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1071B1 - 조리 장치 - Google Patents

조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1071B1
KR102201071B1 KR1020180098092A KR20180098092A KR102201071B1 KR 102201071 B1 KR102201071 B1 KR 102201071B1 KR 1020180098092 A KR1020180098092 A KR 1020180098092A KR 20180098092 A KR20180098092 A KR 20180098092A KR 102201071 B1 KR102201071 B1 KR 1022010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por
cooking
collection case
frame
st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8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2220A (ko
Inventor
곽현기
Original Assignee
(주)쿠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쿠첸 filed Critical (주)쿠첸
Priority to KR1020180098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1071B1/ko
Publication of KR20200022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22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1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10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for withdrawing or condensing cooking vapors from cooking utens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마련되고, 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 포트를 포함하는 조리부, 상기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마련되고, 상기 조리부로부터 발생된 증기를 포집하고 냉각시키도록 구성된 증기 포집부를 포함하고, 상기 증기 포집부는, 유입 포트 및 유출 포트를 포함하고, 내부에 증기가 유동할 수 있는 유동 공간이 형성된 포집 케이스, 및 상기 포집 케이스 내에, 상기 유입 포트로부터 상기 유출 포트까지 이어진 증기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 가이드를 포함하는 조리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조리 장치 {Cooking apparatus}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조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조리 대상물 등의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가열 조리기기로서, 전기 밥솥, 인덕션 등 다양한 기기들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어, 전기 밥솥은 물이 담긴 내솥을 전기적인 가열수단으로 가열하여 취사를 하는 주방 조리기기로서, 밥 등의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가열 조리기기는 고온 및 고압의 상태로 조리 대상물을 조리하므로, 조리 과정에서 내부의 고온 고압의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이러한 고온 고압의 증기로 인하여, 주변의 다른 가전제품 및 가구가 손상되고 사용자가 화상을 입는 등의 안전 사고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고온 고압의 증기가 외부로 직접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마련되고, 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 포트를 포함하는 조리부, 상기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마련되고, 상기 조리부로부터 발생된 증기를 포집하고 냉각시키도록 구성된 증기 포집부를 포함하고, 상기 증기 포집부는, 유입 포트 및 유출 포트를 포함하고, 내부에 증기가 유동할 수 있는 유동 공간이 형성된 포집 케이스, 및 상기 포집 케이스 내에, 상기 유입 포트로부터 상기 유출 포트까지 이어진 증기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 가이드를 포함하는 조리 장치를 제공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상기 조리부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결합된 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뚜껑은, 상기 본체 내의 증기를 방출하도록 구성된 배기 조립체, 및 상기 배기 조립체를 덮어 상기 배기 조립체를 통해 배출된 증기가 유동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포집 케이스의 상기 유입 포트에 연통 가능한 상기 배기 포트를 포함하는 증기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상기 증기 포집부는, 상기 포집 케이스 내의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도록 구성된 팬(fan), 및 상기 팬과 상기 포집 케이스의 상기 유동 공간 사이의 통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구성된 셔터(shutt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상기 조리부는 상기 내부 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조리부의 상기 배기 포트와 상기 포집 케이스의 상기 유입 포트가 상호 연통하는 제1 위치 및 상기 내부 공간으로부터 돌출된 제2 위치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증기 포집부는 상기 포집 케이스의 상기 유입 포트에 장착되고 상기 조리부의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조리부의 상기 배기 포트에 밀착되도록 구성된 패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상기 포집 케이스의 상기 유출 포트로부터 유출된 유체를 수용하는 물받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물받이는 상기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취사 과정 동안 배출된 고온 고압의 증기를 포집하고, 포집된 증기를 응축시켜 물로 배출하거나 저온 상태의 증기로 배출할 수 있다. 고온 고압의 증기가 직접 외부로 배출되지 않으므로, 고온 고압의 증기로 인하여 사용자가 화상을 입는 등의 안전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온 고압의 증기가 직접 외부로 배출되지 않으므로, 빌트-인 구조의 조리기기에서 고온 고압의 증기로 인해 주변의 가전제품 또는 가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조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증기 포집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증기 포집부 내의 증기의 유동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증기 포집부의 팬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조리부의 뚜껑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조리부의 반입 및 반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조리 장치의 사시도들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물받이의 반입 및 반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조리 장치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 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들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조리 장치(1)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조리 장치(1)는 프레임(10), 조리부(20), 증기 포집부(30), 및 물받이(4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0)은 조리 장치(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프레임(10)은 조리 장치(1)를 구성하는 다양한 부품이 설치될 수 있는 수납 공간(111)을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프레임(10)은 조리 장치(1)를 다른 물체에 빌트-인(built-in) 방식으로 설치하기에 용이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함체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조리부(20)는 프레임(10)의 수납 공간(111)에 마련되며, 조리 대상물에 대한 조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부(20)는 밥을 지을 수 있는 취사기능과, 취사된 밥을 일정온도로 유지시켜 줄 수 있는 보온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전기 밥솥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조리부(20)는 조리 대상물을 조리할 수 있는 조리 공간(213)을 가지는 조리 용기(212)를 포함하는 본체(210)와, 상기 조리 공간(213)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210)에 설치된 뚜껑(2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210)에는 조리 공간(213) 내의 조리 대상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 수단 및 조리 장치(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도 5의 218 참조) 등 조리부(2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기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뚜껑(220)은 조리 대상물에 대한 취사가 진행되는 동안에, 상기 조리 공간(213) 내에 취사에 적합한 압력이 형성되도록, 상기 조리 공간(213)을 밀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뚜껑(220)은 본체(210)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조리 공간(213)을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뚜껑(220)은 본체(210)의 상부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pivot)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조리 공간(213)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상기 뚜껑(220)은 취사 시 발생된 고온 고압의 증기를 뚜껑(220)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 포트(221)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조리부(20)는 프레임(10)의 수납 공간(111)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프레임(10)에 내장된(embedded) 또는 매립된(buried)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조리부(20)는 프레임(10)의 수납 공간(111)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조리부(20)는 프레임(10)의 수납 공간(111)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프레임(10)의 수납 공간(111)에 대해 반입 및 반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조리부(20)의 본체(210)는 프레임(10)의 수납 공간(111)을 개폐할 수 있는 도어(21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증기 포집부(30)는 프레임(10)의 수납 공간(111)에 마련되며, 조리부(20)에서 배출된 증기를 포집하고 포집된 증기를 냉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증기 포집부(30)는 외부로 방출되기에 적합한 온도까지 냉각시켜 증기 상태로 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또는 증기를 물로 응축시켜 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증기 포집부(30)는 증기가 유동할 수 있는 유동 공간을 제공하는 포집 케이스(310)를 포함할 수 있다. 포집 케이스(310)는 조리부(20)의 배기 포트(221)로부터 배출된 증기가 유입되는 유입 포트(311)를 포함하고, 증기 포집부(30)에서 냉각된 유체(증기가 응축되어 생성된 응축수 및/또는 저온의 증기)가 유출되는 유출 포트(313)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 포트(311)로 유입된 고온 고압의 증기는 포집 케이스(310)에 마련된 유동 공간 내에서 유동하는 과정에서 냉각된 후, 유출 포트(313)로 배출될 수 있다. 이 때, 유출 포트(313)는 유입 포트(311)보다 낮은 위치에 마련될 수 있으며, 포집 케이스(310) 내에서 증기는 하방으로 유동할 수 있다.
유입 포트(311)는 배기 포트(221)를 통해 배출된 증기가 증기 포집부(30)의 내부로 효과적으로 유입되도록 배기 포트(221)와 상호 연통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증기 포집부(30)는 조리부(20)와 증기 포집부(30) 사이에서 증기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입 포트(311)에 장착된 패킹(340)을 포함할 수 있다. 패킹(340)은 조리부(20)의 뚜껑(220)의 배기 포트(221)에 밀착되어, 배기 포트(221)를 통해 배출된 증기가 프레임(10)의 수납 공간(111)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증기 포집부(30)는 포집 케이스(310) 내에 증기가 유동할 수 있는 증기 유로(330)를 형성하는 유로 가이드(320)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 가이드(320)는 예를 들면, 포집 케이스(310)의 내벽에 장착된 격벽 구조일 수 있다. 유로 가이드(320)는 포집 케이스(310)내에서 증기를 일정 경로로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유로 가이드(320)의 구조 및 유로 가이드(320)에 의한 증기의 유동 과정은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증기 포집부(30)의 포집 케이스(310)는 요철 구조의 내벽을 가질 수 있다. 특히, 포집 케이스(310)의 내부의 상부벽을 요철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응축된 물방울이 포집 케이스(310)의 내부의 상부벽에 흡착되지 않고 하방으로 떨어지도록 유도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조리 장치(1)는 프레임(10)의 수납 공간(111)에 마련된 팬(120)을 포함할 수 있다. 팬(120)은 수납 공간(111) 내에서 공기를 강제 유동시켜, 수납 공간(111)을 건조시킬 수 있다. 조리부(20)에서 배출된 증기의 일부가 수납 공간(111)으로 누설되더라도, 수납 공간(111)이 건조되도록 팬(120)을 구동시킴으로써, 습기로 인한 수납 공간(111)의 오염 내지 프레임(1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물받이(40)는 프레임(10)의 수납 공간(111)에 마련되며, 증기 포집부(30)로부터 배수된 응축수를 저수할 수 있다. 물받이(40)는 증기 포집부(30)의 유출 포트(313)와 연통하도록 구성된 유입구(410)를 가지며, 유출 포트(313)로부터 배출된 응축수 및/또는 저온의 증기를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받이(40)는 조리부(2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물받이(40)는 프레임(10)의 수납 공간(111)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프레임(10)의 수납 공간(111)에 대해 반입 및 반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의하면, 조리부(20)로부터 배출된 증기는 물로 응축되어 배출되거나 저온으로 냉각되어 배출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가열 조리기기는 고온 고압의 증기를 외부로 직접 배출하게 되며, 이러한 고온 고압의 증기로 인해 주변의 가전제품 및 가구가 손상되거나 사용자가 화상을 입을 위험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고온 고압의 증기는 물로 응축되어 배출되거나 저온으로 냉각되어 배출되므로, 고온 고압의 증기로 인하여 주변의 가전제품 및 가구가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하거나 사용자가 화상을 입는 등의 안전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증기 포집부(3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증기 포집부(30) 내의 증기의 유동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3은 증기 포집부(30)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Ⅳ-Ⅳ'선에 따른 증기 포집부(30)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Ⅴ-Ⅴ'선에 따른 증기 포집부(30)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유로 가이드(320)는 유입 포트(311)로부터 유출 포트(313)까지 이어진 증기 유로(330)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유로 가이드(320)는 증기의 유속이 느려지도록 증기의 유동을 방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 가이드(320)는 포집 케이스(310)내에 유입 포트(311)로부터 유출 포트(313)까지 굴곡지게 연장된 증기 유로(330)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로 가이드(320)는 포집 케이스(310) 내에 유입 포트(311)와 연결된 상부 유로(321), 유출 포트(313)와 연결된 하부 유로(325), 및 상부 유로(321)와 하부 유로(325) 사이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중간 유로(323)를 형성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 포트(311)로 유입된 증기는 상부 유로(321)를 따라 상승 및 하강을 적어도 1회 반복한 이후 중간 유로(323)로 유입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유로(323)를 따라 상승 및 하강을 적어도 1회 반복한 이후 하부 유로(325)로 유입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유로(325)를 따라 좌측 방향 이동 및 우측 방향 이동을 적어도 1회 반복할 수 있다.
유로 가이드(320)는 유입 포트(311)로부터 유출 포트(313)까지 증기가 이동하는 경로를 증가시킴으로써, 증기가 포집 케이스(310) 내에서 체류하는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유로 가이드(320)에 의해 증기가 포집 케이스(310)에 체류하는 시간이 늘어나므로, 고온 고압의 증기는 보다 긴 시간 동안 냉각될 수 있으며, 증기 포집부(30) 내에서 증기가 냉각되는 정도 및 증기가 물로 치환되는 비율이 증가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증기 포집부(30)의 팬 모듈(35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증기 포집부(30)는 포집 케이스(310) 내의 유체를 강제 유동시킬 수 있는 팬 모듈(350)을 포함할 수 있다. 팬 모듈(350)은 유입 포트(311) 근방에 마련되며, 포집 케이스(310)의 내부로 공기를 송풍하여 포집 케이스(310) 내의 공기를 유출 포트(313) 측으로 유동시킬 수 있다. 팬 모듈(350)은 포집 케이스(310) 내에 잔류하는 수분을 제거하여 포집 케이스(310)의 내부를 건조 처리하고, 나아가 포집 케이스(310)에 잔류하는 증기를 유출 포트(313) 측으로 유동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팬 모듈(350)은 포집 케이스(310)의 내부로 공기를 송풍시키도록 구성된 팬(fan, 351), 및 팬(351)과 포집 케이스(310)의 유동 공간 사이의 통로(355)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구성된 셔터(shutter, 353)을 포함할 수 있다. 팬(351)이 구동하지 않는 동안, 셔터(353)는 팬(351)과 포집 케이스(310)의 유동 공간 사이의 통로(355)를 폐쇄하여 포집 케이스(310) 내의 증기가 팬(351) 측으로 유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셔터(353)는 팬(351)의 구동에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팬(351)은 포집 케이스(310)의 내부의 상부벽에 회전(pivot)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팬(351)이 구동하는 동안, 셔터(353)는 팬(351)에 의해 발생된 풍력에 밀려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전환되어 팬(351)과 포집 케이스(310)의 유동 공간 사이의 통로(355)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팬(351)이 구동하지 않는 동안, 셔터(353)는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전환되어 팬(351)과 포집 케이스(310)의 유동 공간 사이의 통로(355)를 폐쇄할 수 있다. 셔터(353)는 자중에 의해 회전되어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전환될 수 있으며, 또는 회전축에 설치되어 셔터(353)를 폐쇄 위치로 탄성 바이어스(elastic bias)시키는 토션 스프링에 의해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전환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조리부(20)의 뚜껑(220)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뚜껑(220)은 조리 대상물에 대한 취사가 진행되는 동안, 또는 취사가 완료된 후에 본체(210)의 조리 공간(213) 내의 증기를 배출하도록 구성된 제1 배기 조립체(241) 및 제2 배기 조립체(2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배기 조립체(241) 및/또는 제2 배기 조립체(243)는 조리 공간(213) 내의 증기를 배출하여 조리 공간(213)의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조리 공간(213) 내의 압력을 취사에 적절한 압력으로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배기 조립체(241)는 탑 플레이트(240) 상에 배치되며, 본체(210)의 내부의 증기를 상방으로 분사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제1 배기 조립체(241)는 본체(210) 내부의 증기를 방출하도록 구성된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배기 조립체(243)는 탑 플레이트(240) 상에 배치되며, 본체(210) 내부의 압력에 따라 제2 배기 조립체(243)의 출구를 선택적으로 개방함으로써, 본체(210) 내부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제2 배기 조립체(243)는 포이즈 밸브(poise valve)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2 배기 조립체(243)는 본체(210) 내부와 연통하는 증기 배출 통로가 형성된 포이즈 몸체, 그리고 상기 포이즈 몸체의 상부를 덮는 압력 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뚜껑(220)은 상기 뚜껑(220)의 외부로 증기를 방출하기 위한 배기 포트(221)를 가진 증기 커버(230)를 포함할 수 있다. 증기 커버(230)는 제1 배기 조립체(241) 및 제2 배기 조립체(243)를 덮고, 제1 배기 조립체(241) 및/또는 제2 배기 조립체(243)로부터 배출된 증기가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증기 커버(230)는 제1 배기 조립체(241) 및 제2 배기 조립체(243)를 덮되, 증기가 배출되는 배기 포트(221)는 제1 배기 조립체(241) 및 제2 배기 조립체(243)로부터 측방향으로 이격된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증기 커버(230)가 제1 배기 조립체(241) 및/또는 제2 배기 조립체(243)를 덮고 있기 때문에, 제1 배기 조립체(241) 및/또는 제2 배기 조립체(243)로부터 방출된 고온 고압의 증기는 증기 커버(230)가 제공하는 공간 내에서 일정 시간 유동한 후에, 배기 포트(221)를 통해 포집 케이스(310)의 내부로 유동하게 된다. 고온 고압의 증기는 증기 커버(230) 내에서 일정 시간 유동되는 동안 유속이 저하된 상태로 배출되므로, 증기 포집부(30)에서의 증기에 대한 냉각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조리부(20)의 반입 및 반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조리 장치(1)의 사시도들이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부(20)는 프레임(10)에 서랍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레임(10)의 내측벽에는 고정 레일(151)이 마련되며, 본체(210)에는 고정 레일(151)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 이동 레일(251)이 마련될 수 있다. 도어(211)에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219)가 마련되며, 조리부(20)는 사용자에 의해 이동되어 프레임(10)의 수납 공간(111)에 대해 반입되거나 반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부(2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의 수납 공간(111)에 수용된 제1 위치와,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의 수납 공간(111)으로부터 돌출된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상기 조리부(20)의 상기 제1 위치는 조리 장치(1)의 조리 과정 시의 조리부(20)의 위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리부(20)의 상기 제1 위치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부(20)의 배기 포트(221)와 증기 포집부(30)의 유입 포트(311)가 상호 연통할 수 있고, 증기의 누설이 방지되도록 패킹(340)은 배기 포트(221)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부(20)의 상기 제2 위치는 본체(210)의 조리 공간(213)에 조리될 조리 대상물을 넣거나 본체(210)의 조리 공간(213)으로부터 조리가 완료된 조리 대상물을 꺼내기 적합한 위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부(20)의 제2 위치에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220)은 프레임(10)과의 간섭 없이 회전되어 조리 공간(213)을 개방시킬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물받이(40)의 반입 및 반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조리 장치(1)의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받이(40)는 프레임(10)에 서랍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레임(10)의 내측벽에는 고정 레일(153)이 마련되며, 물받이(40)에는 고정 레일(153)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 이동 레일(453)이 마련될 수 있다. 물받이(40)의 도어(411)에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419)가 마련될 수 있다. 물받이(40)는 사용자에 의해 이동되어 프레임(10)의 수납 공간(111)에 대해 반입되거나 반출될 수 있다.
물받이(40)가 프레임(10)에 서랍식으로 설치됨에 따라, 사용자는 물받이(40)를 반출하여 물받이(40)의 저수된 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고 물받이(40)를 쉽게 청소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를 사용하여 실시예들을 설명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조리 장치 10: 프레임
111: 수납 공간 20: 조리부
210: 본체 220: 뚜껑
230: 증기 커버 30: 증기 포집부
310: 포집 케이스 320: 유로 가이드
330: 증기 유로 40: 물받이

Claims (5)

  1.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마련되고, 본체 및 상기 본체에 결합된 뚜껑을 포함하는 조리부; 및
    상기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마련되고, 상기 조리부로부터 발생된 증기를 포집하고 냉각시키도록 구성된 증기 포집부를 포함하고,
    상기 증기 포집부는,
    유입 포트 및 유출 포트를 포함하고, 내부에 증기가 유동할 수 있는 유동 공간이 형성된 포집 케이스;
    상기 포집 케이스 내에, 상기 유입 포트로부터 상기 유출 포트까지 이어진 증기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 가이드; 및
    상기 포집 케이스의 상기 유입 포트에 장착된 패킹;
    을 포함하고,
    상기 뚜껑은, 상기 본체 내부와 연통하는 증기 배출 통로가 형성된 포이즈 몸체 및 상기 포이즈 몸체를 덮는 압력 추를 포함하는 포이즈 밸브; 및 상기 포이즈 밸브를 덮어 상기 포이즈 밸브에서 배출된 증기가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 포트가 형성된 증기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조리부는 상기 내부 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증기 커버의 상기 배기 포트와 상기 포집 케이스의 상기 유입 포트가 상호 연통하는 제1 위치 및 상기 내부 공간으로부터 돌출된 제2 위치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증기 커버의 상기 배기 포트는 상기 패킹에 밀착된 조리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포집부는,
    상기 포집 케이스 내의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도록 구성된 팬(fan); 및
    상기 팬과 상기 포집 케이스의 상기 유동 공간 사이의 통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구성된 셔터(shutter);
    를 포함하고,
    상기 팬은 상기 포집 케이스의 상기 유동 공간을 향하여 공기를 토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 케이스의 상기 유출 포트로부터 유출된 유체를 수용하는 물받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물받이는 상기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KR1020180098092A 2018-08-22 2018-08-22 조리 장치 KR1022010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092A KR102201071B1 (ko) 2018-08-22 2018-08-22 조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092A KR102201071B1 (ko) 2018-08-22 2018-08-22 조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2220A KR20200022220A (ko) 2020-03-03
KR102201071B1 true KR102201071B1 (ko) 2021-01-11

Family

ID=69938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8092A KR102201071B1 (ko) 2018-08-22 2018-08-22 조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107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0724A (ja) * 1998-08-25 2000-02-29 Zojirushi Corp 誘導加熱式炊飯器
JP2002125850A (ja) * 2000-10-26 2002-05-08 Zojirushi Corp 炊飯器
JP2010046140A (ja) * 2008-08-19 2010-03-04 Mitsubishi Electric Corp 加熱調理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8914B2 (ja) * 1991-12-02 2000-12-1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蒸気排出ファン付収納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0724A (ja) * 1998-08-25 2000-02-29 Zojirushi Corp 誘導加熱式炊飯器
JP2002125850A (ja) * 2000-10-26 2002-05-08 Zojirushi Corp 炊飯器
JP2010046140A (ja) * 2008-08-19 2010-03-04 Mitsubishi Electric Corp 加熱調理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2220A (ko) 2020-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2358B1 (ko)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장치
EP3621499A1 (en) Autonomous apparatus for cooking food
KR102100392B1 (ko) 조리 장치
KR100715042B1 (ko) 가열조리장치
KR102201071B1 (ko) 조리 장치
KR102201070B1 (ko) 조리 장치
KR20060129118A (ko) 가열조리장치
CN212390437U (zh) 一种配气式集成灶
CN212408755U (zh) 烹饪设备
KR102120178B1 (ko) 조리 장치
KR102213170B1 (ko) 조리 장치
CN104799680A (zh) 气流搅拌电饭煲
KR102120180B1 (ko) 조리 장치
KR102120181B1 (ko) 조리 장치
KR101440981B1 (ko) 전기밥솥의 증기 포집 장치
JP2015105773A (ja) 給水装置および加熱調理器
KR102336126B1 (ko) 유출 증기 레벨을 기초로 조리 모드를 변경하는 조리 장치
WO2020048689A1 (en) A cooking device comprising a sealing element
KR102121054B1 (ko) 조리 장치
CN112432206A (zh) 一种整体式门板集成灶
KR102121053B1 (ko) 조리 장치
KR102126077B1 (ko) 조리 장치
KR100707349B1 (ko) 가열조리장치
KR102165577B1 (ko) 증기 포집 장치
CN214009317U (zh) 一种集成灶的触控面板供电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