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6848B1 - 수륙 양용 쌍동선 - Google Patents

수륙 양용 쌍동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6848B1
KR102196848B1 KR1020200087093A KR20200087093A KR102196848B1 KR 102196848 B1 KR102196848 B1 KR 102196848B1 KR 1020200087093 A KR1020200087093 A KR 1020200087093A KR 20200087093 A KR20200087093 A KR 20200087093A KR 102196848 B1 KR102196848 B1 KR 102196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ll
spiral
point
propellant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7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향권
하충호
신상건
Original Assignee
(주)금하네이벌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금하네이벌텍 filed Critical (주)금하네이벌텍
Priority to KR1020200087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68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6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68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F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AMPHIBIOUS OR LIKE VEHICLES; CONVERTIBLE VEHICLES
    • B60F3/00Amphibious vehicles, i.e.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both on land and on water; Land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under water
    • B60F3/0007Arrangement of propulsion or steering means on amphibious vehicles
    • B60F3/0023Arrangement of propulsion or steering means on amphibious vehicles comprising screw-type ground-engag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F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AMPHIBIOUS OR LIKE VEHICLES; CONVERTIBLE VEHICLES
    • B60F3/00Amphibious vehicles, i.e.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both on land and on water; Land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under water
    • B60F3/0007Arrangement of propulsion or steering means on amphibious vehicles
    • B60F3/0015Arrangement of propulsion or steering means on amphibious vehicles comprising track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F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AMPHIBIOUS OR LIKE VEHICLES; CONVERTIBLE VEHICLES
    • B60F3/00Amphibious vehicles, i.e.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both on land and on water; Land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under water
    • B60F3/003Parts or details of the vehicle structure; vehicle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F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AMPHIBIOUS OR LIKE VEHICLES; CONVERTIBLE VEHICLES
    • B60F3/00Amphibious vehicles, i.e.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both on land and on water; Land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under water
    • B60F3/0061Amphibious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or of a particular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0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 B63B1/1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 B63B1/1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the hulls being interconnected rigidly
    • B63B1/121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the hulls being interconnected rigidly comprising two hu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2Amphibious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1/00Marine propulsion by water jets
    • B63H2011/008Arrangements of two or more jet un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50Measures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related to the propulsion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본 출원은 갑판이 형성된 바디; 상기 바디의 하부에 고정되어 상기 갑판을 부상시키는 제1선체 및 제2선체; 상기 제1선체와 상기 제2선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제1선체와 상기 제2선체가 수상을 이동하는데 필요한 동력을 발생하는 제1추진체; 상기 제1선체의 좌현과 우현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제1무한궤도; 상기 제1선체의 좌현과 우현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된 제1나선 추진체; 상기 제2선체의 좌현과 우현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제2무한궤도; 상기 제2선체의 좌현과 우현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된 제2나선 추진체; 상기 제1무한궤도의 최하점과 상기 제1나선 추진체의 최하점이 상기 선체들의 흘수선보다 높은 지점으로 설정된 제1지점과 상기 선체들의 바닥면보다 낮은 지점으로 설정된 제2지점 사이를 왕복하게 하는 제1액추에이터; 및 상기 제2무한궤도의 최하점과 상기 제2나선 추진체의 최하점이 상기 제1지점과 상기 제2지점 사이를 왕복하게 하는 제2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수륙 양용 쌍동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륙 양용 쌍동선 {Amphibious Catamaran}
본 출원은 선체가 갯벌 등을 이동하게 하는 장치가 구비된 수륙 양용 쌍동선에 관한 것으로, 갯벌이나 모래가 많은 바다와 육지의 경계부(연안)에서 이동이 용이한 점이 특징이다.
최근 들어 국민들의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건강 및 여가생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각종 레저활동을 즐기는 인구가 증가되고 있으며, 레저활동으로서 낚시, 갯벌 체험 등 해양 레저를 즐기는 인구 또한 늘어나고 있다. 이에 비례하여 연안 해역 중 갯벌 등에서 고립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갯벌 고립 사고 발생 시 대응할 수 있는 이동 수단(구조 수단)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종래의 가장 많이 사용되는 구조 수단은 별도의 기계 장치가 없는 뻘배이다. 뻘배는 신속한 이동이 불가하고 구조 요원의 체력 소모가 크다는 점이 문제이다. 또 다른 구조 수단은 수륙 양용 보트이다. 수륙 양용 보트는 공기부양정이 대표적인데, 공기부양정은 갯벌이나 모래 등의 연안 지역에서 조향 능력이 떨어지고 갯골 및 고저차가 있는 지형에서 운행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출원은 갯벌이나 모래가 많은 바디와 육지의 경계 영역(연안)에서의 이동이 용이한 수륙 양용 쌍동선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출원은 연안의 지면 형태에 상관없이 큰 접지면적을 확보 가능하고, 갯벌이나 모래가 많은 연안에서의 이동 속도를 높일 수 있으며, 방향 전환이 용이한 수륙 양용 쌍동선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출원은 수상을 이동할 때 육상 이동을 위한 수단(무한궤도, 나선 추진체 등)의 마찰력을 최소화함으로써, 수상 이동 속도의 저하 및 수상에서의 방향 전환 속도 저하를 최소화 가능한 수륙 양용 쌍동선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출원은 갑판이 형성된 바디; 상기 바디의 하부에 고정되어 상기 갑판을 부상시키는 제1선체 및 제2선체; 상기 제1선체와 상기 제2선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제1선체와 상기 제2선체가 수상을 이동하는데 필요한 동력을 발생하는 제1추진체; 상기 제1선체의 좌현과 우현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제1무한궤도; 상기 제1선체의 좌현과 우현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된 제1나선 추진체; 상기 제2선체의 좌현과 우현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제2무한궤도; 상기 제2선체의 좌현과 우현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된 제2나선 추진체; 상기 제1무한궤도의 최하점과 상기 제1나선 추진체의 최하점이 상기 선체들의 흘수선보다 높은 지점으로 설정된 제1지점과 상기 선체들의 바닥면보다 낮은 지점으로 설정된 제2지점 사이를 왕복하게 하는 제1액추에이터; 및 상기 제2무한궤도의 최하점과 상기 제2나선 추진체의 최하점이 상기 제1지점과 상기 제2지점 사이를 왕복하게 하는 제2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수륙 양용 쌍동선을 제공한다.
상기 제1액추에이터는 상기 제1무한궤도의 최하점이 상기 제1지점과 상기 제2지점 사이를 왕복하게 하는 제1무한궤도 액추에이터; 및 상기 제1나선 추진체의 최하점이 상기 제1지점과 상기 제2지점 사이를 왕복하게 하는 제1나선 추진체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액추에이터는 상기 제2무한궤도의 최하점이 상기 제1지점과 상기 제2지점 사이를 왕복하게 하는 제2무한궤도 액추에이터; 및 상기 제2나선 추진체의 최하점이 상기 제1지점과 상기 제2지점 사이를 왕복하게 하는 제2나선 추진체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무한궤도 액추에이터는 상기 바디 또는 상기 제1선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된 제1무한궤도 실린더; 일단은 상기 제1무한궤도 실린더 내부에 위치하고 자유단은 상기 제1무한궤도 실린더의 외부에 위치하는 제1무한궤도 피스톤; 상기 제1무한궤도 피스톤의 자유단에 고정된 제1무한궤도 지지부; 및 상기 제1무한궤도 지지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무한궤도를 회전시키는 제1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2무한궤도 액추에이터는 상기 바디 또는 상기 제2선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된 제2무한궤도 실린더; 일단은 상기 제2무한궤도 실린더 내부에 위치하고 자유단은 상기 제2무한궤도 실린더의 외부에 위치하는 제2무한궤도 피스톤; 상기 제2무한궤도 피스톤의 자유단에 고정된 제2무한궤도 지지부; 및 상기 제2무한궤도 지지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무한궤도를 회전시키는 제2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제1나선 추진체 액추에이터는 상기 바디 또는 상기 제1선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된 제1나선 추진체 실린더; 일단은 상기 제1나선 추진체 실린더 내부에 위치하고 자유단은 상기 제1나선 추진체 실린더의 외부에 위치하는 제1나선 추진체 피스톤; 및 상기 제1나선 추진체 피스톤의 자유단에 구비되어 상기 제1나선 추진체를 회전시키는 제1나선 추진체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나선 추진체 액추에이터는 상기 바디 또는 상기 제2선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된 제2나선 추진체 실린더; 일단은 상기 제2나선 추진체 실린더 내부에 위치하고 자유단은 상기 제2나선 추진체 실린더의 외부에 위치하는 제2나선 추진체 피스톤; 및 상기 제2나선 추진체 피스톤의 자유단에 구비되어 상기 제2나선 추진체를 회전시키는 제2나선 추진체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륙 양용 쌍동선은 상기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선체들의 바닥면과 지면(ground) 사이의 간격을 측정하는 위치감지부; 및 상기 선체들의 바닥면과 상기 지면 사이의 간격이 기 설정된 기준간격에 도달하면, 상기 제1나선 추진체의 최하점과 상기 제2나선 추진체의 최하점을 상기 제2지점까지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나선 추진체와 상기 제2나선 추진체의 작동 중 측정된 상기 선체들의 바닥면과 상기 지면 사이의 간격이 상기 기준간격보다 커지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무한궤도의 최하점과 상기 제2무한궤도의 최하점은 상기 제2지점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1나선 추진체 및 상기 제2나선 추진체의 작동 중 상기 선체들의 바닥면과 상기 지면 사이의 간격이 상기 기준간격보다 커지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무한궤도의 최하점과 상기 제2무한궤도의 최하점은 상기 제2지점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 양용 쌍동선.
상기 제1나선 추진체 및 상기 제2나선 추진체의 작동 중 상기 선체들의 바닥면과 상기 지면 사이의 간격이 상기 기준간격보다 커지면, 상기 제1나선 추진체의 최하점과 상기 제2나선 추진체의 최하점은 상기 제1지점, 상기 제2지점, 또는 상기 제1지점과 상기 제2지점 사이에 위치된 지점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나선 추진체와 상기 제2나선 추진체의 작동 중 측정된 상기 선체의 속도가 기 설정된 기준속도 이하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무한궤도의 최하점과 상기 제2무한궤도의 최하점은 상기 제2지점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1나선 추진체와 상기 제2나선 추진체의 작동 중 측정된 상기 선체의 속도가 기 설정된 기준속도 이하이면, 상기 제1나선 추진체의 최하점과 상기 제2나선 추진체의 최하점은 상기 제1지점, 상기 제2지점, 또는 상기 제1지점과 상기 제2지점 사이에 위치된 지점 중 어느 하나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수륙 양용 쌍동선은 상기 제1선체의 높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선체를 관통하는 제1가이드; 및 상기 제2선체의 높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2선체를 관통하는 제2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액추에이터는 상기 제1가이드에 삽입되어 일단에는 상기 제1무한궤도가 고정되고, 타단에는 상기 제1나선 추진체가 고정된 제1연결바디; 상기 제1선체 내부에 고정된 제1실린더; 및 일단은 상기 제1실린더 내부에 구비되고 타단은 상기 제1선체를 관통하여 상기 제1연결바디에 고정된 제1피스톤;을 포함하며, 상기 제2액추에이터는 상기 제2가이드에 삽입되어 일단에는 상기 제2무한궤도가 고정되고, 타단에는 상기 제2나선 추진체가 고정된 제2연결바디; 상기 제2선체 내부에 고정된 제2실린더; 및 일단은 상기 제2실린더 내부에 구비되고 타단은 상기 제2선체를 관통하여 상기 제2연결바디에 고정된 제2피스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액추에이터는 상기 제1연결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제1선체의 좌현에 위치하는 제1무한궤도 지지부; 상기 제1무한궤도 지지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무한궤도를 회전시키는 제1롤러; 및 상기 제1연결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제1선체의 우현에 위치하며, 상기 제1나선 추진체를 회전시키는 제1나선 추진체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액추에이터는 상기 제2연결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제2선체의 우현에 위치하는 제2무한궤도 지지부; 상기 제2무한궤도 지지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무한궤도를 회전시키는 제2롤러; 및 상기 제2연결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제2선체의 좌현에 위치하며, 상기 제2나선 추진체를 회전시키는 제2나선 추진체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륙 양용 쌍동선은 상기 제1연결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제1나선 추진체 구동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제1조절부; 상기 제2연결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제2나선 추진체 구동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제2조절부; 상기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선체들의 바닥면과 지면(ground) 사이의 간격을 측정하는 위치감지부; 및 상기 선체들의 바닥면과 상기 지면 사이의 간격에 따라 상기 제1액추에이터, 상기 제2액추에이터, 상기 제1조절부, 및 상기 제2조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체들의 바닥면과 상기 지면 사이의 간격이 기 설정된 기준간격에 도달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나선 추진체의 최하점과 상기 제2나선 추진체의 최하점을 상기 제2지점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1나선 추진체와 상기 제2나선 추진체의 작동 중 측정된 상기 선체들의 바닥면과 상기 지면 사이의 간격이 상기 기준간격보다 커지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무한궤도의 최하점과 상기 제2무한궤도의 최하점은 상기 제2지점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1나선 추진체의 최하점과 상기 제2나선 추진체의 최하점은 상기 제1지점, 제2지점, 또는 상기 제1지점과 제2지점 사이에 위치된 지점 중 어느 하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1나선 추진체와 상기 제2나선 추진체의 작동 중 측정된 상기 선체의 속도가 기 설정된 기준속도 이하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무한궤도의 최하점과 상기 제2무한궤도의 최하점은 상기 제2지점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1나선 추진체의 최하점과 상기 제2나선 추진체의 최하점은 상기 제1지점, 상기 제2지점, 또는 상기 제1지점과 제2지점 사이에 위치된 지점 중 어느 하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추진체는 상기 제1선체의 바닥면에 구비된 제1유입구, 상기 제1선체의 선미에 구비된 제1배출구, 상기 제1유입구와 상기 제1배출구를 연결하는 제1유로, 및 상기 제1유로 내부에 유체를 분사하여 물이 상기 제1유로를 따라 이동하게 하는 제1분사관이 구비된 제1워터젯; 및 상기 제2선체의 바닥면에 구비된 제2유입구, 상기 제2선체의 선미에 구비된 제2배출구, 상기 제2유입구와 상기 제2배출구를 연결하는 제2유로, 및 상기 제2유로 내부에 유체를 분사하여 물이 상기 제2유로를 따라 이동하게 하는 제2분사관이 구비된 제2워터젯;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륙 양용 쌍동선은 상기 제1선체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피스톤이 삽입되는 제1연통홀; 상기 제1연통홀과 상기 제1피스톤 사이의 공간을 실링하는 제1실러; 상기 제2선체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피스톤이 삽입되는 제2연통홀; 상기 제2연통홀과 상기 제2피스톤 사이의 공간을 실링하는 제2실러; 상기 제1선체 내부의 물을 상기 제1유로로 안내하는 제1배수관; 및 상기 제2선체 내부의 물을 상기 제2유로로 안내하는 제2배수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은 갯벌이나 모래가 많은 바디와 육지의 경계 영역(연안)에서의 이동이 용이한 수륙 양용 쌍동선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출원은 연안의 지면 형태에 상관없이 큰 접지면적을 확보 가능하고, 연안에서의 이동 속도를 높일 수 있으며, 방향 전환이 용이한 수륙 양용 쌍동선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출원은 수상을 이동할 때 육상 이동을 위한 수단(무한궤도, 나선 추진체 등)의 마찰력을 최소화함으로써, 수상 이동 속도의 저하 및 수상에서의 방향 전환 속도 저하를 최소화 가능한 수륙 양용 쌍동선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수륙 양용 쌍동선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수륙 양용 쌍동선에 구비된 제1구동부 및 제2구동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수상을 이동하는 수륙 양용 쌍동선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육상을 이동하는 수륙 양용 쌍동선의 상태 및 제1구동부 및 제2구동부를 작동시키는 제1액추에이터 및 제2액추에이터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제1구동부 및 제2구동부를 작동시키는 제1액추에이터 및 제2액추에이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륙 양용 쌍동선(100)은 갑판(11)이 형성된 바디(1), 상기 바디(1)의 하부에 고정되어 상기 갑판(11)을 부상시키는 제1선체(2) 및 제2선체(3), 상기 제1선체(2)와 상기 제2선체(3)가 수상을 이동하는데 필요한 동력을 발생하는 제1추진체(4), 상기 제1선체(2)와 상기 제2선체(3)가 육상을 이동하는데 필요한 동력을 발생하는 제2추진체(5)를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갑판(11)에는 상기 제1추진체(4)와 제2추진체(5)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실(1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선체(2)는 상기 제1선체의 우측면을 형성하는 제1선체 우현(24), 상기 제1선체의 좌측면을 형성하는 제1선체 좌현(25), 및 상기 제1선체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제1선저(26)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선체(2)의 전방은 수륙 양용 쌍동선(100)의 전방을 향하는 선수(bow, 제1선수, 21)가 되고, 상기 제1선체(2)의 후방은 수륙 양용 쌍동선(100)의 후방을 향하는 선미(stern, 제1선미, 22)가 된다.
상기 제2선체(3)는 상기 제2선체의 우측면을 형성하는 제2선체 우현(34), 상기 제2선체의 좌측면을 형성하는 제2선체 좌현(36), 상기 제2선체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제2선저(36)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선체(3)의 전방은 수륙 양용 쌍동선(100)의 전방을 향하는 선수(제2선수, 31)가 되고, 상기 제2선체(3)의 후방은 수륙 양용 쌍동선(100)의 후방을 향하는 선미(32, 제2선미)가 된다.
상기 제1추진체(4)는 상기 선체들(2, 3)이 수상을 이동하는 추력을 발생 가능한 한 어떠한 구조로도 구비될 수 있는데, 도 2는 상기 제1추진체(4)가 제1워터젯(41, water jet) 및 제2워터젯(43)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1워터젯(41)은 상기 제1선저(26)로 유입된 물을 상기 제1선미(22)로 배출함으로써 추력(thrust)을 발생시키는 수단이고, 상기 제2워터젯(43)은 상기 제2선저(36)로 유입된 물을 상기 제2선미(32)로 배출함으로써 추력을 발생시키는 수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워터젯(41)은 상기 제1선저(36)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다수의 제1유입구(412), 상기 제1선미(22)에 구비된 제1배출구(413), 상기 제1유입구와 상기 제1배출구를 연결하는 제1유로(411), 및 상기 제1유로(411) 내부로 유체(압축된 액체, 또는 압축된 기체)를 분사하여 제1선저 주변의 물이 상기 제1유로(411)를 따라 이동하게 하는 제1분사관(414)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워터젯(43)은 상기 제2선저(36)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다수의 제2유입구(432), 상기 제2선미(32)에 구비된 제2배출구(433), 상기 제2유입구와 상기 제2배출구를 연결하는 제2유로(431), 및 상기 제2유로(431) 내부에 유체(압축 유체)를 분사하여 상기 제2선저 주변의 물이 상기 제2유로(431)를 따라 이동하게 하는 제2분사관(434)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분사관(414)에 구비된 제1분출구(415)는 상기 제1유입구(412)와 제1배출구(413) 사이에 유체를 분사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분사관(434)에 구비된 제2분출구(435)는 상기 제2유입구(432)와 제2배출구(433) 사이에 유체를 분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분출구(415)의 중심과 상기 제1배출구(413)의 중심은 동일한 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분출구(435)의 중심과 상기 제2배출구(433)의 중심은 동일한 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워터젯(41, 43)에 의한 추력을 극대화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워터젯(41)에는 상기 제1배출구(413)로 배출되는 수류의 방향을 제어하는 제1수류제어부(45)가 구비되고, 상기 제2워터젯(43)에는 상기 제2배출구(433)로 배출되는 수류의 방향을 제어하는 제2수류제어부(4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수류제어부(45)는 상기 제1배출구(413)를 폐쇄 가능한 형상으로 구비된 제1제어바디(451), 일단은 상기 제1제어바디(451)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상기 제1선미(22)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제1연장바디(45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연장바디(453)는 상기 제1제어바디(451)의 마주보는 양단에서 돌출된 바(bar)나 플레이트(palte)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연장바디(453)는 제1축(455)을 통해 상기 제1선체(2)에 고정될 수 있고, 제1축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상기 제1배출구(413)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수류제어부(47)는 상기 제2배출구(433)를 폐쇄 가능한 형상으로 구비된 제2제어바디(471), 일단은 상기 제2제어바디(471)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상기 제2선미(32)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제2연장바디(47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연장바디(473)는 상기 제2제어바디(471)의 마주보는 양단에서 돌출된 바나 플레이트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연장바디(473)는 제2축(475)을 통해 상기 제2선체(3)에 고정되며, 제2축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상기 제2배출구(433)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제어바디(451) 및 상기 제2제어바디(471)가 상기 제1워터젯(41)과 제2워터젯(43) 각각에 의해 형성되는 수류에 충돌하지 않는 위치에 있으면, 수륙 양용 쌍동선(100)은 직진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상기 제1제어바디(451)와 상기 제2제어바디(471)가 상기 제1배출구(413) 및 제2배출구(433)를 각각 폐쇄하면, 각 배출구(413, 433)에서 배출되는 수류는 상기 제어바디들(451, 471)에 충돌한 후 상기 제1선수(21) 및 제2선수(31)를 향하게 될 것이다(수륙 양용 쌍동선은 후진하게 될 것이다).
한편, 상기 수륙 양용 쌍동선(100)의 이동방향은 상기 제1배출구(413)에서 배출되는 물의 양과 상기 제2배출구(433)에서 배출되는 물의 양을 달리 제어함으로써 변경될 수도 있고, 상기 제1제어바디(451)가 제1배출구(413)를 폐쇄한 면적(제1배출구에서 배출되어 제1제어바디에 충돌하는 물의 양)과 상기 제2제어바디(471)가 상기 제2배출구(433)를 폐쇄한 면적(제2배출구에서 배출되어 제2제어바디에 충돌하는 물의 양)을 달리 제어함으로써 변경될 수도 있다. 두 방식을 조합하면 보다 빨리 쌍동선(100)의 방향을 변경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2추진체(5)는 상기 제1선체(2)에 구비된 제1구동부(51), 및 상기 제2선체(3)에 구비된 제2구동부(5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부(51)는 상기 제1선체의 좌현(25)과 우현(24)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제1무한궤도(511), 및 상기 제1선체의 좌현(25)과 우현(24)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된 제1나선 추진체(51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구동부(53)는 상기 제2선체의 좌현(35)과 우현(34)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제2무한궤도(531), 및, 상기 제2선체의 좌현(35)과 우현(34)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된 제2나선 추진체(53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상기 제1무한궤도(511)는 제1선체 좌현(25)에 구비되고, 상기 제1나선 추진체(513)는 제1선체의 우현(24)에 구비되며, 상기 제2무한궤도(531)는 제2선체 우현(34)에 구비되고, 상기 제2나선 추진체(533)는 제2선체의 좌현(35)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즉, 상기 제1나선 추진체(513) 및 제2나선 추진체(533)는 제1선체(2)와 제2선체(3)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위치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무한궤도(511)와 제2무한궤도(531)는 수륙 양용 쌍동선(100)의 좌현(25, 제1선체의 좌현)과 수륙 양용 쌍동선의 우현(34, 제2선체의 우현)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부(51)는 제1액추에이터(6)에 의해 상기 제1선체(2)의 높이방향을 따라 왕복 가능하고, 상기 제2구동부(53)는 제2액추에이터(7)를 통해 상기 제2선체(3)의 높이방향을 따라 왕복 가능하게 구비된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액추에이터(6)는 상기 제1무한궤도(511)의 최하점과 상기 제1나선 추진체(513)의 최하점이 상기 선체들의 흘수선(L)보다 높은 지점으로 설정된 제1지점(P1)과 상기 선체들의 바닥면(B)보다 낮은 지점으로 설정된 제2지점(P2) 사이를 왕복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액추에이터(7)는 상기 제2무한궤도(531)의 최하점과 상기 제2나선 추진체(533)의 최하점이 상기 제1지점(P1)과 상기 제2지점(P2) 사이를 왕복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부(51) 및 제2구동부(53)가 상기 제1지점(P1)에 위치해 있으면, 상기 수륙 양용 쌍동선(100)이 수상을 이동할 때 물에 의한 저항을 최소화 가능하다. 상기 제1구동부(51) 및 제2구동부(53)가 상기 제2지점(P2)에 위치하면, 상기 수륙 양용 쌍동선(100)은 각 선체의 선저(26, 36)가 지면에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수륙 양용 쌍동선(100)이 수상을 이동할 때 물의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제1선체의 좌현(25)에는 제1지점에 위치된 제1무한궤도(511)가 제1지점에 위수용되는 제1무한궤도 하우징(제1선수를 향하는 부분이 뾰족한 형상)이 구비되고, 상기 제2선체의 우현(34)에는 제1지점에 위치된 제2무한궤도(531)가 수용되는 제2무한궤도 하우징(제2선수를 향해 뾰족한 형상)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기능을 구현하는 제1액추에이터의 구조 및 제2액추에이터의 구조는 다양한데, 도 4와 도 5는 상기 액추에이터들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제1액추에이터(6)는 상기 제1무한궤도(511)의 최하점이 상기 제1지점(P1)과 상기 제2지점(P2) 사이를 왕복하게 하는 제1무한궤도 액추에이터(61), 및 상기 제1나선 추진체(513)의 최하점이 상기 제1지점(P1)과 상기 제2지점(P2) 사이를 왕복하게 하는 제1나선 추진체 액추에이터(63)로 구비되는 것이 특징이고, 제2액추에이터(7)는 상기 제2무한궤도(531)의 최하점이 상기 제1지점(P1)과 상기 제2지점(P2) 사이를 왕복하게 하는 제2무한궤도 액추에이터(71), 및 상기 제2나선 추진체(533)의 최하점이 상기 제1지점(P1)과 상기 제2지점(P2) 사이를 왕복하게 하는 제2나선 추진체 액추에이터(73)로 구비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제1무한궤도 액추에이터(61)는 상기 바디(1)와 제1선체(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된 제1무한궤도 실린더(611), 일단은 상기 제1무한궤도 실린더 내부에 위치하고 자유단은 상기 제1무한궤도 실린더의 외부에 위치하는 제1무한궤도 피스톤(613), 상기 제1무한궤도 피스톤(613)의 자유단에 고정된 제1무한궤도 지지부(615), 및 상기 제1무한궤도 지지부(615)에 구비되어 상기 제1무한궤도(511)를 회전시키는 제1롤러(617)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무한궤도 액추에이터(71)는 상기 바디(1)와 제2선체(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된 제2무한궤도 실린더(711), 일단은 상기 제2무한궤도 실린더 내부에 위치하고 자유단은 상기 제2무한궤도 실린더의 외부에 위치하는 제2무한궤도 피스톤(713), 상기 제2무한궤도 피스톤(713)의 자유단에 고정된 제2무한궤도 지지부(715), 및 상기 제2무한궤도 지지부(715)에 구비되어 상기 제2무한궤도(531)를 회전시키는 제2롤러(717)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나선 추진체 액추에이터(63)는 상기 바디(1) 또는 상기 제1선체(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된 제1나선 추진체 실린더(631), 일단은 상기 제1나선 추진체 실린더 내부에 위치하고 자유단은 상기 제1나선 추진체 실린더의 외부에 위치하는 제1나선 추진체 피스톤(633), 및 상기 제1나선 추진체 피스톤(633)의 자유단에 구비되어 상기 제1나선 추진체(513)를 회전시키는 제1나선 추진체 구동부(63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나선 추진체(513)는 원기둥 형상의 제1나선 바디(513a), 상기 제1나선 바디의 원주면에 구비된 제1스크류(513b, 제1나선 바디의 원주면에 제1선수에서 제1선미 방향을 향하는 나선)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나선 바디(513a)의 회전축은 상기 제1선수(21)와 제1선미(22)를 연결하는 직선에 평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술한 제1나선 추진체 액추에이터(63)는 제1선수 방향과 제1선미 방향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선수(21) 방향에 위치된 제1나선 추진체 액추에이터(63)는 상기 제1나선 바디(513a)의 전방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선미(22) 방향에 위치된 제1나선 추진체 액추에이터(63)는 상기 제1나선 바디(513a)의 후방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나선 추진체 액추에이터(73)는 상기 바디(1) 또는 상기 제2선체(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된 제2나선 추진체 실린더(731), 일단은 상기 제2나선 추진체 실린더 내부에 위치하고 자유단은 상기 제2나선 추진체 실린더의 외부에 위치하는 제2나선 추진체 피스톤(733), 및 상기 제2나선 추진체 피스톤(733)의 자유단에 구비되어 상기 제2나선 추진체(533)를 회전시키는 제2나선 추진체 구동부(73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나선 추진체(533)는 원기둥 형상의 제2나선 바디(533a), 상기 제2나선 바디의 원주면에 구비된 제2스크류(533b, 제2나선 바디의 원주면에 제2선수에서 제2선미 방향을 향하는 나선)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나선 바디(533a)의 회전축은 상기 제2선수(31)와 제2선미(32)를 연결하는 직선에 평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나선 추진체 액추에이터(73)는 제2선수 방향과 제2선미 방향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선수(31) 방향에 위치된 제2나선 추진체 액추에이터(73)는 상기 제2나선 바디(533a)의 전방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선미(32) 방향에 위치된 제2나선 추진체 액추에이터(73)는 상기 제2나선 바디(533a)의 후방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1)에는 상기 선체들의 바닥면(26, 36)과 지면(ground) 사이의 간격을 측정하는 위치감지부(9), 및 상기 선체들의 바닥면(26, 36)과 지면 사이의 간격에 따라 상기 제1액추에이터(6) 및 상기 제2액추에이터(7)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가 각 액추에이터(6, 7)를 제어하는 과정은 후술한다.
도 5에 도시된 수륙 양용 쌍동선(100)은 상기 제1선체(2)에는 상기 제1선체의 높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제1가이드(27)가 구비되고, 상기 제2선체(3)에는 상기 제2선체의 높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제2가이드(37)가 구비된다. 상기 제1가이드(27)는 상기 제1선체의 좌현(25)과 우현(24)을 관통하는 슬릿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가이드(37)는 상기 제2선체의 좌현(35)과 우현(34)을 관통하는 슬릿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액추에이터(6)는 상기 제1가이드(27)에 삽입되는 제1연결바디(62), 상기 제1선체(2) 내부에 고정된 제1실린더(64), 및 일단은 상기 제1실린더 내부에 구비되고 타단은 상기 제1선체(2)를 관통하여 상기 제1연결바디(62)에 고정된 제1피스톤(66)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바디(62)의 일단에는 상기 제1무한궤도(511)가 고정되고, 타단에는 상기 제1나선 추진체(513)가 고정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액추에이터(6)에는 상기 제1연결바디(62)에 고정되어 상기 제1선체의 좌현(25)에 위치하는 제1무한궤도 지지부(621), 상기 제1무한궤도 지지부(621)에 구비되어 상기 제1무한궤도(511)를 회전시키는 제1롤러(623), 및 상기 제1연결바디(62)에 고정되어 상기 제1선체의 우현에 위치하며, 상기 제1나선 추진체(513)를 회전시키는 제1나선 추진체 구동부(625)가 구비된다.
도 5에 도시된 제2액추에이터(7)는 상기 제2가이드에 삽입된 제2연결바디(72), 상기 제2선체(3) 내부에 고정된 제2실린더(74), 및 일단은 상기 제2실린더 내부에 구비되고 타단은 상기 제2선체(3)를 관통하여 상기 제2연결바디(72)에 고정된 제2피스톤(76)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바디(72)의 일단에는 상기 제2무한궤도(531)가 고정되고, 타단에는 상기 제2나선 추진체(533)가 고정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2액추에이터(7)에는 상기 제2연결바디(72)에 고정되어 상기 제2선체의 우현(34)에 위치하는 제2무한궤도 지지부(721), 상기 제2무한궤도 지지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무한궤도(531)를 회전시키는 제2롤러(723), 및 상기 제2연결바디(72)에 고정되어 상기 제2선체의 좌현(35)에 위치하며, 상기 제2나선 추진체(533)를 회전시키는 제2나선 추진체 구동부(725)가 구비된다.
상기 제1선체(2)에는 상기 제1선체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피스톤(66)이 삽입되는 제1연통홀이 구비되고, 상기 제2선체(3)에는 상기 제2선체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피스톤(76)이 삽입되는 제2연통홀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연통홀과 제2연통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 하기 위해, 상기 제1연통홀에는 제1실러(28)가 구비되고, 상기 제2연통홀에는 제2실러(3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러(28, 38)에도 불구하고 상기 제1선체(2)와 제2선체(3)로 유입될 가능성이 있다. 상기 제1선체(2)와 제2선체(3)로 유입된 물은 배수관을 통해 상기 제1워터젯(41)과 제2워터젯(43)으로 배출될 수 있다. 즉, 상기 수륙 양용 쌍동선(100)에는 상기 제1연통홀을 통해 상기 제1선체(2)로 유입된 물을 상기 제1워터젯의 제1유로(411)로 안내하는 제1배수관(81), 및 상기 제2관통홀을 통해 상기 제2선체(3)로 유입된 물을 상기 제2워터젯의 제2유로(431)로 안내하는 제2배수관(83)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배수관(81)의 배수단은 상기 제1분출구(415)와 제1배출구(413)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배수관(83)의 배수단은 상기 제2분출구(435)와 제2배출구(433)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워터젯과 제2워터젯의 작동 시 선체들(2, 3)로 유입된 물이 선체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1배수관과 제2배수관은 선체들(2, 3)로 물이 유입된 경우에만 각 유로(411, 431)로 물을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선체(2)와 제2선체(3) 각각에는 수위를 감지하는 제1수위센서 및 제2수위센서가 구비되고, 각 배수관(81, 83)에는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신호에 따라 각 배수관을 개방하는 제1밸브 및 제2밸브가 더 구비되어야 한다.
각 무한궤도(511, 531)의 최하점과 각 나선 추진체(513, 533)의 최하점(제1스크류의 최하점, 제2스크류의 최하점)의 높이를 달리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액추에이터(6)에는 제1조절부(68)가 구비되고, 상기 제2액추에이터(7)에는 제2조절부(78)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조절부(68)는 상기 제1연결바디(62)에 고정되어 상기 제1나선 추진체 구동부(625)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조절부(78)는 상기 제2연결바디(72)에 고정되어 상기 제2나선 추진체 구동부(725)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구조를 가진 수륙 양용 쌍동선(100)은 수상을 이동할 때(수상 이동 모드), 상기 제1무한궤도, 제1나선 추진체(513), 제2무한궤도(531), 및 제2나선 추진체(533)는 제1지점(P1)에 위치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무한궤도들과 나선 추진체들이 흘수선(L)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하므로, 수륙 양용 쌍동선이 수상을 이동할 때 무한궤도들(511, 531)과 나선 추진체들(513, 533)의 마찰력을 최소화 가능하다. 또한, 상기 바디(1)는 두 개의 선체(2, 3)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하나의 선체로 구비된 보트(단동선)에 비해 복원력이 높아 보다 안정적인 수상 이동 모드의 운용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수상 이동 모드의 실행 중 상기 위치감지부(9)는 상기 선체들의 바닥면(26, 36)과 지면 사이의 간격을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제어부에 전송한다.
상기 선체(1)의 수상 이동 중 각 선저(26, 36)와 지면 사이의 간격이 기 설정된 기준간격에 도달하면(수륙 양용 쌍동선이 바다와 육지의 경계를 이루는 연안 영역을 향해 접근하면, 각 선저와 지면 사이의 간격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기준간격에 도달하면), 상기 제어부는 도 5와 도 6에 도시된 액추에이터(6, 7)를 제어하여 상기 제1나선 추진체(513)의 최저점과 상기 제2나선 추진체(533)의 최저점을 상기 제2지점(P2)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기준간격은 편의에 따라 설정될 수 있는데, 상기 제1나선 바디(513a)의 지름(제2나선 바디의 지름과 동일) 또는 상기 제1스크류 지름(제2스크류의 지름과 동일)의 2 내지 3배로 설정될 수 있다.
각 선저들(26, 36)과 지면 사이의 간격에 따라 상기 제1나선 추진체(513)와 제2나선 추진체(533)의 위치를 제어하면, 상기 선체들이 연안의 표면에 충돌하는 것을 막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수상 이동 모드에서 연안 이동 모드로 변경하는 시간을 최소화 가능하다(골든 타임 내 인명 구조 가능성을 높임).
상기 연안 이동 모드는 상기 제1나선 추진체(513)와 제2나선 추진체(533)의 회전 시 상기 스크류들(513a, 533a)이 각 선체의 선수(21, 31)에 방향에 위치된 흙(갯벌, 모래 등)을 각 선체의 선미(22, 32)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발생하는 추력으로 수륙 양용 쌍동선(100)이 이동하는 모드를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수륙 양용 쌍동선(100)은 갯벌이나 모래가 많은 연안에도 빠른 기동이 가능하다.
한편, 최저점이 상기 제2지점에 위치된 제1나선 추진체(31)와 제2나선 추진체(32)는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작동을 개시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제1스크류와 제2스크류가 지면에 접촉한 때 작동을 개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수륙 양용 쌍동선에는 각 스크류들이 지면에 접촉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접촉센서 및 제2접촉센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나선 추진체(513)와 제2나선 추진체(533)의 작동 중 측정된 수륙 양용 쌍동선(100)의 속도가 기 설정된 기준속도 이하가 되거나, 상기 제1나선 추진체(513)와 제2나선 추진체(533)의 작동 중 측정된 각 선저(22, 32)와 지면의 간격이 상기 기준간격보다 커지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무한궤도(511)의 최하점(제1무한궤도의 최저점)과 상기 제2무한궤도(531)의 최하점(제2무한궤도의 최저점)을 제2지점(P2)에 위치시킨다(육상 이동 모드).
상기 연안 이동 모드의 실행 중 측정된 수륙 양용 쌍동선(100)의 속도가 상기 기준속도 이하이거나, 각 선저(26, 36)와 지면사이의 거리가 상기 기준간격보다 커졌다는 것은, 상기 제1선체(2)와 제2선체(3)가 연안에서 육지로 거의 다 이동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쌍동선(100)의 속도나 선체와 지면 사이의 간격에 근거하여 무한궤도들(511, 531)과 나선 추진체들(513, 533)의 위치를 미리 제어하면, 연안 이동 모드에서 육상 이동 모드로 전환시간 단축 및 상기 나선 추진체들(513, 533)의 파손 가능성을 최소화 가능할 것이다.
상기 제1무한궤도(511)와 제2무한궤도(531)는 제1롤러(617, 623) 및 제2롤러(717, 723)의 작동 시 회전한다. 상기 무한궤도들(511, 531)은 연안의 표면 및 육상의 표면 형태(굴곡 등)에 상관없이 큰 접지면적을 확보 가능하므로, 상기 수륙 양용 쌍동선(100)은 육지, 및 육지에 인접한 지역에서의 이동 속도를 높일 수 있으며, 방향 전환이 용이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 육상 이동 모드의 실행 중 상기 제1나선 추진체(513)의 최하점과 상기 제2나선 추진체(533)의 최하점은 상기 제1지점(P1)에 위치할 수도 있고, 상기 제1지점과 제2지점 사이에 위치된 지점에 위치할 수도 있으며, 상기 제2지점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일시적으로(연안 이동 모드에서 육상 이동 모드로 완전히 전환될 때까지, 나선 추진체의 최하점이 물에서 벗어날 때까지) 상기 나선 추진체들의 최하점이 상기 제1지점과 제2지점 사이에 위치된 지점, 또는 상기 제2지점에 위치해 있으면, 상기 수륙 양용 쌍동선(100)은 무한궤도 및 나선 추진체를 통해 추력을 공급받을 수 있어 연안에서 육상으로 이동할 때 이동 속도를 높일 수 있고, 및 빠른 방향 전환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수륙 양용 쌍동선 1: 바디
11: 갑판 2: 제1선체
21: 제1선수 22: 제1선미
24: 제1선체 우현 25: 제1선체 좌현
26: 제1선저 27: 제1가이드
28: 제1실러 3: 제2선체
31: 제2선수 32: 제2선미
34: 제2선체 우현 35: 제2선체 좌현
36: 제2선저 37: 제2가이드
38: 제2실러 4: 제1추진체
41: 제1워터젯 411: 제1유로
412: 제1유입구 413: 제1배출구
414: 제1분사관 415: 제1분출구
43: 제2워터젯 431: 제2유로
432: 제2유입구 433: 제2배출구
434: 제2분사관 435: 제2분출구
45: 제1수류제어부 47: 제2수류제어부
5: 제2추진체 51: 제1구동부
511: 제1무한궤도 513: 제1나선 추진체
513a: 제1나선 바디 513b: 제1스크류
53: 제2구동부 531: 제2무한궤도
533: 제2나선 추진체 533a: 제1나선 바디
533b: 제2스크류 6: 제1액추에이터
61: 제1무한궤도 액추에이터 611: 제1무한궤도 실린더
613: 제1무한궤도 피스톤 615: 제1무한궤도 지지부
617: 제1롤러 63: 제1나선 추진체 액추에이터
631: 제1나선 추진체 실린더 633: 제1나선 추진체 피스톤
635: 제1나선 추진체 구동부 7: 제2액추에이터
71: 제2무한궤도 액추에이터 711: 제2무한궤도 실린더
713: 제2무한궤도 피스톤 715: 제2무한궤도 지지부
717: 제2롤러 73: 제2나선 추진체 액추에이터
731: 제2나선 추진체 실린더 733: 제2나선 추진체 피스톤
735: 제2나선 추진체 구동부 81: 제1배수관
83: 제2배수관 9: 위치감지부
62: 제1연결바디 64: 제1실린더
66: 제1피스톤 68: 제1조절부
72: 제2연결바디 74: 제2실린더
76: 제2피스톤 78: 제2조절부

Claims (10)

  1. 갑판이 형성된 바디;
    상기 바디의 하부에 고정되어 상기 갑판을 부상시키는 제1선체 및 제2선체;
    상기 제1선체와 상기 제2선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제1선체와 상기 제2선체가 수상을 이동하는데 필요한 동력을 발생하는 제1추진체;
    상기 제1선체의 좌현과 우현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제1무한궤도;
    상기 제1선체의 좌현과 우현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며, 상기 제1선체의 선수방향에 위치된 흙을 상기 제1선체의 선미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추력을 발생시키는 제1나선 추진체;
    상기 제2선체의 좌현과 우현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제2무한궤도;
    상기 제2선체의 좌현과 우현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며, 상기 제2선체의 선수방향에 위치된 흙을 상기 제2선체의 선미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추력을 발생시키는 제2나선 추진체;
    상기 제1무한궤도의 최하점과 상기 제1나선 추진체의 최하점이 상기 선체들의 바닥면보다 높은 지점으로 설정된 제1지점과 상기 선체들의 바닥면보다 낮은 지점으로 설정된 제2지점 사이를 왕복하게 하는 제1액추에이터; 및
    상기 제2무한궤도의 최하점과 상기 제2나선 추진체의 최하점이 상기 제1지점과 상기 제2지점 사이를 왕복하게 하는 제2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액추에이터는 상기 제1무한궤도의 최하점이 상기 제1지점과 상기 제2지점 사이를 왕복하게 하는 제1무한궤도 액추에이터; 및 상기 제1나선 추진체의 최하점이 상기 제1지점과 상기 제2지점 사이를 왕복하게 하는 제1나선 추진체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2액추에이터는 상기 제2무한궤도의 최하점이 상기 제1지점과 상기 제2지점 사이를 왕복하게 하는 제2무한궤도 액추에이터; 및 상기 제2나선 추진체의 최하점이 상기 제1지점과 상기 제2지점 사이를 왕복하게 하는 제2나선 추진체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 양용 쌍동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점은 상기 선체들의 흘수선보다 높은 지점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 양용 쌍동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무한궤도 액추에이터는 상기 바디 또는 상기 제1선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된 제1무한궤도 실린더; 일단은 상기 제1무한궤도 실린더 내부에 위치하고 자유단은 상기 제1무한궤도 실린더의 외부에 위치하는 제1무한궤도 피스톤; 상기 제1무한궤도 피스톤의 자유단에 고정된 제1무한궤도 지지부; 및 상기 제1무한궤도 지지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무한궤도를 회전시키는 제1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2무한궤도 액추에이터는 상기 바디 또는 상기 제2선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된 제2무한궤도 실린더; 일단은 상기 제2무한궤도 실린더 내부에 위치하고 자유단은 상기 제2무한궤도 실린더의 외부에 위치하는 제2무한궤도 피스톤; 상기 제2무한궤도 피스톤의 자유단에 고정된 제2무한궤도 지지부; 및 상기 제2무한궤도 지지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무한궤도를 회전시키는 제2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제1나선 추진체 액추에이터는 상기 바디 또는 상기 제1선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된 제1나선 추진체 실린더; 일단은 상기 제1나선 추진체 실린더 내부에 위치하고 자유단은 상기 제1나선 추진체 실린더의 외부에 위치하는 제1나선 추진체 피스톤; 및 상기 제1나선 추진체 피스톤의 자유단에 구비되어 상기 제1나선 추진체를 회전시키는 제1나선 추진체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나선 추진체 액추에이터는 상기 바디 또는 상기 제2선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된 제2나선 추진체 실린더; 일단은 상기 제2나선 추진체 실린더 내부에 위치하고 자유단은 상기 제2나선 추진체 실린더의 외부에 위치하는 제2나선 추진체 피스톤; 및 상기 제2나선 추진체 피스톤의 자유단에 구비되어 상기 제2나선 추진체를 회전시키는 제2나선 추진체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 양용 쌍동선.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선체들의 바닥면과 지면(ground) 사이의 간격을 측정하는 위치감지부; 및
    상기 선체들의 바닥면과 상기 지면 사이의 간격이 기 설정된 기준간격에 도달하면, 상기 제1나선 추진체의 최하점과 상기 제2나선 추진체의 최하점을 상기 제2지점까지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 양용 쌍동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나선 추진체 및 상기 제2나선 추진체의 작동 중 상기 선체들의 바닥면과 상기 지면 사이의 간격이 상기 기준간격보다 커지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무한궤도의 최하점과 상기 제2무한궤도의 최하점은 상기 제2지점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1나선 추진체의 최하점과 상기 제2나선 추진체의 최하점은 상기 제2지점, 또는 상기 제1지점과 상기 제2지점 사이에 위치된 지점 중 어느 하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 양용 쌍동선.
  6. 갑판이 형성된 바디;
    상기 바디의 하부에 고정되어 상기 갑판을 부상시키는 제1선체 및 제2선체;
    상기 제1선체와 상기 제2선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제1선체와 상기 제2선체가 수상을 이동하는데 필요한 동력을 발생하는 제1추진체;
    상기 제1선체의 좌현과 우현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제1무한궤도;
    상기 제1선체의 좌현과 우현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며, 상기 제1선체의 선수방향에 위치된 흙을 상기 제1선체의 선미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추력을 발생시키는 제1나선 추진체;
    상기 제2선체의 좌현과 우현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제2무한궤도;
    상기 제2선체의 좌현과 우현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며, 상기 제2선체의 선수방향에 위치된 흙을 상기 제2선체의 선미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추력을 발생시키는 제2나선 추진체;
    상기 제1무한궤도의 최하점과 상기 제1나선 추진체의 최하점이 상기 선체들의 바닥면보다 높은 지점으로 설정된 제1지점과 상기 선체들의 바닥면보다 낮은 지점으로 설정된 제2지점 사이를 왕복하게 하는 제1액추에이터; 및
    상기 제2무한궤도의 최하점과 상기 제2나선 추진체의 최하점이 상기 제1지점과 상기 제2지점 사이를 왕복하게 하는 제2액추에이터;
    상기 제1선체의 높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선체를 관통하는 제1가이드; 및
    상기 제2선체의 높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2선체를 관통하는 제2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액추에이터는 상기 제1가이드에 삽입되어 일단에는 상기 제1무한궤도가 고정되고, 타단에는 상기 제1나선 추진체가 고정된 제1연결바디; 상기 제1선체 내부에 고정된 제1실린더; 및 일단은 상기 제1실린더 내부에 구비되고 타단은 상기 제1선체를 관통하여 상기 제1연결바디에 고정된 제1피스톤;을 포함하며,
    상기 제2액추에이터는 상기 제2가이드에 삽입되어 일단에는 상기 제2무한궤도가 고정되고, 타단에는 상기 제2나선 추진체가 고정된 제2연결바디; 상기 제2선체 내부에 고정된 제2실린더; 및 일단은 상기 제2실린더 내부에 구비되고 타단은 상기 제2선체를 관통하여 상기 제2연결바디에 고정된 제2피스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 양용 쌍동선.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액추에이터는 상기 제1연결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제1선체의 좌현에 위치하는 제1무한궤도 지지부; 상기 제1무한궤도 지지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무한궤도를 회전시키는 제1롤러; 및 상기 제1연결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제1선체의 우현에 위치하며, 상기 제1나선 추진체를 회전시키는 제1나선 추진체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액추에이터는 상기 제2연결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제2선체의 우현에 위치하는 제2무한궤도 지지부; 상기 제2무한궤도 지지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무한궤도를 회전시키는 제2롤러; 및 상기 제2연결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제2선체의 좌현에 위치하며, 상기 제2나선 추진체를 회전시키는 제2나선 추진체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 양용 쌍동선.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제1나선 추진체 구동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제1조절부;
    상기 제2연결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제2나선 추진체 구동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제2조절부;
    상기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선체들의 바닥면과 지면(ground) 사이의 간격을 측정하는 위치감지부; 및
    상기 선체들의 바닥면과 상기 지면 사이의 간격에 따라 상기 제1액추에이터, 상기 제2액추에이터, 상기 제1조절부, 및 상기 제2조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 양용 쌍동선.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추진체는 상기 제1선체의 바닥면에 구비된 제1유입구, 상기 제1선체의 선미에 구비된 제1배출구, 상기 제1유입구와 상기 제1배출구를 연결하는 제1유로, 및 상기 제1유로 내부에 유체를 분사하여 물이 상기 제1유로를 따라 이동하게 하는 제1분사관이 구비된 제1워터젯; 및 상기 제2선체의 바닥면에 구비된 제2유입구, 상기 제2선체의 선미에 구비된 제2배출구, 상기 제2유입구와 상기 제2배출구를 연결하는 제2유로, 및 상기 제2유로 내부에 유체를 분사하여 물이 상기 제2유로를 따라 이동하게 하는 제2분사관이 구비된 제2워터젯;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 양용 쌍동선.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선체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피스톤이 삽입되는 제1연통홀;
    상기 제1연통홀과 상기 제1피스톤 사이의 공간을 실링하는 제1실러;
    상기 제2선체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피스톤이 삽입되는 제2연통홀;
    상기 제2연통홀과 상기 제2피스톤 사이의 공간을 실링하는 제2실러;
    상기 제1선체 내부의 물을 상기 제1유로로 안내하는 제1배수관; 및
    상기 제2선체 내부의 물을 상기 제2유로로 안내하는 제2배수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 양용 쌍동선.
KR1020200087093A 2020-07-14 2020-07-14 수륙 양용 쌍동선 KR102196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7093A KR102196848B1 (ko) 2020-07-14 2020-07-14 수륙 양용 쌍동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7093A KR102196848B1 (ko) 2020-07-14 2020-07-14 수륙 양용 쌍동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6848B1 true KR102196848B1 (ko) 2020-12-30

Family

ID=74087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7093A KR102196848B1 (ko) 2020-07-14 2020-07-14 수륙 양용 쌍동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68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8906B1 (ko) * 2022-03-22 2022-09-30 차재권 리프트장치를 수납할 수 있는 선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9878A (ja) * 2003-02-21 2004-09-09 Universal Shipbuilding Corp 水陸両用の移動体
KR20150003376A (ko) * 2012-04-25 2015-01-08 이귀아나 얏츠 수륙양용차량
JP2016078770A (ja) * 2014-10-21 2016-05-16 三菱電機特機システム株式会社 浮体取付装置、無人水上艇及び無人移動体制御システム
KR20190137253A (ko) * 2018-06-01 2019-12-11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갯벌용 이동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9878A (ja) * 2003-02-21 2004-09-09 Universal Shipbuilding Corp 水陸両用の移動体
KR20150003376A (ko) * 2012-04-25 2015-01-08 이귀아나 얏츠 수륙양용차량
JP2016078770A (ja) * 2014-10-21 2016-05-16 三菱電機特機システム株式会社 浮体取付装置、無人水上艇及び無人移動体制御システム
KR20190137253A (ko) * 2018-06-01 2019-12-11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갯벌용 이동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8906B1 (ko) * 2022-03-22 2022-09-30 차재권 리프트장치를 수납할 수 있는 선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12374B (zh) 带侧向推进器的船体
US3442242A (en) Stopping and manoeuvering means for large vessels
US6142841A (en) Waterjet docking control system for a marine vessel
KR102135784B1 (ko) 수륙양용 보트
CN102202961B (zh) 船体摩擦阻力降低装置
US4128068A (en) Floating-refuse-collecting boat
US3420204A (en) Reaction propulsion system
US4437841A (en) Outboard jet drive steering mechanism
KR102196848B1 (ko) 수륙 양용 쌍동선
JPH11207390A (ja) 浮体式水質浄化自走装置及び方法
CN102224064A (zh) 船体摩擦阻力降低装置
US4265192A (en) Auxiliary hydraulic maneuvering system for small boats
RU2651949C1 (ru) Многоструйный реактивный движитель для высокоскоростных судов, движущихся по поверхности воды, над поверхностью воды и под водой (варианты)
US20110159752A1 (en) Water jet propulsion watercraft
JP2011218959A (ja) バウスラスターを備えた船舶、及びこの船舶の航行方法と改修方法
CN206125386U (zh) 一种带有水滴形喷水器的船舶动力系统铺助加力装置
KR101719044B1 (ko) 워터젯 연동 서브노즐을 이용한 위치 및 자세 제어 장치
KR20180103489A (ko) 테슬라 펌프를 이용한 워터젯 추진 장치
US3807346A (en) Waterjet steering and reversing mechanism
KR20120128823A (ko) 개폐식 사이드 쓰러스터
US3384306A (en) Hydraulic jet control
KR20150070748A (ko) 바우 스러트터 커버
US3677215A (en) Power assist barge for ocean service
JPH0840377A (ja) 船舶用ウォータジェット推進装置
KR102409221B1 (ko) 수륙 양용 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