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8627B1 - 액체 충전 보조구 및 액체 충전 방법 - Google Patents

액체 충전 보조구 및 액체 충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8627B1
KR102198627B1 KR1020157020605A KR20157020605A KR102198627B1 KR 102198627 B1 KR102198627 B1 KR 102198627B1 KR 1020157020605 A KR1020157020605 A KR 1020157020605A KR 20157020605 A KR20157020605 A KR 20157020605A KR 102198627 B1 KR102198627 B1 KR 102198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liquid filling
reaction
filling aid
communica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0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3192A (ko
Inventor
나오토시 이쿠시마
도시유키 가사마쓰
료헤이 스즈키
Original Assignee
무사시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니찌레이 바이오사이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사시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니찌레이 바이오사이언스 filed Critical 무사시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03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31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8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86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30Staining; Impregnating ; Fixation; Dehydration; Multistep processes for preparing samples of tissue, cell or nucleic acid material and the like for analysis
    • G01N1/31Apparatus therefor
    • G01N1/312Apparatus therefor for samples mounted on planar subst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2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dispensing a reag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9/00Supporting devices; Holding devices
    • B01L9/52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flat sample carriers, e.g. for plates, slides, c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9/00Supporting devices; Holding devices
    • B01L9/52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flat sample carriers, e.g. for plates, slides, chips
    • B01L9/527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flat sample carriers, e.g. for plates, slides, chips for microfluidic devices, e.g. used for lab-on-a-chip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30Staining; Impregnating ; Fixation; Dehydration; Multistep processes for preparing samples of tissue, cell or nucleic acid material and the like for analys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10Devices for transferring samples or any liquids to, in, or from, the analysis apparatus, e.g. suction devices, injection devices
    • G01N35/1002Reagent dispen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2Adapting objects or devices to another
    • B01L2200/025Align devices or objects to ensure defined positions relative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2Adapting objects or devices to another
    • B01L2200/026Fluid interfacing between devices or objects, e.g. connectors, inlet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2Adapting objects or devices to another
    • B01L2200/026Fluid interfacing between devices or objects, e.g. connectors, inlet details
    • B01L2200/027Fluid interfacing between devices or objects, e.g. connectors, inlet details for microfluidi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6Fluid handling related problems
    • B01L2200/0621Control of the sequence of chambers filled or empti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6Fluid handling related problems
    • B01L2200/0684Venting, avoiding backpressure, avoid gas bub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4Closures and closing means
    • B01L2300/046Function or devices integrated in the closure
    • B01L2300/047Additional chamber, reservo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4Closures and closing means
    • B01L2300/046Function or devices integrated in the closure
    • B01L2300/048Function or devices integrated in the closure enabling gas exchange, e.g. v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09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rectangular shaped
    • B01L2300/0822Sl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61Configuration of multiple channels and/or chambers in a single devices
    • B01L2300/0877Flow cha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400/00Moving or stopping fluids
    • B01L2400/04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 B01L2400/0403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specific forces
    • B01L2400/0406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specific forces capillary for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전이 불충분하게 되는 문제, 액체의 증발에 의한 건조의 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는, 액체 충전 보조구 및 액체 충전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판형체 상에 설치되고, 액체가 충전되는 반응실을 구성하는 액체 충전 보조구로서, 본체와, 본체에 형성된 액체를 저류하기 위한 저류부와, 본체의 하면에 설치된 오목한 반응부와, 저류부와 반응부를 유체적으로 연통시키는 연통공과, 반응부와 대기를 연통시키는 통기공을 구비하고, 반응부 및 판형체의 상면이, 반응실을 구성하는 액체 충전 보조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액체 충전 보조구를 판형체 상에 설치하는 단계와, 반응실의 용적 이상의 양의 액체를 저류부에 토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체 충전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액체 충전 보조구 및 액체 충전 방법{AID FOR FILLING LIQUID, AND METHOD FOR FILLING LIQUID}
본 발명은, 액체 충전 보조구 및 액체 충전 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예를 들면, 슬라이드 유리 상에 접착 내지 첩부(貼付)된 생물 조직(組織)이나 세포 등을 염색하는 단계 내에서 사용하는 액체 충전 보조구 및 상기 액체 충전 보조구를 사용한 액체 충전 방법에 관한 것이다.
면역 조직 화학 염색법이란, 항원 항체 반응이라는 특이한 면역 반응을 이용하여, 조직·세포 내의 항원성을 가진 물질의 국재(局在; 존재 장소)를 명백히 하는 방법이다.
면역 조직 화학 염색의 조작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복수의 단계로 이루어진다. 제1 단계는, 슬라이드 유리 상에 접착한 포르말린 용액 등을 사용하여 고정한 검사 대상 물체를 감싸고 있는 파라핀을 유기 용매에 의해 용해하는 탈파라핀 단계, 제2 단계는, 유기 용매를 제거하고, 물에 친숙해지게 하기 위한 친수화(親水化) 단계, 제3 단계는, 면역 반응성을 높이기 위한 처리를 행하는 항원 부활화(賦活化) 단계, 제4 단계는, 검사 대상 물체 중의 항원과 반응하는 항체를 적용하는 1차 항체 적용 단계, 제5 단계는, 반응한 항체를 검출하기 위한 시약(試藥)을 적용하는 검출 단계, 제6 단계는, 검출 시약을 가시화하기 위한 시약을 적용하는 발색(發色) 단계, 제7 단계는, 조직의 형상을 보기 쉽게 하기 위해, 핵을 상이한 색으로 염색하는 핵염색(核染色) 단계이다.
상기와 같은 면역 조직 화학 염색 단계를 포함하고, 염색 단계 전반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로서, 지금까지 다양한 것이 제안되어 왔다. 이들 장치에서는, 슬라이드 유리 상에 설치되는 커버가 시약 등의 충전이나 유지를 담당한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는, 기재(基材)의 위쪽에 위치하여 반응실을 형성하기 위한 공동부(空洞部)를 구획하고 있는 본체부와, 본체부로부터 신장되고, 커버가 기재에 장착되어 있을 때 공동부와 유체(流體) 연통되는 유체 용기를 구획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있는 기재를 위한 커버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에는, 시료를 담지(擔持)한 슬라이드의 표면에 처리액을 가하기 위한 수단, 및 오목면을 가지는 커버 타일을 슬라이드 상에 시료를 덮도록 설치하여, 시료의 윤곽을 결정하는 수단을 가지는, 사람 또는 동물의 세포 시료를 처리액을 사용하여 처리하는 장치로서, 상기 장치가, 또한 커버 타일과 슬라이드와의 사이에 형성된 공극(空隙)을 봉하기 위해, 실링액을 슬라이드와 커버 타일과의 접합부에 캐비티의 외부로부터 가하기 위한 수단도 포함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3에는, 상면 및 바닥면을 가지는 기부(基部)로서, 기부의 상면에 조직 표본을 유지하고 있는 기부와, 기부의 상면에 설치한 슬라이드 커버로서, 내면을 가지고, 기부의 상면과 슬라이드 커버의 내면이 추출 완충액을 유지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슬라이드 커버와, 기부의 바닥면에 접속된 온도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조직 표본으로부터의 생체 분자 추출 장치가 개시되어 있고, 슬라이드 커버의 내면이 슬라이드 커버의 중심부에서 기부를 향해 돌출하고, 그에 따라 기부의 상면과 슬라이드 커버의 내면과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이 중심부의 주변에서 얕아져 있는 것(청구항 3), 추출 완충액을 기부의 상면과 슬라이드 커버의 내면의 사이에 있는 공간으로 첨가하기 위해, 슬라이드 커버가 중심부에 개구를 가지는 것(청구항 15), 슬라이드 커버가, 또한 주위부에 1개 이상의 외면공(外面孔)을 포함하는 것(청구항 16)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표 제2005―530208호 공보 일본 특표 제2000―508423호 공보 일본 특표 제2007―532918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 문헌 1이나 특허 문헌 2에 기재되어 있는 타입의 커버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1) 커버 단변측(短邊側)으로부터 다른 한쪽의 단변측까지 비교적 긴 거리(슬라이드 유리 길이 방향의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서 충전을 행하거나, 모세관 현상에 의한 힘만으로는, 충전이 불충분하게 될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커버를 슬라이딩하거나, 토출측과는 반대측으로부터 흡인을 하거나 하는 등, 충전을 보조하는 부가적인 기구(機構)가 필요하다. 그리고, 상기 특허 문헌 3의 형상에서는, 원래 모세관 작용에 의해 커버와 기부에 의해 에워싸인 공간 전체를 액체로 채울 수 없다.
(2) 커버 단변측 단부(端部)는 넓게 개구되어 있으므로, 그로부터 액체의 증발에 의한 건조가 일어나기 쉽고, 건조가 일어나면, 건조 부분에 항원 항체 반응에 의하지 않는 비특이(非特異) 염색이 일어날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충분히 반응이 진행될 때까지, 추가의 액체 충전이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다.
(3) 따뜻하게 하여 반응시키는 방법의 경우에는, 액체의 증발이 촉진되어 건조되어 버리므로, 반응 부족이나 염색 불균일이 일어날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충분히 반응이 진행될 때까지는, 추가의 액체 충전이 필요하다는 과제가 있다.
그러나, 온도가 낮은 액체를 추가하는 것(바꾸어 말하면, 이미 따뜻해져 있는 액체와 이로부터 따뜻하게 하는 액체를 혼합하는 것)은, 반응상(反應相)의 온도를 저하시키게 되어, 충분한 열량을 조직에 부여할 수가 없다. 이러한 경우, 염색 얼룩이나 염색의 부족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어, 반응에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액체의 온도 관리(온도 조절)가 필요해진다.
(4) 커버 내에 충전한 액체에 기포가 혼입된 경우, 기포를 제거하기 위해, 예를 들면, 커버를 상대 운동시키거나 해야만 한다.
(5) 커버의 단부 등의 좁은 범위에 토출(吐出)을 행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토출구(吐出口)의 정밀한 위치 결정이 필요하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는 액체 충전 보조구 및 액체 충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 발명은, 판형체 상에 설치되고, 액체가 충전되는 반응실을 구성하는 액체 충전 보조구로서, 본체(30)와, 본체에 형성된 액체를 저류(貯留)하기 위한 저류부(貯留部)(2)와, 본체의 하면에 설치된 오목한 반응부(8)와, 저류부와 반응부를 유체적으로 연통시키는 연통공(15)과, 반응부와 대기를 연통시키는 통기공(14)을 구비하고, 반응부 및 판형체의 상면이, 반응실(17)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충전 보조구이다.
제2 발명은, 제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저류부(2)의 용적이 반응부(8)의 용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 발명은, 제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저류부(2)가, 연통공을 협지(sandwich)하여 반응부(8)의 위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 발명은, 제3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본체(30)의 상면에 저류부의 개구(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연통공(15)이, 반응부(8)의 대략 중심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제5 발명은, 제1 발명에 있어서, 상기 통기공(14)이, 반응부(8)의 상면으로부터 본체(30)의 상면까지 관통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6 발명은, 제1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반응부(8)가, 반응부의 전역(全域)에 있어서 모세관 현상에 의한 힘이 발생하는 깊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7 발명은, 제6 발명에 있어서, 상기 깊이가, 10∼20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8 발명은, 제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저류부(2)의 바닥면이 연통공을 향하는 경사면 또는 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9 발명은, 제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통공(15)을 향하는 경사면 중 하나 이상이, 2개 이상의 경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0 발명은, 제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저류부(2)가, 상기 연통공이 대략 중심에 형성된 제1 오목부(24)와, 제1 오목부보다 위쪽에 위치하고 또한 용적이 2배 이상 큰 제2 오목부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1 발명은, 제1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반응부(8)의 내상면(內上面; 천정면)이 통기공을 향하는 경사면 또는 홈을 가지고, 상기 통기공(14)이, 반응부의 내상면의 최고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2 발명은, 제1 내지 제11 발명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본체(30)가,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3 발명은, 제1 내지 제11 발명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판형체가, 염색 단계에서 사용되는 슬라이드 유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4 발명은, 액체의 토출 장치와, 슬라이드 유리를 유지하는 팰릿(pallet)과, 토출 장치를 팰릿에 대하여 XYZ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구동 장치와, 제11 발명에 관한 액체 충전 보조구를 유지하는 유지구와, 유지구를 승강 동작시키는 승강 장치를 구비한 자동 염색 장치이다. 여기서, 또한 가열 기능을 가지는 스테이지와, 상기 팰릿을 위쪽으로 가압하는 탄성체를 구비하고, 상기 팰릿이, 상기 탄성체의 수축 시에 상기 스테이지가 통과할 수 있는 개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제15 발명은, 제1 내지 제11 발명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관한 액체 충전 보조구를 사용한 액체 충전 방법으로서, 액체 충전 보조구를 판형체 상에 설치하는 단계와, 반응실의 용적 이상의 양의 액체를 저류부에 토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충전 방법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반응부와 저류부를 연통시키는 연통공을 구비함으로써, 모세관 현상에 의한 힘만으로도 반응부의 구석구석까지 액체를 충전할 수 있다. 또한, 저류부에 머문 액체는 연통공으로부터 반응부로 자중(自重)에 의해 흘러내리므로, 충전을 보조하는 부가적인 기구는 필요하지 않다.
(2) 슬라이드 유리에 본 액체 충전 보조구를 설치했을 때, 반응부는 폐쇄된 공간인 반응실을 구성하므로, 건조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통기공에 도달할 때까지 반응부 내에 액체를 충전함으로써, 액체와 공기의 접촉 면적을 줄여, 건조를 지연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3) 액체를 체류하게 하는 저류부가 있으므로, 액체의 증발의 문제에도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액체를 체류하게 하는 저류부가 반응부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으므로, 반응을 위한 가열과 동시에, 저류부에 머문 액체도 가열할 수 있다.
(4) 반응부와 연통되는 통기공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기포가 혼입되었다고 해도, 통기공으로부터 배출된다.
(5) 저류부 상면이 넓게 개구되는 구성에 있어서는, 토출구의 정밀한 위치 결정이 불필요하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의 액체 충전 보조구의 상면도이다.
도 2는 도 1 내에 A―A선으로 나타낸 단면도(斷面圖)이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의 액체 충전 보조구의 저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형태의 액체 충전 보조구를 슬라이드 유리에 적용하고, 액체를 토출했을 때의 액체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여기서, (a)는 저류부에 액체를 토출한 직후의 상태, (b)는 저류부로부터 연통공을 통하여 반응부로 액체가 흘러드는 상태, (c)는 반응부 전체에 액체를 충전 종료한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도 5는 실시예의 자동 염색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은 실시예의 자동 염색 장치에 있어서의 스테이지와 팰릿과의 관계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여기서, (a)는 액체 충전 보조구를 탑재하기 전의 상태, (b)는 액체 충전 보조구를 탑재한 후의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도 7은 실시예의 자동 염색 장치의 동작의 예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8은 제2 실시형태의 액체 충전 보조구의 상면도이다.
도 9의 (a)는 도 8 내에 B―B선으로 나타낸 단면도, (b)는 도 8 내에 C―C선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예를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구성>
도 1에 본 실시형태의 액체 충전 보조구(1)의 상면도, 도 2에 도 1 내에 A―A선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3에 본 실시형태의 액체 충전 보조구(1)의 하면도(下面圖)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도 1 또는 도 3의 좌우 방향을 폭 방향, 상하 방향을 안길이 방향, 도 2의 상하 방향을 높이 방향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형태의 액체 충전 보조구(1)는, 직육면체형의 부재인 본체(30)에, 저류부(2)와, 반응부(8)와, 통기공(14)과, 연통공(15)을 형성하여 구성되며, 후술하는 슬라이드 유리(16)에 설치하여 사용된다. 여기서, 액체 충전 보조구(1)의 안길이 방향의 길이는, 슬라이드 유리(16)의 단변의 길이와 같거나 약간 짧게 한다. 또한, 폭 방향의 길이는, 슬라이드 유리(16)의 장변(長邊)의 길이의 약 2/3로 한다. 이 길이는, 슬라이드 유리(16)의 사용 가능 영역에 대응하여 적절히 변경하는 것이다. 그리고, 액체 충전 보조구(1)에 덮혀 있지 않은 슬라이드 유리(16)의 나머지 약 1/3의 부분에는, 식별을 위한 문자나 기호, 바코드 등이 기록되는 스페이스로 된다. 본체(30)의 형상은, 예시한 직육면체형에 한정되지 않고, 다각형 기둥, 원기둥 또는 타원 기둥이라도 된다. 이하에,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저류부(2)는, 본체(30)의 상면측에 상면이 개구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고, 반응실(17)의 용량의 수배∼수십 배의 용량(예를 들면, 약 60배의 용량)을 가진다. 예시한 저류부(2)는, 상면으로부터 볼 때 사각형상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면으로부터 본 형상이 다각형, 원 또는 타원이라도 된다. 저류부(2)는, 바람직하게는 본체(30)(직육면체) 높이의 1/2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3 이상의 깊이를 가지도록 한다. 또한, 폭과 안길이[개구(3)의 면적]는, 저류부(2)를 형성하는 벽(4)을 남겨, 직육면체 상면의 면적보다 한 바퀴 작은 면적으로 되도록 한다. 단, 통기공(14)을 형성하는 장소분만큼, 반응부(8)의 폭과 안길이[개구(9)의 면적]보다 작게 한다. 여기서, 깊이, 폭, 안길이로부터 구해지는 저류부(2)의 용량은, 염색 반응에 필요한 액체(19)의 양에 따라 상이한 것이며, 이들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단, 반응부(8)의 용량보다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반응부(8)를 만족시키는 분과 추가로 필요로 하는 분을 한번에 머물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저류부(2)에는, 토출 장치(18)로부터, 항원을 부활화하기 위한 용액, 항원과 반응하는 항체를 포함하는 용액, 증류수, 유기 용매 등의 액체가 토출된다.
저류부(2)의 내하면(內下面)은, 각각의 단변측(7, 7)으로부터 중앙을 향해 내리는 2개의 경사면(5, 5)에 의해 구성된다. 그리고, 2개의 경사면(5)이 교차하는 최저부(6)의 중앙에, 1개의 연통공(15)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경사면(5)을 형성함으로써, 저류부(2)에 저류된 액체(19)가 연통공(15)을 향해 자연스럽게 흘러들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경사면(5)은 2개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사각뿔과 같이 4개의 면에 의해 경사시지게 하고, 그 정상점(頂点)에 상당하는 개소(箇所)에 연통공(15)을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또는, 홈형에 일부를 경사면으로 하여 구성해도 된다. 요컨대, 저류부(2)에 저류된 액체(19)가 연통공(15)을 향해 자연스럽게 흘러들도록 할 수 있으면, 어떠한 경사면이라도 되고, 경사면에는, 굴곡면, 홈을 형성한 바닥면도 포함된다. 또한, 연통공(15)은, 복수 개 형성해도 된다.
반응부(8)는, 본체(30)의 하면측에 하면이 개구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고, 액체 충전 보조구(1)를 슬라이드 유리(16) 상에 탑재, 고정했을 때는, 폐쇄된 공간[후술하는 반응실(17)]을 구성한다. 여기서, 슬라이드 유리란, 주로 광학 현미경을 사용한 관찰 시, 미소(微小)한 시료를 탑재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유리판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반적인 크기인 단변 2.5cm 정도, 장변 7.5cm 정도, 두께 1.2㎜ 정도의 슬라이드 유리를 채용하였다. 예시한 반응부(8)는, 바닥면으로부터 보았을 때 사각형상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바닥면으로부터 보았을 때 형상이 다각형, 원 또는 타원이라도 된다. 모세관 현상에 의해 반응부(8) 내에 균등하게 액체(19)를 충전하는 관점에서는, 반응부(8)를 원기둥형의 공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부(8)의 깊이는, 반응에 필요한 액체(19)의 양에 따라 정해지는 것이 기본이지만, 반응부(8)와 슬라이드 유리(16)에 의해 에워싸인 공간[반응실(17)]에 흘러든 액체(19)에, 모세관 현상에 의한 힘이 발생하는 크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10∼2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100㎛의 깊이로 한다. 반응부(8)의 폭과 안길이[개구(9)의 면적]는, 반응부(8)의 사방을 에워싸는 벽(10)의 두께를 확보하면서, 직육면체 하면의 면적보다 한 바퀴 작은 면적으로 되도록 한다. 반응부(8)의 용량도, 저류부(2)와 마찬가지로, 염색 반응에 필요한 액체(19)의 양에 따라 상이한 것이며, 이들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반응부(8)의 내상면은, 중앙으로부터 각 단변측 단부(13, 13)를 향해 오르는 2개의 경사면(11, 11)에 의해 구성된다. 경사의 크기는, 모세관 현상에 의한 힘에 의해, 액체(19)가 중앙으로부터 각 단변측 단부(13, 13)까지 도달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배(勾配)로 나타내면, 예를 들면, 실질적으로 1/100, 더욱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1/200로 한다. 이와 같이 경사면(11)을 형성함으로써, 모세관 현상에 의한 힘에 의해 액체(19)가 충전되는 동시에, 반응부(8) 내의 공기나 액체(19)에 혼입된 기포가, 경사면(11)을 따라 단변측 단부(13)의 통기공(14)을 향해 자연스럽게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경사면(11)은, 저류부(2)의 경사면(5)과 마찬가지로, 2개로 한정되지 않고 4개의 면이거나, 홈형으로 일부를 경사면으로 하거나 등, 공기나 기포가 자연스럽게 이동할 수 있으면 어떠한 경사면이라도 되고, 경사면에는, 굴곡면, 홈을 형성한 바닥면도 포함된다.
반응부(8)는, 슬라이드 유리(16) 상에 탑재, 고정했을 때는, 폐쇄된 공간[반응실(17)]을 구성하므로, 액체(19)가 건조되기 어렵다. 다른 한편, 저류부(2)에 공급된 액체(19)의 양이 반응부(8)의 용량에 비해 많아도, 폐쇄되어 있으므로 액체(19)가 빠져 나오기 어렵다(적어도 반응에 필요한 시간 동안, 액체를 유지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사각형상의 벽(10)의 아래쪽에 실링 부재·패킹 등을 설치해도 된다.
반응부(8)의 경사면(11)의 최고 위치(12)에는, 반응부(8) 내상면으로부터 본체(30)의 상면까지 관통하는 통기공(14)을 천설(穿設)한다. 도 1∼도 3의 예에서는, 각각의 단변측 단부(13)의 끝의 2개소씩 합계 4개소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통기공은, 본체(30)의 측면에 형성된 개구와 연통되도록 해도 된다.
반응부(8)의 내상면이 중앙으로부터 각 단변측 단부(13, 13)를 향해 오르도록 경사져 있는 것, 및 각각의 경사면(11, 11)의 최고 위치(12, 12)에 통기공(14)을 형성함으로써, 액체(19)보다 가볍고, 충전 시에 반응부(8) 내에 있었던 공기나 액체(19)에 혼입된 기포 등은, 반응부(8) 상면의 경사면(11)을 따라 올라가 통기공(14)으로부터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통기공(14)이, 저류부(2)와 평행하게, 반응부(8) 내상면으로부터 본체(30)의 상면까지 도달하는 높이를 가지고 있는 것에 의해, 액체(19)가 반응부(8) 내를 채운 후, 통기공(14) 내에 흘러들 수가 있어, 액체와 공기가 접촉하는 면적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건조를 방지하고, 반응의 불균일이나 과부족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통기공(14)의 수는, 각각의 단변측 단부에 2개소씩 형성하는 태양(態樣)에 한정되지 않고, 1개소씩이나 3개소 이상씩으로 해도 된다.
상기 저류부(2)와 반응부(8)는, 중앙에 형성된 연통공(15)에 의해 유체적으로 연통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저류부(2)의 내하면의 최바닥부(6)의 중앙으로부터, 반응부(8)의 내상면의 중앙까지를 관통하도록 연통공(15)을 천설한다. 반응부(8)의 중앙와 연통공(15)이 위치하고 있으므로, 연통공(15)으로부터 반응부(8) 단부까지의 거리가 짧아져, 모세관 현상에 의한 힘만으로도 반응부(8)의 구석구석까지 액체(19)를 충전할 수 있다. 또한, 저류부(2)에 저류된 액체(19)가 자중 및 대기압 및 전술한 저류부 내하면의 경사에 의해, 저류부(2)에 저류된 액체(19)를 일정량씩 연통공(15)을 통하여 반응부(8)로 흘려 넣을 수가 있어, 부가적인 기구는 필요하지 않다. 그리고, 연통공(15)의 직경이나 길이를 변경함으로써, 액체(19)가 저류부(2)로부터 반응부(8)로 흘러드는 속도[유량(流量)]를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액체 충전 보조구(1)는, 스테인레스강 등 열전도율이 큰 금속 재료로 형성하면 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가열 시에 저류부(2)에 머무는 액체(19)도 따뜻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반대로, 액체(19)의 증발을 억제하려 할 때나 가열을 행하지 않을 때는, 열전도율이 낮은 수지 재료로 형성해도 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적은 양의 액체(19)에서도 반응시킬 수 있다. 또한, 투명한 수지 재료이면, 반응부(8) 내가 보이는 것도 형성할 수 있다.
<슬라이드 유리에 대한 설치 및 반응 처리>
도 4에 본 실시형태의 액체 충전 보조구를 슬라이드 유리에 설치하고, 액체를 토출했을 때의 액체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를 나타낸다. (a)는 저류부에 액체를 토출한 직후 상태, (b)는 저류부로부터 연통공을 통하여 반응부로 액체가 흘러드는 상태, (c)는 반응부 전체에 액체를 충전을 종료한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도면 중, 검은 화살표는 액체의 흐름을, 흰 화살표는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의 액체 충전 보조구(1)를 슬라이드 유리(16) 상에 탑재하고, 반응부(8)와 슬라이드 유리(16)에 의해 에워싸인 공간이, 대상이 되는 물질을 반응시키는 반응실(17)을 형성한다. 탑재한 액체 충전 보조구(1)는, 암(arm) 등의 유지구로 아래쪽으로 눌러붙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반응실(17)에 액체(19)를 채우고, 대상이 되는 물질을 반응시키려면, 다음과 같이 한다.
먼저, 토출 장치(18)로부터 저류부(2)로 액체(19)를 토출한다[도 4의 (a)]. 이 때, 반응실(17)의 용량분만이 아니고, 필요로 하는 분량을 단번에 저류부(2)로 토출한다. 저류부(2)로 토출하는 액체(19)의 분량은, 반응실(17)의 용량의 수배∼수십 배의 분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저류부(2)의 개구(3)는, 본체(30)의 상면의 면적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넓이로 형성하고 있으므로, 토출 장치(18)를 정밀하게 위치 결정하지 않고도 액체(19)를 토출 공급할 수 있다.
저류부(2)에 공급된 액체(19)는, 자중(自重) 및 대기압 및 저류부(2)의 바닥부의 경사면(5)의 작용에 의해, 저류부(2)의 바닥부의 경사면(5)을 따라 중앙에 있는 연통공(15)의 상부로 인도되고, 그대로 연통공(15)으로 흘러든다(부호 "20"). 그리고, 연통공(15)을 통하여 반응실(17)로 흘러든 액체(19)는, 반응실(17)의 경사면(11)과 슬라이드 유리(16)에 의해 협지된 공간에 의해 발생되는 모세관 현상에 의한 힘에 의해, 좌우의 단변측 단부(13, 13)를 향해 흘러 간다(부호 "21"). 이 때, 반응실(17) 내에 있었던 공기는, 액체(19)보다 가볍기 때문에, 반응실(17)의 경사면(11)의 경사를 따라 진행되어, 경사의 최고 위치(12)에 있는 통기공(14)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부호 "22")[도 4의 (b)].
저류부(2)에 머무는 액체(19)는, 반응실(17)의 용량보다 많기 때문에, 반응실(17) 내로 계속 흘러들고, 반응실(17)의 단변측 단부(13, 13)에 도달하면, 그대로 4개의 통기공(14) 내를 각각 올라간다. 4개의 통기공(14) 내를 올라가는 액체(19)는, 저류부(2) 내의 액체(19)와 평형을 이루는 곳에서 멈춘다[도 4의 (c)]. 이것은, 저류부(2)가, 반응실(17)의 바로 위와 연통공(15)에 의해 유체적으로 연통되어 설치되고, 또한 통기공(14)이 저류부(2)와 평행하게 반응실(17)로부터 저류부(2) 상단(上端)과 같은 높이까지 관통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들 통기공(14) 내를 오른 액체(19)나, 저류부(2) 내에 남은 액체(19)가, 추가의 토출 대신으로 되어, 반응실(17) 내의 액체(19)가 감소했을 때 보충된다. 또한, 통기공(14) 내를 올라감으로써, 액체(19)와 외기와의 접촉 면적을 줄여, 불필요한 건조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반응실(17)과 슬라이드 유리(16)와의 간극이, 중앙으로부터 각 단변측 단부(13, 13)까지, 모세관 현상에 의한 힘을 발생시키는 데 충분한 간극인 것, 반응실(17)의 경사면(11, 11)이 경사져 있는 것, 그 경사의 최고 위치(12)에 복수의 통기공(14)을 가지는 것 등으로부터, 기포가 혼입되지 않고, 반응실(17) 전체를 액체(19)로 채울 수 있다. 또한, 반응실(17)의 바로 위에 반응실(17)보다 큰 용량의 저류부(2)를 설치하는 것, 연통공(15)에 의해 반응실(17)과 저류부(2)를 접속하는 것 등으로부터, 필요량의 액체(19)를 머물게 할 수 있어, 액체(19)의 추가 토출을 행하지 않아도 된다.
<<제2 실시형태>>
제2 실시형태의 액체 충전 보조구(1)는, 심굴부(深掘部)(24)를 구비하고 있는 점에서 주로 제1 실시형태와 상위하다. 이하에서는, 제1 실시형태와 상위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공통되는 점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에 본 실시형태의 액체 충전 보조구(1)의 상면도, 도 9의 (a)에 도 8 내에 B―B선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9의 (b)에 도 8 내에 C―C선으로 나타낸 단면도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의 액체 충전 보조구(1)는, 직육면체형의 부재인 본체(30)에, 저류부(2)와, 반응부(8)와, 통기공(14)과, 연통공(15)을 구비하고, 슬라이드 유리(16)에 설치하여 사용되는 점은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의 액체 충전 보조구(1)는, 저류부(2)의 중앙에 심굴부(24)가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제1 실시형태와 상위하다.
심굴부(24)는, 저류부(2)의 중심에 형성된 홈이며, 상면으로부터 보면 저류부(2)의 단변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늘고 긴 타원형을 하고 있다. 심굴부(24)에는, 중심 방향을 향하는 보울(bowl) 형상의 경사면(25)이 형성되어 있고, 경사면(25)의 중심에는 연통공(15)이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25)은, 경사면(5)보다 급구배이므로, 경사면(25)으로의 액체의 잔류는 최소이다. 심굴부(24) 및 경사면(25)의 형상은,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의 중심선에 대하여 대칭인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심굴부(24)의 형상은, 예시한 타원형에 한정되지 않고, 또한 경사면(25)의 형상도 보울형에 한정되지 않는다.
심굴부(24)의 용적은, 심굴부(24)를 제1 오목부라고 하고, 심굴부(24)를 제외한 저류부(2)를 제2 오목부라고 할 경우, 제2 오목부의 용적이 제1 오목부의 용적의 2배 이상, 바람직하게는 10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배 이상으로 되도록 구성한다. 제2 실시형태의 제2 오목부[심굴부(24)]를 제외한 저류부(2)의 용적은, 제1 오목부[심굴부(24)]의 100배 이상으로 되어 있다. 다른 관점에서는, 심굴부(24)의 용적은 반응실(17)의 용적과 실질적으로 같거나 그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반응실(17)의 용적의 1/2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반응실(17)의 용적의 1/3 이하로 한다.
심굴부(24)가 형성되어 있다는 것의 기술적 의의는, 면역 조직 화학 염색법의 어떤 단계에서 사용되는 미량(예를 들면, 수백μL)의 고가의 액체를, 확실하게 연통공(15)으로부터 반응부(8)에 공급 가능하게 하는 것에 있다. 이 미량의 액체로서는, 예를 들면, 본 명세서의 배경 기술에서 기재한 제4 단계에서 1차 항체로서 사용되는 안티휴먼(antihuman) HER2/neu 유전자 산물(産物) 폴리클로날 항체가 개시되어 있다. 이 미량의 액체를 사용한 단계에서는, 심굴부(24)의 용적과 실질적으로 같은 양으로부터 수배의 양까지의 범위의 양의 액체가, 토출 장치로부터 저류부(2)의 대략 중심으로 토출함으로써 저류부(2)에 공급된다.
다른 한편, 면역 조직 화학 염색법의 어떤 단계에서는, 저렴한 액체를 고가의 액체의 예를 들면, 수십 배로부터 수백 배의 양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있고, 이와 같은 경우에도 액체 충전 보조구(1)를 사용하지 않으면 안된다. 예를 들면, 항원 부활화 단계에서는, 가열에 의해 액체가 증발하므로, 상대적으로 다량의 액체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점, 본 실시형태의 액체 충전 보조구(1)는, 제1 오목부[심굴부(24)]보다 용적이 큰 제2 오목부[심굴부(24)]를 제외한 저류부(2)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다량의 액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1 오목부뿐만아니라 제2 오목부도 사용함으로써 대응이 가능하다. 이 상대적으로 다량의 액체로서는, 예를 들면, 본 명세서의 배경 기술에 기재한 제3 단계에서 사용되는 항원 부활 화 액(10㎜ 구연산 나트륨 완충액 pH 6.0)이 개시되어 있다.
이상에 설명한 제2 실시형태의 액체 충전 보조구(1)에 의하면, 면역 조직 화학 염색법에서의 미량의 액체를 사용하는 단계와 상대적으로 다량의 액체를 사용하는 단계를, 같은 액체 충전 보조구(1)에 의해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상세를 실시예에 의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어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장치>
도 5에 실시예의 자동 염색 장치(51)를 설명하는 블록도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자동 염색 장치(51)는, 토출 장치(18)와, 구동 장치(52)와, 승강 장치(53)와, 암(유지구)(54)과, 스테이지(55)와, 히터(56)와, 제어 장치(61)를 주요한 구성 요소로 한다.
토출 장치(18)는, 슬라이드 유리(16) 상에 접착 내지 첩부된 생물 조직이나 세포 등을 반응시키기 위한 액체(19)를 토출하는 장치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선단에 노즐을 가지는 저류 용기의 내면에 밀착 슬라이딩 이동하는 플런저(plunger)를 원하는 양 이동시켜 토출하는 플런저식 토출 장치를 사용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플런저식 토출 장치를 사용하였지만, 이 이외의 방식의 토출 장치를 사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예를 들면, 선단에 노즐을 가지는 저류 용기 내의 액체에 압력 조정된 에어를 원하는 시간만 인가하는 에어식이나, 복수의 롤러나 건반형 부재를 가요성(可撓性) 튜브에 대하여 눌러 붙이도록 동작시켜 튜브 내의 액체를 이송하는 튜빙식(tubing typ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토출 장치(18)에 대한 액체(19)의 공급은, 토출 장치(18)가 구비하는 저류 용기에 의해 행해지는 것이 통상이지만, 플런저식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액체(19)를 다른 용기에 준비해 두고, 토출 전에 흡인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상기 토출 장치(18)는, 구동 장치(52)에 설치되고, XYZ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부호 "63"). 구동 장치(52)로서는, 예를 들면, 볼나사와 서보 모터나 스테핑 모터를 조합시켜 구동하는 것이나, 리니어 모터에 의해 구동하는 것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구동 장치(52)는, 토출 장치(18)와 액체 충전 보조구(1)를 XYZ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복수의 구동 장치에 의해 실현해도 되고, 예를 들면, 암(54) 측에 X방향 또는 Y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 구동 장치를 설치하고, 토출 장치(18) 측에 X방향 또는 Y방향 및 Z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 구동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실현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자동 염색 장치(51)는, 실시형태의 액체 충전 보조구(1)를 슬라이드 유리(16) 상에 탑재하고, 고정시키기 위해 승강 장치(53)를 구비한다. 액체 충전 보조구(1)는, 승강 장치(53)에 장착된 암(54)에 의해 파지하고, 스테이지(55)로부터 이격된 상승 위치와, 스테이지(55)와 슬라이드 유리(16)를 협지하여 접촉시키는 하강 위치와의 사이에서 승강 이동한다(부호 "62"). 승강 장치(53)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 구동 장치(52)와 마찬가지의 것이나, 에어 실린더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암(54)에는, 파지한 액체 충전 보조구(1)를 경사지게 하여 액체(19)를배출하기 위한 회동축(回動軸)을 설치해도 된다.
슬라이드 유리(16)의 아래쪽에는, 슬라이드 유리(16)를 유지하는 프레임형의 팰릿(57)과, 팰릿(57)의 중심부의 개구 내에 위치하여 압압(押壓)된 슬라이드 유리(16)를 지지하는 스테이지(55)를 구비한다. 팰릿(57) 상면에는, 슬라이드 유리(16)를 탑재할 때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슬라이드 유리(16)의 크기와 대략 같거나 약간 큰 홈형부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는 상이하게, 슬라이드 유리(16)를 에워싸도록, 슬라이드 유리(16)의 두께를 넘지 않는 높이의 돌기부를 팰릿(57) 상면에 형성해도 된다. 스테이지(55)는 히터(56)를 구비하고 있고, 스테이지(55)에 접촉된 슬라이드 유리(16)를 가열할 수 있다. 스테이지(55)의 아래쪽에는, 액받이 용기(58)와, 액받이 용기(58)에 접속되어 액받이 용기(58)가 받은 각종 액체를 수용하는 탱크(59)를 설치한다. 액받이 용기(58)는, 후술하는 세정 단계에서의 세정을 끝낸 후의 세정액이나, 반응을 끝낸 후의 액체(19) 등을 회수할 때 사용한다.
상기 팰릿(57)과 스테이지(55)는 다음과 같은 관계에 있다. 팰릿(57)은, 스프링(64)에 의해 하면으로부터 지지되어 있고, 상기 액체 충전 보조구(1)가 탑재되기 전, 슬라이드 유리(16)를 유지하는 면(상면)은, 스테이지(55)의 슬라이드 유리(16)를 지지하는 면(상면)보다 위에 있다[도 6의 (a)]. 팰릿(57) 상에 슬라이드 유리(16)를 탑재하고, 그 다음에, 액체 충전 보조구(1)를 탑재하고, 아래쪽으로 가압하면, 팰릿(57)을 지지하고 있는 스프링(64)이 축소되어, 슬라이드 유리(16)의 하면이 팰릿(57)의 개구 내에 위치하는 스테이지(55) 상면에 접촉하고, 액체 충전 보조구(1)와 스테이지(55)에 슬라이드 유리(16)가 협압(挾壓) 고정된다[도 6의 (b)]. 이와 같이 승강 장치(53)의 아래쪽으로의 압력과 스프링(64)의 위쪽으로의 가압력에 의해, 슬라이드 유리(16)와 액체 충전 보조구(1)는 간극없이 고정되고, 실링 부재·패킹 등을 설치하지 않고도, 누출이 적은 반응실(17)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유리(16)는 스테이지(55)와도 확실하게 고정되므로, 히터(56)를 사용하는 경우, 효율적으로 열을 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자동 염색 장치(51)에서는, 슬라이드 유리(16) 상에 부착되어 있는 먼지나 세정액 등을 제거하기 위해, 에어 블로우 장치(60)를 구비한다. 에어 블로우 장치(60)는, 예를 들면, 압축 공기원과 접속하고, 압축 공기를 분출하기 위한 노즐을 구비하고, 전자(電磁) 밸브 등에 의해 압축 공기의 공급과 정지를 전환하는 장치를 사용한다. 압축 공기를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는 것이면, 다른 구성이라도 된다.
전술한 각 기기(機器)는, 제어 장치(61)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 장치(61)는, 입출력 장치, 기억 장치, 처리 장치로부터 주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나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동작>
도 7에 실시예의 자동 염색 장치의 동작의 예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를 나타낸다.
이하에 나타내는 자동 염색 장치의 동작은, 전술한 면역 조직 화학 염색의 조작을 구성하는 복수의 단계 중, 대표적인 한 단계(전술한 단계에서, 예를 들면, 제2, 제3 단계에 상당함)에서의 동작을 예시하는 것이다. 단, 단계의 종류에 따라서는, 스테이지 가열의 유무나 액체 충전 보조구 승강의 유무, 반응 대기 시간 등, 내용이 약간 상이한 경우가 있다.
먼저 처음에, 대상 물질이 접착된 슬라이드 유리(16)를 팰릿(57) 상에 탑재한다(STEP101). 그리고, 슬라이드 유리(16) 상에 부착되어 있는 먼지나 세정액 등을 제거하기 위해, 에어 블로우를 행한다(STEP102). 에어 블로우를 종료했다면, 승강 장치(53)에 의해 액체 충전 보조구(1)를 하강시켜, 슬라이드 유리(16)를 액체 충전 보조구(1)와 스테이지(55)와의 사이에 협지되도록 고정시킨다(STEP103). 슬라이드 유리(16)를 고정시킨 후, 가열을 행하는 경우에는, 스테이지(55)의 가열을 개시한다(STEP104). 가열하지 않을 경우에는, STEP104를 실행하지 않고 다음의 스텝으로 진행한다. 그리고, 액체 충전 보조구(1) 상부의 저류부(2)를 향해 액체(19)를 토출한다(STEP105). 액체 충전 보조구(1) 상부의 저류부(2)에 토출된 액체(19)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연통공(15)을 통하여 반응부(8)로 흘러들고, 슬라이드 유리(16)와 반응부(8)에 의해 에워싸인 반응실(17)에 충전된다. 그리고, 미리 슬라이드 유리(16) 상에 접착되어 있는 대상 물질과 반응한다. 이 반응이 충분히 행해지도록, 소정 시간 경과할 때까지 대기한다(STEP106). 이 시간은, 대상 물질이나 액체의 종류에 따라서 상이하다. 소정 시간이 경과되었으면, 가열을 행하고 있었던 경우, 스테이지(55)의 가열을 종료한다(STEP107). 가열을 행하지 않았던 경우에는, STEP107을 실행하지 않고 다음의 스텝으로 진행한다. 그리고, 액체 충전 보조구(1)는 상승시키지 않고, 그대로 세정액의 토출을 행하고, 액체(19)의 경우와 동일하게 반응실(17)에 충전한다(STEP108). 세정 단계 종료 후, 액체 충전 보조구(1)를 상승시켜, 세정액을 배출한다(STEP109). 배출된 세정액은, 액받이 용기(58)에 의해 회수되어 탱크(59)에 수용된다. 이어서, 슬라이드 유리(16) 상에 남아 있는 세정액 등을 제거하기 위해, 에어 블로우를 행한다(STEP110). 이상이, 대표적인 한 단계의 동작이다.
계속하여 다른 단계를 실시하는 경우, 기본적으로는, 상기한 단계를 반복하면된다. 단, 슬라이드 유리(16)를 팰릿(57) 상에 탑재하는 스텝(STEP101)이나 에어 블로우 스텝 중 어느 하나(STEP102 또는 STEP110)는 생략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액체 충전 보조구의 반응부 바로 위에, 반응부보다 용량이 큰 저류부를 설치함으로써, 추가의 토출을 행할 필요는 없어, 단계를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가열을 행하는 경우에 액체의 증발이 생겼다고 해도, 저류부에 액체를 머물도록 하고 있으므로, 반응에 필요한 액체가 없어지지 않아, 반응의 불균일이나 과부족이 생기지 않는다.
1: 액체 충전 보조구, 2: 저류부, 3: 개구(저류부), 4: 벽(저류부), 5: 경사면(저류부), 6: 최바닥부, 7: 단변측 단부(저류부), 8: 반응부, 9: 개구(반응부, 10: 벽(반응부), 11: 경사면(반응부), 12: 최고 위치, 13: 단변측 단부(반응부), 14: 통기공, 15: 연통공, 16: 슬라이드 유리, 17: 반응실, 18: 토출 장치, 19: 액체, 20, 21: 액체의 흐름, 22: 공기의 흐름, 24: 심굴부, 25: 경사면, 30: 본체, 51: 자동 염색 장치, 52: 구동 장치, 53: 승강 장치, 54: 암(유지구), 55: 스테이지, 56: 히터, 57: 팰릿, 58: 액받이 용기, 59: 탱크, 60: 에어 블로우 장치, 61: 제어 장치, 62: 액체 충전 보조구 승강 방향(상하), 63: 토출 장치 이동 방향(XYZ), 64: 스프링

Claims (15)

  1. 판형체 상에 설치되고, 액체가 충전되는 반응실을 구성하는 액체 충전 보조구로서,
    본체;
    상기 본체에 형성된 액체를 저류(貯留)하기 위한 저류부;
    상기 본체의 하면에 설치된 오목한 반응부;
    상기 저류부와 상기 반응부를 유체적(流體的)으로 상시(常時) 연통시키는 연통공; 및
    상기 반응부와 대기를 연통시키는 복수의 통기공;
    을 포함하고,
    상기 반응부 및 상기 판형체의 상면이, 상기 반응실을 구성하고,
    상기 저류부가, 상기 연통공을 협지(sandwich)하여 상기 반응부의 바로 위쪽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복수의 통기공의 사이에 배치되는,
    액체 충전 보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부의 용적이 상기 반응부의 용적보다 큰, 액체 충전 보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부의 용적이 상기 반응부의 용적의 수배 ~ 수십배인, 액체 충전 보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면에 상기 저류부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액체 충전 보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공이, 상기 반응부 상면으로부터 상기 본체의 상면까지 관통하고 있는, 액체 충전 보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부가, 상기 반응부의 전역(全域)에 있어서 모세관 현상에 의한 힘이 발생하는 깊이로 구성되는, 액체 충전 보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공이, 상기 저류부의 중앙에 위치하는, 액체 충전 보조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부의 바닥면이 상기 연통공을 향하는 경사면 또는 홈을 가지는, 액체 충전 보조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공을 향하는 경사면 중 하나 이상이, 2개 이상의 경사를 가지는, 액체 충전 보조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부가, 상기 연통공이 형성된 제1 오목부와, 상기 제1 오목부보다 위쪽에 위치하고 또한 용적이 2배 이상 큰 제2 오목부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액체 충전 보조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부의 내상면(內上面; 천정면)이 통기공을 향하는 경사면 또는 홈을 가지고, 상기 통기공이, 상기 반응부의 내상면의 최고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액체 충전 보조구.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가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액체 충전 보조구.
  13.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체가, 염색 단계에서 사용되는 슬라이드 유리인, 액체 충전 보조구.
  14. 액체의 토출(吐出) 장치;
    슬라이드 유리를 유지하는 팰릿(pallet);
    상기 토출 장치를 상기 팰릿에 대하여 XYZ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구동 장치;
    제13항의 액체 충전 보조구를 유지하는 유지구; 및
    상기 유지구를 승강 동작시키는 승강 장치;
    를 포함하는 자동 염색 장치.
  15.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액체 충전 보조구를 사용한 액체 충전 방법으로서,
    상기 액체 충전 보조구를 판형체 상에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반응실의 용적 이상의 양의 액체를 저류부에 토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액체 충전 방법.
KR1020157020605A 2013-01-08 2014-01-08 액체 충전 보조구 및 액체 충전 방법 KR1021986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01023 2013-01-08
JPJP-P-2013-001023 2013-01-08
PCT/JP2014/050100 WO2014109323A1 (ja) 2013-01-08 2014-01-08 液体充填補助具および液体充填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3192A KR20150103192A (ko) 2015-09-09
KR102198627B1 true KR102198627B1 (ko) 2021-01-05

Family

ID=51166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0605A KR102198627B1 (ko) 2013-01-08 2014-01-08 액체 충전 보조구 및 액체 충전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719896B2 (ko)
EP (1) EP2944940B1 (ko)
JP (1) JP6318093B2 (ko)
KR (1) KR102198627B1 (ko)
CN (1) CN104903696B (ko)
WO (1) WO20141093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25259B1 (en) 2014-11-26 2020-04-21 Medica Corporation Automated microscopic cell analysis
US20170328924A1 (en) 2014-11-26 2017-11-16 Ronald Jones Automated microscopic cell analysis
US11478789B2 (en) 2014-11-26 2022-10-25 Medica Corporation Automated microscopic cell analysis
US9823263B2 (en) 2015-05-01 2017-11-21 Abbott Laboratories Apparatus for removing liquid contents of a container having a key activated sliding lock and method therefore
US9976946B2 (en) * 2016-04-21 2018-05-22 Instrumentation Laboratory Company Optical flow cell and test head apparatus
US11047845B1 (en) 2017-11-15 2021-06-29 Medica Corporation Control material and methods for cell analyzers
CN113834715B (zh) * 2020-06-23 2024-05-14 上海伯顿医疗设备有限公司 一种多玻片装载量、气动雾化喷液的染色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08423A (ja) 1996-04-12 2000-07-04 ヴィジョン インストゥルメンツ リミテッド ヒト又は動物の細胞試料の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JP2002350305A (ja) 2001-05-28 2002-12-04 Aloka Co Ltd 液展開用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サンプル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92450A (en) * 1981-02-12 1983-07-12 Prevo Donald L Device for spreading monolayered films
GB8722902D0 (en) * 1987-09-30 1987-11-04 Shandon Southern Prod Tissue &c processing
JP2554115Y2 (ja) * 1991-03-22 1997-11-12 澄晴 野地 スライドグラス用ホルダ
US5922604A (en) * 1997-06-05 1999-07-13 Gene Tec Corporation Thin reaction chambers for containing and handling liquid microvolumes
US6673620B1 (en) * 1999-04-20 2004-01-06 Cytologix Corporation Fluid exchange in a chamber on a microscope slide
DE60040977D1 (de) * 1999-04-20 2009-01-15 Cytologix Corp Flüssigkeitswechsel in einer kammer auf einem mikroskopobjektträger
US7468161B2 (en) 2002-04-15 2008-12-23 Ventana Medical Systems, Inc. Automated high volume slide processing system
CA2482441C (en) * 2002-04-15 2010-06-22 Ventana Medical Systems, Inc. Automated high volume slide staining system
AUPS309002A0 (en) 2002-06-20 2002-07-11 Vision Biosystems Limited A covertile for a substrate
CA2563613A1 (en) * 2004-04-16 2005-12-08 Wei-Sing Chu Device for extracting biological molecules from tissue specimens
US20090286305A1 (en) 2005-04-15 2009-11-19 Wei-Sing Chu Method for non-destructive macromolecule extraction from biological samples on slide
JP5881936B2 (ja) * 2009-04-20 2016-03-09 ソニー株式会社 試料溶液導入キット及び試料溶液注入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08423A (ja) 1996-04-12 2000-07-04 ヴィジョン インストゥルメンツ リミテッド ヒト又は動物の細胞試料の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JP2002350305A (ja) 2001-05-28 2002-12-04 Aloka Co Ltd 液展開用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サンプル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09323A1 (ja) 2014-07-17
CN104903696B (zh) 2019-02-19
EP2944940A1 (en) 2015-11-18
JPWO2014109323A1 (ja) 2017-01-19
US20160003718A1 (en) 2016-01-07
US9719896B2 (en) 2017-08-01
CN104903696A (zh) 2015-09-09
JP6318093B2 (ja) 2018-04-25
EP2944940A4 (en) 2016-09-07
EP2944940B1 (en) 2020-07-08
KR20150103192A (ko) 2015-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8627B1 (ko) 액체 충전 보조구 및 액체 충전 방법
US7318913B2 (en) Fluid exchange in a chamber on a microscope slide
CN102858947B (zh) 细胞培养体系
US6989132B2 (en) Liquid transfer apparatus and reaction vessel
EP1171761B1 (en) Fluid exchange in a chamber on a microscope slide
US7476543B2 (en) Device and method for wetting objects
JP2005536727A5 (ko)
CN112469504A (zh) 对数字微流控中的蒸发的控制
US5830413A (en) Device for processing slide-mounted samples
CN108472647A (zh) 微流体布置
BR112012011181A2 (pt) &#39;&#39;estação de processsamento de peças corrediça automatizada e método de processamento de uma amostra&#39;&#39;
WO2010074915A2 (en) Evaporation mitigation for slide staining apparatus
CN116298353A (zh) 一种用于微体积液体移液操作的装置
KR20190085043A (ko) 액체의 수용, 분배, 및 이동을 위한 장치
US9194774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ling liquids in multiplex assays
US20110132109A1 (en) Device and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microdepositions
US20130344473A1 (en) Arresting objects
WO2010105845A2 (en) A cell cultivation receptacle and related apparatuses
CN111389049A (zh) 一种用于超微量样品的液-液微萃取方法
CN215286289U (zh) 一种生物试剂恒温存放装置
CN204342768U (zh) 用于精子染色质扩散试验的反应盒
CN104388302B (zh) 用于精子染色质扩散试验的反应盒
EP4056274A1 (en) Structures for supporting the filling of wells in microfluidic devices
JP2017136005A (ja) 分析用チップの処理装置および処理方法
JP2018191608A (ja) 核酸増幅装置及び核酸増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