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2520B1 -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반 조립체 및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조립체 - Google Patents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반 조립체 및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2520B1
KR101352520B1 KR1020120123205A KR20120123205A KR101352520B1 KR 101352520 B1 KR101352520 B1 KR 101352520B1 KR 1020120123205 A KR1020120123205 A KR 1020120123205A KR 20120123205 A KR20120123205 A KR 20120123205A KR 101352520 B1 KR101352520 B1 KR 101352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al discharge
discharge sensor
dielectric
power equipment
microw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3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도훈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3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25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2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2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1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 G01R31/1227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of components, parts or materi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08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 G01R29/0864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 G01R29/0871Complete apparatus or systems; circuits, e.g. receivers or amplifi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08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 G01R29/0864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 G01R29/0878Sensors; antennas; probes; dete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1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 G01R31/16Construction of testing vessels; Electrode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40Testing power suppl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esting Relating To Insulation (AREA)
  • Installation Of Bus-Ba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치가 간편하고 신속하며 설치비용이 저렴하고 운전중인 전력설비에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전력설비용 내장형 극초단파(UHF) 부분 방전 센서의 반 조립체 또는 전력설비용 내장형 극초단파(UHF) 부분 방전 센서 조립체(전 조립체)를 제공하려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조립체는 복수의 제 1 관통 구 부가 형성된 플랜지(FLANGE)부와, 상기 플랜지 부로부터 미리 결정된 길이 연장형성되고 일 측이 개방되며 타 측은 폐색된 수용용기 부를 구비하며, 전력설비 외함 중 연통 관 부에 기밀하게 삽입 설치되는 유전체 수용 용기 부재; 상기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의 수용용기 부내에 수용되어 전력설비의 부분 방전 신호를 검출하는 극초단파(UHF) 부분 방전 센서; 복수의 제 2 관통 구 부를 구비하며, 상기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의 상부를 덮는 커버 판; 상기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의 제 1 관통 구 부와 상기 지지 플랜지의 나사 관통 구 부를 관통한 복수의 제 1 볼트와, 상기 제 1 볼트에 나사결합되는 복수의 제 1 너트(NUT)를 구비하는 제 1 체결 부재; 및 상기 커버 판의 제 2 관통 구 부와 상기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의 제 1 관통 구 부와 상기 지지 플랜지의 나사 관통 구 부를 관통한 복수의 제 2 볼트와, 상기 제 2 볼트에 나사결합되는 복수의 제 2 너트를 구비하는 제 2 체결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반 조립체 및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조립체{UHF PARTIAL DISCHARGE SENSOR HALF ASSEMBLY AND FULL ASSEMBLY FOR SWITCHGEAR}
본 발명은 전력설비용 부분 방전 센서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설치가 간편하며 부분 방전 센서가 설치되지 않은 기 설치 운영중인 전력설비에도 경제적이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전력설비용 내장형 극초단파(UHF) 부분 방전 센서의 반조립체(half assembly) 및 전력설비용 내장형 극초단파(UHF) 부분 방전 센서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스위치기어(SWITCHGEAR)로 불리는 전력설비는 발전소, 변전소 및 큰 공장과 같은 대규모 전력수용가에서 수만 볼트 이상의 초고압 전력을 송전, 변전 및 수 배전하는 데 사용되는 기기이다.
이러한 전력설비는 고장발생시 민생과 산업에 큰 피해를 야기할 수 있어 고장 발생 전에 그 징후를 검지하고 미리 설비를 교체하는 등의 대책을 강구하는 것이 긴요하다. 따라서 전력설비가 열화(劣化)될 때 발생하는 부분방전(PARTIAL DISCHARGE)신호를 검출하는 것이 전력설비의 고장발생 전 징후를 감지하는 데 이용되고 있다.
극초단파(Ultra High Fqrequency) 부분 방전 센서는 부분방전 신호를 극초단파 안테나를 이용하여 검출하는 센서로서 내장형과, 반 내장형 및 외장형의 센서가 있다.
내장형 센서는 반 내장형 및 외장형의 센서에 대비해서 설치가 까다롭고 번거롭지만 검출감도와 내(耐) 잡음(NOISE) 특성이 반 내장형 및 외장형의 센서에 대비해서 매우 우수한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전력설비용 내장형 극초단파(UHF) 부분 방전 센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전력설비용 내장형 극초단파(UHF) 부분 방전 센서 조립체에 대한 종래기술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한 종래기술은 전력설비중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가 가장 많이 설치되는 전력설비인 가스절연개폐기(Gas Insulated Switchgear)에 내장형으로 설치된 예를 개시하는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전력설비용 내장형 극초단파(UHF) 부분 방전 센서 조립체(50)는 가스절연개폐기의 탱크(100) 중 일 측의 개구부에 매입되는 구성을 가진다. 도 1에 있어서 부호 60은 극초단파(UHF) 부분 방전 센서 조립체(50)가 검출한 부분방전 신호를 외부의 미 도시한 신호 분석기에 전송하기 위한 신호 선을 지시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전력설비용 내장형 극초단파(UHF) 부분 방전 센서 조립체(70)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전력설비 즉, 가스절연개폐기의 탱크(100) 내 육불화황(SF6)와 같은 절연가스를 모두 제거한 후, 탱크(100) 중 일 측의 개구부에 내장형 극초단파(UHF) 부분 방전 센서 조립체(70)를 매설하고, 가스절연개폐기의 탱크(100) 내를 별도 미 도시한 가스주입구를 통해 진공작업을 한 후, 다시 절연가스를 상기 가스주입구를 통해 주입하는 장시간의 설치작업과 고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운전중인 전력설비에는 상기와 같은 장시간의 설치작업으로 인해 그 설치가 더욱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가 간편하고 신속하며 설치비용이 저렴하고 운전중인 전력설비에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전력설비용 내장형 극초단파(UHF) 부분 방전 센서의 반 조립체 또는 전력설비용 내장형 극초단파(UHF) 부분 방전 센서 조립체(전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전력설비의 외함의 일 위치에 마련되고 상기 외함의 내부에 연통하는 중공의 연통 관 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통 관 부는 복수의 나사 관통 구 부가 구비된 지지 플랜지(SUPPORTING FLANGE)를 갖는 전력설비용으로서,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반 조립체에 있어서,
복수의 제 1 관통 구 부가 형성된 플랜지(FLANGE)부와, 상기 플랜지 부로부터 미리 결정된 길이 연장형성되고 일 측이 개방되며 타 측은 폐색되고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용기 부를 구비하며, 상기 외함의 연통 관 부에 기밀하게 삽입 설치되고, 전자파의 투과성을 위해 유전체로 만들어진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 및
상기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의 제 1 관통 구 부와 상기 지지 플랜지의 나사 관통 구 부를 관통한 복수의 제 1 볼트와, 상기 제 1 볼트에 나사결합되는 복수의 제 1 너트(NUT)를 구비하는 제 1 체결 부재;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반 조립체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전력설비의 외함의 일 위치에 마련되고 상기 외함의 내부에 연통하는 중공의 연통 관 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통 관 부는 복수의 나사 관통 구 부가 구비된 지지 플랜지(SUPPORTING FLANGE)를 포함하는 전력설비용으로서, 상기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조립체에 있어서,
복수의 제 1 관통 구 부가 형성된 플랜지(FLANGE)부와, 상기 플랜지 부로부터 미리 결정된 길이 연장형성되고 일 측이 개방되며 타 측은 폐색된 수용용기 부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 플랜지의 개구부에 기밀하게 삽입 설치되는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
상기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의 수용용기 부내에 수용되어 전력설비의 부분 방전 신호를 검출하는 극초단파(UHF) 부분 방전 센서;
복수의 제 2 관통 구 부를 구비하며, 상기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의 상부를 덮는 커버 판(COVER PLATE);
상기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의 제 1 관통 구 부와 상기 지지 플랜지의 나사 관통 구 부를 관통한 복수의 제 1 볼트와, 상기 제 1 볼트에 나사결합되는 복수의 제 1 너트(NUT)를 구비하는 제 1 체결 부재; 및
상기 커버 판의 제 2 관통 구 부와 상기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의 제 1 관통 구 부와 상기 지지 플랜지의 나사 관통 구 부를 관통한 복수의 제 2 볼트와, 상기 제 2 볼트에 나사결합되는 복수의 제 2 너트를 구비하는 제 2 체결 부재;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조립체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전력설비의 외함의 일 위치에 마련되고 상기 외함의 내부에 연통하는 중공의 연통 관 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통 관 부는 복수의 나사 관통 구 부가 구비된 지지 플랜지(SUPPORTING FLANGE)를 포함하는 전력설비용으로서,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반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랜지에 고정결합되고, 각각 나사 부를 갖는 복수의 나사 돌 부를 구비하는 고정 브라켓(BRACKET);
상기 고정 브라켓의 나사 돌 부가 관통하는 복수의 제 1 관통 구 부가 형성된 플랜지(FLANGE)부와, 상기 플랜지 부로부터 미리 결정된 길이 연장형성되고 일 측이 개방되며 타 측은 폐색되고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용기 부를 구비하며, 상기 외함의 연통 관 부에 기밀하게 삽입 설치되고, 전자파의 투과성을 위해 유전체로 만들어진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 및
상기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의 제 1 관통 구 부를 관통한 상기 나사 돌 부에 나사결합되는 복수의 제 1 너트(NUT)를 구비하는 제 1 체결 부재;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반 조립체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전력설비의 외함의 일 위치에 마련되고 상기 외함의 내부에 연통하는 중공의 연통 관 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통 관 부는 복수의 나사 관통 구 부가 구비된 지지 플랜지(SUPPORTING FLANGE)를 포함하는 전력설비용으로서,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랜지에 고정결합되고, 각각 나사 부를 갖는 복수의 나사 돌 부를 구비하는 고정 브라켓(BRACKET);
상기 고정 브라켓의 나사 돌 부가 관통하는 복수의 제 1 관통 구 부가 형성된 플랜지(FLANGE)부와, 상기 플랜지 부로부터 미리 결정된 길이 연장형성되고 일 측이 개방되며 타 측은 폐색되고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용기 부를 구비하며, 상기 외함의 연통 관 부에 기밀하게 삽입 설치되고, 전자파의 투과성을 위해 유전체로 만들어진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
상기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의 수용용기 부내에 수용되어 전력설비의 부분 방전 신호를 검출하는 극초단파(UHF) 부분 방전 센서;
복수의 제 2 관통 구 부를 구비하며, 상기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의 상부를 덮는 커버 판(COVER PLATE); 및
상기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의 제 1 관통 구 부와 상기 커버 판의 제 2 관통 구 부를 관통한 상기 나사 돌 부에 나사결합되는 복수의 제 2 너트를 구비하는 제 1 체결 부재;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조립체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양상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반 조립체 또는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조립체는 상기 지지 플랜지와 상기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 사이에 끼워져 상기 외함과 상기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 사이를 기밀하게 유지하는 오 링(O-RING)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양상에 따라서, 상기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는, 상기 전력설비의 열화(劣化)를 나타내는 부분방전신호를 수신하는 극초단파 안테나; 상기 극초단파 안테나와 접속되는 일 단 부와 외부의 신호 선에 신호전달을 위해 접속되는 타 단 부를 가진 정합 접속자; 및 상기 정합 접속자를 홈 부에 끼워 지지하며, 상기 극초단파 안테나를 외부로 이탈방지되게 지지하도록 상기 극초단파 안테나가 상기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의 수용용기 부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용기 부의 개방된 일 측을 폐색하게 끼워지는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양상에 따라서, 상기 커버 판은 상기 정합 접속자의 타 단 부가 관통하는 제 3 관통 구 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반 조립체는, 복수의 제 1 관통 구 부가 형성된 플랜지(FLANGE)부와, 상기 플랜지 부로부터 미리 결정된 길이 연장형성되고 일 측이 개방되며 타 측은 폐색되고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용기 부를 구비하며, 외함의 연통 관 부에 기밀하게 삽입 설치되고, 전자파의 투과성을 위해 유전체로 만들어진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 및 상기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의 제 1 관통 구 부와 상기 지지 플랜지의 나사 관통 구 부를 관통한 복수의 제 1 볼트와, 상기 제 1 볼트에 나사결합되는 복수의 제 1 너트(NUT)를 구비하는 제 1 체결 부재;를 포함하므로, 전력설비의 외함 연통 관 부에 기밀하게 삽입하여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를 설치하고 외함의 지지 플랜지와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를 관통한 제 1 볼트를 제 1 너트로 체결하여 고정함에 의해서, 초기설치하는 전력설비 또는 기 설치되어 운영중인 전력설비에 간단하게 설치될 수 있고 언제든지 후속하여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를 상기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 내에 내장되게 추가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조립체는, 외함 중 연통 관 부에 기밀하게 삽입 설치되는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와; 상기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에 수용되어 전력설비의 부분 방전 신호를 검출하는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의 상부를 덮는 커버 판; 상기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의 제 1 관통 구 부와 상기 지지 플랜지의 나사 관통 구 부를 관통한 복수의 제 1 볼트와, 상기 제 1 볼트에 나사결합되는 복수의 제 1 너트(NUT)를 구비하는 제 1 체결 부재; 및 상기 커버 판의 제 2 관통 구 부와 상기 지지 플랜지의 나사 관통 구 부를 관통한 복수의 제 2 볼트와, 상기 제 2 볼트에 나사결합되는 복수의 제 2 너트를 구비하는 제 2 체결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전력설비의 외함 연통 관 부에 기밀하게 삽입하여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를 설치하고, 연통 관 부의 지지 플랜지와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를 관통한 제 1 볼트를 제 1 너트로 체결하여 고정함에 의해서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를 고정설치한 다음, 유전체 수용기 내에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를 수용시키고,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의 상부에 커버판을 덮은 다음, 커버 판의 제 2 관통 구 부와 상기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와 상기 지지 플랜지의 나사 관통 구 부를 관통한 복수의 제 2 볼트를 제 2 너트로 체결함에 의해서 초기설치하는 전력설비 또는 기 설치되어 운영중인 전력설비에 간단하게 설치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반 조립체는, 외함의 지지 플랜지에 고정결합되고, 각각 나사 부를 갖는 복수의 나사 돌 부를 구비하는 고정 브라켓(BRACKET); 상기 고정 브라켓의 나사 돌 부가 관통하는 복수의 제 1 관통 구 부가 형성된 플랜지(FLANGE)부와, 상기 플랜지 부로부터 미리 결정된 길이 연장형성되고 일 측이 개방되며 타 측은 폐색되고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용기 부를 구비하며, 상기 외함의 연통 관 부에 기밀하게 삽입 설치되고, 전자파의 투과성을 위해 유전체로 만들어진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 및 상기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의 제 1 관통 구 부와 상기 지지 플랜지의 나사 관통 구 부를 관통한 상기 나사 돌 부에 나사결합되는 복수의 제 1 너트(NUT)를 구비하는 제 1 체결 부재;를 포함하므로, 전력설비의 외함 연통 관 부에 기밀하게 삽입하여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를 설치하고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의 제 1 관통 구 부를 관통한 상기 나사 돌 부를 제 1 너트로 체결하여 고정함에 의해서 초기설치하는 전력설비 또는 기 설치되어 운영중인 전력설비에 간단하게 설치될 수 있고 언제든지 후속하여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를 상기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 내에 내장되게 추가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또한 복수의 나사 돌 부가 고정 브라켓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각각의 볼트를 하나씩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에 관통시키는 것에 비해 관통작업이 한 번에 이루어져 조립(설치)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는 상기 제 1 체결 부재에 의해 상기 지지 플랜지에 먼저 조립되고, 상기 커버 판은 상기 제 2 체결 부재에 의해서 나중에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를 설치할 때 조립될 수 있으므로, 전력설비를 초기 조립 및 설치할 때 상기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만 먼저 설치하여 운용하다가,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와 상기 커버 판은 나중에 조립하여 운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는, 상기 전력설비의 열화(劣化)를 나타내는 부분방전신호를 수신하는 극초단파 안테나; 상기 극초단파 안테나와 접속되는 일 단 부와 외부의 신호 선에 신호전달을 위해 접속되는 타 단 부를 가진 정합 접속자; 및 상기 정합 접속자를 끼워 지지하기 위한 홈 부를 가지며, 상기 극초단파 안테나를 외부로 이탈방지되게 지지하도록 상기 수용용기 부 내에서 상기 극초단파 안테나보다 외 측에 끼워지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므로, 안테나와 정합 접속자를 상기 수용용기 내에 이탈이 방지되고 안정되게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커버 판은 상기 정합 접속자의 타 단 부가 관통하는 제 3 관통 구 부를 구비하므로, 상기 정합 접속자의 타 단 부를 상기 커버 판의 제 3 관통 구 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시켜 외부의 신호선과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반 조립체 또는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조립체(전 조립체)는 전력설비의 외함 중 상기 지지 플랜지와 상기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 사이에 끼워져 상기 외함과 상기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 사이를 기밀하게 유지하는 오 링(O-RING)을 더 포함하므로, 전력설비 내 절연가스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더욱 신뢰성 있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내장형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조립체가 가스 절연 개폐기의 외함(탱크)의 개구 부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반 조립체 및 제 2 실시 예에 따른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조립체(전 조립체)와 전력설비의 외함에 대한 분해 사시 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조립체(전 조립체)와 전력설비의 외함을 조립 상태(설치완료 상태)에서 종으로 잘라 보여주는 조립 상태(설치상태) 종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조립체(전 조립체)와 전력설비의 외함을 조립 상태(설치완료 상태)에서 그 외형의 주요부를 보여주는 부분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조립체(전 조립체)와 전력설비의 외함을 조립 상태(설치완료 상태)에서 그 외형의 주요부를 보여주는 부분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조립체(전 조립체)와 전력설비의 외함의 일 부를 조립 상태(설치완료 상태)에서 그 외형을 보여주는 부분 사시 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반 조립체 및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조립체(전 조립체)에 대한 분해 사시 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과 이를 달성하는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의 작용효과는 첨부한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좀 더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도 2를 주로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반 조립체의 구성과 조립방법 및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전력설비는 대표적으로 가스절연개폐기일 수 있으며, 이러한 전력설비는 외함(100)을 가진다. 외함(100)은 금속 재 탱크로 구성될 수 있고 내부에는 육불화황(SF6)과 같은 절연가스가 봉입될 수 있다.
외함(100)의 일 위치에는 외함(100)의 내부에 연통하는 중공(中空)의 연통 관 부(tubular portion)(100a)가 마련된다. 연통 관 부(100a)는 원기둥형태의 관 부로서 외 측 단 부에 복수의 나사 관통 구 부(100b1)가 구비된 지지 플랜지(SUPPORTING FLANGE)(100b)를 갖는다.
이러한 전력설비용으로서, 도 2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반 조립체는 유전체 수용 용기 부재(71) 및 제 1 체결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유전체 수용 용기 부재(71)는 도 2 또는 도 3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플랜지(FLANGE)부(71c)와, 플랜지 부(71c)로부터 미리 결정된 길이 연장형성되고 일 측(71b)이 개방되며 타 측(71a)은 폐색되고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73)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용기 부를 구비한다.
플랜지 부(71c)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 1 관통 구 부(71c1)가 형성된다.
유전체 수용 용기 부재(71)는 외함(100)의 연통 관 부(100a)에 기밀하게(air tight) 삽입 설치되고, 부분방전 신호의 전자파가 잘 투과하도록 투과성을 위해 유전체로 만들어진다.
상기 제 1 체결 부재는,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71)의 제 1 관통 구 부(71c1)와 지지 플랜지(100b)의 나사 관통 구 부(100b1)를 관통한 복수의 제 1 볼트(72)와, 제 1 볼트(72)에 나사결합되는 복수의 제 1 너트(NUT)(77)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반 조립체는 도 2 또는 도 3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외함(100){특히 외함(100)의 연통 관 부(100a)}과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71)사이를 기밀하게 유지하는 오-링(O-RING)(7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오-링(76)은 연통 관 부(100a)의 지지 플랜지(100b)와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71) 사이에 끼워져 설치된다. 오-링(76)의 설치를 위해서, 연통 관 부(100a)의 지지 플랜지(100b)에는 환형의 홈 부가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서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반 조립체의 조립 방법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력설비의 초기 설치시에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반 조립체를 설치하는 경우, 외함(100) 내에 절연가스를 주입하기 전에, 먼저 연통 관 부(100a)를 개방하고, 지지 플랜지(100b)의 환형 홈 부 내에 오-링(76)을 삽입하여 설치한다.
다음, 연통 관 부(100a) 내에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71)를 그의 수용용기 부가 연통 관 부(100a) 내로 삽입되게 설치한다.
다음,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71)의 제 1 관통 구 부(71c1)와 지지 플랜지(100b)의 나사 관통 구 부(100b1)를 관통하게, 복수의 제 1 볼트(72)를 설치하고, 복수의 제 1 너트(NUT)(77)를 제 1 볼트(72)와 나사 체결함으로써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반 조립체의 조립이 완료된다.
전력설비의 운용중에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반 조립체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먼저 연통 관 부(100a)를 개방하고, 지지 플랜지(100b)의 환형 홈 부 내에 오-링(76)을 삽입하여 설치한다.
다음, 연통 관 부(100a) 내에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71)를 그의 수용용기 부가 연통 관 부(100a) 내로 삽입되게 설치한다.
다음,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71)의 제 1 관통 구 부(71c1)와 지지 플랜지(100b)의 나사 관통 구 부(100b1)를 관통하게, 복수의 제 1 볼트(72)를 설치하고, 복수의 제 1 너트(NUT)(77)를 제 1 볼트(72)와 나사 체결함으로써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반 조립체의 조립이 완료된다.
후속하여 연통 관 부(100a)가 개방된 동안 유출된 양만큼 절연가스를 미 도시한 별도의 주입구를 통해서 보충함으로써 전력설비의 운용중에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반 조립체를 설치하는 작업이 완료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반 조립체는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를 설치하기 전에 상술한 바와 같은 전력설비의 초기 설치시 또는 운용중에 미리 설치되고,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는 추후 수일 내지 수년 후에도 후속하여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반 조립체는 전력설비의 외함(100) 중 연통 관 부(100a)에 기밀하게 삽입하여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71)를 설치하고 외함(100)의 지지 플랜지(100b)와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71)의 플랜지 부(71c)를 관통한 제 1 볼트(72)를 제 1 너트(77)로 체결하여 고정함에 의해서, 초기설치하는 전력설비 또는 기 설치되어 운영중인 전력설비에 간단하게 설치될 수 있고, 외함(100) 내의 절연가스가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71)와 오-링(76)에 의해서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기밀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반 조립체는 언제든지 후속하여 후술하는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를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71) 내에 내장되게 추가 설치할 수 있어, 전력설비 구매자의 설비구성 선택자유도가 높아지고 비용집행도 단계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잇점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조립체(70)는 도 2를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71), 극초단파(UHF) 부분 방전 센서(73), 커버 판(COVER PLATE)(74), 제 1 체결 부재 및 제 2 체결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 2 실시 예에 따른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조립체(70)도 제 1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전력설비의 외함(100)의 일 위치에 마련되고 외함(100)의 내부에 연통하는 중공(中空)의 연통 관 부(100a)를 포함하는 전력설비 용으로서, 연통 관 부(100a)는 복수의 나사 관통 구 부(100b1)가 구비된 지지 플랜지(100b)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라서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조립체(70)는 도 2 또는 도 3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 플랜지(100b)와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71) 사이에 끼워져 외함(100)의 지지 플랜지(100b)와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71) 사이를 기밀하게 유지하는 오 링(O-RING)(7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오-링(76)의 설치를 위해서, 연통 관 부(100a)의 지지 플랜지(100b)에는 환형의 홈 부가 마련된다.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71)는 복수의 제 1 관통 구 부(71c1)가 형성된 플랜지부(71c)와, 플랜지 부(71c)로부터 미리 결정된 길이 연장형성되고 일 측(71b)이 개방되며 타 측(71a)은 폐색된 수용용기 부를 구비한다.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71)는 연통 관 부(100a)에 기밀하게 삽입 설치된다.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73)는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71)의 상기 수용용기 부내에 수용되어 전력설비의 열화로 인해 발생하는 전자파 형태의 부분 방전 신호를 검출한다.
커버 판(74)은 복수의 제 2 관통 구 부(74a)를 구비하며,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73)의 상부를 덮는 수단이다. 커버 판(74)은 직경에 대비하여 높이가 낮은 원기둥 컵(cup) 형의 금속 재 판 또는 합성수지 재 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체결 부재는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71)의 제 1 관통 구 부(71c1)와 상기 지지 플랜지(100b)의 나사 관통 구 부(100b1)를 관통한 복수의 제 1 볼트(72)와, 제 1 볼트(72)에 나사결합되는 복수의 제 1 너트(NUT)(77)를 구비한다.
상기 제 2 체결 부재는, 커버 판(74)의 제 2 관통 구 부(74a)와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71)의 제 1 관통 구 부(71c1)와 지지 플랜지(100b)의 나사 관통 구 부(100b1)를 관통한 복수의 제 2 볼트(75)와, 제 2 볼트(75)에 나사결합되는 복수의 제 2 너트(78)를 구비한다.
도 3 또는 도 4를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 볼트(72)의 머리부는 커버 판(74) 내에 수납되어 커버 판(74)의 외 측에서는 보이지 않으며, 제 2 볼트(75)의 머리부는 커버 판(74)의 외 측으로 돌출하게 위치한다.
상기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73)는,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서 도 7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극초단파 안테나(73a), 정합 접속자(73c) 및 지지부재(73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극초단파 안테나(73a)는 상기 전력설비의 열화(劣化)를 나타내는 전자파 형태의 부분방전신호를 수신한다.
정합 접속자(73c)는 극초단파 안테나(73a)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일 단 부와 외부의 신호 선(미 도시이나 도 1의 부호 60 참조)에 신호전달을 위해 접속되는 타 단 부를 가진다.
지지부재(73b)는 정합 접속자(73c)를 홈 부에 끼워 지지하며, 극초단파 안테나(73a)를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71)의 외부로 이탈방지되게 지지하도록 극초단파 안테나(73a)가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71)의 수용용기 부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용기 부의 개방된 일 측을 폐색하게 끼워진다.
여기서, 커버 판(74)은 정합 접속자(73c)의 상기 타 단 부가 관통하는 제 3 관통 구 부(74b)를 구비하여, 제 3 관통 구 부(74b)를 통해 정합 접속자(73c)의 상기 타 단 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노출된 상기 타 단 부에 외부의 신호 선을 접속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조립체(70)의 조립 방법과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전력설비의 초기 설치시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조립체(70)를 설치하는 경우, 외함(100) 내에 절연가스를 주입하기 전에, 먼저 연통 관 부(100a)를 개방하고, 지지 플랜지(100b)의 환형 홈 부 내에 오-링(76)을 삽입하여 설치한다.
다음, 연통 관 부(100a) 내에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71)를 그의 수용용기 부가 연통 관 부(100a) 내로 삽입되게 설치한다.
다음,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71)의 제 1 관통 구 부(71c1)와 지지 플랜지(100b)의 나사 관통 구 부(100b1)를 관통하게, 복수의 제 1 볼트(72)를 설치하고, 복수의 제 1 너트(NUT)(77)를 제 1 볼트(72)와 나사 체결한다.
다음,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71)의 상기 수용용기 부에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73)을 설치한다. 이때, 도 7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먼저, 상기 수용용기 부의 가장 내측에 극초단파 안테나(73a)를 설치하고, 극초단파 안테나(73a)의 외측에 지지부재(73b)를 설치한 다음, 지지부재(73b)의 설치 홈 부에 정합 접속자(73c)를 끼워 설치한다.
다음, 정합 접속자(73c)의 상 단 부가 제 3 관통 구 부(74b)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하여,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71)와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73)의 조립체 상부에 커버 판(74)을 덮는다.
다음, 복수의 제 2 볼트(75)가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71)의 제 1 관통 구 부(71c1) 및 지지 플랜지(100b)의 나사 관통 구 부(100b1)를 관통하게 삽입하여, 복수의 제 2 너트(78)를 제 2 볼트(75)와 나사 체결한다.
이로써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조립체(70)의 조립(설치)이 완료된다.
전력설비의 운용중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조립체(70)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먼저 연통 관 부(100a)를 개방하고, 지지 플랜지(100b)의 환형 홈 부 내에 오-링(76)을 삽입하여 설치한다.
다음, 연통 관 부(100a) 내에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71)를 그의 수용용기 부가 연통 관 부(100a) 내로 삽입되게 설치한다.
다음,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71)의 제 1 관통 구 부(71c1)와 지지 플랜지(100b)의 나사 관통 구 부(100b1)를 관통하게, 복수의 제 1 볼트(72)를 설치하고, 복수의 제 1 너트(NUT)(77)를 제 1 볼트(72)와 나사 체결한다.
다음,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71)의 상기 수용용기 부에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73)을 설치한다. 이때, 도 7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먼저, 상기 수용용기 부의 가장 내측에 극초단파 안테나(73a)를 설치하고, 극초단파 안테나(73a)의 외측에 지지부재(73b)를 설치한 다음, 지지부재(73b)의 설치 홈 부에 정합 접속자(73c)를 끼워 설치한다.
다음, 정합 접속자(73c)의 상 단 부가 제 3 관통 구 부(74b)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하여,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71)와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73)의 조립체 상부에 커버 판(74)을 덮는다.
다음, 복수의 제 2 볼트(75)가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71)의 제 1 관통 구 부(71c1) 및 지지 플랜지(100b)의 나사 관통 구 부(100b1)를 관통하게 삽입하여, 복수의 제 2 너트(78)를 제 2 볼트(75)와 나사 체결한다.
이로써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운용중인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조립체(70)의 조립(설치)이 완료된다.
후속하여 연통 관 부(100a)가 개방된 동안 유출된 양만큼 절연가스를 미 도시한 별도의 주입구를 통해서 보충함으로써 전력설비의 운용중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조립체(70)를 설치하는 작업이 완료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조립체는, 전력설비의 외함(100) 중 연통 관 부(100a)에 기밀하게 삽입하여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71)를 설치하고, 연통 관 부(100a)의 지지 플랜지(100b)와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71)를 관통한 제 1 볼트(72)를 제 1 너트(77)로 체결하여 고정함에 의해서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71)를 고정설치한 다음, 유전체 수용기(71) 내에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73)를 수용시키고,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73)의 상부에 커버 판(74)을 덮은 다음, 커버 판(74)의 제 2 관통 구 부(74a)와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의 제 1 관통 구 부(71c1)와 지지 플랜지(100b)의 나사 관통 구 부(100b1)를 관통한 복수의 제 2 볼트(75)를 제 2 너트(78)로 체결함에 의해서 초기설치하는 전력설비 또는 기 설치되어 운영중인 전력설비에 간단하게 설치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운용중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조립체(70) 중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73)가 검출한 전자파 형태의 부분 방전 신호는 극초단파 안테나(73a)와 정합 접속자(73c) 및 미 도시한 신호 선을 통해 미 도시한 신호 분석기에 전달되고, 신호 분석기에 의해 전력설비의 열화 정도를 분석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반 조립체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반 조립체도 전력설비용이다. 해당 전력설비는 예컨대 가스절연 개폐기로서 외함(도 2의 부호 100 참조)과, 외함(100)의 일 위치에 마련되고 외함(100)의 내부에 연통하는 중공의 연통 관 부(도 2의 부호 100a 참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통 관 부(100a)는 복수의 나사 관통 구 부(도 2의 부호 100b1)가 구비된 지지 플랜지(100b)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반 조립체는 고정 브라켓(BRACKET)(79),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71) 및 제 1 체결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 브라켓(79)은 지지 플랜지(100b)에 고정결합되는 환형의 예컨대 금속 재 판으로서, 각각 나사 부를 갖는 복수의 나사 돌 부(79a)를 구비한다. 여기서, 고정 브라켓(79)은 지지 플랜지(100b)에 예컨대 용접에 의해 고정결합될 수 있고 별도의 결합 나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서 복수의 나사 돌 부(79a)는 고정 브라켓(79)의 판 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고정 브라켓(79)과 일체로 형성된다.
유전체 수용 용기 부재(71)는 플랜지부(71c)와, 플랜지 부(71c)로부터 미리 결정된 길이 연장형성되고 일 측(71b)이 개방되며 타 측(도 2의 부호 71a 지시 부분 참조)은 폐색되고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73)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용기 부를 구비한다.
플랜지 부(71c)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 1 관통 구 부(71c1)가 형성된다.
유전체 수용 용기 부재(71)는 상기 외함(100)의 연통 관 부(100a)에 기밀하게(air tight) 삽입 설치되고, 부분방전 신호의 전자파가 잘 투과하도록 투과성을 위해 유전체로 만들어진다.
상기 제 1 체결 부재는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71)의 제 1 관통 구 부(71c1)를 관통한 나사 돌 부(79a)에 나사결합되는 복수의 제 3 너트(78a)를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반 조립체의 조립 방법을 도 7을 주로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력설비의 초기 설치시에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반 조립체를 설치하는 경우, 외함(100) 내에 절연가스를 주입하기 전에, 먼저 연통 관 부(100a)를 개방하고, 연통 관 부(100a)의 지지 플랜지(100b)에 고정 브라켓(79)를 용접 또는 나사 고정의 방법으로 고정 결합한다.
다음, 연통 관 부(100a) 내에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71)를 그의 수용용기 부가 연통 관 부(100a) 내로 삽입되게 설치한다.
다음,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71)의 제 1 관통 구 부(71c1)를 관통하게 나사 돌 부(79a)를 삽입한 후, 나사 돌 부(79a)와 복수의 제 3 너트(78a)를 나사 체결함으로써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반 조립체의 조립이 완료된다.
전력설비의 운용중에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반 조립체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먼저 연통 관 부(100a)를 개방하고, 연통 관 부(100a)의 지지 플랜지(100b)에 고정 브라켓(79)를 용접 또는 나사 고정의 방법으로 고정 결합한다.
다음, 연통 관 부(100a) 내에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71)를 그의 수용용기 부가 연통 관 부(100a) 내로 삽입되게 설치한다.
다음,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71)의 제 1 관통 구 부(71c1)를 관통하게 나사 돌 부(79a)를 삽입한 후, 나사 돌 부(79a)와 복수의 제 3 너트(78a)를 나사 체결함으로써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반 조립체의 조립이 완료된다.
후속하여 연통 관 부(100a)가 개방된 동안 유출된 양만큼 절연가스를 미 도시한 별도의 주입구를 통해서 보충함으로써 전력설비의 운용중에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반 조립체를 설치하는 작업이 완료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반 조립체는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를 설치하기 전에 상술한 바와 같은 전력설비의 초기 설치시 또는 운용중에 미리 설치되고,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는 추후 수일 내지 수년 후에도 후속하여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반 조립체는 전력설비의 외함(100) 중 연통 관 부(100a)에 기밀하게 삽입하여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71)를 설치하고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71)의 플랜지 부(71c)를 관통한 나사 돌 부(79a)를 제 3 너트(78a)로 체결하여 고정함에 의해서, 초기설치하는 전력설비 또는 기 설치되어 운영중인 전력설비에 간단하게 설치될 수 있고, 외함(100) 내의 절연가스가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71)에 의해서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기밀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반 조립체는 언제든지 후속하여 후술하는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를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71) 내에 내장되게 추가 설치할 수 있어, 전력설비 구매자의 설비구성 선택자유도가 높아지고 비용집행도 단계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잇점을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반 조립체는 복수의 나사 돌 부(79a)가 고정 브라켓(79)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각각의 볼트를 하나씩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71)에 관통시키는 것에 비해 관통작업이 한 번에 이루어져 조립(설치)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도 7을 주로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조립체의 구성과 조립방법 및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력설비는 전술한 실시 예들과 마찬가지로 대표적으로 가스절연개폐기일 수 있으며, 이러한 전력설비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외함(100)을 포함한다. 따라서 외함(100)은 금속 재 탱크로 구성될 수 있고 내부에는 육불화황(SF6)과 같은 절연가스가 봉입될 수 있다. 또한 외함(100)의 일 위치에는 외함(100)의 내부에 연통하는 중공(中空)의 연통 관 부(100a)가 마련된다. 상기 연통 관 부(100a)는 원기둥형태의 관 부로서 외 측 단 부에 복수의 나사 관통 구 부(100b1)가 구비된 지지 플랜지(100b)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조립체(70-1)는 상기와 같은 전력설비용으로서 고정 브라켓(79),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71), 극초단파(UHF) 부분 방전 센서(73), 커버 판(74) 및 제 1 체결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 브라켓(79)은 지지 플랜지(100b)에 고정결합되는 환형의 예컨대 금속 재 판으로서, 각각 나사 부를 갖는 복수의 나사 돌 부(79a)를 구비한다. 고정 브라켓(79)은 지지 플랜지(100b)에 예컨대 용접에 의해 고정결합될 수 있고 별도의 결합 나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서 복수의 나사 돌 부(79a)는 고정 브라켓(79)의 판 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고정 브라켓(79)과 일체로 형성된다.
유전체 수용 용기 부재(71)는 플랜지부(71c)와, 플랜지 부(71c)로부터 미리 결정된 길이 연장형성되고 일 측(71b)이 개방되며 타 측(도 2의 부호 71a 지시 부분 참조)은 폐색되고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73)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용기 부를 구비한다.
플랜지 부(71c)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 1 관통 구 부(71c1)가 형성된다.
유전체 수용 용기 부재(71)는 상기 외함(100)의 연통 관 부(100a)에 기밀하게(air tight) 삽입 설치되고, 부분방전 신호의 전자파가 잘 투과하도록 투과성을 위해 유전체로 만들어진다.
극초단파(UHF) 부분 방전 센서(73)는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71)의 상기 수용용기 부내에 수용되어 전력설비의 부분 방전 신호를 검출한다.
극초단파(UHF) 부분 방전 센서(73)는 상기 전력설비의 열화(劣化)를 나타내는 부분방전신호를 수신하는 극초단파 안테나(73a); 극초단파 안테나(73a)와 접속되는 일 단 부와 외부의 신호 선에 신호전달을 위해 접속되는 타 단 부를 가진 정합 접속자(73c); 및 정합 접속자(73c)를 끼워 지지하기 위한 홈 부를 가지며, 극초단파 안테나(73a)를 외부로 이탈방지되게 지지하도록 상기 수용용기 부 내에서 상기 극초단파 안테나(73a)보다 외 측에 끼워지는 지지부재(73b);를 포함한다.
커버 판(74)은 복수의 제 2 관통 구 부(74a)를 구비하며,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73)의 상부를 덮는 수단이다. 커버 판(74)은 직경에 대비하여 높이가 낮은 원기둥 컵(cup) 형의 금속 재 판 또는 합성수지 재 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커버 판(74)은 상기 정합 접속자(73c)의 타 단 부가 관통하는 제 3 관통 구 부(74b)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체결 부재는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71)의 제 1 관통 구 부(71c1)와 커버 판(74)의 제 2 관통 구 부(74a)를 관통한 나사 돌 부(79a)에 나사결합되는 복수의 제 3 너트(78a)를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반 조립체의 조립 방법을 도 7을 주로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력설비의 초기 설치시에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반 조립체를 설치하는 경우, 외함(100) 내에 절연가스를 주입하기 전에, 먼저 연통 관 부(100a)를 개방하고, 연통 관 부(100a)의 지지 플랜지(100b)에 고정 브라켓(79)을 용접 또는 나사 고정의 방법으로 고정 결합한다.
다음, 연통 관 부(100a) 내에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71)를 그의 수용용기 부가 연통 관 부(100a) 내로 삽입되게 설치한다. 이때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71)의 제 1 관통 구 부(71c1)를 나사 돌 부(76)가 관통하도록 맞추어 설치한다.
다음,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71)의 상기 수용용기 부에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73)을 설치한다. 이때, 도 7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먼저, 상기 수용용기 부의 가장 내측에 극초단파 안테나(73a)를 설치하고, 극초단파 안테나(73a)의 외측에 지지부재(73b)를 설치한 다음, 지지부재(73b)의 설치 홈 부에 정합 접속자(73c)를 끼워 설치한다.
다음, 정합 접속자(73c)의 상 단 부가 제 3 관통 구 부(74b)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하여,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71)와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73)의 조립체 상부에 커버 판(74)을 덮는다. 이때 커버 판(74)의 제 2 관통 구 부(74a)를 나사 돌 부(79a)가 관통하도록 맞추어 덮는다.
다음,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71)의 제 1 관통 구 부(71c1)와 커버 판(74)의 제 2 관통 구 부(74a)를 관통한 나사 돌 부(79a)에 복수의 제 3 너트(78a)를 나사 체결함으로써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조립체(70-1)의 조립이 완료된다.
전력설비의 운용중에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조립체(70-1)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먼저 연통 관 부(100a)를 개방하고, 연통 관 부(100a)의 지지 플랜지(100b)에 고정 브라켓(79)를 용접 또는 나사 고정의 방법으로 고정 결합한다.
다음, 연통 관 부(100a) 내에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71)를 그의 수용용기 부가 연통 관 부(100a) 내로 삽입되게 설치한다. 이때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71)의 제 1 관통 구 부(71c1)를 나사 돌 부(76)가 관통하도록 맞추어 설치한다.
다음,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71)의 상기 수용용기 부에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73)을 설치한다. 이때, 도 7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먼저, 상기 수용용기 부의 가장 내측에 극초단파 안테나(73a)를 설치하고, 극초단파 안테나(73a)의 외측에 지지부재(73b)를 설치한 다음, 지지부재(73b)의 설치 홈 부에 정합 접속자(73c)를 끼워 설치한다.
다음, 정합 접속자(73c)의 상 단 부가 제 3 관통 구 부(74b)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하여,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71)와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73)의 조립체 상부에 커버 판(74)을 덮는다. 이때 커버 판(74)의 제 2 관통 구 부(74a)를 나사 돌 부(79a)가 관통하도록 맞추어 덮는다.
다음,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71)의 제 1 관통 구 부(71c1)와 커버 판(74)의 제 2 관통 구 부(74a)를 관통한 나사 돌 부(79a)에 복수의 제 3 너트(78a)를 나사 체결함으로써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조립체(70-1)의 조립이 완료된다.
후속하여 연통 관 부(100a)가 개방된 동안 유출된 양만큼 절연가스를 미 도시한 별도의 주입구를 통해서 보충함으로써 전력설비의 운용중에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반 조립체를 설치하는 작업이 완료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조립체(70-1)는 전력설비의 외함(100) 중 연통 관 부(100a)에 기밀하게 삽입하여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71)를 설치하고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71)의 제 1 관통 구 부(71c1)와 커버 판(74)의 제 2 관통 구 부(74a)를 관통한 나사 돌 부(79a)를 제 3 너트(78a)로 체결하여 고정함에 의해서 초기설치하는 전력설비 또는 기 설치되어 운영중인 전력설비에 간단하게 설치될 수 있고 또한 복수의 나사 돌 부(79a)가 고정 브라켓(79)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각각의 볼트를 하나씩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71)와 커버 판(74)에 관통시키는 것에 비해 관통작업이 한 번에 이루어져 조립(설치)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부분 방전 신호의 검출 성능이 우수한 내장형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를 초기 설치시나 기 운용중인 전력설비에 간편하고 경제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반 조립체 및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조립체를 제시한다.
50: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조립체
60: 신호 선
70: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조립체(제 2 실시 예)
70-1: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조립체(제 4 실시 예)
71: 유전체 수용 용기 부재
71a: 타 측 71b: 일 측
71c: 플랜지 부 71c1: 제 1 관통 구 부
72: 제 1 볼트 73: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73a: 극초단파 안테나 73b: 지지부재
73c: 정합 접속자
74: 커버 판 74a: 제 2 관통 구 부
74b: 제 3 관통 구 부 75: 제 2 볼트
76: 오-링 77: 제 1 너트
78: 제 2 너트(제 2 실시 예) 78a: 제 3 너트(제 3 실시 예, 제 4 실시 예)
79: 고정 브라켓(BRACKET) 79a: 나사 돌 부
100: 외함 100a: 연통 관 부
100b: 지지 플랜지

Claims (11)

  1. 전력설비의 외함의 일 위치에 마련되고 상기 외함의 내부에 연통하는 중공(中空)의 연통 관 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통 관 부는 복수의 나사 관통 구 부가 구비된 지지 플랜지(SUPPORTING FLANGE)를 갖는 전력설비용으로서,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반 조립체에 있어서,
    복수의 제 1 관통 구 부가 형성된 플랜지(FLANGE)부와, 상기 플랜지 부로부터 미리 결정된 길이 연장형성되고 일 측이 개방되며 타 측은 폐색되고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용기 부를 구비하며, 상기 외함의 연통 관 부에 기밀하게 삽입 설치되고, 전자파의 투과성을 위해 유전체로 만들어진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 및
    상기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의 제 1 관통 구 부와 상기 지지 플랜지의 나사 관통 구 부를 관통한 복수의 제 1 볼트와, 상기 제 1 볼트에 나사결합되는 복수의 제 1 너트(NUT)를 구비하는 제 1 체결 부재;를 포함하는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반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랜지와 상기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 사이에 끼워져 상기 외함과 상기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 사이를 기밀하게 유지하는 오-링(O-RING)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반 조립체.
  3. 전력설비의 외함의 일 위치에 마련되고 상기 외함의 내부에 연통하는 중공의 연통 관 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통 관 부는 복수의 나사 관통 구 부가 구비된 지지 플랜지(SUPPORTING FLANGE)를 갖는 전력설비용으로서,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조립체에 있어서,
    복수의 제 1 관통 구 부가 형성된 플랜지(FLANGE)부와, 상기 플랜지 부로부터 미리 결정된 길이 연장형성되고 일 측이 개방되며 타 측은 폐색된 수용용기 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통 관 부에 기밀하게 삽입 설치되는 유전체 수용 용기 부재;
    상기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의 수용용기 부내에 수용되어 전력설비의 부분 방전 신호를 검출하는 극초단파(UHF) 부분 방전 센서;
    복수의 제 2 관통 구 부를 구비하며, 상기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의 상부를 덮는 커버 판(COVER PLATE);
    상기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의 제 1 관통 구 부와 상기 지지 플랜지의 나사 관통 구 부를 관통한 복수의 제 1 볼트와, 상기 제 1 볼트에 나사결합되는 복수의 제 1 너트(NUT)를 구비하는 제 1 체결 부재; 및
    상기 커버 판의 제 2 관통 구 부와 상기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의 제 1 관통 구 부와 상기 지지 플랜지의 나사 관통 구 부를 관통한 복수의 제 2 볼트와, 상기 제 2 볼트에 나사결합되는 복수의 제 2 너트를 구비하는 제 2 체결 부재;를 포함하는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는,
    상기 전력설비의 열화(劣化)를 나타내는 부분방전신호를 수신하는 극초단파 안테나;
    상기 극초단파 안테나와 접속되는 일 단 부와 외부의 신호 선에 신호전달을 위해 접속되는 타 단 부를 가진 정합 접속자; 및
    상기 정합 접속자를 홈 부에 끼워 지지하며, 상기 극초단파 안테나를 외부로 이탈방지되게 지지하도록 상기 극초단파 안테나가 상기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의 수용용기 부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용기 부의 개방된 일 측을 폐색하게 끼워지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판은 상기 정합 접속자의 타 단 부가 관통하는 제 3 관통 구 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조립체.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랜지와 상기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 사이에 끼워져 상기 외함과 상기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 사이를 기밀하게 유지하는 오-링(O-RING)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조립체.
  7. 전력설비의 외함의 일 위치에 마련되고 상기 외함의 내부에 연통하는 중공의 연통 관 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통 관 부는 복수의 나사 관통 구 부가 구비된 지지 플랜지(SUPPORTING FLANGE)를 포함하는 전력설비용으로서,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반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랜지에 고정결합되고, 각각 나사 부를 갖는 복수의 나사 돌 부를 구비하는 고정 브라켓(BRACKET);
    상기 고정 브라켓의 나사 돌 부가 관통하는 복수의 제 1 관통 구 부가 형성된 플랜지(FLANGE)부와, 상기 플랜지 부로부터 미리 결정된 길이 연장형성되고 일 측이 개방되며 타 측은 폐색되고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용기 부를 구비하며, 상기 외함의 연통 관 부에 기밀하게 삽입 설치되고, 전자파의 투과성을 위해 유전체로 만들어진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 및
    상기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의 제 1 관통 구 부를 관통한 상기 나사 돌 부에 나사결합되는 복수의 제 1 너트(NUT)를 구비하는 제 1 체결 부재;를 포함하는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반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랜지와 상기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 사이에 끼워져 상기 외함과 상기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 사이를 기밀하게 유지하는 오-링(O-RING)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반 조립체.
  9. 전력설비의 외함의 일 위치에 마련되고 상기 외함의 내부에 연통하는 중공의 연통 관 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통 관 부는 복수의 나사 관통 구 부가 구비된 지지 플랜지(SUPPORTING FLANGE)를 포함하는 전력설비용으로서,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랜지에 고정결합되고, 각각 나사 부를 갖는 복수의 나사 돌 부를 구비하는 고정 브라켓(BRACKET);
    상기 고정 브라켓의 나사 돌 부가 관통하는 복수의 제 1 관통 구 부가 형성된 플랜지(FLANGE)부와, 상기 플랜지 부로부터 미리 결정된 길이 연장형성되고 일 측이 개방되며 타 측은 폐색되고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용기 부를 구비하며, 상기 외함의 연통 관 부에 기밀하게 삽입 설치되고, 전자파의 투과성을 위해 유전체로 만들어진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
    상기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의 수용용기 부내에 수용되어 전력설비의 부분 방전 신호를 검출하는 극초단파(UHF) 부분 방전 센서;
    복수의 제 2 관통 구 부를 구비하며, 상기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의 상부를 덮는 커버 판(COVER PLATE); 및
    상기 유전체 수용용기 부재의 제 1 관통 구 부와 상기 커버 판의 제 2 관통 구 부를 관통한 상기 나사 돌 부에 나사결합되는 복수의 제 2 너트를 구비하는 제 1 체결 부재;를 포함하는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는,
    상기 전력설비의 열화(劣化)를 나타내는 부분방전신호를 수신하는 극초단파 안테나;
    상기 극초단파 안테나와 접속되는 일 단 부와 외부의 신호 선에 신호전달을 위해 접속되는 타 단 부를 가진 정합 접속자; 및
    상기 정합 접속자를 끼워 지지하기 위한 홈 부를 가지며, 상기 극초단파 안테나를 외부로 이탈방지되게 지지하도록 상기 수용용기 부 내에서 상기 극초단파 안테나보다 외 측에 끼워지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조립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판은 상기 정합 접속자의 타 단 부가 관통하는 제 3 관통 구 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조립체.

KR1020120123205A 2012-11-01 2012-11-01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반 조립체 및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조립체 KR101352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3205A KR101352520B1 (ko) 2012-11-01 2012-11-01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반 조립체 및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3205A KR101352520B1 (ko) 2012-11-01 2012-11-01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반 조립체 및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2520B1 true KR101352520B1 (ko) 2014-01-17

Family

ID=50145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3205A KR101352520B1 (ko) 2012-11-01 2012-11-01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반 조립체 및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252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85666A2 (en) 2014-08-11 2016-02-17 LSIS Co., Ltd. On-line status diagnosis device and on-line status diagnosis method for electric power utilities
KR20180115793A (ko) * 2016-03-03 2018-10-23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가압 유체 절연식 전력 전달 장치를 위한 분해 또는 조립 방법
KR20190001385U (ko) * 2017-12-01 2019-06-11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펌프 모터용 전력인입장치의 기밀 테스트 지그
KR102089185B1 (ko) * 2018-12-06 2020-03-13 한국전력공사 Gis 부분방전 진단장치 및 진단시스템
CN115015708A (zh) * 2022-06-02 2022-09-06 南京征途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变配电全向特高频局放传感器及其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1265A (ko) * 2008-09-12 2010-03-22 (주) 피에스디테크 배전기기 내장형 부분방전 센서 및 이를 이용한 배전기기 상태감시 시스템
KR20100054610A (ko) * 2008-11-14 2010-05-25 한국전력공사 고전압 전력기기용 극초단파 부분방전 어레이 센서 장치
KR20100090012A (ko) * 2009-02-05 2010-08-13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부분방전 센서 및 이를 이용한 부분방전 검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1265A (ko) * 2008-09-12 2010-03-22 (주) 피에스디테크 배전기기 내장형 부분방전 센서 및 이를 이용한 배전기기 상태감시 시스템
KR20100054610A (ko) * 2008-11-14 2010-05-25 한국전력공사 고전압 전력기기용 극초단파 부분방전 어레이 센서 장치
KR20100090012A (ko) * 2009-02-05 2010-08-13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부분방전 센서 및 이를 이용한 부분방전 검출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85666A2 (en) 2014-08-11 2016-02-17 LSIS Co., Ltd. On-line status diagnosis device and on-line status diagnosis method for electric power utilities
KR20180115793A (ko) * 2016-03-03 2018-10-23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가압 유체 절연식 전력 전달 장치를 위한 분해 또는 조립 방법
KR102207508B1 (ko) 2016-03-03 2021-01-26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가압 유체 절연식 전력 전달 장치를 위한 분해 또는 조립 방법
KR20190001385U (ko) * 2017-12-01 2019-06-11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펌프 모터용 전력인입장치의 기밀 테스트 지그
KR200489925Y1 (ko) * 2017-12-01 2019-08-29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펌프 모터용 전력인입장치의 기밀 테스트 지그
KR102089185B1 (ko) * 2018-12-06 2020-03-13 한국전력공사 Gis 부분방전 진단장치 및 진단시스템
CN115015708A (zh) * 2022-06-02 2022-09-06 南京征途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变配电全向特高频局放传感器及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2520B1 (ko)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반 조립체 및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조립체
CN208595947U (zh) 雷达料位计系统和储罐装置
CN102047127B (zh) 法拉第光学电流传感器装置
US9329221B2 (en) Partial discharge sensor
KR101146480B1 (ko) 초고압 전력케이블 접속함의 부분방전측정용 연결단자함
US8884776B2 (en) Electronic device and its production process
US11105788B2 (en) Apparatus for detecting internal defect in transformer
CN109116200B (zh) 一种内置甚高频局放传感装置的高压电缆绝缘接头
KR101496588B1 (ko) 가스 절연 개폐기의 부분방전 검출 장치
CN205333783U (zh) 一种局部放电检测装置
KR101438171B1 (ko) 가스 절연 개폐 장치의 부분 방전 검출을 위한 외장형 센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WO2019179499A1 (zh) 射频测试探头、射频测试系统及方法
KR101986551B1 (ko) 가스절연개폐기용 부분방전 복합 센서 조립체
KR101843792B1 (ko) 전력설비의 부분방전 판정방법
US8981784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mposite bushing, and partial discharge diagnostic system for composite bushing
US11264710B2 (en) Mounting structure for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and system
CN101568983A (zh) 改进的耦合器
KR101394071B1 (ko) 맨홀
KR101328290B1 (ko) 측정 기구
KR200283073Y1 (ko) 진공 및 고압용 케이블 커넥터
KR101691469B1 (ko) 기밀 방식으로 하우징 벽을 통해 도체를 유도하기 위한 장치
CN108710005B (zh) 介损局放传感器结构及容性高压电器设备检测机构
CN202422914U (zh) 油浸式变压器接地引线装置
CN205319635U (zh) 传感器用信号输出接线盒
KR102599676B1 (ko) 방수 기능을 갖는 누수 검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