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5264B1 - 공간유지장치의 장착 시기 결정 방법, 장치 및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공간유지장치의 장착 시기 결정 방법, 장치 및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5264B1
KR102195264B1 KR1020190008018A KR20190008018A KR102195264B1 KR 102195264 B1 KR102195264 B1 KR 102195264B1 KR 1020190008018 A KR1020190008018 A KR 1020190008018A KR 20190008018 A KR20190008018 A KR 20190008018A KR 102195264 B1 KR102195264 B1 KR 102195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eth
time
space
timing
eru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8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1146A (ko
Inventor
최규옥
왕건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08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5264B1/ko
Publication of KR20200091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11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5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5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211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 A61B6/5217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extracting a diagnostic or physiological parameter from medical diagnostic da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2Arrangements for diagnosis sequentially in different planes; Stereoscopic radiation diagnosis
    • A61B6/03Computed tomography [CT]
    • A61B6/032Transmission computed tomography [CT]
    • A61B6/1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 A61B6/51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for dentist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공간유지장치의 장착 시기 결정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장착 시기 결정 방법은 유치의 탈락 시기에 따른 미맹출 영구치의 맹출 시기 및 맹출 순서를 분석하고, 유치의 탈락 시기와 미맹출 영구치의 맹출 시기 간의 간격에 기초하여 공간유지장치의 장착 시기를 결정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간유지장치의 장착 시기 결정 방법, 장치 및 기록 매체{Method,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For Determining Installation Time of Space Maintaining Device}
본 발명은 공간유지장치의 장착 시기 결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환자의 구강 스캔 데이터를 통해 식별된 유치의 탈락 시기 및 미맹출 영구치의 발달 정도에 기초하여 공간유지장치의 장착 시기를 결정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구강 스캐닝 기술 및 CAD/CAM 시스템은 최근 치과 교정 치료에서 교정장치의 제작을 위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CAD/CAM 시스템을 이용하면 수작업보다 일정한 품질의 교정장치를 제작 할 수 있고, 한 번 디자인 된 교정장치는 파일로 보관되어 반복 제작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교정장치 중 공간유지장치는 치과의사 혹은 치과기공사에 의한 수작업으로 제작되었다. 이와 같이 치과의사에 의한 환자의 영상진단을 바탕으로 구강모델 상에 직접 공간유지장치를 제작하는 방식은 정확한 영구치 맹출 시기 및 맹출 위치에 관한 예측을 반영하기 어려워 환자에게 적합한 공간유지장치를 디자인하고, 디자인된 공간유지장치를 장착하는 시기를 결정하기 어려운 단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CAD/CAM 시스템을 이용한 혼합치열기 교정치료 환자의 영구치 맹출을 위한 공간유지장치 제작 과정에서, 현재 환자의 진단 자료를 바탕으로 영구치의 맹출 시기 및 맹출 위치를 예측하여 적절한 공간을 유지할 수 있는 장치물을 디자인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치의 탈락 시기와 미맹출 영구치의 발달 정도를 이용하여 공간유지장치의 장착 시기를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유지장치의 장착 시기 결정 방법은 환자의 구강 스캔 데이터를 이용하여 유치 및 미맹출 영구치를 분리하는 단계; 상기 분리된 유치에 대한 미맹출 영구치의 상대적인 위치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유치에 대한 미맹출 영구치의 상대적인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유치의 탈락 시기에 따른 상기 미맹출 영구치의 발달 정도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유치의 탈락 시기에 따른 상기 미맹출 영구치의 발달 정도를 이용하여 공간유지장치의 장착 시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유치의 탈락 시기에 따른 상기 미맹출 영구치의 발달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미맹출 영구치의 맹출 시기 및 맹출 순서를 분석하고,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유치의 탈락 시기와 상기 미맹출 영구치의 맹출 시기에 기초하여 상기 공간유지장치의 장착 시기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유치의 탈락 시기와 상기 미맹출 영구치의 맹출 시기 간의 간격이 미리 설정된 기간 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 상기 유치의 탈락 시기를 공간유지장치의 장착 시기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미맹출 영구치의 맹출 시기가 임박한 경우에도 상기 미맹출 영구치에 대응하는 유치가 탈락되지 않은 경우, 상기 미맹출 영구치에 대응하는 유치의 발치 시기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유치의 발치 시기를 공간유지장치의 장착 시기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결정된 공간유지장치의 장착 시기에 기초하여 측정된 상기 미맹출 영구치의 근원심 폭경 및 맹출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공간유지장치를 디자인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유지장치의 장착 시기 결정 장치는 환자의 구강 스캔 데이터를 이용하여 유치 및 미맹출 영구치를 분리하는 분리부; 상기 분리된 유치에 대한 미맹출 영구치의 상대적인 위치를 식별하는 식별부; 상기 유치에 대한 미맹출 영구치의 상대적인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유치의 탈락 시기에 따른 상기 미맹출 영구치의 발달 정도를 분석하는 분석부; 및 상기 유치의 탈락 시기에 따른 상기 미맹출 영구치의 발달 정도를 이용하여 공간유지장치의 장착 시기를 결정하는 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석부는 상기 유치의 탈락 시기에 따른 상기 미맹출 영구치의 발달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미맹출 영구치의 맹출 시기 및 맹출 순서를 분석하고, 상기 결정부는 상기 유치의 탈락 시기와 상기 미맹출 영구치의 맹출 시기 간의 간격이 미리 설정된 기간 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 상기 유치의 탈락 시기를 공간유지장치의 장착 시기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분석부는 상기 유치의 탈락 시기에 따른 상기 미맹출 영구치의 발달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미맹출 영구치의 맹출 시기 및 맹출 순서를 분석하고, 상기 결정부는 상기 미맹출 영구치의 맹출 시기가 임박한 경우에도 상기 미맹출 영구치에 대응하는 유치가 탈락되지 않은 경우, 상기 미맹출 영구치에 대응하는 유치의 발치 시기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유치의 발치 시기를 공간유지장치의 장착 시기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결정된 공간유지장치의 장착 시기에 기초하여 측정된 상기 미맹출 영구치의 근원심 폭경 및 맹출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공간유지장치를 디자인 하는 디자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CAD/CAM 시스템을 이용한 혼합치열기 교정치료 환자의 영구치 맹출을 위한 공간유지장치 제작 과정에서, 현재 환자의 진단 자료를 바탕으로 영구치의 맹출 시기 및 맹출 위치를 예측하여 적절한 공간을 유지할 수 있는 장치물을 디자인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치의 탈락 시기와 미맹출 영구치의 발달 정도를 이용하여 공간유지장치의 장착 시기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간유지장치의 장착 시기에 기초하여 최적의 공간유지장치를 디자인함으로써 사용편의성 및 장착 후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유지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유지장치의 장착 시기 결정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자의 유치와 영구치를 분리하여 표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치의 탈락 시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유지장치의 장착 시기 결정 방법을 플로우챠트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유지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혼합치열기 환자는 유치(110)와 영구치(120)가 혼합된 치열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아직 맹출되지 않은 영구치(120)는 환자의 치조골(Alveolar bone)에 위치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맹출되지 않은 영구치(120)를 미맹출 영구치라고 나타낸다.
도 1의 (a)를 참고하면, 유치(110)가 탈락된 경우, 탈락된 유치(110)의 인접치 및 대합치는 각각 유치(110)가 탈락된 공간으로 경사이동 또는 평행이동을 하게 된다. 이는 이후에 맹출 될 영구치(120)의 맹출 공간을 폐쇄하여 이상적인 위치 또는 각도로 맹출되는 것을 방해하는 요소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유치(110)의 탈락 시기와 미맹출 영구치(120)의 맹출 예상 시기가 일정 기간 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 공간유지장치(100)를 사용하여 유치(110)가 탈락된 공간을 유지하여야 한다.
도 1의 (b)를 참고하면, 본 발명은 유치(110)가 탈락된 공간에 대해 공간유지장치(100)를 이용하여 미맹출 영구치(120)가 맹출될 공간을 유지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CAD/CAM 시스템을 이용한 혼합치열기 교정치료 환자의 미맹출 영구치(120)를 위한 공간유지장치(100) 제작 과정에서, 현재 환자의 진단 자료를 바탕으로 미맹출 영구치(120)의 맹출 시기 및 맹출 위치를 예측함으로써 적절한 공간을 유지할 수 있는 장치물을 디자인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유지장치의 장착 시기 결정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은 공간유지장치(100)의 장착 시기를 결정하는 공간유지장치(100)의 장착 시기 결정 장치(200)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장착 시기 결정 장치(200)는 분리부(210), 식별부(220), 분석부(230), 결정부(240) 및 디자인부(250)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장착 시기 결정 장치(200)의 분리부(210), 식별부(220), 분석부(230), 결정부(240) 및 디자인부(250)는 각각 서로 다른 프로세서를 통해 동작하거나 하나의 프로세서를 통해 모든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먼저 분리부(210)는 환자의 구강 스캔 데이터를 이용하여 유치(110) 및 미맹출 영구치(120)를 분리할 수 있다. 이때, 구강 스캔 데이터는 CT 또는 X-ray를 통해 수집된 환자의 CT 영상 또는 X-ray 파노라믹(panoramic) 영상에 대응할 수 있으며, 주로 STL(Stereolithography) 포맷으로 수집될 수 있다.
이때, 분리부(210)는 도 3과 같이 CT 영상 또는 X-ray 파노라믹(panoramic) 영상에 대응하는 구강 스캔 데이터에서 혼합치열기 환자의 유치(110) 치관(Crown) 및 치근(Tooth Root)과 미맹출 영구치(120)의 치관 및 치근을 분리하여 표시할 수 있다.
식별부(220)는 분리부(210)로부터 도출된 혼합치열기 환자의 유치(110) 치관(Crown) 및 치근(Tooth Root)과 미맹출 영구치(120)의 치관 및 치근이 분리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구강 스캔 데이터를 이용하여 유치(110)에 대한 미맹출 영구치(120)의 상대적인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분석부(230)는 유치(110)에 대한 미맹출 영구치(120)의 상대적인 위치에 기초하여 유치(110)의 탈락 시기에 따른 미맹출 영구치(120)의 발달 정도를 분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분석부(230)는 도 4와 같이 유치 발달 및 탈락에 대한 통상적인 스케줄 데이터를 이용함으로써 유치(110)의 탈락 시기를 예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유치 발달 및 탈락에 대한 통상적인 스케줄 데이터는 도 4에 한정되지 않고 스케줄 데이터마다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분석부(230)는 하기의 표 1과 같은 영구치 발달 및 맹출에 대한 통상적인 스케줄 데이터를 이용함으로써 미맹출 영구치(120)의 맹출 시기 및 맹출 순서를 예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영구치 발달 및 맹출에 대한 통상적인 스케줄 데이터 역시 표 1에 한정되지 않고 스케줄 데이터마다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분석부(230)는 유치 발달 및 탈락에 대한 통상적인 스케줄 데이터와 영구치 발달 및 맹출에 대한 통상적인 스케줄 데이터를 통해 미맹출 영구치(120)의 초기 맹출 시기 및 맹출 순서를 예상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유치 발달 및 탈락에 대한 통상적인 스케줄 데이터와 영구치 발달 및 맹출에 대한 통상적인 스케줄 데이터는 대다수 환자의 평균 데이터일 뿐 개별 환자의 경우에 항상 일치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따라서, 분석부(230)는 개별 환자의 구강 스캔 데이터를 이용하여 식별된 유치(110)에 대한 미맹출 영구치(120)의 상대적인 위치를 이용함으로써 유치(110)의 탈락 시기에 따른 미맹출 영구치(120)의 최종 맹출 시기 및 맹출 순서를 예상할 수 있다.
결정부(240)는 유치(110)의 탈락 시기에 따른 미맹출 영구치(120)의 최종 맹출 시기 및 맹출 순서를 이용하여 공간유지장치(100)의 장착 시기를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결정부(240)는 유치(110)의 탈락 시기와 미맹출 영구치(120)의 맹출 시기에 기초하여 공간유지장치(100)의 장착 시기를 결정할 수 있다.
유치(110)가 탈락된 후 미맹출 영구치(120)가 맹출되기 전까지 일정 시간 이상 걸리는 경우, 유치(110)의 인접치 및 대합치로 인해 유치(110)가 경사이동 또는 평행이동을 함으로써 미맹출 영구치(120)의 맹출 공간을 폐쇄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결정부(240)는 유치(110)의 탈락 시기와 미맹출 영구치(120)의 맹출 시기 간의 간격이 미리 설정된 기간 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 유치(110)의 탈락 시기를 공간유지장치(100)의 장착 시기로 결정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미맹출 영구치(120)의 맹출 시기가 임박한 경우에도 미맹출 영구치(120)에 대응하는 유치(110)가 탈락되지 않은 경우, 유치(110)로 인해 미맹출 연구치(120)의 맹출 위치가 비정상적으로 변경될 여지가 존재한다. 이러한 경우, 결정부(240)는 미맹출 영구치(120)에 대응하는 유치(110)의 발치 시기를 결정하고, 결정된 유치(110)의 발치 시기를 공간유지장치(100)의 장착 시기로 결정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디자인부(250)는 결정된 공간유지장치(100)의 장착 시기에 측정된 미맹출 영구치(120)의 근원심 폭경 및 맹출 위치를 이용하여 최적의 공간유지장치(100)를 디자인함으로써 사용편의성 및 장착 후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자의 유치와 영구치를 분리하여 표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공간유지장치(100)의 장착 시기 결정 장치(200)는 CT 영상 또는 X-ray 파노라믹(panoramic) 영상에 대응하는 구강 스캔 데이터에서 혼합치열기 환자의 유치(110) 치관(Crown) 및 치근(Tooth Root)과 미맹출 영구치(120)의 치관 및 치근을 분리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장착 시기 결정 장치(200)는 혼합 치열기 환자의 구강 내에 맹출된 영구치가 영구치 발달 및 맹출에 대한 통상적인 스케줄 데이터 상의 맹출 시기 및 맹출 순서와 다른 경우, 해당 영구치를 별도로 표시함으로써 공간유지장치(100)를 디자인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치의 탈락 시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공간유지장치(100)의 장착 시기 결정 장치(200)는 유치 발달 및 탈락에 대한 통상적인 스케줄 데이터를 이용함으로써 유치(110)의 탈락 시기를 예상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유치 발달 및 탈락에 대한 통상적인 스케줄 데이터는 도 4에 한정되지 않고 스케줄 데이터마다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유지장치의 장착 시기 결정 방법을 플로우챠트로 도시한 도면이다.
단계(510)에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공간유지장치(100)의 장착 시기 결정 장치(200)는 환자의 구강 스캔 데이터를 이용하여 유치(110) 및 미맹출 영구치(120)를 분리할 수 있다.
단계(520)에서, 장착 시기 결정 장치(200)는 혼합치열기 환자의 유치(110) 치관(Crown) 및 치근(Tooth Root)과 미맹출 영구치(120)의 치관 및 치근이 분리된 구강 스캔 데이터를 이용하여 유치(110)에 대한 미맹출 영구치(120)의 상대적인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단계(530)에서, 장착 시기 결정 장치(200)는 유치(110)에 대한 미맹출 영구치(120)의 상대적인 위치에 기초하여 유치(110)의 탈락 시기에 따른 미맹출 영구치(120)의 발달 정도를 분석할 수 있다. 이때, 장착 시기 결정 장치(200)는 유치 발달 및 탈락에 대한 통상적인 스케줄 데이터와 영구치 발달 및 맹출에 대한 통상적인 스케줄 데이터를 통해 미맹출 영구치(120)의 초기 맹출 시기 및 맹출 순서를 예상할 수 있다.
그리고 장착 시기 결정 장치(200)는 개별 환자의 구강 스캔 데이터를 이용하여 식별된 유치(110)에 대한 미맹출 영구치(120)의 상대적인 위치를 이용함으로써 유치(110)의 탈락 시기에 따른 미맹출 영구치(120)의 최종 맹출 시기 및 맹출 순서를 예상할 수 있다.
단계(540)에서, 장착 시기 결정 장치(200)는 유치(110)의 탈락 시기에 따른 미맹출 영구치(120)의 최종 맹출 시기 및 맹출 순서를 이용하여 공간유지장치(100)의 장착 시기를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장착 시기 결정 장치(200)는 유치(110)의 탈락 시기와 미맹출 영구치(120)의 맹출 시기 간의 간격이 미리 설정된 기간 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 유치(110)의 탈락 시기를 공간유지장치(100)의 장착 시기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장착 시기 결정 장치(200)는 미맹출 영구치(120)의 맹출 시기가 임박한 경우에도 미맹출 영구치(120)에 대응하는 유치(110)가 탈락되지 않은 경우, 미맹출 영구치(120)에 대응하는 유치(110)의 발치 시기를 결정하고, 결정된 유치(110)의 발치 시기를 공간유지장치(100)의 장착 시기로 결정할 수 있다.
단계(550)에서, 장착 시기 결정 장치(200)는 결정된 공간유지장치(100)의 장착 시기에 측정된 미맹출 영구치(120)의 근원심 폭경 및 맹출 위치를 이용하여 최적의 공간유지장치(100)를 디자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유치의 탈락 시기에 따른 미맹출 영구치의 발달 정도를 이용하여 공간유지장치의 장착 시기를 결정하는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되어 마그네틱 저장매체, 광학적 판독매체, 디지털 저장매체 등 다양한 기록 매체로도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각종 기술들의 구현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조직으로, 또는 컴퓨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로, 또는 그들의 조합들로 구현될 수 있다. 구현들은 데이터 처리 장치, 예를 들어 프로그램가능 프로세서, 컴퓨터, 또는 다수의 컴퓨터들의 동작에 의한 처리를 위해, 또는 이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즉 정보 캐리어, 예를 들어 기계 판독가능 저장 장치(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또는 전파 신호에서 유형적으로 구체화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컴퓨터 프로그램(들)과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파일된 또는 인터프리트된 언어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의 프로그래밍 언어로 기록될 수 있고, 독립형 프로그램으로서 또는 모듈, 구성요소, 서브루틴, 또는 컴퓨팅 환경에서의 사용에 적절한 다른 유닛으로서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로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서 하나의 컴퓨터 또는 다수의 컴퓨터들 상에서 처리되도록 또는 다수의 사이트들에 걸쳐 분배되고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연결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처리에 적절한 프로세서들은 예로서, 범용 및 특수 목적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둘 다, 및 임의의 종류의 디지털 컴퓨터의 임의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서는 판독 전용 메모리 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 또는 둘 다로부터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수신할 것이다. 컴퓨터의 요소들은 명령어들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컴퓨터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대량 저장 장치들, 예를 들어 자기, 자기-광 디스크들, 또는 광 디스크들을 포함할 수 있거나, 이것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이것들에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양쪽으로 되도록 결합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구체화하는데 적절한 정보 캐리어들은 예로서 반도체 메모리 장치들,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롬(ROM, Read 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등을 포함한다. 프로세서 및 메모리는 특수 목적 논리 회로조직에 의해 보충되거나, 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매체일 수 있고, 컴퓨터 저장매체 및 전송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장치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장치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 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공간유지장치
110 : 유치
120 : 미맹출 영구치
200 : 장착 시기 결정 장치
210 : 분리부
220 : 식별부
230 : 분석부
240 : 결정부
250 : 디자인부

Claims (10)

  1. 프로세서가 수행하는 공간유지장치의 장착 시기 결정 방법에 있어서,
    환자의 구강 스캔 데이터를 이용하여 유치 및 미맹출 영구치를 분리하여 표시하는 단계;
    상기 유치에 대한 미맹출 영구치의 상대적인 위치에 기초하여 분석된 상기 유치의 탈락 시기에 따른 미맹출 영구치의 발달 정도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공된 유치의 탈락 시기에 따른 상기 미맹출 영구치의 발달 정도에 따라 결정된 공간유지장치의 장착 시기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공간유지장치의 장착 시기 결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맹출 영구치의 발달 정도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유치의 탈락 시기에 따른 상기 미맹출 영구치의 발달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미맹출 영구치의 맹출 시기 및 맹출 순서를 식별하고,
    상기 공간유지장치의 장착 시기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유치의 탈락 시기와 상기 미맹출 영구치의 맹출 시기에 기초하여 상기 공간유지장치의 장착 시기를 제공하는 공간유지장치의 장착 시기 결정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유지장치의 장착 시기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유치의 탈락 시기와 상기 미맹출 영구치의 맹출 시기 간의 간격이 미리 설정된 기간 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 상기 유치의 탈락 시기를 공간유지장치의 장착 시기로 제공하는 공간유지장치의 장착 시기 결정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유지장치의 장착 시기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미맹출 영구치의 맹출 시기가 임박한 경우에도 상기 미맹출 영구치에 대응하는 유치가 탈락되지 않은 경우, 상기 미맹출 영구치에 대응하는 유치의 발치 시기를 공간유지장치의 장착 시기로 제공하는 공간유지장치의 장착 시기 결정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된 공간유지장치의 장착 시기에 기초하여 측정된 상기 미맹출 영구치의 근원심 폭경 및 맹출 위치를 이용하여 디자인된 공간유지장치를 환자의 영상에 중첩하여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공간유지장치의 장착 시기 결정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에서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7. 디스플레이;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환자의 구강 스캔 데이터를 이용하여 유치 및 미맹출 영구치를 분리하여 표시하고,
    상기 유치에 대한 미맹출 영구치의 상대적인 위치에 기초하여 분석된 상기 유치의 탈락 시기에 따른 상기 미맹출 영구치의 발달 정도를 제공하며,
    상기 제공된 유치의 탈락 시기에 따른 상기 미맹출 영구치의 발달 정도에 따라 결정된 공간유지장치의 장착 시기를 제공하는 공간유지장치의 장착 시기 결정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유치의 탈락 시기에 따른 상기 미맹출 영구치의 발달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미맹출 영구치의 맹출 시기 및 맹출 순서를 식별하고,
    상기 유치의 탈락 시기와 상기 미맹출 영구치의 맹출 시기 간의 간격이 미리 설정된 기간 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 상기 유치의 탈락 시기를 공간유지장치의 장착 시기로 제공하는 공간유지장치의 장착 시기 결정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유치의 탈락 시기에 따른 상기 미맹출 영구치의 발달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미맹출 영구치의 맹출 시기 및 맹출 순서를 식별하고,
    상기 미맹출 영구치의 맹출 시기가 임박한 경우에도 상기 미맹출 영구치에 대응하는 유치가 탈락되지 않은 경우, 상기 미맹출 영구치에 대응하는 유치의 발치 시기를 공간유지장치의 장착 시기로 제공하는 공간유지장치의 장착 시기 결정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공된 공간유지장치의 장착 시기에 기초하여 측정된 상기 미맹출 영구치의 근원심 폭경 및 맹출 위치를 이용하여 디자인된 공간유지장치를 환자의 영상에 중첩하여 표시하는 공간유지장치의 장착 시기 결정 장치.
KR1020190008018A 2019-01-22 2019-01-22 공간유지장치의 장착 시기 결정 방법, 장치 및 기록 매체 KR102195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8018A KR102195264B1 (ko) 2019-01-22 2019-01-22 공간유지장치의 장착 시기 결정 방법, 장치 및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8018A KR102195264B1 (ko) 2019-01-22 2019-01-22 공간유지장치의 장착 시기 결정 방법, 장치 및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1146A KR20200091146A (ko) 2020-07-30
KR102195264B1 true KR102195264B1 (ko) 2020-12-24

Family

ID=71839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8018A KR102195264B1 (ko) 2019-01-22 2019-01-22 공간유지장치의 장착 시기 결정 방법, 장치 및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526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27293A (ja) 2002-05-28 2005-09-15 オルソ−テイ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未萠出歯の予測されたサイズ及び形状に基づく歯列矯正器具、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JP2012045247A (ja) 2010-08-27 2012-03-08 Osaka Univ 永久歯萌出期間予測装置
US20150064650A1 (en) 2013-08-31 2015-03-05 Kenny Durandis Adjustable dental spac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27293A (ja) 2002-05-28 2005-09-15 オルソ−テイ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未萠出歯の予測されたサイズ及び形状に基づく歯列矯正器具、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JP2012045247A (ja) 2010-08-27 2012-03-08 Osaka Univ 永久歯萌出期間予測装置
US20150064650A1 (en) 2013-08-31 2015-03-05 Kenny Durandis Adjustable dental spacer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Fujii, R. 등, Panoramic findings for predicting eruption of mandibular premolars associated with dentigerous cyst after marsupialization, Journal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2008년, pp.272-27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1146A (ko) 2020-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3652B1 (ko) 치아 차트 생성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 매체
KR101623356B1 (ko) 치과용 임플란트 계획 가이드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기록 매체
KR101906991B1 (ko) 치아 영상 정합 방법 및 장치
JP6799577B2 (ja) 不正咬合及び関連する問題の追跡、予測、及び予防的矯正を行う方法
US11991439B2 (en)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remote orthodontic treatment
KR102142336B1 (ko) 치아 영상 제공 방법, 치아 영상 제공 장치 및 기록 매체
KR101866519B1 (ko) 추천 진료 상담 스토리 제공 방법 및 시스템
Sharma et al. Failure of eruption of permanent molars: a diagnostic dilemma
KR101866748B1 (ko) 추천 진료 상담 스토리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195264B1 (ko) 공간유지장치의 장착 시기 결정 방법, 장치 및 기록 매체
KR102033253B1 (ko) 크라운의 상태 정보 제공 방법, 상태 정보 제공 장치 및 기록매체
KR102470572B1 (ko) 크라운 자동 결정 방법 및 장치
Miclotte et al. The effect of headgear on upper third molars: a retrospective longitudinal study
Lin et al. Maxillary protraction therapy in class III patients with and without cleft lip and palate: an interim report of a prospective comparative study
Kamak et al. The distribution of cervical vertebrae anomalies among dental malocclusions
US20230325558A1 (en) Detector of aligner low retentiveness and aligner fit evaluation tool
Thirunavukkarasu et al. Extraction protocols for orthodontic treatment: A retrospective study
Le Norcy et al. Dental and craniofacial features associated with GNAS loss of function mutations
KR102383109B1 (ko) 교정 치료 환자를 위한 환자의 상태 정보 제공 방법
Ronsivalle et al. From Reverse Engineering Software to CAD-CAM Systems: how Digital Environment has Influenced the clinical applications in Modern Dentistry and Orthodontics
KR102213086B1 (ko) 진료 일정 스케줄링 방법, 진료 일정 스케줄링 시스템 및 기록매체
US11819371B2 (en) System for hybrid denture fabrication
Ristaniemi et al. Features of Dental Anomaly Patterns in Finnish children as seen in panoramic radiographs at the late mixed stage
Mavili et al. Tridimensional evaluation of maxillary and mandibular movements in orthognathic surgery
KR102214615B1 (ko) 교합을 고려한 치아 정렬 제공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