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7010B1 - Sis 및 수소가 첨가된 석유수지를 포함하는 지하차도 신축이음부용 방수성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Sis 및 수소가 첨가된 석유수지를 포함하는 지하차도 신축이음부용 방수성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7010B1
KR102207010B1 KR1020200138127A KR20200138127A KR102207010B1 KR 102207010 B1 KR102207010 B1 KR 102207010B1 KR 1020200138127 A KR1020200138127 A KR 1020200138127A KR 20200138127 A KR20200138127 A KR 20200138127A KR 102207010 B1 KR102207010 B1 KR 102207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weight
asphalt
concrete composition
asphalt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8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중
김학원
김민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도로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도로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도로기술
Priority to KR1020200138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70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7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70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6/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only organic binders, e.g. polymer or resin concrete
    • C04B26/02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6/26Bituminous materials, e.g. tar, pitch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6/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6/02Cellulosic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0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 C04B20/0076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grain distribu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04Carboxylic acids; Salts, anhydrides or ester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4/2676Polystyr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36Bituminous materials, e.g. tar, pitch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5/00Compositions of bituminous materials, e.g. asphalt, tar, pitch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05Methods or materials for repairing pav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2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01C7/0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 E01C7/1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of road-metal and bituminous binders
    • E01C7/187Repairing bituminous covers, e.g. regeneration of the covering material in situ, application of a new bituminous topp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474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 C04B2111/0075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for road constru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20Resistance against chemical, physical or biological attack
    • C04B2111/27Water resistance, i.e. waterproof or water-repellen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50Flexible or elastic materials
    • C04B2111/503Elastic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1 내지 25중량부;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1 내지 25중량부; 수소가 첨가된 석유수지 1 내지 25중량부; 골재 500 내지 2,000중량부; 미분말골재 30 내지 150중량부; 소듐벤조에이트 0.1 내지 2중량부; 셀룰로오스 섬유 0.1 내지 2중량부; 왁스 0.1 내지 2중량부; 및 박리방지제 0.1 내지 2중량부를 포함하는 방수성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수성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특정적으로 SIS 및 수소가 첨가된 석유수지를 포함하는 지하차도 신축이음부용 방수성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지하차도의 신축이음부 상부로 차량이 통행 되었을 때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감소시키고, 신축 이음부의 균열 및 함몰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SIS 및 수소가 첨가된 석유수지를 포함하는 지하차도 신축이음부용 방수성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Waterproof Elastic Asphalt Concrete Compositions Having Stylene Isoprene Stylene and Petroleum Resin Added Hydrogen for Expansion Joint of Underpass and Constructing Methods Using Thereof}
본 발명은 SIS 및 수소가 첨가된 석유수지를 포함하는 지하차도 신축이음부용 방수성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하차도의 신축이음부에 적용되어 신축 이음부의 균열 및 함몰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부착성, 신축성, 휨강도 및/또는 내후성 등을 갖는 방수성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업화 및 인구증가에 따른 비약적인 교통수요 증가로 지속적으로 도로의 신설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도로의 직선화를 위해 수많은 구조물과 포장도로가 건설 되고 있다.
포장도로 및 구조물의 시공 시에 사용되는 재료(콘크리트, 아스콘, 강재 등)는 온도변화, 건습변화, 풍압, 활하중 등에 의해 재료자체의 선팽창률에 의한 수축 및 팽창을 반복한다.
또한, 포장도로 및 구조물은 팽창 및 수축에 따른 균열 및 손상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 적당한 간격으로 수축/팽창을 수용하는 공간(조인트 갭)을 만들고, 이를 보호하기 위해 충분한 신축량을 갖는 조인트라 불리는 신축이음(Joint=신축이음부)을 설치하고 있다.
특히, 포장도로 및 구조물의 신축이음부는 최근 여름철 UV(자외선)과 장마철의 수분에 대한 장시간 노출로 인해 내구성 저하와 사계절의 온도변화에 따른 수축/팽창과 차량이 통과함에 따라 그 자체 하중 및 충격에 의해 진동이 발생되어 미세균열이 발생하여 신축이음재와 분리가 발생하여 우수나 결로수 등으로 인해 구조물 상판에 침투하여 상판의 균열을 촉진시키고, 구조물 내구성 저하를 일으켜 구조물의 수명 단축 및 붕괴 위험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구조물의 신축율과 하중 및 충격을 흡수하여 구조물의 균열의 확대를 억제할 수 있는 물성을 지닌 신축이음부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지하차도 구조물의 경우 교량 상판(또는 바닥판), 거더(girder), 교각, 교대 등과 같은 구성물의 팽창 및 수축을 수용하기 위해, 상판 사이에는 신축이음개구부(Expansion joint opening)을 형성시킨다.
상기 조인트 갭은 구조물의 팽창 및 수축시 상판이 서로 부딪히지 않도록 하여 상판의 파손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진 중요한 부분이다.
보통의 경우, 신축이음개구부의 폭은 계절에 따라 팽창 및 수축을 반복하게 되는바, 겨울철엔 상판이 수축되어 확장되고 여름철엔 반대로 상판이 팽창 되어 감소한다.
지하차도 구조물의 신축이음부(조인트)를 시공하는 기술에는 신축이음부에 트랜스 플렉스 조인트, 핑거 조인트, 게이탑(GAI TOP) 조인트, 모듈라 조인트 등과 같은 신축이음장치를 설치하는 방법, 미리 성형된 고무 채움재(filler)를 접착제를 이용하여 끼워 붙이는 방법, 다양한 종류의 고분자 실란트를 사용하는 방법 등이 있고, 오래 전에 사용되었던 것으로, 신축 이음부의 설치 없이 아스팔트 또는 콘크리트 포장으로 연속 시공하는 방법 등이 있는데, 등록특허 0959407호에는 실란트와 순환골재를 이용한 배수기능을 강화한 신축이음부 시공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여기서, 교량의 지간 또는 경간이 긴 장대교량(長大橋梁)에서는 값이 상대적으로 비싸고, 설치방법이 복잡하며, 시공이 장시간이 요구되는 트랜스 플렉스 조인트, 모노셀 조인트, 핑거 조인트, 모듈라 조인트 등의 신축이음장치가 사용된다.
또한, 지하차도 구조물의 신설 또는 덧씌우기 포장시 신축이음 없이 연속 포장방법에 의해 시공하는 경우, 활하중(또는 차량충격), 온도 변화, 풍압 등의 이유로 교량의 상판과 같은 상판가 반복적으로 팽창 및 수축 또는 진동하게 되면, 신축이음개구부 상부의 도로 포장층이 균열되고 결국은 함몰되어 도로 주행에 심각한 위험을 주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서, 지하차도의 신축이음부 상부로 차량이 통행 되었을 때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감소시켜 신축 이음부의 균열 및 함몰을 방지할 수 있도록 부착성, 신축성, 휨강도 및 내후성 등을 갖는 방수성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1 내지 25중량부;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1 내지 25중량부;
수소가 첨가된 석유수지 1 내지 25중량부;
골재 500 내지 2,000중량부;
미분말골재 30 내지 150중량부;
소듐벤조에이트 0.1 내지 2중량부;
셀룰로오스 섬유 0.1 내지 2중량부;
왁스 0.1 내지 2중량부; 및
박리방지제 0.1 내지 2중량부를 포함하는 방수성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시공하고자 하는 시공면의 이물질을 제거한 후 청소하는 이물질 제거-청소단계;
상기 이물질 제거-청소단계가 종료된 시공면에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1 내지 25중량부,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1 내지 25중량부, 수소가 첨가된 석유수지 1 내지 25중량부, 골재 500 내지 2,000중량부, 미분말골재 30 내지 150중량부, 소듐벤조에이트 0.1 내지 2중량부, 셀룰로오스 섬유 0.1 내지 2중량부, 왁스 0.1 내지 2중량부, 및 박리방지제 0.1 내지 2중량부를 포함하는 방수성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타설하는 타설단계; 및
상기 타설단계가 종료된 후 양생하는 양생단계를 포함하는 방수성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수성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특정적으로 SIS 및 수소가 첨가된 석유수지를 포함하는 지하차도 신축이음부용 방수성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지하차도의 신축이음부 상부로 차량이 통행 되었을 때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감소시키고, 신축 이음부의 균열 및 함몰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 가지 관점에서, 본 발명은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1 내지 25중량부;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1 내지 25중량부; 수소가 첨가된 석유수지 1 내지 25중량부; 골재 500 내지 2,000중량부; 미분말골재 30 내지 150중량부; 소듐벤조에이트 0.1 내지 2중량부; 셀룰로오스 섬유 0.1 내지 2중량부; 왁스 0.1 내지 2중량부; 및 박리방지제 0.1 내지 2중량부를 포함하는 방수성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시공하고자 하는 시공면의 이물질을 제거한 후 청소하는 이물질 제거-청소단계; 상기 이물질 제거-청소단계가 종료된 시공면에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1 내지 25중량부,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1 내지 25중량부, 수소가 첨가된 석유수지 1 내지 25중량부, 골재 500 내지 2,000중량부, 미분말골재 30 내지 150중량부, 소듐벤조에이트 0.1 내지 2중량부, 셀룰로오스 섬유 0.1 내지 2중량부, 왁스 0.1 내지 2중량부, 및 박리방지제 0.1 내지 2중량부를 포함하는 방수성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타설하는 타설단계; 및 상기 타설단계가 종료된 후 양생하는 양생단계를 포함하는 방수성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아스팔트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아스팔트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추천하기로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등의 석유계 아스팔트 또는 아스팔트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아스팔트 혼합물은 천연 아스팔트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상기 아스팔트 혼합물, 특정적으로 천연 아스팔트 혼합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천연 아스팔트 혼합물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스트레이트(straight) 아스팔트, 트리니다드레이크(Trinidad lake) 아스팔트, 트리니다드에퓨레(Trinidad epure) 아스팔트 또는 이들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침입도 20 내지 40의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와 천연 아스팔트, 예를 들면 트리니다드레이크 아스팔트 및/또는 트리니다드에퓨레 아스팔트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침입도 20 내지 40의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70 내지 80중량% 및 트리니다드레이크 아스팔트 또는 트리니다드에퓨레 아스팔트로 이루어진 천연 아스팔트 20 내지 30중량%를 혼합한 것을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여기서, 상기 스트레이트 아스팔트(straight asphalt)는 석유 아스팔트로 원료를 건류 또는 증류한 잔류물을 정제한 통상의 아스팔트로, 특히 침입도가 20 내지 40인 것이 도로에 시공 시 용이성이 있어 더욱 좋으며, 단독 또는 아스팔트 혼합물에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는 아스팔트 혼합물에 70 내지 8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함량이 70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아스팔트 포장 후 굳는데 오랜 시간이 소요될 수 있고, 연화점이 낮아질 수 있으며, 8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유동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연 아스팔트는 본 발명에 따른 방수성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의 유동성 개선과 더불어 변형저항, 미끄럼저항 및 마찰저항 등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한다.
상기 천연 아스팔트는 트리니다드레이크(trinidad lake) 아스팔트 및/또는 트리니다드에퓨레(Trinidad epure) 아스팔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아스팔트는 아스팔트 혼합물에 20 내지 3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함량이 20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유동성, 변형저항, 미끄럼저항 및 마찰저항의 개선효과가 미미하며, 3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본 발명의 아스팔트가 연질화되고 연화점이 낮아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수성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특정적으로 SIS 및 수소가 첨가된 석유수지를 포함하는 지하차도 신축이음부용 방수성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구성하는 아스팔트 외 나머지 성분들의 함량은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stylene isoprene stylene; SIS)은 균열 발생을 억제하고, 시공면의 신축이음부가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뿐 아니라, 아스팔트 콘크리트에 점결력을 제공하는 동시에 강도를 향상시킨다.
바람직한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은 신율이 320 내지 1,400%인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 그 사용량은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25중량부인 것을 추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tylene butadien stylene; SBS)은 균열 발생을 억제하고, 시공면의 신축이음부가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뿐 아니라, 아스팔트 콘크리트에 점결력을 제공하는 동시에 강도를 향상시킨다.
바람직한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의 사용량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변경 가능하지만, 추천하기로는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25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신율이 320 내지 1,400%인 것을 추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소가 첨가된 석유수지는 방수성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의 점착성 및 점착 안정성과 내열성을 제공하는 동시에 수소를 첨가하여 냄새, 독성 등을 제거하고 빛과 열에 대한 안정성을 부가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위해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수소가 첨가된 석유수지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수소가 첨가된 석유수지, 예를 들면 수첨(수소첨가 된) C-5 석유수지, 쿠마론인덴수지, 수첨 디사이클로펜타디엔계 석유수지(hydrogenateddicyclopentadiene hydrocarbon resin) 등의 석유수지(hydrocarbon resin or petroleum resin) 중에서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평균분자량이 300 내지 3,000Da이고, 연화점이 50 내지 150℃인 방향족 탄화수소계 석유수지를 사용하는 것을 추천하지만, 접착력이 뛰어나면서도 취성이 적은 수첨 디사이클로펜타디엔계 석유수지 및/또는 수첨 C-5 석유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수소가 첨가된 석유수지의 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추천하기로는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25중량부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골재는 아스팔트,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및/또는 수소가 첨가된 석유수지 등과 같은 결합재에 의하여 뭉쳐져서 한 덩어리를 이룰 수 있는 건설용 광물질 재료이며, 화학적으로 안정하다.
상기 골재는 모래, 자갈, 현무암, 오석, 바잘트, 기타 이와 비슷한 재료를 지칭한다.
특정적으로, 상기 골재로서 약 0.7%의 흡수율을 갖는 염기성 맥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골재의 평균입도는 0.08 내지 13mm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 특정적으로 0.08mm 이상 4.76mm 미만의 것은 잔골재라 하고, 4.76mm 이상의 것은 굵은 골재라 한다.
바람직한 골재의 사용량은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500 내지 2,000중량부인 것이 좋고, 상기 골재에 포함되는 잔골재 및 굵은 골재의 혼합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므로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미분말 골재는 상기 골재, 특정적으로 잔골재와 굵은 골재들 사이의 공극에 충진되어 방수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갖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사용하는 미분말 골재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바람직한 미분말 골재의 크기는 적어도 0.08mm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0.079mm의 평균입도를 갖는 것을 추천하고, 그 사용량은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30 내지 150중량부인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미분말 골재는 석분 미분말, 석회석 미분말, 모래 미분말, 자갈 미분말, 현무암 미분말, 오석 미분말, 바잘트 미분말, 기타 이와 비슷한 재료를 지칭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듐벤조에이트(sodium benzoate)는 방수성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의 점탄성 및 탄성력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소듐벤조에이트의 사용량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변경 가능하지만, 추천하기로는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2중량부인 것이 좋고, 그 함량이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0.1중량부 보다 적을 경우 효과가 미미하며, 2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과량이 되어 물성을 저하시킬 수 있어 좋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셀룰로오스 섬유는 방수성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로 형성된 타설면의 종-횡 방향으로 가해지는 응력에 의한 인장력 및/또는 경량성 등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갖는 셀룰로오스 섬유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천연 셀룰로오스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좋고, 그 사용량은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2중량부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왁스는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특정적으로 SIS 및 수소가 첨가된 석유수지를 포함하는 지하차도 신축이음부용 방수성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의 제조 및/또는 시공시 필요한 온도를 종래공법에 비하여 낮추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 정도 낮출 수 있도록 하여 이산화탄소 및 유해물질 배출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왁스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왁스를 사용하는 것이 좋고, 그 사용량은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2중량부인 것이 좋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왁스는 개질 지방산과 혼합된 혼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는바, 이러한 경우, 상기 왁스, 특정적으로 폴리에틸렌 왁스는 개질 지방산과 1:0.1 내지 0.6의 중량비율로 혼합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폴리에틸렌 왁스는 융점이 95 내지 125℃이고, 약 140℃에서의 용융점도가 80 내지 400cPs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폴리에틸렌 왁스의 융점이 95℃ 미만인 경우에는 아스팔트와 혼합시에 아스팔트의 강성이 약해질 수 있고, 융점이 12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SIS 및 수소가 첨가된 석유수지를 포함하는 지하차도 신축이음부용 방수성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에 충분히 분산되지 않아 물성 저하의 우려가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 왁스의 140℃에서 용융점도가 80cPs 미만인 경우에는 고온 물성이 약화되어 방수성 아스팔트로서 부적합하며, 140℃에서 용융점도가 400cPs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아스팔트의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져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제조 및 타설 시에 공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왁스와 함께 혼합되어 사용되는 개질 지방산은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의 수분 민감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정적으로, 상기 개질 지방산은 탄소수 12 내지 24개의 지방산을 수산화칼슘,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아연 및 산화아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과 용융 반응시켜 얻어지는 것이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의 수분 민감성 개선 효과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질 지방산은 융점이 110 내지 14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개질 지방산의 융점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서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의 제조온도보다 높은 경우에는 중온화 기능 보완 효과 및 수분 민감성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없다.
본 발명에 따른 박리방지제는 방수성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이 시공면 및/또는 신축이음부가 서로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갖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박리방지제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폴리인산계, 아민계, 또는 인산 에스테르계 박리방지제, 보다 바람직하게는 액상형으로 비중이 1.0 이상이고 60℃ 점도가 110 cPs인 폴리인산계 박리방지제; 산가가 10 ㎎KOH/g 이하이고, 총 아민가가 140 내지 400㎎HCl/g인 아민계 박리방지제를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바람직한 박리방지제의 사용량은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2중량부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방수성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특정적으로 SIS 및 수소가 첨가된 석유수지를 포함하는 지하차도 신축이음부용 방수성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하기의 특정 양태로 실시되는 부가물을 1종 또는 1종 이상 더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수성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특정적으로 SIS 및 수소가 첨가된 석유수지를 포함하는 지하차도 신축이음부용 방수성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방수성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의 타설후 신속한 경화를 진행하여도 크랙 및 탈락현상을 개선하고, 조성물의 가공성, 밀착력 및 안정성 등을 제공하기 위하여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수지를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4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수성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조성물의 흡착성 및 접착성을 향상시키고, 조성물의 혼합시 반응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3중량부의 2-브로모피리딘(2-Bromopyridine)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수성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조성물의 성분들간의 비중차에 따른 재료의 분리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3중량부의 웰란 검(welan gum)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수성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조성물의 양생시 수축을 방지하기 위하여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4중량부의 네오펜틸글리콜(Neopentylglycol, NPG)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수성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조성물에 포함된 성분이 물과 용이하게 혼합되도록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5중량부의 플라스터(plast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플라스터의 사용량이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0.5 중량부 미만인 경우는 조성물에 포함된 다양한 성분이 물과 용이하게 혼합되기 어렵고, 5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는 강도 및 내화학성 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수성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조성물의 가소성 및 보수성을 증진시키고, 균열방지와 강도증진을 위하여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5중량부의 코코베타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수성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강도, 내마모성 및 내화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5중량부의 깁사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깁사이트의 사용량은 0.1중량부 미만일 경우 성능 개선 효과가 미약할 수 있고, 상기 깁사이트의 사용량이 5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작업성이 저하되고 제조 원가가 높아져 경제적이지 못하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수성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강도, 내화성 및 내식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5중량부의 세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수성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조성물의 장기강도, 내식성 및 내화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페라이트(ferrite)를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3중량부 더 포함할 수 있는데, 그 함량이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3중량부를 초과하면 빠른 경화특성을 보이기는 하나 경제성이 떨어지며, 1중량부 미만이면 상기와 같은 개선효과가 미미하여 좋지 않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수성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조성물의 강도, 내화성, 내마모성, 및 내부식성 등을 개선하기 위하여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4중량부의 할로이사이트(halloysite)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할로이사이트는 알루미늄과 실리콘이 약 1:1의 비율로 포함되어 있는 점토질 광물질로서 이를 조성물에 포함시키면 상기와 같은 효과를 발현하게 된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수성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습윤강도 및 마모저항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4중량부의 진크암모늄클로라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수성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조성물의 통기성 및 흡유성 향상을 위하여 천매암 분말을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천매암은 점토질의 퇴적층이 열수변질에 의한 가수분해 작용 및 변성, 풍화 부식 등의 과정을 거쳐 생성된 변성암의 일종으로 주 성분이 실리카, 알루미나 및 금속산화물을 포함하고 있으며, 내부에 여러 크기의 공극을 포함하고 비석(zeolite)과 거의 유사한 공극률을 갖으면서도 거포의 분율이 큰 특징을 갖고 있어 이를 방수성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에 포함시키면, 상기와 같은 효과를 갖게 되며, 바람직한 천매암 분말의 평균입도는 3 내지 30㎛ 이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수성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방수성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이 시공되는 시공면의 공극으로 침투하여 조직을 치밀하게 유지함으로써 방수성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의 들뜸방지와 내구성 및 부착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보크사이트 분말을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는데, 바람직한 보크사이트 분말의 평균입도는 1 내지 10㎛ 이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수성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조성물의 크랙발생 및 박리방지를 위하여 디부틸프탈레이트를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3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수성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조성물의 강도, 침투력, 및 발수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3-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을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3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수성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조성물의 장기강도 발현 및 내구성 증진을 위하여 겔라이트 미분말을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3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겔라이트는 황토의 187배 이상의 효과를 가진 광물질로서 상기 효과 이외에 양질의 원적외선 방출 효과도 있는 것으로서, 바람직한 평균입도는 1 내지 5㎛ 이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수성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조성물을 구성하는 재료의 응결을 방지하고 일정시간 작업시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구연산을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수성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조성물의 표면에 수분침투를 방지하면서 통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의 소디윰스테아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그 함량이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중량부 미만이면 목적한 수분침투 방지기능을 얻을 수 없고, 5중량부를 초과하면 조성물의 강도 저하현상이 나타나 좋지 않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수성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조성물의 내수성 및 내스크래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5중량부의 붕산 화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붕산 화합물로는 오르토붕산, 메타붕산, 사붕산, 붕산 메틸, 붕산 에틸 등을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오르토붕산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수성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조성물의 건조 수축을 방지하기 위하여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5중량부의 알루민산 칼슘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알루민산 칼슘이 방수성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에 포함되면 팽창성을 띄게 되어 조성물의 건조수축을 방지하게 되는 것으로, 그 사용량이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0.1중량부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하며, 5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과다하여 작업성을 저하 시킬 수 있어 좋지 않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수성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조성물의 압축강도 및 휨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의 메타규산나트륨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그 함량이 1중량부 미만이면 유동성이 낮아지고 불규칙한 기포가 형성되며, 5중량부를 초과하면 경화시간을 확보하기 어려워 좋지 않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수성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조성물의 강도, 내마모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질화마그네슘을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3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수성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조성물의 반응성을 개선하여 강도를 발현하고, 내오염성 및 재료분리 저항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메타인산 나트륨(sodium metaphosphate)를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3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수성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동절기 응결 지연 현상을 차단하고, 강도 증진 및 점성을 증가시켜 아스팔트의 흐름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의 황산알루미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수성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조성물 반응성을 높여 조기강도를 발현하기 위하여 알루민산스트론튬(strontium aluminate)를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3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수성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조성물의 항균성 및 방오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일라이트를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1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수성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방수성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의 발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5중량부의 칼륨메틸실리코네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칼륨메틸실리코네이트의 사용량이 0.1중량부 미만이면 발수성의 효과가 미미하며, 5중량부를 초과하면 상용성이 저하된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수성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조성물이 도포되는 대상물이 염해 또는 중성화 등의 성능저하 요인에 의해 부식 및 피복 탈락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메틸트리메톡시실란(MTMS(methyltrimethoxysilane))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그 사용량은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가 좋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수성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조성물의 재료분리 저항성, 작업성 및 동결융해 내구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이미다졸린베타인을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2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수성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방수성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의 부착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노말부틸아크릴레이트(n-butyl acrylate)를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4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중량부 미만이면 부착력이 저하되며, 4중량부를 초과하면 경제적이지 못하여 좋지 않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수성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방수성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의 강도, 내크리프성, 내마모성, 내화성 등을 개선하기 위하여 멀라이트(mullite)를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멀라이트는 사방정계에 속하는 광물질로서 무색 또는 담홍색을 띄며, 산화알루미늄과 이산화규소를 많이 함유하고 있는데,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중량부 미만이면 강도, 내마모성 및 내화성 등의 개선효과가 미미하며, 5중량부를 초과하면 작업성이 저하되어 좋지 않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수성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방수성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의 경화속도를 조절하고, 방수성 및 내식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규불화마그네슘을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0.5 내지 3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수성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방수성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의 내구성, 내마모성 및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스테아린산칼슘을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2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수성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조성물의 내수성, 내화학성 및/또는 내부착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테트라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를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수성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조성물의 방수성, 내화학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3중량부의 울소나이트(Ursolite)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울소나이트는 침상의 흡수성이 우수한 분체로 유기 증점제를 대체하여 분체 입자표면에 입자, 예를 들면 수지 등의 입자, 특정적으로 라텍스 수지 등의 입자를 흡착시켜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슬럼프가 높거나 시공시 교행하는 진동원에 의해 입자가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표층으로 마이그레이션(migration)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첨가되며, 최대의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경도 4.5 내지 5.0, 비중 약 2.9, 입자크기 30㎛±5, 어스팩트비(aspect ratio) 15:1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수성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조성물의 산패 발생 및 노화방지와 안정성 향상을 위하여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을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4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수성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들간의 배합을 용이하게 하고 조성물의 안정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술폭시폴리에틸렌글리콜알릴에테르를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는데, 그 함량이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0.1중량부 미만이면 조성물의 배합이 용이하지 못하며, 5중량부를 초과하면 과량으로 안정성이 저하되어 좋지 않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수성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조성물의 방수성, 내화학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4중량부의 부틸-2-프로페노에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수성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조성물을 구성하는 구성성분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키 위하여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0.01 내지 1중량부의 모노-터트-부틸-하이드로퀴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방수성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특정적으로 SIS 및 수소가 첨가된 석유수지를 포함하는 지하차도 신축이음부용 방수성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의 시공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하기 시공방법은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의 일 실시양태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시공하고자 하는 시공면의 이물질을 제거한 후 청소하는 이물질 제거-청소단계;
상기 이물질 제거-청소단계가 종료된 시공면에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1 내지 25중량부,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1 내지 25중량부, 수소가 첨가된 석유수지 1 내지 25중량부, 골재 500 내지 2,000중량부, 미분말골재 30 내지 150중량부, 소듐벤조에이트 0.1 내지 2중량부, 셀룰로오스 섬유 0.1 내지 2중량부, 왁스 0.1 내지 2중량부, 및 박리방지제 0.1 내지 2중량부를 포함하는 방수성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타설하는 타설단계; 및
상기 타설단계가 종료된 후 양생하는 양생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시공하고자 하는 시공면은 지하차도 신축이음부인 것을 포함한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침입도 30의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100g, 신율이 약 850%인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13g, 신율이 약 850%인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13g, 수첨 C-5석유수지 15g, 평균입도가 약 3mm인 자갈과 평균입도가 약 5mm인 자갈이 5:5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골재 1,200g, 평균입도가 약 0.03mm인 석회석으로 이루어진 미분말 골재 80g, 소듐벤조에이트 1g, 천연 셀룰로오스 섬유 1g, 폴리에틸렌 왁스 1g 및 액상형으로 비중이 1.0 이상이고, 60℃ 점도가 110 cPs인 폴리인산계 박리방지제 1g을 혼합하여 방수성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폴리에틸렌 왁스 1g 대신 폴리에틸렌 왁스와 탄소수 12~24개의 지방산을 수산화칼슘과 용융 반응시켜 얻어진 개질 지방산이 1:0.5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물 1g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수지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2-브로모피리딘 1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웰란 검 2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네오펜틸글리콜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7]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플라스터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8]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코코베타인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9]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깁사이트 2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0]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세륨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1]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페라이트 2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할로이사이트 2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3]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진크암모늄클로라이드 2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4]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평균입도가 5㎛인 천매암 분말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5]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평균입도가 3㎛인 보크사이트 분말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6]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디부틸프탈레이트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7]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3-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2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8]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평균입도가 3㎛인 겔라이트 미분말 2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9]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구연산 2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0]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소디윰스테아레이트 2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1]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오르토붕산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알루민산 칼슘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3]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메타규산나트륨 4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4]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질화마그네슘 2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5]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메타인산 나트륨 2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6]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황산알루미늄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7]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알루민산스트론튬 2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8]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일라이트 0.5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9]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칼륨메틸실리코네이트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30]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메틸트리메톡시실란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31]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이미다졸린베타인 1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3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노말부틸아크릴레이트 2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33]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멀라이트 2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34]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규불화마그네슘 1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35]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스테아린산칼슘 1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36]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테트라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37]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울소나이트 0.5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38]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39]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술폭시폴리에틸렌글리콜알릴에테르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40]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부틸-2-프로페노에이트 2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41]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모노-터트-부틸-하이드로퀴논 0.5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4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실시예 3 내지 실시예 41에 따라 부가된 부가물을 모두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 험]
실시예들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을 이용하여 약 60mm 두께의 아스팔트 콘크리트층을 제조한 후 방수성, 저온(at -10℃) 경화성, 균열성, 간접인장강도, 변형강도, 인장접착강도 등을 측정하였고, 약 50mm 두께의 아스팔트 콘크리트층을 제조하여 동적안정도를 측정하여 표 1로 나타냈다.
여기서, 동적안정도는 소성변형 저항성 평가로 Kim Test에 의한 변형강도 시험과 시험을 통해 측정하였다.
방수성 겔화/1hr
(at -10℃)
균열정도 동적안정도
(pass/mm)
간접인장강도
(ITS)
변형강도
(Mpa)
인장접착강도
(kgf/cm2)
실시예 1 99% 67 없음 1853 0.86 5.90 6.6
실시예 2 99% 66 없음 1651 0.87 5.88 7.1
실시예 3 99% 68 없음 1842 0.86 5.85 7.5
실시예 4 99% 67 없음 1856 0.88 5.87 6.8
실시예 5 98% 67 없음 1851 0.86 5.86 6.1
실시예 6 98% 68 없음 1843 0.88 5.81 6.8
실시예 7 99% 66 없음 1857 0.86 5.82 5.9
실시예 8 99% 65 없음 1865 0.85 5.74 7.1
실시예 9 99% 65 없음 1859 0.84 5.72 6.8
실시예 10 99% 64 없음 1863 0.85 5.87 7.0
실시예 11 99% 66 없음 1855 0.84 5.88 7.4
실시예 12 98% 67 없음 1866 0.86 5.91 6.8
실시예 13 98% 64 없음 1867 0.87 5.87 5.9
실시예 14 99% 67 없음 1858 0.85 5.84 6.2
실시예 15 99% 66 없음 1852 0.87 5.84 6.9
실시예 16 99% 67 없음 1863 0.88 5.83 7.7
실시예 17 99% 66 없음 1878 0.89 5.81 7.5
실시예 18 98% 68 없음 1868 0.87 5.79 7.5
실시예 19 99% 68 없음 1861 0.86 5.88 7.8
실시예 20 99% 64 없음 1844 0.85 5.74 7.4
실시예 21 99% 66 없음 1856 0.87 5.79 7.5
실시예 22 99% 65 없음 1844 0.86 5.76 6.3
실시예 23 98% 68 없음 1857 0.86 5.81 6.8
실시예 24 99% 67 없음 1878 0.83 5.82 7.4
실시예 25 98% 67 없음 1854 0.85 5.76 7.7
실시예 26 99% 66 없음 1865 0.87 5.78 8.1
실시예 27 99% 68 없음 1868 0.88 5.73 7.7
실시예 28 99% 65 없음 1854 0.86 5.83 5.8
실시예 29 99% 65 없음 1878 0.87 5.82 7.6
실시예 30 99% 65 없음 1873 0.85 5.81 7.4
실시예 31 99% 65 없음 1847 0.88 5.87 7.2
실시예 32 99% 68 없음 1854 0.85 5.85 7.3
실시예 33 98% 63 없음 1856 0.84 5.81 6.6
실시예 34 98% 67 없음 1867 0.86 5.80 6.9
실시예 35 99% 66 없음 1856 0.85 5.79 6.2
실시예 36 99% 66 없음 1887 0.82 5.80 7.7
실시예 37 99% 68 없음 1865 0.87 5.78 7.6
실시예 38 99% 66 없음 1888 0.86 5.82 7.5
실시예 39 98% 67 없음 1865 0.89 5.81 7.8
실시예 40 99% 68 없음 1857 0.86 5.75 7.7
실시예 41 99% 65 없음 1842 0.89 5.78 7.3
실시예 42 99% 67 없음 1867 0.86 5.79 7.1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SIS 및 수소가 첨가된 석유수지를 포함하는 지하차도 신축이음부용 방수성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사용한 실시예들의 방수성, 동적안정도, 간접인장강도 및 변형강도가 좋고, 저온에서 겔화가 진행되어 경화가 신속히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균열이 없고, 인장접착강도는 4kgf/cm2 이상으로서 고강도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두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1 내지 25중량부;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1 내지 25중량부;
    수소가 첨가된 석유수지 1 내지 25중량부;
    골재 500 내지 2,000중량부;
    미분말골재 30 내지 150중량부;
    소듐벤조에이트 0.1 내지 2중량부;
    셀룰로오스 섬유 0.1 내지 2중량부;
    왁스 0.1 내지 2중량부; 및
    박리방지제 0.1 내지 2중량부를 포함하는 방수성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에,
    2-브로모피리딘을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3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네오펜틸글리콜을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4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깁사이트를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세륨을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진크암모늄클로라이드를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4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천매암 분말을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3-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을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3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겔라이트 미분말을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3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구연산을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소디윰스테아레이트를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붕산 화합물을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메타규산나트륨을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황산알루미늄을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일라이트를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1중량부로 더 포함하는 방수성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시공하고자 하는 시공면의 이물질을 제거한 후 청소하는 이물질 제거-청소단계;
    상기 이물질 제거-청소단계가 종료된 시공면에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1 내지 25중량부,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1 내지 25중량부, 수소가 첨가된 석유수지 1 내지 25중량부, 골재 500 내지 2,000중량부, 미분말골재 30 내지 150중량부, 소듐벤조에이트 0.1 내지 2중량부, 셀룰로오스 섬유 0.1 내지 2중량부, 왁스 0.1 내지 2중량부, 및 박리방지제 0.1 내지 2중량부를 포함하는 방수성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에, 2-브로모피리딘을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3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네오펜틸글리콜을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4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깁사이트를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세륨을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진크암모늄클로라이드를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4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천매암 분말을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3-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을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3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겔라이트 미분말을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3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구연산을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소디윰스테아레이트를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붕산 화합물을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메타규산나트륨을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황산알루미늄을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일라이트를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1중량부로 더 포함하는 방수성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타설하는 타설단계; 및
    상기 타설단계가 종료된 후 양생하는 양생단계를 포함하는 방수성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시공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시공하고자 하는 시공면이 지하차도 신축이음부인 것을 포함하는 방수성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시공방법.
KR1020200138127A 2020-10-23 2020-10-23 Sis 및 수소가 첨가된 석유수지를 포함하는 지하차도 신축이음부용 방수성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207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8127A KR102207010B1 (ko) 2020-10-23 2020-10-23 Sis 및 수소가 첨가된 석유수지를 포함하는 지하차도 신축이음부용 방수성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8127A KR102207010B1 (ko) 2020-10-23 2020-10-23 Sis 및 수소가 첨가된 석유수지를 포함하는 지하차도 신축이음부용 방수성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7010B1 true KR102207010B1 (ko) 2021-01-26

Family

ID=74310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8127A KR102207010B1 (ko) 2020-10-23 2020-10-23 Sis 및 수소가 첨가된 석유수지를 포함하는 지하차도 신축이음부용 방수성 탄성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701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7583B1 (ko) * 2019-01-29 2019-05-15 주식회사 지케이기술연구소 Sis를 이용한 중온 아스팔트 콘크리트용 바인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097404B1 (ko) * 2020-02-05 2020-04-09 주식회사 지케이기술연구소 Sis, sbs 및 개선된 미분말 골재를 포함하는 포장침하 방지 및 지지력 확보용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 조성물과 믹싱 시스템 투입 장비를 이용한 하부층 안정처리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7583B1 (ko) * 2019-01-29 2019-05-15 주식회사 지케이기술연구소 Sis를 이용한 중온 아스팔트 콘크리트용 바인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097404B1 (ko) * 2020-02-05 2020-04-09 주식회사 지케이기술연구소 Sis, sbs 및 개선된 미분말 골재를 포함하는 포장침하 방지 및 지지력 확보용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 조성물과 믹싱 시스템 투입 장비를 이용한 하부층 안정처리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3927B1 (ko) 고등급 저소음 배수성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977588B1 (ko) Sis 및 개선된 골재 입도의 미분말 골재를 포함하여 방수성능을 향상시킨 표층용 구스매스틱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977585B1 (ko) Sis를 이용한 저소음 배수성 중온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100413B1 (ko) 방수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소음저감 방수아스팔트 콘크리트 시공방법
KR101835081B1 (ko) 균열저감 효과가 우수한 고등급 저온 경화형 방수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119728B1 (ko) 라텍스 수지를 포함하는 방수아스팔트(lma)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961270B1 (ko) Sis를 이용한 칼라 구스 매스틱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207052B1 (ko) Sebs를 포함하는 도로용 개질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CN109627686B (zh) 一种适用于潮湿路桥面的薄层铺装材料及其制备方法
KR101663588B1 (ko) 해조류를 이용한 방수 아스팔트 콘크리트층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804867B1 (ko)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977583B1 (ko) Sis를 이용한 중온 아스팔트 콘크리트용 바인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146820B1 (ko) Sis를 이용한 아스팔트 코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절삭포장면 안정처리공법
KR102117062B1 (ko) 기능성 결합재를 포함한 균열 저감형 초속경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포장 보수 공법
KR101999968B1 (ko) Sis 및 sbs를 포함하는 현장재생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859643B1 (ko) 폐타이어 분말을 포함하는 고등급 매스틱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994195B1 (ko) 아스팔트 포장용 에폭시 조성물, 이를 이용한 아스팔트포장 조성물, 교면 포장 보수공법 및 도로 보수공법
KR101458417B1 (ko) 슬래그볼을 이용한 인보도 및 도로 포장용 속경성 유무기 하이브리드 몰탈 조성물
WO2014209000A1 (ko) 콘크리트 도로용 신축줄눈 파손부의 보수방법
KR102465411B1 (ko) Sis 및 sbs를 포함하는 자전거 도로포장용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077054B1 (ko) 포트홀 보수를 위한 현장 가열형 포대용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119756B1 (ko) Sis, sebs 및 개선된 골재 입도의 미분말 골재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도막 방수제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207012B1 (ko)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불투수성 방수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077051B1 (ko) Sis를 이용한 중온 고분자 개질 쇄석 매스틱 아스팔트 콘크리트(psma)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CN110564170A (zh) 一种道路桥梁用改性沥青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