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83085B1 - 종이박스 홀더 장치 - Google Patents

종이박스 홀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83085B1
KR102683085B1 KR1020210177252A KR20210177252A KR102683085B1 KR 102683085 B1 KR102683085 B1 KR 102683085B1 KR 1020210177252 A KR1020210177252 A KR 1020210177252A KR 20210177252 A KR20210177252 A KR 20210177252A KR 102683085 B1 KR102683085 B1 KR 1026830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unit
paper box
guide
connect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7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88969A (ko
Inventor
송유찬
Original Assignee
송유찬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유찬 filed Critical 송유찬
Priority to KR1020210177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83085B1/ko
Publication of KR20230088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89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83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830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6Handles
    • B65D5/46008Handle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65D25/2802Handles fixed, i.e. non-swingable, handles

Abstract

본 발명은 전면이 개방된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동작 유닛; 및 상기 내부 공간에서 상기 동작 유닛과 결합되어 상기 동작 유닛의 이동에 따라 일측에 구비되는 송곳이 상기 내부 공간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전개되는 홀더 유닛;을 포함하는, 종이박스 홀더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종이박스 홀더 장치{PAPER BOX HOLDER DECIVE}
본 발명은 종이박스 홀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친환경 정책의 일환으로 비닐 봉투를 대신하여 종이박스가 물품의 이동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에, 마트들에서는 제품을 보관하였던 종이박스를 별도로 소비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가 이를 통해 자신이 구매한 제품들을 종이박스에 담아 이동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온라인 시장의 활성화에 따라 택배로 배달되는 대부분의 제품들이 종이박스에 담겨져 제공되고, 소비자 역시 자신이 택배를 보내고자 하는 대상을 종이박스에 담아 이동시켜야되는 것이 일상이 되었다.
하지만, 종이박스는 박스 형상일때 그 부피가 상당히 크기 때문에 이를 손으로 잡고 이동시키기에 상당한 불편함이 존재한다. 일부 박스의 경우 소비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구멍을 박스에 형성하는 경우도 존재하지만, 거의 대부분의 박스는 내부에 보관되는 제품의 보호를 위해 구멍이 없는 상태로 제공된다.
따라서, 기존 종이박스를 나르기 위해서는 소비자가 자신의 양손을 이용하여 종이박스의 밑부분을 잡은 상태를 유지해야된다. 이때, 해당 종이박스의 크기가 소비자의 팔 길이만큼 또는 그 이상인 경우 해당 종이박스를 지지하여 이동시키기는 더욱더 큰 어려움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이박스를 보다 편리하게 이동 시킬 수 있는 종이박스 홀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박스 홀더 장치는 전면이 개방된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동작 유닛; 및 상기 내부 공간에서 상기 동작 유닛과 결합되어 상기 동작 유닛의 이동에 따라 일측에 구비되는 송곳이 상기 내부 공간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전개되는 홀더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의 양측면에서 후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동작 유닛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동작 유닛은, 너비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봉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연결봉을 수용하도록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홈인 가이드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홀더 유닛은, 일면에 상기 송곳이 설치되는 홀더 플레이트; 상기 홀더 플레이트의 양측에서 서로 대칭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결합 플레이트; 및 상기 결합 플레이트에서 굴곡 형상을 갖는 관통홈으로 형성되어 상기 굴곡 형상을 따라 상기 연결봉을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연결봉을 수용하는 홀더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 플레이트는, 상기 홀더 플레이트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결합 영역; 및 상기 제1 결합 영역에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 결합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홀더 가이드는, 상기 제1 결합 영역을 따라 형성되는 제1 홀더 가이드; 및 상기 제1 홀더 가이드에 연속되도록 상기 제2 결합 영역을 따라 형성되는 제2 홀더 가이드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동작 유닛은, 상기 연결봉이 상기 가이드홈의 상단을 향해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2 홀더 가이드를 따라 상기 연결봉이 상기 제2 결합 영역에 위치하여 상기 송곳이 외부를 향해 전개되는 동작 상태는 갖고, 상기 연결봉이 상기 가이드홈의 하단을 향해 이동되는 경우 상기 연결봉이 상기 제1 홀더 가이드를 따라 상기 제1 결합 영역에 위치하여 전개된 상기 송곳이 상기 내부 공간으로 수용되는 대기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동작 상태 및 상기 대기 상태에서 상기 동작 유닛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도록 형성되는 제한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홀더 유닛은, 상기 동작 유닛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동작 유닛의 동작에 따라 동일하게 동작되도록 상기 내부 공간에서 상하로 배치되는 제1 홀더 유닛 및 제2 홀더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종이박스 홀더 장치 따르면 홀더 장치의 손잡이를 파지한 상태로 종이박스에 접촉시키는 간단한 동작을 통해 종이박스와의 결합을 실시할 수 있어 이용 편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송곳이 구비된 홀더 유닛을 다중으로 구성하여 종이박스와의 결합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홀더 장치의 미사용 시에는 송곳이 장치 내부에 위치하도록 조작할 수 있어 송곳에 의한 부상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종이박스 홀더 장치(100)의 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종이박스 홀더 장치(100)의 전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종이박스 홀더 장치(100)의 후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종이박스 홀더 장치(100)의 동작 유닛(15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종이박스 홀더 장치(100)의 홀더 유닛(17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종이박스 홀더 장치(100)의 동작 방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종이박스 홀더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종이박스 홀더 장치(100)의 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이박스(B)는 대체로 종이 재질로 이루어진 육면체 형상을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
기존에는 사용자(U)가 해당 종이박스(B)를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자신의 양손을 종이박스(B)의 하부나 측면에 파지하여 이동시켰다.
하지만, 종이박스(B)의 크기가 사용자(U)의 팔 길이보다 더 크거나 하는 경우, 종이박스(B)를 파지하는 것이 쉽지 않아 이동성에 불편함이 존재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종이박스 홀더 장치(100)를 제안한다.
종이박스 홀더 장치(100)는 손잡이를 조작하는 동작을 통해 내부에 위치한 송곳이 장치 측면 전개되어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송곳이 노출되면 사용자(U)는 해당 종이박스 홀더 장치(100)를 종이박스(B)의 측면에 충격하는 동작을 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노출된 송곳이 종이박스(B) 측면에 박혀짐에 따라 종이박스 홀더 장치(100)와 종이박스(B)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이박스 홀더 장치(100)를 한 쌍으로 구비하여 각각 손잡이를 조작한 상태에서 종이박스(B)의 양측면을 충격하는 경우, 도 1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이박스 홀더 장치(100)를 통해 종이박스(B)를 결합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종이박스 홀더 장치(100)에 의하면 사용자(U)는 간단한 조작을 통해 종이박스 홀더 장치(100)를 종이박스(B)와 결합시킬 수 있어 직접 종이박스(B)를 파지하지 않아도 해당 장치를 통해서 종이박스(B)의 이동을 실시할 수 있다.
이상은 종이박스 홀더 장치(100)의 동작 방법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종이박스 홀더 장치(100)의 전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종이박스 홀더 장치(100)의 후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종이 홀더 장치(100)의 동작 유닛(15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2의 종이박스 홀더 장치(100)의 홀더 유닛(17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각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이박스 홀더 장치(100)는 동작 유닛(150)의 조작에 의해 내부에 위치하는 송곳(179)을 외부로 노출시켜 종이박스와 결합시키기 위한 수단이다.
이를 위해 종이박스 홀더 장치(100)는, 하우징(110), 가이드 유닛(130), 동작 유닛(150), 고정 유닛(160) 및 홀더 유닛(17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종이박스 홀더 장치(100)의 본체를 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전면이 개방된 내부 공간(111)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110)은 대체로 육면체의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전면뿐 아니라 후면 역시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 유닛(130)은, 후술하는 동작 유닛(150)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수단으로 하우징(110)의 양측면에서 후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이드 유닛(130)은 가이드 플레이트(131) 및 가이드홈(133)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131)는, 하우징(110)의 양측면에서 개방된 전면의 반대 방향인 후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홈(133)은, 후술하는 동작 유닛(150)의 연결봉(153, 153a, 153b)을 수용하도록 가이드 플레이트(131)의 일면 및 타면을 관통하는 장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홈(133)은 연결봉(153, 153a, 153b)의 개 수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봉이 제1 연결봉(153a) 및 제2 연결봉(153b)으로 구성됨에 따라, 동일선상에서 서로 이격되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 유닛(130)은, 한 쌍으로 구성됨에 따라, 가이드 플레이트(131) 및 가이드홈(133) 역시 서로 대응되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동작 유닛(150)은, 하우징(110)의 후면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하 이동 시 결합된 홀더 유닛(170)을 하우징(110) 내부 공간(111)에서 외부로 전개 시키기 위한 수단이다. 다시말해, 동작 유닛(150)은 하우징(110)에서 홀더 유닛(170)과 결합되어 홀더 유닛(170)의 자세를 변경시키기 위한 수단이다. 이를 위해 동작 유닛(150)은 동작 손잡이(151), 동작 손잡이(151) 및 연결봉(153, 153a, 153b)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손잡이(151)는 사용자의 동작 시, 사용자의 손을 수용하기 위한 수단으로 굴곡 구조로 관통된 홈인 손잡이홈(151a)을 구비할 수 있다.
연결봉(153, 153a, 153b)은, 가이드 유닛(130)의 가이드홈(133)에 끼움되기 위한 수단으로 동작 손잡이(151)에서 너비 방향으로 연장되는 봉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연결봉(153, 153a, 153b)의 길이는 한 쌍의 가이드홈(133)에 끼움 가능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봉(153, 153a, 153b)이 제1 연결봉(153a) 및 제2 연결봉(153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연결봉(153a)은 동작 손잡이(151)의 상단에, 제2 연결봉(153b)은 동작 손잡이(151) 하단에서 각각 대응되도록 연장되게 형성되어 각각의 가이드홈(133)에 서로 끼움될 수 있다.
이렇게 연결봉(153, 153a, 153b)을 통해 가이드홈(133)에 끼움되는 경우, 동작 유닛(150)은 가이드홈(133)을 따라 높이 방향(상하)로 가이드 이동될 수 있다.
고정 유닛(160)은, 동작 유닛(150)의 승강 동작 시, 사용자의 손에 동작 유닛(150) 같이 쥐어질 수 있는 고정 수단으로 고정 손잡이(16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서처럼 고정 손잡이(161)는, 한 쌍의 가이드 플레이트(131) 사이에 고정되되도록 설치되어 하우징의 상부로 노출되는 굴곡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고정 손잡이(161)는 하우징(110) 후면에서 상부로 노출되는 굴곡 구조로 고정 설치됨에 따라, 그 하부에 위치하는 동작 손잡이(151)이 동작 상태로 상승되는 경우, 사용자는 자신의 손을 통해 하부로는 동작 손잡이(151)를 파지하고 상부로는 고정 손잡이(161)이를 동시에 파지하여 본 장치(100)를 동작 상태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홀더 유닛(170)은,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111)에서 동작 유닛(150)과 결합되어, 동작 유닛(150)의 이동에 따라 일측에 구비되는 송곳(179)이 내부 공간(111)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전개시키기 위한 수단이다. 다시말해, 홀더 유닛(170)은 종이박스에 꽂혀 종이박스 홀더 장치(100)와 종이 박스를 결합시키기 위한 수단이다. 이를 위해 홀더 유닛(170)은, 홀더 플레이트(171), 결합 플레이트(173), 홀더 가이드(175), 힌지(177) 및 송곳(179)을 포함할 수 있다. 해당 홀더 유닛(170)은 단일 또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동작 유닛(150)에 각각 연결되어 동작 유닛(150)의 동작에 따라 동일하게 이동되도록 내부 공간(111)에서 상하로 배치되는 제1 홀더 유닛 및 제2 홀더 유닛을 일 예로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홀더 플레이트(171)는, 송곳(179)을 설치하기 위한 수단으로 판상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결합 플레이트(173)는, 홀더 플레이트(171)를 하우징(110) 및 동작 유닛(150)과 결합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홀더 플레이트(171)의 양측에서 수직되도록 각각 연장되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 플레이트(173)는, 홀더 플레이트(171)의 측면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결합 영역(173a)과, 제1 결합 영역(173a)에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 결합 영역(173b)를 가질 수 있다.
홀더 가이드(175)는, 동작 유닛(150)의 연결봉(153, 153a, 153b)에 결합되기 위한 수단으로 각각의 결합 플레이트(173)에서 굴곡 형상을 갖는 관통홈으로 서로 대응되는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홀더 가이드(175)의 굴곡 형상은 홀더 플레이트(171)와 대각선 방향에 위치한 결합 플레이트(173)의 일측 모서리 영역에서 반대 방향으로 하방 경사지는 제1 홀더 가이드(175a)와 제1 홀더 가이드(175a)의 끝단에서 홀더 플레이트(171)와 수평하게 굴곡되는 제2 홀더 가이드(175b)를 가질 수 있다. 다시말해, 제1 홀더 가이드(175a)는 제1 결합 영역(173a)을 따라 형성되고, 제2 홀더 가이드(175b)는 제1 홀더 가이드(175a)에 연속되도록 제2 결합 영역(173b)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힌지(177)는, 홀더 유닛(170)을 하우징(110) 유닛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한 쌍인 결합 플레이트(173)의 일측에 서로 대응되게 설치되어 도시하지 않은 하우징(110) 또는 가이드 유닛(130)에 구비된 힌지홈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홀더 유닛(170)은 힌지(177)를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힌지(177)가 결합 플레이트(173)의 제2 결합 영역(173b) 모서리에 형성되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송곳(179)은, 종이박스에 꽂히기 위한 수단으로 홀더 플레이트(171)의 중심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홀더 유닛(170)의 경우, 하우징(110)과 결합한 상태에서 홀더 가이드(175)에 연결봉(153, 153a, 153b)이 삽입되는 경우 연결봉(153, 153a, 153b) 즉 동작 유닛(150)의 위치에 따라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111)에 위치하거나 외부를 향해 전개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장치(100)가 송곳(179)이 전개되는 동작 상태 및 송곳(179)이 하우징(111) 내부에 위치하는 대기 상태에서 동작 유닛(150)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기 위한 제한 유닛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한 유닛은, 동작 유닛(150)이 가이드 유닛(130) 및 하우징(110)에 대해 상하로 이동되는 경우, 특정 위치로 이동을 유도하기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이러한 위치 잠금 유닛은 하우징(110)의 바닥면과 연결봉을 서로 연결하는 탄성 스프링과 같은 구조로 형성되어 연결봉이 상부로 이동되는 경우, 이를 하부로 당기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동작 유닛(150)이 상부로 이동되는 것은 홀더 유닛(170)의 송곳(179)이 외부로 노출시키는 구동 동작이므로, 해당 동작을 발생시키는 힘이 없는 경우(사용자가 사용하지 않는 경우)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동작 유닛(150)을 하부로 자동 이동시켜 홀더 유닛(170)의 송곳(179)을 하우징(110) 내부 공간(111)으로 원위치 시킬 수도 있다.
또한, 하우징(110)의 개방된 전면을 선택적으로 폐쇄시킬 수 있는 커버 유닛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커버 유닛은, 송곳(179)이 노출되는 하우징(110) 전면을 덮기 위한 수단으로 해당 전면에 탈착 가능한 플레이트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이박스 홀더 장치(100)에 의하면, 동작 유닛(150)을 상하로 조작하는 간단한 동작을 통해 종이박스에 꽂혀질 수 있는 송곳(179)을 전개시킬 수 있으므로 해당 장치의 이용 편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홀더 유닛(170)이 복수로 구성되는 경우, 종이박스에 대한 결합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은 종이박스 홀더 장치(100)의 구성들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종이박스 홀더 장치(100)의 동작 순서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 및 도 7은 종이박스 홀더 장치(100)의 동작 방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구성들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도록 하며 도면 부호는 생략하도록 한다.
먼저 도 6은 종이박스 홀더 장치(100)의 동작 전, 또는 대기 상태일 수 있다.
해당 상태에서는 동작 손잡이(151)가 하부로 이동됨에 따라 이에 연결된 연결봉(153) 역시 각각의 가이드홈(133)을 따라 하부로 이동되어 있다.
이때, 각 연결봉(153)의 하부 이동 시, 결합 플레이트의 홀더 가이드(175a, 175b)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힌지(177)를 통해 연결된 홀더 유닛(170)은 연결봉(153)의 이동에 따라 송곳(179)이 위치한 홀더 플레이트(171)는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으로 회전하여 결과적으로 송곳(179)이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즉, 대기 상태는, 연결봉(53)이 가이드홈(133) 하단을 향해 이동되는 경우, 연결봉(153)이 제1 홀더 가이드(175a)를 따라 제1 결합 영역(173a)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대기 상태에서 사용자는 종이박스를 해당 장치(100)로 파지하지 하기 위해 하부 손잡이에 손을 집어넣어 도 7에서처럼 동작 유닛의 연결봉(153)이 상부로 이동되도록 대기 상태에서 동작 상태로 조작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 상태는, 연결봉(153)은 가이드홈(133)의 상단을 향해 이동되어 제2 홀더 가이드(175b)를 따라 연결봉(153)이 제2 결합 영역(173b)에 위치하는 상태를 가질 수 있다.
홀더 유닛(170)은 힌지(177)를 통해 하우징(110) 또는 가이드 유닛에 결합된 상태이므로, 연결봉(153)의 승강 이동에 따라 회전되어 기존 대기 상태에서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던 송곳(179)이 하우징(110)의 외부(개방면 전면)를 향해 노출되도록 동작 상태로 자세가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존 하우징(110) 내부 공간에 위치하던 송곳(179)은 하우징(110)의 전면에 수평방향으로 노출됨에 따라, 사용자는 해당 송곳(179)을 종이박스의 측면을 충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종이박스 홀더 장치(100)를 한 쌍으로 구비하고, 각각을 송곳(179)이 노출되는 동작 상태로 조작하여 종이박스의 양측면에 결합시킴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종이박스를 파지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종이박스 홀더 장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100: 종이박스 홀더 장치
110: 하우징
130: 가이드 유닛
150: 동작 유닛
170: 홀더 유닛
U: 사용자
B: 종이박스

Claims (9)

  1. 전면이 개방된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너비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봉을 구비하는 동작 유닛; 및
    상기 내부 공간에서 상기 동작 유닛과 결합되어 상기 동작 유닛의 이동에 따라 일측에 구비되는 송곳이 상기 내부 공간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전개되는 홀더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 유닛은,
    일면에 상기 송곳이 설치되는 홀더 플레이트;
    상기 홀더 플레이트의 양측에서 서로 대칭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결합 플레이트; 및
    상기 결합 플레이트에서 굴곡 형상을 갖는 관통홈으로 형성되어 상기 굴곡 형상을 따라 상기 연결봉을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연결봉을 수용하는 홀더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플레이트는,
    상기 홀더 플레이트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결합 영역; 및
    상기 제1 결합 영역에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 결합 영역;을 포함하는, 종이박스 홀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양측면에서 후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동작 유닛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 유닛을 더 포함하는, 종이박스 홀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연결봉을 수용하도록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홈인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종이박스 홀더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가이드는,
    상기 제1 결합 영역을 따라 형성되는 제1 홀더 가이드; 및
    상기 제1 홀더 가이드에 연속되도록 상기 제2 결합 영역을 따라 형성되는 제2 홀더 가이드을 포함하는, 종이박스 홀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동작 유닛은,
    상기 연결봉이 상기 가이드홈의 상단을 향해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2 홀더 가이드를 따라 상기 연결봉이 상기 제2 결합 영역에 위치하여 상기 송곳이 외부를 향해 전개되는 동작 상태는 갖고, 상기 연결봉이 상기 가이드홈의 하단을 향해 이동되는 경우 상기 연결봉이 상기 제1 홀더 가이드를 따라 상기 제1 결합 영역에 위치하여 전개된 상기 송곳이 상기 내부 공간으로 수용되는 대기 상태를 갖는, 종이박스 홀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상태 및 상기 대기 상태에서 상기 동작 유닛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도록 형성되는 제한 유닛을 더 포함하는, 종이박스 홀더 장치.
  9. 전면이 개방된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동작 유닛; 및
    상기 내부 공간에서 상기 동작 유닛과 결합되어 상기 동작 유닛의 이동에 따라 일측에 구비되는 송곳이 상기 내부 공간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전개되는 홀더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 유닛은,
    상기 동작 유닛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동작 유닛의 동작에 따라 동일하게 동작되도록 상기 내부 공간에서 상하로 배치되는 제1 홀더 유닛 및 제2 홀더 유닛을 포함하는, 종이박스 홀더 장치.




KR1020210177252A 2021-12-13 종이박스 홀더 장치 KR1026830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7252A KR102683085B1 (ko) 2021-12-13 종이박스 홀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7252A KR102683085B1 (ko) 2021-12-13 종이박스 홀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8969A KR20230088969A (ko) 2023-06-20
KR102683085B1 true KR102683085B1 (ko) 2024-07-09

Family

I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4584B1 (ko) 2019-11-29 2020-09-10 전기호 운반용 손잡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4584B1 (ko) 2019-11-29 2020-09-10 전기호 운반용 손잡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9902B1 (ko) 접이식 상자
US4790431A (en) Carrying case for storing a computer and a printer operatively connected thereto
EP3027078B1 (en) Portable container, such as a suitcase, trolley case, trunk and the like, and associated accessory
US6409076B1 (en) Combination storage box
KR102683085B1 (ko) 종이박스 홀더 장치
US3447195A (en) Hideaway collapsible handle with spring means urging the handle to collapsed position
KR20230088969A (ko) 종이박스 홀더 장치
US4785971A (en) Bag storage and dispensing apparatus
EP3138664B1 (en) Tool organiser
JP6399296B2 (ja) 携帯端末装置
KR102171054B1 (ko) 휴대용 낚시용구 보관함
JP5419037B2 (ja) フラップテーブル
JP2001161449A (ja) 収納ボックス
US20050023165A1 (en) Ergonomic tool box
CN107195098A (zh) 商品收纳装置
KR20220111071A (ko) 모듈형 볼링공 캐리어
KR20200000376U (ko) 기립구조로 파지 및 휴대가 용이한 피자포장박스
JP5286234B2 (ja) 収納構造
KR101277459B1 (ko) 접이식 수납체
CN214002386U (zh) 一种键盘盒
CN110896632A (zh) 包装盒
JP2019009805A (ja) 携帯端末装置
KR200277351Y1 (ko) 다용도 공구가방
KR200357638Y1 (ko) 동전 저장장치
KR20120041561A (ko) 수납박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