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8496B1 -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8496B1
KR102608496B1 KR1020210186039A KR20210186039A KR102608496B1 KR 102608496 B1 KR102608496 B1 KR 102608496B1 KR 1020210186039 A KR1020210186039 A KR 1020210186039A KR 20210186039 A KR20210186039 A KR 20210186039A KR 102608496 B1 KR102608496 B1 KR 102608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display screen
flexible display
sub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6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0916A (ko
Inventor
줸후아 리우
?k후아 리우
펑페이 리
Original Assignee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00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9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8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84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기기를 제공하고, 전자 기기는, 제1 하우징 및 제1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제1 하우징에 설치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되,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은 개구를 구비한 수용 구조를 둘러싸서 형성하고, 제1 하우징에는 제1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제1 슬라이딩부가 설치되는 하우징; 제1 단이 하우징의 저부와 가까운 일측에 위치하고, 제2 단이 제1 하우징과 연결되어 개구를 커버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연결되는 브래킷을 포함하고, 브래킷에는 제1 슬라이딩부에 적합한 제2 슬라이딩부가 설치되는 슬라이드 레일 기구; 를 포함하며, 제1 슬라이딩부는 슬라이딩 레일과 슬라이딩 홈 중의 하나이고, 제2 슬라이딩부는 슬라이딩 레일과 슬라이딩 홈 중의 다른 하나이며; 슬라이딩 레일은 슬라이딩 홈을 따라 이동하여, 슬라이드 레일 기구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으로 하여금 제1 하우징에 대해 제1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동함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확장과 수축을 실현한다.

Description

전자 기기{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리트랙터블 스크린 제품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스크린 기술의 끊임없는 발전으로, 폴딩 플렉서블 스크린이 대량 생산되고, 글로벌 0.01mm 두께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출시되어, 단말기 제품 형태가 점점 더 풍부해지고 있는 바, 스마트 웨어로부터 스마트 홈, 그리고 다시 스마트폰 단말기까지, 초박형 플렉서블 스크린은 미래의 제품 디자인으로 하여금 폴더블 폰, 링 폰, 특수형 곡면 단말기 제품 등과 같이 다향성을 가지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5G의 도래는 모든 스마트 제품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고, 데이터 전송을 가속화시키며, 촬영 모듈, BOX 음향 모듈 등과 같은 스마트 단말기 제품의 일부 모듈이 스마트 단말기 제품에서 분리되더라도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배터리 기술이 더 발전하여, 단말기 제품의 부피가 더 작아지고, 배터리 용량이 더 향상되며, 단말기 제품의 디자인 형태가 더 원활하도록 한다.
플렉서블 스크린 제품에 대한 사람들의 요구가 향상됨에 따라, 동영상 시청, 전화 통화와 같은 상이한 업무를 처리할 경우, 디스플레이 면적을 증가하거나 축소하여 제품의 체험감을 향상시켜야 하는데, 현재 주요하게는 폴딩 스크린 구조 및 리트랙터블 스크린 구조와 같은 두 가지 스크린 확장 구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전자 기기를 제공하여 관련 기술에서의 적어도 일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제1 양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자 기기를 제공하고, 전자 기기는,
제1 하우징 및 제1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제1 하우징에 설치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은 개구를 구비한 수용 구조를 둘러싸서 형성하고, 상기 제1 하우징에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제1 슬라이딩부가 설치되는 하우징;
제1 단이 상기 하우징의 저부와 가까운 일측에 위치하고, 제2 단이 상기 제1 하우징과 연결되어 상기 개구를 커버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연결되는 브래킷을 포함하고, 상기 브래킷에는 상기 제1 슬라이딩부에 적합한 제2 슬라이딩부가 설치되는 슬라이드 레일 기구;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슬라이딩부는 슬라이딩 레일과 슬라이딩 홈 중의 하나이고, 상기 제2 슬라이딩부는 슬라이딩 레일과 슬라이딩 홈 중의 다른 하나이고, 상기 슬라이딩 레일은 상기 슬라이딩 홈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슬라이드 레일 기구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으로 하여금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해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한다.
일부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슬라이딩부는 슬라이딩 홈이고, 상기 제2 슬라이딩부는 슬라이딩 레일이며;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제1 방향에 수직되는 제2 방향을 따른 양측에는 모두 상기 제1 슬라이딩부가 설치되고; 상기 브래킷의 상기 제2 방향을 따른 양측에는 모두 상기 제2 슬라이딩부가 설치된다.
일부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수용 구조 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하우징과 고정 연결되는 구동 기구를 더 포함하되, 상기 구동 기구는 상기 브래킷과 연결되어 상기 브래킷으로 하여금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동하고;
상기 구동 기구는 상기 브래킷으로 하여금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동하여, 상기 제2 하우징,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단이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해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동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수축 상태와 확장 상태 사이에서 전환되도록 한다.
일부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구동 기구의 수량은 두 개이고, 상기 제1 하우징에 대칭되게 설치된다.
일부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구동 기구는 구동 전동기, 상기 구동 전동기와 연결되는 스크루 로드 및 상기 스크루 로드에 씌움 연결되는 너트를 포함하되, 상기 스크루 로드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설치되고, 상기 너트는 상기 브래킷과 당접되며;
상기 구동 전동기는 상기 스크루 로드를 회동하도록 구동하여, 상기 너트와 상기 브래킷으로 하여금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동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드 레일 기구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동한다.
일부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슬라이드 레일 기구는 슬라이드 레일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슬라이드 레일 어셈블리는 고정 시트, 슬라이드 부재 및 탄성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시트는 상기 브래킷과 고정 연결되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는 제1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고정 시트에 설치되며, 상기 탄성 어셈블리의 제1 단은 상기 고정 시트와 연결되고, 상기 탄성 어셈블리의 제2 단은 상기 슬라이드 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슬라이드 부재가 상기 고정 시트에 대해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할 경우, 상기 탄성 어셈블리의 제2 단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함께 이동하도록 구동한다.
일부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회전축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회전축 기구를 더 포함하되, 상기 회전축 어셈블리는, 상기 브래킷의 일측에 연결되고 축 홀이 설치되는 회전축 서포트, 상기 축 홀에 관통되게 설치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씌움 설치되는 회전 휠을 포함하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상기 회전 휠에 감김 설치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확장 또는 수축될 경우, 상기 회전 휠을 회동하도록 구동한다.
일부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회전축 서포트는 상기 브래킷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서브 서포트를 포함하되, 상기 서브 서포트에는 서브 축 홀이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서브 서포트의 서브 축 홀은 동축으로 설치되어 상기 축 홀을 형성하며, 상기 회전축은 복수의 상기 서브 축 홀에 관통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 휠은 복수의 서브 회전 휠을 포함하며, 인접하는 두 개의 상기 서브 서포트 사이에는 하나의 상기 서브 회전 휠이 설치된다.
일부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서브 서포트는 제1 후프 시트 및 상기 제1 후프 시트와 스플라이싱하는 제2 후프 시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후프 시트와 상기 제2 후프 시트는 상기 회전축의 양측에 후핑되어 서로 연결된다.
일부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회전축 어셈블리는 두 그룹의 제1 체결 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회전축의 일단은 한 그룹의 상기 제1 체결 부재를 통해 상기 회전축 서포트와 고정 연결되고, 타단은 다른 한 그룹의 상기 제1 체결 부재를 통해 상기 회전축 서포트와 고정 연결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전자 기기는, 제1 슬라이딩부와 제2 슬라이딩부의 슬라이딩 결합을 통해, 슬라이드 레일 기구가 제1 하우징에 대해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이동하도록 구동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확장과 수축을 실현하도록 한다.
이상의 일반적인 설명과 아래의 세부적인 설명은 단지 예시적이고 해석적인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여기의 도면은 명세서에 결부되어 본 명세서의 일부분을 구성하고, 본 발명에 부합되는 실시예를 도시하며, 명세서와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해석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리트랙터블 스크린 구조의 분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레일 기구의 슬라이드 레일 어셈블리의 분해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레일 기구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레일 기구의 슬라이드 레일 어셈블리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X1-X1방향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의 부분 확대 개략도이다.
도 7은 도 5의 B의 부분 확대 개략도이다.
도 8은 도 5의 C의 부분 확대 개략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레일 기구의 탄성 어셈블리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리트랙터블 스크린 구조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리트랙터블 스크린 구조의 회전축 어셈블리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A의 확대 개략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리트랙터블 스크린 구조의 회전축 어셈블리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14와 도 15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수축 상태와 확장 상태일 경우의 개략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수축 상태와 확장 상태일 경우의 비교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구동 기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구동 기구의 분해 개략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구동 기구의 제1 기어박스의 분해 개략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구동 기구의 장착 위치 개략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슬라이드 레일 기구와 일부 하우징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A의 확대 개략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슬라이드 레일 기구의 브래킷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24는 도 14의 회전축 어셈블리의 부분 확대 개략도이다.
도 25는 도 22의 단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슬라이드 레일 기구의 구조 개략도이다.
여기서 예시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고 이를 도면에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아래의 설명이 도면과 관련될 경우, 별도로 나타내지 않는 한, 상이한 도면에서의 동일한 숫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를 나타낸다. 아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설명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과 일치한 모든 실시형태를 대표하지 않는다. 반대로, 이들은 단지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본 발명의 일부 양태와 일치한 장치 및 방법의 예일 뿐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별도로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사용한 기술적 용어 또는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이 이해하는 통상적인 의미여야 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제1", "제2" 및 유사한 단어는 그 어떤 순서, 수량 또는 중요성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상이한 조성 부분을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마찬가지로, "하나" 또는 "일" 등 유사한 단어도 수량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적어도 하나가 존재함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복수" 또는 "약간"은 두 개 및 두 개 이상을 나타낸다. 별도로 지적하지 않는 한, "앞", "뒤", "하부" 및/또는 "상부" 등 유사한 단어는 단지 설명의 편리를 위한 것일 뿐 한 위치 또는 한 공간적 방향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포함" 또는 "포괄" 등 유사한 단어는 "포함" 또는 "포괄"의 앞에 나타난 소자 또는 물품이 "포함" 또는 "포괄" 뒤에 나열된 소자 또는 물품 및 이의 동등물을 포함한다는 것을 나타낼 뿐 기타 소자 또는 물품을 배제하지 않는다. "연결" 또는 "서로 연결" 등 유사한 단어는 물리적이거나 기계적인 연결에 한정되지 않고 직접적이든 간접적이든 전기적인 연결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과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사용한 홀수 형태의 "한가지”, "상기”, "당해”도 앞뒤 문장에서 기타 의미를 뚜렷이 표시하지 않는 한, 복수 형태를 포함한다는 것을 말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및/또는”은 하나 또는 복수의 관련되게 나열된 항목의 임의의 또는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구동 기구 및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바, 이하 도면과 결부하여 본 발명의 슬라이드 레일 기구, 전자 기기를 상세히 설명하며, 서로 충돌되지 않는 상황에서 하기 실시예 및 실시형태에서의 특징은 서로 조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내용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휴대폰, 이동 단말기,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 핸드헬드 기기, 차량용 디스플레이 기기 등과 같은 전자 기기를 제공한다. 전자 기기는 하우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90), 슬라이드 레일 기구, 회전축 어셈블리 및 구동 기구(99)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드 레일 기구는 브래킷(11) 및 슬라이드 레일 어셈블리(20)를 포함하고, 슬라이드 레일 어셈블리(20)는 고정 시트(21), 리트랙터블 스크린 구조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90)을 연결하기 위한 슬라이드 부재(22) 및 탄성 어셈블리(23)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시트(21)는 상기 브래킷(11)과 고정 연결되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22)는 제1 방향(X)(도 3에 도시된 수직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고정 시트(21)에 설치되며, 상기 탄성 어셈블리(23)의 제1 단(2301)은 상기 고정 시트(21)와 연결되고, 상기 탄성 어셈블리(23)의 제2 단(2302)은 상기 슬라이드 부재(22)와 연결된다. 상기 슬라이드 부재(22)가 상기 고정 시트(21)에 대해 상기 제1 방향(X)을 따라 슬라이딩할 경우, 상기 탄성 어셈블리(23)의 제2 단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90)을 함께 이동하도록 구동한다. 탄성 어셈블리(23)는 슬라이드 부재(22)의 구동에 의해 인장 또는 압축되어 변형을 발생함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90)에 대해 프리텐션력을 발생한다. 슬라이드 부재(22)는 도 3에서의 화살표 방향을 따라 고정 시트(21)에 대해 슬라이딩하고, 탄성 어셈블리(23)를 인장시켜 탄성 어셈블리(23)에 역장력이 발생되도록 한다.
상기 설치를 통해, 슬라이드 부재(22)가 고정 시트(21)에 대해 제1 방향(X)을 따라 이동하여, 리트랙터블 스크린 구조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90)이 함께 이동하도록 구동함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90)의 확장과 수축을 구현할 수 있다. 슬라이드 부재(22)는 탄성 어셈블리(23)로 하여금 함께 이동하도록 구동하고 탄성 어셈블리(23)에 대해 인장 작용을 하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90)에 대해 프리텐션력을 발생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90)이 확장될 때 보다 평평하도록 함으로써, 시각적으로 전체 기기를 슬라이딩하여 확장할 때 스크린이 부풀고 팽창되며 왜곡되는 등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일부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슬라이드 레일 어셈블리(20)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레일(24)을 더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 레일(24)은 상기 고정 시트(21)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방향(X)을 따라 연장되게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22)에는 가이드 레일(24)과 대응되는 슈트(220)가 설치되며, 슬라이드 부재(22)는 슈트(220)를 통해 상기 가이드 레일(2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 레일(24)의 수량은 네 그룹이고, 고정 시트(21)에 대칭되게 설치되어, 슬라이드 부재(22)가 슬라이딩할 때 보다 안정적이도록 한다. 기타 예에서, 가이드 레일(24)은 기타 수량일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일부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슬라이드 레일 어셈블리(20)는 적어도 하나의 리미팅 스토퍼(25)를 더 포함하되, 리미팅 스토퍼(25)는 상기 고정 시트(21)에서 상기 브래킷(11)과 멀리하는 일단(도 3에서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22)에는 상기 리미팅 스토퍼(25)와 당접하여 결합되는 리미팅부(221)가 설치된다. 리미팅 스토퍼(25)는 슬라이드 부재(22)의 리미팅부(221)와 당접하여 결합하여, 슬라이드 부재(22)의 시작 위치를 제한할 수도 있고, 슬라이드 부재(22)가 가이드 레일(24)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리미팅부(221)는 요홈으로 이해할 수 있고, 리미팅 스토퍼(25)의 수량은 두 개이며, 고정 시트(21)에 대칭되게 설치되고, 리미팅부(221)의 수량은 두 개이며, 리미팅 스토퍼(25)와 대응되게 설치되며,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도 3에 도시된 예에서, 리미팅 스토퍼(25)는 고정 시트(21)의 상단에 설치되고, 슬라이드 부재(22)의 시작 위치는 고정 시트(21)의 상단에 위치하며, 탄성 어셈블리(23)는 이 상태에서 슬라이드 부재(22)에 대해 탄성 프리텐션력을 인가하여 슬라이드 부재(22)를 이 시작 위치에 유지시킨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내용을 참조하면, 일부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가이드 레일(24)의 적어도 하나의 측부에는 걸림부(241)가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22)에는 상기 걸림부(241)와 걸림 결합되는 제1 버클부(222)가 설치된다. 슬라이드 부재(22)는 제1 버클부(222)를 통해 가이드 레일(24)의 걸림부(241)와 걸림 결합되고, 가이드 레일(24)과 보다 견고하게 연결되어 슬라이드 부재(22)로 하여금 가이드 레일(24)을 따라 슬라이딩할 때 보다 안정적이도록 할 수 있다. 걸림부(241)는 판금 부재를 가공하여 형성된 거꾸로 된 후크 구조로서, 슬라이드 부재(22)가 가이드 레일(24)을 이탈하여 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 레일(24)의 양측에는 모두 상기 걸림부(241)가 설치되는데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도 7을 참조하면, 일부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슬라이드 부재(22)의 측부에는 상기 고정 시트(21)의 측변과 걸림 결합되는 제2 버클부(223)가 설치된다. 슬라이드 부재(22)는 제2 버클부(223)를 통해 고정 시트(21)의 측변과 걸림 결합되어 슬라이드 부재(22)와 고정 시트(21) 사이의 연결이 보다 안정적이도록 하여, 슬라이드 부재(22)가 슬라이딩할 때 고정 시트(21)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슬라이드 부재(22)가 슬라이딩할 때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슬라이드 레일 어셈블리(20)는 플라스틱 버클(224)을 더 포함하되, 이는 상기 고정 시트(21)의 측변에 피복 및 버클링되고, 상기 제2 버클부(223)는 상기 플라스틱 버클(224)에 걸림 결합된다. 플라스틱 버클(224)은 제2 버클부(223)와 고정 시트(21)의 측변 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키고 마모를 감소시켜 슬라이딩의 순조로움을 보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플라스틱 버클(224)은 POM(Polyoxymethylene,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플라스틱을 사용할 수 있는 바, 이는 자기 윤활성 플라스틱이다. 슬라이드 부재(22)와 플라스틱 버클(224)은 인서트 몰딩 공법(insert-molding)을 통해 결합되어 하나의 부품으로 사용될 수 있고, 플라스틱 버클(224)과 고정 시트(21)의 측변 사이의 설계 간격은 0.05mm로서, 슬라이드 부재(22)가 단지 가이드 레일(24)의 연장 방향, 즉 제1 방향(X)을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보장하여 구조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도 8에 도시된 내용을 참조하면, 일부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고정 시트(21)에는 상기 제1 방향(X)을 따라 연장되는 단차부(211)가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22)에는 상기 단차부(211)와 당접하여 결합되는 당접 블록(225)이 설치되며, 당접 블록(225)을 통해 단차부(211)와 결합하여 슬라이드 부재(22)가 슬라이딩할 때 고정 시트(21)를 이탈하는 것을 추가로 방지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내용을 참조하면, 일부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탄성 어셈블리(23)는 제1 로드 부재(231), 제2 로드 부재(232) 및 탄성 부재(233)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로드 부재(231)와 상기 제2 로드 부재(232)는 서로 삽입 연결되어 서로 슬라이딩이 가능하고, 상기 탄성 부재(233)는 상기 제1 로드 부재(231)와 상기 제2 로드 부재(232) 사이에 연결된다. 상기 제1 로드 부재(231)는 상기 고정 시트(21)와 연결되고, 상기 제2 로드 부재(232)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22)와 연결된다. 탄성 부재(233)는 스프링, 인장 스프링 등 일 수 있고, 조립할 때 프리텐션력을 가지며, 슬라이드 부재(22)를 시작 위치에 유지시킬 수 있다. 제1 로드 부재(231), 제2 로드 부재(232)가 당겨지면 스프링이 작동되기 시작한다. 상기 슬라이드 부재(22)가 상기 고정 시트(21)에 대해 슬라이딩할 경우, 상기 제2 로드 부재(232)로 하여금 상기 제1 로드 부재(231)에 대해 슬라이딩하도록 구동함으로써, 상기 제1 로드 부재(231)와 협력하여 상기 탄성 부재(233)를 인장 또는 압축하여 탄성 부재(233)를 변형시킴으로써, 슬라이드 부재(22)에 탄성력을 발생하도록 한다.
더 나아가, 제1 로드 부재(231)와 제2 로드 부재(232)에는 모두 슈트가 설치되고, 양자는 서로 삽입 연결되며 서로 상대적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제1 로드 부재(231)의 제1 단(도 9에 도시된 하단)은 리벳을 통해 고정 시트(21)와 고정되고, 제2 로드 부재(232)의 제1 단(도 9에 도시된 상단)은 리벳을 통해 슬라이드 부재(22)와 고정되며, 제1 로드 부재(231)의 제2 단은 외부로 돌출되어 제1 범프(234)를 형성하고, 제2 로드 부재(232)의 제2 단은 외부로 돌출되어 제2 범프(235)를 형성하며, 탄성 부재(233)의 수량은 복수의 그룹으로서 제1 범프(234)와 제2 범프(235) 사이에 균일하게 설치되어 충분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부재(22)가 상기 고정 시트(21)에 대해 슬라이딩할 경우, 상기 제2 로드 부재(232)로 하여금 상기 제1 로드 부재(231)에 대해 슬라이딩하도록 구동함으로써, 상기 제1 로드 부재(231)와 협력하여 탄성 부재(233)를 인장하여 탄성 부재(233)를 변형시킴으로써, 슬라이드 부재(22)에 역장력이 발생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에 놓이도록 보장할 수 있다.
일부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탄성 어셈블리(23)의 수량은 복수로서 제1 탄성 어셈블리(23A), 2 탄성 어셈블리(23B) 및 제3 탄성 어셈블리(23C)를 포함하되, 상기 제2 탄성 어셈블리(23B)와 상기 제3 탄성 어셈블리(23C)는 상기 제1 탄성 어셈블리(23A)의 양측에 대칭되게 설치된다. 상기 제1 탄성 어셈블리(23A)의 탄성 부재(233)는 상기 제1 방향(X)을 따라 연장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2 탄성 어셈블리(23B)와 상기 제3 탄성 어셈블리(23C)의 탄성 부재(233)는 상기 제1 방향(X)을 따라 대칭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방향(X)에 대해 경사지게 설치된다.
공간이 한정적이므로 하나의 가이드 레일에는 이렇게 큰 탄성 스트로크가 존재하기 어렵다. 상기 설치를 통해, 세 그룹의 탄성 어셈블리는 릴레이 형태를 형성하여 탄성 어셈블리의 슬라이딩 스트로크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제2 탄성 어셈블리(23B)와 상기 제3 탄성 어셈블리(23C)는 동일한 디자인으로서 제1 탄성 어셈블리(23A)의 양측에 대칭되게 배치되고, 제1 탄성 어셈블리(23A)의 탄성 부재의 초기 압축량은 제2 탄성 어셈블리(23B)와 제3 탄성 어셈블리(23C)의 탄성 부재의 초기 압축량보다 조금 커 더 큰 슬라이딩 스트로크를 향상시킬 수 있다. 총 디자인 슬라이딩 스트로크가 30.00mm라고 가정하면 제1 탄성 어셈블리(23A)는 슬라이드 부재(22)가 19mm 슬라이딩한 때부터 작동하기 시작한다.
일부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슬라이드 레일 어셈블리(20)는 전체적으로 리벳팅을 통해 브래킷(11)에 고정될 수 있다. 브래킷(11)의 일단은 연결판(111)을 포함할 수 있고, 고정 시트(21)는 스탬핑된 금속판을 사용할 수 있고 리벳팅 공법을 통해 연결판(111)에 고정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90)은 슬라이드 레일 어셈블리(20)의 슬라이드 부재(22)에 고정된다. 브래킷(11)은 알루미늄 합금 재질을 사용하여 구조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슬라이드 부재(22)는 SUS 스테인리스 강판 및 POM 플라스틱 수지 인서트 몰딩 공법을 이용하여 가공될 수 있다. 스테인리스 강판은 본체로서 강도를 지지하는 작용을 할 수 있고, 슈트는 POM 플라스틱에 의해 사출 성형될 수 있으며, 고정 시트(21) 및 가이드 레일(24)과 서로 슬라이딩하여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리미팅 스토퍼(25)는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할 수 있고, 슬라이드 부재(22)의 시작 위치를 제한할 수도 있으며, 슬라이드 부재(22)가 가이드 레일(24)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가이드 레일(24)은 스테인리스 스탬핑 공법을 사용하여 가공될 수 있고, 스폿 용접을 통해 고정 시트(21)에 고정될 수 있다. 슬라이드 부재(22)의 슈트(220)와 서로 결합하여 거꾸로 된 후크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슬라이드 부재(22)가 슬라이딩할 때 가이드 레일(24)을 이탈하여 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슬라이드 부재(22)의 외부 노출 표면은 접착 영역(226)으로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90)과 접착 고정될 수 있다.
도 1 및 도 10에 도시된 내용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레일 기구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90)을 포함하는 리트랙터블 스크린 구조를 제공한다. 회전축 어셈블리(12)는 상기 브래킷(11)에서 상기 슬라이드 레일 어셈블리(20)과 멀리하는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 어셈블리(12)의 축방향은 상기 제1 방향(X)과 수직된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90)의 제1 단은 상기 슬라이드 부재(22)와 연결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90)의 제2 단은 상기 회전축 어셈블리(12)에 감김 설치된다.
상기 회전축 어셈블리(12)는 회전축 서포트, 회전축(122) 및 회전 휠을 포함하되, 상기 회전축 서포트는 상기 브래킷(11)에서 슬라이드 레일 어셈블리(20)와 멀리하는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축 서포트에는 축 홀이 설치되며, 축 홀의 축방향은 상기 제1 방향(X)과 수직된다. 상기 회전축(122)은 상기 축 홀에 관통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 휠은 상기 회전축(122)에 씌움 설치된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90)은 상기 회전 휠에 감김 설치되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90)이 확장 또는 수축될 경우, 상기 회전 휠을 회동하도록 구동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90)의 제1 단(901)이 슬라이드 레일 어셈블리(20)의 슬라이드 부재(22)와 연결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90)의 제2 단(902)이 상기 회전 휠에 감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90)은 플렉서블 OLED 스크린과 한 층의 매우 얇은 스테인리스 망이 접합되어 형성되는 바, 매우 큰 가요성을 가진다.
상기 설치를 통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90)이 회전축 어셈블리(12)의 회전 휠에 감김 설치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90)이 확장 또는 수축될 경우, 회전 휠을 회동하도록 구동하여, 즉 회전 휠은 피동적으로 회동하게 되는데, 회전 휠은 활차의 작용을 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90)의 확장과 수축이 더 원활하도록 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90)이 확장 또는 수축되는 과정에서의 마찰력 및 에너지 소모를 효과적으로 저하시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90)이 보다 원활하게 확장 또는 수축되도록 할 수 있다.
일부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회전축(122)은 상기 축 홀과 고정 연결되고, 상기 회전 휠은 상기 회전축(122)과 회동 연결된다. 회전축(122)과 회전축 서포트가 고정 연결되고, 회전 휠은 회전축(122)에 대해 회동 가능하며, 회전축은 회전축 서포트에 대해 회동하지 않는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90)이 확장 또는 수축될 경우, 회전 휠만 회동하도록 구동한다.
도 1 및 도 11에 도시된 내용을 참조하면, 일부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회전축 서포트는 제1 방향(X)과 수직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브래킷(11)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서브 서포트(121)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 서포트(121)에는 서브 축 홀이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서브 서포트(121)의 서브 축 홀은 동축으로 설치되어 상기 축 홀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축(122)은 복수의 상기 서브 축 홀에 관통되게 설치되어 복수의 서브 서포트(121)와 고정 연결된다. 상기 회전 휠은 복수의 서브 회전 휠(123)을 포함하고, 인접하는 두 개의 상기 서브 서포트(121) 사이에는 하나의 상기 서브 회전 휠(123)이 설치된다. 회전축 서포트를 복수의 서브 서포트(121)로 설치하고, 회전 휠을 복수의 서브 회전 휠(123)로 설치하며, 서브 서포트(121)와 서브 회전 휠(123)을 번갈아 설치하여, 회전 휠의 회동 성능을 보장하는 동시에 회전축 서포트의 강도를 증가시켜 전체 구조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회전축 서포트의 각 서브 서포트(121)는 모두 브래킷(11)에 고정 연결될 수도 있고 브래킷(11)과 일체로 성형 가공될 수도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각 서브 서포트(121)의 크기는 상이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작은 서포트와 큰 서포트로 분류하여 양측에 위치한 서브 서포트에 작은 서포트를 사용하고, 가운데 위치한 서브 서포트에 큰 서포트를 사용할 수 있다. 각 서브 회전 휠(123)의 크기도 상이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큰 회전 휠과 작은 회전 휠로 분류하여, 실제 수요에 따라 설치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일부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회전축 어셈블리(12)는 상기 회전축(122)에 씌움 연결되는 복수의 제1 베어링(124)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서브 회전 휠(123)의 양측에는 각각 하나의 상기 제1 베어링(124)이 설치된다. 상기 제1 베어링(124)은 베어링 내륜 및 상기 베어링 내륜과 회동 연결하는 베어링 외륜을 포함하되, 상기 베어링 내륜은 상기 회전축(122)과 연결되고, 상기 베어링 외륜은 상기 서브 회전 휠(123)과 연결된다. 서브 회전 휠(123)은 제1 베어링(124)을 통해 회전축(122)에 대해 회동하고, 제1 베어링(124)은 서브 회전 휠(123)의 회전으로 인한 마찰 손실을 저하시킬 수 있으며, 베어링 내륜과 회전축(122)은 반경방향에서 제로 맞춤으로 디자인되어, 베어링 내륜이 서브 회전 휠(123)의 회동에 따라 회동하지 않도록 보장할 수 있다. 서브 회전 휠(123)과 회전축(122)은 반경방향에서 간격 맞춤으로 디자인되어, 서브 회전 휠(123)과 회전축(122) 사이에 갭을 형성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도 12에 도시된 내용을 참조하면, 베어링 내륜이 서브 회전 휠(123)의 회동에 따라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즉 베어링 내륜이 회전축(122)과 상대적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보장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축 어셈블리(12)는 상기 회전축(122)에 씌움 연결되는 복수의 베어링 와셔(125)를 더 포함하고, 각 상기 제1 베어링(124)의 측부에는 모두 하나의 상기 베어링 와셔(125)가 설치된다. 상기 베어링 와셔(125)의 일단은 상기 베어링 내륜에 당접되고, 상기 베어링 와셔(125)의 타단은 인접하는 상기 서브 서포트(121)에 당접되며, 이로써 베어링 내륜 및 인접하는 서브 서포트(121)를 서로 단단히 눌러, 베어링 내륜이 서브 회전 휠(123)의 회동에 따라 회동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베어링 내륜이 회전축(122)과 상대적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보장한다. 이로써, 서브 회전 휠(123)의 회동은 완전히 베어링 외륜의 회동에 의거하고 마찰 손실이 비교적 작다.
선택적으로, 일부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베어링 와셔(125)는 구리 재료 또는 스테인리스 금속으로 제조되고, 단면은 그릇 모양과 유사한 구조를 이루며, 두께 방향으로 약간 압축될 수 있는 역학적 기능을 가지고, 상기 그릇 모양 구조의 하단은 상기 베어링 내륜에 당접되며, 상기 그릇 모양 구조의 그릇 입구단은 인접하는 상기 서브 서포트(121)에 당접되어, 베어링 내륜 및 인접하는 서브 서포트(121)를 서로 단단히 누른다.
일부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회전축 어셈블리(12)는 두 그룹의 제1 체결 부재(126)를 더 포함하되, 상기 회전축(122)의 일단은 그 중의 한 그룹의 상기 제1 체결 부재(126)를 통해 상기 회전축 서포트와 고정 연결되고, 타단은 다른 한 그룹의 상기 제1 체결 부재(126)를 통해 상기 회전축 서포트와 고정 연결된다. 제1 체결 부재(126)는 최외측에 위치하는 서브 서포트(121)를 관통하여 회전축(122)의 단부와 고정 연결됨으로써, 회전축(122)과 회전축 서포트를 고정시킨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체결 부재(126)와 상기 회전축 서포트 사이에는 개스킷(127)이 더 설치된다. 제1 체결 부재(126)는 듀얼 스크루를 사용할 수 있고, 제1 체결 부재(126)와 최외측에 위치한 서브 서포트(121) 사이에는 개스킷(127)이 설치되어, 회전축(122)과 회전축 서포트 사이가 보다 견고하게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서브 서포트(121)와 베어링 내륜 사이의 간격은 제로 맞춤 또는 약간의 간섭(재료 및 부품 사이즈에 의해 결정됨)으로 설치될 수 있는데, 이렇게 양단의 듀얼 스크루의 체결력을 통해 베어링 와셔(125)와 베어링 내륜에 압력이 존재하도록 할 수 있고, 이 압력은 베어링 내륜이 회전축(122)에 대해 회동하지 않도록 보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서브 회전 휠(123)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POM을 사용하여 사출 성형될 수 있고, 중간에 관통공을 형성하고, 양끝에는 홈을 설치하여 제1 베어링(124)을 안착시킬 수 있으며, 회전축(122)에 씌움 설치되고, 조립한 후 제1 베어링(124)을 통해 회전축(122)에서 피동적으로 회동할 수 있다. 회전축(122)은 D형 축을 사용할 수 있고, 단면이 D자형인 주요한 작용은 베어링 내륜을 고정하여 베어링 내륜이 회전축에 대해 회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회전축(122)은 스테인리스 재질을 사용할 수 있고, 복수의 서브 서포트(121)에 관통되게 설치될 수 있다. 회전축(122)의 양단에는 나사산(1220)이 설치되어 제1 체결 부재(126)와 견고하게 연결될 수도 있고 전자 기기의 중간 프레임에 고정하기 편리하도록 하여 회전축을 고정시킬 수도 있다. 제1 체결 부재(126)는 금속 재질을 사용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듀얼 스크루는 개스킷(127)을 관통하여 회전축(122)에 잠김 고정되어, 회전축(122)과 회전축 서포트를 록킹할 수 있다. 제1 베어링(124) 재질은 스테인리스 또는 세라믹을 사용할 수 있고 서브 회전 휠(123)에 조립하며, 각 서브 회전 휠(123)의 양단에는 각각 하나의 제1 베어링(124)을 조립하며, 베어링 와셔(125)를 조립할 수 있다. 베어링 와셔(125)은 금속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서브 회전 휠을 회전축에 장착할 경우, 각 회전 휠의 양측에 모두 하나의 베어링 와셔를 안착시켜 회전축이 베어링 와셔의 이너 홀을 관통하도록 할 수 있는데, 회전축 양단이 듀얼 스크루를 통해 록킹된 후, 개스킷은 베어링 내륜을 고정시키고 베어링 내륜이 베어링 외륜을 따라 함께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며, 제1 베어링과 브래킷을 접지시키는 작용을 한다.
도 1 및 도 13에 도시된 내용을 참조하면, 일부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회전축(122)은 상기 축 홀과 회동 연결되고, 상기 회전 휠은 상기 회전축(122)과 고정 연결된다. 회전축(122)은 회전 휠과 고정 연결되고, 회전 휠은 회전축(122)에 대해 회동하지 않으며, 회전축(122)은 회전축 서포트에 대해 회동 가능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90)이 확장 또는 수축될 경우, 회전 휠 및 회전축(122)이 함께 회동되도록 구동한다.
일부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회전축 서포트는 제1 방향(X)과 수직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브래킷(11)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서브 서포트(121)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 서포트(121)에는 서브 축 홀이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서브 서포트(121)의 서브 축 홀은 동축으로 설치되어 상기 축 홀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축(122)은 복수의 상기 서브 축 홀에 관통되게 설치되어 복수의 서브 서포트(121)와 고정 연결된다. 상기 회전 휠은 복수의 서브 회전 휠(123)을 포함하고, 인접하는 두 개의 상기 서브 서포트(121) 사이에는 하나의 상기 서브 회전 휠(123)이 설치된다. 회전축 서포트를 복수의 서브 서포트(121)로 설치하고, 회전 휠을 복수의 서브 회전 휠(123)로 설치하며, 서브 서포트(121)와 서브 회전 휠(123)을 번갈아 설치하여, 회전 휠의 회동 성능을 보장하는 동시에 회전축 서포트의 강도를 증가시켜 전체 구조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회전축 서포트의 각 서브 서포트(121)는 모두 브래킷(11)에 고정 연결될 수도 있고 브래킷(11)과 일체로 성형 가공될 수도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각 서브 서포트(121)의 크기는 상이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작은 서포트와 큰 서포트로 분류하여, 양측에 위치한 서브 서포트에 작은 서포트를 사용하고 가운데 위치한 서브 서포트에 큰 서포트를 사용할 수 있다. 각 서브 회전 휠(123)의 크기도 상이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큰 회전 휠과 작은 회전 휠로 분류하여, 실제 수요에 따라 설치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일부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회전축 어셈블리(12)는 상기 회전축(122)의 양단에 각각 씌움 연결되는 두 개의 제2 베어링(128)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122)의 단부는 상기 제2 베어링(128)을 통해 상기 회전축 서포트와 회동 연결된다. 상기 제2 베어링(128)은 베어링 내륜 및 상기 베어링 내륜과 회동 연결되는 베어링 외륜을 포함하되, 상기 베어링 내륜은 상기 회전축 서포트와 연결되고, 상기 베어링 외륜은 상기 회전축(122)과 연결된다. 회전축(122)은 제2 베어링(128)을 통해 회전축 서포트의 서브 서포트(121)에 대해 회동하고, 제2 베어링(128)은 회전축(122)의 회전으로 인한 마찰 손실을 저하시킬 수 있다. 서브 회전 휠(123)과 회전축(122)은 반경방향에서 제로 맞춤으로 디자인되어, 서브 회전 휠(123)이 회전축(122)의 회동에 따라 회동하도록 보장한다. 회전축 서포트의 서브 서포트(121)와 회전축(122)은 반경방향에서 간격 맞춤으로 디자인되어, 서브 서포트(121)와 회전축(122) 사이에 갭을 형성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본 실시예에서, 두 개의 제2 베어링(128)만 설치하면 회전축(122)이 회전축 서포트에 대해 회동할 수 있도록 하여, 베어링의 수량을 감소시키고 모델 디자인을 간략화한다.
일부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회전축 어셈블리(12)는 두 개의 축 커버(120)를 더 포함하되, 하나의 상기 축 커버(120)는 상기 축 홀의 일단에서 인접하는 상기 회전축(122)의 내륜에 당접되고, 다른 하나의 상기 축 커버(120)는 상기 축 홀의 타단에서 인접하는 상기 회전축(122)의 내륜에 당접되며, 축 커버(120)를 통해 베어링 내륜을 단단히 눌러, 축방향에서 회전축(122)에 대해 리미팅 작용을 함으로써, 회전축(122)이 축방향을 따라 변위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부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회전축 어셈블리(12)는, 상기 서브 회전 휠(123)를 관통하여 상기 회전축(122)과 고정 연결되는 복수의 제2 체결 부재(129)를 더 포함한다. 하나의 서브 회전 휠(123)은 하나의 제2 체결 부재(129)를 통해 회전축(122)과 고정 연결될 수도 있고, 복수의 제2 체결 부재(129)를 통해 회전축(122)과 고정 연결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도 17 내지 도 20에 도시된 내용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휴대폰, 이동 단말기,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 핸드헬드 기기, 차량용 디스플레이 기기 등과 같은 전자 기기를 제공한다. 전자 기기는 하우징, 상기 실시예에 따른 리트랙터블 스크린 구조 및 구동 기구(99)를 포함한다.
하우징은 제1 하우징(91) 및 상기 제1 방향(X)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제1 하우징(91)에 설치되는 제2 하우징(92)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하우징(91)과 상기 제2 하우징(92)은 개구를 구비한 수용 구조(991)를 둘러싸서 형성한다. 리트랙터블 스크린 구조는 상기 수용 구조(991) 내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 어셈블리(12)는 상기 제2 하우징(92)과 가까운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90)의 제1 단(901)은 상기 하우징의 저부에 가까운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90)의 제2 단(902)은 상기 제1 하우징(91)과 연결되어 상기 개구를 커버한다. 구동 기구(99)는 상기 수용 구조(991) 내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 기구(99)는 상기 슬라이드 레일 기구와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드 레일 기구로 하여금 상기 제1 방향(X)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동한다. 선택적으로, 제1 하우징(91)에는 지지 플레이트(93)가 설치될 수 있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90)의 제2 단은 지지 플레이트(93)에 연결되며, 지지 플레이트(93)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90)에 대해 지지 보호 작용을 할 수 있다.
구동 기구(99)는 프레임 바디(30) 및 상기 프레임 바디(30)에 장착되는 구동 어셈블리와 전동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프레임 바디(30)에는 전자 기기의 중간 프레임과 연결되는 장착 부재(302)가 설치될 수 있고, 체결 부재를 통해 장착 부재(302)를 중간 프레임에 고정시켜, 구동 기구(99)를 중간 프레임에 장착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구동 기구(99)의 수량은 실제 수요에 따라 설정할 수 있는데, 도 20에 도시된 예에서, 구동 기구(99)의 수량은 두 개이고 상기 제1 하우징(91)에 대칭되게 설치되어, 슬라이드 레일 기구를 보다 안정적으로 구동하여 이동시켜, 슬라이드 레일 기구의 양측이 받는 힘이 균일하고 이동이 보다 안정적이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어셈블리는 구동 부재(31) 및 상기 구동 부재(31)와 연결되는 기어박스 구조(32)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 부재(31)와 상기 기어박스 구조(32)는 모두 상기 프레임 바디(30)에 장착된다. 선택적으로, 구동 부재(31)는 구동 모터 또는 구동 전동기일 수 있다.
상기 전동 어셈블리는 제1 전동 부재(14) 및 상기 제1 전동 부재(14)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전동 부재(15)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전동 부재(14)는 상기 프레임 바디(30)에 장착되어 상기 기어박스 구조(32)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전동 부재(15)는 리트랙터블 스크린 구조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전동 연결된다.
상기 구동 부재(31)는 상기 기어박스 구조(32)에 제1 토크를 출력하고, 상기 기어박스 구조(32)는 상기 제1 전동 부재(14)를 구동하여 회동시키도록 상기 제1 토크를 제2 토크로 변환하여 상기 제1 전동 부재(14)에 출력하며, 상기 제2 전동 부재(15)는 상기 제1 전동 부재(14)에 대해 이동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이동하도록 구동한다. 상기 제1 토크는 상기 제2 토크보다 작다. 상기 구동 기구는 상기 슬라이드 레일 기구로 하여금 상기 제1 방향(X)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동하고, 상기 제2 하우징(92), 상기 슬라이드 레일 어셈블리(20),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90)의 제1 단 및 상기 슬라이드 부재(22)로 하여금 상기 제1 하우징(91)에 대해 상기 제1 방향(X)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동함으로써,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90)이 수축 상태와 확장 상태 사이에서 전환되도록 한다.
상기 설치를 통해, 구동 기구(99)는 기어박스 구조를 통해 구동 부재가 출력한 제1 토크를 토크가 더 큰 제2 토크로 변환한 다음, 다시 제1 전동 부재에 전달하여 제1 전동 부재를 회동시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이동하도록 구동함으로써, 구동 부재의 낮은 토크를 높은 토크로 변환시켜 제1 전동 부재가 회동하도록 구동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보다 양호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구동한다.
일부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구동 어셈블리는 명령에 따라 구동 부재(31)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 부재(31)와 연결된 제어 회로기판(3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 회로기판(312)은 플렉서블 FPC회로기판일 수 있다. 제어 회로기판(312)은 전자 기기의 단말기 메인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확장해야 할 경우, 단말기 메인보드는 확장하는 명령을 제어 회로기판(312)에 전송하고, 제어 회로기판(312)은 구동 전동기가 회동하도록 구동하며, 구동 전동기는 기어박스 구조(32)를 통해 구동 전동기의 토크를 확대하여, 제2 전동 부재(15)가 제1 전동 부재(14)에 대해 선형 운동하도록 구동하고, 제2 전동 부재(15)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으로 하여금 밖으로 확장되도록 구동하는데, 이렇게 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확장되는 동작을 완성하게 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수축해야 할 경우,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클릭하여 수축하는 명령을 단말기 메인보드에 송신하고, 단말기 메인보드가 수축하는 명령을 제어 회로기판(312)에 전송하며, 제어 회로기판(312)이 구동 전동기를 회동(확장되도록 회동하는 방향과 반대)하도록 제어하고, 구동 전동기는 기어박스 구조(32)를 통해 구동 전동기의 토크를 확대하며, 제2 전동 부재(15)로 하여금 제1 전동 부재(14)에 대해 선형 운동하도록 구동하고, 제2 전동 부재(15)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초기 위치까지 수축하도록 구동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 회로기판(312)은 용접을 통해 구동 전동기와 연결되고, 제어 회로기판(312)은 단말기 메인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BTB 커넥터를 통해 단말기 메인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 전동기에 전력이 공급되고, 제어 신호를 통해 구동 전동기가 회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부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구동 전동기는 직류 스테핑 전동기를 사용할 수 있는데, 스테핑 전동기는 전기 펄스 신호를 각 변위 또는 선 변위로 변환하는 개방 루프 제어 전동기이다. 과부하가 아닌 경우, 전동기의 회전 속도, 정지하는 위치는 부하 변화의 영향을 받지 않고 단지 펄스 신호의 주파수와 펄스수에 의해 결정되는데, 스테핑 드라이브가 하나의 펄스 신호를 수신하면 스테핑 전동기를 구동하여 설정된 방향을 따라 하나의 고정된 각도로 회동하도록 하고, 스테핑 전동기의 회전은 고정된 각도로 한 단계 한 단계씩 운행된다. 펄스수를 제어하는 것을 통해 각 변위량을 제어하여 정확히 포지셔닝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펄스 주파수를 제어하는 것을 통해 전동기가 회동하는 속도 및 가속도를 제어하여, 속도를 조절하는 목적을 달성하고 회동하는 토션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동 부재(14)는 스크루 로드이고, 상기 제2 전동 부재(15)는 상기 스크루 로드와 나사 결합되는 너트이며, 상기 스크루 로드의 양단은 베어링(141)을 통해 상기 프레임 바디(30)와 연결된다. 리트랙터블 스크린 구조의 브래킷(11)에는 전동 부재(13)가 설치된다. 상기 스크루 로드는 상기 제1 방향(X)을 따라 연장되게 설치되고 상기 너트는 상기 전동 부재(13)에 당접된다. 상기 구동 전동기는 상기 스크루 로드가 회동하도록 구동하여, 상기 너트와 상기 전동 부재로 하여금 상기 제1 방향(X)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동하고, 상기 슬라이드 레일 기구가 상기 제1 방향(X)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동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제1 전동 부재와 제2 전동 부재는 랙과 피니언, 웜 기어와 웜 등 구조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일부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구동 기구(99)는 상기 프레임 바디(30)에 설치되는 가이드 로드(33)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 로드(33)는 상기 스크루 로드와 평행되게 설치된다. 상기 너트는 제1 씌움 연결부(141)와 제2 씌움 연결부(152)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씌움 연결부(151)는 상기 스크루 로드와 나사 결합되고, 상기 제2 씌움 연결부(152)는 상기 가이드 로드(33)에 씌움 설치된다. 상기 제2 전동 부재(15)에는 리트랙터블 스크린 구조의 브래킷(11)의 전동 부재(13)와 당접되는 범프(153)가 더 설치된다. 너트는 제1 씌움 연결부(151)를 통해 스크루 로드와 나사 결합되어, 스크루 로드가 회동할 경우, 너트는 스크루 로드에 대해 선형으로 이동한다. 이동 과정에서, 제2 씌움 연결부(152)는 상기 가이드 로드(33)를 따라 이동하여 너트에 대해 가이드 작용을 할 수 있다.
일부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구동 부재(31)는 출력축(311)을 포함하고, 상기 기어박스 구조(32)는 제1 기어박스와 제2 기어박스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기어박스는 제1 기어(321)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기어박스는 제2 기어(322) 및 상기 제2 기어(322)와 결합하는 제3 기어(323)(스크루 로드 톱니로 이해할 수 있음)를 포함하되, 상기 제3 기어(323)는 상기 제1 전동 부재(14)와 연결되고, 상기 제2 기어(322)는 상기 제1 기어(321)와 결합하며, 상기 제1 기어(321)는 상기 출력축(311)과 연결된다. 상기 출력축(311)은 상기 제1 기어(321)에 제1 토크를 출력하고, 상기 제1 토크는 상기 제2 기어(322)와 상기 제3 기어(323)를 거쳐 제2 토크로 변환되어 상기 제1 전동 부재(14)에 출력된다. 제1 기어(321), 제2 기어(322) 및 제3 기어(323)의 기어 결합을 통해, 구동 전동기가 출력한 낮은 토크를 높은 토크로 변환할 수 있다.
일부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기어박스 구조(32)는, 상기 프레임 바디(30)의 일측에 고정 연결되는 기어박스 엔드 캡(34)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프레임 바디(30)의 측부에는 기어박스 엔드 캡(34)과 고정 연결되는 측변 프레임(301)이 설치되고, 기어박스 엔드 캡(34)은 당해 측변 프레임(301)에 고정된다. 기어박스 엔드 캡(34)은 복수의 체결 부재(342)(예를 들어 나사)를 통해 당해 측변 프레임(301)에 고정된다. 상기 제1 기어(321)와 상기 제2 기어(322)는 모두 상기 기어박스 엔드 캡(34)과 연결되고, 상기 제3 기어(323)는 상기 제1 전동 부재(14)를 통해 상기 기어박스 엔드 캡(34)과 연결되며, 기어박스 엔드 캡(34)은 제1 기어(321), 제2 기어(322), 제3 기어(323) 및 제1 전동 부재(14)를 고정하는 작용을 한다.
일부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기어박스는 상기 기어박스 엔드 캡(34)에 고정되는 제1 부싱(324)을 포함하되, 상기 제1 기어(321)는 상기 제1 부싱(324)에 장착된다. 선택적으로, 기어박스 엔드 캡(34)에는 제1 관통공(341)이 설치되고, 제1 부싱(324)은 상기 제1 관통공(341)에 고정되며, 제1 기어(321)는 태양 기어로서 상기 제1 부싱(324)에 장착된다. 상기 제2 기어박스는 상기 기어박스 엔드 캡(34)에 고정되는 리미팅 기둥(35)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기어(322)는 상기 리미팅 기둥(35)에 장착되며, 리미팅 기둥(35)은 제2 기어(322)에 대해 리미팅 및 고정 작용을 한다.
일부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전동 부재(14)는 스크루 로드이고, 상기 스크루 로드의 단부는 베어링(141)을 통해 상기 기어박스 엔드 캡(34)과 연결되며, 상기 제3 기어(323)는 상기 스크루 로드와 결합한다. 선택적으로, 기어박스 엔드 캡(34)에는 제2 관통공(343)이 더 설치되는데, 당해 제2 관통공(343) 내에는 베어링(141)이 장착되고, 스크루 로드의 일단은 당해 베어링(141)에 장착되어 프레임 바디(30)에 고정된다.
일부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기어박스는 고정 기어 링(36), 구동 기어(37), 유성 기어 캐리어(38) 및 유성 기어(39)를 더 포함한다.
고정 기어 링(36)은 상기 구동 부재(31)과 연결되고, 상기 출력축(311)은 상기 고정 기어 링(36) 내에 연장된다.
구동 기어(37)는 상기 고정 기어 링(36) 내에 장착되고, 상기 출력축(311)에 고정된다. 선택적으로, 제1 기어박스는 제2 부싱(371)을 더 포함하되, 구동 기어(37)가 제2 부싱(371)에 장착되어, 구동 기어(37)에 대해 보호 및 리미팅 작용을 할 수 있다.
유성 기어 캐리어(38)는 상기 고정 기어 링(36) 내에 장착되어 상기 제1 기어(321)와 결합 고정된다. 선택적으로, 제1 기어박스는 제3 부싱(381)을 더 포함하는데, 유성 기어 캐리어(38)가 제3 부싱(381)에 장착되어, 유성 기어 캐리어(38)에 대해 보호 및 리미팅 작용을 할 수 있다.
유성 기어(39)는 상기 유성 기어 캐리어(38)에 장착되어 상기 구동 기어(37)와 결합한다.
상기 출력축(311)은 상기 구동 기어(37)에 제1 토크를 출력하고, 상기 제1 토크는 상기 구동 기어(37), 상기 유성 기어(39), 상기 유성 기어 캐리어(38)를 거쳐 감속된 후 제1 기어(321)에 전달되어 1차 감속 효과에 달성한다. 다음, 당해 토크는 다시 제1 기어(321)를 거쳐 감속된 후 제2 기어(322)에 전달되어 2차 감속 효과에 달성한다. 다음, 당해 토크는 다시 제2 기어(322)를 거쳐 감속된 후 제2 토크로 변환되어 제3 기어(323)에 전달되어 3차 감속 효과에 달성한다. 제3 기어(323)는 다시 제2 토크를 제1 전동 부재(14)에 전달하여 제1 전동 부재(14)를 회동하도록 구동한다.
상기 설치를 통해, 구동 기어(37), 유성 기어 캐리어(38) 및 유성 기어(39)의 톱니 결합에 의해 1단 기어박스를 구성한다. 제1 기어(321), 제2 기어(322) 및 제3 기어(323)의 톱니 결합에 의해 2단, 3단 기어 박스를 구성한다. 유성 기어(39)는 제1 감속 기어로 사용될 수 있고, 제1 기어(321)는 제2 감속 기어로 사용될 수 있으며, 제2 기어(322)는 제3 감속 기어로 사용될 수 있고, 제3 기어(323)는 스크루 로드 기어로 사용될 수 있다.
제1 기어박스는 구동 기구의 핵심 부품으로서, 일단이 구동 전동기와 함께 용접되어 장착되고, 타단이 용접을 통해 프레임 바디(30)와 함께 고정된다. 제1 기어박스는 구동 전동기의 출력축(311), 구동 기어(37), 제2 부싱(371), 유성 기어(39), 유성 기어 캐리어(38), 제3 부싱(381), 고정 기어 링(36) 및 제1 기어(321)를 포함한다. 모든 부품은 모두 기어 결합을 이용하여 고정되고, 출력축(311), 구동 기어(37), 제2 부싱(371), 유성 기어(39), 유성 기어 캐리어(38), 제3 부싱(381) 및 제1 기어(321)는 모두 고정 기어 링 내에 고정 결합되며, 구동 기어(37)는 구동 전동기의 출력축(311)과 고정되고, 유성 기어 캐리어(38)는 제1 기어(321)와 결합 고정되고, 제1 기어(321)의 타단이 제1 부싱(324)에 고정되며, 제1 부싱(324)을 통해 기어박스 엔드 캡(34)에 고정된다. 제2 기어(322)는 리미팅 기둥(35)을 통해 프레임 바디(30)와 기어박스 엔드 캡(34)에 고정된다. 제3 기어(323)는 제1 전동 부재(14)에 고정되고, 제1 전동 부재(14)의 일단은 베어링(141)을 통해 프레임 바디(30)에 고정되며, 타단도 베어링(141)을 통해 기어박스 엔드 캡(34)에 고정된다. 기어박스 엔드 캡(34)은 체결 부재(342)를 통해 프레임 바디(30)에 고정되고, 제1 기어(321), 제2 기어(322) 및 제3 기어(323) 이 3개의 기어는 톱니 결합을 통해 2단, 3단 기어박스를 구성한다. 구동 전동기가 출력한 토크는 제1 기어박스와 제2 기어박스를 통해 감속되어, 출력 토크보다 몇 배 또는 몇십 배 큰 토크를 스크루 로드에 출력함으로써 스크루 로드를 회동하도록 구동한다. 스크루 로드는 너트를 운동하도록 구동한다. 기어박스 구조의 주요한 작용은 구동 전동기가 출력한 낮은 토크를 높은 토크로 변환시키는 것이다.
일부 선택적인 실시형태에서, 프레임 바디(30)는 MIM(분말 야금)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고, 구경 및 일부 사이즈는 선반 또는 CNC 머시닝 센터를 사용하여 가공해야 한다. 프레임 바디(30)의 주요한 작용은 기어박스 구조, 스크루 로드, 너트, 베어링, 가이드 로드 등 부품을 고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당해 프레임 바디(30)의 정밀도 요구는 비교적 높고, 평탄도 요구도 높으며, 프레임 바디(30)의 정밀도는 전체 구동 기구의 안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전체 프레임 바디(30)는 전자 기기의 중간 프레임의 제1 하우징(91)에 고정될 수 있다.
너트는 MIM(분말 야금)과 플라스틱 2색 사출 성형을 이용할 수 있는데, 플라스틱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흔히 POM재료를 사용)을 사용하고, 당해 재료는 자기 윤활성 작용을 가지며, 너트 일측은 가이드 로드에 고정되고, 일단은 스크루 로드에 고정되며, 스크루 로드에 고정되는 단에는 스크루 로드 가이드 홈을 설치하여 너트가 선형 운동하도록 구동하기 편리하도록 해야 한다. 당해 너트는 푸시 아웃 어셈블리의 구조적 수요에 따라, 보강 리브 및 측면 슬라이드 부재를 디자인하여 연결 고정하여, 슬라이드 부재가 활동하도록 푸시한다. 가이드 로드는 스테인리스 재질을 사용할 수 있는데, 표면 거칠기에 대한 요구가 높고 너트에 대해 가이드 고정 작용을 한다. 스크루 로드는 일반적으로 강도가 높은 공구강을 사용하고, 선반 또는 머시닝 센터에 의해 여러 차례 가공하여 제조된다. 스크루 로드 양단은 베어링을 고정하고, 일단은 프레임 바디에 고정되며, 타단은 기어박스 엔드 캡에 고정되고, 구동 전동기는 기어박스 구조에 의해 스크루 로드를 회동하도록 구동하며, 스크루 로드는 너트로 하여금 선형 운동하도록 구동한다. 따라서, 스크루 로드의 강도와 정밀도는 직접적으로 너트가 슬라이드 부재를 푸시하는 안정성과 원활성에 영향을 미친다.
다시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내용을 참조하면, 탄성 어셈블리의 탄성 부재의 프리텐션으로 인해, 슬라이드 부재(22)는 시작 위치에서 탄성 어셈블리의 프리텐션력을 받게 되고, 리미팅 스토퍼(25)의 존재로 인해, 정지 상태가 시작 위치에 놓이도록 유지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90)이 수축 상태에 있도록 한다.
구동 기구는 동력원으로서 전체 기기의 중간 프레임(즉 하우징)에 고정되고, 전자 기기는 UI를 통해 명령을 수신한 후, 구동 기구가 슬라이드 레일 기구를 구동하여 제1 방향(X)을 따라 이동하도록 제어(도 15에서는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도시)함으로써, 슬라이드 레일 기구가 전체적으로 제1 하우징(91)에 대해 제1 하우징(91)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90)의 제1 단은 슬라이드 부재(22)와 함께 슬라이딩하고, 회전축 어셈블리의 회전 휠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90)의 힘을 받아 피동적으로 회동하는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90)의 제2 단이 제1 하우징(91)과 연결되므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레일 기구가 점차적으로 슬라이딩함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90)이 점차적으로 확장되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슬라이드 레일 기구가 슬라이딩하는 과정에서, 슬라이드 부재(22)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당김에 의해 고정 시트(21)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이동할 수 있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90)의 확장 길이를 추가로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과정에서, 탄성 어셈블리는 슬라이드 부재(22)에 의해 인장되어 슬라이드 부재(22)에 대해 슬라이딩 방향과 반대되는 탄성 인장력을 발생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90)은 항상 당해 반대 방향의 인장력을 받게 되는데, 이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90)을 오른쪽으로 당기는 것과 같아, 확장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90)이 보다 평평하도록 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90)이 절곡되는 궤적이 디자인 의도에 따라 운동하도록 보장함으로써, 시각적으로 전체 기기를 슬라이딩하여 확장할 때 스크린이 부풀고 팽창되며 왜곡되는 등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전체 과정에서, 슬라이드 부재(22)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90)의 제2 단의 당김을 받아, 고정 시트(21)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이동할 수 있다. 슬라이드 레일 기구가 제1 하우징(91)에 대해 슬라이딩한 스트로크가 S이고 슬라이드 부재(22)가 슬라이딩한 스트로크가 S라고 가정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90)의 제1 단은 슬라이드 레일 기구를 따라 제1 하우징(91)에 대해 2S 거리를 운동하게 된다.
전체 기기가 외부 명령을 받아 수축할 경우, 구동 전동기는 반대 방향으로 구동하기 시작하여, 슬라이드 레일 기구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수축시킨다. 이 과정에서, 브래킷 및 고정 시트는 구동 기구의 구동 하에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슬라이드 부재는 탄성 어셈블리의 탄성력의 작용 하에 점차적으로 수축되며, 슬라이드 부재는 탄성 어셈블리의 탄성력의 작용 하에 시작 위치로 되돌아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수축 상태로 회복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슬라이드 레일 기구를 사용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전체 기기를 슬라이딩하여 확장하고 수축하는 과정에서 외관의 절곡 형태를 안정적이고 효과적으로 유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스크린을 슬라이딩하여 확장하고 수축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으로 인한 전력 손실이 낮은 수준에 놓이도록 보장하여, 작업성을 구비하고 기술 수단의 구현이 용이함으로써 제품의 신뢰도를 확보한다.
도 21 내지 도 25에 도시된 내용을 참조하면, 일부 선택적인 실시형태에서, 하우징은 제1 하우징(91) 및 제1 방향(X)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제1 하우징(91)에 설치되는 제2 하우징(92)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하우징(91)과 상기 제2 하우징(92)은 개구를 구비한 수용 구조(991)를 둘러싸서 형성한다. 제1 하우징(91)에는 상기 제1 방향(X)을 따라 설치되는 제1 슬라이딩부(911)가 설치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90)의 제1 단(901)은 상기 하우징의 저부에 가까운 일측에 위치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90)의 제2 단(902)은 상기 제1 하우징(91)과 연결되어 상기 개구를 커버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개구는 하우징의 정상부에 위치한다. 선택적으로, 제1 하우징(91)과 제2 하우징(92)의 외측에는 장식부재(94)가 설치되어 보호 및 장식 작용을 할 수 있다.
슬라이드 레일 기구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90)의 제1 단(901)과 연결되는 브래킷(11)을 포함하되, 상기 브래킷(11)에는 상기 제1 슬라이딩부(911)에 적합한 제2 슬라이딩부(912)가 설치된다. 상기 제1 슬라이딩부(911)는 슬라이딩 레일과 슬라이딩 홈 중의 하나이고, 상기 제2 슬라이딩부(912)는 슬라이딩 레일과 슬라이딩 홈 중의 다른 하나이다. 상기 슬라이딩 레일은 상기 슬라이딩 홈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슬라이드 레일 기구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90)으로 하여금 상기 제1 하우징(91)에 대해 상기 제1 방향(X)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동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확장과 수축을 실현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제1 슬라이딩부(911)와 중간 프레임 하우징의 제1 하우징은 일체로 성형되도록 설치하여 생산과 가공이 편리하도록 한다. 도 21 내지 도 23에 도시된 예에서, 상기 제1 슬라이딩부(911)는 슬라이딩 홈이고, 상기 제2 슬라이딩부(912)는 슬라이딩 레일이다. 상기 제1 하우징(91)이 상기 제1 방향(X)(도 21에서 X방향이 도시한 것과 같음)과 수직되는 제2 방향(도 21에서 Y방향이 도시한 것과 같음)을 따른 양측에는 모두 상기 제1 슬라이딩부(911)가 설치된다. 상기 브래킷(11)의 상기 제2 방향을 따른 양측에는 모두 상기 제2 슬라이딩부(912)가 설치되고, 두 그룹의 제1 슬라이딩부(911)와 제2 슬라이딩부(912)를 설치하는 것을 통해, 슬라이드 레일 기구로 하여금 제1 하우징(91)에 대해 이동할 때 보다 안정적이도록 하여 전체 기기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6에 도시된 내용을 참조하면, 일부 선택적인 실시형태에서, 상기 서브 서포트(121)는 제1 후프 시트(1211) 및 상기 제1 후프 시트(1211)와 스플라이싱하는 제2 후프 시트(1212)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후프 시트(1211)와 상기 제2 후프 시트(1212)는 상기 회전축(122)의 양측에 후핑되어 서로 연결되고, 제1 후프 시트(1211)와 제2 후프 시트(1212) 중의 임의의 하나는 브래킷(11)과 고정 연결되는데,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 제2 후프 시트(1212)가 브래킷(11)과 고정 연결된다. 서브 서포트(121)는 제1 후프 시트(1211)와 제2 후프 시트(1212)가 서로 스플라이싱하는 착탈 가능한 구조 형태를 이용하여 분리 및 장착이 용이하도록 한다.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명세서를 고려하여 여기서 개시한 명세서를 실천한 후, 본 발명의 기타 실시형태를 쉽게 생각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임의의 변형, 용도 또는 적합한 변화를 포함하는 것을 말하는데 이러한 변형, 용도 또는 적합한 변화는 본 발명의 일반성 원리를 준수하고 본 발명이 개시하지 않은 본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상식 또는 관용적인 기술수단을 포함한다. 명세서와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와 정신은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 지적된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이미 설명하고 도면에서 도시한 정확한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이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여러 가지 수정과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단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31: 구동 부재 32: 기어박스 구조
14: 제1 전동 부재 15: 제2 전동 부재

Claims (10)

  1. 제1 하우징 및 제1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제1 하우징에 설치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은 개구를 구비한 수용 구조를 둘러싸서 형성하고, 상기 제1 하우징에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제1 슬라이딩부가 설치되는 하우징;
    제1 단이 상기 하우징의 저부와 가까운 일측에 위치하고, 제2 단이 상기 제1 하우징과 연결되어 상기 개구를 커버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연결되는 브래킷을 포함하고, 상기 브래킷에는 상기 제1 슬라이딩부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제2 슬라이딩부가 설치되는 슬라이드 레일 기구;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슬라이딩부는 슬라이딩 레일과 슬라이딩 홈 중의 하나이고, 상기 제2 슬라이딩부는 슬라이딩 레일과 슬라이딩 홈 중의 다른 하나이고, 상기 슬라이딩 레일은 상기 슬라이딩 홈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슬라이드 레일 기구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으로 하여금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해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동하며,
    상기 슬라이드 레일 기구는 슬라이드 레일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슬라이드 레일 어셈블리는 고정 시트, 슬라이드 부재 및 탄성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시트는 상기 브래킷과 고정 연결되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는 제1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고정 시트에 설치되며, 상기 탄성 어셈블리의 제1 단은 상기 고정 시트와 연결되고, 상기 탄성 어셈블리의 제2 단은 상기 슬라이드 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슬라이드 부재가 상기 고정 시트에 대해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할 경우, 상기 탄성 어셈블리의 제2 단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함께 이동하도록 구동하고,
    상기 탄성 어셈블리는 제1 로드 부재, 제2 로드 부재 및 탄성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로드 부재와 상기 제2 로드 부재는 서로 삽입 연결되어 서로 슬라이딩이 가능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제1 로드 부재와 상기 제2 로드 부재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로드 부재는 상기 고정 시트와 연결되고, 상기 제2 로드 부재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딩부는 슬라이딩 홈이고, 상기 제2 슬라이딩부는 슬라이딩 레일이며;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제1 방향에 수직되는 제2 방향을 따른 양측에는 모두 상기 제1 슬라이딩부가 설치되고; 상기 브래킷의 상기 제2 방향을 따른 양측에는 모두 상기 제2 슬라이딩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구조 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하우징과 고정 연결되는 구동 기구를 더 포함하되, 상기 구동 기구는 상기 브래킷과 연결되어 상기 브래킷으로 하여금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동하고;
    상기 구동 기구는 상기 브래킷으로 하여금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동하여, 상기 제2 하우징,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단이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해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동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수축 상태와 확장 상태 사이에서 전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구의 수량은 두 개이고, 상기 제1 하우징에 대칭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구는 구동 전동기, 상기 구동 전동기와 연결되는 스크루 로드 및 상기 스크루 로드에 씌움 연결되는 너트를 포함하되, 상기 스크루 로드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설치되고, 상기 너트는 상기 브래킷과 당접되며;
    상기 구동 전동기는 상기 스크루 로드를 회동하도록 구동하여, 상기 너트와 상기 브래킷으로 하여금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동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드 레일 기구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회전축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회전축 기구를 더 포함하되, 상기 회전축 어셈블리는, 상기 브래킷의 일측에 연결되고 축 홀이 설치되는 회전축 서포트, 상기 축 홀에 관통되게 설치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씌움 설치되는 회전 휠을 포함하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상기 회전 휠에 감김 설치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확장 또는 수축될 경우, 상기 회전 휠을 회동하도록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 서포트는 상기 브래킷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서브 서포트를 포함하되, 상기 서브 서포트에는 서브 축 홀이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서브 서포트의 서브 축 홀은 동축으로 설치되어 상기 축 홀을 형성하며, 상기 회전축은 복수의 상기 서브 축 홀에 관통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 휠은 복수의 서브 회전 휠을 포함하며, 인접하는 두 개의 상기 서브 서포트 사이에는 하나의 상기 서브 회전 휠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서포트는 제1 후프 시트 및 상기 제1 후프 시트와 스플라이싱하는 제2 후프 시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후프 시트와 상기 제2 후프 시트는 상기 회전축의 양측에 후핑되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 어셈블리는 두 그룹의 제1 체결 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회전축의 일단은 한 그룹의 상기 제1 체결 부재를 통해 상기 회전축 서포트와 고정 연결되고, 타단은 다른 한 그룹의 상기 제1 체결 부재를 통해 상기 회전축 서포트와 고정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0. 삭제
KR1020210186039A 2021-06-25 2021-12-23 전자 기기 KR1026084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10713495.2A CN115529369A (zh) 2021-06-25 2021-06-25 一种电子设备
CN202110713495.2 2021-06-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916A KR20230000916A (ko) 2023-01-03
KR102608496B1 true KR102608496B1 (ko) 2023-12-04

Family

ID=79288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6039A KR102608496B1 (ko) 2021-06-25 2021-12-23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744029B2 (ko)
EP (1) EP4109212A1 (ko)
JP (1) JP7333379B2 (ko)
KR (1) KR102608496B1 (ko)
CN (1) CN11552936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M605990U (zh) * 2020-07-14 2021-01-01 宏碁股份有限公司 具多螢幕的折疊式電子裝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5198A1 (ko) * 2019-08-06 2021-0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롤-슬라이드 이동 단말기
US10955876B1 (en) * 2020-02-20 2021-03-23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WO2021073475A1 (zh) * 2019-10-15 2021-04-2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CN112947688A (zh) * 2021-03-02 2021-06-1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6551A (ko) 2016-04-11 2017-10-19 박현민 연성 디스플레이 패널용 슬라이딩 모듈
WO2020166856A1 (en) 2019-02-14 2020-08-20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US11165897B2 (en) * 2019-02-14 2021-11-02 Lg Electronics Inc. Roll-slide mobile terminal
US11071218B2 (en) * 2019-04-10 2021-07-20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having sliding expandable displays
KR20210068272A (ko) * 2019-11-30 2021-06-09 (주)에이유플렉스 화면의 크기가 조절되는 디스플레이장치
US10904371B1 (en) * 2020-07-24 2021-01-26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CN112769982B (zh) 2020-11-17 2023-04-0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5198A1 (ko) * 2019-08-06 2021-0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롤-슬라이드 이동 단말기
WO2021073475A1 (zh) * 2019-10-15 2021-04-2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US10955876B1 (en) * 2020-02-20 2021-03-23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CN112947688A (zh) * 2021-03-02 2021-06-1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529369A (zh) 2022-12-27
JP7333379B2 (ja) 2023-08-24
KR20230000916A (ko) 2023-01-03
JP2023004837A (ja) 2023-01-17
US11744029B2 (en) 2023-08-29
EP4109212A1 (en) 2022-12-28
US20220418124A1 (en) 2022-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2302B1 (ko) 전자 기기
KR20240013835A (ko) 구동 기구 및 전자 기기
KR102608496B1 (ko) 전자 기기
KR102607982B1 (ko) 전자 기기
KR102414985B1 (ko) 전자기기
KR102563493B1 (ko) 슬라이드 레일기구, 신축 스크린 구조 및 전자기기
CN115529371A (zh) 一种电子设备
KR102602907B1 (ko) 신축 스크린 구조 및 전자기기
WO2023225969A1 (zh) 电子设备
KR102569640B1 (ko) 슬라이드 레일기구, 신축 스크린 구조 및 전자기기
CN117597716A (zh) 伸缩屏结构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