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4442B1 -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암반 등급을 결정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암반 등급을 결정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4442B1
KR102204442B1 KR1020200079632A KR20200079632A KR102204442B1 KR 102204442 B1 KR102204442 B1 KR 102204442B1 KR 1020200079632 A KR1020200079632 A KR 1020200079632A KR 20200079632 A KR20200079632 A KR 20200079632A KR 102204442 B1 KR102204442 B1 KR 102204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ck mass
value
rock
observ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9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용량
윤성희
Original Assignee
케이앤씨컨설턴트 주식회사
조용량
윤성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앤씨컨설턴트 주식회사, 조용량, 윤성희 filed Critical 케이앤씨컨설턴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79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44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4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4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003Arrangement of measuring or indicating devices for use during driving of tunnels, e.g. for guiding machin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2Details
    • G01N3/06Special adaptations of indicating or record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40Investigating hardness or rebound hardn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24Earth mater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04Still image; Photographic im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181Earth observ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Remote Sens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을 이용하여 암반 등급(Rock Mass Rating)을 확인하는 방법에 있어서, 공사 중인 터널에서 소정 암반의 등급을 분류하기 위해 정보를 입력하는 관찰자가 존재하고, 관찰자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암반평가 서버가 존재한다고 할 때, 상기 관찰자 단말이, i) 슈미트해머의 타격에 의한 반발력에 대응하면서 상기 소정 암반의 강도에 해당하는 R1 값, ii) 상기 소정 암반의 암질계수(Rock Quality Designation)에 해당하는 R2 값, iii) 상기 소정 암반의 절리면 간격에 해당하는 R3 값, iv) 상기 소정 암반에 포함된 절리면의 거칠기, 풍화정도를 고려하면서 절리면 상태에 해당하는 R4 값, v) 상기 소정 암반의 지하수 조건에 해당하는 R5 값 및 vi) 상기 소정 암반의 절리면 방향에 따른 보정 점수에 해당하는 R6 값에 대응하는 복수의 초기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관찰자 단말의 앱 또는 상기 암반평가 서버가 상기 복수의 초기 정보를 기초로 상기 R1 값, 상기 R2 값, 상기 R3 값, 상기 R4 값, 상기 R5 값 및 상기 R6 값을 획득하고, 이들을 기초로 제1 암반 평가 점수를 산출하며, 상기 제1 암반 평가 점수에 대응하는 제1 암반 등급을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암반평가 서버는, 획득한 상기 제1 암반 평가 점수 및 상기 제1 암반 등급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이들을 감독관 단말 및 관리자 단말에 전송하여 공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관찰자 단말이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소정 암반에 대한 막장 사진을 획득하고, 이를 디스플레이하는 상태에서, 상기 관찰자 단말의 앱 또는 상기 암반평가 서버는, 상기 관찰자로 하여금 상기 관찰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막장 사진 상에 iii-1) 절리에 대한 입력, iii-2) 암질 또는 암종에 대한 입력, iii-3) 지하수 유입 구역에 대한 입력, iii-4) 충진물 상태에 대한 입력, iii-5) 풍화구간에 대한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도록 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Description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암반 등급을 결정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METHOD FOR DETERMINING ROCK MASS RATING USING MOBILE TERMINAL AND SERV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단말을 이용하여 암반 등급(Rock Mass Rating)을 확인하는 방법에 있어서, 공사 중인 터널에서 소정 암반의 등급을 분류하기 위해 정보를 입력하는 관찰자가 존재하고, 관찰자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암반평가 서버가 존재한다고 할 때, 상기 관찰자 단말이, i) 슈미트해머의 타격에 의한 반발력에 대응하면서 상기 소정 암반의 강도에 해당하는 R1 값, ii) 상기 소정 암반의 암질계수(Rock Quality Designation)에 해당하는 R2 값, iii) 상기 소정 암반의 절리면 간격에 해당하는 R3 값, iv) 상기 소정 암반에 포함된 절리면의 거칠기, 풍화정도를 고려하면서 절리면 상태에 해당하는 R4 값, v) 상기 소정 암반의 지하수 조건에 해당하는 R5 값 및 vi) 상기 소정 암반의 절리면 방향에 따른 보정 점수에 해당하는 R6 값에 대응하는 복수의 초기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관찰자 단말의 앱 또는 상기 암반평가 서버가 상기 복수의 초기 정보를 기초로 상기 R1 값, 상기 R2 값, 상기 R3 값, 상기 R4 값, 상기 R5 값 및 상기 R6 값을 획득하고, 이들을 기초로 제1 암반 평가 점수를 산출하며, 상기 제1 암반 평가 점수에 대응하는 제1 암반 등급을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암반평가 서버는, 획득한 상기 제1 암반 평가 점수 및 상기 제1 암반 등급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이들을 감독관 단말 및 관리자 단말에 전송하여 공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관찰자 단말이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소정 암반에 대한 막장 사진을 획득하고, 이를 디스플레이하는 상태에서, 상기 관찰자 단말의 앱 또는 상기 암반평가 서버는, 상기 관찰자로 하여금 상기 관찰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막장 사진 상에 iii-1) 절리에 대한 입력, iii-2) 암질 또는 암종에 대한 입력, iii-3) 지하수 유입 구역에 대한 입력, iii-4) 충진물 상태에 대한 입력, iii-5) 풍화구간에 대한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복잡한 도심화를 방지하기 위해 지하공간에 대한 개발 사업(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및 경전철 사업, 고속도로 및 국도노선 사업 등)이 증가하였고, 이로 인하여 터널공사 역시 증가하게 되었다. 특히,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수도권 제2 외곽 고속도로 사업이 진행되면서 다수의 터널 공사가 요구되었다.
터널 공사시 현장에서 굴착면에 대한 지반의 공학적 특성 및 위험요인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기존에는 현장에서 해당 굴착면에 대한 막장관찰도(ex 사진 촬영, 막장 스케치 등)를 개략적으로 작성하였고, 사무실에서 이를 기초로 암반을 분류하였었다. 이때, 이용되는 암반분류법으로 RMR(Rock Mass Rating)기법이 존재하였다. 그러나, 위와 같은 기존 기법은 짧은 시간에 막장관찰이 수행되어, 형식적인 RMR 평가에 지나지 않고 위험에 대한 안전 문제가 항상 존재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암반 등급을 결정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현장에서 취득한 RMR 입력값을 기초로 RMR 평가를 모바일을 통해 자동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촬영한 암반 사진을 기초로 암반의 상태 결과를 효율적으로 판정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관찰자 단말을 이용하여 평가가 완료된 암반 등급을 감독관 등의 다른 단말과 공유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효과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단말을 이용하여 암반 등급(Rock Mass Rating)을 확인하는 방법에 있어서, 공사 중인 터널에서 소정 암반의 등급을 분류하기 위해 정보를 입력하는 관찰자가 존재하고, 관찰자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암반평가 서버가 존재한다고 할 때, 상기 관찰자 단말이, i) 슈미트해머의 타격에 의한 반발력에 대응하면서 상기 소정 암반의 강도에 해당하는 R1 값, ii) 상기 소정 암반의 암질계수(Rock Quality Designation)에 해당하는 R2 값, iii) 상기 소정 암반의 절리면 간격에 해당하는 R3 값, iv) 상기 소정 암반에 포함된 절리면의 거칠기, 풍화정도를 고려하면서 절리면 상태에 해당하는 R4 값, v) 상기 소정 암반의 지하수 조건에 해당하는 R5 값 및 vi) 상기 소정 암반의 절리면 방향에 따른 보정 점수에 해당하는 R6 값에 대응하는 복수의 초기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관찰자 단말의 앱 또는 상기 암반평가 서버가 상기 복수의 초기 정보를 기초로 상기 R1 값, 상기 R2 값, 상기 R3 값, 상기 R4 값, 상기 R5 값 및 상기 R6 값을 획득하고, 이들을 기초로 제1 암반 평가 점수를 산출하며, 상기 제1 암반 평가 점수에 대응하는 제1 암반 등급을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암반평가 서버는, 획득한 상기 제1 암반 평가 점수 및 상기 제1 암반 등급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이들을 감독관 단말 및 관리자 단말에 전송하여 공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단말을 이용하여 암반 등급(Rock Mass Rating)을 확인하는 암반평가 서버에 있어서, 공사 중인 터널에서 소정 암반의 등급을 분류하기 위해 정보를 입력하는 관찰자가 존재한다고 할 때, 관찰자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획득한 제1 암반 평가 점수 및 제1 암반 등급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i) 슈미트해머의 타격에 의한 반발력에 대응하면서 상기 소정 암반의 강도에 해당하는 R1 값, ii) 상기 소정 암반의 암질계수(Rock Quality Designation)에 해당하는 R2 값, iii) 상기 소정 암반의 절리면 간격에 해당하는 R3 값, iv) 상기 소정 암반에 포함된 절리면의 거칠기, 풍화정도를 고려하면서 절리면 상태에 해당하는 R4 값, v) 상기 소정 암반의 지하수 조건에 해당하는 R5 값 및 vi) 상기 소정 암반의 절리면 방향에 따른 보정 점수에 해당하는 R6 값에 대응하는 복수의 초기 정보를 상기 관찰자 단말로부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고, 이들을 기초로 상기 제1 암반 평가 점수를 산출하고, 상기 제1 암반 평가 점수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암반 등급을 도출하며, 상기 제1 암반 평가 점수 및 상기 제1 암반 등급을 감독관 단말 및 관리자 단말과 공유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암반 평가 서버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암반 등급(Rock Mass Rating)을 확인하는 관찰자 단말에 있어서, 공사 중인 터널에서 소정 암반의 등급을 분류하기 위해 정보를 입력하는 관찰자가 존재한다고 할 때, 통신 모듈; 디스플레이 모듈; 카메라 모듈; 획득한 제1 암반 평가 점수 및 제1 암반 등급을 저장하는 저장 모듈; 및 i) 슈미트해머의 타격에 의한 반발력에 대응하면서 상기 소정 암반의 강도에 해당하는 R1 값, ii) 상기 소정 암반의 암질계수(Rock Quality Designation)에 해당하는 R2 값, iii) 상기 소정 암반의 절리면 간격에 해당하는 R3 값, iv) 상기 소정 암반에 포함된 절리면의 거칠기, 풍화정도를 고려하면서 절리면 상태에 해당하는 R4 값, v) 상기 소정 암반의 지하수 조건에 해당하는 R5 값 및 vi) 상기 소정 암반의 절리면 방향에 따른 보정 점수에 해당하는 R6 값에 대응하는 복수의 초기 정보를 입력 모듈을 통해 수신하고, 이들을 기초로 상기 제1 암반 평가 점수를 산출하고, 상기 제1 암반 평가 점수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암반 등급을 도출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관찰자 단말이 제공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아래와 같은 다양한 효과들을 가진다.
본 발명은 현장에서 취득한 RMR 입력값을 기초로 RMR 평가를 모바일을 통해 자동적으로 수행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관찰자 단말을 이용하여 평가가 완료된 암반 등급을 감독관 등의 다른 단말과 공유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개발이 진행중인 수도권 외곽 고속도로 노선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암반평가 서버 및 단말들 사이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획득한 암반 평가 점수 내지 암반 등급을 공유하기까지의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암반을 평가하는 RMR(Rock Mass Rating) 평가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k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반 등급을 결정하는 앱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산출된 암반 평가 점수 및 암반 등급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g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암반 사진를 기초로 암반 상태 결과를 판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관찰자별 암반 평가 수행 이력이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개발이 진행중인 수도권 외곽 고속도로 노선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서술할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노선 사업에 포함된 터널공사를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암반평가 서버 및 단말들 사이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암반평가 서버(100)는 통신부(110), 프로세서(120) 및 데이터베이스(130)를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도 1과 달리 데이터베이스(130)가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암반평가 서버(100)의 통신부(110)는 다양한 통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와이파이(WIFI),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PA(High Speed Packet Access), 모바일 와이맥스(Mobile WiMAX), 와이브로(WiBro), LTE(Long Term Evolution),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지그비(Zigbee), 무선랜 기술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인터넷과 연결되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인터넷에서 정보전송을 위한 표준 프로토콜인 TCP/IP를 따를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30)는 측정된 암반 평가 점수 내지 암반 등급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프로세서(120)는 통신부(110)에 의해 접근이 가능하다. 이에 대해서는 프로세서(120)와 함께 뒤에서 자세히 서술하겠다.
또한, 암반평가 서버(100)는 통신부(110)를 통해 다수의 단말(200, 30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PDA, 웹 패드, 이동 전화기, 스마트 리모컨, 각종 IOT 메인기기 등과 같이 통신을 수행하면서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라면 얼마든지 본 발명에 따른 단말(200, 300)에 해당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공사 중인 터널에서 소정 암반의 등급을 분류하기 위해 정보를 입력하는 관찰자가 존재한다. 상기 관찰자는 현장에서 확인한 일축압축(R1), 암질계수(R2), 절리면간격(R3), 절리면상태(R4), 지하수조건(R5), 절리면방향에 따른 보정 값(R6) 등을 단말(200)에 입력할 수 있고, 상기 입력된 값들은 통신부(110)를 통해 암반평가 서버(100)가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관찰자는 단말(200)을 통해 터널 현장에서 상기 소정 암반에 대해 사진을 촬영할 수도 있고, 막장 스케치(Sketch)를 하여 막장관찰(Face Mapping)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진이나 막장 스케치에는 소정 암반의 조사선이 표현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암반평가 서버(100)와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로서 감독관 단말(300a), 터널관리자 단말(300b), 발주처 단말(300c), 품질관리자 단말(300d) 등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단말(300)들은 현장(터널)에 존재하지 않고 외부에서 암반 평가 점수 내지 암반 등급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관찰자 단말(200)은 통신 모듈, 디스플레이 모듈, 카메라 모듈, 저장 모듈, 제어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찰자 단말(200)에는 별도의 앱이 설치되어 있어 암반 등급을 확인하는 과정이 단말(200) 내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암반평가 서버(100)와 함께 후술하도록 하겠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획득한 암반 평가 점수 내지 암반 등급을 공유하기까지의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암반을 평가하는 RMR(Rock Mass Rating) 평가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k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반 등급을 결정하는 앱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산출된 암반 평가 점수 및 암반 등급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우선, 도 3 내지 도 6를 참조하면, 암반평가 서버(100)는 관찰자 단말(200)로 하여금 RMR 평가표에 대한 입력 값들을 입력받도록 할 수 있다.
즉, 관찰자 단말(200)의 앱 또는 암반평가 서버(100)의 프로세서(120)는 관찰자 단말(200)의 입력 모듈을 통해 i) 슈미트해머의 타격에 의한 반발력에 대응하면서 상기 소정 암반의 강도에 해당하는 R1 값, ii) 상기 소정 암반의 암질계수(Rock Quality Designation)에 해당하는 R2 값, iii) 상기 소정 암반의 절리면 간격에 해당하는 R3 값, iv) 상기 소정 암반에 포함된 절리면의 거칠기, 풍화정도를 고려하면서 절리면 상태에 해당하는 R4 값, v) 상기 소정 암반의 지하수 조건에 해당하는 R5 값 및 vi) 상기 소정 암반의 절리면 방향에 따른 보정 점수에 해당하는 R6 값에 대응하는 복수의 초기 정보를 차례로 입력(S210)받을 수 있다. 아래에서는 상기 값들에 대해서 도 4 내지 도 5k와 함께 하나씩 살펴보도록 하겠다.
도 5a를 참조하면, 관찰자 단말(200)은 관찰자로부터 암반 평가를 시작하기 위한 기초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찰자 단말(200)은 관찰자로부터 작성자, 일자, 위치, 암반의 사진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작성자는 관찰자의 성명을 의미하고, 일자는 암반 평가를 진행하는 일자를 의미하며, 위치는 암반의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암반의 사진은 막장, 천단, 좌측 및 우측 각각의 사진을 의미할 수 있으며, 관찰자 단말(200)의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되거나 관찰자 단말(200)에 기 저장된 이미지로부터 불러올 수 있다. 관찰자 단말(200)를 사용하는 관찰자는 이러한 기초 정보를 입력한 후 다음 버튼을 눌러 암반 평가의 다음 단계로 이동할 수 있다.
이어서, 도 4 및 도 5b를 참조하면, 관찰자 단말(200)은 관찰자로부터 암반 강도에 대한 값인 R1 값에 대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R1 값은 소정 암반의 강도(Mpa)를 나타내며, 슈미트해머의 타격에 의한 반발력(슈미트해머 수치(SHV) 관련)을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해머 타격을 통해 강도를 측정할 수 있고, 강한 강도에 순서대로 극경암, 경암, 보통암, 연암, 풍화암으로 구분할 수 있다. 즉, 극경암은 큰 해머로 타격시 튕기며 깨어지지 않을 수 있고, 풍화암은 손으로도 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관찰자 단말의 앱 또는 프로세서(120)는 관찰자 단말(200)에서 관찰자로부터 R1 값에 대응하는 초기 정보(ex 일축 압축 강도: 99)를 입력받은 후, 상기 R1값(ex 8점) 및 암반의 종류(ex 연암)을 산출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누적 총점(RMR 총점)을 상기 R1 값을 기초로 업데이트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관찰자 단말(200)은 관찰자가 측정한 점하중강도, 슈미트햄머, 일축압축강도의 입력(초기 정보 입력)을 통해 R1 값이 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관찰자가 상기 소정 암반을 해머로 타격하였을 때, 비교적 용이하게 깨어졌고 이에 따라 슈미트해머 수치(SHV)가 44로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참고로, 슈미트해머 수치(SHV)가 44인 경우, 소정 암반의 일축압축강도는 약 100Mpa에 해당하여 연암으로 측정되며 점수 역시 8점(도 4 참조)에 해당할 수 있다. 즉, 관찰자 단말(200)에 입력된 일축압축강도, 점하증강도, 슈미트해머수치에 따라 해당 점수(R1 값)이 결정되고 획득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일축압축강도(Mpa)가 'a'일때, 1.4514+0.0684*a의 값에서 소수자리를 버림한 값이 R1 값이 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일축압축강도가 100인 경우, 상기 수식에 의한 값은 8.29가 되고, R1 값은 8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위와 달리, 관찰자 단말(200)은 R1 값을 직접적으로 입력받을 수도 있을 것이다.
관찰자 단말(200)은 관찰자의 R1 값에 대한 입력의 수신에 대응하여 RMR 총점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RMR 총점은 암반 평가를 위해 관찰자로부터 입력받은 각 항목의 평점을 차례로 합산한 점수일 수 있다. 지금까지 관찰자로부터 R1 값에 대한 입력만을 수신한 바, 도 5b와 같이 RMR 총점은 R1 값인 8점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할 때, 관찰자 단말의 앱 또는 프로세서(120)는 상기 R1 값을 획득하기 위해, 관찰자 단말(200)에 R1 값을 측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안내 메시지(매뉴얼)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찰자로 하여금 슈미트해머로 타격을 하게 하고, 타격에 의해 깨지거나, 부스러짐 등의 흔적 정도를 확인하게 하는 메시지를 단말(200)에 나타낼 수 있다. 물론, 상기 흔적 정도에 대응하는 점수에 대해서도 설명이 상기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을 것이다.
참고로, 상기 일축압축강도, R1 값 등은 국제암반학회(ISRM)에서 그 범위 등이 지정되어 있다. 또한, 후술하는 R2 값, R3 값, R4 값, R5 값, R6 값 등에 포함된 범위 역시 국제암반학회(ISRM)에서 지정한 바와 동일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R1 값, R2 값, R3 값, R4 값, R5 값, R6 값 등을 획득하기 위한 기초 정보를 모바일 단말 등을 통해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다.
이어서, 도 4 및 도 5c를 참조하면, 관찰자 단말(200)은 관찰자로부터 암질 계수에 대한 값인 R2 값에 대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R2 값은 소정 암반의 암질계수(Rock Quality Designation)에 해당하며, 상기 암질계수는 시추시 굴진한 길이에 대한 10cm이상의 절리 간격을 갖는 코어 길이 합의 백분율을 나타내고 있다. 즉, 암질계수(RQD)는 10cm이상의 코어의 길이/굴진길이 * 100(%)로 산출될 수 있는 것이다.
관찰자 단말의 앱 또는 프로세서(120)는 관찰자 단말(200)에서 관찰자로부터 R2값에 대응하는 초기 정보(ex 코어의 길이, 굴진 길이 등)를 입력받은 후, 상기 R2값 (ex 17점) 및 암질 계수(ex 86%)을 산출하여 디스플레이하고, 누적 총점(RMR총점)을 R2에 대한 평점을 기초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관찰자 단말(200)에서는 직접적으로 암질계수(RQD) 내지 R2 값이 입력될 수도 있으나, 도 5c와 같이 10cm이상의 코어의 길이, 굴진 길이 등을 측정하고 이들이 상기 관찰자 단말(200)에 입력되어 암질계수가 획득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10cm이상의 코어의 길이 내지 굴진 길이 등이 입력되고, 이를 통해 산출된 암질 계수(RQD)는 86%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에 따라 R2 값은 17점에 해당할 수 있다.
관찰자 단말(200)은 관찰자의 R2 값에 대한 입력의 수신에 대응하여 RMR 총점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도 5b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누적 평점의 합계인 RMR 총점은 8점인 R1 값과 17점인 R2 값을 합산한 25점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할 때, 관찰자 단말의 앱 또는 프로세서(120)는 상기 R2 값을 획득하기 위해, 관찰자 단말(200)에 R2 값을 측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안내 메시지(매뉴얼)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찰자 단말(200)에 10cm이상의 코어의 길이 및 굴진 길이를 측정하도록 하고, 이를 입력하게 하는 메시지를 나타낼 수 있는 것이다.
이어서, 도 4 및 도 5d를 참조하면, 관찰자 단말의 앱 또는 프로세서(120)는 관찰자 단말(200)에서 관찰자로부터 절리면 간격에 관한 R3 값에 대응하는 초기 정보(ex 절리면 간격: 1.2m)에 대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R3 값은 소정 암반의 절리면 간격에 해당하는 값으로서, 절리군들에 포함된 간격들의 평균값(또는, 최소값, 최대값)을 나타낼 수 있다.
관찰자 단말의 앱 또는 프로세서(120)는 상기 R3 값을 획득하기 위해, 관찰자 단말(200)에 R3 값을 측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안내 메시지(매뉴얼)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찰자 단말(200)에 복수의 절리면 각각에 대한 간격 값을 특정하도록 하고, 이를 입력하도록 하는 메시지를 나타낼 수 있는 것이다.
관찰자 단말의 앱 또는 프로세서(120)는 상기 초기 정보로부터 상기 R3값 (ex 14점)을 산출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상기 평점을 기초로 누적 총점(RMR 총점)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관찰자 단말(200)은 직접적으로 절리면 간격 내지 점수(도 4에서 절리면 간격은 0.6~2m, R3 값(점수)은 14점)를 입력받을 수도 있지만, 도 5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절리군 각각의 간격을 입력받아 상기 절리면 간격에 대한 점수인 R3 값을 획득할 수도 있다.
관찰자 단말(200)은 관찰자의 R3 값에 대한 입력의 수신에 대응하여 RMR 총점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RMR 총점은 8점인 R1 값과 17점인 R2 값을 합산한 결과에 관찰자로부터 입력받은 R3 값인 14점을 더 합산한 39점일 수 있다.
이어서, 도 4, 도 5e 내지 도 5i를 참조하면, 관찰자 단말(200)은 관찰자로부터 절리면의 상태에 관한 R4 값에 대응하는 초기 정보(ex 불연속면의 길이, 불연속면의 간격, 거칠기, 충진물, 풍화정도 등)를 획득할 수 있다. R4 값은 소정 암반에 포함된 절리면의 거칠기, 풍화정도를 고려하는 값으로서 절리면 상태를 나타내는 점수에 해당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절리면 상태는 절리면의 불연속면의 길이(연속성), 불연속면의 간격(틈새), 거칠기, 충진물, 풍화정도 등을 고려할 수 있다. 이에, 관찰자 단말(200)의 앱 또는 프로세서(120)는 관찰자 단말(200)에서 관찰자로부터 R4 값을 구성하는 불연속면의 길이, 불연속면의 틈새, 거칠기 및 충진물의 상태 각각에 대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관찰자 단말의 앱 또는 프로세서(120)는 상기 R4 값을 획득하기 위해, 관찰자 단말(200)에 R4를 측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안내 메시지(매뉴얼)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찰자 단말(200)에 절리면의 상태 중 불연속면의 길이(ex 4m, 7m 등), 불연속면의 틈새(ex 0.7mm 등), 절리면의 거칠기 정도(ex waviness, roughness 측정 등), 충진물의 상태(ex 손가락 등으로 눌러보게 한 후 흔적 정도 등), 풍화 정도 등에 대해서 측정하도록 하고, 이를 입력하도록 하는 메시지를 각각 나타낼 수 있는 것이다.
도 5e를 참조하면, 관찰자 단말(200)은 관찰자로부터 복수의 절리면(J1, J2, J3) 각각의 불연속면의 길이에 관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관찰자 단말(200)은 관찰자로부터 입력받은 불연속면의 길이에 관한 입력에 대응하여 불연속면의 길이와 관련된 절리면의 상태에 관한 결과(10~20M, 높은 연속성)와 평점(1점)을 산출하고, 이를 관찰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평점은 R4값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관찰자 단말(200)은 산출한 불연속면의 길이와 관련된 절리면의 상태에 관한 평점에 대응하여 RMR 총점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RMR 총점은 R1 값(8점), R2 값(17점) 및 R3 값(14점)에 불연속면의 길이와 관련된 절리면의 상태에 관한 평점(1점)을 합산한 40점일 수 있다.
이어서, 도 5f를 참조하면, 관찰자 단말(200)은 관찰자로부터 복수의 절리면(J1, J2, J3) 각각의 불연속면의 틈새에 관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관찰자 단말(200)은 관찰자로부터 입력받은 불연속면의 틈새에 관한 입력에 대응하여 불연속면의 틈새와 관련된 절리면의 상태에 관한 결과(1.0~5.0mm)와 평점(1점)을 산출하고, 이를 관찰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관찰자 단말(200)은 산출한 불연속면의 틈새와 관련된 절리면의 상태에 관한 평점에 대응하여 RMR 총점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RMR 총점은 R1 값(8점), R2 값(17점), R3 값(14점) 및 불연속면의 길이와 관련된 절리면의 상태에 관한 평점(1점)에 불연속면의 틈새와 관련된 절리면의 상태에 관한 평점인 1점을 합산한 41점일 수 있다.
이어서, 도 5g를 참조하면, 관찰자 단말(200)은 관찰자로부터 복수의 절리면(J1, J2, J3) 각각의 거칠기에 관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관찰자 단말(200)은 관찰자로부터 입력받은 거칠기에 관한 입력에 대응하여 거칠기와 관련된 절리면의 상태에 관한 결과(약간거침)와 평점(5점)을 산출하고, 이를 관찰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관찰자 단말(200)은 산출한 거칠기와 관련된 절리면의 상태에 관한 평점에 대응하여 RMR 총점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RMR 총점은 R1 값(8점), R2 값(17점), R3 값(14점), 불연속면의 길이와 관련된 절리면의 상태에 관한 평점(1점) 및 불연속면의 틈새와 관련된 절리면의 상태에 관한 평점(1점)에 거칠기와 관련된 절리면의 상태에 관한 평점인 5점을 합산한 46점일 수 있다.
이어서, 도 5h를 참조하면, 관찰자 단말(200)은 관찰자로부터 복수의 절리면(J1, J2, J3) 각각의 충진물의 상태에 관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관찰자 단말(200)은 관찰자로부터 입력받은 충진물의 상태에 관한 입력에 대응하여 충진물의 상태와 관련된 절리면의 상태에 관한 결과(5mm 미만, 연약)와 평점(2점)을 산출하고, 이를 관찰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관찰자 단말(200)은 산출한 충진물의 상태와 관련된 절리면의 상태에 관한 평점에 대응하여 RMR 총점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RMR 총점은 R1 값(8점), R2 값(17점), R3 값(14점), 불연속면의 길이와 관련된 절리면의 상태에 관한 평점(1점), 불연속면의 틈새와 관련된 절리면의 상태에 관한 평점(1점) 및 충진물의 상태와 관련된 절리면의 상태에 관한 평점(5점)에 충진물의 상태에 관한 평점인 2점을 합산한 48점일 수 있다.
이어서, 도 5i를 참조하면, 관찰자 단말(200)은 관찰자로부터 복수의 절리면(J1, J2, J3) 각각의 풍화 상태에 관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관찰자 단말(200)은 관찰자로부터 입력받은 풍화 상태에 관한 입력에 대응하여 풍화 상태와 관련된 절리면의 상태에 관한 결과(보통풍화)와 평점(3점)을 산출하고, 이를 관찰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관찰자 단말(200)은 산출한 풍화 상태와 관련된 절리면의 상태에 관한 평점에 대응하여 RMR 총점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RMR 총점은 R1 값(8점), R2 값(17점), R3 값(14점), 불연속면의 길이와 관련된 절리면의 상태에 관한 평점(1점), 불연속면의 틈새와 관련된 절리면의 상태에 관한 평점(1점), 풍화 상태와 관련된 절리면의 상태에 관한 평점(5점) 및 충진물의 상태에 관한 평점(2점)에 풍화 상태에 관한 평점인 3점을 합산한 51점일 수 있다.
즉, 절리면의 상태와 관련된 R4 값은 이를 구성하는 불연속면의 길이, 불연속면의 틈새, 거칠기, 충진물의 상태 및 풍화 상태 각각에 대한 평점을 모두 합산한 점수인 12점일 수 있다. 또한, 도 5e 내지 도 5i를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상기 불연속면의 길이, 불연속면의 틈새, 거칠기, 충진물의 상태 및 풍화 상태 각각에 대한 초기 정보를 순차적으로 입력받을 수 있다.
이어서, 도 4 및 도 5j를 참조하면, 관찰자 단말(200)은 관찰자로부터 지하수 조건에 관한 R5 값에 대응하는 초기 정보(ex 건조, 습윤 등)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R5 값은 소정 암반의 지하수 조건을 나타내며, 관찰자 단말(200)에서는 암반의 각 영역에 대한 완전건조, 습윤, 젖어있음, 물방울 떨어짐, 물이 흐름 등의 항목을 디스플레이하여 관찰자로 하여금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관찰자 단말(200)의 앱 또는 프로세서(120)는 관찰자로부터 입력받은 암반의 각 영역에 대한 지하수 조건에 대응하여 지하수 조건과 관련된 결과(ex 일반조건: 습윤 등) 및 평점(R5값: 10점)을 산출하고, 이를 디스플레이하여 관찰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하수 조건에 관한 평점은 10점일 수 있다.
관찰자 단말(200)은 산출한 R5 값에 대응하여 RMR 총점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RMR 총점은 R1 값(8점), R2 값(17점), R3 값(14점), R4 값(12점)에 R5 값인 10점을 합산한 61점일 수 있다.
또한, 관찰자 단말의 앱 또는 프로세서(120)는 관찰자 단말(200)에 상기 R5 값을 획득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안내 메시지(매뉴얼)를 나타낼 수 있다. 즉, 관찰자로 하여금 소정 암반의 각 영역에 대해 지하수 조건 정도를 측정하고, 이를 입력하도록 하는 안내 메시지를 확인하여 손쉽게 R5 값을 획득하게 하는 것이다.
이어서, 도 4 및 도 5k를 참조하면, 관찰자 단말(200)은 관찰자로부터 절리 방향에 대한 보정 점수에 관한 R6 값에 대응하는 초기 정보(경사 방향 등)를 수신할 수 있다. R6 값은 소정 암반의 절리면 방향에 따른 보정 점수에 해당할 수 있다. 관찰자 단말(200)에서는 관찰자로 하여금 절리면의 방향에 대해서 우선적으로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각의 절리면에 대하여 절리면의 주향이 터널 방향과 수직인지, 평행인지, 무관한지, 경사 방향이 어떠한지 등을 입력하도록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결과(ex 주향, 경사방향 등) 및 평점(R6값: -12점)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리 방향에 따른 보정 점수인 평점(R6값)은 -12점일 수 있다.
참고로, 상기 R6값을 획득하기 위하여, 관찰자 단말(200)의 앱 또는 프로세서(120)는 상기 R6 값을 획득하는 방법에 대해서 안내 메시지(매뉴얼)로 관찰자 단말(200)에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절리면 각각에 대해 절리면 방향을 측정하도록 하고, 이에 대한 측정값을 입력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관찰자 단말(200)은 산출한 R6 값에 대응하여 RMR 총점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RMR 총점은 R1 값(8점), R2 값(17점), R3 값(14점), R4 값(12점) 및 R5 값(10점)에 R6 값인 -12점을 합산한 49점일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관찰자 단말(200)에서는, 소정 암반의 상태와 관련된 초기 정보를 입력받고, 관찰자 단말(200)의 앱 또는 암반평가 서버(100)는 초기 정보를 기초로 기저장된 수식에 따라 R1, R2, R3, R4, R5, R6 값을 각각 산출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관찰자 단말(200)의 앱 또는 프로세서(120)는 상기 R1, R2, R3, R4, R5, R6 값을 획득하는 방법 관련 안내 메시지(매뉴얼)를 각 단계에서 상기 관찰자 단말(200)에 나타낼 수 있고, 관찰자는 상기 매뉴얼을 통해 누구라도 손쉽게 R1, R2, R3, R4, R5, R6 값을 획득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로, 상기 초기 정보들은 R1, R2, R3, R4, R5, R6 값이 산출되기 위해 관찰자 단말(200)에서 입력되는 정보로서, 전술한 일축압축강도(MPa), 굴진길이, 절리면 간격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물론, 관찰자 단말(200)에서 경우에 따라서는 위와 달리 R1 내지 R6 값을 초기 정보로서 직접 입력받을 수도 있다.
다음으로, 관찰자 단말(200)에 설치된 앱이 상기 복수의 초기 정보를 기초로 R1 내지 R6 값을 각각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관찰자 단말(200)이 상기 초기 정보를 암반평가 서버(100)에 송신할 수 있고, 암반평가 서버(100)의 프로세서(120)가 상기 복수의 초기 정보를 기초로 R1 내지 R6 값을 각각 획득할 수 있다.
또한, 관찰자 단말(200)은 R1 값 내지 R6 값을 차례로 입력받고 산출하는 과정에서 각각의 단계에 RMR 총점을 관찰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에, 관찰자는 RMR 총점을 지속적으로 확인하며 최종 평가 점수에 대하여 가늠할 수 있다.
이어서, 관찰자 단말(200)의 앱 또는 암반평가 서버(100)는, 획득한 상기 R1 내지 상기 R6 값을 기초로 이들의 합산 값인 제1 암반 평가 점수를 산출할 수 있고, 제1 암반 평가 점수에 대응하는 제1 암반 등급을 도출(S220)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합산된 암반 평가 점수의 범위에 따라 암반 상태, 암반 등급이 도출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5k에서 살펴본 예시와 같이 R1(8점), R2(17점), R3(14점), R4(1+1+5+2+3=12점), R5(10점), R6(-12점)를 고려할 때, 총 합산결과는 49점으로 제1 암반 평가 점수는 49점에 해당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암반 상태는 '양호' 등급은 'III'에 해당함을 확인할 수 있다.
암반평가 서버(100)의 프로세서(120)는 획득한 상기 제1 암반 평가 점수 및 상기 제1 암반 등급을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하고, 이들을 통신부(110)를 통해 감독관 단말(300a), 관리자 단말(300b, 300d), 발주처 단말(300c) 등에 전송하여 함께 공유(S230)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g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암반 사진를 기초로 막장 관찰도를 획득하고, 암반 상태 결과를 판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f의 방법은 관찰자 단말(200)이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한 소정 암반에 대한 막장 사진을 기초로 수행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카메라는 관찰자 단말(200)에 포함된 카메라 모듈에 해당할 수도 있고, 별도의 카메라에 해당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7a 내지 도 7g를 참조하면, 관찰자 단말(200)은 암반의 사진에 관찰자가 직접적인 입력을 수행함으로써 절리, 암종, 지하수 유입 구역, 충진물의 상태 및 풍화 구간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고 암반의 상태 결과를 산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참고로, 아래의 과정들은 관찰자 단말(200)에서 이루어지지만, 관찰자 단말(200)의 앱 또는 암반평가 서버(100)의 프로세서(120)에 의해 컨트롤되는 것을 가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a를 참조하면, 관찰자 단말(200)은 실제 암반의 사진을 입력받을 수 있다. 관찰자는 관찰자 단말(200)의 화면의 '사진 촬영/불러오기'버튼을 선택할 수 있고, '촬영' 버튼을 선택하여 관찰자 단말(200)의 카메라를 통하여 실제 암반의 사진을 촬영하거나, 화면의 '불러오기' 버튼을 선택하여 관찰자 단말(200) 또는 암반평가 서버(100)의 데이터 베이스(130)에 저장된 암반의 사진을 불러올 수 있다.
이어서, 도 7b를 참조하면, 관찰자 단말(200)은 포함된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막장 사진(암반의 사진)에 관찰자로부터 직접 절리를 그리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관찰자는 관찰자 단말(200)의 화면에 포함된 절리 그리기/지정 버튼을 선택하여 상기 절리를 그리는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관찰자는 관찰자 단말(2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암반의 사진에 터치 입력 또는 마우스를 이용한 선 그리기 입력을 이용하여 절리면을 그릴 수 있다. 이에, 관찰자 단말(200)은 암반의 사진 중 절리가 어느 지점인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어서, 도 7c를 참조하면, 관찰자 단말(200)은 포함된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막장 사진(암반의 사진)에 관찰자로부터 암반의 특정 구역의 암질 및 암종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관찰자는 관찰자 단말(2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암질/암종 설정' 버튼을 선택할 수 있다. 관찰자는 암반의 사진에 터치 입력 또는 마우스를 이용한 테두리 그리기 입력을 이용하여 암반의 특정 구역을 구분하고 선택할 수 있다. 관찰자 단말(200)은 선택된 특정 구역의 암질 및 암종 각각의 리스트(경암, 보통암, 연암 등이 포함된 암질 리스트, 화성암(화강암, 섬록암 등), 변성암(천매암, 편암 등), 퇴적암(이암, 셰일 등)이 포함된 암종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관찰자로부터 리스트 중 암질 및 암종의 구체적인 항목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에, 관찰자 단말(200)은 암반의 사진 중 특정 구역의 암질 및 암종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어서, 관찰자 단말(200)은 관찰자로부터 암반의 사진 중 지하수 유입 구역에 대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관찰차 단말(200)은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는 '지하수 유입 구역 설정' 버튼에 대한 입력을 관찰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관찰자는 앞서 설명한 암반의 특정 구역을 선택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암반의 사진(막장 사진)에서 지하수 유입 구역을 선택할 수 있다. 이에, 관찰자 단말(200)은 암반의 사진 중 지하수가 유입되는 구역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어서, 관찰자 단말(200)은 관찰자로부터 암반의 사진 중 특정 구역의 충진물 상태에 대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관찰자 단말(200)은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는 '충진물 상태 설정' 버튼에 대한 입력을 관찰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관찰자는 앞서 설명한 암반의 특정 구역을 선택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암반의 사진(막장 사진)에서 충진물의 상태를 입력할 특정 구역을 선택할 수 있다. 관찰자 단말은 선택된 특정 구역의 충진물의 상태에 관한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관찰자로부터 리스트 중 하나의 상태에 대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에, 관찰자 단말(200)은 선택된 특정 구역에 관한 충진물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어서, 관찰자 단말(200)은 관찰자로부터 암반의 사진(막장 사진) 중 풍화 구간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관찰자 단말(200)은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는 '풍화구간 설정' 버튼에 대한 입력을 관찰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관찰자는 앞서 설명한 암반의 특정 구역을 선택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암반의 사진에서 풍화 구간을 선택할 수 있다. 이에, 관찰자 단말(200)은 암반의 사진에서 풍화구간이 어느 구역인지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어서, 도 7d를 참조하면, 관찰자 단말(200)은 관찰자에게 암반의 상태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찰자 단말(200)은 관찰자로부터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는 '결과 조회' 버튼에 대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관찰자 단말(200)은 앞서 획득한 암반의 절리에 대한 정보, 암종에 대한 정보, 지하수 유입 구역에 대한 정보, 충진물 상태에 대한 정보 및 풍화구간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촬영된 암반의 상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d에 도시된 것과 같이, 관찰자 단말(200)은 절리면의 길이, 지하수의 상태, 절리면의 간격, 풍화의 정도, 절리면의 거칠기, 절리면 틈새의 길이 및 주절리의 방향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암반의 상태 결과를 산출하고, 이를 디스플레이하여 관찰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관찰자는 기입력한 정보를 바탕으로 막장 사진 상에서 해당 정보들을 스케치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관찰자는 관찰자 단말(200)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디스플레이되는 막장 사진의 소정 위치에 텍스트를 기입하여, 추가적인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어서, 도 7e를 참조하면, 관찰자 단말(200)은 관찰자로부터 암반의 상태에 대한 특기사항 및 유의사항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를 더 획득할 수 있다. 관찰자는 암반을 실제로 관찰한 후에 알게된 암반의 특기사항 또는 안전 취약구간이나 시공시 유의할 사항에 대한 정보를 더 입력할 수 있다.
이어서, 도 7f를 참조하면, 관찰자 단말(200)은 관찰자에게 보고서 작성, 암반 상태 결과의 공유, 및 암반 상태 결과의 저장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고서는 앞서 설명한 암반의 상태에 대한 결과, 암반의 상태에 대한 특기사항 및 유의사항에 대한 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암반의 상태 보고서일 수 있다. 관찰자 단말(200)은 관찰자로부터 '보고서' 버튼에 대한 선택을 수신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암반의 상태 보고서를 산출하고 관찰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관찰자 단말(200)은 관찰자로부터 '공유' 버튼에 대한 선택을 수신한 경우, 암반의 상태에 대한 정보 또는 암반의 상태 보고서를 관찰자가 지정한 단말(감독관 단말, 관리자 단말 등)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관찰자 단말(200)은 관찰자로부터 '저장' 버튼에 대한 선택을 수신한 경우, 암반의 상태에 대한 정보 또는 암반의 상태 보고서를 관찰자 단말(200) 또는 암반평가 서버(100)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도 7g을 참조할 때, 관찰자 단말(200)의 막장 사진 상에 절리에 대한 입력, 암질 또는 암종에 대한 입력, 지하수 유입 구역에 대한 입력, 충진물 상태에 대한 입력, 풍화구간에 대한 입력 중 적어도 하나의 소정 입력이 수행된 후, 막장 사진이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 관찰자 단말(200)의 앱 또는 암반평가 서버(100)의 프로세서(120)는 상기 소정 입력이 수행된 후, 막장 사진만을 제거하여 관찰자가 입력한 막장 스케치만을 나타낼 수 있다. 이를 막장 관찰도라고 고려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터널 내 관찰자로 하여금 보다 편리하게 막장 스케치(막장 관찰도)를 수행할 수 있도록 막장 사진을 디스플레이했던 것이다. 다음으로, 프로세서(120) 등은 상기 막장 사진을 제거함으로써 관찰자가 입력한 막장 스케치(절리에 대한 입력, 암질 또는 암종에 대한 입력, 지하수 유입 구역에 대한 입력, 충진물 상태에 대한 입력, 풍화구간에 대한 입력 등)만이 확인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 예에 의할 때, 관찰자 단말(200)의 앱 또는 프로세서(120)는 막장 관찰도와 함께 기존에 입력한 절리면 길이, 지하수 상태, 절리면 간격 등을 단말(200)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절리, 경암 등의 구분 표시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굴착현황 및 특기사항, 시공시 유의사항 등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시공의 효율성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암반평가 서버(100)는 제1 암반 평가 점수, 암반 등급, 암반 상태, 소정 암반에 대한 사진, 막장 스케치 등을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할 수 있고, 다른 단말(300)들로 하여금 접근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감독관 단말(300a), 발주처 단말(300c) 등에서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자료들에 접근 가능하고, 이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감독관 내지 관리자 등은 기록된 사진, 막장 스케치 등을 확인함으로써, 산출된 암반 평가 점수 내지 암반 등급 등이 제대로 이루어졌는지를 재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사 중인 터널의 소정 암반에 근접하는 주변 암반이 존재하고, 주변 암반에 대한 제2 암반 평가 점수 및 제2 암반 등급이 이미 데이터베이스(130)에 기저장되어 있다고 상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주변 암반은 소정 암반 근처에 있으므로, 암반 평가 점수 내지 암반 등급 역시 유사 범위내에 존재할 가능성이 높다.
이때, 암반평가 서버(100)의 프로세서(120)는 소정 암반에 대해 산출된 제1 암반 평가 점수 및 제1 암반 등급을 기저장된 제2 암반 평가 점수 및 제2 암반 등급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는 제1 암반 평가 점수 및 제1 암반 등급을 재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임계치는 암반 평가 점수를 기준으로 설정할 수도 있고, 암반 등급을 기준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가령, 상기 임계치가 평가 점수로 30점 이하인 상태에서, 주변 암반의 제2 암반 평가 점수가 15점이고 측정된 제1 암반 평가 점수가 75점에 해당한다면, 상기 평가 점수의 차이는 60점으로 임계치를 넘어서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암반 평가 점수 및 제1 암반 등급에 대한 재평가가 필요할 수 있다.
또한, 임계치가 암반 등급으로 2등급 이내인 상태에서, 주변 암반의 등급이 V이고, 측정된 제1 암반 등급이 II이라면, 상기 등급의 차이가 3등급 차이가 나므로 임계치를 넘어서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암반 평가 점수 및 제1 암반 등급에 대한 재평가가 필요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제1 암반 평가 점수 내지 제1 암반 등급이 일반적인 수준이라고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도, 재평가가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암반 평가 점수가 81점 이상(등급이 I등급), 20점 이하(등급이 V등급)에 해당하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재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암반 평가 점수 및 제1 암반 등급에 대한 재평가 방식에는 여러가지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서술하도록 하겠다.
일 실시예로, 암반평가 서버(100)의 프로세서(120)는 사진 또는 막장 스케치를 획득(관찰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하고, 이들을 감독관 단말(300a) 또는 관리자 단말(300b, 300d)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감독관 단말(300a) 또는 관리자 단말(300b, 300d)로 하여금 사진 또는 막장 스케치를 기초로 R1 값, R2 값, R3 값, R4 값, R5 값 및 R6 값 중 적어도 하나를 수정하도록 하여 제1 암반 평가 점수 및 제1 암반 등급을 재평가할 수 있다.
즉, 현장에서 관찰자 단말(200)로부터 획득된 R1 값, R2 값, R3 값, R4 값, R5 값, R6 값을 사무실에 위치한 감독자 단말(300a) 또는 관리자 단말(300b, 300d)에서 재평가를 수행하는 것이다. 감독자 또는 관리자는 전송받은 사진 및 막장 스케치를 통해 R1 값, R2 값, R3 값, R4 값, R5 값, R6 값을 다시 산출하여 기존의 제1 암반 평가 점수 및 제1 암반 등급을 재평가할 수 있는 것이다.
참고로, 위와 같이 제2 암반 평가 점수 및 제2 암반 등급을 제1 암반 평가 점수 및 제1 암반 등급과 비교한 결과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 암반평가 서버(100)의 프로세서(120)는 기설정 개수 이상의 사진 또는 막장 스케치를 요구하거나, 소정 암반의 다수의 면적에 대한 사진 또는 막장 스케치를 요구하는 메시지를 상기 관찰자 단말(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는 재평가가 필요하다고 판단될 때, 재평가의 기준이 되는 사진 또는 막장 스케치를 보다 정확하게 획득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사진은 관찰자가 직접 촬영한 사진에 해당할 수도 있고, 드론 등에 의해 촬영된 사진에 해당할 수도 있다.
결국, 감독자 또는 관리자는 직접 현장에 위치하지 않으면서, 관찰자 단말(200)로부터 획득한 제1 암반 평가 점수 및 제1 암반 등급을 재평가(비대면 평가)할 수 있다. 상기 재평가와 함께 감독자 또는 관리자는 상기 제1 암반 평가 점수 및 제1 암반 등급을 도출한 관찰자를 평가하여 정확도를 산출할 수 있다.
가령, 관찰자가 산출한 제1 암반 평가 점수 및 제1 암반 등급이 정확하다면, 감독자 또는 관리자는 해당 관찰자의 누적 정확도(도 8 및 아래 단락 참조)를 높일 수 있고, 관찰자가 산출한 제1 암반 평가 점수 및 제1 암반 등급이 정확하지 않다면, 감독자 또는 관리자는 해당 관찰자의 누적 정확도를 낮추고 상기 제1 암반 평가 점수 및 제1 암반 등급을 수정작업할 수 있다.상기 감독자 또는 관리자가 수행하는 대부분의 작업은 현장이 아닌 사무실 등에서 비대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관찰자별 암반 평가 수행 이력이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복수의 관찰자가 존재하고, 복수의 관찰자 각각이 도출한 암반 평가 점수 및 암반 등급 이력과 이들에 대한 정확도가 데이터베이스(130)에 기저장되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되고 있다고 상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과 같이 데이터베이스(130)에 기록된 이력을 살펴보면, 관찰자 A는 경기도 화성시(18.10.01)의 어느 터널에서 암반 평가(65점/II등급)를 수행하였고 해당 정확도는 75%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경기도 광주시(19.12.05)의 어느 터널에서 암반 평가(80점/II등급)를 수행하였고 해당 정확도는 80%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누적 정확도는 78%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관찰자 B는 경산시(18.05.21)의 어느 터널에서 암반 평가(20점/V등급)를 수행하였고 해당 정확도는 99%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청도군(19.03.07)의 어느 터널에서 암반 평가(85점/I등급)를 수행하였고 해당 정확도는 95%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누적 정확도는 98%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데이터베이스(130)에 관찰자의 평가 이력에 대한 정보가 기록된 상태에서, 암반평가 서버(100)의 프로세서(120)는 누적 정확도를 기초로 복수의 관찰자의 등급을 적어도 제1 등급 및 제2 등급으로 구분할 수 있다. 도 8을 고려하면, 누적 정확도가 높은 관찰자 B가 제1 등급, 누적 정확도가 낮은 관찰자 A가 제2 등급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보다 높은 등급인 제1 등급에 해당하는 소정 관찰자로 하여금 터널에 위치하면서 단말에 R1 값, R2 값, R3 값, R4 값, R5 값, R6 값 중 적어도 하나를 수정하도록 하여 제1 암반 평가 점수 및 제1 암반 등급을 재평가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20)는 관찰자 B로 하여금 터널에 위치하면서 R1 값, R2 값, R3 값, R4 값, R5 값, R6 값 중 적어도 하나를 수정하도록 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등급이 높은 관찰자로 하여금 R1 값 등을 새로이 획득하도록 하여 암반 평가 점수 등을 재평가하는 것은 보다 정확하게 소정 암반의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함이다.
또한, 일 실시예로서 제1 암반 평가 점수 및 제1 암반 등급이 높은 정도 순에 따라 제1 레벨, 제2 레벨로 구분하고, 제1 레벨이 제2 레벨보다 높다고 상정할 수 있다.
즉, 제1 암반 평가 점수가 75점이고 제1 암반 등급이 II에 해당하면 제1 레벨로 상정하고, 제1 암반 평가 점수가 55점이고 제1 암반 등급이 III에 해당하면 제2 레벨로 상정할 수 있는 것이다.
참고로, 상기 레벨은 암반 등급과 동일하게 구분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레벨의 개수보다 암반 등급의 개수가 더 많을 수도 있다(ex 도 6에서 볼 수 있듯이, 암반 등급은 5등급인데, 레벨의 개수는 3개일 수 있음). 즉, 2개 이상의 암반 등급이 하나의 동일 레벨에 해당할 수 있는 것이다.
암반평가 서버(100)의 프로세서(120)는, 상기 제1 암반 평가 점수 및 제1 암반 등급이 제1 레벨(높은 점수 및 높은 등급)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1 암반 평가 점수 및 제1 암반 등급을 감독관 단말(300a) 및 터널관리자 단말(300b)에 전송하여 공유할 수 있다.
반대로, 프로세서(120)는 제1 암반 평가 점수 및 제1 암반 등급이 제2 레벨(낮은 점수 및 낮은 등급)에 해당하는 경우, 제1 암반 평가 점수 및 제1 암반 등급을 감독관 단말(300a), 터널관리자 단말(300b), 품질관리자 단말(300d) 및 발주처 단말(300c)에 전송하여 공유할 수 있다.
이는 프로세서(120)가 산출된 암반 평가 점수 및 암반 등급에 따라 공유 대상을 달리하는 것으로서, 소정 암반이 높은 등급에 해당한다면 비교적 안전성이 인정되므로 감독관 및 터널관리자에만 관련 정보를 전송해도 문제 발생가능성이 적을 수 있다.
반면, 낮은 등급에 해당한다면 소정 암반이 불안한 상태에 해당하므로, 프로세서(120)는 감독관, 터널관리자뿐만 아니라 품질관리자, 발주처 등에도 관련 정보를 전송하여 공유할 필요가 있다.
위와 달리, 산출된 제1 암반 평가 점수 및 제1 암반 등급이 제1 레벨에 해당하는 경우, 감독관 단말(300a)에만 공유되고, 제2 레벨에 해당하는 경우, 터널관리자 단말(300b), 품질관리자 단말(300d), 발주처 단말(300c)에도 공유될 수도 있다. 상기 공유 대상은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편, 공사 중인 터널에 대해, 외부 환경을 측정하여 붕괴 위험이 있는 위험 상태(고위험군)인지, 위험하지 않은 상태(저위험군)인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공사 중인 터널이 고위험군으로 판단된 경우, 프로세서(120)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관찰자 단말(200)로 하여금 상기 R1 값, 상기 R2 값, 상기 R3 값, 상기 R4 값, 상기 R5 값, 상기 R6 값을 획득하도록 하고, 상기 적어도 두개 이상의 관찰자 단말 각각으로부터 획득한 암반 평가 점수를 기초로 최종 암반 평가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즉, 붕괴 위험이 있는 상태에 해당하는 터널에 대해서는 복수의 관찰자가 암반 평가 점수 및 암반 등급을 평가하여 보다 정확한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복수의 관찰자 각각의 암반 평가 점수 및 암반 등급이 동일하다면 문제가 되지 않지만, 상기 암반 평가 점수 및 상기 암반 등급이 서로 다른 경우에는 문제가 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아래와 같은 방식을 고려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할 때,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관찰자 중 등급(전술한 누적 정확도 기초)이 높은 관찰자의 암반 평가 점수 및 암반 등급을 기초로 최종 암반 평가 점수 및 최종 암반 등급을 산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의할 때, 프로세서(120)는 상기 복수의 관찰자들이 획득한 사진 내지 막장 스케치를 다른 단말(300b, 300c, 300d) 등에 전송하여 관리자, 감독자 등으로 하여금 최종 암반 평가 점수 및 최종 암반 등급을 산출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터널이 고위험군 또는 저위험군인지를 미리 판단하고, 고위험군의 터널에 포함된 소정 암반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관찰자 단말(200)로 하여금 기설정 제1 개수(ex 10장)이상의 사진 및 막장 스케치를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중간위험군의 터널에 포함된 소정 암반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관찰자 단말(200)로 하여금 기설정 제2 개수(ex 5장)이상의 사진 및 막장 스케치를 획득하도록 할 수 있고, 저위험군의 터널에 포함된 소정 암반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관찰자 단말(200)로 하여금 기설정 제3 개수(ex 3장)이상의 사진 및 막장 스케치를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단말을 이용하여 암반 등급(Rock Mass Rating)을 확인하는 방법에 있어서, 공사 중인 터널에서 소정 암반의 등급을 분류하기 위해 정보를 입력하는 관찰자가 존재하고, 관찰자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암반평가 서버가 존재한다고 할 때, (a) 관찰자 단말이, i) 슈미트해머의 타격에 의한 반발력에 대응하면서 소정 암반의 강도에 해당하는 R1 값, ii) 소정 암반의 암질계수(Rock Quality Designation)에 해당하는 R2 값, iii) 소정 암반의 절리면 간격에 해당하는 R3 값, iv) 소정 암반에 포함된 절리면의 거칠기, 풍화정도를 고려하면서 절리면 상태에 해당하는 R4 값, v) 소정 암반의 지하수 조건에 해당하는 R5 값 및 vi) 소정 암반의 절리면 방향에 따른 보정 점수에 해당하는 R6 값에 대응하는 복수의 초기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b) 관찰자 단말의 앱 또는 암반평가 서버가 복수의 초기 정보를 기초로 R1 값, R2 값, R3 값, R4 값, R5 값 및 R6 값을 획득하고, 이들을 기초로 제1 암반 평가 점수를 산출하며, 제1 암반 평가 점수에 대응하는 제1 암반 등급을 도출하는 단계, 및 (c) 암반평가 서버는, 획득한 제1 암반 평가 점수 및 제1 암반 등급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이들을 감독관 단말 및 관리자 단말에 전송하여 공유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a) 단계는, 관찰자 단말이, R1 값을 입력받은 후, R2 값을 입력받은 후, R3 값을 입력받은 후, R4 값을 입력받은 후, R5 값을 입력받은 후, 및 R6 값을 입력받은 후 각각에 입력받은 복수의 초기 정보의 합산인 RMR 총점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관찰자 단말이 소정 암반의 절리, 암종, 지하수 유입 구역, 충진물의 상태 및 풍화 구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관찰자로부터 소정 암반의 사진에 입력받고, 소정 암반의 상태 결과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소정 암반에 근접하는 주변 암반이 존재하고, 주변 암반에 대한 제2 암반 평가 점수 및 제2 암반 등급이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상태에서, 암반평가 서버는, 제2 암반 평가 점수 및 제2 암반 등급을 제1 암반 평가 점수 및 제1 암반 등급과 비교하고, 비교 결과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는 제1 암반 평가 점수 및 제1 암반 등급을 재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관찰자에 의해 소정 암반에 대한 사진 또는 막장 스케치가 획득된 상태에서, 암반평가 서버는, 사진 또는 막장 스케치를 획득하고, 이들을 감독관 단말 또는 관리자 단말에 전송하며, 감독관 단말 또는 관리자 단말로 하여금 사진 또는 막장 스케치를 기초로 R1 값, R2 값, R3 값, R4 값, R5 값, R6 값 중 적어도 하나를 수정하도록 하여 제1 암반 평가 점수 및 제1 암반 등급을 재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복수의 관찰자가 존재하고, 복수의 관찰자 각각이 도출한 암반 평가 점수 및 암반 등급 이력과 이들에 대한 누적 정확도가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되어 있다고 할 때, 암반평가 서버는, 누적 정확도를 기초로 복수의 관찰자의 등급을 적어도 제1 등급 및 제2 등급으로 구분하고, 보다 높은 등급인 제1 등급에 해당하는 소정 관찰자로 하여금 터널에 위치하면서 단말에 R1 값, R2 값, R3 값, R4 값, R5 값, R6 값 중 적어도 하나를 수정하도록 하여 제1 암반 평가 점수 및 제1 암반 등급을 재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암반 평가 점수 및 제1 암반 등급이 높은 정도순에 따라 제1 레벨, 제2 레벨로 구분되고, 제1 레벨이 제2 레벨보다 높다고 할 때, 암반평가 서버는, 제1 압반 평가 점수 및 제1 암반 등급이 제1 레벨에 해당하는 경우 제1 암반 평가 점수 및 제1 암반 등급을 감독관 단말 및 터널관리자 단말에 전송하여 공유하고, 제1 암반 평가 점수 및 제1 암반 등급이 제2 레벨에 해당하는 경우 제1 암반 평가 점수 및 제1 암반 등급을 감독관 단말, 터널관리자 단말, 품질관리자 단말 및 발주처 단말에 전송하여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공사 중인 터널이 고위험군으로 판단된 경우, 암반평가 서버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관찰자 단말로 하여금 R1 값, R2 값, R3 값, R4 값, R5 값, R6 값을 획득하도록 하고, 적어도 두개 이상의 관찰자 단말 각각으로부터 획득한 암반 평가 점수를 기초로 최종 암반 평가 점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암반평가 서버는, 관찰자 단말로부터 소정 암반에 대한 사진, 막장 스케치 및 제1 암반 평가 점수를 획득하고, 이들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감독관 단말 및 관리자 단말로 하여금 접근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암반 평가 서버는 단말을 이용하여 암반 등급(Rock Mass Rating)을 확인하는 암반평가 서버에 있어서, 공사 중인 터널에서 소정 암반의 등급을 분류하기 위해 정보를 입력하는 관찰자가 존재한다고 할 때, 관찰자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획득한 제1 암반 평가 점수 및 제1 암반 등급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i) 슈미트해머의 타격에 의한 반발력에 대응하면서 소정 암반의 강도에 해당하는 R1 값, ii) 소정 암반의 암질계수(Rock Quality Designation)에 해당하는 R2 값, iii) 소정 암반의 절리면 간격에 해당하는 R3 값, iv) 소정 암반에 포함된 절리면의 거칠기, 풍화정도를 고려하면서 절리면 상태에 해당하는 R4 값, v) 소정 암반의 지하수 조건에 해당하는 R5 값 및 vi) 소정 암반의 절리면 방향에 따른 보정 점수에 해당하는 R6 값에 대응하는 복수의 초기 정보를 관찰자 단말로부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고, 이들을 기초로 제1 암반 평가 점수를 산출하고, 제1 암반 평가 점수에 대응하는 제1 암반 등급을 도출하며, 제1 암반 평가 점수 및 제1 암반 등급을 감독관 단말 및 관리자 단말과 공유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관찰자 단말은 공사 중인 터널에서 소정 암반의 등급을 분류하기 위해 정보를 입력하는 관찰자가 존재한다고 할 때, 통신 모듈; 디스플레이 모듈; 카메라 모듈; 획득한 제1 암반 평가 점수 및 제1 암반 등급을 저장하는 저장 모듈; 및 i) 슈미트해머의 타격에 의한 반발력에 대응하면서 상기 소정 암반의 강도에 해당하는 R1 값, ii) 상기 소정 암반의 암질계수(Rock Quality Designation)에 해당하는 R2 값, iii) 상기 소정 암반의 절리면 간격에 해당하는 R3 값, iv) 상기 소정 암반에 포함된 절리면의 거칠기, 풍화정도를 고려하면서 절리면 상태에 해당하는 R4 값, v) 상기 소정 암반의 지하수 조건에 해당하는 R5 값 및 vi) 상기 소정 암반의 절리면 방향에 따른 보정 점수에 해당하는 R6 값에 대응하는 복수의 초기 정보를 입력 모듈을 통해 수신하고, 이들을 기초로 상기 제1 암반 평가 점수를 산출하고, 상기 제1 암반 평가 점수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암반 등급을 도출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암반평가 서버
110: 통신부
120: 프로세서
130: 데이터베이스
200: 관찰자 단말
300a: 감독관 단말
300b: 터널관리자 단말
300c: 발주처 단말
300d: 품질관리자 단말

Claims (12)

  1. 단말을 이용하여 암반 등급(Rock Mass Rating)을 확인하는 방법에 있어서,
    공사 중인 터널에서 소정 암반의 등급을 분류하기 위해 정보를 입력하는 관찰자가 존재하고, 관찰자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암반평가 서버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a) 상기 관찰자 단말의 앱 또는 상기 암반평가 서버가, 상기 관찰자 단말의 입력 모듈을 통해, i-1) 슈미트해머의 타격에 의한 반발력에 대응하면서 상기 소정 암반의 강도에 해당하는 R1 값, i-2) 상기 소정 암반의 암질계수(Rock Quality Designation)에 해당하는 R2 값, i-3) 상기 소정 암반의 절리면 간격에 해당하는 R3 값, i-4) 상기 소정 암반에 포함된 절리면의 거칠기, 풍화정도를 고려하면서 절리면 상태에 해당하는 R4 값, i-5) 상기 소정 암반의 지하수 조건에 해당하는 R5 값 및 i-6) 상기 소정 암반의 절리면 방향에 따른 보정 점수에 해당하는 R6 값에 대응하는 복수의 초기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b) 상기 관찰자 단말의 앱 또는 상기 암반평가 서버가 상기 복수의 초기 정보를 기초로 상기 R1 값, 상기 R2 값, 상기 R3 값, 상기 R4 값, 상기 R5 값 및 상기 R6 값을 획득하고, 이들을 기초로 제1 암반 평가 점수를 산출하며, 상기 제1 암반 평가 점수에 대응하는 제1 암반 등급을 도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암반평가 서버가, 획득한 상기 제1 암반 평가 점수 및 상기 제1 암반 등급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이들을 감독관 단말 및 관리자 단말에 전송하여 공유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소정 암반에 근접하는 주변 암반이 존재하고, 상기 주변 암반에 대한 제2 암반 평가 점수 및 제2 암반 등급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상태에서,
    상기 암반평가 서버는,
    상기 제2 암반 평가 점수 및 상기 제2 암반 등급을 상기 제1 암반 평가 점수 및 상기 제1 암반 등급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제1 암반 평가 점수 및 상기 제1 암반 등급을 재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찰자 단말의 앱 또는 상기 암반평가 서버는, ii-1) 상기 관찰자 단말에서 상기 R1 값에 대응하는 초기 정보를 입력받은 후 상기 R1 값을 산출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R1 값을 기초로 누적 총점을 업데이트하고, ii-2) 상기 관찰자 단말에서 상기 R2 값에 대응하는 초기 정보를 입력받은 후, 상기 R2 값을 산출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R2 값을 기초로 상기 누적 총점을 업데이트하며, ii-3) 상기 관찰자 단말에서 상기 R3 값에 대응하는 초기 정보를 입력받은 후, 상기 R3 값을 산출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R3 값을 기초로 상기 누적 총점을 업데이트하고, ii-4) 상기 관찰자 단말에서 상기 R4 값에 대응하는 초기 정보를 입력받은 후, 상기 R4 값을 산출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R4 값을 기초로 상기 누적 총점을 업데이트하며, ii-5) 상기 관찰자 단말에서 상기 R5 값에 대응하는 초기 정보를 입력받은 후, 상기 R5 값을 산출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R5 값을 기초로 상기 누적 총점을 업데이트하고, ii-6) 상기 관찰자 단말에서 상기 R6 값에 대응하는 초기 정보를 입력받은 후, 상기 R6 값을 산출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R6 값을 기초로 상기 누적 총점을 업데이트하여 상기 제1 암반 평가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찰자 단말이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소정 암반에 대한 막장 사진을 획득하고, 이를 디스플레이하는 상태에서,
    상기 관찰자 단말의 앱 또는 상기 암반평가 서버는, 상기 관찰자로 하여금 상기 관찰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막장 사진 상에 iii-1) 절리에 대한 입력, iii-2) 암질 또는 암종에 대한 입력, iii-3) 지하수 유입 구역에 대한 입력, iii-4) 충진물 상태에 대한 입력, iii-5) 풍화구간에 대한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막장 사진 상에 iii-1) 절리에 대한 입력, iii-2) 암질 또는 암종에 대한 입력, iii-3) 지하수 유입 구역에 대한 입력, iii-4) 충진물 상태에 대한 입력, iii-5) 풍화구간에 대한 입력 중 적어도 하나의 소정 입력이 수행된 후, 상기 관찰자 단말의 앱 또는 상기 암반평가 서버는, 상기 막장 사진을 제거하고 상기 소정 입력에 대응하는 막장 스케치를 나타내는 막장 관찰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찰자에 의해 상기 소정 암반에 대한 사진 또는 막장 스케치가 획득된 상태에서,
    상기 암반평가 서버는, 상기 사진 또는 상기 막장 스케치를 획득하고, 이들을 상기 감독관 단말 또는 상기 관리자 단말에 전송하며, 상기 감독관 단말 또는 상기 관리자 단말로 하여금 상기 사진 또는 상기 막장 스케치를 기초로 상기 R1 값, 상기 R2 값, 상기 R3 값, 상기 R4 값, 상기 R5 값, 상기 R6 값 중 적어도 하나를 수정하도록 하여 상기 제1 암반 평가 점수 및 상기 제1 암반 등급을 재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관찰자가 존재하고, 상기 복수의 관찰자 각각이 도출한 암반 평가 점수 및 암반 등급 이력과 이들에 대한 누적 정확도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되어 있다고 할 때,
    상기 암반평가 서버는, 상기 누적 정확도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관찰자의 등급을 적어도 제1 등급 및 제2 등급으로 구분하고, 보다 높은 등급인 상기 제1 등급에 해당하는 소정 관찰자로 하여금 상기 터널에 위치하면서 단말에 상기 R1 값, 상기 R2 값, 상기 R3 값, 상기 R4 값, 상기 R5 값, 상기 R6 값 중 적어도 하나를 수정하도록 하여 상기 제1 암반 평가 점수 및 상기 제1 암반 등급을 재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암반 평가 점수 및 상기 제1 암반 등급이 높은 정도순에 따라 제1 레벨, 제2 레벨로 구분되고, 상기 제1 레벨이 상기 제2 레벨보다 높다고 할 때,
    상기 암반평가 서버는, 상기 제1 암반 평가 점수 및 상기 제1 암반 등급이 상기 제1 레벨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1 암반 평가 점수 및 상기 제1 암반 등급을 상기 감독관 단말 및 터널관리자 단말에 전송하여 공유하고, 상기 제1 암반 평가 점수 및 상기 제1 암반 등급이 상기 제2 레벨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1 암반 평가 점수 및 상기 제1 암반 등급을 상기 감독관 단말, 상기 터널관리자 단말, 품질관리자 단말 및 발주처 단말에 전송하여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사 중인 터널이 고위험군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암반평가 서버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관찰자 단말로 하여금 상기 R1 값, 상기 R2 값, 상기 R3 값, 상기 R4 값, 상기 R5 값, 상기 R6 값을 획득하도록 하고, 상기 적어도 두개 이상의 관찰자 단말 각각으로부터 획득한 암반 평가 점수를 기초로 최종 암반 평가 점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반평가 서버는, 상기 관찰자 단말로부터 상기 소정 암반에 대한 사진, 막장 스케치 및 상기 제1 암반 평가 점수를 획득하고, 이들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상기 감독관 단말 및 상기 관리자 단말로 하여금 접근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단말을 이용하여 암반 등급(Rock Mass Rating)을 확인하는 암반평가 서버에 있어서,
    공사 중인 터널에서 소정 암반의 등급을 분류하기 위해 정보를 입력하는 관찰자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관찰자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획득한 제1 암반 평가 점수 및 제1 암반 등급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i) 슈미트해머의 타격에 의한 반발력에 대응하면서 상기 소정 암반의 강도에 해당하는 R1 값, ii) 상기 소정 암반의 암질계수(Rock Quality Designation)에 해당하는 R2 값, iii) 상기 소정 암반의 절리면 간격에 해당하는 R3 값, iv) 상기 소정 암반에 포함된 절리면의 거칠기, 풍화정도를 고려하면서 절리면 상태에 해당하는 R4 값, v) 상기 소정 암반의 지하수 조건에 해당하는 R5 값 및 vi) 상기 소정 암반의 절리면 방향에 따른 보정 점수에 해당하는 R6 값에 대응하는 복수의 초기 정보를 상기 관찰자 단말로부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고, 이들을 기초로 상기 제1 암반 평가 점수를 산출하고, 상기 제1 암반 평가 점수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암반 등급을 도출하며, 상기 제1 암반 평가 점수 및 상기 제1 암반 등급을 감독관 단말 및 관리자 단말과 공유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소정 암반에 근접하는 주변 암반이 존재하고, 상기 주변 암반에 대한 제2 암반 평가 점수 및 제2 암반 등급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상태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암반 평가 점수 및 상기 제2 암반 등급을 상기 제1 암반 평가 점수 및 상기 제1 암반 등급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제1 암반 평가 점수 및 상기 제1 암반 등급을 재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반 평가 서버.
  12. 삭제
KR1020200079632A 2020-06-29 2020-06-29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암반 등급을 결정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 KR102204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9632A KR102204442B1 (ko) 2020-06-29 2020-06-29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암반 등급을 결정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9632A KR102204442B1 (ko) 2020-06-29 2020-06-29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암반 등급을 결정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4442B1 true KR102204442B1 (ko) 2021-01-18

Family

ID=74236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9632A KR102204442B1 (ko) 2020-06-29 2020-06-29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암반 등급을 결정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444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8206B1 (ko) * 2021-02-02 2022-01-07 (주) 신우하이텍 디지털 이미지 기반 암반평점값 산출 방법 및 장치
KR20220029396A (ko) 2020-08-28 2022-03-08 김양균 딥러닝 모델을 이용한 암반 등급을 평가하는 자동화 장치 및 방법
KR20220111428A (ko) * 2021-02-02 2022-08-09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디지털 이미지 기반 암반평점값 산출 방법 및 장치
KR102519688B1 (ko) * 2022-11-11 2023-04-10 (주)아이콘트 터널 굴착면의 암반 상태 평가 정보 생성 방법
KR102632868B1 (ko) * 2023-08-02 2024-02-06 미래이엔씨 주식회사 막장의 암반상태 평가방법
KR102655969B1 (ko) * 2023-06-23 2024-04-08 최재진 터널 시공 관리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6610A (ko) * 1996-08-29 1998-06-05 정순착 암반의 불연속면을 고려한 발파암반 분류기술과 발파설계 및 터널발파방법
JP2008527224A (ja) * 2005-01-19 2008-07-24 アトラス コプコ ロツク ドリルス アクチボラグ 岩盤補強ボルトの施工をモニタリングして記録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KR101062211B1 (ko) * 2008-08-07 2011-09-05 에스케이건설 주식회사 지질조건을 고려한 터널 및 지하공간 시공시뮬레이션시스템 및 방법
KR20120034504A (ko) * 2010-10-01 2012-04-12 한국도로공사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터널 굴착 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6610A (ko) * 1996-08-29 1998-06-05 정순착 암반의 불연속면을 고려한 발파암반 분류기술과 발파설계 및 터널발파방법
JP2008527224A (ja) * 2005-01-19 2008-07-24 アトラス コプコ ロツク ドリルス アクチボラグ 岩盤補強ボルトの施工をモニタリングして記録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KR101062211B1 (ko) * 2008-08-07 2011-09-05 에스케이건설 주식회사 지질조건을 고려한 터널 및 지하공간 시공시뮬레이션시스템 및 방법
KR20120034504A (ko) * 2010-10-01 2012-04-12 한국도로공사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터널 굴착 관리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9396A (ko) 2020-08-28 2022-03-08 김양균 딥러닝 모델을 이용한 암반 등급을 평가하는 자동화 장치 및 방법
KR102348206B1 (ko) * 2021-02-02 2022-01-07 (주) 신우하이텍 디지털 이미지 기반 암반평점값 산출 방법 및 장치
KR20220111428A (ko) * 2021-02-02 2022-08-09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디지털 이미지 기반 암반평점값 산출 방법 및 장치
KR102535780B1 (ko) * 2021-02-02 2023-05-22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디지털 이미지 기반 암반평점값 산출 방법 및 장치
KR102519688B1 (ko) * 2022-11-11 2023-04-10 (주)아이콘트 터널 굴착면의 암반 상태 평가 정보 생성 방법
KR102655969B1 (ko) * 2023-06-23 2024-04-08 최재진 터널 시공 관리 시스템
KR102632868B1 (ko) * 2023-08-02 2024-02-06 미래이엔씨 주식회사 막장의 암반상태 평가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4442B1 (ko)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암반 등급을 결정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
Paal et al. Automated damage index estimation of reinforced concrete columns for post-earthquake evaluations
AU2020204531B2 (en) Estimating material properties
KR102017313B1 (ko) 지반조건에 따른 굴착지반 위험 분류 방법
WO2018018661A1 (zh) 岩质边坡交互式稳定显示系统的显示方法
Ganesan et al. Assessment of drilling inaccuracy and delineation of constructional and geological overbreak
Morin Geotechnical BIM: Applying BIM principles to the subsurface
JP2018106309A (ja) 既存構造物の管理情報確認システム
Bednarczyk et al. Mobile application technology in levelling
JP5208670B2 (ja) 地下水状態評価システム、及び地下水状態評価方法
Kashtiban et al. Assessment of blasting impacts on the discontinuities in a salt stope and pillar mine using a developed image processing
KR20160043728A (ko) 모바일 앱을 이용한 휴대용 계측 단말 및 이를 이용한 계측 관리 방법
JP2017049905A (ja) 既存構造物の管理情報確認システム
JP2018154971A (ja) 地盤推定方法、地盤推定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A290522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djusting existing well plans
Alkamil et al. A novel approach to predict collapse volume using image processing
Saha et al. Proactive Decision-Making Through Real-Time Geomechanical Support Leveraging Drilling a Long Horizontal Section Through a Tight Unconventional Reservoir of an Oil and Gas Field: Middle East
Samson et al. Geotechnical Characterization and Rockfall Simulation Using Remote Mapping. A case of Carnsew Quarry in Penryn, Cornwall (UK)
KR102626365B1 (ko) 시공 현장 통합안전 관리 시스템
KR102445592B1 (ko) 포장도로 유지관리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유지관리 방법
KR20190131338A (ko) Sagd 생산곡선 예측장치
KR102448466B1 (ko) 3차원 지하시설물의 부분갱신을 위한 영상 처리 장치
KR102655969B1 (ko) 터널 시공 관리 시스템
KR100941941B1 (ko) 암반사면정보 관리 서버의 암반사면정보 제공 방법
KR20200128949A (ko) 터널 막장면의 계측자료에 따른 지반 트렌드 기반의 전방 예측 방법과 예측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