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5602B1 - 자동차용 시트모터에 결합되는 세레이션 바의 위치결정 핀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시트모터에 결합되는 세레이션 바의 위치결정 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5602B1
KR102205602B1 KR1020190042954A KR20190042954A KR102205602B1 KR 102205602 B1 KR102205602 B1 KR 102205602B1 KR 1020190042954 A KR1020190042954 A KR 1020190042954A KR 20190042954 A KR20190042954 A KR 20190042954A KR 102205602 B1 KR102205602 B1 KR 102205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ration
coupled
pusher
positioning pin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2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0274A (ko
Inventor
이용준
Original Assignee
(주)화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화소 filed Critical (주)화소
Priority to KR1020190042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5602B1/ko
Publication of KR20200120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02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5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5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60N2/023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60N2/02253Electric mot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between the electric motor and the seat or sea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60N2/02258Electric mot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f the electric motor for adjusting the seat
    • B60N2002/0236
    • B60N2002/02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 모터에 결합된 세레이션 바가 전동시트에 구비된 세레이션 부재에 결합될 때 위치 오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세레이션 바와 세레이션 부재를 연결할 수 있음은 물론 결합후 이탈이 방지되도록 한 자동차용 시트모터에 결합되는 세레이션 바의 위치결정 핀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차용 시트모터에 결합된 세레이션 바(200)와 전동시트에 구비된 세레이션 부재(300)를 연결하는 위치결정 핀(100)에 있어서, 일측 단부가 상기 세레이션 바(200)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본체(110)와; 상기 세레이션 부재(300)에 형성된 키 홈(350)에 삽입되도록 상기 본체(110)에 형성된 관통홀(111)에 출몰 가능하게 결합되는 푸셔(120)와; 상기 본체(110)의 저면에 형성된 장착홈(113)에 장착되어 상기 푸셔(120)를 지지하는 커버(130)와; 상기 푸셔(120)와 커버(13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푸셔(120)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부재(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시트모터에 결합되는 세레이션 바의 위치결정 핀{Positioning Pin for Serration Bar Jointed Seat Motor of Car}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모터에 결합되는 세레이션 바의 위치결정 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용 시트 모터에 결합된 세레이션 바가 전동시트에 구비된 세레이션 부재에 결합될 때 위치 오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세레이션 바와 세레이션 부재를 연결할 수 있음은 물론 결합후 이탈이 방지되도록 한 자동차용 시트모터에 결합되는 세레이션 바의 위치결정 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탑승한 운전자 및 탑승객은 시트의 위치와 시트 쿠션의 높이 및 시트 등받이의 경사 위치 등을 조정하여 편리함을 추구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자동차용 시트에는 시트 미끄럼 기구와 시트 높이 조정기구 및 경사 조정기구 등 다양한 시트 위치 조정기구가 구비되는데, 대부분 수동 작동식에서 동력 작동식으로 변화되고 있다.
동력 작동식 시트 위치 조정기구는 대부분 시트모터와 같은 구동수단에 의해 작동되는데, 구동수단과 시트 위치 조정기구는 시트 모터에 결합된 세레이션 바와 전동시트에 구비된 세레이션 부재의 결합에 의해 연결된다. 따라서, 세레이션 바와 세레이션 부재가 견고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그 결합위치가 정확해야만 정해진 프로그램에 따라 시트의 위치를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세레이션 바에 키가 구비되고 상기 세레이션 부재에는 키 홈이 형성되어 상호 결합되도록 하고 있으나, 세레이션 바의 키가 세레이션 부재의 키 홈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어 결합 위치의 정확도는 향상되지만 자동차의 진동 등에 의해 세레이션 바가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세레이션 바와 세레이션 부재 사이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세레이션 바가 세레이션 부재에 스플라인 결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세레이션 바와 세레이션 부재에 톱니를 가공해야 할 뿐만 아니라 위치 조정시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고 결합과정에서 톱니 부분이 손상되어 세레이션 바의 회전력이 세레이션 부재에 제대로 전달되지 않을 수 있는 다른 문제점이 있다.
또한, 회사마다 세레이션 바와 세레이션 부재의 톱니 형상이 상이하여 순정부품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세레이션 바와 세레이션 부재가 결합되지 않을 수 있는 문제점도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한 선행 기술을 조사한 결과 동일 또는 유사한 특허 문헌을 찾지 못하였으며, 관련 분야의 선행 기술로는 다음의 특허문헌들이 검색되었다.
특허문헌 1은, 시트 쿠션과 시트 등받이를 구비한 조정가능한 자동차용 시트 장치에 있어서, 차체 구조 부재에 설치된 고정 레일과 고정레일에 대하여 이동 레일을 구동하기 위하여 제1 구동 수단과 연결되고 시트 쿠션의 구조 부재에 설치되어 고정 레일과 미끄럼 가능하게 맞물린 이동레일를 구비한 시트 미끄럼 레일 구조를 포함하며 전방 및 후방에서 축방향 이동을 허용하기 위하여 시트 쿠션과 연결된 시트 미끄럼기구와, 링크 기구를 경유하여 시트 쿠션의 시트 쿠션 프레임에 연결된 고정 프레임을 포함하며 고정 프레임에 대하여 시트 쿠션 프레임의 수직 이동을 일으키는 링크 기구를 구동하기 위하여 링크 기구와 연결된 제2 구동 수단을 포함하고 시트 쿠션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하여 시트 쿠션과 연결된 시트 높이조정 기구와, 피봇 운동을 위하여 시트 쿠션 프레임의 후방 단부와 연결된 피봇 베이스를 포함하며 시트를 피봇가능하게 구동하기 위하여 피봇 베이스와 연결된 제3 구동 수단을 포함하고 경사각을 조정하기 위하여 시트 등받이와 연결된 경사 조정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시트 장치가 시트 쿠션의 한쪽 측면을 따라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공간이 소형화 설계를 위해 제2 구동 수단을 포함하는 2개의 모터를 동심으로 수용하도록 시트 미끄럼 레일 기구와 시트 쿠션에 의해 한정됨으로써, 차량 캐빈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부피가 작은 시트 위치 조정 시스템을 구비한 자동차용 시트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2는, 차량 시트용 받침대시스템에 있어서, 조정 가능한 받침대 슬라이더를 포함하되, 상기 조정 가능한 받침대 슬라이더가 가압면; 조정암 및 기어 나삿니 스프입을 구비하되, 가압면; 조정암 및 기어 나삿니 스트입이 모두 단일편의 재료로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장착 플레이트의 안내부와 슬라이딩 방식으로 연결하기에 적합하며, 구동 유닛의 기어 장치 부분과 구동 방식으로 연결하기에 적합한 구조 이루어진, 시트 받침대 조정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3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전 플레이트와;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하부에 결합된 원형기어와;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며, 상기 원형기어와 치합하는 웜기어와;상기 하우징의 측면을 관통하여 결합되며, 상기 웜기어를 상기 원형기어 방향으로 밀착시킬 수 있도록 밀어주는 푸싱바와;상기 웜기어를 회전시키는 모터모듈을 포함하는 회전형 위치결정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4는, 프레임부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샤프트와, 샤프트에 결합되며, 샤프트의 외측면을 감싸는 회전자와, 회전자의 외측면과 이격되게 배치되며, 회전자의 둘레를 감싸는 고정자와, 플랜지부의 내부에 배치되며, 샤프트의 외측면을 감싸는 베어링부와, 베어링부에 결합되며, 베어링부의 위치를 조정하는 베어링위치조정부를 포함하며, 회전자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진도응ㄹ 최소화시켜 부품의 소음 및 손상을 줄일 수 있도록 한 모터 베어링 위치조정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KR 20-1992-0006885 Y1 KR 10-2006-0011935 A KR 10-1437022 B1 KR 10-2018-0046027 A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전동시트에 구비된 세레이션 부재의 키홈에 세레이션 바가 견고하게 결합되어 진동 등에 의해서도 세레이션 바와 세레이션 부재 사이의 결합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시트모터에 결합되는 세레이션 바의 위치결정 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레이션 바와 이에 결합되는 세레이션 부재에 톱니를 형성하지 않고도 세레이션 바의 회전력을 세레이션 부재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시트모터에 결합되는 세레이션 바의 위치결정 핀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모터에 결합된 세레이션 바와 전동시트에 구비된 세레이션 부재를 연결하는 위치결정 핀에 있어서, 일측 단부가 상기 세레이션 바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본체와; 상기 세레이션 부재에 형성된 키 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본체에 형성된 관통홀에 출몰 가능하게 결합되는 푸셔와; 상기 본체의 저면에 형성된 장착홈에 장착되어 상기 푸셔를 지지하는 커버와; 상기 푸셔와 커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푸셔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본체는 세레이션 바의 내부에 삽입되는 부분에 면치부가 형성되어 세레이션 바에 형성된 탭홀에 체결된 고정볼트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면치부는 장착홈과 반대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푸셔는 본체의 관통홀에 삽입되어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관통홀에 비해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돌출부와, 상기 본체의 이탈방지홈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관통홀에 비해 큰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가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며 상기 돌출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걸림판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의 전단 상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커버는 일측면이 상기 장착홈에 밀착되도록 평면으로 형성되고 타측면은 상기 본체에 비해 작은 곡률의 곡면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에 결합되도록 양측 단부 부분에 나사구멍이 형성되며, 평면 부분에 상기 스프링부재가 안착되는 스프링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부재는 커버를 고정하는 나사가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고정부와, 일정 각도로 상향 절곡된 형태가 되도록 상기 고정부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에 비해 작은 폭으로 형성되는 탄성부와, 상기 고정부와 동일한 폭으로 상기 탄성부의 끝단에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플랫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모터에 결합되는 세레이션 바의 위치결정 핀은 세레이션 바에 결합 고정되는 본체에 푸셔가 출몰 가능하게 결합되어 세레이션 바의 키 홈에 푸셔가 탄성 결합되므로 세레이션 바가 결합된 시트모터에 축 방향의 힘이 작용하더라도 세레이션 바와 세레이션 부재 사이의 결합이 견고하게 유지되어 시트모터에 의한 전동시트의 위치 조정이 그대로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세레이션 바와 세레이션 부재에 톱니를 형성하지 않고도 세레이션 바의 회전력을 세레이션 부재로 전달할 수 있게 되어 가공 및 조립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위치결정 핀 본체에 면치부가 구비되어 세레이션 바에 고정되므로 세레이션 바에 대한 위치결정 핀의 상대 회전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푸셔의 선단부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위치결정 핀이 세레이션 부재에 결합될 때 간섭이 일어나지 않고 안정적으로 결합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커버의 저면이 본체의 곡률보다 작은 곡률의 곡면으로 형성되고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음에 따라 위치결정 핀을 세레이션 부재에 결합시킬 때 간섭 및 마찰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모터에 결합되는 세레이션 바의 위치결정 핀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결정 핀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결정 핀의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푸셔의 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스프링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모터에 결합되는 세레이션 바의 위치결정 핀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모터에 결합되는 세레이션 바의 위치결정 핀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결정 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결정 핀의 결합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푸셔의 사시도이며,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스프링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모터에 결합되는 세레이션 바의 위치결정 핀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용 시트모터에 결합된 세레이션 바(200)와 전동시트에 구비된 세레이션 부재(300)를 연결하여 세레이션 부재(300)의 결합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위치결정 핀(100)은 도 2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와, 푸셔(120), 스프링부재(140) 및 커버(13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110)는 일측 단부가 상기 세레이션 바(200)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푸셔(120)가 출몰 가능하게 삽입되는 관통홀(111)과 상기 푸셔(12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홈(112) 및 상기 커버가 안착되는 안착홈(113)을 구비하며, 상기 커버(130)의 고정을 위한 나사(150)가 체결되는 한 쌍의 나사구멍(11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10)는 세레이션 바(200)의 내부에 삽입되는 부분에 면치부(115)가 형성되어 세레이션 바(200)에 체결되는 고정볼트(도시 생략)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면치부(115)는 장착홈(113)과 반대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본체(110)의 끝단 내측에는 다른 부재가 결합되는 결합공(116)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푸셔(120)는 세레이션 부재(300)에 형성된 키 홈(350)에 삽입되도록 상기 본체(110)에 형성된 관통홀(111)에 출몰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0)의 관통홀(111)에 삽입되어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관통홀(111)에 비해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돌출부(121)와, 상기 본체(110)의 이탈방지홈(112)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관통홀(111)에 비해 큰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121)가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며 상기 돌출부(121)와 일체로 형성되는 걸림판(123)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돌출부(121)의 전단 상면이 경사면(122)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위치결정 핀(100)을 세레이션부재(300)에 결합시킬 때 상기 돌출부(121)의 경사면(122)으로 인해 상기 돌출부(121)가 간섭을 일으키지 않고 상기 세레이션 부재(300)의 키 홈(350)에 안정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스프링부재(140)는 푸셔(120)와 커버(13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푸셔(120)를 탄성 지지하는 것으로, 코일 스프링이나 겹판 스프링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플랫 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러한 플랫 스프링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130)를 고정하는 나사(150)가 삽입되는 관통공(142)이 형성된 평판 형태의 고정부(141)와, 일정 각도로 상향 절곡된 형태가 되도록 상기 고정부(141)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141)에 비해 작은 폭으로 형성되는 탄성부(143)와, 상기 고정부(141)와 동일한 폭으로 상기 탄성부(143)의 끝단에서 연장되는 연장부(144)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130)는 상기 본체(110)의 저면에 형성된 장착홈(113)에 장착되어 상기 푸셔(120)를 지지하는 것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면은 상기 장착홈(113)에 밀착되도록 평면(131)으로 형성되고 타측면은 상기 본체(110)에 비해 작은 곡률의 곡면(132)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110)에 결합되도록 양측 단부 부분에 나사(150)가 삽입되는 나사구멍(133)이 형성되며, 평면 부분에 상기 스프링부재(140)가 안착되는 스프링 홈(134)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위치결정 핀은 세레이션 바에 결합 고정된 상태에서 세레이션 부재의 키 홈에 푸셔가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세레이션 바가 세레이션 바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시트모터(도시 생략)의 축에 연결된 세레이션 바(200)와 전동시트에 구비된 세레이션 부재(300)를 연결하기 위하여 위치결정 핀(100)을 세레이션 바(200)에 결합시킨다. 즉, 상기 위치결정 핀(100)의 본체(110) 후단 부분을 세레이션 바(200)에 삽입한 후 고정볼트를 체결함으로써 고정볼트에 의해 본체(110)의 면치부(115)가 가압되어 위치결정 핀(100)의 본체(110)가 세레이션 바(200)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이어, 상기 본체(110)의 장착홈(113) 부분으로 푸셔(120)를 삽입하여 상기 푸셔(120)의 돌출부(121)가 본체(110)의 관통홀(111)에 삽입되고 상기 푸셔(120)의 걸림판(122)이 이탈방지홈(112)에 걸리도록 한다. 이어, 상기 푸셔(120)의 하부에 스프링부재(140)를 위치시키고, 상기 본체(110)의 장착홈(113)에 커버(130)를 위치시킨 후 상기 커버(130)의 나사구멍(133)으로 나사(150)를 삽입하여 본체(110)의 나사구멍(114)에 체결함으로써 푸셔(120)의 설치를 완료한다.
이후, 상기 위치결정 핀(100)의 본체(110)를 세레이션 부재(300)로 삽입하되, 상기 본체(110)의 상측으로 돌출된 푸셔(120)의 돌출부(121)가 상기 세레이션 부재(300)의 키 홈(350)에 대응하도록 삽입한다. 만약, 푸셔(120)의 돌출부(121)와 키 홈(350)의 위치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상기 푸셔(120)는 스프링부재(140)를 가압하면서 본체(110)의 내측으로 수용된 상태로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위치결정 핀(100)을 일정 정도 회전시켜 상기 세레이션 부재(300)의 키 홈(350) 위치와 위치결정 핀(100)의 푸셔(120) 위치가 일치되도록 하여야 한다. 상기 위치결정 핀(100)의 푸셔(120) 위치와 상기 세레이션 부재(300)의 키 홈(350) 위치가 일치하게 되면, 상기 스프링부재(140)의 탄성력에 의해 푸셔(120)가 밀려올라감으로써 상기 세레이션 부재(300)의 키 홈(350)에 푸셔(120)의 돌출부(121)가 삽입된다.
이와 같이, 상기 세레이션 부재(300)의 키 홈(350)에 위치결정 핀(100)의 푸셔(120)가 탄성 결합됨에 따라 상기 세레이션 바(200)에 축방향의 힘이 작용하더라도 위치결정 핀(100)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빠져나가지 않게 되어 상기 세레이션 바(200)와 세레이션 부재(300) 사이의 결합이 그대로 유지된다. 따라서, 시트 위치 조정기구의 미작동 및 오작동이 방지된다.
이상에서는 기존 제품과의 대비를 위하여 편의상 세레이션 바와 세레이션 부재의 명칭을 사용하였으나, 세레이션 바와 세레이션 부재에 톱니를 형성하지 않고 위치결정 핀에 구비된 푸셔에 의해 동력이 전달되도록 함에 따라 상기 세레이션 바는 축부재로 나타내고 상기 세레이션 부재는 회전부재로 그 명칭을 변경할 수도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몇 가지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명세서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통상의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위치결정 핀
110...본체
111...관통홀
112...이탈방지홈
113...장착홈
114...나사구멍
115...면치부
116...결합구멍
120...푸셔
121...돌출부
122...경사면
123...걸림판
130...커버
131...평면
132...곡면
133...나사구멍
134...스프링 홈
140...스프링부재
141...고정부
142...관통공
143...탄성부
144...연장부
150...나사

Claims (5)

  1. 자동차용 시트모터에 결합된 세레이션 바(200)와 전동시트에 구비된 세레이션 부재(300)를 연결하는 위치결정 핀(100)에 있어서,
    일측 단부가 상기 세레이션 바(200)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본체(110)와;
    상기 세레이션 부재(300)에 형성된 키 홈(350)에 삽입되도록 상기 본체(110)에 형성된 관통홀(111)에 출몰 가능하게 결합되는 푸셔(120)와;
    상기 본체(110)의 저면에 형성된 장착홈(113)에 장착되어 상기 푸셔(120)를 지지하며, 일측면이 상기 장착홈(113)에 밀착되도록 평면(131)으로 형성되고 타측면은 상기 본체(110)에 비해 작은 곡률의 곡면(132)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나사(150)에 의해 상기 본체(110)에 결합되도록 양측 단부 부분에 나사구멍(133)이 형성된 커버(130)와;
    상기 푸셔(120)와 커버(13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푸셔(120)를 탄성 지지하며, 상기 커버(130)의 평면 부분에 형성된 스프링 홈(134)에 안착되는 스프링부재(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모터에 결합되는 세레이션 바의 위치결정 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는,
    세레이션 바(200)의 내부에 삽입되는 부분에 면치부(115)가 형성되어 세레이션 바(200)에 체결되는 고정볼트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면치부(115)는 장착홈(113)과 반대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모터에 결합되는 세레이션 바의 위치결정 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120)는,
    상기 본체(110)의 관통홀(111)에 삽입되어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관통홀(111)에 비해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돌출부(121)와, 상기 본체(110)의 이탈방지홈(112)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관통홀(111)에 비해 큰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121)가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며 상기 돌출부(121)와 일체로 형성되는 걸림판(123)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121)의 전단 상면이 경사면(122)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모터에 결합되는 세레이션 바의 위치결정 핀.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재(140)는,
    커버(130)를 고정하는 나사(150)가 삽입되는 관통공(142)이 형성된 고정부(141)와, 일정 각도로 상향 절곡된 형태가 되도록 상기 고정부(141)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141)에 비해 작은 폭으로 형성되는 탄성부(143)와, 상기 고정부(141)와 동일한 폭으로 상기 탄성부(143)의 끝단에서 연장되는 연장부(144)를 포함하는 플랫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모터에 결합되는 세레이션 바의 위치결정 핀.
KR1020190042954A 2019-04-12 2019-04-12 자동차용 시트모터에 결합되는 세레이션 바의 위치결정 핀 KR102205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954A KR102205602B1 (ko) 2019-04-12 2019-04-12 자동차용 시트모터에 결합되는 세레이션 바의 위치결정 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954A KR102205602B1 (ko) 2019-04-12 2019-04-12 자동차용 시트모터에 결합되는 세레이션 바의 위치결정 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0274A KR20200120274A (ko) 2020-10-21
KR102205602B1 true KR102205602B1 (ko) 2021-01-21

Family

ID=73034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2954A KR102205602B1 (ko) 2019-04-12 2019-04-12 자동차용 시트모터에 결합되는 세레이션 바의 위치결정 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560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4870Y2 (ja) * 1987-07-24 1997-08-20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パワーシート装置
US20160348730A1 (en) * 2014-06-26 2016-12-01 Gregory Lee Newth Shaft coupl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88841A (en) 1988-11-30 1992-02-18 Fuji Kiko Company, Limited Seat arrangement for automotive vehicle with seat position adjusting system
US7125077B2 (en) 2002-10-25 2006-10-24 L&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Seat bolster adjustment apparatus and method
KR101437022B1 (ko) 2013-05-20 2014-09-04 주식회사 재원 회전형 위치결정장치
KR20180046027A (ko) 2016-10-27 2018-05-08 현대위아 주식회사 모터 베어링 위치조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4870Y2 (ja) * 1987-07-24 1997-08-20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パワーシート装置
US20160348730A1 (en) * 2014-06-26 2016-12-01 Gregory Lee Newth Shaft coup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0274A (ko) 2020-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44542A1 (en) Feeder device
KR102576172B1 (ko) 차량용 시트 스위블 장치
US7975350B2 (en) Monitor hinge device
CA2034924C (en) Snap lock fitting for automotive seat backs
EP1445150B1 (en) Motorized retracting unit and motorized retractable rearview mirror
EP1749692A2 (en) Seat apparatus for vehicle
WO2003037680A1 (en) Fastening construction, in particular for a wing mirror of a motor vehicle
US7322257B2 (en) Step down gear train for an adjusting device of an automotive vehicle seat
EP2445755B1 (en) Mirror adjustment device
JPH11129751A (ja) 窓ガラス特に自動車ドアの窓ガラスをガラス支持体に固定する装置
CN109383342B (zh) 汽车的扶手箱高度调节装置
US11251678B2 (en) Small-sized motor apparatus for vehicle provided with improved shaft thrust gap prevention structure
KR102205602B1 (ko) 자동차용 시트모터에 결합되는 세레이션 바의 위치결정 핀
US6877867B1 (en) Door mirror
EP2212155B1 (en) Mounting construction for an outside mirror unit
JP4032827B2 (ja) シートバーチカル装置
US6982868B2 (en) Display device for a motor vehicle
US5123703A (en) Adjustable seat recliner apparatus having angled rivot securement
US5212868A (en) Method of making an adjustable seat recliner apparatus
CN112297978B (zh) 头枕装置和包括这种头枕装置的车辆座椅
CN110154903B (zh) 用于机动车辆后视镜的连接器装置
US11524713B2 (en) Steering column for a motor vehicle
JP4359820B2 (ja) 駆動力伝達ベルト固定機構
CN220865270U (zh) 一种安全座椅
JP4725989B2 (ja) 車両用リクライニング装置及びその組付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