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9813B1 - 절연 탄소섬유 봉제장치 - Google Patents

절연 탄소섬유 봉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9813B1
KR102199813B1 KR1020190093209A KR20190093209A KR102199813B1 KR 102199813 B1 KR102199813 B1 KR 102199813B1 KR 1020190093209 A KR1020190093209 A KR 1020190093209A KR 20190093209 A KR20190093209 A KR 20190093209A KR 102199813 B1 KR102199813 B1 KR 1021998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wire
sewing
unit
wire supply
carbon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3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승
진영철
양정훈
최우영
김재화
박춘성
Original Assignee
(주)다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다인스 filed Critical (주)다인스
Priority to KR1020190093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98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9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98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1/00Machines for sewing quilts or mattress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5/00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5B35/02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cilitating seaming; Hem-turning elements; Hem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 Surface Heat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연 탄소섬유 형태의 열선의 꼬임 및 단선이 방지될 수 있고, 절연 탄소섬유 형태의 열선 배열 자유도가 증가하며, 봉제 안정성이 우수한 절연 탄소섬유 봉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절연 탄소섬유 봉제장치{Insulated Carbon Fiber Sewing Machine}
본 발명은 절연 탄소섬유 봉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절연 탄소섬유 형태의 열선의 꼬임 및 단선이 방지될 수 있고, 절연 탄소섬유 형태의 열선 배열 자유도가 증가하며, 봉제 안정성이 우수한 절연 탄소섬유 봉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성능 및 편의 사양이 향상되고, 차량 자체의 성능뿐만 아니라 크루즈, 핸즈프리, 전동크렁크, 네비게이션, 썬루프 등 다양한 옵션에도 사람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그러한 옵션 등이 차량을 선택하는 중요한 기준 중에 하나가 되면서 각종 편의 사양에 대한 차량 제조사들의 기술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차량에 적용될 수 있는 여러 옵션 중 차량용 온열 시트는 가장 기본적인 옵션 중에 하나로서, 차량의 시트에 열선을 내장하여 필요시 상기 열선에 전기를 인가하여 열을 발산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따뜻함을 제공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차량용 온열 시트는 차량용 시트, 매트 등과 같은 열선이 봉제로 고정되어야 할 대상물에 열선을 배열한 후 상기 열선을 봉제기와 같은 설비를 이용하여 봉제로 고정시킴으로써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최근 금속 열선이 아닌 절연 탄소섬유 형태의 열선이 소개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열선 봉제장치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a) 및 도 2(b)는 종래의 열선 봉제장치의 작업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이를 참조하여 종래의 열선 봉제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 차량용 시트의 열선 봉제장치는 몸체가 되는 베이스 프레임(100)과, 열선이 저장되는 열선보빈(200)과, 작업 대상물, 즉 시트가 안착되는 스테이션유닛(300)과, 열선보빈으로부터 열선을 전달받아 작업 대상물에 열선을 배열시키는 열선공급유닛(400)과, 배열된 열선을 시트에 봉제로 고정하여 고정시키는 봉제유닛(500)으로 구성된다.
그런데, 종래 열선을 배열하여 봉제로 고정시키는 상태를 보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선이 측면에서 열선공급유닛(400)을 통해 시트에 안착되고, 안착되는 열선을 따라 봉제유닛이 뒤이어 봉제작업을 실시함으로써 작업이 진행되는데, 이때 열선공급유닛(400)은 열선의 배열 설계에 따라 회전되며 열선을 공급하도록 구비된다.
그런데, 종래 열선을 배열하며 봉제기를 봉제로 고정시키는 과정에서 열선공급유닛(400)의 회전에 의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선이 바늘 또는 바늘이 있는 봉제기 헤드 등에 휘감기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한편으로는 열선보빈(200)이 봉제 작업이 수행되는 영역과 상당거리 떨어져 있음으로 인하여 장력이 너무 세지거나 또는 너무 느슨하게 되어 봉제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으며, 심지어는 열선을 직접적으로 바늘이 찌르게 되거나 열선의 단선이 발생하게 됨으로써 열선 자체의 불량을 유발하는 경우도 많았다.
다시 말해, 봉제 수행시 열선이 봉제로 고정 작업이 수행되는 방향으로 먼저 놓여지고 그 뒤를 봉제헤드가 따라가며 봉제가 수행되는데, 이때 열선의 전체 배열 형태, 즉 진행방향에 따라 열선이 공급되는 방향이 회전되면서 변경된다.
이때 일측에서 공급되는 열선에 꼬임이 발생하게 되며, 경우에 따라 봉제기 헤드 등에 감기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기 때문에 상기의 문제가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작업 중간 중간에 열선이 공급되는 공급부를 열선의 휘감김을 풀어내는 방향으로 역회전하는 방안에 제시된 바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제봉헤드가 봉제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열선 공급부가 역회전함에 따라 열선 자체의 꼬임 현상이 발생하여 열선 자체가 단선되는 불량이 증가하는 새로운 문제가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열선의 꼬임 또는 단선 등을 방지하기 위해서 작업자가 봉제 과정동안 내내 작업을 관찰하며 열선이 꼬이지 않게 풀어주거나 또는 열선 꼬임이 발생되는 경우 봉제을 멈추고 꼬임을 풀어준 후 다시 봉제 작업을 재개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였으며, 이에 따라 작업자의 시간 부담 및 인건비의 부담이 증가하고, 열선 봉제 작업의 전체 작업 시간이 길어지며, 열선 패턴 디자인시 최대한 꼬임 발생 확율을 줄이는 방향으로 디자인해야 하며, 열선 공급부의 회전 반경이 특정 각도 이하가 되도록 설계해야만 하는 부담감과 불편함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열선 봉제시 열선의 꼬임 및 그에 따른 단선, 작업불량이 방지되고, 열선 배열 자유도의 증가, 즉 열선 공급부의 회전 반경의 제한이 제거되며, 봉제 안정성이 우수한 절연 탄소섬유 봉제장치에 대한 기술 개발이 필요하며, 아직 이러한 열선 봉제장치는 소개된 바가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절연 탄소섬유 형태의 열선의 꼬임 및 단선이 방지될 수 있고, 절연 탄소섬유 형태의 열선 배열 자유도가 증가하며, 봉제 안정성이 우수한 절연 탄소섬유 봉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장착되며 열선이 권취된 상태로 공급되는 열선보빈과, 시트가 안착되어 고정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수평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테이션유닛과, 상기 스테이션유닛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열선보빈으로부터 열선을 전달받아 상기 시트 상면에 열선을 공급하는 열선공급유닛 및 상기 스테이션유닛의 상부에서 상기 열선공급유닛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시트 상면에 공급되는 열선을 따라 봉제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열선을 상기 시트에 봉제로 고정시키는 봉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열선공급유닛은 상기 열선보빈으로부터 공급되는 열선을 전달하는 열선공급가이드와, 상기 열선공급가이드로부터 전달되는 열선을 상기 시트 상면으로 인출하는 열선공급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열선공급가이드는 원형 링 형상의 하우징 형태로 이루어지며, 일면에 형성되는 제1관통공으로 열선이 투입되고 상기 열선은 상기 하우징 내부를 따라 이동되며 타면에 형성되는 제2관통공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탄소섬유 봉제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열선보빈은 상기 열선공급유닛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선공급헤드의 단부는 상기 시트의 상면과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절곡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봉제유닛은 베이스 프레임에 장착되어 고정되는 니들 지지블록과, 상기 니들 지지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모터에 의해 봉제가 진행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블록과, 상기 회전블록의 단부에 결합되며 봉제를 수행하는 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선공급유닛은 상기 봉제유닛의 회전블록과 결합되어 상기 회전블록과 일체로 회전됨으로써 봉제가 진행되는 방향으로 상기 열선공급헤드의 방향이 전환되며 열선이 놓여지고, 상기 봉제유닛이 뒤따라 상기 열선 양 측면을 봉제함으로써 상기 열선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열선공급가이드는 제1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봉제유닛베이스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상부가이드와, 제2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블록과 결합되어 상기 회전블록 및 상기 열선공급헤드와 일체로 회전되는 하부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선공급가이드의 제2관통공 및 상기 열선공급헤드는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회전블록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열선공급헤드와 상기 제2관통공이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선공급가이드의 제2관통공은 제1관통공보다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봉제유닛은 상기 열선의 양 측면을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봉제하여 상기 열선을 고정하고, 상기 열선공급유닛은 상기 봉제유닛의 상하 작동과 연동되어 소정 각도로 회전되되, 상기 봉제유닛이 상기 열선의 일 측부 봉제시 상기 열선공급유닛은 상기 일 측부와 반대방향으로 상기 열선공급헤드의 방향을 전환시키고 상기 열선의 타 측부 봉제시 상기 열선공급유닛은 상기 타 측부와 반대방향으로 상기 열선공급헤드의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절연 탄소섬유 봉제장치는 열선공급가이드가 원형 링 형상의 하우징 형태로 이루어지고, 열선이 상기 열선공급가이드를 통해 공급됨으로써 꼬임 및 단선이 방지되며, 열선공급유닛의 회전 반경의 한계가 제거되어 열선 배열 자유도가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열선보빈이 열선공급유닛의 상부에 배치되어 열선의 전체 공급 경로의 길이가 단축됨으로써 열선 공급이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봉제작업에서 열선공급유닛이 봉제유닛의 상하 작동과 연동되되 봉제유닛과 반대쪽으로 소정 각도로 회전됨으로써 열선의 찍힘이 방지되고 작업 안정성이 증가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절연 탄소섬유 봉제장치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 및 도 2(b)는 종래 절연 탄소섬유 봉제장치의 작업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절연 탄소섬유 봉제장치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절연 탄소섬유 봉제장치의 열선공급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3에 도시된 절연 탄소섬유 봉제장치의 열선공급가이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절연 탄소섬유 봉제장치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절연 탄소섬유 봉제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특히, 도 3은 종래의 금속 와이어 형태의 열선이 아닌 절연 탄소섬유 형태의 열선의 봉제에 적합한 절연 탄소섬유 봉제장치로 이해될 수 있다. 이하에서 열선이라 함은 차량의 시트 히터 용도의 절연 탄소섬유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절연 탄소섬유 봉제장치는 차량용 시트에 열선을 봉제하기 위하여 구비되며, 이를 위해 베이스 프레임(100), 열선보빈(200), 스테이션유닛(300), 열선공급유닛(400) 및 봉제유닛(50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00)은 본 발명에 따른 절연 탄소섬유 봉제장치의 몸체를 이룬다. 이러한 베이스 프레임(100)은 각파이프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용접, 분체 도장 등의 방식으로 마감될 수 있다.
열선보빈(200)은 베이스 프레임(100)에 장착되며, 열선(heat-wire, w)이 저장될 수 있으며, 보빈(bobbin)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열선(w)이 중심부에 있는 중심체에 감겨져 저장될 수 있으며, 필요시 열선보빈(200)이 회전하면서 열선(w)이 풀려나옴으로써 열선(w)이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열선보빈(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선공급유닛(400)의 상측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종래의 절연 탄소섬유 봉제장치와 대비하여 열선공급유닛(400)까지의 거리가 단축되어 열선(w)의 전체 공급 경로의 길이가 줄어듦으로써 열선(w) 공급이 균일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테이션유닛(300)은 베이스 프레임(100)에 상하좌우로 수평 이동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스테이션유닛(300)에는 시트(s)가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평면상에서 상하, 좌우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봉제 작업이 수행되는 경우에 봉제유닛(500)은 고정된 위치에서 상하로 승강되면서 봉제를 수행하며, 스테이션유닛(300)이 이동되면서 시트(s)를 이동시켜 입력된 패턴에 맞도록 열선(w) 배열 및 봉제가 수행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 열선공급장치의 요부인 봉제유닛(500)과 열선공급유닛(400)을 도시한 것이며, 도 5(a) 및 도 5(b)는 열선공급유닛(400)의 열선공급가이드(410)를 도시한 것이다. 이를 참조하여 봉제유닛(500)과 열선공급유닛(400)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열선(w)이 봉제작업을 통해 시트(s)에 고정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열선(w)은 열선공급유닛(400)을 통해 시트(s) 상면으로 공급되며, 봉제유닛(500)은 상기 열선(w)의 양 측면을 봉제함으로써 열선(w)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열선공급유닛(400)은 봉제유닛(500)의 중심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봉제가 진행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며 열선(w)을 공급할 수 있으며, 봉제가 진행되는 방향에 맞추어 상기 스테이션유닛(300)이 이동됨으로써 시트(s)를 이동시킴과 동시에 열선(w)의 좌우로 봉제유닛(500)의 바늘이 통과될 수 있도록 지그재그로 상기 시트(s)를 이동시킴으로써 열선(w)을 윗실이 지그재그의 형태로 감싸도록 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열선공급유닛(400)은 스테이션유닛(3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열선공급헤드(420)와 열선공급가이드(410)를 구비할 수 있다.
열선공급헤드(4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s) 상면에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단부가 절곡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열선(w)이 꺽이지 않고 진행방향을 따라 안정적으로 시트(s) 상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열선공급헤드(420)는 열선(w)의 꺽임 및 그에 따른 단선, 꼬임 등이 방지될 수 있도록 봉제유닛(500)의 중심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봉제가 진행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며 열선(w)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열선공급헤드(420)는 봉제유닛(500)의 상하 작동에 따라 연동되며 소정 각도로 회전될 수 있다. 이는 열선(w)이 봉제유닛(500)의 바늘에 찍힘 등이 발생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봉제가 수행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다시말해, 전술한 바와 같이 봉제유닛(500)은 열선(w)의 진행방향 기준으로 양 측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봉제를 수행하는데, 이때 봉제유닛(500)이 열선(w)의 일측부를 봉제하는 경우에는 봉제유닛(500)의 하강에 맞추어 열선공급헤드(420)가 열선(w)의 타측부를 향해 회전되며, 봉제유닛(500)의 상승에 맞추어 다시 원복되었다가, 다음으로 봉제유닛(500)이 열선(w)의 타측부를 봉제하기 위하여 하강시 그에 맞추어 열선공급헤드(420)는 열선(w)의 일측부를 향해 회전됨으로써 서로 엇갈리도록 하여 봉제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열선공급가이드(410)는 열선보빈(200)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선(w)을 열선공급헤드(42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열선공급가이드(410)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링 형상의 하우징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상부가이드(412)와 하부가이드(414)로 구비될 수 있다.
상부가이드(412)는 고정 결합되며, 하부가이드(414)는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상부가이드(412)에는 열선보빈(200)으로부터 공급되는 열선(w)이 투입될 수 있도록 제1관통공(412a)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하부가이드(414)에는 상기 열선(w)이 열선공급헤드(420)로 배출될 수 있도록 제2관통공(414a)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가이드(414) 또한 봉제유닛(500)의 중심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봉제가 진행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며 열선공급헤드(420)에 열선(w)을 공급하며, 이를 위해 봉제유닛(500)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열선공급헤드(420)와 동일한 방향에 상기 제2관통공(414a)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열선공급가이드(410)의 제1관통공(412a)은 제2관통공(414a)보다 크거나 긴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2관통공(414a)을 작게 또는 짧게 형성함으로써 제2관통공(414a)으로 배출되는 열선(w)이 다른 부재 등에 간섭되는 등의 문제 없이 열선공급헤드(420)에 공급되게 할 수 있다. 각각의 관통공은 트랙 형상, 원호 형상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열선저장유닛(200)으로부터 열선(w)이 투입되는 제1관통공(412a)를 갖는 열선공급가이드(410)의 상부가이드(412)는 열선(w)의 안정적이고 꼬임없는 투입을 위해 고정되고, 하부가이드(414)는 제2관통공(414a)가 열선공급헤드(420)과 같은 방향을 갖도록 회전될 수 있는데, 이에 관하여는 후술한다.
열선(w)은 상기 제1관통공(412a)으로 투입되어 상기 원형 고리의 내부를 따라 이동되어 제2관통공(414a)으로 배출되어 열선공급헤드(420)로 인도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열선공급가이드(400) 내부의 공간이 완충 공간의 역할을 함으로써, 열선(w)이 열선공급유닛(400) 또는 봉제유닛(500) 등에 감기는 현상 및 꼬임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다시말해, 열선(w)은 열선공급가이드(400) 내부의 공간에 소정 횟수 감기거나 또는 풀릴 수 있는데, 열선공급가이드(400) 내부가 원형의 고리의 형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열선(w)이 꼬이거나 서로 엉킴 없이 자연스럽게 감기거나 풀리면서 공급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에 따른 절연 탄소섬유 봉제장치는 이러한 열선공급가이드(410)를 구비함으로써 종래의 시트 열선 봉제장치가 가진 가장 큰 문제점인 열선공급헤드(420)의 회전에 따른 열선(w)의 꼬임 및 그에 따른 단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또한 꼬임 및 단선의 우려로 인한 회전 반경의 제한이 없이 열선(w)의 배열 자유도를 확보할 수 있다.
봉제유닛(500)은 봉제를 수행하며, 니들 지지블록(510)과, 회전블록(520)과, 니들(530)을 포함할 수 있다.
니들 지지블록(510)은 봉제유닛(500)의 몸체를 이루며, 베이스 프레임(100)에 장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니들 지지블록(510)에 봉제를 위한 윗실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니들 지지블록(510)에는 열선공급가이드(410)의 상부가이드(412)가 결합고정될 수 있으며, 이때 이러한 결합을 위하여 상부가이드(412)는 결합공(412b)을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결합공(412b)에 볼트(도시되지 않음) 등이 관통되어 니들 지지블록(510)에 결합됨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회전블록(520)은 니들 지지블록(510)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블록(520)은 열선의 봉제 진행방향에 따라 회전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일측에 모터(도시되지 않음)가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모터와 벨트(522) 등으로 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블록(520)의 회전에 따라 열선공급헤드(420) 및 열선공급가이드(410)의 하부가이드(414)가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다시말해, 하부가이드(414)의 내측에 상기 회전블록(520)과 결합될 수 있는 결합공(414b) 등이 형성되어 볼트(도시되지 않음) 등에 의해 상기 회전블록(520)과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될 수 있으며, 열선공급헤드(420)는 회전블록(520)과 결합되거나 또는 하부가이드(414)과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됨으로써 자연스럽게 봉제가 진행되는 방향에 따라 회전됨과 동시에 열선공급가이드(410)의 하부가이드(414)의 제2관통공(414a)과 동일한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절연 탄소섬유 봉제장치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절연 탄소섬유 봉제장치의 사용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절연 탄소섬유 봉제장치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우선 봉제 대상물인 시트(s)를 스테이션유닛(300)에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열선보빈(200)으로부터 열선(w)을 인출하여 열선공급유닛(400)의 열선공급가이드(410)의 일면(상면)으로 투입시키며, 열선공급가이드(410)의 타면(하면)으로 배출되는 열선(w)을 열선공급헤드(420)로 인도하여 작업하고자 하는 시트(s)의 상면에 초기위치에 안착시킨다.
다음으로, 봉제유닛(500)에 윗실을 장착시킨 후(셋팅 후) 작업을 시작할 수 있는데, 이때 미리 열선(w)의 배열 등이 제어부(c)에 입력될 수 있으며, 스테이션유닛(300)은 그에 따라 시트(s)를 이동시킴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절연 탄소섬유 봉제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절연 탄소섬유 봉제장치를 사용하여 시트에 열선을 봉제로 고정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사용자는 열선공급가이드가 원형 링 형상의 하우징 형태로 이루어지고, 열선이 상기 열선공급가이드를 통해 공급됨으로써 꼬임 및 단선이 방지되며, 열선공급유닛의 회전 반경의 한계가 제거되어 열선 배열 자유도가 증가될 수 있는 절연 탄소섬유 봉제장치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열선보빈이 열선공급유닛의 상부에 배치되어 열선의 전체 공급 경로의 길이가 단축됨으로써 열선 공급이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봉제작업에서 열선공급유닛이 봉제유닛의 상하 작동과 연동되되 봉제유닛과 반대쪽으로 소정 각도로 회전됨으로써 열선의 찍힘이 방지되고 작업 안정성이 증가될 수 있는 절연 탄소섬유 봉제장치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절연 탄소섬유 봉제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다만,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실시예가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으로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100 : 베이스 프레임
200 : 열선보빈
300 : 스테이션유닛
400 : 열선공급유닛
500 : 봉제유닛

Claims (9)

  1.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장착되며 절연 탄소섬유 형태의 열선이 권취된 상태로 공급되는 열선보빈;
    시트가 안착되어 고정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수평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테이션유닛;
    상기 스테이션유닛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열선보빈으로부터 열선을 전달받아 상기 시트 상면에 열선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열선보빈으로부터 공급되는 열선을 전달하는 열선공급가이드와, 상기 열선공급가이드로부터 전달되는 열선을 상기 시트 상면으로 인출하는 열선공급헤드를 포함하는 열선공급유닛; 및
    상기 스테이션유닛의 상부에서 상기 열선공급유닛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시트 상부로 공급되는 열선을 시트에 봉제하여 고정하는 봉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봉제유닛은 베이스 프레임에 장착되어 고정되는 니들 지지블록과, 상기 니들 지지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모터에 의해 봉제가 진행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블록과, 상기 회전블록의 단부에 결합되며 봉제를 수행하는 니들을 포함하며,
    상기 열선공급가이드는 원형 링 형상의 하우징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면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원호 형상의 제1관통공으로 열선이 투입되고 상기 제1관통공으로 투입된 열선은 상기 하우징 내부를 따라 수용되며, 상기 제1 관통공보다 크기가 작으며, 하면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원호 형상의 제2관통공으로 배출되며,
    상기 열선공급가이드는 상기 제1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니들 지지블록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상부가이드와, 상기 제2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블록과 결합되어 상기 회전블록 및 상기 열선공급헤드와 일체로 회전되는 하부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열선공급유닛은 상기 봉제유닛의 회전블록과 결합되어 상기 회전블록과 일체로 회전됨으로써 봉제가 진행되는 방향으로 상기 열선공급헤드의 방향이 전환되며 열선이 놓여지고, 상기 봉제유닛이 뒤따라 상기 열선 양 측면을 감싸 봉제함으로써 상기 열선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탄소섬유 봉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선보빈은 상기 열선공급유닛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탄소섬유 봉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선공급헤드의 단부는 열선이 상기 시트의 상면과 경사진 상태로 공급되도록 상기 열선공급유닛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탄소섬유 봉제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선공급가이드의 상기 제2관통공 및 상기 열선공급헤드는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회전블록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열선공급헤드와 상기 제2관통공이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탄소섬유 봉제장치.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제유닛은 상기 열선의 양 측면을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봉제하여 상기 열선을 고정하고, 상기 열선공급유닛은 상기 봉제유닛의 상하 작동과 연동되어 소정 각도로 회전되되,
    상기 봉제유닛이 상기 열선의 일 측부 봉제시 상기 열선공급유닛은 상기 일 측부와 반대방향으로 상기 열선공급헤드의 방향을 전환시키고 상기 열선의 타 측부 봉제시 상기 열선공급유닛은 상기 타 측부와 반대방향으로 상기 열선공급헤드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탄소섬유 봉제장치.
KR1020190093209A 2019-07-31 2019-07-31 절연 탄소섬유 봉제장치 KR1021998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3209A KR102199813B1 (ko) 2019-07-31 2019-07-31 절연 탄소섬유 봉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3209A KR102199813B1 (ko) 2019-07-31 2019-07-31 절연 탄소섬유 봉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9813B1 true KR102199813B1 (ko) 2021-01-07

Family

ID=74126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3209A KR102199813B1 (ko) 2019-07-31 2019-07-31 절연 탄소섬유 봉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981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8771B1 (ko) * 2009-08-14 2012-04-24 주식회사 썬스타 열선 봉착용 재봉기
KR20140031119A (ko) * 2012-09-03 2014-03-12 도카이 고교 미싱 가부시키가이샤 미싱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8771B1 (ko) * 2009-08-14 2012-04-24 주식회사 썬스타 열선 봉착용 재봉기
KR20140031119A (ko) * 2012-09-03 2014-03-12 도카이 고교 미싱 가부시키가이샤 미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8802B1 (ko) 합사장치
US11828009B2 (en) System and method of unspooling a material into a textile machine
KR102199813B1 (ko) 절연 탄소섬유 봉제장치
CN206947165U (zh) 一种多轴绕线机
KR101689038B1 (ko) 미싱
JP2013236801A (ja) 表皮材の縫合方法
JP5415210B2 (ja) 編物
JP5508147B2 (ja) 巻線機及び巻線方法
EP2341172B1 (en) Stitch cam device
WO2005002377A1 (en) Button wrapping and knott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CN102817171A (zh) 圆形针织机中的纱线引导装置
JPH0367126B2 (ko)
US5239843A (en) Knitting machine for the production of plush goods
KR101185715B1 (ko) 교락장치를 갖는 환편기와 이를 이용한 편직방법
JP2014051755A (ja) ベア糸給糸装置及びこのベア糸給糸装置を具備して成る丸編機
KR20130117485A (ko) 용접케이블 전용릴장치
JP6326289B2 (ja) ツイスト線製造装置
US2259384A (en) Knitting head
CN209482050U (zh) 底网造纸毛毯修边装置
CN213677534U (zh) 一种复合纤维缠绕机
JP2014241237A (ja) シールド電線製造装置及びシールド電線製造方法
CN102619029B (zh) 发热线缝合用缝纫机及使用该缝纫机的发热线拧绞防止方法
KR200230435Y1 (ko) 퀼팅머신용 연사공급장치
US3000199A (en) Knitting machine and method
CN219098347U (zh) 一种新型纺织面料的自动缠绕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