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5745B1 - Usb 전력 전송 컨트롤러 공유 - Google Patents

Usb 전력 전송 컨트롤러 공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5745B1
KR102205745B1 KR1020167032932A KR20167032932A KR102205745B1 KR 102205745 B1 KR102205745 B1 KR 102205745B1 KR 1020167032932 A KR1020167032932 A KR 1020167032932A KR 20167032932 A KR20167032932 A KR 20167032932A KR 102205745 B1 KR102205745 B1 KR 102205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s
power transfer
port
transfer controller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2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7926A (ko
Inventor
로버트 던스탄
치 림 엔지
Original Assignee
인텔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텔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인텔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60147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79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5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57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6Arrangements to supply power to external peripherals either directly from the computer or under computer control, e.g. supply of power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computer controlled power-stri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3Arrangements for using multiple switchable power supplies, e.g. battery and A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382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 G06F13/385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for adaptation of a particular data processing system to different peripher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0Current supply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06Architecture of a communication node
    • H04L12/40039Details regarding the setting of the power status of a node according to activity on the b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06Architecture of a communication node
    • H04L12/40045Details regarding the feeding of energy to the node from the b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2/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on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2212/21Employing a record carrier using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06F2212/214Solid state disk
    • G06F2212/2146Solid state disk being detachable, e.g.. USB memo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ower Sour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Systems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서 전력 전송 컨트롤러를 공유하는 시스템이 기술된다. 시스템은 복수의 포트와 복수의 포트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전력 전송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전력 전송 컨트롤러는 제 1 메시지를 복수의 포트 중 특정 포트로 송신하고 포트로부터 특정의 리턴 메시지에 응답하여 특정 포트에 연결된 채로 남아서 특정 포트로 전력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USB 전력 전송 컨트롤러 공유{USB POWER DELIVERY CONTROLLER SHARING}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 전력 전송에 관한 것이다. 특히, 전력 전송 컨트롤러가 복수의 포트 사이에서 공유되는 시스템이 기술된다.
USB 전력 전송 설명서(USB 전력 전송 설명서 개정판 1.0, 2013년 6월 26일)에는 USB 컴포넌트가 각종 디바이스에 전력을 공급하는데 사용되는 프로토콜이 정의되어 있다. USB 전력 전송 설명서에는 또한 전력 전송 케이블을 통한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이 기술되어 있다. 일부 사례에서, USB 전력 전송 설명서에 따른 통신은 백 와트(W)까지의 전력을 전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케이블을 통해 제 2 디바이스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제 1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전력 전송(power delivery, PD)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USB 서브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PD 컨트롤러 및 복수의 방전 배터리(dead battery, BD) 모듈을 포함하는 USB 서브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4는 전력 전송 컨트롤러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의 블록도이다.
도 5는 전력 전송 컨트롤러를 공유하기 위한 코드를 저장하는 유형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500)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기술의 실시예에 따라서 컴퓨터 시스템에서 존재하는 컴포넌트의 블록도이다.
도 7은 전력 전송 컨트롤러와 복수의 포트 사이의 메시지 흐름을 예시하는 프로토콜 흐름도이다.
도 8은 전력 전송 컨트롤러와, 포트와 디바이스 사이의 메시지 흐름을 예시하는 프로토콜 흐름도이다.
도 9는 전력 전송 컨트롤러, 포트, 디바이스, 그리고 방전 배터리 또는 언파워드(unpowered) 모듈 사이의 메시지 흐름을 예시하는 프로토콜 흐름도이다.
본 개시와 도면 전체에서 동일한 컴포넌트 및 특징을 참조하기 위해 동일한 참조부호가 사용된다. 100번대의 참조부호는 원래 도 1에서 발견되는 특징과 관련되며, 200번대 참조부호는 원래 도 2에서 발견되는 특징과 관련된다.
USB 전력 전송 설명서에는 포트 대 포트 통신 및 전력 전송 시스템이 정의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하나의 포트는 그의 역량을 광고하고 다른 포트는 이와 같은 역량을 요청할 수 있다. 일부 사례에서, 역량은 전압, 전류, 및 전력 관리(power direction)를 포함한다. 전력 관리는 노트북상의 특정 포트를 충전기로부터의 입력으로서 사용할 능력이라 말할 수 있다. 전력 관리는 거의 대부분 USB 전력 전송(Power Delivery, PD) 컨트롤러에 의해 구현된다. USB PD 컨트롤러는 비교적 비싼 컴포넌트이다. 그뿐만 아니라, 컴퓨팅 디바이스의 포트들은 유사한 방식으로 작동하기로 예정되어 있으며, 각각의 컴퓨팅 디바이스는 여러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컴퓨팅 디바이스는 하나의 USB PD 컨트롤러가 하나의 USB 포트에 대응하도록 대개의 경우 여러 USB PD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각 포트는 전력 전송과 관련하여 동일하게 작동할 것이다. 그러나 여러 PD 컨트롤러를 컴퓨팅 디바이스에 추가하는 것은 비용이 많이 든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 내 여러 포트 중 한 포트를 통해 USB PD의 충전을 지원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실시예는 USB PD 컨트롤러를 공유하는 것을 개시한다. 실시예에서, USB PD 컨트롤러는 복수의 USB 포트 사이에서 공유된다. 따라서, USB PD 컨트롤러는 복수의 USB 포트를 지원할 수 있다. 더욱이, USB PD 컨트롤러는 USB PD 설명서에 의해 요구된 것으로서 USB PD 컨트롤러의 공유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포트에 의해 전송된 역량 및 메시지를 활용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컴퓨팅 시스템의 임의의 USB 포트는 컴퓨팅 디바이스에 포함된 단일의 USB PD 컨트롤러를 가지고 주변 디바이스를 충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기술은 현재 개발되거나 향후 개발되는 어느 USB 버전으로도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다음과 같은 설명에서, 특정 형태의 프로세서 및 시스템 구성, 특정 하드웨어 구조, 특정의 아키텍처적 및 미세 아키텍처적 세부사항, 특정 레지스터 구성, 특정 명령어 타입, 특정 시스템 컴포넌트, 특정 수치/높이, 특정 프로세서 파이프라인 스테이지 및 동작 등의 예와 같은 많은 특정한 세부 사항이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설명된다. 그러나 본 기술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이러한 특정 세부사항이 본 기술을 실시하는데 반드시 이용될 필요가 없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다른 사례에서, 본 기술을 불필요하게 모호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특정한 대안의 프로세서 아키텍처, 기술된 알고리즘을 위한 특정 로직 회로/코드, 특정 펌웨어 코드, 특정 인터커넥트 동작, 특정 로직 구성, 특정 제조 기술 및 재료, 특정 컴파일러 구현, 코드 내 알고리즘의 특정 표현, 특정 전력 강하 및 게이팅 기술/로직 및 컴퓨터 시스템의 다른 특정 동작의 세부사항과 같은 공지된 컴포넌트 또는 방법에 관해서는 자세하게 설명하지 않았다.
다음과 같은 실시예가 컴퓨팅 플랫폼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같은 특정 집적 회로에서 에너지 보존 및 에너지 효율에 관하여 설명될 수 있지만, 다른 실시예는 다른 형태의 집적 회로 및 로직 디바이스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실시예의 유사한 기술 및 가르침은 더 나은 에너지 효율 및 에너지 보전으로부터 또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다른 종류의 회로 또는 반도체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개시된 실시예는 데스크톱 컴퓨터 시스템 또는 울트라북TM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휴대용 디바이스, 태블릿, 다른 신(thin) 노트북, 시스템 온 칩(systems on a chip, SOC) 디바이스, 및 임베디드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다른 디바이스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휴대용 디바이스의 몇 가지 예는 셀룰러 폰, 인터넷 프로토콜 디바이스, 디지털 카메라, 개인 휴대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휴대용 PC를 포함한다. 임베디드 애플리케이션은 통상적으로 아래에서 교시된 기능 및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마이크로컨트롤러,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시스템 온 칩, 네트워크 컴퓨터(network computer, NetPC), 셋톱 박스, 네트워크 허브, 광역 네트워크(wide area network, WAN) 스위치, 또는 임의의 다른 시스템을 포함한다. 더욱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시스템은 물리적인 컴퓨팅 디바이스로 제한되지 않고, 에너지 보존 및 효율을 위해 소프트웨어를 최적화하는 것에도 관련될 수 있다. 아래의 설명에서 즉시 명백해지는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의 실시예는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과 관련한 것이든 아니든) 성능 고려 사항과 장차 균형을 이루는 '녹색 기술'에 필요 불가결하다.
컴퓨팅 시스템이 발달하면서, 컴퓨팅 시스템 내 컴포넌트는 더욱 복잡해지고 있다. 결과적으로 컴포넌트끼리 연결하고 통신하게 하는 인터커넥트 아키텍처 또한 최적한 컴포넌트 동작에 필요한 대역폭 요건이 확실하게 충족되도록 하기 위해 복잡도가 증가되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다양한 세분된 시장은 시장의 요구에 맞는 인터커넥트 아키텍처의 다양한 양상을 요구하고 있다. 예를 들면, 서버는 고성능을 요구하는데 반해, 모바일 에코시스템은 때로는 절전을 위해 전체 성능을 희생할 수 있다. 그렇지만, 이것은 절전을 극대화하면서 최고로 가능한 성능을 제공하려는 대부분의 패브릭의 한 가지 목적이다. 아래에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본 기술의 양태로부터 잠재적으로 이득을 받게 될 복수의 인터커넥트가 논의된다.
도 1은 케이블(104)을 통해 제 2 디바이스(102)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제 1 디바이스(100)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케이블(104)은 케이블(104) 내에서 통합된 전자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104)은 제 1 디바이스(100)로부터 제 2 디바이스(102)로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케이블(104)은 또한 제 1 디바이스(100)로부터 제 2 디바이스(102)로 데이터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사례에서, 케이블(104)은 제 1 디바이스(100)와 제 2 디바이스(102) 사이에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100)는 호스트 컴퓨팅 디바이스, 예를 들면, 다른 것들 중에서도 랩톱 컴퓨터, 데스크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이동 디바이스, 서버, 또는 셀룰러 폰일 수 있다. 더욱이, 제 2 디바이스는 호스트 컴퓨팅 디바이스, 예를 들면, 다른 것들 중에서도 랩톱 컴퓨터, 데스크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이동 디바이스, 서버, 또는 셀룰러 폰일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100)는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도록 적응된 프로세서(106)뿐만 아니라 프로세서(106)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 디바이스(108)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6)는 싱글코어 프로세서, 멀티코어 프로세서, 컴퓨팅 클러스터, 또는 임의의 개수의 다른 구성일 수 있다. 프로세서(106)는 복잡 명령어 집합 컴퓨터(Complex Instruction Set Computer, CISC) 또는 축소된 명령어 집합 컴퓨터(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er, RISC) 프로세서, x86 명령어 집합 호환가능 프로세서, 멀티코어, 또는 임의의 다른 마이크로프로세서나 중앙 처리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CPU)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06)는 듀얼코어 프로세서(들), 또는 듀얼코어 모바일 프로세서(들) 등을 포함한다.
메모리 디바이스(108)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예를 들면, SRAM, DRAM, 제로 캐패시터 RAM, SONOS, eDRAM, EDO RAM, DDR RAM, RRAM, PRAM 등), 판독 전용 메모리(예를 들면, 마스크 ROM, PROM, EPROM, EEPROM 등), 플래시 메모리,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메모리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디바이스(108)에 저장되고 프로세서(106)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는 전력을 제 2 디바이스(102)에 제공하고, 전력을 케이블(104)에 통합된 전자 컴포넌트(도시되지 않음)에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프로세서(106)는 시스템 버스(110)(예를 들면, PCI, ISA, PCI-Express, HyperTransport®, NuBus 등)를 통해, 제 1 디바이스(100)를 케이블(104)을 통해 제 2 디바이스(102)에 연결하도록 적응된 입력/출력(input/output, I/O) 디바이스 인터페이스(112)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사례에서, I/O 디바이스 인터페이스(112)는 USB 전력 전송(power delivery, PD)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USB 서브시스템이다. 제 1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주변 디바이스(102)를 접속하는 여러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주변 디바이스(102)는 USB 서브시스템 내 PD 컨트롤러를 공유할 수 있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 2 디바이스는 호스트 컴퓨팅 디바이스, 예를 들면, 다른 것들 중에서도 랩톱 컴퓨터, 데스크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이동 디바이스, 서버, 또는 셀룰러 폰일 수 있다. 그래서 제 2 디바이스(102)는 제 1 디바이스(100)와 유사한 호스트 컴퓨팅 디바이스일 수 있다. 제 2 디바이스(102) 또한 주변 디바이스일 수 있고 예를 들면, 키보드 및 포인팅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포인팅 디바이스는 다른 것 중에서도, 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 카메라, 미디어 플레이어, 프린터와 같은 주변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디바이스(102)는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I/O 디바이스 인터페이스(112)는 케이블(104)을 통해 전력을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디바이스 전력 선을 통해 제 2 디바이스(102)에 전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사례에서, 제 2 디바이스(102)는 케이블(104)을 통해 제 1 디바이스에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06)는 또한 시스템 버스(110)를 통해, 제 1 디바이스(100)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6)에 연결하도록 적응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114)에 링크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6)는 제 1 디바이스(100)의 내장 컴포넌트인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6)는 또한 다른 것 중에서도, 외부에서 제 1 디바이스(100)에 연결되는 컴퓨터 모니터, 텔레비전, 또는 프로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100)는 또한 저장 디바이스(118)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디바이스(118)는 물리적 메모리, 이를테면 하드 드라이브, 광 드라이브, 플래시 드라이브, 드라이브 어레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디바이스(118)는 또한 원격 저장 드라이브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디바이스(118)는 또한 오퍼레이팅 시스템(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디바이스(118)는 제 1 디바이스(100)의 포트 사이에서 전력 전송 컨트롤러를 공유하라는 명령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1에서 도시되지 않았지만, 케이블(104)은 통합된 전자 컴포넌트에 전력을 제공하도록 케이블(104) 내에 통합된 내부의 전력 선 및 제 1 디바이스(100)로부터 제 2 디바이스(102)로 전력을 제공하도록 케이블(104) 내에 통합된 디바이스 전력 선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 1 디바이스 및 제 2 디바이스는 각기 전원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 제 2 디바이스 또는 두 디바이스의 전원은 필요할 때 전력을 다른 디바이스에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다른 디바이스에 제공된 전압은 일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일정한 전압이 전력을 수신하는 디바이스에 인가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력을 수신하는 디바이스에 제공된 전압은 임의의 특정 시간에 전력을 받는 디바이스의 전력 요건에 기초하여 역학적일 수 있다.
도 2는 PD 컨트롤러(202)를 포함하는 USB 서브시스템(200)의 블록도이다. 복수의 포트(204A, 204B, 204C, 및 204D)는 각기 PD 컨트롤러(202)로의 액세스를 공유한다. 복수의 포트(204A, 204B, 204C, 및 204D)는 각기 전원 장치(206)에 연결된다. 따라서 복수의 포트(204A, 204B, 204C, 및 204D)는 각기 전원 장치(206)로부터 전력에 액세스할 수 있으며 전력을 주변 디바이스에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사례에서, USB 서브시스템(202)은 핫 디바이스(hot device)에 포함된다. 핫 디바이스는 연관된 시스템 또는 디바이스를 운전 정지시키지 않고 연결 및 연결 해제되게 할 수 있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예로서, 핫 디바이스는 디바이스에 아무런 중대한 변동도 주지 않고 연결 또는 연결 해제될 수 있다. PD 컨트롤러(202)는 한번에 한 포트씩 복수의 포트(204A, 204B, 204C, 및 204D) 사이에서 선회할 수 있다. PD 컨트롤러(202)는 복수의 포트(204A, 204B, 204C, 및 204D) 중 하나의 포트에 도달할 때, 그 포트로부터 응답을 발생시키는 임의의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메시지는 핑(Ping) 또는 역량(Capability) 메시지일 수 있다. 일부 사례에서, 협상 프로세스가 발생할 수 있고, 그럼으로써 PD 컨트롤러는 컴퓨팅 디바이스의 역량을 광고한다. 예를 들면, PD 컨트롤러는 소스 역량(Source Capability)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디바이스가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디바이스는 광고된 역량을 요청할 수 있다.
USB 전력 전송 설명서에 따르면, 모든 USB PD 디바이스는 역량 메시지에 응답하여야 한다. 예로서, 만일 메시지가 전력을 요청하는 임의의 리턴 메시지로 응답되면, USB PD 컨트롤러는 일정 기간 동안 포트에 접속된 채로 남는다. 일부 사례에서, 이 기간은 USB PD 컨트롤러와 포트 사이의 활성적인 연결 동안의 기간이다. 연결 동안, PD 컨트롤러는 디바이스의 역량을 결정하기 위해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다. 포트에 연결된 디바이스가 USB PD 디바이스이면, 전력은 USB 전력 전송 설명서에 따라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량 메시지에 응답하여 양호 순환 중복 검사(Good Cyclic Redundancy Check, GoodCRC) 및/또는 요청(Request) 메시지가 리턴될 수 있다. 따라서, GoodCRC 메시지 및/또는 요청 메시지가 수신될 때, USB PD 컨트롤러는 연결 중에 있는 동안 포트에 접속한 채로 남는다. GoodCRC 메시지는 포트로부터의 메시지가 정확히 수신되었다는 것을 표시한다. 요청 메시지는 전력의 요청을 표시한다. GoodCRC 메시지 및 요청 메시지는 모두 다 PD 컨트롤러와 포트 사이의 연결을 생성한다. PD 컨트롤러에 의해 연결이 검출된 후, PD 전원이 그 포트에 연결되며 그 연결의 지속기간 동안 연결된 채로 유지된다.
또한, 연결 동안, USB PD 컨트롤러는 USB 전력 전송 설명서에 따른 메시지 송신을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역량 타이머(Capability Timer)는 전력 전송 가능 디바이스가 컴퓨팅 디바이스의 포트에 접속된 것을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전원 장치 타이머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USB 전력 전송 포트에 의해 사용된 전력을 관리하는 디바이스 정책 관리자(Device Policy Manager)가 실시될 수 있다.
일부 사례에서, 포트는 제어 하에 모두 다 선회될 수 있다. 예를 들면, PD 컨트롤러는 어느 포트가 PD 컨트롤러에 액세스할 것인지를 결정하기 위해 복수의 포트의 모든 포트 전체에서 선회할 수 있다. PD 컨트롤러는 또한 복수의 포트 중 서브세트의 포트 전체에서 선회할 수 있다. 일부 사례에서, 서브세트의 포트는 케이블이 리셉터클 내에 존재하는 유일한 포트이다. 그러므로 복수의 포트는 복수의 케이블에 연결되는 포트 그룹이다. 또한, 일부 사례에서, 서브세트의 포트는 케이블의 다른 단부에 연결된 디바이스와의 유일한 포트이다. 이 경우, 복수의 포트는 복수의 디바이스에 연결되는 포트 그룹이다.
도 3은 PD 컨트롤러(302)와 복수의 방전 배터리(dead battery, DB) 모듈(306)을 포함하는 USB 서브시스템(300)의 블록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방전 배터리 모듈은 또한 언파워드(unpowered) 모듈이라고도 지칭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USB 서브시스템(300)은 랩톱 컴퓨터 및 데스크톱 컴퓨터 등과 같은 디바이스에 포함될 수 있다. USB 서브시스템(300)은 공급자/소비자 디바이스인 시스템 내에 있을 수 있으며, 배터리를 충전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복수의 공급자/소비자 포트(304A, 304B, 304C 및 304D)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포트(304A, 304B, 304C 및 304D)는 각기 소비자로서 작용하는 역량을 가진 전력 공급자일 수 있다. 복수의 포트(304A, 304B, 304C 및 304D)의 각 포트는 대응하는 방전(DB) 모듈(306A, 306B, 306C 및 306D)과 연결된다. DB 모듈은 USB 서브시스템(300)을 포함하는 디바이스가 충전을 필요로 하는 방전 배터리를 갖고 있을 때 또는 디바이스가 그의 전원을 상실했을 때 그 디바이스에 전력을 공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복수의 DB 모듈(306A, 306B, 306C 및 306D)은 USB 서브시스템(300)의 VBus에 연결된다. 복수의 DB 모듈(306A, 306B, 306C 및 306D)은 각기 USB 서브시스템(300)을 포함하는 시스템으로의 전원이 꺼지거나 전력이 중단될 때 VBus로부터 동작할 수 있다. 일부 사례에서, 배터리에 시스템의 전력이 더는 남아 있지 않은 전력 부족 상태에 있을 때 시스템의 전원이 꺼진다. 디바이스는 포트(304A, 304B, 304C 및 304D) 중 임의의 포트에 연결될 수 있다. 디바이스는 이동 전화, 태블릿 디바이스 등일 수 있다. 전형적으로, 디바이스는 소비자/공급자 디바이스이다. 다시 말해서, 디바이스는 공급자로서 역할을 하는 역량을 가진 전력 소비자일 수 있다. 디바이스가 Vbus상에서 어떤 전압도 검출하지 않을 때, 디바이스는 주기적으로 소량의 전압을 VBus에 인가하여 USB 서브시스템(300)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전력을 공급하며, 그래서 포트(304A, 304B, 304C 및 304D)는 전력을 소비하는데 사용된다. Vbus에 인가된 전압은 USB 서브시스템(300)의 USB 전력 전송 통신 역량을 기동시키기에 충분하다. 결과적으로, USB 서브시스템(300)을 포함하는 디바이스와 USB 서브시스템(300)의 포트를 통해 연결된 디바이스 사이에서 역할 반전이 수립될 수 있다. 이 경우, USB 서브시스템(300)은 소비자가 되며, USB 서브시스템(300)의 포트를 통해 연결된 디바이스는 공급자가 된다.
전술한 공급자/소비자 포트와 같은 포트를 통해 디바이스와 연결된 DB 또는 전력부족 모듈은 Vbus상의 제한된 전압을 사용하여 비트스트림을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비트스트림은 두 디바이스 사이에서 역할 반전이 수립될 때 협상 목적으로 사용된다. 비트 스트림은 0과 1이 교번하는 연속 스트림과 같은 반복 비트 패턴일 수 있다. 그러나 일부 사례에서, 디바이스에 의한 역 충전(back charge)을 협상하는데 사용되는 비트 스트림은 디바이스가 전력을 공급하는 것임을 표시하는 다른 반복 비트 패턴일 수 있다.
비트 스트림이 존재할 때, Vbus상의 소량의 전압은 시스템을 충전하고 시그널링 목적을 위한 비트 스트림의 생성을 기동시키는데 사용된다. DB 모듈은 시스템이 정상적인 USB PD 통신을 시작할 준비가 될 때까지 계속하여 비트 스트림을 출력한다. 시스템의 충전이 특정 레벨에 도달했을 때 시스템은 정상적인 USB PD 통신을 시작할 준비가 된다. 일부 사례에서, PD 컨트롤러가 소스 역량 메시지를 디바이스에 송신할 수 있을 때 시스템은 정상적인 USB PD 통신을 시작할 준비가 된다.
DB 모듈은 방전 배터리 동작을 지원하는데 필요한 USB PD 컨트롤러의 최소한의 부분을 에뮬레이트한다. 일부 사례에서, DB 또는 전력부족 모듈은 600 킬로헤르츠(KHz) 주파수 편이를 추진하기 위해 대략 300 킬로헤르츠(KHz) 레이트로 변조되는 대략 23 메가헤르츠(MHz)의 소스이다. 동작 시, 23 메가헤르츠 소스는 방전 배터리의 동작을 완비시키는데 필요한 전부이다. 이러한 23 메가헤르츠 소스는 전력을 제공하는 디바이스의 전력 전송 엔진에 의한 비트스트림으로서 해석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체의 전력 전송 컨트롤러는 단일의 PD 컨트롤러가 복수의 포트 사이에서 공유되는 디바이스에서 방전 배터리 동작을 지원하기 위해 각 포트마다 할당되지 않는다. 시스템에서 존재하는 전력 전송 컨트롤러의 개수를 줄임으로써 시스템 비용이 줄어들 수 있다. 실시예에서, 복수의 포트로부터 오는 vSafe5V 신호의 존재는 방전 배터리 동작을 실행할 때 검출될 수 있다. vSafe5V 신호를 송신하는 포트는 전력 전송 통신이 재개될 수 있을 때까지 전력을 시스템에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전력 전송 컨트롤러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400)의 블록도이다. 블록(402)에서, PD 컨트롤러는 모든 포트를 조사하거나 스캔할 수 있다. PD는 컴퓨팅 디바이스 내부의 모든 USB 포트를 조사할 수 있거나, PD 컨트롤러는 디바이스의 서브세트의 USB 포트를 조사할 수 있다. USB 포트는 케이블이 연결된 포트일 수 있다. 일부 사례에서, 서브세트의 포트는 포트에 연결된 케이블에 디바이스가 접속된 그러한 포트일 수 있다. 블록(404)에서, 복수의 포트의 각각으로 메시지가 송신된다. 일부 사례에서, 메시지는 핑 또는 역량 메시지이다.
블록(404)에서, 리턴 메시지에 응답하여, PD 컨트롤러는 포트에 연결하고 전력 전송 서비스를 포트에 제공할 수 있다. 리턴 메시지는 GoodCRC 메시지일 수 있는데, 여기서 GoodCRC 메시지는 포트가 메시지를 정확히 수신하였다는 것을 표시한다. 리턴 메시지는 또한 포트가 전력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일 수 있다. 리턴 메시지는 USB 전력 전송 설명서에 따라서 전력이 송신되도록 PD 컨트롤러와의 활성적인 연결을 설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시스템은 스케일러빌리티 목적으로 복수의 PD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PD 컨트롤러는 시스템의 포트 A, 포트 B 및 포트 C를 스캔하여 전력 전송을 설정할 수 있으며, 제 2 PD 컨트롤러는 동일한 시스템의 포트 D 및 포트 E를 스캔하여 전력 전송을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제 1 PD 컨트롤러는 시스템의 포트 A, 포트 B, 포트 C, 포트 D, 및 포트 E의 각각을 스캔할 수 있다. 제 1 PD 컨트롤러가 포트 A, 포트 B, 포트 C, 포트 D, 또는 포트 E 중 한 포트와의 활성적인 연결을 설정하면, 제 2 PD 컨트롤러는 제 1 PD 컨트롤러와의 활성적인 연결에 연루되지 않은 다른 포트를 스캔하기 시작할 수 있다.
도 5는 전력 전송 컨트롤러를 공유하기 위한 코드를 저장하는 유형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500)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유형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500)는 컴퓨터 버스(504)를 통해 프로세서(502)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유형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500)는 프로세서(502)에 지시하여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논의되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는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유형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500)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의 모듈(506)은 컴퓨팅 디바이스의 복수의 포트를 조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사례에서, 복수의 포트는 컴퓨팅 디바이스의 이용 가능한 서브세트의 포트이다. 메시징 모듈(508)은 복수의 포트 각각에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연결 모듈(510)은 포트의 리턴 메시지에 기초하여 복수의 포트의 각 포트와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의 블록도는 유형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500)가 도 5에 도시된 모든 컴포넌트를 포함한다는 것을 표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유형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500)는 특정 구현의 세부사항에 따라서, 도 5에서 도시되지 않은 임의의 개수의 부수적인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제 도 6을 참조하면, 본 기술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에서 존재하는 컴포넌트의 블록도가 예시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600)은 컴포넌트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컴포넌트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적응된 IC, 그의 일부분, 독립적인 전자 디바이스, 또는 다른 모듈, 로직,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컴퓨터 시스템의 새시 내부에 포함된 이와 다른 컴포넌트로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6의 블록도는 컴퓨터 시스템의 많은 컴포넌트의 하이 레벨의 관점을 도시하려는 의도가 있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그러나 도시된 컴포넌트 중 일부는 생략될 수 있고, 부가적인 컴포넌트가 존재할 수 있으며, 다른 구현예에서는 도시된 컴포넌트의 상이한 배열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결과로서, 전술한 본 기술은 아래에서 예시되거나 설명되는 인터커넥트 중 하나 이상의 인터커넥트의 임의의 부분에서 구현될 수 있다. 본 기술이 범용 직렬 버스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설명되지만, 아래의 인터커넥트 중 임의의 인터커넥트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단일의 전력 전송 컨트롤러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600) 내 컴포넌트는 전력 전송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610)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멀티코어 프로세서, 멀티스레드 프로세서, 초 저전압 프로세서,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다른 공지된 프로세싱 요소를 포함한다. 예시된 구현예에서, 프로세서(610)는 시스템(600)의 각종 컴포넌트 중 많은 컴포넌트와 통신하기 위한 메인 프로세싱 유닛 및 중앙 허브로서 작용한다. 일 예로서, 프로세서(600)는 시스템 온 칩(system on a chip, SoC)으로서 구현된다. 특정의 예시적인 예로서, 프로세서(600)는 캘리포니아 산타 클라라 소재의 인텔 코포레이션으로부터 구입 가능한 i3, i5, i7 또는 다른 그와 같은 프로세서와 같은 Intel® Architecture CoreTM 기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그러나 캘리포니아 서니베일 소재의 어드밴스드 마이크로 디바이스 인코포레이티드(AMD)로부터 구입 가능한 다른 저전력 프로세서, 캘리포니아 서니베일 소재의 MIPS 테크놀로지로부터의 MIPS 기반 디자인, ARM 홀딩스 리미티드 또는 그의 고객, 또는 그의 라이선스 허가자 또는 어답터(adapter)로부터 공식 허가받은 ARM 기반 디자인은 애플 A5/A6 프로세서, 퀄컴 스냅드래콘 프로세서, 또는 TI OMAP 프로세서와 같은 다른 실시예에서 대신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한 프로세서의 많은 고객 버전은 수정되고 변경되지만, 이러한 고객 버전은 프로세서 허가자에 의해 언급된 바와 같은 정의된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특정 명령어 집합을 지원하거나 인식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여기서, 미세 아키텍처적인 구현예는 변할 수 있지만, 프로세서의 아키텍처적 기능은 보통 일관적이다. 일 구현예에서 예시적인 실시예를 제공하는 프로세서(610)의 아키텍처 및 동작에 관한 소정의 세부사항은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논의될 것이다.
일 구현예에서, 프로세서(610)는 시스템 메모리(615)와 통신한다. 예시적인 예로서, 실시예에서 시스템 메모리는 주어진 수량의 시스템 메모리를 부양하는 다중 메모리 디바이스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로서, 메모리는 합동 전자 디바이스 엔지니어링 협회(Joint Electron Devices Engineering Council, JEDEC) 저전력 데이터 2배속(low power double data rate, LPDDR) 기반의 디자인, 이를테면 JEDEC JESD 209-2E(2009년 4월 발간)에 따른 현재의 LPDDR2 표준 또는 대역폭을 증가하기 위해 LPDDR2로 확장할 것을 제안하는 LPDDR3 또는 LPDDR4 라고 지칭되는 차세대 LPDDR 표준에 따른 것일 수 있다. 다양한 구현예에서, 개개의 메모리 디바이스는 싱글 다이 패키지(single die package, SDP), 듀얼 다이 패키지(dual die package, DDP) 또는 쿼드 다이 패키지(quad die package, Q17P)와 같은 여러 패키지 종류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이와 같은 디바이스는 모기판(motherboard)에 직접 납땜되어 더 낮은 프로필 해결책을 제공하는데 반해, 다른 실시예에서 디바이스는 주어진 커넥터를 통해 모기판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 모듈로서 구성된다. 그리고 물론, 다른 종류의 메모리 모듈 예를 들면,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마이크로 DIMM, 미니 DIMM을 비롯한 듀얼 인라인 메모리 모듈(dual inline memory module, DIMM)의 다른 변형과 같은 다른 메모리 구현예가 가능하다. 특정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메모리는 2GB와 16GB 사이의 크기를 가지며, 볼 그리드 어레이(ball grid array, BGA)를 통해 모기판에 납땜되는 DDR3LM 패키지 또는 LPDDR2 또는 LPDDR3 메모리로서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 애플리케이션, 및 하나 이상의 오퍼레이팅 시스템 등과 같은 정보의 일관성 있는 저장을 위해, 대용량 저장소(620)가 또한 프로세서(610)에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시스템 디자인을 더 얇고 더 가볍게 할 뿐만 아니라 시스템 응답성을 개선하기 위해, 이러한 대용량 저장소는 SSD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기본적으로 대용량 저장소는 시스템 작동의 재시작 시에 빠른 전력 공급이 일어날 수 있도록 전력 차단 이벤트 동안 상황적 상태 및 다른 그러한 정보의 비휘발성 저장을 가능하게 해주는 SSD 캐시로서 작용하는 소량의 SSD 저장소를 가진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래시 디바이스(622)가 예를 들면, 직렬 주변기기 인터페이스(serial peripheral interface, SPI)를 통해 프로세서(6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플래시 디바이스는 기본 입력/출력 소프트웨어(input/output software, BIOS)뿐만 아니라 시스템의 다른 펌웨어를 비롯한 시스템 소프트웨어의 비휘발성 저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시스템의 대용량 저장소는 SSD 단독으로 또는 디스크, 광 또는 SSD 캐시를 가진 다른 드라이브로서 구현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대용량 저장소는 복구(restore, RST) 캐시 모듈과 함께 SSD 로서 또는 HDD로서 구현된다. 다양한 구현예에서, HDD는320GB 내지 4테라바이트(terabyte, TB)와 그 이상 사이의 저장을 제공하는데 반해 RST 캐시는 24GB 내지 256GB의 용량을 가진 SSD로 구현된다. 그러한 SSD 캐시는 적절한 레벨의 응답성을 제공하는 단일 레벨 캐시(single level cache, SLC) 또는 다중 레벨 캐시(multi-level cache, MLC) 옵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SSD 단독의 옵션에서, 모듈은 mSATA 또는 NGFF 슬롯에서와 같은 다양한 위치에 수용될 수 있다. 예로서, SSD는 120 GB 내지 1TB를 범위로 하는 용량을 갖는다.
다양한 입력/출력(input/output, I/O) 디바이스가 시스템(600) 내부에 존재할 수 있다. 특히 도 6의 실시예에서는 새시의 뚜껑(lid) 부분 내에서 구성된 고선명 LCD 또는 LED 패널일 수 있는 디스플레이(624)가 도시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패널은 또한 예를 들면, 이러한 터치 스크린과의 사용자 상호작용을 통해, 사용자 입력이 시스템으로 제공되어, 예를 들면 정보의 디스플레이, 정보의 액세스 등과 관련하여 원하는 동작을 가능할 수 있게 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 전체에 외면적으로 맞추어진, 터치 스크린(625)을 수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624)는 고성능 그래픽 인터커넥트로서 구현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인터커넥트를 통해 프로세서(610)에 연결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625)은 실시예에서 I2C 인터커넥트일 수 있는 다른 인터커넥트를 통해 프로세서(61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625) 이외에, 새시 내부에서 구성될 수 있는 터치 패드(630)를 통해 터치에 의한 사용자 입력이 발생할 수 있으며 터치 스크린(625)과 동일한 I2C 인터커넥트에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여러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제 1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은 디스플레이 패널이 가시광에 투명한 투명 상태로 배열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대부분은 주변부 둘레의 베젤(bezel)을 제외한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시스템이 노트북 모드에서 동작되고 디스플레이 패널이 투명한 상태에서 동작될 때,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상에서 제시되는 정보를 보면서 디스플레이 뒤편의 개체를 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상에 디스플레이된 정보는 디스플레이 뒤에 자리잡은 사용자에 의해 보일 수 있다. 그렇지 아니면 디스플레이의 동작 상태는 가시광이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투과하지 않는 불투명 상태일 수 있다.
태블릿 모드에서, 베이스 패널의 바닥 면이 어떤 표면 위에 얹혀 있거나 사용자에 의해 휴대되어 있을 때, 시스템은 접혀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 디스플레이 표면이 외측으로 사용자를 향해 대면하도록 하는 위치에서 배면 디스플레이 표면이 멈추어 있다. 태블릿 동작 모드에서, 배면 디스플레이 표면은 이 표면이 터치 스크린 기능성을 가질 수 있고 통상의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 예를 들면 태블릿 디바이스의 공지된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은 터치 스크린 층과 전면 디스플레이 표면 사이에 배치된 투명도 조절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투명도 조절 층은 전기변색 층(electrochromic layer, EC), LCD 층, 또는 EC 층과 LCD 층의 조합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는 여러 크기, 예를 들면 11.6" 또는 13.3" 스크린을 가질 수 있으며, 16:9 종횡 비 및 적어도 3200 니트(nit) 밝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는 풀 고선명(high definition, HD) 해상도 (적어도 1920x1080p)의 디스플레이일 수 있고, 임베디드 디스플레이 포트(embedded display port, eDP)와 호환 가능하며, 패널 셀프 리프레시 가능한 저전력 패널일 수 있다.
터치 스크린 기능에 대해, 시스템은 멀티 터치 용량성 방식(multi-touch capacitive)이고 적어도 다섯 손가락 터치 가능한(5 finger capable) 디스플레이 멀티터치 패널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는 10 손가락 터치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터치 스크린은 마찰을 낮게 하여 "핑거 버언(finger burn)"을 줄이고 "핑거 스키핑(finger skipping)"을 방지하기 위한 손상 및 긁힘 방지 유리 및 코팅(예를 들면, Gorilla Glass™ 또는 Gorilla Glass 2™) 내에서 수용된다. 강화된 터치 경험 및 응답성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일부 구현예에서, 터치 패널은 핀치 줌(pinch zoom) 동안 정적 뷰(static view)당 2개 미만의 프레임(30Hz)과 같은 멀티터치 기능성 및 200nm (손가락이 포인터까지 가는데 걸리는 지연)을 가진 프레임(30Hz)당 1cm미만의 싱글터치 기능성을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디스플레이는 패널 표면과 또한 동일 평면상에 있고 멀티터치를 사용할 때는 IO 간섭이 제한된 최소의 스크린 베젤을 가진 에지-투-에지 글래스(edge-to-edge glass)를 지원한다.
지각적인 컴퓨팅 및 다른 목적을 위해, 시스템 내에는 다양한 센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여러 방식으로 프로세서(610)에 연결될 수 있다. 특정의 관성 센서 및 환경 센서는 예를 들면, I2C 인터커넥트를 통해 센서 허브(640)를 통해 프로세서(61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6에서 도시된 실시예에서, 이러한 센서는 가속도계(641), 주변 광 센서(ambient light sensor, ALS)(642), 나침반(634) 및 자이로스코프(644)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환경 센서는 일부 실시예에서 시스템 관리 버스(system management bus, SMBus) 버스를 통해 프로세서(610)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열 센서(646)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랫폼에 존재하는 다양한 관성 및 환경 센서를 사용하여, 많은 여러 사용 사례가 실현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 사례는 지각적 컴퓨팅을 비롯한 진보된 컴퓨팅 동작을 가능할 수 있게 하며 또한 전력 관리/배터리 수명, 보안, 및 시스템 응답성에 관해 강화해 준다.
예를 들면 전력 관리/배터리 수명 문제에 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주변 광 센서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플랫폼의 위치에서 주변 광의 조건이 결정되며 이에 따라서 디스플레이의 빛의 세기(intensity)가 제어된다. 그러므로 특정 광 조건에서 디스플레이를 동작할 때 소비되는 전력은 줄어든다.
보안 동작에 관해, 위치 정보와 같은 센서로부터 취득된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특정 보안 문서를 액세스하는데 허용되는지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그러한 문서를 업무 현장에서 또는 집 위치에서 액세스하는 것을 허가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는 플랫폼이 공공장소에 존재할 때는 그러한 문서에 액세스하지 못하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문서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는데, 예를 들면 GPS 센서 또는 랜드마크의 카메라 인식을 통해 결정된다. 다른 보안 동작은 서로 근거리 내에 있는 디바이스의 짝짓기 예를 들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휴대용 플랫폼과 사용자의 데스크톱 컴퓨터, 또는 이동 전화 등의 짝짓기를 수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특정의 공유하기는 이와 같은 디바이스가 그렇게 짝지어질 때 근접장 통신을 통해 실현된다. 그러나 디바이스가 소정 거리를 넘어설 때, 그와 같은 공유는 불능화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공공 장소에 있는 경우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플랫폼과 스마트폰을 짝짓기 할 때, 디바이스가 서로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보다 더 이동할 때 알람을 시작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대조적으로, 이와 같이 짝지어진 디바이스가 안전한 장소, 예를 들면, 업무 현장 또는 집 위치에 있을 때, 디바이스는 그러한 알람을 시작하지 않고 이러한 미리 정해진 제한을 초과할 수 있다.
응답성은 또한 센서 정보를 이용하여 강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랫폼이 저전력 상태에 있을 때라도, 센서는 그럼에도 상대적으로 낮은 주파수에서 구동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관성 센서 또는 GPS 센서 등에 의해 결정된 것으로서 플랫폼 위치의 임의의 변동이 결정된다. 만일 그와 같은 변동이 아무것도 등록되지 않았다면, 본 사례에서는 이용 가능한 무선 네트워크 자원을 스캔할 필요가 없으므로, Wi-FiTM 액세스 포인트 또는 유사한 무선 기능자와 같은 이전의 무선 허브와의 더 빠른 접속이 일어난다. 그래서 저전력 상태로부터 깨어날 때 더 큰 수준의 응답성이 성취된다.
다른 많은 사용 사례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플랫폼 내부에서 통합된 센서를 통해 취득되는 센서 정보를 이용하여 가능해질 수 있으며, 전술한 예는 예시의 목적일 뿐이라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시스템을 이용하여, 지각적 컴퓨팅 시스템은 제스처 인식을 비롯한 대안의 입력 양식의 추가를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시스템이 사용자 동작 및 의도를 감지하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적외선 또는 다른 열 감지 요소 또는 사용자의 존재 또는 움직임을 감지하는 임의의 다른 요소가 존재할 수 있다. 그러한 감지 요소는 함께 동작하거나, 순차적으로 동작하거나, 두 가지 방식으로 동작하는 복수의 여러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감지 요소는 광 또는 소리 투사와 같은 것을 먼저 감지하고 그 뒤에 예를 들면 비행 카메라 또는 패턴화된 광 카메라의 초음파 시간에 의한 제스처 검출을 감지하는 것을 제공하는 요소를 포함한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시스템은 조명된 라인을 발생하는 광 발생기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이러한 라인은 가상의 경계 즉, 공간에서의 허상적 또는 가상적 위치에 관한 가상의 단서를 제공하는데, 이 공간에서 가상의 경계 또는 평면을 통해 통과시키거나 차단하는 사용자의 행위가 컴퓨팅 시스템과 연동하려는 의도로서 해석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조명된 라인은 컴퓨팅 시스템이 사용자에 대해 여러 상태로 천이함에 따라 컬러를 변동시킬 수 있다. 조명된 라인은 공간 내 가상 경계의 사용자에게 가상의 단서를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컴퓨터와 연동하고자 할 때를 결정하는 것을 비롯하여 사용자에 대해 시스템에 의한 컴퓨터 상태의 천이를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컴퓨터는 사용자 위치를 감지하며 컴퓨터와 연동하려는 사용자의 의도를 표시하는 제스처로서 가상 경계를 통한 사용자 손의 움직임을 해석하도록 동작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가상의 라인 또는 평면을 통과하면, 광 발생기에 의해 발생된 광이 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컴퓨터에 입력을 제공하는 제스처를 제공하는 영역에 진입하였다는 시각적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사용자에 대해 컴퓨팅 시스템의 상태 천이의 시각적 표시를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 1 스크린은 사용자의 존재가 시스템에 의해 이를테면 감지 요소 중 하나 이상의 감지 요소를 사용하여 감지되는 제 1 상태에서 제공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시스템은 사용자 신원을 이를테면 얼굴 인식에 의해 감지하도록 동작한다. 여기서, 제 2 스크린으로의 천이는 컴퓨팅 시스템이 사용자 신원을 인식한 제 2 상태에서 제공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제 2 스크린은 사용자가 새로운 상태로 천이하였다는 시각적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제 3 스크린으로의 천이는 사용자가 사용자의 인식이 확인된 제 3 상태에서 발생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컴퓨팅 시스템은 천이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가상 경계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가상 경계의 위치는 사용자와 상황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은 조명된 라인과 같은 광을 발생하여 시스템과 연동하기 위한 가상 경계를 표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컴퓨팅 시스템은 대기 상태에 있을 수 있으며, 광은 제 1 컬러로 발생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은 예를 들면 감지 요소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존재 및 움직임을 감지함으로써, 사용자가 가상 경계를 지나 도달했는지를 검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만일 (사용자의 손이 가상 경계 라인보다 컴퓨팅 시스템에 더 가까운 것과 같이) 사용자가 가상 경계를 교차한 것으로 검출되면, 컴퓨팅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의 제스처 입력을 수신하는 상태로 천이할 수 있고, 이 경우 천이를 표시하는 메커니즘은 가상 경계를 표시하는 광이 제 2 컬러로 바뀌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그런 다음 컴퓨팅 시스템은 제스처 움직임이 검출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만일 제스처 움직임이 검출되면, 컴퓨팅 시스템은 컴퓨팅 디바이스 내 메모리에 상주할 수 있거나 그렇지 않으면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제스처 데이터 라이브러리로부터의 데이터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는 제스처 인식 프로세스로 진행할 수 있다.
만일 사용자의 제스처가 인식되면, 컴퓨팅 시스템은 그 입력에 응답하여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만일 사용자가 가상 경계 내에 있으면 추가적인 제스처를 수신하도록 복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만일 제스처가 인식되지 않으면, 컴퓨팅 시스템은 오류 상태로 천이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오류 상태를 표시하는 메커니즘은 가상 경계를 표시하는 광을 제 3 컬러로 바꾸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며, 만일 사용자가 컴퓨팅 시스템과의 연동을 위한 가상 경계 내에 있으면 시스템은 추가 제스처를 수신하기 위해 복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서, 시스템은 적어도 두 개의 상이한 모드인 태블릿 모드 및 노트북 모드에서 사용될 수 있는 전환 가능한 태블릿 시스템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전환 가능한 시스템은 태블릿 모드에서 두 개의 패널이 서로의 위에 적층하여 배치되는 두 개의 패널 즉, 디스플레이 패널 및 베이스 패널을 가질 수 있다. 태블릿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은 바깥을 향해 대면하여 통상의 태블릿에서 발견되는 것처럼 터치 스크린 기능성을 제공할 수 있다. 노트북 모드에서, 두 개의 패널은 개방된 덮개가 달린 태블릿 구성으로 배열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가속도계는 적어도 50Hz의 데이터 레이트를 갖는 3축 가속도계일 수 있다. 자이로스코프가 또한 포함될 수 있고, 이는 3축 자이로스코프일 수 있다. 게다가, e-나침반/자력계가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뚜껑이 열린 경우, 사람이 시스템에 근접하여 있을 때(또는 근접하여 있지 않을 때)를 감지하고 전력/성능을 조절하여 배터리 수명을 연장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근접 센서가 제공될 수 있다. 일부 OS의 경우, 가속도계, 자이로스코프 및 나침반을 포함하는 센서 융합 역량은 강화된 특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간 클럭(real-time clock, RTC)을 갖는 센서를 통해, 센서 메커니즘에 의해 깨어나는 기능은 나머지 요소가 저전력 상태에 있을 때 센서 입력을 수신하기 위해 실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뚜껑이 닫혀있을 때/열려 있을 때를 표시하는 내부의 뚜껑/디스플레이 개방 스위치 또는 센서는 시스템을 연결된 채 대기(Connected Standby) 상태에 놓여지게 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거나 시스템을 자동으로 연결된 채 대기 상태에서 깨어나게 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시스템 센서는 감지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프로세서 및 시스템 동작 상태로의 변경을 가능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내부 프로세서, 메모리 및 표면 온도 감시를 위한 ACPI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OS는 연결된 채 대기를 구현하는 Microsoft® Windows® 8 OS(Win8 CS라고도 지칭함)일 수 있다. Windows 8 연결된 채 대기 또는 유사한 상태를 갖는 다른 OS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플랫폼을 통해, 애플리케이션을 예를 들면, 아주 낮은 전력 소비를 하는 클라우드 기반의 위치에 연결된 채로 남게하는, 매우 낮은 초 유휴 전력(ultra idle power)을 제공할 수 있다. 플랫폼은 3개의 전력 상태 즉, 스크린 온(on)(정상) 상태, (디폴트 "오프(off)" 상태로서) 연결된 채 대기 상태, 및 (전력 소비가 제로 와트인) 정지 상태를 지원할 수 있다. 그러므로 연결 대기 상태에서, 플랫폼은 스크린이 오프일지라도 (최소한의 전력 레벨에서) 논리적으로 온 상태이다. 그러한 플랫폼에서, 전력 관리는 애플리케이션에 투명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최저 전력을 사용하는 컴포넌트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오프로드 기술의 일부 덕택으로 지속적인 연결성을 유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Microsoft® Windows® OS 하에서 동작하는 전력 전송 컨트롤러는 본 기술에 따라서 전력이 주변 디바이스에 제공되도록 공유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주변 디바이스가 로우 핀 카운트(low pin count, LPC) 인터커넥트를 통해 프로세서(610)에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종 컴포넌트는 임베디드 컨트롤러(635)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그와 같은 컴포넌트는 (예를 들면, PS2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 키보드(636), 팬(637), 열 센서(639)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터치 패드(630)는 또한 PS2 인터페이스를 통해 EC(635)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2003년 10월 2일자, 신뢰성 있는 컴퓨팅 그룹(Trusted Computing Group, TCG) TPM 설명서 버전 1.2에 따른 신뢰성 있는 플랫폼 모듈(trusted platform module, TPM)(638)과 같은 보안 프로세서는 또한 이러한 LPC 인터커넥트를 통해 프로세서(61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기술의 범위는 이러한 관점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보안 정보의 보안 처리 및 저장은 보안 코프로세서 내 스태틱 랜덤 액세스 메모리(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와 같은 다른 보호된 장소에 있을 수 있거나, 보안 인클레이브(secure enclave, SE) 프로세서 모드에 의해 보호될 때는 단지 암호해독만 되는 암호화된 데이터 블랍(blob)으로서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일부 사례에서 LPC 인터커넥트를 통해 연결된 디바이스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전력 전송 컨트롤러를 공유할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주변기기 포트는 (전체 크기와 같은 여러 폼 팩터를 가질 수 있는) 고선명 매체 인터페이스(high definition media interface, HDMI) 커넥터와, 범용 직렬 버스 개정본 3.0 설명서(2008년 11월)에 따른 전체 크기의 외부 포트와 같은 하나 이상의 USB 포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각 포트는 시스템이 연결된 채 대기 상태에 있고 AC 벽 전원(wall power)에 플러그 연결되어 있을 때 (스마트폰과 같은) USB 디바이스를 충전하기 위해 전력을 공급 받을 수 있다. 각 포트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전력 전송 컨트롤러를 공유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Thunderbolt™ 포트가 제공될 수 있다. 다른 포트는 전체 크기의 SD-XC 카드 리더 및/또는 WWAN용 SIM 카드 리더(예를 들면, 8 핀 카드 리더)와 같은 외부에서 액세스 가능한 카드 리더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를 위해, 스테레오 사운드 및 마이크로폰 기능(예를 들면, 겸용 기능성)과 더불어, 잭 검출의 지원 기능을 가진 3.5mm 잭이 제공될 수 있다(예를 들면, 헤드폰은 뚜껑에 있는 마이크로폰 이용하여 지원될 뿐이거나 헤드폰은 마이크로폰과 케이블로 연결되어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이러한 잭은 스테레오 헤드폰 입력과 스테레오 마이크로폰 입력 사이에서 작동 재조정될 수 있다. 또한, 파워 잭은 AC 브릭(AC brick)과의 연결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시스템(600)은 무선을 비롯한 다양한 방식으로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다양한 무선 모듈이 도시되며, 각 무선 모듈은 특정의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맞게 구성된 무선 기기에 대응할 수 있다. 근접장과 같은 단거리에서 무선 통신을 위한 한가지 방식은 일 실시예에서 SMBus를 통해 프로세서(610)와 통신할 수 있는 근접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유닛(645)을 통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NFC 유닛(645)을 통해, 서로 근접한 디바이스는 통신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두 개의 디바이스를 서로 밀접한 관계가 되게 하고 식별 정보 지불 정보 또는 이미지 데이터와 같은 데이터 등과 같은 정보를 전달할 수 있게 함으로써 시스템(600)이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같은 다른 (예를 들면) 휴대용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전송은 또한 NFC 시스템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NFC 유닛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그와 같은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의 코일 간 결합을 활용함으로써 (근접장 통신 및 무선 전력 전송(wireless power transfer, WPT)과 같은) 근접장 결합 기능을 위해 디바이스를 측면끼리 붙여 놓고 디바이스를 나란히 배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실시예는 디바이스가 전략적으로 형상화되어 배치된 페라이트 재료를 갖게 하여, 코일의 더 나은 결합을 가능하게 한다. 각각의 코일은 시스템의 공통적인 공진 주파수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시스템의 저항성, 용량성, 및 다른 특징과 함께 선택될 수 있는, 코일과 연관된 인덕턴스를 갖는다.
도 6에서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부가적인 무선 유닛은 WLAN 유닛(650) 및 블루투스 유닛(652)을 포함하는 다른 단거리 무선 엔진을 포함할 수 있다. WLAN 유닛(650)을 이용하여, 전기전자 기술자 협회(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802.11 표준에 따른 Wi-Fi™ 통신이 실현될 수 있는 반면, 블루투스 유닛(652)을 통해, 블루투스 프로토콜에 의해 단거리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유닛은 예를 들면 USB 링크 또는 범용 비동기 수신기 송신기(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 UART) 링크를 통해 프로세서(610)와 통신할 수 있다. 그것이 아니면, 이러한 유닛은 예를 들면, PCI Express™ 사양 기본 설명서 개정본 3.0 (2007년 1월 17일 발간됨)에 따른 주변 소자 상호접속 익스프레스(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Express™, PCIe™) 프로토콜, 또는 직렬 데이터 입력/출력(serial data input/output, SDIO) 표준과 같은 다른 그러한 프로토콜에 따른 인터커넥트를 통해 프로세서(610)에 연결될 수 있다. 물론, 이와 같은 주변 디바이스 사이에서, 하나 이상의 애드-인 카드(add-in card)상에서 구성될 수 있는, 실제의 물리적 연결은 모기판에 적응된 NGFF 커넥터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셀룰러 또는 다른 무선 광역 프로토콜에 따른 무선 광역 통신은 가입자 식별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657)에 연결될 수 있는 WLAN 유닛(656)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게다가, 위치 정보의 수신 및 사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GPS 모듈(655)이 또한 존재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WLAN 유닛(656) 및 통합된 캡처 디바이스 이를테면 카메라 모듈(654)은 USB 2.0 또는 3.0 링크와 같은 특정의 USB 프로토콜, 또는 UART 또는 I2C 프로토콜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되풀이 하면 이와 같은 유닛의 실제 물리적인 연결은 NGFF 애드-인 카드를 모기판상에서 구성된 NGFF 커넥터에 적응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무선 기능성은 예를 들면, Windows 8 CS를 지원하는 WiFi™ 802.11 ac 해결책(예를 들면, IEEE 802.11 abgn과 하위 호환 가능한 애드-인 카드)를 이용하여 모듈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카드는 (예를 들면, NGFF 어댑터를 통해) 내부 슬롯에서 구성될 수 있다. 부가적인 모듈은 블루투스 기능(예를 들면, 하위 호환성을 가진 블루투스 4.0)뿐만 아니라 Intel® 무선 디스플레이(Wireless Display) 기능성을 제공할 수 있다. 그 외에, NFC 지원 기능은 별개의 디바이스 또는 다기능 디바이스를 통해 제공될 수 있으며, 용이한 액세스를 위해 예를 들면 새시의 우측 전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부가적인 모듈은 3G/4G/LTE 및 GPS의 지원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WWLAN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이러한 모듈은 내부(예를 들면, NGFF) 슬롯에서 구현될 수 있다. 통합된 안테나 지원 기능은 WiFiTM, Bluetooth, WWAN, NFC 및 GPS에 대비할 수 있어서, WiFi™ 무선 기기에서 WWAN 무선 기기로, 무선 기가비트 사양(Wireless Gigabit Specification, (2010년 7월)에 따른 무선 기가비트(wireless gigabit, WiGig)로, 및 그 반대로도 가능한 끊김 없는 천이를 가능하게 한다.
앞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통합된 카메라는 뚜껑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이러한 카메라는 예를 들면, 최소한 2.0 메가픽셀(megapixel, MP)의 해상도를 갖고 6.0 MP를 넘어서는 고해상도 카메라일 수 있다.
오디오 입력 및 출력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오디오 프로세서는 고선명 오디오(high definition audio, HAD) 링크를 통해 프로세서(610)에 연결될 수 있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660)를 매개로 하여 구현될 수 있다. 유사하게, DSP(660)는 새시 내부에서 구현될 수 있는 출력 스피커(663)에 연결될 수 있는 일체형 코더/디코더(coder/decoder, CODEC) 및 증폭기(662)와 통신할 수 있다. 유사하게, 증폭기 및 CODEC(662)은 실시예에서 고품질 오디오 입력이 가능한 (디지털 마이크로폰 어레이와 같은) 듀얼 어레이 마이크로폰을 매개로 하여 구현될 수 있는 마이크로폰(665)로부터 오디오 입력을 수신하도록 연결되어, 시스템 내 각종 동작의 음성에 의한 제어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은 증폭기/CODEC(662)으로부터 헤드폰 잭(664)으로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도 6의 실시예에서 이러한 특정 컴포넌트가 도시되었지만, 본 기술의 범위는 이러한 관점으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디지털 오디오 코덱 및 증폭기는 스테레오 헤드폰 잭, 스테레오 마이크로폰 잭, 내부 마이크로폰 어레이 및 스테레오 스피커를 구동할 수 있다. 여러 구현예에서, 코덱은 오디오 DSP에 통합될 수 있거나 주변기기 HD 오디오 경로를 통해 주변기기 컨트롤러 허브(peripheral controller hub, PCH)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통합된 스테레오 스피커 이외에, 하나 이상의 베이스 스피커가 제공될 수 있으며, 스피커 해결책은 DTS 오디오를 지원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프로세서(610)는 외부의 전압 조정기(voltage regulator, VR) 및 프로세서 다이 내부에 통합된, 완전 통합된 전압 조정기(fully integrated voltage regulator, FIVR)라고 지칭되는, 복수의 내부 전압 조정기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프로세서 내에서 복수의 FIVR을 사용하면 컴포넌트를 전력 평면별로 그룹화하는 것이 가능해 지고, 그래서 전력은 FIVR에 의해 조정되고 그룹 내 컴포넌트에만 공급된다. 전력 관리 동안, 프로세서가 특정한 저전력 상태에 놓일 때 어느 한 FIVR의 특정 전력 평면은 전력을 낮추거나 중단될 수 있는데 반해, 다른 FIVR의 다른 전력 평면은 활성상태로 남거나 또는 전력을 전적으로 공급받는다.
일 실시예에서, 지속 전력 평면(sustain power plane)은 일부 딥 슬립(deep sleep) 상태 동안 프로세서와 PCH 사이의 인터페이스, 외부 VR과의 인터페이스 및 EC 635와의 인터페이스와 같이, 여러 I/O 신호를 위한 I/O 핀의 전원을 켜 놓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지속 전력 평면은 또한 딥 상태 동안 프로세서 상황이 저장되는 온-보드(on-board) SRAM 또는 다른 캐시 메모리를 지원하는 온-다이 전압 조정기에 전력을 공급하기도 한다. 지속 전력 평면은 또한 각종 기동(wakeup) 소스 신호를 감시하고 처리하는 프로세서의 기동 로직의 전원을 켜 놓는데 사용된다.
전력 관리 동안, 프로세서가 딥 슬립 상태에 들어갈 때 다른 전력 평면은 전력을 중단하거나 전원을 끄지만, 지속 전력 평면은 전술한 컴포넌트를 지원하기 위해 전원을 켜 놓는다. 그러나 이것은 그와 같은 컴포넌트가 필요하지 않을 때 불필요한 전력 소비 또는 소실에 이르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실시예는 전용 전력 평면을 이용하여 프로세서 상황을 유지시키는 연결된 채 대기 슬립(connected standby sleep) 상태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결된 채 대기 슬립 상태는 프로세서를 가진 패키지 내에 존재할 수 있는 PCH의 자원을 이용하여 프로세서의 기동을 가능하게 한다. 일 실시예에서, 연결된 채 대기 슬립 상태는 프로세서가 기동할 때까지 PCH에서 프로세서의 아키텍처적 기능을 지속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이로써 모든 클럭을 턴 오프하는 것을 비롯하여, 딥 슬립 상태 동안 이전에 전원을 켜 놓은 채로 남아 있었던 불필요한 프로세서 컴포넌트를 모두 턴 오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PCH는 타임 스탬프 카운터(time stamp counter, TSC) 및 연결된 채 대기 상태 동안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연결된 채 대기 로직을 포함한다. 지속 전력 평면을 위한 통합된 전압 조정기는 마찬가지로 PCH 상에 상주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연결된 채 대기 상태 동안, 통합된 전압 조정기는 프로세서가 딥 슬립 상태 및 연결된 채 대기 상태에 진입할 때 중요한 상태 변수와 같은 프로세서 상황이 저장되는 전용 캐시 메모리를 지원하기 위해 전원을 켜 놓은 채로 유지하는 전용의 전력 평면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러한 중요한 상태는 아키텍처적이고, 미세 아키텍처적인 디버그 상태와 연관된 상태 변수, 및/또는 프로세서와 연관된 유사한 상태 변수를 포함할 수 있다.
EC 635로부터 기동 소스 신호는 연결된 채 대기 상태 동안 프로세서를 대신하여 PCH가 기동 프로세싱을 관리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가 아닌 PCH로 송신될 수 있다. 또한, TSC는 프로세서 아키텍처적 기능을 지속할 수 있게 하기 위해 PCH에서 유지된다. 도 6의 실시예에서 이와 같이 특정한 컴포넌트로 도시되지만, 본 기술의 범위는 이러한 관점으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프로세서에서 전력 제어는 강화된 절전에 이르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력은 코어 사이에서 역학적으로 할당될 수 있고, 개개의 코어는 주파수/전압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아주 낮은 전력 소비를 가능하게 하는 복수의 딥 저전력 상태가 제공될 수 있다. 게다가, 코어 또는 독립적인 코어 부분의 역동적 제어는 이들이 사용되지 않을 때 컴포넌트의 전원을 끔으로써 전력 소비를 줄게 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는 플랫폼 전력을 제어하는 특유한 전력 관리 IC(power management IC, PMIC)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해법을 사용하여, 시스템은 Win8의 연결된 채 대기 상태에 있을 때와 같은 특정의 대기 상태에 있을 때 연장된 지속 기간(예를 들면, 16 시간)보다 매우 낮은(예를 들어, 5%보다 더 낮은) 배터리 저하상태를 보일 수 있다. Win8 유휴 상태에서, (예를 들면, 150 nit에서) 예를 들어 9시간을 초과하는 배터리 수명이 실현될 수 있다. 비디오 재생에 대해, 긴 배터리 수명이 실현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풀 HD 비디오 재생은 최소 6시간 동안 이루어질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플랫폼은 SSD를 이용하는 Win8 CS 동안 예를 들어 35 와트시(watt hour, Whr)의 에너지 용량을 가질 수 있으며 RST 캐시 구성을 갖는 HDD를 이용하는 Win8 CS 동안 (예를 들어) 40 내지 44 Whr의 에너지 용량을 가질 수 있다.
특정 구현예는 대략 25W 열 설계 전력(thermal design power, TDP) 설계 점까지CPU TDP를 구성할 수 있는, 공칭 15W CPU TDP의 지원을 제공할 수 있다. 플랫폼은 전술한 열 특징으로 인해 아주 작은 배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은 (사용자에게 전혀 뜨겁지 않은 공기를 불어 준다는 점에서) 머리를 대도 좋을 정도로 친화적이다. 새시 재료에 따라서 여러 최대 온도 점이 실현될 수 있다. (최소한 플라스틱의 뚜껑 또는 베이스 부분을 가져야 하는) 플라스틱 새시의 일 구현예에서, 최대 동작 온도는 섭씨 52도(C)일 수 있다. 금속 새시의 구현예에 대해, 최대 동작 온도는 46° C일 수 있다.
여러 구현예에서, TPM과 같은 보안 모듈은 프로세서 내에 통합될 수 있거나 TPM 2.0 디바이스와 같은 독립된 디바이스일 수 있다. 플랫폼 신뢰 기술(Platform Trust Technology, PTT)이라고도 지칭되는 통합된 보안 모듈을 이용하여, BIOS/펌웨어는 보안 명령어, 안전 부팅, Intel® 도난 방지 기술(Anti-Theft Technology), Intel® 신원 보호 기술(Identity Protection Technology), Intel® 신뢰성 있는 실행 기술(Trusted Execution Technology, TXT), 및 Intel® 관리효율성 엔진 기술(Manageability Engine Technology)과 함께 보안 키보드 및 디스플레이와 같은 안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비롯한 특정의 보안 특징을 위한 특정의 하드웨어 특징을 드러나게 할 수 있다.
도 7은 전력 전송 컨트롤러(702) 및 복수의 포트 사이의 메시지 흐름을 예시하는 프로토콜 흐름도(700)이다. 도 7에서, 포트(704), 포트(706), 및 포트(708)는 각기 전력 전송(PD) 컨트롤러(702)와 통신하고 이를 공유한다.
PD 컨트롤러(702)는 어느 포트가 PD 컨트롤러(702)를 통해 전력을 인출하는 디바이스 연결을 가질지를 결정하기 위해 복수의 포트(704, 706 및 708) 사이에서 선회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참조 부호(710)에서, PD 컨트롤러(702)는 메시지를 포트(704)로 전송한다. 메시지는 디바이스가 접속될 때 포트로부터 응답을 발생시키는 임의의 메시지일 수 있다. 일정 기간 이후, 만일 포트(704)로부터 아무 응답도 수신되지 않으면, 참조 부호(712)에서, PD 컨트롤러(702)는 메시지를 포트(706)로 전송한다. 본 예에서, 참조 부호(714)에서, 포트(706)는 디바이스가 포트(706)에 접속되어 있다고 표시하는 리턴 메시지를 송신하고 전력을 요청한다. 참조부호(716)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USB PD 컨트롤러는 일정 기간 동안 포트에 접속된 채로 남으며 포트(706)를 통해 접속된 디바이스에 전력을 제공한다.
참조 부호(718)에서, 포트(706)는 포트(706)에 연결된 디바이스가 연결해제 되었다는 것을 표시하는 메시지를 PD 컨트롤러(702)로 전송한다. 일부 사례에서, 디바이스는 BadCRC 메시지 이후 연결 해제된다. 그 다음 PD 컨트롤러(702)는 메시지를 각 포트에 송신함으로써 각 포트를 조사한다. 이에 따라 참조 부호(720)에서, PD 컨트롤러(702)는 메시지를 포트(704)로 전송한다. 아무 응답이 없는 기간 이후, 참조 부호(722)에서, PD 컨트롤러(702)는 메시지를 포트(706)로 전송한다. 아무 응답이 없는 추가 기간 이후, 참조 부호(724)에서, PD 컨트롤러(702)는 메시지를 포트(708)로 전송한다. PD 컨트롤러(702)가 메시지를 각 포트에 송신하는 특별한 순서는 예시적인 목적일 뿐이다. PD 컨트롤러(702)는 복수의 포트 전체를 임의의 방식으로 선회할 수 있다.
도 8은 전력 전송 컨트롤러, 포트, 및 디바이스 사이의 메시지 흐름을 예시하는 프로토콜 흐름도(800)이다. 도 8에서, 포트(804) 및 디바이스(806)가 예시된다.
PD 컨트롤러(802)는 포트(804)를 비롯한 복수의 포트 사이에서 선회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포트(804)는 PD 컨트롤러(802)로부터 주기적인 메시지를 수신한다. 앞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메시지는 디바이스가 연결될 때 포트로부터 응답을 발생시키는 임의의 메시지일 수 있다. 따라서 메시지(808)는 포트(804)로 송신된다. 아무 응답도 PD 컨트롤러(802)로 송신되지 않으며, 그래서 다른 메시지(810)가 포트로 송신된다. PD 컨트롤러는 포트(804)로부터 아무 응답도 수신되지 않았으므로 계속하여 다른 포트를 조사한다. 참조 부호(812)에서, USB 디바이스(806)는 포트(804)에 플러그 연결된다. 본 예의 목적상, 포트(804)는 또한 전력을 요청한다. 참조 부호(816)에서, PD 컨트롤러(802)에 의해 다음 메시지(814)가 송신될 때, 포트(804)는 전력 요청을 함께 송신한다. 그 다음 참조 부호(818)에서, PD 컨트롤러(802)는 전력을 USB 디바이스(806)에 제공한다.
참조 부호(820)에서, USB 디바이스(806)는 포트(804)로부터 연결 해제된다. 일부 사례에서, 디바이스는 BadCRC 메시지 이후 연결 해제된다. 참조 부호(822)에서, PD 컨트롤러(802)는 포트(804)로부터 연결 해제된다. 그 다음 PD 컨트롤러(802)는 메시지를 각 포트에 송신함으로써 포트를 조사하도록 진행한다. 그러므로 참조 부호(824) 및 참조 부호(826)에서, 포트(804)는 메시지를 수신한다.
일정 기간 이후, 포트(804)로부터 아무 응답도 수신되지 않으면, 참조 부호(812)에서 PD 컨트롤러(802)는 메시지를 디바이스(806)로 송신한다. 본 예에서, 참조 부호(814)에서 디바이스(806)는 디바이스가 디바이스(806)에 접속되었으며 전력을 요청한다고 표시하는 리턴 메시지를 송신한다. 참조 부호(816)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USB PD 컨트롤러는 일정 기간 동안 포트에 접속된 채로 남아 있고 포트(806)를 통해 접속된 디바이스에 전력을 제공한다.
도 9는 전력 전송 컨트롤러(902), 포트(904), 및 방전 배터리(DB) 모듈(908) 사이의 메시지 흐름을 예시하는 프로토콜 흐름도(900)이다. 참조 부호(910)에서, 디바이스(906)는 포트(904)에 연결된다. 참조 부호(912)에서, 포트(904)를 통해, 디바이스(906)는 DB 모듈(908)과 역할 전환을 협상한다. 역할 전환이 수립될 때 포트(904)를 통해 디바이스(906)와 연결된 DB 모듈(908)은 VBus상의 제한된 전압을 사용하여 협상 목적의 비트 스트림을 출력할 수 있다. 참조 부호(914)에서, DB 모듈(908)은 방전 배터리 동작을 지원하는데 필요한 USB PD 컨트롤러(902)의 최소한의 부분을 에뮬레이트하며 PD 컨트롤러(902)를 포함하는 디바이스에 전력을 제공한다.
예 1
여기서는 전력 전송 컨트롤러를 공유하는 시스템이 기술된다. 시스템은 복수의 포트와 전력 전송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전력 전송 컨트롤러는 복수의 포트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며, 전력 전송 컨트롤러는 제 1 메시지를 복수의 포트 중 특정 포트로 송신한다. 전력 전송 컨트롤러는 또한 포트로부터 특정의 리턴 메시지에 응답하여 특정 포트에 연결된 채로 남아서 특정 포트로 전력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
복수의 포트는 케이블에 연결될 수 있거나, 복수의 포트는 복수의 디바이스에 연결된다. 리턴 메시지는 GoodCRC 메시지일 수 있거나, 리턴 메시지는 요청 메시지일 수 있다. 복수의 방전 배터리(DB) 모듈은 복수의 포트 각각에 대응할 수 있으며, 여기서 각 DB 모듈은 시스템의 충전을 가능하게 한다. DB 모듈은 USB PD 컨트롤러의 최소한의 부분을 에뮬레이트하여 방전 배터리의 동작을 지원한다. 또한, 시스템은 소비자/공급자일 수 있으며 복수의 포트 중 특정 포트에 연결된 단일의 전력 전송 컨트롤러를 통해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시스템은 공급자/소비자일 수 있으며, 전력 전송 컨트롤러, 방전 배터리(DB 모듈), 및 복수의 포트 중 임의의 포트를 통해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 2 전력 전송 컨트롤러는 복수의 포트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전력 전송 컨트롤러 또는 제 2 전력 전송 컨트롤러는 특정 포트에 연결될 수 있다.
예 2
여기서는 전력 전송 컨트롤러를 공유하는 방법이 기술된다. 방법이 기술되지만, 방법은 장치에서의 수단에 의해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에 저장된 코드와 같은 코드를 실행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방법은 복수의 범용 직렬 버스(USB) 포트를 조사하는 단계와 제 1 메시지를 복수의 USB 포트의 각 포트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또한 복수의 포트 중 한 포트로부터 리턴 메시지에 응답하여 그 포트에 연결하는 단계 - 전력은 포트로 전송됨 - 를 포함한다.
복수의 포트는 복수의 케이블에 연결된 포트 그룹일 수 있다. 복수의 포트는 또한 복수의 디바이스 중 디바이스에 연결된 포트 그룹일 수 있다. 리턴 메시지는 GoodCRC 메시지일 수 있거나, 리턴 메시지는 요청 메시지일 수 있다. 역 충전은 각 USB 포트와 연관된 언파워드 모듈을 이용하여 수립될 수 있다. 언파워드 모듈은 범용 직렬 버스 전력 전송 컨트롤러의 최소한의 부분을 에뮬레이트하여 방전 배터리의 동작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포트는 전력 전송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전력을 제공하는 소비자/공급자 디바이스와 연결될 수 있다. 제 1 메시지는 포트로부터 응답을 발생시키는 임의의 메시지일 수 있다. 또한, 제 1 메시지는 핑 또는 역량 메시지일 수 있다.
예 3
여기서는 유형의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가 기술된다. 유형의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는 프로세서로 하여금 제 1 메시지를 복수의 포트 중 특정 포트에 송신하게 하고, 복수의 포트 중 특정 포트로부터 리턴 메시지에 응답하여 특정 포트에 연결하도록 지시하는 코드를 포함한다. 코드는 또한 프로세서로 하여금 전력을 특정 포트로 전송하도록 지시한다.
프로세서는 전력 전송 컨트롤러일 수 있으며, 전력 전송 컨트롤러는 메시지를 복수의 포트에 송신할 수 있으며, 한 포트에서 전력을 요청하는 디바이스에 응답하여 포트와 연결할 수 있다. 복수의 포트는 복수의 케이블에 연결된 포트 그룹일 수 있다. 복수의 포트는 또한 복수의 디바이스에 연결된 포트 그룹일 수 있다. 또한, 리턴 메시지는 GoodCRC 메시지일 수 있거나, 리턴 메시지는 요청 메시지일 수 있다. 특정 포트는 전력 전송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전력을 제공하는 소비자/공급자 디바이스에 연결될 수 있다. 제 1 메시지는 포트로부터 응답을 발생시키는 임의의 메시지일 수 있다. 또한, 제 1 메시지는 핑 또는 역량 메시지일 수 있다.
예 4
여기서는 장치가 기술된다. 장치는 제 1 메시지를 복수의 포트에 송신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여기서 제 1 메시지는 복수의 포트 중 특정 포트에 송신되며, 제 1 메시지에 응답하여 리턴 메시지가 특정 포트로부터 제 1 메시지를 복수의 포트에 송신하는 수단으로 송신된다. 장치는 또한 리턴 메시지에 응답하여 전력을 특정 포트로 전송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제 1 메시지를 복수의 포트에 송신하는 수단은 전력 전송 컨트롤러일 수 있으며, 전력 전송 컨트롤러는 제 1 메시지를 복수의 포트에 송신할 수 있고, 특정 포트에서 전력을 요청하는 디바이스에 응답하여 특정 포트와 연결할 수 있다. 복수의 포트는 복수의 케이블에 연결된 포트 그룹일 수 있다. 복수의 포트는 또한 복수의 디바이스에 연결된 포트 그룹일 수 있다. 리턴 메시지는 GoodCRC 메시지일 수 있거나, 리턴 메시지는 요청 메시지일 수 있다. 특정 포트는 전력 전송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전력을 제공하는 소비자/공급자 디바이스에 연결될 수 있다. 제 1 메시지는 포트로부터 응답을 발생시키는 임의의 메시지일 수 있다. 또한, 제 1 메시지는 핑 또는 역량 메시지일 수 있다.
예 5
여기서는 전력 전송 컨트롤러를 공유하는 장치가 기술된다. 장치는 범용 직렬 버스 포트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전력 전송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여기서 USB 포트는 언파워드 모듈에 대응한다. 언파워드 모듈은 아무 전압도 검출되지 않음에 따라 소량의 전압을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여 시스템의 전력 전송 통신 역량을 복구한다. 언파워드 모듈은 시스템이 정상의 전력 전송 통신을 재개할 준비가 될 때까지 소량의 전압을 이용하여 비트 스트림을 디바이스에 출력한다.
비트 스트림은 시스템의 배터리가 충전될 때까지 언파워드 모듈로부터 디바이스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비트 스트림은 반복하는 비트 패턴일 수 있다. 언파워드 모듈은 전력 전송 컨트롤러의 최소한의 부분을 에뮬레이트하여 방전 배터리의 동작을 지원할 수 있으며, 최소한의 부분은 비트 스트림을 발생하는데 사용되는 23 메가헤르츠 소스일 수 있다. 23 메가헤르츠 소스는 600 킬로헤르츠 주파수 편이를 추진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300 킬로헤르츠 레이트에서 변조될 수 있다. 또한, 언파워드 모듈은 비트 스트림을 발생하는데 사용되는 23 메가헤르츠 소스일 수 있다. 소량의 전압은 시스템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거나 전력을 계속하여 시스템으로 제공할 수 있다. 언파워드 모듈은 시그널링을 통해 전력의 전송을 수립하게 할 수 있는 범용 직렬 버스 포트와 연관된 Vbus에 액세스할 수 있다. 더욱이, 포트에 송신 컨트롤러는 복수의 범용 직렬 버스 포트 중의 특정 포트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으며, 복수의 USB 포트 중 임의의 포트에 전력을 제공한다.
예 6
여기서는 역 충전을 위한 방법이 기술된다. 방법이 기술되지만, 방법은 장치에서의 수단에 의해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에 저장된 코드와 같은 코드를 실행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방법은 아무 전압도 검출되지 않음에 따라, 언파워드 모듈에서 디바이스로부터 소량의 전압을 수신하여 시스템의 전력 전송 통신 역량을 복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또한 시스템이 정상의 전력 전송 통신을 재개할 준비가 될 때까지 소량의 전압을 이용하여 비트 스트림을 언파워드 모듈로부터 디바이스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비트 스트림은 시스템의 배터리가 충전될 때까지 언파워드 모듈로부터 디바이스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비트 스트림은 반복하는 비트 패턴일 수 있다. 언파워드 모듈은 전력 전송 컨트롤러의 최소한의 부분을 에뮬레이트하여 방전 배터리의 동작을 지원할 수 있다. 최소한의 부분은 비트 스트림을 발생하는데 사용되는 23 메가헤르츠 소스일 수 있다. 또한, 23 메가헤르츠 소스는 600 킬로헤르츠 주파수 편이를 추진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300 킬로헤르츠 레이트에서 변조될 수 있다. 언파워드 모듈은 비트 스트림을 발생하는데 사용되는 23 메가헤르츠 소스일 수 있다. 소량의 전압은 시스템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거나 전력을 계속하여 시스템으로 제공할 수 있다. 언파워드 모듈은 시그널링을 통해 전력의 전송을 수립하게 할 수 있는 범용 직렬 버스 포트와 연관된 Vbus에 액세스할 수 있다. 전력 전송 컨트롤러는 복수의 범용 직렬 버스 포트 중의 특정 포트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으며, 복수의 USB 포트 중 임의의 포트에 전력을 제공한다.
예 7
여기서는 유형의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가 기술된다. 유형의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는 프로세서로 하여금 아무 전압도 검출되지 않음에 따라, 언파워드 모듈에서 디바이스로부터 소량의 전압을 수신하여 시스템의 전력 전송 통신 역량을 복구하도록 지시하는 코드를 포함한다. 코드는 또한 시스템이 정상의 전력 전송 통신을 재개할 준비가 될 때까지 소량의 전압을 이용하여 비트 스트림을 언파워드 모듈로부터 디바이스로 출력하도록 지시한다.
디바이스는 전력 전송 통신 역량을 복구하기 위해 Vbus 상의 소량의 전압을 전달할 수 있다. 비트 스트림은 시스템의 배터리가 충전될 때까지 언파워드 모듈로부터 디바이스로 출력될 수 있다. 비트 스트림은 반복하는 비트 패턴일 수 있다. 언파워드 모듈은 전력 전송 컨트롤러의 최소한의 부분을 에뮬레이트하여 방전 배터리의 동작을 지원할 수 있다. 최소한의 부분은 비트 스트림을 발생하는데 사용되는 23 메가헤르츠 소스일 수 있다. 또한, 23 메가헤르츠 소스는 600 킬로헤르츠 주파수 편이를 추진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300 킬로헤르츠 레이트에서 변조될 수 있다. 언파워드 모듈은 비트 스트림을 발생하는데 사용되는 23 메가헤르츠 소스일 수 있다. 또한, 언파워드 모듈은 시그널링을 통해 전력의 전송을 수립하게 할 수 있는 USB 포트와 연관된 Vbus에 액세스할 수 있다. 역 충전은 언파워드 모듈을 이용하여 수립될 수 있으며, 여기서 언파워드 모듈은 복수의 범용 직렬 버스 포트와 연관된 복수의 언파워드 모듈 중 하나이다.
예 8
여기서는 역 충전을 위한 장치가 기술된다. 장치는 아무 전압도 검출되지 않음에 따라, 시스템의 전력 전송 통신 역량을 복구하기 위해 디바이스로부터 소량의 전압을 수신하고, 시스템이 정상의 전력 전송 통신을 재개할 준비가 될 때까지 소량의 전압을 이용하여 비트 스트림을 디바이스에 출력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디바이스는 전력 전송 통신 역량을 복구하기 위해 Vbus 상의 소량의 전압을 전달할 수 있다. 비트 스트림은 시스템의 배터리가 충전될 때까지 소량의 전압을 수신하는 수단으로부터 디바이스로 출력될 수 있다. 비트 스트림은 반복하는 비트 패턴일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로부터 소량의 전압을 수신하는 수단은 전력 전송 컨트롤러의 최소한의 부분을 에뮬레이트하여 방전 배터리의 동작을 지원할 수 있다. 최소한의 부분은 비트 스트림을 발생하는데 사용되는 23 메가헤르츠 소스일 수 있다. 23 메가헤르츠 소스는 600 킬로헤르츠 주파수 편이를 추진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300 킬로헤르츠 레이트에서 변조될 수 있다. 또한, 수단은 비트 스트림을 발생하는데 사용되는 23 메가헤르츠 소스일 수 있다. 디바이스로부터 소량의 전압을 수신하는 수단은 시그널링을 통해 전력의 전송을 수립하게 할 수 있는 USB 포트와 연관된 Vbus에 액세스할 수 있다. 역 충전은 디바이스로부터 소량의 전압을 수신하는 수단을 이용하여 수립될 수 있으며, 여기서 디바이스로부터 소량의 전압을 수신하는 수단은 복수의 범용 직렬 버스 포트와 연관된 디바이스로부터 소량의 전압을 수신하는 복수의 수단 중 하나이다.
예 9
여기서는 전력을 수신하는 디바이스가 기술된다. 디바이스가 단일의 전력 전송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연결될 때, 디바이스는 제 1 메시지를 전력 전송 컨트롤러로부터 수신하고 제 1 메시지에 응답하여 전력 전송 컨트롤러로부터 전력을 요청한다. 디바이스는 또한 전력 전송 컨트롤러에 연결하여 전력을 수신하고 제 2 메시지를 전력 전송 컨트롤러에 전송하여 전력 전송 컨트롤러로부터 연결 해제한다. 제 1 메시지는 역량 메시지 또는 핑일 수 있다. 전력 전송 컨트롤러로부터 전력 요청은 GoodCRC 메시지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전력 전송 컨트롤러로부터 전력 요청은 또한 요청 메시지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 2 메시지는 BadCRC 메시지일 수 있다.
본 발명이 제한된 개수의 실시예에 관해 설명되었지만,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그로부터의 수많은 수정 및 변형을 인식할 것이다. 첨부된 청구범위는 그와 같은 모든 수정 및 변형을 본 발명의 진정한 사상과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포괄하고자 한다.
디자인은 모방에 이르는 창조에서부터 제조에 이르기까지 여러 단계를 거칠 수 있다. 디자인을 표현하는 데이터는 복수의 방식으로 디자인을 표현할 수 있다. 첫 번째로, 시뮬레이션에서 유용한 것으로서, 하드웨어는 하드웨어 서술 언어 또는 다른 기능적 서술 언어를 이용하여 표현될 수 있다. 또한, 로직 및/또는 트랜지스터 게이트를 가진 회로 레벨 모델은 디자인 프로세서의 일부 단계에서 생성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일부 단계에서, 대부분의 디자인은 하드웨어 모델 내 각종 디바이스의 물리적인 배치를 표현하는 데이터의 레벨에 이른다. 통상의 반도체 제조 기술이 사용되는 경우, 하드웨어 모델을 표현하는 데이터는 집적 회로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마스크 용도의 여러 마스크 층 상에 각종 특징의 존재 또는 부재를 명시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디자인의 임의의 표현에서, 데이터는 임의의 형태의 머신 판독가능한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 또는 디스크와 같은 자기 또는 광 저장소는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변조되거나 그렇지 않고 생성되는 광 또는 전기파를 통해 전송되는 그러한 정보를 저장하는 머신 판독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코드 또는 디자인을 표시 또는 리턴하는 전기 반송파가 전기 신호의 복사, 버퍼링, 또는 재전송이 수행되는 정도에 이르기까지 전송될 때, 새로운 사본이 만들어진다. 그러므로 통신 공급자 또는 네트워크 공급자는 유형의 머신 판독가능한 매체상에, 적어도 일시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기술을 구현하는 반송파로 인코딩된 정보와 같은 물품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의 임의의 조합을 말한다. 예로서, 모듈은 마이크로컨트롤러에 의해 실행되도록 적응된 코드를 저장하는 비일시적인 매체와 연관되는 마이크로컨트롤러와 같은 하드웨어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일 실시예에서, 모듈이라고 언급하는 것은 비일시적 매체 상에 보유되는 코드를 인식 및/또는 실행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된 하드웨어를 말하는 것이다. 그뿐만 아니라, 다른 실시예에서, 모듈의 사용은 마이크로컨트롤러에 의해 실행되어 미리 정해진 동작을 수행하도록 명시적으로 적응된 코드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매체를 말한다. 그리고 또 다른 실시예에서 추론될 수 있는 것처럼, (본 예에서) 모듈이라는 용어는 마이크로컨트롤러와 비일시적 매체의 조합을 말할 수 있다. 종종 떼어져 있는 것처럼 예시되는 모듈 경계는 일반적으로 변하기도 하며 잠재적으로 중첩한다. 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을 공유하면서, 잠재적으로 일부의 독립적인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를 보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로직이라는 용어의 사용은 트랜지스터, 레지스터와 같은 하드웨어, 또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와 같은 다른 하드웨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로' 또는 '로 구성된'이라는 관용구의 사용은 지정되거나 결정된 작업을 수행하도록 장치, 하드웨어, 로직, 또는 구성요소를 배열하고, 조립하고, 제조하고, 판매하기로 제안하고, 수입하고 그리고/또는 설계하는 것을 말한다. 본 예에서, 동작하지 않는 장치 또는 구성요소는 만일 이것이 지정된 작업을 수행하도록 설계되고, 결합되고, 그리고/또는 상호 연결된다면 여전히 그 지정된 작업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순전히 예시적인 예로서, 로직 게이트는 동작 중에 0 또는 1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인에이블 신호를 클럭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로직 게이트라도 1 또는 0을 제공할 수 있는 모든 잠재적인 로직 게이트를 포함하지는 않는다. 그 대신, 로직 게이트는 동작 중에 1 또는 0의 출력이 클럭을 활성화시키게 하는 몇 가지 방식으로 결합된 로직 게이트이다. 다시 한번 되풀이 하면 '로 구성된'이라는 용어의 사용은 동작을 필요로 하지 않지만, 그 대신 장치, 하드웨어, 및/또는 구성요소의 잠재한 상태에 초점을 맞추는 것임을 주목해야 하며, 이 경우 잠재적 상태에서 장치, 하드웨어, 및/또는 구성요소는 장치, 하드웨어, 및/또는 구성요소가 동작하고 있을 때 특별한 작업을 수행하도록 설계된다.
그뿐만 아니라, 일 실시예에서, '할 수 있는', 및/또는 '동작 가능한'이라는 관용구의 사용은 장치, 로직, 하드웨어, 및/또는 구성요소를 명시된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그런 방법으로 일부의 장치, 로직, 하드웨어, 및/또는 구성요소가 설계된 것을 말한다. 일 실시예에서, 하도록, 할 수 있는, 또는 동작 가능한이라는 용어의 사용은 장치, 로직, 하드웨어, 및/또는 구성요소의 잠재한 상태를 말하며, 이 경우 장치, 로직, 하드웨어, 및/또는 구성요소는 동작하고 있지 않지만 명시된 방식으로 장치를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그러한 방식으로 설계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값은 개수, 상태, 논리 상태, 또는 이진 논리 상태의 임의의 공지된 표현을 포함한다. 흔히 로직 레벨, 로직 값, 또는 로직 값들의 사용은 단순히 이진 로직 상태를 표현하는 1의 값 및 0의 값을 말하기도 한다. 예를 들면, 1은 하이 로직 레벨을 말하며 0은 로우 로직 레벨을 말한다. 일 실시예에서, 트랜지스터 또는 플래시 셀과 같은 저장 셀은 단일의 논리값 또는 여러 논리값을 보유할 수 있다. 그러나 컴퓨터 시스템에서 값의 다른 표현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십진수 10은 또한 1010이라는 이진 값 및 16진수 문자 A로서 표현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값은 컴퓨터 시스템에서 보유될 수 있는 정보의 임의의 표현을 포함한다.
더욱이, 상태는 값 또는 값의 부분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예로서, 논리 1과 같은 제 1 값은 디폴트 또는 초기 상태를 표현할 수 있는데 반해, 논리 0과 같은 제 2 값은 디폴트가 아닌 상태를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리셋 및 셋이라는 용어는 각기 디폴트 및 갱신된 값 또는 상태를 말한다. 예를 들면, 디폴트 값은 잠재적으로 하이 논리값 즉, 리셋을 포함하지만, 갱신된 값은 잠재적으로 로우 논리값 즉, 셋을 포함한다. 값들의 임의의 조합은 임의의 개수의 상태를 표현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방법,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코드 세트의 실시예는 프로세싱 요소에 의해 실행 가능한 머신 액세스 가능한, 머신 판독가능한, 컴퓨터 액세스 가능한,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상에 저장된 명령어 또는 코드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비일시적인 머신 액세스 가능한/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또는 전자 시스템과 같은 머신에 의해 판독가능한 형태의 정보를 제공(즉, 저장 및/또는 전송)하는 임의의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비일시적인 머신 액세스 가능한 매체는 스태틱 랜덤 액세스 메모리(static random-access memory, SRAM) 또는 다이나믹(dynamic) RAM(DRAM)과 같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자기 또는 광 저장 매체;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전기 저장 디바이스; 광 저장 디바이스; 음향 저장 디바이스; 일시적(전파된) 신호(예를 들면, 반송파, 적외선 신호, 디지털 신호)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보유하기 위한 다른 종류의 저장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며, 이들은 이들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비일시적인 매체와 구별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수행하는 로직을 프로그래밍하는데 사용되는 명령어는 DRAM, 캐시, 플래시 메모리, 또는 다른 저장소와 같은 시스템 내 메모리 내에 저장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명령어는 네트워크를 통해 또는 다른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에 의해 분산될 수 있다. 그래서 머신 판독가능한 매체는 정보를 머신(예를 들면,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한 형태로 저장 또는 전송하기 위한 임의의 메커니즘 즉,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플로피 디스켓, 광 디스크, 콤팩트 디스크 판독 전용 메모리(Compact Disc, Read-Only Memory, CD-ROM), 및 광자기 디스크, 판독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소거가능한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EPROM), 전기적으로 소거가능한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EEPROM), 자기 또는 광 카드, 플래시 메모리, 또는 전기, 광, 음향, 또는 다른 형태의 전파 신호(예를 들면, 반송파, 적외선 신호, 디지털 신호 등)를 통해 인터넷을 거쳐 정보의 전송에 사용되는 유형의 머신 판독가능한 저장소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는 전자 명령어 또는 정보를 머신(예를 들면,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한 형태로 저장 또는 전송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종류의 유형의 머신 판독가능한 매체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전체에서 "일 실시예" 또는 "실시예"라고 언급하는 것은 실시예와 함께 설명된 특별한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이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래서 본 명세서 도처의 여러 곳에서 "일 실시예에서" 또는 "실시예에서"라는 관용구가 출현한다고 하여 반드시 모두가 동일한 실시예를 언급하는 것은 아니다. 그뿐만 아니라, 특별한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전술한 명세서에서, 상세한 설명은 특정한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제공되었다. 그러나 첨부의 청구범위에서 진술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폭넓은 사상과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분명할 것이다. 따라서 명세서와 도면은 제한적인 의미라기보다 오히려 예시적인 의미로 간주될 것이다. 그뿐만 아니라, 실시예 및 다른 예시적인 언어의 전술한 사용은 필연적으로 동일한 실시예 또는 동일한 예를 말하는 것이 아니고, 상이하고 구별되는 실시예는 물론이고 잠재적으로 동일한 실시예를 말할 수 있다.

Claims (25)

  1. 전력 전송 컨트롤러를 공유하는 시스템으로서,
    복수의 포트와,
    상기 복수의 포트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전력 전송 컨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전력 전송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포트 중 상기 전력 전송 컨트롤러에 액세스할 특정 포트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포트 사이를 순회하고,
    제 1 메시지를 상기 복수의 포트 중 상기 특정 포트로 송신하고,
    상기 특정 포트로부터의 특정 리턴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특정 포트에 연결된 채로 남아서 상기 특정 포트로 전력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전력 전송 컨트롤러 공유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포트는 케이블에 연결되는
    전력 전송 컨트롤러 공유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포트는 복수의 디바이스에 연결되는
    전력 전송 컨트롤러 공유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 메시지는 GoodCRC 메시지인
    전력 전송 컨트롤러 공유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 메시지는 요청(Request) 메시지인
    전력 전송 컨트롤러 공유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포트에 각기 대응하는 복수의 방전 배터리(dead battery, DB) 모듈을 포함하되,
    각각의 DB 모듈은 상기 시스템의 충전을 가능하게 하는
    전력 전송 컨트롤러 공유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DB 모듈은 범용 직렬 버스 전력 전송(USB PD) 컨트롤러의 최소한의 부분을 에뮬레이트하여 방전 배터리의 동작(dead battery operation)을 지원하는
    전력 전송 컨트롤러 공유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포트에 제2 전력 전송 컨트롤러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전력 전송 컨트롤러 또는 상기 제2 전력 전송 컨트롤러는 상기 특정 포트에 연결되는
    전력 전송 컨트롤러 공유 시스템.
  9. 전력 전송 컨트롤러를 공유하는 방법으로서,
    복수의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 포트 중 상기 전력 전송 컨트롤러에 액세스할 특정 포트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USB 포트 사이를 순회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USB 포트를 조사(polling)하는 단계와,
    제 1 메시지를 상기 복수의 USB 포트의 각 포트에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특정 포트로부터의 리턴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USB 포트 중 상기 특정 포트에 연결하는 단계 - 전력은 상기 특정 포트로 전송됨 - 를 포함하는
    전력 전송 컨트롤러 공유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USB 포트는 복수의 케이블에 연결된 포트 그룹인
    전력 전송 컨트롤러 공유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USB 포트는 복수의 디바이스에 연결되는 포트 그룹인
    전력 전송 컨트롤러 공유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 메시지는 GoodCRC 메시지인
    전력 전송 컨트롤러 공유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 메시지는 요청(Request) 메시지인
    전력 전송 컨트롤러 공유 방법.
  14. 유형의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로서,
    코드를 포함하되, 상기 코드는 전력 전송 컨트롤러로 하여금,
    복수의 포트 중 상기 전력 전송 컨트롤러에 액세스할 특정 포트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포트 사이를 순회하게 하고,
    제 1 메시지를 상기 복수의 포트 중 상기 특정 포트에 송신하게 하고,
    상기 복수의 포트 중 상기 특정 포트로부터의 리턴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특정 포트에 연결하게 하고,
    전력을 상기 특정 포트로 전송하도록 지시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15. 삭제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전송 컨트롤러는 상기 특정 포트에서 전력을 요청하는 디바이스에 응답하여 상기 특정 포트와 연결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포트는 복수의 케이블에 연결되는 포트 그룹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포트는 복수의 디바이스에 연결되는 포트 그룹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 메시지는 GoodCRC 메시지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20.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 메시지는 요청(Request) 메시지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KR1020167032932A 2014-06-27 2015-05-27 Usb 전력 전송 컨트롤러 공유 KR1022057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318,198 2014-06-27
US14/318,198 US9766674B2 (en) 2014-06-27 2014-06-27 USB power delivery controller sharing
PCT/US2015/032688 WO2015199880A1 (en) 2014-06-27 2015-05-27 Usb power delivery controller shar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7926A KR20160147926A (ko) 2016-12-23
KR102205745B1 true KR102205745B1 (ko) 2021-01-20

Family

ID=54930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2932A KR102205745B1 (ko) 2014-06-27 2015-05-27 Usb 전력 전송 컨트롤러 공유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766674B2 (ko)
EP (1) EP3161585B1 (ko)
JP (1) JP2017527047A (ko)
KR (1) KR102205745B1 (ko)
CN (1) CN106462208B (ko)
DE (1) DE112015003035T5 (ko)
SG (1) SG11201609905UA (ko)
TW (1) TWI606345B (ko)
WO (1) WO20151998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14401B2 (en) * 2013-11-18 2018-10-30 Infineon Technologies Ag System and method for a serial bus interface
US9632555B2 (en) * 2014-12-09 2017-04-25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to route power to a USB host in dead battery condition
US9442575B1 (en) * 2015-05-15 2016-09-13 Athe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free space input for surface constrained control
US10224727B2 (en) * 2015-06-30 2019-03-05 Dong-Sheng Li Multi-functional hub integrated with AC power supply
US9449655B1 (en) 2015-08-31 2016-09-20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Low standby power with fast turn on for non-volatile memory devices
CN106909198B (zh) * 2015-12-22 2020-11-06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一种外接装置、电子装置及电子系统
JP6548262B2 (ja) * 2015-12-25 2019-07-24 ニチコン株式会社 電動車のための充電システム
WO2017143471A1 (en) 2016-02-22 2017-08-3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 events in universal serial bus (usb) power delivery devices
CN105929922A (zh) * 2016-04-13 2016-09-07 合肥联宝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US10366037B2 (en) * 2016-05-27 2019-07-30 I/O Interconnect, Ltd. Method for managing docking device and docking device
EP3430492A4 (en) * 2016-07-12 2019-11-2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MPENSATION FOR A POWER LOAD BETWEEN USB CONNECTIONS
US9998276B2 (en) 2016-09-27 2018-06-12 Nxp B.V. USBPD type-C BMC encoded receive message squelch detection
US10509454B2 (en) * 2017-04-21 2019-12-17 Dell Products L.P. Power companion status
TWI633422B (zh) * 2017-04-28 2018-08-21 宏碁股份有限公司 擴充式主機與其電源管理方法
US10256646B2 (en) * 2017-05-02 2019-04-09 Panasonic Avionics Corporation Seat box power management
US11121560B2 (en) 2017-09-03 2021-09-14 Google Llc Hot-pluggable dual battery with pass through charging
JP2019087089A (ja) * 2017-11-08 2019-06-06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給電システム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半導体装置
US11451067B2 (en) * 2017-12-19 2022-09-20 Intel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to enhance a device policy manager to manage devices based on battery condition
US20210048850A1 (en) * 2018-04-17 2021-02-1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Firmware setup menu options for docking stations
TWI665842B (zh) * 2018-06-13 2019-07-11 金碳洁股份有限公司 無線充電的電源管理系統及其方法
WO2020018094A1 (en) * 2018-07-18 2020-01-2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electively enabling power lines to usb ports
US11217994B2 (en) 2018-08-21 2022-01-04 Burrana Ip And Assets, Llc Power controller for aircraft receptacles
WO2021080607A1 (en) 2019-10-25 2021-04-2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Logic circuitry package
TWI687038B (zh) * 2018-12-07 2020-03-01 國立勤益科技大學 並列通訊控制方法
US10574070B1 (en) * 2019-01-19 2020-02-25 Simpower Technology Inc. Multi-functional hub integrated with AC power supply
WO2020218196A1 (ja) * 2019-04-26 2020-10-29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11061457B1 (en) 2020-01-08 2021-07-13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Dynamic sharing of power among USB type-c power delivery (USB-C/PD) ports
CN213817241U (zh) 2020-03-27 2021-07-27 威锋电子股份有限公司 电力管理装置
TWM609409U (zh) * 2020-03-27 2021-03-21 威鋒電子股份有限公司 電力管理裝置
CN112380153B (zh) * 2021-01-13 2021-04-30 杭州华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数据访问方法、系统、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20230176986A1 (en) * 2021-09-21 2023-06-08 Softiron Limited USB Terminal Serv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08980A1 (en) * 2010-02-22 2011-08-25 Benjamin Brooks Methods and apparatus for intelligently providing power to a device
US20110320832A1 (en) * 2010-06-29 2011-12-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anaging electrical power in a virtual power delivery network
US20120198119A1 (en) * 2011-01-31 2012-08-02 Bretford Manufacturing, Inc. High Current Multi-Port USB Hub
US20130290765A1 (en) * 2012-04-16 2013-10-3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Charging a provider/consumer with a dead battery via usb power delivery
US20140095899A1 (en) * 2012-10-02 2014-04-03 Dell Products L.P. Information handling system adaptive high performance power delivery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83894A (en) * 1996-12-30 1999-03-16 3Com Corporation Shared auto-negotiation logic for multiple port network devices
US6618580B2 (en) 2000-02-14 2003-09-09 Inte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tely powering-down a wireless transceiver
CA2374342C (en) * 2001-03-01 2005-12-20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powering and charging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7581119B2 (en) * 2004-07-18 2009-08-25 Apple Inc. Method and system for discovering a power source on a peripheral bus
US7890776B2 (en) * 2006-06-28 2011-02-15 Broadcom Corporation Use of priority information to intelligently allocate power for personal computing devices in a Power-over-Ethernet system
WO2008030398A2 (en) * 2006-09-05 2008-03-13 Summit Microelectronics, Inc Circuit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power in a battery operated system
JP2008165533A (ja) * 2006-12-28 2008-07-17 Seiko Epson Corp Usb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US8266456B2 (en) * 2007-10-15 2012-09-11 Apple Inc. Supplying remaining available current to port in excess of bus standard limit
US9312728B2 (en) 2009-08-24 2016-04-12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Physical and virtual identification in a wireless power network
US9063655B2 (en) * 2010-05-12 2015-06-23 Silicon Image, Inc. Multi-level port expansion for port multipliers
US8612060B2 (en) * 2010-09-24 2013-12-17 Intel Corporation Power allocation controller
US8671291B2 (en) * 2010-12-30 2014-03-11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device for charging energy storage devices
TWI541638B (zh) * 2011-07-04 2016-07-11 創惟科技股份有限公司 通用序列匯流排集線裝置之動態電源管理系統及其方法
US9153987B2 (en) * 2012-03-07 2015-10-06 Micrel, Inc. Battery charger voltage control method for instant boot-up
KR20130113203A (ko) * 2012-04-05 2013-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파워 관리 방법
US9075422B2 (en) * 2012-05-31 2015-07-07 Nxp B.V. Voltage regulator circuit with adaptive current limit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voltage regulator circuit
US10152104B2 (en) * 2012-06-15 2018-12-1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Policy engine startup procedure for a default provider in USB power delivery
US8918549B2 (en) 2012-12-18 2014-12-2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Robust cable-type detection for USB power delivery
US20140208134A1 (en) * 2013-01-21 2014-07-2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Host controller interface for universal serial bus (usb) power delivery
US9853553B2 (en) * 2014-03-03 2017-12-26 Infineon Technologies Austria Ag Interface circuits for USB and lighting applications
US9529411B2 (en) * 2014-06-13 2016-12-2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Power-saving mode for USB power delivery sourcing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08980A1 (en) * 2010-02-22 2011-08-25 Benjamin Brooks Methods and apparatus for intelligently providing power to a device
US20110320832A1 (en) * 2010-06-29 2011-12-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anaging electrical power in a virtual power delivery network
US20120198119A1 (en) * 2011-01-31 2012-08-02 Bretford Manufacturing, Inc. High Current Multi-Port USB Hub
US20130290765A1 (en) * 2012-04-16 2013-10-3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Charging a provider/consumer with a dead battery via usb power delivery
US20140095899A1 (en) * 2012-10-02 2014-04-03 Dell Products L.P. Information handling system adaptive high performance power deliv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378409A1 (en) 2015-12-31
KR20160147926A (ko) 2016-12-23
SG11201609905UA (en) 2016-12-29
EP3161585B1 (en) 2020-02-12
US9766674B2 (en) 2017-09-19
CN106462208B (zh) 2020-03-24
CN106462208A (zh) 2017-02-22
DE112015003035T5 (de) 2017-04-13
TWI606345B (zh) 2017-11-21
WO2015199880A1 (en) 2015-12-30
EP3161585A1 (en) 2017-05-03
TW201610691A (zh) 2016-03-16
JP2017527047A (ja) 2017-09-14
EP3161585A4 (en) 2018-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5745B1 (ko) Usb 전력 전송 컨트롤러 공유
CN107409056B (zh) 用于促进数据通信的装置、系统、方法和设备
US11068041B2 (en) Method to enhance device policy management (DPM) power sharing for USB Type-C (USB-C) only devices
CN108089940B (zh) 处理超时的系统、方法和装置
US20160378704A1 (en) Dynamically configure connection modes on a system based on host device capabilities
US9268948B2 (en) Secure access enforcement proxy
US11451067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to enhance a device policy manager to manage devices based on battery condition
WO2018111497A1 (en) APPARATUSES AND METHODS TO COUPLE AN EMBEDDED UNIVERSAL SERIAL BUS (eUSB) CIRCUIT TO A UNIVERSAL SERIAL BUS (USB) TRANSCEIVER INTERFACE CIRCUIT
KR101710595B1 (ko) 집적된 클럭 차동 버퍼링
US10705594B2 (en) Power management system
US10719469B2 (en) Inband messaging method for integrated type-C universal serial bus detection using enhanced serial peripheral interconnect
US11188492B2 (en) Enhanced serial peripheral interface (eSPI) port expander
US9559445B2 (en) Card edge connectors
US20150186311A1 (en) Smart direct memory access
EP4109281B1 (en) Peer-to-peer link sharing for upstream communications from xpus to a host processor
EP4141680A1 (en) Debug data communication system for multiple chips
US20220116322A1 (en) Interconnect network for multi-tile system on chips
EP4243064A1 (en) Modular low latency electrical sequence for die-to-die interface
US20220120967A1 (en) Low-loss waveguide with undercu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