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7508B1 - 가압 유체 절연식 전력 전달 장치를 위한 분해 또는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가압 유체 절연식 전력 전달 장치를 위한 분해 또는 조립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07508B1 KR102207508B1 KR1020187027983A KR20187027983A KR102207508B1 KR 102207508 B1 KR102207508 B1 KR 102207508B1 KR 1020187027983 A KR1020187027983 A KR 1020187027983A KR 20187027983 A KR20187027983 A KR 20187027983A KR 102207508 B1 KR102207508 B1 KR 10220750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tool
- sealing wall
- attachment part
- wal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3/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assembly, or maintenance of boards or switchgear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6—Totally-enclosed installations, e.g. in metal casings
- H02G5/066—Devices for maintaining distance between conductor and enclosure
- H02G5/068—Devices for maintaining distance between conductor and enclosure being part of the junction between two en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Insulating Bodies (AREA)
- Gas-Insulated Switchgears (AREA)
Abstract
봉입 벽(2) 및 봉입 벽(2) 상에 지지되는 부착 부품(8)을 포함하는 가압 유체 절연식 전력 전달 장치(1)에 대한 분해 또는 조립 방법에서, 도구(10)는 부착 부품(8)이 부착/탈착되기 전에 봉입 벽(2)에 대해 위치되고, 안전 구역(11)은 도구(10)가 작동되기 전에 한정되고, 도구(10)는 상기 안전 구역(11) 외부에서 작동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봉입 벽 및 봉입 벽 상에 지지될 수 있는 부착 부품을 갖는 압력 유체 절연식 전력 전달 장치를 위한 분해 또는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 접속 배열이 특허 출원 공개 DE 10 2011 005 700 A1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전기 접속 배열은 봉입 벽 상에 지지되는 상도체 부분의 형태인 부착 부품을 갖는다. 봉입 벽은 전기 절연 부분 및 전기 전도 부분을 갖는다. 상도체 부분은 나사 연결에 의해 봉입 벽의 전기 전도 부분에 고정된다. 봉입 벽은 봉입 벽을 통한 직접적인 접근에 대해 보호한다. 이와 같이, 봉입 벽은 경계를 구성한다. 봉입 벽 상에의 분해/조립 절차는 이에 기계적으로 부하를 가하여, 봉입 벽의 보호 기능이 분해/조립 절차의 결과로서 훼손되게 할 수 있다. 전력 전달 장치의 운용 장소에 따라, 봉입 벽의 보호 기능의 약화에 기인한 환경에 대한 위험은 허용될 수 없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압력 유체 절연식 전력 전달 장치에 대한 조립 절차 중에 환경에 대한 위험의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처음에 언급된 유형의 분해/조립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목적은,
- 연결/분리를 위한 도구가 부착 부품과 봉입 벽을 연결/분리하기 위해 위치되고;
- 도구를 작동시키기 전에, 안전 구역이 규정되고;
- 도구의 작동이 안전 구역 외부에서 발생하는
점에서, 처음에 언급된 유형의 조립 방법에서 달성된다.
압력 유체 절연식 전력 전달 장치는 전력을 전달하도록 기능한다. 이러한 경우에, 전류를 전도시키도록 기능하는 상도체가 압력 유체 절연체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절연된다. 이러한 경우에, 압력 유체 절연체는 봉입 벽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되고, 즉, 압력 유체 절연체는 봉입 벽을 통과할 수 없다. 결과적으로, 압력 유체의 분산이 봉입 벽에 의해 방지된다. 유체 절연체의 가압은 또한 사용되는 유체의 전기 절연 강도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주도록 기능할 수 있다. 적합한 전기 절연 유체는 예를 들어 육불화황, 플루오로니트릴 및 플루오로케톤과 같은 불소 함유 화합물이다. 그러나, 질소, 이산화탄소, 정제된 공기, 청정 공기 등과, 다른 적합한 전기음성 유체가 사용되는 것이 또한 대안적으로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 압력 유체 절연식 전력 전달 장치 내에서 유체는 기체 상태로 또는 액체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요건에 따라서, 전력 전달 장치 내의 유체는 다양한 상태로, 경우에 따라서는 혼합되어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봉입 벽은 압력 유체 밀봉 하우징의 일부일 수 있다.
봉입 벽과 지지 구성요소를 서로에 대해 고정시키는 연결부의 체결 또는 해제는 도구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료 끼워 맞춤식 상호 연결 및/또는 억지 끼워 맞춤식 상호 연결 및/또는 마찰 끼워 맞춤식 상호 연결 또는 추가의 적합한 상호 연결을 확립/종결할 수 있는 장치가 도구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도체의 일 부분 내에서 전류를 안내하도록 기능할 수 있는 상도체 부분이 예를 들어 부착 부품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도체 부분은 상도체의 설치 경로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도체는 또한 봉입 벽 내에서, 가능하게는 봉입 벽을 통해 연장하여, 봉입 벽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필요하다면, 봉입 벽은 그가 일부에서만 유밀식이도록 설계되는 구성이 또한 제공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유체의 운반은 또한 가능하게는 제어 가능한 채널을 거쳐 가능해 진다. 봉입 벽의 유밀 부분은 차등 압력에 견딜 수 있다.
도구의 위치 설정은 부착 부품과 봉입 벽이 서로에 대해 고정되거나 서로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가능케 한다. 도구의 위치 설정은 부착 부품의 봉입 벽으로의 연결 또는 그로부터의 분리가 정확히 실행되는 것을 가능케 하도록 실현된다. 이러한 경우에, 위치 설정은 봉입 벽과 부착 부품 사이의 연결의 상태가 위치 설정 중에 아직 영향을 받지 않는 방식으로 발생한다. 그러므로, 도구의 위험이 없는 위치 설정이, 예를 들어, 안전 구역 내에 위치된 사람을 위험하게 하지 않고서 초기에 가능하다. 부착 부품과 봉입 벽의 연결 또는 분리를 위한 준비는 도구의 위치 설정 후에 또는 그 도중에 이미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사 연결부가 손으로 조여질 수 있다.
봉입 벽의 고장의 경우에, 즉, 그의 파열의 경우에, 예를 들어, 이는 특히 사람 및 재료에 대해 위험을 가할 수 있다. 도구의 설치가 완료된 후에, 사람은 규정된 안전 구역으로부터 벗어난다. 안전 구역은 다양한 방식으로 확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폐쇄된 장벽에 의해 격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장벽은 적당한 저항 강도를 가져야 한다. 예를 들어, 구조적 본체의 벽이 또한 장벽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그러나, 단순히 안전 구역의 시각적 장벽/규격이 적용되는 것 또한 가능할 수 있다. 안전 구역의 치수가 대응적으로 크면, 봉입 벽의 고장의 경우에도, 안전 구역 외부에서 사람 및 재료에 대한 손상이 예상되지 않거나 그에 대한 허용 가능한 수준의 위험만이 예상되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안전 구역을 규정한 후에, 안전 구역 외부의 일정 지점으로부터 도구를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 그러한 작동은, 예를 들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구는 바람직하게는 원격 제어 가능한 도구이다. 요구된다면, 도구의 위치 설정은 이미 원격 제어부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도구의 위치 설정은 봉입 벽 및/또는 부착 부품에 대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봉입 벽 및/또는 부착 부품에 대한 도구의 정렬이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봉입 벽 및/또는 부착 부품은 도구의 정의된 위치의 정렬을 위해 기능하는 대응하는 표지를 가질 수 있다. 도구의 위치는 표지에 따라 규정될 수 있다. 그러므로, 도구의 삼각법 위치 설정이 예를 들어 실행될 수 있다. 표지 및 도구의 설계가 상보적인 형태를 갖는 구성이 제공될 수 있다.
추가의 유리한 실시예는 도구가 부착 부품 및/또는 봉입 벽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하우징의 개방부를 통해 도입되는 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부착 부품 및/또는 봉입 벽은 하우징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봉입 벽은 봉입 벽이 하우징과 추가의 하우징 사이에서 분리 장벽을 구성하도록, 하우징 및 추가의 하우징을 폐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하우징은 도구가 하우징 내로 도입되는 개방부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은 실질적으로 회전 대칭으로 설계될 수 있고, 개방부는 바람직하게는 하우징의 만곡된 표면 상에 배열된다. 예를 들어, 하우징의 플랜지형 개방부, 특히 만곡된 표면 상의 플랜지형 개방부가 개방부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도구는 개방부에 대해 그리고/또는 부착 부품에 대해 그리고/또는 봉입 벽에 대해 정렬될 수 있다. 하우징은 유밀 벽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은 유체 수납 공간을 한정할 수 있다. 유체 수납 공간은 또한 봉입 벽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조립 절차 중에 봉입 벽에서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에 추가의 보호가 하우징에 의해 보장될 수 있다. 하우징은 파편에 대한 포획 장치 또는 편향기로서 작용할 수 있다. 부착 부품 및/또는 봉입 벽이 하우징에 의해 둘러싸일 때, 하우징은 차폐부를 형성한다. 그러므로, 부착 부품 및/또는 봉입 벽으로의 접근은 하우징에 의해 차단된다. 필요하다면, 부착 부품 및/또는 봉입 벽으로의 접근은 인가된 방향으로부터만 가능하다. 포위 상태는 특히 하우징의 이동 가능한 부분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하우징의 압력 경감이 개방부 내로의 도구의 도입 이전에 수행되는 구성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압력 유체 절연식 전력 전달 장치는 과압 하에서 전기 절연 유체를 수납하도록 기능한다. 따라서, 하우징은 압력 하에 있는 유체를 한정할 수 있다. 개방부 내로의 도구의 도입 이전에, 하우징은 압력 경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압 중에, 개방부는 유밀 방식으로 폐쇄될 수 있다. 하우징의 압력 경감 이후에, 개방부는 개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개방부가 도구를 도입하기 위해 개방되기 전에, 하우징 내의 압력은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점검되어야 한다. 이러한 경우에, 하우징의 압력 경감으로 인해, 예를 들어 봉입 벽에서 하우징에 인접한 추가의 하우징의 유체 수납 공간에 대한 압력 차이가 형성되는 구성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추가의 하우징(또는 그의 유체 수납 공간)은 압력하에 있을 수 있으며, 봉입 벽이 견디는 압력 차이가 2개의 하우징들 사이에 존재한다.
추가의 유리한 실시예는 도구가 분해/조립되어야 하는 전력 전달 장치의 일부 상에서 지지되는 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분해/조립되어야 하는 전력 전달 장치의 일부 상에서 도구를 지지하는 것은 도구에 대한 대향 지탱력이 예를 들어 전력 전달 장치에 의해 인가될 수 있는 점에서 유리하다. 예를 들어, 하우징의 본체 모서리는 상대-지지체로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개방부를 한정하기 위해 플랜지를 사용할 때, 플랜지는 도구가 지지되는 것을 가능케 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방부는 봉입 하우징에 대한 도구의 상대 위치를 규정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그러나,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도구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부착 부품에 대해 놓이도록 허용하는 구성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구는 특히 도구가 하우징 및 부착 부품 상에 지지될 때, 도구와, 조립되어야 하는 전력 전달 장치 사이의 상대 위치를 실현하기 위해 부착 부품에 대해 의지할 수 있다. 부착 부품의 안정화는 도구를 거쳐 실현될 수 있다. 봉입 벽은 유리하게는 개방부에 대해 고정된 상대 위치를 가질 수 있다. 부착 부품에 대해 도구를 위치 설정하기 위해, 도구 및 부착 부품은 상호 접촉하게, 예컨대, 형상 끼워 맞춤 상태가 될 수 있다.
부착 부품과 봉입 벽을 분리하기 위해 도구를 작동시킨 후에, 하우징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봉입 벽 및/또는 부착 부품에 대해 이동, 특히 제거되는 구성이 또한 유리하게 제공될 수 있다.
하우징은 봉입 벽의 고장의 경우에 가능하게는 방출되는 입자를 감속시키는 보호 차폐부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부착 부품이 봉입 벽으로부터 분리된 후에, 하우징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되면, 하우징에 개방부가 제공되는 선택구성을 초과하는 더 큰 접근부가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착 부품을 하우징으로부터 제거하거나 수리를 실행하는 것이 이제 가능하다. 이러한 시점에서, 조립의 중요 부분, 즉 연결을 해제하는 것은 이미 수행되었고, 특히 높은 부하가 이러한 분리 중에 봉입 벽 상에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추가의 보호가 조립 중에 (도구의 작동 중에) 하우징에 의해 제공된다. 하우징의 이동은 봉입 벽으로부터의 제거를 일으킬 수 있다. 특히, 실질적인 수직 이동, 예컨대, 봉입 벽으로부터의 하우징의 변위가 발생할 수 있다. 이동은 부착 부품 및/또는 봉입 벽의 포위를 종결시킬 수 있다.
부착 부품과 봉입 벽을 연결하기 위해 도구를 작동시키기 전에, 하우징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봉입 벽 및/또는 부착 부품에 대해 이동, 특히 더 가까이 이동되는 구성이 또한 유리하게 제공될 수 있다.
부착 부품과 봉입 벽을 연결하기 위해 도구를 작동시키기 전에, 하우징은 봉입 벽에 대해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은 보호 차폐부가 봉입 벽 둘레에 형성되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봉입 벽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도체 부분이 교체된 후에, 예를 들어, 하우징은 다시 폐쇄될 수 있고, 하우징은 또한 이후의 조립 중에 보호 기능을 취할 수 있다. 적어도 부분적인 하우징의 이동은 파열 보호부를 형성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이동은 다시 부착 부품 및/또는 봉입 벽의 포위를 확립할 수 있다.
봉입 벽 및/또는 부착 부품에 대한 하우징의 이동은 바람직하게는 봉입 벽의 장벽 효과에 대해 횡방향으로 수행될 수 있다. 그러므로, 봉입 벽에 대한 하우징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의 수직 변위가 예를 들어 실현될 수 있다. 특히 실질적으로 회전 대칭인 하우징의 경우에, 회전 축의 방향으로의 이동이 유리하다. 예를 들어, 하우징은 부분적으로 변하는 형태를 구비하여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위 벨로즈가 사용될 수 있고, 이는 하우징의 일 부분의, 하우징의 잔여부에 대한 또는 봉입 벽에 대한 상대 이동을 가능케 하고, 유밀 상호 연결이 벨로즈를 거쳐 보장된다. 그러나, 기능적으로 유사한 방식으로, 하우징은 삽통식 요소의 방식으로 설계되는 것, 즉, 개별 하우징 부분들이 서로의 내부로 밀려 들어갈 수 있는 구성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대응하는 밀봉부가 하우징의 개별 부분들 사이의 활주 표면들의 중첩 영역 내에 제공된다. 개방부는 하우징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의 이동에 관계없이, 봉입 벽에 대해 고정 유지되는 구성이 유리하게 제공될 수 있다. 개방부 및 봉입 벽은 일정한 상대 위치를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각도 상호 연결이 존재할 수 있다.
추가의 유리한 실시예는 부착 부품의 차등 압력 부하 봉입 벽, 특히 전기 절연 봉입 벽으로의 연결 또는 그로부터의 분리가 발생하는 구성을 제공한다.
차등 압력 부하 봉입 벽은 차등 압력에 견디는 충분한 기계적 안정성을 갖는다. 따라서, 봉입 벽은 또한 봉입 벽과 부착 부품을 연결/분리하기 위한 조립력을 흡수하기에 적합하다. 따라서, 봉입 벽은 또한, 예를 들어 부착 부품과 봉입 벽 사이의 억지 끼워 맞춤식 상호 연결을 발생시키기 위한 상대-지지체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봉입 벽은 전기 절연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봉입 벽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기 절연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봉입 벽은, 예를 들어, 상도체 부분의 일부인 전기자 본체가 매립되는 디스크 절연체의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고, 부착 부품은 예를 들어 봉입 벽의 전기 절연 영역 내에 바람직하게 매립되는 전기자 본체 상에 지지되는 상도체 부분이다. 전기 절연 봉입 벽은 상도체의 전기 절연식 위치 설정을 위해 기능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면에 개략적으로 도시되고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압력 유체 절연식 전력 전달 장치의 외부도이다.
도 2는 개방된 개방부를 구비한 도 1로부터 공지된 전력 전달 장치이다.
도 3은 도구가 개방된 개방부 내로 도입되어 있는 도 1로부터 공지된 전력 전달 장치이다.
도 4는 도구의 작동을 도시한다.
도 5는 도 1 내지 도 4로부터 공지된 전력 전달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하우징의 이동된 부분을 구비한 도 5로부터 공지된 단면도이다.
도 2는 개방된 개방부를 구비한 도 1로부터 공지된 전력 전달 장치이다.
도 3은 도구가 개방된 개방부 내로 도입되어 있는 도 1로부터 공지된 전력 전달 장치이다.
도 4는 도구의 작동을 도시한다.
도 5는 도 1 내지 도 4로부터 공지된 전력 전달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하우징의 이동된 부분을 구비한 도 5로부터 공지된 단면도이다.
도 1은 봉입 벽(2)을 갖는 압력 유체 절연식 전력 전달 장치(1)를 도시한다. 봉입 벽(2)은 하우징(3)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인다. 하우징(3)은 봉입 벽(2)과 함께, 하우징(3)의 내부 내의 유체 수납 공간을 한정한다. 하우징(3)은 바람직하게는 봉입 벽(2)의 도움으로 유밀 방식으로 유체 수납 공간을 종결시킬 수 있다. 하우징(3)은 형태가 실질적으로 중공 원통형이고, 종축(4)에 대해 동축으로 연장한다. 플랜지(5)가 하우징(3)의 만곡된 표면 상에 배열된다. 플랜지(5)는 플랜지 커버(6)에 의해 폐쇄된다. 플랜지 커버(6)는 하우징(3)을 유밀 방식으로 폐쇄한다. 하우징(3)은 길이 조정 가능한 부분(3a)을 갖는다. 하우징(3)은 길이 조정 가능한 부분(3a)에 의해 봉입 벽(2)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도면에서, 길이 조정 가능한 부분(3a)은 2개의 변경 실시예에서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종축(4) 위에서, 길이 조정 가능한 부분(3a)은 하우징(3)의 삽통식 배열에 의해 형성된다. 종축(4) 아래에서, 길이 조정 가능한 부분(3a)은 탄성 변형 가능한 벨로즈에 의해 형성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길이 조정 가능한 부분을 없애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봉입 벽(2)은 실질적으로 원형인 단면을 갖고, 원형 형태는 종축(4)의 투사 방향으로 존재한다. 봉입 벽(2)은 하우징(3) 내의 유체 수납 공간을 한정한다. 봉입 벽(2)은 또한 추가의 하우징(7)의 유체 수납 공간을 한정한다. 추가의 하우징(7)은 하우징(3)과 실질적으로 구조적으로 동일하도록 설계되고, 종축(4)과 수평으로 정렬된다. 이는 상이한 구조를 또한 가질 수 있다. 2개의 하우징(3, 7)들은 봉입 벽(2)의 중간 배열 하에 서로로부터 유체 분리되고, 기계식으로 결합된다. 그러므로, 봉입 벽(2)은 하우징(3)과 함께 유체 수납 공간을 한정한다. 봉입 벽(2)은 아울러 추가의 하우징(7)과 함께 유체 수납 공간을 또한 한정한다. 2개의 하우징(3, 7)들의 유체 수납 공간들은 봉입 벽(2)에 의해 서로로부터 분리된다. 하우징(3)의 내부는 특히 과압 하에서, 전기 절연 유체로 충전된다. 부착 부품(8)의 분리 또는 연결 이전에, 하우징(3)은 하우징(3)의 내부 내의 (유체 수납 공간 내의) 과압이 이러한 상태가 아직 확립되지 않았으면 감소되도록 비워져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3)은 그가 개방되기 전에, 그의 유체 수납 공간 내에서 하우징(3)의 환경과 대체로 동일한 압력을 가져야 한다. 하우징(3)의 내부 내의, 즉, 유체 수납 공간 내의 압력 상태는 플랜지 커버(6)가 개방되기 전에 점검되어야 한다. 플랜지 커버(6)는 그 다음 제거될 수 있다. 플랜지(5)는 하우징(3)의 유체 수납 공간으로의 접근을 가능케 하는 개방부(9)를 제공한다. 이러한 상태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부착 부품(8)이 개방부(9)를 통해 하우징(1)의 내부 내에서, 즉, 유체 수납 공간 내에서 보일 수 있다. 본 경우에, 부착 부품(8)은 전류를 전도시키도록 기능하는 상도체 부분이다. 이러한 경우에, 전기 절연 유체(1)가 (전력 전달 장치의 작동 상태에서) 상도체 부분 둘레에서 흐른다. 전기 절연 유체는 하우징(3) 내에 봉입된다. 이러한 경우에, 지지되어야 하는 부착 부품(8)은 전력 전달 장치의 작동 상태에서 봉입 벽(2) 상에 지지된다 (도 5 및 도 6의 단면도 참조). 이러한 경우에, 지지되어야 하는 부착 부품(8)은 종축(4)을 따라 연장하는 상도체의 부분(상도체 부분)이다. 이러한 경우에, 상도체는 봉입 벽(2)을 통과하고, 상도체는 [여기서 전기자 본체(13)로서] 부분적으로 봉입 벽(2)을 형성한다.
부착 부품(8)을 봉입 벽(2)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도구(10)가 개방부(9) 내로 도입된다. 이러한 경우에, 도구(10)는 제 위치로 이동되어, 부착 부품(8)과 봉입 벽(2) 사이의 연결을 해제하도록 정렬된다. 이러한 경우에, 도구(10)는 한편으로, 하우징(3) 상에, 특히 플랜지(5) 상에 지지된다. 이는 봉입 벽(2) 및 부착 부품(8)에 대한 상대 위치를 생성한다 (도 3). 하우징(3)은 도구(10)에 대한 힘을 흡수하기 위한 상대-지지체로서 기능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도구(10)는 또한 부착 부품(8) 상에 지지될 수 있다. 도구(10)의 위치 설정 및 설치(연결을 보강함) 후에, 추가의 조립을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목적으로, 안전 구역(11)이 규정된다. 안전 구역(11)은 잠재적인 위험에 의존하여 상이한 치수를 가질 수 있다. 안전 구역(11)은 예를 들어 장벽(12)을 세움으로써 격리될 수 있다. 본 경우에, 시각적으로 투명한 장벽(12)의 사용은 조립 진행의 시각적 모니터링이 또한 장벽(12) 후방으로부터, 즉, 안전 구역(11) 외부에서 발생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도구(10)는 원격 제어부에 의해 안전 구역(11) 외부에서 원격 제어된다. 예를 들어, 유선 원격 제어부가 도시되어 있다. 부착 부품(8)과 봉입 벽(12)의 연결이 풀리고/해제된 후에, 도구(10)는 개방부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요구된다면, 추가의 단계, 예컨대, 도구(10)의 제거 이전 또는 이후의 너트의 추가의 풀림이 수행될 수 있다. 개방부(9)는 예를 들어 이러한 목적으로 기능할 수 있다.
본 경우에, 하우징(3)의 길이 조정 가능한 부분(3a)이 부착 부품(8) 또는 봉입 벽(2)으로의 더 큰 접근성을 보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 제공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하우징(3)과 봉입 벽(2) 사이의 연결은 해제되고, 하우징(3)의 일부는 종축(4)의 방향으로 변위된다. 따라서, 하우징(3)은 봉입 벽(2)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된다. 따라서, 이는 방사상 방향으로부터 부착 부품(8) 및 봉입 벽(2)으로의 접근을 더 용이하게 한다. 봉입 벽(2)으로부터 하우징(1)을 개방 또는 제거하는 것, 즉, 봉입 벽(2) 및/또는 부착 부품(8)에 대한 하우징(3)의 적어도 일부의 상대 이동은 보호 차폐부가 부착 부품(8)과 봉입 벽(2)의 체결을 푸는 동안 하우징(3)에 의해 부착 부품(8) 둘레에서 유지되는 점에서 유리하다. 그러므로, 특히 부착 부품(8)과 봉입 벽(2) 사이의 연결의 초기 풀림 (또는 역순으로, 최종 조임)이 발생하는 시점에서, 보호부가 하우징(3)의 폐쇄된 벽에 의해 제공된다. 그러므로, 봉입 벽(2)의 고장의 임의의 결과가 감소될 수 있다. 풀림/조임이 발생한 후에, 즉, 고위험 풀림 또는 조임 작용 후에, 봉입 벽(2)에 대해 또는 부착 부품(8)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우징(3)을 이동시키는 것이 이제 가능하다.
역순으로, 부착 부품(8)은 봉입 벽(2)에 연결된다. 하우징(3)의 내부로의 방사상 접근은 봉입 벽(2)으로부터 하우징(3)을 제거함으로써 가능해 진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부착 부품(8)의 예비 조립 또는 부착 부품(8)의 도입 또는 교체는 하우징으로부터 벗어난 부분을 거쳐 발생할 수 있다. 체결 절차, 예컨대, 볼트의 최종 조임 이전에, 하우징(3)은 이제 부착 부품(8)과 봉입 벽(2)이 하우징(3)에 의해 방사상으로 포위되도록, 봉입 벽(2)에 대해 또는 부착 부품(8)에 대해 이동된다. 부착 부품(8)과 봉입 벽(2) 사이의 연결의 조임이 이제 [하우징(3)이 더 가까이 이동되기 전 또는 후에 개방부(9) 내로 삽입되는] 도구(10)를 거쳐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증가된 위험에 관련된 조임, 즉, 봉입 벽(2) 내로의 힘의 도입은 이제 차폐부로서 하우징(3)을 사용하여 다시 발생할 수 있다. 연결을 확립하기 위해, 도구(10)는 이제 부착 부품(8)과 봉입 벽(2) 사이의 연결이 도구(10)의 원격 제어에 의해 확립되도록, 봉입 벽(2)에 대해 또는 하우징(3)에 대해 그리고/또는 부착 부품(8)에 대해 미리 결정된 상대 위치를 취할 수 있다. 도구(10)는 그 다음 개방부(9)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개방부(9)는 하우징(3)의 유체 수납 공간의 폐쇄를 일으키기 위해 플랜지 커버(6)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유체 수납 공간은 이제 전기 절연 유체로 충전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3)의 유체 수납 공간과 추가의 하우징(7)의 유체 수납 공간 사이에 존재하는 차등 압력이 감소될 수 있다. 차등 압력의 거의 완전한 감소는 바람직하게는 봉입 벽(2)이 차등 압력이 경감되도록, 동일한 압력이 하우징(3)의 유체 수납 공간 및 추가의 하우징(7)의 유체 수납 공간 내에서 우세한 점에서 달성될 수 있다.
전력 전달 장치(1)의 단면이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봉입 벽(2)은 실질적으로 원통형으로 설계되고, 만곡된 표면 상에서, 봉입 벽(2)의 실질적으로 원형 링 형상의 부분은 하우징(3)과 추가의 하우징(7)의 상호 대면하는 단부면 단부들 사이에서 인장되는 금속 프레임으로서 형성된다. 봉입 벽(2)은 하우징(3) 및 추가의 하우징(7)의 유체 수납 공간을 한정한다. 봉입 벽(2)은 전기자 본체(13)를 중심에 수납하는 링 형상 절연 부분을 또한 갖는다. 복수의 전기자 본체(13)의 사용이 또한 제공될 수 있고, 전기자 본체들은 링 형상 절연 부분 내에 분포되어 배열되고, 서로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그러므로, 전기 절연 봉입 벽(2)이 제공된다. 전기자 본체(13)는 종축(4)의 방향으로 연장하는 상도체의 일부이다. 상도체는 봉입 벽(2)을 통과한다. 이러한 경우에, 전기자 본체(13)는 유밀 방식으로 링 형상 절연 부분 내에 매립된다. 절연 부분은 유사하게 유밀 방식으로 금속 프레임 내에 매립된다. 따라서, 봉입 벽(2)은 추가의 하우징(7)의 유체 수납 공간으로부터 하우징(3)의 유체 수납 공간을 분리하는 유밀 장벽을 형성한다. 유체 수납 공간 내에 배열된 상도체 부분들, 즉, 부착 부품(8)으로서 작용하는 상도체 부분들은 나사 연결에 의해 봉입 벽(2)의 전기자 본체(13)에 연결된다. 나사 연결은 전기자 본체(13) 내의 나사식 리세스 내로 돌출하는 볼트(14)를 갖는다. 볼트(14)의 풀림 또는 볼트(14)의 조임은 부착 부품(8)과 봉입 벽(2) 사이의 고정 각도 상호 연결이 확립되거나 종결될 수 있도록 도구(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연결의 해제 또는 확립은 봉입 벽(2) 및 부착 부품(8)을 둘러싸는 하우징(3)의 보호 하에서 발생한다.
도 6은 도 5로부터 공지된 단면도에 대한 변형을 도시한다. 하우징(3)의 길이 조정 가능한 부분(3a)은 봉입 벽(2)으로부터 제거된다. 부착 부품(8)으로의 방사상 접근이 가능하다. 이러한 상태는 대체로 봉입 벽(2)과 부착 부품(8) 사이의 연결이 해제될 때 취해진다.
Claims (8)
- 봉입 벽(2) 및 봉입 벽(2) 상에 지지될 수 있는 부착 부품(8)을 갖는, 압력 유체 절연식 전력 전달 장치(1)에 대한 탈착 방법이며,
- 연결/분리를 위한 도구(10)가 부착 부품(8)과 봉입 벽(2)을 연결/분리하기 위해 위치되고;
- 도구(10)를 작동시키기 전에, 안전 구역(11)이 규정되고;
- 도구(10)의 작동은 안전 구역(11) 외부에서 발생하는,
탈착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도구(10)는 봉입 벽(2) 및/또는 부착 부품에 대해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 방법.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도구(10)는 부착 부품(8) 및/또는 봉입 벽(2)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하우징(3)의 개방부(9)를 통해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하우징(3)의 압력 경감은 개방부(9) 내로의 도구(10)의 도입 이전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 방법.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도구(10)는 분해/조립되어야 하는 전력 전달 장치(1)의 일부 상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부착 부품(8)과 봉입 벽(2)을 분리하기 위해 도구(10)를 작동시킨 후에, 하우징(3)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봉입 벽(2) 및/또는 부착 부품(8)에 대해 제거되거나,
부착 부품(8)과 봉입 벽(2)을 연결하기 위해 도구(10)를 작동시키기 전에, 하우징(3)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봉입 벽(2) 및/또는 부착 부품(8)에 대해 더 가까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 방법. - 삭제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부착 부품(8)의 차등 압력 부하 봉입 벽(2)으로의 연결 또는 부착 부품(8)의 차등 압력 부하 봉입 벽(2)으로부터의 분리가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DE102016203481.2A DE102016203481A1 (de) | 2016-03-03 | 2016-03-03 | Demontage- oder Montageverfahren für eine druckfluidisolierte Elektroenergieübertragungseinrichtung |
DE102016203481.2 | 2016-03-03 | ||
PCT/EP2017/051962 WO2017148636A1 (de) | 2016-03-03 | 2017-01-31 | Demontage- oder montageverfahren für eine druckfluidisolierte elektroenergieübertragungseinrichtung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15793A KR20180115793A (ko) | 2018-10-23 |
KR102207508B1 true KR102207508B1 (ko) | 2021-01-26 |
Family
ID=57963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7027983A KR102207508B1 (ko) | 2016-03-03 | 2017-01-31 | 가압 유체 절연식 전력 전달 장치를 위한 분해 또는 조립 방법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EP (1) | EP3400637B1 (ko) |
KR (1) | KR102207508B1 (ko) |
CN (1) | CN108701974B (ko) |
DE (1) | DE102016203481A1 (ko) |
ES (1) | ES2819829T3 (ko) |
WO (1) | WO2017148636A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02353073U (zh) | 2011-09-28 | 2012-07-25 | 中国西电电气股份有限公司 | 可拆卸高压开关设备 |
KR101352520B1 (ko) | 2012-11-01 | 2014-01-17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반 조립체 및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조립체 |
Family Cites Families (1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2058684A1 (de) * | 1970-11-28 | 1972-06-08 | Licentia Gmbh | Trennvorrichtung fuer gekapselte,druckgasisolierte Hochspannungs-Schaltanlagen |
SE397916B (sv) * | 1975-12-23 | 1977-11-21 | Asea Ab | Forfarande vid montering och transport av kapslade, langstreckta elektriska hogspenningsapparater samt medel for genomforande av forfarandet |
FR2696882B1 (fr) * | 1992-10-12 | 1994-12-09 | Alsthom Gec | Système de raccordement des enveloppes de deux appareils dont l'un au moins est sous pression. |
US5471739A (en) * | 1995-01-27 | 1995-12-05 | Abb Vetco Gray Inc. | Remote clamp connector |
DE29620438U1 (de) * | 1996-11-13 | 1997-01-23 | Siemens AG, 80333 München | Kapselungsgehäuse für gasisolierte, metallgekapselte Schaltanlagen |
JPH1169580A (ja) * | 1997-08-28 | 1999-03-09 | Toshiba Corp | 着脱母線 |
DE10010728C1 (de) * | 2000-02-29 | 2001-06-13 | Siemens Ag | Kapselungsbaustein für eine dreiphasige Sammelschiene einer Hochspannungsanlage |
DE20004713U1 (de) * | 2000-03-15 | 2001-07-26 | Preising, Paul-Eric, 50968 Köln | Reinigungsvorrichtung für hochspannungsführende Anlagenteile |
KR101126365B1 (ko) * | 2007-08-16 | 2012-03-23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가스절연모선 및 조립방법 |
FR2921768B1 (fr) * | 2007-10-02 | 2014-08-22 | Areva T & D Sa | Installation d'appareillages sous enveloppe metallique comportant deux demi-entretoises de demontage |
US8161631B1 (en) * | 2009-09-18 | 2012-04-24 | Finley Lee Ledbetter | Motor controlled bucket replacement tool |
CN201900428U (zh) * | 2010-12-20 | 2011-07-20 | 徐州海伦哲专用车辆股份有限公司 | 销轴装配与拆卸的辅助装置 |
DE102011005700A1 (de) | 2011-03-17 | 2012-09-20 | Siemens Aktiengesellschaft | Elektrische Kontaktanordnung |
CN102777453B (zh) * | 2012-07-23 | 2014-01-15 | 东莞理工学院 | 可在遥控维护中使用的紧固装置 |
DE102014206642A1 (de) * | 2014-04-07 | 2015-10-08 | Siemens Aktiengesellschaft | Elektrische Kontaktanordnung |
KR20160087230A (ko) * | 2015-01-13 | 2016-07-21 | 백두전기 (주) | 변전소의 부스내 도체 교체 방법 |
CN105119192B (zh) * | 2015-08-31 | 2017-07-04 | 孙丽丽 | 一种高压线夹安装工具 |
CN105337213B (zh) * | 2015-11-23 | 2018-09-21 | 国家电网公司 | 高压带电作业专用电动遥控螺栓紧固绝缘操作杆 |
-
2016
- 2016-03-03 DE DE102016203481.2A patent/DE102016203481A1/de not_active Withdrawn
-
2017
- 2017-01-31 KR KR1020187027983A patent/KR10220750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7-01-31 WO PCT/EP2017/051962 patent/WO2017148636A1/de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7-01-31 EP EP17703086.3A patent/EP3400637B1/de active Active
- 2017-01-31 ES ES17703086T patent/ES2819829T3/es active Active
- 2017-01-31 CN CN201780014693.1A patent/CN108701974B/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02353073U (zh) | 2011-09-28 | 2012-07-25 | 中国西电电气股份有限公司 | 可拆卸高压开关设备 |
KR101352520B1 (ko) | 2012-11-01 | 2014-01-17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반 조립체 및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조립체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400637A1 (de) | 2018-11-14 |
KR20180115793A (ko) | 2018-10-23 |
CN108701974B (zh) | 2021-02-12 |
ES2819829T3 (es) | 2021-04-19 |
WO2017148636A1 (de) | 2017-09-08 |
EP3400637B1 (de) | 2020-06-24 |
CN108701974A (zh) | 2018-10-23 |
DE102016203481A1 (de) | 2017-09-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2725524B (zh) | 一种用于提供电能的风能设备 | |
US9601240B2 (en) | High-voltage insulator | |
US20160126046A1 (en) | Subsea fuse assembly | |
US9991031B2 (en) | Insulating system and assembly method for an insulating system | |
EP2648294B1 (de) | Vorrichtung zum nachträglichen Abdichten eines mit Isoliergas befüllten Isolationsgehäuses der Hochspannungstechnik | |
CN102377121A (zh) | 开关设备 | |
US8629367B2 (en) | Plug-in primary power connections of two modules of a gas-insulated high-voltage switchgear assembly | |
US20120138331A1 (en) | Methods and systems for coupling busway components | |
KR102207508B1 (ko) | 가압 유체 절연식 전력 전달 장치를 위한 분해 또는 조립 방법 | |
CN203895397U (zh) | 固体绝缘熔断器 | |
CN206575073U (zh) | 电力机车用气体绝缘高压开关设备箱 | |
EP2961015B1 (en) | A coupler member for coupling together the casings of two gas-insulated electrical elements | |
CA2263881C (en) | A hermetically sealed vacuum load interrupter switch with flashover protection features | |
KR102269217B1 (ko) | VI(Vacuum Interrupter)를 적용한 이중 절연구조 고압 개폐기의 인터록 구조 | |
KR102093601B1 (ko) | 방호관 연결 장치 | |
WO2016066522A1 (de) | Explosionsgeschützte anordnung | |
CN208311590U (zh) | 安全防护型拉断阀 | |
US20170149218A1 (en) | Arc-resistant switchgear racking system | |
KR100893766B1 (ko) | 개폐기의 스위치 접점 마모상태 표시기능을 갖는 친환경가스절연 수배전반 | |
WO2018146720A1 (ja) | 着脱装置 | |
CN103871800A (zh) | 固体绝缘熔断器 | |
CN220082112U (zh) | 一种带压堵漏装置 | |
KR102085757B1 (ko) | Gis용 오링 | |
US11101624B2 (en) | Switching device comprising lashing points | |
JP4804412B2 (ja) | ガス絶縁開閉装置の断路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