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0940B1 - 큐열균을 포함하는 고위험 병원체 또는 독소 11종을 신속하게 검출하기 위한 실시간 유전자 시험 방법 - Google Patents

큐열균을 포함하는 고위험 병원체 또는 독소 11종을 신속하게 검출하기 위한 실시간 유전자 시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0940B1
KR102200940B1 KR1020190092752A KR20190092752A KR102200940B1 KR 102200940 B1 KR102200940 B1 KR 102200940B1 KR 1020190092752 A KR1020190092752 A KR 1020190092752A KR 20190092752 A KR20190092752 A KR 20190092752A KR 102200940 B1 KR102200940 B1 KR 102200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q
detecting
primer set
oligonucleotides
pro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2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은
전정훈
조수경
황이랑
김성우
최재혁
허민경
정하영
최윤정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질병관리청장)
주식회사 미코바이오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질병관리청장), 주식회사 미코바이오메드 filed Critical 대한민국(질병관리청장)
Priority to KR1020190092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09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0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09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8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etection or identification of organisms
    • C12Q1/689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etection or identification of organisms for bacteria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13Hybridisation assays
    • C12Q1/6816Hybridisation assay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means
    • C12Q1/6818Hybridisation assay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means involving interaction of two or more labels, e.g. resonant energy transfe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561/00Nucleic acid detection characterised by assay method
    • C12Q2561/113Real time assa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11종의 고위험 병원체 또는 독소를 신속하게 검출하기 위한 실시간 유전자 시험 방법 및 고위험 병원체 또는 독소 검출용 프라이머 세트를 제공한다. 본 출원에 따른 시험방법은 동시에 복수의 종을 신속하게 실시간으로 검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큐열균을 포함하는 고위험 병원체 또는 독소 11종을 신속하게 검출하기 위한 실시간 유전자 시험 방법{METHOD OF TESTING GENES IN REAL-TIME PCR FOR RAPID DETECTING ELEVEN SPECIES OF HIGH RISK PHATOGENS AND TOXINS COMPRISING COXIELLA BURNETII}
본 출원은 큐열균을 포함하는 고위험 병원체 또는 독소 11종을 신속하게 검출하기 위한 실시간 유전자 시험 방법, 이를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에 관한 것이다.
고위험 병원체란 생물테러의 목적으로 이용되거나 사고 등에 의하여 외부에 유출될 경우 국민 건강에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병원체로서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것을 말한다.
고위험 병원체 종류로는, 페스트균(Yersinia pestis), 탄저균(Bacillus anthracis), 브루셀라균(Brucella melitensis, Brucella suis), 유비저균(Burkholderia pseudomallei), 비저균(Burkholderia mallei), 보툴리눔균(Clostridium botulinum), 이질균(Shigella dysenteriae Type 1), 클라미디아 시타키(Chlamydia psittaci), 큐열균(Coxiella burnetii), 야토균(Francisella tularensis), 발진티푸스균(Rickettsia prowazekii), 홍반열 리케치아균(Rickettsia rickettsii), 콕시디오이데스 이미티스균(Coccidioides immitis) 및 콜레라균(Vibrio cholerae O1, O139) 등이 있다.
큐열(Q fever)은 큐열균(Coxiella burnetii)이라는 박테리아에 의해 감염되며 큐열균은 열악한 환경조건에서도 수주에서 수개월 동안 생존이 가능하고 가축과 사람에게 전염되는 인수공통감염증을 일으킨다. 일반적으로 동물에서는 소, 양 등의 유산을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으며, 대부분 동물에서는 불현성 감염으로 진행된다. 혈액, 우유, 뇨, 분변, 유산 분비물에서 병원체가 환경으로 노출됨으로 오염되고 사람에게는 감수성이 매우 높아 단일 병원체만으로도 감염이 가능하다. 큐열 균은 뉴질랜드와 같은 몇몇 국가를 제외하고 전 세계적으로 사람과 동물에서 발생이 보고되고 있다.
유비저(Melioidosis)는 유비저균(Burkholderia pseudomallei)에 의한 감염증으로, 오염된 흙이나 물에 노출되거나 입으로 흡입, 흡인될 때, 오염된 음식물을 섭취하였을 때 감염된다. 감염된 사람의 혈액이나 체액에 의해서도 감염된다. 일반적으로는 1일 내지 21일의 잠복기를 거쳐 증상이 나타나지만 노출부터 증상까지 수 십 년이 걸리기도 한다. 주로 무증상인 경우가 많지만, 급성으로 국소성 감염이 생겨 농양을 형성하기도 하고 폐렴, 패혈증 등의 여러 감염 양상이 있다. 유비저균은 동남아시아와 호주 북부 등의 열대 및 아열대 지방에서 주로 발생한다.
비저(Glanders)는 비저균(Burkholeria mallei)이 말 또는 당나귀 등에 감염하여 일으키는 감염증이다. 사람에 대한 감염은 말과 접촉이 많은 사람에게 피부의 찰과상을 통한 직접적인 접촉 또는 흡입경로에 의하여 발생한다. 비저는 비강점막, 림프계, 림프절 및 피부 등에 나타나는 결절성 질환으로 결국은 괴사를 일으키며 때로는 급성 또는 만성 폐렴을 수반하기도 한다.
브루셀라병(Brucellosis)은 브루셀라속(Brucella spp.)의 비운동성 그람음성 구상간균에 의해 발생하는 병이다. 일반적으로 야생동물이나 가축과의 접촉에 의해 전염되는 인수공통 감염병이다. 본 병원체는 사람에게 높은 감수성을 보이고 실험실에서 배양이 용이하다. 또한 다양한 방법으로 에어로졸화하여 살포가 가능한 특징이 있다.
양 브루셀라병을 일으키는 양 브루셀라균(Brucella melitensis), 돼지 브루셀라병을 일으키는 돼지 브루셀라균(Brucella suis), 소 브루셀라병을 일으키는 소 브루셀라균(Brucella abortus)는 사람에게 높은 병원성을 보이는 병원체다.
리신(Ricin)은 피마자(Ricinus communis) 씨에서 만들어지는 강력한 단백질 독소로 정제된 리신은 열에 어느 정도 안정하며 수용성이다. 리신은 안정성과 쉬운 생산과정으로 생물학전과 생물테러에 사용하는데 있어 상당한 위협으로 고려되어왔다. 리신은 경구투여에 의한 독성보다 흡입으로 인한 독성이 수천 배 크다.
콜레라(Cholera)는 콜레라균(Vibrio cholerae)에 의해 감염되며 어패류 등의 해산물 식품매개로 전파되거나, 콜레라균에 감염된 사람의 분변처리가 잘 되지 않아 수로, 지하수 및 음용수 등에 오염되어 주변 사람들에게 전파된다. 드물게 환자 또는 병원체 보유자의 대변이나 구토물과 직접 접촉에 의한 감염도 가능하다. 무증상 감염이 더 많고 복통 및 발열은 거의 없으나, 쌀뜨물 같은 심한 설사가 갑자기 나타난다. 종종 구토를 동반하며 탈수, 저혈량성 쇼크, 사망에 이르는 경우도 있다.
발진티푸스(Typhus fever)는 한냉지역의 이가 많은 비위생적인 환경에서 사는 사람들에게서 많이 발생하며, 원인체는 발진티푸스균(Rickettsia prowazekii)이다. 발생지역은 멕시코 산악지대, 중앙아메리카, 남아메리카, 중앙아프리카, 아시아 등 여러 나라에서 발생되며, 주로 이의 분변에 의해, 상처를 통해 또는 분변을 먼지로 흡입하여 감염된다.
발진열(Murine Typhus)은 발진열균(Rickettsia typhi)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인수공통 감염증으로, 사람에 대한 감염은 감염된 쥐벼룩에게 물려서 일어난다. 증상은 발열, 오한, 근육통, 두통, 피부 발진 등이다. 감염 지역은 전 세계적으로 항구나 더운 기후, 쥐 분포가 높은 지역에서 발병한다.
중합효소 연쇄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은 유전자증폭장치를 이용하여 표적이 되는 특정 유전자를 연쇄적으로 복제하여 기하 급수적으로 증폭시키는 기술로 생명과학, 의학분야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일반 중합효소 연쇄반응(conventional PCR) 방법을 이용하는 고위험성 병원체 검출 시약은 시험 결과를 판독하기 위한 별도의 추가 과정이 요구되므로 시간이 많이 소모되고 노동 집약적이며 상대적으로 낮은 민감도를 갖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개발된 시험법이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 기술로서, 이 기술은 열순환기(thermal cycler)와 분광형광광도계가 일체화된 장치를 이용하여 검출 시약에 포함된 형광물질의 종류, 반응량에 따라 증폭산물을 실시간으로 관찰 가능하다.
생물작용제(Biological agent)와 같은 유해물질에 의한 테러 등의 위기 상황의 발생 시 유해물질을 신속하게 분석하여 즉각적인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는 현장진단법은 아직 도입되지 않은 실정이다. 또한, 여러 종의 병원체가 섞여 있는 경우 이들을 동시에 검출할 필요도 있다.
생물테러 사건현장에서 주로 이용되는 면역크로마토그래피 시험법으로는 검출 가능한 생물작용제가 한정되어 있어 검출 가능한 생물작용제의 확대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면역크로마토그래피 시험법의 경우, 민감도 개선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실시간 유전자증폭장비(real-time PCR)에서 운용될 수 있는 현장진단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여러 종의 고위험 병원체에 대하여 현장에서 동시에 신속하게 검출할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출원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큐열균 등 여러 종의 고위험 병원체 또는 독소를 동시에 신속하게 검출할 수 있는 유전자 실시간 시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큐열균 등 여러 종의 고위험 병원체 또는 독소를 동시에 검출할 수 있는 프라이머 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여러 종의 고위험 병원체 또는 독소를 동시에 검출할 수 있는 검출용 조성물과 검출용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는, 검체로부터 채취한 시료로부터 DNA를 분리하는 단계; 분리된 DNA에 하기 프라이머 세트를 처리하여 표적 서열을 증폭시키는 단계; 및 증폭된 산물에서 고위험 병원체 또는 독소의 존재 유무를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프라이머 세트는, 서열번호 1 및 서열번호 2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큐열균(Coxiella burnetii)을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와, 서열번호 4 및 서열번호 5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유비저균(Burkholderia pseudomallei)을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7 및 서열번호 8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비저균(Burkholderia mallei)을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10 및 서열번호 11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브루셀라균(Brucella spp.)을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13 및 서열번호 14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소 브루셀라균(Brucella abortus)을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16 및 서열번호 17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양 브루셀라균(Brucella melitensis)을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19 및 서열번호 20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돼지 브루셀라균(Brucella suis)을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22 및 서열번호 23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리신 독소(Ricin)를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25 및 서열번호 26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콜레라균(Vibrio cholerae)을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28 및 서열번호 29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발진티푸스균(Rickettsia prowazekii)을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및 서열번호 31 및 서열번호 32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발진열균(Rickettsia typhi)을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는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위험 병원체 또는 독소를 신속하게 검출하기 위한 실시간 유전자 시험 방법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서열을 증폭시키는 단계는,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실시간 PCR은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열 블록; 샘플 용액이 주입되는 유입부; 상기 샘플 용액의 PCR 반응이 수행되는 반응 챔버; 및 상기 샘플 용액이 배출되는 유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열 블록과 순차적으로 접촉하면서 내부에 상기 샘플 용액의 PCR 반응이 수행되는 PCR 칩; 상기 PCR 칩이 장착되고, 상기 PCR 칩이 상기 복수의 열 블록과 순차적으로 접촉하도록 상기 PCR 칩을 이동시키는 칩 홀더; 및 상기 칩 홀더를 이동시키고, 상기 칩 홀더의 이동 방향을 가이드하는 구동부; 를 포함하는 핵산 증폭 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칩 홀더는, 상기 복수의 열 블록 사이에서 수평 이동하는 제 1 플레이트; 상기 PCR 칩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 2 플레이트; 및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플레이트를 상하 방향으로 연결하는 탄성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연결부는, 상기 제 2 플레이트에 탄성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 2 플레이트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복수의 열 블록과 순차적으로 접촉하게 할 수 있다.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는, 서열번호 1 및 서열번호 2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큐열균(Coxiella burnetii)을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와, 서열번호 4 및 서열번호 5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유비저균(Burkholderia pseudomallei)을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7 및 서열번호 8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비저균(Burkholderia mallei)을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10 및 서열번호 11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브루셀라균(Brucella spp.)을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13 및 서열번호 14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소 브루셀라균(Brucella abortus)을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16 및 서열번호 17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양 브루셀라균(Brucella melitensis)을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19 및 서열번호 20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돼지 브루셀라균(Brucella suis)을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22 및 서열번호 23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리신 독소(Ricin)를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25 및 서열번호 26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콜레라균(Vibrio cholerae)을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28 및 서열번호 29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발진티푸스균(Rickettsia prowazekii)을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및 서열번호 31 및 서열번호 32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발진열균(Rickettsia typhi)을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는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고위험 병원체 또는 독소 동시 검출용 프라이머 세트를 제공한다.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는 상기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고위험 병원체 또는 독소 동시 검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서열번호 3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프로브와, 서열번호 6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프로브; 서열번호 9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프로브; 서열번호 12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프로브; 서열번호 15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프로브; 서열번호 18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프로브; 서열번호 21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프로브; 서열번호 24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프로브; 서열번호 27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프로브; 서열번호 30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프로브; 및 서열번호 33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프로브;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며, 상기 프라이머 세트에 대응되는 프로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브는, 5‘말단과 3’말단에 각각 형광물질과 소광제를 포함하고, 복수의 프로브를 포함할 때 각각의 프로브의 5' 말단에 포함된 형광물질이 모두 동일할 수 있다.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형광물질은, 6-FAM(6-carboxyfluorescein), 5-FAM(5-carboxyfluorescein), 헥사클로로-6-카르복시플루오레세인(Hexachloro-6-carboxyfluorescein), 테트라클로로-6-카르복시플루오레세인(Tetrachloro-6-carboxyfluorescein), HEX(2',4',5',7'-tetrachloro-6-carboxy-4,7-dichlorofluorescein), 플루오레신클로로트리아지닐(Fluorescein chlorotriazinyl), 로다민그린(Rhodamine green), 로다민레드(Rhodamine red), 테트라메틸로다민(Tetramethylrhodamine), FITC(Fluorescein isothiocyanate), 오레곤그린(Oregon green), 알렉사플루오로(Alexa fluor), JOE(6-Carboxy-4',5'-Dichloro-2',7'-Dimethoxyfluorescein), ROX(6-Carboxyl-X-Rhodamine), TET(Tetrachloro-Fluorescein), TRITC(Tertramethylrodamine isothiocyanate), TAMRA(6-carboxytetramethyl-rhodamine), NED(N-(1-Naphthyl) ethylenediamine), 텍사스레드(Texas red), Cy3(Cyanine-3) 및 Cy5(Cyanine-5)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소광제는, BHQ1(Black hole quencher 1), BHQ2(Black hole quencher 2), BHQ3(Black hole quencher 3), TAMRA(6-carboxytetramethyl-rhodamine), NFQ(Nonfluorescent quencher), 답실(Dabcyl), Eclipse, DDQ(Deep Dark Quencher), 블랙베리퀸처(Blackberry Quencher), 아이오와블랙(Iowa black)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는 상기 프라이머 세트; 및 증폭 반응을 수행하기 위한 시약을 포함하는, 고위험 병원체 또는 독소 동시 검출용 키트를 제공한다.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키트는 실시간 PCR(real-time PCR)용 키트일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고위험 병원체 또는 독소를 신속하게 검출하기 위한 실시간 유전자 시험 방법은 동시에 복수의 종을 신속하게 실시간으로 검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출원의 시험 방법에 따르면, 여러 종의 프라이머를 사용함에도 동일한 온도에서 PCR 증폭을 수행하기 때문에 동시에 복수의 종을 신속하게 검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시험 방법에 따르면, 여러 종의 프라이머를 동시에 반응시킴에도 복수의 고위험 병원체 및 바이러스에 동일한 리포터 형광물질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출원의 시험 방법에 따르면, 여러 종의 프라이머를 각각의 반응 채널에 주입하고 동시에 반응시킬 수 있는 PCR 칩을 사용하므로 복수의 고위험 병원체와 독소에 동일한 리포터 형광물질을 사용하여도 신속하고 쉽게 검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2개의 열 블록을 포함하는 PCR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더욱 자연스럽고 신속한 PCR 칩의 열 접촉 및 분리를 가능하게 하여 증폭 반응 속도를 빠르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출원에 따른 고위험 병원체 또는 독소 검출용 프라이머 세트는 해당 병원체의 유전체 DNA에서만 특이적으로 증폭되고, 다른 병원체에서는 증폭되지 않아 해당 병원체만을 특이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본 출원의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생물 무기 중 특정 고위험 병원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분석 검출함으로써 생물 무기에 의한 사고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고위험 병원체 또는 독소 검출용 프라이머 세트는 11종의 고위험 병원체와 독소 중 복수 종 또는 11종 모두를 동시에 동일한 조건에서 빠른 시간 내에 검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큐열균의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의 최소검출한계를 분석한 실시간 PCR 결과 그래프이다.
도 2 및 3은 본 출원의 큐열균의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를 이용하여 실시간 PCR 수행 시 타병원체와의 교차반응의 유무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4 및 5는 본 출원의 발진티푸스균의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를 이용하여 실시간 PCR 수행 시 타병원체와의 교차반응의 유무를 확인한 결과다.
도 6은 본 출원의 큐열균의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를 이용하여 PCR 수행 시 간섭물질과의 간섭반응의 유무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발진티푸스균의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를 이용하여 PCR 수행 시 간섭물질과의 간섭반응의 유무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시험 방법에서 사용되는 핵산 증폭 장치의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시험 방법에서 사용되는 핵산 증폭 장치에서 칩 홀더의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시험 방법에서 사용되는 핵산 증폭 장치에서 가이드부의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시험 방법에서 사용되는 핵산 증폭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출원의 시험 방법에서 사용되는 핵산 증폭 장치에서 칩 패키지의 분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출원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출원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기재되는 편의상 상하좌우의 방향은 도면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해당 방향으로 본 출원의 권리범위가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는 바람직한 방법이나 시료가 기재되나, 이와 유사하거나 동등한 것들도 본 출원의 범주에 포함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는, 서열번호 1 및 서열번호 2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큐열균(Coxiella burnetii)을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고, 서열번호 4 및 서열번호 5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유비저균(Burkholderia pseudomallei)을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7 및 서열번호 8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비저균(Burkholderia mallei)을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10 및 서열번호 11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브루셀라균(Brucella spp.)을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13 및 서열번호 14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소 브루셀라균(Brucella abortus)을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16 및 서열번호 17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양 브루셀라균(Brucella melitensis)을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19 및 서열번호 20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돼지 브루셀라균(Brucella suis)을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22 및 서열번호 23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리신 독소(Ricin)를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25 및 서열번호 26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콜레라균(Vibrio cholerae)을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28 및 서열번호 29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발진티푸스균(Rickettsia prowazekii)을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및 서열번호 31 및 서열번호 32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발진열균(Rickettsia typhi)을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는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더욱 구체적으로는 11종의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고위험 병원체 또는 독소의 동시 검출용 프라이머 세트를 제공한다.
본 출원에서 용어 "프라이머"란 짧은 자유 3 말단 수산화기(free 3' hydroxyl group)를 가지는 핵산 서열로 상보적인 핵산의 주형(template)과 염기쌍(base pair)을 형성할 수 있고 핵산 주형의 가닥 복사를 위한 시작 지점으로 기능하는 짧은 핵산 서열을 의미한다. 프라이머는 적절한 완충용액 및 온도에서 중합반응(즉, DNA 폴리머레이즈)을 위한 시약의 존재 하에서 DNA 합성을 개시할 수 있다.
본 출원에 있어서, 프라이머로서 이용된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또한 뉴클레오티드 유사체(analogue), 예를 들면, 포스포로티오에이트(phosphorothioate), 알킬포스포로티오에이트 또는 펩티드 핵산(peptide nucleic acid)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삽입 물질(intercalating agent)을 포함할 수 있다.
프라이머는 포스포르아미다이트 고체 지지체 방법, 또는 기타 널리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화학적으로 합성할 수 있다. 이러한 프라이머는 본 출원의 고위험 병원체 또는 독소를 검출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내는 한, 당해 분야에 공지된 많은 수단을 이용하여 변형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변형의 예로는 메틸화, 캡화, 천연 뉴클레오티드 하나 이상의 동족체로의 치환, 및 뉴클레오티드 간의 변형, 예를 들면, 메틸 포스포네이트, 포스포트리에스테르, 포스포로아미데이트, 또는 카바메이트와 같이하전되지 않은 연결체로의 변형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포스포로티오에이트 또는 포스포로디티오에이트와 같은 하전된 연결체로의 변형을 포함할 수 있다. 핵산은 하나 이상의 부가적인 공유 결합된 잔기, 예를 들면, 뉴클레아제, 독소, 항체, 시그널 펩타이드, 폴리-L-리신과 같은 단백질; 아크리딘, 프로랄렌과 같은 삽입제; 금속, 방사성 금속, 철, 산화성 금속과 같은 킬레이트화제; 및 알킬화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프라이머는 필요한 경우, 분광학적, 광화학적, 생화학적, 면역화학적 또는 화학적 수단에 의해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검출 가능한 표지를 포함할 수 있다. 표지의 예로는, 호스래디쉬 퍼옥시다제, 알칼린 포스파타아제와 같은 효소, 32P와 같은 방사성 동위원소, 바이오틴과 같은 형광성 분자 및 화학그룹 등이 있다.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는 상기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고위험 병원체 또는 독소 검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는 서열번호 1 및 서열번호 2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3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프로브를 포함하는 큐열균(Coxiella burnetii)을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를 포함하고, 서열번호 4 및 서열번호 5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6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프로브를 포함하는 유비저균(Burkholderia pseudomallei)을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 서열번호 7 및 서열번호 8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9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프로브를 포함하는 비저균(Burkholderia mallei)을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 서열번호 10 및 서열번호 11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12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프로브를 포함하는 브루셀라균(Brucella spp.)을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 서열번호 13 및 서열번호 14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15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프로브를 포함하는 소 브루셀라균(Brucella abortus)을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 서열번호 16 및 서열번호 17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18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프로브를 포함하는 양 브루셀라균(Brucella melitensis)을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 서열번호 19 및 서열번호 20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21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프로브를 포함하는 돼지 브루셀라균(Brucella suis)을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 서열번호 22 및 서열번호 23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24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프로브를 포함하는 리신 독소(Ricin)를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 서열번호 25 및 서열번호 26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27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프로브를 포함하는 콜레라균(Vibrio cholerae)을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 서열번호 28 및 서열번호 29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30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프로브를 포함하는 발진티푸스균(Rickettsia prowazekii)을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 및 서열번호 31 및 서열번호 32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33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프로브를 포함하는 발진열균(Rickettsia typhi)을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는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 를 포함하는, 구체적으로는 하나 이상 선택되는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를 포함하는, 더욱 구체적으로는 11종을 모두 포함하는 고위험 병원체 또는 독소의 동시 검출용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를 제공한다.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는 상기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를 포함하는, 고위험 병원체 또는 독소 검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는 서열번호 1 및 서열번호 2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3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프로브를 포함하는 큐열균(Coxiella burnetii)을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를 포함하고, 서열번호 4 및 서열번호 5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6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프로브를 포함하는 유비저균(Burkholderia pseudomallei)을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 서열번호 7 및 서열번호 8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9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프로브를 포함하는 비저균(Burkholderia mallei)을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 서열번호 10 및 서열번호 11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12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프로브를 포함하는 브루셀라균(Brucella spp.)을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 서열번호 13 및 서열번호 14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15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프로브를 포함하는 소 브루셀라균(Brucella abortus)을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 서열번호 16 및 서열번호 17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18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프로브를 포함하는 양 브루셀라균(Brucella melitensis)을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 서열번호 19 및 서열번호 20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21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프로브를 포함하는 돼지 브루셀라균(Brucella suis)을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 서열번호 22 및 서열번호 23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24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프로브를 포함하는 리신 독소(Ricin)를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 서열번호 25 및 서열번호 26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27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프로브를 포함하는 콜레라균(Vibrio cholerae)을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 서열번호 28 및 서열번호 29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30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프로브를 포함하는 발진티푸스균(Rickettsia prowazekii)을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 및 서열번호 31 및 서열번호 32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33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프로브를 포함하는 발진열균(Rickettsia typhi)을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는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를 포함하는, 구체적으로는 둘 이상 선택되는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를 포함하는,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11종의 세트를 모두 포함하는, 고위험 병원체 또는 독소 검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출원은 2종 이상의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를 사용하거나, 11종 모두의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를 사용하여 동시에 반응시킬 수 있고, 교차반응 없이 복수의 고위험 병원체 또는 독소를 동시에 검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복수의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에 대하여 모두 동일한 변성 단계를 위한 온도, 예를 들어, 90℃ 내지 100℃, 구체적으로 93℃ 내지 98℃, 더욱 구체적으로 95℃로 가열 및 유지하여 변성시키고, 동일한 어닐링 및 연장 (혹은 증폭) 단계를 위한 온도, 예를 들어, 48℃ 내지 75℃, 구체적으로 50℃ 내지 60℃, 더욱 구체적으로 52℃ 내지 56℃로 가열 및 유지하여 어닐링 및 연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용어 "PCR(중합효소 연쇄 반응)"이란 중합효소를 이용하여 표적 핵산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프라이머 쌍으로부터 표적 핵산을 증폭하는 방법이다.
본 출원에서 용어 "실시간 PCR(실시간 중합효소 연쇄 반응: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이란 중합효소 연쇄 반응을 기반으로 하여 실시간으로 DNA를 증폭시키고, 증폭된 양의 측정을 동시에 하는 방법이다.
본 출원에서 용어 "프로브(probe)"란 유전자 또는 mRNA와 특이적 결합을 이룰 수 있는 짧게는 수 염기 내지 길게는 수백 염기에 해당하는 RNA 또는 DNA 등의 핵산 단편을 의미하는데,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oligonucleotide) 프로브, 단쇄 DNA(single stranded DNA) 프로브, 이중쇄 DNA(double stranded DNA) 프로브, RNA 프로브 등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고, 보다 용이하게 검출하기 위하여 라벨링 될 수 있다.
프로브로서 이용된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또한 뉴클레오티드 유사체(analogue), 예를 들면, 포스포로티오에이트(phosphorothioate), 알킬포스포로티오에이트 또는 펩티드 핵산(peptide nucleic acid)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삽입 물질(intercalating agent)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브는 주형이 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에 완전하게 상보적인 서열일 수 있으나, 특이적 혼성화를 방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실질적으로 상보적인 서열일 수도 있다.
프로브는 포스포르아미다이트 고체 지지체 방법, 또는 기타 널리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화학적으로 합성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브는 본 출원의 고위험 병원체 또는 독소를 검출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내는 한, 당해 분야에 공지된 많은 수단을 이용하여 변형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변형의 예로는 메틸화, 캡화, 천연 뉴클레오티드 하나 이상의 동족체로의 치환, 및 뉴클레오티드 간의 변형, 예를 들면, 메틸 포스포네이트, 포스포트리에스테르, 포스포로아미데이트, 또는 카바메이트와 같이하전되지 않은 연결체로의 변형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포스포로티오에이트 또는 포스포로디티오에이트와 같은 하전된 연결체로의 변형을 포함할 수 있다. 핵산은 하나 이상의 부가적인 공유 결합된 잔기, 예를 들면, 뉴클레아제, 독소, 항체, 시그널 펩타이드, 폴리-L-리신과 같은 단백질; 아크리딘, 프로랄렌과 같은 삽입제; 금속, 방사성 금속, 철, 산화성 금속과 같은 킬레이트화제; 및 알킬화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브는, 5‘말단과 3’말단에 각각 형광물질과 소광제를 포함하고, 각각의 프로브의 5' 말단에 포함된 형광물질이 모두 동일할 수 있다.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형광물질은, 6-FAM(6-carboxyfluorescein), 5-FAM(5-carboxyfluorescein), 헥사클로로-6-카르복시플루오레세인(Hexachloro-6-carboxyfluorescein), 테트라클로로-6-카르복시플루오레세인(Tetrachloro-6-carboxyfluorescein), HEX(2',4',5',7'-tetrachloro-6-carboxy-4,7-dichlorofluorescein), 플루오레신클로로트리아지닐(Fluorescein chlorotriazinyl), 로다민그린(Rhodamine green), 로다민레드(Rhodamine red), 테트라메틸로다민(Tetramethylrhodamine), FITC(Fluorescein isothiocyanate), 오레곤그린(Oregon green), 알렉사플루오로(Alexa fluor), JOE(6-Carboxy-4',5'-Dichloro-2',7'-Dimethoxyfluorescein), ROX(6-Carboxyl-X-Rhodamine), TET(Tetrachloro-Fluorescein), TRITC(Tertramethylrodamine isothiocyanate), TAMRA(6-carboxytetramethyl-rhodamine), NED(N-(1-Naphthyl) ethylenediamine), 텍사스레드(Texas red), Cy3(Cyanine-3) 및 Cy5(Cyanine-5)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FAM일 수 있다.
복수의 병원체나 독소 동시 검출용 조성물의 경우 각각의 프로브는 모두 5' 말단에 FAM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반응 챔버 또는 반응 채널마다 상이한 병원체가 동시에 반응이 이루어지는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복수의 병원체에 모두 동일한 리포터 형광표지를 사용하여도 검출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소광제는, BHQ1(Black hole quencher 1), BHQ2(Black hole quencher 2), BHQ3(Black hole quencher 3), TAMRA(6-carboxytetramethyl-rhodamine), NFQ(Nonfluorescent quencher), 답실(Dabcyl), Eclipse, DDQ(Deep Dark Quencher), 블랙베리퀸처(Blackberry Quencher), 아이오와블랙(Iowa black)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는 상기 프라이머 세트; 및 증폭 반응을 수행하기 위한 시약을 포함하는, 고위험 병원체 또는 독소 검출용 키트를 제공한다.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키트는 실시간 PCR(real-time PCR)용 키트일 수 있다. 상기 키트는 상기 복수의 종, 11종의 고위험 병원체 또는 독소를 동시에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증폭 반응을 수행하기 위한 시약은 프라이머 세트, 프로브, 리보뉴클레아제 저해제, 내열성 중합효소 및 반응 완충액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반응 완충액은 Taq 중합효소 완충액 및 PCR 완충액 양자를 모두 포함하고 내열성 중합효소는 EF Taq 중합효소 등을 이용할 수 있다. PCR 완충액은 증폭 반응의 pH를 조절함으로써 증폭 반응의 하나 이상의 성분들의 안정성, 활성, 및/또는 지속성(longevity)을 변화시키는, 증폭 반응에 첨가되는 화합물이다. 완충제(buffering agent)는 PCR 증폭 및 부위-특이적 RNase H 절단 활성(site-specific RNase H cleavage activity)과 양립가능하다. 일부 완충제들이 해당 기술분야에 잘 알려져 있으며, 트리스, 트리신, MOPS(3-(N-모르폴리노)프로판술폰산), 및 HEPES(4-(2-히드록시에틸)-1-피페라진에탄술폰산)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PCR 완충액은 일반적으로 KCl, MgCl2, 및 각각의 뉴클레오티드 dATP, dCTP, dGTP 및 dTTP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완충액은 효율적인 역전사 효소-PCR 또는 PCR 반응을 최적화하기 위한 첨가물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키트는 상기한 시약 성분을 포함하는 다수의 별도 패키징 또는 컴파트먼트로 제작될 수 있다.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는, (a)검체로부터 채취한 시료로부터 DNA를 분리하는 단계; (b)분리된 DNA에 상기 프라이머 세트를 처리하여 표적 서열을 증폭시키는 단계; 및 (c)상기 증폭 산물에서 고위험 병원체 또는 독소의 존재 유무를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고위험 병원체 또는 독소를 검출하는 방법, 또는 고위험 병원체 또는 독소를 신속하게 검출하기 위한 실시간 유전자 시험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검체는 임상시료 또는 환경시료로부터 수득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상시료는 조직, 세포, 전혈, 혈청, 혈장, 타액, 객담, 뇌척수액 또는 뇨로부터 수득되는 시료일 수 있다.
본 출원의 검출방법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를 처리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상기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는 둘 이상의 세트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11종 모두를 포함하는 세트일 수 있다.
본 출원의 검출방법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중합효소 연쇄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리가아제 연쇄 반응(ligase chain reaction; LCR), Gap-LCR, 복구 연쇄반응(repair chain reaction), 전사-중재 증폭(transcription-mediated amplification; TMA), 자가 유지 염기서열 복제(self sustained sequence replication), 표적 폴리뉴클레오티드 염기서열의 선택적 증폭(selective amplification of target polynucleotide sequences), 컨센서스 서열 프라이밍 중합효소 연쇄 반응(consensus sequence primed polymerase chain reaction; CP-PCR), 임의적 프라이밍 중합효소 연쇄 반응 (arbitrarily primed polymerase chain reaction; AP-PCR), 핵산 염기서열 기반 증폭(nucleic acid sequence based amplification; NASBA), 가닥 치환 증폭(strand displacement amplification), 고리-중재 항온성 증폭(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LAMP), 다중 중합효소연쇄반응(multiplex Polymerase chain reaction; multiplex PCR), 이중 중합효소연쇄반응(nested Polymerase chain reaction; nested-PCR), 단일 튜브 이중 중합효소연쇄반응(single tube nested Polymerase chain reaction; single tube nested-PCR), 역전사-중합효소연쇄반응(reverse transperase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역 중합효소연쇄반응(inverse Polymerase chain reaction; inverse PCR),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또는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 정량검사(Real-time Quantitative Polymerase chain reaction; RQ-PCR)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실시간 PCR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간 PCR은 하기 핵산 증폭 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출원의 검출방법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증폭은 복수의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에 대하여 모두 동일한 변성 단계를 위한 온도, 예를 들어, 90℃ 내지 100℃, 구체적으로 93℃ 내지 98℃, 더욱 구체적으로 95℃에서 변성시키고, 모두 동일한 어닐링 및 연장 (혹은 증폭) 단계를 위한 온도, 예를 들어, 48℃ 내지 75℃, 구체적으로 50℃ 내지 60℃, 더욱 구체적으로 52℃ 내지 56℃, 더욱 더 구체적으로 54℃로 가열 및 유지하여 어닐링 및 연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본 출원의 시험 방법에서 사용되는 핵산 증폭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핵산 증폭 장치(1000)는 특정 염기 서열을 갖는 핵산을 증폭하는 PCR(Polymerase Chain Reaction)에 사용하기 위한 장치이다. 예를 들어, 장치(1000)는 이중 가닥의 DNA를 포함하는 샘플 용액을 특정 온도, 예를 들어 90℃ 내지 100℃, 구체적으로 93℃ 내지 98℃, 더욱 구체적으로 95℃로 가열하여 상기 이중 가닥의 DNA를 단일 가닥의 DNA로 분리하는 변성 단계(denaturing step), 상기 샘플 용액에 증폭하고자 하는 특정 염기 서열과 상보적인 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oligonucleotide) 프라이머를 제공하고, 상기 분리된 단일 가닥의 DNA와 함께 특정 온도, 예를 들어 48℃ 내지 75℃, 구체적으로 50℃ 내지 60℃, 더욱 구체적으로 52℃ 내지 56℃로 냉각하여 상기 단일 가닥의 DNA의 특정 염기 서열에 상기 프라이머를 결합시켜 부분적인 DNA-프라이머 복합체를 형성하는 어닐링 단계(annealing step) 및 어닐링 단계와 동일한 온도로 유지하여 연장(혹은 증폭) 단계(extension step)를 수행하고, 이와 같은 과정을 예를 들어, 20회 내지 40회로 반복함으로써 특정 염기 서열을 갖는 DNA를 기하급수적으로 증폭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1000)는,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열 블록(110, 120); 샘플 용액의 PCR 반응이 수행되는 PCR 칩(400); 복수의 열 블록(110, 120)과 순차적으로 접촉하도록 PCR 칩(400)을 이동시키는 칩 홀더(200); 상기 칩 홀더(200)를 이동시키는 구동부(300); 및 PCR 칩(400)을 포함할 수 있다.
열 블록(110, 120)은, 제 1 열 블록(110) 및 제 2 열 블록(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열 블록(110) 및 제 2 열 블록(120)은 핵산을 증폭하기 위한 변성 단계, 어닐링 단계 및 연장 (혹은 증폭)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 1 열 블록(110) 및 제 2 열 블록(120)은 각 단계들에 요구되는 필요한 온도를 제공하고, 이를 유지하기 위한 다양한 모듈을 포함하거나 또는 그러한 모듈과 구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PCR 칩(400)이 장착된 칩 홀더(200)가 각 열 블록(110, 120)의 일 면에 접촉되는 경우, 제 1 열 블록(110) 및 제 2 열 블록(120)은 PCR 칩(400)과의 접촉면을 전체적으로 가열 및 온도 유지할 수 있어서, PCR 칩(400) 내의 샘플 용액을 균일하게 가열 및 온도 유지할 수 있다. 종래 단일 열 블록을 사용하는 장치는 단일 열 블록에서의 온도 변화율이 초당 3℃내지 7℃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는데 반해, 본 출원에서는, 각각의 열 블록에서의 온도 변화율이 초당 20℃내지 40℃범위 내에서 이루어져 PCR 반응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다.
2개의 열 블록을 포함하기 때문에 비특이적 반응(nonspecific binding)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고, 특이적 반응(specific binding) 시간에 빨리 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서 전체 PCR 반응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다.
종래 핵산증폭장치에서 시험시 70~100분의 반응 시간이 소요된 것에 비해 본 출원의 핵산증폭장치를 사용한 시험방법의 경우 복수 종 또는 11종 모두를 동시 검출할 경우에도 30분 이내의 반응시간이 소요되는 큰 장점이 있다.
제 1 열 블록(110) 및 제 2 열 블록(120)은 그 내부에 열선(도시되지 않음)이 배치될 수 있다. 열선은 변성 단계, 어닐링 단계 및 연장 (혹은 증폭)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온도를 유지하도록 다양한 열원과 구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열선의 온도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다양한 온도 센서와 구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열선은 제 1 열 블록(110) 및 제 2 열 블록(120) 내부 온도를 전체적으로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각각의 열 블록 면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상하 및/또는 좌우 방향으로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하 및/또는 좌우 방향으로 대칭된 열선의 배치는 다양할 수 있다. 또한, 제 1 열 블록(110) 및 제 2 열 블록(120)은 그 내부에 박막 히터(thin film heater, 도시되지 않음)가 배치될 수도 있다. 박막 히터는 제 1 열 블록(110) 및 제 2 열 블록(120) 내부 온도를 전체적으로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각각의 열 블록 면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상하 및/또는 좌우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하 및/또는 좌우 방향으로 일정한 박막 히터의 배치는 다양할 수 있다.
제 1 열 블록(110) 및 제 2 열 블록(120)은 동일한 면적에 대한 고른 열 분포 및 신속한 열 전달을 위해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알루미늄 재질을 포함하거나 또는 알루미늄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열 블록(110)은 변성 단계, 또는 어닐링 및 연장 (혹은 증폭)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적정 온도를 유지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열 블록(110)은 48℃ 내지 100℃를 유지할 수 있다. 제 1 열 블록(110)에서 변성 단계를 수행하는 경우, 구체적으로 90℃ 내지 100℃를 유지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93℃ 내지 98℃, 더욱 구체적으로 95℃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 1 열 블록(110)에서 어닐링 및 연장 (혹은 증폭) 단계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48℃ 내지 75℃, 구체적으로 50℃ 내지 60℃, 더욱 구체적으로 52℃ 내지 56℃로 유지하여 어닐링 및 연장을 수행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열 블록(120) 또한, 변성 단계, 또는 어닐링 및 연장 (혹은 증폭)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적정 온도를 유지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열 블록(120)은 48℃ 내지 100℃를 유지할 수 있다. 제 2 열 블록(120)에서 변성 단계를 수행하는 경우, 90℃ 내지 100℃를 유지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93℃ 내지 98℃, 더욱 구체적으로 95℃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 2 열 블록(120)에서 어닐링 및 연장 (혹은 증폭) 단계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48℃ 내지 75℃, 구체적으로 50℃ 내지 60℃, 더욱 구체적으로 52℃ 내지 56℃로 유지하여 어닐링 및 연장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제 1 열 블록(110) 및 제 2 열 블록(120)에서, 변성 단계, 또는 어닐링 및 연장 (혹은 증폭) 단계를 수행할 수 있는 온도라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 1 열 블록(110) 및 제 2 열 블록(120)은 서로 상이한 온도를 유지하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열 블록(110)과 제 2 열 블록(120)은 상호 열 교환이 일어나지 않도록 미리 결정된 거리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열 블록(110)과 제 2 열 블록(120) 사이에서 열 교환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미세한 온도 변화에 의해서도 중대한 영향을 받을 수 있는 핵산 증폭 반응에 있어서, 변성 단계와 어닐링 및 연장 (혹은 증폭) 단계의 정확한 온도 제어가 가능하다.
칩 홀더(200)는 PCR 칩(400)이 안정적으로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구동부(300)에 의한 움직임을 PCR 칩(4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칩 홀더(200)의 내벽은 핵산 증폭 반응이 수행되는 경우 PCR 칩(400)이 칩 홀더(200)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PCR 칩(400)의 외벽과 고정 장착되기 위한 형상 및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동부(300)는 PCR 칩(400)이 장착된 칩 홀더(200)를 제 1 열 블록(110) 및 제 2 열 블록(120) 위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모든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300)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레일 및 레일을 통해 칩 홀더(200)를 이동시키는 모터 부재로 이루어진 가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부(300)의 수평 이동에 의해, PCR 칩(400)이 장착된 칩 홀더(200)는 제 1 열 블록(110)과 제 2 열 블록(120) 사이에서 왕복 운동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300)의 수평 이동과 함께 또는 개별적으로 칩 홀더(200)는 PCR 칩(400)을 상하 이동시킴으로써 각 열 블록(110, 120)과 PCR 칩(400)을 접촉 및 분리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구동부(300)는 칩 홀더(200)의 상하 운동을 위한 가이드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PCR 칩(400)은 제 1 열 블록(110) 또는 제 2 열 블록(120)의 일 면에 접촉되고, 핵산, 예를 들어 이중 가닥 DNA, 증폭하고자 하는 특정 염기 서열과 상보적인 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DNA 중합효소, 삼인산화데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deoxyribonucleotide triphosphates, dNTP), PCR 반응 완충액 (PCR reaction buffer)을 포함하는 샘플 용액을 포함할 수 있다. PCR 칩(400)은 샘플 용액이 주입되는 유입부, 샘플 용액의 핵산 증폭 반응이 수행되는 반응 챔버(또는 채널) 및 핵산 증폭 반응을 완료한 샘플 용액을 배출하기 위한 유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PCR 칩(400)이 제 1 열 블록(110) 또는 제 2 열 블록(120)에 접촉하는 경우 제 1 열 블록(110) 또는 제 2 열 블록(120)의 열은 PCR 칩(400)에 전달되고, PCR 칩(400)의 반응 챔버(또는 채널)에 포함된 샘플 용액은 가열 및 온도 유지될 수 있다. 또한, PCR 칩(400)은 전체적으로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PCR 칩(400)의 외벽은 핵산 증폭 반응이 수행되는 경우 PCR 칩(400)이 칩 홀더(200)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칩 홀더(200)의 내부 공간에 고정 장착되기 위한 형상 및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장치(1000)의 동작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PCR 칩(400)에 핵산, 예를 들어 이중 가닥 DNA, 증폭하고자 하는 특정 염기 서열과 상보적인 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DNA 중합효소, 삼인산화데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deoxyribonucleotide triphosphates, dNTP), PCR 반응 완충액(PCR reaction buffer)를 포함하는 샘플 용액을 도입하고, PCR 칩(400)을 칩 홀더(200)에 장착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그 후 또는 이와 동시에 제 1 열 블록(110)을 상기 PCR 반응의 변성 단계를 위한 온도, 예를 들어, 90℃ 내지 100℃, 구체적으로 93℃ 내지 98℃, 더욱 구체적으로 95℃로 가열 및 유지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제 2 열 블록(120)을 어닐링 및 연장 (혹은 증폭) 단계를 위한 온도, 48℃ 내지 75℃, 구체적으로 50℃ 내지 60℃, 더욱 구체적으로 52℃ 내지 56℃ 로 가열 및 유지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구동부(300)를 통해 칩 홀더(200)를 제 1 열 블록(110) 측으로 이동시키고, PCR 칩(400)이 제 1 열 블록(110)에 접촉시켜 PCR의 제 1 변성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그 후, 구동부(300)를 통해 칩 홀더(200)를 제 2 열 블록(120) 측으로 이동시키면서, PCR 칩(400)을 제 1 열 블록(110)으로부터 분리시켜 PCR의 제 1 변성 단계를 종료하고, PCR 칩(400)을 제 2 열 블록(120)에 접촉시켜 PCR의 제 1 어닐링 및 연장 (혹은 증폭)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구동부(300)를 통해 칩 홀더(200)를 제 2 열 블록(120)으로부터 분리시켜 PCR의 제 1 어닐링 및 연장 (혹은 증폭) 단계를 종료함으로써 제 1 순환의 PCR 반응을 완료할 수 있다. 이러한 PCR 반응은 복수 회 수행될 수 있다.
이때, 구동부(300)가 제 1 열 블록(110) 또는 제 2 열 블록(120) 측으로 칩 홀더(200)를 이동시키는 경우, 칩 홀더(200)는 PCR 칩(400)을 하측으로 이동시켜, 각각의 열 블록(110, 120)과 PCR 칩(400)이 접촉하도록 하고, 이와 달리, 제 1 열 블록(110) 또는 제 2 열 블록(120) 측으로부터 중앙으로 칩 홀더(200)를 이동시키는 경우, 칩 홀더(200)가 PCR 칩(400)을 상측으로 이동시켜, 각각의 열 블록과 PCR 칩(400)이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출원에서는, 칩 홀더(200)가 PCR 칩(400)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구동부(300)가 PCR 칩(400)을 열 블록과 접촉 또는 분리하기 위해 PCR 칩(400) 및/또는 칩 홀더(20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필요 없으며, 따라서, 구동부(300)가 칩 홀더(200)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작만으로, 용이하게 PCR 칩(400)이 열 블록(110, 120)과 접촉 또는 분리되면서 PCR 반응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서는 PCR 칩(400)에 대해 수평 운동과 수직 운동이 순차적으로/개별적으로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동시에 작용한다는 점에서, 보다 자연스럽고 신속한 PCR 칩(400)의 열 접촉 및 분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칩 홀더(200)에 PCR 칩(400)이 장착되는 것으로 설명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실시예에 따라, 칩 홀더(200)에는, 하기 설명되는 PCR 칩 패키지가 장착될 수도 있다. 도 8 내지 도 11 에서는 편의상 칩 홀더(200)에 PCR 칩(400)이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지만, 이는 PCR 칩(400) 단독으로 배치되거나, PCR 칩(400)이 PCR 칩 패키지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시험 방법에서 사용되는 핵산 증폭 장치의 칩 홀더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칩 홀더(200)는, 제 1 플레이트(210); 제 2 플레이트(230); 및 탄성 연결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플레이트(210)는,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 1 연결 부재(212)에 의해 구동부(300)와 연결되어, 구동부(300)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 2 플레이트(230)는, 제 1 플레이트(210)와 상하 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하부에 PCR 칩(400)이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플레이트(230)는 양 단부에 내측 방향으로 절곡부가 형성되어 PCR 칩(400) 또는 PCR 칩 패키지가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 2 플레이트(230)는 제 2 연결 부재(232)를 구동부(300), 특히 구동부(300)의 가이드부(31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하기 더 상세히 설명할 바와 같이, 제 1 플레이트(210)의 수평 방향 운동 시에 상하 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다.
또한, 제 1 플레이트(210) 및 제 2 플레이트(230)는 서로 대응하는 영역에 관통부(214, 234)가 형성될 수 있는데, 해당 영역은 PCR 칩(400)의 반응 챔버 또는 반응 채널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하기 더 상세히 설명할 바와 같이, PCR 칩(400)이 칩 홀더(200)에 장착된 상태로 PCR 반응 결과를 검출하기 위함이다.
탄성 연결부(250)는, 제 1 플레이트(210)와 제 2 플레이트(230)를 상하 방향으로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탄성 연결부(250)는 제 1 플레이트(210)의 수평 운동에 따라 제 2 플레이트(230)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복수의 열 블록(110, 120)과 순차적으로 접촉하게 할 수 있으며, 제 2 플레이트(230) 측으로 탄성력을 발생시켜 PCR 칩(400)이 열 블록(110, 120)에 보다 긴밀하게 접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출원의 시험 방법에서 사용되는 핵산 증폭 장치의 가이드부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 2 플레이트의 연결 부재가 삽입되는 함몰 공간으로 구성되고, 상기 함몰 공간의 저면에 상기 연결 부재가 접촉하되, 상기 저면은 상기 열 블록 방향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굴곡 형성될 수 있다.
구동부(300)의 가이드부(310)는, 칩 홀더(200), 특히 칩 홀더(200)의 제 2 플레이트(230)를 상하 방향으로 운동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직 방향의 평판으로 구현되며, 일 측면에 함몰 공간(312)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310)의 상단에는 칩 홀더(200)의 제 1 플레이트(210)의 일 단부가 배치되도록 하여, 제 1 플레이트(210)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310)의 함몰 공간(312)에는 제 2 플레이트(230)의 제 2 연결 부재(232)가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탄성 연결부(250)에서 제 2 플레이트(230)로 발생시키는 탄성력으로 인하여, 이때 제 2 연결 부재(232)는, 함몰 공간(312)의 저면(314)에 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구동부(300)에 의해 제 1 플레이트(210)가 수평 방향으로(도 3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 2 플레이트(230)의 제 2 연결 부재(232)는 함몰 공간(312)의 저면(314)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제 2 플레이트(23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즉, 제 1 플레이트(210)가 양 측으로 이동하면, 제 2 플레이트(230)는 하측으로 이동하고, 제 1 플레이트(210)가 중앙으로 이동하면, 제 2 플레이트(230)는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1은 본 출원의 시험 방법에서 사용되는 핵산 증폭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먼저 PCR 칩(400)이 배치된 칩 홀더(200)가 가이드부(310)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칩 홀더(200)의 제 1 플레이트(210)의 일 단부가 가이드부(310)의 상단에 배치되고, 제 2 플레이트(230)의 제 2 연결 부재(232)가 함몰 공간(312)의 중앙 저면(314)에 위치할 수 있다. PCR 칩(400)은 열 블록(110, 120)과 접촉하지 않는 중립 상태에 있을 수 있다.
구동부(300)를 통해 칩 홀더(200)(특히, 제 1 플레이트(210))를 제 1 열 블록(110)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칩 홀더(200)의 제 1 플레이트(210)의 일 단부가 가이드부(310)의 상단에서 좌측으로 이동하고, 제 2 플레이트(230)의 제 2 연결 부재(232) 또한 함몰 공간(312)의 저면(314)을 따라 좌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탄성 연결부(250)의 탄성력에 의해 제 2 연결 부재(232)는 함몰 공간(312)의 저면(314)과 밀착하여 이동하며, 따라서, 제 2 플레이트(230) 전체가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제 1 열 블록(110)과 접촉할 수 있다.
이후, 구동부(300)를 통해 칩 홀더(200)를 제 2 열 블록(120)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 2 플레이트(230)의 제 2 연결 부재(232)는 함몰 공간(312)의 저면(314)에 밀착하여 이동하고, 따라서 제 1 플레이트(210)가 가이드부(310)의 상단을 따라 우측으로 이동할 때, 제 2 플레이트(230)는 상측으로 이동하여 중립 상태에 있다가,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제 2 열 블록(120)과 접촉할 수 있다.
특히, 가이드부(310)에서 함몰 공간(312)의 저면(314) 중 열 블록(110, 120)에 인접한 영역, 즉 저면은 열 블록(110, 120)보다 낮게 위치하여, 탄성 연결부(250)가 제 2 플레이트(230)를 열 블록(110, 120) 측으로 보다 견고하게 하방 가압하게 할 수 있다.
도 12는 본 출원의 시험 방법에서 사용되는 핵산 증폭 장치의 칩 패키지의 분해도를 도시한 것이다.
PCR 칩 패키지는 PCR 칩(400)을 내부에 수용하고, 칩 홀더(200)에 삽입되어, 칩 홀더(200)와 함께 이동하면서 PCR 칩(400)을 보다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열 블록(110, 120)에 접촉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PCR 칩 패키지는 PCR 칩(400), PCR 칩 케이스(600) 및 밀폐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PCR 칩(400)은, 핵산, 예를 들어 이중 가닥 DNA, 증폭하고자 하는 특정 염기 서열과 상보적인 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DNA 중합효소, 삼인산화데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deoxyribonucleotide triphosphates, dNTP), PCR 반응 완충액 (PCR reaction buffer)를 포함하는 샘플 용액을 포함할 수 있다. PCR 칩(400)은 샘플 용액을 도입하기 위한 하나 이상,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유입부, 핵산 증폭 반응을 완료한 샘플 용액을 배출하기 위한 하나 이상,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유출부 및 증폭하고자 하는 핵산을 포함하는 샘플 용액이 수용된 하나 이상의,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PCR 반응 챔버(또는 채널)를 포함할 수 있다. PCR 칩(400)은 광 투과성 재질로 구현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광 투과성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한다. PCR 칩(400)은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하여, 플라스틱 두께 조절만으로 열 전달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고, 제작 공정이 단순하여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상기 PCR 칩의 반응 챔버마다 상이한 병원체와 독소를 반응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11종의 병원체와 독소를 동시 검출하는 경우 상기 PCR 칩이 반응 챔버 11개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반응 챔버마다 별도로 반응하는 랩 칩 방식이기 때문에 위양성 반응이나 위음성 반응의 위험을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PCR 칩 케이스(600)는, 결합 가능한 상판(610) 및 하판(630)으로 구성되고, 상판(610) 및 하판(630) 간의 힌지 회동을 통해 열고 닫힐 수 있다. 열린 상태에서는 PCR 칩(400) 및/또는 밀폐부(700)가 PCR 칩 케이스(600) 내에 수용되거나 제거될 수 있으며, 닫힌 상태에서는, 내부의 PCR 칩(400) 및/또는 밀폐부(700)를 가압하여 안정적으로 배치시킬 수 있다. 또한, 결합 부재(650)를 통해 상판(610)과 하판(630)은 닫힌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PCR 칩 케이스(600) 내에 PCR 칩(400)이 수용되도록 상판(610) 및 하판(630) 중 하나의 내측면에는 PCR 칩(400)이 안착되는 수용 공간(612, 632)이 형성될 수 있다. 수용 공간(612, 632)은 밀폐부(700)와 결합된 PCR 칩(400)에 대응하거나 그보다 적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PCR 칩 케이스(600)가 닫힐 때, 연질의 밀폐부(700)를 통해 PCR 칩(400)을 가압 고정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PCR 칩(400)이 열 블록(110, 120)과 접촉 시에 발생하는 응력에 의한 PCR 칩(40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PCR 칩(400)이 PCR 칩 케이스(600) 또는 칩 홀더(200)에 배치된 상태에서 PCR 반응의 관찰이 가능하도록, 상판(610) 및 하판(630)에는 PCR 칩(400)의 반응 챔버에 대응하는 개방 영역(614, 634)이 형성될 수 있다.
PCR 칩(400)은 하판(630)의 개방 영역(634)을 통해 열 블록(110, 120)과 긴밀하게 열 접촉할 수 있다. PCR 칩(400)이 열 블록(110, 120)과 접촉하는 경우, PCR 칩(400)을 향하여 발생하는 응력을 방지하기 위해 상판(610)의 개방 영역(614)에는 PCR 칩(400)과 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616)가 형성될 수 있다.
밀폐부(700)는, PCR 칩(400)의 유입부 및 유출부를 밀폐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밀폐부(700)는 고무 등의 연성 재질로 이루어져, 신축성과 탄성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밀폐부(700)는, 평판 형상의 덮개부(710)와 덮개부(710)에서 형성되는 복수의 돌출부(730)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 돌출부(730)는 PCR 칩(400)의 유입부 및 유출부에 삽입되어 PCR 칩(400)을 밀폐할 수 있다.
또한, 밀폐부(700)는 PCR 칩(400)과 보다 견고하게 밀착하기 위해 서로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PCR 칩(400)은 유입부 및 유출부를 둘러싸는 돌출 영역이 형성될 수 있고, 밀폐부(700)에는 PCR 칩(400)의 돌출 영역이 밀착 수용되는 수용 영역(750)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PCR 칩이 안착되는 수용 영역은 상기 상판 및 하면 중 적어도 하나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밀폐부가 결합된 상기 PCR 칩이 상기 PCR 칩 케이스에 수용되는 경우, 상기 PCR 칩 케이스가 상기 밀폐부를 통해 상기 PCR 칩을 가압하여 상기 PCR 칩과 상기 열 블록 간의 접촉 시에 발생하는 응력에 의한 상기 PCR 칩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출원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출원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출원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타겟 유전자 선정 및 프라이머 및 프로브 제작
총 11종의 병원체와 독소를 한번에 동시 검출할 수 있는 프라이머와 프로브를 제작하였고, 각 서열은 아래 표 1과 같다. 하기 표 1과 같은, 11종의 고위험 병원체 또는 독소를 동시에 검출할 수 있는 프라이머를 선정하기 위해 다수의 프라이머 서열을 대상으로 실험적으로 성능을 평가한 후, 현저한 효과를 가지는 성능을 보이는 프라이머 서열들을 선택하였다. 프로브의 5' 말단에는 리포터 FAM(6-carboxyfluorescein)를 결합시켰으며, 3' 말단에는 소광자 BHQ(black hole quencher) 1을 결합시켰다. 하기 프라이머와 프로브 서열은 동일한 조건에서 단시간 내에 한번의 반응으로 11종의 동시 검출이 가능하며, 민감도가 우수하고, 82개의 병원체 또는 89개 병원체와 교차반응이 없으며, 검체 내 포함되어 검출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간섭물질과의 간섭반응이 없으며, 재현성있는 결과를 나타내고, 365일 동안의 보관 안정성을 나타낼 수 있는 프라이머 세트와 프로브임을 확인하였다.
Figure 112019078427956-pat00001
Figure 112019078427956-pat00002
F; forward, R; reverse, P; probe, Tm: 융해온도(melting temperature)
예를 들어, 큐열균의 경우 여러 개의 프라이머 세트 중 Ct값과, 민감도, 교차반응, 간섭반응, 재현성, 보관 안정성을 모두 고려하여 프라이머 세트를 선정하였다. 하기 표 2를 보면 Ct값이 더 낮은 set1를 선정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Figure 112019078427956-pat00003
<실시예 2>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를 이용한 민감도 평가
실시예 1에서 제작한 총 11종의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를 이용한 실시간 PCR의 분석적 민감도를 최소검출한계(limit of detection, LoD)를 측정하여 확인하였다. 실험은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체외진단용 의료기기 허가심사 가이드라인'에 따라 수행하였고, 최소검출한계는 가이드라인의 정의대로 '표준물질을 이용하여 95% 검출률을 보이는 최저 농도'로 계산하였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샘플 3 ㎕, 2x 마스터 믹스(Master mix) 5 ㎕, 프라이머 프로브 믹스(primer probe mix) 1 ㎕ 및 PCR이 잘 수행되었는지 확인하는 내부 양성 대조군(Internal positive control) 1 ㎕을 혼합한 후, 하기 표 3에 기재된 반응 조건으로 본 출원의 PCR 장치를 이용하여 실시간 PCR을 수행하였다. 동일한 조건으로 15회 반복실험을 수행하여 측정한 Ct(cycle threshold)값의 평균(average),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 SD), 변동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 CV), 및 검출률을 측정하였고, 95% 양성구간을 통계프로그램(IBM SPSS Statistics, IBM)을 이용하여 프로빗(probit) 회귀모델로 검증하였다.
합성된 프라이머가 11종의 병원체와 독소만을 특이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표 2의 11 세트의 프라이머와 프로브 세트를 이용하여 각각 PCR을 수행하였다. PCR 반응 혼합물의 조성은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고 2×qPCR 프리믹스(premix)는 (NanoHelix)로부터 입수하여 사용하였다. PCR 조건은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95℃에서 8초 동안 예비변성단계 1 사이클을 수행하고 95℃에서 13초 동안 변성단계, 54℃에서 13초 동안 어닐링 및 연장단계로 구성된 PCR 주기를 45 사이클을 수행하였다.
Figure 112019078427956-pat00004
Figure 112019078427956-pat00005
그 결과, 본 출원의 각각의 고위험병원체 또는 독소 11종의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를 이용한 실시간 PCR의 최소검출한계는 하기 표 5와 같다.
Figure 112019078427956-pat00006
큐열균(Coxiella burnetii)의 genomic DNA를 이용하여 분석적 민감도를 평가한 후 최소검출한계를 도출하였다. 큐열 균의 경우 0.78 copies/reaction까지 100% 검출됨을 확인하였으며, probit 분석 결과 95% 검출률을 보이는 최소검출값은 0.40 copies/reaction으로 나타나 이 값을 큐열균 시험방법의 최소검출한계(LoD)로 설정하였다. 큐열균의 분석적 민감도 Ct값 결과를 아래 표 6에 나타내었다. 도 1은 본 출원의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를 이용하여 실시간 PCR 수행 시 검출한계를 확인한 결과이다. 빨간색은 큐열균 타겟 시료이고, 초록색은 내부양성대조물질(IPC)이다.
Figure 112019078427956-pat00007
(Target: 실험예 1의 합성된 타겟 RNA 유전자; IPC: 내부 양성 대조군(internal positive control); Average: 평균; S.D.: 표준편차; CV: 평균 대비 표준편차의 비율(coefficient of variation))
<실시예 3>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를 이용한 실시간 PCR의 분석적 특이도 평가
실시예 1에서 제작한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를 이용한 실시간 PCR의 분석적 특이도를 다른 병원체에 의한 교차반응 여부 및 간섭물질에 의한 간섭반응 여부로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사용한 병원체들 중 바이러스는 104 copies/㎕의 농도로 적용하였고, 나머지 병원체들은 1 ng/㎕의 농도로 적용하였다. 시험 결과, 11종의 각 시험방법에 해당되는 고위험병원체를 제외한 다른 모든 병원체에서 반응성을 나타내지 않아 11종의 고위험병원체 또는 독소 유전자만을 특이적으로 증폭시키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큐열균의 특이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53개의 박테리아, 22개의 바이러스, 6개의 fungi, 기생충 1개을 포함한 82개의 병원체와 인간 혈액에서 추출한 유전자를 이용하였다.
큐열균 유전자 대신 동량의 상기 병원체 유전자 및 전사체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험예 1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간 PCR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아래 표 7와 도 2 및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에서 제작한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는 큐열균 이외의 병원체 유전자 및 전사체는 증폭시키지 않았다. 이로부터, 본 출원의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는 큐열균 외의 다른 병원체에 의해 교차반응을 나타내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도 2 및 3에서 a는 번호 1부터 13, b는 번호 14부터 24, c는 번호 25부터 36, d는 번호 37부터 47, e는 번호 48부터 57, f는 번호 58부터 67, g는 68부터 77, h는 번호 78부터 83을 나타낸 것이다. 도 2 및 3에서 파란색은 타겟 시료이고, 초록색은 내부양성대조물질(IPC)이다.
Figure 112019078427956-pat00008
Figure 112019078427956-pat00009
발진티푸스균의 특이도를 평가하기 위해 89주의 gDNA를 사용하여 특이도 테스트를 진행한 결과, Rickettsia prowazekii를 제외한 모든 병원체에서 교차반응은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표 8과 도 4 및 5에 나타내었다. 표 5, 도 4 및 5에서 a는 번호 1부터 13, b는 번호 14부터 25, c는 번호 26부터 37, d는 번호 38부터 48, e는 번호 49부터 59, f는 번호 60부터 71, g는 72부터 83, h는 번호 84부터 89을 나타낸 것이다. 도 4 및 5에서 파란색은 타겟 시료이고, 초록색은 내부양성대조물질(IPC)이다.
Figure 112019078427956-pat00010
Figure 112019078427956-pat00011
발진열균의 경우도 89주의 gDNA를 사용하여 특이도 테스트를 진행한 결과, Rickettsia typhi를 제외한 모든 병원체에서 교차반응은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유비저균, 비저균, 콜레라균, 발진열균, 브루셀라균, 소 브루셀라균, 양 브루셀라균, 돼지 브루셀라균, 리신 독소의 경우도 89주의 gDNA를 사용하여 특이도 테스트를 진행한 결과, 이들을 제외한 모든 병원체에서 교차반응은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4> 간섭물질(inhibitor)에 대한 간섭반응 여부 확인
간섭반응 평가를 위해 생물테러 의심현장에서 획득할 수 있는 혈액검체 1종과 환경검체 4종(편지봉투 채취 면봉, 책상표면 채취 면봉, 밀가루, 모래), 총 5종의 검체를 준비하여 사용하였다. 모래의 경우 250 mg의 sample에 양성대조물질(104 copies/reaction)을 5μL 소량 첨가한 후 핵산을 추출하였고, 밀가루의 경우 100 mg에 동일한 농도의 양성대조물질을 소량 첨가한 후 핵산 추출을 진행하였다. 편지봉투는 동일한 농도의 양성대조물질을 도포한 후 도포된 표면을 포함하도록 잘라낸 뒤 200μL가 되도록 멸균증류수를 첨가하였으며, swab 샘플은 책상 표면에 동일 양의 양성대조물질을 도포하고 상온에서 건조시킨 후 멸균된 면봉을 이용하여 채취한 후 편지봉투와 동일하게 200μL의 멸균증류수를 첨가하여 핵산 추출을 진행하였다. 평가 기준은 환경시료가 미 첨가된 양성대조물질과의 Ct 값을 기준으로 ±3 이내에 포함되면 간섭반응이 없음으로 평가한다. 시험 결과, 11종의 시험방법 모두에서 환경시료에 대한 간섭반응이 나타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큐열균 간섭반응 평가 결과, 환경시료가 미 첨가된 양성대조물질과의 Ct값 차이가 최소 0.51에서 최대 1.32로 모두 ±3 이내에 포함되는 결과를 보여 환경시료에 대해 간섭반응이 나타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큐열균 간섭반응 평가 Ct값 결과와 그래프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에서 파란색은 타겟 시료이고, 초록색은 내부양성대조물질(IPC)이다.
발진티푸스균 간섭반응 평가 결과, 환경시료가 미 첨가된 양성대조물질과의 Ct값 차이가 최소 0.21에서 최대 1.31로 모두 ±3 이내에 포함되는 결과를 보여 환경시료에 대해 간섭반응이 나타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발진티푸스균 간섭반응 평가 Ct값 결과와 그래프를 도 7에 나타내었다.
유비저균, 비저균, 콜레라균, 발진열균, 브루셀라균, 소 브루셀라균, 양 브루셀라균, 돼지 브루셀라균, 리신 독소의 경우도 간섭반응 평가 결과, 환경시료에 대해 간섭반응이 나타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재현성 및 안정성 확인
실시예 1에서 제작한 11종의 프라이머 및 프로브를 이용한 실시간 PCR의 분석적 재현성을 반복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실시예 2에서 도출한 최소검출한계의 5배, 25배 또는 100배의 농도로 반응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간 PCR을 수행하였다. 5일 동안 1일 2회씩 총 10번의 반복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각 회당 2회씩 측정하였고, 측정한 Ct값의 평균, 표준편차 및 변동계수를 계산하여 비교하였다. 음성 대조군은 해당 균을 포함하지 않은 시료이다. 그 결과, 음성 대조군 시료의 경우 반복실험 모두에서 전혀 검출되지 않았으며, 10번의 반복실험에 따른 변동계수(CV) 값이 3% 이하로 나타나, 실시예 1에서 제작한 프라이머 및 프로브를 이용한 실시간 PCR은 재현성이 있었다.
실시예 1에서 제작한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의 분석적 보관안정성을 가속노화실험을 통해 평가하였다. 실험은 '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 제2014-178호'에 제시된 의료기기의 안정성 시험기준에 따라 수행하였다. 본 평가에 적용된 계산식은 재질의 퇴화와 관련된 아레니우스 반응율 함수에 기초된 것으로 일반적으로 10 ℃ 온도가 증가하면 일반적으로 화학 반응률은 2배 증가한다는 것을 말한다.
AAF = Q 10 [(TAA-TRT ) / 10]
T AA ≡ 가속노화온도 (℃)
T RT ≡ 주변 온도 (℃)
구체적으로, 하기 계산식을 이용하여 가속노화계수(accelerated aging factor, AAF) 및 가속노화시간(accelerated aging time, AAT)을 산출한 뒤, 실시예 1에서 제작한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를 산출된 조건에 따라 45℃에서 4일 동안 보관하였다. 이후, 0, 1, 2, 3 및 4일째에 가속노화시킨 프라이머 및 프로브를 이용하여 각각 2회씩 실험예 1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간 PCR을 수행하였다. 이때, 사용된 병원체 또는 독소는 실험예 1에서 도출한 최소검출한계의 5배, 25배 또는 100배의 농도로, 역전사효소의 변성을 방지하기 위해 가속노화반응을 시키지 않고 첨가하였다. 각 시료의 평균 Ct값과 0일째 Ct값의 차이를 계산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에서 제작한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는 365일의 안정성을 보였다.
1000: 핵산 증폭 장치 110: 제 1 열 블록
120: 제 2 열 블록 200: 칩 홀더
210: 제 1 플레이트 212: 제 1 연결 부재
214: 관통부 230: 제 2 플레이트
232: 제 2 연결 부재 234: 관통부
250: 탄성 연결부 300: 구동부
310: 가이드부 312: 함몰 공간
314: 저면 400: PCR 칩
600: PCR 칩 케이스 610: 상판
612: 수용 공간 614: 개방 영역
616: 지지부 630: 하판
632: 수용 공간 634: 개방 영역
650: 결합 부재 700: 밀폐부
710: 덮개부 730: 돌출부
750: 수용 영역
<110>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MICO BIOMED CO., LTD. <120> METHOD OF TESTING GENES IN REAL-TIME PCR FOR RAPID DETECTING ELEVEN SPECIES OF HIGH RISK PHATOGENS AND TOXINS COMPRISING COXIELLA BURNETII <130> 19P0455 <160> 36 <170> KoPatentIn 3.0 <210> 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400> 1 catcacattg ccgcgtttac 20 <210> 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400> 2 ggttggtccc tcgacaacat 20 <210> 3 <211> 2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400> 3 aatccccaac aacacctcct tattcccac 29 <210> 4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400> 4 cgaattgtcg ttggactttc ttc 23 <210> 5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400> 5 gcgagcgtac taacgggaat c 21 <210> 6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400> 6 catccagcga cgcatcgggc 20 <210> 7 <211> 1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400> 7 cgccagcttt cgcgtt 16 <210> 8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400> 8 agatacccct tggagggata cc 22 <210> 9 <211> 2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400> 9 ttaacggctt tgtcggtcaa gggcat 26 <210> 10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400> 10 ccggaagata tgcttcgatc c 21 <210> 11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400> 11 caaggttgtt raaggagaac ag 22 <210> 12 <211> 2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400> 12 tgctcatctg taaggcttcg tctgct 26 <210> 13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400> 13 gcggcttttc tatcacggta ttc 23 <210> 14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400> 14 catgcgctat gatctggtta cg 22 <210> 15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400> 15 cgctcatgct cgccagactt caatg 25 <210> 16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400> 16 tcgcatcggc agtttcaa 18 <210> 17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400> 17 ccagcttttg gccttttcc 19 <210> 18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400> 18 cctcggcatg gcccgcaa 18 <210> 19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400> 19 gccaaatatc catgcgggaa g 21 <210> 20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400> 20 tgggcattct ctacggtgtg 20 <210> 21 <211> 3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400> 21 ttgcgctttt gtgatctttg cgctttatgg 30 <210> 22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400> 22 gctgaacaac agtgggctct t 21 <210> 23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400> 23 aaggcaatta tctcggtttt gc 22 <210> 24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400> 24 atgcagatgg ttcaatac 18 <210> 25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400> 25 gctggttcct caacgcttct gtg 23 <210> 26 <211> 2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400> 26 cgcgatcata aatacccaaa gattgattt 29 <210> 27 <211> 2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400> 27 tgaaacaacg gcaacctaca aagcag 26 <210> 28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400> 28 ttcggattgc tggctcatca 20 <210> 29 <211> 3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400> 29 aaatggatca ttcttatctt tagctttagc 30 <210> 30 <211> 3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400> 30 atccttttgc atgtattagc actggtattg catca 35 <210> 3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400> 31 tgcttcatgg gcaatgtctg 20 <210> 32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400> 32 ttgagcataa aactgccctg ct 22 <210> 33 <211> 2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400> 33 cgctggatta tcaaaagaat tagcacg 27 <210> 34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400> 34 cgttatttta cgggtgtgcc a 21 <210> 35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400> 35 cagaattttc gcggaaaatc a 21 <210> 36 <211> 3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400> 36 catattcacc ttttcaggcg ttttgaccgt 30

Claims (11)

  1. 검체로부터 채취한 시료로부터 DNA를 분리하는 단계;
    분리된 DNA에 하기 프라이머 세트를 처리하여 표적 서열을 증폭시키는 단계; 및
    증폭된 산물에서 고위험 병원체 또는 독소의 존재 유무를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프라이머 세트는,
    서열번호 1 및 서열번호 2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큐열균(Coxiella burnetii)을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와,
    서열번호 4 및 서열번호 5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유비저균(Burkholderia pseudomallei)을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7 및 서열번호 8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비저균(Burkholderia mallei)을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10 및 서열번호 11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브루셀라균(Brucella spp.)을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13 및 서열번호 14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소 브루셀라균(Brucella abortus)을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16 및 서열번호 17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양 브루셀라균(Brucella melitensis)을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19 및 서열번호 20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돼지 브루셀라균(Brucella suis)을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22 및 서열번호 23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리신 독소(Ricin)를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25 및 서열번호 26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콜레라균(Vibrio cholerae)을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28 및 서열번호 29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발진티푸스균(Rickettsia prowazekii)을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및
    서열번호 31 및 서열번호 32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발진열균(Rickettsia typhi)을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는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것인, 고위험 병원체 또는 독소를 신속하게 검출하기 위한 실시간 유전자 시험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열을 증폭시키는 단계는,
    핵산 증폭 장치에서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을 이용하여 수행되고,
    상기 핵산 증폭 장치는,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열 블록;
    샘플 용액이 주입되는 유입부; 상기 샘플 용액의 PCR 반응이 수행되는 반응 챔버; 및 상기 샘플 용액이 배출되는 유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열 블록과 순차적으로 접촉하면서 내부에 상기 샘플 용액의 PCR 반응이 수행되는 PCR 칩;
    상기 PCR 칩이 장착되고, 상기 PCR 칩이 상기 복수의 열 블록과 순차적으로 접촉하도록 상기 PCR 칩을 이동시키는 칩 홀더; 및
    상기 칩 홀더를 이동시키고, 상기 칩 홀더의 이동 방향을 가이드하는 구동부; 를 포함하는, 고위험 병원체 또는 독소를 신속하게 검출하기 위한 실시간 유전자 시험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칩 홀더는,
    상기 복수의 열 블록 사이에서 수평 이동하는 제 1 플레이트; 상기 PCR 칩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 2 플레이트; 및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플레이트를 상하 방향으로 연결하는 탄성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연결부는, 상기 제 2 플레이트에 탄성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 2 플레이트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복수의 열 블록과 순차적으로 접촉하게 하는, 고위험 병원체 또는 독소를 신속하게 검출하기 위한 실시간 유전자 시험 방법.
  4. 서열번호 1 및 서열번호 2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큐열균(Coxiella burnetii)을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와,
    서열번호 4 및 서열번호 5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유비저균(Burkholderia pseudomallei)을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7 및 서열번호 8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비저균(Burkholderia mallei)을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10 및 서열번호 11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브루셀라균(Brucella spp.)을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13 및 서열번호 14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소 브루셀라균(Brucella abortus)을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16 및 서열번호 17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양 브루셀라균(Brucella melitensis)을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19 및 서열번호 20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돼지 브루셀라균(Brucella suis)을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22 및 서열번호 23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리신 독소(Ricin)를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25 및 서열번호 26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콜레라균(Vibrio cholerae)을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28 및 서열번호 29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발진티푸스균(Rickettsia prowazekii)을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및
    서열번호 31 및 서열번호 32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발진열균(Rickettsia typhi)을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는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것인, 고위험 병원체 또는 독소 검출용 조성물.
  5. 삭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서열번호 3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프로브와,
    서열번호 6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프로브; 서열번호 9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프로브; 서열번호 12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프로브; 서열번호 15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프로브; 서열번호 18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프로브; 서열번호 21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프로브; 서열번호 24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프로브; 서열번호 27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프로브; 서열번호 30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프로브; 및 서열번호 33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프로브;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며, 상기 프라이머 세트에 대응되는 프로브를 포함하는, 고위험 병원체 또는 독소 검출용 조성물.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는,
    5‘말단과 3’말단에 각각 형광물질과 소광제를 포함하고,
    각각의 프로브의 5' 말단에 포함된 형광물질이 모두 동일한, 고위험 병원체 또는 독소 검출용 조성물.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형광물질은,
    6-FAM(6-carboxyfluorescein), 5-FAM(5-carboxyfluorescein), 헥사클로로-6-카르복시플루오레세인(Hexachloro-6-carboxyfluorescein), 테트라클로로-6-카르복시플루오레세인(Tetrachloro-6-carboxyfluorescein), HEX(2',4',5',7'-tetrachloro-6-carboxy-4,7-dichlorofluorescein), 플루오레신클로로트리아지닐(Fluorescein chlorotriazinyl), 로다민그린(Rhodamine green), 로다민레드(Rhodamine red), 테트라메틸로다민(Tetramethylrhodamine), FITC(Fluorescein isothiocyanate), 오레곤그린(Oregon green), 알렉사플루오로(Alexa fluor), JOE(6-Carboxy-4',5'-Dichloro-2',7'-Dimethoxyfluorescein), ROX(6-Carboxyl-X-Rhodamine), TET(Tetrachloro-Fluorescein), TRITC(Tertramethylrodamine isothiocyanate), TAMRA(6-carboxytetramethyl-rhodamine), NED(N-(1-Naphthyl) ethylenediamine), 텍사스레드(Texas red), Cy3(Cyanine-3) 및 Cy5(Cyanine-5)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고위험 병원체 또는 독소 검출용 조성물.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소광제는,
    BHQ1(Black hole quencher 1), BHQ2(Black hole quencher 2), BHQ3(Black hole quencher 3), TAMRA(6-carboxytetramethyl-rhodamine), NFQ(Nonfluorescent quencher), 답실(Dabcyl), Eclipse, DDQ(Deep Dark Quencher), 블랙베리퀸처(Blackberry Quencher), 아이오와블랙(Iowa black)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고위험 병원체 또는 독소 검출용 조성물.
  10. 프라이머 세트; 및 증폭 반응을 수행하기 위한 시약을 포함하고,
    상기 프라이머 세트는,
    서열번호 1 및 서열번호 2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큐열균(Coxiella burnetii)을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와,
    서열번호 4 및 서열번호 5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유비저균(Burkholderia pseudomallei)을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7 및 서열번호 8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비저균(Burkholderia mallei)을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10 및 서열번호 11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브루셀라균(Brucella spp.)을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13 및 서열번호 14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소 브루셀라균(Brucella abortus)을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16 및 서열번호 17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양 브루셀라균(Brucella melitensis)을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19 및 서열번호 20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돼지 브루셀라균(Brucella suis)을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22 및 서열번호 23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리신 독소(Ricin)를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25 및 서열번호 26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콜레라균(Vibrio cholerae)을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28 및 서열번호 29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발진티푸스균(Rickettsia prowazekii)을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및
    서열번호 31 및 서열번호 32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발진열균(Rickettsia typhi)을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는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것인, 고위험 병원체 또는 독소 검출용 키트.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키트는 실시간 PCR(real-time PCR)용 키트인, 고위험 병원체 또는 독소 검출용 키트.
KR1020190092752A 2019-07-30 2019-07-30 큐열균을 포함하는 고위험 병원체 또는 독소 11종을 신속하게 검출하기 위한 실시간 유전자 시험 방법 KR102200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752A KR102200940B1 (ko) 2019-07-30 2019-07-30 큐열균을 포함하는 고위험 병원체 또는 독소 11종을 신속하게 검출하기 위한 실시간 유전자 시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752A KR102200940B1 (ko) 2019-07-30 2019-07-30 큐열균을 포함하는 고위험 병원체 또는 독소 11종을 신속하게 검출하기 위한 실시간 유전자 시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0940B1 true KR102200940B1 (ko) 2021-01-13

Family

ID=74142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2752A KR102200940B1 (ko) 2019-07-30 2019-07-30 큐열균을 포함하는 고위험 병원체 또는 독소 11종을 신속하게 검출하기 위한 실시간 유전자 시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094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8167A (ko) 2021-03-12 2022-09-20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큐열 진단용 조성물 및 실시간 pcr을 이용한 큐열 진단방법
KR102467600B1 (ko) 2022-05-13 2022-11-16 국방과학연구소 독소작용제 검출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를 이용한 독소작용제의 검출방법
KR20230100894A (ko) 2021-12-29 2023-07-06 대한민국(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장) 큐열균의 is1111 유전자 검출용 조성물 및 검출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0950A (ko) * 2008-03-21 2009-09-24 경상북도(가축위생시험소) 실시간 pcr을 이용한 브루셀라 속 균주의 검출 방법
KR20140116339A (ko) * 2013-03-22 2014-10-02 나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식중독 검출용 프라이머 세트, 이를 이용한 pcr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식중독 검출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0950A (ko) * 2008-03-21 2009-09-24 경상북도(가축위생시험소) 실시간 pcr을 이용한 브루셀라 속 균주의 검출 방법
KR20140116339A (ko) * 2013-03-22 2014-10-02 나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식중독 검출용 프라이머 세트, 이를 이용한 pcr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식중독 검출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Genbank accession no. CP017239 *
GenBank accession No.CP033513 (2018.11.11.)*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8167A (ko) 2021-03-12 2022-09-20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큐열 진단용 조성물 및 실시간 pcr을 이용한 큐열 진단방법
KR20230100894A (ko) 2021-12-29 2023-07-06 대한민국(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장) 큐열균의 is1111 유전자 검출용 조성물 및 검출방법
KR102467600B1 (ko) 2022-05-13 2022-11-16 국방과학연구소 독소작용제 검출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를 이용한 독소작용제의 검출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0925B1 (ko) 보툴리눔균 (독소 a형)을 포함하는 생물테러 병원체 또는 그의 아형 병원체 15종을 신속하게 검출하기 위한 실시간 유전자 시험방법
CN107385040B (zh) 用于扩增多个靶标的扩增子拯救多重聚合酶链式反应
CN103946397B (zh) 用于通用实时多重分析检测的双功能寡核苷酸探针
KR102200940B1 (ko) 큐열균을 포함하는 고위험 병원체 또는 독소 11종을 신속하게 검출하기 위한 실시간 유전자 시험 방법
JP2009523458A (ja) 生物サンプル中の微生物の存在の高スループット試験
WO2007114518A1 (en) Probe, probe set, probe-immobilized carrier, and genetic testing method
WO2007114507A1 (en) Probe, probe set, probe-immobilized carrier, and genetic testing method
CN108690881A (zh) 用于诊断皮肤癣菌病的测定法
US10538805B2 (en) Quantitative multiplexed identification of nucleic acid targets
EP2014775B1 (en) Method for the detection of bacterial species of the genera Anaplasma/Ehrlichia and Bartonella
WO2009087685A2 (en) Method for detection of hepatitis nucleic acid and uses thereof
CA2775273A1 (en) Composition, method and kit for detecting bacteria by means of sequencing
KR20090100950A (ko) 실시간 pcr을 이용한 브루셀라 속 균주의 검출 방법
KR102274011B1 (ko) 결핵균 및 비결핵항산균을 동시에 감별하여 검출할 수 있는 고감도 다중 등온증폭반응용 프라이머 세트
WO2005030027A2 (en) Salmonella detection identification
JP2003144153A (ja) 遺伝子検出方法、遺伝子検出用プライマー、dnaマイクロアレイ及び遺伝子検出用キット
JP6873903B2 (ja) 強毒型クロストリジウムディフィシル株の存在を検出するための方法
JP2008161170A (ja) 高感度なサルモネラ属菌検出用オリゴヌクレオチド、それを用いた検出方法および検出キット
KR20200048082A (ko) 쯔쯔가무시균 감염 질환 진단용 키트
KR102572368B1 (ko)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1형 및 3형 동시 감별 검출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JP5137441B2 (ja) プローブセット、プローブ固定担体及び検査方法
JP5137443B2 (ja) プローブセット、プローブ固定担体及び遺伝子検査方法
JP5089223B2 (ja) プローブセット、プローブ固定担体及び検査方法
JP5094181B2 (ja) プローブセット、プローブ固定担体及び検査方法
JP5137442B2 (ja) プローブセット、プローブ固定担体及び検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