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3852B1 - 래들 정보 획득 시스템 및 래들 정보 획득방법 - Google Patents

래들 정보 획득 시스템 및 래들 정보 획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3852B1
KR102093852B1 KR1020180170143A KR20180170143A KR102093852B1 KR 102093852 B1 KR102093852 B1 KR 102093852B1 KR 1020180170143 A KR1020180170143 A KR 1020180170143A KR 20180170143 A KR20180170143 A KR 20180170143A KR 102093852 B1 KR102093852 B1 KR 1020938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ction signal
ladle
unit
information
siz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0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재
Original Assignee
엑셀로 주식회사
박성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엑셀로 주식회사, 박성재 filed Critical 엑셀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70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38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3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38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Steel In Its Molten Stat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제철 공정을 거치는 래들의 상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래들 정보 획득 시스템 및 래들 정보 획득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래들 정보 획득 시스템은 복수개의 처리공정을 거치는 래들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래들 정보 획득 시스템으로서, 중계부, 처리부, 서버부 그리고 사용자 단말을 포함한다. 중계부는 복수개의 처리공정이 진행되는 공정영역에 각각 구비되어 독립적으로 감지신호를 송신한다. 처리부는 래들에 구비되어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되는 감지신호 별로 감지신호 크기정보를 생성하며, 수신되는 감지신호를 송신하는 해당 중계부로 감지신호 크기정보와 및 래들의 상태정보를 송신한다. 서버부는 해당 중계부로부터 래들의 상태정보, 해당 중계부의 위치정보 및 감지신호 크기정보를 수신하고, 각각의 감지신호 크기정보를 비교하여 해당 중계부 중에 가장 큰 값의 감지신호를 가지는 감지신호 크기정보를 송신하는 중계부가 구비되는 공정영역에 래들이 위치하는 것으로 판정한다. 사용자 단말은 서버부로부터 래들의 위치정보 및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한다.

Description

래들 정보 획득 시스템 및 래들 정보 획득방법{SYSTEM FOR OBTAINING LADLE INFORMATION AND METHOD OF OBTAINING LADLE INFORMATION}
본 발명은 래들 정보 획득 시스템 및 래들 정보 획득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철 공정을 거치는 래들의 상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래들 정보 획득 시스템 및 래들 정보 획득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합제철소에는 철광석을 소결한 소결광과 석탄을 소결한 코크스를 고로에 장입하고, 고로 하단으로 열풍을 가해 고로의 하단으로 가라앉은 용선(hot metal)을 출선구를 통해 고로의 밖으로 회수하는 제선공정과, 토페도카 혹은 장입래들(용선래들)에 운반된 용선을 예열한 후, 철스크랩 등과 함께 전로(converter)에서 산소 취련을 하여 탄소를 제거하여 용강(molten steel)을 만드는 제강공정과, 슬래브, 블룸, 빌릿 등의 반제품 생산을 위해 연속주조를 실시하는 연주공정을 실시한다.
제선공정, 제강공정 및 연주공정까지를 상공정이라고 하며, 상공정 이후 열간/냉간압연, 열처리, 도금 등의 하공정이 진행되어 최종 철강제품이 생산된다.
운반된 용선을 예열하는 예열공정과, 전로를 거쳐 연속주조에 이르는 제강공정에서, 용선, 용강을 운반하기 위해 래들(Ladle)이 사용되고 있다. 즉, 운반된 용선은 래들에 담겨 예열공정을 거치고, 전로로 이동되며, 전로에서 정련을 마친 용강은 래들에 담긴 채로 운반되어, B/S(Bubbling Stand), PI(Powder Injection), LF(Ladle Furnace), RH(감압 탈가스 공정), VD(Vacuum Degassing) 등 다양한 2차 정련공정을 거치고, 이 후 연주(연속주조)공정의 주상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공정을 마친 래들은 이후 점검 및 수리를 실시하는 점검공정을 거치게 된다.
이와 같이, 용강은 래들 내부에서 각종 정련 및 처리가 이루어지고, 래들의 이동을 통해 각 공정간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원활한 제철 공정이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래들의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획득하여 모니터링 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편, 래들의 하부에는 버블링 플러그가 설치되어 불활성 기체인 아르곤 또는 질소 가스가 취입되도록 하여 용강의 교반이 증대되어 온도의 균일화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화학반응을 통해 생성된 개재물이 용강 상부 슬래그 층으로 분리 부상되도록 하여 개재물이 제거되도록 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버블링 플러그에는 용강에 의하여 용융되는 손상이 발생되기 때문에 적절한 시기에 교체해주어야 한다. 예를 들어, 버블링 플러그의 사용수명이 24 내지 25회를 기준으로 하더라도, 실제로는 20회 정도 사용시점에서부터 버블링 플러그의 용융에 의한 손상 정도를 파악하게 된다. 만일 버블링 플러그가 과다 용융되어 손상된 것을 판단하지 못하여 적절한 시점에 교체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에, 래들 하부를 통해 용강이 유출되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반면에 이에 대한 우려로 버블링 플러그를 조기에 교체할 경우에는 제조원가의 상승이라는 손실을 가져오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러한 버블링 침식 정도의 확인이 작업자가 직접 육안으로 관측하고, 계속 사용할 것인지의 여부도 매회 작업자가 판단하고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래들의 하부는 공정 완료 후 남은 용강으로 코팅되어 있는 상태가 대부분이므로 정확하게 버블링 플러그의 용융에 의한 손상을 육안으로 판단하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육안 확인을 위해서는 래들이 검사작업이 가능한 온도로 냉각될 때까지 기다려야 하므로 작업의 효율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원활한 제철 공정이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서, 래들의 위치정보 및 래들의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획득하여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며, 특히 복수의 래들이 동시에 이동되는 공정의 특성 상, 각각의 래들의 위치정보 및 래들의 상태 정보 획득의 중요성이 더욱 크다 하겠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9-068893호(2009.06.29. 공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제철 공정을 거치는 래들의 상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래들 정보 획득 시스템 및 래들 정보 획득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복수개의 처리공정을 거치는 래들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래들 정보 획득 시스템으로서, 상기 복수개의 처리공정이 진행되는 공정영역에 각각 구비되어 독립적으로 감지신호를 송신하는 중계부; 상기 래들에 구비되어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되는 감지신호 별로 감지신호 크기정보를 생성하며, 수신되는 상기 감지신호를 송신하는 해당 중계부로 상기 감지신호 크기정보와 및 상기 래들의 상태정보를 송신하는 처리부; 상기 해당 중계부로부터 상기 래들의 상태정보, 상기 해당 중계부의 위치정보 및 상기 감지신호 크기정보를 수신하고, 각각의 상기 감지신호 크기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해당 중계부 중에 가장 큰 값의 감지신호를 가지는 감지신호 크기정보를 송신하는 중계부가 구비되는 공정영역에 상기 래들이 위치하는 것으로 판정하는 서버부; 그리고 상기 서버부로부터 상기 래들의 위치정보 및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래들 정보 획득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감지신호 크기정보의 감지신호는 방향과 무관하게 상기 중계부와 상기 처리부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서버부가 전달받은 상기 감지신호 크기정보 중에 가장 큰 값의 감지신호를 가지는 감지신호 크기정보가 복수로 존재하는 경우, 상기 서버부는 상기 가장 큰 값의 감지신호를 가지는 복수의 감지신호 크기정보를 전달받은 최종수신시간을 기준으로 상기 최종수신시간 이전의 미리 설정된 기준시간부터 상기 최종수신시간까지의 추적시간범위에서 복수의 상기 감지신호 크기정보 각각의 감지신호 크기값의 변화를 산출하고, 해당되는 상기 중계부 중 상기 감지신호 크기값이 증가하는 감지신호 크기정보를 송신하는 중계부가 구비되는 공정영역에 상기 래들이 위치하는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중계부로부터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 수신되는 상기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감지신호 크기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하는 상기 감지신호 크기정보를 상기 수신부에 수신되는 상기 감지신호를 송신하는 해당 중계부로 발신하는 발신부와, 상기 처리부의 내부온도 및 상기 래들에 구비되는 내화부재의 침식상태를 센싱하고 상기 발신부로 전달하는 센싱부를 가지고, 상기 래들의 상태정보는 상기 처리부의 내부온도 및 상기 내화부재의 침식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미리 설정된 센싱주기에 따라 상기 처리부의 내부온도를 센싱하여 내부온도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부온도정보를 기초로 상기 처리부의 내부온도를 미리 설정된 허용온도범위와 비교하며, 상기 처리부의 내부온도가 상기 허용온도범위 내에 있으면, 상기 센싱부는 상기 내화부재의 침식상태를 센싱하여 상기 내화부재의 침식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가 상기 센싱주기가 아닌 시점에 상기 처리부의 내부온도를 센싱하여 상기 내부온도정보를 생성하도록,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로 비주기 센싱 요청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복수개의 처리공정을 거치는 래들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래들 정보 획득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개의 처리공정이 진행되는 공정영역에 각각 구비되는 중계부가 개별적으로 감지신호를 송신하는 감지신호 송신단계; 상기 래들에 구비되는 처리부가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되는 감지신호 별로 감지신호 크기정보를 생성하는 감지신호 크기정보 생성단계; 상기 처리부가 상기 수신되는 감지신호를 송신하는 해당 중계부로 상기 감지신호 크기정보와 및 상기 래들의 상태정보를 송신하는 피드백 단계; 서버부가 상기 해당 중계부로부터 상기 래들의 상태정보, 상기 해당 중계부의 위치정보 및 상기 감지신호 크기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감지신호 크기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해당 중계부 중에 가장 큰 값의 감지신호를 가지는 감지신호 크기정보를 송신하는 중계부가 구비되는 공정영역에 상기 래들이 위치하는 것으로 판정하는 래들 위치 판정단계; 그리고 사용자 단말이 상기 서버부로부터 상기 래들의 위치정보 및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위치정보 및 상태정보를 표시하는 래들 정보 표시단계를 포함하는 래들 정보 획득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래들 위치 판정단계에서, 상기 서버부가 전달받은 상기 감지신호 크기정보 중에 가장 큰 값의 감지신호 크기정보가 복수로 존재하는 경우, 상기 서버부는 상기 가장 큰 값의 감지신호를 가지는 복수의 감지신호 크기정보를 전달받은 최종수신시간을 기준으로 상기 최종수신시간 이전의 미리 설정된 기준시간부터 상기 최종수신시간까지의 추적시간범위에서 복수의 상기 감지신호 크기정보 각각의 감지신호 크기값의 변화를 산출하는 크기값 변화 산출단계를 수행하고, 해당되는 상기 중계부 중 상기 크기값이 증가하는 감지신호를 가지는 감지신호 크기정보를 송신하는 중계부가 구비되는 공정영역에 상기 래들이 위치하는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감지신호 크기정보를 생성하는 기초가 되는 감지신호가 방향에 무관하고 전송거리에 반비례하는 강도를 가지는 특성을 가짐으로써, 생성되는 감지신호 크기정보의 정확도가 높아질 수 있고, 이에 따라, 래들의 위치 판정의 정확도도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래들의 처리부는 래들에 구비되는 내화부재의 침식상태 정보를 더 생성하고, 서버부는 래들의 위치정보와 함께 내화부재의 침식정보도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표시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래들의 위치정보 및 래들의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획득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래들 정보 획득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래들 정보 획득 시스템의 래들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래들 정보 획득 시스템의 처리부와 래들의 연결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래들 정보 획득 시스템의 운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래들 정보 획득 시스템에서 서버부가 래들의 위치를 판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래들 정보 획득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래들 정보 획득 시스템의 운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래들 정보 획득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래들 정보 획득 시스템은 중계부(100), 처리부(200), 서버부(300) 그리고 사용자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래들 정보 획득 시스템은 복수개의 처리공정을 거치는 래들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래들 정보 획득 시스템으로서, 중계부(100)는 각각의 공정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개의 처리공정은 제철 공정에 포함되는 어떤 공정일 수 있으며, 그 공정이 특정한 공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복수개의 처리공정을 예열공정, 제강공정, 연주공정 및 점검공정을 기본으로 설명하지만, 이러한 공정 중 하나 이상이 생략되거나, 또는 전술되지 않은 다른 공정이 더 추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세히, 중계부(100)는 예열공정이 진행되는 예열공정영역, 제강공정이 진행되는 제강공정영역, 연주공정이 진행되는 연주공정영역 및 점검공정이 진행되는 점검영역에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독립적으로 감지신호(101)를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공정영역에 구비되는 중계부(100)가 송신하는 감지신호(101)는 모두 동일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각각의 감지신호(101)는 모두 해당 중계부(100)를 기준으로 반경방향으로 송신될 수 있으며, 중계부(100)를 중심으로 하는 송신거리에 비례하여 강도가 약해질 수 있다. 따라서, 예열공정영역에 구비되는 제1중계부에서 방향에 상관없이 제1거리만큼 떨어진 거리에서의 제1감지신호의 강도와, 제강공정영역에 구비되는 제2중계부에서 방향에 상관없이 제1거리만큼 떨어진 거리에서의 제2감지신호의 강도와, 연주공정영역에 구비되는 제3중계부에서 방향에 상관없이 제1거리만큼 떨어진 거리에서의 제3감지신호의 강도와, 점검공정영역에 구비되는 제4중계부에서 방향에 상관없이 제1거리만큼 떨어진 거리에서의 제4감지신호의 강도는 모두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중계부(100)는 각각 자신의 위치정보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중계부(100)는 특정한 무선 통신 기술에 한정됨이 없이 다양한 무선 통신 기술이 적용되어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주변의 일정 반경 범위 내에서 사물의 정보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인 비컨(Beacon) 기술이 적용되어 구현될 수 있다.
처리부(200)는 래들에 구비되어 감지신호(101)를 수신할 수 있다.
처리부(200)에 인접하여 복수의 중계부(100)가 마련되고, 복수의 중계부(100)에서 송신하는 감지신호(101)의 송신범위 내에 처리부(200)가 위치하는 경우, 처리부(200)는 복수의 중계부(100)에서 송신하는 감지신호(101)를 모두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처리부(200)는 수신되는 감지신호(101) 별로 그에 대응되는 감지신호 크기정보(201)를 생성할 수 있다.
처리부(200)가 생성하는 감지신호 크기정보(201)는 수신하는 감지신호(101)의 시간 별 크기정보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중계부(100)가 송신하는 감지신호(101)는 방향과 무관하게 송신거리에 반비례하는 강도를 가지기 때문에, 감지신호 크기정보(201)에 나타나는 감지신호의 크기는 중계부(100)와 처리부(200)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큰 값을 가지고, 중계부(100)와 처리부(200) 사이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작은 값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처리부(200)는 이렇게 생성되는 감지신호 크기정보(201)를 해당 감지신호(101)를 송신하는 중계부(100)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열공정영역에 구비되는 제1중계부에서 송신하는 제1감지신호와, 제강공정영역에 구비되는 제2중계부에서 송신하는 제2감지신호가 모두 처리부(200)에 수신되는 경우, 처리부(200)는 제1감지신호를 기초로 제1감지신호 크기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되는 제1감지신호 크기정보를 제1중계부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처리부(200)는 제2 감지신호를 기초로 제2감지신호 크기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되는 제2감지신호 크기정보를 제2중계부로 송신할 수 있다.
중계부(100)는 각각의 공정영역에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고, 래들은 공정에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어느 하나의 중계부를 기준으로 했을 때, 해당 중계부에서 송신하는 감지신호를 기초로 생성되는 감지신호 크기정보에 나타나는 감지신호의 시간 별 크기는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패턴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처리부(200)는 생성되는 감지신호 크기정보(201)를 해당 중계부(100)로 송신함과 동시에 래들의 상태정보(202)를 함께 송신할 수 있다.
처리부(200)로부터 감지신호 크기정보(201) 및 래들의 상태정보(202)를 수신하는 중계부(100)는 이를 서버부(300)로 송신할 수 있으며, 더하여 중계부(100)는 자신의 위치정보(102)도 함께 송신할 수 있다.
서버부(300)는 해당 중계부(100)로부터 래들의 상태정보(202), 해당 중계부의 위치정보(102) 및 감지신호 크기정보(201)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서버부(300)는 각각의 감지신호 크기정보(201)에서 가장 최근 시점에서의 감지신호값을 비교하여 가장 최근 시점에서 가장 큰 값의 감지신호를 가지는 감지신호 크기정보를 송신하는 중계부를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부(300)는 이렇게 파악된 중계부가 구비되는 공정영역에 래들이 위치하는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부(300)가 예열공정영역에 구비되는 제1중계부로부터 제1감지신호 크기정보를 수신하고, 제강공정영역에 구비되는 제2중계부로부터 제2감지신호 크기정보를 수신한 후, 제1감지신호 크기정보 및 제2감지신호 크기정보를 비교한 결과, 가장 큰 값의 감지신호를 가지는 감지신호 크기정보를 송신하는 중계부가 제2중계부로 파악이 되면, 서버부(300)는 래들이 제2중계부가 위치하는 제강공정영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제2중계부는 서버부(300)에 자신의 위치정보도 함께 전송하기 때문에, 서버부(300)는 제2중계부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서버부(300)는 래들의 위치정보(301) 및 래들의 상태정보(202)를 사용자 단말(400)로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0)은 서버부(300)로부터 래들의 위치정보(301) 및 래들의 상태정보(202)를 수신하고, 이렇게 수신되는 래들의 위치정보(301) 및 래들의 상태정보(202)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단말(400)은 철강 공정을 관리하는 허가된 사용자에게 래들의 위치정보(301) 및 래들의 상태정보(202)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래들의 위치정보 및 래들의 상태 정보가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모니터링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래들 정보 획득 시스템의 래들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래들 정보 획득 시스템의 처리부와 래들의 연결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래들(10)은 용강(14)을 수용할 수 있으며, 래들(10)의 하측에는 내화부재(12)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내화부재(12)는 버블링 플러그일 수 있다.
그리고, 처리부(200)는 래들(10)에 구비될 수 있는데, 래들(10)로부터의 직접적인 열전달이 줄어들도록 처리부(200)는 래들(10)의 플랜지(11)에 부착되고 래들(10)의 외주면과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다.
처리부(200)는 수신부(210), 제어부(220), 발신부(230) 그리고 센싱부(240)를 가질 수 있다.
수신부(210)는 중계부(100, 도 1 참조)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수신부(210)에 수신되는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감지신호 크기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발신부(230)는 제어부(220)에서 생성하는 감지신호 크기정보를 수신부(210)에 수신되는 감지신호를 송신하는 해당 중계부로 발신할 수 있다.
센싱부(240)는 처리부(200)의 내부온도 및 래들(10)에 구비되는 내화부재(12)의 침식상태를 센싱하여 발신부(230)로 전달할 수 있다.
센싱부(240)는 미리 설정된 센싱주기에 따라 처리부(200)의 내부온도를 센싱하여 내부온도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220)는 내부온도정보를 기초로 처리부(200)의 내부온도를 미리 설정된 허용온도범위와 비교할 수 있다. 비교 결과, 처리부(200)의 내부온도가 허용온도범위 내에 있지 않으면, 처리부(200)의 온도를 낮추기 위한 별도의 작동이 실시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처리부(200)에 구비되는 송풍팬(미도시)을 구동하여 처리부(200)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그리고, 처리부(200)의 내부온도가 허용온도범위 내에 있으면, 센싱부(240)는 내화부재(12)의 침식상태를 센싱하는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내화부재(12)의 침식상태 센싱 공정 전에 처리부(200)의 내부온도가 허용온도범위 내에 있는 지를 확인함으로써, 처리부(200)에서 측정하는 센싱 정보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센싱부(240)는 전선(13)에 의해 내화부재(12)와 연결될 수 있는데, 전선(13)의 일단은 센싱부(240)에 연결되고 타단은 내화부재(12)의 내부에 매설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전선(13)의 타단은 내화부재(12)의 높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다층으로 매설되고, 전기적으로는 연결되지 않은 상태로 매설될 수 있다. 그러다가, 래들(10)에 수용된 용강(14)에 의해 내화부재(12)가 상부에서부터 침식되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았던 전선(13)의 타단이 용강(14)을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내화부재(12)가 상측에서 하측으로 침식됨에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매설된 전선(13)의 타단은 순차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센싱부(240)는 전선(13)의 전기적 연결을 센싱하여 내화부재(12)의 침식상태를 센싱하여 침식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생성되는 내화부재의 침식정보는 발신부(230)로 전달될 수 있다.
발신부(230)가 중계부(100)로 송신하는 래들의 상태정보는 처리부(200)의 내부온도 및 내화부재(12)의 침식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센싱부(240)가 미리 정해진 센싱주기가 아닌 시점에 처리부(200)의 내부온도를 센싱하여 내부온도정보를 생성할 수 있도록, 제어부(220)는 센싱부(240)로 비주기 센싱 요청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220)가 센싱부(240)로 비주기 센싱 요청신호를 송신하면 센싱부(240)는 바로 처리부(200)의 내부온도를 센싱하는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다른 래들 정보 획득 시스템의 운용 예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래들 정보 획득 시스템의 운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래들 정보 획득 시스템에서 서버부가 래들의 위치를 판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먼저 도 4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예열공정(P1)이 진행되는 예열공정영역(PA1)에 제1중계부(110)가 마련되고, 제강공정(P2)이 진행되는 제강공정영역(PA2)에 제2중계부(120)가 마련되고, 연주공정(P3)이 진행되는 연주공정영역(PA3)에 제3중계부(130)가 마련되고, 점검공정(P4)이 이루어지는 점검공정영역(PA4)에 제4중계부(140)가 마련될 수 있다.
각 중계부(110,120,130,140)는 독립적으로 감지신호를 송신할 수 있으며, 각각의 감지신호는 미리 정해진 신호송신범위를 가질 수 있다. 래들의 위치를 놓치지 않기 위해서는, 인접하는 중계부에서 송신되는 감지신호의 신호송신범위가 서로 중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 중계부(110,120,130,140)의 설치위치는 이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래들이 제강공정영역(PA2)에서 전로 작업을 거친 후 연주공정영역(PA3)의 연주 설비로 이동하는 경우를 가정하면, 래들의 처리부(200)에는 제2중계부(120) 및 제3중계부(130)에서 송신하는 감지신호가 모두 수신될 수 있다. 그러면 처리부는 감지신호 크기정보를 각각 생성하게 되는데, 제3중계부(130) 및 처리부(200) 사이의 제2거리(D2)가 제2중계부(120)와 처리부(200) 사이의 제1거리(D1) 보다 가깝기 때문에, 제3중계부(130)에서 송신하는 감지신호를 기초로 생성되는 감지신호 크기정보에 가장 큰 값의 감지신호가 포함될 수 있다.
처리부(200)가 해당 감지신호 크기정보를 제2중계부(120) 및 제3중계부(130)로 각각 송신함과 동시에, 래들의 상태정보도 각각 송신하면, 제2중계부(120) 및 제3중계부(130)는 수신한 감지신호 크기정보 및 래들의 상태정보와 자기의 위치정보를 서버부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서버부는 각각의 감지신호 크기정보를 비교하여 가장 큰 값의 감지신호를 가지는 감지신호 크기정보를 찾게 되며, 만일, 제3중계부(130)가 송신한 감지신호 크기정보가 가장 큰 값의 감지신호를 가지는 것으로 파악되면, 서버부는 래들이 제3중계부(130)가 위치한 연주공정영역(PA3)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감지신호는 방향에 무관하게 전송거리에 반비례하는 강도를 가지기 때문에, 감지신호를 기초로 생성되는 감지신호 크기정보의 정확도는 높아질 수 있고, 이에 따라, 래들의 위치 판정의 정확도도 향상될 수 있다.
더하여, 서버부는 래들의 위치를 판정하기 위해 사용된 감지신호 크기정보가 제2중계부(120) 및 제3중계부(130)에서 전송한 것이라는 점을 기초로, 래들이 연주공정영역(PA3)에 위치하되, 제2중계부(120)가 있는 제강공정영역(PA2)에서 연주공정영역(PA3)으로 이동하고 있는 중인 것으로 더 판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래들이 연주공정영역(PA3)에 위치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되더라도, 래들이 연주공정영역(PA3)에서 점검공정영역(PA4)으로 이동하는 중인지, 아니면, 제강공정영역(PA2)에서 연주공정영역(PA3)으로 이동하는 중인지를 더욱 자세히 판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래들의 위치를 판정하는 것은, 래들이 예열공정(P1)의 예열 작업이 완료된 후 제강공정(P2)의 전로로 이동하거나, 연주공정(P3)의 연주 작업이 완료된 후 점검공정(P4)의 경동대로 이동하거나, 점검공정(P4)의 경동대에서 점검, 보수 작업이 완료된 후 예열공정(P1)의 예열 작업을 위해 이동하는 경우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4의 (b)는 도 4의 (a)에 정련공정이 더 추가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즉, 도 4의 (b)에서는, 제강공정(P2) 및 연주공정(P3)의 사이에 RH(감압 탈가스 공정)를 포함하는 정련공정(P5)이 추가되고, 정련공정(P5)이 진행되는 정련공정영역(PA5)에 제5중계부(125)가 더 설치될 수 있으나, 이러한 경우이더라도,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을 통해 래들의 위치정보는 판정될 수 있다.
한편, 서버부가 전달받은 감지신호 크기정보 중에 가장 큰 값의 감지신호를 가지는 감지신호 크기정보가 복수로 존재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즉, 도 6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처리부(200)와 제2중계부(120) 사이의 거리(D3)와 처리부(200)와 제3중계부(130) 사이의 거리(D3)가 동일한 경우, 처리부(200)가 생성하는 감지신호 크기정보에는 가장 큰 값의 감지신호가 모두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서버부(300)는 가장 큰 값의 감지신호를 가지는 복수의 감지신호 크기정보를 전달받은 최종수신시간(t2)을 기준으로 최종수신시간(t2) 이전의 미리 설정된 기준시간(t1)부터 최종수신시간(t2)까지의 추적시간범위(TR)에서 복수의 감지신호 크기정보 각각에서 감지신호 크기값의 변화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부(300)는 해당되는 중계부 중에, 감지신호 크기값이 증가하는 감지신호 크기정보를 송신하는 중계부가 구비되는 공정영역에 래들이 위치하는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도 6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중계부(120)를 기준으로 했을 때, 래들은 제2중계부(12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태일 수 있기 때문에, 제2중계부(120)와 처리부(200) 사이에서 생성되는 감지신호 크기정보의 감지신호의 크기값은 점점 감소할 수 있다.
그러나, 도 6의 (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3중계부(130)를 기준으로 했을 때, 래들은 제3중계부(130)에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태일 수 있기 때문에, 제3중계부(130)와 처리부(200) 사이에서 생성되는 감지신호 크기정보의 감지신호의 크기값(M)은 시간이 갈수록 점점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부는 감지신호의 크기값(M)이 증가하는 감지신호 크기정보가 생성되는 제3중계부(130)가 마련되는 연주공정영역(PA3)에 래들이 위치하는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한편, 앞에서는 하나의 래들이 운행하는 경우로 설명하였지만, 복수의 래들이 운행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래들이 운행하는 경우, 각각의 중계부(100)는 각각의 처리부에서 송신되는 감지신호 크기정보 및 래들의 상태정보를 래들 별로 분리하여 서버부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부도 각각의 중계부(100)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래들 별로 분리하여 처리함으로써, 각각의 래들의 위치를 판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 단말도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 각각이 전 공정 및 모든 래들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 별로, 특정 공정 및 특정 래들에 대한 정보만 나누어 표시하도록 설정되는 등 다양한 설정이 가능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래들 정보 획득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래들 정보 획득방법은 감지신호 송신단계(S510), 감지신호 크기정보 생성단계(S520), 피드백 단계(S530), 래들 위치 판정단계(S540) 그리고 래들 정보 표시단계(S550)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신호 송신단계(S510)는 예열공정이 진행되는 예열공정영역, 제강공정이 진행되는 제강공정영역, 연주공정이 진행되는 연주공정영역 및 점검공정이 진행되는 점검영역에 각각 구비되는 중계부가 개별적으로 감지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일 수 있다.
감지신호 크기정보 생성단계(S520)는 래들에 구비되는 처리부가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되는 감지신호 별로 감지신호 크기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피드백 단계(S530)는 처리부가 수신되는 감지신호를 송신하는 해당 중계부로 감지신호 크기정보와 및 래들의 상태정보를 송신하는 단계일 수 있다.
래들 위치 판정단계(S540)는 서버부가 해당 중계부로부터 래들의 상태정보, 해당 중계부의 위치정보 및 감지신호 크기정보를 수신하고, 감지신호 크기정보를 비교하여 해당 중계부 중에 가장 큰 값의 감지신호 크기정보를 송신하는 중계부가 구비되는 공정영역에 래들이 위치하는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일 수 있다.
래들 위치 판정단계(S540)에서, 서버부가 전달받은 감지신호 크기정보 중에 가장 큰 값의 감지신호를 가지는 감지신호 크기정보가 복수로 존재하는 경우, 서버부는 가장 큰 값의 감지신호를 가지는 복수의 감지신호 크기정보를 전달받은 최종수신시간을 기준으로 최종수신시간 이전의 미리 설정된 기준시간부터 최종수신시간까지의 추적시간범위에서 복수의 감지신호 크기정보 각각의 감지신호 크기값의 변화를 산출하는 크기값 변화 산출단계를 수행하고, 해당되는 중계부 중 크기값이 증가하는 감지신호를 가지는 감지신호 크기정보를 송신하는 중계부가 구비되는 공정영역에 래들이 위치하는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래들 정보 표시단계(S550)는 사용자 단말이 서버부로부터 래들의 위치정보 및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위치정보 및 상태정보를 표시하는 단계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래들 정보 획득 시스템의 운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철 공정이 더 추가될 수 있으며, 다른 내용은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반복되는 내용은 가급적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제철 공정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예열공정(P1) 이후 제1제강공정(P2), (제1정련공정(P5)), 제1연주공정(P3)을 거쳐 점검공정(P4)을 거치는 공정(이하 “제1사이클 공정”이라 함)에 더하여, 예열공정(P1) 이후, 제2제강공정(P2’), 제2정련공정(P5’), 제3정련공정(P5”), 제2연주공정(P3’)을 거쳐 점검공정(P4)을 거치는 제2사이클 공정을 가질 수 있다.
즉, 제1사이클 공정 및 제2사이클 공정은 예열공정(P1) 및 점검공정(P4)을 공유하되, 제강공정, 정련공정 및 연주공정이 다른 경로 상에 마련되는 공정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제강공정(P2’)이 진행되는 제2제강공정영역(PA2’)에는 제6중계부(620)가 마련되고, 제2정련공정(P5’)이 진행되는 제2정련공정영역(PA5’)에는 제7중계부(621)가 마련되고, 제3정련공정(P5”)이 진행되는 제3정련공정영역(PA5”)에는 제8중계부(625)가 마련되고, 제2연주공정(P3’)이 진행되는 제2연주공정영역(PA3’)에는 제9중계부(630)가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사이클 공정이 마련되는 경우에, 예열공정영역(PA1)을 거친 래들(10)이 제1제강공정영역(PA2) 및 제2제강공정영역(PA2’)의 사이에 위치되면 래들(10)의 처리부에는 제2중계부(120)에서 송신하는 감지신호와 제6중계부(620)에서 송신하는 감지신호가 수신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을 통해 서버부는 래들(10)의 위치를 판정할 수 있으며, 나아가, 사이클 공정이 더욱 증가하거나, 각 사이클 공정이 포함하는 제강공정, 정련공정 및 연주공정의 개수가 더욱 늘어나더라도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을 통해 서버부는 래들(10)의 위치를 판정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래들 12: 내화부재
100: 중계부 200: 처리부
300: 서버부 400: 사용자 단말
TR: 추적시간범위

Claims (8)

  1. 복수개의 처리공정을 거치는 래들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래들 정보 획득 시스템으로서,
    상기 복수개의 처리공정이 진행되는 공정영역에 각각 구비되어 독립적으로 감지신호를 송신하는 중계부;
    상기 래들에 구비되어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되는 감지신호 별로 감지신호 크기정보를 생성하며, 수신되는 상기 감지신호를 송신하는 해당 중계부로 상기 감지신호 크기정보와 및 상기 래들의 상태정보를 송신하는 처리부;
    상기 해당 중계부로부터 상기 래들의 상태정보, 상기 해당 중계부의 위치정보 및 상기 감지신호 크기정보를 수신하고, 각각의 상기 감지신호 크기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해당 중계부 중에 가장 큰 값의 감지신호를 가지는 감지신호 크기정보를 송신하는 중계부가 구비되는 공정영역에 상기 래들이 위치하는 것으로 판정하는 서버부; 그리고
    상기 서버부로부터 상기 래들의 위치정보 및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중계부로부터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 수신되는 상기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감지신호 크기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하는 상기 감지신호 크기정보를 상기 수신부에 수신되는 상기 감지신호를 송신하는 해당 중계부로 발신하는 발신부와, 상기 처리부의 내부온도 및 상기 래들에 구비되는 내화부재의 침식상태를 센싱하고 상기 발신부로 전달하는 센싱부를 가지고, 상기 래들의 상태정보는 상기 처리부의 내부온도 및 상기 내화부재의 침식상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들 정보 획득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신호 크기정보의 감지신호는 방향과 무관하게 상기 중계부와 상기 처리부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큰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들 정보 획득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부가 전달받은 상기 감지신호 크기정보 중에 가장 큰 값의 감지신호를 가지는 감지신호 크기정보가 복수로 존재하는 경우,
    상기 서버부는 상기 가장 큰 값의 감지신호를 가지는 복수의 감지신호 크기정보를 전달받은 최종수신시간을 기준으로 상기 최종수신시간 이전의 미리 설정된 기준시간부터 상기 최종수신시간까지의 추적시간범위에서 복수의 상기 감지신호 크기정보 각각의 감지신호 크기값의 변화를 산출하고, 해당되는 상기 중계부 중 상기 감지신호 크기값이 증가하는 감지신호 크기정보를 송신하는 중계부가 구비되는 공정영역에 상기 래들이 위치하는 것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들 정보 획득 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미리 설정된 센싱주기에 따라 상기 처리부의 내부온도를 센싱하여 내부온도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부온도정보를 기초로 상기 처리부의 내부온도를 미리 설정된 허용온도범위와 비교하며, 상기 처리부의 내부온도가 상기 허용온도범위 내에 있으면, 상기 센싱부는 상기 내화부재의 침식상태를 센싱하여 상기 내화부재의 침식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들 정보 획득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가 상기 센싱주기가 아닌 시점에 상기 처리부의 내부온도를 센싱하여 상기 내부온도정보를 생성하도록,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로 비주기 센싱 요청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들 정보 획득 시스템.
  7. 복수개의 처리공정을 거치는 래들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래들 정보 획득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개의 처리공정이 진행되는 공정영역에 각각 구비되는 중계부가 개별적으로 감지신호를 송신하는 감지신호 송신단계;
    상기 래들에 구비되는 처리부가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되는 감지신호 별로 감지신호 크기정보를 생성하는 감지신호 크기정보 생성단계;
    상기 처리부가 상기 수신되는 감지신호를 송신하는 해당 중계부로 상기 감지신호 크기정보와 및 상기 래들의 상태정보를 송신하는 피드백 단계;
    서버부가 상기 해당 중계부로부터 상기 래들의 상태정보, 상기 해당 중계부의 위치정보 및 상기 감지신호 크기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감지신호 크기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해당 중계부 중에 가장 큰 값의 감지신호를 가지는 감지신호 크기정보를 송신하는 중계부가 구비되는 공정영역에 상기 래들이 위치하는 것으로 판정하는 래들 위치 판정단계; 그리고
    사용자 단말이 상기 서버부로부터 상기 래들의 위치정보 및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위치정보 및 상태정보를 표시하는 래들 정보 표시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수신부, 제어부, 발신부 및 센싱부를 가지며,
    상기 크기정보 생성단계에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중계부로부터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부에 수신되는 상기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감지신호 크기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발신부는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하는 상기 감지신호 크기정보를 상기 수신부에 수신되는 상기 감지신호를 송신하는 해당 중계부로 발신하고, 상기 센싱부는 상기 처리부의 내부온도 및 상기 래들에 구비되는 내화부재의 침식상태를 센싱하고 상기 발신부로 전달하며,
    상기 피드백 단계에서, 상기 래들의 상태정보는 상기 처리부의 내부온도 및 상기 내화부재의 침식상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들 정보 획득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래들 위치 판정단계에서,
    상기 서버부가 전달받은 상기 감지신호 크기정보 중에 가장 큰 값의 감지신호 크기정보가 복수로 존재하는 경우,
    상기 서버부는 상기 가장 큰 값의 감지신호를 가지는 복수의 감지신호 크기정보를 전달받은 최종수신시간을 기준으로 상기 최종수신시간 이전의 미리 설정된 기준시간부터 상기 최종수신시간까지의 추적시간범위에서 복수의 상기 감지신호 크기정보 각각의 감지신호 크기값의 변화를 산출하는 크기값 변화 산출단계를 수행하고, 해당되는 상기 중계부 중 상기 크기값이 증가하는 감지신호를 가지는 감지신호 크기정보를 송신하는 중계부가 구비되는 공정영역에 상기 래들이 위치하는 것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들 정보 획득 방법.
KR1020180170143A 2018-12-27 2018-12-27 래들 정보 획득 시스템 및 래들 정보 획득방법 KR1020938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0143A KR102093852B1 (ko) 2018-12-27 2018-12-27 래들 정보 획득 시스템 및 래들 정보 획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0143A KR102093852B1 (ko) 2018-12-27 2018-12-27 래들 정보 획득 시스템 및 래들 정보 획득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3852B1 true KR102093852B1 (ko) 2020-03-26

Family

ID=69958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0143A KR102093852B1 (ko) 2018-12-27 2018-12-27 래들 정보 획득 시스템 및 래들 정보 획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38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7613B1 (ko) * 2020-05-14 2020-12-07 조선내화 주식회사 내화물 용기의 상태정보 활용을 위한 통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 방법
KR102667656B1 (ko) * 2021-07-21 2024-05-22 현대제철 주식회사 딥러닝을 이용한 래들 트래킹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8893A (ko) 2007-12-24 2009-06-29 (주)윈티앤에스 래들 탕면 모니터링 장치
KR20160076830A (ko) * 2014-12-23 2016-07-01 우진 일렉트로나이트(주) 래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730269B1 (ko) * 2015-12-09 2017-04-27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실내 디바이스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8893A (ko) 2007-12-24 2009-06-29 (주)윈티앤에스 래들 탕면 모니터링 장치
KR20160076830A (ko) * 2014-12-23 2016-07-01 우진 일렉트로나이트(주) 래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730269B1 (ko) * 2015-12-09 2017-04-27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실내 디바이스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7613B1 (ko) * 2020-05-14 2020-12-07 조선내화 주식회사 내화물 용기의 상태정보 활용을 위한 통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 방법
KR102667656B1 (ko) * 2021-07-21 2024-05-22 현대제철 주식회사 딥러닝을 이용한 래들 트래킹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4358B1 (ko) 래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4081152A (zh) 用于监测容器的完整性的设备、方法和系统
US10190825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temperature of a metal melt in an electric arc furnace
KR102093852B1 (ko) 래들 정보 획득 시스템 및 래들 정보 획득방법
KR20140131259A (ko) 금속 용융 용기 내에서 산소 취입 랜스의 작동 방법, 및 이 작동 중 이용되는 측정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측정 시스템
TWI739364B (zh) 轉爐之噴濺預測方法、轉爐之作業方法及轉爐之噴濺預測系統
KR20170057294A (ko) 용기, 특히 야금 용기를 추적하기 위한 금속 산업 설비 및 방법
US693403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ement of a consumable electrode
CN106795573B (zh) 用于确定氧气吹炼过程中的点火时间点的方法和设备
KR102034940B1 (ko) 상부-침지식 랜싱 주입기 반응로 시스템에서의 동작 상태에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107241903A (zh) 监测金属工业装置的冶金容器
EP3546600A1 (en)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surface level of molten metal
KR100955528B1 (ko) 용선 레벨 측정 장치
EP368766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peration and position of a lance and nozzle assembly in a molten metal bath in a vessel
KR20120053867A (ko) 전기로 내화물 마모 감지장치
CN104289682A (zh) 用于冶金连铸机的钢水称重机构
KR100616137B1 (ko) 전로 중량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로 정련 방법
CN114365051B (zh) 用于监控、运行和维护工业设施的系统和方法
CN204075100U (zh) 用于冶金连铸机的钢水称重机构
US11678412B1 (en) Method for determining electrode consumption with machine vision
Vazquez Tenova’s intelligent i BOF® technology, a modular package for BOF process improvement
JPH10237531A (ja) 直流アーク炉の炉床レベル検知方法及び装置
LARIT et al. Functional Modeling of an Industrial System: STEEL MELT SHOP “SMS”
KR20080032676A (ko) 제강 래들에서의 실시간 온도 무선 측정장치
Zuliani Intelligent BOF steelmak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