(120)를 관통 삽입되어 상기 고정지지구(140)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의 가스실린더(170)는 통상적으로 높이 조절식 의자 등에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 선단에는 가스실린더(170)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출몰되는 실린더축(171)이 삽입되어 있고 상기 실린더축(171)의 선단에는 가스실린더(170) 내부의 가스를 제어하기 위한 작동핀(172)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작동핀(172)이 눌리면 상기 실린더축(171)은 최대의 길이를 갖고 자동으로 돌출 작동되는 것이고, 상기 작동핀(172)이 눌린 상태에서 실린더축(171)의 돌출력 이상의 가압력을 가하게 되면 상기 실린더축(171)은 하향 함몰되는 것이며, 상기 실린더축(171)의 하향 함몰 과정에서 상기 작동핀(172)의 눌림 해제가 일어나게 되면 상기 실린더축(171)의 함몰이 멈추며 위치 고정되는 것이다.
이어, 상기 고정지지구(140)의 상부에는 전기한 승강판(130)의 저면이 결합되는 것으로, 가스실린더(170)가 작동되면 승강지주(120) 및 고정지지구(140)와 함께 승강판(130)이 상승하는 것이고, 승강판(130)에 인위적인 하향 힘을 가함에 따라 가스실린더(170)의 작동핀(172)이 눌린 상태에서 상기 승강판(130)에 대한 높이의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지지구(140)의 상부에는 안치홈부(141)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안치홈부(141)에는 별도 구비의 고정작동구(150) 및 가압고정구(160)가 순차적으로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작동구(150)의 하측에는 상기 실린더축(171)의 선단이 나사 고정되고, 상기 고정작동구(150)는 가압고정구(160)에 의해 고정지지구(140)의 안치홈부(141) 내에 삽입 고정되는 것이다.
즉, 상기 고정작동구(150)는 상부에 횡방향으로 고정축(151)이 삽입되어 있고 하단에는 나사홈부(153)가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에는 별도의 회전누름구(152)가 힌지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고정축(151)은 고정작동구(150)가 고정지지구(140)의 안치홈부(141) 내에 삽입 및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나사홈부(153)로는 실린더축(171)의 선단이 나사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회전누름구(152)는 선단에 케이블(181)의 일측 끝단이 고정되고 회전누름구(152)의 하단은 상기 나사홈부(153) 내측으로 삽입된 실린더축(171) 선단의 작동핀(172) 상부에 맞닿아 있는 것으로, 결국 상기 고정작동구(150)는 실린더축(171)과 승강판(130)을 연결하는 개체인 동시에 케이블(181) 및 회전누름구(152)에 의해 실린더축(171)의 작동핀(172)을 눌러 상기의 승강판(130)에 대한 높낮이의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핵심 개체로 볼 수 있는 것이다.
이어, 상기의 고정작동구(150)를 고정지지구(140)의 안치홈부(141)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별도 구비의 가압고정구(160)를 고정작동구(150)의 상측에 올려놓은 후 안치홈부(141)에 대한 가압고정구(160)의 견고한 볼트 고정을 통해 상기 고정작동구(150)가 견고하게 안치홈부(141) 내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압고정구(160)의 하부 양측에는 상기 고정축(151)의 상부 양측에 위치되도록 한 누름돌출구(161)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가압고정구(160)의 볼트 고정시 상기 누름돌출구(161)는 고정작동구(150)의 고정축(151)을 강력하게 하향 가압하게 되는 것으로, 결국 상기 고정작동구(150)는 고정축(151)으로부터 회전 유동은 가능한 반면 상,하 방향으로의 유동은 불가능한 상태로의 결합 고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는 회전누름구(152)의 상단에 결합된 케이블(181)이 인위적인 힘에 의해 잡아당겨지는 경우 회전누름구(152)의 회전력과 작동핀(172)과의 간섭력 등이 상기 고정작동구(150)에 온전하게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고정작동구(150)에 어느 정도의 회전 유동력을 부여함에 따라 케이블(181)의 당김 과정 혹은 복귀 과정에서 고정작동구(150)가 능동적으로 회전하면서 실린더축(171)과의 결합부 및 고정지지구(140)와의 결합부에서의 무리한 버팀이 일어나지 않게 함에 따라 더욱 부드러운 작동 상태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어, 승강판(130)의 저면 일측에는 별도의 버튼작동구(180)가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고정작동구(150)의 회전누름구(152)에 결합되어 있는 케이블(181)의 타측 끝단은 상기 버튼고정구(180)의 측부를 통해 내부로 삽입되어 별도의 회전링크(183) 끝단에 결합 고정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회전링크(183)는 중간부가 힌지축 의해 상기 버튼작동구(180)로부터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일측 끝단에는 전기한 바와 같이 케이블(181)의 끝단이 결합되어 있고 타측 끝단에는 승강판(130)을 관통하여 돌출된 누름버튼(182)의 하단이 안치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실린더축(171)의 작동핀(172)이 돌출되어 있음에 따라 작동핀(172)에 얹혀진 회전누름구(152)는 선단이 후퇴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고, 선단이 후퇴된 회전누름구(152)로 인해 케이블(181)의 후퇴와 함께 버튼작동구(180)의 회전링크(183)는 상기 누름버튼(182)을 상향 돌출시키는 방향으로 회전력을 받게 되는 것이다.
이에, 승강판(130)에 대한 높낮이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의 누름버튼(182)를 누르게 되면 상기 회전링크(183)의 회전이 일어나게 되고 회전링크(183)의 회전에 따라 케이블(181)을 끌어당기게 되는 것이며, 케이블(181)이 끌어 당겨짐과 동시에 회전누름구(152)의 회전 작용 및 그로 인한 작동핀(172)의 눌림에 의해 상기 실린더축(171)은 가스실린더(170)로부터 빠르게 상향 돌출되면서 승강판(130)을 들어올리게 된다.
또한, 반대로 승강판(130)의 높이를 낮추고자 하는 경우에도 상기의 누름버튼(182)를 눌러 작동핀(172)이 눌림 상태가 이루어지도록 한 후, 상기 실린더축(171)의 돌출력 이상의 가압력을 상기 승강판(130)에 부여함에 따라 상기 실린더축(171)이 강제로 가스실린더(170) 내부로 함몰 삽입되도록 하고, 이와 같은 삽입 과정에서 승강판(130)의 적절한 높이가 만들어진 경우 상기의 누름버튼(182)을 놓게 되면 작동핀(172)의 돌출력으로 인해 회전누름구(152)의 후퇴 회전 및 그로 인한 케이블(181)의 후퇴하면서 작동핀(172)이 완전히 돌출되는 것이고, 작동핀(172)의 돌출에 따라 실린더 내의 가스 이동이 불가능하게 되어 결국 승강판(130)의 높이는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상기의 케이블(181)은 종래와 달리 직선 형태로 회전누름구(152)와 누름버튼(182)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누름버튼(182)을 이동량이 적더라도 회전누름구(152)에 대한 많은 회전각을 얻을 수 있어 구조적 단순함은 물론 사용상의 편리함을 얻을 수 있는 것이고, 직선 형태로의 연결로 인해 상기 회전누름구(152) 및 작동핀(172)의 응답성을 높일 수 있어 더욱 빠르고 정확하게 승강판(13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용도 가구는 도 10의 도시와 같이 상기와 같은 고정지지구(140)의 하단에 상기 승강지주(120)가 수용되고 상기 하부지주(110)의 외경보다는 더 큰 내경으로 된 별도의 보호관(190)을 결합 형성함에 따라 상기 보호관(190)으로 인해 승강지주(120)가 외부로 직접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하부지주(110)의 선단을 통해 내부로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도 11의 도시와 같이 승강지주(120)의 외면과 하부지주(110)의 내면 사이에 볼 또는 롤러로 된 구름 베어링(191)을 삽입 형성함에 따라 상기 승강지주(120)의 상,하 승강 과정에서 더욱 부드럽고 정숙한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어,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가구본체(10)의 전면에 슬라이딩 삽입된 서랍(11)(11')에 대하여 후측 중간부에 지주회피홈(11a)을 형성함으로써, 기존과 같은 길이의 서랍(11)(11')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내장된 승강수단(100)의 하부지주(110)와는 간섭되지 않도록 함에 따라 기존의 가구 외형을 그대로 살리면서도 상판 역할을 하는 승강판(130)의 상,하 높이 조절을 통해 더욱 다양한 형태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 가구본체 11,11' : 서랍
11a : 지주회피홈 12 : 격벽
13 : 멈춤턱
100 : 승강수단
110 : 하부지주
120 : 승강지주
130 : 승강판
140 : 고정지지구 141 : 안치홈부
150 : 고정작동구 151 : 고정축
152 : 회전누름구 153 : 나사홈부
160 : 가압고정구 161 : 누름돌출구
170 : 가스실린더 171 : 실린더축
172 : 작동핀
180 : 버튼작동구 181 : 케이블
182 : 누름버튼 183 : 회전링크
190 : 보호관 191 : 베어링

Claims (11)

  1. 상부가 개구된 가구본체(10)의 내부에 승강수단(100)을 구비하고, 상기 가구본체(10)의 상측에는 상기 승강수단(100)과 연결된 승강판(130)을 삽입 형성하며, 상기의 승강판(130)에는 상기 승강수단(100)을 작동시키는 버튼작동구(180)를 결합 형성하여, 상기 버튼작동구(180) 및 승강수단(100)에 의해 상기 승강판(130)이 상,하로 높이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하되,
    상기의 승강수단(100)은 가구본체(10)의 내측 바닥에 고정되는 하부지주(110)와; 상기 하부지주(110)의 내부에 삽입되어 하단이 고정된 가스실린더(170)와; 상기 하부지주(110)의 상부 내측으로 삽입되어 내측으로 가스실린더(170)가 수용되도록 한 승강지주(120)와; 상기 승강지주(120)의 선단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판(130)의 저면에 결합되는 동시에 상기 가스실린더(170)의 실린더축(171)이 결합되게 한 고정지지구(140)로 이루어지고,
    상기 버튼작동구(180)는 승강판(130)의 상부로 노출되게 한 누름버튼(182)과 승강판(130)의 저면에 위치하여 상기 가스실린더(170)를 향하는 케이블(181) 및 상기 누름버튼(182)과 케이블(181)을 연결하는 회전링크(183)로 구성되어,
    상기 누름버튼(182)의 가압에 의한 케이블(181)의 당김에 의해 가스실린더(170)의 실린더축(171) 선단으로 돌출된 작동핀(172)이 눌려짐에 따라 승강판(130)의 높낮이에 대한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한 상판 높낮이 조절 구조를 갖는 다용도 수납가구에 있어서,
    상기 승강지주(120)의 상단에 결합된 고정지지구(140)의 상부에는 안치홈부(141)를 형성하여 상기 안치홈부(141)의 내부에 횡방향으로 고정축(151)이 삽입된 별도 구비의 고정작동구(150)와 가압고정구(160)를 삽입 고정하되,
    상기 고정작동구(150)의 하측에는 가스실린더(170)의 실린더축(171) 선단이 고정되게 하고, 고정작동구(150)의 일측에는 상기 실린더축(171) 선단의 작동핀(172) 상부와 간섭되게 한 회전누름구(152)를 힌지 결합하며, 상기 케이블(181)의 끝단은 상기 고정작동구(150)의 회전누름구(152)에 고정되게 하여, 상기 케이블(181)의 당김 작용에 의해 상기 회전누름구(152)가 작동핀(172)을 가압하여 눌려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판 높낮이 조절 구조를 갖는 다용도 수납가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작동구(150)의 하측에는 실린더축(171)의 선단이 나사 결합되게 한 나사홈부(153)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작동구(150)의 회전누름구(152) 선단에는 케이블(181)의 일측 끝단이 고정되게 하며, 상기 회전누름구(152)의 하단은 나사홈부(153) 내측에 위치하는 실린더축(171)의 작동핀(172) 상면과 접촉되게 하되,
    상기 작동핀(172)이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누름구(152)의 선단은 버튼작동구(180)로부터 후퇴 방향 회전된 상태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케이블(181)의 당김시 회전누름구(152)의 전진 방향 회전에 의해 회전누름구(152)의 하단이 상기 작동핀(172)을 하향 가압하여 상기 가스실린더(170)에 대한 실린더축(171)의 상향 돌출 작용이 수행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판 높낮이 조절 구조를 갖는 다용도 수납가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고정구(160)의 하부 양측으로는 상기 고정작동구(150)의 고정축(151) 상부 양측을 가압하기 위한 누름돌출구(161)를 형성하여, 상기 가압고정구(160)가 안치홈부(141) 내에 삽입 고정됨에 따라 상기 누름돌출구(161)의 가압에 의해 고정축(151)이 밀착 고정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판 높낮이 조절 구조를 갖는 다용도 수납가구.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90042947A 2019-04-12 2019-04-12 상판 높낮이 조절 구조를 갖는 다용도 수납가구 KR1022124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947A KR102212428B1 (ko) 2019-04-12 2019-04-12 상판 높낮이 조절 구조를 갖는 다용도 수납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947A KR102212428B1 (ko) 2019-04-12 2019-04-12 상판 높낮이 조절 구조를 갖는 다용도 수납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0270A KR20200120270A (ko) 2020-10-21
KR102212428B1 true KR102212428B1 (ko) 2021-02-04

Family

ID=73034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2947A KR102212428B1 (ko) 2019-04-12 2019-04-12 상판 높낮이 조절 구조를 갖는 다용도 수납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242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89502S1 (en) 2021-09-23 2023-06-20 Steelcase Inc. Stool
USD1003641S1 (en) 2021-10-29 2023-11-07 Smith System Manufacturing Company Lectern
USD1008711S1 (en) 2021-10-29 2023-12-26 Smith System Manufacturing Company Workstation
USD1009501S1 (en) 2021-09-23 2024-01-02 Steelcase Inc. Chair
USD1011096S1 (en) 2021-10-29 2024-01-16 Smith System Manufacturing Company Desk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43231B (zh) * 2021-05-11 2022-04-22 天津市职业大学 一种多角度调节的机械设备检修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5885Y1 (ko) * 2000-01-27 2000-09-15 김용학 박스형 컴퓨터책상
JP3217762B2 (ja) * 1999-03-11 2001-10-15 パイオニア株式会社 面放電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CN107928107A (zh) * 2017-12-25 2018-04-20 江阴市高奕机械工业有限公司 双柱办公桌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1589B1 (ko) * 1998-07-02 2002-12-18 주식회사 삼홍사 의자용 높이조절부재
KR200444566Y1 (ko) 2008-11-19 2009-05-19 (주)토파스 사무용 서랍장
US9072376B2 (en) * 2013-09-12 2015-07-07 Academia Furniture, LLC Teaching station with an adjustable lectern section
KR101546946B1 (ko) 2015-05-07 2015-08-25 주식회사 우드메탈 보조서랍장에 결합하는 높이 조절 기구
KR101932430B1 (ko) 2016-11-09 2018-12-26 주식회사 주경 스탠딩 작업이 가능한 다용도 가구
JP3217762U (ja) * 2018-06-19 2018-08-30 主興金屬有限公司 昇降式テーブ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7762B2 (ja) * 1999-03-11 2001-10-15 パイオニア株式会社 面放電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200195885Y1 (ko) * 2000-01-27 2000-09-15 김용학 박스형 컴퓨터책상
CN107928107A (zh) * 2017-12-25 2018-04-20 江阴市高奕机械工业有限公司 双柱办公桌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89502S1 (en) 2021-09-23 2023-06-20 Steelcase Inc. Stool
USD1009501S1 (en) 2021-09-23 2024-01-02 Steelcase Inc. Chair
USD1003641S1 (en) 2021-10-29 2023-11-07 Smith System Manufacturing Company Lectern
USD1008711S1 (en) 2021-10-29 2023-12-26 Smith System Manufacturing Company Workstation
USD1011096S1 (en) 2021-10-29 2024-01-16 Smith System Manufacturing Company Des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0270A (ko) 2020-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2428B1 (ko) 상판 높낮이 조절 구조를 갖는 다용도 수납가구
US5743603A (en) Combination credenza and desk
US9913543B2 (en) Concealable bed system
US6691342B2 (en) Convertible furniture
US20120086317A1 (en) Toe kick step stool
US20220379939A1 (en) Collapsible storage
JP2013031577A (ja) ソファ兼ベッド機能を有する多用途家具
US20220087411A1 (en) Height-adjustable workstation and furniture combination
KR102161940B1 (ko) 모니터의 수납이 가능한 책상
CN101806155B (zh) 可伸缩空间的书房及其使用方法
CN203897819U (zh) 一种隐形床
CN212088893U (zh) 折叠侧翻式隐形壁床
GB2446119A (en) Pivotal stand for use with computer
CN209629197U (zh) 能适配不同高度踢脚线的隐形床
TW202237004A (zh) 伸縮滑軌支撐滑輪結構
CN208211745U (zh) 便于收纳的折叠桌
KR102270058B1 (ko) 개선된 작동구조를 갖는 높낮이 조절 테이블
EP4066684A1 (en) An equipped work unit
CN117956926A (zh) 具有可枢转前面板的柜体
CN216256031U (zh) 床上书桌
CN105193139B (zh) 一种隐形床
CN219846267U (zh) 门板与坐凳通用的柜体
CN217906914U (zh) 一种可用于桌面的折叠柜门
CN110089863A (zh) 一种多功能变形家具及其使用方法
AU2021107359A4 (en) A Foldable bed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