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0538B1 - 카메라 모듈의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의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0538B1
KR102210538B1 KR1020200055361A KR20200055361A KR102210538B1 KR 102210538 B1 KR102210538 B1 KR 102210538B1 KR 1020200055361 A KR1020200055361 A KR 1020200055361A KR 20200055361 A KR20200055361 A KR 20200055361A KR 102210538 B1 KR102210538 B1 KR 102210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camera module
substrate
lens assembly
optical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5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상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퓨런티어
배상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퓨런티어, 배상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퓨런티어
Priority to KR1020200055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05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0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0538B1/ko
Priority to US17/214,345 priority patent/US11153470B1/en
Priority to US17/478,646 priority patent/US11689792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5/225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television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3
    • H04N5/225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ens Barrel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기판 조립체에 광축 정렬용 이미지를 제공하는 챠트 유닛, 상기 챠트 유닛에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기판 조립체를 정렬하며 상기 이미지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판 정렬 유닛, 렌즈 및 엑츄에이터를 포함하는 렌즈 조립체를 상기 이미지 센서에 대하여 광축 정렬하도록 구비되는 광축 정렬 유닛 및 상기 광축 정렬 유닛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정렬된 상기 렌즈 조립체와 기판 조립체에 무기물인 순간 경화형 접착제를 적용하여 상기 렌즈 조립체를 상기 기판 조립체에 고정하는 카메라 모듈 고정 유닛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의 제조 장치{Method for manufacturing camera modul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카메라 모듈의 제조 장치에 대한 것이다.
카메라 모듈, 특히 휴대용 전자기기에 탑재되는 카메라 모듈은 최근 모바일폰의 고해상도화 소형화로 인해 픽셀의 수가 점차 작아져서 미세한 광축의 틀어짐으로도 화질이 크게 저하된다.
또한 차량용 카메라 모듈의 경우는, 자동 주차 기능, 차선 감지 기능, 어라운드 뷰 모니터링(AVM) 등이 도입됨에 따라, 실제 대상물까지의 거리, 대상물의 크기와 형상, 운전자 시야와의 매칭률 및 카메라 간의 영상 정렬 정도 등이 매우 중요해 지고 있다.
따라서 렌즈 조립체와 이미지 센서가 구비된 기판에 결합시켜 카메라 모듈을 조립할 때에, 최적의 영상 특성을 얻을 수 있도록 조립할 필요가 있다.
상기한 문제 및/또는 한계를 해결하기 위하여, 순간 경화형 접착제를 이용하여 카메라 모듈의 조립 시 렌즈와 이미지 센서의 광축 정렬이 이루어지고 생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의 조립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기판 조립체에 광축 정렬용 이미지를 제공하는 챠트 유닛, 상기 챠트 유닛에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기판 조립체를 정렬하며 상기 이미지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판 정렬 유닛, 렌즈 및 엑츄에이터를 포함하는 렌즈 조립체를 상기 이미지 센서에 대하여 광축 정렬하도록 구비되는 광축 정렬 유닛 및 상기 광축 정렬 유닛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정렬된 상기 렌즈 조립체와 기판 조립체에 무기물인 순간 경화형 접착제를 적용하여 상기 렌즈 조립체를 상기 기판 조립체에 고정하는 카메라 모듈 고정 유닛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판 조립체는 상기 광축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와, 상기 제1 연장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연장부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제1 고정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렌즈 조립체는 상기 제1 연장부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일측에 상기 제1 고정부를 수용하기 위한 제2 홀이 형성된 제2 연장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 고정 유닛은 상기 렌즈 조립체의 상기 제2 홀과 상기 기판 조립체의 제1 고정부 사이에 상기 순간 경화형 접착제를 적용하여 상기 렌즈 조립체를 상기 기판 조립체에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 고정 유닛은 상기 렌즈 조립체에서 상기 기판 조립체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순간 경화형 접착제를 적용하여 상기 렌즈 조립체를 상기 기판 조립체에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솔더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제조 장치는 순간적으로 고정력을 부여하는 순간 경화형 접착제 즉, 솔더를 포함하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카메라 모듈의 광축 틀어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제조 장치는 순간 경화형 접착제를 렌즈 조립체에서 기판 조립체를 향하는 방향으로 적용할 수 있어, 카메라 모듈의 상부에 챠트 유닛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기존 장비의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도 바로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조립 장치에 의해 조립될 카메라 모듈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을 조립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의 제조 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3의 카메라 모듈의 제조 장치의 일부 구성을 발췌하여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도 3의 카메라 모듈의 제조 장치를 이용하여 카메라 모듈을 제조하는 방법을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들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내용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들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유닛,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유닛,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연결하다 또는 결합하다 등의 용어는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반드시 두 부재의 직접적 및/또는 고정적 연결 또는 결합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두 부재 사이에 다른 부재가 개재된 것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이하의 실시예는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조립 장치에 의해 조립될 카메라 모듈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10)의 일 예는 모바일, PC 및/또는 차량용 카메라 모듈이 될 수 있는 데, 기판 조립체(1)와 렌즈 조립체(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10)은 접착부(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 조립체(1)는 도선 배선 패턴이 형성된 PCB 기판(11) 상에 이미지 센서(12)가 결합된 구조가 될 수 있다. 기판 조립체(1)는 이미지 센서(12)의 제1 광축(Ax1)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13)와, 제1 연장부(13)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연장부(13)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제1 고정부(1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기판 조립체(1)는 이미지 센서(12)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 연장부(13)를 구비할 수 있으며, 도면에서와 같이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3개의 제1 연장부(13)를 구비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1 연장부(13)는 기판 조립체(1)와 렌즈 조립체(2)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어떠한 구조로든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 고정부(15)는 제1 연장부(13)의 일측에 구비되며, 제1 연장부(13)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되, 상기 이미지 센서(12)의 측정 방향을 향하여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고정부(15)는 PCB 기판(11) 제조 시 사출 공정을 통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렌즈 조립체(2)는 엑츄에이터(22)와 그 내부에 수용된 렌즈(21)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엑츄에이터(22)는 적어도 PCB 기판(11) 및/또는 이미지 센서(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 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엑츄에이터(22)는 자동초점용 엑츄에이터 및/또는 손떨림 보정용 엑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자동초점용 엑츄에이터와 손떨림 보정용 엑츄에이터가 일체로 구비된 것일 수 있다.
렌즈 조립체(2)는 기판 조립체(1)의 제1 연장부(13)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일측에 제1 고정부(15)를 수용하기 위한 제2 홀(25)이 형성된 제2 연장부(2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연장부(13)가 3개로 구비되는 경우, 제2 연장부(23) 또한 3개로 구비되며 제1 연장부(13)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홀(25)은 제1 고정부(15)를 수용하기 위한 관통홀로 형성될 수 있다. 렌즈 조립체(2)는 제2 홀(25)이 제1 고정부(15)와 결합되는 것에 의해 상기 기판 조립체(1)에 임시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접착부(3)는 제1 고정부(15)와 제2 홀(25) 사이를 연결하여 렌즈 조립체(2)를 기판 조립체(1)에 고정할 수 있다. 접착부(3)는 무기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 실시예로서, 솔더(solder)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부(3)는 유연납, 무연납, 주석(Sn), 은(Ag), 구리(Cu), 납(Pb)-주석(Sn) 혼합물, 은(Ag)-주석(Sn) 혼합물, 구리(Cu)-주석(Sn) 혼합물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접착부(3)는 제1 연장부(13) 및 제2 연장부(23)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되어 렌즈 조립체(2)를 기판 조립체(1)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10)을 조립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의 제조 장치(100)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4는 도 3의 카메라 모듈의 제조 장치(100)의 일부 구성을 발췌하여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5는 도 3의 카메라 모듈의 제조 장치(100)를 이용하여 카메라 모듈을 제조하는 방법을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제조 장치(100)는 챠트 유닛(111), 기판 정렬 유닛(120), 광축 정렬 유닛(110) 및 카메라 모듈 고정 유닛(130)을 포함할 수 있다.
챠트 유닛(111)은 이미지 센서(12)를 포함하는 기판 조립체(1)에 광축 정렬용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챠트 유닛(111)은 적어도 광원(1113) 및 검사 챠트(111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렌즈 조립체(2)의 렌즈와 이미지 센서(12)의 광축을 정렬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위로부터 광원, 검사 챠트, 렌즈 및 이미지 센서가 순차로 정렬된 상태에서 렌즈를 투과한 검사 챠트의 이미지를 이미지 센서(12)가 센싱하여 렌즈와 이미지 센서(12)의 광축의 정렬 여부를 판별하는 것이다.
광원(1113)은 도 3에서 볼 때 하방, 즉, 카메라 모듈을 향하여 광을 조사하고, 검사 챠트(1111)는 광의 광경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검사 챠트(1111)는 카메라 모듈(10)을 검사할 수 있는 검사 패턴이 형성된 광투과성 필름이 될 수 있는데, 예컨대, 카메라 모듈의 해성도를 평가할 수 있는 검사 패턴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검사 챠트(1111)는 별도의 고정 장치에 의해 광원(1113)과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광원(1113)과 검사 챠트(1111)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예컨대, 광원(1113)의 표면에 검사 패턴이 프린팅된 것일 수 있다.
기판 정렬 유닛(120)은 챠트 유닛(111)에 대향되게 배치되고, 기판 조립체(1)를 정렬하며 이미지 센서(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기판 정렬 유닛(120)은 기판 조립체(1)를 안착시키는 안착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부는 그 상면에 기판 조립체(1)가 안착되도록 구비할 수 있으며, 안착된 기판 조립체(1)에 콘택하여 이미지 센서(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단자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자부(미도시)는 전원 및 제어부(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미지 센서(12)를 통해 획득한 이미지를 제어부(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안착부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면에 안착된 기판 조립체(1)의 위치를 정렬할 수 있도록, X축 이동(x), Y축 이동(y), Z축 이동(z), R 축 회전(rolling, R), 틸팅(yawing Tx, Pitching Ty)을 위한 구동부를 구비할 수 있다. 안착부는 상기한 구동부에 의해 기판 조립체(1)의 위치를 미세하게 정렬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광축 정렬 유닛(110)은 렌즈 및 엑츄에이터를 포함하는 렌즈 조립체(2)를 이미지 센서(12)에 대하여 광축 정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광축 정렬 유닛(110)은 렌즈 조립체(2)의 렌즈의 제2 광축(Ax2)을 기판 조립체(1)의 이미지 센서(12)의 제1 광축(Ax1, 도 2 참조)에 대하여 광축 정렬시킨 다음, 기판 조립체(1)에 렌즈 조립체(2)가 결합된 카메라 모듈을 형성할 수 있다.
광축 정렬 유닛(110)은 렌즈 조립체(2)를 파지하여 제2 광축(Ax2)의 제1 광축(Ax1)에 대한 정렬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그리핑 유닛(113)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핑 유닛(113)은 상기 획득된 카메라 모듈(10)의 영상이미지가 사전에 저장된 제어부(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저장된 영상이미지를 이용하여 카메라 모듈의 광축을 검사하고, 렌즈 조립체의 렌즈의 제2 광축(Ax2)이 이미지 센서(12)의 제1 광축(Ax1)에 대응하여 정렬하도록 그리핑 유닛(113)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미도시)는 제2 광축(Ax2)이 제1 광축(Ax1)과 일치하도록 그리핑 유닛(113)을 제어하여 렌즈 조립체(2)를 기판 조립체(1)에 정렬시킬 수 있다. 그리핑 유닛(113)은 x방향 및 y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따라 연장된 제1 가이드(1131)와, 제1 가이드(1131)를 따라 왕복이동하거나 z방향으로 왕복이동하면서 렌즈 조립체(2)를 파지할 수 있는 그리퍼(113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핑 유닛(113)의 구동은 상기한 기판 정렬 유닛(120)의 구동에 대응되어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판 정렬 유닛(120)이 X축 이동(x), Y축 이동(y), R축 회전(R), 틸팅(Tx, Ty)을 통해 5축 구동한다면, 그리핑 유닛(113)은 Z축 이동(z)으로 구동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기판 정렬 유닛(120)이 X축 이동(x), Y축 이동(y), Z축 이동(z), R축 회전(R)을 통해 4축 구동한다면, 그리핑 유닛(113)은 틸팅(Tx, Ty) 구동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기판 정렬 유닛(120)과 그리핑 유닛(113)의 구동 동작은 상호보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카메라 모듈 고정 유닛(130)은 광축 정렬 유닛(110)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 고정 유닛(130)은 광축 정렬 유닛(110)에 의해 정렬된 렌즈 조립체(2)와 기판 조립체(1)에 무기물인 순간 경화형 접착제를 적용하여 렌즈 조립체(2)를 기판 조립체(1)에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순간 경화형 접착제는 무기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솔더(solder)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 고정 유닛(130)은 솔더링 유닛일 수 있다.
카메라 모듈 고정 유닛(130)은 도시하지 않았지만, x방향 및 y방향으로 연장된 제2 가이드와, 제2 가이드를 따라 왕복이동하거나 z방향으로 왕복이동하면서 렌즈 조립체(2)와 기판 조립체(1) 사이에 순간 경화형 접착제를 적용하는 접착제 적용유닛(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접착제 적용유닛(131)은 접착제를 공급하는 접착제 공급부와, 접착제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접착제에 열을 가하는 가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제 공급부 및 가열부는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이동할 수 있으며, 렌즈 조립체(2)와 기판 조립체(1) 사이에 접착제를 공급함과 동시에 열을 가하여 광축이 정렬된 렌즈 조립체(2)를 기판 조립체(1)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접착제 공급부는 유연납, 무연납, 주석(Sn), 은(Ag), 구리(Cu), 납(Pb)-주석(Sn) 혼합물, 은(Ag)-주석(Sn) 혼합물, 구리(Cu)-주석(Sn) 혼합물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금속 물질을 포함하는 접착제를 실납, 크림솔더, 솔더볼 형태로 공급될 수 있다. 가열부는 접착제에 열 공급이 가능한 인두 또는 레이저(laser)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접착제 공급부 및 가열부의 종류는 상기한 종류에 제한되지 않으며, 접착제 적용유닛은 순간 경화형 접착제를 사용하는 다양한 종류의 솔더링 방식이 적용 가능하다.
카메라 모듈 고정 유닛(130)은 렌즈 조립체(2)의 제2 홀(25, 도 2 참조)와 기판 조립체(1)의 제1 고정부(15) 사이에 순간 경화형 접착제를 적용하여 렌즈 조립체(2)를 기판 조립체(1)에 고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카메라 모듈 고정 유닛(130)은 렌즈 조립체(2)에서 기판 조립체(1)를 향하는 방향으로 순간 경화형 접착제(S)를 적용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축 정렬 유닛(110)에 의해 광축(Ax1, Ax2)이 정렬된 렌즈 조립체(2)는 제2 홀(25)과 제1 고정부(15)가 결합되는 것에 의해 기판 조립체(1)에 예비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도 5의 (a) 참조). 카메라 모듈 고정 유닛(130)은 순간 경화형 접착제(S)를 제2 홀(25)에 적용함으로써, 제2 홀(25)과 제2 홀(25)에 수용된 제1 고정부(15)를 고정시킬 수 있다(도 5의 (b) 참조). 이에 따라 렌즈 조립체(2)는 순간 경화형 접착제(S)를 통해 형성된 접착부(3)에 의해 기판 조립체(1)에 광축이 정렬된 상태로 고정되며, 카메라 모듈(10)이 완성될 수 있다(도 5의 (c) 참조).
한편, 일 실시예는 이송 유닛(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송 유닛(150)은 렌즈 조립체(2), 기판 조립체(1)와 같은 자재를 이송하거나, 제조된 카메라 모듈(10)을 이송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제조 장치는 순간적으로 고정력을 부여하는 순간 경화형 접착제 즉, 솔더를 포함하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카메라 모듈의 광축 틀어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제조 장치는 순간 경화형 접착제를 렌즈 조립체에서 기판 조립체를 향하는 방향으로 적용할 수 있어, 카메라 모듈의 상부에 챠트 유닛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기존 장비의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도 바로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기판 조립체
2: 렌즈 조립체
3: 접착부
10: 카메라 모듈
100: 카메라 모듈의 제조 장치
110: 유닛
111: 챠트 유닛
120: 기판 정렬 유닛
130: 고정 유닛
150: 이송 유닛

Claims (9)

  1.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기판 조립체에 광축 정렬용 이미지를 제공하는 챠트 유닛;
    상기 챠트 유닛에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기판 조립체를 정렬하며 상기 이미지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판 정렬 유닛;
    렌즈 및 엑츄에이터를 포함하는 렌즈 조립체를 상기 이미지 센서에 대하여 광축 정렬하도록 구비되는 광축 정렬 유닛; 및
    상기 광축 정렬 유닛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정렬된 상기 렌즈 조립체와 기판 조립체에 무기물인 순간 경화형 접착제를 적용하여 상기 렌즈 조립체를 상기 기판 조립체에 고정하는 카메라 모듈 고정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 조립체는 상기 광축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와, 상기 제1 연장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연장부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제1 고정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렌즈 조립체는 상기 제1 연장부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일측에 상기 제1 고정부를 수용하기 위한 제2 홀이 형성된 제2 연장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홀은 상기 제2 연장부를 관통하며,
    상기 카메라 모듈 고정 유닛은 상기 제2 홀이 상기 제1 고정부를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렌즈 조립체의 상기 제2 홀과 상기 기판 조립체의 제1 고정부 사이에 상기 순간 경화형 접착제를 적용하여 상기 렌즈 조립체를 상기 기판 조립체에 고정하는, 카메라 모듈의 제조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 고정 유닛은 상기 렌즈 조립체에서 상기 기판 조립체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순간 경화형 접착제를 적용하여 상기 렌즈 조립체를 상기 기판 조립체에 고정하는, 카메라 모듈의 제조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솔더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제조 장치.


  7.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이미지 센서의 광축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와, 상기 제1 연장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연장부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제1 고정부를 구비하는 기판 조립체;
    렌즈 및 엑츄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연장부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일측에 상기 제1 고정부를 수용하기 위한 제2 홀이 형성된 제2 연장부를 구비하는 렌즈 조립체; 및
    상기 제2 홀이 상기 제1 고정부를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렌즈 조립체의 상기 제2 홀과 상기 기판 조립체의 상기 제1 고정부 사이에 적용되어 상기 렌즈 조립체를 상기 기판 조립체에 고정하는 순간 경화형 접착제;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 조립체의 상기 제2 홀은 상기 제2 연장부를 관통하는, 카메라 모듈.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순간 경화형 접착제는 상기 렌즈 조립체에서 상기 기판 조립체를 향하는 방향으로 적용되어 상기 렌즈 조립체를 상기 기판 조립체에 고정하는, 카메라 모듈.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순간 경화형 접착제는 솔더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0200055361A 2020-05-08 2020-05-08 카메라 모듈의 제조 장치 KR102210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361A KR102210538B1 (ko) 2020-05-08 2020-05-08 카메라 모듈의 제조 장치
US17/214,345 US11153470B1 (en) 2020-05-08 2021-03-26 Camera module manufacturing apparatus
US17/478,646 US11689792B2 (en) 2020-05-08 2021-09-17 Camera module manufacturing apparatus, camera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361A KR102210538B1 (ko) 2020-05-08 2020-05-08 카메라 모듈의 제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0538B1 true KR102210538B1 (ko) 2021-02-01

Family

ID=74571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5361A KR102210538B1 (ko) 2020-05-08 2020-05-08 카메라 모듈의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153470B1 (ko)
KR (1) KR10221053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92242A (ja) * 2004-03-31 2005-10-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の製造方法
KR20160051955A (ko) * 2014-10-30 2016-05-12 주식회사 퓨런티어 카메라 모듈 조립 장치
KR20180046925A (ko) * 2018-04-03 2018-05-09 주식회사 퓨런티어 듀얼 카메라 모듈, 이의 제조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42604B2 (ja) * 2017-10-24 2021-09-29 日立Astemo株式会社 撮像装置、多眼撮像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92242A (ja) * 2004-03-31 2005-10-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の製造方法
KR20160051955A (ko) * 2014-10-30 2016-05-12 주식회사 퓨런티어 카메라 모듈 조립 장치
KR20180046925A (ko) * 2018-04-03 2018-05-09 주식회사 퓨런티어 듀얼 카메라 모듈, 이의 제조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153470B1 (en) 2021-10-19
US20210352195A1 (en) 2021-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7118B1 (ko) 듀얼 카메라 모듈, 이의 제조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10972645B1 (en) Dual camera module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5924192A (en) Method and device for fitting electronic components in a printed circuit board
KR101425613B1 (ko) 플립칩 본딩장치 및 플립칩 본딩방법
US5858806A (en) Method of bonding IC component to flat panel display
EP0589622A1 (en) Device alignment methods
JP4503382B2 (ja) 電子部品実装方法および装置
KR20090052122A (ko) 카메라 모듈 본딩장치,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조립장비및 이를 이용한 카메라 모듈 조립방법
US6715934B2 (en) Receptacle type optical module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US6351288B1 (en) Sensor tilt control for a digital camera
CN1727933A (zh) 具有用于对准的耦合特征的光电组件
US11689792B2 (en) Camera module manufacturing apparatus, camera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210538B1 (ko) 카메라 모듈의 제조 장치
JP2012238411A (ja) Led照明基板の製造方法
US20090166069A1 (en) Solder Mounting Structure,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Solder Mounting Structure and Use of Such Solder Mounting Structure
US7968801B2 (en) Solder mounting structure,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solder mounting structure and use of such solder mounting structure
JP2003060398A (ja) 部品実装方法及び装置
KR102401633B1 (ko) 카메라 모듈의 제조 장치 및 카메라 모듈의 제조 방법
KR20160129652A (ko) 카메라 모듈 조립장치 및 조립방법
CN107026179B (zh) 一种图像传感器零件的自动对准装置与方法
KR19990045492A (ko) 평면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284998B1 (ko) 카메라 모듈 이방전도성 필름 본더용 캐리어 자동 정렬장치
US11644634B2 (en) Optical axis alignment apparatus of camera module
JP2012238410A (ja) Led照明基板の製造方法
WO2021125102A1 (ja) 実装システム及び実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