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9579B1 - 카메라 신축 장치 및 핸드폰 - Google Patents

카메라 신축 장치 및 핸드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9579B1
KR102199579B1 KR1020187030897A KR20187030897A KR102199579B1 KR 102199579 B1 KR102199579 B1 KR 102199579B1 KR 1020187030897 A KR1020187030897 A KR 1020187030897A KR 20187030897 A KR20187030897 A KR 20187030897A KR 102199579 B1 KR102199579 B1 KR 102199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mobile phone
bearing
camera
bas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0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8498A (ko
Inventor
상샹 쉬
웨이춘 시에
샤오윤 양
Original Assignee
선전 자오웨이 머시너리 & 일렉트로닉스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전 자오웨이 머시너리 & 일렉트로닉스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선전 자오웨이 머시너리 & 일렉트로닉스 씨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90118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84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9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95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카메라 신축 장치에 있어서, 핸드폰의 케이스 내에 설치될 수 있는 베이스 프레임(1)과, 베이스 프레임(1) 상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스크류(2)와, 스크류(2)의 일단에 연결되는 구동 장치와, 스크류(2) 상에 구비되는 너트(3) 및 너트(3) 상에 설치되고 또한 핸드폰 상의 카메라 모듈과 연결하기 위한 푸시 블록(4)이 포함되며, 스크류(2)의 타단에는 스크류(2)의 축방향 힘을 베어링하기 위한 베어링 기구(5)가 구비되고, 베어링 기구(5)는 베이스 프레임(1) 상에 설치된다. 핸드폰에 있어서, 케이스, 케이스 내에 구비되는 촬상 모듈 및 케이스 상에 구비되는 스크린이 포함되고, 핸드폰에는 또한 카메라 신축 장치가 포함되며, 카메라 신축 장치는 촬상 모듈에 연결되고 또한 촬상 모듈이 스크린으로부터 인출 및 스크린 배면으로 수축 회수되도록 한다.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카메라 신축 장치는 베어링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통하여 전동을 안정적이고 신뢰성있게 한다.

Description

카메라 신축 장치 및 핸드폰
본 출원은 기계 전동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카메라 신축 장치 및 핸드폰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설계 및 제조 기술의 발전에 따라, 높은 스크린 점유율의 핸드폰 시장이 빠르게 형성되고 또한 근년의 중요한 발전 방향으로 되었다. 핸드폰 카메라가 아직까지 스크린을 꿰질러 촬영을 진행할 수 없는 바, 즉 카메라를 반드시 스크린 밖의 구역에 설계하여야 하고, 또한 스크린 점유율이 높아짐에 따라 핸드폰 주위의 카메라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이 더욱 감소되었기 때문에, 높은 스크린 점유율의 핸드폰에서 카메라는 스크린 배면에 감추고, 평소에 사용하지 않을 때는 회수하고, 사용 시 스크린 밖으로 인출되어 촬영을 진행하도록 하여야 한다.
종래 기술에서, 일반적으로 스크류-너트의 전동 방식을 이용하여 카메라를 구동시켜 신축시키나, 이의 부품 크기가 작고 강도가 비교적 약하기 때문에, 스크류가 쉽게 걸리어 전동 효율에 영향을 미치거나, 또는 느슨하고 이탈되어 무효화를 초래하는 등 문제가 존재한다.
본 출원은 카메라 신축 장치를 제공하여 종래 기술에 존재하는 핸드폰 내의 스크류-너트 전동 부품의 크기가 작고 강도가 약하여, 전동 효율이 높지 못하고 전동이 쉽게 무효화되는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출원에서는 카메라 신축 장치를 제공하는 바, 핸드폰의 케이스 내에 설치될 수 있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의 일단에 연결되는 구동 장치와, 상기 스크류 상에 구비되는 너트 및 상기 너트 상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핸드폰 상의 카메라 모듈과 연결하기 위한 푸시 블록이 포함되고, 상기 스크류의 타단에는 상기 스크류의 축방향 힘을 베어링하기 위한 베어링 기구가 구비되고, 상기 베어링 기구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 설치된다.
나아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는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기판 및 각각 상기 기판 양단에 구비되는 제1 설치판 및 제2 설치판이 포함되고, 상기 스크류의 일단이 상기 제1 설치판을 관통하고 또한 상기 구동 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스크류의 타단이 상기 베어링 기구를 통하여 상기 제2 설치판 상에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어링 기구에는 축 와셔, 두 베젤, 두 홀더 및 볼 베어링이 포함되고, 상기 축 와셔는 두 상기 베젤 사이에 구비되고, 두 상기 베젤과 상기 축 와셔 사이에는 각각 하나의 홀더가 구비되며, 상기 볼 베어링은 상기 홀더 내에 삽입 구비되며; 상기 스크류의 타단에는 광택 축 구간이 구비되고, 상기 축 와셔, 상기 베젤 및 상기 홀더는 모두 상기 광택 축 구간에 씌워 구비되며, 상기 축 와셔의 외부 와셔는 상기 제2 설치판 상에 고정되고, 두 상기 베젤은 각각 축방향으로 상기 광택 축 구간의 양단에 막힌다.
나아가, 상기 제2 설치판 상에는 2급 단턱 홀이 형성되고, 상기 축 와셔가 상기 2급 단턱 홀 중의 비교적 큰 홀 내에 고정되고 또한 상기 2급 단턱 홀의 단턱 상에 막힌다.
나아가, 상기 홀더 상에는 볼 베어링 홈이 구비되고, 상기 볼 베어링은 상기 볼 베어링 홈에 수납되고 또한 상기 홀더의 양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축 와셔 및 상기 베젤 상에는 모두 상기 볼 베어링 돌출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오목홈이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어링 기구는 복식 스러스트 베어링이다.
나아가, 상기 제1 설치판과 상기 제2 설치판 사이에는 또한 상기 스크류와 평행되고 또한 상기 너트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로드가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구동 장치에는 상기 핸드폰의 제어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전동기 및 상기 전동기와 상기 스크류 사이에 전동 연결되는 감속기가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감속기는 유성 감속기이다.
본 출원에서는 또한 핸드폰을 제공하는 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구비되는 촬상 모듈 및 상기 케이스 상에 구비되는 스크린이 포함되고, 상기 핸드폰에는 또한 상기 카메라 신축 장치가 포함되며, 상기 카메라 신축 장치는 상기 촬상 모듈에 연결되고 또한 상기 촬상 모듈이 상기 스크린으로부터 인출 및 상기 스크린 배면으로 수축 회수되도록 한다.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카메라 신축 장치의 유익한 효과라면, 종래 기술에 비하여, 본 출원의 카메라 신축 장치는 스크류의 타단에 베어링 기구를 구비하고 또한 해당 베어링 기구가 스크류의 축방향 힘을 베어링하도록 하는 것을 통하여, 이는 스크류의 베어링 강도를 향상시켜 스크류와 너트의 전동 기구가 비교적 큰 부하 하에서도 쉽게 파손되지 않고, 걸리지 않도록 하여 전동 효율에 영향을 미치거나 느슨하고 이탈되어 무효화를 초래하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나아가 해당 카메라 신축 장치의 전동이 더욱 안정적이고 신뢰성이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본 출원의 핸드폰은 상기 카메라 신축 장치를 사용하는 것을 통하여, 해당 핸드폰의 촬상 모듈이 스크린의 배면에 설치되도록 하고, 나아가 핸드폰의 스크린 점유율을 향상시킨다.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기술방안에 대하여 더욱 명확한 설명을 진행하기 위하여, 아래 실시예의 설명에 사용될 도면에 대하여 간략한 설명을 진행하는 바, 하기 설명 중의 도면은 단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불과하며, 당업계의 기술자로 말하면 창조성적인 노력이 필요없이 이러한 도면에 의하여 기타 도면을 취득할 수 있다.
도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카메라 신축 장치의 입체도.
도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카메라 신축 장치의 단면도.
도3은 도2의 부분 확대도.
도4는 도1 중의 베이스 프레임의 구조도
도5는 도1 중의 홀더의 구조도
본 출원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기술방안 및 장점을 더욱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이해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에 대하여 진일보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에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해석에 불과하고 본 출원을 제한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설명하여야 할 바로는, 한 요소가 다른 한 요소에 "고정되거나" 또는 "구비되었다"할 때, 이는 직접 다른 요소 상에 있거나 또는 간접적으로 그 중의 한 요소에 있을 수 있다. 한 요소가 다른 한 요소에 "연결되었다"할 때, 이는 직접 다른 요소에 연결되거나 또는 간접적으로 그 중의 한 요소에 있을 수 있다.
용어 "길이", "너비", "상", "하", "전", "후", "좌", "우", "수직", "수평", "꼭대기", "저부", "내", "외" 등이 지시하는 방향 또는 위치 관계는 도면에 도시된 방향 또는 위치 관계를 기초로 한 것으로서, 단지 본 출원에 대한 설명의 편리를 위하고 설명을 간략화하기 위한 것일 뿐 해당 장치 또는 소자가 반드시 특정 방향을 구비하고 특정 방향으로 구성되고 조작되어야 함을 뜻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본 출원에 대해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그리고, 용어 "제1", "제2"는 단지 설명의 편리를 위한 것이고, 상대적인 중요성을 암시하거나 또는 지시하는 기술 특징의 수량을 암시하는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제1”, “제2”로 한정된 특징은 명시적 또는 암시적으로 하나 또는 더욱 많은 해당 특징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 대한 설명 중에 있어서, 특별한 설명이 없는 한, "다수"는 두개 또는 두개 이상을 뜻한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여,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카메라 신축 장치에 대하여 설명을 진행하도록 한다. 해당 카메라 신축 장치는 핸드폰의 케이스 내에 설치될 수 있고, 촬영을 진행하여야 할 때, 카메라 신축 장치를 통하여 핸드폰 내의 촬상 모듈을 스크린 밖으로 푸시하여 촬영을 진행하고, 촬영을 필요로 하지 않을 때, 카메라 신축 장치를 통하여 촬상 모듈을 스크린 배면에 수축 회수하여, 핸드폰 스크린 점유율을 향상시키는 목적을 이룬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카메라 신축 장치에는 베이스 프레임(1), 구동 장치, 스크류(2), 너트(3), 푸시 블록(4) 및 베어링 기구(5)가 포함되고, 베이스 프레임(1)은 핸드폰의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전반 카메라 신축 장치를 핸드폰 상에 고정시킬 수 있고, 스크류(2)는 이동가능하게 베이스 프레임(1) 상에 구비되며, 스크류(2)의 양단은 각각 베이스 프레임(1)의 양단에 구비되고 또한 베이스 프레임(1) 상에서 회전할 수 있으며, 구동 장치는 핸드폰 상에 설치되고 또한 스크류(2)의 일단에 연결되며, 구동 장치는 스크류(2)를 구동 회전시키기 위한 것이고, 너트(3)는 스크류(2) 상에 구비되고 또한 스크류(2)의 구동 하에 스크류(2) 상에서 이동할 수 있으며, 푸시 블록(4)은 너트(3) 상에 설치되고 또한 너트(3)를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푸시 블록(4)은 촬상 모듈과 연결되어 핸드폰 상의 촬상 모듈을 밀어 스크린 밖으로 인출되거나 또는 스크린 배면으로 수축 회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베어링 기구(5)는 스크류(2)의 타단에 구비되며, 베어링 기구(5)는 스크류(2)의 축방향 힘을 베어링하기 위한 것이며, 베어링 기구(5)는 베이스 프레임(1) 상에 설치된다.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카메라 신축 장치는, 종래 기술에 비하여, 본 출원의 카메라 신축 장치는 스크류(2)의 타단에 베어링 기구(5)를 구비하고 또한 해당 베어링 기구(5)가 스크류(2)의 축방향 힘을 베어링하도록 하는 것을 통하여, 이는 스크류(2)의 베어링 강도를 향상시켜 스크류(2)와 너트(3)의 전동 기구가 비교적 큰 부하 하에서도 쉽게 파손되지 않고, 걸리지 않도록 하여 전동 효율에 영향을 미치거나 느슨하고 이탈되어 무효화를 초래하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나아가 해당 카메라 신축 장치의 전동이 더욱 안정적이고 신뢰성이 있도록 하였다.
나아가, 도4를 참조하면,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카메라 신축 장치의 일 구체적인 실시방식으로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1)에는 기판(11), 제1 설치판(12) 및 제2 설치판(13)이 포함되고, 기판(11)은 케이스 내에 설치될 수 있으며, 기판(11)은 수직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기판(11)의 배면에는 기판(11)을 핸드폰 상에 위치고정시키기 위한 위치고정 기둥이 구비되며, 제1 설치판(12) 및 제2 설치판(13)은 각각 기판(11) 양단에 수직되고, 스크류(2) 일단이 제1 설치판(12)을 관통하고 또한 구동 장치와 연결되며, 스크류(2)의 타단이 베어링 기구(5)를 통하여 제2 설치판(13) 상에 구비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베이스 프레임(1)의 중량을 줄이고 원가를 절감하기 위하여, 상기 기판(11)의 너비를 제1 설치판(12) 및 제2 설치판(13)의 너비보다 작도록 설계하고, 아울러 베이스 프레임(1)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제1 설치판(12)과 제2 설치판(13) 사이에는 또한 보강판(14)이 연결되며, 보강판(14)은 기판(11)과 수직되고 또한 상호 이격되며, 그리고 베이스 프레임(1)을 핸드폰 상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제1 설치판(12), 제2 설치판(13) 및 보강판(14)의 측면에는 모두 나사판이 연장 형성되고 또한 나사판(15)은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며, 각 나사판(15)을 통하여 베이스 프레임(1)을 핸드폰 상에 고정시킨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기판(11), 보강판(14), 제1 설치판(12), 제2 설치판(13) 및 나사판(15)은 모두 일체 성형되고, 해당 베이스 프레임(1)의 가공 공정이 간단하고 원가가 낮다. 본 출원의 기타 실시예에서, 실제 상황 및 구체적인 요구에 의하여, 상기 기판(11), 보강판(14), 제1 설치판(12), 제2 설치판(13) 및 나사판(15)은 또한 각각 성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에 대하여 제한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도3을 참조하면,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카메라 신축 장치의 일 구체적인 실시방식으로서, 상기 베어링 기구(5)에는 축 와셔(51), 두 베젤(52), 두 홀더(53) 및 볼 베어링(54)이 포함되고, 축 와셔(51)는 두 베젤(52) 사이에 구비되고, 두 베젤(52)과 축 와셔(51) 사이에는 각각 하나의 홀더(53)가 구비되며, 볼 베어링(54)은 홀더(53) 내에 삽입 구비되고 또한 홀더(53) 중에서 회전할 수 있으며; 스크류(2)의 타단에는 광택 축 구간(21)이 구비되고, 광택 축 구간(21)은 축방향으로 제2 설치판(13)을 관통하여, 축 와셔(51), 두 베젤(52) 및 두 홀더(53)는 모두 광택 축 구간(21) 상에 씌워 구비되며, 축 와셔(51)는 제2 설치판(13) 상에 고정되고, 두 베젤(52)은 각각 축방향으로 광택 축 구간(21)의 양단에 막힌다.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베어링 기구는 두 베젤(52) 및 두 홀더(53)의 설계를 통하여, 해당 베어링 구조가 동시에 양방향 축방향 힘을 베어링할 수 있도록 하여, 스크류(2)의 강도를 확보한다.
나아가, 도3 및 도4를 참조하면,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카메라 신축 장치의 일 구체적인 실시방식으로서, 상기 제2 설치판(12) 상에는 2급 단턱 홀(130)이 형성되고, 축 와셔(51)가 2급 단턱 홀(130) 중의 비교적 큰 홀 내에 고정되고 또한 2급 단턱 홀(130)의 단턱(1303) 상에 막히는 바, 구체적으로 말하면, 2급 단턱 홀(130)에는 대직경 홀(1301) 및 소직경 홀(1302)이 포함되고, 대직경 홀(1301)의 직경이 소직경 홀(1302)의 직경보다 크며, 대직경 홀(1301)은 소직경 홀(1302)의 위쪽에 위치하고, 대직경 홀(1301)과 소직경 홀(1302) 사이에는 단턱(1303)이 구비되며, 축 와셔(51)의 외부 직경이 대직경 홀(1301)의 내부 직경과 배합되고 또한 축 와셔(51)의 축방향 높이와 대직경 홀(1301)의 축방향 높이가 동일하며, 베젤(52) 및 홀더(53)의 외부 직경은 모두 소직경 홀(1302)의 내부 직경보다 작고, 축 와셔(51)는 대직경 홀(1301) 중에 수용되고 또한 단턱(1303) 상에 막히며 또한 축 와셔(51)는 레이저 용접 방식을 통하여 대직경 홀(1301)에 용접된다. 본 출원의 기타 실시예에서, 실제 상황 및 구체적인 요구에 의하여, 상기 대직경 홀(1301)은 또한 소직경 홀(1302)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마찬가지로, 축 와셔(51)는 여전히 대직경 홀(1301)에 수용되고 또한 단턱(1303) 상에 막힐 수 있는 바, 이에 대하여 제한하지 않는다.
그리고, 도3을 참조하면, 상기 스크류(2)에는 나사 구간(22) 및 광택 축 구간(21)이 포함되고, 광택 축 구간(21)의 직경이 나사 구간(22)의 직경보다 작으며, 광택 축 구간(21)과 나사 구간(22)이 과도되는 위치에는 나사 단면이 구비되고, 아래에 위치한 베젤(52)의 하단면은 나사 단면 상에 막힌다. 구간(21)의 상단에는 오목홀(210)이 구비되고, 오목홀(210) 상에는 리벳이 구비되며, 리벳의 밖으로 접힌 변두리는 위쪽에 위치한 베젤(52)의 상단면 상에 조임되어, 두 베젤(52)을 각각 광택 축 구간(21)의 양단에 막힌다반시계, 도3 및 도5를 참조하면,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카메라 신축 장치의 일 구체적인 실시방식으로서, 상기 홀더(53) 상에는 볼 베어링 홈(530)이 구비되고, 볼 베어링(54)은 볼 베어링 홈(530)에 수납되고 또한 홀더(53)의 양측으로 돌출되며, 축 와셔(51) 및 베젤(52)의 볼 베어링(54)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모두 볼 베어링(54) 돌출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오목홈(510)이 구비되고, 오목홈(510)은 링형으로 구비되며, 오목홈(510)의 볼 베어링(54)과 접촉되는 면은 구면을 이룬다.
바람직하게는,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카메라 신축 장치의 다른 일 구체적인 실시방식으로서, 상기 베어링 기구(5)는 복식 스러스트 베어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복식 스러스트 베어링은 양방향으로 부하를 베어링할 수 있어, 스크류(2)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든지 아니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든지, 즉 스크류(2)가 순방향 또는 역방향의 축방향 추진력을 받든지, 스크류(2)는 모두 추진력을 복식 스러스트 베어링 상에 전달할 수 있어, 스크류(2) 상의 추진력 부하를 해제할 수 있고, 나아가 스크류(2)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어, 스크류(2)가 전동 과정에 느슨하고 이탈되어 무효화를 초래하는 것을 방지한다.
나아가,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카메라 신축 장치의 일 구체적인 실시방식으로서, 상기 제1 설치판(12)과 제2 설치판(13) 사이에는 또한 가이드 로드(6)가 구비되고, 가이드 로드(6)는 스크류(2)와 평행되고, 가이드 로드(6)는 너트(3)를 가이드하여 스크류(2) 상에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가이드 로드(6)는 광택 로드이고, 제1 설치판(12) 및 제2 설치판(13) 상에는 모두 가이드 로드(6)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홀이 형성되고, 너트(3) 상에는 제1 나사홀(31) 및 가이드 홀(32)이 형성되며, 너트(3)는 제1 나사홀(31)을 통하여 스크류(2)의 나사 구간(22)에 씌워 설치되고 또한 스크류(2)의 회전에 따라 나사 구간(22)에서 이동하며, 너트(3)는 가이드 홀(32)을 통하여 가이드 로드(6) 상에 씌워 설치되고, 푸시 블록(4)은 너트(3)의 외부 변두리에 커버된다.
나아가,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카메라 신축 장치의 일 구체적인 실시방식으로서, 상기 구동 장치에는 전동기(7) 및 감속기(8)가 포함되고, 전동기(7)는 핸드폰의 제어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감속기(8)는 전동기(7)와 스크류(2) 사이에 전동 연결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카메라 신축 장치는, 우선 핸드폰 제어 회로를 통하여 전동기(7) 회전을 제어하고, 이어 감속기(8)를 통하여 전동기(7) 회전에 대하여 감속을 진행하여 스크류(2)를 구동 회전시키며, 스크류(2)가 너트(3)를 구동시켜 스크류(2) 상에서 왕복 이동하여, 푸시 블록(4)을 구동시켜 촬상 모듈을 밀어 신축 운동을 하며, 전동기(7)의 순방향/역방향 회전을 제어하는 것을 통하여 촬상 모듈의 신축을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2을 참조하면,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카메라 신축 장치의 일 구체적인 실시방식으로서, 상기 감속기(8)는 유성 감속기(8)인 것이 바람직하며, 유성 감속기(8)의 원리는 일종 동력 전동 기구로서, 기어의 속도 전환기를 이용하여 전동기(7)의 회전수를 필요한 회전수로 감속시키고, 또한 비교적 큰 토크를 취득하는 기구로서, 유성 감속기(8) 전동축 상의 잇수가 적은 기어가 출력축 상의 잇수가 큰 기어에 치합되어 감속의 목적을 이룬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유성 감속기(8)의 설계를 통하여, 비교적 작은 두께 내에서 비교적 큰 전동 비율을 구현하고, 나아가 비교적 큰 추진력을 구현하여, 전동 효율을 향상시켰다.
나아가, 도2를 참조하면,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카메라 신축 장치의 일 구체적인 실시방식으로서, 상기 감속기(8)의 케이스 상에 외부 나사(81)가 구비되고, 제1 설치판(12) 상에 제2 나사홀(120)이 구비되며, 감속기(8) 나사가 제2 나사홀(120) 상에 연결된다.
본 출원에서는 또한 핸드폰을 제공하는 바, 케이스, 촬상 모듈, 스크린 및 카메라 신축 장치가 포함되고, 촬상 모듈은 케이스 내에 구비되고, 스크린은 케이스 상에 구비되며, 카메라 신축 장치는 촬상 모듈에 연결되고 또한 촬상 모듈을 구동시켜 스크린으로부터 인출 및 스크린 배면으로 수축 회수되도록 한다. 본 출원의 핸드폰은 상기 카메라 신축 장치를 사용하는 것을 통하여, 해당 핸드폰의 촬상 모듈이 스크린의 배면에 설치되도록 하고, 나아가 핸드폰의 스크린 점유율을 향상시킨다.
이상에서는 본 출원을 특정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출원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 중에서, 도면 중의 각 도면부호는,
1-베이스 프레임; 2-스크류; 3-너트; 4-푸시 블록; 5-베어링 기구; 6-가이드 로드; 7-전동기; 8-감속기; 11-기판; 12-제1 설치판; 13-제2 설치판; 14-보강판; 15-나사판; 21-광택 축 구간; 22-나사 구간; 31-제1 나사홀; 32-가이드 홀; 51-축 와셔; 52-베젤; 53-홀더; 54-볼 베어링; 81-외부 나사; 120-제2 나사홀; 130-2급 단턱 홀; 210-오목홀; 510-오목홈; 530-볼 베어링 홈; 1301-대직경 홀; 1302-소직경 홀; 1303-단턱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핸드폰의 케이스 내에 설치될 수 있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의 일단에 연결되는 구동 장치와, 상기 스크류 상에 구비되는 너트 및 상기 너트 상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핸드폰 상의 카메라 모듈과 연결하기 위한 푸시 블록이 포함되는 카메라 신축 장치에서, 상기 스크류의 타단에는 상기 스크류의 축방향 힘을 베어링하기 위한 베어링 기구가 구비되고, 상기 베어링 기구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는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기판 및 각각 상기 기판 양단에 구비되는 제1 설치판 및 제2 설치판이 포함되고, 상기 스크류의 일단이 상기 제1 설치판을 관통하고 또한 상기 구동 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스크류의 타단이 상기 베어링 기구를 통하여 상기 제2 설치판 상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베어링 기구에는 축 와셔, 두 베젤, 두 홀더 및 볼 베어링이 포함되고, 상기 축 와셔는 두 상기 베젤 사이에 구비되고, 두 상기 베젤과 상기 축 와셔 사이에는 각각 하나의 홀더가 구비되며, 상기 볼 베어링은 상기 홀더 내에 삽입 구비되며; 상기 스크류의 타단에는 광택 축 구간이 구비되고, 상기 축 와셔, 상기 베젤 및 상기 홀더는 모두 상기 광택 축 구간에 씌워 구비되며, 상기 축 와셔의 외부 와셔는 상기 제2 설치판 상에 고정되고, 두 상기 베젤은 각각 축방향으로 상기 광택 축 구간의 양단에 막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2 설치판 상에는 2급 단턱 홀이 형성되고, 상기 축 와셔가 상기 2급 단턱 홀 중의 비교적 큰 홀 내에 고정되고 또한 상기 2급 단턱 홀의 단턱 상에 막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신축 장치.
  5. 핸드폰의 케이스 내에 설치될 수 있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의 일단에 연결되는 구동 장치와, 상기 스크류 상에 구비되는 너트 및 상기 너트 상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핸드폰 상의 카메라 모듈과 연결하기 위한 푸시 블록이 포함되는 카메라 신축 장치에서, 상기 스크류의 타단에는 상기 스크류의 축방향 힘을 베어링하기 위한 베어링 기구가 구비되고, 상기 베어링 기구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는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기판 및 각각 상기 기판 양단에 구비되는 제1 설치판 및 제2 설치판이 포함되고, 상기 스크류의 일단이 상기 제1 설치판을 관통하고 또한 상기 구동 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스크류의 타단이 상기 베어링 기구를 통하여 상기 제2 설치판 상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베어링 기구에는 축 와셔, 두 베젤, 두 홀더 및 볼 베어링이 포함되고, 상기 축 와셔는 두 상기 베젤 사이에 구비되고, 두 상기 베젤과 상기 축 와셔 사이에는 각각 하나의 홀더가 구비되며, 상기 볼 베어링은 상기 홀더 내에 삽입 구비되며; 상기 스크류의 타단에는 광택 축 구간이 구비되고, 상기 축 와셔, 상기 베젤 및 상기 홀더는 모두 상기 광택 축 구간에 씌워 구비되며, 상기 축 와셔의 외부 와셔는 상기 제2 설치판 상에 고정되고, 두 상기 베젤은 각각 축방향으로 상기 광택 축 구간의 양단에 막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홀더 상에는 볼 베어링 홈이 구비되고, 상기 볼 베어링은 상기 볼 베어링 홈에 수납되고 또한 상기 홀더의 양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축 와셔 및 상기 베젤 상에는 모두 상기 볼 베어링 돌출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오목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신축 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기구는 복식 스러스트 베어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신축 장치.
  7.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설치판과 상기 제2 설치판 사이에는 또한 상기 스크류와 평행되고 또한 상기 너트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로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신축 장치.
  8.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에는 상기 핸드폰의 제어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전동기 및 상기 전동기와 상기 스크류 사이에 전동 연결되는 감속기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신축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기는 유성 감속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신축 장치.
  10.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구비되는 촬상 모듈 및 상기 케이스 상에 구비되는 스크린이 포함되는 핸드폰에 있어서, 상기 핸드폰에는 제4항 또는 제5항에 따른 상기 카메라 신축 장치가 포함되며, 상기 카메라 신축 장치는 상기 촬상 모듈에 연결되고 또한 상기 촬상 모듈이 스크린으로부터 인출 및 상기 스크린 배면으로 수축 회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KR1020187030897A 2017-12-06 2018-03-23 카메라 신축 장치 및 핸드폰 KR1021995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1274758.4A CN108513046A (zh) 2017-12-06 2017-12-06 摄像头伸缩装置及手机
CN201711274758.4 2017-12-06
PCT/CN2018/080226 WO2019109546A1 (zh) 2017-12-06 2018-03-23 摄像头伸缩装置及手机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8498A KR20190118498A (ko) 2019-10-18
KR102199579B1 true KR102199579B1 (ko) 2021-01-07

Family

ID=63374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0897A KR102199579B1 (ko) 2017-12-06 2018-03-23 카메라 신축 장치 및 핸드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199579B1 (ko)
CN (1) CN108513046A (ko)
WO (1) WO20191095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81563B (zh) * 2018-09-14 2024-03-1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隐藏式摄像头模组以及手机
CN109068039A (zh) * 2018-09-18 2018-12-21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摄像头伸缩结构和一种摄像设备
CN109391711B (zh) * 2018-09-29 2021-01-2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伸缩组件及终端设备
CN109561244B (zh) * 2018-10-16 2022-02-25 华为技术有限公司 移动终端及摄像装置
CN109257467A (zh) * 2018-10-22 2019-01-22 深圳市兆威机电股份有限公司 一种摄像头伸缩装置及手机
CN109120831A (zh) * 2018-10-22 2019-01-01 深圳市兆威机电股份有限公司 一种可伸缩摄像头装置及手机
CN109088967B (zh) * 2018-10-24 2023-11-24 Oppo(重庆)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摄像头组件、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
CN109218477B (zh) * 2018-10-29 2020-08-07 维沃移动通信(杭州)有限公司 一种摄像头装置及终端
CN109040571A (zh) * 2018-10-31 2018-12-18 深圳市兆威机电股份有限公司 摄像头伸缩装置及终端
CN109068049A (zh) * 2018-11-07 2018-12-21 深圳市兆威机电股份有限公司 摄像头伸缩装置及手机
CN109257472B (zh) * 2018-11-22 2024-03-22 江苏精研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伸缩装置及手机
CN109769054B (zh) * 2019-03-11 2020-07-03 南昌黑鲨科技有限公司 壳体组件及具有该壳体组件的智能终端
CN111654597A (zh) * 2019-04-30 2020-09-11 上海铼锶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电视机摄像头的伸缩组件及电视机
CN110176937A (zh) * 2019-05-24 2019-08-2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卡托模组、升降机构以及终端设备
CN110260122A (zh) * 2019-06-20 2019-09-20 歌尔股份有限公司 摄像头升降装置和移动终端
CN110439979A (zh) * 2019-09-11 2019-11-12 深圳市兆威机电股份有限公司 丝杆螺母副、安全传动装置及升降机构
CN110715031A (zh) * 2019-10-23 2020-01-21 领先科技(东台)有限公司 一种应用少齿差渐开线行星减速器的升降摄像头模组
CN111050154B (zh) * 2019-12-12 2020-11-24 天目爱视(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升降式旋转3d采集装置的移动终端
CN111163195B (zh) * 2019-12-23 2021-06-04 诚瑞光学(常州)股份有限公司 电子设备及使用方法
CN113037912B (zh) * 2021-04-28 2023-03-14 深圳世标检测认证股份有限公司 一种5g手机摄像头检测系统
CN114360189B (zh) * 2021-12-24 2023-12-19 湖南警察学院 一种小区风险全域采集的前端智能感知设备
CN115103176B (zh) * 2022-06-17 2023-11-07 桃子科技(嘉兴)有限公司 Ar视频生成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44629A (zh) * 2013-05-10 2013-08-14 中山联合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传动精度高的传动螺母
CN107197133A (zh) * 2017-07-21 2017-09-2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及摄像头组件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984539U (zh) * 2014-08-04 2014-12-03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可拉伸的摄像头结构
CN106856516A (zh) * 2015-12-09 2017-06-16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电子设备
CN205725913U (zh) * 2016-05-06 2016-11-23 重庆市航迈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可伸缩手机摄像头
CN106790833A (zh) * 2017-02-24 2017-05-31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带有摄像头的移动终端
CN207530914U (zh) * 2017-10-20 2018-06-2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摄像头支架组件及移动终端
CN207530918U (zh) * 2017-10-30 2018-06-2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CN207251786U (zh) * 2017-12-06 2018-04-17 深圳市兆威机电有限公司 摄像头伸缩装置及手机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44629A (zh) * 2013-05-10 2013-08-14 中山联合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传动精度高的传动螺母
CN107197133A (zh) * 2017-07-21 2017-09-2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及摄像头组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09546A1 (zh) 2019-06-13
CN108513046A (zh) 2018-09-07
KR20190118498A (ko) 2019-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9579B1 (ko) 카메라 신축 장치 및 핸드폰
KR102112943B1 (ko) 핸드폰 카메라 신축 장치 및 핸드폰
US10567558B2 (en) Camera extending and retracting device and mobile phone
CN207251786U (zh) 摄像头伸缩装置及手机
US20220324505A1 (en) Steering column for vehicle
CN110445970B (zh) 摄像头伸缩装置和移动终端
CN111147716B (zh) 摄像头系统及移动终端
CN109257467A (zh) 一种摄像头伸缩装置及手机
US11778080B2 (en) Electronic device with flexible display screen
CN109922238A (zh) 驱动组件及电子设备
CN112513774B (zh) 一种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
CN107105121B (zh) 一种内置文件夹自动回送的机构、扫描仪及机器人
WO2021212570A1 (zh) 镜头传动装置
CN111770295A (zh) 电视摄像头升降组件及电视机
KR102608496B1 (ko) 전자 기기
CN113485056B (zh) 可按压缩回的伸缩式变焦镜头
JP2017040483A (ja) 位置合わせ装置および位置合わせ方法
CN112702492B (zh) 电子设备
CN209201113U (zh) 移动终端
CN110572552A (zh) 镜头马达使用的多轴平移模块
CN111083262A (zh) 电子设备
CN112702493B (zh) 电子设备
CN217656524U (zh) 一种无引线结构的聚焦步进电机
CN211118283U (zh) 爬行机器人升降平台、图像获取装置以及爬行机器人
CN208798001U (zh) 一种电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