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9963B1 - 퍼스널 모빌리티용 스탠드 장치 - Google Patents

퍼스널 모빌리티용 스탠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9963B1
KR102199963B1 KR1020200001323A KR20200001323A KR102199963B1 KR 102199963 B1 KR102199963 B1 KR 102199963B1 KR 1020200001323 A KR1020200001323 A KR 1020200001323A KR 20200001323 A KR20200001323 A KR 20200001323A KR 102199963 B1 KR102199963 B1 KR 102199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nd
board frame
footrest
present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1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희승
곽윤정
강동훈
Original Assignee
울산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울산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200001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99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9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99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1/00Supports or stands forming part of or attached to cycles
    • B62H1/02Articulated stands, e.g. in the shape of hinged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25/00Foot-rests; Knee grips; Passenger hand-grips
    • B62J25/04Floor-type foot 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5/00Electrical equipmen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as accessories on 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45/40Sensor arrangements; Mounting thereof
    • B62J45/41Sensor arrangements; Moun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2700/00Supports or stands for two-wheel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퍼스널 모빌리티용 스탠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복수개의 바퀴가 마련되는 보드 프레임의 상측에 이격되어 구비되고, 운전자의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상기 보드 프레임에 접촉되는 발판부와 ‘X’자 형태로 상기 발판부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단부가 지면에 접촉되어 상기 보드 프레임이 직립하도록 하는 스탠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탠드부는, 상기 운전자가 상기 발판부에 올라감에 따라 상기 발판부가 하강할 시, 회동하여 지면과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퍼스널 모빌리티용 스탠드 장치{Automatic stand for personal mobility}
본 발명은 퍼스널 모빌리티용 스탠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나 모터 등과 같은 전자제어방식이 아닌 사용자의 체중과 기계적 구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스탠드가 접히고 펼쳐질 수 있는 퍼스널 모빌리티용 스탠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 전동 킥보드 등과 같은 개인형 모빌리티에는 차체를 세워두기 위한 스탠드가 없거나, 사용자가 직접 킥 스탠드를 발로 차서 접거나 펼쳐야 한다. 즉, 모빌리티에 스탠드가 없는 경우, 사용자가 모빌리티를 잡고 있어야 하거나 벽이 있는 곳에 기대어야만 세워둘 수 있었다. 또한, 킥 스탠드가 있는 경우도, 출발전이나 도착 시 사용자가 직접 발로 접고 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사용자가 킥스탠드를 안 올리고 출발할 경우 파손이나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었다.
일례로,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027757호를 살펴보면, 세워서 보관이 가능하도록 발판의 일측면에 회동되는 지지수단이 구비된 킥보드에 관한 것으로, 그 구조는 후방에 하나의 후방바퀴가 구비되어 있는 발판과 이 발판의 전방에 하나의 전방바퀴가 구비되며 그 상부에 절첩이 용이한 수직축과 조향용핸들이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킥보드에 있어서, 상기 발판의 일측면에 소정의 각도로 회동되어 절첩이 가능하도록 된 지지수단이 구비되어 이루어지므로 상기 킥보드의 사용 후에 눕히거나 지지물에 기대놓는 등의 불필요한 수고를 없애주어 사용하던 상태 그대로 세워서 지지가 가능하므로 보관이 더욱 용이하고 간편해지는 효과가 제공되는 지지수단이 구비된 킥보드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장치의 경우, 사용자가 직접 발로 지지수단을 접고 펴야하는 번거로움은 여전히 남아 있으며, 사용자가 지지수단을 올리지 않은 상태로 출발할 경우 파손이나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있다. 또한, 지지수단이 차체의 한쪽에만 구비되어 차체를 세우더라도 한 쪽으로 치우쳐지기 마련이며, 외력에 의해 쉽게 넘어져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여전히 남아있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027757호(2001.05.02.)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배터리나 모터 등과 같은 전자제어방식이 아닌 사용자의 체중과 기계적 구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스탠드가 접히고 펼쳐질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용 스탠드 장치에 있어서, 복수개의 바퀴가 마련되는 보드 프레임의 상측에 이격되어 구비되고, 운전자의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상기 보드 프레임에 접촉되는 발판부와 ‘X’자 형태로 상기 발판부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단부가 지면에 접촉되어 상기 보드 프레임이 직립하도록 하는 스탠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탠드부는, 상기 운전자가 상기 발판부에 올라감에 따라 상기 발판부가 하강할 시, 회동하여 지면과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발판부는, 상기 발판부와 보드 프레임 사이에 구비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운전자가 상기 발판부에서 내려갈 시, 상기 발판부를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보드 프레임은, 상기 발판부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안착홈을 포함하고, 상기 발판부는, 하강 시,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스탠드부는, 상기 스탠드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는, 마찰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보드 프레임은, 상기 발판부가 상기 보드 프레임의 상측에 접촉되는지를 감지하는 근접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의 퍼스널 모빌리티용 스탠드 장치는, 모터나 배터리와 같은 전자장치를 추가하지 않고, 기계적 설계를 통해 모빌리티에 탑승 시 자동으로 스탠드가 올라가도록 하는데 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용 스탠드 장치는, 스탠드부가 하강한 상태로 모빌리티가 이동하여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하는데 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용 스탠드 장치는, 사용 후에 눕히거나 지지물에 기대놓는 등의 불필요한 수고를 없애주어 사용하던 상태 그대로 세워서 지지가 가능하므로 보관이 더욱 용이하고 간편해지는데 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용 스탠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용 스탠드 장치의 발판부가 이격된 상태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용 스탠드 장치의 발판부가 보드 프레임에 접촉된 상태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용 스탠드 장치의 발판부가 이격된 상태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용 스탠드 장치의 발판부가 이격된 상태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용 스탠드 장치의 발판부가 안착홈에 수용된 상태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용 스탠드 장치의 발판부가 이격된 상태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용 스탠드 장치의 발판부가 보드 프레임에 접촉된 상태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용 스탠드 장치의 스탠드부 상태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6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용 스탠드 장치의 발판부가 이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6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용 스탠드 장치의 발판부가 보드 프레임에 접촉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 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용 스탠드 장치에 있어서, 복수개의 바퀴(60)가 마련되는 보드 프레임(100)의 상측에 이격되어 구비되고, 운전자의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상기 보드 프레임(100)에 접촉되는 발판부(200)와 ‘X’자 형태로 상기 발판부(20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단부가 지면에 접촉되어 상기 보드 프레임(100)이 직립하도록 하는 스탠드부(3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탠드부(300)는 상기 운전자가 상기 발판부(200)에 올라감에 따라 상기 발판부(200)가 하강할 시, 회동하여 지면과 접촉되지 않도록 한다.
먼저, 상기 보드 프레임(100)이 마련된다. 상기 보드 프레임(100)은 상기 운전자가 올라타는 부분으로, 상기 보드 프레임(100)의 양측에는 상기 바퀴(60)가 각각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보드 프레임(100)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핸들 스템(71) 및 손잡이(72)로 구성되어 방향을 조정하는 핸들부(70)가 구비된다. 즉, 본 발명의 모빌리티용 자동 스탠드 장치에 있어서, 모빌리티는 소위 킥보드라 칭하는 주행용 보드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킥보드는 한쪽 발은 발판에 올려두고 다른쪽 발로는 지면을 박차면서 주행시켜 이동하는 어린이의 신체적 발육과 체력을 단련시킬 수 있는 하나의 놀이기구로서, 최근에는 어린이는 물론 성인들도 가까운 거리를 이동시에나 운동효과를 얻기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다음으로, 상기 발판부(200)가 마련된다. 상기 발판부(200)는 상기 보드 프레임(100)의 상측에 구비되며, 하기 스프링(210)에 의해 평시에는 상기 보드 프레임(100)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운전자가 상기 발판부(200) 위에 올라가면 상기 운전자의 자중에 의해 상기 발판부(200)는 하강하여 상기 보드 프레임(100)에 접촉된다. 즉, 상기 발판부(200)는 상기 발판부(200)와 보드 프레임(100) 사이에 구비되는 2개의 스프링(210)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210)은 상기 운전자가 상기 발판부(200)에서 내려갈 시, 상기 발판부(200)를 상승시킨다. 상기 스프링(210)은 상기 발판부(200)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운전자가 상기 발판부(200)에 올라가지 않은 상태일 때는 상기 발판부(200)가 상기 보드 프레임(100)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스프링(210)의 탄성력은 상기 모빌리티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잇을 정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판부(200)는 상기 스탠드부(300)가 지면과 평행한 방향(측방향)으로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홈(220)을 포함한다. 상기 안내홈(220)의 일측에는 상기 스탠드부(300)의 일부가 삽입되어 있는 형태로, 상기 안내홈(220)과 상기 안내홈(220)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스탠드부(300)의 일부는 용이하게 슬라이딩되어 미끄러져 이동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즉, 상기 안내홈(220)은 마찰력이 적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시 코팅을 통해 슬라이딩 이동이 용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홈(220)의 일측에는 상기 스탠드부(300)가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돌출된 단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안내홈(220)은 상기 스탠드부(300)의 회동 시, 상기 스탠드부(300)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안내홈(220)은 상기 스탠드부(30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로든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안내홈(220)은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고, 라운드지게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스탠드부(300)가 마련된다. 상기 스탠드부(300)는 상기 보드 프레임(100)의 양측에 각각 ‘X’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발판부(200)의 승강에 따라 회동된다. 즉,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스탠드부(300)는 상기 운전자가 상기 발판부(200)에 올라가 상기 발판부(200)가 하강하면, 회동하여 지면과 이격되는 상승상태가 된다. 또한,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스탠드부(300)는 상기 운전자가 상기 발판부(200)에서 내려가 상기 발판부(200)가 상승하면, 회동하여 지면에 접촉되는 하강상태가 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스탠드부(300)는 상기 안내홈(220)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안내홈(220)을 따라 측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축(320)과 상기 발판부(200)에 고정된 상태로 스탠드축(340)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고정축(310)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이동축(320)은 상기 발판부(200)의 하강 시, 상기 스탠드축(340)을 기준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안내홈(220)을 따라 측방향으로 일정거리만큼 이동한다. 또한, 상기 고정축(310)은 상기 발판부(200)의 하강 시, 상기 스탠드축(340)을 기준으로 회동한다. 이와 같이 상기 발판부(200)의 승강에 따라 상기 스탠드부(300)가 이동 및 회동함으로써, 상기 스탠드부(300)는 지면에서 이격되는 상승상태가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스탠드부(300)가 지면에서 이격되어 상승상태가 되면, 모빌리티는 주행 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보드 프레임(100)과 스탠드축(340) 사이의 거리가 0.5cm 미만일 때, 상기 발판부(200)와 보드 프레임(100) 사이의 거리는 1.5cm 내지 3cm로 형성된다. 상기 발판부(200)와 보드 프레임(100) 사이의 거리가 1.5cm 미만으로 형성되면, 상기 발판부(200)의 하강 시에 상기 스탠드축(340)이 충분히 회동하지 못하여 오르막길이나 내리막길의 경우와 같이 경사진 길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부(300)가 지면에 닿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발판부(200)와 보드 프레임(100) 사이의 거리가 3cm를 초과하여 형성되면, 상기 운전자가 상기 발판부(200)에 올라갈 때, 상기 발판부(200)가 하강하는 폭이 넓어 균형을 잡지 못하게 되어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발판부(200)와 보드 프레임(100) 사이의 거리는 1.5cm 내지 3cm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탠드축(340)과 지면 사이의 거리는 10cm 내지 20cm로 형성된다. 상기 스탠드축(340)과 지면 사이의 거리가 10cm 미만으로 형성되면, 상기 발판부(200)의 하강 시에 상기 스탠드축(340)이 충분히 회동하지 못하여 상기 스탠드축(340)이 지면에 닿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스탠드축(340)과 지면 사이의 거리가 20cm를 초과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발판부(200)의 상승 시, 상기 스탠드부(300)의 중심이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모빌리티를 지지하지 못하여 쓰러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스탠드축(340)과 지면 사이의 거리는 10cm 내지 20cm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축(310) 또는 이동축(320)은 경사지게 기울어져 형성되며, 지면과 이루는 각도는 45도 내지 60도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축(310) 또는 이동축(320)이 지면과 이루는 각도가 45도 내지 60도의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상기 모빌리티를 용이하게 지지하지 못하고, 외부의 충격에 의해 쉽게 쓰러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축(310) 또는 이동축(320)은 경사지게 기울어져 형성되며, 지면과 이루는 각도는 45도 내지 60도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용 자동 스탠드 장치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스프링(210)이 상기 발판부(200)의 한쪽에만 형성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실시예와 중첩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일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스프링(210)은 상기 발판부(200)의 일측에 1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발판부(200)는 상기 운전자가 올라가지 않은 상태일 경우, 비스듬하게 경사진 상태를 유지한다. 즉, 상기 운전자가 상기 발판부(200)에 올라가지 않은 상태인 경우, 상기 발판부(200)의 일단부는 상기 보드 프레임(100)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발판부(200)의 타단부는 상기 보드 프레임(100)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운전자는 상기 스프링(210)이 구비된 지점의 발판부(200) 즉, 상기 보드 프레임(100)과 이격된 지점을 발로 가압하여 상기 스탠드부(300)를 상승상태로 전환시킨 후, 안전하게 상기 발판부(200)에 올라탈 수 있도록 하여 보다 더 용이하게 모빌리티를 탈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용 자동 스탠드 장치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보드 프레임(100)에 안착홈(110)이 형성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실시예와 중첩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일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보드 프레임(100)은 상기 발판부(200)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안착홈(110)을 포함하고, 상기 발판부(200)는 하강 시, 상기 안착홈(110)에 삽입된다. 즉, 상기 발판부(200)는 상기 운전자에 의해 하강하게 되면, 상기 안착홈(110)으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보드 프레임(100)과 일체화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안착홈(110)으로 상기 발판부(200)가 삽입됨으로써, 외관상 심미감을 높일 수 있으며, 보다 더 컴팩트하게 형성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용 자동 스탠드 장치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보드 프레임(100)에 근접센서(120)가 형성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실시예와 중첩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일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보드 프레임(100)은 상기 발판부(200)가 상기 보드 프레임(100)의 상측에 접촉되는지를 감지하는 근접센서(120)를 포함한다. 즉, 상기 근접센서(120)는 오감을 통해 상기 발판부(200)가 상기 보드 프레임(100)과 접촉되었는지 여부를 상기 운전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근접센서(120)는 상기 스탠드부(300)가 주행가능상태인지 아닌지를 상기 운전자가 인식하도록 하여, 상기 스탠드부(300)가 지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주행하여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것이다. 일례로, 상기 발판부(200)가 상기 보드 프레임(100)에 접촉된 경우, 초록색 빛을 방출하고 알림소리를 통해 상기 운전자가 주행가능상태인 것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용 자동 스탠드 장치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스탠드부(300)의 단부에 돌기(330)가 형성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실시예와 중첩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일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스탠드부(300)는 상기 스탠드부(300)의 단부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돌기(330)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330)는 마찰소재로 형성된다. 즉, 상기 스탠드부(300)와 지면이 접촉하는 부분에 상기 복수개의 돌기(300)가 마련되어, 상기 스탠드부(300)와 지면 사이의 마찰력을 높임으로써, 상기 모빌리티를 보다 더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6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용 자동 스탠드 장치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스탠드축(340)이 2개 형성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실시예와 중첩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일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스탠드축(340)은 상측스탠드축(341)과 하측스탠드축(342)으로 형성되어, 상기 발판부(200)의 승강에 따른 상기 스탠드부(300)의 승강의 폭이 증가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즉, 상기 고정축(310)과 이동축(320)의 상부가 절곡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발판부(200)가 제1실시예에 비해 보다 더 적은 거리만큼 승강하여도 상기 스탠드부(300)가 상승상태로 전환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상기 발판부(200)의 승강으로 인해 균형을 잃어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기술한 실시예들은 혼용하여 사용가능하다.
100 : 보드 프레임
110 : 안착홈
120 : 근접센서
200 : 발판부
210 : 스프링
220 : 안내홈
300 : 스탠드부
310 : 고정축
320 : 이동축
330 : 돌기
340 : 스탠드축
341 : 상측스탠드축
342 : 하측스탠드축
50 : 모빌리티
60 : 바퀴
70 : 핸들부
71 : 핸들 스템
72 : 손잡이

Claims (5)

  1. 복수개의 바퀴가 마련되는 보드 프레임의 상측에 이격되어 구비되고, 운전자의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상기 보드 프레임에 접촉되는 발판부; 및
    ‘X’자 형태로 상기 발판부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단부가 지면에 접촉되어 상기 보드 프레임이 직립하도록 하는 스탠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탠드부는,
    상기 운전자가 상기 발판부에 올라감에 따라 상기 발판부가 하강할 시, 회동하여 지면과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스널 모빌리티용 스탠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는,
    상기 발판부와 보드 프레임 사이에 구비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운전자가 상기 발판부에서 내려갈 시, 상기 발판부를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스널 모빌리티용 스탠드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 프레임은,
    상기 발판부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안착홈;을 포함하고,
    상기 발판부는,
    하강 시,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스널 모빌리티용 스탠드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부는,
    상기 스탠드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는, 마찰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스널 모빌리티용 스탠드 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 프레임은,
    상기 발판부가 상기 보드 프레임의 상측에 접촉되는지를 감지하는 근접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스널 모빌리티용 스탠드 장치.
KR1020200001323A 2020-01-06 2020-01-06 퍼스널 모빌리티용 스탠드 장치 KR102199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1323A KR102199963B1 (ko) 2020-01-06 2020-01-06 퍼스널 모빌리티용 스탠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1323A KR102199963B1 (ko) 2020-01-06 2020-01-06 퍼스널 모빌리티용 스탠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9963B1 true KR102199963B1 (ko) 2021-01-07

Family

ID=74126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1323A KR102199963B1 (ko) 2020-01-06 2020-01-06 퍼스널 모빌리티용 스탠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996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47161A (zh) * 2021-05-28 2021-08-13 金华有恒车业有限公司 一种折叠滑板车的后脚撑结构
WO2022208237A1 (en) * 2021-04-02 2022-10-06 Cosmogas S.R.L. Scooter
KR102509258B1 (ko) * 2022-02-17 2023-03-14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세 복원이 가능한 전동 킥보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9399Y1 (ko) * 2003-01-18 2003-04-03 박도선 자주식 킥보드
US20040018919A1 (en) * 2001-05-24 2004-01-29 Jui-Kuang Chen Backward treaded pedal-operated exercise bicycle with duel functions of outdoor and indoor exercising
US20090212524A1 (en) * 2008-02-27 2009-08-27 Rocky Jenlon Lee Push and Pull Vehicle by Stand-and-Sit Action
US8025305B1 (en) * 2010-05-25 2011-09-27 Henkel Lin Stand for scooters
KR20130055170A (ko) * 2011-11-18 2013-05-28 이영성 랜드 서핑 보드
KR20150002128U (ko) * 2013-11-27 2015-06-0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장애물을 넘을 수 있는 수레의 구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18919A1 (en) * 2001-05-24 2004-01-29 Jui-Kuang Chen Backward treaded pedal-operated exercise bicycle with duel functions of outdoor and indoor exercising
KR200309399Y1 (ko) * 2003-01-18 2003-04-03 박도선 자주식 킥보드
US20090212524A1 (en) * 2008-02-27 2009-08-27 Rocky Jenlon Lee Push and Pull Vehicle by Stand-and-Sit Action
US8025305B1 (en) * 2010-05-25 2011-09-27 Henkel Lin Stand for scooters
KR20130055170A (ko) * 2011-11-18 2013-05-28 이영성 랜드 서핑 보드
KR20150002128U (ko) * 2013-11-27 2015-06-0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장애물을 넘을 수 있는 수레의 구조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 1 (인터넷사이트) *
비특허문헌 2 (네이버블로그)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08237A1 (en) * 2021-04-02 2022-10-06 Cosmogas S.R.L. Scooter
CN113247161A (zh) * 2021-05-28 2021-08-13 金华有恒车业有限公司 一种折叠滑板车的后脚撑结构
KR102509258B1 (ko) * 2022-02-17 2023-03-14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세 복원이 가능한 전동 킥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9963B1 (ko) 퍼스널 모빌리티용 스탠드 장치
KR101194388B1 (ko) 회전 가능한 베드부가 구비된 이동용 리프트 장치
US20090188754A1 (en) Collapsible stepstool
CN105735882A (zh) 一种可伸缩可折叠的挂梯
JP4071785B2 (ja) エスカレータカート
JP2007159879A (ja) 運動器具
KR102370475B1 (ko) 안전수단을 구비한 절첩식 침대
CN209339474U (zh) 一种可调长度和角度的折叠式阁楼楼梯
JP4733224B1 (ja) 運動用踏み台
KR102282965B1 (ko) 장애인용 휠체어 리프트
KR102272103B1 (ko) 발판이 승하강되는 사다리
US4646876A (en) Walking ladder
KR20170040488A (ko) 이동 및 보관의 편의성이 극대화된 세이프티 스마트 래더
CN211422513U (zh) 一种用于底坑的隐藏式梯子
JPS6116352Y2 (ko)
CN205654287U (zh) 一种可伸缩可折叠的挂梯
KR102347125B1 (ko) 휠체어 리프트 장치
KR100905091B1 (ko) 접철식 발판
CN214019218U (zh) 一种多功能体育用品
CN219259444U (zh) 升降平台
JP3635285B2 (ja) エスカレーター用車椅子乗降補助装置
CN220314874U (zh) 一种可伸缩式房车踏板梯
KR102278677B1 (ko) 접이식 발판
JP3141773U (ja) 折り畳み式脚立
CN116076898A (zh) 一种防攀爬跌落的婴儿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