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7775A - 컨베이어용 디버터 - Google Patents

컨베이어용 디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7775A
KR20220097775A KR1020200189256A KR20200189256A KR20220097775A KR 20220097775 A KR20220097775 A KR 20220097775A KR 1020200189256 A KR1020200189256 A KR 1020200189256A KR 20200189256 A KR20200189256 A KR 20200189256A KR 20220097775 A KR20220097775 A KR 202200977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nveyor
upper frame
diverter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9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만영
김국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주은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주은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주은테크
Priority to KR1020200189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97775A/ko
Publication of KR20220097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77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1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 B65G21/12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to allow adjustment of position of load-carrier or traction element as a wh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mmon features for more than one conveyor kind or type
    • B65G2811/06Devices controlling the relative position of articles
    • B65G2811/0647Changing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articles or bulk material
    • B65G2811/0657Def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009Common features for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019Supporting or guiding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nching, Merging, And Special Transfer Between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베이어용 디버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컨베이어에서 방향을 파렛트나 물품의 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형성된 디버터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면서도 무거운 파렛트나 물품의 이동 방향을 정확하고 신뢰성 있게 전환할 수 있도록 한 컨베이어용 디버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되는 컨베이어용 디버터에 의하면 이송부가 컨베이어에 의해서 튼튼하게 지지하면서 이송할 수 있어서 파렛트나 물품의 무게가 무거워도 정확하게 방향전환할 수 있고, 이송부의 이송프레임과 작동링크부의 구성도 매우 간단하고 튼튼하여 파손이 적게 발생하며, 컨베이어의 회전방향에 따라서 이송하던 파렛트나 물품을 정확하게 수직방향으로 이송시키기 때문에 방향전환신뢰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파렛트나 물품의 위치가 틀어지지 않는 등의 효과가 발생한다.

Description

컨베이어용 디버터{DIVERTER FOR CONVEYOR}
본 발명은 컨베이어용 디버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컨베이어에서 방향을 파렛트나 물품의 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형성된 디버터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면서도 무거운 파렛트나 물품의 이동 방향을 정확하고 신뢰성 있게 전환할 수 있도록 한 컨베이어용 디버터에 관한 것이다.
컨베이어란 공장, 백화점, 물류창고 등에서 동력을 이용해 연속 운반하는 기계장치를 말하는 것으로 주로 물품운반, 공사현장의 콘크리트, 토사운반, 택배물류운반 등의 용도로 사용된다.
대부분의 공장에서는 물품의 대량생산을 위하여 전체 공정이 라인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으며, 이러한 생산라인이나 제조라인에서는 원자재, 기계부품, 화물 등을 연속적으로 운반할 수 있도록 컨베이어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각 기계들을 연결하거나, 분류하는 작업을 체인컨베이어를 통해서 연결하면 작업자는 움직이지 않아도 자동으로 부품이나 물품들을 이동할 수 있어서 생산효율이 좋게 된다.
이러한 컨베이어의 종류는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되는데, 사용되는 벨트의 재질, 모터의 속도, 높낮이, 이송방식으로 나뉘어진다.
상기 컨베이어는 대표적으로 벨트 컨베이어(belt conveyor), 체인 컨베이어(chain conveyor), 롤러 컨베이어(roller conveyor), 트롤리 컨베이어(trolley conveyor)등이 있다.
상기 체인 컨베이어(chain conveyor)은 엔드리스(endless)로 감긴 체인(chain)과 스포라켓(sporacket)을 이용하여 회전하도록 하고, 체인의 상단을 따라서 따라서 움직일 수 있는 파렛트(pallet)가 형성되며, 상기 파렛트의 상단에 물품을 올려놓고 물건을 움반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체인 컨베이어는 다른 컨베이어보다 무거운 물품을 옮기는데 적합하게 사용된다.
상기 파렛트(pallet)란 지게차 따위로 물건을 실어나르거나, 컨베이어 따위를 이용하여 물품을 옮길 수 있도록 하는 판재로 물품을 안정적으로 옮기기 위해 사용하는 구조물이다.
디버터(diverter)란 컨베이어의 이동경로상에서 파렛트나 물품의 이동방향의 전환이 필요할 때 설치되는 장치이다.
종래의 디버터에 관한 기술은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제2007-0067996호에 '턴-디버터 컨베이어'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상기 종래의 턴-디버터 컨베이어의 디버터는 다수개의 롤러가 컨베이어상에 존재하여 파렛트나 물품의 방향의 전환하게 된다(도1 참조).
또한,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0876616호에는 '방향전환 롤러를 이용한 디버터 컨베이어'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특허문헌 1) KR10-2007-0067996 A
(특허문헌 2) KR10-0876616 B1
그러나, 종래의 컨베이어용 디버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1) 다수개의 롤러에 의해서 지지하기 때문에 무게가 무거운 파렛트나 물품을 이송하면서 방향전환하기가 어렵다.
(2) 다수개의 롤러와 지지구조로 형성되어 있어서 구조가 복잡하고 파손이 잘된다.
(3) 방향전환을 정확하면서 확실하게 하지 못하여 파렛트나 물품이 틀어져서 이송되어 작업자가 작업하기 힘들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사각형태로 형성되는 하부프레임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프레임의 내부 좌측하부프레임에 업다운모터가 형성되며, 상기 업다운모터에 의해서 회전가능한 제1작동축과 제2작동축이 형성되고, 상기 제1작동축의 양끝단과 제2작동축의 양 끝단에 각각 작동링크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프레임의 전방하부프레임과 후방하부프레임의 가운데에는 각각 슬라이드부가 형성되는 지지부와;
사각형태로 형성되는 상부프레임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프레임의 우측프레임에 이송모터가 고정판에 의해서 고정되며, 상기 상부프레임의 전방상부프레임과 후방상부프레임의 상단에는 각각 이송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방상부프레임과 후방상부프레임의 양 끝단에는 각각 지지부의 작동링크부가 연결되며, 상기 전방상부프레임과 후방상부프레임의 가운데는 각각 지지부의 슬라이드부에 의해서 연결되되,
상기 업다운모터의 작동에 의해서 상부프레임이 상,하로 이송되고, 상부프레임의 이송부에 의해서 방향전환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되는 컨베이어용 디버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발생한다.
(1) 이송부가 컨베이어에 의해서 튼튼하게 지지하면서 이송할 수 있어서 파렛트나 물품의 무게가 무거워도 정확하게 방향전환할 수 있다.
(2) 이송부의 이송프레임과 작동링크부의 구성도 매우 간단하고 튼튼하여 파손이 적게 발생한다.
(3) 컨베이어의 회전방향에 따라서 이송하던 파렛트나 물품을 정확하게 수직방향으로 이송시키기 때문에 방향전환신뢰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파렛트나 물품의 위치가 틀어지지 않는다.
도 1은 종래의 컨베이어용 디버터의 개념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되는 컨베이어용 디버터의 개념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되는 컨베이어용 디버터의 상부프레임의 일부를 비활성화해서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되는 컨베이어용 디버터의 이송부의 이송프레임을 나타낸 개념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되는 컨베이어용 디버터의 이송부의 이송프레임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되는 컨베이어용 디버터의 주동스프라켓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되는 컨베이어용 디버터의 피동스프라켓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되는 컨베이어용 디버터가 설치된 컨베이어를 나타낸 개념도.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본원 명세서의 도면은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이 명확하게 하도록 하기 위해서 다소 과장되거나 단순화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는 관계없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였고, 본원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여서 설명하였다.
본 발명에서 정의된 용어 및 부호들은 사용자, 운용자 및 작성자에 의해서 임의로 정의되거나, 선택적으로 사용된 용어이기 때문에, 이러한 용어들은 본원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용어자체의 의미로 한정하여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서 지정되는 방향은 도 2에 화살표에서 나타난 것과 같이 전방, 후방, 좌측, 우측으로 표현한다.
본 발명은 사각형태로 형성되는 하부프레임(510)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프레임(510)의 내부에 업다운모터(520)가 형성되며, 상기 업다운모터(520)에 의해서 회전가능한 제1작동축(524)과 제2작동축(525)이 형성되고, 상기 제1작동축(524)의 양끝단과 제2작동축(525)의 양 끝단에 각각 작동링크부(800)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프레임(510)의 전방하부프레임(511)과 후방하부프레임(512)의 가운데에는 각각 슬라이드부(700)가 형성되는 지지부(500)와;
사각형태로 형성되는 상부프레임(610)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프레임(610)의 우측프레임에 이송모터(530)가 고정판에 의해서 고정되며, 상기 상부프레임(610)의 전방상부프레임(611)과 후방상부프레임(612)의 상단에는 각각 이송부(100)가 형성되고, 상기 전방상부프레임(611)과 후방상부프레임(612)의 양 끝단에는 각각 지지부(500)의 작동링크부(800)가 연결되며, 상기 전방상부프레임(611)과 후방상부프레임(612)의 가운데는 각각 지지부(500)의 슬라이드부(700)에 의해서 연결되되,
상기 업다운모터(520)의 작동에 의해서 상부프레임(610)이 상,하로 이송되고, 상부프레임(610)의 이송부(100)에 의해서 방향전환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500)는 사각형태의 하부프레임(510)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프레임(510)의 각 모서리에는 하부받침판(502)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프레임(510)의 전방하부프레임(511)과 후방하부프레임(512)의 가운데에는 각각 슬라이드부(700)가 형성되는데, 상기 슬라이드부(700)는 측면가이드(710)와 측면가이드(710)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슬라이딩패널(720)이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드부(700)의 측면가이드(710)는 전방하부프레임(511)과 후방하부프레임(512)의 가운데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슬라이딩패널(720)은 전방상부프레임(611)과 후방상부프레임(612)의 가운데에 각각 고정된다.
상기 하부프레임(510)의 전방하부프레임(511)과 좌측하부프레임(513)에는 받침판(515)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판(515)의 상단에는 업다운모터(520)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프레임(510)의 좌, 우측에는 동일한 형태의 제1작동축(524)과 제2작동축(525)이 전방하부프레임(511)과 후방하부프레임(512)을 가로질러 형성된다.
상기 제1작동축(524)과 제2작동축(525)에는 각각 제1스프라켓(522)과 제2스프라켓(523)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업다운모터(520)의 축에 형성되는 작동스프라켓(521)과 체인으로 연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작동스프라켓(521)은 한상의 스프라켓이 연결되어 형성되고, 동일한 회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제1작동축(524)과 제2작동축(525)이 동일하게 업다운모터(520)의 작동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작동부(600)는 사각형태의 상부프레임(610)이 형성되고, 전방상부프레임(611)과 후방상부프레임(612)의 상단에는 각각 이송부(100)가 형성된다.
상기 작동부(600)의 각각의 이송부(100)의 주동스프라켓(220)을 서로 연결하는 회전축(540)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540)에는 회전스프라켓(541)이 형성되어 이송모터(530)의 이송작동스프라켓(531)과 체인으로 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상부프레임(610)의 우측상부프레임에는 이송모터(530)가 고정판에 의해서 고정되고, 상기 이송모터(530)의 축에는 이송작동스프라켓(531)이 형성된다.
상기 작동링크부(800)는 하부프레임(510)과 상부프레임(610)의 각 모서리에 4개가 설치되는데, 상기 각 작동링크부(800)는 작동링크(810)와 업다운롤러(820) 및 작동하부판(8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작동링크부(800)의 작동링크(810)는 제1작동축(524)과 제2작동축(525)의 각 끝단에 일측이 고정되고, 이격된 타측에는 업다운롤러(820)가 고정된다.
상기 작동링크부(800)의 작동하부판(830)은 'ㄴ'자 형상의 판재로, 수직한 부분은 전방상부프레임(611)의 양측과 후방상부프레임(612)의 양측에 각각 부착되고, 수평한 부분은 전방상부프레임(611)과 후방상부프레임(612)의 하단에 업다운롤러(820)의 직경만큼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작동링크부(800)는 업다운모터(520)가 회전하면 제1회전축(540) 및 제2회전축(540)이 동시에 회전하게 되고, 이때 작동링크(810)가 회전하여 업다운롤러(820)가 작동하부판(830)의 수평부에서 이동되면서 작동부(600)를 상승, 하강시킨다.
상기 이송부(100)는 금속재 또는 비금속재 중공 프로파일(PROFILE)로 형성는 이송프레임(110)과; 상기 이송프레임(110)의 상면에 결합되는 합성수지재 상부받침대(120)와; 상기 이송프레임(110)의 내부에 결합되는 하부받침대(130)로 형성된다.
상기 이송프레임(110)은 상단에 직각으로 오목한 상부홈(111)이 형성되고, 양측에는 대향하도록 형성되는 'ㄷ'자 형상의 너트수용홈(112)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너트수용홈(112)은 측면으로 결합되는 주동스프라켓부(200)와 피동스프라켓부(3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양측에 상단에서 하단까지 각각 3개가 대향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이송프레임(110)의 내부하단에는 상부로 돌출되는 돌출고정구(115)가 형성된다.
상기 너트수용홈(112)은 너트(114)를 대각방향으로 밀어넣을 수 있는 상부후퇴공간부(113)가 형성된다.
상기 너트수용홈(112)에 너트(114)를 넣는 방법은 도 6와 같이 너트(114)를 비스듬하게 개방된 부분으로 밀어넣어 상부후퇴공간부(113)로 끝까지 밀어넣은 상태에서 수직하게 세우면 너트(114)가 측면으로 수직하게 서게 된다.
상기와 같이 너트수용홈(112)에 원하는 위치에서 곧바로 너트(114)를 넣을 수 있으므로 이송프레임(110)의 끝단에서부터 너트(114)를 밀어넣어야 하는 문제를 해결하여 빠르고 쉽게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상부받침대(120)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 파렛트위에 무거운 물품이 옮겨지더라도 체인이 마찰없이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상부받침대(120)는 하단이 상부홈(111)에 삽입결합되도록 단턱(121)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일정높이로 돌출되는 체인지지부(122)로 구성된다.
상기 체인지지부(122)는 일정무게까지는 하나의 라인으로 구성되지만, 물품과 파렛트의 무게가 무거워지면 사용자가 두개의 이송체인(250)을 운용할 수 있고, 이때 두 개의 이송체인(250)을 동시에 받칠 수 있도록 2개의 체인지지부(122)가 형성된 상부받침대(120)로 바꾸어서 결합하여 사용가능하다.
상기 이송프레임(110)의 내부하단에 형성된 돌출고정구(115)에 하단이 고정되는 하부받침대(130)는 하단이 개방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주동스프라켓부(200)과 피동스프라켓부(300)는 한 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주동스프라켓부(200)과 피동스프라켓부(300)에 포함되는 각각의 주동스프라켓(220) 및 피동스프라켓(320)을 무한궤도형태로 이송체인(250)이 결합된다.
상기 주동스프라켓부(200)은 'ㄷ'자 형상으로 절곡된 몸체부(210)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210)의 양끝단에는 주동결합부(230)가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210)의 사이에는 주동스프라켓(220)이 내부에서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일측에는 작동축(600)의 일단이 결합되는 축결합부(240)가 형성된다.
상기 주동결합부(230)는 이송부(100)의 이송프레임(110)의 일단 양측면에 각각 볼트로 결합되어 고정된다.
상기 주동스프라켓(220)은 스프라켓이 1단으로 형성되어 하나의 체인이 연속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데, 만약, 이동해야할 파렛트와 물품의 무게가 무거울 경우에는 동일한 크기의 직경과 잇수를 가진 스프라켓이 나란하게 2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프라켓이 2단으로 형성되는 주동스프라켓(220) 역시 몸체부(210)의 가운데에 결합 될 수 있다.
상기 피동스프라켓부(300)는 한 쌍의 몸체패널(310)이 나란하게 형성되고, 가운데에는 피동스프라켓(320)이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각 몸체패널(310)은 길게 홀이 형성되는 장홀(312)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장홀(312)을 따라서 이동가능하도록 고정축(330)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축(330)에는 피동스프라켓(320)의 가운데가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각 몸체패널(310)의 끝단에는 플랜지(311)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311)에는 길이조절볼트(314)가 길게 형성되어 고정축(330)(양 끝단에 나사가 형성된는 홀이 형성됨)을 관통하여 나사결합되어 있어서, 길이조절볼트(314)를 돌리면 장홀(312)을 따라서 고정축(330)이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길이조절볼트(314)와 장홀(312)은 이송체인(250)을 고정할 때 느슨하게 했다가 이송체인(250)을 고정한 후에 적절한 텐션을 주기 위해서 구성된다.
상기 각 몸체패널(310)의 전방에는 돌출되는 피동결합부(313)가 형성되고, 상기 피동결합부(313)로 이송프레임(110)의 타단에 고정된다.
상기 피동스프라켓(320)은 스프라켓이 1단으로 형성되어 하나의 체인이 연속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데, 주동스프라켓(220)이 2단으로 형성될 경우에는 주동스프라켓(220)과 동일하게 2단으로 형성된 스프라켓이 설치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컨베이어용 디버터(4)의 작동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컨베이어를 설치할 때 이동방향과 수직하게 이송되는 컨베이어를 연결하여 형성하고, 연결되는 부분에는 각각 멈춤판(3)을 형성하고, 상기 멈춤판(3)이 형성된 켄베이어의 내부에는 디버터(4)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디버터(4)는 컨베이어의 이송방향과 수직하기 이송부(100)가 설치되고, 상기 이송부(100)의 작동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도 8에서 살펴보면, 컨베이어와 컨베이어가 수직하게 결합되는 부분에 각각 디버터(4)가 설치되고, 디버터(4)의 상단으로 파렛트(2)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 파렛트(2)의 상부에는 여러종류의 물품이 이송되고, 상기 물품들의 무게가 무거운 것은 2톤이 될수도 있다.
상기 파렛트(2)가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될 때, 디버터(4)의 이송부(100)는 컨베이어의 체인보다 하단에 있어야하기 때문에 업다운모터(520)가 제1작동축(524) 및 제2작동축(525)이 회전시켜서 작동링크부(800)가 상부프레임(610)을 하향시켜서 위치하게된다.
이후, 파렛트(2)가 멈춤판(3)에 의해서 디버터(4)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면, 작동링크부(800)가 상부프레임(610)을 상향시켜서 파렛트(2)의 하부를 이송시켜서 연결되는 컨베이이어로 파렛트(2)를 이송시킨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디버터(4)는 멈춤판(3)에 의해서 멈춘 파렛트(2)의 하단을 이송방향에 수직하게 양측을 지지하는 이송부(100)에 의해서 수직하게 이송하기 때문에 정확하고 신뢰도 있는 방향전환이 이루어진다.
또한, 이러한 방향전환으로 인해서 파렛트(2)의 위치가 틀어지거나, 물품의 위치가 틀어지지 않아서 연속적인 작업을 하는 작업자의 이동되는 물품에 작업하기가 용이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되는 컨베이어용 디버터에 의하면 이송부가 컨베이어에 의해서 튼튼하게 지지하면서 이송할 수 있어서 파렛트나 물품의 무게가 무거워도 정확하게 방향전환할 수 있고, 이송부의 이송프레임과 작동링크부의 구성도 매우 간단하고 튼튼하여 파손이 적게 발생하며, 컨베이어의 회전방향에 따라서 이송하던 파렛트나 물품을 정확하게 수직방향으로 이송시키기 때문에 방향전환신뢰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파렛트나 물품의 위치가 틀어지지 않는 등의 효과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괄되는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1 : 컨베이어 2 : 파렛트
3 : 멈춤판 4 : 디버터
100 : 이송부 110 : 이송프레임
111 : 상부홈 112 : 너트수용홈
113 : 상부후퇴공간부 114 : 너트
115 : 돌출고정구
120 : 상부받침대 121 : 단턱
122 : 체인지지부 130 : 하부받침대
200 : 주동스프라켓부 210 : 몸체부
220 : 주동스프라켓 230 : 주동결합부
240 : 축결합부 250 : 이송체인
300 : 피동스프라켓부 310 : 몸체패널
311 : 플랜지 312 : 장홀
313 : 피동결합부 314 : 길이조절볼트
320 : 피동스프라켓 330 : 고정축
500 : 지지부 502 : 하부받침판
510 : 하부프레임 511 : 전방하부프레임
512 : 후방하부프레임 513 : 좌측하부프레임
514 : 우측하부프레임 515 : 받침판
520 : 업다운모터 521 : 작동스프라켓
522 : 제1스프라켓 523 : 제2스프라켓
524 : 제1작동축 525 : 제2작동축
530 : 이송모터 531 : 이송작동스프라켓
540 : 회전축 541 : 회전스프라켓
600 : 작동부 610 : 상부프레임
611 : 전방상부프레임 612 : 후방상부프레임
700 : 슬라이드부 710 : 측면가이드
720 : 슬라이딩패널
800 : 작동링크부 810 : 작동링크
820 : 업다운롤러 830 : 작동하부판

Claims (5)

  1. 사각형태로 형성되는 하부프레임에 업다운모터가 형성되고, 상기 업다운모터에 의해서 회전하는 제1작동축과 제2작동축의 양 끝단에 고정되어 상부프레임을 상하로 이송할 수 있도록 작동링크부가 형성되되,
    상기 상부프레임의 전,후방프레임의 상단에는 이송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송부의 작동체인을 회전시키는 이송모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용 디버터.
  2. 사각형태로 형성되는 하부프레임(510)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프레임(510)의 내부에 업다운모터(520)와 이송모터(530)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업다운모터(520)에 의해서 회전가능한 제1작동축(524)과 제2작동축(525)이 형성되고, 상기 제1작동축(524)의 양끝단과 제2작동축(525)의 양 끝단에 각각 작동링크부(800)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프레임(510)의 전방하부프레임(511)과 후방하부프레임(512)의 가운데에는 각각 슬라이드부(700)가 형성되는 지지부(500)와;
    사각형태로 형성되는 상부프레임(610)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프레임(610)의 전방상부프레임(611)과 후방상부프레임(612)의 상단에는 각각 이송부(100)가 형성되며, 상기 전방상부프레임(611)과 후방상부프레임(612)의 양 끝단에는 각각 지지부(500)의 작동링크부(800)가 연결되고, 상기 전방상부프레임(611)과 후방상부프레임(612)의 가운데는 각각 지지지부(500) 슬라이드부(700)에 의해서 연결되되,
    상기 업다운모터(520)의 작동에 의해서 상부프레임(610)이 상,하로 이송되고, 상부프레임(610)의 이송부(100)에 의해서 방향전환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용 디버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링크부(800)는 하부프레임(510)과 상부프레임(610)의 각 모서리에 4개가 설치되는데, 상기 각 작동링크부(800)는 작동링크(810)와 업다운롤러(820) 및 작동하부판(830)으로 구성되되,
    상기 작동링크(810)는 제1작동축(524)과 제2작동축(525)의 각 끝단에 일측이 고정되고, 이격된 타측에는 업다운롤러(820)가 고정되며,
    상기 작동하부판(830)은 'ㄴ'자 형상의 판재로, 수직한 부분은 전방상부프레임(611)의 양측과 후방상부프레임(612)의 양측에 각각 부착되고, 수평한 부분은 전방상부프레임(611)과 후방상부프레임(612)의 하단에 업다운롤러(820)의 직경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용 디버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700)는 측면가이드(710)와 측면가이드(710)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슬라이딩패널(720)이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드부(700)의 측면가이드(710)는 전방하부프레임(511)과 후방하부프레임(512)의 가운데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슬라이딩패널(720)은 전방상부프레임(611)과 후방상부프레임(612)의 가운데에 각각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용 디버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100)는 금속재 또는 비금속재 중공 프로파일(PROFILE)로 형성는 이송프레임(110)과; 상기 이송프레임(110)의 상면에 결합되는 합성수지재 상부받침대(120)와; 상기 이송프레임(110)의 내부에 결합되는 하부받침대(130)로 형성되는데,
    상기 이송프레임(110)은 상단에 직각으로 오목한 상부홈(111)이 형성되고, 양측에는 대향하도록 형성되는 'ㄷ'자 형상의 너트수용홈(112)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너트수용홈(112)은 너트(114)를 대각방향으로 밀어넣을 수 있는 상부후퇴공간부(11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용 디버터.
KR1020200189256A 2020-12-31 2020-12-31 컨베이어용 디버터 KR202200977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9256A KR20220097775A (ko) 2020-12-31 2020-12-31 컨베이어용 디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9256A KR20220097775A (ko) 2020-12-31 2020-12-31 컨베이어용 디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7775A true KR20220097775A (ko) 2022-07-08

Family

ID=82407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9256A KR20220097775A (ko) 2020-12-31 2020-12-31 컨베이어용 디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9777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83490A (zh) * 2022-09-08 2023-01-10 合肥哈工龙延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托盘自动连续分栈供给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83490A (zh) * 2022-09-08 2023-01-10 合肥哈工龙延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托盘自动连续分栈供给装置
CN115583490B (zh) * 2022-09-08 2024-05-07 合肥哈工龙延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托盘自动连续分栈供给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9146B1 (ko) 방향전환을 위한 오토 디버터
KR0166222B1 (ko) 분기합류용 콘베이어설비
US3265186A (en) Warehouse conveyor system
US3690435A (en) Article conveyor system
AU753403B2 (en) Depalletizer collector belt assembly
US5788461A (en) Automatic depalletizer
KR20120108962A (ko) 물품 이송탑재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스태커 크레인
KR950013092B1 (ko) 차체의 반송 장치
KR102460391B1 (ko) 다중 컨베이어 시스템
KR20220097775A (ko) 컨베이어용 디버터
JP5314748B2 (ja) 昇降装置
KR20150062297A (ko) 자동 분류기용 틸팅 장치
US6732849B2 (en) Sorting system
US5613827A (en) Dual arm lumber stacker assembly
KR20180126967A (ko) 벨트컨베이어
KR102441338B1 (ko) 상하 회전식 부품 적재 시스템
KR102473480B1 (ko) 컨베이어용 이송방향 교차변환장치
US11905124B2 (en) Sorter
JP2019026443A (ja) ベルトコンベア装置
KR20220097766A (ko) 표준모듈방식 컨베이어
EP2001770B1 (en) Conveyor for conveying and buffering products
KR102425593B1 (ko) 수직형 물품 분류 장치
CN219238257U (zh) 一种货物运输机
CN110841924B (zh) 多层交叉带分拣设备及其分拣方法
CN220033075U (zh) 双排轻型皮带输送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