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9920B1 - 헬멧 턱끈이 결합된 잠금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유 모빌리티 대여 시스템 - Google Patents

헬멧 턱끈이 결합된 잠금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유 모빌리티 대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9920B1
KR102199920B1 KR1020190121921A KR20190121921A KR102199920B1 KR 102199920 B1 KR102199920 B1 KR 102199920B1 KR 1020190121921 A KR1020190121921 A KR 1020190121921A KR 20190121921 A KR20190121921 A KR 20190121921A KR 102199920 B1 KR102199920 B1 KR 1021999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lmet
chin strap
locking device
fastener
mob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1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형철
원아영
윤유리
Original Assignee
류형철
원아영
윤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형철, 원아영, 윤유리 filed Critical 류형철
Priority to KR1020190121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99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9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9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5/00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 B62H5/14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preventing wheel rotation
    • B62H5/141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preventing wheel rotation by means of sliding bol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8Chin straps or similar reten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1/00Suppor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specific devices to cycles, e.g. supports for attaching maps
    • B62J11/24Suppor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specific devices to cycles, e.g. supports for attaching maps specially adapted for helm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1/00Locks specially adapted for bicycles, other than padlo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1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applying pressure, e.g. wringing; by brushing; by wi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45Rental transactions; Leasing transaction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5Supporting means, e.g. stands, hooks, holes for han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전거의 프레임에 결합되고, 자전거 바퀴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홈부를 포함하는 자전거 잠금장치에 있어서, 근거리 통신부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케이스의 하단에 결합되고 일측면에 헬멧 턱끈이 삽입되는 턱끈 삽입구가 구비되며 상기 홈부를 마주보는 양 면에 각각 관통홀이 형성된 본체부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부는, 잠금상태에서 상기 관통홀 사이를 가로질러 상기 자전거 바퀴의 바퀴살 사이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자전거를 시건하고, 잠금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본체부 내부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잠금쇠, 상기 잠금쇠가 이동되는 경로상에 배치되어 상기 잠금쇠의 이동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잠금쇠가 선택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사용 인가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삽입된 상기 헬멧 턱끈과 맞닿아 있다가 상기 헬멧이 상기 본체부로부터 인출되면 이동하여 상기 잠금쇠와 결합함으로써 고정하는 잠금쇠 고정부재, 상기 근거리 통신부에서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 인가부를 조작하여 잠금쇠의 이동을 가능하도록 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 턱끈이 결합된 잠금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헬멧 턱끈이 결합된 잠금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유 모빌리티 대여 시스템{Locking device with helmet chin strap and mobility rental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전거 등 모빌리티의 잠금장치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헬멧 턱끈이 삽입 또는 인출되어 잠금장치의 잠금상태를 변동할 수 있는 잠금장치,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 인증을 하여 잠금상태를 해제하여 모빌리티를 사용할 수 있는 공유 모빌리티 대여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
자전거는 쉽게 접할 수 있는 탈 것으로 이동용 장비로는 물론, 레져 스포츠로 각광받고 있다. 국내 자전거 보유대수는 1200만대로 추정되고, 자전거 이용인구가 1천만이 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로 자전거를 대여하는 공유 모빌리티 시스템의 활용도 활발한 실정이며, 한국 등록특허 제10-1578462호에서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자전거 대여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한편, 자전거 사용이 확대됨에 따라 자전거의 교통사고도 증가하고 있으며, 도로교통공단의 자료에 의하면 2013년에서 2017년까지 5년간 총 2만8739건의 자전거 교통사고가 발생해 540명이 사망하고 3만357명이 부상당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2018년 9월 28일부터 개정된 도로교통법이 시행되어 자전거 탑승시 헬멧 착용이 의무화되고 있다. 헬멧 미착용시 처벌규정은 없지만, 행정안전부는 헬멧 착용이 정착된 후 처벌규정을 도입할 것을 검토하고 있다.
헬멧은 사용자의 후두부를 보호하여 큰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헬멧을 착용하지 않은 상태로 자전거 교통사고가 발생할 경우 헬멧 미착용시 사망률이 34.7% 높아지며, 오토바이의 경우 헬멧 미착용시 사망률이 약 45%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을 정도로 안전사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자전거 사용자의 헬멧 사용 실태는 여전히 미흡한 실정이며, 최근 자전거, 퀵보드, 오토바이 등 다양한 공유 모빌리티 대여 시스템에서도 헬멧 착용은 지켜지지 않고 있다. 또한, 이러한 공유 모빌리티 대여 시스템의 경우 헬멧의 대여 및 반납 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자전거 등 모빌리티 사용자의 헬멧 사용을 유도하고, 대여 및 반납 관리가 용이한 시스템의 도입이 필요한 상황이다.
한국 등록 특허 제10-1578462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헬멧 턱끈을 결합한 잠금장치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자연스럽게 헬멧을 이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잠금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둘째, 헬멧 턱끈을 결합한 잠금장치를 제공하여 잠금장치의 해제를 위해서는 헬멧을 필수 구성요소로 포함하여 헬멧을 사용한 후 반납할 수 있는 잠금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셋째, 잠금장치를 포함한 공유 모빌리티 대여 시스템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쉽고 간편하게 모빌리티를 대여, 사용, 반납할 수 있는 대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자전거의 프레임에 결합되고, 자전거 바퀴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홈부를 포함하는 자전거 잠금장치에 있어서, 근거리 통신부를 포함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케이스의 하단에 결합되고 일측면에 헬멧 턱끈이 삽입되는 턱끈 삽입구가 구비되며 상기 홈부를 마주보는 양 면에 각각 관통홀이 형성된 본체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는 잠금상태에서 상기 관통홀 사이를 가로질러 상기 자전거 바퀴의 바퀴살 사이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자전거를 시건하고, 잠금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본체부 내부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잠금쇠, 상기 잠금쇠가 이동되는 경로상에 배치되어 상기 잠금쇠의 이동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잠금쇠가 선택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사용 인가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삽입된 상기 헬멧 턱끈과 맞닿아 있다가 상기 헬멧이 상기 본체부로부터 인출되면 이동하여 상기 잠금쇠와 결합함으로써 고정하는 잠금쇠 고정부재, 상기 근거리 통신부에서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 인가부를 조작하여 잠금쇠의 이동을 가능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 턱끈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헬멧 턱끈은 상기 본체부 내부에 삽입되는 끝단의 중앙에 원형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헬멧 턱끈의 홀에 삽입되고 상기 잠금쇠의 하면과 맞닿아 상기 헬멧 턱끈이 상기 턱끈 삽입구에서 인출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구 형상의 강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잠금쇠는 하면에 상기 강구의 지름보다 작은 너비의 유동홈이 구비되어 상기 잠금쇠를 이동시키는 경우 상기 강구가 제자리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잠금쇠가 이동되어 상기 본체부 내부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강구가 상기 잠금쇠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강구의 지름보다 큰 너비의 강구홀이 구비되어 상기 강구가 상기 강구홀에 삽입되면 상기 헬멧 턱끈이 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쇠는 내주면에 내측으로 일부가 함몰 형성된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잠금쇠 고정부재는 상기 턱끈 삽입구의 맞은편에 설치되는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에 접촉되어 상기 헬멧 턱끈이 위치한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헬멧 턱끈이 인출되면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어 상기 잠금쇠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 인가부는 고리형 힌지 및 상기 고리형 힌지와 연결되어 상기 잠금쇠의 이동 경로상에 위치하고 소정 각도 회전이동이 가능한 막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쇠는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잠금쇠가 배치된 자리에 대응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 내부로 관통되는 이동 홈을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가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외력을 가하여 상기 손잡이를 상기 이동 홈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쇠는 "C"자 형상의 곡면 형태로 형성되되, 일단은 상기 본체부 내부의상단에 배치되고 타단은 상기 관통홀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곡면을 따라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잠금쇠의 일단이 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잠금쇠가 이동하면서 상기 잠금쇠의 일단에 의하여 상기 잠금쇠의 이동방향으로 눌러지는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공유 모빌리티 대여 시스템에 있어서, 일정 거리의 간격으로 분산 배치되는 복수의 모빌리티, 상기 모빌리티에 결합되어 상기 모빌리티를 선택적으로 시건할 수 있고 근거리 통신부를 포함하고, 사용상태를 감지하여 사용 시간을 계산할 수 있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잠금장치, 상기 잠금장치에 헬멧 턱끈이 연결되는 헬멧, 상기 모빌리티 측면에 연결되어 내부에 상기 헬멧이 보관되는 헬멧 거치대, 사용자 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근거리 통신부와 통신하여 사용자 인증을 통해 상기 잠금장치의 시건을 해제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등록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모빌리티의 대여 및 반납을 관리하는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헬멧 거치대는 내부에 복수개의 LED 램프, 내부에 방향제를 보관할 수 있는 보관부, 표면에 내부와 관통 형성되는 복수개의 홀 또는 내부에 복수개의 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헬멧 턱끈이 결합된 잠금장치는 헬멧 턱끈을 이용하여 잠금장치를 시건하거나 해제함으로써 자전거 등 모빌리티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헬멧을 제공하여 헬멧을 착용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헬멧 턱끈이 삽입 또는 인출되어 잠금장치의 잠금상태를 조절하여 사용자가 모빌리티를 대여하여 사용한 후 헬멧을 반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 통신망, 서버를 이용하여 모빌리티 대여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사용자가 모빌리티 대여를 쉽고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 턱끈이 결합된 잠금장치와 헬멧 거치대가 자전거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 턱끈이 결합된 잠금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 턱끈이 결합된 잠금장치의 케이스와 본체부의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 턱끈이 결합된 잠금장치의 본체부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 턱끈이 결합된 잠금장치를 이용한 공유 모빌리티 대여 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 턱끈이 결합된 잠금장치를 이용한 공유 모빌리티 대여 시스템의 사용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 턱끈이 결합된 잠금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기술의 구성요소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헬멧 턱끈(210)을 이용하여 모빌리티의 바퀴(W)를 시건하는 잠금장치(100)와 그 장치를 이용한 공유 모빌리티 대여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 턱끈이 결합된 잠금장치(100)와 헬멧 거치대(300)가 자전거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 턱끈이 결합된 잠금장치(100)는 자전거, 오토바이 등 모빌리티의 프레임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바퀴(W)를 시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자전거를 예시하여 도시하고 있으나, 모빌리티는 자전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오토바이, 퀵보드 외 기타 모빌리티에 적용 가능하다.
헬멧 거치대(300)는 자전거 바퀴(W)의 측면에 결합되고, 내부에 헬멧(200)이 보관되어 사용자가 헬멧(200)을 착용할 수 있도록 한다. 헬멧 거치대(300)에서 헬멧 턱끈(210)은 외부로 배출되어 본 발명인 잠금장치(100)에 삽입되어 보관될 수 있다. 도 1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자전거 뒷바퀴에 잠금장치(100)와 헬멧 거치대(300)가 결합되어 있으나, 여기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자전거의 앞바퀴에 결합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 턱끈이 결합된 잠금장치(100)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 턱끈이 결합된 잠금장치(100)의 케이스(110)와 본체부(120)의 분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 턱끈이 결합된 잠금장치(100)는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케이스(110)와 본체부(120)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 턱끈이 결합된 잠금장치(100)는 중앙에 바퀴(W)의 일부가 인입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홈부(H)가 형성될 수 있다. 자전거의 바퀴(W)가 인입되는 홈부(H)가 형성되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 턱끈이 결합된 잠금장치(100)를 구성하는 케이스(110) 및 본체부(120)의 전체적인 형상은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체부(120)의 단부에는 홈부(H)를 마주보는 양 면에 한 쌍의 관통홀(122)이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할 잠금쇠(130)는 관통홀(122)을 가로질러 홈부(H)를 개폐할 수 있게 된다.
케이스(110)에는 근거리 통신부(112), 이동 홈(111)이 구비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112)는 사용자의 스마트폰 등 사용자 단말기(600)와 근거리 무선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을 수행하여 사용자 단말기(600)로부터 사용자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잠금장치(100)의 잠금상태 해제를 인가할 수 있다. 이동 홈(111)은 본체부(120) 내부의 잠금쇠(130)가 배치된 자리에 대응하는 부분의 일부가 내부로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잇다. 잠금쇠(130)와 연결된 손잡이(131)가 이동 홈(111)에 의하여 외부로 돌출 형성되어 사용자가 외력을 가하여 잠금쇠(13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케이스(110)와 본체부(120)는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결합할 수 있다. 본체부(120)의 상단에 케이스(110)가 결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 턱끈이 결합된 잠금장치(100)의 본체부(120)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헬멧 턱끈이 결합된 잠금장치(100)의 본체부(120)는 잠금쇠(130), 사용 인가부(140), 잠금쇠 고정부재(150), 탄성부(160)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잠금쇠(130)는 본체부(120) 내부에서 관통홀(122)을 통해 홈부(H)로 인출 또는 인입될 수 있도록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선택적으로 홈부(H)를 개폐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체부(120)에는 잠금쇠(130)가 이동하는 경로상에 가이드가 구성되어 잠금쇠(130)의 이동을 보조할 수 있다. 가이드는 잠금쇠(130)의 형상과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잠금쇠(130)는 자전거의 바퀴(W)살 사이에 삽입되어 자전거의 바퀴(W)와 잠금장치(100)를 연결하여 자전거를 시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쇠(130)는 "C"자 형상의 곡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도 4에 도시된 잠금쇠(130)의 양 끝단 중 본체부(120) 내부에 위치한 단부를 일단으로, 관통홀을 지나 홈부(H)를 가로지르는 반대쪽 단부를 타단으로 정의한다. 잠금쇠(130)의 일단은 본체부(120)의 상단에 배치되고, 타단은 본체부(120)의 하단의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며 홈부(H)를 가로질러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잠금쇠(130)가 곡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홈부(H)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게 된다.
잠금쇠(130)의 상단에는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손잡이(131)가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131)는 상술한 케이스(110)의 이동 홈(111)을 통해 잠금장치(100)의 외부까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 인증을 통해 사용 인가부(140)가 해제상태가 된 경우 사용자가 손잡이(131)를 잡고 잠금쇠(130)의 이동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면 잠금쇠(130)가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잠금쇠(130)의 내주면에는 내측으로 일부가 함몰 형성된 삽입부(132)가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132)는 잠금쇠 고정부재(150)가 결합하여 잠금쇠(130)를 고정하는 기능을 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사용 인가부(140)는 본 발명인 잠금장치(100) 사용을 선택적으로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사용 인가부(140)는 잠금쇠(130)가 이동되는 경로상에 배치되어 평상시에는 잠금쇠(130)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잠금장치(100)의 잠금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사용 인가부(140)는 고리형 힌지 및 고리형 힌지와 연결된 막대로 구성될 수 있다. 평상시에 막대는 잠금쇠(130)의 이동 경로상에 위치하여 잠금쇠(130)의 이동을 막아 잠금상태를 유지한다. 근거리 통신부(112)에서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면 제어부는 막대를 소정 각도 회전시키게 된다. 이로써 잠금쇠(130)는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사용자가 외력을 가하여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게 된다.
잠금쇠 고정부재(15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 턱끈이 결합된 잠금장치(100)의 시건을 해제한 상태에서 잠금쇠(130)를 고정하여 잠금쇠(130)가 자전거 바퀴(W)살 사이에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잠금쇠 고정부재(150)는 턱끈 삽입부(132)의 맞은편에 배치될 수 있다. 잠금장치(100)에 헬멧 턱끈(210)이 삽입된 상태, 즉 잠금장치(100)가 잠금상태에 있는 경우 헬멧 턱끈(210)과 맞닿아 헬멧 턱끈(210)에 의하여 후방으로 밀려져 있게 된다. 사용자가 사용자 인증을 하여 잠금쇠(130)를 이동시키면, 헬멧 턱끈(210)이 인출되어 잠금쇠 고정부재(150)는 잠금쇠 고정부재(150)가 위치한 방향인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잠금쇠(130)는 내주면에 내측으로 일부가 함몰 형성된 삽입부(132)가 형성될 수 있다. 잠금쇠 고정부재(150)는 턱끈 삽입구(121)의 맞은편에 설치되는 스프링(151) 및 상기 스프링(151)에 접촉되어 스프링(151)의 탄성력에 의하여 턱끈 삽입부(132)가 위치한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되는 이동부재(152)로 구성될 수 있다. 잠금쇠(130)가 이동하여 헬멧 턱끈(210)이 잠금장치(100)로부터 인출되면, 헬멧 턱끈(210)에 의하여 밀려나 있던 이동부재(152)가 스프링(151)의 탄성력에 의하여 전진하여 잠금쇠(130)의 삽입부(132)에 삽입되게 된다. 이로써 잠금쇠(130)는 잠금장치(100) 내부로 삽입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자전거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 헬멧 턱끈(210)이 인출되어 잠금쇠(130)가 잠금쇠 고정부재(150)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를 고정상태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탄성부(160)는 잠금쇠(130)의 일단이 향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잠금쇠(130)는 탄성부(160)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잠금쇠(130)의 잠금상태가 해제되어 사용자가 가압하여 잠금쇠(130)를 이동시키게 되면, 잠금쇠(130)의 일단이 탄성부(160)재를 눌러주게 된다. 잠금쇠(130)의 일단에 의해 탄성부(160)가 눌러지면 탄성부(160)재가 압축되고, 헬멧 턱끈(210)이 인출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잠금쇠(130)는 잠금쇠 고정부재(150)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즉, 고정상태에서 탄성부(160)는 압축된 상태로 있게 된다.
고정상태에서 헬멧 턱끈(210)이 인입하여 잠금쇠 고정부재(150)를 다시 밀어주게 되면, 잠금쇠 고정부재(150)가 잠금쇠(130)와의 결합이 풀리게 된다. 이 때 탄성부(160)를 가압하는 외력이 제거되어 탄성부(160)재가 복원되면서 잠금쇠(130)를 밀어주게 되고, 잠금쇠(130)는 다시 관통홀을 통과하여 홈부(H)를 관통하여 잠금상태가 될 수 있다. 즉, 탄성부(160)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 턱끈(210)을 이용한 잠금장치(100)는 고정상태에서 자동으로 잠금쇠(130)가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 턱끈(210)을 이용한 잠금장치(100)는제어부(도면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600)로부터 근거리 통신부(112)에 사용자 정보가 수신되면, 제어부에서 신호를 받아 사용 인가부(140)에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에 의하여 사용 인가부(140)는 잠금쇠(130)의 이동이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사용자의 자전거 사용시간을 측정하여 요금을 정산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 턱끈이 결합된 잠금장치(100)를 이용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스마트폰, 태플릿 등 사용자 단말기(600)를 통해 본 발명인 잠금장치(100)의 근거리 통신부(112)에 사용자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근거리 통신부(112)는 사용자 단말기(600)로부터 사용자 신호를 수신하여 잠금상태의 해제를 인가할 수 있다. 여기서 잠금상태의 해제란, 상술한 제어부에 의하여 사용 인가부(140)가 잠금쇠(130)의 이동이 가능한 상태가 된 것을 의미한다. 사용 인가부(140)가 고리형 힌지 및 막대로 구성된 경우, 막대가 잠금쇠(130)의 이동에 간섭하지 않도록 소정 각도 회전한 상태가 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손잡이(131)에 외력을 가하여 이동 홈(111)을 따라 잠금쇠(13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잠금쇠(130)는 홈부(H)의 시건상태를 해제하고 관통홀을 따라 본체부(120) 내부로 삽입된다. 잠금쇠(130)가 이동하면서 탄성부(160)를 압축하게 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잠금쇠(130)가 이동하여 헬멧 턱끈(210)이 인출되면 잠금쇠(130) 고정장치가 전진하여 잠금쇠(130)를 고정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프링(151)의 탄성력에 의하여 이동부재(152)가 잠금쇠(130) 방향으로 전진하여 삽입부(132)에 삽입됨으로써 잠금쇠(130)가 고정된 상태, 즉 고정상태가 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헬멧 턱끈(210)은 본체부(120) 내부에 삽입되는 끝단의 중앙에 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부(120)에는 상기 홀에 삽입되는 강구(170)가 포함될 수 있다. 잠금상태에서 헬멧 턱끈(210)은 강구(170)에 의하여 턱끈 삽입구(121)에서 인출되지 않게 고정될 수 있다.
잠금쇠(130)의 하면에는 강구(170)의 지름보다 작은 너비의 유동홈이 구비되고, 유동홈의 끝단에는 강구(170)의 지름보다 큰 너비의 강구(170)홀이 구비될 수 있다.
도 11의 (b)를 참조하면, 잠금상태를 해제하고, 잠금쇠(130)를 이동시키면 강구(170)는 유동홈을 따라 제자리에서 회전할 수 있다. 강구(170)홀이 제자리에 있으므로 헬멧 턱끈(210)은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잠금쇠(130)를 계속 이동시켜 고정상태가 되면, 강구(170)의 위치에 강구(170)홀이 존재하여 강구(170)는 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헬멧 턱끈(210)을 턱끈 삽입구(121)에서 인출하기 위하여 헬멧 턱끈(210)을 잡아당기면, 강구(170)가 강구(170)홀로 들어올려지게 된다. 이로써 헬멧 턱끈(210)이 본체부(120)와 분리되어 인출될 수 있고, 사용자는 헬멧(200)을 꺼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 턱끈이 결합된 잠금장치(100)를 이용한 공유 모빌리티 대여 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 턱끈이 결합된 잠금장치(100)를 이용한 공유 모빌리티 대여 시스템의 사용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 턱끈이 결합된 잠금장치(100)를 이용한 공유 모빌리티 대여 시스템은 잠금장치(100), 헬멧(200), 헬멧 거치대(300), 통신망(400), 서버(500), 사용자 단말기(6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공유 모빌리티 대여 시스템의 대상은 자전거, 오토바이, 퀵보드 등 다양한 모빌리티 수단이 될 수 있으며, 자전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유 모빌리티 대여 시스템은 앞서 설명한 헬멧 턱끈(210)을 이용한 헬멧 턱끈이 결합된 잠금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잠금장치(100)를 이용하므로, 이에 따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헬멧 거치대(300)는 자전거 바퀴(W)의 측면에 연결되고, 내부에 헬멧(200)이 보관될 수 있다. 헬멧 거치대(300)의 내부에 헬멧(200)이 보관되고, 헬멧 턱끈(210)만 외부로 배출되어 잠금장치(100)에 연결되게 된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600)의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하여 사용자 정보를 등록할 수 있고, 사용자 정보는 통신망(400)을 통해 서버(500)에 저장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112)는 통신망(400)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600) 및 서버(500)와 통신하여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공유 모빌리티 대여 시스템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 인식단계(S100)에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600)를 통해 사용자 인증을 하면 잠금장치(100)에서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다. 사용자는 고유의 아이디와 패스워드로 인증을 하는 방식일 수 있고, 또는 잠금장치(100)에 부착된 고유의 QR코드를 통해 인증을 하는 방식일 수도 있다.
사용시간 카운팅 시작단계(S200)에서 잠금장치(100)의 제어부가 잠금장치(100)의 잠금상태 해제를 인식하면, 모빌리티 대여 시간 카운팅을 세작할 수 있다. 제어부는 모빌리티 대여시간의 시작시간과 종료시간을 카운팅하여 시간당 요금을 계산할 수 있다.
헬멧 분리단계(S300)에서 헬멧 턱끈(210)이 인출되고 헬멧(200)이 헬멧 거치대(300)에서 분리될 수 있다. 헬멧 거치대(300)는 헬멧(200)의 분리 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센서와 알람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알람 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잠금장치(100)의 잠금상태가 해제된 상태에서 헬멧(200)이 분리되지 않으면 알람을 송신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헬멧(200)을 사용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모빌리티 사용단계(S400)에서 사용자는 모빌리티를 사용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모빌리티는 자전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헬멧 결합단계(S500)에서 사용자는 모빌리티 사용을 완료하면, 헬멧 거치대(300)에 헬멧(200)을 결합하고 턱끈을 잠금장치(100)에 결합시켜 잠금장치(100)를 잠금상태로 변환시킬 수 있다.
사용시간 카운팅 종료단계(S600)에서 제어부는 잠금장치(100)의 잠금상태를 인식하여 사용자의 모빌리티 사용시간 카운팅을 종료할 수 있다.
요금 정산단계(S700)에서 제어부는 사용자의 사용시간과 시간당 요금을 기준으로 사용자의 요금을 계산하여 알리고, 해당 요금을 정산할 수 있다. 여기서 요금 정산의 방식은, 등록된 신용카드에 금액을 청구하는 등 다양한 공지의 결제시스템으로 구성될 수 있다.
헬멧 거치대(300)는 내부에 살균 기능을 가지는 LED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LED 램프에서 광원을 조사하여 헬멧(200)을 살균함으로써 헬멧(200)의 위생상태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헬멧 거치대(300)는 내부에 방향제를 보관할 수 있는 보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방향제에 의하여 헬멧(200) 사용 후에 오물에 의한 악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헬멧 거치대(300)의 표면에는 내부와 관통 형성되는 미세한 홀을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홀을 통하여 헬멧 거치대(300)의 내부공기가 외부공기와 순환함으로써 내부의 온도, 습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헬멧 거치대(300)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헬멧 거치대(300)에 헬멧(200)이 보관된 상태에서 팬이 구동하여 내부를 건조시킴으로써 습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모빌리티 또는 헬멧 거치대(300)에는 GPS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GPS 모듈은 모빌리티의 위치정보를 서버(500)에 송신하고, 서버(500)에는 사용자가 모빌리티를 사용하여 이동하는 경우 경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W: 바퀴 H: 홈부
100: 잠금장치 110: 케이스
111: 이동 홈 112: 근거리 통신부
120: 본체부 121: 턱끈 삽입구
122: 관통홀 130: 잠금쇠
131: 손잡이 132: 삽입부
140: 사용 인가부 150: 잠금쇠 고정부재
151: 스프링 152: 이동부재
160: 탄성부 170: 강구
200: 헬멧 210: 헬멧 턱끈
300: 헬멧 거치대 400: 통신망
500: 서버 600: 사용자 단말기

Claims (13)

  1. 자전거 등 공유 모빌리티의 프레임에 결합되고, 모빌리티 바퀴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홈부를 포함하는 잠금장치에 있어서,
    근거리 통신부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케이스의 하단에 결합되고 일측면에 헬멧 턱끈이 삽입되는 턱끈 삽입구가 구비되며 상기 홈부를 마주보는 양 면에 각각 관통홀이 형성된 본체부;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부는,
    잠금상태에서 상기 관통홀 사이를 가로질러 상기 모빌리티 바퀴의 바퀴살 사이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모빌리티를 시건하고, 잠금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본체부 내부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잠금쇠;
    상기 잠금쇠가 이동되는 경로상에 배치되어 상기 잠금쇠의 이동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잠금쇠가 선택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사용 인가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삽입된 상기 헬멧 턱끈과 맞닿아 있다가 상기 헬멧이 상기 본체부로부터 인출되면 이동하여 상기 잠금쇠와 결합함으로써 고정하는 잠금쇠 고정부재;
    상기 근거리 통신부에서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 인가부를 조작하여 잠금쇠의 이동을 가능하도록 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 턱끈이 결합된 잠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헬멧 턱끈은,
    상기 본체부 내부에 삽입되는 끝단의 중앙에 원형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헬멧 턱끈의 홀에 삽입되고 상기 잠금쇠의 하면과 맞닿아 상기 헬멧 턱끈이 상기 턱끈 삽입구에서 인출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구 형상의 강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잠금쇠는,
    하면에 상기 강구의 지름보다 작은 너비의 유동홈이 구비되어 상기 잠금쇠를 이동시키는 경우 상기 강구가 제자리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잠금쇠가 이동되어 상기 본체부 내부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강구가 상기 잠금쇠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강구의 지름보다 큰 너비의 강구홀이 구비되어 상기 강구가 상기 강구홀에 삽입되면 상기 헬멧 턱끈이 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 턱끈이 결합된 잠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쇠는,
    내주면에 내측으로 일부가 함몰 형성된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잠금쇠 고정부재는,
    상기 턱끈 삽입구의 맞은편에 설치되는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에 접촉되어 상기 헬멧 턱끈이 위치한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부재;
    로 구성되어 상기 헬멧 턱끈이 인출되면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어 상기 잠금쇠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 턱끈이 결합된 잠금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인가부는,
    고리형 힌지; 및
    상기 고리형 힌지와 연결되어 상기 잠금쇠의 이동 경로상에 위치하고 소정 각도 회전이동이 가능한 막대; 로 구성되어,
    상기 근거리 통신부가 사용자 단말기에서 송신된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상기 막대가 소정 각도 회전함으로써 상기 잠금쇠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 턱끈이 결합된 잠금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쇠는,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잠금쇠가 배치된 자리에 대응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 내부로 관통되는 이동 홈을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가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외력을 가하여 상기 손잡이를 상기 이동 홈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 턱끈이 결합된 잠금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쇠는,
    "C"자 형상의 곡면 형태로 형성되되, 일단은 상기 본체부 내부의 상단에 배치되고 타단은 상기 관통홀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곡면을 따라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 턱끈이 결합된 잠금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잠금쇠의 일단이 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잠금쇠가 이동하면서 상기 잠금쇠의 일단에 의하여 상기 잠금쇠의 이동방향으로 눌러지는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는 탄성부;
    를 더 포함하여, 상기 잠금쇠의 고정상태가 해제되면 자동으로 상기 잠금쇠를 잠금상태로 복원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 턱끈이 결합된 잠금장치.
  8. 공유 모빌리티 대여 시스템에 있어서,
    일정 거리의 간격으로 분산 배치되는 복수의 모빌리티;
    상기 모빌리티에 결합되어 상기 모빌리티를 선택적으로 시건할 수 있고 근거리 통신부를 포함하고, 사용상태를 감지하여 사용 시간을 계산할 수 있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잠금장치;
    상기 잠금장치에 헬멧 턱끈이 연결되는 헬멧;
    상기 모빌리티의 측면에 연결되어 내부에 상기 헬멧이 보관되는 헬멧 거치대;
    사용자 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근거리 통신부와 통신하여 사용자 인증을 통해 상기 잠금장치의 시건을 해제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등록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모빌리티의 대여 및 반납을 관리하는 서버;
    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장치는,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잠금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모빌리티 대여 시스템.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헬멧 거치대는,
    내부에 복수개의 LED 램프를 더 포함하여 내부에 보관된 상기 헬멧을 살균할 수 있는 살균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모빌리티 대여 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헬멧 거치대는,
    내부에 방향제를 보관할 수 있는 보관부를 더 포함하여 내부에 보관된 상기 헬멧에 악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모빌리티 대여 시스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헬멧 거치대는,
    표면에 내부와 관통 형성되는 복수개의 홀을 포함하여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모빌리티 대여 시스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헬멧 거치대는,
    내부에 복수개의 팬을 포함하여 내부를 건조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모빌리티 대여 시스템.
KR1020190121921A 2019-10-02 2019-10-02 헬멧 턱끈이 결합된 잠금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유 모빌리티 대여 시스템 KR102199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1921A KR102199920B1 (ko) 2019-10-02 2019-10-02 헬멧 턱끈이 결합된 잠금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유 모빌리티 대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1921A KR102199920B1 (ko) 2019-10-02 2019-10-02 헬멧 턱끈이 결합된 잠금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유 모빌리티 대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9920B1 true KR102199920B1 (ko) 2021-01-12

Family

ID=74129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1921A KR102199920B1 (ko) 2019-10-02 2019-10-02 헬멧 턱끈이 결합된 잠금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유 모빌리티 대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9920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42999A (zh) * 2021-04-21 2021-06-11 浙江阿波罗摩托车制造有限公司 一种高安全性全地形车
CN113002664A (zh) * 2021-04-21 2021-06-22 浙江阿波罗摩托车制造有限公司 具有防护结构的全地形车
KR102397603B1 (ko) 2021-09-14 2022-05-13 주식회사 코리아모빌리티 모빌리티용 헬멧 센싱 uv 소독기
KR102445250B1 (ko) * 2021-12-15 2022-09-20 (주)일렉콤 공유 자전거 잠금 장치
KR102445261B1 (ko) * 2021-12-15 2022-09-20 (주)일렉콤 공유 자전거 잠금 장치
KR20220148008A (ko) * 2021-04-28 2022-11-04 주식회사 유테크 공유형 모빌리티장치를 관리하는 방법
KR20220162209A (ko) * 2021-05-31 2022-12-08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전동킥보드용 안전모 보관함
KR20230105497A (ko) 2022-01-04 2023-07-11 (주)스페이스이브이 공유 전기바이크에 설치 가능한 헬멧보관장치 및 헬멧보관장치가 장착된 전기바이크를 운행하는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8977Y1 (ko) * 2002-12-14 2003-03-31 방청우 헬멧 잠금장치
JP2007076569A (ja) * 2005-09-16 2007-03-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自転車用錠装置および自転車
KR20130075868A (ko) * 2011-12-28 2013-07-08 유재상 헬멧 락
KR101578462B1 (ko) 2015-04-23 2015-12-18 (주)리눅스아이티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자전거 대여 시스템
KR101980155B1 (ko) * 2018-10-02 2019-05-20 김병준 전동 킥보드 대여 쉐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8977Y1 (ko) * 2002-12-14 2003-03-31 방청우 헬멧 잠금장치
JP2007076569A (ja) * 2005-09-16 2007-03-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自転車用錠装置および自転車
KR20130075868A (ko) * 2011-12-28 2013-07-08 유재상 헬멧 락
KR101578462B1 (ko) 2015-04-23 2015-12-18 (주)리눅스아이티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자전거 대여 시스템
KR101980155B1 (ko) * 2018-10-02 2019-05-20 김병준 전동 킥보드 대여 쉐어 시스템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42999A (zh) * 2021-04-21 2021-06-11 浙江阿波罗摩托车制造有限公司 一种高安全性全地形车
CN113002664A (zh) * 2021-04-21 2021-06-22 浙江阿波罗摩托车制造有限公司 具有防护结构的全地形车
CN112942999B (zh) * 2021-04-21 2021-08-13 浙江阿波罗摩托车制造有限公司 一种高安全性全地形车
KR20220148008A (ko) * 2021-04-28 2022-11-04 주식회사 유테크 공유형 모빌리티장치를 관리하는 방법
KR102595071B1 (ko) * 2021-04-28 2023-10-27 주식회사 유테크 공유형 모빌리티장치를 관리하는 방법
KR20220162209A (ko) * 2021-05-31 2022-12-08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전동킥보드용 안전모 보관함
KR102514462B1 (ko) 2021-05-31 2023-03-27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전동킥보드용 안전모 보관함
KR102397603B1 (ko) 2021-09-14 2022-05-13 주식회사 코리아모빌리티 모빌리티용 헬멧 센싱 uv 소독기
KR102445250B1 (ko) * 2021-12-15 2022-09-20 (주)일렉콤 공유 자전거 잠금 장치
KR102445261B1 (ko) * 2021-12-15 2022-09-20 (주)일렉콤 공유 자전거 잠금 장치
KR20230105497A (ko) 2022-01-04 2023-07-11 (주)스페이스이브이 공유 전기바이크에 설치 가능한 헬멧보관장치 및 헬멧보관장치가 장착된 전기바이크를 운행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9920B1 (ko) 헬멧 턱끈이 결합된 잠금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유 모빌리티 대여 시스템
JP5013052B2 (ja) 電動式二輪車レンタルシステム
US9336642B2 (en) Shared-use bicycle systems
KR100706040B1 (ko) 차량용 키 및 음주운전 방지장치
US9803942B2 (en) Secure smartphone-operated gun lock with apparatus for preventing firing in protected directions
JP5197936B2 (ja) 車両制御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車両
US20050149741A1 (en) Autorisations, regulation, characterisation, localisation, locking and theft security system (here also referred to as lock-loop dss)
WO2006014105A1 (en) Bicycle lock, use thereof and system for giving bicycles on loan
US6003156A (en) Safety helmet lockout system
JP2006199168A (ja) レジャービィークルの盗難防止装置
CN108082122A (zh) 安全系统及用于该安全系统的装置
ES2382152T3 (es) Sistema de llave electrónica para un vehículo
KR20210003536A (ko) 스마트 모빌리티의 충전식 잠금장치 및 이와 연동된 보관대 운용 시스템
US6431652B1 (en) Seat belt restraint lock for children
CN113195346B (zh) 包括用于头盔的防盗装置的鞍乘型车辆
JP2009248662A (ja) 認証システム、認証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220129938A (ko) 헬멧거치대가 구비된 퍼스널 모빌리티
KR102047337B1 (ko) 자전거 도난방지 구조
JP2009174294A (ja) 解施錠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0904947B1 (ko) 자전거 대여 장치
KR101110416B1 (ko) 자전거 거치대
KR102360488B1 (ko) 공용헬멧을 구비한 공용자전거 및 공용자전거 대여시스템
EP4117476A1 (en) Storage device for a foldable protective helmet
KR20190064781A (ko) 자전거용 모바일기기 거치대 제어시스템
KR102113575B1 (ko) 생체인식형 세그웨이를 이용한 세그웨이 대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