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6372B1 - 트럭용 공구함 - Google Patents

트럭용 공구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6372B1
KR102206372B1 KR1020190085533A KR20190085533A KR102206372B1 KR 102206372 B1 KR102206372 B1 KR 102206372B1 KR 1020190085533 A KR1020190085533 A KR 1020190085533A KR 20190085533 A KR20190085533 A KR 20190085533A KR 102206372 B1 KR102206372 B1 KR 1022063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cover
plate
cover body
truck
sid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5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형민
Original Assignee
백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형민 filed Critical 백형민
Priority to KR1020190085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63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6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63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6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ools or spar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1Light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럭의 적재공간의 바닥판에 안착시킬 수 있으며 내부 수용공간을 갖게 형성된 트럭용 공구함에 관한 것으로서, 베이스 프레임에 상호 이격되어 나란하게 연장된 제1 및 제2사이드 레일바와, 제1 및 제2 사이드 레일바에 지지되어 이동되는 제1슬라이딩 커버체와, 제1슬라이딩 커버체에 의해 형성된 내부수용공간에 대해 전면을 차폐할 수 있도록 베이스 프레임에 결합된 전면판과, 제1 및 제2 사이드 레일바에 지지되어 제1슬라이딩 커버체 내로 진입될 수 있게 형성된 제2슬라이딩 커버체와, 제2슬라이딩 커버체에 장착되어 제2슬라이딩 커버체의 후면을 개폐시키는 후면개폐도어를 구비한다. 이러한 트럭용 공구함에 의하면, 제1 및 제2슬라이딩 커버체에 의해 측면, 상부 및 후면을 모두 개방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사용상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고 적재대상물에 대한 제약을 완화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트럭용 공구함{tool box for truck}
본 발명은 트럭용 공구함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트럭용 공구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럭은 화물을 운송할 수 있는 적재공간을 갖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트럭은 다양한 용도로 이용되고 있으며, 다양한 공구를 적재하여 보수관리서비스를 전문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용도로 이용하는 경우 주로 직육면체 함체 형태로 형성된 공구함을 적재공간에 탑재시켜 이용하고 있다.
국내 공개특허 제10-2016-0124357호에는 측면에서 슬라이딩 되는 셔터를 적용한 공구박스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공구박스의 경우 후면 및 상부에서는 내부공간을 개폐할 수 없어 사용상의 불편함과, 적재 공간에 수용할 수 있는 적대대상물에 대한 제약이 있어 공간활용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공구를 수용하는 공간에 대해 측면과 후면 및 상부의 개방을 지원할 수 있는 트럭용 공구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트럭용 공구함은 트럭의 적재공간의 바닥판에 안착시킬 수 있으며 내부 수용공간을 갖게 형성된 트럭용 공구함에 있어서, 트럭의 적재공간 내에 수용될 수 있게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된 베이스 프레임에 상호 이격되어 나란하게 연장되며 연장방향을 따라 상호 대향되게 레일홈이 형성된 제1 및 제2사이드 레일바와;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 레일바의 레일홈 내에서 각각 이동되는 제1롤러에 지지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사이드 레일바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동되며 상기 제1사이드레일바에 대해 상방으로 연장된 제1외측판과, 상기 제2사이드레일바에 대해 상방으로 연장된 제2외측판과, 상기 제1외측판의 상단과 상기 제2외측판의 상단을 상호 연결하는 제1지붕외판을 갖으며 상기 전면판에 밀착될 수 있게 형성된 제1슬라이딩 커버체와; 상기 제1 및 제2사이드 레일바의 일단에서 상기 제1슬라이딩 커버체와 밀착상태에서 상기 제1슬라이딩 커버체에 의해 형성된 내부수용공간에 대해 전면을 차폐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결합된 전면판과;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 레일바의 레일홈 내에서 상기 제1롤러와 이격되게 배치되어 각각 이동되는 제2롤러에 지지되게 결합되어 상기 제1슬라이딩 커버체 내로 진입될 수 있게 형성되며, 상기 제1외측판의 내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제1내측판과, 상기 제2외측판의 내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제2내측판과, 상기 제1내측판의 상단과 상기 제2내측판의 상단을 상호 연결하며 상기 제1지붕외판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2지붕내판을 갖는 제2슬라이딩 커버체와; 상기 제2슬라이딩 커버체에 장착되어 제2슬라이딩 커버체의 후면을 개폐시키는 후면 개폐도어;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슬라이딩 커버체의 상기 제1 및 제2외측판에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지지되게 장착된 걸이구에 걸이고리를 착탈할 수 있는 제1 토글클램프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제2슬라이딩 커버체에는 상기 제1 및 제2사이드 레일바에 걸어 상기 제2슬라이딩 커버체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된 제2토글 클램프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사이드 레일바에는 상기 제2토글 클램프와의 고정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상기 레일홈의 개방된 부분에 길이방향을 따라 톱니형상으로 연속되어 형성된 톱니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제1 및 제2사이드 레일바에 대해 하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된 하부 사각틀과; 상기 하부 사각틀에서 상호 이격되게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및 제2사이드 레일바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외부 수직지지바와; 상기 하부 사각틀의 하부에 상기 제1 및 제2사이드 레일바의 연장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결합된 복수개의 바닥 지지바와; 상기 제1 및 제2사이드 레일바의 타단과 각각 결합된 외부 수직지지바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종단 수직지지바들과; 상기 종단 수직지지바들의 상단을 상호 연결하는 종단 수평지지바;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전면판으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커버체의 내부수용공간으로 연장되어 적재대상물을 적재할 수 있게 수직상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개의 선반과; 상기 트럭의 적재공간의 바닥판에 대해 측면에서 회동되면서 적재공간을 구획하는 측면 회동판이 상기 바닥판 상부에서 직립상태가 될 때 상기 트럭의 측면회동판의 저면이 가압상태로 안착될 수 있게 상기 베이스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측면회동판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고정가이드편;을 더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는 상기 트럭으로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프레임을 지면에 대해 이격 지지하는 리프터와 볼팅 결합할 수 있는 결합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사이드 레일바의 상면은 상기 측면 회동판이 상기 바닥판 위로 직립되게 배치됐을 때의 상기 측면 회동판의 높이 이상이 되게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장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트럭용 공구함에 의하면, 제1 및 제2슬라이딩 커버체에 의해 측면, 상부 및 후면을 모두 개방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사용상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고 적재대상물에 대한 제약을 완화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트럭용 공구함을 트럭에 대해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트럭용 공구함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트럭용 공구함이 트럭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측면 및 후면 회동판이 적재공간을 구획하게 상방으로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제1 및 제2슬라이딩 커버체의 슬라이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트럭용 공구함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럭용 공구함의 베이스 프레임에 결합된 요소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프터와 베이스 프레임의 결합구조를 나타내 보인 부분 발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트럭용 공구함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트럭용 공구함을 트럭에 대해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트럭용 공구함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트럭용 공구함이 트럭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측면 및 후면 회동판이 적재공간을 구획하게 상방으로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제1 및 제2슬라이딩 커버체의 슬라이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트럭용 공구함(100)은 베이스 프레임(110), 제1 및 제2사이드 레일바(141)(142), 제1 및 제2슬라이딩 커버체(150)(160), 셔터(180)를 구비한다.
베이스 프레임(110)은 트럭(10)의 적재공간(20)의 바닥판(22)에 안착시킬 수 있으면서 적재공간(20)의 폭과 길이에 대응되는 크기의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프레임(110)은 내부수용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외부틀을 형성하며, 후술되는 제1 및 제2사이드 레일바(141)(142)를 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베이스 프레임(110)을 구분하면, 하부 사각틀(120)과, 외부 수직지지바(126), 바닥 지지바(127), 종단 수직지지바(128), 종단 수평지지바(129), 선단 수직지지바(131) 및 선단 수평지지바(132)를 구비한다.
하부 사각틀(120)은 트럭(10)의 적재공간(20)의 바닥판(22)에 대응되는 크기를 갖되 바닥판(22) 내에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 부분이며, 제1 및 제2사이드 레일바(141)(142)에 대해 하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부 사각틀(120)은 적재공간(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제1 및 제2가로바(121)(122)와 적재공간(20)이 폭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제1 및 제2가로바(121)(122)의 양단을 연결하는 제1 및 제2세로바(123)(124)로 되어 있다.
바닥 지지바(127)는 하부 사각틀(120)을 트럭(10)의 바닥판(127)에 대해 이격시킬 수 있게 하부 사각틀(120)의 하부에서 제1 및 제2사이드 레일바(141)(142)의 연장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결합되어 있다. 즉, 바닥 지지바(127)는 제1 및 제2세로바(123)(124)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게 하부지지틀(120)의 하부에 결합되어 있다. 바닥지지바(127)는 속이빈 중공(127a)을 갖는 각관으로 형성된 것이 적용되어 있어 후술되는 리프터(50)의 지지아암(52)이 삽입되어 베이스 프레임(110)을 부상상태로 지지할 수 있게 지원한다.
외부 수직지지바(126)는 제1 및 제2사이드 레일바(141)(142)와 하부 지지틀(120) 사이에 수직으로 결합된 바를 지칭하며, 하부 사각틀(120)에서 상호 이격되게 상방으로 연장되어 제1 및 제2사이드 레일바(141)(142)를 지지한다.
종단 수직지지바(128)는 제1 및 제2사이드 레일바(141)(142)의 타단과 각각 결합된 외부 수직지지바(126)로부터 상방으로 각각 연장된 부분이며, 종단 수평지지바(129)는 종단 수직지지바(128)들의 상단을 상호 연결하는 부분이다.
종단 수직지지바(128)와 종단 수평지지바(129)는 후술되는 제1슬라이딩 커버체(150) 또는 제2슬라이딩 커버체(160)의 윤곽선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다.
선단 수직지지바(131)는 제1 및 제2사이드 레일바(141)(142)의 일단과 각각 결합된 외부 수직지지바(126)로부터 상방으로 각각 연장된 부분이며, 선단 수평지지바(132)는 선단 수직지지바(131)들의 상단을 상호 연결하는 부분이다.
선단 수직지지바(131)와 선단 수평지지바(132)는 후술되는 제1슬라이딩 커버체(160)의 윤곽선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다.
전면판(135)은 제1 및 제2사이드 레일바(141)(142)의 일단에서 제1슬라이딩 커버체(150)와 밀착상태에서 제1슬라이딩 커버체(150)에 의해 형성된 내부수용공간(102)에 대해 전면을 차폐할 수 있도록 베이스 프레임(110)의 선단 수직지지바(131)와 선단 수평지지바(132)에 의해 형성된 전면공간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폐쇄하게 선단 수직지지바(131)와 선단 수평지지바(132)에 결합되어 있다.
선반(138)은 전면판(135)으로부터 제1 및 제2슬라이딩 커버체(150)(160)의 내부수용공간(102)으로 연장되어 적재대상물을 적재할 수 있게 수직상으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개가 배치되어 있다.
제1 및 제2사이드 레일바(141)(142)는 베이스 프레임(110)의 외부수직지지바(126)의 상단에 결합되어 있다. 제1 및 제2사이드 레일바(141)(142)는 상호 이격되어 제1 및 제2가로바(121)(122)와 나란하게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상호 대향되는 내측면이 각각 개방된 측면개방구(144a)를 갖는 레일홈(144)이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사이드 레일바(141)(142)는 후술되는 제1 및 제2바퀴(155)(165)가 제1 및 제2사이드 레일바(141)(142)가 이탈되지 않으면서 연장방향을 따라 진퇴될 수 있게 레일홈(144)의 수직폭은 측면개방구(144a)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사이드 레일바(141)(142)의 상면(141a)(142a)은 트럭(10)의 적재공간(20)의 바닥판(22)에 대해 측면에서 회동되면서 적재공간을 구획하는 측면 회동판(30)이 바닥판(22) 위로 연장되게 배치됐을 때 측면 회동판(30)의 높이 이상이 되게 베이스 프레임(110)에 장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측면 회동판(30)이 바닥판(22) 위로 연장되게 배치됐을 때 측면 회동판(30) 보다 제1 및 제2사이드 레일바(141)(142)의 상면(141a)(142a)이 5 내지 20mm 정도 높은 위치가 되게 형성된다.
참조부호 40은 트럭(10)의 적재공간(20)의 바닥판(22)에 대해 후면에서 회동되는 후면 회동판이고, 참조부호 42는 후면 회동판(40)의 양단에 마련되어 측면회동판(30)과 상호 결합하기 위해 회동가능하게 마련된 걸이핀(42)이다.
제1슬라이딩 커버체(150)는 제1 및 제2 사이드 레일바(141)(142)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고 전후방 및 하부는 개방되고 상부 및 측면이 차폐된 구조로 되어 있다.
제1슬라이딩 커버체(150)는 제1 및 제2 사이드 레일바(141)(142)의 레일홈(144) 내에서 각각 회전되면서 이동되는 제1롤러(155)에 지지되게 결합되어 제1 및 제2사이드 레일바(141)(142)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동되게 되어 있다.
제1슬라이딩 커버체(150)를 구분하면, 제1사이드레일바(141)에 대해 상방으로 연장된 제1외측판(151)과, 제2사이드레일바(142)에 대해 상방으로 연장된 제2외측판(152)과, 제1외측판(151)의 상단과 제2외측판(152)의 상단을 상호 연결하는 제1지붕외판(153)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제1슬라이딩 커버체(150)는 전면판(135)에 밀착될 수 있게 형성되어 있고 연장길이는 제1 및 제2사이드레일바(141)(142)의 연장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슬라이딩 커버체(150)의 연장길이는 제1사이드레일바(141)의 연장길이에 대해 1/3 내지 2/3의 길이를 갖게 형성한다.
제1지붕외판(153)은 제1외측판(151)으로부터 제2외측판(152)을 향하는 폭방향에 대해 중앙부분이 높고 가장자리부분이 낮게 갓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슬라이딩 커버체(150)는 제1바퀴(155)의 중심에서 측면개방구(144a)를 통해 레일홈(144) 외부로 수평상으로 연장된 회전축(158)에 회전축(158)이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면서 제1슬라이딩 커버체(150)의 하단과 접속된 지지브라켓(157)을 통해 지지되어 있다.
제2슬라이딩 커버체(160)는 제1 및 제2 사이드 레일바(141)(142)의 레일홈(144) 내에서 제1롤러(155)와 이격되게 배치되어 각각 이동되는 제2롤러(165)에 지지되게 결합되어 제1 및 제2사이드 레일바(141)(142)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동되며 제1슬라이딩 커버체(150)의 내부 수용공간(102) 내로 진입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2슬라이딩 커버체(160)는 제1슬라이딩 커버체(150) 내로 허용 최대 진입깊이까지 진입된 상태에서는 내부수용공간(102)을 상방 및 측면에 대해 개방시킬 수 있고, 제2슬라이딩 커버체(160)는 제1슬라이딩 커버체(150) 내로 허용 최소 진입깊이까지 진입된 상태에서는 내부 수용공간(102)를 상부 및 측면에 대해 차폐시킨다.
제2슬라이딩 커버체(160)를 구분하면, 제1사이드레일바(142)에 대해 상방으로 연장되되 제1외측판(151)의 내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제1내측판(161)과, 제2사이드레일바(142)에 대해 상방으로 연장되며 제2외측판(152)의 내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제2내측판(162)과, 제1내측판(161)의 상단과 제2내측판(162)의 상단을 상호 연결하며 제1지붕외판(153)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2지붕내판(163)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제2슬라이딩 커버체(150)의 연장길이도 제1사이드레일바(141)의 연장길이에 대해 1/3 내지 2/3의 길이를 갖게 형성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내측판(161)과 제1회측판(151)에는 수직상으로 승하강되면서 내부수용공간(102)을 개폐할 수 있는 측면 도어가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셔터(180)는 제2슬라이딩 커버체(160)에 장착되어 제2슬라이딩 커버체(160)의 후면을 상하로 슬라이딩에 의해 개폐시키는 후면개폐도어로서 적용된 것이다. 셔터(180)는 굽힘이 가능한 다수의 판이 직렬로 연결되어 감김하우징(미도시) 내외로 입출될 수 있는 통상의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예와 다르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슬라이딩 커버체(160)의 후면을 좌우 회동에 의해 개폐될 수 있게 힌지결합된 후면 회동도어(184)가 후면개폐도어로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구조에서 제1슬라이딩 커버체(150)를 트럭(10)의 차체에 고정할 수 있게 제1토글클램프(191)가 제1슬라이딩 커버체(150)의 제1 및 제2외측판(151)(152) 선단영역에 각각 장착되어 있다. 베이스 프레임(110)의 선단 수직지지바(131)에는 제1토글클램프(191)의 걸이 고리(191)를 걸 수 있는 걸이구(195)가 장착되어 있다. 걸이구(195)는 걸이 고리(191)가 걸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면 되고 제1토클클램프(191)의 구조는 공지되어 있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2슬라이딩 커버체(160)의 후단 양측에는 제1 및 제2사이드 레일바(141)(142)의 레일홈(144)에 걸어 제2슬라이딩 커버체(16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된 제2토글 클램프(192)가 장착되어 있다. 제2토클클램프(192)는 제2슬라이딩 커버체(160)의 양측 하단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지지브라켓(148)에 장착되어 있고, 걸이고리 선단에 레일홈(144)에 삽입하여 걸 수 있게 돌출된 걸이돌기(194)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제2토글클램프(192)는 제2슬라이딩 커버체(160)의 이동허용이 차단되게 고정하고자 할 때 제1 및 제2사이드 레일바(141)(142)의 레일홈(144)에 걸이돌기(194)가 걸리도록 제2토글클램프(192)로 고정하면된다. 바람직하게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사이드 레일바(141)(142)에는 제2토글 클램프(192)와의 고정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레일홈(144)의 개방된 부분인 측면개방구(144a)의 길이방향을 따라 톱니형상으로 연속되어 형성된 톱니홈(144b)이 형성된다.
한편, 공구함(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 조절이 가능한 리프터(50)를 통해 트럭(10)에 장착 또는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지게차를 이용하여 장착 또는 분리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시된 예에서는 리프터(50)의 지지아암(52)이 바닥지지바(127)의 중공(127a)을 통해 삽입되는 방식이 적용되었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지지바(127)는 생략되고 속이빈 중공(123a)(124a)을 갖는 각관으로 형성된 제1 및 제2세로바(123)(124)에 리프터(50)의 지지아암(52)이 삽입되게 지지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7에서 참조부호 210으로 표기된 고정가이드편은 공구함(100)을 트럭에 안착한 상태에서 트럭(10)의 측면회동판(30)에 의해 가압고정할 수 있게 마련된 것이며 도 1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고정가이드편(210)은 트럭(10)의 적재공간(20)의 바닥판(22)에 대해 측면에서 회동되면서 적재공간(20)을 구획하는 측면 회동판(30)이 바닥판(22) 상부에서 직립상태가 될 때 트럭(10)의 측면회동판(30)의 저면이 가압상태로 안착될 수 있게 베이스 프레임(110)으로부터 측면회동판(30)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다. 고정가이드편(210)은 제1 및 제2가로바(121)(122)로부터 측면회동판(3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수평상으로 돌출된 가압밀착부분(210a)과, 제1 및 제2가로바(121)(122)의 저면에 접합된 접합부분(210c) 및 접합부분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가압밀착부분(210a)의 일단과 접속된 수직부분(210b)을 갖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가압밀착부분(210a)은 측면회동판(도 1참조; 30)이 트럭(10)의 적재공간(20)을 폐쇄하는 위치로 직립시 측면회동판(30)의 저면이 안착될 수 있에 연장되어 있고, 측면회동판(30)의 직립을 허용하면서 측면회동판(30)이 가압안착될 수 있는 두께로 형성되면된다. 또한, 고정가이드편(210)은 도시된 예와 다르게 수직부분(210b)은 생략시켜 가압밀착부분(210a)이 수평상으로 연장되어 제1 및 제2가로바(121)(122)에 접합되게 형성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고정가이드편(210)은 측면회동판(30)이 트럭(10)의 적재공간(20)을 개방되게 바닥판(22) 하부로 회동된 상태에서 트럭(10)의 적재공간(20)을 폐쇄하기 위해 바닥판(22)으로부터 수직상으로 직립되게 회동시키면 측면회동판(30)의 저면이 고정가이드편(210)의 가압밀착부분(210a) 위에 안착되면서 가압밀착부분(210a)을 가압밀착하게 되고, 그에 따라 공구함(100)이 트럭(10)에 고정된다.
한편, 이러한 구조에서 공구함(100)을 트럭으로부터 분리시킨 상태에서 리프터(50)에만 지지되게 보관하는 경우 리프터(50)와의 결합력을 강화하도록 베이스 프레임(110)의 리프터(50)의 지지아암(52)이 삽입되는 부분에는 리프터(50)와 상호 볼팅 결합할 수 있는 결합홀(123b)(124b)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는 제1 및 제2세로바(123)(124)에 결합홀(123b)(124b)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고, 바닥 지지바(127)에 리프터(50)의 지지아암(52)이 삽입되는 경우 바닥지지바(127)에 결합홀이 형성되면 된다. 이 경우 지지아암(52)에도 대응되는 결합홀이 형성된다.
또한, 리프터(50)와의 지지력을 더욱 보강하기 위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아암(52)으로부터 지지아암(52)의 연장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연장되어 제1 및 제2가로바(121)(122)와 결합하기 위한 보조브라켓(54)을 형성하고, 제1 및 제2가로바(121)(122)에는 보조 브라켓(54)과 볼팅결합하기 위한 결합홀(121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트럭용 공구함(110)은 제1 및 제2슬라이딩 커버체(150)(160)를 이동시켜 원하는 개방위치에 대해 측면, 상부 및 후면을 모두 개방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사용상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고 적재대상물에 대한 제약을 완화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110: 베이스 프레임 141: 제1사이드 레일바
142: 제2사이드 레일바 150: 제1슬라이딩 커버체
160: 제2슬라이딩 커버체 180: 셔터
210: 고정가이드편

Claims (5)

  1. 트럭의 적재공간의 바닥판에 안착시킬 수 있으며 내부 수용공간을 갖게 형성된 트럭용 공구함에 있어서,
    트럭의 적재공간 내에 수용될 수 있게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된 베이스 프레임에 상호 이격되어 나란하게 연장되며 연장방향을 따라 상호 대향되게 레일홈이 형성된 제1 및 제2사이드 레일바와;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 레일바의 레일홈 내에서 각각 이동되는 제1롤러에 지지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사이드 레일바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동되며 상기 제1사이드레일바에 대해 상방으로 연장된 제1외측판과, 상기 제2사이드레일바에 대해 상방으로 연장된 제2외측판과, 상기 제1외측판의 상단과 상기 제2외측판의 상단을 상호 연결하는 제1지붕외판을 갖게 형성된 제1슬라이딩 커버체와;
    상기 제1 및 제2사이드 레일바의 일단에서 상기 제1슬라이딩 커버체와 밀착상태에서 상기 제1슬라이딩 커버체에 의해 형성된 내부수용공간에 대해 전면을 차폐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결합된 전면판과;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 레일바의 레일홈 내에서 상기 제1롤러와 이격되게 배치되어 각각 이동되는 제2롤러에 지지되게 결합되어 상기 제1슬라이딩 커버체 내로 진입될 수 있게 형성되며, 상기 제1외측판의 내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제1내측판과, 상기 제2외측판의 내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제2내측판과, 상기 제1내측판의 상단과 상기 제2내측판의 상단을 상호 연결하며 상기 제1지붕외판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2지붕내판을 갖는 제2슬라이딩 커버체와;
    상기 제2슬라이딩 커버체에 장착되어 제2슬라이딩 커버체의 후면을 개폐시키는 후면 개폐도어와;
    상기 전면판으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커버체의 내부수용공간으로 연장되어 적재대상물을 적재할 수 있게 수직상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개의 선반과;
    상기 트럭의 적재공간의 바닥판에 대해 측면에서 회동되면서 적재공간을 구획하는 측면 회동판이 상기 바닥판 상부에서 직립상태가 될 때 상기 트럭의 측면회동판의 저면이 가압상태로 안착될 수 있게 상기 베이스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측면회동판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고정가이드편;을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는 상기 트럭으로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프레임을 지면에 대해 이격 지지하는 리프터와 볼팅 결합할 수 있는 결합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사이드 레일바의 상면은 상기 측면 회동판이 상기 바닥판 위로 직립되게 배치됐을 때의 상기 측면 회동판의 높이 이상이 되게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용 공구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슬라이딩 커버체의 상기 제1 및 제2외측판에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지지되게 장착된 걸이구에 걸이고리를 착탈할 수 있는 제1 토글클램프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용 공구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슬라이딩 커버체에는 상기 제1 및 제2사이드 레일바에 걸어 상기 제2슬라이딩 커버체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된 제2토글 클램프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사이드 레일바에는 상기 제2토글 클램프와의 고정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상기 레일홈의 개방된 부분에 길이방향을 따라 톱니형상으로 연속되어 형성된 톱니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용 공구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제1 및 제2사이드 레일바에 대해 하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된 하부 사각틀과;
    상기 하부 사각틀에서 상호 이격되게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및 제2사이드 레일바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외부 수직지지바와;
    상기 하부 사각틀의 하부에 상기 제1 및 제2사이드 레일바의 연장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결합된 복수개의 바닥 지지바와;
    상기 제1 및 제2사이드 레일바의 타단과 각각 결합된 외부 수직지지바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종단 수직지지바들과;
    상기 종단 수직지지바들의 상단을 상호 연결하는 종단 수평지지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용 공구함.
  5. 삭제
KR1020190085533A 2019-07-16 2019-07-16 트럭용 공구함 KR1022063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533A KR102206372B1 (ko) 2019-07-16 2019-07-16 트럭용 공구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533A KR102206372B1 (ko) 2019-07-16 2019-07-16 트럭용 공구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6372B1 true KR102206372B1 (ko) 2021-01-21

Family

ID=74237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5533A KR102206372B1 (ko) 2019-07-16 2019-07-16 트럭용 공구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637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6503Y1 (ko) * 2000-01-13 2000-06-15 김영식 화물트럭 호로 높이조절 및 보관장치
JP2005335679A (ja) * 2005-03-24 2005-12-08 Toshimi Matsuo トラック車両雨よけカバー
KR20100086267A (ko) * 2009-01-22 2010-07-30 이종엽 트럭 적재함 커버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6503Y1 (ko) * 2000-01-13 2000-06-15 김영식 화물트럭 호로 높이조절 및 보관장치
JP2005335679A (ja) * 2005-03-24 2005-12-08 Toshimi Matsuo トラック車両雨よけカバー
KR20100086267A (ko) * 2009-01-22 2010-07-30 이종엽 트럭 적재함 커버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52675B2 (en) Height adjustable load compartment floor system
JP2009120202A (ja) 貨物用上段ラックおよび貨物用下段ラック
CN209505881U (zh) 车厢组件、皮卡车厢扩展组件及皮卡车厢组件
KR102206372B1 (ko) 트럭용 공구함
JPH085615Y2 (ja) 棚付の収納ボックス
KR20210047642A (ko) 2주식 리프트의 받침아암장치
KR101411388B1 (ko) 화물차용 적재함 덮개장치
US2992038A (en) Trucks with movable side plates
EP2583722A1 (en) Support platform for receiving equipment of a rescue vehicle
EP2460686A1 (en) Vehicle table and vehicle fridge housing integrating the table, in particular for industrial or commercial vehicles
KR200273990Y1 (ko) 소형 공작기계 복합 수납함
EP1707439B1 (en) Ladder rack for vehicles
JP4056959B2 (ja) 荷台内格納型の荷受台昇降装置
KR101585173B1 (ko) 특장차용 2단 적재장치
CN220180946U (zh) 一种皮卡车后斗用龙门架
CN216508082U (zh) 一种菜篮子直通车伸缩扩展结构
JP4359348B2 (ja) 落下防止柵を設けた収納ラック
JP3896681B2 (ja) ピッキングフォークリフト
US4412486A (en) Press construction
KR20200065774A (ko) 자동차 루프에 구비되는 캐리어 승강장치
JP2871540B2 (ja)
JPS5853092Y2 (ja) 多段式収納家具
JP4291102B2 (ja) 荷台内格納型の荷受台昇降装置における荷受台固縛構造
CN116714687A (zh) 一种皮卡车后斗用龙门架
ITBO20000015A1 (it) Armadietto portautensili .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