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8876B1 - 공기질 감지기능을 갖는 차량용 스마트폰 무선충전 거치대 - Google Patents

공기질 감지기능을 갖는 차량용 스마트폰 무선충전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8876B1
KR102208876B1 KR1020190116776A KR20190116776A KR102208876B1 KR 102208876 B1 KR102208876 B1 KR 102208876B1 KR 1020190116776 A KR1020190116776 A KR 1020190116776A KR 20190116776 A KR20190116776 A KR 20190116776A KR 102208876 B1 KR102208876 B1 KR 1022088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air quality
vehicle
sensor
c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6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인랩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인랩스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인랩스코리아
Priority to KR1020190116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88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8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88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01N33/0036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specially adapted to detect a particular component
    • G01N33/004CO or CO2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64Connection with the article
    • B60R2011/0071Connection with the article using latches, clips, clamps, strap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스마트폰 무선충전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스마트폰의 후면이 지지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스마트폰의 일측면이 지지되는 지지클립과, 상기 지지클립과 대향하는 상기 본체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클립에 근접 또는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스마트폰의 타측면을 가압 또는 가압해제하는 고정클립을 포함하는 클램핑부 및 상기 본체 내부 일측에 설치되고 차량 내부의 공기질을 감지하는 공기질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감지된 공기질 상태와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한 후 감지된 공기질 상태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감지된 공기질 상태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모니터링된 차량 내부의 공기질 상태에 기초하여 운전자가 차량 내부공기를 환기시켜 쾌적한 운전환경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졸음운전으로 인한 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센서의 오동작으로 인한 스마트폰의 클램핑 동작 오류가 발생되지 않으므로 클램핑 동작 오류로 스마트폰이 거치대로부터 이탈되어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스마트폰의 충전위치가 제대로 정렬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으므로 스마트폰의 충전위치의 오정렬로 인한 충전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질 감지기능을 갖는 차량용 스마트폰 무선충전 거치대{Vehicles Type Smartphone Charging cradle having a air quality detection function}
본 발명은 차량용 스마트폰 무선충전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내부의 공기질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CO2농도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 이를 운전자에게 제공하고, 센서의 오동작으로 인한 스마트폰의 클램핑 동작 오류가 발생되지 않으며, 스마트폰의 충전위치가 제대로 정렬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 공기질 감지기능을 갖는 차량용 스마트폰 무선충전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스마트폰의 고성능화에 따라 시간과 장소에 구애없이 그 사용빈도와 활용도가 점차 늘어가고 있는 추세에 있으며, 특히 차량 내에서는 단순한 통화 용도외에 업무용, 지리안내를 위한 네비게이션용, 동영상 및 음악 재생용, 게임용, 학습용, 음성인식을 통한 다양한 IOT(Internet of Things;사물인터넷) 제어 기능 등을 수행하기 위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은 차량에 거치하여 사용하기 위해서는 안정된 장착상태를 유지하여 차량 운행 중에 견고한 고정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거치대가 필요하다.
통상의 차량용 거치대는 일측부에 흡착판이나 브라켓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의해 차량의 전면 유리창이나 대시보드 상면 또는 송풍구 등에 부착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마운팅부와, 이 마운팅부와 피벗구조로 연결되거나 또는 고정 연결되는 것으로 스마트폰을 고정 지지하기 위한 고정클립과 받침부를 구비한 홀더부로 구성된다.
또한, 스마트폰에 전원을 공급하여 배터리를 동시에 충전할 수 있도록 충전용 케이블과 충전단자를 일체로 구비한 제품도 있으나, 각 스마트폰의 충전용 단자의 규격이 상이하므로 충전단자 변환 커넥터를 사용하거나 자신에게 맞는 충전단자를 갖춘 거치대를 구매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에는 충전단자를 이용한 충전방식이 아닌 무선충전이 가능한 무선충전모듈을 적용한 스마트폰이 보급되면서, 거치대 역시 무선충전패드를 일체로 장착한 거치대가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무선충전 방식을 채용한 거치대와 관련한 종래기술로는 한국 공개특허 제10-2015-0021318호가 제안된 바 있으며, 상기 종래기술은 배터리가 장착된 스마트폰이 거치되며,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된 2차 코일에 전류를 유도하는 1차 코일이 내부에 마련된 거치부와, 거치부를 고정물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와, 거치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시키기 위한 방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거치대에 스마트폰을 거치하면 자기유도 현상을 이용한 무접점 방식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은 무선충전 방식을 사용함에 따라 사용자가 충전단자를 스마트폰에 접속시켜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는 있으나 스마트폰을 거치하기 위해서는 한 쌍의 클립으로 구성된 홀더부를 조작해야 하는 불편함은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적외선센서를 통해 거치대에 근접하는 스마트폰을 감지하여 홀더부를 통한 스마트폰의 고정 및 해제동작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오토슬라이딩 클램핑 방식이 제안되어 있다.
상기한 오토슬라이딩 클램핑 방식은 홀더부를 통한 스마트폰의 고정 및 해제동작이 자동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스마트폰을 거치하기 위해 사용자가 홀더부를 조작해야 하는 불편함은 해소되었으나, 직사광선 등과 같은 외부광원에 의해 적외선센서가 손상되어 적외선센서의 오동작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종래기술은 스마트폰에 설치된 2차 코일에 전류를 유도하는 1차 코일이 거치부 내부에 고정설치되므로 거치되는 스마트폰의 크기에 따라 1차코일에 대한 2차 코일의 위치가 가변되어 코일 간의 정렬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충전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장거리 운전 시 차량 내부공기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배기가스와 미세먼지 및 운전자 및 탑승자의 호흡으로 인해 발생되는 CO2에 의해 오염된다.
이 중 시간의 경과에 따라 차량 내부에서 농도가 증가하는 CO2는 운전자 및 탑승자에게 두통 또는 현기증 등의 증상을 유발할 뿐 아니라 장시간 노출되는 경우에는 건강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특히, 차량 내부에 축적된 고농도의 CO2는 운전자에게 졸음을 유발하게 되는데 이는 졸음운전으로 인해 커다란 인명피해가 발생될 수 있는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에는 차량 내부의 이산화탄소 등의 농도를 측정하는 공기질 측정기가 판매되고 있으나, 이는 가격이 비싸고 설치가 번거로울 뿐 아니라 차량 내부의 일정 공간을 점유하므로 많은 불편함을 초래하고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차량에 특화된 공기질 측정기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5-002131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내부의 공기질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CO2농도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 이를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공기질 감지기능을 갖는 차량용 스마트폰 무선충전 거치대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센서의 오동작으로 인한 휴대용 단말기의 클램핑 동작 오류가 발생되지 않는 공기질 감지기능을 갖는 차량용 스마트폰 무선충전 거치대를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위치가 제대로 정렬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 공기질 감지기능을 갖는 차량용 스마트폰 무선충전 거치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폰의 후면이 지지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스마트폰의 일측면이 지지되는 지지클립과, 상기 지지클립과 대향하는 상기 본체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클립에 근접 또는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스마트폰의 타측면을 가압 또는 가압해제하는 고정클립을 포함하는 클램핑부 및 상기 본체 내부 일측에 설치되고, 차량 내부의 공기질을 감지하는 공기질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감지된 공기질 상태와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한 후, 감지된 공기질 상태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감지된 공기질 상태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질 감지기능을 갖는 차량용 무선충전 거치대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본체 전면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스마트폰의 유무를 감지하는 적외선센서와, 상기 본체 전면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스마트폰의 자기력을 감지하는 자기력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적외선센서만 구동되는 제 1 모드와, 상기 자기력센서만 구동되는 제 2 모드와, 상기 적외선센서와 상기 자기력센서가 병행하여 구동되는 제 3 모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모드, 상기 제 2 모드 또는 상기 제 3 모드를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3 모드의 구동시 상기 적외선센서로부터 상기 스마트폰의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지지클립에 이격되는 방향으로 상기 고정클립을 이동시키고, 상기 클램핑부에 의해 상기 스마트폰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자기력센서로부터 상기 스마트폰의 자기력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클램핑부의 고정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적외선센서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무선충전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무선충전부는 상기 고정클립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클립의 이동 시 상기 고정클립과 동반 이동하면서 위치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모니터링된 차량 내부의 공기질 상태에 기초하여 운전자가 차량 내부공기를 환기시켜 쾌적한 운전환경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졸음운전으로 인한 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센서의 오동작으로 인한 휴대용 단말기의 클램핑 동작 오류가 발생되지 않으므로 클램핑 동작 오류로 스마트폰이 거치대로부터 이탈되어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스마트폰의 충전위치가 제대로 정렬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으므로 휴대용 단말기 충전위치의 오정렬로 인한 충전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질 감지기능을 갖는 차량용 스마트폰 무선충전 거치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질 감지기능을 갖는 차량용 스마트폰 무선충전 거치대를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질 감지기능을 갖는 차량용 스마트폰 무선충전 거치대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질 감지기능을 갖는 차량용 스마트폰 무선충전 거치대를 후방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
도 5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질 감지기능을 갖는 차량용 스마트폰 무선충전 거치대의 제어부를 통한 클램핑부의 제어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질 감지기능을 갖는 차량용 스마트폰 무선충전 거치대의 무선충전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질 감지기능을 갖는 차량용 스마트폰 무선충전 거치대의 무선충전부의 일 사용예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질 감지기능을 갖는 차량용 스마트폰 무선충전 거치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질 감지기능을 갖는 차량용 스마트폰 무선충전 거치대를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질 감지기능을 갖는 차량용 스마트폰 무선충전 거치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질 감지기능을 갖는 차량용 스마트폰 무선충전 거치대를 후방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질 감지기능을 갖는 차량용 스마트폰 무선충전 거치대(1)는 스마트폰의 오토클램핑 및 무선충전 기능 뿐 아니라 차량 내부의 공기질을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본체(10), 클램핑부(20), 무선충전부(30), 센서부(40)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체(10)는 몸체부(11), 지지부(12) 및 체결부(13)를 포함한다.
몸체부(11)는 직육면체 형상으로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클램핑부(20), 무선충전부(30), 센서부(40) 및 제어부의 설치영역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전면커버(11a), 후면커버(11b) 및 내부커버(11c)를 포함한다.
전면커버(11a)는 스마트폰의 후면이 지지되는 영역을 제공하고, 전면 하단에 투명창(11aa)이 형성된다.
후면커버(11b)는 클램핑부(20), 센서부(40) 및 제어부의 설치영역을 제공한다.
내부커버(11c)는 클램핑부(20)를 덮도록 후면커버(11b)의 전면에 결합되고, 일측에 후술하는 고정클립(22)의 이동방향을 따라 장공(11ca)이 형성되며, 전면에는 무선충전부(30)가 배치된다.
지지부(12)는 일단부가 몸체부(11)의 측면 일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부가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며 타단부가 몸체부(11)의 내측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지지프레임(12a)과, 지지프레임(12a)의 타단부 전면에 설치되고 스마트폰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블럭(12b)를 포함하며, 스마트폰의 하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체결부(13)는 일단부가 후면커버(12)의 일측에 틸팅 및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방으로 연장형성되는 브릿지(13a)와, 일단이 브릿지(13a)의 타단에 틸팅 및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에 차량의 송풍구 등에 끼워 고정할 수 있는 끼움홈(13ba)이 형성된 마운팅수단(13b)을 포함한다.
여기서, 후면커버(12), 브릿지(13a) 및 마운팅수단(13b) 간의 틸팅 및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는 공지의 볼 조인트 결합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마운팅수단(13b)이 차량의 송풍구 등에 끼워 고정할 수 있는 타입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마운팅수단(13b)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량의 전면 유리창이나 대시보드 등에 부착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클램핑부(20)는 스마트폰의 양측면을 가압 또는 가압해제하여 스마트폰을 클램핑하거나 클램핑된 상태가 해제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지지클립(21) 및 고정클립(22)을 포함한다.
지지클립(21)은 일단부가 몸체부(11) 측면 일측에 고정결합되고,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는 타단부가 전방으로 수직 절곡형성되어 스마트폰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고정클립(22)은 일단부가 지지클립과 대향하는 몸체부(11) 측면 타측에 지지클립(21)에 근접 또는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는 타단부가 전방으로 수직 절곡형성되어 스마트폰의 타측면을 가압 또는 가압해제함으로써, 스마트폰을 클램핑하거나 클램핑된 상태가 해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내부커버(11c)의 장공(11ca)와 대응되는 고정클립(22)의 일측에는 체결돌기(22a)가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체결돌기(22a)는 내부커버(11c)의 전면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며 장공(11ca)에 의해 고정클립(22)의 이동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무선충전부(30)는 몸체부(11)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일측이 체결돌기(22a)에 결합되어 고정클립(22)이 지지클립(21)에 근접 또는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 고정클립(22)과 동반 이동하여 위치가 가변되는 것으로서, 이동 플레이트(31) 및 송전코일(32)을 포함한다.
이동 플레이트(31)은 내부커버(11c) 전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장공(11ca)와 대응되는 후면 일측에 체결돌기(22a)가 체결되는 체결홀(31a)이 형성되어 고정클립(22)에 결합된다.
송전코일(32)은 이동 플레이트(31)의 전면에 결합된다.
위와 같은 구조로 인해 본 발명은 고정클립(22)이 지지클립(21)에 근접 또는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 이동 플레이트(31)의 전면에 결합된 송전코일(32)이 고정클립(22)과 동반 이동되도록 하여 송전코일(32)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송전코일(32)은 전자기 유도방식에 의해 스마트폰에 설치된 수전코일에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기전력을 생성하기 위한 유도전류가 형성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이러한 전자기 유도방식은 일반적인 공지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위와 같이, 무선충전부(30)는 송전코일(32)이 고정클립(22)과 동반 이동하면서 위치가 가변되는 구조로 인해 폭이 다른 스마트폰이 거치되더라도 송전코일(32)과 스마트폰의 수전코일 간의 정렬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센서부(40)는 스마트폰의 유무, 스마트폰의 자기력 및 차량 내부의 공기질을 감지하여 이를 제어부로 전달하는 것으로서, 적외선센서(41), 자기력센서(42) 및 공기질 감지센서(43)를 포함한다.
적외선센서(41)는 전면커버(11a)의 투명창(11aa)과 대응되는 후면커버(11b)의 전면 일측에 설치되고, 스마트폰의 유무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자기력센서(42)는 후면커버(11b)의 전면 일측 중 적외선센서(41)의 측방에 설치되고 스마트폰의 자기력을 감지하여 제어부로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공기질 감지센서(43)는 후면커버(11b)의 내부 타측에 설치되고 이산화탄소(CO2) 또는 미세먼지 농도와 같은 차량 내부의 공기질을 감지하여 제어부로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부는 몸체부(11)의 내부 타측에 설치되고, 공기질 감지센서(43)로부터 감지된 공기질 상태를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고, 감지된 공기질 상태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감지된 공기질 상태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제어부는 감지된 공기질 상태정보를 몸체부(11) 일측에 설치된 알림수단(미도시)을 통해 운전자에게 알려줄 수 있으며, 이러한 알림수단은 경보음 또는 LED의 점멸제어 등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운전자는 졸음운전이 발생되기 전에 미리 창문을 열거나 차량의 블로워 모터를 구동하여 차량 내부공기를 환기시키거나 정화된 공기를 차량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으므로 졸음운전으로 인한 대형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질 감지센서가 거치대에 일체로 설치되는 구조로 인해 차량 내부의 공기질을 측정하기 위한 별도의 공기질 측정기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이에 따른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차량 내부의 공간 점유로 인한 불편함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센서부(40)는 적외선센서(41)만 구동되는 제 1 모드와, 자기력센서(42)만 구동되는 제 2 모드와, 적외선센서(41)와 자기력센서(42)가 병행하여 구동되는 제 3 모드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어부는 적외선센서(41) 또는 자기력센서(42)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클램핑부(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되, 운전자의 필요에 따라 제 1 모드, 제 2 모드 또는 제 3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이 때, 몸체부(11)의 외면 일측에는 운전자가 제 1 모드, 제 2 모드 또는 제 3 모드를 전환할 수 있는 별도의 모드전환버튼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모드에서는 적외선센서(41)에 의해 스마트폰이 감지되면 제어부가 클램핑부(20)의 클램핑상태가 해제되도록 제어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제어부가 클램핑부(20)를 통해 스마트폰을 클램핑하도록 제어하는 방식이다.
그리고, 제 2 모드에서는 적외선센서(41)가 오프됨과 동시에 클램핑부(20)의 클램핑상태가 해제되는 상태가 되며, 자기력센서(42)에 의해 스마트폰이 감지되면 제어부가 클랩핑부(20)를 통해 스마트폰을 클램핑하도록 제어하는 방식이다.
마지막으로 적외선센서(41)와 자기력센서(42)가 병행 구동되는 제 3 모드에 대해서는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질 감지기능을 갖는 차량용 스마트폰 무선충전 거치대의 제어부를 통한 클램핑부의 제어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질 감지기능을 갖는 차량용 스마트폰 무선충전 거치대(1)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외선센서(41)에 의해 스마트폰이 감지되면, 제어부는 고정클립(22)이 지지클립(21)에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스마트폰을 거치할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한다.
그리고,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제어부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클립(21)에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된 고정클립(22)이 지지클립(21)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스마트폰이 거치대에 클램핑 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이 지지클립(21)과 고정클립(22)에 의해 가압되어 클램핑된 상태에서 자기력센서(42)에 의해 스마트폰의 자기력이 감지되면,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클립(21)과 고정클립(22)에 의한 스마트폰의 클램핑 상태가 유지되도록 함과 아울러, 적외선센서(41)의 동작을 중지시킨다.
그리고, 스마트폰의 클램핑 상태를 해제하는 경우에는 몸체부(11) 일측에 별도로 설치된 해제버튼(미도시)을 통해 스마트폰의 클램핑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은 스마트폰의 자기력을 감지하는 자기력센서(42)가 더 구비되어 스마트폰이 클램핑된 상태에서 스마트폰의 자기력이 감지되면 스마트폰의 클램핑 상태를 유지시킴과 동시에 적외선센서(41)의 동작을 중지시킴에 따라 종래와 같이 직사광선 등에 의한 외부광원에 의해 적외선센서(41)가 오동작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적외선센서(41)의 오동작으로 인한 스마트폰의 클램핑 동작 오류로 스마트폰이 거치대로부터 이탈되어 손상되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질 감지기능을 갖는 차량용 스마트폰 무선충전 거치대의 무선충전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질 감지기능을 갖는 차량용 스마트폰 무선충전 거치대의 무선충전부의 일 사용예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질 감지기능을 갖는 차량용 스마트폰 무선충전 거치대(1)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이 적외선센서(41)에 의해 감지되지 않은 대기 상태에서는 무선충전부(30)의 송전코일(32)이 본체(10)의 중앙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적외선센서(41)에 의해 스마트폰이 감지되어 고정클립(22)이 지지클립(21)에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클립(21)에 연결된 이동 플레이트(31)가 고정클립(21)과 함께 이동되므로 이동 플레이트(31)에 결합된 송전코일(32)이 지지클립(21)에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어 고정클립(22)이 지지클립(21)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클립(22)에 연결된 이동 플레이트(31)가 고정클립(22)과 함께 이동되므로 이동 플레이트(31)에 결합된 송전코일(32)이 지지클립(21)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은 몸체부(11) 내부에 설치된 송전코일(32)이 고정클립(22)과 동반 이동하여 위치가 가변되므로 도 7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이 다른 크기의 스마트폰이 거치되더라도 송전코일(32)과 스마트폰에 내장된 수전코일 간의 위치가 정확하게 정렬된다.
이에 따라 무선충전부(30)의 송전코일(32)과 스마트폰의 수전코일 간의 위치 정렬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충전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바람직한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 : 차량용 스마트폰 무선충전 거치대 10 : 본체
11 : 몸체부 11a : 전면커버
11aa : 투명창 11b : 후면커버
11c : 내부커버 11ca : 장공
12 : 지지부 12a : 지지프레임
12b : 지지블럭 13 : 체결부
13a : 브릿지 13b : 마운팅수단
13ba : 끼움홈 20 : 클램핑부
21 : 지지클립 22 : 고정클립
22a : 체결돌기 30 : 무선충전부
31 : 이동 플레이트 31a : 체결홀
32 : 송전코일 40 : 센서부
41 : 적외선센서 42 : 자기력센서
43 : 공기질 감지센서

Claims (4)

  1. 스마트폰의 후면이 지지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스마트폰의 일측면이 지지되는 지지클립과, 상기 지지클립과 대향하는 상기 본체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클립에 근접 또는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스마트폰의 타측면을 가압 또는 가압해제하는 고정클립을 포함하는 클램핑부와;
    상기 본체 내부 일측에 설치되고, 차량 내부의 공기질을 감지하는 공기질 감지센서와, 상기 본체 전면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스마트폰의 유무를 감지하는 적외선센서와, 상기 본체 전면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스마트폰의 자기력을 감지하는 자기력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로부터 감지된 공기질 상태와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한 후, 감지된 공기질 상태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감지된 공기질 상태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적외선센서만 구동되는 제 1 모드와, 상기 자기력센서만 구동되는 제 2 모드와, 상기 적외선센서와 상기 자기력센서가 병행하여 구동되는 제 3 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모드, 상기 제 2 모드 또는 상기 제 3 모드를 선택적으로 구동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3 모드의 구동시
    상기 적외선센서로부터 상기 스마트폰의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지지클립에 이격되는 방향으로 상기 고정클립을 이동시키고,
    상기 클램핑부에 의해 상기 스마트폰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자기력센서로부터 상기 스마트폰의 자기력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클램핑부의 고정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적외선센서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질 감지기능을 갖는 차량용 스마트폰 무선충전 거치대.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무선충전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무선충전부는 상기 고정클립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클립의 이동 시 상기 고정클립과 동반 이동하면서 위치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질 감지기능을 갖는 차량용 스마트폰 무선충전 거치대.
KR1020190116776A 2019-09-23 2019-09-23 공기질 감지기능을 갖는 차량용 스마트폰 무선충전 거치대 KR1022088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776A KR102208876B1 (ko) 2019-09-23 2019-09-23 공기질 감지기능을 갖는 차량용 스마트폰 무선충전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776A KR102208876B1 (ko) 2019-09-23 2019-09-23 공기질 감지기능을 갖는 차량용 스마트폰 무선충전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8876B1 true KR102208876B1 (ko) 2021-01-28

Family

ID=74239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6776A KR102208876B1 (ko) 2019-09-23 2019-09-23 공기질 감지기능을 갖는 차량용 스마트폰 무선충전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887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1318A (ko) 2013-08-20 2015-03-02 주식회사 솔라리스 방열기능을 갖춘 무선충전 방식의 휴대폰 거치대
KR20170042141A (ko) * 2015-10-08 2017-04-18 (주)코아비젼 차량용 공기 정화장치
KR20180113941A (ko) * 2018-08-23 2018-10-17 주식회사 인트비즈 무선충전 기능을 갖는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및 이의 휴대폰 거치 및 탈착 방법
KR20190088508A (ko) * 2016-11-29 2019-07-26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프랑스 자동차용으로 의도된 사용자 장비를 유도식으로 충전하기 위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1318A (ko) 2013-08-20 2015-03-02 주식회사 솔라리스 방열기능을 갖춘 무선충전 방식의 휴대폰 거치대
KR20170042141A (ko) * 2015-10-08 2017-04-18 (주)코아비젼 차량용 공기 정화장치
KR20190088508A (ko) * 2016-11-29 2019-07-26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프랑스 자동차용으로 의도된 사용자 장비를 유도식으로 충전하기 위한 장치
KR20180113941A (ko) * 2018-08-23 2018-10-17 주식회사 인트비즈 무선충전 기능을 갖는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및 이의 휴대폰 거치 및 탈착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4395B1 (ko) 차량용 무선충전 거치대
US8981962B2 (en) Holder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adjusting orient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placed thereon, and assembly of holder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EP0788211A2 (en) A connection system and a connection method
KR102021095B1 (ko) 차량용 무접점 충전 거치대
KR102208876B1 (ko) 공기질 감지기능을 갖는 차량용 스마트폰 무선충전 거치대
JP2019518653A (ja) 車両の安全警告灯及び火災感知機能を有するキャンピングレジャー兼用照明装置
KR102204245B1 (ko) 차량용 휴대폰 무선 충전기
KR20170042141A (ko) 차량용 공기 정화장치
CN213565702U (zh) 终端和装有终端的汽车座椅扶手
CN113844376A (zh) 一种用于汽车保险查勘数据记录仪
CN211089170U (zh) 车载手机无线充电装置、汽车仪表板总成及汽车
US20070287492A1 (en) Wireless signal receiving apparatus with clamping device and speaker device
KR101240748B1 (ko) 전기자동차용 전원공급장치
KR102069576B1 (ko) 휴대용 공기정화기의 거치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휴대용 공기정화 시스템
KR20170098390A (ko) 휴대폰 거치기능을 가지는 착탈식 음이온 발생기
WO2022270273A1 (ja) 乗物用シート
KR20150120807A (ko) 차량용 무선전력 전송장치
CN216545979U (zh) 一种便于调节的4g远程监控流媒体后视镜
CN215183050U (zh) 一种具有防震功能的车载喇叭
CN109367489B (zh) 一种行车记录仪的固定支架、车辆及控制方法
KR20130057624A (ko) 차량용 제어장치
CN210191376U (zh) 一种多功能车载预警装置
CN109875227B (zh) 多功能安全智能梳妆镜
CN215420259U (zh) 一种车载抗干扰通讯设备
CN201437343U (zh) 车载导航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