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3996B1 -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3996B1
KR102203996B1 KR1020190010485A KR20190010485A KR102203996B1 KR 102203996 B1 KR102203996 B1 KR 102203996B1 KR 1020190010485 A KR1020190010485 A KR 1020190010485A KR 20190010485 A KR20190010485 A KR 20190010485A KR 102203996 B1 KR102203996 B1 KR 1022039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menu
advertisement
unit
order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0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3251A (ko
Inventor
황상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마트캐스트
황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마트캐스트, 황상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마트캐스트
Priority to KR1020190010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3996B1/ko
Publication of KR20200093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32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3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3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1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location
    • G06K9/00221
    • G06K9/00369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G06Q30/0271Personalized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03Static body considered as a whole, e.g. static pedestrian or occupant recogn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존재 및 근접 유무를 검출하는 사용자 검출부, 상기 사용자의 존재가 인지되면 광고 모드로 전환하여 광고 컨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광고 컨텐츠로 디스플레이 패널을 활성화시켜 상기 사용자의 유인을 시도하는 사용자 광고 유인부 및 상기 사용자의 근접이 인지되면 메뉴제공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사용자의 안면인식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유형을 결정하고 추천 메뉴를 생성하는 사용자 메뉴 처리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존재 및 근접 유무를 자동으로 인지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SMART ORDER PROCESSING APPARATUS}
본 발명은 스마트 주문처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존재 및 근접 유무를 자동으로 인지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키오스크(kiosk)를 이용한 자동 주문 시스템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 키오스크는 정보서비스와 업무의 무인자동화를 위하여 대중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장소에 설치된 무인 단말기에 해당한다. 키오스크를 기반으로 하는 자동 주문 시스템은 사람의 개입이 없더라도 자동으로 주문을 접수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실제 고객이 접근하여 사용을 개시하기 전까지는 별도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40747(2013.02.28)호는 동작 감지 신호 기반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사용되는 키오스크 장치 및 모바일 기기에 관한 것으로, 컨텐츠를 제공받기 위한 일련의 과정들을 진행할 필요 없이 모바일 기기에 기정해진 동작을 발생시킴으로써 원하는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고, 컨텐츠를 제공받기 위하여 공개적인 장소에 설치되는 키오스크 장치에 개인 정보를 입력할 필요가 없음에 따라 개인 정보 유출을 방지할 수 있으며, 쉽고 빠른 인터페이스를 지원함으로 인하여 사용자들의 직접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고 양방향의 광고가 가능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46867(2013.05.08)호는 키오스크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키오스크를 통하여 제공하는 무료 통화 시에 사용자에게 광고를 제공하여 광고 제공 효과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는 무료 통화를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과 광고주 모두에게 장점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40747(2013.02.28)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46867(2013.05.08)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존재 및 근접 유무를 자동으로 인지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존재나 근접에 따른 모드 전환을 통해 사용자 유인을 위한 광고의 제공과 메뉴 결제를 위한 추천 메뉴의 생성을 동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일정 시간 이상 사용자 검출에 실패한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의 비활성화를 수행하여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고, 비활성화 지속시간에 따라 사용자 유인을 위한 광고 및 전자 쿠폰의 제공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는 사용자의 존재 및 근접 유무를 검출하는 사용자 검출부, 상기 사용자의 존재가 인지되면 광고 모드로 전환하여 광고 컨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광고 컨텐츠로 디스플레이 패널을 활성화시켜 상기 사용자의 유인을 시도하는 사용자 광고 유인부 및 상기 사용자의 근접이 인지되면 메뉴제공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사용자의 안면인식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유형을 결정하고 추천 메뉴를 생성하는 사용자 메뉴 처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검출부는 제1 기준시간 동안 계속하여 상기 사용자의 존재 및 근접에 대한 검출에 실패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비활성화 시킬 수 있다.
상기 사용자 광고 유인부는 상기 비활성화의 지속 시간이 제2 기준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주기적으로 과거 결제 기록을 검색하여 해당 사용자의 연락처로 상기 광고 콘텐츠와 연관된 전자 쿠폰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광고 유인부는 상기 비활성화의 지속 시간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수 및 상기 전자 쿠폰의 할인율 중 적어도 하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메뉴 처리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유형 결정을 위한 사전 동의를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대한 승인을 수신한 경우에만 상기 사용자의 안면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메뉴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의 안면인식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인종을 추정하여 메뉴 장르를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의 성별 및 연령을 추정하여 상기 메뉴 장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메뉴 컨텐츠를 상기 추천 메뉴로서 결정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는 사용자의 존재나 근접에 따른 모드 전환을 통해 사용자 유인을 위한 광고의 제공과 메뉴 결제를 위한 추천 메뉴의 생성을 동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는 일정 시간 이상 사용자 검출에 실패한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의 비활성화를 수행하여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고, 비활성화 지속시간에 따라 사용자 유인을 위한 광고 및 전자 쿠폰의 제공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의 물리적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에서 수행되는 스마트 주문처리 과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는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에서 수행되는 사용자 검출 과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5는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에서 수행되는 스마트 주문처리 과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의 물리적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100)는 프로세서(110), 메모리(130), 사용자 입출력부(15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100)는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주문을 자동으로 접수하여 처리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10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네트워크 기능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고, 이미지 분석을 통해 사용자를 인식하거나 안면인식을 수행하기 위한 카메라와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다양한 정보 수집을 위한 복수의 센서들을 더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100)는 일반적인 키오스크(kiosk)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로부터의 주문 접수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로 설계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100)는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식별하고 광고 또는 추천 메뉴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는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100)와 독립적으로 구현되어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100)는 외부 시스템과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외부 시스템은 POS(Point Of Sales, KDS(Kitchen Display System), DID(Digital Information Displa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사용자의 존재 및 근접 유무를 자동으로 검출하여 사용자에게 광고 컨텐츠 또는 추천 메뉴를 제공하기 위한 각 프로시저를 실행할 수 있고, 그 과정 전반에서 읽혀지거나 작성되는 메모리(130)를 관리할 수 있으며, 메모리(130)에 있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 간의 동기화 시간을 스케줄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1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고, 메모리(130), 사용자 입출력부(15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100)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SSD(Solid State Disk) 또는 HDD(Hard Disk Drive)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되어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100)에 필요한 데이터 전반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보조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된 주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출력부(15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환경 및 사용자에게 특정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출력부(150)는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화상 키보드 또는 포인팅 장치와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입력장치 및 모니터 또는 터치스크린과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출력부(150)는 원격 접속을 통해 접속되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고, 그러한 경우,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100)는 서버로서 수행될 수 있다.
네트워크 입출력부(170)은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 또는 시스템과 연결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및 VAN(Value Added Network) 등의 통신을 위한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100)는 사용자 검출부(210), 사용자 광고 유인부(230), 사용자 메뉴 처리부(250) 및 제어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검출부(210)는 사용자의 존재 및 근접 유무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검출부(210)는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100)가 설치된 위치를 기준으로 A 거리(예를 들어, 10m) 이내의 영역에 사용자가 존재하는지를 검출하여 사용자의 존재를 검출할 수 있고, B 거리(예를 들어, 1m) 이내의 영역에 사용자가 존재하는지를 검출하여 사용자의 근접 유무를 검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검출부(210)는 사용자의 존재 및 근접 유무 검출을 위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해당 영역에 대한 이미지를 생성하는 카메라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검출부(210)는 카메라 센서를 통해 획득한 이미지를 분석하여 특정 영역 내에 사용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주기적인 이미지 분석을 통해 이미지 간의 변화로 도출되는 사용자의 이동 상황을 검출할 수 있다. 사용자 검출부(210)는 분석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복수의 센서들을 동시에 활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검출부(210)는 제1 기준시간 동안 계속하여 사용자의 존재 및 근접에 대한 검출에 실패한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을 비활성화 시킬 수 있다. 제1 기준시간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비활성화를 결정하기 위한 비교 기준시간에 해당할 수 있고,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100)에 의해 사전에 설정되어 활용될 수 있다. 사용자 검출부(210)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비활성화 시킴으로써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100)의 소비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사용자 광고 유인부(230)는 사용자의 존재가 인지되면 광고 모드로 전환하여 광고 컨텐츠를 생성하고, 광고 컨텐츠로 디스플레이 패널을 활성화시켜 사용자의 유인을 시도할 수 있다. 사용자 광고 유인부(230)는 사용자 검출부(210)에 의해 특정 영역 내에서 사용자의 존재가 검출된 경우 광고 모드로의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 광고 모드는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100)가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광고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동작 모드에 해당할 수 있고, 효율적인 광고전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100)의 일부 기능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광고 유인부(230)는 메모리(130) 또는 외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복수의 광고 컨텐츠들을 획득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재생시킬 수 있다. 사용자 광고 유인부(230)는 사용자 유인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광고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광고 유인부(230)는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인기있는 순서에 따라 광고 컨텐츠를 순차적으로 제공할 수 있고, 일정 패턴에 따라 특정 광고 컨텐츠 만을 반복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주기적으로 광고 컨텐츠의 내용을 랜덤하게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광고 유인부(230)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한 비활성화의 지속 시간이 제2 기준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주기적으로 과거 결제 기록을 검색하여 해당 사용자의 연락처로 광고 콘텐츠와 연관된 전자 쿠폰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기준시간은 사용자 유인을 위한 적극적 조치로서 쿠폰 제공을 결정하기 위한 비교 기준시간에 해당할 수 있고,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100)에 의해 사전에 설정되어 활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의 비활성화가 일정 시간 지속된 경우는 사용자가 상품 또는 서비스를 전혀 이용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사용자 광고 유인부(230)는 사용자 유인을 위한 적극적 조치로서 과거 결제 기록을 가진 사용자들에게 전자 쿠폰을 주기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쿠폰은 특정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는 할인 쿠폰에 해당할 수 있고, 혜택 기간 및 혜택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쿠폰 제공을 위한 주기는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100)에 의해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광고 유인부(230)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한 비활성화의 지속 시간에 따라 과거 결제 기록의 검색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광고 유인부(230)는 비활성화의 지속 시간이 제2 기준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주기적으로 과거 결제 기록을 검색할 수 있고, 주기의 반복 횟수가 증가할수록 과거 결제 기록에 대한 검색 범위를 확장하여 전자 쿠폰 제공 대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광고 유인부(230)는 과거 결제 기록의 검색 범위를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1달 이내'에서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2달 이내' 또는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3달 이내'로 확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광고 유인부(230)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한 비활성화의 지속 시간에 따라 사용자의 수 및 전자 쿠폰의 할인율 중 적어도 하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수는 실제 전자 쿠폰을 제공받을 대상자의 수에 해당하고, 최초 사용자의 수가 10명인 경우 사용자 광고 유인부(230)는 주기가 반복될 때마다 그 수를 11, 12, ... 과 같이 1씩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전자 쿠폰의 최초 할인율이 10%인 경우 사용자 광고 유인부(230)는 주기가 반복될 때마다 할인율을 11, 12, ... 과 같이 1%씩 증가시킬 수 있다. 사용자 광고 유인부(230)는 사용자의 수 및 전자 쿠폰의 할인율에 대한 최대값을 설정하여 주기의 반복에 의한 증가를 제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광고 유인부(230)는 다음의 수학식을 통해 사용자의 수 및 전자 쿠폰의 할인율을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19009761579-pat00001
(2)
Figure 112019009761579-pat00002
여기에서, N은 사용자의 수를, N0은 시간당 평균 사용자의 수를, k1 및 k2는 비례상수를, Tu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비활성화 지속시간을, D는 전자 쿠폰의 할인율을, R은 주기의 반복 횟수를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의 수 N은 시간당 평균 사용자의 수 N0를 기초로 디스플레이 패널의 비활성화 지속시간 Tu를 반영하여 산출할 수 있으며, 비활성화 지속시간 Tu가 증가할수록 사용자의 수 N도 증가할 수 있다. 전자 쿠폰의 할인율 D는 비활성화 지속시간 Tu를 반영하여 증가된 사용자의 수 N에 따라 조정될 수 있고, 비활성화 지속시간 Tu 및 주기의 반복 횟수 R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비활성화 지속시간 Tu는 초(sec) 단위로 표현될 수 있고, 로그 값으로 변환되어 수학식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광고 유인부(230)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비활성화 시키는 대기 모드에서 광고 모드로의 전환을 수행하는 모드 전환 모듈, 복수의 광고 컨텐츠들 중에서 n개(단, n은 자연수)의 광고 컨텐츠를 선별하여 광고 리스트를 생성하는 광고 리스트 생성 모듈 및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광고 리스트에 포함된 광고 컨텐츠를 순차적으로 재생하는 광고 재생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모드 전환 모듈은 사용자 검출부(210)로부터 사용자의 존재에 관한 검출 결과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 시점의 모드에 따라 모드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100)는 동작 상태에 따라 크게 대기 모드, 광고 모드 및 메뉴제공 모드로 구분될 수 있고, 모드 전환 모듈은 모드별 전환을 수행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모드 전환 모듈은 사용자 광고 유인부(230) 및 사용자 메뉴 처리부(250)에 포함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 개별로 구현되어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광고 리스트 생성 모듈은 광고 모드로 전환된 경우 메모리(130) 또는 외부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복수의 광고 컨텐츠들 중에서 n개(단, n은 자연수)의 광고 컨텐츠를 선별할 수 있다. 광고 리스트 생성 모듈은 일정한 선별 기준에 따라 광고 컨텐츠를 선별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인기 순위, 광고 대상인 상품 또는 서비스의 가격, 광고 리스트 생성 시점의 시각 등을 선별 기준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광고 재생 모듈은 광고 리스트 생성 모듈에 의해 광고 리스트 생성이 완료된 경우 해당 광고 리스트를 수신하여 광고 리스트에 포함된 광고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순차적으로 재생할 수 있다.
사용자 메뉴 처리부(250)는 사용자의 근접이 인지되면 메뉴제공 모드로 전환하여 사용자의 안면인식을 통해 사용자의 유형을 결정하고 추천 메뉴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의 근접은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100)와 특정 거리 이내에 사용자가 존재하는 것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사용자가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100)에 접근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상품 또는 서비스를 주문하는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사용자 메뉴 처리부(250)는 사용자의 근접이 인지된 경우 광고 컨텐츠의 제공을 중지하고 메뉴제공 모드로 전환하여 사용자에게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유형은 사용자를 다양한 기준에 따라 분류한 결과로서 동일 분류에 속한 사용자들의 공통적인 특징에 해당할 수 있고, 사용자의 안면인식 결과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메뉴 처리부(250)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사용자의 유형 결정을 위한 사전 동의를 요청하고 요청에 대한 승인을 수신한 경우에만 사용자의 안면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메뉴 처리부(250)는 메뉴제공 모드로의 전환과 동시에 사용자의 안면인식에 관한 사전 동의를 요청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안면인식을 거절한 경우 사용자 메뉴 처리부(250)는 사용자 유형에 상관없이 미리 정의된 추천 메뉴를 제공하거나 또는 해당 시점에서의 인기 순위를 기초로 추천 메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메뉴 처리부(250)는 사용자의 안면인식을 통해 사용자의 인종을 추정하여 메뉴 장르를 결정하고, 사용자의 성별 및 연령을 추정하여 메뉴 장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메뉴 컨텐츠를 추천 메뉴로서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 메뉴 처리부(250)는 사용자의 안면인식을 기초로 사용자의 인종, 성별 및 연령을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메뉴 처리부(250)는 사용자의 인종에 따라 메뉴 장르를 1차적으로 결정한 다음 사용자의 성별 및 연령을 기초로 해당 메뉴 장르 중에서 메뉴 컨텐츠를 2차적으로 결정함으로써 추천 메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메뉴 처리부(250)는 사용자의 근접이 인지된 시점에서의 광고 컨텐츠와 연관되고 사용자 유형별로 구분되는 메뉴 리스트를 추천 메뉴로서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의 근접이 인지된 시점에서의 광고 컨텐츠는 광고 모드에서 메뉴제공 모드로의 전환 전에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제공된 광고 컨텐츠에 해당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메뉴 처리부(250)는 사용자 유형별 인기순위에 따른 메뉴 리스트를 각각 생성할 수 있고, 그 중에서 사용자 근접이 인지된 시점에서의 광고 컨텐츠와 연관되는 메뉴만을 선별하여 최종 추천 메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메뉴 처리부(250)는 광고 모드에서 메뉴제공 모드로의 전환을 수행하는 모드 전환 모듈, 사용자의 안면인식을 통해 사용자의 유형을 결정하는 사용자 유형 결정 모듈, 추천 메뉴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제공하는 메뉴 제공 모듈 및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추천 메뉴에 관한 결제를 제공하는 결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모드 전환 모듈은 사용자 광고 유인부(230)에 포함된 모드 전환 모듈에 해당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별개의 모듈로서 구현되어 광고 모드에서 메뉴제공 모드로의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유형 결정 모듈은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100)에 포함된 카메라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안면에 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고, 이미지 분석을 통해 사용자의 인종, 성별 및 연령을 추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유형 결정 모듈은 안면인식 수행 전에 사용자로부터 사전 동의를 요청하여 수신할 수 있다.
메뉴 제공 모듈은 사용자 유형 결정 모듈에 의해 결정된 사용자 유형을 기초로 추천 메뉴를 생성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추천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결제 모듈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특정 메뉴가 선택된 경우 해당 메뉴에 대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100)는 외부 결제 시스템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결제 모듈은 외부 시스템과 연동하여 특정 메뉴에 대한 결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사용자 검출부(210), 사용자 광고 유인부(230) 및 사용자 메뉴 처리부(250) 간의 제어 흐름 또는 데이터 흐름을 관리할 수 있다.
도 3은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에서 수행되는 스마트 주문처리 과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100)는 사용자 검출부(210)를 통해 사용자의 존재 및 근접 유무를 검출할 수 있다(단계 S310).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100)는 사용자 광고 유인부(230)를 통해 사용자의 존재가 인지되면 광고 모드로 전환하여 광고 컨텐츠를 생성하고, 광고 컨텐츠로 디스플레이 패널을 활성화시켜 사용자의 유인을 시도할 수 있다(단계 S330).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100)는 사용자 메뉴 처리부(250)를 통해 사용자의 근접이 인지되면 메뉴제공 모드로 전환하여 사용자의 안면인식을 통해 사용자의 유형을 결정하고 추천 메뉴를 생성할 수 있다(단계 S350).
도 4는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에서 수행되는 사용자 검출 과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400)는 사용자 검출부(210)를 통해 사용자의 존재 및 근접 유무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림 (a)에서, 사용자 검출부(210)는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400)의 위치를 기준으로 제1 거리 이내의 영역을 존재 감지 영역(410)으로 설정할 수 있고, 제2 거리 이내의 영역을 근접 감지 영역(43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거리는 10m에 해당할 수 있고, 제2 거리는 제1 거리보다 짧은 1m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400)에 의해 제1 및 제2 거리들이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 검출부(210)는 존재 감지 영역(410) 내로의 사용자 진입을 감지한 경우 사용자의 존재로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그림 (b)에서, 사용자 검출부(210)는 근접 감지 영역(430) 내로의 사용자 진입을 감지한 경우 사용자의 근접으로서 검출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검출부(210)는 사용자 식별을 기초로 사용자의 존재 및 근접 유무를 검출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카메라 센서를 포함하는 다양한 센서들을 활용할 수 있다.
사용자 검출부(210)는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400)의 대기 모드에서 사용자의 존재 검출을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400)의 광고 모드에서 사용자의 근접 검출을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카메라 센서를 통한 사용자 검출에 있어서, 사용자 검출부(210)는 대기 모드와 광고 모드에서의 카메라 해상도를 각각 차별적으로 적용하여 사용자 검출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검출부(210)는 대기 모드에서는 카메라 해상도를 낮춰 저해상도로 사용자 식별을 수행하고, 광고 모드에서는 카메라 해상도를 높여 고해상도로 사용자 식별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검출부(210)는 광고 모드에서의 카메라 해상도를 높임으로써 사용자의 안면인식을 위한 준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에서 수행되는 스마트 주문처리 과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100)는 사용자 검출부(510)를 통해 사용자의 존재를 검출할 수 있다.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100)는 사용자의 존재가 확인된 경우 사용자 광고 유인부(530)를 통해 광고 모드로의 전환을 수행하고 디스플레이 패널을 활성화시켜 사용자의 유인을 시도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검출부(510)는 광고 모드로의 전환에 의해 사용자의 근접을 검출할 수 있다.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100)는 사용자의 근접이 확인된 경우 사용자 메뉴 처리부(550)를 통해 메뉴제공 모드로의 전환을 수행하고 사용자의 유형을 결정하고 추천 메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메뉴 처리부(550)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사용자의 유형 결정을 위한 사전 동의를 요청할 수 있고 요청에 대한 승인을 수신한 경우에만 사용자의 안면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안면인식은 사용자 검출부(5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사용자 메뉴 처리부(550)는 사용자 검출부(510)에 의한 안면인식 결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검출부(510)는 사용자 검출 및 안면인식을 수행하기 위하여 카메라 센서를 필수적으로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400: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
110: 프로세서 130: 메모리
150: 사용자 입출력부 170: 네트워크 입출력부
210, 510: 사용자 검출부 230, 530: 사용자 광고 유인부
250, 550: 사용자 메뉴 처리부 270: 제어부
410: 존재 감지 영역 430: 근접 감지 영역

Claims (6)

  1. 사용자의 존재 및 근접 유무를 검출하는 사용자 검출부;
    상기 사용자의 존재가 인지되면 광고 모드로 전환하여 광고 컨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광고 컨텐츠로 디스플레이 패널을 활성화시켜 상기 사용자의 유인을 시도하는 사용자 광고 유인부; 및
    상기 사용자의 근접이 인지되면 메뉴제공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사용자의 안면인식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유형을 결정하고 추천 메뉴를 생성하는 사용자 메뉴 처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검출부는 제1 기준시간 동안 계속하여 상기 사용자의 존재 및 근접에 대한 검출에 실패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비활성화 시키고,
    상기 사용자 광고 유인부는 상기 비활성화의 지속 시간이 제2 기준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주기적으로 과거 결제 기록을 검색하여 해당 사용자의 연락처로 상기 광고 콘텐츠와 연관된 전자 쿠폰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광고 유인부는
    상기 비활성화의 지속 시간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수 및 상기 전자 쿠폰의 할인율 중 적어도 하나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메뉴 처리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유형 결정을 위한 사전 동의를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대한 승인을 수신한 경우에만 상기 사용자의 안면인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메뉴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의 안면인식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인종을 추정하여 메뉴 장르를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의 성별 및 연령을 추정하여 상기 메뉴 장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메뉴 컨텐츠를 상기 추천 메뉴로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
KR1020190010485A 2019-01-28 2019-01-28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 KR1022039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0485A KR102203996B1 (ko) 2019-01-28 2019-01-28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0485A KR102203996B1 (ko) 2019-01-28 2019-01-28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3251A KR20200093251A (ko) 2020-08-05
KR102203996B1 true KR102203996B1 (ko) 2021-01-18

Family

ID=72041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0485A KR102203996B1 (ko) 2019-01-28 2019-01-28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39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4224B1 (ko) 2022-02-04 2023-01-04 주식회사 굿타임즈 숙박 시설에 설치되는 키오스크의 동작 방법 및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77755A (ja) * 2015-03-23 2016-10-06 日本電気株式会社 注文端末装置、注文システム、客情報生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8632A (ko) * 2007-03-14 2008-12-16 주식회사 씨엔피테크 인체감지 센서를 구비한 키오스크 시스템
KR101240747B1 (ko) 2010-06-29 2013-03-11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동작 감지 신호 기반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사용되는 키오스크 장치 및 모바일 기기
KR20130046867A (ko) 2011-10-28 2013-05-08 (주) 비포유인터랙티브 키오스크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
KR101448101B1 (ko) * 2012-06-13 2014-10-10 이정수 광고기능을 갖는 터치식 무인카운터기를 구비한 음식주문결제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77755A (ja) * 2015-03-23 2016-10-06 日本電気株式会社 注文端末装置、注文システム、客情報生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4224B1 (ko) 2022-02-04 2023-01-04 주식회사 굿타임즈 숙박 시설에 설치되는 키오스크의 동작 방법 및 장치
KR20230009863A (ko) 2022-02-04 2023-01-17 주식회사 굿타임즈 숙박 시설을 위한 키오스크의 동작 방법 및 장치
KR20230009348A (ko) 2022-02-04 2023-01-17 주식회사 굿타임즈 숙박 시설을 위한 키오스크의 동작 방법 및 장치
KR20230009346A (ko) 2022-02-04 2023-01-17 주식회사 굿타임즈 숙박 시설을 위한 키오스크의 동작 방법 및 장치
KR20230009347A (ko) 2022-02-04 2023-01-17 주식회사 굿타임즈 숙박 시설을 위한 키오스크의 동작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3251A (ko) 2020-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0133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witching modes of providing content on a charging station display
US8165600B2 (en) System and method for advertising to a Wi-Fi device
US10909557B2 (en) Predicting and classifying network activity events
US687371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uning content of information presented to an audience
US20150254737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roviding customized service based on beacon signal
US20140195349A1 (en)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ing targeted advertising and intuitive wayfinding
US20120179538A1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nd Managing Campaigns of Electronic Promotional Content, Including Networked Distribution and Redemption of Such Content
CN111507433A (zh) 电子价签控制方法及系统
CN210222786U (zh) 电子价签控制系统
JP2016218821A (ja) 販売情報利用装置、販売情報利用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4978667A (zh) 广告交互方法以及广告交互系统
KR102203996B1 (ko)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
KR20210044551A (ko) 전자영수증 기반의 인공지능 칼로리 검출 장치 및 방법
US20210090135A1 (en) Commodity information notifying system, commodity information notifying method, and program
JP2020126688A (ja) 接客支援装置、接客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174119B1 (ko) 광고 시스템 및 광고 제공 방법
KR102477506B1 (ko) 재방문 고객 서비스 장치
KR102202945B1 (ko)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
JP6915694B2 (ja) 接客支援装置、接客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20033270A (ko) 사용자 스테이 적응형 광고 장치
KR20150059682A (ko) 영수증 인식 기반 고객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0826682A (zh) 一种控制机器人的方法和装置
KR101681625B1 (ko) 검색 대상 인식 기반 데이터 검색 방법, 이를 수행하는 데이터 검색 시스템,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KR20190094656A (ko) 쇼핑몰을 위한 검색 서비스 방법 및 장치
JP7476881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