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5497A - 공유 전기바이크에 설치 가능한 헬멧보관장치 및 헬멧보관장치가 장착된 전기바이크를 운행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공유 전기바이크에 설치 가능한 헬멧보관장치 및 헬멧보관장치가 장착된 전기바이크를 운행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5497A
KR20230105497A KR1020220000949A KR20220000949A KR20230105497A KR 20230105497 A KR20230105497 A KR 20230105497A KR 1020220000949 A KR1020220000949 A KR 1020220000949A KR 20220000949 A KR20220000949 A KR 20220000949A KR 20230105497 A KR20230105497 A KR 202301054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lmet
unit
electric bike
storage device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0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현식
Original Assignee
(주)스페이스이브이
장현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스페이스이브이, 장현식 filed Critical (주)스페이스이브이
Priority to KR1020220000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5497A/ko
Publication of KR20230105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54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9/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e.g. panniers or saddle bags
    • B62J9/3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e.g. panniers or saddle bags characterised by locking arrangements, e.g. top case locks integrated in a vehicle central lock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1/00Suppor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specific devices to cycles, e.g. supports for attaching maps
    • B62J11/24Suppor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specific devices to cycles, e.g. supports for attaching maps specially adapted for helm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9/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e.g. panniers or saddle bags
    • B62J9/2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e.g. panniers or saddle bags attached to the cycle as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45Rental transactions; Leasing transaction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ina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실시예는, 헬멧의 일부 영역을 수납하는 수납부; 상기 수납부에 체결되고 상기 헬멧의 나머지 일부 영역을 수납하는 커버부; 상기 수납부에 설치되어 상기 헬멧의 내측으로 살균광을 제공하는 광원부; 상기 수납부의 수납홈 상에 외부 공기를 분사하고 상기 수납홈 상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팬부; 및 상기 수납부로부터 상기 커버부의 분리 또는 상기 수납부와 상기 커버부의 체결을 위한 잠금장치;를 포함하고, 전기바이크의 운행이 승인에 따라 상기 잠금장치의 락킹이 해제되어 상기 헬멧의 인출이 가능한 상태가 되고, 상기 전기바이크의 운행의 종료에 따라 상기 전기바이크의 사용에 따른 사용 요금 결제 절차가 진행을 위해 상기 헬멧의 보관 상태를 확인하는 공유 전기바이크에 설치 가능한 헬멧보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유 전기바이크에 설치 가능한 헬멧보관장치 및 헬멧보관장치가 장착된 전기바이크를 운행하는 방법{A helmet storage device that can be installed on a shared electric bike and how to operate an electric bike equipped with a helmet storage device}
본 발명은 공유 전기바이크에 설치 가능한 헬멧보관장치 및 헬멧보관장치가 장착된 전기바이크를 운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도시에서는 지속적인 인구밀집 현상으로 인해 교통혼잡, 소음공해, 미세먼지 등과 같은 다양한 도시 교통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도시 교통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자동차의 이용을 줄이고, 대중교통의 이용을 장려하기 위한 교통수요관리 정책들이 지속적으로 시행되어 왔다. 더 나아가 최근에는 교통수단을 공유하여 이용하는 공유 교통서비스가 등장하여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2011년 카셰어링 서비스인 그린카, 2015년 서울시 공유 자전거 서비스인 따릉이가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공유 교통서비스의 급성장은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에 따른 스마트폰의 보급, 위치기반 시스템, 모바일 결제 시스템 개발에 기인하고 있다. 이를 통해 기존 스테이션(station) 기반의 공유 교통서비스인 카셰어링, 공유 자전거에서 보다 이용이 편리한 dockless(또는 floating) 방식의 개인형 교통수단 서비스가 도입되었다. 미국에서는 2017년부터 Lime, Spin, Mobike, Bird 등 다양한 공유 자전거 및 전동킥보드가 제공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2018년 킥고잉을 시작으로 지쿠터, 씽씽, 디어, 빔, 고고씽 등의 공유 전동킥보드와 지바이크, 카카오T바이크, 쿠키바이크, 일레클, ZET 등의 공유 전기자전거 서비스가 등장하였다. 2020년 8월 기준 전국에 약 3만 6천대 이상의 기기가 서비스 중이다.
공유 전동킥보드나 전기바이크는 정해진 스테이션 없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어 기존 공유 교통서비스에 비해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으나, 보도나 차도 위에 방치되는 등 무분별한 서비스 운영에 따른 교통사고, 보행환경 저해 등의 또 다른 도시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특히, 공유 전동킥보드의 도입 당시 안전 사고에 따른 부상을 예방하기 위하여 헬멧의 착용이 권장되었으나 이에 대한 강제적인 법률이 없어 전동킥보드의 이용자 중 대다수가 헬멧을 착용하지 않은 상태로 운행을 함으로써 안전 사고에 따른 큰 부상을 입는 경우가 많았고 사망 사례도 나타나게 되었다. 2021년에는 개정 도로교통법이 시행되면서 한국에서는 스로틀 방식으로 작동되는 전동킥보드나 전기자전거 등의 운전자는 헬멧을 착용하지 않다가 단속에 걸리면 과태료 2만 원이 부과되도록 하여 헬멧의 착용을 강제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유 전동킥보드나 공유 전기 자전거와 함께 헬멧을 공유하는 시스템은 미비한 상태이고 일부 공유 전기바이크에는 헬멧이 함께 제공되고 있으나 헬멧이 불특정 다수인이 사용하므로 전기바이크의 이용자가 헬멧을 사용하는 것을 꺼리고 있다. 특히, 코로나 19와 같은 펜데믹 상황에서 개인간의 위생에 대한 인식이 높아진 상황에서 청결하다고 인식되지 않는 공유 헬멧을 잘 착용하지 않으려하고 헬멧 미착용에 따른 과태료 법률로 인하여 공유 전기바이크의 사용 비중까지도 줄어들게 되었다.
공유 전기바이크의 도입 취지를 살리면서도 안전 사고 예방을 위해 헬멧의 착용의 거부감을 줄이기 위하여 헬멧의 청결함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의 등록특허공보 제10-2199920호의 헬멧 턱끈이 결합된 잠금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유 모빌리티 대여 시스템, 한국의 등록특허공보 제10-1980155호의 전동 킥보드 대여 쉐어 시스템이 소개되었다. 다만, 종래 기술은 헬멧을 전동킥보드에 안정적으로 결합하고 전동킥보드의 사용 완료 후 헬멧을 제대로 반납할 수 있도록 하여 헬멧의 도난을 방지하는 기술에 집중되었고, 제10-2199920호에서는 헬멧에 LED 광을 조사하여 살균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사용자의 두부와 직접적으로 맞닿는 헬멜에 LED 광조사만으로는 헬멧을 효과적으로 살균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한국의 등록특허공보 제10-2199920호 한국의 등록특허공보 제10-1980155호
본 발명은 공유 전기바이크 상에 탈부착 가능한 헬멧보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헬멧의 청결함을 유지할 뿐만 아니라 헬멧보관장치 내부의 청결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헬멧보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전기바이크의 운행 및 운행 종료 시 헬멧의 사용 및 헬멧의 적절한 보관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헬멧보관장치가 장착된 전기바이크를 운행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바이크의 운행 중에 헬멧보관장치 내부의 청결화 과정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바이크의 비운행 중의 주차 상태에서 우천에 따른 비나 벌레 등의 외부 이물질이 헬멧보관장치 내로 유입되어 헬멧보관장치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한다.
실시예는, 헬멧의 일부 영역을 수납하는 수납부; 상기 수납부에 체결되고 상기 헬멧의 나머지 일부 영역을 수납하는 커버부; 상기 수납부에 설치되어 상기 헬멧의 내측으로 살균광을 제공하는 광원부; 상기 수납부의 수납홈 상에 외부 공기를 분사하고 상기 수납홈 상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팬부; 및 상기 수납부로부터 상기 커버부의 분리 또는 상기 수납부와 상기 커버부의 체결을 위한 잠금장치;를 포함하고, 전기바이크의 운행이 승인에 따라 상기 잠금장치의 락킹이 해제되어 상기 헬멧의 인출이 가능한 상태가 되고, 상기 전기바이크의 운행의 종료에 따라 상기 전기바이크의 사용에 따른 사용 요금 결제 절차가 진행을 위해 상기 헬멧의 보관 상태를 확인하는 공유 전기바이크에 설치 가능한 헬멧보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수납부에 설치된 제1 접속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헬멧에 설치된 제2 접속단자와 상기 제1 접속단자의 접속 유무에 따라 상기 헬멧이 상기 수납부로부터 인출되었는지 여부나 상기 수납부 상에 헬멧이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공유 전기바이크에 설치 가능한 헬멧보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수납부에는 수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홈은 살균홈 및 가이드 수납홈으로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 수납홈에는 상기 헬멧의 측면커버부가 수납되는 공유 전기바이크에 설치 가능한 헬멧보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살균홈에는 상기 광원부의 제1 광원부가 설치되어 상기 제1 광원부에 의해 상기 헬멧의 두부커버부의 내측을 살균되는 공유 전기바이크에 설치 가능한 헬멧보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살균홈과 상기 가이드 수납홈을 구분하기 위해 상기 수납홈에 설치된 가이드 측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측벽에서 상기 측면커버부의 내측과 마주하는 면에는 상기 광원부의 제2 광원부가 설치되어 상기 제2 광원부에 의해 상기 측면커버부가 살균되는 공유 전기바이크에 설치 가능한 헬멧보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수납부의 외측면에 설치된 흡기 메쉬부 및 배기 메쉬부;
상기 팬부는 상기 흡기 메쉬부를 통해 외부 공기를 유입하여 상기 두부커버부의 내측 및 상기 가이드 수납홈을 향해 공기를 분사하고, 상기 배기 메쉬부를 통해 상기 살균홈 및 상기 가이드 수납홈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상기 헬멧보관장치가 상기 전기바이크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흡기 메쉬부 및 상기 배기 메쉬부는 지면을 향하는 공유 전기바이크에 설치 가능한 헬멧보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잠금장치의 해제를 요청하는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잠금장치의 락킹을 해제하는 단계; 상기 잠금장치의 조작에 따라 상기 잠금장치에 의해 서로 결합된 커버부와 수납부의 체결이 해제되어 상기 커버부와 상기 수납부에 의해 보관되었던 헬멧의 인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헬멧의 인출이 확인된 후 상기 커버부와 상기 수납부의 체결 완료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커버부와 상기 수납부의 체결이 완료되면 상기 잠금장치를 락킹하고, 전기바이크의 운행상태가 활성화되도록 락킹 완료 신호를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기바이크의 운행 종료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잠금장치의 락킹을 해제하는 단계; 상기 헬멧이 상기 수납부에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커버부와 상기 수납부의 체결 완료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커버부와 상기 수납부의 체결이 완료되면 상기 잠금장치를 락킹하고, 전기바이크의 사용 요금 결제 절차가 진행되도록 락킹 완료 신호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헬멧보관장치가 장착된 전기바이크를 운행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전기바이크의 사용 요금 결제 절차가 진행되도록 락킹 완료 신호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한 후 보관 중인 헬멧의 청결화 과정이 진행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헬멧보관장치가 장착된 전기바이크를 운행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헬멧과 상기 수납부의 접속단자의 접속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헬멧의 인출 또는 상기 헬멧의 보관 여부를 판단하는 헬멧보관장치가 장착된 전기바이크를 운행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는, 전기바이크에 탈부착 가능한 헬멧보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다수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헬멧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헬멧보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전기바이크의 비운행 상태에서 우천시에 비가 헬멧보관장치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벌레 등 외부의 이물질이 헬멧보관장치로 유입되어 헬멧보관장치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헬멧보관장치 내에 보관 중인 헬멧의 내측 전체적인 영역을 살균하고 이물질이나 냄새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실시예는 헬멧보관장치 내에서 쌓인 이물질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실시예는 사용자가 정해진 규칙에 따라 헬멧을 사용하고 사용 완료한 헬멧을 헬멧보관장치 상에 적절히 보관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바이크 공유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2a 및 도 2b는 다양한 형태의 전기바이크와 전기바이크에 장착된 헬멧보관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 내지 도 6은 헬멧보관장치와 헬멧을 다양한 각도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7은 수납부에 커버부가 덮힌 상태에서의 헬멧보관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수납부를 정면측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9 및 도 10은 수납부의 다양한 각도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11은 헬멧의 접속 단자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수납부와 커버부의 체결과 관련한 잠금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라이더가 전기바이크의 사용을 위해 단말기와 전기바이크를 페어링하는 것을 묘사한 것이다.
도 14는 라이더가 헬멧을 착용하고 전기바이크를 운행하는 것을 묘사한 것이다.
도 15 내지 도 17은 커버부가 열린 상태의 전기바이크에 장착된 헬멧보관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18은 헬멧보관장치 내의 공기와 외부 공기의 순환을 개략적으로 묘사한 것이다.
도 19는 헬멧보관장치의 일부 구성들에 대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보관장치가 장착된 전기바이크를 운행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헬멧보관장치가 장착된 전기바이크를 운행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바이크에 장착된 헬멧보관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23 내지 도 25는 수납부의 바닥부 상에 회전부가 설치되고, 회전부의 설치에 따라 제1 및 제2 배출홀이 하나의 홀을 형성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바이크 공유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2a 및 도 2b는 다양한 형태의 전기바이크와 전기바이크에 장착된 헬멧보관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3 내지 도 6은 헬멧보관장치와 헬멧을 다양한 각도에서 바라본 것이다. 그리고, 도 7은 수납부에 커버부가 덮힌 상태에서의 헬멧보관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8은 수납부를 정면측에서 바라본 것이고, 도 9 및 도 10은 수납부의 다양한 각도에서 바라본 것이다. 그리고, 도 11은 헬멧의 접속 단자를 도시한 것이고, 도 12는 수납부와 커버부의 체결과 관련한 잠금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 전기바이크 공유 시스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바이크 공유 시스템(10)은 단말기(11), 서버(12), 전기바이크(20), 전기바이크(20)에 설치된 헬멧보관장치(30) 및 단말기(11)와 서버(12), 전기바이크(20), 헬멧보관장치(30)들의 상호간의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기바이크(20)는 퍼스널 모빌리티의 한 종류이다. 퍼스널 모빌리티는 1휠이나 2휠로 구성된 자이로 타입, 2 휠이나 4 휠로 구성된 전동 스케이트 보드, 전동킥보드, 전기자전거, 전동스쿠터를 통칭하는 의미가 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2a에서와 같이 헬멧보관장치(30)는 전기모터의 구동력에 의해서만 구동하는 타입의 전기바이크(20)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 2b에서와 같이 헬멧보관장치(30)는 전기모터 및 페달답력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하는 타입의 전기바이크(20)에 설치될 수 있다.
단말기(11)는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네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의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가 될 수 있다.
서버(12)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11)와 네트워크(13)를 통해 통신하여 명령, 코드, 파일, 컨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컴퓨팅 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팅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서버(12)는 복수의 전기바이크(20)의 사용을 관리하고 위치 정보과 배터리 상태를 관리하며 전기바이크(20)의 사용에 따른 과금 등의 결제 프로세스의 진행을 관리하는 컴퓨팅 장치가 될 수 있다.
네트워크(13)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3)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13)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 헬멧보관장치
도 3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헬멧보관장치(30)는 크게 수납부(100)와 커버부(200)로 구성될 수 있다. 수납부(100) 및 커버부(200) 각각은 헬멧(40)의 전체적인 외관의 형상에 대응하고 헬멧(4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수납하기 위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수납부(100)는 제1 상부면(110)과 제1 하부면(120) 그리고 이들을 잇는 외측면(130)을 포함한다. 제1 상부면(110)과 제1 하부면(120)은 서로 마주하는 면으로 서로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외측면(130)은 수납부(100)가 헬멧(4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의 수납이 가능하도록 원형 타입의 형상이 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1 하부면(120)은 개방 가능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제1 하부면(120)을 개방한 후 수납부(100) 내에 포함된 각종 장치나 필터 장치 등을 설치하거나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커버부(200)는 제2 상부면(210)과 제2 하부면(220)을 가지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상부면(210)은 제2 하부면(220)과 이어지면서 커버부(200)의 외측면과 상부면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반원 타입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커버부(200)는 헬멧(4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수납 가능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수납부(100)는 제1 상부면(110)을 통해 내부에 수납 영역이 형성되어 헬멧(40)의 측면커버부(42)를 수납할 수 있다. 그리고, 커버부(200)는 제2 하부면(220)을 통해 내측에 수납 영역이 형성되어 헬멧(40)의 두부커버부(41)를 수납할 수 있다. 수납부(100)에 헬멧(40)의 측면커버부(42)가 수납된 상태에서, 수납부(100)에 커버부(200)가 덮히면서 헬멧(40)의 두부커버부(41)가 커버부(200) 상에 수납되며 수납부(100)와 커버부(200)가 서로 체결된 상태에서 헬멧보관장치(30) 내에 헬멧(40)이 안정적으로 보관된다.
수납부(100)의 제1 상부면(110)의 일 영역 상에는 제1 접속단자(310)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접속단자(310)는 수납부(100)와 커버부(200)를 서로 연결하면서도 커버부(200)가 수납부(100)와의 연결 지점을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힌지부(170)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수납부(100)의 제1 상부면(110)의 일 영역 상에는 공기분사홀(111)이 형성될 수 있다. 공기분사홀(111)은 서로 이격된 복수개가 될 수 있다. 공기분사홀(111)은 제1 접속단자(310)와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제1 상부면(110)의 일부 영역은 절개되어 바닥부(150)가 나타날 수 있다. 즉, 제1 상부면(110)의 일부 영역은 개구되어 수납홈(190)을 형성할 수 있다. 수납홈(190)은 헬멧(40)의 측면커버부(42)의 수납이 가능하도록 측면커버부(42)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수납홈(190)에 의해 수납부(100)에는 내측면(140)이 나타나게 된다.
내측면(140)은 라운드 형상의 제1 내측면(140a)과 제1 내측면(140a)과 이어지고 평면 형상의 제2 내측면(140b)을 포함할 수 있다. 수납부(100)의 제1 상부면(110)의 영역 중에서 제2 내측면(140b)과 이어지는 영역 상에는 공기분사홀(111) 및 제1 접속단자(310)가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 상부면(110)의 일부 영역은 개구되어 수납홈(190)을 형성하고 개구되지 않은 제1 상부면(110)에는 제1 접속단자(310)와 힌지부(170)가 설치되고 공기분사홀(11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상부면(110) 아래이 수납부(100) 내부에는 후술하는 팬부(500)가 설치될 수 있다.
수납부(100)는 헬멧(40)의 측면커버부(42)의 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하여 가이드 측벽(16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측벽(160)은 제2 내측면(140b)의 가장자리 일 지점에서부터 수납홈(190)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어 제2 내측면(140b)의 반대 방향의 지점까지 이어질 수 있고, 그에 따라 내측면(14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인 제1 내측면(140a)과 마주할 수 있다. 상세하게, 가이드 측벽(160)은 제1 내측면(140a)과 마주할 수 있고, 제1 내측면(140a)과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헬멧(40)의 측면커버부(42)는 제1 내측면(140a)과 가이드 측벽(160) 사이의 공간에 수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내측면(140a)과 가이드 측벽(160) 사이의 수직 길이는 헬멧(40)의 측면커버부(42)의 두께의 길이보다 더 길 수 있다. 수납홈(190) 상에 위치한 가이드 측벽(160)에 의해서 바닥부(150)가 두개의 영역으로 구분(가이드 측벽(160)이 바닥부(150)의 두 개의 영역을 구분하는 경계)되면서 수납홈(190)은 살균홈(191)과 가이드 수납홈(192)으로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 수납홈(192)은 살균홈(191)을 둘러싸는 형태로 위치하고 헬멧(40)의 측면커버부(42)는 가이드 수납홈(192)에 삽입될 수 있고, 헬멧(40)이 수납부(100)에 수납되면 헬멧(40)의 두부커버부(41)의 내측은 살균홈(191)과 마주하게 된다.
또한, 제2 내측면(140b)은 가이드 측벽(160)에 의해서 제1 배기측면(141), 제2 배기측면(142), 흡기측면(143)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2 내측면(140b)의 영역 중 제2 내측면(140b)과 제1 내측면(140a)이 서로 이어지는 두 군데의 영역(좌우 각각의 영역) 중 어느 하나와 인접하여 제1 배기측면(141)이 정의되고, 나머지 하나와 인접하여 흡기측면(143)이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배기측면(141)과 흡기측면(143) 사이에 제2 배기측면(142)이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배기측면(141)과 흡기측면(143)은 가이드 수납홈(192) 상에 위치하여 가이드 수납홈(192)의 일 측면을 형성하고, 제2 배기측면(142)은 살균홈(191) 상에 위치하여 살균홈(191) 상의 일 측면을 형성한다.
제1 배기측면(141) 상에는 서로 이격된 복수의 제1 배기홀(141h)이 형성되고, 제2 배기측면(142) 상에는 하나의 제2 배기홀(142h)이 형성되며 흡기측면(143) 상에는 서로 이격된 복수의 홉기홀(143h)이 형성된다.
수납부(100)의 제2 내측면(140b)과 제2 내측면(140b)과 이어지는 수납부(100)의 제1 상부면(110) 그리고 외측면(130)의 일부 영역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 내를 팬수납공간(149)으로 정의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제1 접속단자(310), 힌지부(170)가 설치되고 공기분사홀(111)이 형성된 제1 상부면(110) 아래의 수납부(100) 내부를 팬수납공간(149)으로 정의할 수 있다.
외측면(130) 중에서 제2 내측면(140b)과 마주하는 영역 상에는 복수의 제1 개구홀이 형성되고, 외측면(130) 중에서 제1 배기측면(141)과 흡기측면(143)에 마주하는 영역 상에도 복수의 제2 개구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들 복수의 개구홀 각각에는 메쉬부(400)가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외측면(130)은 라운드 형상을 가지므로 정확히 제1 개구홀이 제1 배기측면(141) 또는 흡기측면(143)에 마주하는 것은 아니고, 이들과 대응한다고 표현될 수 있다.
메쉬부(400)는 흡기 메쉬부(410)와 배기 메쉬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흡기 메쉬부(410)가 위치한 개구홀은 흡기홀(143h)과 공기분사홀(111) 각각에 연통된다. 그리고, 배기 메쉬부(420)가 위치한 개구홀은 제1 및 제2 배기홀(141h, 142h) 각각에 연통된다.
흡기 메쉬부(410)는 제1 흡기 메쉬부(411)와 제2 흡기 메쉬부(412)로 구분되고, 제1 흡기 메쉬부(411)가 위치한 개구홀은 흡기홀(143h)에 연통되고, 제2 흡기 메쉬부(412)가 위치한 개구홀은 공기분사홀(111)에 연통된다. 그리고, 배기 메쉬부(420)는 제2 배기 메쉬부(421)와 제2 배기 메쉬부(422)로 구분되고, 제2 배기 메쉬부(421)가 위치한 개구홀은 제1 배기홀(141h)과 연통되고, 제2 배기 메쉬부(422)가 위치한 개구홀은 제2 배기홀(142h)과 연통된다.
제1 배기홀(141h) 및 제1 배기홀(142h) 상에는 배기팬(520)이 설치될 수 있고, 흡기홀(143h) 그리고 제2 흡기 메쉬부(412)와 공기분사홀(111) 사이에는 흡기팬(510)이 설치될 수 있다.
배기팬(520)은 제1 배기홀(141h) 상에 설치된 제1 배기팬(521)과 제2 배기홀(142h) 상에 설치된 제2 배기팬(522)을 포함할 수 있다.
흡기팬(510)은 흡기홀(143h) 상에 설치된 제1 흡기팬(511)과 제2 흡기 메쉬부(412)와 공기분사홀(111) 사이에 설치된 제2 흡기팬(5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흡기팬(511)은 외부로부터의 공기를 제1 흡기 메쉬부(411)를 통해 흡입하여 가이드 수납홈(192)으로 분사할 수 있다. 가이드 수납홈(192)으로 유입된 공기는 가이드 수납홈(192)을 따라 이동하여 제1 배기팬(521)에 의해 제1 배기 메쉬부(42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흡기팬(511)과 제1 배기팬(521)은 가이드 수납홈(192) 상의 공기를 외부의 공기와 순환시킬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 수납홈(192)에 수납된 헬멧(40)의 측면커버부(42) 상에 잔존하는 이물질과 냄새 등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제2 흡기팬(512)은 외부로부터의 공기를 제2 흡기 메쉬부(412)를 통해 흡입하여 공기분사홀(111)을 통해 출력하게 된다. 공기분사홀(111)은 공기가 상측 대각선 방향을 향하도록 구성되어 수납부(100)에 수납된 헬멧(40)의 내측을 향해 공기가 분사된다. 그리고, 제2 배기팬(522)에 의해 제2 배기 메쉬부(422)를 통해 공기가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흡기팬(512)과 제2 배기팬(522)은 살균홈(191) 상의 공기를 외부의 공기와 순환시킨다. 이처럼, 살균홈(191) 상의 위치하는 헬멧(40)의 두부커버부(41) 상에 공기를 분사하고 분사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두부커버부(41) 상의 이물질이나 냄새를 외부로 배출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1 흡기 메쉬부(411)와 제1 흡기팬(511) 사이 그리고 제2 흡기 메쉬부(412)와 제2 흡기팬(512) 사이에는 필터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들 필터는 외부로부터의 공급되는 공기 내의 먼지, 이물질 등을 필터링하여 헬멧보관장치(30) 내로 공급할 수 있다.
수납부(100)는 광원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부(600)는 제1 및 제2 광원부(610, 62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제1 광원부(610)는 바닥부(15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광원부(610)는 수납부(100)에 수납된 헬멧(40)의 두부커버부(41)의 내측으로 살균광을 제공할 수 있다.
복수개의 제2 광원부(620)는 가이드 측벽(16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2 광원부(620)는 제1 내측면(140a)과 마주하는 가이드 측벽(16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광원부(620)는 수납부(100)에 수납된 헬멧(40)의 측면커버부(42)의 내측을 향해 살균광을 제공할 수 있다.
헬멧(40)이 수납부(100)에 수납될 때 헬멧(40)과 제1 상부면(110)의 접촉 영역 상에는 제2 접속단자(320)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접속단자(320)는 제1 상부면(110) 상의 제1 접속단자(310)와 접속된다.
수납부(100)의 외측면(130) 상에는 잠금장치(180)가 마련될 수 있다. 잠금장치(180)는 수납부(100)의 외측면(130)에 설치된 다이얼(181)과 수납부(100)의 제1 상부면(110)의 가장자리 영역의 일 지점을 통해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 고정핀(182)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핀(182)은 커버부(200)의 제2 하부면(220)의 가장자리 영역 상의 고정핀삽입홈(221)이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200)가 수납부(100)를 커버하면 고정핀(182)은 고정핀삽입홈(221)에 삽입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다이얼(181)의 회전에 따라 고정핀(182)의 상부 방향이나 하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고정핀(182)이 상부방향으로 이동하여 고정핀삽입홈(221)에 삽입되면 고정핀(182)은 커버부(20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핀(182)과 커버부(200)의 고정 결합이 해제되면 고정핀(182)은 하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수납부(100)로부터 커버부(200)를 열 수 있다.
수납부(100)의 외측면(130) 상에는 커넥터(700)가 접속될 수 있다. 커넥터(700)에 연결된 케이블은 전기바이크(20) 상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케이블을 통해 전기바이크(20)와 헬멧보관장치(30) 상호간의 데이터 교환이 가능하고, 헬멧보관장치(30)는 전기바이크(20)의 배터리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 헬멧보관장치가 탑재된 전기바이크
도 13 내지 도 18은 헬멧보관장치가 장착된 전기바이크의 전체 또는 일부를 도시한 것이다. 상세하게, 도 13은 라이더가 전기바이크의 사용을 위해 단말기와 전기바이크를 페어링하는 것을 묘사한 것이고, 도 14는 라이더가 헬멧을 착용하고 전기바이크를 운행하는 것을 묘사한 것이고, 도 15 내지 도 17은 커버부가 열린 상태의 전기바이크에 장착된 헬멧보관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18은 헬멧보관장치 내의 공기와 외부 공기의 순환을 개략적으로 묘사한 것이다.
도 13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도 2a와 같은 형태의 전기바이크(20)의 메인프레임(21)은 전방휠측과 핸들을 서로 연결하는 프레임이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도 2b와 같은 형태의 전기바이크(20)의 메인프레임(21)은 헤드튜브가 될 수 있다. 메인프레임(21) 상에는 거치장치(800)가 설치될 수 있다. 거치장치(800)는 메인프레임(21)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둘러싸는 형태로 메인프레임(21)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거치장치(800)는 메인프레임(21)에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거치장치(800) 상에는 헬멧보관장치(30)가 연결될 수 있다. 헬멧보관장치(30)는 거치장치(800)에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헬멧보관장치(30)가 거치장치(800)에 장착될 때 메쉬부(400)가 지면을 향하도록 헬멧보관장치(30)가 거치장치(800)에 탑재될 수 있다.
헬멧보관장치(30)가 거치장치(8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부 방향에 위치한 잠금장치(180)를 제어하여 커버부(200)를 수납부(1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커버부(200)를 수납부(100)로부터 분리하면 커버부(200)는 힌지부(170)를 중심으로 아래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헬멧보관장치(30)가 열릴 수 있다. 사용자는 헬멧보관장치(30) 내의 헬멧(40)을 수납부(100)로부터 인출한 후 착용하고 커버부(200)를 다시 역회전시켜 수납부(100)를 덮고 커버부(200)를 수납부(100)에 고정 체결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헬멧(40)을 착용한 상태에서 전기바이크(20)를 운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전기바이크(20)의 사용이 완료된 후 다시 헬멧보관장치(30)를 열고 헬멧(40)을 수납부(100)에 수납할 수 있다. 그리고, 헬멧보관장치(30)를 닫을 수 있다. 헬멧보관장치(30)는 수납된 헬멧(40)의 내부로 살균광을 조사하여 헬멧(40)의 내부를 살균하고 팬부(500)를 구동시켜 외부로부터의 공기와 헬멧보관장치(30) 내의 공기를 순환시켜 헬멧(40) 내의 유해물질과 냄새 등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그리고, 메쉬부(400)는 지면을 향하고 있기 때문에 유해물질이 섞인 공기는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커버부(200)의 제2 상부면(210)은 전기바이크(20)의 이동 방향에 마주한다. 제2 상부면(210)은 전체적으로 반원 형태를 가지므로 공기 저항이 줄어들 수 있다. 또한, 메쉬부(400)는 지면을 향하고 있기 때문에 우천시에 비가 헬멧보관장치(30)내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 헬멧보관장치가 장착된 전기바이크를 운행하는 방법
도 19는 헬멧보관장치의 일부 구성들에 대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 그리고,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보관장치가 장착된 전기바이크를 운행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보관장치가 장착된 전기바이크를 운행하는 방법(S100)은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S101), 운행 승인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02), 헬멧보관장치의 잠금장치의 락킹을 해제하는 단계(S103), 헬멧의 인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04), 잠금장치가 체결되었는지 감지하는 단계(S105), 잠금장치를 락킹하고 운행상태를 활성화하는 단계(S106), 운행 종료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07), 운행이 종료되면 잠금장치의 락킹을 해제하는 단계(S108), 헬멧의 장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09), 잠금장치의 체결을 감지하는 단계(S110), 잠금장치를 락킹하고 비용 정산을 완료하는 단계(S111) 및 헬멧의 청결화 과정을 진행하는 단계(S112)를 포함할 수 있다.
각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S101)
사용자는 단말기(11) 상에서 공유 전기바이크용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제공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현재 위치 상에 존재하는 전기바이크(20)를 선택하고, 전기바이크(20)의 운행에 필요한 사용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 운행 승인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02)
단말기(11)는 운행에 필요한 사용자 정보를 서버(12)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12)는 수신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전기바이크(20)의 운행 승인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서버(12)는 사용자가 전기바이크(20)의 운행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면 운행 승인 메시지를 전기바이크(20)로 전송하여 전기바이크(20)가 운행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서버(12)는 운행 승인 메시지를 단말기(11)로 전송할 수 있다. 단말기(11)의 어플리케이션은 운행 승인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전기바이크(20)의 통신 모듈과 페어링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단말기(11)의 어플리케이션은 운행 승인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헬멧보관장치(30)의 통신 모듈(920)과 페어링될 수 있다.
- 헬멧보관장치의 잠금장치의 락킹을 해제하는 단계(S103)
전기바이크(20)와 단말기(11)가 서로 페어링되면, 단말기(11)의 어플리케이션은 전기바이크(20)의 운행 및 헬멧보관장치(30)의 사용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헬멧(40)의 착용 등의 미리 설정된 과정을 거친 후에 전기바이크(20)의 운행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가 활성화될 수도 있다.
단말기(11)의 어플리케이션은 헬멧보관장치(30)의 잠금장치(180)의 해제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은 잠금장치(180)의 해제를 요청하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잠금장치(180)의 락킹 해제 신호를 헬멧보관장치(30)로 전송할 수 있다. 헬멧보관장치(30)는 락킹 해제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잠금장치(180)의 락킹을 해제할 수 있다. 잠금장치(180)의 락킹의 해제에 따라 다이얼(181)은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사용자는 다이얼(181)을 회전시켜 고정핀(182)을 커버부(200)의 고정핀삽입홈(221)으로부터 인출하여 커버부(200)가 수납부(100)로부터 분리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어플리케이션은 헬멧보관장치(30)의 개폐 방법을 안내하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도 있다.
- 헬멧의 인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04)
헬멧보관장치(30)는 제1 및 제2 접속단자(310, 320)의 접속 해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헬멧보관장치(30)는 제1 및 제2 접속단자(310, 320)의 접속이 해제되면 헬멧(40)이 인출된 것으로 판단하고 헬멧(40)이 인출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단말기(11)로 전송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단말기(11)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헬멧(40)의 인출을 알리는 신호를 수신하지 않으면 헬멧(40)의 인출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 잠금장치가 체결되었는지 감지하는 단계(S105)
헬멧보관장치(30)는 헬멧(40)의 인출을 감지한 후에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잠금장치(180)의 체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고정핀(182)이 고정핀삽입홈(221)에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헬멧보관장치(30)는 잠금장치(180)의 체결 완료를 판단하면 잠금장치(180)를 락킹할 수 있다. 그리고, 헬멧보관장치(30)는 잠금장치(180)의 락킹 완료 신호를 단말기(11)로 전송할 수 있다. 단말기(11)는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잠금장치(180)의 락킹 완료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잠금장치의 체결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 잠금장치를 락킹하고 운행상태를 활성화하는 단계(S106)
단말기(11)는 잠금장치(180)의 락킹 완료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전기바이크(20)로 운행상태 활성화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헬멧보관장치(30)는 잠금장치(180)의 락킹 완료 후 전기바이크(20)로 운행상태 활성화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전기바이크(20)는 운행상태 활성화 요청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운행이 가능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 운행 종료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07)
단말기(11)는 운행 종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 상에 운행 종료 요청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기바이크(20)는 미리 설정된 목적지에 전기바이크(20)가 위치하면 운행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헬멧보관장치(30)는 운행 종료 신호를 단말기(11) 및 전기바이크(2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헬멧보관장치(30)는 운행 종료 신호를 수신하면 전기바이크(20)의 운행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 운행이 종료되면 잠금장치의 락킹을 해제하는 단계(S108)
헬멧보관장치(30)는 운행 종료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잠금장치(180)의 락킹을 해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헬멧보관장치(30)는 잠금장치(180)의 락킹 해제 완료 신호를 단말기(11)로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단말기는 운행 종료 요청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잠금장치(180)의 락킹 해제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단말기(11)는 잠금장치(180)의 락킹 해제를 요청하는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헬멧보관장치(30)로 잠금장치(180)의 락킹을 해제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 헬멧의 장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09)
사용자는 다이얼(181)을 조작하여 고정핀(182)을 고정핀삽입홈(221)으로부터 인출하고, 커버부(200)를 수납부(100)로부터 분리함으로써 헬멧보관장치(30)를 열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착용했던 헬멧(40)을 벗어 헬멧보관장치(30)에 투입하고, 커버부(200)를 수납부(100) 상에 체결할 수 있다.
헬멧보관장치(30)는 잠금장치(180)의 락킹 해제 후 기 설정된 시간 내에 헬멧(40)의 제2 접속단자(320)와 수납부(100)의 제1 접속단자(310)의 접속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제1 및 제2 접속단자(310, 320)의 접속이 감지되지 않으면 헬멧보관장치(30)는 단말기(11)로 헬멧(40)의 장착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기(11)는 헬멧(40)의 장착을 요청하는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헬멧(40)의 장착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 잠금장치의 체결을 감지하는 단계(S110)
사용자는 다이얼(181)을 조작하여 고정핀(182)을 고정핀삽입홈(221)에 삽입할 수 있다. 헬멧보관장치(30)는 고정핀(182)이 고정핀삽입홈(221)에 삽입된 것으로 인식하면 잠금장치(180)가 체결된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헬멧보관장치(30)는 제1 및 제2 접속단자(310, 320)의 접속 감지 후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잠금장치(180)의 체결이 감지되지 않으면 잠금장치(180)의 체결을 요청하는 신호를 단말기(11)로 전송할 수 있다. 단말기(11)는 잠금장치(180)의 체결을 요청하는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잠금장치(180)의 체결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 잠금장치를 락킹하고 비용 정산을 완료하는 단계(S111)
헬멧보관장치(30)는 잠금장치(180)의 체결을 감지하면 잠금장치를 락킹할 수 있다. 헬멧보관장치(30)는 잠금장치(180)의 락킹을 완료한 후 잠금장치(180) 락킹 완료 신호를 단말기(11)로 전송할 수 있다. 단말기(11)의 어플리케이션은 잠금장치(180)의 락킹 완료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사용 종료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11)는 서버(12)와 통신하여 전기바이크(20)의 운행에 따른 사용 요금 결제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 헬멧의 청결화 과정을 진행하는 단계(S112)
헬멧보관장치(30)는 잠금장치의 락킹 완료 신호를 단말기(11)로 전송한 후에 헬멧(40)의 청결화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청결화 과정은 광원부(600)를 이용하여 보관 중인 헬멧(40)의 살균 과정 및 팬부(500)의 구동에 따른 이물질과 냄새 배출 과정을 진행을 의미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헬멧보관장치가 장착된 전기바이크를 운행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헬멧보관장치가 장착된 전기바이크를 운행하는 방법(S200)은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S210), 운행 승인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02), 헬멧보관장치의 잠금장치의 락킹을 해제하는 단계(S203), 헬멧의 인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04), 잠금장치가 체결되었는지 감지하는 단계(S205), 잠금장치를 락킹하는 단계(S206), 헬멧의 착용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S207), 운행상태를 활성화하는 단계(S208), 운행 종료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09), 운행이 종료되면 잠금장치의 락킹을 해제하는 단계(S210), 헬멧의 장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11), 잠금장치의 체결을 감지하는 단계(S212), 잠금장치를 락킹하고 비용 정산을 완료하는 단계(S213) 및 헬멧의 청결화 과정을 진행하는 단계(S21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0에서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 헬멧의 착용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S207)
헬멧(40)에는 착용 감지 센서가 마련될 수 있다. 착용 감지 센서는 두부커버부(41)의 내측에 위치한 압력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헬멧(40)을 착용하면 착용 감지 센서는 압력의 변화를 감지하여 헬멧(40)의 착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헬멧(40)은 턱끈의 체결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헬멧(40)은 턱끈의 체결 여부를 감지하면 사용자가 헬멧(40)을 착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만, 헬멧(40)의 착용 여부를 감지하는 방법은 전술한 방식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헬멧(40)은 사용자가 헬멧(40)을 착용한 것으로 감지하면 헬멧(40)의 착용 완료 신호를 단말기(11) 및 전기바이크(20)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 운행상태를 활성화하는 단계(S208)
전기바이크(20)는 헬멧의 착용 완료 신호를 단말기(11)로부터 수신 또는 헬멧(40)으로부터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운행상태를 활성화할 수 있다.
실시예는, 헬멧(40)의 인출이 확인되면 전기바이크(20)의 운행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헬멧(40)을 착용하여 전기바이크(20)를 운행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전기바이크(20)는 헬멧(40)이 정상적으로 헬멧보관장치(30) 내에 보관된 경우에 비로소 운행 종료 절차가 완료되도록 함으로써 헬멧(40)을 헬멧보관장치(30) 아닌 다른 곳에 비치하거나 정상적으로 헬멧보관장치(30) 내에 수납하지 않는 문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헬멧(40)의 청결화 과정을 통해 다음 사용자가 청결한 헬멧(40)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실시예는 헬멧보관장치(30)의 잠금장치(180)의 체결 여부를 감지하도록 하여 커버부(200)가 정상적으로 수납부(100)에 체결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헬멧보관장치(30)가 열린 상태로 전기바이크(20)가 운행됨으로써 외부의 이물질이 헬멧보관장치(30) 내로 유입되어 헬멧보관장치(30)가 오염되는 문제를 방지하고, 전기바이크(20)의 운행 중의 충격에 의해서 커버부(200)와 수납부(100)의 체결상의 오동작이나 부품의 파손 및 불량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 청결화 과정
실시예에 따른 헬멧보관장치(30)는 청결화과정 중에 흡기팬(510)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구동하여 외부로부터의 공기를 수납홈(190) 상에 유입하고, 흡기팬(510)의 구동을 종료한 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배기팬(520)을 구동하여 수납홈(190) 상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헬멧보관장치(30)는 흡기팬(510)과 배기팬(520)을 교대로 반복 구동하여 수납홈(190) 내부의 공기를 빠르게 순환시켜 킬 수 있다.
- 공기가이드부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바이크에 장착된 헬멧보관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전기바이크(20) 상에 장착된 헬멧보관장치(30)의 수납부(100)의 외측면(130)에는 제1 공기가이드부(412g)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공기가이드부(412g)는 제2 흡기 메쉬부(412)에 대응하는 위치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공기가이드부(412g)는 외측면(130)의 하측에서부터 커버부(200) 측으로 소정의 각도로 휘어지면 연장되는 형태를 가져 제2 흡기 메쉬부(412)를 커버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전기바이크(20)가 운행 중에는 헬멧보관장치(30) 내는 빈 공간(헬멧(40)이 없는)이 된다. 이 경우, 팬부(500)는 구동하지 않으나 전기바이크(20)의 이동 방향으로의 맞바람이 헬멧보관장치(30)에 가해진다. 이 때, 제1 공기가이드부(412g)는 맞바람을 수집하여 제2 흡기 메쉬부(412) 상으로 유입할 수 있다. 따라서, 헬멧보관장치(30) 내의 수납홈(190) 내의 이물질이나 냄새 등의 외부 배출을 도울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간헐적으로 제1 및 제2 배기팬(521, 522)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함으로써 맞바람에 의해 수납홈(190)으로 유입된 공기가 제1 및 제2 배기팬(521, 522)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서 제1 및 제2 배기 메쉬부(421, 42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기바이크(20) 상에 장착된 헬멧보관장치(30)의 수납부(100)의 외측면(130)에는 제2 공기가이드부(422g)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공기가이드부(422g)는 제2 배기 메쉬부(422)에 대응하는 위치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공기가이드부(422g)는 외측면(130)의 상측에서부터 수납부(100)의 바닥부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휘어지면 연장되는 형태를 가져 제2 배기 메쉬부(422)를 커버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제2 공기가이드부(422g)는 전기바이크(20)가 운행 중에 맞바람이 제2 배기 메쉬부(422)를 통해 수납홈(19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 회전부
도 23 내지 도 25는 수납부의 바닥부 상에 회전부가 설치되고, 회전부의 설치에 따라 제1 및 제2 배출홀이 하나의 홀을 형성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헬멧보관장치(30)의 바닥부(150) 상에는 회전부수납홈(150g)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부수납홈(150g) 상에는 회전부(151)가 결합될 수 있다. 회전부(151)는 회전부수납홈(150g)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원형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회전부수납홈(150g)의 중앙 영역에는 회전구동부(154)가 설치될 수 있다. 회전부(151)는 회전구동부(154)에 결합되어 회전구동부(154)의 구동에 따라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부(151)는 회전구동부(154)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회전구동부(154)를 통해 제1 광원부(610)의 구동을 위한 전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회전부(151) 상에는 복수의 제1 배출홀(15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부수납홈(150g) 상에는 복수의 제2 배출홀(153)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부(151)의 제1 위치 상에서는 제1 및 제2 배출홀(152, 153)이 하나의 홀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배출홀(152, 153)이 하나의 홀을 형성하면 수납홈(190)은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또한, 회전부(151)가 회전하여 제1 위치가 아닌 제2 위치가 되면 제1 배출홀(152)과 제2 배출홀(153)의 위치가 서로 어긋나 하나의 홀을 형성하지 않게 된다. 이 경우, 수납홈(190)은 외부의 연통이 차단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배출홀(152, 153)이 하나의 홀을 형성하면 이들 하나의 홀들 중 일부는 살균홈(191) 상에 위치하고, 나머지 홀들은 가이드 수납홈(192)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회전부(151)가 제1 위치 상에서는 제1 및 제2 배출홀(152, 153)이 하나의 홀을 형성함으로써 살균홈(191)과 가이드 수납홈(192)은 모두 외부와 연통할 수 있다.
제어부(910)는 헬멧보관장치(30) 상에 헬멧(40)이 없는 상태일 때, 즉, 전기바이크(20)가 운행 중일 때 회전부(151)가 제1 위치가 되도록 회전구동부(154)를 제어할 수 있고, 전기바이크(20)가 운행 종료 상태로 헬멧(40)이 헬멧보관장치(30) 상에 수납 중일 때는 회전부(151)가 제2 위치가 되도록 회전구동부(154)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전기바이크(20)의 운행 중에는 맞바람에 의해 수납홈(190)으로 유입된 공기에 의해서 수납홈(190) 내부의 이물질 들이 하나의 홀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 배출홀(152, 15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전기바이크(20)의 운행 중에는 맞바람 등의 원인에 따라 벌레 등이 하나의 홀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 배출홀(152, 153)을 통해 수납홈(19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한다. 그리고, 전기바이크(20)가 운행 종료 상태일 때는 제1 및 제2 배출홀(152, 153)을 통해 외부로부터 벌레 등이 수납홈(190)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전기바이크(20)의 비운행 중에서 우천시에 수납홈(190)으로 비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회전부(151)가 제1 위치 상에서는 제1 및 제2 배출홀(152, 153)이 하나의 홀을 형성할 때, 이들 홀은 배기팬(520)과 인접한 위치가 될 수 있다. 즉, 흡기팬(510)에서는 공기가 유입되고 이물질들이 날려 배기팬(520) 쪽으로 향하게 되므로 공기의 이동 경로 중 배기팬(520) 부근에 홀들이 형성됨으로써 수납홈(190) 상의 이물질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원활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또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전기바이크 공유 시스템(10)
단말기(11), 서버(12)
전기바이크(20), 메인프레임(21)
헬멧보관장치(30)
헬멧(40), 두부커버부(41), 측면커버부(42)
수납부(100), 제1 상부면(110), 공기분사홀(111)
제1 하부면(120), 외측면(130)
내측면(140)
제1 내측면(140a)
제2 내측면(140b)
제1 배기측면(141), 제2 배기측면(142), 흡기측면(143)
제1 배기홀(141h)
제2 배기홀(142h)
흡기홀(143h)
팬수납공간(149)
바닥부(150)
회전부수납홈(150g)
회전부(151)
제1 배출홀(152)
제2 배출홀(153)
회전구동부(154)
가이드 측벽(160)
힌지부(170)
잠금장치(180), 다이얼(181), 고정핀(182)
수납홈(190), 살균홈(191), 가이드 수납홈(192)
커버부(200), 제2 상부면(210), 제2 하부면(220), 고정핀삽입홈(221)
제1 접속단자(310), 제2 접속단자(320)
메쉬부(400), 흡기 메쉬부(410)
제1 흡기 메쉬부(411), 제2 흡기 메쉬부(412)
배기 메쉬부(420)
제1 배기 메쉬부(421), 제2 배기 메쉬부(422)
팬부(500), 흡기팬(510), 제1 흡기팬(511), 제2 흡기팬(512)
배기팬(520), 제1 배기팬(521), 제2 배기팬(522)
광원부(600), 제1 광원부(610), 제2 광원부(620)
커넥터(700)
거치장치(800)
제어부(910)
통신 모듈(920)

Claims (9)

  1. 헬멧의 일부 영역을 수납하는 수납부;
    상기 수납부에 체결되고 상기 헬멧의 나머지 일부 영역을 수납하는 커버부;
    상기 수납부에 설치되어 상기 헬멧의 내측으로 살균광을 제공하는 광원부;
    상기 수납부의 수납홈 상에 외부 공기를 분사하고 상기 수납홈 상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팬부; 및
    상기 수납부로부터 상기 커버부의 분리 또는 상기 수납부와 상기 커버부의 체결을 위한 잠금장치;를 포함하고,
    전기바이크의 운행이 승인에 따라 상기 잠금장치의 락킹이 해제되어 상기 헬멧의 인출이 가능한 상태가 되고,
    상기 전기바이크의 운행의 종료에 따라 상기 전기바이크의 사용에 따른 사용 요금 결제 절차가 진행을 위해 상기 헬멧의 보관 상태를 확인하는
    공유 전기바이크에 설치 가능한 헬멧보관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에 설치된 제1 접속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헬멧에 설치된 제2 접속단자와 상기 제1 접속단자의 접속 유무에 따라 상기 헬멧이 상기 수납부로부터 인출되었는지 여부나 상기 수납부 상에 헬멧이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공유 전기바이크에 설치 가능한 헬멧보관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에는 수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홈은 살균홈 및 가이드 수납홈으로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 수납홈에는 상기 헬멧의 측면커버부가 수납되는
    공유 전기바이크에 설치 가능한 헬멧보관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홈에는 상기 광원부의 제1 광원부가 설치되어 상기 제1 광원부에 의해 상기 헬멧의 두부커버부의 내측을 살균되는
    공유 전기바이크에 설치 가능한 헬멧보관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홈과 상기 가이드 수납홈을 구분하기 위해 상기 수납홈에 설치된 가이드 측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측벽에서 상기 측면커버부의 내측과 마주하는 면에는 상기 광원부의 제2 광원부가 설치되어 상기 제2 광원부에 의해 상기 측면커버부가 살균되는
    공유 전기바이크에 설치 가능한 헬멧보관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의 외측면에 설치된 흡기 메쉬부 및 배기 메쉬부;
    상기 팬부는 상기 흡기 메쉬부를 통해 외부 공기를 유입하여 상기 두부커버부의 내측 및 상기 가이드 수납홈을 향해 공기를 분사하고, 상기 배기 메쉬부를 통해 상기 살균홈 및 상기 가이드 수납홈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상기 헬멧보관장치가 상기 전기바이크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흡기 메쉬부 및 상기 배기 메쉬부는 지면을 향하는
    공유 전기바이크에 설치 가능한 헬멧보관장치.
  7. 잠금장치의 해제를 요청하는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잠금장치의 락킹을 해제하는 단계;
    상기 잠금장치의 조작에 따라 상기 잠금장치에 의해 서로 결합된 커버부와 수납부의 체결이 해제되어 상기 커버부와 상기 수납부에 의해 보관되었던 헬멧의 인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헬멧의 인출이 확인된 후 상기 커버부와 상기 수납부의 체결 완료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커버부와 상기 수납부의 체결이 완료되면 상기 잠금장치를 락킹하고, 전기바이크의 운행상태가 활성화되도록 락킹 완료 신호를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기바이크의 운행 종료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잠금장치의 락킹을 해제하는 단계;
    상기 헬멧이 상기 수납부에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커버부와 상기 수납부의 체결 완료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커버부와 상기 수납부의 체결이 완료되면 상기 잠금장치를 락킹하고, 전기바이크의 사용 요금 결제 절차가 진행되도록 락킹 완료 신호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헬멧보관장치가 장착된 전기바이크를 운행하는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바이크의 사용 요금 결제 절차가 진행되도록 락킹 완료 신호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한 후 보관 중인 헬멧의 청결화 과정이 진행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헬멧보관장치가 장착된 전기바이크를 운행하는 방법.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헬멧과 상기 수납부의 접속단자의 접속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헬멧의 인출 또는 상기 헬멧의 보관 여부를 판단하는
    헬멧보관장치가 장착된 전기바이크를 운행하는 방법.
KR1020220000949A 2022-01-04 2022-01-04 공유 전기바이크에 설치 가능한 헬멧보관장치 및 헬멧보관장치가 장착된 전기바이크를 운행하는 방법 KR202301054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0949A KR20230105497A (ko) 2022-01-04 2022-01-04 공유 전기바이크에 설치 가능한 헬멧보관장치 및 헬멧보관장치가 장착된 전기바이크를 운행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0949A KR20230105497A (ko) 2022-01-04 2022-01-04 공유 전기바이크에 설치 가능한 헬멧보관장치 및 헬멧보관장치가 장착된 전기바이크를 운행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5497A true KR20230105497A (ko) 2023-07-11

Family

ID=87159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0949A KR20230105497A (ko) 2022-01-04 2022-01-04 공유 전기바이크에 설치 가능한 헬멧보관장치 및 헬멧보관장치가 장착된 전기바이크를 운행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5497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0155B1 (ko) 2018-10-02 2019-05-20 김병준 전동 킥보드 대여 쉐어 시스템
KR102199920B1 (ko) 2019-10-02 2021-01-12 류형철 헬멧 턱끈이 결합된 잠금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유 모빌리티 대여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0155B1 (ko) 2018-10-02 2019-05-20 김병준 전동 킥보드 대여 쉐어 시스템
KR102199920B1 (ko) 2019-10-02 2021-01-12 류형철 헬멧 턱끈이 결합된 잠금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유 모빌리티 대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25033B2 (en) Remotely controlling use of an on-demand electric vehicle
EP0877341B1 (en) Vehicle rental system
CN107958611A (zh) 一种基于图像识别室内定位的智能互联停车系统
KR100948573B1 (ko) 전자식 자전거 잠금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대여 자전거 운영 시스템
US20120143401A1 (en) Vehicle Management System
JP4982138B2 (ja) 車両遮断装置
CN107618461A (zh) 一种共享汽车服务和监管系统及方法
CN101536043A (zh) 用汽车电话做道路收费道路资讯泊车收费导航方法和系统
IT201800003768A1 (it) Sistema e metodo per il controllo della posizione di una pluralità di veicoli condivisi in un’area di servizio
CN110533924A (zh) 一种利用车场记录分析违章车辆的方法
KR20230105497A (ko) 공유 전기바이크에 설치 가능한 헬멧보관장치 및 헬멧보관장치가 장착된 전기바이크를 운행하는 방법
JP5755422B2 (ja) 駐輪場ゲートシステム
JP2016173860A (ja) 車両誘導システム
KR20150120677A (ko) 장애인 주차공간 전용 볼라드
JP2008158932A (ja) 物流車駐車管理システム
JP6188148B2 (ja) 二輪車検出装置
CN207106696U (zh) 巡防租车机器人
JP6979255B2 (ja) 車両誘導システム
JP3900649B2 (ja) 駐輪場ゲートの不正連続通過防止システム
JP2018206433A (ja) 車両誘導システム
JPH10105874A (ja) 車両阻止装置
JPH09144353A (ja) 駐輪場入場管理システム
KR102113575B1 (ko) 생체인식형 세그웨이를 이용한 세그웨이 대여 방법
JP2021120858A (ja) パーソナルモビリティ、及びパーソナルモビリティの動作方法
JPH09296621A (ja) 駐輪場ゲ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