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2206B1 - 플라스틱 필름 와인딩 머신 내의 자동 코어 충전 및 보빈 배출 그룹 - Google Patents

플라스틱 필름 와인딩 머신 내의 자동 코어 충전 및 보빈 배출 그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2206B1
KR102202206B1 KR1020167010511A KR20167010511A KR102202206B1 KR 102202206 B1 KR102202206 B1 KR 102202206B1 KR 1020167010511 A KR1020167010511 A KR 1020167010511A KR 20167010511 A KR20167010511 A KR 20167010511A KR 102202206 B1 KR102202206 B1 KR 1022022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bobbin
reel
plastic film
wind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0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0701A (ko
Inventor
에랄도 페세티
Original Assignee
콜린스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콜린스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콜린스 에스.피.에이.
Publication of KR20160060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07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2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2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65H19/22Changing the web roll in 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winding operations
    • B65H19/30Lifting, transporting, or removing the web roll; Inserting core
    • B65H19/305Inserting c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65H19/22Changing the web roll in 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winding operations
    • B65H19/30Lifting, transporting, or removing the web roll; Inserting c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4Winding
    • B65H2301/4148Winding sli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4Winding
    • B65H2301/4148Winding slitting
    • B65H2301/4149Winding slitting features concerning supply of cores
    • B65H2301/41496Winding slitting features concerning supply of cores loading pre-arranged set of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7Handling or changing web rolls
    • B65H2301/4171Handling web roll
    • B65H2301/4172Handling web roll by circumferential portion, e.g. rolling on circumference
    • B65H2301/41726Handling web roll by circumferential portion, e.g. rolling on circumference by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7Handling or changing web rolls
    • B65H2301/418Changing web roll
    • B65H2301/4182Core or mandrel insertion, e.g. means for loading core or mandrel in winding position
    • B65H2301/41824Core or mandrel insertion, e.g. means for loading core or mandrel in winding position from below, e.g. between rollers of winding bed

Landscapes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 Winding Of Webs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부는 와인딩 릴 밑에 배열되고 일부는 와인딩 릴과 나란하게 배열된 플라스틱 필름 와인딩 머신 내의 자동 코어-충전 및 보빈-배출 그룹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그룹은 플라스틱 필름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특정 개수의 코어(43)를 수용하는 가이드-지지부(67)를 가진 모터(66)에 의해 구동되는 선형 액츄에이터(65)로 구성된 코어(43) 충전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지지부(67)는 코어(43)가 스핀들(16) 상에 삽입될 때, 와인딩 릴의 스핀들(16, 17)에 대해 축방향으로 평행한 나란하게 배열된 위치와 코어 충전기와 연결된 위치 사이에서 앞뒤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선형 액츄에이터(65)는 코어(43)의 직경에 대한 코어(43)의 외측 직경이 변경될 때 수직 방향으로 올라갈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연장가능 부분(78)이 구비되고 모터로 구동되는 컨베이어 벨트(77)로 구성된 보빈(35) 배출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컨베이어 벨트(77)는 보빈의 한 배출 부분과 감겨진 보빈(35)을 가지는 스핀들(16 또는 17) 밑의 한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77)는 보빈(35)의 직경에 대한 보빈(435)의 외측 직경이 변경될 때 수직 방향으로 올라갈 수 있으며, 수직 방향으로 올라가는 것은 둘 모두 선형 포텐셔미터(73, 82)에 의해 작동된다.

Description

플라스틱 필름 와인딩 머신 내의 자동 코어 충전 및 보빈 배출 그룹{AUTOMATIC CORE CHARGING AND BOBBIN DISCHARGING GROUP IN A PLASTIC FILM WINDING MACHINE}
본 발명은 플라스틱 필름 와인딩 머신 내의 자동 코어-충전 및 보빈-배출 그룹에 관한 것이다.
현재, 보빈 상에 플라스틱 필름을 감는 와인딩 머신 분야에서, 가장 중요하게 고려되는 문제점 중 하나는 제품 처리에 있어서 변경될 때, 사용 방법의 단순성 및 유연성(flexibility)에 관한 것이며, 이 경우 제품은 코어 및 보빈을 지칭한다.
현재, 실제로, 와인딩 머신은, 감겨진 보빈의 최종 목적(destination)에 대해 크기가 변경되는 코어 상에 필름을 감을 수 있어야 한다.
공지인 와인딩 머신에서, 사용 방법의 유연성은 현재 인간의 개입(human intervention)이 있어야 되는데, 인간의 개입은 와인딩 머신의 다양한 요소(element)들에 주어진 설정(setting)에 대해 얻어지는 원하는 최종-제품(end-product)을 선택하는 유일한 방법이다.
설정되고 선택되어야 하는 다양한 요소들에 인간이 개입되면, 가능한 인간의 에러(error)의 위험성으로 이어질 수 있는데, 완전히 우발적이다 하더라고, 오작동을 야기하거나 및/또는 얻어지는 제품이 사용자의 기대에 상응하지 못하게 된다.
연신 필름(stretch film)의 제작에서, 예를 들어, 동일한 내측 직경을 가지지만 외측 직경은 상이한 판지(cardboard) 코어 이에 따라 상이한 중량(weight) 및 두께를 가진 코어를 사용하는 방법은 정상적인 실시 방법이다.
이렇게 상이한 특성 및 수치 즉 상이한 형식을 가진 코어들은 동일한 와인딩 머신에서 사용되어야 한다.
코어 및 보빈의 형식에 있어서 이러한 변경은 감겨져야 되는 필름의 수량 및 보빈의 특정 시장 논리에 관련될 수 있다.
실제로, 필름의 수량에 대하여, 감겨져야 되는 필름의 수량이 크면 클수록 단일의 코어의 반경방향의 파쇄 저항(crushing resistance)이 점점 더 커져야 한다. 따라서, 통상적으로, 매우 큰 필름의 수량에 대해서, 필름이 감겨지는 판지 코어의 외측 직경도 매우 커야 한다.
특정 시장 논리에 관하여, 제작된 보빈의 판매가 총 중량(gross weight)에 있는지 또는 순 중량(net weight)에 있는지를 고려해야 한다. 실제로, 판지 코어의 중량 자체의 존재 및 선택은 이러한 시장 변수의 존재에 있어서 결정적인 요인이다.
예를 들어, 수치 레벨에 있어서, 코어의 내측 직경은 통상 3"(약 76mm)이고, 상기 코어의 외측 직경은 90mm 내지 110mm 사이에서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변경성(variability)으로 인해, 코어를 와인딩 릴(winding reel) 상에 삽입하기 위한 시스템은 이러한 수치를 고려할 수 있도록 적용될 필요가 있다.
이는, 현재, 운영자(operator)의 개입으로 구현되며, 운영자는, 선택되고 원하는 크기를 가진 코어가 처리될 수 있게 하는 적절한 메커니즘(mechanism)을 통해, 와인딩 머신을 설정한다.
특히, 임의의 경우에서 종래 기술에서는 코어의 자동 충전 시스템(automatic charging system)을 수동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는데, 상기 자동 충전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코어가 축적되는(deposited) 특정 홈(groove)을 가진 선형 가이드 시스템(linear guide system)을 포함한다. 따라서, 코어는 하우징(housing)을 위해 준비되는 릴의 스핀들(spindle) 내에 삽입되어야 하며, 이러한 가이드의 공간 위치들은 코어의 특정 수치를 위해 미리 변경되어야 한다.
이는, 시간 손실 및 제작 상의 손실을 야기할 뿐만 아니라 특정 기술을 가진 운전자가 존재해야 하는 필요가 있다.
이와 유사하게, 와인딩 머신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직경을 가진 최종 보빈을 필요로 할 수 있는데: 통상, (2" 릴 상에서 제작되는) "수동" 사용을 위한 보빈으로 지칭되는 80mm 내지 150mm 사이 범위의 직경을 가진 보빈, 또는 "자동" 사용을 위한 최대 240mm의 직경을 가진 보빈, 또는 "점보(jumbo)" 사용을 위한 최대 400mm의 직경을 가진 보빈이다(마지막의 두 제품은 3" 릴 상에서 제작된다).
보빈의 직경에 있어서 변경성은 5:1의 비율을 가지며, 이에 따라, 상기 경우, 제작되는 보빈의 다양한 수치 및 이에 따른 상이한 특성들을 고려하는 배출 및 수거 시스템(discharging and collection system)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현재의 와인딩 머신에서, 특히, 튼튼하고 복잡한 메커니즘이 존재해야 하며, 이러한 메커니즘은, 임의의 경우에서, 제작되어야 하고 따라서 릴의 스핀들로부터 배출되고, 그로부터 제거되어야 하는 보빈의 타입에 대해 선택되기 위하여 인간의 개입(human intervention)을 필요로 한다.
앞에서도 기술한 것과 같이, 이러한 인간의 개입은, 구현되어야 하는 다수의 교정 공정(calibrating operation) 중 하나에 가능한 에러(error)가 추가되면, 제작에 있어서의 작동속도 둔화 또는 중지의 원인이 된다.
게다가, 최종 보빈은 선형 액츄에이터에 의해 구동되는 기계식 암(mechanical arm)에 의해 릴의 스핀들로부터 추출된다(extracted)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상기 작동에서, 와인딩 상태(winding phase) 동안 일반적으로 견고하게 고정되기는 하지만, 릴의 스핀들의 한 단부가 추출 순간(extraction moment)에 릴리스되어야(released) 한다.
이 순간에, 릴의 스핀들이 구부러지는데(bending) 따라서 한 단부는 웨지구성되고(wedged) 다른 단부는 자유롭게 된다(free). 명백하게, 이러한 굽힘은 감겨진 보빈의 중량에 따르고, 따라서 보빈의 직경에 직접적으로 따르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추출되는 동안 손상되지 않고 보빈이 이동할 수 있게 하는 배출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일반적인 목적은 위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의 단점들을 매우 간단하고 경제적이며 특히 기능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은 가능한 한 최대한 임의의 인간의 개입(human intervention)을 피하는 플라스틱 필름의 와인딩 머신 내의 자동 코어-충전 및 보빈-배출 그룹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임의의 개입 없이도, 상이한 외측 직경을 가진 코어를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자동 코어-충전 및 보빈-배출 그룹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와인딩 머신을 제공하는 동안 와인딩 머신의 중지 시간을 제거하거나 또는 최소화시키는 자동 코어-충전 및 보빈-배출 그룹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은, 보빈을 손상시키지 않고, 상이한 외측 직경을 가진 보빈을 취급하는데 적절한 자동 코어-충전 및 보빈-배출 그룹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특정 중량을 가진 보빈이 제공될 때, 보빈 배출 상태에서 캔틸레버-위치되는(cantilever-positioned) 릴(reel)의 스핀들(spindle)을 보호하는(preserve) 자동 코어-충전 및 보빈-배출 그룹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에 기술된 목적들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르면, 하기 청구항들에 특징지어진 특성들을 가진 플라스틱 필름의 와인딩 머신 내의 자동 코어-충전 및 보빈-배출 그룹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기능적인 특성들 및 종래 기술에 대한 본 발명의 이점들은,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플라스틱 필름의 와인딩 머신 내의 자동 코어-충전 및 보빈-배출 그룹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하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자명하게 될 것이다.
도면에서:
-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자동 코어-충전 그룹을 포함하는 와인딩 머신의 일부분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전방도;
- 도 2는 코어의 상이한 작동 충전 상태에 있는 도 1과 완전히 유사한 도면;
-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생성된 자동 보빈-배출 그룹의 일부분이 배열된 와인딩 머신의 일부분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전방도;
- 도 4는 보빈의 상이한 작동 배출 상태에 있는 도 3과 완전히 유사한 도면;
-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코어-충전 그룹 및 자동 보빈-배출 그룹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 단부도이다.
우선, 도 1 및 2를 보면, 이 도면들은 본 발명에 따른 코어-충전 및 보빈-배출 그룹이 있는 와인딩 머신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전방도이다.
상기 그룹은 와인딩 릴(winding reel)과 상응하게 밑에 위치된다.
특히, 상기 예에서의 와인딩 머신은 2개의 수직 직립부(12, 13)를 포함하는데 이 수직 직립부들은 와인딩 머신의 숄더(shoulder)를 형성한다. 제1 직립부(12) 캔틸레버(cantilever)가 회전 지지 플레이트(14) 위에서 중앙 샤프트(15)를 가지는데(carry), 상기 중앙 샤프트는 제2 직립부(13)와 상응하게 다른 단부에서 지지된다. 중앙 샤프트(15) 주위로 회전하는 플레이트(14)는 서로에 대해 120°로 배열되어 와인딩 릴을 완성하는 3개의 스핀들을 포함하는데, 상기 스핀들 중 2개의 스핀들(16 및 17)이 도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코어-충전 및 보빈-배출 그룹은 릴과 연결된다(associated).
도 1 및 2는 특히 일부는 와인딩 릴 밑에 배열되고 일부는 와인딩 릴과 나란하게 배열된(juxtaposed) 코어(43) 충전 부분의 일부분을 예시한다.
상기 코어 충전 부분에서, 그룹은 예시된 것과 같이, 개략적으로, 예를 들어, 주파수 조절식 모터(66)에 의해 구동되는 선형 액츄에이터(65)로 구성되는데, 상기 액츄에이터는 앞뒤로 이동가능한 가이드-지지부(67)를 가지며, 상기 가이드-지지부는 창고(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자동으로 충전된 특정 개수의 코어(43)를 수용한다.
상기 예에서, 선형 액츄에이터(65)는 예를 들어 앞뒤로 이동가능한 가이드-지지부(67)가 병진운동(translation) 방식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구동되는 외부 케이싱(68)으로 구성된다. 가이드-지지부(67)는 상부에 V-형태의 부분을 가지는데, 상기 예에서, V-형태의 부분은 3개의 판지(cardboard) 코어(43)를 수용한다.
선형 액츄에이터(65)의 외부 케이싱(68)은 측면 모터(70)에 의해 조합되어 구동되는 한 쌍의 액츄에이터(69)의 맞은편에 있는 세로 단부 영역(longitudinal end area)들과 상응하여 지지된다. 상기 예에서, 각각의 액츄에이터(69)는 하나의 잭스크류(jackscrew)로 구성되는데, 움직이는 동안 견고하게 연결된 수평 바(71)에 의해 2개의 잭스크류(69)가 동기화된다(synchronized).
외부 케이싱(68), 및 그에 따른 액츄에이터(65)의 수직 위치는, 들어올려 지면, 정확하게 정렬하게 되고 코어(43)를 가능한 릴의 스핀들(16 또는 17) 상에 삽입하게 되는데, 도면에서는 스핀들(16)이 예시된다. 화살표(72)에 따르면, 액츄에이터(65)의 수직 올림 위치(lifting position)는 사용되는 코어(43)의 외측 직경과 밀접하게 연관된다.
도 1 및 2에서 볼 수 있듯이, 잭스크류(69) 쌍에 연결된 제2 모터(70)는 그 자리에서 선형 포텐셔미터(73)에 의해 조절된다. 상기 선형 포텐셔미터(73)는 전체 그룹의 수직 위치를 조절한다. 상기 위치는 자동으로 계산되어(calculated) 사용되는 코어(43)의 외측 직경에 따라 도달되며, 운영자에 의해 와인딩 머신의 컨트롤 패널(control panel) 상에 직접 구현되는데, 상기 컨트롤 패널은 도면에서 도면부호(74)로 표시되고, 종래의 공지된 와인딩 머신에서 고려되는 기계적 레벨(mechanical level) 상에 임의로 직접적으로 삽입할(direct intervention) 필요가 없다. 컨트롤 패널(74)은, 라인(75)으로 도시된 것과 같이, 선형 포텐셔미터(73) 및 모터(66 및 70)에 직접 연결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그룹의 상기 제1 부분에서, 가이드-지지부(67)는 코어(43)가 삽입되는 와인딩 릴의 스핀들(16 또는 17)에 대해 축방향으로 평행한 나란하게 배열된 위치와 코어 충전기(core charger)(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된 위치 사이에서 앞뒤로 이동될 수 있다. 이미 언급된 것과 같이, 선형 액츄에이터(65)는 코어(43)의 직경에 대한 코어(43)의 외측 직경이 변경(variation)될 때 수직 방향으로 올라갈 수 있다.
도 1은 3개의 판지 코어(43)를 수용하는 선형 액츄에이터(65)의 가이드-지지부(67) 및 언로딩된(unloaded) 스핀들(16)의 위치에 있는 그룹을 도시한다.
도 2는 코어(43)의 충전 위치(charging position)에 있는 그룹을 도시한다. 이는 사용가능한 릴의 스핀들(16)에 대해 코어(43)를 가진 가이드-지지부(67)를 중앙에 배치할(centering)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려준다.
이러한 특정의 가이드-지지부(67)의 V-형태의 배열은 코어의 직경과 무관하게 릴의 스핀들의 축에 대해 임의의 타입의 코어(43)를 완벽하게 횡단 방향의 중앙에 배열시킬 수 있는 오직 하나이다.
실제로, 코어(43)의 외측 직경이 변경되면, 코어를 수용하는 스핀들(16)에 충전되는 코어들을 나란하게 정렬시키기(aligning) 위하여 가이드-지지부(67)의 높이가 상이하게 된다.
모터(66) 상의 축에서 조립된 절대적 엔코더(absolute encoder)(66')에 의해 자연스럽게 공간 조절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단순히 컨트롤 패널(74)로부터 코어(43)의 개수와 길이를 구현함으로써, 운영자는 감겨져야 하는 필름에 대해 코어(43)가 항상 중앙에 배열되도록 위치시킬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컨트롤 패널(74)로부터, 충전되는 각각의 코어(43)의 개수와 길이를 설정하는(set) 것이 충분하며; 그러면, 시스템은 이전에 구현된 고정된 기준(fixed reference)에 대해 필요한 위치 높이를 자동으로 계산한다.
절대적 엔코더는 선형 액츄에이터(65)의 길이는 n개의 섹션으로 나누어, 가이드-지지부(67)를 상기 계산된 위치에 절대적으로 정확하게 위치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은, 운영자의 임무(task)를, 컨트롤 패널(74) 상에서, 사용되는 코어(43)의 외측 직경 및 코어의 개수 및 길이를 단순하게 설정하는 것으로 제한하여, 제기된 문제들을 완벽하게 해결한다.
도 3 및 4는, 특히, 와인딩 릴의 스핀들(16 또는 17) 상에서 위치되고 위에서 지시된 코어(43) 상에 얻어진 보빈(35)의 배출 부분에 있는 본 발명의 그룹을 예시한다.
그룹의 상기 보빈-배출 부분은 와인딩 릴에 대해 반드시 나란하게 배열된다(도 5).
상기 보빈-배출 부분에서, 그룹은, 예시된 것과 같이, 개략적으로, 모터(84)에 의해 구동되는(motorized) 컨베이어 벨트(77)를 포함한다. 상기 컨베이어 벨트(77)는 모든 감겨진 보빈(35)을 가진 단일 스핀들(16 또는 17) 밑에 위치될 수 있는 텔레스코픽 부분 또는 연장가능 부분(78)을 가진다.
컨베이어 벨트(77)의 연장가능 부분(78)은 스핀들 밑에서 앞뒤로 이동될 수 있으며, 따라서 보빈(35)이 배출될 때 보빈을 스핀들(16 또는 17) 상에 수용한다.
실제로, 도 3에서, 보빈(35)은 선형 액츄에이터에 의해 구동되는 기계식 암(mechanical arm)(이는 본 발명의 목적이 아니기 때문에 그 어느 것도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릴의 스핀들(16)로부터 제거되고 배출되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연장가능 부분(78)은, 예를 들어, 벨트의 리턴 롤(return roll)(80)을 가지며 연장가능 부분이 앞뒤로 움직일 수 있게 하여 벨트가 인장되도록 유지하고 움직일 수 있게 하는 이동식 트롤리(79)로 구성된다.
스핀들(16)의 컨베이어 벨트(77)의 존재로 인해, 릴의 스핀들(16)이 손상될 수 있는 과도한 굽힘(excessive bending)이 방지되는데, 상기 컨베이어 벨트(77)는, 연장가능 부분(78)에서, 이송되는 보빈(35) 밑에 위치된다.
실제로, 컨베이어 벨트(77)의 연장가능 부분(78)은, 연장가능 부분(78)이 단부 지지부(end support)(도시되지 않음)로부터 릴리스되고(released) 자동으로 작동되어(automatic operation) 캔틸레버-위치되기(cantilever-positioned) 전에, 릴의 스핀들(16)의 자유 단부(free end) 밑에 자동으로 삽입된다.
컨베이어 벨트(77), 그리고, 이에 따라 컨베이어 벨트(77)의 연장가능 부분(78)의 수직 높이는 보빈과의 간섭(interference)을 방지하기 위해 함께 형성된 보빈(35)의 최종 직경과 일치한다.
보빈의 직경이 와인딩 머신의 또 다른 섹션에 위치된 선형 포텐셔미터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본 발명의 목적이 아님), 컨베이어 벨트(77)를 정확한 높이에 오게 하기 위한 기준(reference)로서 사용된다.
이를 위하여, 모터(81)가 운동학적 메커니즘(85)을 구동시키고, 상기 모터가 선형 포텐셔미터(82)에 연결됨에 따라, 요구 및 원하는 값에 따라 컨베이어 벨트(77)가 올라가는(lifting) 것을 조절한다.
이 지점에서, 이전에 언급한 기계식 암(도시되지 않음)이 보빈(35)을 추출시켜(extract), 회전하여 추출하고 이에 따라 배출 작동을 용이하게 하는 컨베이어 벨트(77)의 움직임에 의해 보조된다.
릴의 스핀들(16)로부터 보빈(35)을 추출시킨 후에, 컨베이어 벨트(77)의 연장가능 부분(78)은 한 위치로 다시 오게 한다. 이 경우, 그 다음에, 새로운 보빈이 다시 감기도록 하기 위해서, 릴의 스핀들의 자유 단부를 조일 수 있도록 하기에 적절한 공간이 형성된다(freed).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보빈(35)의 배출 그룹의 제2 부분에서, 하나 이상의 연장가능 부분(78)이 구비되고 모터(84)로 구동되는 컨베이어 벨트(77)는 보빈의 한 배출 부분과 감겨진 보빈(35)을 가지는 스핀들(16 또는 17) 밑의 한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컨베이어 벨트(77)는 보빈(35)의 직경에 대해 보빈(35)의 외측 직경이 변경될 때 수직 방향으로 올라갈 수 있다.
도 4는, 이미 언급한 것과 같이, 텔레스코픽(telescopic) 구성이 될 수 있는 컨베이어 벨트(77)의 연장가능 부분(78)이 돌아오고(return) 난 바로 직후의 상태(phase)를 도시한다.
도 4는 상이한 외측 직경(이전의 도 3의 경우보다 더 작은)을 가진 보빈(35)을 예시한다. 보빈(35)의 직경의 차이는 컨베이어 벨트(77)의 상이한 수직 높이를 결정하는데, 이 경우, 보빈의 직경이 더 작기 때문에 가시적으로 더 크다.
따라서, 상이한 높이는 선형 포텐셔미터(82)에 의해 조절되고 운동학적 메커니즘(85)과 모터(81)에 의해 구동되는 컨베이어 벨트(77)의 화살표(Z)에 따라 수직 운동을 더 잘 동기화하기에 적절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개입(intervention)이 컨트롤 패널에 의해 조절되어 실제적으로 즉시 발생되기 때문에 공전 중지 시간(idle stoppage time)을 최소화시킬 뿐만 아니라, 이를 자동화함으로써 와인딩 머신에 제공되는 인간의 개입(human intervention)으로 표시되는 변경성(variability)을 제거한다.
따라서, 이렇게 얻어진 다양한 공정의 자동화(automation)는, 실제로, 그 외의 경우 인간의 에러(error)에 의해 야기되는 변경성을 최대로 줄인다(또는 심지어 없애기도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앞부분에서 언급한 목적들은 모두 구현되었다.
본 발명에 따라, 플라스틱 필름 와인딩 머신 내에 자동 코어-충전 및 보빈-배출 그룹을 제작하기 위한 구성의 형태, 재료 및 조립 모드는 도면에서 단지 비-제한적이고 예시적인 목적으로 도시된 것과 상이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하기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다.

Claims (9)

  1. 일부는 와인딩 릴 밑에 배열되고 일부는 와인딩 릴과 나란하게 배열된 플라스틱 필름 와인딩 머신 내의 자동 코어 충전 및 릴 배출 그룹에 있어서,
    상기 그룹은 플라스틱 필름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특정 개수의 코어(43)를 수용하는 가이드-지지부(67)를 가진 모터(66)에 의해 구동되는 선형 액츄에이터(65)로 구성된 코어(43) 충전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지지부(67)는 코어(43)가 스핀들(16) 상에 삽입될 때, 와인딩 릴의 스핀들(16, 17)에 대해 축방향으로 평행한 나란하게 배열된 위치와 코어 충전기와 연결된 위치 사이에서 앞뒤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선형 액츄에이터(65)는 코어(43)의 직경에 대한 코어(43)의 외측 직경이 변경될 때 수직 방향으로 올라갈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연장가능 부분(78)이 구비되고 모터로 구동되는 컨베이어 벨트(77)로 구성된 보빈(35) 배출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컨베이어 벨트(77)는 보빈의 한 배출 부분과 감겨진 보빈(35)을 가지는 스핀들(16 또는 17) 밑의 한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77)는 코어(43)의 직경에 대한 코어(43)의 외측 직경이 변경될 때 수직 방향으로 올라갈 수 있으며, 수직 방향으로 올라가는 것은 둘 모두 선형 포텐셔미터(73, 82)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필름 와인딩 머신 내의 자동 코어 충전 및 릴 배출 그룹.
  2. 제1항에 있어서, 가이드-지지부(67)는 V-형태의 상측 부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필름 와인딩 머신 내의 자동 코어 충전 및 릴 배출 그룹.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액츄에이터(65)는 주파수-조절식 모터(66)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필름 와인딩 머신 내의 자동 코어 충전 및 릴 배출 그룹.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액츄에이터(65)는 각각의 모터(70)에 의해 조합되어 구동되는 한 쌍의 액츄에이터(69)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올라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필름 와인딩 머신 내의 자동 코어 충전 및 릴 배출 그룹.
  5. 제4항에 있어서, 각각의 액츄에이터(69)는 하나의 잭스크류(jackscrew)로 구성되는데, 움직이는 동안 견고하게 연결된 수평 바(71)에 의해 2개의 잭스크류(69)가 동기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필름 와인딩 머신 내의 자동 코어 충전 및 릴 배출 그룹.
  6. 제4항에 있어서, 선형 포텐셔미터(73) 및 모터(66, 70)에 직접 연결되는 컨트롤 패널(74)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필름 와인딩 머신 내의 자동 코어 충전 및 릴 배출 그룹.
  7. 제6항에 있어서, 모터(66) 상의 축에서 조립된 절대적 엔코더(absolute encoder)에 의해 공간 조절이 가능하며, 단순히 컨트롤 패널(74)로부터 코어(43)의 개수와 길이를 구현함으로써, 운영자는 필름에 대해 코어(43)가 항상 중앙에 배열되도록 위치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필름 와인딩 머신 내의 자동 코어 충전 및 릴 배출 그룹.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77)의 연장가능 부분(78)은 벨트의 리턴 롤(80)을 가지며 연장가능 부분이 앞뒤로 움직일 수 있게 하여 벨트가 인장되도록 유지하고 움직일 수 있게 하는 이동식 트롤리(7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필름 와인딩 머신 내의 자동 코어 충전 및 릴 배출 그룹.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77)는 컨베이어 벨트(77)가 올라가도록 작동하는 선형 포텐셔미터(82)에 연결된 모터(81)에 의해 구동되는 운동학적 메커니즘(85)에 연결될 때, 수직 방향으로 올라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필름 와인딩 머신 내의 자동 코어 충전 및 릴 배출 그룹.
KR1020167010511A 2013-09-25 2014-09-12 플라스틱 필름 와인딩 머신 내의 자동 코어 충전 및 보빈 배출 그룹 KR1022022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001576A ITMI20131576A1 (it) 2013-09-25 2013-09-25 Gruppo caricatore anime e scarico bobine automatico in una macchina di avvolgimento di film plastico
ITMI2013A001576 2013-09-25
PCT/EP2014/002467 WO2015043718A1 (en) 2013-09-25 2014-09-12 Automatic core charging and bobbin discharging group in a plastic film winding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0701A KR20160060701A (ko) 2016-05-30
KR102202206B1 true KR102202206B1 (ko) 2021-01-14

Family

ID=49486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0511A KR102202206B1 (ko) 2013-09-25 2014-09-12 플라스틱 필름 와인딩 머신 내의 자동 코어 충전 및 보빈 배출 그룹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10023414B2 (ko)
EP (1) EP2938565B1 (ko)
JP (1) JP6613487B2 (ko)
KR (1) KR102202206B1 (ko)
CN (1) CN105593148A (ko)
BR (1) BR112016006519B1 (ko)
CA (1) CA2923318C (ko)
ES (1) ES2665574T3 (ko)
IT (1) ITMI20131576A1 (ko)
MX (1) MX2016003847A (ko)
PL (1) PL2938565T3 (ko)
RU (1) RU2663056C2 (ko)
WO (1) WO20150437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28721B (zh) * 2017-04-25 2018-10-30 西安航天华阳机电装备有限公司 一种内置式圆盘料架
CN107557926A (zh) * 2017-09-26 2018-01-09 苏州欧博时装有限公司 一种用于纺纱机的纱筒传输存储设备
US10981741B2 (en) * 2017-11-29 2021-04-20 Jennerjahn Machine, Inc. Method of making a coreless retail paper roll
CN109179020B (zh) * 2018-11-09 2024-01-30 东莞市大道精密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全自动胶带分切设备用平行顶杆式脱卷穿管机构
IT201900002493A1 (it) * 2019-02-20 2020-08-20 Maria Rita Moccia Sistema avvolgitore per telo di copertura in materiale plastico, con mezzi automatizzati per l’estrazione della bobina dall’albero di avvolgimento
CN110937447B (zh) * 2019-10-21 2021-12-03 黄山三夏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自动称重分切机
CN112125046A (zh) * 2020-08-14 2020-12-25 钟成亮 一种输电配电工程施工用电线绕线装置
CN112224937A (zh) * 2020-10-23 2021-01-15 安徽普冈电子材料有限公司 一种腐蚀箔前处理用挂架
CN114348725B (zh) * 2022-01-22 2022-12-30 江苏翔腾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pet膜卷取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59938B2 (ja) 1990-07-04 1999-02-2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給紙装置への巻取原反供給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71259A (en) * 1959-09-04 1963-01-01 Paper Converting Machine Co Winder loader
JPS5827184B2 (ja) * 1976-01-13 1983-06-08 東芝機械株式会社 巻取紙中心位置合わせ方法
US4344584A (en) * 1981-03-04 1982-08-17 American Can Company Apparatus for winding webs
US4588138A (en) * 1984-06-29 1986-05-13 Paper Converting Machine Company Web winding machine
JPH0688698B2 (ja) * 1985-12-28 1994-11-0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印刷機の全自動給紙方法および装置
DE3850967D1 (de) * 1988-09-28 1994-09-08 Ghezzi & Annoni Spa Verbesserte Maschine mit einem kontinuierlichem Arbeitszyklus zum Verpacken in Rollenform von verschiedenen streifenförmigen Materialien durch eine Vielzahl von gleichzeitigen Längsschnitten eines breiten Materialstreifens, der aus einer Rolle zugeführt wird.
JP2663168B2 (ja) * 1989-04-20 1997-10-1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巻取装置の巻取ロール排出方法及び装置
JP2586297B2 (ja) * 1993-07-22 1997-02-26 双葉電子工業株式会社 マンドレルの制御装置
JPH08188306A (ja) * 1995-01-10 1996-07-23 Dainippon Printing Co Ltd シート巻取体製造装置およびコア供給装置
US5810966A (en) * 1994-12-08 1998-09-22 Dai Nippon Printing Co., Ltd. Sheet roll producing apparatus
US5941474A (en) * 1996-07-16 1999-08-24 Huntsman Packaging Corporatio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unloading and loading winder shafts
EP0849201B1 (de) * 1996-12-21 2002-03-06 Koenig & Bauer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Lageerfassen und Positionieren einer Vorratsbahnrolle
IT1294817B1 (it) * 1997-07-11 1999-04-15 Perini Fabio Spa Macchina ribobinatrice - taglierina per la produzione di rotoli di materiale nastriforme e relativo metodo
JP2995553B2 (ja) * 1997-10-17 1999-12-27 株式会社不二鉄工所 巻取機における巻芯管位置設定装置
SE511670C2 (sv) * 1998-03-16 1999-11-08 Valmet Karlstad Ab Rullstol i en pappersmaskin
RU2237004C1 (ru) * 2001-01-16 2004-09-27 Фабио Перини С.П.А. Перемоточная машина для намотки тонколистового материала на гильзу для рулонов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ий способ намотки
ITMI20012274A1 (it) * 2001-10-29 2003-04-29 Bielloni Castello S P A Ribobunatrice automatica particolarmente per film flessibile di materiale plastico e relativo metodo di produzione di rotoli
DE102004021604A1 (de) * 2004-05-03 2005-12-01 Koenig & Bauer Ag Verfahren zum Abachsen einer Materialrolle
DE102005002532A1 (de) * 2005-01-14 2006-07-27 E.C.H. Will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utomatisierten und zeitgleichen Bereitstellen und Wechseln von mindestens zwei Rollen aus Papierbahnen oder dergleichen für einen nachgeordneten Formatschneider
DE102010001014A1 (de) * 2010-01-19 2011-09-08 Koenig & Bauer Aktiengesellschaft Rollenwechsler mit einer Absicherung eines Sicherheitsbereiches
CN201632426U (zh) * 2010-03-18 2010-11-17 全利机械股份有限公司 纤维制品分类机台
WO2012108115A1 (ja) * 2011-02-10 2012-08-16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ロール体取扱システム、ロール体供給方法およびロール体搬送装置
CN203048268U (zh) * 2012-12-11 2013-07-10 陕西北人印刷机械有限责任公司 一种自动卸料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59938B2 (ja) 1990-07-04 1999-02-2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給紙装置への巻取原反供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6006519A2 (pt) 2017-08-01
RU2663056C2 (ru) 2018-08-01
US10023414B2 (en) 2018-07-17
ES2665574T3 (es) 2018-04-26
KR20160060701A (ko) 2016-05-30
BR112016006519B1 (pt) 2021-06-15
CA2923318A1 (en) 2015-04-02
MX2016003847A (es) 2017-01-05
PL2938565T3 (pl) 2018-06-29
WO2015043718A1 (en) 2015-04-02
JP2017502893A (ja) 2017-01-26
RU2016108607A (ru) 2017-10-30
ITMI20131576A1 (it) 2015-03-26
EP2938565B1 (en) 2018-01-17
EP2938565A1 (en) 2015-11-04
US20160200540A1 (en) 2016-07-14
CA2923318C (en) 2021-06-08
RU2016108607A3 (ko) 2018-06-09
JP6613487B2 (ja) 2019-12-04
CN105593148A (zh) 2016-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2206B1 (ko) 플라스틱 필름 와인딩 머신 내의 자동 코어 충전 및 보빈 배출 그룹
EP2097323B1 (en) Apparatus for changing film reels
CN104925558B (zh) 滤芯纸全自动卷绕机
EP3197805B1 (en) Device for handling paper reels in paper converting plants
JP2002541041A (ja) 巻き取り心棒と巻き戻し機械用の巻芯を準備する方法及び装置
JP2017528391A (ja) ペーパー加工プラントにおける親リールの取扱方法
EP3109192B1 (en) Reel-up for reeling of a fiber web
US6513745B1 (en) Closure and discharge device for a winding of an elongated element
CN107150276A (zh) 一种实木门门芯板抛光设备的出料装置
CN209939051U (zh) 缠膜机
WO2012156829A1 (en) System for winding and packaging abrasive tapes
CN102774712B (zh) 一种动力电缆转仓装卸方法
CN111056375A (zh) 一种电缆取线装置
CN1321047C (zh) 将薄膜卷芯布置成备用状态的准备设备及方法
US20240101382A1 (en) Plant and process for handling cardboard reels
CN109018470B (zh) 一种光纤卷用pe膜缠绕包壳机
IT202000027420A1 (it) Sistema per rimuovere una bobina di film
WO2022130429A1 (en) Plant and process for handling cardboard reels
ITBO20060075A1 (it) Apparato per l'alimentazione e lo scarico automatico delle bobine vuote e di quelle piene a e da macchine bobinatrici e bobinatrici predisposte per un tale apparato.
ITBO20060466A1 (it) Metodo ed apparato per automatizzare le fasi iniziali di avviamento e quelle finali di conclusione del ciclo di lavoro di una macchina a tavola rotante per l'avvolgimento di carichi pallettizzati con film estensibile.
ITMI20070136A1 (it) Impianto di bobinatura per laminato ad elevata produttivita' e semplicita' costruttiv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