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5718B1 - 내진 보강을 위한 부축벽 조립체 - Google Patents

내진 보강을 위한 부축벽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5718B1
KR102205718B1 KR1020190052537A KR20190052537A KR102205718B1 KR 102205718 B1 KR102205718 B1 KR 102205718B1 KR 1020190052537 A KR1020190052537 A KR 1020190052537A KR 20190052537 A KR20190052537 A KR 20190052537A KR 102205718 B1 KR102205718 B1 KR 1022057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ement
existing building
assembly
wall assembly
shaft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2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8323A (ko
Inventor
이범식
천영수
김상연
이상현
엄태성
허무원
Original Assignee
한국토지주택공사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토지주택공사,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토지주택공사
Priority to KR1020190052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5718B1/ko
Publication of KR20200128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83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5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57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7Preventive constructional measures against earthquake damage in existing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04B1/4171Nailable or non-threaded screwabl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04C5/0604Prismatic or cylindrical reinforcement cages composed of longitudinal bars and open or closed stirrup rods
    • E04C5/0622Open cages, e.g. connecting stirrup bas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 건물(10)의 장변 방향에 위치하는 양 측벽(11)에 결합되어 콘크리트가 충진되는 부축벽 조립체(100)에 있어서,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배근되며, ㅁ자 형상이되 상기 기존 건물(10)을 향해 개방부(111)를 갖는 다수의 띠철근 부재(110); 상기 띠철근 부재(110)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개방부(111)를 향하여 개방되는 ㄷ자 형태의 보강 부재(115); 상기 다수의 띠철근 부재(110) 및 상기 보강 부재(115)의 내측 모서리에 위치하는 주근 부재(210); 를 포함하고, 상기 부축벽 조립체(100)는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는 티형 보강 철골(200)에 의해 상기 기존 건물(10)의 상기 측벽(11)에 결합되며, 상기 주근 부재(210) 중 상기 개방부(111)와 대향되는 상기 띠철근 부재(110)의 내측 모서리에 위치하는 주근 부재와 상기 보강 부재(115)의 내측 모서리에 위치하는 주근 부재는 상기 장변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한 쌍으로 배근되는 부축벽 조립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내진 보강을 위한 부축벽 조립체{Buttress assembly for seismic reinforcing of building}
본 발명은 부축벽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벽체 면적이 부족하나 내진 보강이 필요한 기존의 건물들을 내진 보강할 수 있는 기존 건물의 내진 보강을 위한 부축벽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 내진 설계된 기존 건물의 지진에 대한 안정성 평가와 보강 방안은 대상 건물에 대한 현장실태조사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반영함으로써 내진 성능 평가를 수행해야 한다. 그리고, 내진 성능 평가 결과를 기초로 내진 보강 유무, 적정 보강 방안 등을 수립하여 기존 건물을 적정 보강 방안을 토대로 내진 보강하게 된다.
종래의 벽식 구조 및 판상형 구조를 포함하는 비 내진 설계된 기존 건물은 지진 하중을 견딜 수 없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보강 방안을 수립한 후 내진을 보강하게 된다.
일반적인 방법, 즉, 단변 방향으로 비 내진 설계된 기존 건물을 내진 보강할 경우, 기초공사가 복잡하여 시공성을 확보하기 어려웠으며, 기존 건물의 내부에서부터 내진 보강이 진행되기 때문에, 기존 건물에 거주하던 기존 건물의 입주민들을 이주시키는 과정이 꼭 필요했다.
이 과정에서, 입주민들의 거주지를 마련하고 이주하지 않은 입주민을 이주시키는 과정이 필수적이고, 이 과정은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해 공기 단축은 물론 시공성을 더욱 확보하기 어려웠다.
관련 종래기술을 살펴본다.
일본 공개특허공보인 제1999-081703호는 재해 대책을 고려한 외부 내진 보강 구법에 관한 것으로, 건물의 거주자가 거주한 채 시공할 수 있는 외부 내진 보강 구법을 제공하는 것이며, 기존 건물(1)의 양측면으로 보강용 구조체(2)를 축조하는 외부 내진 보강 구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 건물의 입주민들을 이주시키지 않아도 되나, 구체적인 내진 보강 성능이 입증되지 않고, 보강용 구조체의 궤체적인 길이, 두께, 강도 등을 제안하고 있지 않아 기초공사가 복잡한 문제가 여전했다.
JP 1999-081703 A JP 1999-030045 A KR 10-2013-0018343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벽식 구조 및 판상형 구조 등을 포함하는 비 내진 설계된 기존 건물이 지진 하중을 견딜 수 없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기존 건물을 내진 보강할 경우, 기존 건물의 부지 내에서 인동 간격 확보를 할 수 없었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또한, 비 내진 설계된 기존 건물의 내진 보강을 위해 단변 방향으로 보강할 경우, 기초공사가 복잡하여 시공성을 확보할 수 없었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또한, 비 내진 설계된 기존 건물을 내진 보강할 경우 입주민의 이주가 필요했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기존 건물(10)의 장변 방향에 위치하는 양 측벽(11)에 결합되어 콘크리트가 충진되는 부축벽 조립체(100)에 있어서,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배근되며, ㅁ자 형상이되 상기 기존 건물(10)을 향해 개방부(111)를 갖는 다수의 띠철근 부재(110); 상기 띠철근 부재(110)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개방부(111)를 향하여 개방되는 ㄷ자 형태의 보강 부재(115); 상기 다수의 띠철근 부재(110) 및 상기 보강 부재(115)의 내측 모서리에 위치하는 주근 부재(210); 를 포함하고, 상기 부축벽 조립체(100)는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는 티형 보강 철골(200)에 의해 상기 기존 건물(10)의 상기 측벽(11)에 결합되며, 상기 주근 부재(210) 중 상기 개방부(111)와 대향되는 상기 띠철근 부재(110)의 내측 모서리에 위치하는 주근 부재와 상기 보강 부재(115)의 내측 모서리에 위치하는 주근 부재는 상기 장변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한 쌍으로 배근되는 부축벽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부축벽 조립체(100)의 길이는, 상기 장변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기존 건물(10)의 상기 측벽(11) 길이에 4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주근 부재(210) 중 상기 띠철근 부재(110)의 상기 개방부(111)측의 내측 모서리에 위치하는 주근 부재는 단변 방향으로 서로 접하며 한 쌍으로 배근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티형 보강 철골(200)은, 상기 기존 건물(10)의 상기 측벽(11)과 면하는 결합부(201); 및 상기 결합부(201)에서 상기 장변 방향을 향해 연장되되 관통공(202H)이 구비되는 연장부(202)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201)와 평행하도록 상기 관통공(202H)에 관통 결합되는 관통 다우얼 철근(30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축벽 조립체(100)의 하단부에, 바닥과 면하는 단부 지압 강판(180); 상기 티형 보강 철골(200)에 수직 방향으로 용접되되, 한 쌍으로 구비되는 다수의 스터드볼트(19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스터드볼트(19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사이에 상기 관통 다우얼 철근(300)이 위치하고, 상기 관통 다우얼 철근(300)에 의해 상기 티형 보강 철골(200) 및 상기 다수의 스터드볼트(190)의 탈락이 방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측벽(11)은 치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티형 보강 철골(200)은, 상기 측벽(11)의 길이 방향으로 다수 사용되는 앵커(102)에 의해 앵커링되어, 상기 부축벽 조립체(100)를 상기 측벽(11)에 앵커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띠철근 부재(110)는 직경 13mm이며 수직 방향으로 300mm 간격으로 배근되고, 상기 주근 부재(210)는 직경 2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강 부재(115)의 단변 방향으로의 폭은 상기 띠철근 부재(110)의 단변 방향으로의 폭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관통 다우얼 철근(300)은 직경 13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앵커(102)는 상기 측벽(11) 면적에 상응하는 개수로 구비되어, 상기 측벽(11)의 폭 1m당 20개 설치되며, 상기 앵커(102)는 m12 앵커볼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축벽 조립체(100)의 상기 하단부는 기초판에 매입되며, 상기 부축벽 조립체(100)의 상기 하단부에 포함되는 상기 스터드볼트(190)는 10개이며, 상기 관통 다우얼 철근(300)은 5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부축벽 조립체에 의해 기존 건물이 면외 저항이 생겨 지진 하중을 견딜 수 있게 된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부축벽 조립체는 기존 건물의 장변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어서, 기존 건물의 부지 내에서 인동 간격을 확보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부축벽 조립체는 장변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어서, 단변 방향으로 설치되는 벽보다 기초공사가 간소화되고, 이에 따라 시공성이 확보된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부축벽 조립체는 기존 건물 입주민의 이주가 필요 없으며, 내진 보강을 위한 공사가 모두 외부에서 진행되어 내진 보강을 위한 공사가 진행되는 동안 거주가 가능하다.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른 부축벽 조립체는 조립체 형태로 제공될 수 있는 것이어서, 시공성이 뛰어나고 공기 단축 효과가 있다.
도 1에, 본 발명에 따른 부축벽 조립체를 이용해 기존 건물을 내진 보강한 경우를 도시한다.
도 2에,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부축벽 조립체의 개략 사시도가 도시된다.
도 3에,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부축벽 조립체의 단면도가 도시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축벽 조립체의 하단부의 개략적인 측면 및 평면 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6에 검증 실험을 위한 실험체 및 실험 재료들의 세팅 정보가 도시된다.
도 7 내지 도 8에 각 재료들의 강도 실험이 도시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앵커(102)에 사용되는 M12 앵커는 기술 매뉴얼에서 제시하고 있는 소정의 인장내력을 충분히 발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9a 내지 도 9e에 실험체 1 내지 4(BW1, BW2, BW3, BW4) 및 대조 실험체(NW)의 균열 및 파괴 양상이 도시된다.
도 10a 에 실험체 1(BW1) 및 실험체 2(BW2)의 사이클 별 균열 형상이 도시된다.
도 10b 에 실험체 3(BW3) 및 실험체 4(BW4)의 사이클 별 균열 형상이 도시된다.
도 10c에, 각 실험체(NW, BW1, BW2, BW3, BW4) 별 하중-변위 비교 그래프가 도시된다.
도 11에, 각 실험체(NW, BW1, BW2, BW3, BW4) 별 검증 실험 결과 표가 도시된다.
도 12에, 각 실험체(NW, BW1, BW2, BW3, BW4) 별 포락선 비교 그래프가 도시된다.
도 13a 내지 도 13c에, 각 실험체(BW1, BW2, BW3, BW4) 별 강성저하 비교를 위한 그래프가 도시된다.
도 14에, 각 실험체(BW1, BW2, BW3, BW4) 별 에너지 소산 능력 비교를 위한 그래프가 도시된다.
도 15에, 각 실험체(BW1, BW2, BW3, BW4) 별 중립축을 계산하기 위한 표가 도시된다.
도 16a 내지 도 16d에, 각 실험체(BW1, BW2, BW3, BW4) 별 철근의 변형률 분포 그래프가 도시된다.
도 17에, 각 실험체(BW1, BW2, BW3, BW4) 별 철근의 변형률 분포 비교 그래프가 도시된다.
이하에서, '기존 건물(10)'은 내진 보강이 필요한 건물이면 한정되지 않으나, 일 실시예에서, 벽식 구조의 건물 또는 판상형 건물일 수 있다. 다만, 후술하는 '장변 방향'의 결정을 위해 가로 세로 비율이 다른 비정형(non-rectangular) 건물을 가정한다.
이하에서, '장변 방향'은 기존 건물(10)을 기준으로 하여 양 측벽을 향해 길게 형성되는 방향을 의미하며, '단변 방향'은 기존 건물(10)을 기준으로 기존 건물(10)의 전면과 후면을 향해 형성되는 방향을 의미한다(도 1 참조).
이하에서, '수직 방향'은 기존 건물(10)의 높이 즉 상하로 연장되는 길이 방향을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부축벽 조립체를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에서, 본 발명을 이루는 구성요소들은 필요에 따라 일체형으로 사용되거나 각각 분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 형태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여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형태 및 구성요소의 개수에 있어서도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부축벽 조립체 구성의 설명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부축벽 조립체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축벽 조립체(100)는 기존 건물(10)의 장변 방향에 위치하는 양 측벽(11)과 결합되어 기존 건물(10)의 내진 성능을 보강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축벽 조립체(100)는 내진 성능 보강을 위해 특화된 부축벽으로서 콘크리트가 충진되는 것이며, 띠철근 부재(110), 보강 부재(115), 및 주근 부재(210)를 포함한다.
부축벽 조립체(100)는 장변 방향을 기준으로 기존 건물(10)의 측벽(11) 길이 대비 4배의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띠철근 부재(110)는 다수 개로 수직 방향(상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배근되며, ㅁ자 형상이되 기존 건물(10)을 향해 개방부(111)를 갖는다.
보강 부재(115)는 띠철근 부재(110)에 각각 구비되어 강도를 보강하며, 개방부(111)를 향하여 개방되는 ㄷ자 형태이다.
보강 부재(115)는 띠철근 부재(110)에 용접된 채 구비될 수 있다.
띠철근 부재(110)에 구비되는 보강 부재(115)에 의해 최소한의 띠 철근으로 일정 수준 이상의 내진 성능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보강 부재(115)의 단변 방향으로의 폭은 띠철근 부재(110)의 단변 방향으로의 폭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보강 부재(115)가 띠철근 부재(100)의 철근 일부에 용접되어 강도를 보강해야 하기 때문이다.
주근 부재(210)는 띠철근 부재(110) 및 보강 부재(115)의 각각의 내측 모서리에 위치한다.
즉, 주근 부재(210)의 외측으로 다수의 띠철근 부재(110) 및 보강 부재(115)가 소정의 간격을 가지며 수직 방향으로 배근되는 것이다.
주근 부재(210) 중 개방부(111)와 대향되는 띠철근 부재(110)의 내측 모서리에 위치하는 주근 부재와 보강 부재(115)의 내측 모서리에 위치하는 주근 부재는 장변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한 쌍으로 배근된다(도 3 참조).
부축벽 조립체(100)는 측벽(11)의 수직 방향(높이 방향)으로 구비되는 티형 보강 철골(200)에 의해 기존 건물(10)의 측벽(11)에 결합된다.
티형 보강 철골(200)은 기존 건물(10)의 측벽(11)의 높이와 상응하는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티형 보강 철골(200)은 기존 건물(10)의 측벽(11)과 면하는 결합부(201); 및 결합부(201)에서 장변 방향을 향해 연장되되 관통공(202H)이 구비되는 연장부(202)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티형 보강 철골(200)은 결합부(201)가 15mm의 두께(장변 방향으로의 길이)와 200mm의 너비(단변 방향으로의 길이)를 가지며, 연장부(202)는 15mm의 두께(단변 방향으로의 길이)와 185mm의 너비(장변 방향으로의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티형 보강 철골(200)은, 측벽(11)의 수직 방향(상하 길이 방향)으로 다수 사용되는 앵커(102)에 의해 앵커링된다. 티형 보강 철골(200)이 앵커링 됨으로써 부축벽 조립체(100)를 측벽(11)에 앵커링하는 것이다.
관통 다우얼 철근(300)은 결합부(201)와 평행하도록 관통공(202H)에 관통 결합된다. 이를 위해, 다우얼 철근(300)의 단면과 관통공(202H)의 형상은 대응되어 긴밀하게 결합될 것이다.
관통 다우얼 철근(300)에 의해, 부축벽 조립체(100) 내에서의 티형 보강 철골(200) 및 다수의 스터드볼트(190)의 탈락이 방지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부축벽 조립체(100)의 하단부에 단부 지압 강판(180) 및 다수의 스터드볼트(190)를 더 포함한다.
단부 지압 강판(180)은 부축벽 조립체(100)가 설치되는 바닥과 면하며, 부축벽 조립체(1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스터드볼트(190)는 다수개 구비되어 티형 보강 철골(200)의 수직 방향으로 용접된다. 이때, 스터드볼트(190)는 소정의 간격을 갖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티형 보강 철골(200)에 용접된다(도 3 참조).
다수의 스터드볼트(19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사이에 관통 다우얼 철근(300)이 위치한다.
관통 다우얼 철근(300)에 의해 티형 보강 철골(200) 및 다수의 스터드볼트(190)의 부축벽 조립체(100) 내에서의 탈락이 방지될 것이다.
띠철근 부재(110)는 직경 13mm이며 수직 방향으로 300mm 간격으로 배근된다. 기존 건물(10)의 규모에 따라 띠철근 부재(110)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주근 부재(210)는 바람직하게는 직경 25mm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관통 다우얼 철근(300)은 바람직하게는 직경 13mm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앵커(102)는 측벽(11) 면적에 상응하는 개수로 구비되며, 바람직하게는 측벽(11)의 폭 1m당 20개 설치될 수 있다.
앵커(102)는 바람직하게는 m12 앵커볼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작업자가 볼트 체결의 단계를 줄이기 위해 필요에 따라 케미컬 앵커로 대체시킬 수도 있다.
부축벽 조립체(100)의 하단부는 기초판(1)에 매입되며, 일 실시예에서, 부축벽 조립체(100)의 하단부에 포함되는 스터드볼트(190)는 10개이며, 관통 다우얼 철근(300)은 5개일 수 있다.
도 2 내지 도 3에 개시된 BW2&BW4 실험체를 참고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부축벽 조립체(100')의 경우, 주근 부재(210) 중 띠철근 부재(110)의 상기 개방부(111)측의 내측 모서리에 위치하는 주근 부재는 단변 방향으로 서로 접하며 한 쌍으로 배근된다.
기존 건물(10)의 규모에 따라 제1 실시예에 따른 부축벽 조립체(100)에 비해 내진 보강 성능이 더 뛰어난 제2 실시예에 따른 부축벽 조립체(100')를 설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부축벽 조립체(100, 100')와의 긴밀한 결합을 위해 측벽(11)은 치핑될 수 있다.
부축벽 조립체의 내진 성능 검증
도 5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부축벽 조립체(100)의 내진 성능 검증 실험 및 결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축벽 조립체(100)의 내진 성능을 검증하기 이하의 각 실험체들에 벽체 면외방향실험(member test)을 반복하여 진행하였다.
대조 실험체(NW)는 내진 성능이 보강되지 않은 기존 벽체이다.
실험체 1(BW1) 및 실험체 3(BW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부축벽 조립체(100)의 실험체며, 실험체 1(BW1) 및 실험체 3(BW3)의 차이는 치핑 유무로, 실험체 3(BW3)가 치핑 처리가 된 실험체다.
실험체 2(BW2) 및 실험체 4(BW4)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부축벽 조립체(100)의 실험체며, 실험체 2(BW2) 및 실험체 4(BW4)의 차이는 치핑 유무로, 실험체 4(BW4)가 치핑 처리된 실험체다.
도 5 내지 도 6에 검증 실험을 위한 실험체 및 실험 재료들의 세팅 정보가 도시된다.
도 7 내지 도 8에 각 재료들의 강도 실험이 도시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앵커(102)에 사용되는 M12 앵커는 기술 매뉴얼에서 제시하고 있는 소정의 인장내력을 충분히 발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9a 내지 도 9e에 실험체 1 내지 4(BW1, BW2, BW3, BW4) 및 대조 실험체(NW)의 균열 및 파괴 양상이 도시된다.
도 10a 에 실험체 1(BW1) 및 실험체 2(BW2)의 사이클 별 균열 형상이 도시되고, 도 10b 에 실험체 3(BW3) 및 실험체 4(BW4)의 사이클 별 균열 형상이 도시된다.
즉, 도 10a 내지 도 10b에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실험체 2(BW2) 및 실험체 4(BW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실험체(BW1 내지 BW4) 대비 2사이클을 더 버틸 수 있는 것으로 검증된다.
도 10 내지 도 17를 통해 확인되는 바와 같이, 실험체 1(BW1) 및 실험체 3(BW3)의 경우 대조 실험체(NW) 대비 내력이 약 200배 정도 증진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험체 2(BW2) 및 실험체 4(BW4)의 경우 대조 실험체(NW) 대비 내력이 약 1000배 정도 이상 증진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체 1(BW1) 및 실험체 3(BW3)은 콘크리트 박리가 시작되면서 에너지 소산능력이 다소 떨어지는 것으로 확인되나, 상기 검증한 바와 같이, 실험체 1 내지 4(BW1, BW2, BW3, BW4)는 대조 실험체(NW) 대비 모두 뛰어난 에너지 소산능력을 가져서, 뛰어난 내진 성능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부축벽 조립체인 실험체 1 내지 4(BW1, BW2, BW3, BW4)로 인해 강도, 강성 및 에너지소산 능력이 증진될 것으로 검증되는 바, 본 발명에 따른 부축벽 조립체(100)를 기존 건물(10)에 적용할 경우, 기존 건물의 내진 성능을 보강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기존 건물
11: (기존 건물의) 측벽
100: 부축벽 조립체
102: 앵커
110: 띠철근 부재
111: 개방부
180: 단부 지압 강판
190: 스터드볼트
200: 티형 보강 철골
201: 결합부
202: 연장부
202H: 관통공
210: 주근 부재
300: 다우얼 철근

Claims (12)

  1. 기존 건물(10)의 장변 방향에 위치하는 양 측벽(11)에 결합되어 콘크리트가 충진되는 부축벽 조립체(100)에 있어서,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배근되며, ㅁ자 형상이되 상기 기존 건물(10)을 향해 개방부(111)를 갖는 다수의 띠철근 부재(110);
    상기 띠철근 부재(110)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개방부(111)를 향하여 개방되는 ㄷ자 형태의 보강 부재(115);
    상기 다수의 띠철근 부재(110) 및 상기 보강 부재(115)의 내측 모서리에 위치하는 주근 부재(210); 를 포함하고,
    상기 부축벽 조립체(100)는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는 티형 보강 철골(200)에 의해 상기 기존 건물(10)의 상기 측벽(11)에 결합되며,
    상기 주근 부재(210) 중 상기 개방부(111)와 대향되는 상기 띠철근 부재(110)의 내측 모서리에 위치하는 주근 부재와 상기 보강 부재(115)의 내측 모서리에 위치하는 주근 부재는 상기 장변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한 쌍으로 배근되고,
    상기 보강 부재(115)의 단변 방향으로의 폭은 상기 띠철근 부재(110)의 단변 방향으로의 폭보다 작은,
    부축벽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축벽 조립체(100)의 길이는, 상기 장변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기존 건물(10)의 상기 측벽(11) 길이에 4배인,
    부축벽 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근 부재(210) 중 상기 띠철근 부재(110)의 상기 개방부(111)측의 내측 모서리에 위치하는 주근 부재는 단변 방향으로 서로 접하며 한 쌍으로 배근되는,
    부축벽 조립체.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티형 보강 철골(200)은,
    상기 기존 건물(10)의 상기 측벽(11)과 면하는 결합부(201); 및
    상기 결합부(201)에서 상기 장변 방향을 향해 연장되되 관통공(202H)이 구비되는 연장부(202)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201)와 평행하도록 상기 관통공(202H)에 관통 결합되는 관통 다우얼 철근(300)을 포함하는,
    부축벽 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부축벽 조립체(100)의 하단부에,
    바닥과 면하는 단부 지압 강판(180);
    상기 티형 보강 철골(200)에 수직 방향으로 용접되되, 한 쌍으로 구비되는 다수의 스터드볼트(19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스터드볼트(19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사이에 상기 관통 다우얼 철근(300)이 위치하고,
    상기 관통 다우얼 철근(300)에 의해 상기 티형 보강 철골(200) 및 상기 다수의 스터드볼트(190)의 탈락이 방지되는,
    부축벽 조립체.
  6.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11)은 치핑되는,
    부축벽 조립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티형 보강 철골(200)은, 상기 측벽(11)의 길이 방향으로 다수 사용되는 앵커(102)에 의해 앵커링되어, 상기 부축벽 조립체(100)를 상기 측벽(11)에 앵커링하는,
    부축벽 조립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띠철근 부재(110)는 직경 13mm이며 수직 방향으로 300mm 간격으로 배근되고,
    상기 주근 부재(210)는 직경 25mm인,
    부축벽 조립체.
  9. 삭제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다우얼 철근(300)은 직경 13mm 인,
    부축벽 조립체.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102)는 상기 측벽(11) 면적에 상응하는 개수로 구비되어, 상기 측벽(11)의 폭 1m당 20개 설치되며,
    상기 앵커(102)는 m12 앵커볼트인,
    부축벽 조립체.
  12.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부축벽 조립체(100)의 상기 하단부는 기초판에 매입되며,
    상기 부축벽 조립체(100)의 상기 하단부에 포함되는 상기 스터드볼트(190)는 10개이며, 상기 관통 다우얼 철근(300)은 5개인,
    부축벽 조립체.
KR1020190052537A 2019-05-03 2019-05-03 내진 보강을 위한 부축벽 조립체 KR1022057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2537A KR102205718B1 (ko) 2019-05-03 2019-05-03 내진 보강을 위한 부축벽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2537A KR102205718B1 (ko) 2019-05-03 2019-05-03 내진 보강을 위한 부축벽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8323A KR20200128323A (ko) 2020-11-12
KR102205718B1 true KR102205718B1 (ko) 2021-01-22

Family

ID=73398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2537A KR102205718B1 (ko) 2019-05-03 2019-05-03 내진 보강을 위한 부축벽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57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0948B1 (ko) 2020-12-21 2021-08-19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지붕층을 이용하는 부축벽 조립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1819B1 (ko) * 2017-04-10 2017-10-31 티앤에스엔지니어링 (주) 건물의 내진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기둥의 안정성을 높인 강판프레임 콘크리트 내진보강공법
KR101882386B1 (ko) * 2017-09-05 2018-07-26 주식회사 옥타곤엔지니어링 이중 횡보강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보강 공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4046A (ja) * 1996-03-29 1997-10-07 Hazama Gumi Ltd 鉄筋コンクリート造壁柱の配筋構造及び施工方法
JP3396600B2 (ja) 1997-07-11 2003-04-14 戸田建設株式会社 既存建物の耐震補強構造
JPH1181703A (ja) 1997-09-01 1999-03-26 Shiiku Kenkyusho:Kk 災害対策を考慮した外部耐震補強構法
KR20130018343A (ko) 2013-01-03 2013-02-20 벽송이엔씨(주) 접합보강판 및 강재쐐기를 이용한 src단면증설내진보강 접합구조, 이를 이용한 src단면증설내진보강공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1819B1 (ko) * 2017-04-10 2017-10-31 티앤에스엔지니어링 (주) 건물의 내진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기둥의 안정성을 높인 강판프레임 콘크리트 내진보강공법
KR101882386B1 (ko) * 2017-09-05 2018-07-26 주식회사 옥타곤엔지니어링 이중 횡보강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보강 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8323A (ko) 2020-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99628A (en) Apparatus for enhancing structural integrity of masonry structures
EP3263795A1 (en) Composite structural wall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KR101346814B1 (ko) 노후 철근콘크리트 보-기둥 구조물을 위하여 피씨부재를 활용한 리모델링 내진보강 접합구조 및 이를 이용한 건물 리모델링 시공 방법
Solarino et al. Wall-to-horizontal diaphragm connections in historical buildings: A state-of-the-art review
US3938294A (en) Method of erecting a frame structure for buildings
Wijaya et al. Experimental study on wall-frame connection of confined masonry wall
EP1905909A2 (en) Apparatus for rigidly securing together prefabricated floor-support beams and prefabricated pillars
KR102205718B1 (ko) 내진 보강을 위한 부축벽 조립체
KR20120090502A (ko) 3방향 구속타입 전면판을 갖는 쏘일네일 장치
Plumier et al. Seismic behaviour and design of composite steel concrete structures
JP2021088888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耐震壁の接合構造
JP2009046829A (ja) 耐震補強壁
KR101652621B1 (ko) 기존 건물의 내진 구조물
JP2012052358A (ja) 建物の補強構造
KR101466683B1 (ko) 노후 철근콘크리트 보-기둥 구조물을 위하여 피씨부재를 활용한 리모델링 내진보강 접합구조 및 이를 이용한 건물 리모델링 시공 방법
GB2270535A (en) Methods of reinforcing walls
Ozturk et al.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strengthening of RC frames with soft storey irregularities with different types of steel diagonals
KR102290948B1 (ko) 지붕층을 이용하는 부축벽 조립체
EA031378B1 (ru) Сборно-монолитный железобетонный каркас многоэтажного здания
RU167496U1 (ru) Сборная плита перекрытия трехслойной конструкции для безригельных каркасов
JP2006022572A (ja) 既存建物の外フレーム式の耐震補強構造
Hery et al. Beam-to-beam connection of precast concrete structures: state of the art
KR20130051183A (ko) 내진 보강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내진 보강 방법
KR102591264B1 (ko) 외부 부착 현장 타설 철근콘크리트 골조를 사용한 기존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내진보강 공법
KR102324930B1 (ko) 모듈러 시스템 접합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