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5757B1 - Gis용 오링 - Google Patents

Gis용 오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5757B1
KR102085757B1 KR1020190082861A KR20190082861A KR102085757B1 KR 102085757 B1 KR102085757 B1 KR 102085757B1 KR 1020190082861 A KR1020190082861 A KR 1020190082861A KR 20190082861 A KR20190082861 A KR 20190082861A KR 102085757 B1 KR102085757 B1 KR 1020857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ring body
spring
gis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2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연수
박주선
Original Assignee
우남전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남전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남전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2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57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5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57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02B13/045Details of casing, e.g. gas tight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GIS용 오링이 개시된다. GIS용 오링은 GIS의 외함에 구비된 플랜지에 끼움설치되어 외함의 기밀성을 향상시키는 GIS용 오링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의 결합면에 형성된 링홈에 끼워지는 오링몸체; 상기 오링몸체의 내측단을 따라 원주상으로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링홈의 내측면에 연장형성된 내측 이탈방지홈에 안착되어 상기 오링몸체가 상기 링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내측 이탈방지돌기; 상기 오링몸체의 외측단을 따라 원주상으로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링홈의 외측면에 연장형성된 외측 이탈방지홈에 안착되어 상기 오링몸체가 상기 링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외측 이탈방지돌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GIS용 오링{o-ring for gas insulated swich-gear}
본 발명은 GIS용 오링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스절연 개폐장치Gas Insulated Switchgear: GIS)의 이웃하는 GIS의 외함 사이에 개재되도록 설치되어 기밀성을 향상시킴으로써 SF6가스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GIS용 오링에 관한 것이다.
가스절연개폐장치(Gas Insulated Swich-gear: GIS, 이하 'GIS'라 함)는 변전소 내에 설치되는 전력계통 설비의 주 보호장치로서 정상개폐는 물론 지락이나 단락 등 고장 발생 시에도 과도한 고장 전류를 안전하고 신속하게 차단시켜 전력계통 에서의 고장 구간이 확대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기이다.
일반적으로, GIS는 여러개의 밀폐 금속 외함들이 밀폐되게 연결되어지고, 이 외함들의 내부에 차단기, 단로기, 접지개폐기, 계기용 변압기 등과 그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통전도체를 수납하고, 밀폐 금속 외함들에 SF6가스를 충전한 구조를 갖는다.
이처럼, GIS는 절연 내력과 소호능력이 우수한 SF6가스를 충진한 밀폐 금속외함들 안에 차단기, 단로기, 접지개폐기 등의 개폐설비와 변성기, 피뢰기, 모선 등을 일괄 수납한 밀폐형 구조이기 때문에 운전 소음이 낮고, 소형화가 가능하며, 환경과의 조화, 높은 신뢰도, 안전성 등으로 오늘날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GIS의 금속 외함들은 일측 또는 양단에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어, 서로 이웃하는 두 외함의 마주하는 두 플랜지를 볼트로 체결하여 결합이 이루어지며, 이때, SF6가스의 누설을 방지하도록 기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플랜지에 형성된 오링 결합홈에 고무 오링(O-ring)을 끼운 상태에서, 마주하는 두 플랜지를 결합함으로써 두 플랜지 사이에 고무 오링(O-ring)이 설치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GIS용 오링은 단순히 단면이 원형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오링이 쉽게 플랜지의 오링 결합홈에서 쉽게 분리되어져 버림으로써, GIS의 유지보수에 따른 외함들의 분리 및 결합작업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GIS는 외함의 크기에 따라 오링의 직경이 1m가량되는 대형 오링이 사용되기 때문에, 사이즈가 큰 GIS 외함들간의 분리 및 결합작업시, 이 외함에 대응되는 큰 사이즈의 오링은 보다 쉽게 외함의 플랜지에서 이탈될 수 있어, GIS의 유지보수에 더욱 어려움을 겪을 수 밖에 없었다.
아울러, GIS의 외함에는 두 이웃하는 외함의 결합을 위한 플랜지가 형성될 뿐 아니라, 외함 내부의 접지개폐기나, 단로기, 차단기 등의 접점 상태를 육안으로 점검하기 위해 점검창을 설치하기 위해 외함에 점검창 결합용 플랜지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점검창 결합용 플랜지와 점검창 사이에도 오링이 설치되어 기밀성을 유지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며, 이 점검창의 유지보수를 위한 분리 및 결합시에도, 점검창 결합용 플랜지로부터 쉽게 오링이 이탈되어 점검창의 분리 및 결합이 어렵고 시간이 많이 드는 문제가 있었다.
공개실용신안 20-2016-0000924호 등록특허 10-1097616호 등록실용신안 20-0113615호 등록실용 20-0421594호 등록특허 10-0948156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GIS의 외함에 구비된 플랜지에 끼움설치되어 외함의 기밀성을 향상시키는 오링으로서, 오링이 GIS의 외함 플랜지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GIS의 유지보수가 용이해질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갖는 GIS용 오링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GIS의 외함에 구비된 플랜지에 끼움설치되어 외함의 기밀성을 향상시키는 오링으로서, 오링의 내부에 원주상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코일형 스프링모듈을 내장시켜, 외함의 플랜지 결합해제시 원상태로의 용이한 복원이 이루어짐으로써 플랜지의 재결합에도 양호한 기밀성 유지가 가능할 뿐 아니라, 코일형스프링모듈을 오링 내부에 삽입장착하거나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갖는 GIS용 오링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GIS용 오링은 GIS의 외함에 구비된 플랜지에 끼움설치되어 외함의 기밀성을 향상시키는 GIS용 오링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의 결합면에 형성된 링홈에 끼워지는 오링몸체; 상기 오링몸체의 내측단을 따라 원주상으로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링홈의 내측면에 연장형성된 내측 이탈방지홈에 안착되어 상기 오링몸체가 상기 링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내측 이탈방지돌기; 상기 오링몸체의 외측단을 따라 원주상으로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링홈의 외측면에 연장형성된 외측 이탈방지홈에 안착되어 상기 오링몸체가 상기 링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외측 이탈방지돌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링몸체의 내부에는 원주상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스프링 안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 안착공간에 삽입설치되어, 상기 오링몸체의 변형에 따른 원상태로의 복원력을 향상시키는 코일스프링을 구비한 스프링모듈;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오링몸체는 외측단으로부터 내부로 절개되어, 상기 오링몸체의 외측상부 및 하부가 분리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원상태에서는 상기 오링몸체의 외측상부와 하부가 서로 접하고,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서는 상기 오링몸체의 외측상부와 하부가 서로 이격되게 벌어져 상기 스프링 안착공간과 연결되어 상기 스프링 안착공간으로 상기 스프링모듈을 삽입하거나 상기 스프링 안착공간으로부터 상기 스프링모듈을 빼낼 수 있는 스프링교체통로를 형성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외측 이탈방지돌기의 상부만이 상기 오링몸체의 외측 상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오링몸체의 외측상부와 하부가 서로 접하는 경우, 상기 외측 이탈방지돌기의 하부는 상기 오링몸체의 외측하부의 표면상단부를 커버하는 형태로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모듈은 상기 코일스프링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고정설치되어 상기 코일스프링의 상단 및 하단이 상기 스프링 안착공간의 상면과 하면에 점접촉되지 않고 면접촉하도록 하여 상기 스프링 안착공간의 상면 및 하면에 대한 손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손상방지디스크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GIS용 오링은 오링몸체의 내측단과 외측단에 내측 이탈방지돌기와 외측 이탈방지돌기가 형성되어 오링이 플랜지의 링홈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어, GIS의 유지보수작업시, 이웃하는 두 플랜지를 분리하여도 GIS용 오링이 일측 플랜지에 삽입장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어 유지보수작업 시간을 줄일 수 있고, 오링 미부착에 따른 SF6 가스의 누설로 인한 GIS의 오동작 발생을 방지하여 GIS의 동작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GIS용 오링은 오링몸체의 내부에 원주상으로 복수의 스프링모듈이 내장되어 있는 구조로서, 두 플랜지의 결합에 의해 오링몸체가 가압되어 누림변형이 일어난 상태에서, GIS 유지보수를 위해 두 플랜지의 결합 해제시 오링몸체의 자체 탄성력과 더불어 스프링모듈의 탄성력에 의해 오링몸체가 원상태로 복원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짐으로써, 두 플랜지를 다수회 결합 및 해제하더라도 두 플랜지 간의 기밀성이 불량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오링몸체의 외측상부 및 하부가 분리되어 오링몸체의 외측상부 및 하부를 벌림으로써 스프링모듈을 오링몸체의 내부에 인입 장착하거나 인출하여 손쉬운 교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GIS용 오링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GIS용 오링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GIS용 오링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용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GIS용 오링을 나타낸 평면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GIS용 오링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GIS용 오링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용예시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 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 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 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GIS용 오링(10)에 대해 설명한다.
GIS(Gas Insulated Swich-gear, 가스절연개폐장치)는 여러 금속밀폐 외함(1,3)이 측단에 형성된 플랜지(2,4)들의 볼트(B) 및 노트(N)의 결합에 의해 서로 연결결합되고, 이러한 연결된 외함(1,3) 들 내에 차단기, 단로기, 접지개폐기 등의각 기능구성들과, 이 기능구성들을 접속하는 통전도체를 수납하고, 내부에 절연성이 높은 SF6가스와 같은 절연가스를 충전한 장치로서, 본 발명의 GIS용 오링(10)은 외함(1,3)들의 연결부위 즉 플랜지(2,4) 사이에 개재되어 기밀성을 높이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아울러, GIS의 외함들에 형성된 점검창 결합용 플랜지와 이에 결합되는 점검창 사이에도 개재되어 기밀성을 높이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GIS용 오링(10)은 링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고무등과 같은 탄성을 갖는 천연수지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오링몸체(11), 내측 이탈방지돌기(12a), 외측 이탈방지돌기(12b)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오링몸체(11)는 통상의 오링과 같이 단면이 원형을 이루고, 링형상을 갖도록 구성된다.
내측 이탈방지돌기(12a)는 오링몸체(11)의 내측단을 따라 원주상으로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외측 이탈방지돌기(12b)는 오링몸체(11)의 외측단을 따라 원주상으로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내측 이탈방지돌기(12a) 및 외측 이탈방지돌기(12b)는 각각 단면이 반원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GIS용 오링(10)은 일측 외함(1)의 플랜지(2)에 형성된 링홈(2a)에 끼워져 장착될 수 있으며, 이때, 링홈(2a)의 내측단과 외측단에 형성된 내측 이탈방지홈(2aa)과 외측 이탈방지홈(2ab)에 내측 이탈방지돌기(12a) 및 외측 이탈방지돌기(12b)는 각각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GIS용 오링(10)은 일측 외함(1)의 플랜지(2)에 삽입장착된 상태에서 타측 외함(3)의 플랜지(4)와 일측 외함(1)의 플랜지(2)를 볼트(B)와 너트(N)로 결합함으로써, 이웃하는 두 외함(1,3)의 기밀성을 양호하게 유지한 상태로 GIS의 정상적인 작동을 도모할 수 있다.
이렇게, 본 발명의 GIS용 오링(10)은 양측 외함(1,3)의 두 플랜지(2,4) 사이에 설치되어, 두 플랜지(2,4) 사이의 기밀성을 유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으며, GIS의 유지보수를 위하여 이웃하는 두 플랜지(2,4)의 결합을 해제하여도, 내측 이탈방지돌기(12a) 및 외측 이탈방지돌기(12b)가 일측 외함(1)의 플랜지(2)의 링홈(2a)에 형성된 내측 이탈방지홈(2aa)과 외측 이탈방지홈(2ab)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오링(10)이 일측 외함(1)의 플랜지(2)에 삽입장착된 상태를 그래도 유지할 수 있어, 유지보수 작업 후 다시 두 플랜지(2,4)를 결합할 때, 별도로 오링(10)을 플랜지(2)에 삽입장착하는 작업을 할 필요가 없어서 유지보수에 대한 작업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며, 플랜지(2)에 오링(10)을 설치하지 않은 상태로 두 플랜지(2,4)를 결합하는 실수로 인해 플랜지(2,4) 간의 기밀이 깨져 SF6가스가 누설이 발생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GIS용 오링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제 2 실시 예에 따른 GIS용 오링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GIS용 오링과 같이, 오링몸체(11)의 내측단과 외측단에 내측 이탈방지돌기(12a)와 외측 이탈방지돌기(12b)가 형성되어 오링(10)이 플랜지(2)의 링홈(2a)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동일한 특징과 더불어, 두 플랜지(2,4)을 결합에 의해 오링몸체(11)가 가압되어 누림에 의한 형태변형이 일어난 후, 두 플랜지(2,4)의 결합 해제에 따른 오링몸체(11)에 대한 외력제거시, 오링몸체(11)가 원상태로 복원되는 복원력이 향상되도록 오링몸체(11)의 내부에 복수의 스프링모듈(16)이 내장되도록 설치되는 추가적인 특징이 있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 1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하며 차이가 있는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제 2 실시 예에 따른 GIS용 오링은 오링몸체(11)의 내부에 원주상을 따라 일정한 소정간격으로 스프링 안착공간(14)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스프링모듈(16)은 복수개로 구성되어, 각각의 스프링 안착공간(14)에 삽입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스프링모듈(16)은 코일스프링(18)과, 코일스프링(18)의 상하양단에 각각 고정설치되는 손상방지디스크(17)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오링몸체(11)는 외측단으로부터 내부로 절개되어, 오링몸체(11)의 외측상부(11a) 및 외측하부(11b)가 분리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오링몸체(11)의 내측부는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지고, 오링몸체(11)의 외측부는 내측부로부터 일체로 연장형성되되, 오링몸체부(11)의 외측상부(11a)와 외측하부(11b)로 갈라지는 형태로 구성되어,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원상태에서는 오링몸체(11)의 외측상부(11a)의 하면(11aa)과 외측하부(11b)의 상면(11bb)이 서로 접하고, 사용자가 외력에 의해 오링몸체(11)의 외측상부(11a)와 하부(11b)를 서로 벌리면, 외측상부(11a)의 하면(11aa)과 외측하부(11b)의 상면(11bb)이 서로 이격되어 각각의 스프링 안착공간(14)과 연결되는 스프링교체통로(s)가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가 외력에 의해 오링몸체(11)의 외측상부(11a)와 외측하부(11b)를 서로 벌려, 스프링교체통로(s)를 형성한 후, 이 스프링교체통로(s)를 통해 스프링모듈(16)을 스프링 안착공간(14)으로 설치할 수도 있고, 스프링 안착공간(14)에 삽입되어 있는 스프링모듈(16)을 외부로 빼낼 수 있도 있다.
한편, 제 2 실시 에서, 외측 이탈방지돌기(12b)는 상부(12ba)만이 오링몸체(11)의 외측 상부(11a)와 일체로 형성되어, 오링몸체(11)의 외측상부(11a)와 외측하부(11b)를 서로 벌리는 경우, 오링몸체(11)의 외측상부(11a)와 같이 움직이도록 구성되며, 아울러, 오링몸체(11)의 외측상부(11a)와 외측하부(11b)를 벌리는 외력을 제거하여 외측상부(11a)와 외측하부(11b)가 서로 접하도록 원상태가 되는 경우, 외측 이탈방지돌기(12b)의 하부(12bb)는 오링몸체(11)의 외측하부(11b)의 표면상단부(11ba)를 커버하는 형태로 접하도록 구성되어, 외부의 수분이 오링몸체(11)의 외측상부(11a)와 외측하부(11b)를 통해 스프링 안착공간(14)으로 유입되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제 2 실시 예의 GIS용 오링은 제 1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오링몸체(11)를 일측 외함(1)의 플랜지(2)의 링홈(2a)에 삽입하고, 링홈(2a)의 내측단과 외측단에 형성된 내측 이탈방지홈(2aa)과 외측 이탈방지홈(2ab)에 내측 이탈방지돌기(12a) 및 외측 이탈방지돌기(12b)는 각각 삽입함으로써, 일측 외함(1)의 플랜지(2)에 삽입장착할 수 있으며, 이렇게 플랜지(2)에 GIS용 오링이 장착된 상태에서 이웃하는 타측 외함(3)의 플랜지(4)를 일측 외함(1)의 플랜지(2)와 볼트 너트에 의해 결합하여 기밀성을 유지시킬 수 있다.
이때, GIS 유지보수를 위한 두 플랜지(2,4)의 분리시에도 내측 이탈방지돌기(12a) 및 외측 이탈방지돌기(12b)가 링홈(2a)의 내측단과 외측단에 형성된 내측 이탈방지홈(2aa)과 외측 이탈방지홈(2ab)에 삽입되어 있어, GIS용 오링이 일측 외함(1)의 플랜지(2)에서 이탈되지 않고 삽입장착된 상태를 유지하여 유지보수의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아울러, 두 플랜지(2,4)의 결합시, 타측 외함(3)의 플랜지(4)가 일측 외함(1)의 플랜지(2)에 삽입장착된 GIS용 오링(10)의 오링몸체(11)를 가압함으로써 오링몸체(11)가 눌림변형이 발생되게 되는데, 이때, 스프링모듈(16)의 코일스프링(18)도 함께 압축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렇게 두 플랜지(2,4)의 결합에 따라 오링몸체(11)가 눌림변형되면서 스프링모듈(16)이 압축된 상태에서, GIS 유지보수를 위해 두 플랜지(2,4)의 결합을 해제하는 경우, 오링몸체(11)의 자체 탄성력 뿐 아니라, 스프링모듈(16)의 코일스프링(18)의 탄성력에 의해 오링몸체(11)가 원상태로 용이하게 복원될 수 있게 되어, GIS 유지보수 후 다시 두 플랜지(2,4)를 결합하여도 두 플랜지(2,4) 간의 양호한 기밀성은 그대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스프링모듈(16)은 오링몸체(11)의 눌림변형에 의해 압축되는 경우, 코일스프링(18)의 상하단이 직접 스프링 안착공간(14)의 상면 및 하면에 점접촉으로 가압되는 구성이 아니라, 코일스프링(18)의 상하단에 각각 손상방지디스크(17)가 형성되어, 각각의 손상방지디스크(17)가 스프링 안착공간(14)의 상면 및 하면에 면접촉으로 가압되는 구성이므로 스프링 안착공간(14)에 대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할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GIS용 오링
11...오링몸체
11a...오링몸체의 외측상부
11b...오링몸체의 외측하부
11ba...오링몸체의 외측하부의 표면상단부
12a...내측 이탈방지돌기
12b...외측 이탈방지돌기
14...스프링 안착공간
16...스프링모듈
17...소상방지디스크
18...코일스프링

Claims (5)

  1. GIS의 외함에 구비된 플랜지에 끼움설치되어 외함의 기밀성을 향상시키는 GIS용 오링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의 결합면에 형성된 링홈에 끼워지는 오링몸체(11);
    상기 오링몸체(11)의 내측단을 따라 원주상으로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링홈의 내측면에 연장형성된 내측 이탈방지홈에 안착되어 상기 오링몸체(11)가 상기 링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내측 이탈방지돌기(12a);
    상기 오링몸체(11)의 외측단을 따라 원주상으로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링홈의 외측면에 연장형성된 외측 이탈방지홈에 안착되어 상기 오링몸체(11)가 상기 링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외측 이탈방지돌기(12b);을 포함하며,
    상기 오링몸체(11)의 내부에는 원주상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복수의 스프링 안착공간(14)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스프링 안착공간(14) 각각에 삽입설치되어, 상기 오링몸체(11)의 변형에 따른 원상태로의 복원력을 향상시키는 코일스프링(18)을 구비한 복수의 스프링모듈(16);을 더 포함하며,
    상기 오링몸체(11)는 외측단으로부터 내부로 절개되어, 상기 오링몸체(11)의 외측상부(11a) 및 외측하부(11b)가 분리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원상태에서는 상기 오링몸체(11)의 외측상부(11a)와 외측하부(11b)가 서로 접하고,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서는 상기 오링몸체(11)의 외측상부(11a)와 외측하부(11b)가 서로 이격되게 벌어져 상기 복수의 스프링 안착공간(14)과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스프링 안착공간(14)으로 상기 복수의 스프링모듈(16)을 삽입하거나 상기 복수의 스프링 안착공간(14)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스프링모듈(16)을 빼낼 수 있는 스프링교체통로(s)를 형성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외측 이탈방지돌기(12b)의 상부(12ba)만이 상기 오링몸체(11)의 외측 상부(11a)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오링몸체(11)의 외측상부(11a)와 외측하부(11b)가 서로 접하는 경우, 상기 외측 이탈방지돌기(12b)의 하부(12bb)는 상기 오링몸체(11)의 외측하부(11b)의 표면상단부(11ba)를 커버하는 형태로 접하도록 구성되어, 외부의 수분이 상기 오링몸체(11)의 외측상부(11a)와 외측하부(11b)를 통해 상기 스프링안착공간(14)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스프링모듈(16) 각각은 상기 코일스프링(18)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고정설치되어 상기 코일스프링(18)의 상단 및 하단이 상기 스프링 안착공간(14)의 상면과 하면에 점접촉되지 않고 면접촉하도록 하여 상기 스프링 안착공간(14)의 상면 및 하면에 대한 손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손상방지디스크(17)가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용 오링.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082861A 2019-07-09 2019-07-09 Gis용 오링 KR1020857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2861A KR102085757B1 (ko) 2019-07-09 2019-07-09 Gis용 오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2861A KR102085757B1 (ko) 2019-07-09 2019-07-09 Gis용 오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5757B1 true KR102085757B1 (ko) 2020-03-06

Family

ID=69802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2861A KR102085757B1 (ko) 2019-07-09 2019-07-09 Gis용 오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5757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3615Y1 (en) 1993-06-21 1998-04-13 Nissin Electric Co Ltd Gas insulation switching apparatus
KR200421594Y1 (ko) 2006-04-14 2006-07-13 주식회사 동남물산 가스절연개폐장치용 안전장치
KR20100011618A (ko) * 2008-07-25 2010-02-03 이운성 양면팬 패킹의 제조방법 및 그 패킹
KR100948156B1 (ko) 2007-12-31 2010-03-18 주식회사 효성 가스절연 개폐장치용 육안 확인부
KR101097616B1 (ko) 2006-10-31 2011-12-2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다용도 외함 모듈
KR20130011595A (ko) * 2011-07-22 2013-01-3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이탈방지용 오링 결합구조
KR20130104150A (ko) * 2012-03-13 2013-09-25 주식회사 에이에스에이피 반송롤러용 오링
KR20160000924U (ko) 2014-09-11 2016-03-2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접지본드 체결구조
KR101979791B1 (ko) * 2017-11-27 2019-05-17 평화오일씰공업 주식회사 탄성체를 내장한 범용 오링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3615Y1 (en) 1993-06-21 1998-04-13 Nissin Electric Co Ltd Gas insulation switching apparatus
KR200421594Y1 (ko) 2006-04-14 2006-07-13 주식회사 동남물산 가스절연개폐장치용 안전장치
KR101097616B1 (ko) 2006-10-31 2011-12-2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다용도 외함 모듈
KR100948156B1 (ko) 2007-12-31 2010-03-18 주식회사 효성 가스절연 개폐장치용 육안 확인부
KR20100011618A (ko) * 2008-07-25 2010-02-03 이운성 양면팬 패킹의 제조방법 및 그 패킹
KR20130011595A (ko) * 2011-07-22 2013-01-3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이탈방지용 오링 결합구조
KR20130104150A (ko) * 2012-03-13 2013-09-25 주식회사 에이에스에이피 반송롤러용 오링
KR20160000924U (ko) 2014-09-11 2016-03-2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접지본드 체결구조
KR101979791B1 (ko) * 2017-11-27 2019-05-17 평화오일씰공업 주식회사 탄성체를 내장한 범용 오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12966B1 (en) Plug-in circuit breaker assembly including insulative retainers
EP2639903A1 (en) Switchgear
KR101873957B1 (ko) 변전소의 절연용 방호구 설비
KR102085757B1 (ko) Gis용 오링
KR101677998B1 (ko) 배선용차단기의 샤프트 어셈블리
KR101513212B1 (ko) 가공용 부하개폐기의 절연구조
JP3623333B2 (ja) 受変電設備装置
KR200484705Y1 (ko) 배출 수단을 갖는 가스절연개폐장치
KR100857253B1 (ko) 지중용 고체절연 개폐기 및 차단기용 분리형 상연결접속장치
KR100960075B1 (ko) 지중 배전 선로용 폴리머 절연 다회로 개폐기
KR101649863B1 (ko) 에폭시몰드 캐니스터 퓨즈홀더
KR100379867B1 (ko) 변압기용 퓨즈내장 엘보접속재
CN102364783B (zh) 一种矿用隔爆兼正压型高压配电装置
WO2007102274A1 (ja) アレスタ
JP2007158041A (ja) アレスタ
KR102086949B1 (ko) 조립형 절연부가 구비된 친환경 가스절연 부하개폐기의 부스바
KR200235038Y1 (ko) 전력선용 접지기구
KR101408262B1 (ko) 고체절연 부하개폐기의 개폐기구
WO2001063714A1 (fr) Conteneur de barre omnibus et son procede de montage, et commutateur a isolation au gaz utilisant le conteneur de barre omnibus
KR101563588B1 (ko) 가스절연개폐장치 도체 홀 커버 결합구조
JP6407492B2 (ja) 電圧検出装置及び電圧検出装置を搭載するガス絶縁開閉装置
KR101416907B1 (ko) 밀봉부재가 구비된 고체절연 부하개폐기
KR20050110064A (ko) 진공차단기의 에폭시 몰드 일체형 진공 인터럽터
KR20160000548U (ko) 가스절연개폐기용 도체 접속 구조
KR20230099856A (ko) 가스절연개폐장치의 부분 방전 발생 방지용 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