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1440B1 - 고로의 풍구 감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고로의 풍구 감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1440B1
KR102201440B1 KR1020190032641A KR20190032641A KR102201440B1 KR 102201440 B1 KR102201440 B1 KR 102201440B1 KR 1020190032641 A KR1020190032641 A KR 1020190032641A KR 20190032641 A KR20190032641 A KR 20190032641A KR 102201440 B1 KR102201440 B1 KR 102201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
blast furnace
control unit
monitoring
wind tu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2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2340A (ko
Inventor
허재종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2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1440B1/ko
Publication of KR20200112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23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1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1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24Test rods or other checking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16Tuyé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1/00Arrangements of monitoring devices; Arrangements of safety devices
    • F27D21/04Arrangements of indicators or ala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1/00Arrangements of monitoring devices; Arrangements of safety devices
    • F27D21/02Observation or illuminating devices
    • F27D2021/026Observation or illuminating devices using a video instal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로의 풍구 감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고로의 풍구 감시 장치는, 고로의 각 풍구의 관측구에 설치되어, 관측구로부터 고로에 접촉되는 풍구의 단면 영상을 촬영하는 풍구 감시 카메라; 풍구 주변의 음향을 측정하는 음향 측정부; 고로 주위에 형성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감시대차에 탑재되어 풍구를 촬영하는 풍구 카메라; 감시대차에 탑재되어 풍구를 냉각하기 위해 살수하는 살수부; 감시대차를 설정위치로 이동시키는 감시대차 구동부; 풍구 감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풍구의 단면 영상을 기반으로 각 풍구의 곡손 발생을 판단하여 곡손이 발생된 풍구의 위치로 감시대차 구동부를 제어하여 감시대차를 이동시켜 풍구 카메라로부터 풍구의 촬영영상을 입력받고, 음향 측정부를 통해 곡손이 발생된 풍구 주변의 음향을 입력받아 누풍을 감지하며, 위험상황을 판단하여 살수부를 작동시켜 비상살수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로부터 풍구의 곡손이 발생하거나 누풍이 감지되면 경고하는 경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로의 풍구 감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APPARATUS FOR INSPECTING BELLOWS OF FURNA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고로의 풍구 감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로의 풍구별 곡손 정도를 감지하여 풍구를 집중적으로 감시하면서 누풍을 감지하여 비상 시 살수하여 초기 대응할 수 있도록 한 고로의 풍구 감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공정의 하나인 고로 조업은 철광석과 코크스(cokes)를 고로 내부에 장입시키고 열풍로에서 생성된 고온의 열풍을 고로 일측에 형성된 풍구를 통하여 고로 내부에 불어넣음으로써 용융환원 과정을 통하여 용선을 생산하는 공정이다.
고로는 거대한 반응용기로써 원료인 철광석과 연료인 코크스가 노정에 장입되면 고온의 공기가 풍구로 유입되어 코크스를 연소시키며, 이로부터 발생되는 환원가스에 의해 장입물이 가열, 환원 및 용해되어 선철과 슬래그로 출선구를 통해 배출되며 반응 가스는 노정에서 회수된다.
고로 설비 중에는, 고로에 열풍을 공급하는 풍구가 있다. 풍구에서는, 미분탄 뿐 아니라 열풍을 고로 내부로 공급하여 가스의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이 수행된다. 풍구에서의 열풍의 공급은, 고로 내부의 통기성을 제어한다는 점에서 고로 내부의 공정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175452호(2012.08.20. 공고, 풍구 점검 장치 및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목적은 고로의 풍구별 곡손 정도를 감지하여 풍구를 집중적으로 감시하면서 누풍을 감지하여 비상 시 살수하여 초기 대응할 수 있도록 한 고로의 풍구 감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고로의 풍구 감시 장치는, 고로의 각 풍구의 관측구에 설치되어, 관측구로부터 고로에 접촉되는 풍구의 단면 영상을 촬영하는 풍구 감시 카메라; 풍구 주변의 음향을 측정하는 음향 측정부; 고로 주위에 형성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감시대차에 탑재되어 풍구를 촬영하는 풍구 카메라; 감시대차에 탑재되어 풍구를 냉각하기 위해 살수하는 살수부; 감시대차를 설정위치로 이동시키는 감시대차 구동부; 풍구 감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풍구의 단면 영상을 기반으로 각 풍구의 곡손 발생을 판단하여 곡손이 발생된 풍구의 위치로 감시대차 구동부를 제어하여 감시대차를 이동시켜 풍구 카메라로부터 풍구의 촬영영상을 입력받고, 음향 측정부를 통해 곡손이 발생된 풍구 주변의 음향을 입력받아 누풍을 감지하며, 위험상황을 판단하여 살수부를 작동시켜 비상살수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로부터 풍구의 곡손이 발생하거나 누풍이 감지되면 경고하는 경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는, 풍구의 단면 영상 중 설정영역에서의 휘도 픽셀수를 분석하여 설정시간 동안 평균 휘도 픽셀수의 변화에 기초하여 곡손 발생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는, 풍구 주변의 음향을 입력받아 측정음량이 제1 설정음량을 초과할 경우 누풍으로 판단하여 경고하고, 누풍을 판단한 후 설정시간 이내에 사용자의 인지상태가 확인되지 않거나 측정음량이 제2 설정음량을 초과하는 경우 위험상황으로 판단하여 살수부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제어명령에 따라 감시대차 구동부를 작동시켜 감시대차를 설정위치로 이동시키고, 살수부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고로의 풍구 감시 장치의 제어 방법은, 제어부가 풍구 감시 카메라로부터 풍구의 단면 영상을 입력받아 표시하는 단계; 제어부가 풍구의 단면 영상을 분석하여 풍구의 곡손 발생을 판단하는 단계; 제어부가 풍구의 곡손이 발생한 경우 곡손 발생 위치로 감시대차를 이동시키는 단계; 제어부가 풍구 카메라로부터 풍구의 촬영영상을 입력받아 표시하는 단계; 제어부가 음향 측정부로부터 풍구의 주변 음향을 입력받아 누풍을 감지는 단계; 제어부가 누풍을 감지한 후 위험상황을 판단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위험상황의 판단결과에 따라 살수부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어부가 풍구의 곡손 발생이 판단된 경우 1차 경고를 발생시키는 단계; 및 제어부가 누풍이 감지된 경우 2차 경고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풍구의 곡손 발생을 판단하는 단계는, 제어부가 풍구의 단면 영상 중 설정영역에서의 휘도 픽셀수를 분석하여 설정시간 동안 평균 휘도 픽셀수의 변화에 기초하여 곡손 발생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위험상황을 판단하는 단계는, 제어부가 누풍을 감지한 후 설정시간 이내에 사용자의 인지상태가 확인되지 않거나, 풍구 주변 음향의 측정음량이 설정음량을 초과할 경우 위험상황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고로의 풍구 감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은 고로의 풍구별 곡손 정도를 풍구의 단면 영상에 기초하여 정량적으로 판단하여 객관성을 향상시키고, 곡손이 발생된 풍구를 집중적으로 감시하면서 누풍을 감지하여 비상 시 살수하여 초기 대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2차적인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노황 악화를 조기에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로의 풍구 감시 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로의 풍구 감시 장치가 설치된 고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로의 풍구 감시 장치가 설치된 고로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로의 풍구 감시 장치에서 풍구의 단면 영상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로의 풍구 감시 장치에서 측정된 주변 음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로의 풍구 감시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로의 풍구 감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로의 풍구 감시 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로의 풍구 감시 장치가 설치된 고로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로의 풍구 감시 장치가 설치된 고로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로의 풍구 감시 장치에서 풍구의 단면 영상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로의 풍구 감시 장치에서 측정된 주변 음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로의 풍구 감시 장치는 풍구 감시 카메라(10), 음향 측정부(20), 풍구 카메라(30), 살수부(80), 감시대차 구동부(40), 제어부(50), 경고부(60) 및 표시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풍구 감시 카메라(10)는 고로(1)의 각 풍구(3)의 관측구에 설치되어, 관측구로부터 고로(1)에 접촉되는 풍구(3)의 단면 영상을 촬영하여 제어부(50)에 제공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로(1)는 측면 원주 방향을 따라 고로(1)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풍구(3)를 구비한다. 그리고 풍구(3)에는 외부로부터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관(5)과, 열풍공급관(5)으로 열풍 및 미분탄을 공급하는 공급하는 열풍 환상관(7) 및 풍구(3)로 미분탄을 공급하는 미분탄 공급관(9)이 연결 설치된다. 또한, 열풍 공급관(5)과 풍구(3)가 연결된 일단측의 반대편에는 풍구(3)를 관측할 수 있는 관측구가 형성되며 관측구에 풍구 감시 카메라(10)가 설치되어 풍구(3)의 단면 영상을 촬영하여 제어부(50)에 제공할 수 있다.
음향 측정부(20)는 풍구(3) 주변에서 음향을 측정하여 측정 음량을 제어부(5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음향 측정부(20)는 고로(1) 주위에 설치된 풍구 감시 카메라(10)의 케이블 트레이 위에 구간별로 설치할 수 있다.
풍구 카메라(30)는 고로(1) 주위에 형성된 레일(100)을 따라 이동하는 감시대차(45)에 탑재되어 풍구(3)의 상태를 집중적으로 감시할 수 있도록 풍구(3)를 열화상 촬영한 촬영영상을 제어부(50)에 제공할 수 있다.
살수부(80)는 감시대차(45)에 탑재되어 풍구(3)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수를 살수할 수 있다.
감시대차 구동부(40)는 고로(1) 주위에 형성된 레일(100)을 따라 이동하는 감시대차(45)를 설정위치로 이동시켜 설정위치에서 풍구(3)를 감시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50)는 풍구 감시 카메라(10)에 의해 촬영된 풍구(3)의 단면 영상을 기반으로 각 풍구(3)의 곡손 발생을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풍구(3)의 단면 영상을 기반으로 풍구(3)의 단면 영상 중 상부 영역의 설정영역에서 휘도 픽셀수를 분석하여 설정시간 동안 평균 휘도 픽셀수의 변화에 기초하여 곡손 발생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0)는 단면 영상 중 상부영역에서 5분 동안 평균 휘도 픽셀수의 변화가 10% 이하로 저하될 경우 곡손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는 곡손이 발생된 풍구(3)의 위치로 감시대차 구동부(40)를 제어하여 감시대차(45)를 이동시켜 풍구 카메라(30)로부터 풍구(3)의 촬영영상을 입력받아 집중적으로 곡손이 발생된 풍구(3)를 감시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부(50)는 음향 측정부(20)를 통해 곡손이 발생된 풍구(3) 주변의 음향을 입력받아 누풍을 감지하며, 위험상황을 판단하여 살수부(80)를 작동시켜 비상살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변의 음향을 입력받아 측정음량이 제1 설정음량인 120dB을 초과할 경우 누풍으로 판단하여 경고할 수 있고, 누풍을 판단한 후 설정시간 이내에 사용자의 인지상태가 확인되지 않거나 측정음량이 제2 설정음량을 초과하는 경우 위험상황으로 판단하여 살수부(80)를 작동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부(50)는 원격에서 사용자 입력부(90)를 통해 입력된 제어명령에 따라 감시대차 구동부(40)를 작동시켜 감시대차(45)를 설정위치로 이동시키고, 살수부(8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원격에서 표시부(70)에 출력되는 풍구(3)의 상태를 기반으로 사용자 입력부(90)를 통해 제어명령을 입력하여 집중적으로 감시하면서 살수부(80)를 작동시켜 냉각수를 살수하여 풍구(30)를 냉각시킬 수 있다.
제어부(50)는 각 풍구(3)의 곡손이 발생하거나 누풍이 감지되면 경고부(60)를 통해 경고하여 사용자가 인지하여 대처하도록 할 수 있다.
표시부(70)는 제어부(50)의 작동상태, 풍구 감시 카메라(10)로부터 입력된 풍구(3)의 단면 영상 및 풍구 카메라(30)로부터 입력된 풍구(3)의 촬영영상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풍구(3)의 상태를 감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70)를 통해 곡손이 발생된 풍구(3)의 단면 영상 테두리에 색상을 다르게 하여 경고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고로의 풍구 감시 장치에 따르면, 고로의 풍구별 곡손 정도를 풍구의 단면 영상에 기초하여 정량적으로 판단하여 객관성을 향상시키고, 곡손이 발생된 풍구를 집중적으로 감시하면서 누풍을 감지하여 비상 시 살수하여 초기 대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2차적인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노황 악화를 조기에 예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로의 풍구 감시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로의 풍구 감시 장치의 제어 방법에서는 먼저, 제어부(50)가 풍구 감시 카메라(10)로부터 풍구(3)의 단면 영상을 입력받아 표시부((70)를 통해 표시한다(S10).
S10 단계에서 풍구(3)의 단면 영상을 입력받은 후 제어부(50)는 풍구(3)의 단면 영상을 분석한다(S20).
예를 들어, 제어부(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풍구(3)의 단면 영상을 기반으로 풍구(3)의 단면 영상 중 상부 영역의 설정영역에서 휘도 픽셀수를 분석할 수 있다.
S20 단계에서 설정영역에서의 휘도 픽셀수를 분석하여 설정시간 동안 평균 휘도 픽셀수의 변화에 기초하여 휘도 픽셀수가 저하될 경우 제어부(50)는 풍구(3)의 곡손으로 판단할 수 있다(S30).
예를 들어, 제어부(50)는 단면 영상 중 상부영역에서 5분 동안 평균 휘도 픽셀수의 변화가 10% 이하로 저하될 경우 곡손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S30 단계에서 풍구(3)의 곡손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될 경우, 제어부(50)는 경고부(60)를 통해 1차 경고를 발생한다(S40). 이때 표시부(70)를 통해 곡손이 발생된 풍구(3)의 단면 영상 테두리에 색상을 다르게 하여 경고할 수도 있다.
그러나 S30 단계에서 풍구(3)의 곡손 발생을 판단하여 곡손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제어부(50)는 S10 단계로 리턴하여 풍구 감시 카메라(10)로부터 풍구(3)의 단면 영상을 입력받아 표시한다.
이와 같이 풍구(3)의 단면 영상에 기초하여 정량적으로 풍구(3)의 곡손 발생여부를 판단한 후 풍구(3)의 곡손이 발생한 경우 1차 경고하여 운전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S40 단계에서 경고를 발생한 후 제어부(50)는 감시대차 구동부(40)를 작동시켜 곡손이 발생된 풍구(3)의 위치로 감시대차(45)를 이동시킨다(S50).
S50 단계에서 풍구(3)의 위치로 감시대차(45)를 이동시킨 후 감시대차(45)에 탑재된 풍구 카메라(30)로부터 풍구(3)의 촬영영상을 입력받아 표시부(70)를 통해 표시한다(S60).
또한, 제어부(50)는 음향 측정부(20)로부터 풍구(3)의 주변 음향을 입력받는다(S70).
S70 단계에서 풍구(3)의 주변 음향을 입력받은 후 제어부(50)는 측정음량과 제1 설정음량을 비교하여 풍구(3)에서의 누풍을 감지한다(S80).
예를 들어, 제어부(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변의 음향을 입력받아 측정음량이 제1 설정음량인 120dB을 초과할 경우 누풍으로 판단할 수 있다.
S80 단계에서 누풍을 감지한 후 누풍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50)는 S60 단계로 리턴하여 집중적으로 곡선이 발생된 풍구(3)를 감시한다. 반면, 누풍으로 감지된 경우 제어부(50)는 2차 경고를 발생한다(S90).
S90 단계에서 2차 경고를 발생한 후 제어부(50)는 위험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S100).
여기서 제어부(50)는 누풍을 판단한 후 설정시간 이내에 사용자의 인지상태가 확인되지 않거나 측정음량이 제2 설정음량을 초과하는 경우 위험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누풍(3)을 판단하여 2차 경고를 발생했음에도 불구하고 설정시간이 경과하도록 사용자가 인지하지 않고 있거나, 곡손이 심화되어 누풍이 점차 증가하여 제2 설정음량을 초과할 경우 2차적인 안전사고를 예방을 위한 위험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S100 단계에서 위험상황으로 판단한 경우, 제어부(50)는 살수부(80)를 작동시켜 풍구(3)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수를 비상 살수한다(S11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고로의 풍구 감시 장치의 제어 방법에 따르면, 고로의 풍구별 곡손 정도를 풍구의 단면 영상에 기초하여 정량적으로 판단하여 객관성을 향상시키고, 곡손이 발생된 풍구를 집중적으로 감시하면서 누풍을 감지하여 비상 시 살수하여 초기 대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2차적인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노황 악화를 조기에 예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현은, 예컨대, 방법 또는 프로세스, 장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단일 형태의 구현의 맥락에서만 논의(예컨대, 방법으로서만 논의)되었더라도, 논의된 특징의 구현은 또한 다른 형태(예컨대, 장치 또는 프로그램)로도 구현될 수 있다. 장치는 적절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법은, 예컨대,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프로세서 등과 같은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최종-사용자 사이에 정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컴퓨터, 셀 폰, 휴대용/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다른 디바이스 등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고로 3 : 풍구
5 : 열풍 공급관 7 : 열풍 환상관
9 : 미분탄 공급관 10 : 풍구 감시 카메라
20 : 음향 측정부 30 : 풍구 카메라
40 : 감시대사 구동부 45 : 감시대차
50 : 제어부 60 : 경고부
70 : 표시부 80 : 살수부
90 : 사용자 입력부 100 : 레일

Claims (8)

  1. 고로의 각 풍구의 관측구에 설치되어, 상기 관측구로부터 상기 고로에 접촉되는 상기 풍구의 단면 영상을 촬영하는 풍구 감시 카메라;
    상기 풍구 주변의 음향을 측정하는 음향 측정부;
    상기 고로 주위에 형성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감시대차에 탑재되어 상기 풍구를 촬영하는 풍구 카메라;
    상기 감시대차에 탑재되어 상기 풍구를 냉각하기 위해 살수하는 살수부;
    상기 감시대차를 설정위치로 이동시키는 감시대차 구동부;
    상기 풍구 감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상기 풍구의 단면 영상을 기반으로 각 상기 풍구의 곡손 발생을 판단하여 곡손이 발생된 상기 풍구의 위치로 상기 감시대차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감시대차를 이동시켜 상기 풍구 카메라로부터 상기 풍구의 촬영영상을 입력받고, 상기 음향 측정부를 통해 곡손이 발생된 상기 풍구 주변의 음향을 입력받아 누풍을 감지하며, 위험상황을 판단하여 상기 살수부를 작동시켜 비상살수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풍구의 곡손이 발생하거나 누풍이 감지되면 경고하는 경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의 풍구 감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풍구의 단면 영상 중 설정영역에서의 휘도 픽셀수를 분석하여 설정시간 동안 평균 휘도 픽셀수의 변화에 기초하여 곡손 발생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의 풍구 감시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풍구 주변의 음향을 입력받아 측정음량이 제1 설정음량을 초과할 경우 누풍으로 판단하여 경고하고, 누풍을 판단한 후 설정시간 이내에 사용자의 인지상태가 확인되지 않거나 상기 측정음량이 제2 설정음량을 초과하는 경우 위험상황으로 판단하여 상기 살수부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의 풍구 감시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감시대차 구동부를 작동시켜 상기 감시대차를 설정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살수부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의 풍구 감시 장치.
  5. 청구항 제1항에 의한 고로의 풍구 감시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제어부가 풍구 감시 카메라로부터 풍구의 단면 영상을 입력받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풍구의 단면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풍구의 곡손 발생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풍구의 곡손이 발생한 경우 곡손 발생 위치로 감시대차를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풍구 카메라로부터 상기 풍구의 촬영영상을 입력받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음향 측정부로부터 상기 풍구의 주변 음향을 입력받아 누풍을 감지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누풍을 감지한 후 위험상황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위험상황의 판단결과에 따라 살수부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의 풍구 감시 장치의 제어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풍구의 곡손 발생이 판단된 경우 1차 경고를 발생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누풍이 감지된 경우 2차 경고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의 풍구 감시 장치의 제어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풍구의 곡손 발생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풍구의 단면 영상 중 설정영역에서의 휘도 픽셀수를 분석하여 설정시간 동안 평균 휘도 픽셀수의 변화에 기초하여 곡손 발생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의 풍구 감시 장치의 제어 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상황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누풍을 감지한 후 설정시간 이내에 사용자의 인지상태가 확인되지 않거나, 상기 풍구 주변 음향의 측정음량이 설정음량을 초과할 경우 상기 위험상황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의 풍구 감시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90032641A 2019-03-22 2019-03-22 고로의 풍구 감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201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641A KR102201440B1 (ko) 2019-03-22 2019-03-22 고로의 풍구 감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641A KR102201440B1 (ko) 2019-03-22 2019-03-22 고로의 풍구 감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2340A KR20200112340A (ko) 2020-10-05
KR102201440B1 true KR102201440B1 (ko) 2021-01-12

Family

ID=72809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2641A KR102201440B1 (ko) 2019-03-22 2019-03-22 고로의 풍구 감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1440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3762B1 (ko) * 1999-12-24 2003-08-06 주식회사 포스코 고로풍구 원격감시 시스템
KR20020041060A (ko) * 2000-11-27 2002-06-01 이구택 고로 풍구존용 자동살수장치
KR20060071717A (ko) * 2004-12-22 2006-06-27 주식회사 포스코 비젼카메라를 이용한 고로풍구 자동 감시장치
KR101277901B1 (ko) * 2011-09-28 2013-06-21 현대제철 주식회사 고로 풍구 점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2340A (ko) 2020-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67619B2 (ja) 高炉異常検出方法及び高炉操業方法
CN111397766A (zh) 一种基于图像的测温取样下枪位置智能检测方法及系统
KR102201440B1 (ko) 고로의 풍구 감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6795573B (zh) 用于确定氧气吹炼过程中的点火时间点的方法和设备
JP7036142B2 (ja) 転炉のスロッピング予知方法、転炉の操業方法及び転炉のスロッピング予知システム
JP5644910B1 (ja) 異常検知方法および高炉操業方法
JP4419861B2 (ja) 転炉出鋼時のスラグ検出方法及び装置
JP6515342B2 (ja) 高炉羽口閉塞除去装置及び高炉羽口閉塞除去方法
KR101032554B1 (ko) 용선검출센서를 이용한 용선의 배출속도와 저선레벨 측정시스템 및 측정방법
KR20120000773A (ko) 풍구 점검 장치 및 방법
KR102224886B1 (ko) 고로의 풍구 파손 감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212228310U (zh) 适用于具有风口结构炉体的风口区域设备检测及预警系统
KR101277901B1 (ko) 고로 풍구 점검 장치
TWI612303B (zh) 爐內耐火材狀態監測系統及方法
KR200379590Y1 (ko) 용광로의 송풍구 원격감시 시스템
JP2013209695A (ja) 地金付着度測定方法および地金付着度測定装置
KR102093852B1 (ko) 래들 정보 획득 시스템 및 래들 정보 획득방법
CN111349741A (zh) 一种转炉炼钢喷溅预报、钢水温度和碳含量检测的方法
KR20210025301A (ko) 풍구의 슬래그 역류 차단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211553142U (zh) 一种基于图像的测温取样下枪位置智能检测系统
KR20220085472A (ko) 용선 온도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90504B1 (ko) 전로의 스커트 높이 제어 장치 및 방법
TWI697561B (zh) 轉爐之底吹孔之熔損的評估方法
KR102515214B1 (ko) 래들 슬라이드 게이트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US20230286038A1 (en) Monitoring casting environ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