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8829B1 - 차량용 스티어링 시스템의 벨로우즈 체결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스티어링 시스템의 벨로우즈 체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8829B1
KR102208829B1 KR1020140143613A KR20140143613A KR102208829B1 KR 102208829 B1 KR102208829 B1 KR 102208829B1 KR 1020140143613 A KR1020140143613 A KR 1020140143613A KR 20140143613 A KR20140143613 A KR 20140143613A KR 102208829 B1 KR102208829 B1 KR 1022088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lows
installation groove
sealing member
steering system
rack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3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7325A (ko
Inventor
이종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40143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8829B1/ko
Publication of KR20160047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73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8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8829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aphragms And Bellows (AREA)
  • Sealing Devi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시스템의 벨로우즈 체결구조는, 랙 하우징과, 상기 랙 하우징 내에서 외력에 의해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랙바와, 상기 랙바의 양단에 연결되는 한 쌍의 타이로드와, 양단이 상기 타이로드와 상기 랙 하우징의 외주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벨로우즈를 구비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시스템의 벨로우즈 체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랙 하우징의 좌우 방향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벨로우즈들의 양단이 외주에 각각 결합되는 결합단과, 상기 결합단의 외주를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벨로우즈들의 일단에 의해 개방 부위가 폐쇄되는 링 형상의 설치홈 및, 상기 설치홈의 내주에 삽입되며, 상기 벨로우즈들의 내주면과 밀착시 횡 방향으로 압축됨과 동시에 축 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어, 상기 설치홈의 수직과 수평 방향에 각각 밀착지지되는 링 형상의 씰링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스티어링 시스템의 벨로우즈 체결구조{A BELLOWS VENTILATION STRUCTURE OF STEERING SYSTEM FOR AN AUTO MOBILE}
본 발명은 차량용 스티어링 시스템의 벨로우즈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씰링부재의 내주면을 다각 또는 X 형상으로 적용시켜, 씰링부재의 수직 방향 압축력을 수평 방향으로 더 작용시킴으로써, 씰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씰링부재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스티어링 시스템의 벨로우즈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조향장치는 핸들 조타에 따른 조향축의 회전력을 조향장치에 전달하여 운전자가 원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차량을 선회할 수 있도록 한 장치로서, 최근에는 유압을 이용하여 핸들 조타에 따른 조력(助力)을 발생시켜 핸들의 조타감을 가볍게 해주는 유압식 조향장치(파워 스티어링 시스템)를 차량에 보편적으로 설치하고 있다.
종래의 유압식 조향장치는, 유압을 공급하는 펌프와, 상기 펌프와 유압파이프에 의해 연결되며 그 내부에 로터리밸브가 내설된 밸브 하우징 및, 상기 밸브 하우징과 한쌍의 유압관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유압관을 통해 공급된 유압을 이용하여 조향에 따른 조력(助力)을 발생토록 하는 복동 실린더 형식의 랙 하우징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랙 하우징에는 핸들 조작에 의한 토크와 유압에 의한 조력에 의해 좌우 슬라이딩 되는 랙바(Rack bar)가 내설되며, 상기 랙바 외주연 일측에는 피스톤이 고정 설치된다.
또한, 상기 랙바의 양단에는 이와 연동될 수 있도록 한 쌍의 타이로드가 결합된 상태로 차량 양측의 타이어 휠과 연결되고, 상기 랙바와 함께 축 방향으로 연동되는 타이로드와 랙바의 단부 외측에는 수분 및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벨로우즈(Bellows)가 설치된다.
벨로우즈는, 신축이 가능하도록 고무재질의 주름관으로 설치되고, 상기 벨로우즈의 양단이 랙 하우징의 결합단과 타이로드에 스틸 밴드 등에 의해 결합된다.
이와 함께, 랙 하우징의 결합단 외주에는 벨로우즈의 내주면과 밀착시 기밀성이 유지되도록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링 형상의 씰링부재가 결합된다.
그런데, 종래의 씰링부재는 종 방향 단면이 원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벨로우즈의 좌우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의해 씰링부재가 결합단의 설치홈으로부터 이탈될 염려가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98-037600(1998년 09월 15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차량의 스티어링 기어박스와 벨로우즈 체결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은 차량용 스티어링 시스템의 벨로우즈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씰링부재의 내주면을 다각 또는 X 형상으로 적용시켜, 씰링부재의 수직 방향 압축력을 수평 방향으로 더 작용시킴으로써,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의 밀착력이 동시에 형성되므로 씰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씰링부재의 밀림 현상에 의해 설치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스티어링 시스템의 벨로우즈 체결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시스템의 벨로우즈 체결구조는, 랙 하우징과, 상기 랙 하우징 내에서 외력에 의해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랙바와, 상기 랙바의 양단에 연결되는 한 쌍의 타이로드와, 양단이 상기 타이로드와 상기 랙 하우징의 외주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벨로우즈를 구비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시스템의 벨로우즈 체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랙 하우징의 좌우 방향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벨로우즈들의 양단이 외주에 각각 결합되는 결합단과, 상기 결합단의 외주를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벨로우즈들의 일단에 의해 개방 부위가 폐쇄되는 링 형상의 설치홈 및, 상기 설치홈의 내주에 삽입되며, 상기 벨로우즈들의 내주면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압축과 동시에 수평 방향으로 형태가 변형되어 상기 설치홈의 수평 방향으로 밀착 지지되는 링 형상의 씰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벨로우즈들의 양단에는 가압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스틸 밴드가 더 결합되며, 상기 스틸 밴드는 상기 벨로우즈들의 양단에 결합시 상기 씰링부재를 가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벨로우즈는 상기 타이로드와 상기 랙 하우징의 외주에 각각 결합되는 양단의 내주면에 오목한 링 형상의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은 상기 씰링부재의 외주가 암수로 대응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홈과 상기 씰링부재의 외주는 타원 또는 반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홈은 상기 벨로우즈들의 방향측과 상기 랙 하우징의 중심 방향측 양단으로부터 파지단이 각각 돌출 형성되며, 상기 파지단은 상기 씰링부재의 외주를 양 방향에서 감쌀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치홈은 바닥면이 수평하게 형성되고, 상기 랙 하우징의 좌우 방향을 향하는 양측 벽면이 수직하게 형성되며, 상기 씰링부재의 내주는 상기 설치홈과 대응되는 다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씰링부재의 내주에는 수직 방향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설치홈의 바닥면으로 절첩됨과 동시에, 상기 설치홈의 양측 벽면으로 길이가 신장되는 절접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첩부는 상기 벨로우즈들의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설치홈의 바닥면에 밀착되며, 압축시 상기 설치홈의 일측 벽면으로 길이가 신장되는 제1절첩단 및, 상기 제1절첩단과 대응되도록 상기 랙 하우징의 중심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설치홈의 바닥면에 밀착되며, 압축시 상기 설치홈의 타측 벽면으로 길이가 신장되는 제2절첩단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씰링부재의 좌우면에는 상기 제1절첩단 및 상기 제2절첩단이 수직 방향으로 절첩될 수 있도록 경사면이 더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은 상기 제1절첩단 및 상기 제2절첩단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량용 스티어링 시스템의 벨로우즈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씰링부재의 내주면을 다각 또는 X 형상으로 적용시킴으로써,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의 밀착력이 동시에 형성되므로 씰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씰링부재의 밀림 현상에 의해 설치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씰링부재의 내주면과 설치홈 간의 접촉 면적이 넓고, 씰링부재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어, 씰링 성능뿐 아니라 조립성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시스템의 벨로우즈 체결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시스템의 벨로우즈 체결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결합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시스템의 벨로우즈 체결구조에서 씰링부재의 내주에 절첩부를 형성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시스템의 벨로우즈 체결구조에서 절첩부가 가압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시스템의 벨로우즈 체결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시스템의 벨로우즈 체결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결합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시스템의 벨로우즈 체결구조는 랙 하우징(Rack housing, 10)과, 랙바(Rack Bar, 미도시)와, 한 쌍의 타이로드(Tie rod, 20)와, 한 쌍의 벨로우즈(30)를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시스템의 벨로우즈 체결구조는 결합단(100)과, 설치홈(200) 및, 씰링부재(300)를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들 중, 랙 하우징(10)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랙 하우징(10)의 중공 내에는 핸들(미도시) 조작에 의한 토크와 유압에 의한 조력에 의해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랙바(Rack bar)가 내설된다.
상기 랙바는, 랙 하우징(2)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랙 하우징(10) 양단부 보다 돌출되어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랙바의 선단에는 타이로드(20)의 선단이 연결되고, 자동차 바퀴를 연결하여 힘을 전달하며, 상기 타이로드(20)는 일정 각도 내에서 회전하는 요동 운동과 축을 중심으로 360ㅀ회전하는 회전운동을 할 수 있다.
벨로우즈(Bellows, 30)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벨로우즈(30)는 랙 하우징(10)의 선단 외부와 타이로드(20)의 외부에 각각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벨로우즈(30)는 고무, 합성수지 등으로 제작되며, 전술한 랙바와 타이로드(20)가 좌우 축 방향으로 이동에 따라 신축이 가능하도록 주름관 형태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벨로우즈(30)의 양단은 랙 하우징(10)의 좌우에 돌출 형성된 결합단(100)과 타이로드(3) 외주에 각각 결합된다.
이와 같은 상기 벨로우즈(30)는, 랙 하우징(10)의 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랙바와 타이로드(20)를 덮어 랙 하우징(1)의 내부로 수분 또는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 내부 부품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벨로우즈(30)의 내주면에는 후술 될 씰링부재(300)의 외주가 대응되게 암수로 삽입될 수 있도록 오목한 링 형상의 삽입홈(31)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31)은, 후술 될 씰링부재(300)의 외주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원 또는 반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벨로우즈(30)들의 양단에는 가압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금속 소재의 스틸 밴드(Steel Band, 40)가 더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틸 밴드(40)는, 상기 벨로우즈(30)들의 외주에 링 형상으로 밴딩 결합되어, 벨로우즈(30)들의 양단에 결합시 후술 될 씰링부재(300)의 외주를 가압한다.
그리고, 상기 스틸 밴드(40)의 분할된 양단에는 착탈을 위한 체결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삽입홈(31)은 벨로우즈(30)들의 방향측과 랙 하우징(10)의 중심 방향측 양단으로부터 파지단(31a)이 각각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파지단(31a)은, 씰링부재(300)의 외주를 양 방향에서 넓은 면적으로 감싸기 위한 것으로, 삽입홈(31)의 내주를 따라 링 형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지단(31a)의 돌출된 단부가 후술 될 설치홈(200) 내에 일정 길이로 삽입될 수도 있다.
결합단(100)은, 전술한 랙 하우징(10)의 좌우 방향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벨로우즈(30)들의 양단이 외주에 각각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단(100)의 외주에는 후술 될 씰링부재(300)를 결합시키기 위한 설치홈(200)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설치홈(200)은, 도 1에서처럼 결합단(100)의 외주를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설치홈(200)은 벨로우즈(30)들의 일단에 의해 개방 부위가 폐쇄된다.
여기서, 상기 삽입홈(200)은 바닥면(210)이 수평하게 형성되고, 랙 하우징(200)의 좌우 방향을 향하는 양측 벽면(220)이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삽입홈(200)은 이하 설명될 씰링부재(300)의 내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씰링부재(300)는, 설치홈(200)의 내주에 링 형상으로 삽입되어, 그 외주가 벨로우즈(30)들의 삽입홈(200)에 대응되게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씰링부재(300)는 고무, 합성수지 등으로 제작할 수 있고, 상기 씰링부재(300)의 외주는 타원 또는 반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씰링부재(300)는 벨로우즈(30)들의 내주면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압축과 동시에 수평 방향으로 형태가 변형되어, 설치홈(200)의 수평 방향으로 밀착 지지된다.
일 예로, 상기 씰링부재(300)의 내주면은 도 1 내지 도 3에서처럼 삽입홈(31)과 대응되는 다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씰링부재(300)의 내주면은 다각 형상을 가지고, 상기 씰링부재(300)는 외주면이 삽입홈(31) 내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므로, 상기 씰링부재(300)가 수평으로 작용하는 힘에 의해 설치홈(200)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이와 다르게, 상기 씰링부재(300)의 내주에는 수직 방향의 가압력에 의해 설치홈(200)의 바닥면(210)으로 절첩됨과 동시에, 설치홈(200)의 양측 벽면(220)으로 길이가 신장되는 절접부(31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첩부(310)는, 도 3에서처럼 서로 대응되는 형상의 제1절첩단(311) 및, 제2절첩단(3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절첩단(311)은, 벨로우즈(30)들의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설치홈(200)의 바닥면에 밀착된다.
이와 같은 상기 제1절첩단(311)은, 씰링부재(300)를 설치홈(200)의 바닥면(210) 방향으로 가압하는 경우, 하단이 상부로 절첩되면서 설치홈(200)의 일측 벽면(220)으로 길이가 신장된다.
이때, 상기 제1절첩단(311)은 설치홈(200)의 일측 벽면(좌우 방향)에 높은 압력으로 밀착되므로, 씰링부재(311)의 씰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절첩단(311)의 하단은 설치홈(200)의 바닥면(210)과 벽면(220)의 연결 부위에 위치될 수 있다.
제2절첩단은(312), 제1절첩단(311)과 대응되도록 랙 하우징(10)의 중심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설치홈(200)의 바닥면(210)에 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제2절첩단(312)은, 씰링부재(300)를 설치홈(200)의 바닥면(210) 방향으로 가압하는 경우, 하단이 상부로 절첩되면서 제1절첩단(311)과 반대되는 설치홈(200)의 타측 벽면(220)으로 길이가 신장된다.
이때, 상기 제2절첩단(312)은 제1절첩단(311)과 함께 설치홈(200)의 일측 벽면(좌우 방향)에 높은 압력으로 밀착되므로, 씰링부재(311)의 씰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절첩단(312)의 하단은 설치홈(200)의 바닥면(210)과 벽면(220)의 연결 부위에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2절첩단(312)과 제1절첩단(311)의 하단은 'X'자 형상을 서로 형성하므로, 하단이 수직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절첩되면서 수평 방향으로 밀착 지지될 수 있다.
아울러, 씰링부재(300)의 좌우면에는 제1절첩단(311) 및 제2절첩단(312)이 수직 방향으로 절첩될 수 있도록 경사면(32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320)은, 도 3과 도 4에서처럼 제1절첩단(311) 및 제2절첩단(312)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경사면(320)과 제1절첩단(311) 및 제2절첩단(312)의 사이에는 일정 절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씰링부재(300)는 설치홈(200)의 벨로우즈(30)들의 내주면과 밀착시 횡 방향으로 압축됨과 동시에 축 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어, 설치홈(200)의 수직과 수평 방향에 각각 밀착지지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씰링부재(300)의 내주면을 다각 또는 가압 방향으로 절첩 가능하게 형성시킴으로써, 벨로우즈(30)를 결합시 밀림과 말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상하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수평 방향으로 분산시킬 수 있어 씰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씰링부재(300)의 내주면과 설치홈 간의 접촉 면적이 넓고, 씰링부재(30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어, 씰링 성능뿐 아니라 조립성을 개선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시스템의 벨로우즈 체결구조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랙 하우징 20: 타이로드
30: 벨로우즈 31: 삽입홈
31a: 파지단 40: 스틸 밴드
100: 결합단 200: 설치홈
210: 바닥면 220: 벽면
300: 씰링부재 310: 절첩부
311: 제1절첩단 312: 제2절첩단
320: 경사면

Claims (9)

  1. 랙 하우징과, 상기 랙 하우징 내에서 외력에 의해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랙바와, 상기 랙바의 양단에 연결되는 한 쌍의 타이로드와, 양단이 상기 타이로드와 상기 랙 하우징의 외주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벨로우즈를 구비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시스템의 벨로우즈 체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랙 하우징의 좌우 방향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벨로우즈들의 양단이 외주에 각각 결합되는 결합단;
    상기 결합단의 외주를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벨로우즈들의 일단에 의해 개방 부위가 폐쇄되는 링 형상의 설치홈; 및
    상기 설치홈의 내주에 삽입되며, 상기 벨로우즈들의 내주면과 밀착시 횡 방향으로 압축됨과 동시에 축 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어, 상기 설치홈의 수직과 수평 방향에 각각 밀착지지되는 링 형상의 씰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벨로우즈는,
    상기 타이로드와 상기 랙 하우징의 외주에 각각 결합되는 양단의 내주면에 오목한 링 형상의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은,
    상기 벨로우즈들의 방향측과 상기 랙 하우징의 중심 방향측 양단으로부터 파지단이 각각 돌출 형성되며,
    상기 파지단은,
    상기 씰링부재의 외주를 양 방향에서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시스템의 벨로우즈 체결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벨로우즈들의 양단에는,
    가압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스틸 밴드가 더 결합되며,
    상기 스틸 밴드는,
    상기 벨로우즈들의 양단에 결합시 상기 씰링부재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시스템의 벨로우즈 체결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은,
    상기 씰링부재의 외주가 암수로 대응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시스템의 벨로우즈 체결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과 상기 씰링부재의 외주는,
    타원 또는 반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시스템의 벨로우즈 체결구조.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설치홈은,
    바닥면이 수평하게 형성되고, 상기 랙 하우징의 좌우 방향을 향하는 양측 벽면이 수직하게 형성되며,
    상기 씰링부재의 내주는,
    상기 설치홈과 대응되는 다각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시스템의 벨로우즈 체결구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씰링부재의 내주에는,
    수직 방향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설치홈의 바닥면으로 절첩됨과 동시에, 상기 설치홈의 양측 벽면으로 길이가 신장되는 절첩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시스템의 벨로우즈 체결구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절첩부는,
    상기 벨로우즈들의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설치홈의 바닥면에 밀착되며, 압축시 상기 설치홈의 일측 벽면으로 길이가 신장되는 제1절첩단 및,
    상기 제1절첩단과 대응되도록 상기 랙 하우징의 중심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설치홈의 바닥면에 밀착되며, 압축시 상기 설치홈의 타측 벽면으로 길이가 신장되는 제2절첩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시스템의 벨로우즈 체결구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씰링부재의 좌우면에는,
    상기 제1절첩단 및 상기 제2절첩단이 수직 방향으로 절첩될 수 있도록 경사면이 더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은,
    상기 제1절첩단 및 상기 제2절첩단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시스템의 벨로우즈 체결구조.
KR1020140143613A 2014-10-22 2014-10-22 차량용 스티어링 시스템의 벨로우즈 체결구조 KR102208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3613A KR102208829B1 (ko) 2014-10-22 2014-10-22 차량용 스티어링 시스템의 벨로우즈 체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3613A KR102208829B1 (ko) 2014-10-22 2014-10-22 차량용 스티어링 시스템의 벨로우즈 체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7325A KR20160047325A (ko) 2016-05-02
KR102208829B1 true KR102208829B1 (ko) 2021-01-28

Family

ID=56021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3613A KR102208829B1 (ko) 2014-10-22 2014-10-22 차량용 스티어링 시스템의 벨로우즈 체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882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55736A (ja) 2000-06-14 2001-12-26 Denso Corp 加圧された二酸化炭素用のシール装置
JP2002295683A (ja) * 2001-03-28 2002-10-09 Nok Corp あり溝用シール
JP2008230517A (ja) 2007-03-22 2008-10-02 Showa Corp 舵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4873U (ko) * 1986-06-30 1988-01-13
KR970005005Y1 (ko) * 1991-10-12 1997-05-22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엔진에 있어서 누유를 방지하기 위한 실린더헤드의 가스킷 삽입구조
KR20120139964A (ko) * 2011-06-20 2012-12-28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의 랙 피니언 방식 조향장치
KR101764936B1 (ko) * 2012-12-24 2017-08-04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의 조향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55736A (ja) 2000-06-14 2001-12-26 Denso Corp 加圧された二酸化炭素用のシール装置
JP2002295683A (ja) * 2001-03-28 2002-10-09 Nok Corp あり溝用シール
JP2008230517A (ja) 2007-03-22 2008-10-02 Showa Corp 舵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7325A (ko) 2016-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57807B (zh) 具有活塞杆保护的活塞气缸机组
JP6165212B2 (ja) 空気ばねハイブリッドピストンアッセンブリ
WO2008037256A3 (en) Rotary ultrasonic sealer
US9360111B2 (en) Piston-cylinder unit
US1693839A (en) Method of jointing tubular members
JP2016061442A (ja) 空気ばね用の接合されたガイドチューブ及びベローアセンブリ
CN103847786B (zh) 用于车辆的双壁圆顶密封件
KR102208829B1 (ko) 차량용 스티어링 시스템의 벨로우즈 체결구조
JP2019536693A (ja) ステアリングケーシングのベローズ内部で保護された弾性減衰部を備えるステアリングタイロッド
EP1503115A1 (en) Boot structure fitting for mechanical joint
CN105257926B (zh) 可调节密封口径的管密封件及其密封方法
KR101556203B1 (ko) 자동차의 조향장치
US20140265323A1 (en) Joint device for corrugated pipe
JP5022996B2 (ja) 折りたたみ式クリップ
JP6207310B2 (ja) ダストカバー
KR101476705B1 (ko) 차량용 조향시스템의 벨로우즈 구조
KR20020019193A (ko) 조인트 샤프트의 완충장치
WO2014124712A3 (en) Millable plugging device
KR100738433B1 (ko) 차량용 스티어링 시스템의 벨로우즈 체결구조
KR100738442B1 (ko) 차량용 스티어링 시스템의 벨로우즈 씰링구조
JP2019078309A (ja) ブーツの取付構造
KR101764936B1 (ko) 자동차의 조향장치
KR100764209B1 (ko) 벨로우즈
CN102221064A (zh) 一种防漏油液压阻尼衬套及其制造方法
KR101579602B1 (ko) 차량용 조향시스템의 벨로우즈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