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0800B1 -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0800B1
KR102200800B1 KR1020140127197A KR20140127197A KR102200800B1 KR 102200800 B1 KR102200800 B1 KR 102200800B1 KR 1020140127197 A KR1020140127197 A KR 1020140127197A KR 20140127197 A KR20140127197 A KR 20140127197A KR 102200800 B1 KR102200800 B1 KR 1022008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liquid crystal
electrode
power wiring
crystal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7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5714A (ko
Inventor
신미나
최성욱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27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0800B1/ko
Publication of KR20160035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57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0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08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04Arrangements to prevent high voltage or static electricity fail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quid Crystal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조공정 중 발생하는 정전기를 방지하기 위하여, 표시부영역과 패드부영역으로 이루어진 제1기판; 상기 제1기판 상에 소정 간격 이격되며 각각 형성되는 접지전극 및 전원배선; 상기 접지전극 및 전원배선 상부에 접지전극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접지콘택홀을 가지며 형성되는 게이트절연막 및 보호막; 상기 보호막 상부 및 패드부 영역에 상기 접지콘택홀을 통해 접지전극과 연결되며 형성되는 제1투명전극;
상기 제1기판과 서로 대향하는 제2기판; 상기 제1기판 및 제2기판 사이에 형성되는 액정층; 상기 제1기판과 마주하지 않는 상기 제2기판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2투명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투명전극은 도전성패턴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터치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는 하부기판, 상부기판, 및 상기 양 기판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전계 인가 유무에 따라 액정층의 배열이 조절되고 그에 따라 광의 투과도가 조절되어 화상이 표시되는 장치이다.
한편, 노트북 컴퓨터 등과 같이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액정표시장치가 개발되었고, 그와 같은 액정표시장치에는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해서 센싱 전극과 같은 위치감지소자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위치감지소자가 구비된 액정표시장치는 위치감지방식에 따라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자계 방식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상기 저항막 방식은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압력으로 발생하는 전류량 변화를 감지하는 방식이고, 상기 정전용량 방식은 사용자의 터치시 발생하는 커패시턴스 변화를 감지하는 방식이고, 상기 자계방식은 자계를 인가한 상태에서 선택된 위치를 전압의 변화로써 감지하는 방식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종래의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액정표시장치는 상부기판(50), 하부기판(10), 및 상기 상부기판(50)과 하부기판(10)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기판(50)의 일면,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하부기판(10)과 대향하는 상기 상부기판(50)의 일면에는 빛샘을 방지하기 위한 차광층(1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차광층(12) 사이의 영역에는 색상 구현을 위한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의 컬러필터층(14)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컬러필터층(14) 상에는 기판 평탄화를 위한 오버 코트층(1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기판(10) 일면,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상부기판(50)과 대향하는 상기 하부기판(10)의 일면에는 스위칭 소자로서 박막 트랜지스터(미도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미도시)와 연결되는 화소전극이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화소전극과 함께 횡전계를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화소전극과 평행하게 배열된 공통전극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액정표시장치의 제조 공정 과정에서 기판이 다수의 공정장비 및 운송장비와의 접촉하게 되는데 그때에 기판에 정전기가 발생하여 회로들간 쇼팅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제조공정 중 발생하는 정전기를 방지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표시부영역과 패드부영역으로 이루어진 제1기판과 상기 제1기판 상에 소정 간격 이격되며 각각 형성되는 접지전극 및 전원배선과 상기 접지전극 및 전원배선 상부에 접지전극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접지콘택홀을 가지며 형성되는 게이트절연막 및 보호막과 상기 보호막 상부 및 패드부 영역에 상기 접지콘택홀을 통해 접지전극과 연결되며 형성되는 제1투명전극과 상기 제1기판과 서로 대향하는 제2기판과 상기 제1기판 및 제2기판 사이에 형성되는 액정층과 상기 제1기판과 마주하지 않는 상기 제2기판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2투명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투명전극은 도전성패턴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전원배선은 공통전압 전달배선 또는 접지전압 전달배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원배선은 상기 표시부영역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지전극 및 전원배선은 500㎛ 이상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전성패턴은 은 페이스트(Ag paste)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기판 또는 제2기판 중 어느 하나의 기판 상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싱 전극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투명전극은 상기 센싱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투명전극은 개구부를 가지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1기판에 형성된 다수의 전원배선의 배치를 변경하거나 표시부영역 안쪽에 형성함으로써 제조공정 중 발생하는 정전기로 인한 쇼트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액정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3의 Ⅳ-Ⅳ의 절단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액정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7은 도6의 Ⅶ-Ⅶ의 절단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액정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액정표시장치는 제1기판(100), 제2기판(150), 및 상기 제1기판(100)과 제2기판(150)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1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2기판(150)의 일면,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기판(100)과 대향하는 상기 제2기판(150)의 일면에는 빛샘을 방지하기 위한 차광층(11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차광층(112) 사이의 영역에는 색상 구현을 위한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의 컬러필터층(114)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컬러필터층(114) 상에는 기판 평탄화를 위한 오버 코트층(11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기판(100) 일면,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2기판(150)과 대향하는 상기 제1기판(100)의 일면에는 스위칭 소자로서 박막 트랜지스터(미도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미도시)와 연결되는 화소전극이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화소전극과 함께 횡전계를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화소전극과 평행하게 배열된 공통전극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기판(150)의 타면,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기판(100)과 마주하지 않는 상기 제2기판(150)의 타면에 제2투명전극(180)이 형성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4는 도3의 Ⅳ-Ⅳ의 절단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제1기판(100)과 제2기판(150)이 서로 대향하여 마주보며 있으며, 제1기판(100)의 가장자리에는 패드부가 형성되어야 하므로 제2기판(150)보다 패드부 영역(PA)만큼 크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제1 및 제2기판(100, 150)이 중첩되는 표시부 영역(AA)과 패드부가 형성되는 패드부영역(PA)으로 나눌 수 있다.
또한, 표시부 영역(AA)과 패드부 영역(PA)의 경계부에는 도전성패턴(190)이 형성되어 제1 및 제2 투명전극(130, 180)을 서로 연결한다.
다음,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표시부영역(AA)과 패드부영역(PA)으로 이루어진 제1기판(100)은 상기 제1기판(100) 상에 소정 간격 이격되며 각각 형성되는 접지전극(110) 및 전원배선(115)과, 상기 접지전극(110) 및 전원배선(115) 상부에 접지전극(110)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접지콘택홀(ch)을 가지며 형성되는 게이트절연막 및 보호막(120, 125)과, 상기 보호막(125) 상부 및 패드부 영역(PA)에 상기 접지콘택홀(ch)을 통해 접지전극(110)과 연결되며 형성되는 제1투명전극(130)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1기판(100)과 서로 대향하는 제2기판(150)은, 상기 제1기판(100)과 마주하지 않는 상기 제2기판(150)의 타면에 제2투명전극(180)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접지전극(110)과 전원배선(115)은 동일물질로서 도전성물질로 이루어지며 동일층에 형성되고, 제1 및 제2투명전극(130, 180)은 투명 도전성 물질 예를들면 인듐-틴-옥사이드(ITO) 또는 인듐-징크-옥사이드(IZO)로 이루어지며 서로 다른층에 형성된다.
한편, 전원배선(115)은 표시부영역(AA)으로부터 패드부영역(PA)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며, 도전성패턴(190) 하부에 형성 된다.
또한, 상기 제1기판(100) 및 제2기판(150) 사이에 액정층(170)이 개재되어 씰패턴(135)에 의해 봉지된다.
특히, 상기 제1 및 제2투명전극(도4의 130, 도4의 180)은 도전성패턴(190)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도전성패턴(290)은 은 페이스트(Ag paste)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와 달리, 도전성 접착테이프 등과 같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따라서, 제1기판(100)의 제1투명전극(130)은 접지전극(110)과 연결되어 있고, 제2기판(150)의 제2투명전극(180)은 제1투명전극(130)을 통해 접지전극(110)과 연결됨으로써, 제조공정 중 발생하는 정전기를 방지 할 수 있다.
또한, 제1기판(100) 및 제2기판(150) 중 어느 하나의 기판 상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싱 전극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제2투명전극(180)이 센싱전극을 이룰 수 있으며, 상기 제2기판(150)의 일면 전체에 형성되지 않고 일정 형상 예를 들면 개구부를 갖는 형상으로 패턴화됨으로써 사용자의 터치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제2기판(150)의 일면에 소정 형상으로 제1투명전극(180)을 형성하게 되면, 제2기판(150)의 일면 전체에 투명전극층을 형성하는 경우에 비하여 액정표시장치의 센싱 전극에서의 터치감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액정표시장치는 전원배선(115)이 공통전압 전달배선(Vcom) 또는 접지전압 전달배선(GND)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전원배선(115)은 공통전압 전달배선(Vcom), 로우 및 하이 게이트전압 전달배선(Vgl, Vgh), 접지전압 전달배선(GND) 등 다수가 있으며, 이 때, 접지전극의 전압 0V를 기준으로, 다수의 전압 전달배선 중 공통전압 전달배선(Vcom)의 전압은 약 6V, 로우 및 하이 게이트전압 전달배선(Vgl, Vgh)의 전압은 약 ±7V이다.
또한, 정전기 발생 시 전하가 제2투명전극(180) 상에 수만 볼트(V)로 대전되며, 정전기는 제2투명전극(180)과 전위차가 큰 전극 또는 배선 쪽으로 방전하게 된다.
따라서, 전원배선(115)이 표시부영역(AA)으로부터 패드부영역(PA)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며, 도전성패턴(190) 하부에 형성 되고, 다수의 전원배선(115) 중 공통전압 전달배선(Vcom) 또는 접지전압 전달배선(GND)을 전원배선(115)으로 형성한 경우에는 정전기가 도전성패턴(190)을 통해 제2투명전극(180)과 전위차가 큰 접지전극(110)으로 방전된다.
반면, 전원배선(115)은 표시부영역(AA)으로부터 패드부영역(PA)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며, 도전성패턴(190) 하부에 형성 되고, 다수의 전원배선(115) 중 로우 게이트전압 전달배선(Vgl)을 전원배선(115)으로 형성한 경우에, 정전기가 도전성패턴(190)을 통해 접지전극(110)으로 방전되지 않고, 접지전극(110)보다 제2투명전극(180)과의 전위차가 더 큰 로우 게이트전압 전달배선(Vgl, 115) 쪽으로 방전됨에 따라, 도전성패턴(190) 및 로우 게이트전압 전달배선(Vgl, 115)의 쇼트 불량을 일으킬 수 있다.
<제 2 실시예>
도 5는 본발명의 제2실시예의 액정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발명의 제2실시예의 액정표시장치는 제1기판(200), 제2기판(250), 및 상기 제1기판(200)과 제2기판(250)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2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2기판(250)의 일면,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기판(200)과 대향하는 상기 제2기판(250)의 일면에는 빛샘을 방지하기 위한 차광층(21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차광층(212) 사이의 영역에는 색상 구현을 위한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의 컬러필터층(214)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컬러필터층(214) 상에는 기판 평탄화를 위한 오버 코트층(21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기판(200) 일면,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2기판(250)과 대향하는 상기 제1기판(200)의 일면에는 스위칭 소자로서 박막 트랜지스터(미도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미도시)와 연결되는 화소전극이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화소전극과 함께 평행한 전계를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화소전극과 평행하게 배열된 공통전극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기판(200)과 마주하지 않는 상기 제2기판(250)의 타면에 제2투명전극(280)이 형성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7은 도6의 Ⅶ-Ⅶ의 절단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제1기판(200)과 제2기판(250)이 서로 대향하여 마주보며 있으며, 제1기판(200)의 가장자리에는 패드부가 형성되어야 하므로 제2기판(250)보다 패드부 영역(PA)만큼 크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제1 및 제2기판(200, 250)이 중첩되는 표시부 영역(AA)과 패드부가 형성되는 패드부영역(PA)으로 나눌 수 있다.
또한, 표시부 영역(AA)과 패드부영역(PA)의 경계부에는 도전성패턴(290)이 형성되어 제1 및 제2투명전극(도7의 230, 도7의 280)을 서로 연결한다.
다음,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표시부영역(AA)과 패드부영역(PA)으로 이루어진 제1기판(200)은 상기 제1기판(200) 상에 소정 간격 이격되며 각각 형성되는 접지전극(210) 및 전원배선(215)과, 상기 접지전극(210) 및 전원배선(215) 상부에 접지전극(210)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접지콘택홀(ch)을 가지며 형성되는 게이트절연막 및 보호막(220, 225)과, 상기 보호막(225) 상부 및 패드부 영역(PA)에 상기 접지콘택홀(ch)을 통해 접지전극(210)과 연결되며 형성되는 제1투명전극(230)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1기판(200)과 서로 대향하는 제2기판(250)은, 상기 제1기판(200)과 마주하지 않는 상기 제2기판(250)의 타면에 제2투명전극(280)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제1접지전극(210)과 전원배선(215)은 동일물질로서 도전성물질로 이루어지며 동일층에 형성되고, 제1 및 제2 투명전극(230, 280)은 투명 도전성 물질 예를들면 인듐-틴-옥사이드(ITO) 또는 인듐-징크-옥사이드(IZO)로 이루어지며 서로 다른층에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액정표시장치는 전원배선(215)이 표시부영역(AA) 및 제2기판(250) 하부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기판(200) 및 제2기판(250) 사이에 액정층(270)이 개재되어 씰패턴(235)에 의해 봉지된다.
특히, 상기 제1 및 제2투명전극(230, 280)은 도전성패턴(290)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제1기판(200)의 제1투명전극(230)은 접지전극(210)과 연결되어 있고, 제2기판(250)의 제2투명전극(280)은 제1투명전극(230)을 통해 접지전극(210)과 연결됨으로써, 제조공정 중 발생하는 정전기를 방지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액정표시장치는 전원배선(215)은 공통전압 전달배선(Vcom), 로우 및 하이 게이트전압 전달배선(Vgl, Vgh), 접지전압 전달배선(GND)일 수 있다.
한편, 전원배선(215)은 공통전압 전달배선(Vcom), 로우 및 하이 게이트전압 전달배선(Vgl, Vgh), 접지전압 전달배선(GND) 등 다수가 있으며, 이 때, 접지전극의 전압 0V를 기준으로, 다수의 전압 전달배선 중 공통전압 전달배선(Vcom)의 전압은 약 6V, 로우 및 하이 게이트전압 전달배선(Vgl, Vgh)의 전압은 약 ±7V이다.
또한, 정전기 발생 시 전하가 제2투명전극(280) 상에 수만 볼트(V)로 대전되며, 정전기는 제2투명전극(280)과 전위차가 큰 전극 또는 배선 쪽으로 방전하게 된다.
따라서, 전원배선(215)은 표시부영역(AA)의 제2기판(250) 하부에만 형성되고, 도전성패턴(190) 하부에는 형성 되지 않기 때문에, 다수의 전원배선(215) 중 로우 게이트전압 전달배선(Vgl)을 전원배선(215)으로 형성한 경우에도, 정전기가 접지전극(210)보다 제2투명전극(280)과의 전위차가 더 큰 로우 게이트전압 전달배선(Vgl, 215) 쪽으로 방전되지 않고, 도전성패턴(290)을 통해 접지전극(210)으로 방전되어, 도전성패턴(290) 및 로우 게이트전압 전달배선(Vgl, 215)의 쇼트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전원배선(215)을 공통전압 전달배선(Vcom) 또는 접지전압 전달배선(GND)으로 형성한 경우 더 큰 효과를 이룰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액정표시장치는 접지전극(210) 및 전원배선(215)은 500㎛ 이상 이격되어 표시부영역(AA)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도전성패턴(290)은 은 페이스트(Ag paste)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와 달리, 도전성 접착테이프 등과 같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이 때, 정전기로 인해 도전성패턴(290) 하부의 게이트절연막 및 보호막(220, 225)에 미세균열이 생길 수 있고, 도전성패턴(290)이 은 페이스트(Ag paste)로 이루어진 경우 정전기로 인해 상기 미세균열 사이로 녹아 흘러 내릴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세균열이 전원배선(215)에까지 발생한 경우 미세균열 사이로 은 페이스트(Ag paste)로 이루어진 도전성패턴(290)이 침투하여, 도전성패턴(290)과 전원배선(215)이 쇼트되는 불량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액정표시장치의 접지전극(210) 및 전원배선(215)은 500㎛ 이상 이격되어 표시부영역(AA)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기판(200) 및 제2기판(250) 중 어느 하나의 기판 상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싱 전극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제2투명전극(280)이 센싱전극을 이룰 수 있으며, 상기 제2기판(250)의 일면 전체에 형성되지 않고 일정 형상 예를 들면 개구부를 갖는 형상으로 패턴화됨으로써 사용자의 터치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제2기판(250)의 일면에 일정 형상 예를 들면 개구부를 갖는 형상으로 제2투명전극(280)을 형성하게 되면, 제2기판(250)의 일면 전체에 투명전극층을 형성하는 경우에 비하여 액정표시장치의 센싱 전극에서의 터치감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이상 다양한 변화와 변형이 가능하다.
200 : 제1기판
250 : 제2기판
270 : 액정층
110, 210 : 접지전극
115, 215 : 전원배선
130, 230 : 제1투명전극
180, 280 : 제2투명전극
190, 290 : 도전성패턴

Claims (7)

  1. 표시부영역과 패드부영역으로 이루어진 제1기판;
    상기 제1기판 상에 소정 간격 이격되며 각각 형성되는 접지전극 및 전원배선;
    상기 접지전극 및 전원배선 상부에 접지전극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접지콘택홀을 가지며 형성되는 게이트절연막 및 보호막;
    상기 보호막 상부 및 패드부 영역에 상기 접지콘택홀을 통해 접지전극과 연결되며 형성되는 제1투명전극;
    상기 제1기판과 서로 대향하는 제2기판;
    상기 제1기판 및 제2기판 사이에 형성되는 액정층;
    상기 제1기판과 마주하지 않는 상기 제2기판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2투명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투명전극은 도전성패턴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표시부영역은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이 중첩되어 정의되며, 상기 패드부영역은 상기 제 1 기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정의되며,
    상기 전원배선과 상기 접지전극은 상기 게이트절연막 및 상기 보호막 하부로 동일층에 위치하며,
    상기 전원배선은 상기 표시부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접지전극은 상기 패드부영역에 위치하는 액정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배선은 공통전압 전달배선 또는 접지전압 전달배선이며,
    상기 전원배선은 상기 패드부영역으로 일부가 연장되어, 상기 전원배선과 상기 접지전극은 제 1 간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배선은 로우 게이트전압 전달배선이며,
    상기 전원배선과 상기 접지전극은 상기 제 1 간격 보다 넓은 제 2 간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패턴은 은 페이스트(Ag paste)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판 또는 제2기판 중 어느 하나의 기판 상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싱 전극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투명전극은 상기 센싱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투명전극은 개구부를 가지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0140127197A 2014-09-23 2014-09-23 액정표시장치 KR1022008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7197A KR102200800B1 (ko) 2014-09-23 2014-09-23 액정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7197A KR102200800B1 (ko) 2014-09-23 2014-09-23 액정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5714A KR20160035714A (ko) 2016-04-01
KR102200800B1 true KR102200800B1 (ko) 2021-01-11

Family

ID=55799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7197A KR102200800B1 (ko) 2014-09-23 2014-09-23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08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1213B1 (ko) * 2016-06-22 2023-12-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69791A (ja) * 2009-01-21 2010-08-05 Seiko Instruments Inc 液晶表示装置
JP2014149387A (ja) * 2013-01-31 2014-08-21 Toppan Printing Co Ltd 液晶表示装置及びカラーフィルタ基板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7065B1 (ko) * 2006-01-23 2013-05-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69791A (ja) * 2009-01-21 2010-08-05 Seiko Instruments Inc 液晶表示装置
JP2014149387A (ja) * 2013-01-31 2014-08-21 Toppan Printing Co Ltd 液晶表示装置及びカラーフィルタ基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5714A (ko) 2016-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61792B (zh) 具有內建觸控螢幕面板的液晶顯示器
US9791991B2 (en) Display device with a built-in touch panel
JP5154316B2 (ja) タッチパネル
US9507471B2 (en) Array substrate, color filter substrate, touch contro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101319347B1 (ko) 터치 패널 일체형 액정 표시 장치
US8692948B2 (en) Electric field shielding for in-cell touch type thin-film-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s
KR20090075369A (ko) 표시 패널
CN108572757B (zh) 触控面板及其制作方法、触控显示装置
JP5408681B2 (ja) 表示装置
JP6842927B2 (ja) タッチ検出装置及びタッチ検出機能付き表示装置
US20140204288A1 (en) Liquid-crystal display screen with touch-control func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apparatus
CN105139775A (zh) 一种内嵌式触控面板
CN107015685B (zh) 集成触摸屏面板的显示装置
US9753572B2 (en) Touch panel,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and touch display device
KR20150067564A (ko) 표시장치용 표시패널
TWI617960B (zh) 檢測裝置及顯示裝置
JP5905730B2 (ja) タッチパネル付液晶表示装置
KR20150058629A (ko) 터치 스크린이 내장된 액정표시장치
JP2012073669A (ja) タッチパネル及び画像表示装置
WO2016136664A1 (ja) タッチセンサ付き液晶表示装置
KR102200800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859469B1 (ko)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230843B1 (ko) 인셀 터치 액정 표시 장치
JP5373938B2 (ja) 表示装置
KR20150107271A (ko)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