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0948B1 - 지붕층을 이용하는 부축벽 조립체 - Google Patents

지붕층을 이용하는 부축벽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0948B1
KR102290948B1 KR1020200179902A KR20200179902A KR102290948B1 KR 102290948 B1 KR102290948 B1 KR 102290948B1 KR 1020200179902 A KR1020200179902 A KR 1020200179902A KR 20200179902 A KR20200179902 A KR 20200179902A KR 102290948 B1 KR102290948 B1 KR 1022909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existing building
wall
iron plate
wall assembl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9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현
엄태성
허무원
박태원
Original Assignee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79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09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0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094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7Preventive constructional measures against earthquake damage in existing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 건물(10)의 장변 방향에 위치하는 측벽(11)의 외측에 설치되는 부축벽 조립체(100)에 있어서, 상기 부축벽 조립체(100)는, 상기 측벽(11)에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앵커링되는 다수의 보강 기둥(110); 상기 보강 기둥(110)의 사이공간을 향하도록 상기 보강 기둥(110)의 일측 또는 양측에 결합되며, 단면이 ㄷ자 형태이며, 연장부에 체결공(111h)이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 형성된 체결부재(111); 및 상기 보강 기둥(110)의 사이공간에 위치하여 볼트(121)에 의해 상기 다수의 체결공(111h)에 각각 체결 가능한 다수의 모듈벽체(120);를 포함하고, 상기 기존 건물(10)의 상부와 상기 보강 기둥(110)의 상부는 보 조립체(200)에 의해 더 연결되는 부축벽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기존 건물의 내진보강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지붕층을 이용하는 부축벽 조립체{Buttress assembly using roof layer}
본 발명은 부축벽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벽체 면적이 부족하나 내진 보강이 필요한 기존의 건물들을 내진 보강할 수 있도록 지붕층을 이용하는 부축벽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 내진 설계된 기존 건물의 지진에 대한 안정성 평가와 보강 방안은 대상 건물에 대한 현장실태조사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반영함으로써 내진 성능 평가를 수행해야 한다. 그리고, 내진 성능 평가 결과를 기초로 내진 보강 유무, 적정 보강 방안 등을 수립하여 기존 건물을 적정 보강 방안을 토대로 내진 보강하게 된다.
종래의 벽식 구조 및 판상형 구조를 포함하는 비 내진 설계된 기존 건물은 지진 하중을 견딜 수 없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보강 방안을 수립한 후 내진을 보강하게 된다.
일반적인 방법, 즉, 단변 방향으로 비 내진 설계된 기존 건물을 내진 보강할 경우, 기초공사가 복잡하여 시공성을 확보하기 어려웠으며, 기존 건물의 내부에서부터 내진 보강이 진행되기 때문에, 기존 건물에 거주하던 기존 건물의 입주민들을 이주시키는 과정이 꼭 필요했다.
이 과정에서, 입주민들의 거주지를 마련하고 이주하지 않은 입주민을 이주시키는 과정이 필수적이고, 이 과정은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해 공기 단축은 물론 시공성을 더욱 확보하기 어려웠다.
관련하여, 한국 등록특허공보인 제10-2093322호가 개시된다.
비내력벽을 갖는 건물의 내진 보강을 위한 부축벽 조립체가 개시되어, 입주민 이주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으나, 저층 라멘 구조 등을 포함하는 비내진설계 및 내진설계 된 기존 건물이 지진 하중을 견딜 수 없던 문제가 발생하였다.
관련하여, 한국 공개특허공보인 제10-2020-0128323호가 개시된다.
내진 보강을 위한 부축벽 조립체가 개시되어, 입주민 이주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으나, 저층 라멘 구조 등을 포함하는 비내진설계 및 내진설계 된 기존 건물이 지진 하중을 견딜 수 없던 문제가 여전히 발생하였다.
즉, 본 출원인이 출원한 상기와 같은 특허에서 발생한 문제점과 시공성을 개선하고자 하였으며, 특히, 기존 특허출원들의 문제점인 많은 앵커수량과 앵커의 묻힘깊이 확보에 따른 문제점과 입주민이 거주하고 있는 상황에서 시공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도 해결하고자 하였다.
KR 10-2093322 B1 KR 10-2020-0128323 A KR 10-2013-0018343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저층 라멘 구조 등을 포함하는 비내진설계 및 내진설계 된 기존 건물이 지진 하중을 견딜 수 없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또한, 많은 앵커수량과 앵커의 묻힘깊이 확보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또한, 입주민이 거주하고 있는 상황에서 시공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기존 건물(10)의 장변 방향에 위치하는 측벽(11)의 외측에 설치되는 부축벽 조립체(100)에 있어서, 상기 부축벽 조립체(100)는, 상기 측벽(11)에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앵커링되는 다수의 보강 기둥(110); 상기 보강 기둥(110)의 사이공간을 향하도록 상기 보강 기둥(110)의 일측 또는 양측에 결합되며, 단면이 ㄷ자 형태이며, 연장부에 체결공(111h)이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 형성된 체결부재(111); 및 상기 보강 기둥(110)의 사이공간에 위치하여 볼트(121)에 의해 상기 다수의 체결공(111h)에 각각 체결 가능한 다수의 모듈벽체(120);를 포함하고, 상기 기존 건물(10)의 상부와 상기 보강 기둥(110)의 상부는 보 조립체(200)에 의해 더 연결되는 부축벽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보 조립체(200)는 연결 철물(210)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 철물(210)은, 상기 기존 건물(10)의 상부와 상기 부축벽 조립체(100)의 상부에 이어지는 바닥 철판(211); 상기 바닥 철판(211)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기존 건물(10)에 설치되는 앵커(212); 상기 바닥 철판(211)에서 상측으로 위치한 다수의 연결 철판(213); 및 상기 연결 철판(213)을 통과하도록 수평으로 배근되는 철근(214)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강 기둥(110)은 상기 기존 건물(10)의 측벽 사이에 위치하는 보강 철물(150)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강 철물(150)은, 상기 기존 건물(10)의 측벽에 맞닿는 수직 철판(151); 상기 수직 철판(151)에서 측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시존 건물(10)의 측벽에 설치되는 앵커(152); 상기 수직 철판(151)에 맞닿으며 상기 보강 기둥(110)의 상부에 위치하는 수평 철판(153); 및 상기 수평 철판(153)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보강 기둥(110)에 설치되는 스터드 볼팅부(15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강 기둥(110) 및 상기 체결부재(111)는 단일 모듈로 형성되며, 상기 모듈벽체(120)는 적층 가능하여 상기 기존 건물(10)의 부족한 내진성능을 보강할 수 있으며, 상기 모듈벽체(120)는 상기 기존 건물(10)과 결합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축벽 조립체(100)는 상기 측벽(11) 외측에 이격되어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이용한 기존 건물의 내진보강 방법은, (a) 상기 보강 기둥(110) 및 상기 체결부재(111)를 상기 측벽(11)에 등간격으로 배치한 후 앵커링하여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보강 기둥(110) 사이 공간에 상기 모듈벽체(120)가 적층되는 단계; (c) 상기 모듈벽체(120)가 상기 체결공(111h)을 통과한 볼트(121)에 의해 상기 보강 기둥(110)에 고정되는 단계; 및 (d) 상기 기존 건물(10)의 상부와 상기 보강 기둥(110)의 상부를 보 조립체(200)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부축벽 조립체에 의해 기존 건물이 면외 저항이 생겨 지진 하중을 견딜 수 있게 된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부축벽 조립체는 기존 건물의 장변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어서, 기존 건물의 부지 내에서 인동 간격을 확보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부축벽 조립체는 장변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어서, 단변 방향으로 설치되는 벽보다 기초공사가 간소화되고, 이에 따라 시공성이 확보된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부축벽 조립체는 기존 건물 입주민의 이주가 필요 없으며, 내진 보강을 위한 공사가 모두 외부에서 진행되어 내진 보강을 위한 공사가 진행되는 동안 거주가 가능하다.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른 부축벽 조립체는 조립체 형태로 제공될 수 있는 것이어서, 기존 전체 습식공정 중 약 50%를 건식공정으로 변경하여 기존 대비 약 50%의 공사기간을 줄일 수 있으며, 시공성이 뛰어나다.
여섯째, 본 발명에 따른 부축벽 조립체는 보강 기둥을 최소화하여 설치하기 때문에 앵커수량이 반으로 줄어, 시공시 입주민이 입는 소음진동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에, 본 발명에 따른 부축벽 조립체를 이용해 기존 건물을 내진 보강한 경우를 도시한다.
도 2에, 본 발명에 따른 부축벽 조립체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강 기둥과 기존 건물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에 따라 부축벽 조립체를 이용해 보강한 기존 건물을 상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에 따라 부축벽 조립체를 이용해 보강한 기존 건물을 상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강 기둥과 보 조립체와 기존 건물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측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보 조립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부축벽 조립체의 전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부축벽 조립체의 내진 성능 검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기존 건물(10)'은 내진 보강이 필요한 건물이면 한정되지 않으나, 일 실시예에서, 벽식 구조의 건물 또는 판상형 건물일 수 있다. 다만, 후술하는 '장변 방향'의 결정을 위해 가로 세로 비율이 다른 비정형(non-rectangular) 건물을 가정한다.
이하에서, '장변 방향'은 기존 건물(10)을 기준으로 하여 양 측벽을 향해 길게 형성되는 방향을 의미하며, '단변 방향'은 기존 건물(10)을 기준으로 기존 건물(10)의 전면과 후면을 향해 형성되는 방향을 의미한다(도 1 참조).
이하에서, '수직 방향'은 기존 건물(10)의 높이 즉 상하로 연장되는 길이 방향을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부축벽 조립체를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에서, 본 발명을 이루는 구성요소들은 필요에 따라 일체형으로 사용되거나 각각 분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 형태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여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형태 및 구성요소의 개수에 있어서도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부축벽 조립체 구성의 설명
도 1 내지 도 5,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부축벽 조립체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축벽 조립체(100)는 기존 건물(10)의 장변 방향에 위치하는 양 측벽(11)과 결합되어 기존 건물(10)의 내진 성능을 보강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축벽 조립체(100)는 내진 성능 보강을 위해 특화된 부축벽으로서, 측벽(11) 외측에 위치하며, 보강 기둥(110), 모듈벽체(120), 보강 철물(150) 및 보 조립체(200)를 포함한다.
보강 기둥(110)은 다수로 측벽(11)에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앵커링된다(도 2, 도 4 및 도 5 참조).
보강 기둥(110)은 콘크리트 타설된 기둥일 수 있으나, 이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보강 기둥(110)이 콘크리트 타설될 때 후술할 체결부재(111)와 함께 타설되어 모듈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체결부재(111)는 'ㄷ'형상으로, 등간격으로 설치된 보강 기둥(110)의 사이공간을 향하도록 보강 기둥(110)의 일측 또는 양측에 결합된다(도 2 내지 도 3, 및 도 8 참조).
체결부재(111)는 돌출부(111p)와 체결공(111h)을 포함한다.
돌출부(111p)는 체결부재(111)의 몸체에서 보강 기둥(110)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돌출부(111p)에 의해 체결부재(111)가 보강 기둥(110)과 안정적으로 일체화될 것이다.
체결공(111h)은 체결부재(1111)의 연장부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 형성된다. 다수의 체결공(111h)에 후술할 볼트(121)가 각각 체결될 것이다.
측벽(11)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보강 기둥(110)의 경우, 중심쪽에 위치하는 보강 기둥(110)들의 향하는 일측에만 체결부재(111)가 결합된 채이고, 중심쪽에 위치하는 보강 기둥(110)의 경우, 체결부재(111)는 보강 기둥(110)의 양측 모두에 결합될 것이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체결공(111h)은 체결부재(111)의 내측 연장부엔 형성되지 않고 외측 연장부에만 형성되어, 후술할 모듈벽체(120)를 보강 기둥(110)에 고정할 수 있다.
다시 강조하면, 보강 기둥(110) 및 체결 부재(111)는 단일로 형성되어, 기존 건물(10)의 측벽(11) 외측에 설치될 수 있다.
모듈벽체(120)는 보강 기둥(110)의 사이공간에 위치하여, 체결부재(111)의 날개 중 외측에 위치하는 날개에 형성된 체결공(111h)에 체결되는 볼트(121)에 의해 체결되어 보강 기둥(110)에 고정된다. 즉, 모듈벽체(120)는 양 측의 보강 기둥(110)의 체결부재(111)의 체결공(111h)에 체결되는 볼트(121)에 의해 양 측의 보강 기둥(110)에 고정되는 것이다.
모듈벽체(120)는 적층 가능하여 상기 기존 건물(10)의 부족한 내진성능을 보강할 수 있으며, 모듈벽체(120)는 기존 건물(10)과는 결합되지 않고, 보강 기둥(110)에만 연결되어 기존 건물(10)과의 앵커링이 없이도, 내진보강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모듈벽체(120)는 PC로 제작가능하며, 칼라 강판등으로 제작하여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도 8 참조).
보강 철물(150)은 보강 기둥(110)과 기존 건물(10)의 측벽(11) 사이에 위치하며, 일 실시예에서 측벽(11)에 포함될 수 있다.
보강 철물(150)은 수직 철판(151), 앵커(152), 수평 철판(153), 및 스터드 볼팅부(154)를 포함한다.
수직 철판(151)은 기존 건물(10)의 측벽에 맞닿는다. 구체적으로, 수직 철판(151)은 기존 건물(10)의 측벽 상부에 위치한다.
앵커(152)는 수직 철판(151)에서 측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기존 건물(10)의 측벽에 설치된다.
수평 철판(153)은 수직 철판(151)에 맞닿으며 보강 기둥(110)의 상부에 위치한다.
스터디 볼팅부(154)는 수평 철판(153)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보강 기둥(110)에 설치된다.
도 6 내지 도 7을 더 참조하여 보 조립체(200)를 설명한다.
보 조립체(200)는 기존 건물(10)의 상부와 부축벽 조립체(100) 중 보강 기둥(110)의 상부에 앵커링된다. 즉, 모듈벽체(120)의 상부에는 앵커링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위해 기존 건물(10)의 옥상에 앵커가 미리 설치될 수 있다.
보 조립체(200)는 연결철물(210)을 포함한다.
연결철물(210)은 바닥 철판(211), 앵커(212), 연결 철판(213) 및 철근(214)을 포함한다.
바닥 철판(211)은 기존 건물(10)의 상부와 부축벽 조립체(100)의 상부에 이어진다. 구체적으로, 보강 기둥(110)의 상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앵커(212)는 바닥 철판(211)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기존 건물(10)에 설치된다.
연결 철판(213)은 바닥 철판(211)에서 상측으로 위치하며, 철근(214)이 배근될 수 있도록 홈 또는 안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철근(214)은 한 쌍으로, 확대머리 철근일 수 있으며, 구비된 나사텝(215)에 의해 확대머리 반대쪽인 타측에서 체결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 부축벽 조립체(100)는 측벽(11) 외측에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보 조립체(200)에 의해 기존 건물(10)과 연결될 것이다(도 5 참조).
부축벽 조립체를 이용한 기존 건물의 내진보강 방법
본 발명에 따른 부축벽 조립체를 이용한 기존 건물의 내진보강 방법은, (a) 단일로 형성된 보강 기둥(110) 및 체결부재(111)를 측벽(11)에 등간격으로 배치한 후 앵커링하여 설치하는 단계, (b) 보강 기둥(110)들의 사이 공간에 모듈벽체(120)가 적층되는 단계, (c) 모듈벽체(120)가 체결부재(111)의 체결공(111h)을 통과한 볼트(121)에 의해 보강 기둥(110)들에 고정되는 단계, 및 (d) 기존 건물(10)의 상부와 보강 기둥(110)의 상부를 보 조립체(200)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a) 단일로 형성된 보강 기둥(110) 및 체결부재(111)를 측벽(11)에 등간격으로 배치한 후 앵커링하여 설치하는 단계에서, 보강 기둥(110)의 수량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등간격으로 배치하여 앵커링할 수 있다.
보강 기둥(110)의 수량을 최소화 할 경우, 앵커 설치 개수를 줄여, 다수의 앵커링으로 인해 기존 건물 내부의 입주민이 겪었던 소음진동문제가 최소화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부축벽 조립체(100)는 보 조립체(200)에 더 연결되어 상대적으로 앵커링을 최소화하여도 충분한 내진보강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b) 보강 기둥(110)들의 사이 공간에 모듈벽체(120)가 적층되는 단계에서, 기존 건물(10)과 연결된 보강 기둥(110)으로 채워지지 않아 부족한 내진성능을 보강하기 위해 모듈벽체(120)를 적층하여 부족한 내진성능을 보강할 수 있다.
다음으로, (c) 모듈벽체(120)가 체결부재(111)의 체결공(111h)을 통과한 볼트(121)에 의해 보강 기둥(110)들에 고정되는 단계에서, 사이 공간에 적층된 모듈벽체(120)를 볼트(121)가 체결공(111h)을 통과하여 보강 기둥(110)에 고정할 수 있다. 이때, 모듈벽체(120)의 좌측 및 우측에 너트가 삽입된 채여서 체결공(111h)을 통과한 볼트(121)로 고정할 것이다.
다음으로, (d) 기존 건물(10)의 상부와 보강 기둥(110)의 상부를 보 조립체(200)로 연결하는 단계에서, 보 조립체(200)의 연결철물(210)을 앵커링하여 기존 건물(10)의 상부와 보강 기둥(110)의 상부를 하는 것이다.
기존 건물(10)의 상부와 보강 기둥(110)의 상부에 설치된 보 조립체(200)에 의해 부족한 전단력이 보강된다.
부축벽 조립체의 내진 성능 검증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부축벽 조립체(100)의 내진 성능 검증 결과를 설명한다.
발명의 배경기술에서 기존 특허 시스템의 경우 좌우측 측벽을 이용하여 외곽에 부축벽을 설치하는 공법으로, 아래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했다.
전체 벽체 면을 모두 천공하여야 하며, 앵커 수량이 많은데, 프로그램을 이용해 구조시스템을 해석할 경우 전단력과 휨모멘트가 함께 발생하여 실제 앵커 수량인 더 증가하게 되어, 건물 내부의 입주민들에게 많은 소음을 제공하는 문제가 발생했다.
구체적으로, 기존 특허에 따른 부축벽조립체를 이용해 기존 건물을 내진보강할 경우, 5층 철근콘크리트 건물의 좌우측에 부축벽을 설치한다고 가정하면, 보강 기둥의 접합면에서, 단면폭 1m 당 요구되는 경계면 전단력 Vui = 2300kN을 높이 13.0m에 걸쳐 전단 연결재를 설치하여 전달시켜야 했다.
이는, M12볼트를 앵커로 설치할 경우(개당 26.3 kN 저항), 87개 설치. M20볼트 설치 시(개당 38.1 kN 저항) 60개 설치, 부축벽 측면은 8m로 M12볼트 약 700개의 볼트와, M20 약 480개가 필요하게 되는데, 접합면에서 전단력을 저항해 줘야 하기 때문이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부축벽조립체를 이용한 시공방법의 경우, 기존 특허 대비 아래와 같이 앵커 설치 수량을 최소할 수 있다.
또한, 측벽(11)에 부착되는 부축벽 조립체(100)에 포함되는 보강 기둥(110)의 수량을 최소화 하여 앵커 설치 개수를 줄이고, 실제 부축벽 조립체가 전단력만을 받을 수 있도록 상부를 보 조립체(200)로 연결하여 설치하였다.
부족한 내력은 모듈벽체(120)를 PC벽체로하여 내진 보강이 필요한 수만큼을 설치하였다.
옥상층에서의 보 조립체(200) 연결은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스터드너트, 전산볼트 및 앵커를 이용하여 설치하며, 최종 설치 후 콘크리트 타설을 하였다.
그 결과, 5층 철근콘크리트 건물의 좌 우측에 본 시스템을 적용할 경우, 접합면이 50% 줄어들어 M12볼트를 앵커로 설치할 경우 45개 설치, M20볼트 설치 시 30개 설치, 부축벽 측면은 8m로 M12볼트 약 350개의 볼트와, M20 약 240개가 필요하였다.
결론적으로, 기존 특허 대비 앵커수량을 반으로 줄어 앵커 수량, 시공등이 줄어들어 경제적인 것이 검증된 것이다.
또한, 기존 전체 습식공정 중 약 50%를 건식공정으로 변경하여 기존 대비 약 50%의 공사기간을 줄일 수 있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기존 건물
11: (기존 건물의) 측벽
11a: 앵커
100: 부축벽 조립체
110: 보강 기둥
111: 체결부재
111h: 체결공
111p: 돌출부
120: 모듈 벽체
121: 볼트
150: 보강 철물
151: 수직 철판
152: 앵커
153: 수평 철판
154: 스터드 볼팅부
200: 보 조립체
210: 연결 철물
211: 바닥 철판
212: 앵커
213: 연결 철판
214: 철근
215: 나사텝

Claims (6)

  1. 기존 건물(10)의 장변 방향에 위치하는 측벽(11)의 외측에 설치되는 부축벽 조립체(100)에 있어서,
    상기 부축벽 조립체(100)는,
    상기 기존 건물(10)의 단변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측벽(11)에 앵커링되는 다수의 보강 기둥(110);
    상기 보강 기둥(110)의 사이공간을 향하도록 상기 보강 기둥(110)의 일측 또는 양측에 결합되며, 단면이 ㄷ자 형태로서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의 각 측에 구비된 한 쌍의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 중 외측 연장부에 체결공(111h)이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는, 체결부재(111); 및
    상기 보강 기둥(110)의 사이공간에 위치하여 볼트(121)에 의해 상기 다수의 체결공(111h)에 각각 체결 가능한 다수의 모듈벽체(120);를 포함하고,
    상기 기존 건물(10)의 상부와 상기 보강 기둥(110)의 상부는 보 조립체(200)에 의해 더 연결되는,
    부축벽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 조립체(200)는 연결 철물(210)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 철물(210)은,
    상기 기존 건물(10)의 상부와 상기 부축벽 조립체(100)의 상부에 이어지는 바닥 철판(211);
    상기 바닥 철판(211)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기존 건물(10)에 설치되는 앵커(212);
    상기 바닥 철판(211)에서 상측으로 위치한 다수의 연결 철판(213); 및
    상기 연결 철판(213)을 통과하도록 수평으로 배근되는 철근(214)을 포함하는,
    부축벽 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기둥(110)은 상기 기존 건물(10)의 측벽 사이에 위치하는 보강 철물(150)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강 철물(150)은,
    상기 기존 건물(10)의 측벽에 맞닿는 수직 철판(151);
    상기 수직 철판(151)에서 측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기존 건물(10)의 측벽에 설치되는 앵커(152);
    상기 수직 철판(151)에 맞닿으며 상기 보강 기둥(110)의 상부에 위치하는 수평 철판(153); 및
    상기 수평 철판(153)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보강 기둥(110)에 설치되는 스터드 볼팅부(154)를 포함하는,
    부축벽 조립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벽체(120)는 상기 기존 건물(10)과 결합되지 않는,
    부축벽 조립체.
  5. 기존 건물(10)의 장변 방향에 위치하는 측벽(11)의 외측에 이격되어 설치되는 부축벽 조립체(100)에 있어서,
    상기 부축벽 조립체(100)는,
    상기 기존 건물(10)의 단변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되 상기 측벽(11)에 이격되어 위치하는 다수의 보강 기둥(110);
    상기 보강 기둥(110)의 사이공간을 향하도록 상기 보강 기둥(110)의 일측 또는 양측에 결합되며, 단면이 ㄷ자 형태로서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의 각 측에 구비된 한 쌍의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 중 외측 연장부에 체결공(111h)이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 형성된 체결부재(111); 및
    상기 보강 기둥(110)의 사이공간에 적층되어 위치하며, 볼트(121)에 의해 상기 다수의 체결공(111h)에 각각 체결 가능한 다수의 모듈벽체(120);를 포함하고,
    상기 기존 건물(10)의 상부와 상기 보강 기둥(110)의 상부는 보 조립체(200)에 의해 연결되는,
    부축벽 조립체.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부축벽 조립체를 이용한 기존 건물의 내진보강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보강 기둥(110) 및 상기 체결부재(111)를 상기 측벽(11)에 등간격으로 배치한 후 앵커링하여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보강 기둥(110) 사이 공간에 상기 모듈벽체(120)가 적층되는 단계;
    (c) 상기 모듈벽체(120)가 상기 체결공(111h)을 통과한 볼트(121)에 의해 상기 보강 기둥(110)에 고정되는 단계; 및
    (d) 상기 기존 건물(10)의 상부와 상기 보강 기둥(110)의 상부를 보 조립체(200)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200179902A 2020-12-21 2020-12-21 지붕층을 이용하는 부축벽 조립체 Active KR1022909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9902A KR102290948B1 (ko) 2020-12-21 2020-12-21 지붕층을 이용하는 부축벽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9902A KR102290948B1 (ko) 2020-12-21 2020-12-21 지붕층을 이용하는 부축벽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0948B1 true KR102290948B1 (ko) 2021-08-19

Family

ID=77492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9902A Active KR102290948B1 (ko) 2020-12-21 2020-12-21 지붕층을 이용하는 부축벽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094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3836A (ko) * 2004-10-16 2006-04-20 이형훈 부벽식 옹벽용 형틀
JP2013007204A (ja) * 2011-06-24 2013-01-10 Masao Wakita 既存建物の耐震保全方法
KR20130018343A (ko) 2013-01-03 2013-02-20 벽송이엔씨(주) 접합보강판 및 강재쐐기를 이용한 src단면증설내진보강 접합구조, 이를 이용한 src단면증설내진보강공법
KR101685632B1 (ko) * 2015-07-22 2016-12-12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강도와 연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전단 접합부
KR102093322B1 (ko) 2019-07-15 2020-03-26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비내력벽을 갖는 건물의 내진 보강을 위한 부축벽 조립체
KR20200128323A (ko) 2019-05-03 2020-11-12 한국토지주택공사 내진 보강을 위한 부축벽 조립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3836A (ko) * 2004-10-16 2006-04-20 이형훈 부벽식 옹벽용 형틀
JP2013007204A (ja) * 2011-06-24 2013-01-10 Masao Wakita 既存建物の耐震保全方法
KR20130018343A (ko) 2013-01-03 2013-02-20 벽송이엔씨(주) 접합보강판 및 강재쐐기를 이용한 src단면증설내진보강 접합구조, 이를 이용한 src단면증설내진보강공법
KR101685632B1 (ko) * 2015-07-22 2016-12-12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강도와 연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전단 접합부
KR20200128323A (ko) 2019-05-03 2020-11-12 한국토지주택공사 내진 보강을 위한 부축벽 조립체
KR102093322B1 (ko) 2019-07-15 2020-03-26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비내력벽을 갖는 건물의 내진 보강을 위한 부축벽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52786B2 (en) Constructing buildings with modular wall structure
RU2376424C1 (ru) Система сборно-монолитного домостроения
KR101377327B1 (ko) 단면증설에 의한 기존 철근콘크리트 모멘트골조 건축물의 내진보강방법
KR101880494B1 (ko) 코어벽체의 내진 보강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130012898A (ko) 콘크리트충전강관기둥의 상하 분리식 접합부구조
KR101908356B1 (ko) 내진보강용 이중 철골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내진공법
KR101140378B1 (ko)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KR102071825B1 (ko) 코어형 pc 계단실 골조의 시공방법
US11155977B2 (en) Portal frame with lap joint for moment resistance
KR102290948B1 (ko) 지붕층을 이용하는 부축벽 조립체
KR102595835B1 (ko) 보강기초 일체형 pc 보강패널을 이용한 내진 보강 시스템
KR101363795B1 (ko) 모듈러 유닛 구조체와 기초 콘크리트의 접합부 구조
JP2007277856A (ja) 既存建物の耐震補強構造
KR101466683B1 (ko) 노후 철근콘크리트 보-기둥 구조물을 위하여 피씨부재를 활용한 리모델링 내진보강 접합구조 및 이를 이용한 건물 리모델링 시공 방법
KR102398605B1 (ko) Pc 보강패널을 이용한 내진 보강 시스템의 시공 방법
JP2025503245A (ja) 耐震補強用pc補強ブロック組立体及びその施工方法
KR102205718B1 (ko) 내진 보강을 위한 부축벽 조립체
JP7270900B2 (ja) メリ込み防止アンカー金物
KR102721425B1 (ko) 경기장의 관람석 출입구 pc 시공구조
KR102804833B1 (ko) 모듈러 건축물의 전단 보강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KR102438445B1 (ko) 확대머리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방법
JP6997947B2 (ja) スタッド材の設置構造
JP7189004B2 (ja) 耐震補強壁構造
JP3086384B2 (ja) 基礎構造及び基礎の施工方法
JP2025051940A (ja) 構造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31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2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5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7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8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8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