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6620B1 - 복층유리 이송장치용 컨베이어 지지블록 및 이 지지블록의 분리용 지그 - Google Patents

복층유리 이송장치용 컨베이어 지지블록 및 이 지지블록의 분리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6620B1
KR102196620B1 KR1020200042938A KR20200042938A KR102196620B1 KR 102196620 B1 KR102196620 B1 KR 102196620B1 KR 1020200042938 A KR1020200042938 A KR 1020200042938A KR 20200042938 A KR20200042938 A KR 20200042938A KR 102196620 B1 KR102196620 B1 KR 102196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multilayer glass
magnet
conveyor
fixed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2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철순
김재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원오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원오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원오토
Priority to KR1020200042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66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6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66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3Transporting devices for sheet 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14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ssembling objects other than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30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Fl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49/00Aspects relating to conveying systems for the manufacture of fragile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38Common features for belt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층유리 이송장치용 컨베이어 지지블록 및 이 지지블록의 분리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복층유리 이송장치용 컨베이어 지지블록은, 컨베이어부의 외측 면에, 상기 컨베이어부의 진행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되, 상기 컨베이어부와 고정되게 설치되는 고정블록; 상기 고정블록에 대하여 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면서 착탈이 이루어지고, 복층유리의 일측 단부가 안착되어 지지되는 가변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와 같이 구성되는 지지블록을 분리하기 위한 분리용 지그는, 양 측단에 각각 측벽부가 형성되고, 상기 양 측벽부와 교차되는 일측 단에는 걸림부가 형성되어 양 측벽부와 걸림부 사이에는 일정 높이의 공간부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에 대하여 결합부재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몸체에 설치된 상태에서 그 일면이 상기 공간부의 상면에 배치되는 제2 자석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 자석와 상기 제2 자석의 서로 마주보는 부분은 동일 극성인 것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복층유리 이송장치용 컨베이어 지지블록 및 이 지지블록의 분리용 지그{Conveyer block for transfer of double layer glass and jig for separation of that}
본 발명은 복층유리 이송장치용 컨베이어 지지블록 및 이 지지블록의 분리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봉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고 그 간봉의 테두리에 실링재가 도포된 상태의 복층유리를 이송시키는 컨베이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게 설치되는 지지블록과, 이 지지블록을 간단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분리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층유리는 두겹의 유리 즉, 제1 유리와 제2 유리 사이에 중공층을 형성하여 단열성 및 방음성을 높인 유리를 일컬으며, 이러한 복층유리는 단층유리가 갖는 결점을 보완한 것으로서, 일반 단층유리에 비하여 방음,단열 및 결로 방지 효과가 우수하여 최근 많은 건축물에 적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복층유리는 일정 면적을 갖는 제1 유리와 제2 유리를 각각 구비하고, 이 제1 유리와 제2 유리 사이에 일정 두께를 갖는 간봉(스페이서)를 개재시킴으로써, 제1 유리와 제2 유리가 간봉의 두께만큼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도록 제조가 이루어지게 된다.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복층유리(10)는 일정 면적을 갖는 제1 유리(20)를 구비하고, 이 제1 유리(20)의 일 면 둘레에 걸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액자 형태의 간봉(40) 일 면을 부착시킨 다음, 다시 일정 면적을 갖는 제2 유리(30)를 구비하여 일 면 둘레에 걸쳐 접착제를 도포하거나 간봉(40)의 타면에 걸쳐 접착제를 도포한 이후에 부착하여 적층되게 제작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유리(20)와 제2 유리(30) 사이에 액자 형태의 간봉(40)이 배치되도록 하여 적층된 형태의 복층유리(10)를 제작한 이후에는, 제1 유리(20)와 제2 유리(3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하여 도 2에서와 같이 간봉(40) 둘레에 걸쳐 실링재(50)를 도포하는 실링 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실링 공정에 의해 실링재(50)가 도포된 복층유리(10)는 후 공정 또는 적재를 위하여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3은 종래의 복층유리 이송장치 일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복층유리 이송장치의 컨베이어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게 설치되는 지지블록에 복층유리가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종래의 복층유리 이송장치(60)는, 간봉이 개재되고 간봉의 테두리에 실링재가 도포된 상태의 복층유리(10)를 일 방향으로 진행시키기 위한 컨베이어부(80)와, 복층유리(10) 중 어느 하나의 유리 일 면을 지지하면서 일 방향으로의 진행을 안내하기 위한 복수의 가이드 롤러(7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때, 종래의 복층유리 이송장치(60)는, 복층유리(10) 사이의 테두리 즉, 간봉의 테두리에 실링재가 도포된 상태로 복층유리(10)를 이송시키기 때문에 컨베이어부(80)에는 미처 경화되지 못한 실링재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지지블록(90)이 설치되어 있다.
즉, 컨베어이부(80)의 외측 면에는, 컨베이어부(80)의 진행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지지블록(90)이 설치되어 있는데, 여기서 지지블록(90)은 그 횡단면 형상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V자 형상을 이루는 것이 제공되고 있다.
상기 지지블록(90)은 서로 대향되게 양측 상면에 경사부(92a,92b)가 형성되고, 이 양측 경사부(92a,92b)의 사이에는 일정 깊이의 요홈부(94)가 형성되며, 양측 경사부(92a,92b)에는 컨베이어부(80)와 볼트 등의 결합부재에 의해 고정되게 체결되기 위한 체결공(96a,96b)이 각각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종래의 복층유리 이송장치(60)에서 컨베이어부(80)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지지블록(90)을 결합부재로서 각각 고정되게 설치하고, 이와 같이 지지블록(90)의 상부 면에 이송하고자 하는 복층유리(10)가 안착된 상태에서 컨베이어부(80)를 한쪽 방향으로 구동시키면서 이송시키게 된다.
이 때, 간봉이 개재되고 이 간봉의 테두리에 실링재가 도포된 복층유리(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블록(90)에 안착되어 지지된 상태로 이송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복층유리(10) 중 어느 하나의 유리는 지지블록(90)의 어느 한쪽 경사부(92a)에 의해 지지되고, 다른 하나의 유리는 지지블록(90)의 다른 한쪽 경사부(92b)에 의해 지지되며, 실링재는 요홈부(94)에 의해 지지블록(90)에 접촉되지 않는 상태로서 이송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복층유리 이송장치(60)는, 컨베이어부(80)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게 설치되는 지지블록(90)들이 각각 개별적으로 컨베이어부(80)와 결합부재로서 결합되어 고정된 상태를 이루게 되는바, 그 조립 및 분해에 따른 작업공수가 많이 소요되어 그 작업성이 매우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복층유리 이송장치(80)에 제공되는 복수의 지지블록(90)은, 그 상면에 서로 대향되게 경사부(92a,92b)가 형성되고, 이 양측 경사부(92a,92b)에 복층유리(10)의 각 유리 단부가 안착된 상태로 이송이 이루어지게 되는바, 지지블록(90)의 상면을 이루는 각 경사부(92a,92b)는 복층유리(10)의 각 유리 단부 모서리와 면 접촉을 이룸에 따라 마모 발생의 우려가 크고, 이에 따라 교체 요구가 많아지게 된다.
그런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복층유리 이송장치(60)에 제공되는 복수의 지지블록(90)은, 각각의 지지블록(90)이 양측의 경사부(92a,92b)에 형성된 체결공(96a,96b)들을 통해 컨베이어부(80)와 결합되어 있는바, 교체 시 일일이 결합부재를 분리하고 다시 체결해야 하는 등, 그 작업공수가 많이 소요되어 작업성이 매우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복층유리 이송장치(60)에 제공되는 복수의 지지블록(90)은, 미처 경화되지 못한 실링재가 접촉되지 않도록 그 상면 중앙부위에 오목홈(94)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는바, 2중의 복층유리 이송은 가능한 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중 유리 또는 그 이상의 복층유리(10-1) 이송은 불가능하다는 단점도 있었다.
최근에는, 그 기능성 향상을 위하여 3중 또는 그 이상의 복층유리(10-1)가 제작되고 있는데, 3중 유리를 종래의 복층유리 이송장치(60)를 이용하여 이송시키게 되면, 중앙 측 유리에 대하여 지지가 이루어지지 않게 됨으로써, 미처 경화되지 못한 실링재에 의해 중앙 측 유리가 아래로 처짐이 발생됨에 따라 종래의 복층유리 이송장치(60)에 제공되는 지지블록(90)은 그 기능이 제한되는 단점도 있었다.
즉, 종래의 복층유리 이송장치용 컨베이어 지지블록(90)의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2중의 복층유리(10)만 이송시킬 수 있게 되는바, 3중 또는 그 이상의 복층유리를 이송시키고자 하는 경우 별도의 이송장치를 구비하거나 또는 컨베이어부에 설치되는 지지블록들을 교체하는 작업을 수행해야 함으로써, 그 생산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84577호(2012.07.3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마모 또는 오염에 따른 교체 요구 시, 그 분리 및 조립이 간단하여 작업공수를 줄임에 따라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복층유리 이송장치용 컨베이어 지지블록 및 이 지지블록의 분리용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2중의 복층유리는 물론 3중 또는 그 이상의 복층유리도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여 범용성을 확대시킴에 따라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복층유리 이송장치용 컨베이어 지지블록 및 이 지지블록의 분리용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층유리 이송장치용 컨베이어 지지블록은, 간봉이 개재되고, 간봉의 테두리에 실링재가 도포된 상태의 복층유리를 일 방향으로 진행시키기 위한 컨베이어부를 포함하는 복층유리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부의 외측 면에, 상기 컨베이어부의 진행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설치되되, 상기 복수의 지지블록은, 상기 컨베이어부와 고정되게 설치되는 고정블록; 상기 고정블록에 대하여 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면서 착탈이 이루어지고, 복층유리의 일측 단부가 안착되어 지지되는 가변블록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고정블록에는, 일정 깊이 및 일정 직경의 수용 공간과, 이 수용 공간보다 지름이 작은 통과 홀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 공간에는 탄성부재 및 이 탄성부재를 가압하여 압축시키는 가압블록이 배치되며, 상기 가압블록과 결합되어 상기 통과 홀을 통해 그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는 제1 자석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변블록은, 그 저면에 상기 통과 홀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제1 자석의 일부가 인입되기 위한 수용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블록의 상단 양측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가이드 돌기 및 제1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변블록의 하단 양측에는 상기 고정블록의 제1 가이드 홈을 따라 측 방향 슬라이드 되기 위한 제2 가이드 돌기와, 상기 고정블록의 제1 가이드 돌기가 인입된 상태로 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기 위한 제2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층유리 이송장치용 컨베이어 지지블록의 분리용 지그는, 양 측단에 각각 측벽부가 형성되고, 상기 양 측벽부와 교차되는 일측 단에는 걸림부가 형성되어 양 측벽부와 걸림부 사이에는 일정 높이의 공간부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에 대하여 결합부재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몸체에 설치된 상태에서 그 일면이 상기 공간부의 상면에 배치되는 제2 자석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제1 자석과 상기 제2 자석의 서로 마주보는 부분의 극성이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공간부에는 상기 가변블록이 인입되며, 상기 가변블록이 상기 공간부에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가변블록의 일측 단과 밀착되어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의 상부에는 손잡이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층유리 이송장치용 컨베이어 지지블록 및 이 지지블록의 분리용 지그에 의하면, 지지블록의 마모 또는 오염에 따른 교체 요구 시, 그 분리 및 조립이 간단하여 작업공수가 줄어들게 됨에 따라 작업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층유리 이송장치용 컨베이어 지지블록 및 이 지지블록의 분리용 지그에 의하면, 2중의 복층유리는 물론 3중 또는 그 이상의 복층유리도 이송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범용성이 확대됨에 따라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도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복층유리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 단면도로서, 복층유리의 테두리 면에 실링재가 도포된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복층유리 이송장치 일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복층유리 이송장치의 컨베이어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게 설치되는 지지블록에 복층유리가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
도 5는 도 3에서 복층유리 이송장치의 컨베이어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게 설치되는 지지블록에 3중 복층유리가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층유리 이송장치 일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에서 지지블록의 분리 사시도.
도 8은 도 6의 A-A선 단면도.
도 9는 도 6의 B-B선 단면도.
도 10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층유리 이송장치용 컨베이어 지지블록의 분리용 지그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b는 도 10a의 배면 사시도.
도 11은 분리용 지그의 단면도.
도 12a 내지 도 12c는 분리용 지그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층유리 이송장치용 컨베이어 지지블록을 분리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사시도, 단면도, 측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층유리 이송장치용 컨베이어 지지블록 및 이 지지블록의 분리용 지그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층유리 이송장치 일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서 지지블록의 분리 사시도이다.
또한, 도 8은 도 6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6의 B-B선 단면도이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종래에 있어서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고, 그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층유리 이송장치(100)용 컨베이어 지지블록(200)은, 컨베이어부(120)의 외측 면에 대하여 고정되게 설치되되, 컨베이어부(120)의 진행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고정블록(210)과, 이 고정블록(210)에 대하여 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면서 착탈이 이루어지며 복층유리의 일측 단부가 안착되어 지지되는 가변블록(25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참고로, 도면 중 미설명 부호(110)는 이송시키고자 하는 복층유리 중 어느 하나의 유리 일 면을 지지하면서 일 방향으로의 진행을 안내하기 위한 복수의 가이드 롤러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고정블록(210)은, 컨베이어부(120)와 볼트 등의 결합부재(미도시됨)에 의해 체결되어 고정되도록 양측에 제1 결합 홀(214)이 형성되고, 이 양측의 제1 결합 홀(214)들 사이에는 일정 깊이 및 일정 직경의 수용 공간(216) 및 통과 홀(224)이 형성되며, 수용 공간(216)의 주변에는 저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만큼 제2 결합 홀(232)이 형성된 본체부(212)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고정블록(210)은 본체부(212)의 수용 공간(216)에 내재되는 탄성부재(218)와, 이 탄성부재(218)를 가압하면서 압축시키거나 또는 탄성부재(218)의 탄성복원력에 수용 공간(216) 내에서 일정 간격만큼 승강이 이루어지는 가압블록(220)과, 이 가압블록(220)과 결합되어 통과 홀(224)을 통해 그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는 제1 자석(222)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고정블록(210)은 본체부(212)의 제2 결합 홀(232)과 볼트 등의 결합부재(미도시됨)에 의해 체결됨에 따라 수용 공간(216)을 차폐시킴으로써 탄성부재(218)가 외력을 받지 않은 상태에서 가압블록(220)과 제1 자석(222)을 한쪽 방향으로 밀도록 하는 차폐커버(230)를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통과 홀(224)의 직경은 수용 공간(216)의 직경보다는 작게 형성되고, 이에 따라 통과 홀(224)과 수용 공간(216)의 경계에는 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가압블록(220)의 단면적 지름은 수용 공간(216)의 직경에 대응되고, 제1 자석(222)의 단면적 지름은 통과 홀(224)의 직경에 대응되게 형성됨에 따라 가압블록(220)은 탄성부재(218)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한쪽 방향 즉, 상부 쪽으로 밀리는 힘을 부여 받게 되더라도 단턱에 의해 걸림이 발생되는바, 이 가압블록(220)과 결합된 제1 자석(222)은 통과 홀(224)을 완전히 통과하여 외부로 돌출되지 않고 일 부분만 돌출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한편, 고정블록(210)의 본체부(212)에는 그 상단 양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가이드 돌기(240) 및 제1 가이드 홈(242)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고정블록(210)의 본체부(212) 상단 양측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측 방향으로 돌출된 제1 가이드 돌기(240)가 형성되고, 이 제1 가이드 돌기(240)의 하부 양측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측 방향으로 함몰된 제1 가이드 홈(242)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의 기능 및 작동관계는 후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고정블록(210)을 복층유리 이송장치(100)용 컨베이어부(120)에 결합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고정블록(210)의 수용 공간(216)에 결합된 제1 자석(222) 및 가압블록(220)을 인입시키되, 제1 자석(222)이 통과 홀(224)을 통과하도록 인입시킨다. 다음에 탄성부재(218)를 수용 공간(216)에 인입시킨 후, 차폐커버(230)를 제2 결합 홀(232)에 의해 볼트 등의 결합부재로서 결합시킨다.
따라서, 고정블록(210)의 수용 공간(216)에는 탄성부재(218)와 가압블록(220) 및 제1 자석(222)이 내재되되, 제1 자석(222)의 일부는 통과 홀(224)을 통해 고정블록(210)의 상면보다 돌출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고정블록(210)은 양측의 제1 결합 홀(214)을 통해 볼트 등의 결합부재로서 컨베이어부(120)에 대하여 고정되게 결합시키면 된다.
한편, 가변블록(250)은 고정블록(210)의 본체부(212)에 대하여 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면서 착탈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그 하단 양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제2 가이드 돌기(252) 및 제2 가이드 홈(254)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가변블록(250)의 하단 양측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고정블록(210)의 제1 가이드 홈(242)을 따라 측 방향 슬라이드 되기 위한 제2 가이드 돌기(252)가 형성되고, 이 제2 가이드 돌기(252)의 상부 양측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측 방향으로 함몰되어 고정블록(210)의 제1 가이드 돌기(240)가 인입된 상태에서 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도록 하기 위한 제2 가이드 홈(254)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가변블록(250)의 저면 중앙 부위에는, 고정블록(210)의 통과 홀(224)을 통해 그 일부가 외부로 돌출된 제1 자석(222)의 단면적 지름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일정 깊이의 수용 홈(260)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고정블록(210)에 대하여 가변블록(250)을 결합시키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고정블록(210)에 대하여 가변블록(250)이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탄성부재(218)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가압블록(220)이 제1 자석(222)을 밀어내는 힘을 발휘하게 되는바, 제1 자석(222)의 일부는 고정블록(210)의 본체부(212) 중앙 부위에 형성된 통과 홀(224)을 통과하여 돌출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외부로 돌출된 제1 자석(222)을 손으로 눌러서 통과 홀(224)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가변블록(250)의 제2 가이드 홈(254)과 제2 가이드 돌기(252)를 고정블록(210)의 제1 가이드 돌기(240)와 제1 가이드 홈(242)과 수평상태를 이루도록 한 후, 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결합시키면 된다.
이 때, 고정블록(210)의 제1 자석(222)은 슬라이드되는 가변블록(250)의 저면과 밀착된 상태를 이룸에 따라 계속해서 가압블록(220) 및 탄성부재(218)를 압축시킨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계속해서 가변블록(250)이 고정블록(210)을 따라 측 방향 슬라이드가 이루어지면서 가변블록(250)의 저면 중앙부위에 형성된 수용 홈(260)이 제1 자석(222)과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하게 되면, 탄성부재(218)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가압블록(220) 및 제1 자석(222)은 상부 방향으로 위치이동하게 되는바, 제1 자석(222)의 일부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과 홀(224)을 통과하여 가변블록(250)의 수용 홈(260)에 삽입된다.
따라서, 가변블록(250)은 그 중앙 저면에 형성된 수용 홈(260)에 고정블록(210)의 제1 자석(222)의 일부가 삽입된 상태를 이루게 됨으로써, 더 이상 측 방향 슬라이드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바,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이 잠금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와 동시에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블록(250)의 제2 가이드 돌기(252)가 고정블록(210)의 제1 가이드 홈(242)에 삽입되고, 또한 고정블록(210)의 제1 가이드 돌기(240)가 가변블록(250)의 제2 가이드 홈(254)에 삽입된 상태를 이루게 되는바, 가변블록(250)은 고정블록(210)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의 이동도 잠금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가변블록(250)은 고정블록(210)에 대하여 간단한 측 방향 슬라이드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지게 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가변블록(250)은 그 상면이 평면을 이루게 되는바, 이 가변블록(250)의 상면을 따라 실링재가 도포된 복층유리 즉, 2중 복층유리 및 3중 또는 그 이상의 복층유리가 지지되면서 이송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종래에서와 같이 3중 또는 그 이상의 복층유리가 지지되지 못하게 되어 변형되는 등의 문제가 해소될 수 있다.
참고로, 고정블록(210)의 본체부(212)는 금속재질인 것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가변블록(250)은 중량의 복층유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합성수지재질 또는 실리콘재질인 것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고정블록(210)에 대하여 가변블록(250)이 결합된 상태에서, 가변블록(250)의 상면에 중량의 복층유리들이 안착되어 지지된 상태로 컨베이어부(120)가 회전하면서 복층유리를 이송시키게 되는 과정에서, 직접적으로 하중이 가해지고 미처 경화되지 못한 실링재가 직접 접촉하게 되는 가변블록(250)은 마모 또는 오염이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변블록(250)이 마모 또는 오염이 커서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후술되는 분리용 지그(300)를 이용하여 고정블록(210)에 대하여 가변블록(250)을 간단히 분리시킬 수 있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층유리 이송장치용 컨베이어 지지블록의 분리용 지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b는 도 10a의 배면 사시도이며, 도 11은 분리용 지그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12a 내지 도 12c는 분리용 지그)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층유리 이송장치용 컨베이어 지지블록을 분리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먼저, 도 10a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층유리 이송장치(100)용 컨베이어 지지블록(200)을 분리하기 위한 분리용 지그(300)는, 양 측단에 각각 측벽부(312)가 형성되고, 이 양 측벽부(312)와 교차되는 일측 단에는 걸림부(316)가 형성되며, 이 걸림부(316)와 대향되는 타측 단에는 개방부(314)가 형성되어, 양 측벽부(312)와 걸림부(316) 사이에는 일정 높이의 공간부(318)가 형성된 몸체(310)와, 이 몸체(3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손잡이부(33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공간부(318)는 가변블록(250)을 감싸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공간부(318)에 가변블록(250)이 인입된 상태에서 걸림부(316)는 가변블록(250)의 일측 단과 밀착되어 걸림된 상태를 이룰 수 있다.
또한, 분리용 지그(300)는 몸체(310)에 대하여 볼트 등의 결합부재(미도시됨)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되, 몸체(310)에 설치된 상태에서 그 일면이 공간부(318)의 중앙 부위 측 상면에 배치되는 제2 자석(32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2 자석(320)과 고정블록(210)에 구비되는 제1 자석(222)은 서로 마주보는 부분이 동일 극성을 이루도록 하여 제1 자석(222)과 제2 자석(320)이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경우 서로 미는 힘을 발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자석(222)에서 제2 자석(320)과 마주보는 부분이 S극이면 제2 자석(320)에서 제1 자석(222)과 마주보는 부분도 S극이 되도록 하고, 제1 자석(222)에서 제2 자석(320)과 마주보는 부분이 가 N극이면 제2 자석(320)에서 제1 자석(222)과 마주보는 부분도 N극이 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분리용 지그(300)를 이용하여 고정블록(210)으로부터 가변블록(250)을 분리하는 과정을 도 12a 내지 도 12c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교체를 위하여 가변블록(250)을 고정블록(210)으로부터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블록(250)의 상부 쪽에 분리용 지그(300)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용 지그(300)의 공간부(318)에 가변블록(250)이 인입되도록 한다.
참고로, 분리용 지그(300)의 일측 단에는 개방부(314)가 형성되어 있는바, 분리용 지그(300)를 가변블록(250)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개방부(314)를 통해 가변블록(250)이 측 방향으로 분리용 지그(300)의 공간부(318)로 인입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가변블록(250)이 분리용 지그(300)의 공간부(318)에 인입된 상태를 이루게 되면, 분리용 지그(300)의 제2 자석(320)과, 고정블록(210)의 제1 자석(222)은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 때 제1 자석(222) 및 제2 자석(320)의 서로 마주보는 부분은 동일 극성을 갖게 되는바 서로 밀어내는 힘을 발휘하게 된다.
이 때, 제2 자석(320)은 결합부재에 의해 분리용 지그(300)에 대하여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제1 자석(222)은 통과 홀(224)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유동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바, 제2 자석(320)이 가압블록(220)을 밀어 탄성부재(218)를 압축시키면서 안쪽으로 밀려 들어가게 된다.
참고로, 제2 자석(320)은 제1 자석(222)에 비하여 그 단면적이 더 큰 것으로 적용하여 제1 자석(222)에 비하여 보다 큰 자력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 자석(222)이 가변블록(250)의 수용 홈(260)으로부터 빠진 상태가 됨으로써, 고정블록(210)에 대한 가변블록(250)의 수평방향 이동의 잠금을 해제시키게 되는바, 작업자가 분리용 지그(300)의 손잡이부(330)를 잡고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가변블록(250)이 고정블록(210)에 대하여 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면서 분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즉, 분리용 지그(300)의 걸림부(316)가 가변블록(250)의 일측 단부와 밀착되어 걸림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바, 이 걸림부(316)가 형성된 부위의 반대 방향으로 분리용 지그(300)를 수평 방향 이동시키게 되면, 가변블록(250)은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316)에 의해 일측 방향으로 수평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때, 가변블록(250)의 제2 가이드 돌기(252) 및 제2 가이드 홈(254)은 고정블록(210)의 제1 가이드 홈(242) 및 제1 가이드 돌기(240)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가변블록(250)은 고정블록(210)에 대하여 분리용 지그(300)에 의해 간단하게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마모 또는 오염 등에 의해 고정블록(210)으로부터 가변블록(250)을 분리한 이후에, 새로운 가변블록을 고정블록(210)에 설치하면 되는데, 고정블록(210)에 대한 가변블록(250)의 설치과정은 앞서 설명하였는바, 이에 대한 반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층유리 이송장치(100)용 컨베이어 지지블록(200) 및 이 지지블록(200)의 분리용 지그(300)에 의하면, 지지블록(200)의 마모 또는 오염에 따른 교체 요구 시, 복층유리의 단부와 직접 접촉하게 되는 가변블록(250)만을 분리 및 조립하되, 그 분리 및 조립이 매우 간단하여 작업공수가 줄어들게 됨에 따라 작업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층유리 이송장치(100)용 컨베이어 지지블록(200) 및 이 지지블록(200)의 분리용 지그(300)에 의하면, 2중의 복층유리는 물론 3중 또는 그 이상의 복층유리도 이송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범용성이 확대됨에 따라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도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복층유리 이송장치 120 : 컨베이어부
200 : 지지블록 210 : 고정블록
212 : 본체부 214 : 제1 결합 홀
216 : 수용 공간 218 : 탄성부재
220 : 가압블록 222 : 제1 자석
224 : 통과 홀 230 : 차폐커버
232 : 제2 결합 홀 240 : 제1 가이드 돌기
242 : 제1 가이드 홈 250 : 가변블록
252 : 제2 가이드 돌기 254 : 제2 가이드 홈
260 : 수용 홈 300 : 분리용 지그
310 : 몸체 312 : 측벽부
314 : 개방부 316 : 걸림부
318 : 공간부 320 : 제2 자석
330 : 손잡이부

Claims (7)

  1. 간봉이 개재되고, 간봉의 테두리에 실링재가 도포된 상태의 복층유리를 일 방향으로 진행시키기 위한 컨베이어부를 포함하는 복층유리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부의 외측 면에, 상기 컨베이어부의 진행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지지블록이 설치되되,
    상기 복수의 지지블록은,
    상기 컨베이어부와 고정되게 설치되는 고정블록;
    상기 고정블록에 대하여 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면서 착탈이 이루어지고, 복층유리의 일측 단부가 안착되어 지지되는 가변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블록에는,
    일정 깊이 및 일정 직경의 수용 공간과, 이 수용 공간보다 지름이 작은 통과 홀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 공간에는 탄성부재 및 이 탄성부재를 가압하여 압축시키는 가압블록이 배치되며,
    상기 가압블록과 결합되어 상기 통과 홀을 통해 그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는 제1 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이송장치용 컨베이어 지지블록.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블록은,
    그 저면에 상기 통과 홀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상기 제1 자석의 일부가 인입되기 위한 수용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이송장치용 컨베이어 지지블록.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블록의 상단 양측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가이드 돌기 및 제1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변블록의 하단 양측에는 상기 고정블록의 제1 가이드 홈을 따라 측 방향 슬라이드 되기 위한 제2 가이드 돌기와, 상기 고정블록의 제1 가이드 돌기가 인입된 상태로 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기 위한 제2 가이드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이송장치용 컨베이어 지지블록.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기재된 복층유리 이송장치용 컨베이어 지지블록에서, 상기 고정블록에 대하여 상기 가변블록을 분리하기 위한 분리용 지그에 있어서,
    양 측단에 각각 측벽부가 형성되고, 상기 양 측벽부와 교차되는 일측 단에는 걸림부가 형성되어 양 측벽부와 걸림부 사이에는 일정 높이의 공간부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에 대하여 결합부재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몸체에 설치된 상태에서 그 일면이 상기 공간부의 상면에 배치되는 제2 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자석과 상기 제2 자석의 서로 마주보는 부분의 극성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이송장치용 컨베이어 지지블록의 분리용 지그.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에는 상기 가변블록이 인입되며,
    상기 가변블록이 상기 공간부에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가변블록의 일측 단과 밀착되어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이송장치용 컨베이어 지지블록의 분리용 지그.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부에는 손잡이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이송장치용 컨베이어 지지블록의 분리용 지그.
KR1020200042938A 2020-04-08 2020-04-08 복층유리 이송장치용 컨베이어 지지블록 및 이 지지블록의 분리용 지그 KR102196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2938A KR102196620B1 (ko) 2020-04-08 2020-04-08 복층유리 이송장치용 컨베이어 지지블록 및 이 지지블록의 분리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2938A KR102196620B1 (ko) 2020-04-08 2020-04-08 복층유리 이송장치용 컨베이어 지지블록 및 이 지지블록의 분리용 지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6620B1 true KR102196620B1 (ko) 2020-12-31

Family

ID=74087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2938A KR102196620B1 (ko) 2020-04-08 2020-04-08 복층유리 이송장치용 컨베이어 지지블록 및 이 지지블록의 분리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662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950B1 (ko) * 2006-01-25 2007-05-25 주식회사 태성기연 판유리 이송장치
KR20120084577A (ko) 2011-01-20 2012-07-30 주식회사 진영이노텍 복층유리 이송용 컨베이어
KR101933691B1 (ko) * 2017-05-22 2018-12-28 주식회사 아이지스 유리패널 받침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950B1 (ko) * 2006-01-25 2007-05-25 주식회사 태성기연 판유리 이송장치
KR20120084577A (ko) 2011-01-20 2012-07-30 주식회사 진영이노텍 복층유리 이송용 컨베이어
KR101933691B1 (ko) * 2017-05-22 2018-12-28 주식회사 아이지스 유리패널 받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84030C2 (ru) Сборочный стенд для оконного блока и способ
US8419337B2 (en) Gate valve and substrate processing system using same
KR100626275B1 (ko) 자동 정압 밀봉 접근 도어
KR102196620B1 (ko) 복층유리 이송장치용 컨베이어 지지블록 및 이 지지블록의 분리용 지그
JP5576652B2 (ja) 複合材料構造物製造用マンドレルの分解方法およびマンドレルの分解装置
TW201919978A (zh) 製造工具及利用多框製造裝置的製造方法
US20140348970A1 (en) Mold set
KR20060096295A (ko) 프레스 성형 몰드 및 프레스 성형체의 제조방법
KR102593614B1 (ko) 기판 절단 장치
WO2012090304A1 (ja) プレス成形システム
KR101361819B1 (ko) 패턴 형성용 기판 홀딩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유기 박막 증착 장치
KR101949193B1 (ko) 고저온 어닐링 오븐의 수평 스텝이송 방식의 팔레트 이송장치
US20230330777A1 (en) Method of processing two-dimensional substrates
KR102486580B1 (ko) 비히클
KR20160042508A (ko) 진공 흡착 헤드 및 그를 사용하는 진공 흡착 장치
KR20130005880A (ko) 기판 수납용 카세트
CN105966441A (zh) 管道固定装置改进结构
TW201924909A (zh) 積層製造的平台交換裝置
WO2012090303A1 (ja) プレス成形装置
JP2014163482A (ja) リニアガイド装置
JP6011034B2 (ja) ウエハ接合装置
CN110103286B (zh) 一种显示面板切割区脱离装置及其使用方法
US20180370839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king articles from preformed materials
KR102240751B1 (ko) 이송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외관 검사 시스템
KR102309790B1 (ko) 기판 처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