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9614B1 - 천장구조물 행거 - Google Patents

천장구조물 행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9614B1
KR102209614B1 KR1020190016772A KR20190016772A KR102209614B1 KR 102209614 B1 KR102209614 B1 KR 102209614B1 KR 1020190016772 A KR1020190016772 A KR 1020190016772A KR 20190016772 A KR20190016772 A KR 20190016772A KR 102209614 B1 KR102209614 B1 KR 1022096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closed cross
ceiling structure
hanger
hang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6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8972A (ko
Inventor
김갑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90016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9614B1/ko
Publication of KR20200098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8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9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96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에 설치되는 달대볼트에 고정되어 천장구조물을 지지하고, 천장구조물이 인출입 가능한 인출입부분이 형성된 행거본체부; 및, 상기 행거본체부와 함께 천장구조물이 수용되는 폐단면을 형성하는 폐단면형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폐단면형성부는, 상기 인출입부분을 막도록 배치되어, 상기 행거본체부와 함께 폐단면을 형성하는 폐단면본체; 및, 상기 폐단면본체의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행거본체부와 폐단면을 형성한 상태에서 이탈을 방지하는 결합후크;를 구비하는 천장구조물 행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천장구조물 행거{CEILING STRUCTURE HANGER}
본 발명은 안전성을 향상시킨 천장구조물 행거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일반적으로 천장구조는 엠바(M-Bar), 티바(T-Bar) 등에 천장마감재를 부착한 후, 이를 캐링채널에 설치한 후, 캐링채널을 천장구조물 행거로 고정하고, 천장구조물 행거는 달대볼트 등을 활용하여 천장의 슬라브에 고정한다.
국내에서도 근래에 진도가 큰 지진이 자주 발생하여 더 이상 지진에 대한 안전한 나라가 아니라서, 정부에서는 그 동안 구조재에 대한 내진구조의 적용을 강화해 오다가, 근래에는 비구조재까지 내진기준을 강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지진이 발생하면 운동에너지가 건물에 전달되는데, 이때 운동에너지는 좌우 및 상하로 전달이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하 운동에 의하여 캐링채널 등의 천장구조물이 탈락할 수 있다.
특히, 캐링채널 등의 천장구조물이 중량물인 강재로 구성될 경우, 천장구조물의 자중이나, 천장구조물의 형상의 날카로움 등으로 인하여 재실자에 치명적인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KR 10-1387345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천장구조물의 낙하로 인한 재실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천장구조물 행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천장구조물의 낙하로 인한 재산상의 손해를 방지할 수 있는 천장구조물 행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천장에 설치되는 달대볼트에 고정되어 천장구조물을 지지하고, 천장구조물이 인출입 가능한 인출입부분이 형성된 행거본체부; 및, 상기 행거본체부와 함께 천장구조물이 수용되는 폐단면을 형성하는 폐단면형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폐단면형성부는, 상기 인출입부분을 막도록 배치되어, 상기 행거본체부와 함께 폐단면을 형성하는 폐단면본체; 상기 폐단면본체의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행거본체부와 폐단면을 형성한 상태에서 이탈을 방지하는 결합후크; 및, 상기 폐단면본체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기 행거본체부의 하부에 탄성 장착되는 탄성걸림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폐단면본체는, 달대볼트 방향으로 내입 형성된 부분이 달대볼트의 외주면을 접촉지지하고, 상기 결합후크는, 상기 행거본체부와 상기 폐단면형성부가 결합되어 폐단면을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결합후크의 개방부분은 상기 행거본체부와 상기 폐단면형성부의 결합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탄성걸림부재는, 상기 폐단면본체의 하단에서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행거본체부의 하면을 형성하는 제2 지지판과 접하게 배치되는 탄성걸림본체; 및, 상기 탄성걸림본체에서 상측으로 절곡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행거본체부의 일측면을 형성하는 제1 지지판에 탄성걸림되는 걸림편;을 구비하는 천장구조물 행거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바람직하게, 폐단면본체는, 상기 결합후크에서 하측으로 절곡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폐단면의 내부로 연장된 달대볼트의 길이방향 외주면과 이격되는 이격판; 상기 이격판에서 달대볼트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판; 및, 상기 연장판에서 하측으로 절곡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폐단면의 내부로 연장된 달대볼트의 길이방향 외주면과 접촉되면서 접촉지지영역을 형성하는 접촉지지판;을 구비할 수 있다.
삭제
바람직하게, 천장구조물, 상기 행거본체부, 상기 폐단면형성부를 일체로 관통하여 체결되는 가압체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천장구조물의 낙하로 인한 재실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천장구조물의 낙하로 인한 재산상의 손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구조물 행거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의 천장구조물 행거의 단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구조물 행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천장구조물의 설치를 위한 천장구조물 행거의 임시고정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천장구조물 행거의 설치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구조물 행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천장구조물 행거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천장구조물의 행거의 설치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구조물 행거(10)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구조물 행거(10)는 행거본체부(100) 및, 폐단면형성부(200)를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가압체결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b를 참조하면, 천장구조물 행거(10)는 천장에 설치되는 달대볼트(K)에 고정되어 천장구조물을 지지하고, 천장구조물이 인출입 가능한 인출입부분(I)이 형성된 행거본체부(100) 및, 상기 행거본체부(100)와 함께 상기 천장구조물이 수용되는 폐단면을 형성하는 폐단면형성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폐단면형성부(200)는, 상기 인출입부분(I)을 막도록 배치되어, 상기 행거본체부(100)와 함께 폐단면을 형성하는 폐단면본체(210) 및, 상기 폐단면본체(210)의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행거본체부(100)와 폐단면을 형성한 상태에서 이탈을 방지하는 결합후크(230)를 구비할 수 있다.
달대볼트(K)는 천장의 슬래브(S)에 고정될 수 있다.
달대볼트(K)는 천장의 슬래브(S)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고, 달대볼트(K)의 하부영역에 행거본체부(100)가 설치될 수 있다.
행거본체부(100)는 천장에 설치되는 달대볼트(K)와 체결되는 체결판부(110)재, 상기 체결판에서 연장 형성되고 천장구조물을 감싸면서 지지하는 지지부재(130)를 구비할 수 있다.
체결판부(110)재와 지지부재(130)의 사이의 공간에 천장구조물의 인출입부분(I)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130)는, 체결판부(110)재의 하측으로 교차되도록 연장되는 제1 지지판(131)과, 상기 제1 지지판(131)에서 횡방향으로 교차되도록 연장되는 제2 지지판(133) 및, 상기 제2 지지판(133)에서 상측으로 교차되도록 설치되는 제3 지지판(135)을 구비할 수 있다.
천장의 슬래브(S)에는 천장구조물의 설치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달대볼트(K)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하여 설치될 수 있다.
캐링채널(N) 등의 천장구조물은 복수 개의 행거본체부(100)의 인출입부분(I)을 통해 인입되어 복수 개의 행거본체부(100)의 내부에 거치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폐단면본체(210)부는 행거본체부(100)와 함께 상기 천장구조물이 수용되는 폐단면을 형성할 수 있다.
폐단면형성부(200)는 행거본체부(1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달대볼트(K)에 고정 전에 결합후크(230)를 매개로 달대볼트(K) 상에서 회전되면서 최종 설치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폐단면형성부(200)는 횡단면 상에서 행거본체부(100)가 좌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행거본체부(100)의 인출입영역을 막도록 행거본체부(100)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행거본체부(100)에 폐단면형성부(200)가 결합되면서 횡단면 상에서 폐단면을 형성하고, 결합된 행거본체부(100)와 폐단면형성부(200)가 천장구조물을 둘러싸도록 구성됨으로써, 폐단면의 외부로 천장구조물의 낙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어 재실자의 안전사고의 발생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행거본체부(100)와 폐단면형성부(200)는 강재,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폐단면본체(210)는 상측부분이 달대볼트(K)에 고정되고, 횡단면 상에서 적어도 행거본체부(100)의 인출입부분(I)을 막도록 설치될 수 있다.
폐단면본체(210)는 행거본체부(100)와 함께 폐단면을 형성할 수 있다.
결합후크(230)는 폐단면본체(210)의 상단에 형성되고, 달대볼트(K)에 고정되는 부분이다.
결합후크(230)는 삽입이라는 간이한 방식에 의해 달대볼트(K)에 설치가 가능하도록 일측이 오픈된 개방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후크(230)는 개방부분을 통해 달대볼트(K)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결합후크(230)는 종방향으로 형성된 폐단면본체(210)의 상단에 횡방향으로 교차되도록 형성되고, 결합후크(230)의 내주면이 달대볼트(K)의 외주면 걸리면서 행거본체부(100)와 폐단면형성부(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폐단면형성부(200)는 행거본체부(100)의 후방에 배치된 상태로 행거본체부(100)와 함께 달대볼트(K)에 임시고정될 수 있다.
임시고정된 달대볼트(K)의 상측에 설치된 너트를 풀어서, 달대볼트 상에서 결합후크(230)를 매개로 회전시켜 폐단면형성부(200)가 행거본체부(100)의 인출입부분(I)을 막도록 배치한다.
그 후, 행거본체부(100)에 폐단면형성부(200)를 결합하여 행거본체부(100)의 인출입부분(I)이 막힌 상태의 폐단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폐단면형성부(200)는 행거본체부(100)의 후방에 배치된 상태로 행거본체부(100)와 함께 달대볼트(K)에 임시고정되면서 천장구조물용 행거의 구성품의 분실로 인한 시공비용의 증가가 방지될 수 있고, 설치개소에 구성품들이 모두 배치될 수 있어 작업자의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행거본체부(100)와 폐단면형성부(200)가 달대볼트(K)에 임시고정된 상태에서, 행거본체부(100)의 인출입부분(I)이 오픈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캐링채널(N) 등의 천장구조물의 설치에는 전혀 문제가 없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결합후크(230)는, 상기 행거본체부(100)와 상기 폐단면형성부(200)가 결합되어 폐단면을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결합후크(230)의 개방부분은 상기 행거본체부(100)와 상기 폐단면형성부(200)의 결합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결합후크(230)의 개방부분은 행거본체부(100)와 폐단면형성부(200)의 결합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폐단면형성부(200)가 행거본체부(1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례로, 행거본체부(100)와 폐단면형성부(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후크(230)의 개방부분은 천장구조물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행거본체부(100)와 폐단면형성부(200)가 결합방향은 천장구조물의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폐단면본체(210)는, 달대볼트(K) 방향으로 내입 형성된 부분이 달대볼트(K)의 외주면을 접촉지지할 수 있다.
폐단면본체(210)는 달대볼트(K) 방향으로 내입된 절곡구조가 형성되면서, 폐단면의 내부로 연장된 달대볼트(K)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접촉되는 접촉지지영역(216)이 형성될 수 있다.
접촉지지영역(216)은 폐단면본체(210)의 일부영역이 달대볼트(K) 방향으로 내입 형성되면서, 폐단면의 내부로 연장된 달대볼트(K)의 길이방향 외주면과 접촉되면서 지지하는 부분이다.
접촉지지영역(216)은 달대볼트(K)와 소정의 길이로 접촉되면서 달대볼트(K)를 탄성지지할 수 있다.
폐단면본체(210)가 다단으로 절곡되면서 폐단면본체(210)의 일부영역이 달대볼트(K) 방향으로 내입되도록 배치되면서, 접촉지지영역(216)이 달대볼트(K)의 길이방향 외주면을 접촉지지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폐단면본체(210)는, 상기 결합후크(230)에서 하측으로 절곡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폐단면의 내부로 연장된 달대볼트(K)의 길이방향 외주면과 이격되는 이격판(211)과, 상기 이격판(211)에서 달대볼트(K)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판(213) 및, 상기 연장판(213)에서 하측으로 절곡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폐단면의 내부로 연장된 달대볼트(K)의 길이방향 외주면과 접촉되면서 접촉지지영역(216)을 형성하는 접촉지지판(215)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b를 참조하면, 폐단면본체(210)는 상측의 결합후크(230)에서 하측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격판(211)은 결합후크(230)의 단부에서 하측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 형성되고, 달대볼트(K)의 길이방향 외주면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격판(211)이 달대볼트(K)의 외주면과 이격 배치되면서, 폐단면의 내부의 측면에 달대볼트(K)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너트의 설치를 위한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연장판(213)은 이격판(211)의 하측 단부에서 달대볼트(K) 방향으로 절곡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접촉지지판(215)은 연장판(213)의 하측 단부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접촉지지판(215)의 상부영역은 폐단면의 내부로 연장된 달대볼트(K)의 길이방향 외주면과 접촉되면서 접촉지지영역(216)을 형성하고, 접촉지지판(215)의 하부영역은 행거본체부(100)와 겹쳐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이격판(211)은 결합후크(230)의 단부에서 하측으로 절곡 형성되고, 연장판(213)은 이격판(211)의 하측에서 좌측으로 절곡 형성되고, 접촉지지판(215)은 이격판(211)의 좌측단부에서 하측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가압체결부(300)는 폐단면본체(210)의 접촉지지판(215), 행거본체부(100)의 제3 지지판(135), 천장구조물인 캐링채널(N) 및, 행거본체부(100)의 제1 지지판(131)을 관통하여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접촉지지판(215)은 가압체결부(300)의 체결력을 매개로 달대볼트(K)의 외주면과 탄성 접촉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b를 참조하면, 폐단면형성부(200)는, 상기 폐단면본체(210)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기 행거본체부(100)의 하부에 탄성 장착되는 탄성걸림부재(250)를 구비할 수 있다.
폐단면형성부(200)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폐단면형성부(200)의 폐단면본체(210)가 길이방향을 따라 만곡지게 탄성변형되면서, 탄성걸림부재(250)가 행거본체부(100)의 우측 하부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벌어질 수 있다.
탄성걸림부재(250)가 벌어진 상태에서 행거본체부(100) 방향으로 이동되고, 만곡지게 탄성변형된 폐단면본체(210)가 복원되면서 탄성걸림부재(250)가 행거본체부(100)의 하부를 감싸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폐단면형성부(200)의 탄성걸림부재(250)가 행거본체부(100)의 하부의 일측 모서리부분을 감싸면서 탄성걸림부재(250)가 행거본체부(100)에 대해 지지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탄성걸림부재(250)는 폐단면본체(210)의 하단에서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행거본체부(100)의 하면을 형성하는 제2 지지판(133)과 접하게 배치되는 탄성걸림본체(251)와, 상기 탄성걸림본체(251)에서 상측으로 절곡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행거본체부(100)의 일측면을 형성하는 제1 지지판(131)에 탄성걸림되는 걸림편(253)을 구비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탄성걸림본체(251)와 걸림편(253)로 구성되는 탄성걸림부재(250)는 'ㄴ'자형의 단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천장구조물 행거(10)는 천장구조물, 상기 행거본체부(100), 상기 폐단면형성부(200)를 일체로 관통하여 체결되는 가압체결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압체결부(300)는 폐단면을 형성하는 행거본체부(100)와 폐단면형성부(200)를 가압하여 서로 밀착되도록 체결할 수 있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가압체결부(300)는 폐단면형성부(200), 천장구조물, 행거본체부(100)를 연속적으로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가압체결부(300)가 캐링채널(N) 등의 천장구조물을 관통하여 설치됨으로써, 천장구조물의 상하방향 운동 및, 좌우방향 운동이 구속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압체결부(300)는 폐단면본체(210)의 접촉지지판(215), 행거본체부(100)의 제3 지지판(135), 천장구조물인 캐링채널(N) 및, 행거본체부(100)의 제1 지지판(131)을 관통하여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접촉지지판(215)은 가압체결부(300)의 체결력을 매개로 달대볼트(K)의 외주면과 탄성 접촉될 수 있다.
가압체결부(300)는 'ㄷ'자형 또는 'U' 자형의 체결볼트(310)와, 체결볼트(310)의 단부에 체결되는 2개의 체결너트(330)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도 2a를 참조하면, 체결볼트(310)의 하부볼트 부분과, 상부볼트 부분은 각각 폐단면형성부(200), 천장구조물, 행거본체부(100)를 연속적으로 관통하여 체결너트(330)와 체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체결볼트(310)의 하부볼트 부분과, 상부볼트 부분이 각각 폐단면형성부(200), 천장구조물, 행거본체부(100)를 관통하여 중첩적으로 체결됨으로써, 구성품 간의 체결력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른 일례로, 도 2b를 참조하면, 체결볼트(310)의 하부볼트 부분은 폐단면형성부(200), 천장구조물, 행거본체부(100)를 연속적으로 관통하여 체결너트(330)와 체결될 수 있다.
체결볼트(310)의 상부볼트 부분은 폐단면형성부(200)와 행거본체부(100)를 관통한 상태에서 천장구조물의 상단부분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천장구조물의 상측 방향으로의 운동을 구속할 수 있다.
체결볼트(310)의 상부볼트 부분은 'ㄷ'자형 단면을 가지는 캐링채널(N)의 상부플랜지의 상면에 접하게 배치되거나, 체결볼트(310)의 설치의 편의를 위해 체결볼트(310)의 상부볼트 부분은 상부플랜지의 상면과 미세한 공차를 두고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체결볼트(310)의 상부볼트 부분이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가지는 캐링채널(N)의 상부플랜지가 상하방향으로 운동시, 캐링채널(N)과 접촉되면서 캐링채널(N)의 상측 방향으로의 운동을 보다 안정적으로 구속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천장구조물 행거(10)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구조물 행거(10)는 폐단면부(400) 및 가압고정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천장구조물 행거(10)는 탄성력에 의해 벌어지면서 천장구조물이 인출입 가능한 인출입부분(I)이 형성되고, 달대볼트(K)에 체결되면서 천장구조물이 수용되는 폐단면을 형성하는 폐단면부(400) 및, 상기 폐단면부(400)의 내부에 설치되는 천장구조물을 가압하여 상기 폐단면부(400)의 내면에 밀착시켜 고정하는 가압고정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폐단면부(400)는 탄성력에 의해 벌어질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달대볼트(K)에 체결되면서 천장구조물이 수용되는 폐단면을 형성할 수 있다.
폐단면부(400)는 상기 달대볼트(K)와 체결된 상태에서 'ㅁ'자형의 폐단면을 가질 수 있다.
가압고정부(500)는 폐단면부(400)의 내부에 설치되는 천장구조물을 가압하여 상기 폐단면부(400)의 내면에 밀착시켜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가압고정부(500)는 폐단면부(400)의 일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폐단면부(400) 상에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가압고정부(500)는 폐단면부(400)의 내부에 수용되는 천장구조물의 두께에 맞게 위치를 조절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다.
가압고정부(500)는 폐단면부(400)의 내부에 설치되는 천장구조물을 가압하여 폐단면부(400)의 내면에 밀착시켜 고정함으로써, 천장구조물의 폭이 폐단면부(400)의 폭보다 작은 경우에도 천장구조물을 폐단면부(400)에 내면에 밀착시켜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폐단면부(400)는, 상기 인출입부분(I)의 주변에 배치되고, 달대볼트(K)가 고정되는 제1 상부판(410)과, 상기 인출입부분(I)의 주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상부판(410)과 멀어지면서 상기 인출입부분(I)이 오픈되며, 달대볼트(K)가 고정되는 제2 상부판(430)과, 상기 제1 상부판(410)에서 하측방향으로 교차되게 연장 형성되는 제1 측면판(450)과, 상기 제1 측면판(450)과 이격되어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2 상부판(430)에서 하측방향으로 교차되게 연장 형성되는 제2 측면판(470) 및, 상기 제1 측면판(450)과 상기 제2 측면판(470)의 하측영역을 연결하는 하부판(490)을 구비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상부판(410)과 제2 상부판(430)을 서로 겹쳐지게 배치된 상태에서 달대볼트(K)에 고정될 수 있다.
하부판(490)은 겹쳐진 상태의 제1 상부판(410), 제2 상부판(430)과 이격된 상태에서 대향되게 배치되고, 제1 측면판(450)과 제2 측면판(470)은 이격된 상태에서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폐단면부(400)는 금속소재의 판재가 다단으로 절곡되면서 제1 상부판(410), 제1 측면판(450), 하부판(490), 제2 측면판(470), 제2 상부판(430)이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가압고정부(500)는, 상기 폐단면부(40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천장구조물의 가압하여 상기 폐단면부(400)의 내면에 접촉 가능한 가압부재(510) 및, 상기 가압부재(510)에 설치되고, 상기 가압부재(510)를 천장구조물의 내면에 밀착시켜 고정하는 가압조절부재(530)를 구비할 수 있다.
가압부재(510)는 폐단면부(400)의 내부에 배치된 천장구조물을 가압하여 폐단면부(400)의 내면에 밀착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가압부재(510)는 천장구조물을 가압하는 가압헤드(511) 및, 가압헤드(511)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기 폐단면부(400)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가압조절부재(530)에 의해 진퇴되는 가압나사(513)를 구비할 수 있다.
가압헤드(511)는 천장구조물의 내면을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가압나사(513)에 비해 단면이 확경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가압조절부재(530)는 가압부재(510)를 폐단면부(400) 상에서 이동시켜 위치를 조절하고, 가압부재(510)가 폐단면부(400)의 내부에 배치된 천장구조물을 가압하도록 가압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일례로, 가압조절부재(530)는 가압부재(51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폐단면부(400)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조절너트로 구비될 수 있다.
가압조절부재(530)는 폐단면부(400)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 조절너트(531)와, 폐단면부(400)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2 조절너트(5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절너트(531)와 제2 조절너트(53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절하여 가압부재(5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조절너트(531)와 제2 조절너트(533)가 폐단면부(400)를 사이에 두고 서로 근접되면서 폐단면부(400) 상에서의 가압부재(51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가압조절부재(530)는 안정적인 고정을 위해, 제1 조절너트(531)와 제2 조절너트(533)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가압조절부재(530)는 가압부재(51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나의 조절너트로 구성될 수 있다.
즉, 가압조절부재(530)는 제1 조절너트(531)와 제2 조절너트(533) 중 어느 하나 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O: 천장구조물 행거 100: 행거본체부
110: 체결판부재 130: 지지부재
131: 제1 지지판 133: 제2 지지판
135: 제3 지지판 200: 폐단면형성부
210: 폐단면본체 211: 이격판
213: 연장판 215: 접촉지지판
216: 접촉지지영역 230: 결합후크
250: 탄성걸림부재 251: 탄성걸림본체
253: 걸림편 300: 가압체결부
310: 체결볼트 330: 체결너트
400: 폐단면부 410: 제1 상부판
430: 제2 상부판 450: 제1 측면판
470: 제2 측면판 490: 하부판
500: 가압고정부 510: 가압부재
511: 가압헤드 513: 가압나사
530: 가압조절부재 531: 제1 조절너트
533: 제2 조절너트 I: 인출입부분
K: 달대볼트 N: 캐링채널
S: 슬래브

Claims (9)

  1. 천장에 설치되는 달대볼트에 고정되어 천장구조물을 지지하고, 천장구조물이 인출입 가능한 인출입부분이 형성된 행거본체부; 및,
    상기 행거본체부와 함께 천장구조물이 수용되는 폐단면을 형성하는 폐단면형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폐단면형성부는,
    상기 인출입부분을 막도록 배치되어, 상기 행거본체부와 함께 폐단면을 형성하는 폐단면본체;
    상기 폐단면본체의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행거본체부와 폐단면을 형성한 상태에서 이탈을 방지하는 결합후크; 및,
    상기 폐단면본체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기 행거본체부의 하부에 탄성 장착되는 탄성걸림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폐단면본체는,
    달대볼트 방향으로 내입 형성된 부분이 달대볼트의 외주면을 접촉지지하고,
    상기 결합후크는,
    상기 행거본체부와 상기 폐단면형성부가 결합되어 폐단면을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결합후크의 개방부분은 상기 행거본체부와 상기 폐단면형성부의 결합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탄성걸림부재는,
    상기 폐단면본체의 하단에서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행거본체부의 하면을 형성하는 제2 지지판과 접하게 배치되는 탄성걸림본체; 및,
    상기 탄성걸림본체에서 상측으로 절곡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행거본체부의 일측면을 형성하는 제1 지지판에 탄성걸림되는 걸림편;을 구비하는 천장구조물 행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단면본체는,
    상기 결합후크에서 하측으로 절곡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폐단면의 내부로 연장된 달대볼트의 길이방향 외주면과 이격되는 이격판;
    상기 이격판에서 달대볼트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판; 및,
    상기 연장판에서 하측으로 절곡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폐단면의 내부로 연장된 달대볼트의 길이방향 외주면과 접촉되면서 접촉지지영역을 형성하는 접촉지지판;을 구비하는 천장구조물 행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천장구조물, 상기 행거본체부, 상기 폐단면형성부를 일체로 관통하여 체결되는 가압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천장구조물 행거.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90016772A 2019-02-13 2019-02-13 천장구조물 행거 KR102209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772A KR102209614B1 (ko) 2019-02-13 2019-02-13 천장구조물 행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772A KR102209614B1 (ko) 2019-02-13 2019-02-13 천장구조물 행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8972A KR20200098972A (ko) 2020-08-21
KR102209614B1 true KR102209614B1 (ko) 2021-01-28

Family

ID=72235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6772A KR102209614B1 (ko) 2019-02-13 2019-02-13 천장구조물 행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96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3113B1 (ko) 2022-04-27 2023-03-23 (주)에잇플러스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천장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53254B (zh) * 2021-09-07 2024-06-21 浙江亚厦装饰股份有限公司 一种装配式小空间吊顶安装结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330B1 (ko) * 2006-11-30 2008-02-13 홍석근 건축물의 천정 부속용 행거
JP2015073856A (ja) * 2013-10-11 2015-04-20 倉敷化工株式会社 吊りハンガー
JP2016044459A (ja) * 2014-08-22 2016-04-04 常盤工業株式会社 吊り天井構造とその金具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7345B1 (ko) 2014-01-28 2014-04-21 현대금속산업(주) 니들펀칭형 방염 섬유 및 단백질계 친환경 접착제를 이용한 천장 판넬 및 역 v자 형상 클립을 이용한 천정 판넬 설치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330B1 (ko) * 2006-11-30 2008-02-13 홍석근 건축물의 천정 부속용 행거
JP2015073856A (ja) * 2013-10-11 2015-04-20 倉敷化工株式会社 吊りハンガー
JP2016044459A (ja) * 2014-08-22 2016-04-04 常盤工業株式会社 吊り天井構造とその金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3113B1 (ko) 2022-04-27 2023-03-23 (주)에잇플러스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천장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8972A (ko) 2020-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9614B1 (ko) 천장구조물 행거
KR101137580B1 (ko) 시스템화된 유격 방지형 목재 데크 구조물
KR101650145B1 (ko) 마감패널 고정구 및 이를 구비한 마감장치
KR200479587Y1 (ko) 패널 연결 장치
CN104988853B (zh) 支座更换维修方法
KR102200232B1 (ko) 천장연결철물
KR101805132B1 (ko) 트러스 거더 설치용 지지대
JP2002004572A (ja) 足場板における隙間遮蔽構造
JP2008008108A (ja) 構造用チャンネル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エレベーター、並びに当該構造部材の成形方法及び成形装置
JP6564731B2 (ja) 乗りかごの据え付け装置
KR101403660B1 (ko) 내진성능 향상을 위한 건축 구조물
KR100538280B1 (ko) 천장 패널 지지용 행거
JP6692490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およびエレベータのかご枠
JP4099415B2 (ja) 遮音パネル
KR102468044B1 (ko) 천장시스템
KR101634743B1 (ko) 방진기능을 갖는 시트 지지구조
KR102701530B1 (ko) 천장 앵커볼트 고정 행거
KR102440778B1 (ko) 천장시스템
KR102635664B1 (ko) 무주공간을 위한 장지간 철골조의 결합구조
JP5319426B2 (ja) 天井裏足場支持用金具およびこれを用いた天井裏足場支持構造
KR200371856Y1 (ko) 천장 패널 지지용 행거
KR102569120B1 (ko) 천장재 어셈블리
US20190376627A1 (en) Responsive gib support structure
KR102052419B1 (ko) 천장판넬 내진장치
CN218715011U (zh) 一种吊篮前支腿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