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5736B1 - 판재용 적재시스템 - Google Patents

판재용 적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5736B1
KR102205736B1 KR1020200110818A KR20200110818A KR102205736B1 KR 102205736 B1 KR102205736 B1 KR 102205736B1 KR 1020200110818 A KR1020200110818 A KR 1020200110818A KR 20200110818 A KR20200110818 A KR 20200110818A KR 102205736 B1 KR102205736 B1 KR 102205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plate
unit
transfer unit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0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중하
Original Assignee
이중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중하 filed Critical 이중하
Priority to KR1020200110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57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5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57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02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 B65G57/11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the articles being stacked by direct action of the feeding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1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 B65G21/12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to allow adjustment of position of load-carrier or traction element as a wh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8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 B65G47/8807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with one stop
    • B65G47/883Fixed sto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Fl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4Stacking devices
    • B65G2814/0305Adding to the t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ciprocating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재용 적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로부터 연속 공급되는 판재에 대한 적재시, 적재부로의 이동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편리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한편, 판재에 대한 적재가 일정하게 이루어지면서 별도의 운반장치 등을 통한 운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판재용 적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판재용 적재시스템{LOADING SYSTEM FOR PLATE}
본 발명은 판재용 적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로부터 연속 공급되는 판재에 대한 적재시, 적재부로의 이동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편리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한편, 판재에 대한 적재가 일정하게 이루어지면서 별도의 운반장치 등을 통한 운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판재용 적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루미늄 판재는 가볍고 외관이 미려하며 녹이 슬지 않으므로 각종 가전 제품, 자동차 및 산업용의 열교환기 부품, 건축 자재 등 여러 산업 분야에서 널리 사용된다.
상기한 알루미늄 판재는 알루미늄 판재 제조업체에서 판상으로 제조된 후 이를 적층하여 알루미늄 가공업체로 운반하는데, 이 과정에서 알루미늄 판재의 표면이 손상될 가능성이 높다.
이렇게 알루미늄 표면에 손상이 발생하면 최종 제품의 외관이 불량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보호필름 부착장치를 통해 알루미늄 판재의 표면에 보호필름을 부착한 후 이를 적층하여 필요한 장소로 운반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21825호(2020.06.05.)에는 '금속판 보호필름 부착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금속판 보호필름 부착장치는 적층되는 금속판에 대한 운반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21825호(2020.06.05.) '금속판 보호필름 부착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로부터 연속 공급되는 판재에 대한 적재시, 적재부로의 이동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편리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한편, 판재에 대한 적재가 일정하게 이루어지면서 별도의 운반장치 등을 통한 운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판재용 적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연속 공급되는 판재가 적재되는 적재부(110); 및 적재부(110)의 일측에 배치되면서 적재부(110)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진행되는 판재의 일측을 지지하는 한편, 판재가 적재부(110)의 일측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이송부(120)를 포함하며, 판재는, 외부의 힘에 의해 타측이 지지되면서 이송부(120)의 구동에 따라 적재부(110)의 일측으로 이동되는 한편, 적재부(110)의 일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타측을 적재부(110) 방향으로 당김에 따라 적재부(110)로 이동 및 적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용 적재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재부(110)는, 적재판(111); 및 적재판(111)의 상부에 구비되면서 상부로 안착되는 판재와 적재판(111)이 이격되도록 하여 적재되는 다수의 판재에 대한 운반이 용이하도록 하는 지지바(1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송부(120)는, 적재부(110)의 일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측판(121); 한 쌍의 측판(12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풀리(122); 한 쌍의 풀리(122)의 외측으로 결합되며, 판재가 안착되는 이송벨트(123); 및 한 쌍의 풀리(122) 중 어느 하나의 풀리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1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한 쌍의 측판(121)은, 대향되는 내측면에 이송벨트(123)의 상부 양측를 지지하는 지지돌기(121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송부(120)의 구동에 따라 전방으로 진행되는 판재가 일정 지점에서 정지되도록 하는 스토퍼(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130)는, 적재부(110)의 전단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판재는, 이송부(120)의 구동에 따른 전방으로의 진행시, 스토퍼(130)에 접하면서 이동이 정지되는 한편, 스토퍼(130)에 접한 상태에서 적재부(110)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적재부(110)로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송부(120)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필요에 따라 이송부(120)가 적재부(110)에 접하도록 하거나, 이격되도록 하는 위치조정부(1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조정부(150)는, 이송부(12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151); 및 이송부(120)의 이동을 잠금하는 잠금수단(15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적재부(110)로부터 가이드수단(151)을 지지하는 한 쌍의 브라켓(140)을 더 포함하며, 브라켓(140)은, 적재판(111)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일측 전,후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상부에 구비되는 가이드수단(120)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수단(151)은, 브라켓(140)의 상부에 구비되면서 양단부가 한 쌍의 측판(121)을 통과하는 가이드바(153); 및 가이드바(153)가 브라켓(140)과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1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잠금수단(152)은, 가이드바(153)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한편, 측판(121)에 고정되며 상부에 내부와 연통되는 체결홀(155a)이 형성되는 잠금링(155); 하부가 체결홀(155a)로 나사결합되는 잠금바(156); 및 잠금바(156)의 상부에 구비되는 조절레버(157)를 포함하고, 잠금바(156)는, 조절레버(157)의 회전에 따라 가이드바(153)로 밀착되면서 이송부(120)의 이동을 잠금하거나, 가이드바(153)로부터 밀착해제되면서 이송부(120)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로부터 연속 공급되는 판재에 대한 적재시, 적재부로의 이동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 인원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판재에 대한 적재가 일정하게 이루어지면서 별도의 운반장치 등을 통한 운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판재용 적재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판재용 적재시스템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판재용 적재시스템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판재용 적재시스템에서 이송부 및 위치조정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판재용 적재시스템에서 이송부 및 위치조정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위치조정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판재용 적재시스템을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도 7에서 위치 조정부의 구동에 따른 이송부의 이동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판재용 적재시스템(이하 "적재시스템"이라 한다)(100)은 외부로부터 연속 공급되는 판재가 적재되는 적재부(110) 및 적재부(110)의 일측에 배치되면서 적재부(110)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진행되는 판재의 일측을 지지하는 한편, 판재가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이송부(120)를 포함한다.
판재는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 등의 금속판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직사각 형태를 이룬다.
적재시스템(1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서 연속 공급되는 판재가 적재부(110)로 일정하게 적재되도록 하는 한편, 적재부(110)로 적재된 다수의 판재에 대한 다른 곳으로의 운반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예를 들면, 적재시스템(100)은 별도의 가공장치의 전방에 배치되면서 가공장치에서 반복 공급되는 판재가 적재되도록 한다. 가공장치는 소재를 일정 크기의 판재로 절단하는 장치이거나, 판재의 표면에 보호필름을 부착하는 장치일 수 있다.
적재부(1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판(111) 및 적재판(111)의 상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지지바(112)를 포함한다.
적재부(110)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이나 실내 바닥면 등을 포함하는 설치대상면으로부터 적재판(111)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재판(111)은 도 1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전방으로 진행되는 판재보다 하측에 배치되면서 낙하되는 판재에 대한 지지바(112)로의 적재가 가능하도록 한다.
지지바(112)는 양단부가 판재의 양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판재를 교차되는 방향으로 지지한다.
지지바(112)는 복수로 이루어져 판재의 중앙부 및 전,후단부를 지지하도록 적재판(111)의 상부에 배치되면서 이웃하는 지지바(112) 간에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적재판(111)으로 적재되는 판재가 적재판(111)과 이격되도록 하여 지게차 등을 포함하는 운반장치에 의해 적재판(111)으로 적재된 다수의 판재에 대한 운반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적재시스템(100)은 지지바(112)의 상부로 적재되는 다수의 판재에 대한 운반시, 운반장치를 통한 운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송부(120)는 적재부(110)의 일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측판(121), 한 쌍의 측판(12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풀리(122), 한 쌍의 풀리(122)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이송벨트(123) 및 한 쌍의 풀리(122) 중 어느 하나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124)를 포함한다.
측판(121)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편, 상부가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적재판(111)보다 상측에 위치된다.
한 쌍의 측판(121)은 좌우 방향으로 대향되면서 내측으로 한 쌍의 풀리(122)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한 쌍의 풀리(122)는 한 쌍의 측판(121)의 전단부 간 및 후단부 간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면서 전후 방향으로 이격된다.
이송벨트(123)는 무한궤도 타입으로 이루어져 한 쌍의 풀리(122)로 결합되며, 상부가 측판(121)보다 상방향으로 돌출되면서 판재의 일측이 안착 가능하도록 한다.
이송벨트(123)는 구동모터(124)의 구동에 따라 회전되면서 상부로 안착되는 판재가 전방으로 이송되도록 한다.
구동모터(124)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되며, 한 쌍의 측판(121) 중 적재부(110)와 반대되는 위치의 일측판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측판(12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향되는 내측면에 이송벨트(123)의 상부 양측를 길이방향으로 지지하는 지지돌기(121a)가 형성될 수 있다.
이송벨트(123)는 지지돌기(121a)에 의해 양측이 지지되면서 판재의 하중에 의한 처짐 등이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판재는 일측이 이송벨트(123)에 안착되는 한편, 한 쌍의 측판(121) 중 적재부(110)를 향하는 측판에 지지되면서 이송벨트(123)로의 하중이 집중되지 않을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판재는 일측이 이송벨트(123)의 상부로 이동되어 지지되는 한편, 타측이 외부의 힘 즉, 작업자 등에 의해 지지되면서 대략 수평을 유지하며 전방으로 진행된다.
판재는 이송부(120)의 구동에 따라 전방으로 진행되면서 적재부(110)의 일측으로 이동되는 한편, 작업자 등이 타측을 이송부(120)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당김에 따라 일측이 이송벨트(123)로부터 이탈되면서 적재부(110)로 안착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연속 공급되는 판재는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적재부(110)로 적재될 수 있다.
적재시스템(10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부(120)의 구동에 따라 전방으로 진행되는 판재가 일정 지점에서 정지되도록 하는 스토퍼(130)를 더 포함한다.
스토퍼(130)는 전방으로 진행되는 판재가 적재판(111)으로의 안착에 적합한 지점에 이르면 자동으로 접하면서 이동이 정지되도록 한다.
스토퍼(130)는 적재판(111)의 상부에 구비되는 다양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토퍼(13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판(111)의 전단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판 형태를 이룰 수 있다.
판재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부(120)의 구동에 따른 전방으로의 진행시, 스토퍼(130)에 접하면서 이동이 정지되는 한편, 스토퍼(130)에 접한 상태에서 적재부(110)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적재부(110)로 일정하게 안착되며 적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로부터 연속 공급되는 판재는 전단부가 스토퍼(130)에 접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적재부(110)로 일정하게 적재될 수 있다.
적재시스템(100)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부(120)의 위치를 조정하는 위치조정부(150)를 더 포함한다.
위치조정부(150)는 이송부(120)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필요에 따라 적재부(110)에 접할 수 있도록 하거나 이격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위치조정부(150)는 적재부(110)로 적재된 다수의 판재에 대한 크레인 등으로의 운반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부(120)가 적재부(110)와 이격되도록 하여 다수의 판재의 양측이 지지되면서 크레인 등을 통한 운반이 가능하도록 한다.
위치조정부(1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부(12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151) 및 이송부(120)의 이동을 잠금하는 잠금수단(152)을 포함한다.
적재시스템(100)은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부(110)로부터 가이드수단(151)을 지지하는 복수의 브라켓(140)을 더 포함한다.
브라켓(140)은 한 쌍으로 이루어져 적재판(111)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일측 전,후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상부에 구비되는 가이드수단(151)을 지지한다.
가이드수단(151)은 브라켓(140)의 상부에 구비되면서 양단부가 한 쌍의 측판(121)을 통과하는 가이드바(153) 및 가이드바(153)가 브라켓(140)과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154)를 포함한다.
브라켓(140)은 좌우 길이가 한 쌍의 측판(121)의 폭보다 길게 형성되면서 이송부(120)의 이동에 따른 지지가 가능하도록 한다.
가이드바(153)는 양단부가 브라켓(14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한 쌍의 측판(121) 즉, 이송부(120)가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한다.
지지부재(154)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어느 하나의 지지부재가 브라켓(140)으로부터 가이드바(153)의 일단부를 지지하고,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가 브라켓(140)이나 적재판(111)으로부터 가이드바(153)의 타단부를 지지한다.
이송부(120)는 작업자 등이 이송부(120)를 가이드바(153)의 길이방향으로 가압함에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적재부(110)에 접하거나 적재부(110)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송부(12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부(110)에 접한 상태에서 일측 방향으로 가압함에 따라 적재부(110)와 이격될 수 있다.
여기서, 이송부(120)의 이동시, 일측 방향은 적재부(110)가 위치되는 반대 방향 즉 우측 방향으로, 타측 방향은 적재부(110)가 위치되는 방향 즉, 좌측 방향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송부(120)는 일측 방향으로의 이동시, 한 쌍의 지지부재(154) 중 가이드바(153)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지지부재에 접하면서 이동이 정지되는 한편, 가이드바(153)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이송부(120)는 적재부(110)와 이격된 상태에서 타측 방향으로 가압함에 따라 적재부(110)와 접할 수 있다.
이송부(120)는 타측 방향으로의 이동시, 한 쌍의 지지부재(154) 중 가이드바(153)의 타단부에 구비되는 지지부재에 접하면서 이동이 정지될 수 있다.
잠금수단(152)은 이송부(120)의 이동이 완료된 상태 즉, 이송부(120)가 적재부(110)에 접한 상태나 적재부(110)와 이격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한 이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잠금수단(15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바(153)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한편, 측판(121)에 고정되는 잠금링(155), 하부가 잠금링(155)의 상부로 나사결합되면서 회전에 따라 가이드바(153)로 밀착되며 이송부(120)의 이동을 잠금하거나, 가이드바(153)로부터 밀착해제되면서 이송부(120)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잠금바(156)를 포함한다.
잠금링(155)은 한 쌍의 측판(121) 중 일측에 배치되는 측판에 고정되면서 이송부(120)의 이동시, 함께 이동된다.
잠금링(155)은 상부에 잠금바(156)가 나사결합되는 체결홀(155a)이 형성된다.
체결홀(155a)은 잠금링(155)의 상부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내부와 연통된다.
잠금링(155)은 체결홀(155a)을 이루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잠금바(156)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체결홀(155a)로 나사결합된다.
잠금바(156)는 상부에 조절레버(157)가 구비될 수 있다.
조절레버(157)는 작업자 등이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한 잠금바(156)의 화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잠금바(156)는 작업자 등이 조절레버(157)로 회전력을 전달함에 따라 가이드바(153)로 밀착되면서 이송부(120)가 이동되지 않도록 잠금하거나, 가아드바(140)로부터 밀착해제되면서 이송부(120)에 대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로 인해, 적재시스템은 외부로부터 연속 공급되는 판재에 대한 적재부(110)로의 적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적재부(110)로 적재된 다수의 판재에 대한 운반시, 별도의 장치를 사용한 운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판재용 적재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써,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 적재시스템 110 : 적재부
111 : 적재판 112 : 지지바
113 : 지지프레임 120 : 이송부
121 : 측판 122 : 풀리
123 : 이송벨트 124 : 구동모터
130 : 스토퍼 140 : 브라켓
150 : 위치조정부 151 : 가이드수단
152 : 잠금수단 153 : 가이드바
154 : 지지부재 155 : 잠금부재
156 : 잠금바

Claims (11)

  1. 외부로부터 연속 공급되는 판재가 적재되는 적재부(110); 및
    적재부(110)의 일측에 배치되면서 적재부(110)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진행되는 판재의 일측을 지지하는 한편, 판재가 적재부(110)의 일측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이송부(120); 및
    이송부(120)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이송부(120)가 적재부(110)에 접하도록 하거나, 이격되도록 하는 위치조정부(150)를 포함하며,
    위치조정부(150)는,
    이송부(12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151); 및
    이송부(120)의 이동을 잠금하는 잠금수단(152)을 포함하고,
    잠금수단(152)은,
    가이드바(153)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한편, 측판(121)에 고정되며 상부에 내부와 연통되는 체결홀(155a)이 형성되는 잠금링(155);
    하부가 체결홀(155a)로 나사결합되는 잠금바(156); 및
    잠금바(156)의 상부에 구비되면서 회전에 따라 잠금바(156)가 가이드바(153)로 밀착 또는 밀착해제되도록 하여 이송부(120)의 이동을 잠금하거나, 이송부(120)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조절레버(15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용 적재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적재부(110)는,
    적재판(111); 및
    적재판(111)의 상부에 구비되면서 상부로 안착되는 판재와 적재판(111)이 이격되도록 하여 적재되는 다수의 판재에 대한 운반이 용이하도록 하는 지지바(1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용 적재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이송부(120)는,
    적재부(110)의 일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측판(121);
    한 쌍의 측판(12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풀리(122);
    한 쌍의 풀리(122)의 외측으로 결합되며, 판재가 안착되는 이송벨트(123); 및
    한 쌍의 풀리(122) 중 어느 하나의 풀리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1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용 적재시스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이송부(120)의 구동에 따라 전방으로 진행되는 판재가 일정 지점에서 정지되도록 하는 스토퍼(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용 적재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적재부(110)로부터 가이드수단(151)을 지지하는 한 쌍의 브라켓(140)을 더 포함하며,
    브라켓(140)은,
    적재판(111)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일측 전,후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상부에 구비되는 가이드수단(120)을 지지하고,
    가이드수단(151)은,
    브라켓(140)의 상부에 구비되면서 양단부가 한 쌍의 측판(121)을 통과하는 가이드바(153); 및
    가이드바(153)가 브라켓(140)과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1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용 적재시스템.
  10. 삭제
  11. 삭제
KR1020200110818A 2020-09-01 2020-09-01 판재용 적재시스템 KR102205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818A KR102205736B1 (ko) 2020-09-01 2020-09-01 판재용 적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818A KR102205736B1 (ko) 2020-09-01 2020-09-01 판재용 적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5736B1 true KR102205736B1 (ko) 2021-01-20

Family

ID=74304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0818A KR102205736B1 (ko) 2020-09-01 2020-09-01 판재용 적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573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7477A (ja) * 1996-12-06 1998-06-23 Sony Corp 板状体の搬送・収容装置
KR102121825B1 (ko) 2020-02-28 2020-06-12 주식회사알메탈 금속판 보호필름 부착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7477A (ja) * 1996-12-06 1998-06-23 Sony Corp 板状体の搬送・収容装置
KR102121825B1 (ko) 2020-02-28 2020-06-12 주식회사알메탈 금속판 보호필름 부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6935B1 (ko) 컨베이어벨트용 원단롤의 이송작업 및 작업성 개선을 위한 전동식 리프트장치
US6957736B2 (en) Conveyor for transporting load carriers
JP2008120586A (ja) 物品収納装置
KR101966700B1 (ko) 다기능 체인유닛
KR102205736B1 (ko) 판재용 적재시스템
JP2008524090A (ja) シートの自動貯蔵及び搬出装置
KR102204324B1 (ko) 판재 적재장치에 구비되는 위치 조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판재 적재장치
CN110228696A (zh) 多向重载输送机及其输送方法
CN113526148B (zh) 一种彩钢板生产输送机
CN214933660U (zh) 板材皮带输送装置
JP2013124157A (ja) 昇降装置
EP2985243B1 (en) Conveying apparatus
KR20080044185A (ko) 물품 수납 장치용 프레임 시스템
KR101514802B1 (ko) 목재 자동정렬장치 및 자동정렬방법
EP3098185A1 (en) Height-extensible container-type warehouse
KR101101423B1 (ko) 컨베이어 장치
CN210557728U (zh) 多向重载输送机
KR101819728B1 (ko) 목재 반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목재 적재장치
KR20220097775A (ko) 컨베이어용 디버터
KR200281021Y1 (ko) 롤러각도조절이 가능한 롤러스탠드
JP2007313862A (ja) 横型多段プレス装置の板材搬入構造
KR102502705B1 (ko) 싱귤레이터 컨베어
KR101848298B1 (ko) 모듈식 건조기 시스템
JP3556244B2 (ja) 金型搬送台車
KR20200138975A (ko) 커브 컨베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