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8606B1 - A wheelchair using in combination with walking assistant robot - Google Patents

A wheelchair using in combination with walking assistant robo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8606B1
KR102208606B1 KR1020180106804A KR20180106804A KR102208606B1 KR 102208606 B1 KR102208606 B1 KR 102208606B1 KR 1020180106804 A KR1020180106804 A KR 1020180106804A KR 20180106804 A KR20180106804 A KR 20180106804A KR 102208606 B1 KR102208606 B1 KR 1022086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chair
user
brace
walking
walking ass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68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29069A (en
Inventor
김종배
Original Assignee
김종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배 filed Critical 김종배
Priority to KR1020180106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8606B1/en
Publication of KR20200029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906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8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860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61G5/1059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61G5/1075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tilting the whole seat backwa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91Cushions, seats or abduc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the 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4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pelvis or butto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7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lower le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8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f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2Cru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2003/007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secured to the patient, e.g. with be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애인이 혼자서 사용이 가능한 보행 보조 로봇 병용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 시트와, 상기 시트의 뒤쪽에 설치되는 등받이와, 상기 시트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바퀴가 구비된 휠체어 및 상기 휠체어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사용자의 허벅지에 결합되는 허벅지 브레이스와, 상기 허벅지 브레이스의 상부에 사용자의 엉덩이 관절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가능한 고관절부에 의해 연결되며 전원부와 제어부가 구비된 전장부와, 상기 허벅지 브레이스의 하부에 사용자의 슬관절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회전가능한 슬관절부에 의해 연결된 종아리 브레이스와, 상기 종아리 브레이스의 하부에 사용자의 발이 안착되는 족저받침이 구비된 보행 보조 로봇을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heelchair for use with a walking assistance robot that can be used by a disabled person alone, comprising a seat, a backrest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seat, a wheelchair provided with a pair of wheels rotatably installed under the seat, and A thigh brace that is provided to be detachable from the wheelchair and is coupled to the user's thigh, and an electric unit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thigh brace by a hip joint that is rotatabl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user's hip joint, and equipped with a power supply and a control unit And a calf brace connected to a lower part of the thigh brace by a knee joint part rotatable in response to movement of a user's knee joint, and a walking assistance robot provided with a plantar support on which the user's foot is seated under the calf brace.

Description

보행 보조 로봇 병용 휠체어{A WHEELCHAIR USING IN COMBINATION WITH WALKING ASSISTANT ROBOT}Wheelchair for walking assist robot {A WHEELCHAIR USING IN COMBINATION WITH WALKING ASSISTANT ROBOT}

본 발명은 장애인이 혼자서 사용이 가능한 보행 보조 로봇 병용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heelchair for use with a walking assistance robot that can be used by a disabled person alone.

일반적으로 보행 보조 로봇 기술은 보행이 불편한 환자나 노약자의 재활을 돕거나 거동을 보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수단이다. 이러한, 보행 보조 로봇은 삶의 질과 복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현대사회가 노령화 사회로 진입해 감에 따라 점차 연구개발이 활발해지는 추세에 있다.In general, walking assist robot technology is a means used to assist the rehabilitation or movement of patients or elderly people who are inconvenient to walk. As the interest in quality of life and welfare increases and modern society enters an aging society,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hese walking assist robots are on the rise.

현재까지는 많은 로봇 개발자들에 의해 보행 보조 로봇의 성능에 대해 성공적인 결과들이 도출되고 있지만, 여전히 일상생활에 사용할 수 있도록 상용화된 제품은 전혀 없으며, 병원에서 재활을 위한 의학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에 따라, 보행 보조 로봇을 개인이 일상생활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많은 개선이 이루어져야 하는 실정이다.Until now, many robot developers have been drawing successful results about the performance of walking aid robots, but there are still no commercialized products for use in everyday life, and most of them are used for medical purposes for rehabilitation in hospitals. Accordingly, in order for individuals to use the walking assistance robot in their daily life, many improvements must be made.

특히, 장애인의 경우 이동의 대부분을 휠체어를 타고 이동하는게 일반적이다. 이 경우, 보행을 위하여 보행 보조 로봇을 별도로 소지하고 다니며 필요시에 장착을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In particular, it is comm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o move in a wheelchair for most of their movement. In this case, there is an inconvenience of carrying a walking assistant robot separately for walking, and installing it when necessary.

또한, 현재 상용화되거나 개발되고 있는 모든 보행 보조 로봇은 입고 벗을 때 장애인 또는 노약자가 스스로 할 수가 없어 누가 도와주어야 하며 걷다가 힘이 들거나 위험할 때 누가 잡아주거나 앉게 해주어야 하기 때문에 일상생활에서 혼자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all of the walking aid robots currently commercialized or developed can not be used alone in everyday life because the disabled or the elderly cannot do it themselves when putting on and taking off, and someone has to help when walking is difficult or dangerous   because someone has to hold or sit down while walking. there is a problem.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869968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869968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은 휠체어를 사용하는 하반신 마비 장애인이 휠체어와 별도로 보행 보조 로봇을 소지해야하는 번거로움을 줄이고, 일상생활에서 장애인이 혼자서도 재활과 자유롭게 활동하기 위한 보행 보조 로봇 병용 휠체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a walking assistance robot for reducing the hassle of having a paraplegic disabled person using a wheelchair have a walking assistance robot separately from a wheelchair, and for rehabilitation and free activities of the disabled person alone in daily lif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combined wheelchair.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로봇 병용 휠체어는 시트와, 상기 시트의 뒤쪽에 설치되는 등받이와, 상기 시트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바퀴가 구비된 휠체어 및 상기 휠체어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사용자의 허벅지에 결합되는 허벅지 브레이스와, 상기 허벅지 브레이스의 상부에 사용자의 엉덩이 관절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가능한 고관절부에 의해 연결되며 전원부와 제어부가 구비된 전장부와, 상기 허벅지 브레이스의 하부에 사용자의 슬관절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회전가능한 슬관절부에 의해 연결된 종아리 브레이스와, 상기 종아리 브레이스의 하부에 사용자의 발이 안착되는 족저받침이 구비된 보행 보조 로봇을 포함한다. A wheelchair for a walking aid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with a seat, a backrest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seat, and a pair of wheels rotatably installed under the seat. It is provided to be detachable to the wheelchair and the wheelchair, and is connected to a thigh brace coupled to the user's thigh, and a hip joint portion rotatabl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user's hip joint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high brace, and equipped with a power supply unit and a control unit. Includes a walking aid robot having a full length part, a calf brace connected by a knee joint part rotatable in response to a movement of a user's knee joint under the thigh brace, and a plantar support on which the user's foot is seated under the calf brace do.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로봇 병용 휠체어는 사용자가 보행 보조 로봇이 결합된 휠체어에 앉은 상태로 보행 보조 로봇을 착용하고, 사용자가 일어서 이동하는 경우 보행 보조 로봇이 휠체어와 쉽게 분리됨으로써, 휠체어를 사용하는 하반신 마비 장애인이 휠체어와 별도로 보행 보조 로봇을 소지하고 다닐 필요가 없으며, 타인의 도움 없이 스스로 재활과 자유로운 활동이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wheelchair for use with a walking assistance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lking assistance robot is worn while the user is seated in a wheelchair combined with the walking assistance robot, and when the user stands up and moves, the walking assistance robot and the wheelchair By being easily separated, the paraplegic disabled person using a wheelchair does not need to carry a walking aid robot separate from the wheelchair, and can perform self-rehabilitation and free activities without the help of other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로봇 병용 휠체어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로봇을 착용한 사용자가 휠체어에서 일어나 보행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시트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장부와 사용자 추종부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로봇 병용 휠체어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로봇을 착용한 사용자가 휠체어에서 일어나 보행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1 is a view showing a wheelchair for a walking assistance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user wearing a walking assistance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ises from a wheelchair and walks.
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sheet of Figure 1;
4 is a view showing an electric device and a user foll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wheelchair for use with a walking aid robo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user wearing a walking assistance robo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ises from a wheelchair and walk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기술 등은 첨부되는 도면들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함과 더불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echnique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described later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In addition to making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Meanwhil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also includes the plural form unless specifically stated in the phrase. As used in the specification,'comprise' and/or'comprising' means that the recited component, step, operation and/or element is one or more other elements, steps, operations, and/or the presence of elements. Or does not exclude additions.

부가적으로, 각 도면에 걸쳐 표시된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본 발명의 설명된 실시예의 논의를 불필요하게 불명료하도록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공지된 특징 및 기술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dicated throughout each drawing refer to the same elements,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eatures and techniques may be omitted to avoid unnecessarily obscuring the discussion of the 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로봇 병용 휠체어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로봇을 착용한 사용자가 휠체어에서 일어나 보행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시트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장부와 사용자 추종부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wheelchair for use with a walking assistance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user wearing a walking assistance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ises from a wheelchair and walks. 3 is a view showing the sheet of FIG. 1, and FIG. 4 is a view showing an electric device and a user foll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로봇 병용 휠체어는 휠체어(100) 및 보행 보조 로봇(200)를 포함한다. 1 and 2, a wheelchair for use with a walking assistance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heelchair 100 and a walking assistance robot 200.

상기 휠체어(100)는 사용자의 엉덩이가 안착되는 시트(110)와, 상기 시트(110)의 뒤쪽에 설치되는 등받이(120)와, 상기 시트(11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바퀴(130) 및 상기 바퀴(130)의 앞쪽에 배치되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보조 바퀴(140)가 구비될 수 있다. The wheelchair 100 includes a seat 110 on which the user's buttocks are seated, a backrest 120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seat 110, and a pair of rotatably installed under the seat 110 A wheel 130 and a pair of auxiliary wheels 140 disposed in front of the wheel 130 and rotatably installed may be provided.

한편, 상기 휠체어(100)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바퀴(130)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도면 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는 모터일 수 있으며, 회전력을 발생시켜 바퀴(130)를 구동시킬 수 있다. 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wheelchair 100 may be provided with a driving unit (not shown) for driving the wheel 130. Here, the driving unit may be a motor, and may drive the wheel 130 by generating a rotational force.

또한, 상기 휠체어(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행 보조 로봇(200)를 착용한 사용자를 추적하여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사용자 추종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heelchair 100 may further include a user follower 150 to automatically move by tracking a user wearing the walking assistance robot 200, as shown in FIG. 4.

여기서, 상기 사용자 추종부(150)는 위치신호를 수신하는 위치신호 수신부(151) 및 상기 위치신호를 추적하여 사용자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동부를 구동시키는 추적부(152)가 구비될 수 있다. Here, the user following unit 150 may include a location signal receiving unit 151 for receiving a location signal and a tracking unit 152 for driving a driving unit to follow the user by tracking the location signal.

이때, 상기 위치신호 수신부(151)는 후술되는 전장부(230)에 구비된 위치신호 발생부(233)로부터 위치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위치신호 수신부(151)는 미리 설정된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RFID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RFID리시버, GPS신호를 수신하는 GPS수신기 등일 수 있다. In this case, the position signal receiving unit 151 may receive a position signal from the position signal generating unit 233 provided in the electric device 230 to be described later. For example, the location signal receiver 151 may be an antenna for receiving a signal of a preset frequency band, an RFID receiver for receiving RFID information, a GPS receiver for receiving a GPS signal, or the like.

또한, 상기 추적부(152)는 위치신호를 추적하여 사용자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동부를 구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추적부(152)는 수신되는 위치신호를 토대로 보행 보조 로봇(200)의 위치를 추적하고, 추적된 정보에 따라 구동부를 구동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보행 보조 로봇(200)를 착용한 사용자가 휠체어(100)에서 따로 떨어져 보행하는 경우, 추적부(152)가 보행 보조 로봇(200)의 위치를 추적하여 구동부를 구동시킴으로써, 휠체어(100)는 자동으로 주행하여 보행하는 사용자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tracking unit 152 may drive the driving unit to follow the user by tracking the position signal. Specifically, the tracking unit 152 tracks the position of the walking assist robot 200 based on the received position signal, and drives the driving unit according to the tracked information. Accordingly, when a user wearing the walking assistance robot 200 walks apart from the wheelchair 100, the tracking unit 152 tracks the position of the walking assistance robot 200 and drives the driving unit, thereby driving the wheelchair 100 ) Will automatically drive and move along with the walking user.

한편, 상기 휠체어(100)의 등받이(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전장부(210)가 착탈이 가능하도록 전장부 결합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장부 결합부(121)는 보행 보조 로봇(200)를 착용한 사용자가 휠체어(100)에 착석하는 경우 사용자의 허리 뒤쪽에 배치된 전장부(210)가 수용되도록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2, the backrest 120 of the wheelchair 100 may have an electric length coupling part 121 so that the electric length 21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detachable. Here, when the user wearing the walking assistance robot 200 is seated in the wheelchair 100, the electric unit coupling unit 121 may be formed in a groove shape so that the electric unit 210 disposed behind the user’s waist is accommodated. I can.

상기 보행 보조 로봇(200)는 상기 휠체어(100)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walking assistance robot 200 may be provid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wheelchair 100.

여기서, 상기 보행 보조 로봇(2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하지부분에 착용되는 것으로, 전장부(210), 허벅지 브레이스(220), 고관절부(221), 종아리 브레이스(230), 슬관절부(231) 및 족저받침(240)을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walking assistance robot 200, as shown in Figs. 1 and 2, is worn on the lower extremity of the user, and the full length part 210, the thigh brace 220, the hip joint part 221, the calf A brace 230, a knee joint part 231, and a plantar support 240 may be included.

한편, 상기 보행 보조 로봇(200)는 상기 고관절부(221)와 슬관절부(231)에는 허벅지 브레이스(220)와 종아리 브레이스(230)의 회전 구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도면 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walking assist robot 200 includes a motor (not shown) that provides a driving force for rotational driving of the thigh brace 220 and the calf brace 230 in the hip joint part 221 and the knee joint part 231. It can be provided.

상기 전장부(210)는 사용자의 허리 뒤쪽에 구비될 수 있으며, 보행 보조 로봇(200)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11)와 보행 보조 로봇(2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212) 및 보행 보조 로봇(200)의 위치를 알려주는 위치신호 발생부(213)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위치신호 발생부(213)는 미리 설정된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기, RFID정보를 전송하는 RFID태크, GPS신호를 수신하여 전송하는 GPS신호 전송기일 수 있다. The electric device 210 may be provided at the back of the user's waist, and a power supply unit 211 for supplying power to the walking assistance robot 200 and a control unit 212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walking assist robot 200 and a walking A position signal generator 213 may be provided to inform the position of the auxiliary robot 200. In this case, the location signal generator 213 may be a signal generator that generates a signal of a preset frequency band, an RFID tag that transmits RFID information, and a GPS signal transmitter that receives and transmits a GPS signal.

한편, 상기 전장부(210)는 사용자의 양측면 방향으로 연장되고, 사용자의 허벅지에 대응되는 허벅지 브레이스(220)가 고관절부(221)를 통해 연결된다. 이때, 고관절부(221)는 허벅지 브레이스(220)의 상부에 사용자의 엉덩이 관절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가능게 연결될 수 있다. Meanwhile, the electric length part 210 extends in the direction of both sides of the user, and the thigh brace 220 corresponding to the user's thigh is connected through the hip joint part 221. In this case, the hip joint portion 221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thigh brace 220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hip joint of the user.

또한, 상기 허벅지 브레이스(220)의 하부에는 사용자의 종아리에 대응되는 종아리 브레이스(230)가 슬관절부(231)를 통해 연결된다. 이때, 슬관절부(231)는 허벅지 브레이스(220)의 하부와 종아리 브레이스(240)의 상부에 사용자의 슬관절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In addition, a calf brace 230 corresponding to a user's calf is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thigh brace 220 through a knee joint part 231. In this case, the knee joint portion 231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thigh brace 22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calf brace 240 in response to the movement of the user's knee joint.

아울러, 상기 종아리 브레이스(240)의 하부에는 사용자의 발이 안착되는 족저받침(240)이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a plantar support 240 on which a user's foot is seated may be provided under the calf brace 240.

한편, 상기 보행 보조 로봇(200)는 전장부(210)와, 허벅지 브레이스(220) 및 종아리 브레이스(230)에는 각각 사용자의 하지에 체결되는 체결부(250)가 구비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walking assist robot 200 may be provided with a front part 210 and a fastening part 250 that is fastened to the user's lower limb, respectively, in the thigh brace 220 and the calf brace 230.

또한, 상기 보행 보조 로봇(200)는 사용자의 팔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보행시 사용자를 지지할 수 있도록 클러치(26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클러치(260)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접철식 또는 텔레스코픽 형테로 형성되어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휠체어(100)에 탈착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휠체어(100)의 팔걸이 형태로 결합되거나, 등받이(120)이 후면에 탈착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alking assist robot 200 may be provided with a clutch 260 so as to be coupled to the user's arm to support the user when the user walks. Her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clutch 260 may be formed in a foldable or telescopic frame to adjust its length, and may be coupled to the wheelchair 100 so as to be detachable. For example, it may be combined in the form of an armrest of the wheelchair 100, or the backrest 120 may be combined to be detachable to the rear.

이러한 보행 보조 로봇(200)을 착용한 사용자는 정상 보행에 필요한 동력을 보행 보조 로봇(200)로부터 보조받으며, 정상인의 보행과 유사한 보행을 할 수 있게 된다.A user wearing such a walking assistance robot 200 receives power required for normal walking from the walking assistance robot 200, and can walk similar to that of a normal person.

한편, 상기 휠체어(100)의 시트(110)는 사용자가 보행 보조 로봇(200)을 착용한 상태로 착석하는 경우, 동일한 위치에 동일한 자세로 않을 수 있도록 보행 보조 로봇(200)을 착용하고 착석한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행 보조 로봇(200)을 착용한 사용자가 보행 후 휠체어(100)에 다시 착석하는 경우 정확한 위치에 착석하여 보행 보조 로봇(200)이 휠체어(100)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seat 110 of the wheelchair 100 is seated while wearing the walking assistance robot 200, the walking assistance robot 200 is worn and seated so that the user may not be in the same posture at the same position. It may be formed to be curv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Accordingly, when the user wearing the walking assistance robot 200 is seated in the wheelchair 100 again after walking, the walking assistance robot 200 can be easily coupled to the wheelchair 100 by seating at an accurate position.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110)의 골곡진 부분 중 사용자가 시트(110)에 착석할 시 압력이 집중되는 영역과 체결부(250)가 위치하는 영역에는 음각(112, 113)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시트(110)에 착석하는 경우 사용자의 신체 형상에 따라 압력이 집중되는 영역에 음각(112)을 형성하여 시트(110)에 압력이 집중되는 사용자의 신체부분이 접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허벅지에 허벅지 브레이스(220)를 고정하는 체결부(250)가 시트(110)와 허벅지 사이에 있어서 욕창을 유발할 수 있는데, 체결부(250)가 음각(113) 부분으로 들어가 사용자가 시트(110)에 안착시 시트(110)의 표면에 압력이 골고루 분포될 수 있게 함으로써, 장시간 휠체어에 앉아 있어도 피부 손상이 없게 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3, in the region where the pressure is concentrated when the user sits on the seat 110 among the corrugated portions of the seat 110 and the region where the fastening part 250 is located, an intaglio 112, 113) can be formed. Specifically, when the user is seated on the seat 110, the intaglio 112 is formed in the area where the pressure is concentrat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user's body so that the user's body part where the pressure is concentrated on the seat 110 does not come into contact. I can. In addition, the fastening part 250 fixing the   thigh brace 220 to the user's thigh may cause bedsores between the seat 110 and the thigh, but the fastening part 250 enters the intaglio 113 By allowing the pressure to be evenly distributed on the surface of the seat 110 when seated on the seat 110, there is no skin damage even when sitting in a wheelchair for a long time.

또한, 상기 휠체어(100)의 시트(110)는 사용자가 휠체어(100)의 승하차시 시트(110)를 승하강하는 승하강부(도면 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승하강부는 유압 또는 전기 실린더, 모터 등의 액추에이터 일 수 있으며, 시트(110)를 승하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보행을 위해 시트(110)에서 일어서는 경우 족저받침(240)이 바닥에 닿도록 승하강부는 시트(110)를 하강시키고, 사용자가 휠체어(100)을 이용하여 이동하는 경우 사용자가 시트(110)에 앉은 후 족저받침(240)이 바닥에 닿지 않도록 승하강부는 시트(110)를 승강시키게 된다. In addition, the seat 110 of the wheelchair 100 may further include an elevating unit (not shown)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seat 110 when the user gets on or off the wheelchair 100. Here, the elevating portion may be an actuator such as a hydraulic or electric cylinder, or a motor, and may elevate and descend the seat 110. Specifically, when the user stands on the seat 110 for walking, the elevating portion lowers the seat 110 so that the plantar support 240 touches the floor, and the user moves using the wheelchair 100 After sitting on the seat 110, the elevating portion lifts the seat 110 so that the plantar support 240 does not touch the floor.

한편, 상기 휠체어(100)의 시트(110)는 사용자가 휠체어(100)의 승하차시 시트(110)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기울기조절부(도면 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보행을 위해 시트(110)에서 일어서는 경우 족저받침(240)이 바닥에 닿도록 기울기조절부는 시트(110)를 앞쪽으로 기울이고, 사용자가 휠체어(100)을 이용하여 이동하는 경우 사용자가 시트(110)에 앉은 후 족저받침(240)이 바닥에 닿지 않도록 기울기조절부는 시트(110)를 뒤쪽으로 기울이게 된다. Meanwhile, the seat 110 of the wheelchair 100 may further include a tilt adjustment unit (not shown) that adjusts the tilt of the seat 110 when the user gets on or off the wheelchair 100. Specifically, when the user stands on the seat 110 for walking, the tilt adjustment unit tilts the seat 110 forward so that the plantar support 240 touches the floor, and the user moves using the wheelchair 100 After the user sits on the seat 110, the tilt adjustment unit tilts the seat 110 to the rear so that the plantar support 240 does not touch the floor.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로봇 병용 휠체어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로봇을 착용한 사용자가 휠체어에서 일어나 보행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 wheelchair for use with a walking assistance robo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user wearing the walking assistance robo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ises from the wheelchair and walks. It is a drawing.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휠체어(100)는 허벅지 브레이스(220)가 착탈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허벅지 브레이스 결합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5 and 6, the wheelchair 100 may further include a thigh brace coupling unit 160 formed to allow the thigh brace 220 to be detachably attached.

여기서, 상기 허벅지 브레이스 결합부(160)는 시트(110)의 양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행 보조 로봇(200)을 착용한 사용자가 휠체어(100)에 착석하는 경우 허벅지 브레이스(220)가 허벅지 브레이스 결합부(160)의 내측면에 고정 결합될 수 있으며, 보행 보조 로봇(200)을 착용한 사용자가 휠체어(100)에서 일어나는 경우 허벅지 브레이스(220)가 허벅지 브레이스 결합부(16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허벅지 브레이스(220)가 허벅지 브레이스 결합부(160)에 고정 결합되면 사용자의 허벅지가 벌어지는 등의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다. Here, the thigh brace coupling portions 160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heet 110. Specifically, when a user wearing the walking assistance robot 200 is seated in the wheelchair 100, the thigh brace 220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thigh brace coupling unit 160, and the walking assistance robot 200 ), when the user who wears it occurs in the wheelchair 100, the thigh brace 220 may be separated from the thigh brace coupling portion 160. In this case, when the thigh brace 220 is fixedly coupled to the thigh brace coupling unit 160, it is possible to prevent movement such as the user's thigh open.

예컨대, 상기 허벅지 브레이스 결합부(160)와 허벅지 브레이스(220)의 결합은 허벅지 브레이스 결합부(160)에 형성된 홈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허벅지 브레이스(220)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되거나, 허벅지 브레이스 결합부(160)를 관통하여 허벅지 브레이스(220)에 결합되는 볼트부재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or example, in the coupling of the thigh brace coupling part 160 and the thigh brace 220, the thigh brace 220 slides into a groove formed in the thigh brace coupling part 160 in a slide manner, or It may be coupled through a bolt member that penetrates through 160 and is coupled to the thigh brace 220.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상기 사용자가 보행 보조 로봇(200)을 착용하고 휠체어(100)에 착석하는 경우, 족저받침(240)이 바닥에 닿지 않도록 보행 보조 로봇(200)이 휠체어(100)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조 바퀴(140)의 앞쪽에는 종아리 브레이스(230)가 착탈이 가능하도록 종아리 브레이스 결합부(17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보행 보조 로봇(200)을 착용하고 휠체어(100)에 착석하는 경우 종아리 브레이스(230)가 종아리 브레이스 결합부(170)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wears the walking assistance robot 200 and sits on the wheelchair 100, the walking assistance robot 200 may be coupled to the wheelchair 100 so that the plantar support 240 does not touch the floor. Specifically, a calf brace coupling unit 170 may be formed in the front of the auxiliary wheel 140 so that the calf brace 230 is detachable, and the user wears the walking assist robot 200 and is attached to the wheelchair 100 When seated, the calf brace 230 may be coupled to and fixed to the inner side of the calf brace coupling unit 170.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로봇 병용 휠체어는 휠체어(100)에 보행 보조 로봇(20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휠체어를 사용하는 하반신 마비 장애인이 휠체어와 별도로 보행 보조 로봇을 소지하고 다닐 필요가 없다. Accordingly, as described above, in the wheelchair for the walking assistance robo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lking assistance robot 20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wheelchair 100, so that the paraplegic disabled person using the wheelchair walks separately from the wheelchair. There is no need to carry an auxiliary robot.

아울러, 사용자가 보행 보조 로봇(200)이 결합된 휠체어(100)에 착석하고 체결부(250)를 체결함으로써, 타인의 도움 없이 스스로 보행 보조 로봇(200)을 착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seating in the wheelchair 100 to which the walking assistance robot 200 is coupled and fastening the fastening part 250, the user can wear the walking assistance robot 200 by himself without the help of others.

또한, 보행 보조 로봇(200)이 휠체어(100)와 탈착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사용자가 일어서 이동하는 경우 휠체어(100)에서 보행 보조 로봇(200)이 쉽게 분리되어 사용자가 보행을 할 수 있으므로, 장애인 혼자 재활과 자유로운 활동이 가능하다. In addition, since the walking assistance robot 200 is detachably coupled with the wheelchair 100, when the user stands up and moves, the walking assistance robot 200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wheelchair 100 so that the user can walk, Rehabilitation and free activities are possible alone.

그리고, 휠체어(100)의 사용자 추종부(150)를 통해 보행 보조 로봇(200)를 착용한 사용자를 추적하여 자동으로 이동함으로써, 사용자가 보행 중 앉고 싶을 때 언제든지 바로 앉을 수 있어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tracking and automatically moving the user wearing the walking assistance robot 200 through the user follower 150 of the wheelchair 100, it is possible to provide convenience because the user can sit immediately whenever he wants to sit while walking. have.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하는'으로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소자 및 장치의 존재 또는 추가를 의미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also includes the plural form unless specifically stated in the phrase. In addition, components, steps, actions, and elements referred to as'comprising' or'comprising' as used herein mean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steps, actions, elements and devices.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명세서를 통해 개시된 모든 실시예들과 조건부 예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독자가 본 발명의 원리와 개념을 이해하도록 돕기 위한 의도로 기술된 것으로, 당업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So far,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looked at around its preferred embodiments. All embodiments and conditional examples disclosed through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described with the intention of helping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to understand the principles and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disclosed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from a descriptive point of view rather than a limiting point of view.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00 : 휠체어 110 : 시트
120 : 등받이 130 : 바퀴
140 : 보조 바퀴 150 : 사용자 추종부
151 : 위치신호 수신부 152 : 추적부
160 : 허벅지 브레이스 결합부 170 ; 종아리 브레이스 결합부
200 : 보행 보조 로봇 210 : 전장부
211 : 전원부 212 : 제어부
213 : 위치신호 발생부 220 : 허벅지 브레이스
221 : 고관절부 230 : 종아리 브레이스
231 : 슬관절부 240 : 족저받침
250 : 체결부
100: wheelchair 110: seat
120: back 130: wheels
140: auxiliary wheel 150: user follower
151: position signal receiving unit 152: tracking unit
160: thigh brace coupling part 170; Calf brace joint
200: walking assist robot 210: electric unit
211: power supply unit 212: control unit
213: position signal generator 220: thigh brace
221: hip joint 230: calf brace
231: knee joint part 240: plantar support
250: fastening part

Claims (10)

시트와, 상기 시트의 뒤쪽에 설치되는 등받이와, 상기 시트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바퀴가 구비된 휠체어; 및
상기 휠체어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사용자의 허벅지에 결합되는 허벅지 브레이스와, 상기 허벅지 브레이스의 상부에 사용자의 엉덩이 관절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가능한 고관절부에 의해 연결되며 전원부와 제어부가 구비된 전장부와, 상기 허벅지 브레이스의 하부에 사용자의 슬관절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회전가능한 슬관절부에 의해 연결된 종아리 브레이스와, 상기 종아리 브레이스의 하부에 사용자의 발이 안착되는 족저받침이 구비된 보행 보조 로봇;를 포함하되,
상기 휠체어는
상기 시트의 양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허벅지 브레이스가 착탈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허벅지 브레이스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시트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보행 보조 로봇을 착용한 상태로 착석하는 경우, 일정한 위치에 앉을 수 있도록 상기 보행 보조 로봇을 착용하고 착석한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되되, 압력이 집중되는 영역과, 상기 허벅지 브레이스를 고정하는 체결부와 대응되는 영역에 상기 사용자의 신체와 상기 체결부가 접촉되지 않고, 상기 사용자가 안착시 압력이 골고루 분포될 수 있도록 음각이 형성되는 보행 보조 로봇 병용 휠체어.
A wheelchair having a seat, a backrest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seat, and a pair of wheels rotatably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eat; And
A thigh brace that is provided to be detachable from the wheelchair and is coupled to the user's thigh, and an electric part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thigh brace by a hip joint that is rotatabl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user's hip joint, and equipped with a power supply and a control And, a walking assistance robot provided with a calf brace connected by a knee joint portion rotatable in response to the movement of the user's knee joint under the thigh brace, and a plantar support on which the user's foot is seated under the calf brace; ,
The above wheelchair
It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heet, further comprising a thigh brace coupling portion formed so that the thigh brace is detachable,
The sheet is
When the user is seated while wearing the walking assistance robot, it is formed to be bent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in which the walking assistance robot is worn and seated so that the user can sit in a certain position, the area where pressure is concentrated, and the A wheelchair for use with a walking aid robot in which an intaglio is formed so that the user's body and the fastening part are not in contact with the fastening part for fixing the thigh brace, and the pressure is evenly distributed when the user is sea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부는 위치신호를 전송하는 위치신호 발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휠체어는 상기 위치신호를 수신하는 위치신호 수신부 및 상기 위치신호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하여 상기 사용자를 따라 이동시키는 추적부가 구비된 사용자 추종부를 더 포함하는 보행 보조 로봇 병용 휠체어.
The method of claim 1,
The electric device further includes a location signal generator for transmitting a location signal,
The wheelchair further comprises a user following unit provided with a location signal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location signal and a tracking unit for tracking the location of the user based on the location signal and moving along the us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는
상기 전장부가 착탈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전장부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보행 보조 로봇 병용 휠체어.
The method of claim 1,
The backrest
A wheelchair for use with a walking assistance robot further comprising an electric-length coupling portion formed so that the electric-length portion is detachabl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아리 브레이스가 착탈이 가능하도록 상기 휠체어의 앞쪽에 종아리 브레이스 결합부가 형성되어 상기 사용자가 상기 보행 보조 로봇을 착용하고 상기 휠체어에 착석하는 경우, 상기 족저받침이 바닥에 닿지 않도록 결합되는 보행 보조 로봇 병용 휠체어.
The method of claim 1,
A calf brace coupling part is formed in front of the wheelchair so that the calf brace is detachable, so that when the user wears the walking assistance robot and sits in the wheelchair, the walking assistance robot is combined so that the plantar support does not touch the floor bathchai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 보조 로봇은
상기 사용자의 보행시 상기 사용자의 팔을 지지하는 클러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클러치는 상기 휠체어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보행 보조 로봇 병용 휠체어.
The method of claim 1,
The walking assistance robot
Further comprising a clutch for supporting the user's arm when the user is walking, wherein the clutch is a walking assistance robot combined wheelchair provid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wheelchai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휠체어의 승하차시 상기 시트를 승하강하는 승하강부를 더 포함하는 보행 보조 로봇 병용 휠체어.
The method of claim 1,
A wheelchair for use with a walking aid robot further comprising an elevating unit for elevating and descending the seat when the user gets on or off the wheelchai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휠체어의 승하차시 상기 시트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기울기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보행 보조 로봇 병용 휠체어.
The method of claim 1,
A wheelchair for use with a walking aid robot further comprising a tilt adjustment unit for adjusting the tilt of the seat when the user gets on or off the wheelchair.
KR1020180106804A 2018-09-07 2018-09-07 A wheelchair using in combination with walking assistant robot KR1022086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804A KR102208606B1 (en) 2018-09-07 2018-09-07 A wheelchair using in combination with walking assistant robo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804A KR102208606B1 (en) 2018-09-07 2018-09-07 A wheelchair using in combination with walking assistant robo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9069A KR20200029069A (en) 2020-03-18
KR102208606B1 true KR102208606B1 (en) 2021-01-29

Family

ID=69999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6804A KR102208606B1 (en) 2018-09-07 2018-09-07 A wheelchair using in combination with walking assistant robo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860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09328B (en) * 2021-07-13 2023-06-16 杭州太希智能科技有限公司 Multi-pose rehabilitation four-foot robot adaptable to various complex pavement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9521B1 (en) * 2009-12-24 2011-12-27 한국산재의료원 Wearable walking assistance robot suit
JP2013085716A (en) * 2011-10-18 2013-05-13 Tamachi Kogyo Kk Walking aid chair
KR101788567B1 (en) * 2017-05-22 2017-11-15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Wheelchair equipped the tilting seat unit
KR101800553B1 (en) * 2016-10-04 2017-11-24 엘케이솔루션(주) electric power wheelchair for the old and the infirm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0481B1 (en) * 2001-09-22 2004-05-10 안남기 Chair for posture correction
KR101869968B1 (en) 2016-03-25 2018-06-21 에이치엠에이치 주식회사 Robot for assisting user to walk with lower body exoskelet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9521B1 (en) * 2009-12-24 2011-12-27 한국산재의료원 Wearable walking assistance robot suit
JP2013085716A (en) * 2011-10-18 2013-05-13 Tamachi Kogyo Kk Walking aid chair
KR101800553B1 (en) * 2016-10-04 2017-11-24 엘케이솔루션(주) electric power wheelchair for the old and the infirm
KR101788567B1 (en) * 2017-05-22 2017-11-15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Wheelchair equipped the tilting seat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9069A (en) 2020-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3337529B2 (en) Mobility system including an exoskeleton assembly releasably supported on a wheeled base
US9161871B2 (en) Multiple function patient handling devices and methods
CN110270979B (en) Wearable auxiliary device
KR101368817B1 (en) Walk assist apparatus
US20130253385A1 (en) Motorized exoskeleton unit
EP3539527B1 (en) Controlling position of wearable assistive device depending on operation mode
KR101788567B1 (en) Wheelchair equipped the tilting seat unit
KR101787555B1 (en) Walking assist device implemented the movement of pelvis
JP6152523B2 (en) Prosthesis-mounted motion assist device
JP5841787B2 (en) Wearable motion support device
US6773032B2 (en) Ambulatory apparatus
EP1103242B1 (en) Body support system for patients or the like
KR20170107707A (en) Robot for assisting user to stand up and walk
KR102208606B1 (en) A wheelchair using in combination with walking assistant robot
KR101299351B1 (en) Wheelchair integrated lower-limb exercise/rehabilitation device
KR20160129986A (en) Stand up assistance equipment
CN212214048U (en) Walking aid rehabilitation device
CN111759604A (en) Walking aid rehabilitation device
JP2000232999A (en) Walking helping tool
JP2003284751A (en) Stretching crutch and upright equipment for movement using the crutch
KR20190109183A (en) Power assisting apparatus controlling position depending on mode
KR101656695B1 (en) Gait assistant robot
CN215131861U (en) Indoor wheelchair combined bed for old and weak patients
KR101617682B1 (en) Gait assistive device
JP2000233001A (en) Driving method for walking auxiliary 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