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0759B1 - 상자 운반용 조립체 - Google Patents

상자 운반용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0759B1
KR102210759B1 KR1020190049930A KR20190049930A KR102210759B1 KR 102210759 B1 KR102210759 B1 KR 102210759B1 KR 1020190049930 A KR1020190049930 A KR 1020190049930A KR 20190049930 A KR20190049930 A KR 20190049930A KR 102210759 B1 KR102210759 B1 KR 102210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slot
section
rotation member
upw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9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6218A (ko
Inventor
이원두
김동만
최동혁
Original Assignee
이원두
김동만
최동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두, 김동만, 최동혁 filed Critical 이원두
Priority to KR1020190049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0759B1/ko
Publication of KR20200126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6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0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07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7/00Devices for assisting manual moving or tilting heavy loads
    • B65G7/12Load carriers, e.g. hooks, slings, harness, gloves, modified for load carr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65G2201/025Boxes

Landscapes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자 운반용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자 운반용 조립체는 상자 및 상기 상자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운반구를 포함하되, 상기 운반구는 상기 상자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상자의 서로 반대되는 측면 사이에 걸쳐 연장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몸체부의 횡 방향의 회전축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하방으로 연장된 부분으로서 상기 상자의 측면에 걸릴 수 있는 걸림부 및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방으로 연장된 부분으로서 손잡이의 역할을 하는 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가 상기 상자의 측면에 걸리는 결합 위치 및 상기 걸림부가 상기 상자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Description

상자 운반용 조립체 {ASSEMBLY FOR CARRYING BOX}
본 발명은 상자 운반용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자 및 그 상자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운반구를 포함하는 상자 운반용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무거운 상자를 용이하게 파지하여 운반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들이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08841호는 상자의 측면에 손을 넣을 수 있는 개구가 형성된 구성을 개시한다. 하지만 이처럼 개구가 형성될 경우, 그 개구를 통해 내용물이 상자 밖으로 빠져나오거나, 반대로 먼지 또는 이물질이 상자 안으로 들어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접촉 면적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작업자의 손에 상당한 압력을 가하여 고통이 수반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한편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84-0007217호는 상자의 측면에 접철식 손잡이가 결합되는 구성을 개시한다. 하지만 이 역시 개개의 상자에 해당 손잡이가 모두 부착되어야 하기 때문에 하나의 상자를 제작하는 데 시간과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KR 10-2010-0008841 A KR 20-1984-0007217 U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하여 운반할 수 있는 상자 운반용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자 운반용 조립체는 상자 및 상기 상자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운반구를 포함하되, 상기 운반구는 상기 상자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상자의 서로 반대되는 측면 사이에 걸쳐 연장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몸체부의 횡 방향의 회전축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하방으로 연장된 부분으로서 상기 상자의 측면에 걸릴 수 있는 걸림부 및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방으로 연장된 부분으로서 손잡이의 역할을 하는 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가 상기 상자의 측면에 걸리는 결합 위치 및 상기 걸림부가 상기 상자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자의 측면에는 함몰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에는 내측을 향해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 부재가 결합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돌기가 상기 함몰부에 수용되고, 상기 회전 부재가 해제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돌기가 상기 함몰부에서 이탈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부재를 상기 결합 위치에서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몸체부의 양단으로 갈수록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상향 구간 및 상기 상향 구간의 외측 끝단으로부터 하향으로 더 연장되는 하향 구간을 포함하는 제1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 부재에는 상기 회전 부재가 결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슬롯의 하향 구간에 겹치게 형성되는 하부 구간 및 상기 하부 구간의 상단으로부터 상방으로 더 연장되어 상기 회전 부재가 해제 위치로 회전할 때 상기 제1 슬롯의 상향 구간에 부분적으로 겹칠 수 있게 형성되는 상부 구간을 포함하는 제2 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슬롯과 상기 제2 슬롯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부재가 결합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고정부가 상기 제1 슬롯의 하향 구간의 하단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회전 부재가 해제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고정부가 상기 제1 슬롯의 상향 구간의 내측 끝단에 위치하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자 운반용 조립체는 운반구가 상자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하나의 운반구만 구비하여 복수의 상자에 대해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나아가 이를 위한 상자는 외부로 돌출된 손잡이 등이 없기 때문에 복수의 상자를 효율적으로 배열하거나 적층하여 보관할 수 있는 한편, 이를 위한 운반구는 파지부가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최적의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슬롯 및 그 슬롯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부를 통해 회전 부재의 회전 범위를 제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전 부재를 결합 위치에서 고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자 운반용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와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자 운반용 조립체의 운반구의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자 운반용 조립체(100, 20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자 운반용 조립체(100, 200)의 사시도로서, 운반구(200)가 상자(100)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2와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자 운반용 조립체(100, 200)의 운반구(200)의 사시도로서, 도 2는 운반구(200)의 회전 부재(220)가 결합 위치에 있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운반구(200)의 회전 부재(220)가 해제 위치에 있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자 운반용 조립체(100, 200)는 상자(100)와 운반구(200)를 포함한다.
상자(100)는 내부에 물건을 보관하기 위한 공간을 구비하며, 일면이 개폐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를테면 상자(100)는 상면(100A)이 개폐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자(100)는 서로 반대되는 두 측면에 함몰부(110)가 각각 형성된다. 도면에서는 상자(100)가 대체적으로 직육면체로 형성되어 좌우 양 측면(100B, 100C)에 함몰부(110)가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상자(100)는 필요에 따라 그밖에 다른 모양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상자(100)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로 형성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와 3을 더 참조하면 운반구(200)는 몸체부(210), 회전 부재(220) 및 고정부(230)를 포함한다.
몸체부(210)는 운반구(200)에서 상자(100)의 상면(100A)에 배치되기 위한 부분으로서, 상자(100)의 상면(100A)의 너비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어, 상자(100)의 상기 두 측면(100B, 100C) 사이에 걸쳐 연장된다.
회전 부재(220)는 몸체부(210)의 양단에 각각 결합된다.
또한 회전 부재(220)는 몸체부(210)의 횡 방향의 회전축(X)을 중심으로 몸체부(21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몸체부(210)의 횡 방향"이란 몸체부(210)의 길이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이며, 몸체부(210)가 상자(100)의 상면(100A)에 배치되었을 때 상자(100)의 상면(100A)에 실질적으로 수평인 방향을 말한다.
이러한 회전 부재(220)는 걸림부(221)와 파지부(222)를 포함한다.
걸림부(221)는 회전 부재(220)에서 회전축(X)을 기준으로 하방으로 연장된 부분으로서, 내측을 향해 돌기(221-1)가 형성된다. 여기서 "내측"이란 회전 부재(220)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을 말한다.
파지부(222)는 회전 부재(220)에서 회전축(X)을 기준으로 상방으로 연장된 부분으로서, 사용자를 위한 손잡이의 역할을 한다.
한편 회전 부재(2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몸체부(21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몸체부(210)가 상자(100)의 상면(100A)에 배치되었을 때 돌기(221-1)가 상자(100)의 함몰부(110)에 수용되는 결합 위치(도 1과 2 참조) 및 그로부터 걸림부(221)가 외측으로 회전하여 돌기(221-1)가 상자(100)의 함몰부(110)로부터 이탈하게 되는 해제 위치(도 3 참조)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다.
고정부(230)는 회전 부재(220)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한편, 회전 부재(220)를 결합 위치에서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몸체부(210)와 회전 부재(220)에 슬롯(211, 223)이 각각 형성되고, 고정부(230)가 그 슬롯(211, 223)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몸체부(210)의 슬롯(211)을 제1 슬롯(211)이라 하고, 고정부(230)의 슬롯(223)을 제2 슬롯(223)이라 한다.
제1 슬롯(211)은 전체적으로 회전축(X)보다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슬롯(211)은 몸체부(210)의 양단 쪽으로 갈수록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상향 구간(211-1) 및 상향 구간(211-1)의 외측 끝단으로부터 하향으로 더 연장되는 하향 구간(211-2)으로 이루어진다.
제2 슬롯(223)은 전체적으로 회전 부재(2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슬롯(223)은 회전 부재(220)가 결합 위치에 있을 때 제1 슬롯(211)의 하향 구간(211-2)에 겹치게 형성되는 하부 구간(233-1) 및 하부 구간(233-1)의 상단으로부터 상방으로 더 연장되어 회전 부재(220)가 해제 위치로 회전할 때 제1 슬롯(211)의 상향 구간(211-1)에 부분적으로 겹칠 수 있게 형성되는 상부 구간(233-2)으로 이루어진다.
이상으로 설명한 상자 운반용 조립체(100, 200)의 구성에 기초하여, 이하에서는 상자(100)에 운반구(200)를 결합하고 분리하는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반구(200)의 회전 부재(220)가 해제 위치에 있도록 조작한다.
이때 고정부(230)는 제1 슬롯(211)의 상향 구간(211-1)의 내측 끝단에 접하게 된다. 이로써 회전 부재(220)가 해제 위치 너머로 더 과도하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반구(200)의 몸체부(210)가 상자(100)의 상면(100A)에 배치되어 상자(100)의 상기 두 측면(100B, 100C) 사이에 걸쳐 연장되도록 한 후 회전 부재(220)가 결합 위치로 회전하도록 조작한다.
이에 따라 돌기(221-1)가 함몰부(110)에 수용된다. 다시 말해 걸림부(221)가 상자(100)의 상기 두 측면(100B, 100C)에 걸려, 운반구(200)가 상자(1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도 2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221-1) 중 상자(100)에 접하는 부위가 톱니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자(100)에 대한 마찰력이 증가하여 운반구(200)가 상자(100)에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회전 부재(220)가 결합 위치로 회전하는 동안 고정부(230)는 회전 부재(220)에 의해 제1 슬롯(211)의 상향 구간(211-1)을 따라 그 외측 끝단을 향해 자연스럽게 이동하게 될 것이다. 이에 회전 부재(220)가 결합 위치에 도달하면 고정부(230)는 제1 슬롯(211)의 상향 구간(211-1)의 외측 끝단에 이르러, 자중에 의해 제1 슬롯(211)의 하향 구간(211-2)으로 떨어져 그 하단에 자연적으로 접하게 된다. 이로써 회전 부재(220)가 결합 위치 너머로 더 과도하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가 고정부(230)를 임의로 들어 올리지 않는 한 고정부(230)는 자중에 의해 제1 슬롯(211)의 하향 구간(211-2)의 하단에 위치한 상태를 유지할 것이므로, 사용 중 회전 부재(220)가 결합 위치에서 의도치 않게 해제 위치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운반구(200)를 이용하여 상자(100)를 원하는 위치로 운반하고 나면, 고정부(230)를 들어 올려 제1 슬롯(211)의 하향 구간(211-2)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한 후 회전 부재(220)가 해제 위치로 회전하도록 조작한다.
이에 따라 돌기(221-1)가 함몰부(110)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다시 말해 걸림부(221)가 상자(100)의 상기 두 측면(110B, 110C)으로부터 이격되어, 운반구(200)가 상자(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상자 운반용 조립체(100, 200)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자 운반용 조립체 중 하나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전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자 운반용 조립체(100, 200)는 두 명의 작업자가 협력하여 하나의 상자(100)를 운반할 수 있도록 몸체부(210)가 직선적으로 형성되어 회전 부재(220)가 두 개로 마련되는 것으로 기술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네 명의 작업자가 협력하여 하나의 상자를 운반할 수 있도록 몸체부가 십자형으로 형성되어 회전 부재가 네 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자는 서로 반대되는 두 쌍의 각 측면, 즉 네 측면에 함몰부가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렇듯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범위까지 그 기술적 정신이 있다 할 것이다.
100: 상자
110: 함몰부
200: 운반구
210: 몸체부
211: 제1 슬롯
211-1: 상향 구간
211-2: 하향 구간
220: 회전 부재
221: 걸림부
222: 파지부
223: 제2 슬롯
223-1: 하부 구간
223-2: 상부 구간
230: 고정부
X: 회전축

Claims (5)

  1. 상자 및
    상기 상자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운반구를 포함하되,
    상기 운반구는 상기 상자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상자의 서로 반대되는 측면 사이에 걸쳐 연장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몸체부의 횡 방향의 회전축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하방으로 연장된 부분으로서 상기 상자의 측면에 걸릴 수 있는 걸림부 및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방으로 연장된 부분으로서 손잡이의 역할을 하는 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가 상기 상자의 측면에 걸리는 결합 위치 및 상기 걸림부가 상기 상자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몸체부의 양단으로 갈수록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상향 구간 및 상기 상향 구간의 외측 끝단으로부터 하향으로 더 연장되는 하향 구간을 포함하는 제1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 부재에는 상기 회전 부재가 결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슬롯의 하향 구간에 겹치게 형성되는 하부 구간 및 상기 하부 구간의 상단으로부터 상방으로 더 연장되어 상기 회전 부재가 해제 위치로 회전할 때 상기 제1 슬롯의 상향 구간에 부분적으로 겹칠 수 있게 형성되는 상부 구간을 포함하는 제2 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슬롯과 상기 제2 슬롯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상자 운반용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자의 측면에는 함몰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에는 내측을 향해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 부재가 결합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돌기가 상기 함몰부에 수용되고,
    상기 회전 부재가 해제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돌기가 상기 함몰부에서 이탈하게 되는 상자 운반용 조립체.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가 결합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고정부가 상기 제1 슬롯의 하향 구간의 하단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회전 부재가 해제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고정부가 상기 제1 슬롯의 상향 구간의 내측 끝단에 위치하게 되는 상자 운반용 조립체.
KR1020190049930A 2019-04-29 2019-04-29 상자 운반용 조립체 KR1022107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9930A KR102210759B1 (ko) 2019-04-29 2019-04-29 상자 운반용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9930A KR102210759B1 (ko) 2019-04-29 2019-04-29 상자 운반용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6218A KR20200126218A (ko) 2020-11-06
KR102210759B1 true KR102210759B1 (ko) 2021-02-02

Family

ID=73572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9930A KR102210759B1 (ko) 2019-04-29 2019-04-29 상자 운반용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07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3647A (ko) 2022-02-17 2023-08-2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수화물 운반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13963A (ja) * 2007-11-08 2009-05-28 Honda R&D Sun Co Ltd トレイ把持具
KR101394480B1 (ko) * 2013-04-10 2014-05-13 코리아하이테크주식회사 박스 운반용 보조기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1297Y1 (ko) 1983-04-30 1985-06-21 정윤식 식품 상자의 손잡이
KR20100008841A (ko) 2008-07-17 2010-01-27 박종선 수납상자용 손잡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13963A (ja) * 2007-11-08 2009-05-28 Honda R&D Sun Co Ltd トレイ把持具
KR101394480B1 (ko) * 2013-04-10 2014-05-13 코리아하이테크주식회사 박스 운반용 보조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3647A (ko) 2022-02-17 2023-08-2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수화물 운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6218A (ko) 2020-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11225B2 (en) Device for releasing and interlocking the collapsible side walls of cases or containers, especially returnable containers made of plastic materials
JP5836877B2 (ja) 工具収納ケース
EP2474393B1 (en) Container with latch
US7780036B2 (en) Handbasket
US6889838B2 (en) Tool Box
US5730451A (en) Miracle top garbage cart
US5518139A (en) Portable storage assembly
EP2325094B1 (en) Container assembly having stacking means
JP5442642B2 (ja) 工具などの運搬用のスーツケース
WO2005102852A1 (en) A locking system provided with a handle to be used in a container
KR20070101643A (ko) 저장용기
ZA200104024B (en) Collapsible transport container.
KR102210759B1 (ko) 상자 운반용 조립체
DK1864914T4 (en) Container unit with stacking means
JP2017039194A (ja) 工具収納ケース
JP2013226621A (ja) 工具収納ケース
EP3453645B1 (en) Container for collecting domestic waste, provided with rolling wheels and lifting and manoeuvring means
JP2014118179A (ja) 折畳み容器
US20200377261A1 (en) Universal Handle Attachment Tool for Manipulating Different Containers
JP2000255563A (ja) 折り畳み式運搬用容器
WO2021177220A1 (ja) 容器
US20220402649A1 (en) Stackable and nestable container
KR20040057231A (ko) 안전손잡이가 달린 음식물 보관용 밀폐용기
EP4072957B1 (en) Stackable and nestable container
KR20200055886A (ko) 적층형 수납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