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9652A - 카메라 모듈 조립장치 및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조립장치 및 조립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129652A KR20160129652A KR1020150070830A KR20150070830A KR20160129652A KR 20160129652 A KR20160129652 A KR 20160129652A KR 1020150070830 A KR1020150070830 A KR 1020150070830A KR 20150070830 A KR20150070830 A KR 20150070830A KR 20160129652 A KR20160129652 A KR 2016012965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age
- image sensor
- lens
- region
- optic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03—Align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7/005—Motorised alignment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 G03B2205/0015—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by displacing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normal to the optical axi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카메라 모듈 조립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 조립장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위치하고, 이미지센서가 고정되는 지그;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이미지센서의 위에 렌즈를 위치시키며, 상기 렌즈의 자세를 조정하는 축가동클램프;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고, 상기 지그 및 축가동클램프 주위에서 상기 이미지센서 및 렌즈에 광이미지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광이미지를 제공하되, 상기 이미지센서와 상기 광이미지의 정렬을 위해 상기 광이미지의 형상을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비용을 절감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카메라 모듈 조립장치 및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조물의 생산장비는 자동화되고 있다. 자동화 공정은 대량생산을 위해 필요할 뿐만 아니라, 공정시간 단축을 위해서도 필요하다. 제조물이 정밀기기일 수록 공정의 높은 정밀도가 요구된다. 정밀기기는, 공정단계에서, 정밀도를 높이거나 보장하기 위해 일정한 세팅 과정을 거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세팅은 측정장비에 의해 이루어지며, 공정을 수행하는 동안 세팅 값은 유지될 필요성이 있다. 카메라 모듈은 정밀기기에 해당된다. 카메라 모듈의 사용은 광범위하다. 예를 들면, 이동통신기기, 자동차, 감시카메라 등에 널리 쓰이고 있다. 카메라 모듈은 생산단계에서 일정한 스펙을 갖추어 출시된다. 이러한 스펙은 이미지센서와 렌즈간의 광축 매칭이 일정수준의 범위 내에서 요구될 수 있다. 즉, 카메라 모듈의 조립공정은 광축 조정을 수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카메라 모듈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카메라 모듈의 공정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카메라 모듈 조립장치의 생산비용을 절감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카메라 모듈 조립장치의 정렬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위치하고, 이미지센서가 고정되는 지그;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이미지센서의 위에 렌즈를 위치시키며, 상기 렌즈의 자세를 조정하는 축가동클램프;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고, 상기 지그 및 축가동클램프 주위에서 상기 이미지센서 및 렌즈에 광이미지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광이미지를 제공하되, 상기 이미지센서와 상기 광이미지의 정렬을 위해 상기 광이미지의 형상을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조립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광이미지는, 온라인(on-line) 이미지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이미지를 조정하여 상기 이미지센서와 상기 디스플레이의 정렬을 매칭(matching)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틸팅되도록 조정된 광이미지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틸팅은, 상하 또는 좌우로 조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1 영역; 그리고, 상기 제1 영역과 구획되는 제2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제2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축가동클램프를 조절하여 상기 광이미지가 수광되는 상기 이미지센서에 상기 렌즈의 광축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축가동클램프는, 5축 또는 6축가동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이미지센서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센서의 상측에 렌즈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센서 및 렌즈에 광이미지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센서와 상기 광이미지의 정렬을 위해 상기 광이미지의 형상을 조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렌즈의 광축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조립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광이미지는, 온라인(on-line) 이미지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광이미지는, 틸팅되도록 조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틸팅은, 상하 또는 좌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상기 렌즈의 광축을 조정한 후,상기 이미지센서와 상기 렌즈를 상호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 조립 장치 및 조립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카메라 모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카메라 모듈의 공정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카메라 모듈 조립장치의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카메라 모듈 조립장치의 정렬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분해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위치조정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각도조정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초점조정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6및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센서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그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9 및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핀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1 내지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역의 예들을 나타낸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조립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7 내지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영역 공정의 예들을 나타낸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영역 공정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조립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24 내지 2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영역 공정의 예들을 나타낸다.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광축조정의 공정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이미지조정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이미지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이미지조정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이미지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32 및 3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이미지 조정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이미지 조정 순서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분해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위치조정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각도조정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초점조정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6및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센서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그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9 및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핀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1 내지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역의 예들을 나타낸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조립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7 내지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영역 공정의 예들을 나타낸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영역 공정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조립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24 내지 2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영역 공정의 예들을 나타낸다.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광축조정의 공정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이미지조정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이미지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이미지조정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이미지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32 및 3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이미지 조정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이미지 조정 순서의 일 예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 예를 나타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분해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및 2는 하우징(10), 이미지센서(20), 그리고 렌즈(30)를 나타낸다.
이미지센서(20) 및 렌즈(30)는 하우징(10)을 매개로 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이미지센서(20)와 렌즈(30)는 소정의 거리를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외부에서 렌즈(30)를 통해 유입되는 빛은 렌즈(30)에서 굴절되어 이미지센서(20)에 상이 맺히게 된다. 이때, 외부에서 유입되는 빛이 소정의 굴절각을 가지기 때문에 이미지센서(20)에 상이 맺히기 위해서는 이미지센서(20)와 렌즈(30)는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게 된다. 하우징(10)을 매개로 하여 이미지센서(20)와 렌즈(30)가 결합될 경우, 이미지센서(20)와 렌즈(30)의 광축을 조정하는 것이 요구될 수 있다. 이미지센서(20)는 하우징(10)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렌즈(30)는 하우징(10)의 타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미지센서(20) 및 렌즈(30)는 하우징(10)에 고정됨으로써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이미지센서(20)는 디지털이미지센서(20)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CMOS 또는 CCD 센서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센서(20)는 빛을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위 언급된 구성 또는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렌즈(30)는 시야각에 따라 광각, 표준, 망원 등으로 구별될 수 있다. 표준렌즈(30)는 사람이 볼 수 있는 시야각의 화각을 가질 수 있다. 망원렌즈(30)는 표준렌즈(30) 보다 좁은 시야각의 화각을 가질 수 있다. 광각렌즈(30)는 표준렌즈(30) 보다 넓은 시야각의 화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각렌즈(30)는 35mm, 28mm, 12mm의 초점거리를 가지는 화각이 될 수 있고, 어안(fish eye)의 화각이 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위치조정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은 이미지센서(20), 렌즈(30), 그리고 차트(40)를 나타낸다.
차트(40)에 표현된 이미지는 렌즈(30)를 통해 이미지센서(20)에 상이 맺히게 된다. 이때, 이미지센서(20)와 렌즈(30)의 상호 위치에 따라, 렌즈(30)를 통해 이미지센서(20)에 맺히는 상의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이미지센서(20)는 촬상영역(active area)을 가지게 된다. 렌즈(30)를 통해 이미지센서(20)에 맺히는 상의 위치는 촬상영역 범위 내에 위치해야 한다. 이미지센서(20)와 렌즈(30)의 상호 위치를 조정하여 이미지센서(20)의 촬상영역 범위내에 상이 맺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하에서, 이를 쉬프팅(shifting)라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각도조정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이미지센서(20), 렌즈(30), 그리고 차트(40)를 나타낸다.
차트(40)에 표현된 이미지는 렌즈(30)를 통해 이미지센서(20)에 상이 맺히게 된다. 이때, 이미지센서(20)와 렌즈(30)의 상호 각도에 따라, 이미지센서(20)에 맺히는 상의 위치별선명도가 달라질 수 있다. 이는, 이미지센서(20)의 우측에 맺히는 상은 선명한 반면, 좌측에 맺히는 상은 흐린 것을 의미할 수 있고, 이미지센서(20)의 상측에 맺히는 상은 선명한 반면, 하측에 맺히는 상은 흐린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즉, 이미지센서(20)의 위치에 따라 맺히는 상의 선명도가 다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미지센서(20)의 촬상영역(active area)은 평면을 가지게 된다. 렌즈(30)를 통해 이미지센서(20)에 맺히는 상은 촬상영역의 평면상에 위치해야 한다. 이미지센서(20)와 렌즈(30)의 상호 각도를 조정하여 이미지센서(20)의 촬상영역의 평면에 상이 맺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하에서, 이를 틸팅(tilting)라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초점조정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이미지센서(20), 렌즈(30), 그리고 차트(40)를 나타낸다.
차트(40)에 표현된 이미지는 렌즈(30)를 통해 이미지센서(20)에 상이 맺히게 된다. 이때, 이미지센서(20)와 렌즈(30)의 상호 거리에 따라, 이미지센서(20)에 맺히는 상의 선명도가 달라질 수 있다. 이는, 이미지센서(20) 또는 렌즈(30)의 하우징(10)에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맺히는 상의 선명도가 다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이미지센서(20)와 렌즈(30)는 소정의 거리를 유지해야 하는데, 이를 렌즈(30)가 가지는 초점거리라 한다, 이러한 초점거리를 이미지센서(20)와 렌즈(30)가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이미지센서(20)와 렌즈(30)의 상호 거리를 조정하여 이미지센서(20)의 촬상영역의 평면에 상이 선명하게 맺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하에서, 이를 포커싱(focusing)라 한다.
도 6및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센서(20)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6및 7은 PCB(22), 이미지센서(20), 그리고 커넥터(24)를 나타낸다.
이미지센서(20)는 PCB(22)에 실장되고, 커넥터(24)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미지센서(20)는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기능을 할 수 있는 센서라면 그 종류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CMOS센서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커넥터(24)는 이미지센서(20)에서 발생한 전기적 신호를 다른 장치에 송신 또는 수신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다른 전자소자와 연결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그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8은 이미지센서(20), 축가동지그(100), 센서홈(120), 클램프(140), 그리고 전송선(160)을 나타낸다.
축가동지그(100)는 센서홈(120), 클램프(140), 그리고 전송선(160)을 구비할 수 있다. 센서홈(120)은 이미지센서(20)가 축가동지그(100) 상에 놓여질 수 있는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 이미지센서(20)는 센서홈(120)에 안착되고, 클램프(140)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축가동지그(100)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센서홈(120)에는 흡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는, 이미지센서(20)가 센서홈(120)에 놓여지면, 공기를 빨아들임으로써 이미지센서(20)를 센서홈(120)에 안착시킬 수 있다. 전송선(160)은 이미지센서(20)의 하면에 구비된 커넥터(24)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9 및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핀(122)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9및10은 축가동지그(100), 그리고 핀(122)을 나타낸다.
핀(122)은 축가동지그(100)에 설치될 수 있고, 예를 들면 센서홈(120)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미지센서(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핀(122)은 포고 핀이 될 수 있다. 포고 핀은 탄성부재(126)에 의해 탄성력을 제공받아 화살표방향으로 가동할 수 있는 부재를 의미한다. 커넥터(24)가 센서홈(120)에 형성된 커넥터홈(124)에 삽입되는 동안 핀(122)은 커넥터홈(124)에서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커넥터(24)가 커넥터홈(124)에 안착되면 핀(122)은 커넥터(24)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뿐만 아니라, 커넥터(24)가 삽입된 거리(d)만큼, 예를 들면 0.3mm, 안으로 들어갈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126)는 여전히 핀(122)에 탄성력을 제공하고 있어, 핀(122)과 커넥터(24)의 접촉은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커넥터홈(124)은 커넥터(24)의 용이한 삽입 및 안착을 위해 소정의 각도를 지닌 가이드부(128)를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부(128)는 커넥터(24)의 삽입방향을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부(128)의 경사각(θ)은 30도가 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역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1은 제1 영역(210), 제2 영역(220), 그리고 레일(200)을 나타낸다.
제1 영역(210)은 제2 영역(220)과 구획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제2 영역(220)은 제1 영역(210)과 구획될 수 있다. 제1 영역(210) 및 제2 영역(220)은 작업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영역(210)과 제2 영역(220)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이 구별될 수 있다면, 물리적 구획을 반드시 수반해야 되는 것이 아닐 수 있다. 레일(200)은 제1 영역(210)과 제2 영역(220)을 연결할 수 있다. 레일(200)은 제1 영역(210)의 작업결과물을 제2 영역(220)에 이송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
베이스는, 제2 영역(220)에 위치할 수 있다. 베이스는, 카메라 모듈의 조립을 위한 작업영역을 의미한다. 따라서, 베이스는 제2 영역(220)에 위치하는 작업대(bed)을 의미할 수 있고, 제2 영역(220)의 바닥을 의미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역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12는 제1 영역(210), 제2 영역(220), 제1 레일(201), 그리고 제2 레일(202)을 나타낸다.
제1 영역(210)은 제2 영역(220)과 구획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제2 영역(220)은 제1 영역(210)과 구획될 수 있다. 제1 영역(210) 및 제2 영역(220)은 작업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영역(210)과 제2 영역(220)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이 구별될 수 있다면, 물리적 구획을 반드시 수반해야 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제1및 제2 레일(202)은 제1 영역(210)과 제2 영역(220)을 연결할 수 있다. 제1 레일(201)은 제1 영역(210)의 작업결과물을 제2 영역(220)에 이송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 한편, 제1 레일(201)은 제2 영역(220)의 작업결과물을 제1 영역(210)에 이송하는 수단이 될 수도 있다. 제2 레일(202)은 제1 영역(210)과 제2 영역(220)을 연결할 수 있다. 제2 레일(202)은 제1 영역(210)의 작업결과물을 제2 영역(220)에 이송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 한편, 제2 레일(202)은 제2 영역(220)의 작업결과물을 제1 영역(210)에 이송하는 수단이 될 수도 있다.
레일(200)의 수가 증가하는 것은 제1 영역(210) 또는 제2 영역(220)의 작업휴지기를 줄이기 위한 것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베이스는, 제2 영역(220)에 위치할 수 있다. 베이스는, 카메라 모듈의 조립을 위한 작업영역을 의미한다. 따라서, 베이스는 제2 영역(220)에 위치하는 작업대(bed)을 의미할 수 있고, 제2 영역(220)의 바닥을 의미할 수도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역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13은 제1 영역(210), 제2 영역(220), 제1 레일(201), 제2 레일(202), 그리고 교차부(205)를 나타낸다.
제1 영역(210), 제2 영역(220)은, 제1 레일(201), 그리고 제2 레일(202)은, 동일한 설명에 대하여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교차부(205)는 제1 레일(201)과 제2 레일(202)을 연결할 수 있다. 제2 영역(220)의 작업이 동일 지점에서 이루어지는 경우, 제1 레일(201)과 제2 레일(202)이 교차부(205)에 의해 제2 영역(220)의 동일 지점에 도달할 수 있다. 제2 영역(220)의 작업이 고가의 장비를 수반하는 경우, 교차부(205)에서 동일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210)에서 작업이 별도로 이루어짐으로써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베이스는, 제2 영역(220)에 위치할 수 있다. 베이스는, 카메라 모듈의 조립을 위한 작업영역을 의미한다. 따라서, 베이스는 제2 영역(220)에 위치하는 작업대(bed)을 의미할 수 있고, 제2 영역(220)의 바닥을 의미할 수도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역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14는 제1 영역(210), 제2 영역(220), 제1 레일(201), 제2 레일(202), 제1 교차부(207), 그리고 제2 교차부(205)를 나타낸다.
제1 영역(210), 제2 영역(220)은, 제1 레일(201), 그리고 제2 레일(202)은, 동일한 설명에 대하여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제1 교차부(207)는 제1 영역(210)상의 제1 레일(201)과 제2 레일(202)을 연결할 수 있다. 제1 영역(210)의 작업이 동일 지점에서 이루어지는 경우, 제1 레일(201)과 제2 레일(202)이 제1 교차부(207)에 의해 제1 영역(210)의 동일 지점에 도달할 수 있다. 제1 영역(210)의 작업이 고가의 장비를 수반하는 경우, 제1 교차부(207)에서 동일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제2 교차부(205)는 제2 영역(220)상의 제1 레일(201)과 제2 레일(202)을 연결할 수 있다. 제2 영역(220)의 작업이 동일 지점에서 이루어지는 경우, 제1 레일(201)과 제2 레일(202)이 제2 교차부(205)에 의해 제2 영역(220)의 동일 지점에 도달할 수 있다. 제2 영역(220)의 작업이 고가의 장비를 수반하는 경우, 제2 교차부(205)에서 동일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제1 영역(210)과 제2 영역(220)의 작업이 서로 상호 보완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베이스는, 제2 영역(220)에 위치할 수 있다. 베이스는, 카메라 모듈의 조립을 위한 작업영역을 의미한다. 따라서, 베이스는 제2 영역(220)에 위치하는 작업대(bed)을 의미할 수 있고, 제2 영역(220)의 바닥을 의미할 수도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5는 제1 영역(210), 제2 영역(220), 레일(200), 이송암(110), 그리고, 축가동지그(100)를 나타낸다. 제1 영역(210), 제2 영역(220)은, 그리고 레일(200)은, 동일한 설명에 대하여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이송암(110)은, 레일(200)위에 설치될 수 있다. 이송암(110)은 레일(200)을 통해 제1 영역(210)에서 제2 영역(220) 또는 제2 영역(220)에서 제1 영역(210)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송암(110)은 레일(200)위를 이동할 수 있는 구동부(112)를 구비할 수 있다. 구동부(112)는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고, 제어명령을 전송받을 수 있다. 구동부(112)에 전달되는 제어명령은 후술하는 제어부(600)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제어부(600)는 제1 영역(210)의 작업이 종료되면 이송암(110)을 제2 영역(220)으로 이송하는 명령을 구동부(112)에 전달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구동부(112)는 이송암(110)을 레일(200)을 통해 제1 영역(210)에서 제2 영역(220)으로 이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동부(112)는 모터와 롤러를 구비할 수 있다.
축가동지그(100)는, 이송암(110)에 설치될 수 있다. 축가동지그(100)는 축가동부(182,184,186,188,190)와 지그(192)를 구비할 수 있다. 축가동부(182,184,186,188,190)는 지그(192)의 자세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축가동부(182,184,186,188,190)는 5축가동 또는 6축가동이 될 수 있다. 축가동부(182,184,186,188,190)는, 예를 들면, x축, y축, z축, 회전, x축틸팅, y축틸팅 등으로 가동될 수 있다. 축가동부(182,184,186,188,190)의 가동범위가 5축 또는 6축 이상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5축 또는 6축의 범위를 넘지 않을 수 있으며, 그 이하가 될 수도 있다. 축가동지그(100)는, 예를 들면, x축가동부(182), y축가동부(184), z축가동부(186), x축틸팅부(188), y축틸팅부(190)가 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조립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6은 제1 영역(210), 제2 영역(220), 레일(200), 이송암(110), 축가동지그(100), 계측센서(320), 수지도포수단(340), 축가동클램프(400), 광원(500), 그리고 제어부(600)를 나타낸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영역(210) 공정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7은 계측센서(320), 수지도포수단(340), 그리고 축가동지그(100)를 나타낸다.
계측센서(320)는 제1 영역(210)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계측센서(320)는 축가동지그(100)가 제1 영역(210)에 위치할 때, 축가동지그(100)에 놓여지는 이미지센서(20)의 자세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계측센서(320)는 레이저변위센서(322), 그리고 위치측정센서(324)를 구비할 수 있다.
수지도포수단(340)은 제1 영역(210)에 설치될 수 있다. 수지도포수단(340)은, 이미지센서(20) 둘레에 접착제를 도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지도포수단(340)은 에폭시 수지를 자동으로 도포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영역(210)의 공정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8은 축가동지그(100), 이미지센서(20), 그리고 레이저변위센서(322)를 나타낸다.
이미지센서(20)가 놓여진 축가동지그(100)는 레이저변위센서(322)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레이저변위센서(322)는 하부에 위치하는 이미지센서(20)의 자세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레이저변위센서(322)는 이미지센서(20)의 수평을 측정할 수 있다. 레이저변위센서(322)에서 조사되는 빛(L)은 이미지센서(20)에 반사되어 레이저변위센서(322)로 복귀한다. 레이저변위센서(322)는 이미지센서(20)의 코너들(P2), 센터(P1) 등의 변위를 측정하여 이미지센서(20)의 수평여부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축가동지그(100)는, 위와 같이 측정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미지센서(20)의 자세를 조정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영역(210)의 공정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9는 축가동지그(100), 이미지센서(20), 그리고 위치측정센서(324)를 나타낸다.
이미지센서(20)가 놓여진 축가동지그(100)는 위치측정센서(324)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위치측정센서(324)는 하부에 놓여지는 이미지센서(20)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위치측정센서(324)는 하부에 놓여지는 이미지센서(20)의 촬상영역(active area)의 위치가 타겟(T)에 들어오는지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위치측정센서(324)는 카메라가 될 수 있고, 이미지센서(20)의 위치는 카메라에 수광(l)되어 파악될 수 있고, 카메라에서 전송하는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뷰어를 통해 이미지센서(20)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축가동지그(100)는, 위와 같이 측정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미지센서(2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도 18 또는 도19를 참조하여 설명된, 이미지센서(20)의 세팅은, 서로 조합된 것이 하나의 세팅을 구성할 수 있고, 서로 독립된 것이 하나의 세팅을 구성할 수도 있다. 이미지센서(20)의 세팅은 제2 영역(220)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공정을 위한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그 종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미지센서(20)의 세팅이 완료되면, 축가동지그(100)상에 놓여진 이미지센서(20)의 자세 또는 위치는 변동되지 않음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제1 영역(210)에서 세팅된 이미지센서(20)의 자세 또는 위치가 이후 변동이 생기는 것은 카메라 모듈의 불량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영역(210)의 공정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20은 축가동지그(100), 이미지센서(20), 그리고 수지도포수단(340)을 나타낸다.
이미지센서(20)가 고정된 축가동지그(100)는 수지도포수단(34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수지도포수단(340)은 디스펜서(344), 탱크(342), 그리고 토출부(346)를 구비할 수 있다. 디스펜서(344)는 제1 영역(210)에 설치될 수 있다. 탱크(342)는 디스펜서(344)에 설치될 수 있다. 토출부(346)는 수지도포수단(340)의 하부를 향해 접착제를 분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탱크(342)에는 에폭시수지가 저장될 수 있고, 액화상태, 젤상태, 겔상태의 에폭시수지는 토출부(346)를 통해 이미지센서(20)의 둘레에 도포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영역(210)의 공정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21은 축가동지그(100), 이미지센서(20), 수지도포수단(340), 그리고 접착제(E)를 나타낸다.
축가동지그(100)에 고정된 이미지센서(20)는 수지도포수단(340)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수지도포수단(340)은 접착제(E), 예를 들면 에폭시수지, 를 하부에 위치하는 이미지센서(20)의 둘레(A)에 도포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수지도포수단(340)은 접착제(E)를 하부에 위치하는 이미지센서(20)의 하우징(10)의 둘레(a)에 도포할 수도 있다. 이는, 전술한 이미지센서(20)의 세팅이 이미지센서(20) 단독으로 이루어지는지, 이미지센서(20)와 하우징(10)이 함께 이루어지는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영역(220)의 공정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22는 축가동지그(100), 이미지센서(20), 렌즈어셈블리(30), 그리고 축가동클램프(400)를 나타낸다.
이미지센서(20)가 고정된 축가동지그(100)는, 제2 영역(220)으로 이송될 수 있다. 축가동지그(100)는 제2 영역(220)에서 렌즈어셈블리(3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렌즈어셈블리(30)는 렌즈(30), 그리고 하우징(10)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어셈블리(30)는 축가동클램프(400)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축가동클램프(400)는 축가동모터(420), 그리고 클램프(440)를 구비할 수 있다. 축가동모터(420)는 5축 또는 6축가동일 수 있고, 그 이상일 수 있으며, 그 이하일 수도 있다. 앞서 또는 후에 설명할 쉬프팅, 틸팅, 그리고 포커싱 등의 조정을 위한 것이면 그 축가동범위에 제한되지 않는다. 클램프(440)는 축가동모터(420)에 결합되고 렌즈어셈블리(30)를 끼워 고정시킴으로써 이미지센서(20) 상부에 위치시킬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조립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23은 축가동지그(100), 축가동클램프(400), 그리고 광원(500)을 나타낸다.
광원(500)은 제2 영역(220)에 설치될 수 있다. 도 22를 함께 참조한다.축가동지그(100)가 제2 영역(220)에 위치하고, 렌즈어셈블리(30)의 세팅, 렌즈(30)가 이미지센서(20)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 완료되면, 광원(500)에서 발하는 빛을 이미지센서(20)가 렌즈(30)를 통해 수광할 수 있다. 수광된 빛은 이미지센서(20)에서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600)로 전송될 수 있다. 광원(500)의 종류는, 예를 들면 CCFL, LED, LCD 등이 될 수 있다. 광원(500)은, 도 24 또는 도 25에서 설명될, 광축조정을 위한 차트(40)가 구비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광원(500)은 디스플레이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는 HD, UHD 급 모니터일 수 있다. 이 경우, 광축조정을 위한 차트(40)는 제어부(600)에서 제공하는 광이미지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이미지는 온라인(on-line) 이미지가 될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광축을 조정하는 일 예를 나타낸다. 도 24는 차트(40), 그리고 출력데이터(540)를 나타낸다.
차트(40)의 이미지는 렌즈(30) 및 이미지센서(20)를 통해 수광되어 제어부(600)로 전송되고, 제어부(600)는 입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카메라 모듈의 광축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미지센서(20)의 자세 또는 위치가 축가동지그(100) 상에 고정된 상태에서, 축가동클램프(400)에 의해 렌즈어셈블리(30)가 쉬프팅, 틸팅, 포커싱 등의 데이터 값에 따라 조정되어 적정한 자세 또는 위치값을 찾을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광축을 조정하는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25는 차트(40), 그리고 출력데이터(540)를 나타낸다.
차트(40)의 이미지는 렌즈(30) 및 이미지센서(20)를 통해 수광되어 제어부(600)로 전송되고, 제어부(600)는 입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카메라 모듈의 광축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미지센서(20)의 자세 또는 위치가 축가동지그(100) 상에 고정된 상태에서, 축가동클램프(400)에 의해 렌즈어셈블리(30)가 쉬프팅, 틸팅, 포커싱 등의 데이터 값에 따라 조정되어 적정한 자세 또는 위치값을 찾을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경화공정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26은 축가동지그(100), 렌즈어셈블리(30), 축가동클램프(400), 그리고 경화수단(650)을 나타낸다.
도 24 또는 도 25를 참조하여 설명된, 광축조정이 완료되면, 이미지센서(20)와 렌즈어셈블리(30)는 접착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경화수단(650)은 제2 영역(220)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경화수단(650)은 UV발광장치가 될 수 있다. 이미지센서(20)와 렌즈어셈블리(30)간 도포된 접착제에 경화수단(650)이 빛을 조사하면, 접착제의 화학변화에 의해 접착제가 경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적정시간 내에 이미지센서(20)와 렌즈어셈블리(30)의 접착이 경화될 수 있다.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광축조정의 공정의 일 예를 나타낸다.
제1 영역(210)의 공정의 일 예를 설명한다.
이미지센서(20)가 축가동지그(100)에 공급될 수 있다(S10). 축가동지그(100)에 놓여진 이미지센서(20)는 레이저변위센서(322)에 의해 수평이 측정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이미지센서(20)의 수평이 조정될 수 있다(S20). 축가동지그(100)에 놓여진 이미지센서(20)는 위치측정센서(324)에 의해 촬상영역의 위치가 측정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촬상영역의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S30). 이미지센서(20)에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S40). 이들 중 시간이 오래 걸리지 않는 작업은 제2 영역(220) 상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미지센서(20)가 제2 영역(220)으로 이송될 수 있다(S50).
제2 영역(220)의 공정의 일 예를 설명한다.
제2 영역(220)으로 이송된 이미지센서(20)의 상부에 렌즈(30) 또는 렌즈어셈블리(30)가 공급될 수 있다(S60). 렌즈(30) 또는 렌즈어셈블리(30)가 공급되면, 비로소 이미지센서(20)는 차트(40)상의 이미지를 수광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제어부(600)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전송된 데이터 값에 따라, 렌즈(30) 또는 렌즈어셈블리(30)의 광축을 조정할 수 있다(S70). 광축이 조정되면 UV경화작업을 통해 이미지센서(20)와 렌즈어셈블리(30)(또는 렌즈(30))간 결합이 견고해질 수 있다(S80). 완성된 카메라 모듈은 배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 광이미지조정을 설명하기 위해, 정규이미지와 변형이미지를 정의한다. 변형이미지는 정규이미지의 형상을 조정한 것을 의미한다. 정규이미지는 조정되지 않은 이미지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변형이미지는 정규이미지가 틸팅된 형상, 왜곡된 형상 등이 될 수 있다.
도 28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이미지조정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28은, 지그(100), 이미지센서(20), 렌즈어셈블리(30), 축가동클램프(440), 디스플레이(500), 그리고 광이미지(510)를 나타낸다.
도 28은 이미지센서와 디스플레이의 정렬의 예를 나타낸다. 도 28에서, 이미지센서(20)와 디스플레이(500)는 정렬된 상태에 있다. 정렬된 상태란, 디스플레이(500)에서 표시하는 정규이미지가 이미지센서(20)에 정규이미지로 수광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이미지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28의 상태에서, 디스플레이(500)는 도 29에서 나타내는 정규이미지를 표시하고, 이러한 정규이미지는 이미지센서(20)에 그 상태로 수광될 수 있다.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이미지조정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30은, 지그(100), 이미지센서(20), 렌즈어셈블리(30), 축가동클램프(440), 디스플레이(500), 그리고 광이미지(510)를 나타낸다.
도 30은 이미지센서(20)와 디스플레이(500)의 비정렬의 예를 나타낸다. 도 30에서, 이미지센서(20)와 디스플레이(500)는 비정렬된 상태에 있을 수 있다. 비정렬된 상태란, 디스플레이(500)에서 표시하는 정규이미지가 이미지센서(20)에 비정규이미지로 수광 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그러나, 도 30에서, 디스플레이(500)가 변형이미지를 표시하면, 이미지센서(20)와 광이미지(510)는 정렬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즉, 이미지센서(20)와 디스플레이(500)의 비정렬상태에서, 광이미지(510)를 조정하여 광이미지(510)와 이미지센서(20)의 정렬을 확보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이미지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30의 상태에서, 디스플레이(500)는 도 31에서 나타내는 변형이미지를 표시하고, 이러한 변형이미지는 이미지센서(20)에 정규이미지로 수광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500)는 도 31의 이미지를 표시할 때, 이미지센서(20)에 수광되는 이미지는 도 29의 상태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28 내지 도 3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이미지센서(20)와 렌즈어셈블리(30)의 정렬은 디스플레이(500)와 이미지센서(20)가 정렬되었음을 전제로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500)에서 표시하는 광이미지(510)가 이미지센서(20)에 올바른 상태에서 수광 된다는 것, 예를 들면 정규이미지가 표시되어 정규이미지로 수광 되는 상태, 을 전제로, 렌즈어셈블리(30)를 통해 이미지센서(20)에 수광되는 광이미지(510)를 판독하여 렌즈어셈블리(30)의 정렬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디스플레이(500)와 이미지센서(20)의 정렬이 올바르게 이루어진 상태에서, 디스플레이(500)가 표시하는 정규이미지를 기초로, 렌즈어셈블리(30)를 통해 이미지센서(20)에 수광되는 정규이미지의 상태를 판독하여 렌즈어셈블리(30)의 광축을 조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미지센서(20)와 디스플레이(500)의 정렬은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이미지센서(20)와 디스플레이(500)의 비정렬 상태에서도, 디스플레이(500)의 틸팅 없이, 카메라 모듈의 광축을 조정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광이미지(510)의 형상을 조정함으로써, 이미지센서(20)와 디스플레이(500)의 정렬에 필요한 조정을 할 수 있다.
도 32및 3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이미지 조정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0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0 과 같은 디스플레이(500)와 이미지센서(20)의 비정렬상태에서, 도 32(a)의 광이미지(510)가 디스플레이(500)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이미지센서(20)와 디스플레이(500)의 정렬을 위해, 디스플레이(500)의 틸팅 없이, 도 32(b)의 광이미지(510)가 디스플레이(500)에 표시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30과 같은, 디스플레이(500)와 이미지센서(20)의 비정렬상태에서, 정규이미지가 디스플레이(500)에 표시될 수 있고, 이미지센서(20)와 디스플레이(500)의 정렬을 위해, 디스플레이(500)의 틸팅 없이, 변형이미지가 디스플레이(500)에 표시될 수 있다. 광이미지는 온라인(on-line)이미지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BMP, JPEG, TIFF 등이 될 수 있다. 광이미지는 디지털(digital) 이미지가 될 수도 있다.
이미지센서(20)의 관점에서, 도 30 과 같은 디스플레이(500)와 이미지센서(20)의 비정렬상태에서, 디스플레이(500)가 정규이미지를 표시하면, 도 33(a)의 광이미지가 이미지센서(20)에 수광될 수 있다. 이때, 이미지센서(20)와 디스플레이(500)의 정렬을 위해, 디스플레이(500)의 틸팅 없이, 디스플레이(500)가 변형이미지를 표시하면, 도 33(b)의 광이미지가 이미지센서(20)에 수광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광이미지 형상의 조정은, 광이미지를 상하 또는 좌우로 틸팅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이미지 조정 순서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0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디스플레이(500)가 광이미지(510)를 표시하면, 예를 들어 정규이미지, 제어부(600)는 이미지센서(20)에 수광되는 이미지를 측정할 수 있다(S100). 제어부(600)는 이미지센서(20)에 수광된 이미지를 판독하여 정렬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00). 비정렬상태로 판단이 되면, 제어부(600)는 광이미지(510)를 조정할 수 있다(S300). 광이미지(510), 예를 들어 BMP,의 조정은 제어부(600)가 광이미지(510)의 형상을 전산적으로 팅팅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정렬상태로 판단이 되면, 제어부(600)는 렌즈어셈블리(30)의 광축조정을 할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3)
-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위치하고, 이미지센서가 고정되는 지그;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이미지센서의 위에 렌즈를 위치시키며, 상기 렌즈의 자세를 조정하는 축가동클램프;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고, 상기 지그 및 축가동클램프 주위에서 상기 이미지센서 및 렌즈에 광이미지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광이미지를 제공하되, 상기 이미지센서와 상기 광이미지의 정렬을 위해 상기 광이미지의 형상을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조립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이미지는, 온라인(on-line) 이미지인 카메라 모듈 조립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이미지를 조정하여 상기 이미지센서와 상기 디스플레이의 정렬을 매칭하는 카메라 모듈 조립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틸팅되도록 조정된 광이미지 제공하는 카메라 모듈 조립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은, 상하 또는 좌우로 조정되는 카메라 모듈 조립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제1 영역; 그리고,
상기 제1 영역과 구획되는 제2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제2 영역에 위치하는 카메라 모듈 조립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축가동클램프를 조절하여 상기 광이미지가 수광되는 상기 이미지센서에 상기 렌즈의 광축을 조정하는 카메라 모듈 조립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가동클램프는, 5축 또는 6축가동인 카메라 모듈 조립장치. - 이미지센서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센서의 상측에 렌즈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센서 및 렌즈에 광이미지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센서와 상기 광이미지의 정렬을 위해 상기 광이미지의 형상을 조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렌즈의 광축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조립방법.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광이미지는, 온라인(on-line) 이미지인 카메라 모듈 조립방법.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광이미지는, 틸팅되도록 조정되는 카메라 모듈 조립방법.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은, 상하 또는 좌우로 이루어지는 카메라 모듈 조립방법.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의 광축을 조정한 후,
상기 이미지센서와 상기 렌즈를 상호 고정하는 카메라 모듈 조립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60423 | 2015-04-29 | ||
KR20150060423 | 2015-04-29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29652A true KR20160129652A (ko) | 2016-11-09 |
Family
ID=5752911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70827A KR20160129651A (ko) | 2015-04-29 | 2015-05-21 | 카메라 모듈 조립장치 |
KR1020150070830A KR20160129652A (ko) | 2015-04-29 | 2015-05-21 | 카메라 모듈 조립장치 및 조립방법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70827A KR20160129651A (ko) | 2015-04-29 | 2015-05-21 | 카메라 모듈 조립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20160129651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309626B (zh) * | 2017-07-31 | 2023-11-14 | 深圳市灿弘自动化科技有限公司 | 一种变焦镜头自动化组装方法 |
KR102543522B1 (ko) | 2018-02-07 | 2023-06-15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카메라 모듈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
KR102217036B1 (ko) * | 2018-12-19 | 2021-02-22 | 주식회사 세코닉스 | 렌즈 조심 장치 및 그 방법 |
CN111308732A (zh) * | 2020-03-27 | 2020-06-19 | 广州立景创新科技有限公司 | 摄像镜头的制造方法 |
-
2015
- 2015-05-21 KR KR1020150070827A patent/KR20160129651A/ko unknown
- 2015-05-21 KR KR1020150070830A patent/KR20160129652A/ko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29651A (ko) | 2016-11-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67134B1 (ko) | 렌즈 모듈에 대한 이미지 센서 정렬 | |
AU2010354687B2 (en) | Six-axis mount | |
US9927594B2 (en) | Image pickup module manufacturing method and image pickup module manufacturing device | |
KR20160129652A (ko) | 카메라 모듈 조립장치 및 조립방법 | |
US8786713B1 (en) | Fixture for aligning auto-focus lens assembly to camera sensor | |
US9906695B2 (en) | Manufacturing method of imaging module and imaging module manufacturing apparatus | |
JP3837689B2 (ja) | 光モジュール用試験機、調整装置及び調整方法 | |
KR102701354B1 (ko) | 다수의 렌즈 요소를 정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
CN108540793B (zh) | 摄像模块的定位调校系统 | |
US9715078B2 (en) | Adjustable lens mount | |
US9979868B2 (en) | Image pickup module manufacturing method, and image pickup module manufacturing device | |
CN114428381A (zh) | 镜头模块中的镜头元件与图像传感器的对准 | |
JP6509157B2 (ja) | レンズ素子搬送機構、光学モジュール製造設備 | |
JP5004412B2 (ja) | レンズ一体型撮像装置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 |
JP2011151551A (ja) | カメラ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及び装置 | |
US9791659B2 (en) | Imaging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 |
US9609196B2 (en) | Imaging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 |
US10020342B2 (en) | Image pickup module manufacturing method, and image pickup module manufacturing device | |
US12081868B2 (en) | Aligning optical components along a predetermined reference optical path | |
CN219780230U (zh) | 双目或多目立体视觉系统的摄像头光轴校准装置 | |
US6983533B2 (en) | Differential press tool | |
CN113899532A (zh) | 一种光学模组的光轴校准装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