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3536A - 스마트 모빌리티의 충전식 잠금장치 및 이와 연동된 보관대 운용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모빌리티의 충전식 잠금장치 및 이와 연동된 보관대 운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3536A
KR20210003536A KR1020190079438A KR20190079438A KR20210003536A KR 20210003536 A KR20210003536 A KR 20210003536A KR 1020190079438 A KR1020190079438 A KR 1020190079438A KR 20190079438 A KR20190079438 A KR 20190079438A KR 20210003536 A KR20210003536 A KR 202100035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mobility
rechargeable
mobility
locking device
sm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9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1045B1 (ko
Inventor
심재성
Original Assignee
대시컴퍼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시컴퍼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시컴퍼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79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1045B1/ko
Publication of KR20210003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35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1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1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3/00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5/00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 B62H5/005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acting on the sta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12Bi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4Personal mobilit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70/00Problem solutions or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L2270/30Preventing theft during charging
    • B60L2270/36Preventing theft during charging of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3Bicycles; Tri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2700/00Supports or stands for two-wheel vehicles
    • B62H2700/005Stands or support attached to bicycle pedals, stands or supports in combination with locking devices, stands to be used as luggage carri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스마트 모빌리티의 충전식 잠금장치 및 이와 연동된 보관대 운용 시스템에 대해 개시한다. 본 발명의 운용 시스템은 스마트 모빌리티에 장착되어 스마트 모빌리티의 충전, 거치, 잠금,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한 이용 정보 인터페이스 기능을 지원하는 충전식 잠금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충전식 잠금장치를 통해 스마트 모빌리티를 충전함과 아울러 스마트 모빌리티가 잠금 보관되도록 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 결과에 따라 스마트 모빌리티의 잠금을 해제시키는 보관대, 및 사용자의 모바일 통신기기, 충전식 잠금장치, 및 보관대와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여 스마트 모빌리티에 대한 충전, 잠금, 및 잠금 해제 기능을 제어하는 시스템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바, 다양한 스마트 모빌리티들의 이동, 충전, 보관 및 대여 등의 사업성 서비스 지원이 용이해지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모빌리티의 충전식 잠금장치 및 이와 연동된 보관대 운용 시스템{MANAGEMENT SYSTEM FOR CHARGING TYPE LOCKING DEVICE OF SMART MOBILITY AND APPARATUS COUPLED THEREWITH THE SAME}
본 발명은 전동휠, 전동 킥보드, 전기 자전거 등의 스마트 모빌리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 모빌리티의 충전 및 도난 방지 기능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도록 지원 가능한 스마트 모빌리티의 충전식 잠금장치 및 이와 연동된 보관대 운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동휠, 전동 킥보드, 전기 자전거 등의 퍼스널 모빌리티(Personal Mobility)는 구동 가능한 바퀴에 보드나 안장 및 핸들 등이 구성되도록 하여, 운송 수단으로 이용하거나 레포츠 활동을 할 수 있도록 개발된 기구들이다. 일 예로, 전동 휠이나 전동 킥보드는 2개의 바퀴가 달린 보드에 올라 발을 구르거나 전동력을 인가해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한 신종 레포츠 기구이다.
전기 자전거와 전동 킥보드 외에도 스틱 보드, 푸시스쿠터, 롤러 보드, 롤러스쿠터, 킥스쿠터보드 등이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으며, 특히 전기 자전거와 전동 킥보드는 상대적으로 짧은 거리를 이동할 때의 교통수단으로 이용되거나 운동 기구로도 이용되고 있다.
각각의 퍼스널 모빌리티들은 개인이 소유하고 개인 이동수단으로 이용하기도 하지만, 대여 서비스에 이용되기도 한다. 즉, 근래에는 주민들의 편의를 도모하고 교통 체증, 대기 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나 민간업체가 전기 자전거와 전동 킥보드 등에 대한 대여, 반납 체계를 갖추고 대여 서비스를 운용하고 있다.
대여 서비스에 이용되는 전기 자전거와 전동 킥보드 등에는 GPS를 탑재해 전용 앱이 설치된 스마트폰 등으로 어디에서나 대여할 수 있는 기술이 적용되었고, 차체의 QR 코드를 스마트폰 등으로 스캔해서 이용한 후에는 편한 장소에 전원 오프 상태로 세워두도록 하는 기술이 적용되었다.
그러나, 대여 서비스는 편한 장소에 대여된 전기 자전거와 전동 킥보드 등을 세워둘 수 있다 보니 도시 미관을 해치고 교통 체증을 유발시키며, 인구 이동이 많은 특정 지역에 몰려 보관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종래에는 관리자들이 직접 대여된 전기 자전거와 전동 킥보드 등을 수거해서 충전시키고, 지역별로 재분배해야하는 번거로움을 감수해야 했다.
또한, 개인 소유의 전기 자전거와 전동 킥보드 등 다양한 퍼스널 모빌리티들은 목적지에 도착했을 때 목적지에서의 휴대와 이동이 어려우며, 목적지에 충전 및 보관 시설이 갖추어져 있지 않으면 도난 우려에 의해 충전 및 보관 등이 더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에, 사실상 개인 소유의 퍼스널 모빌리티들은 거주지 인근에서만 운동 및 레저용으로 이동되는 등의 한계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128650호(공개일: 2017.11.2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4977호(등록일: 2018.04.1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동휠, 전동 킥보드, 전기 자전거 등 스마트 모빌리티들의 충전 및 도난 방지 기능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마트 모빌리티들의 이동, 충전, 보관 및 사업성 서비스 지원이 용이해지도록 한 스마트 모빌리티의 충전식 잠금장치 및 이와 연동된 보관대 운용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대여 서비스에 이용되는 스마트 모빌리티와 더불어, 개인 소유의 스마트 모빌리티도 충전 및 잠금 보관이 가능한 보관대를 동일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스마트 모빌리티의 충전식 잠금장치 및 이와 연동된 보관대 운용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결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식 잠금장치 및 이와 연동된 보관대 운용 시스템은 스마트 모빌리티의 충전 및 도난 방지 기능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스마트 모빌리티에 장착되어 스마트 모빌리티의 충전, 거치, 잠금,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한 이용 정보 인터페이스 기능을 지원하는 충전식 잠금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충전식 잠금장치를 통해 스마트 모빌리티를 충전함과 아울러 스마트 모빌리티가 잠금 보관되도록 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 결과에 따라 스마트 모빌리티의 잠금을 해제시키는 보관대, 및 사용자의 모바일 통신기기, 충전식 잠금장치, 및 보관대와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여 스마트 모빌리티에 대한 충전, 잠금, 및 잠금 해제 기능을 제어하는 시스템 관리 서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보관대는 스마트 모빌리티의 충전식 잠금장치를 통해 상기 스마트 모빌리티가 충전되도록 상용 전원을 공급함과 아울러, 스마트 모빌리티의 외장이 체결되도록 하고 도난 방지 기능이 수행되도록 지원하는 복수의 거치대 고정형 잠금장치를 포함한다. 그리고, 보관대는 시스템 관리 서버와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여 스마트 모빌리티의 보관대 거치 정보, 이용료 지불 확인 정보, 사용 신청 정보, 상용 승인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 여부에 따라 스마트 모빌리티나 스마트 모빌리티에 장착된 충전식 잠금장치의 충전/충전 해제, 잠금/잠금 해제 등의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외장형 안내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기수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식 잠금장치 및 이와 연동된 보관대 운용 시스템은 미리 설정된 지역이나 시설들에 다수 배치된 보관대에서 스마트 모빌리티들이 충전 및 잠금 보관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다양한 스마트 모빌리티들의 이동, 충전, 보관 및 대여 등의 사업성 서비스 지원이 용이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대여 서비스에 이용되는 스마트 모빌리티와 더불어, 개인 소유의 스마트 모빌리티도 충전 및 잠금 보관이 가능한 보관대를 동일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개인 소유의 스마트 모빌리티들에 대한 이동, 충전, 보관 등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개인 소유자들이 개인 소유의 스마트 모빌리티들에 대한 미사용 기간이나 대여 가능 기간 등을 설정해서 대여 서비스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개인 소유자들의 이용 만족도와 스마트 모빌리티들의 이용 한계를 더욱 넓힐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식 잠금장치 및 이와 연동된 보관대 운용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식 잠금장치를 더욱 구체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식 잠금장치 연동 보관대를 더욱 구체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모빌리티의 충전식 잠금장치 및 이와 연동된 보관대 운용 시스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식 잠금장치 및 이와 연동된 보관대 운용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식 잠금장치와 연동된 보관대의 운용 시스템은 전동휠, 전동 킥보드, 전기 자전거 등의 스마트 모빌리티(200)에 각각 장착되는 충전식 잠금장치(300), 충전식 잠금장치(300)가 장착된 각각의 스마트 모빌리티(200)를 보관하는 보관대(400), 및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 관리 서버(500)를 포함한다.
스마트 모빌리티(200)는 디지털 정보 기술이 결합된 운송 수단으로서, 전기에너지로 저속 구동이 가능한 전동휠, 전동 킥보드, 전기 자전거, 스틱 보드, 푸시스쿠터, 롤러 보드, 롤러스쿠터, 킥스쿠터보드 등이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스마트 모빌리티(200)로서 전동 킥보드가 적용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충전식 잠금장치(300)는 전동 킥보드나 전기 자전거 등의 스마트 모빌리티(200) 각각의 외관에 조립 또는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스마트 모빌리티(200)의 개인 소유자나 업체들은 충전식 잠금장치(300)를 제공하는 업체, 보관대(400)를 제공하는 업체, 또는 시스템 관리 서버(500) 운용 업체 등으로부터 충전식 잠금장치(300)를 제공받아 스마트 모빌리티(200)에 조립 또는 장착할 수 있다.
스마트 모빌리티(200) 또는 스마트 모빌리티(200)에 장착된 충전식 잠금장치(300)는 보관대(400)에 거치될 수 있으며, 보관대(400) 거치시 충전식 잠금장치(300)는 보관대(400)로부터 제공되는 상용 전원을 해당 스마트 모빌리티(200)의 충전 단자나 배터리로 공급하여 스마트 모빌리티(200)의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한다.
충전식 잠금장치(300)는 보관대(400)로부터 제공되는 상용 전원을 해당 스마트 모빌리티(200)로 공급하는 기간, 및 시스템 관리 서버(500)를 통해 잠금 해제 신호가 입력되기 전까지의 기간 동안 해당 스마트 모빌리티(200)의 전원을 오프(off)시켜 스마트 모빌리티(200)가 잠금 상태로 유지되도록 한다.
스마트 모빌리티(200)의 사용자 또는 소유자는 충전식 잠금장치(300)가 장착된 스마트 모빌리티(200)를 보관대(400)에 거치시키고, 시스템 관리 서버(500)에서 제공되는 응용 프로그램으로 로그인, 보관대(400) 거치 확인, 이용료 지불 확인 등의 과정을 수행해서 스마트 모빌리티(200)의 충전 및 잠금 보관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모빌리티(200) 사용자 또는 소유자는 해당 응용 프로그램에 접속해서 로그인, 이용료 지불 확인, 사용 신청, 잠금 해제 신청 등의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보관대(400)에 거치된 스마트 모빌리티(200)의 잠금 상태를 해제시키고 스마트 모빌리티(200)를 이용할 수 있다.
스마트 모빌리티(200)가 사용되는 기간 동안, 충전식 잠금장치(300)는 스마트 모빌리티(200)의 충전, 거치, 잠금,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한 이용 정보를 실시간으로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모바일 통신기기(100) 및 시스템 관리 서버(500)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공유한다. 아울러, 시스템 관리 서버(500)로부터의 잠금 해제 신호 등에 따라 잠금 및 충전 동작을 해제할 수 있다.
스마트 모빌리티(200) 소유자는 응용 프로그램에 로그인하고,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서 자신이 소유한 스마트 모빌리티(200)의 충전식 잠금장치(300)에 대한 태그 정보, 고유 코드 등 적어도 하나의 고유 정보를 인증받을 수 있다. 그리고,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서 자신이 소유한 스마트 모빌리티(200)의 미사용 기간 또는 대여 가능 기간을 설정함으로써, 자신이 소유한 스마트 모빌리티(200)가 대여 서비스에 이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시스템 관리 서버(500) 운용 업체 등의 대여 업체는 소유자 정보 및 해당 스마트 모빌리티(200)의 충전식 잠금장치(300) 고유 정보 등에 연계하여, 해당 스마트 모빌리티(200)가 이용된 대여 서비스 기간의 비용을 정산해줄 수 있다.
보관대(400)는 복수의 스마트 모빌리티(200)나 각각의 스마트 모빌리티(200)에 장착된 충전식 잠금장치(300)가 고정 및 거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보관대(400)는 충전식 잠금장치(300)를 통해 스마트 모빌리티(200)를 충전시킴과 아울러 스마트 모빌리티(200)의 외장이 체결 및 잠금 상태로 보관되도록 한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결과에 따라 스마트 모빌리티(200)의 잠금 상태를 해제시켜 사용자가 스마트 모빌리티(200)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구체적으로, 보관대(400)는 스마트 모빌리티(200)나 스마트 모빌리티(200)에 장착된 충전식 잠금장치(300)가 거치되고, 시스템 관리 서버(500)에서 보관대(400) 거치 확인, 이용료 지불 확인, 사용 신청 과정 등이 확인되면, 시스템 관리 서버(500)의 사용 확인 신호에 따라 해당 스마트 모빌리티(200)의 충전식 잠금장치(300)로 상용 전원을 공급한다. 이때는 스마트 모빌리티(200)의 외장에 체인이나 외이어 또는 고정 플레이트 등이 체결되도록 하여 스마트 모빌리티(200)가 잠금 보관되도록 한다.
보관대(400)는 스마트 모빌리티(200)나 충전식 잠금장치(300)가 거치된 상태에서 외부 충격이 인가되거나 충전이 해제되고 인위적으로 잠금이 해제되는 등의 도난 의심 상황이 발생되면, 도난 경보를 울리고 도난 메시지와 영상 정보를 모바일 통신기기(100) 및 시스템 관리 서버(500)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전송한다.
보관대(400)에는 외장형의 안내 제어 장치가 구비되어 사용자나 소유자들이 보관대(400) 이용 안내 정보를 확인하고,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스마트 모빌리티(200) 이용 및 잠금 해제 신청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그리고, 시스템 관리 서버(500)와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여 스마트 모빌리티(200)의 보관대(400) 거치 정보, 이용료 지불 확인 정보, 사용 신청 정보, 상용 승인 정보 등을 확인하고, 확인 여부에 따라 스마트 모빌리티(200)나 스마트 모빌리티(200)에 장착된 충전식 잠금장치(300)의 충전/충전 해제, 잠금/잠금 해제 등의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시스템 관리 서버(500)는 사용자의 모바일 통신기기(100)로 응용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충전식 잠금장치(300) 및 보관대(400)와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여 스마트 모빌리티(200)에 대한 충전, 잠금, 및 잠금 해제 기능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시스템 관리 서버(500)는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 확인, 보관대(400) 거치 확인, 이용료 지불 확인, 사용 신청, 잠금 해제 신청 정보 등을 확인 및 인증한다. 그리고, 확인 및 인증 여부에 따라 보관대(400)에 잠금 제어 신호, 충전 제어 신호, 사용 승인 정보, 잠금 해제 신호 등을 전송해서, 스마트 모빌리티(200)에 대한 충전, 잠금, 및 잠금 해제 기능을 제어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식 잠금장치를 더욱 구체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식 잠금장치(300)는 조립식 체결 모듈(310), 충전 키트(320), 보관대 거치 유닛(330), 모빌리티 인터페이스 모듈(350), 및 잠금 제어 모듈(34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조립식 체결 모듈(310)은 적어도 하나의 결착부재와 조임 및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이에, 조립식 체결 모듈(310)은 적어도 하나의 결착부재와 조임 및 고정부재에 의해 충전식 잠금장치(300)의 외장 본체가 스마트 모빌리티(200)의 외장에 체결되도록 한다.
충전 키트(320)는 스마트 모빌리티(200)의 전원 공급라인 및 배터리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 또는 보관대(400)로부터 입력되는 상용전원을 전원 공급라인 또는 배터리 단자로 공급한다.
이를 위해, 충전 키트(320)는 외부 또는 보관대(400)로부터 자기 유도 방식으로 입력되는 자기 유도 전류를 통해 상용전원을 입력받는 무선 충전 패드(321)를 포함한다. 또한, 충전 키트(320)는 외부 또는 보관대(400)의 상용 전원 입력 케이블 단자를 통해 상용 전원을 입력 받는 유선 충전 단자(3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관대 거치 유닛(330)은 조립식 체결 모듈(310)과 결착되어 구성되며, 체결 홀이나 체결 클립 부재 등에 의해 충전 키트(320)와 조립식 체결 모듈(310)이 보관대(400)에 거치 및 결착되도록 형성된다. 즉, 보관대 거치 유닛(330)이 보관대(400)에 체결되면, 충전 키트(320)와 조립식 체결 모듈(310)이 보관대(400)에 거치 및 결착될 수 있다.
모빌리티 인터페이스 모듈(350)은 모바일 통신기기(100)에서 충전식 잠금장치(300)의 고유 정보를 스캔하고 스마트 모빌리티(200)의 이용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를 위해, 모빌리티 인터페이스 모듈(350)은 태그 지원부(351), 인터페이스 컨트롤러(353), 제1 무선 통신부(352)를 포함한다.
태그 지원부(351)에는 충전식 잠금장치(300)의 자체 고유 정보가 포함된 태그 및 바코드 등이 부착된다. 이에, 사용자는 모바일 통신기기(100)를 이용해서 이용하고자 하는 스마트 모빌리티(200)나 충전식 잠금장치(300)의 고유 정보를 스캔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컨트롤러(353)는 스마트 모빌리티(200)가 사용되는 기간 동안, 스마트 모빌리티(200)의 충전, 거치, 잠금,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한 이용 정보를 실시간으로 검출하고 모니터한다. 인터페이스 컨트롤러(353)는 GPS 모듈, Wi-Fi 모듈, NFC 모듈, 자이로 센서, MCU 등을 통해 GPS 위치 정보와 WPS 측위 정보 등을 수신 및 저장할 수 있다.
제1 무선 통신부(352)는 5G, 4G, LTE 등의 원거리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해서 구성된다. 이에, 제1 무선 통신부(352)는 스마트 모빌리티(200)가 사용되는 기간 동안, 스마트 모빌리티(200)의 충전, 거치, 잠금,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한 이용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바일 통신기기(100) 및 시스템 관리 서버(500)로 전송한다.
잠금 제어 모듈(340)은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모듈을 구비하며, 스마트 모빌리티(200)의 전원 공급라인 또는 배터리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에, 잠금 제어 모듈(340)은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모듈로 스마트 모빌리티(200)의 전원 공급라인 또는 배터리 단자의 전원 온/오프(on/off) 상태를 제어함으로써, 스마트 모빌리티(200)의 사용을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식 잠금장치 연동 보관대를 더욱 구체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보관대(400)는 스마트 모빌리티(200)의 충전식 잠금장치(300)를 통해 스마트 모빌리티(200)가 충전되도록 상용 전원을 공급함과 아울러, 스마트 모빌리티(200)의 외장이 체결되도록 하고 도난 방지 기능이 수행되도록 지원하는 복수의 거치대 고정형 잠금장치(410)를 포함한다.
또한, 보관대(400)는 시스템 관리 서버(500)와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여 스마트 모빌리티(200)의 보관대(400) 거치 정보, 이용료 지불 확인 정보, 사용 신청 정보, 사용 승인 정보 등을 확인하고, 확인 여부에 따라 스마트 모빌리티(200)나 스마트 모빌리티(200)에 장착된 충전식 잠금장치(300)의 충전/충전 해제, 잠금/잠금해제 등의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외장형 안내 제어 장치(430)를 더 포함한다.
복수의 거치대 고정형 잠금장치(410)는 스마트 모빌리티(200)의 충전 제어, 및 도난 방지를 위해, 모빌리티 거치 유닛(411), 전원 공급 모듈(412), 모빌리티 잠금 유닛(415), 및 잠금 제어 유닛(421)을 포함한다.
모빌리티 거치 유닛(411)은 충전식 잠금장치(300)의 보관대 거치 유닛(330)과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어 스마트 모빌리티(200)가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전원 공급 모듈(412)은 충전식 잠금장치(300)의 충전 키트(320)가 접촉되면 외부의 상용 전원을 충전 키트(320)로 공급한다. 이를 위해, 전원 공급 모듈(412)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상용 전원을 자기 유도 방식으로 전환하여 자기 유도 전류를 발생시킴으로써, 충전식 잠금장치(300)의 무선 충전 패드(321)에 자기 유도 전류를 공급하는 무선 전원 패드(413), 및 적어도 하나의 입력 케이블을 통해 상기 상용 전원을 전송하는 멀티 케이블 지원부(414)를 포함한다.
모빌리티 잠금 유닛(415)은 스마트 모빌리티(200)의 외장에 체인이나 외이어 또는 고정 플레이트 등이 체결되도록 하여 스마트 모빌리티(200)가 잠금 보관되도록 지원한다. 그리고, 잠금 제어 유닛(421)은 외장형 안내 제어 장치(430)에 의해 사용 승인 정보가 확인되면 모빌리티 잠금 유닛(415)의 잠금 동작을 해제시킨다.
이와 더불어, 각각의 거치대 고정형 잠금장치(410)는 스마트 모빌리티(200)나 충전식 잠금장치(300)가 거치된 상태에서 외부 충격이 인가되거나 충전이 해제되고 인위적으로 잠금이 해제되는 등의 도난 의심 상황이 발생되면, 도난 경보를 울리고 도난 메시지와 영상 정보를 모바일 통신기기(100), 및 시스템 관리 서버(500)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전송하는 도난 방지 모듈(416)을 더 포함한다.
이를 위해, 도난 방지 모듈(416)은 주변 영상을 촬영하여 주변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이미지 센서부(417), 도난 의심 상황이 발생되면 도난 경보를 울리는 경보 알림부(416), 도난 의심 상황이 발생되면 도난 메시지를 모바일 통신기기(100), 및 시스템 관리 서버(500)로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부(419), 및 도난 의심 상황이 발생되면 주변 영상 정보를 모바일 통신기기(100), 및 시스템 관리 서버(500)로 전송하는 영상 전송부(420)를 포함한다.
외장형 안내 제어 장치(430)는 시스템 관리 서버(500)와 무선 인터페이스 동작을 수행하여 시스템 관리 서버(500)의 사용자 로그인 정보 확인 여부, 보관대(400) 거치 확인 여부, 이용료 지불 확인 여부, 사용 신청 과정 여부. 사용 승인 여부를 확인하는 시스템 인터페이스 모듈(432)을 포함한다.
또한, 외장형 안내 제어 장치(430)는 시스템 인터페이스 모듈(432)의 사용자 로그인 정보 확인 여부, 스마트 모빌리티(200)의 보관대(400) 거치 정보, 이용료 지불 확인 정보, 사용 신청 정보, 상용 승인 정보 등을 확인하고, 확인 여부에 따라 전원 공급 모듈(412)의 충전/충전 해제 동작, 및 모빌리티 잠금 유닛(415)의 스마트 모빌리티(200) 잠금/잠금 해제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 컨트롤러(431)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통신기기(100)는 스마트 모빌리티(200) 소유자가 응용 프로그램에 로그인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상기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서 소유자 자신이 소유한 스마트 모빌리티(200)의 충전식 잠금장치(300)에 대한 태그 정보, 고유 코드 등 적어도 하나의 고유 정보를 인증 받도록 지원한다.
또한, 모바일 통신기기(100)는 소유자가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서 자신이 소유한 스마트 모빌리티(200)의 미사용 기간 또는 대여 가능 기간을 설정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소유자가 소유한 스마트 모빌리티(200)가 대여 서비스에 이용되도록 지원한다,
이와 더불어, 시스템 관리 서버(500)는 스마트 모빌리티(200)의 미사용 기간 또는 대여 가능 기간 동안 스마트 모빌리티(200)를 이용 신청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잠금 해제시키고 이용 과정을 지원함으로써 소유자가 소유한 스마트 모빌리티(200)가 대여 서비스에 이용되도록 지원한다,
이후, 시스템 관리 서버(500)는 소유자 정보 및 해당 스마트 모빌리티(200)의 충전식 잠금장치(300) 고유 정보 등에 연계하여, 해당 스마트 모빌리티(200)가 이용된 대여 서비스 기간의 비용을 소유자에게 정산해줄 수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식 잠금장치(300) 및 이와 연동된 보관대(400) 운용 시스템은 미리 설정된 지역이나 시설들에 다수 배치된 보관대에서 스마트 모빌리티(200)들이 충전 및 잠금 보관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다양한 스마트 모빌리티들의 이동, 충전, 보관 및 대여 등의 사업성 서비스 지원이 용이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대여 서비스에 이용되는 스마트 모빌리티(200)와 더불어, 개인 소유의 스마트 모빌리티도 충전 및 잠금 보관이 가능한 보관대(400)를 동일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개인 소유의 스마트 모빌리티(200)들에 대한 이동, 충전, 보관 등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개인 소유자들이 개인 소유의 스마트 모빌리티(300)들에 대한 미사용 기간이나 대여 가능 기간 등을 설정해서 대여 서비스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개인 소유자들의 이용 만족도와 스마트 모빌리티들의 이용 한계를 더욱 넓힐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라 실시되는 스마트 모빌리티의 충전식 잠금장치 및 이와 연동된 보관대 운용 시스템을 통해 스마트 모빌리티의 위치, 시간 및 이용자 경험 수준에 따라 실시간 원격으로 속도를 제어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학교, 대단지 아파트 및 번잡한 상업지구 등의 특정 위치에 따라, 또는 특정 위치에 대해 출퇴근시간 등에 따라 사전 설정된 최대 속도를 적용하고, 스마트 모빌리티가 해당 위치를 벗어날 경우에는 안전을 위해 즉시 속도 제어를 하지 않고 운행을 멈춘 후 일정시간이 경과한 다음 최종 위치를 확인한 후 속도를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스마트 모빌리티의 이용시간에 따라 최대 속도를 단계적으로 해제할 수가 있는데, 예를 들어 최초 사용자의 경우 누적 30분까지 최대속도 10km/h 이하, 이용시간 30분~60분까지 최대속도를 15km/h, 60분~90분까지 20km/h, 90분 경과시 최대속도를 25km/h이하로 적용하되, 만약 이용중 PM보험 처리를 해야하는 사고 발생시 최대속도를 하위 단계로 등급을 조정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0: 모바일 통신기기
200: 스마트 모빌리티
300: 충전식 잠금장치
400: 보관대
500: 시스템 관리 서버

Claims (6)

  1. 스마트 모빌리티에 장착되어 상기 스마트 모빌리티의 충전, 거치, 잠금,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한 이용 정보 인터페이스 기능을 지원하는 충전식 잠금장치;
    상기 충전식 잠금장치를 통해 상기 스마트 모빌리티를 충전함과 아울러 상기 스마트 모빌리티가 잠금 보관되도록 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 결과에 따라 상기 스마트 모빌리티의 잠금을 해제시키는 보관대; 및
    사용자의 모바일 통신기기, 상기 충전식 잠금장치, 및 상기 보관대와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여 상기 스마트 모빌리티에 대한 충전, 잠금, 및 잠금 해제 기능을 제어하는 시스템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스마트 모빌리티의 충전식 잠금장치 및 이와 연동된 보관대 운용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식 잠금장치는
    상기 충전식 잠금장치의 외장 본체가 상기 스마트 모빌리티의 외장에 체결되도록 지원하는 조립식 체결 모듈;
    상기 스마트 모빌리티의 전원 공급라인 및 배터리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의 상용전원을 상기 전원 공급라인 또는 상기 배터리 단자로 공급하는 충전 키트;
    상기 조립식 체결 모듈과 결착되어 구성되며, 상기 충전 키트와 상기 조립식 체결 모듈이 상기 보관대에 거치 및 결착되도록 형성된 보관대 거치 유닛;
    상기 모바일 통신기기에서 상기 충전식 잠금장치의 고유 정보를 스캔하고 스마트 모빌리티의 이용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모빌리티 인터페이스 모듈; 및
    상기 스마트 모빌리티의 전원 공급라인 또는 배터리 단자의 전원 온/오프(on/off) 상태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스마트 모빌리티의 사용을 제한하는 잠금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 모빌리티의 충전식 잠금장치 및 이와 연동된 보관대 운용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키트는
    외부 또는 상기 보관대로부터 자기 유도 방식으로 입력되는 자기 유도 전류를 통해 상용전원을 입력받는 무선 충전 패드; 및
    상기 외부 또는 보관대의 상용 전원 입력 케이블 단자를 통해 상용 전원을 입력받는 유선 충전 단자를 포함하는,
    스마트 모빌리티의 충전식 잠금장치 및 이와 연동된 보관대 운용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빌리티 인터페이스 모듈은
    상기 스마트 모빌리티가 사용되는 기간 동안, 상기 스마트 모빌리티의 충전, 거치, 잠금,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한 이용 정보를 실시간으로 검출하고 모니터하는 인터페이스 컨트롤러; 및
    상기 스마트 모빌리티의 충전, 거치, 잠금,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한 이용 정보를 실시간으로 상기 모바일 통신기기 및 상기 시스템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제1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모빌리티의 충전식 잠금장치 및 이와 연동된 보관대 운용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대는
    상기 스마트 모빌리티의 충전식 잠금장치를 통해 상기 스마트 모빌리티가 충전되도록 상용 전원을 공급함과 아울러 상기 스마트 모빌리티의 외장이 체결되도록 하고 도난 방지 기능이 수행되도록 지원하는 복수의 거치대 고정형 잠금장치; 및
    상기 시스템 관리 서버와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여 상기 스마트 모빌리티의 보관대 거치 정보, 이용료 지불 확인 정보, 사용 신청 정보, 상용 승인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 여부에 따라 상기 스마트 모빌리티나 상기 스마트 모빌리티에 장착된 충전식 잠금장치의 충전/충전 해제, 잠금/잠금 해제 동작을 제어하는 외장형 안내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스마트 모빌리티의 충전식 잠금장치 및 이와 연동된 보관대 운용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모빌리티의 충전식 잠금장치 및 이와 연동된 보관대 운용 시스템을 통해 스마트 모빌리티의 위치, 시간 및 이용자에 따라 실시간 원격으로 속도를 제어하도록 하고, 대학교, 대단지 아파트 및 번잡한 상업지구의 특정 위치와 특정 위치에 대해 출퇴근시간에 따라 설정된 속도를 적용하게 하며, 스마트 모빌리티가 해당 위치를 벗어날 경우에 안전을 위해 즉시 속도 제어를 하지 않고 운행을 멈춘 후 일정시간이 경과한 다음 최종 위치를 확인한 후 속도를 제어하게 하고, 스마트 모빌리티의 이용시간에 따라 최대 속도를 단계적으로 해제하는,
    스마트 모빌리티의 충전식 잠금장치 및 이와 연동된 보관대 운용 시스템.
KR1020190079438A 2019-07-02 2019-07-02 스마트 모빌리티의 충전식 잠금장치 및 이와 연동된 보관대 운용 시스템 KR102261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9438A KR102261045B1 (ko) 2019-07-02 2019-07-02 스마트 모빌리티의 충전식 잠금장치 및 이와 연동된 보관대 운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9438A KR102261045B1 (ko) 2019-07-02 2019-07-02 스마트 모빌리티의 충전식 잠금장치 및 이와 연동된 보관대 운용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3536A true KR20210003536A (ko) 2021-01-12
KR102261045B1 KR102261045B1 (ko) 2021-06-04

Family

ID=74129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9438A KR102261045B1 (ko) 2019-07-02 2019-07-02 스마트 모빌리티의 충전식 잠금장치 및 이와 연동된 보관대 운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104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9633B1 (ko) * 2021-08-11 2022-09-02 주식회사 휙고 공유형 모빌리티의 거치 및 충전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457178B1 (ko) * 2022-06-24 2022-10-24 장춘만 개인이동수단용 거치 및 충전 시스템
WO2023237796A1 (es) * 2022-06-09 2023-12-14 Bile Comunication, S.L. Sistema de aparcamiento y carga para vehiculos electricos de movilidad personal
WO2024128790A1 (ko) * 2022-12-14 2024-06-20 주식회사 마커스 스마트 모빌리티 통합 충전 스테이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0229B1 (ko) * 2021-09-09 2023-09-20 (주)누리플렉스 락 온오프를 이용한 에너지 충전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84977B1 (ko) 1995-12-14 1999-04-01 김태구 용접 스터드 건용 지지바아 지지장치
KR20150030133A (ko) * 2013-09-09 2015-03-19 주식회사 만도 자전거 대여시스템 및 그 대여방법
KR20170128650A (ko) 2016-05-12 2017-11-23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동 킥보드의 회생전력을 이용한 충전장치
KR20190018445A (ko) * 2016-06-16 2019-02-22 뉴런 모빌리티 피티이. 엘티디. 모터 구동식 스쿠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84977B1 (ko) 1995-12-14 1999-04-01 김태구 용접 스터드 건용 지지바아 지지장치
KR20150030133A (ko) * 2013-09-09 2015-03-19 주식회사 만도 자전거 대여시스템 및 그 대여방법
KR20170128650A (ko) 2016-05-12 2017-11-23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동 킥보드의 회생전력을 이용한 충전장치
KR20190018445A (ko) * 2016-06-16 2019-02-22 뉴런 모빌리티 피티이. 엘티디. 모터 구동식 스쿠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9633B1 (ko) * 2021-08-11 2022-09-02 주식회사 휙고 공유형 모빌리티의 거치 및 충전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WO2023237796A1 (es) * 2022-06-09 2023-12-14 Bile Comunication, S.L. Sistema de aparcamiento y carga para vehiculos electricos de movilidad personal
KR102457178B1 (ko) * 2022-06-24 2022-10-24 장춘만 개인이동수단용 거치 및 충전 시스템
WO2024128790A1 (ko) * 2022-12-14 2024-06-20 주식회사 마커스 스마트 모빌리티 통합 충전 스테이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1045B1 (ko) 2021-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1045B1 (ko) 스마트 모빌리티의 충전식 잠금장치 및 이와 연동된 보관대 운용 시스템
US11625033B2 (en) Remotely controlling use of an on-demand electric vehicle
US20160311334A1 (en) Light Electric Vehicle Ride Share System and Method
JP6158655B2 (ja) 自転車シェアリングシステム
US20100313614A1 (en) Municipal bicycle sharing system
KR100948573B1 (ko) 전자식 자전거 잠금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대여 자전거 운영 시스템
EP2990571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bicycles, motorcycles and the like
US20110307394A1 (en) Municipal bicycle sharing system
CN105513216A (zh) 自行车借还系统及自行车借还车方法
JP2002133510A (ja) 移動体レンタルシステム、移動体管理システム、移動体装置、移動体管理装置、移動体レンタル方法、移動体管理方法および記録媒体
CN205375679U (zh) 自行车借还系统
KR20200026493A (ko) 퍼스널 모빌리티 대여 시스템
CN107038808A (zh) 一种基于低功耗广域网的自行车有序停放管理系统及方法
KR20150030133A (ko) 자전거 대여시스템 및 그 대여방법
CN107839828A (zh) 一种共享电单车控制系统
US11110892B2 (en) Method of bicycle parking management and a system of bicycle parking management
WO2019075867A1 (zh) 一种基于二维码的租借共享伞系统及方法
KR101916123B1 (ko) 트랜잭션을 위치 정보에 연관시키는 시스템 및 방법
CN109427148A (zh) 一种共享智能电单车及其使用方法
JP2015052984A (ja) 車両貸出システム、中央装置、及び車両貸出方法
KR102214989B1 (ko) 개인이동수단 위탁 및 대여반납 시스템
KR20200062475A (ko) Rfid가 내장된 마운트를 장착한 개인 이동수단의 공유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437584B1 (ko) 퍼스널 모빌리티용 배터리 관리 및 공유 시스템
US11336810B2 (en) Moving object,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KR20220112434A (ko) 서버를 통한 퍼스널 모빌리티용 배터리 관리 및 공유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