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7301B1 - 자기부상식 가수장치 및 가습기 - Google Patents

자기부상식 가수장치 및 가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7301B1
KR102197301B1 KR1020187027436A KR20187027436A KR102197301B1 KR 102197301 B1 KR102197301 B1 KR 102197301B1 KR 1020187027436 A KR1020187027436 A KR 1020187027436A KR 20187027436 A KR20187027436 A KR 20187027436A KR 102197301 B1 KR102197301 B1 KR 1021973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valve
magnetic
sink
discharge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7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2059A (ko
Inventor
용루이 샤오
쥬에위안 천
웨이린 우
Original Assignee
시아먼 에어플 일렉트로닉 인더스트리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아먼 에어플 일렉트로닉 인더스트리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시아먼 에어플 일렉트로닉 인더스트리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80112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2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7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73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8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air-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16K31/0655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using a permanent magnet
    • F16K31/08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using a permanent magnet using a electromagnet and a permanent magn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기부상식 가수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자기부상식 가수장치는 물 탱크, 싱크, 물 배출 밸브 및 자력 발생기를 포함하고 물 탱크 물은 물 배출 밸브를 통하여 싱크 내로 들어가 물을 보충한다. 물 배출 밸브에는 자력모듈이 설치되어 있고 자력 모듈은 자동력 발생기와 협력하여 물 배출 밸브를 자기부상식 기폐구조로 형성한다. 본 발명은 물 탱크 저부에 설치된 자기부상 개폐 구조를 통하여, 전류 방향을 통해 N극 또는 S극 자력을 제어하고 자력모듈과 작용하여 물 배출 밸브의 밀봉부를 밀어 올려 수구를 열고 싱크 내에 물을 보충하며, 소비자가 물을 쉽게 넣을 수 있게 한다. 특히 노인 또는 어린이가 본 구조의 가습기를 사용하는 경우, 안정성이 높아진다. 본 발명의 자기부상식 가수장치는 생산 효율이 높고 수명이 길며, 수리가 편리하고, 비용이 저렴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자기부상식 가수장치 및 가습기
본 발명은 자기부상 식 가수장치 및 공기가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국제특허 분류표(IPC)에 따른 공기가습설비 기술영역에 속한다.
가습기는 방의 습도를 높여주는 가정용 전자기기이다. 가습기는 물안개를 공기 중에 확신시켜, 공기를 습윤하게 하고, 균일한 가습을 달성하며, 건강 증진을 목적으로 하여 쾌적한 생활 환경을 조성한다. 현재 시장에서의 가습기에는 가수 방식은 주로 아래와 같은 결함이 있었다.
1. 가습기 가수(물 첨가) 시 물탱크를 들어올려야 하고, 물탱크에 물을 넣고 다시 물탱크를 들어서 가습기에 넣는 작업을 해야 한다.
2. 물탱크가 3~9L인 경우, 무게 때문에 들어올리기가 불편하여 소비자에게 안전상 위험을 야기한다.
3. 시장의 가습기에는 솔레노이드밸브 방식을 사용하여 물을 첨가하는데, 기계 구조가 복잡하고, 밀봉성에 부족함이 있을 수 있어 설치의 불편함을 초래하고, 사용 수명이 짧은 등의 단점이 있다.
4. 또한 가습기는 부력방식을 사용하는데, 밸브 가공의 정밀도로 인해 대량 생산 등 현상에 맞지 않는다.
5. 마지막으로, 가습기는 물 첨가 입구에 밀봉 링(sealing ring) 방식을 사용하는데, 사용자 사용과정 중에 밀봉 링을 끝까지 돌리지 않으면 누수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CN 105909834 A에서 가습기의 물 밸브 구조를 공개하였는데, 물탱크 물 배출관에 설치된 물 밸브와 증기 발생 챔버에 설치된 수위 조절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수위 조절 장치는 탑 로드, 솔레노이드밸브, 및 솔레노이드밸브에 연결된 플로트 스위치(float switch)를 포함하고, 상기 탑 로드는 물 밸브 아래에 있다. 상기 플로트 스위치의 플로트는 수위 변화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고, 플로트 위치가 리드 스위치(reed switch)보다 낮아지면, 솔레노이드밸브가 작동하고 탑 로드가 올라가서 배수 밸브가 배수 상태가 된다. 상기 문헌의 솔레노이드밸브의 밸브핸들(스템)은 증기 발생 챔버를 뚫고 들어가고 탑 로드와 작용하고 증기 발생 챔버의 오픈 포어(개구)에 의해 개구부에 쉽게 물이 샐 수 있다.
본 발명은 물 탱크 저부에 설치된 자기부상 개폐 구조를 통하여, 전류 방향을 통해 N극 또는 S극 자력을 제어하고 자력모듈과 작용하여 물 배출 밸브의 밀봉부를 밀어 올려 수구를 열고 싱크 내에 물을 보충하며, 소비자가 물을 쉽게 넣을 수 있게 한다. 특히 노인 또는 어린이가 본 구조의 가습기를 사용하는 경우, 안정성이 높아진다. 본 발명의 자기부상식 가수장치는 생산 효율이 높고 수명이 길며, 수리가 편리하고, 비용이 저렴한 장점이 있다.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자기부상식 가수 장치를 제안한다. 자기부상 원리를 통해 싱크 밸브 개폐를 조절하여 가습기의 위에 물을 넣는 것을 실현한다. 구조가 합리적이고 사용 수명이 길며, 수리가 편리하다는 등의 장점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하의 기술방안을 통해 실현된다.
자기부상식 가수장치는 물 탱크, 싱크, 물 배출 밸브 및 자동력 발생기를 포함하고, 싱크는 물 탱크 하면에 설치되며, 싱크 내에 증기 형성을 위한 공간이 있다. 물 탱크 저부에 출구가 설치되어 있고, 출구에는 물 배출 밸브가 설치되어 있으며, 물 탱크 내에 물은 물 배출 밸브를 통하여 싱크 내로 들어가 물을 보충한다. 물 배출 밸브에는 자력모듈이 설치되어 있고, 자력모듈은 자동력 발생기와 협력하여 물 배출 밸브를 자기부상식 개폐 구조로 형성한다. 자동력 발생기는 싱크 외부에 설치되고, 자동력 발생기가 생성한 자력이 싱크 벽을 통과하고 물 배출 밸브의 자력모듈과 발생 작용하여 물 배출 밸브의 밀봉부를 밀어서 물 배출 밸브의 수구를 열고 닫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물 배출 밸브는 밸브시트와 밸브코어를 포함하고, 밸브시트는 물 탱크의 출구에 밀봉 연접되고, 밸브시트에는 수구가 설치되며 밸브코어는 수구에 설치되고, 밸브코어의 하단에 자력모듈이 연결되어 자동력 발생기와 작용하여 밸브코어를 제어하며 물 배출 밸브의 수구를 열거나 닫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밸브코어는 밸브디스크와 밸브기둥을 포함하고, 밸브디스크는 밸브기둥과 연접해있으며, 밸브디스크는 밸브시트 수구를 밀봉하고, 밸브기둥은 싱크 내로 연장되고, 밸브기둥 저단은 자력모듈과 연결되며, 밸브기둥 측면에 안내부가 있고, 밸브시트에는 안내부와 맞물리는 안내홈이 있으며, 밸브코어는 안내홈을 따라 상하 변위되어 밸브디스크를 밸브시트 수구와 접합 또는 분리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밸브기둥에는 복위 스프링이 씌워져 있고, 복위 스프링은 밸브시트 수구 아래에 위치하여 수구 상방의 밸브디스크를 밸브시트 수구에 꽉 닫히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동력 발생기는 싱크에서 물탱크 출구 대응 부분의 외측 요홈 내에 설치되고, 자동력 발생기는 쇠막대기와 쇠막대기 둘레에 감긴 코일을 포함하며, 코일은 직류전원과 외접하고, 전원이 통하면 전원이 흘러 자동력 발생기가 자력모듈과 작용하여 N극 또는 S극 자력을 발생하고, N극 또는 S극 자력은 싱크의 벽을 통과하고 자력모듈 N극 또는 S극과 작용하여 자력을 형성하며, 동성 반발 또는 이성 끌어당김의 물리원리를 이용하여 자력 모듈과 서로 연결된 밸브코어가 물 배출 밸브의 수구를 열거나 닫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싱크 내에 수위 검출 장치가 설치되고, 수위 검출 장치는 제어기에 연결되며, 제어기는 자동력 발생기의 코일 전류 방향을 제어한다.
바람직하게는 싱크 내 물 부족 상태에서 수위 검출 장치는 제어기에 물 부족 신호를 전달하고 자동력 발생기는 자력모듈과 같은 극성의 자력을 발생하여 밸브코어를 밀어 올려 물 배출 밸브의 수구를 열고 물을 보충하고, 싱크 내 물이 가득 찬 상태에서 수위 검출 장치는 제어기에 물 충분 신호를 전달하고 자동력 발생기는 자력모듈과 다른 극성의 자력을 발생하여 밸브코어를 끌어당겨 물 배출 밸브의 수구를 닫는다.
공기 가습기는 자기부상식 가수장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물 탱크 내에 증기관이 설치되고, 증기관 저부는 싱크와 연동되며, 증기관의 상단부는 물 첨가 덮개를 관통하여 증기 출구를 형성하고 물 탱크는 받침판 상에 안장되고, 받침판 내에 싱크가 물 탱크와 맞물려 설치된다.
본 발명은 물 탱크 저부에 설치된 자기부상 개폐 구조를 통하여, 전류 방향을 통해 N극 또는 S극 자력을 제어하고 자력모듈과 작용하여 물 배출 밸브의 밀봉부를 밀어 올려 수구를 열고 싱크 내에 물을 보충하며, 소비자가 물을 쉽게 넣을 수 있게 한다. 특히 노인 또는 어린이가 본 구조의 가습기를 사용하는 경우, 안정성이 높아진다. 본 발명의 자기부상식 가수장치는 생산 효율이 높고 수명이 길며, 수리가 편리하고, 비용이 저렴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물 탱크 저부에 설치된 자기부상 개폐 구조를 통하여, 전류 방향을 통해 N극 또는 S극 자력을 제어하고 자력모듈과 작용하여 물 배출 밸브의 밀봉부를 밀어 올려 수구를 열고 싱크 내에 물을 보충하며, 소비자가 물을 쉽게 넣을 수 있게 한다. 특히 노인 또는 어린이가 본 구조의 가습기를 사용하는 경우, 안정성이 높아진다. 본 발명의 자기부상식 가수장치는 생산 효율이 높고 수명이 길며, 수리가 편리하고, 비용이 저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예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물 공급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가습기 실시예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가습기 실시예 다른 단면이다.
도 5는 본 발명 가습기 물 배출 밸브 분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 물 배출 밸브의 다른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도 1에서 도 6을 참조하면, 자기부상식 가수장치(100)는 물 탱크(1), 싱크(2), 물 배출 밸브(3) 및 자력 발생기(4)를 포함하고, 싱크(2)는 물 탱크(1) 하면에 설치되며, 싱크(2) 내에 증기 형성을 위한 공간이 있다. 물 탱크(1) 저부에 출구가 설치되어 있고, 출구에는 물 배출 밸브(3)가 설치되어 있으며, 물 탱크(1) 내에 저장된 물은 물 배출 밸브(3)를 통하여 싱크(2) 내로 들어가 물을 보충한다. 물 배출 밸브(3)에는 자력모듈(31)이 설치되어 있고, 자력모듈(31)은 강자성 자석 또는 강자성 영구자석 또는 자석일 수 있다. 자력모듈 양단은 S극과 N극이고, 자력모듈(31)는 자동력 발생기(4)와 협력하여 물 배출 밸브를 지기부상식 개폐 구조로 형성한다. 상기의 자동력 발생기(4)는 싱크(2) 외부에 설치되고, 자동력 발생기(4)가 생성한 자력이 싱크 벽을 통과하고 물 배출 밸브(3)의 자력모듈(31)과 발생 작용하여 물 배출 밸브(3)의 밀봉부(즉 밸브 또는 밸브디스크)를 밀어서 물 배출 밸브의 수구(물 배출구)를 열고 닫는다. 물 배출 밸브(3)는 밸브시트(32)와 밸브코어(33)를 포함하고 밸브시트(32)는 물 탱크의 출구에 밀봉 연접되고, 밸브시트(32)에는 수구(322)가 설치되고, 밸브코어(33)는 수구에 설치된다. 밸브코어(33)의 하단에 자력모듈(31)이 연결되어 자동력 발생기(4)와 작용하여 밸브코어(33)를 제어하여 물 배출 밸브의 수구를 열거나 닫는다. 밸브시트(32) 중앙 수구 외측에는 외측링(323)이 있고, 외측링과 중심 수구 사이에 원형 통로(환도)가 있다. 외측링 내에는 나사산이 있어 물 탱크와 연접 고정된다. 밸브코어(33)는 밸브디스크(331)와 밸브기둥(332)을 포함하고, 밸브디스크(331) (밸브라고도 함)는 밸브기둥(332)과 연접해있으며, 밸브디스크(331)는 밸브시트 수구(322)를 밀봉한다. 밸브기둥(332)은 싱크 내로 연장되고, 밸브기둥(332) 저단은 자력모듈(31)과 연결되며, 자력모듈은 밸브기둥 저단의 방수 공간 내에 배치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기둥(332) 측면에 안내부(333)가 있고, 안내부는 밸브기둥 양측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대칭을 이루고, 안내부는 밸브기둥과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밸브시트(32)에는 안내부(333)와 맞물리는 안내홈이 있다. 밸브코어(33)는 안내홈(321)을 따라 상하 변위되어 밸브디스크(331)를 밸브시트 수구(322)와 접합 또는 분리시킨다. 본 발명의 밸브기둥도 자력모듈 재료를 사용하여 성형할 수 있고, 자력모듈과 일체일 수 있다. 즉, 도 1 또는 도 2와 같이 밸브기둥은 강자성을 가지고, 밸브기둥 저단은 N극 또는 S극일 수 있다. 밸브기둥(332)에는 복위 스프링(34)이 씌워져 있고, 복위 스프링(34)은 밸브시트(32) 수구 아래에 위치하여 수구 상방의 밸브디스크(331)를 밸브시트 수구(322)에 꽉 닫히게 한다. 복위 스프링(34)은 위는 크고 아래는 작은 압축 스프링이고, 스프링의 큰 단부는 밸브시트 수구 하측 주변에 맞닿는다. 스프링 작은 단부는 밸브기둥과 안내부 결합부분에 접근해있다. 자동력 발생기(4)는 싱크(2)에서 물탱크(1) 출구 대응 부분의 외측 요홈 내에 설치된다. 자동력 발생기(4)는 쇠막대기(41)와 쇠막대기 둘레에 감긴 코일(42)을 포함한다. 코일은 직류 전원과 외접한다. 전원이 통하면 전원이 흘러 자동력 발생기(4)가 자력모듈(31)과 작용하여 N극 또는 S극 자력을 발생한다. N극 또는 S극 자력은 싱크(2)의 벽을 통과하고 자력모듈 N극 또는 S극과 작용하여 자력을 형성하며, 동성 반발 또는 이성 끌어당김의 물리원리를 이용하여 충돌 힘(팽력) 모듈(31)과 서로 연결된 밸브코어(33)가 물 배출 밸브의 수구를 열거나 닫게 한다. 싱크(2) 내에 수위 검출 장치(5)가 설치되고, 수위 검출 장치(5)는 제어기에 연결되고, 제어기는 자동력 발생기의 코일 전류 방향을 제어한다. 싱크(2) 내 물 부족 상태에서, 수위 검출 장치(5)는 제어기에 물 부족 신호를 전달하고, 자동력 발생기(4)는 자력모듈(31)과 같은 극성의 자력을 발생하여 밸브코어(33)를 밀어 올려 물 배출 밸브의 수구를 열고 물을 보충한다. 싱크(2) 내 물이 가득 찬 상태에서, 수위 검출 장치(5)는 제어기에 물 충분 신호를 전달하고, 자동력 발생기(4)는 자력모듈(31)과 다른 극성의 자력을 발생하여 밸브코어(33)를 끌어당겨 물 배출 밸브의 수구를 닫는다.
도 3, 도 4와 같이 공기 가습기는 자기부상식 가수장치(100), 물 탱크(1)내에 증기관(101)이 설치되고, 증기관(101) 저부는 싱크(2)와 연통되며, 증기관(101)의 상단부는 물 첨가 덮개(102)를 관통하여 증기 출구를 형성한다. 물 탱크(1)는 받침판(103) 상에 안장되고, 받침판(103) 내에 싱크(2)가 물 탱크(1)와 맞물려 설치된다.
본 발명 자기부상식 가수 장치 및 가습기의 작동을 설명한다.
1. 물탱크에 물을 넣는 상태 설명
(1) 상부로부터 물이 첨가되고, 밸브(물 배출 밸브, 3)는 복위 스프링(34)의 작용 하에, 실리카겔 밀봉 링(sealing ring) (밸브디스크 331 또는 밸브)과 물탱크 배수구를 밀봉하여 물탱크 내의 물이 중력의 작용으로 싱크에 흘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2) 밸브(물 배출 밸브, 3)는 복위 스프링의 또 다른 작용을 채용하고, 물탱크를 들어올릴 때 스프링의 작용 힘 하에 실리카겔 밀봉 링과 배수구를 단단히 조여서 누수를 방지하며 물탱크를 꺼낼 때 배수구에 물이 새고 바닥이 젓게 되는 것을 피한다.
2. 싱크에 물이 들어오는(물 보충) 상태 설명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기(가습기)가 켜진 후, 수위 검출 장치가 싱크 수위가 설정값보다 낮은 것을 검출하면, 물 부족 모드가 활성화되고, 물 부족 모드는 받침판 내의 코일 회로를 활성화하여 직류전류를 통하게 한다. 코일에는 전류가 흐르는 중간 쇠막대기가 있어 상방에 N극, 하방에 S극의 자성을 생성한다(이것이 전자기 현상이다). 싱크의 실리카겔 밀봉 링(밸브디스크 331) 중심에 있는 기둥은 영구자석(301) 이거나, 밸브기둥은 강자성 자력모듈에 연결되고 하면은 N극이고 상방은 S극이다. 도면에서와 같이, 자성의 동성 반발, 이성 끌어당김(물리원리) 작용하에, 복위 스프링(34) 힘을 극복하고 영구자석을 위로 이동시킨다. 영구자석의 상향 작용하에, 밀봉 링(밸브디스크)도 이동하여 수구(물 입구)가 열리고, 물탱크(1) 내의 물이 중력 작용에 의해 싱크(2)로 유입된다.
3. 싱크에 물이 가득 찬(만수) 상태 설명
수위 검출 장치가 싱크 수위가 설정값보다 높은 것을 검출하면, 물 충분 모드가 활성화되고, 물 충분 모드는 받침판 내의 코일 회로를 활성화하여 직류전류를 통하게 한다. 코일에는 전류가 흐르는 중간 쇠막대기가 있어 상방에 N극, 하방에 S극의 자성을 생성한다(이것이 전자기 현상이다). 싱크의 실리카겔 밀봉 링(밸브디스크) 중심에 있는 기둥이 영구자석(강자성)이거나, 밸브기둥은 강자성 자력모듈에 연결되고 하면은 N극이고 상방은 S극이다. 자성의 동성 반발, 이성 끌어당김(물리원리) 작용하에 영구자석을 아래로 이동시키고, 영구자석의 하향 작용 하에 밀봉 링(밸브디스크)도 이동하여 밀봉 링과 물탱크 수구가 밀봉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탱크 내의 물은 싱크로 유입될 수 없다.
상기 설명은 단지 본 기술 내용을 이용한 실시예이며, 어떤 통상의 기술자 본 창작을 활용한 수정, 변형 모두 본 창작 주장의 권리범위에 속하고, 실시예에 게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Claims (9)

  1. 물 탱크, 싱크, 물 배출 밸브 및 자동력 발생기를 포함하고,
    싱크는 물 탱크 하면에 설치되며,
    싱크 내에 증기 형성을 위한 공간이 있고,
    물 탱크 저부에 출구가 설치되어 있고,
    출구에는 물 배출 밸브가 설치되어 있으며,
    물 탱크 내에 물은 물 배출 밸브를 통하여 싱크 내로 들어가 물을 보충하며 물 배출 밸브에는 자력모듈이 설치되어 있고,
    자력모듈은 자동력 발생기와 협력하여 물 배출 밸브를 자기부상식 개폐 구조로 형성하고, 상기 자동력 발생기는 싱크 외부에 설치되고, 자동력 발생기가 생성한 자력이 싱크 벽을 통과하고 물 배출 밸브의 자력모듈과 발생 작용하여 물 배출 밸브의 밀봉부를 밀어서 물 배출 밸브의 수구를 열고 닫고,
    상기 물 배출 밸브는 밸브코어를 포함하고, 밸브코어의 하단에 자력모듈이 연결되어 자동력 발생기와 작용하여 밸브코어를 제어하며 물 배출 밸브의 수구를 열거나 닫고, 상기 밸브코어는 밸브기둥을 포함하고, 밸브기둥은 싱크 내로 연장되고, 밸브기둥 저단은 자력모듈과 연결되며, 밸브기둥 측면에 안내부가 있고, 상기 자력모듈은 밸브기둥 저단의 방수 공간 내에 배치되고,
    복위 스프링(34)은 위는 크고 아래는 작은 압축 스프링이고, 스프링의 큰 단부는 밸브시트 수구 하측 주변에 맞닿고, 스프링 작은 단부는 밸브기둥과 안내부 결합부분에 접근하고,
    물 배출 밸브의 수구가 개방될 때 밸브기둥 저단은 싱크 저부에서 이격되어 공간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부상식 가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부상식 가수장치는,
    상기 물 배출 밸브는 밸브시트를 더 포함하고, 밸브시트는 물 탱크의 출구에 밀봉 연접되고, 밸브시트에는 수구가 설치되며 밸브코어는 수구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부상식 가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부상식 가수장치는,
    상기 밸브코어는 밸브디스크를 더 포함하고, 밸브디스크는 밸브기둥과 연접해있으며, 밸브디스크는 밸브시트 수구를 밀봉하고, 밸브시트에는 안내부와 맞물리는 안내홈이 있으며, 밸브코어는 안내홈을 따라 상하 변위되어 밸브디스크를 밸브시트 수구와 접합 또는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부상식 가수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부상식 가수장치는,
    상기 밸브기둥에는 복위 스프링이 씌워져 있고, 복위 스프링은 밸브시트 수구 아래에 위치하여 수구 상방의 밸브디스크를 밸브시트 수구에 꽉 닫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부상식 가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부상식 가수장치는,
    상기 자동력 발생기는 싱크에서 물탱크 출구 대응 부분의 외측 요홈 내에 설치되고, 자동력 발생기는 쇠막대기와 쇠막대기 둘레에 감긴 코일을 포함하며, 코일은 직류전원과 외접하고, 전원이 통하면 전원이 흘러 자동력 발생기가 자력모듈과 작용하여 N극 또는 S극 자력을 발생하고, N극 또는 S극 자력은 싱크의 벽을 통과하고 자력모듈 N극 또는 S극과 작용하여 자력을 형성하며, 동성 반발 또는 이성 끌어당김의 물리원리를 이용하여 자력 모듈과 서로 연결된 밸브코어가 물 배출 밸브의 수구를 열거나 닫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부상식 가수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부상식 가수장치는,
    상기 싱크 내에 수위 검출 장치가 설치되고, 수위 검출 장치는 제어기에 연결되며, 제어기는 자동력 발생기의 코일 전류 방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부상식 가수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부상식 가수장치는,
    싱크 내 물 부족 상태에서 수위 검출 장치는 제어기에 물 부족 신호를 전달하고 자동력 발생기는 자력모듈과 같은 극성의 자력을 발생하여 밸브코어를 밀어 올려 물 배출 밸브의 수구를 열고 물을 보충하고, 싱크 내 물이 가득 찬 상태에서 수위 검출 장치는 제어기에 물 충분 신호를 전달하고 자동력 발생기는 자력모듈과 다른 극성의 자력을 발생하여 밸브코어를 끌어당겨 물 배출 밸브의 수구를 닫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부상식 가수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자기부상식 가수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가습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가습기는,
    물 탱크 내에 증기관이 설치되고, 증기관 저부는 싱크와 연동되며, 증기관의 상단부는 물 첨가 덮개를 관통하여 증기 출구를 형성하고 물 탱크는 받침판 상에 안장되고, 받침판 내에 싱크가 물 탱크와 맞물려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가습기.

KR1020187027436A 2017-01-11 2017-04-06 자기부상식 가수장치 및 가습기 KR1021973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0019709.XA CN106765796A (zh) 2017-01-11 2017-01-11 一种磁悬浮式加水装置及空气加湿器
CN201710019709X 2017-01-11
PCT/CN2017/079556 WO2018129820A1 (zh) 2017-01-11 2017-04-06 一种磁悬浮式加水装置及空气加湿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2059A KR20180112059A (ko) 2018-10-11
KR102197301B1 true KR102197301B1 (ko) 2020-12-31

Family

ID=58947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7436A KR102197301B1 (ko) 2017-01-11 2017-04-06 자기부상식 가수장치 및 가습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677482B2 (ko)
KR (1) KR102197301B1 (ko)
CN (1) CN106765796A (ko)
WO (1) WO20181298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041086A1 (en) * 2017-08-01 2019-02-07 D-M-S Holdings, Inc. Humidifier liquid tank
US10830469B2 (en) 2017-08-01 2020-11-10 D-M-S Holdings, Inc. Humidifier measurement and control
CN107621031B (zh) * 2017-10-30 2023-09-08 小熊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上加水加湿器
CN108131735A (zh) * 2018-01-30 2018-06-08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水箱组件和具有其的空调器
CN108870609B (zh) * 2018-07-09 2024-01-2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加湿器
CN108870608B (zh) * 2018-07-09 2024-03-1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加湿器
CN208719369U (zh) * 2018-07-13 2019-04-09 佛山市顺德区德尔玛电器有限公司 一种加湿器的开阀结构及应用该结构的加湿器
CN108825804B (zh) * 2018-08-27 2023-08-1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出水阀结构及包括其的加湿器
CN108825803A (zh) * 2018-08-27 2018-11-1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出水阀结构及包括其的加湿器
CN111406664B (zh) * 2018-08-28 2021-08-03 青岛意联机械工业有限公司 一种自控式加水的猪食槽及方法
CN109405140A (zh) * 2018-11-28 2019-03-01 佛山市思迈乐电器有限公司 一种新型加湿器
CN109667311A (zh) * 2019-01-14 2019-04-23 中山市吉瑞格家居科技有限公司 一种补水装置
CN110469932A (zh) * 2019-07-30 2019-11-19 嘉善声盛电子塑料有限公司 工业用增湿机
US20220065492A1 (en) * 2020-08-31 2022-03-03 Dirk Niedermann Portable air treatment apparatus
CN112537850B (zh) * 2020-11-17 2023-07-04 中国水产科学研究院珠江水产研究所 一种用于改善池塘沉积物环境的微生物自动添加投放装置
CN112960736A (zh) * 2021-02-26 2021-06-1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水处理装置及加湿器
CN115371160A (zh) * 2022-08-05 2022-11-2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分体式贮水结构及加湿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23453B2 (ja) 2005-07-06 2012-04-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加湿装置
KR101804436B1 (ko) 2015-10-26 2017-12-04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수직형 전력 전송 방식을 이용한 부유식 가습기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6285Y1 (ko) * 1988-12-30 1991-08-22 삼성전자 주식회사 가습기의 물 공급 제어장치
JPH03122429A (ja) * 1989-10-05 1991-05-24 Sanyo Electric Co Ltd 超音波加湿装置
KR0136469Y1 (ko) * 1996-10-28 1999-03-20 김광호 워터디스펜서용 밸브장치
JP3726793B2 (ja) * 2002-09-13 2005-12-14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加湿器
JP4655716B2 (ja) * 2005-03-24 2011-03-23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加湿器
CN201116627Y (zh) * 2007-02-16 2008-09-17 罗宪安 磁控水位太阳能系统补水阀
CN101907339B (zh) * 2010-08-09 2012-09-05 李耀强 一种恒湿机的浮子阀限位轴
CN102003762A (zh) * 2010-12-01 2011-04-06 美的集团有限公司 一种加湿器
JP5824655B2 (ja) * 2011-08-01 2015-11-2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加湿機およびそれを備えた加湿温風機
KR20150012991A (ko) * 2013-07-26 2015-02-04 김형주 가습기
JP2016008784A (ja) * 2014-06-25 2016-01-1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加湿器
CN104265985A (zh) * 2014-09-12 2015-01-07 沁园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浮子式机械防泄漏装置
KR102340051B1 (ko) * 2014-12-04 2021-12-17 코웨이 주식회사 가습기
KR102448277B1 (ko) * 2014-12-04 2022-09-29 코웨이 주식회사 제가습 장치
CN105909834B (zh) * 2016-06-12 2018-12-28 佛山市顺德区德尔玛电器有限公司 一种加湿器的水阀以及应用该水阀的上加水式加湿器
CN206593245U (zh) * 2017-01-11 2017-10-27 欧兰普电子科技(厦门)有限公司 一种磁悬浮式加水装置及空气加湿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23453B2 (ja) 2005-07-06 2012-04-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加湿装置
KR101804436B1 (ko) 2015-10-26 2017-12-04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수직형 전력 전송 방식을 이용한 부유식 가습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195747A1 (en) 2018-07-12
KR20180112059A (ko) 2018-10-11
WO2018129820A1 (zh) 2018-07-19
US10677482B2 (en) 2020-06-09
CN106765796A (zh) 2017-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7301B1 (ko) 자기부상식 가수장치 및 가습기
CN106642477B (zh) 一种加湿器
WO2017020537A1 (zh) 一种电磁供水阀
CN202812396U (zh) 一种新型磁力阀及与之配套的溢流开关、手动开关
CN206269300U (zh) 从顶面注液的超声波加湿器
CN206593245U (zh) 一种磁悬浮式加水装置及空气加湿器
US5176167A (en) Control valve
CN203353389U (zh) 一种宠物饮水自动补水装置
CN206504431U (zh) 一种加湿器
KR200429314Y1 (ko) 상부 급수식 가습기
CN205844920U (zh) 一种水位电子自动控制器
CN210433327U (zh) 一种大流量管线饮水机
CN208443008U (zh) 新型加湿器出水口控制器
CN204897359U (zh) 一种储水箱
KR200440884Y1 (ko) 상부 급수식 가습기
CN201162267Y (zh) 感应冲水座便器
JP2012154513A (ja) 加湿器
CN218564526U (zh) 一种悬浮式电磁阀
CN202580191U (zh) 磁吸式防漏定量新型节水水龙头
CN208803549U (zh) 一种加长磁悬浮防臭地漏芯
CN220683359U (zh) 一种液体存储装置和液体处理设备
CN208364907U (zh) 一种单线圈多铁芯切断阀及使用该切断阀的燃气控制阀
CN108332398A (zh) 新型加湿器出水控制器
CN2689130Y (zh) 一种太阳能热水器排空装置
CN210072366U (zh) 一种智能马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