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4665B1 - 가스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및 가스 환경 모니터링 방법 - Google Patents

가스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및 가스 환경 모니터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4665B1
KR102194665B1 KR1020190095338A KR20190095338A KR102194665B1 KR 102194665 B1 KR102194665 B1 KR 102194665B1 KR 1020190095338 A KR1020190095338 A KR 1020190095338A KR 20190095338 A KR20190095338 A KR 20190095338A KR 102194665 B1 KR102194665 B1 KR 1021946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gas
work
information
gas concen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5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비마이크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비마이크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비마이크로
Priority to KR1020190095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46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4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4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02Instruments for indicating weather conditions by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e.g. humidity, pressure, temperature, cloud cover or wind spee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11Combination with medical sensor, e.g. for measuring heart rate, temperatu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6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with transmission via telephone network

Landscapes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Toxicology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사용자가 위치한 작업장 내의 가스로 인한 작업의 안전을 모니터링하는 가스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한다. 가스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은 사용자가 착용한 물건 또는 사용자의 신체에 장착되어 가스농도를 센싱하는 제1 센서; 사용자가 착용한 물건 또는 사용자의 신체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호흡을 포함한 생체신호를 센싱하는 제2 센서; 그리고 미리 저장된 가스농도 및 생체신호에 대한 적정 작업형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로부터 수신된 상기 가스농도 및 생체신호로부터 현재 사용자의 가능 작업형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현재 사용자의 가능 작업형태에 따라 복수의 작업장치들 중 상기 가능 작업형태에 포함되는 작업장치는 사용가능 상태(온 상태)로 설정하고, 상기 가능 작업형태에 포함되지 않는 작업장치는 사용금지 상태(오프 상태)로 제어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스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및 가스 환경 모니터링 방법{GAS ENVIRONMENT MONITORING SYSTEM AND GAS ENVIRONMENT MONITORING METHOD}
본 발명은 가스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장 등 가스 환경에서 가스농도와 생체신호를 기초로 안전하게 작업 가능한 작업장치를 구별하도록 모니터링하는 가스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조선, 화학, 플랜트, 건설, 자동차, 반도체 등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가스 누출로 인한 화재, 폭발, 질식, 중독 등 다양한 사고가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예기치 못한 사고에 의한 인명 및 재산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공기 중의 가스와 같은 유해물질 존재 여부 및 농도를 항시 감시하고 유해가스의 발생시 이를 신속히 센싱하여 즉시 작업형태에 대해 필요한 조치를 하거나 인명을 대피시키는 조기 대응이 매우 중요하다.
공장 등 작업장에 있어서, 가스농도는 일반적인 비작업장에서보다 높을 수 있다. 이러한 일정한 가스농도의 장업장 내에서 가공장치, 공작기계, 제어장치 등을 취급하는 사용자는 가스로 인해 일정한 신체적 능력의 저하를 경험할 수 있다. 특히, 가스의 누설 등 비상상황에서는 상대적으로 고농도의 가스에 노출되는 사용자는 특정한 작업능력의 저하를 느낄뿐만 아니라, 작업장을 이탈하여 대피를 해야할 경우도 있다.
가스로 인한 사용자의 신체능력의 저하나 판단오류 확률의 증가로 인해, 사용자가 작업장치를 오작동시키거나 실수를 하는 경우, 막대한 인적 및 재산적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상태나 작업장의 가스농도를 상시적을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지만, 플랜트 등의 작업장 내에 이산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가스센서가, 작업장 내에서의 가스 누설을 발견하는 것만을 신뢰하기는 어렵다. 가령 1개의 가스센서가 감지신호를 발신했다고 해도, 참다운 누설 발견인 것인지, 모종의 노이즈에 의한 것인지 등의 판단이 어렵다. 따라서, 결국은 인간의 판단에 의지하게 되어 있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공장 등 작업장에 있어서, 유해 가스, 증기 등의 누설에 대한 확산 상황의 예측, 및 누설원의 추정은 단순히 작업장에 이산적으로 배치된 가스센서만으로는 어려운 것이다.
따라서, 비상상황에서 경고를 하거나 사용자를 대피시키는 것 뿐만 아니라 장업장 내의 가스농도를 상시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작업장치의 취급의 오류나 부적절함에 의해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차단 내지 방지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작업장 등 가스 환경에서 가스농도와 생체신호를 기초로 안전하게 작업 가능한 작업장치를 구별하도록 작업장치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해 모니터링하는 가스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사용자가 위치한 작업장 내의 가스로 인한 작업의 안전을 모니터링하는 가스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한다. 가스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은 사용자가 착용한 물건 또는 사용자의 신체에 장착되어 가스농도를 센싱하는 제1 센서; 사용자가 착용한 물건 또는 사용자의 신체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호흡을 포함한 생체신호를 센싱하는 제2 센서; 그리고 미리 저장된 가스농도 및 생체신호에 대한 적정 작업형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로부터 수신된 상기 가스농도 및 생체신호로부터 현재 사용자의 가능 작업형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현재 사용자의 가능 작업형태에 따라 복수의 작업장치들 중 상기 가능 작업형태에 포함되는 작업장치는 사용가능 상태(온 상태)로 설정하고, 상기 가능 작업형태에 포함되지 않는 작업장치는 사용금지 상태(오프 상태)로 제어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정 작업형태 데이터는, 미리 입력된 가스농도 및 생체신호에 따른 사용자별 가능 작업형태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사용자별 가능 작업형태정보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작업장치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정 작업형태 데이터는, 미리 저장된 상기 복수의 작업장치들 간에 상호 배타적 또는 동시적 온/오프 상관관계정보로서, 상기 작업장치들 간의 동시 작동 필수 장치 정보, 동시 작동 불가 장치 정보 및 동시 작동 가능 장치 정보를 포함하는 온/오프 상관관계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온/오프 상관관계정보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작업장치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각 사용자 별 사용 가능한 작업장치를 확인하고, 상기 각 사용자 별 작업장치 사용 가능 여부에 따라 작업장치의 사용권한을 상기 각 사용자에게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는, 가스를 센싱하는 가스센서; 그리고 풍향과 풍속을 센싱하는 풍향풍속계;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사용자가 이동하는 위치마다 상기 제1 센서에 의해 센싱된 가스농도 및 풍향풍속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작업장 내의 위치별 가스농도와 시간에 따른 가스농도변화 예측정보를 포함하는 가스농도지도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의 가스 농도를 산출하고, 상기 제1 센서로부터 획득된 풍향풍속 정보를 이용하여 기 결정된 시간 후에 현재 위치에서 확산되는 가스의 확산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가스농도지도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정 작업형태 데이터는, 미리 저장된 상기 복수의 작업장치들 간에 상호 배타적 또는 동시적 온/오프 상관관계정보로서, 상기 작업장치들 간의 동시 작동 필수 장치 정보, 동시 작동 불가 장치 정보 및 동시 작동 가능 장치 정보를 포함하는 온/오프 상관관계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온/오프 상관관계정보 및 상기 가스농도지도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작업장치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사용자가 위치한 작업장 내의 가스로 인한 작업의 안전을 모니터링하는 가스 환경 모니터링 방법을 제공한다. 가스 환경 모니터링 방법에서, 먼저, 관리서버가 사용자가 착용한 물건 또는 사용자의 신체에 장착되어 가스농도를 센싱하는 제1 센서로부터 가스 센싱정보를 획득한다. 또한, 관리서버가 사용자가 착용한 물건 또는 사용자의 신체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호흡을 포함한 생체신호를 센싱하는 제2 센서로부터 생체신호를 획득한다. 다음으로, 관리서버가 미리 저장된 가스농도 및 생체신호에 대한 적정 작업형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로부터 수신된 상기 가스 센싱정보 및 생체신호로부터 현재 사용자의 가능 작업형태를 판단한다. 이후, 관리서버가 판단된 현재 사용자의 가능 작업형태에 따라 복수의 작업장치들 중 상기 가능 작업형태에 포함되는 작업장치는 사용가능 상태(온 상태)로 설정하고, 상기 가능 작업형태에 포함되지 않는 작업장치는 사용금지 상태(오프 상태)로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스 센싱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에서, 상기 관리서버는, 가스를 센싱하는 가스센서와 풍향과 풍속을 센싱하는 풍향풍속계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센서로부터, 사용자가 이동하는 위치마다 상기 제1 센서에 의해 센싱된 가스농도 및 풍향풍속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가스 환경 모니터링 방법은,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작업장 내의 위치별 가스농도와 시간에 따른 가스농도변화 예측정보를 포함하는 가스농도지도를 생성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가능 작업형태를 판단하는 과정에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사용자별 가능 작업형태정보 및 상기 가스농도지도를 기초로 현재 사용자의 가능 작업형태를 판단하며, 상기 적정 작업형태 데이터는, 미리 입력된 가스농도 및 생체신호에 따른 사용자별 가능 작업형태정보; 그리고 미리 저장된 상기 복수의 작업장치들 간에 상호 배타적 또는 동시적 온/오프 상관관계정보로서, 상기 작업장치들 간의 동시 작동 필수 장치 정보, 동시 작동 불가 장치 정보 및 동시 작동 가능 장치 정보를 포함하는 온/오프 상관관계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하는 과정에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사용자별 가능 작업형태정보 및 상기 온/오프 상관관계정보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작업장치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생체정보와 작업장의 가스농도정보와 작업장치에 관한 정보 등을 이용하여, 안전작업을 위한 작업장치의 제어를 달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안전사고방지와 작업효율 향상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호흡 등 생체신호를 직접 센싱하여 비상상황에 즉각 대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사용자의 신체에 제1 센서 및 제2 센서를 설치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제1 센서 및 제2 센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해 생성된 가스농도지도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환경 모니터링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예시적인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가스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은 작업장 내의 가스로 인한 작업의 안전을 모니터링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가능한 작업형태에 포함되는 작업장비와 포함되지 않는 작업장비를 온/오프 제어하여 작업안전 및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가스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은 제1 센서(110,120), 제2 센서(130) 및 관리서버(500)를 포함한다.
제1 센서(110,120)는 사용자가 착용한 물건 또는 사용자의 신체에 장착되어 가스농도를 센싱할 수 있다(예: 도 2에서 가스센서1, 가스센서2).
제2 센서(130)는 사용자가 착용한 물건 또는 사용자의 신체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호흡정보를 포함한 생체신호를 센싱할 수 있다(예: 도 2에서 바이오센서).
관리서버(500)는 생체신호 분석부(510), 가스농도 분석부(520), 사용자상태 판단부(530), 작업장치 제어부(540), 서버 통신부(550) 및 데이터베이스부(560)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560)에는 미리 가스농도 및 생체신호에 대한 적정 작업형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560)는 각 사용자별 생체신호를 저장하고, 사용자의 상태에 따른 작업장치 사용 기준값을 저장하며, 가스농도 분석을 위한 기준값을 저장할 수 있다.
가스농도 분석부(520)는 제1 센서(110,120)로부터 수신된 가스 센싱신호를 이용하여 해당 위치의 가스농도를 가스별로 분석하고 후술될 가스농도지도를 생성할 수 있다. 생체신호 분석부(510)는 제2 센서(130)로부터 수신된 생체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호흡상태, 흡기/배기의 가스 성분분석, 산소농도 등을 산출할 수 있다.
사용자상태 판단부(530)는 분석된 사용자의 생체신호와 가스농도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현재 상태와 작업지속시 예측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사용자상태 판단부(530)는 현재 사용자가 수행 가능하고 적합한 가능 작업형태를 판단할 수 있다.
작업장치 제어부(540)는 판단된 사용자의 가능 작업형태, 가스농도, 공장과 같은 작업장의 상태를 기초로 복수의 작업장치(310,320,330)들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작업장치 제어부(540)는 가능 작업형태에 포함되는 작업장치(310,320,330)는 사용가능 상태(온 상태)로 설정하고, 가능 작업형태에 포함되지 않는 작업장치(310,320,330)는 사용금지 상태(오프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서버 통신부(550)는 복수의 가스센서, 즉 복수의 제1 센서(110,120)들과 복수의 작업장치(310,320,330)와 통신할 수 있다.
제1 센서(110,120)는 가스를 센싱하는 가스센서, 그리고 풍향과 풍속을 센싱하는 풍향풍속계를 포함할 수 있다.
가스센서는 기체 중에 포함된 특정의 성분가스를 검지하여 그 농도에 따라 적당한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소자를 의미할 수 있다. 가스센서는 가스의 검출 방식에 따라 크게 전기화학식(Electrochemical), 접촉연소식(Catalytic), 반도체식 (Semiconductor), 광학식(Photoionization) 가스센서로 구분된다.
풍향풍속계는 미세 소자로서 가스센서와 통합된 형태이거나 가스센서와 별개로 구성된 소자일 수 있다.
전술된 적정 작업형태 데이터는, 미리 관리서버(500)에 입력된 가스농도 및 생체신호에 따른 일반적인 가능 작업형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적정 작업형태 데이터는 표준적인 사용자 조건에서 가스농도와 호흡, 심박 등의 생제정보를 기준으로 어떤 작업장치(310,320,330)는 사용가능하고, 다른 작업장치(310,320,330)는 사용자가 사용하기에는 부적절한 장치로 매칭시킨 가능 작업형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관관계 혹은 매칭은 빅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한 결과로서 생성될 수 있다.
한편, 특정 사용자들의 생체신호와 가스환경에서의 반응특성 등에 관해 미리 정보를 등록하고, 적정 작업형태 데이터에서 특정 사용자의 가능 작업형태의 범위를 추출할 수도 있다. 즉, 적정 작업형태 데이터는 미리 관리서버(500)에 입력된 가스농도 및 생체신호에 따른 사용자별 가능 작업형태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관리서버(500)는, 일반적 가능 작업형태정보 또는 사용자별 가능 작업형태정보를 기초로 현재 사용자 주변의 작업장치(310,320,330)의 사용가능여부를 판정하고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1 센서(110,120)에 의해 센싱된 작업장의 가스농도와 제2 센서(130)에 의해 센싱된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적정 작업형태 데이터에 대비하여 분석하여, 사용 가능한 작업장치(310,320,330)는 전원공급을 온하거나 스위치를 온 상태로 하거나 할 수 있다. 반대로 사용 부적합 작업장치(310,320,330)는 전원공급을 오프하거나 스위치를 오프하거나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판단미스를 하여 사용 부적합 작업장치(310,320,330)를 사용하려 하더라도 사용할 수가 없어서, 불측의 사고나 작업의 실수 등의 문제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적정 작업형태 데이터는, 미리 저장된 복수의 작업장치들 간에 상호 배타적 또는 동시적 온/오프 상관관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서버(500)는, 온/오프 상관관계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작업장치(310,320,330)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작업장치(310,320,330)와 제2 작업장치(310,320,330)는 배타적인 상관관계로 등록 내지 기록된 경우, 제1 작업장치(310,320,330)가 사용 부적합이면 제2 작업장치(310,320,330)는 사용적합으로 제어될 수 있고, 그 반대도 가능하다. 또한, 작업장치1(310)과 작업장치2(320)는 동시적인 상관관계로 등록된 경우, 작업장치1(310) 및 작업장치2(320)는 함께 사용 적합이거나 부적합으로 제어될 수 있다.
작업장치(310,320,330)는 작업장마다 매우 다양할 것이다. 예를 들어, 물건 제조공장의 경우, 공작기계나, 각종 가공장치, 제어장치 등이 될 수 있다. 또는, 작업장치(310,320,330)는 화학 플랜트에서 특정 공정들을 수행하는 장치일 수도 있다. 작업장에 가스 환경과 육체적 조전을 고려할 때, 공작기계나 제어장치를 사용자가 취급하는 것이 부적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관리서버(500)에 의해 사용불가로 제어될 수 있으며, 작업장치(310,320,330)들을 서로 동시적 사용이나 배타적 사용이라는 상관관계가 미리 관리서버(500)에 정로로서 입력될 수 있다.
나아가, 복수의 작업장치들 간의 온/오프 상관관계정보는, 작업장치들 간의 동시 작동 필수 장치 정보, 동시 작동 불가 장치 정보 및 동시 작동 가능 장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동시작동 가능 장치는 상황에 따라 동시작동될 수도 아닐 수도 있다.
관리서버(500)는, 각 사용자 별 사용 가능한 작업장치(310,320,330)를 확인하고, 각 사용자 별 작업장치 사용 가능 여부에 따라 작업장치(310,320,330)의 사용권한을 각 사용자에게 부여할 수 있다.
이러한, 작업장치(310,320,330)의 온/오프 제어를 위해, 작업장의 가스 센싱이 필요하며, 특히, 사용자가 이동하므로 위치에 따른 가스농도를 센싱하거나 파악할 필요가 있다. 또한,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각 위치에서 가스 농도의 변화를 예측하여 작업장치(310,320,330)의 온/오프를 제어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해서는 더 후술된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스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은 사용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가스농도와 공장의 작업장비의 상태를 근거로 작업장치(310,320,330)의 온/오프를 제어함으로써 안전사고 방지와 작업장의 작업효율 향상을 달성한다.
도 3은 사용자의 신체에 제1 센서(110,120) 및 제2 센서(130)를 설치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착용하는 물건은 작업복, 신발, 헬멧 등 일 수 있다. 제1 센서(110,120)는 사용자의 신발, 작업복, 헬멧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센서(110,120)는 가스센서와 풍향풍속계를 포함하므로, 관리서버(500)는 현재 사용자의 위치정보와 제1 센서(110,120)에 의해 센싱된 가스농도와, 측정된 풍향 및 풍속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작업장 내에서 사용자가 이동함에 따라 그 변화되는 각 위치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가스농도, 풍향 및 풍속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 4는 제1 센서(110,120) 및 제2 센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2 센서(130)는 사용자의 피부나 신체에 직접 접하는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센서(130)는 도 4에 도시된 방독마스크 필터 캔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센서(130)는 바이오센서로서 사용자의 입에 가까운 측을 내측으로 정의할 때, 필터 캔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내부센서(133)와, 필터 캔의 외측면에는 외부 가스센서(131)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가스센서(131)는 외부로부터의 가스를 센싱하거나, 미세먼지 분진을 감지하거나, 산소 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내부센서(133)는 압력센서를 포함하여 호흡 횟수, 호흡량, 필터 오염도 등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내부센서(133)는 들숨과 날숨 간에 농도차를 이용하여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내부센서(133)는 내부로 유입되는 가스를 감지할 수도 있다.
관리서버(500)에 의해 가능 작업형태가 없는 것으로 판정되어 작업을 인가받지 못한 사용자의 경우, 컨디션이 좋지 못한 상태일 수 있다. 이 경우, 관리서버(500)로부터 사용자가 휴대한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비상신호가 전달되고 방독마스크에는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이 되는 마스크 통신부가 구비될 수 있고, 비상상태를 알람하는 알람부(135)가 구비될 수 있다. 방독마스크에는 전술한 비상상태 정보가 수신된 경우 전술된 알람부(135)로서 발광하는 알람용 램프, 진동기, 소음발생기 등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방독마스크에는 전술된 마스크 통신부(137)로서 iot 통신부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방독마스크에는 관리서버(500)로부터 전송된 비상상태 정보에 따라 동작하는 송풍팬이 추가로 설치되어 사용자의 호흡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들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배터리가 방독 마스크에 장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해 생성된 가스농도지도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작업장 내에서 사용자가 이동함에 따라 관리서버(500)는 그 변화되는 각 위치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센서(110,120)로부터 가스농도, 풍향 및 풍속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관리서버(500)는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작업장 내의 위치별 가스농도와 시간에 따른 가스농도변화 예측정보를 포함하는 가스농도지도를 생성할 수 있다.
관리서버(500)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의 가스농도를 산출하고, 제1 센서(110,120)로부터 획득된 풍향풍속 정보를 이용하여 기 결정된 시간 후에 현재 위치에서 확산되는 가스의 확산 정보를 생성하여 시계열에 따라 변화하는 가스농도지도를 생성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환경 모니터링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가스 환경 모니텅링 방법은 사용자가 위치한 작업장 내의 가스로 인한 작업의 안전을 모니터링하는 데에 적용될 수 있다. 일 예로, 가스 환경 모니터링 방법은 도 1 내지 도 5에서 설명된 가스 환경 모니터일 시스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가스 환경 모니터링 방법에서, 먼저, 관리서버(500)가 사용자가 착용한 물건 또는 사용자의 신체에 장착되어 가스농도를 센싱하는 제1 센서(110,120)로부터 가스 센싱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S100).
관리서버(500)는 가스를 센싱하는 가스센서와 풍향과 풍속을 센싱하는 풍향풍속계를 포함하는 제1 센서(110,120)로부터, 사용자가 이동하는 위치마다 제1 센서(110,120)에 의해 센싱된 가스농도 및 풍향풍속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관리서버(500)가 사용자가 착용한 물건 또는 사용자의 신체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호흡을 포함한 생체신호를 센싱하는 제2 센서(130)로부터 생체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S200).
관리서버(500)가 가스 센싱신호 및 풍향풍속정보를 획득하는 것과, 생체신호를 획득하는 것은 어느 것이 먼저여도 무방하며, 실질적으로 동시에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이후, 관리서버(500)가 사용자가 이동하는 위치마다 제1 센서(110,120)에 의해 센싱된 가스농도 및 풍향풍속정보를 이용하여 작업장 내의 위치별 가스농도와 시간에 따른 가스농도변화 예측정보를 포함하는 가스농도지도를 생성할 수 있다(S300).
관리서버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의 가스 농도를 산출하고, 제1 센서(110,120)로부터 획득된 풍향풍속 정보를 이용하여 기 결정된 시간 후에 현재 위치에서 확산되는 가스의 확산 정보를 생성하여 가스농도지도를 생성할 수 있다.
계속해서, 관리서버(500)가 미리 저장된 가스농도 및 생체신호에 대한 적정 작업형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1 센서(110,120) 및 제2 센서(130)로부터 수신된 가스 센싱신호 및 생체신호로부터 현재 사용자의 가능 작업형태를 판단할 수 있다(S400).
관리서버(500)가 가능 작업형태를 판단하는 과정에 있어서, 적정 작업형태 데이터는, 미리 입력된 가스농도 및 생체신호에 따른 사용자별 가능 작업형태정보; 그리고 미리 저장된 복수의 작업장치들 간에 상호 배타적 또는 동시적 온/오프 상관관계정보로서, 작업장치들 간의 동시 작동 필수 장치 정보, 동시 작동 불가 장치 정보 및 동시 작동 가능 장치 정보를 포함하는 온/오프 상관관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서버는, 사용자별 가능 작업형태정보 및 가스농도지도를 기초로 현재 사용자의 가능 작업형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이후, 관리서버(500)가 판단된 현재 사용자의 가능 작업형태에 따라 복수의 작업장치(310,320,330)들 중 가능 작업형태에 포함되는 작업장치(310,320,330)는 사용가능 상태(온 상태)로 설정하고, 가능 작업형태에 포함되지 않는 작업장치(310,320,330)는 사용금지 상태(오프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S500).
관리서버(500)가 제어하는 과정에 있어서, 사용자별 가능 작업형태정보 및 온/오프 상관관계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작업장치(310,320,330)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예시적인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7에 도시된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1000)은 컴퓨팅 장치(1100)를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각 구성은 상이한 기능 및 능력을 가질 수 있고, 이하에 기술되지 않았더라도 그 구성에 적합한 컴포넌트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100)는 관리서버(500)일 수 있다.
컴퓨팅 장치(1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20),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140) 및 버스(150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120)는 버스(1500)와 연결되고, 버스(1500)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140)를 포함하여 컴퓨팅 장치(1100)의 다른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프로세서(1120)에 연결한다.
프로세서(1120)는 컴퓨팅 장치(1100)로 하여금 앞서 언급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120)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140)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고,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140)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는 프로세서(1120)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컴퓨팅 장치(1100)로 하여금 소정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140)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 내지 프로그램 코드(예컨대, 애플리케이션(1161)에 포함되는 명령어), 프로그램 데이터(예컨대, 애플리케이션(1161)에 의해 사용되는 데이터) 및/또는 다른 적합한 형태의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140)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1161)은 프로세서(1120)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의 소정의 집합을 포함한다.
도 7에 도시된 메모리(1160) 및 저장 장치(1180)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140)의 예이다. 메모리(1160)에는 프로세서(112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가 로딩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160)에는 프로그램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예컨대, 이러한 메모리(1160)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이들의 적합한 조합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저장 장치(1180)는 정보의 저장을 위한 하나 이상의 착탈 가능하거나 착탈 불가능한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저장 장치(1180)는 하드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컴퓨팅 장치(1100)에 의해 액세스되고 원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 또는 이들의 적합한 조합일 수 있다.
컴퓨팅 장치(1100)는 또한 하나 이상의 입출력 장치(1600)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1400)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400)는 버스(1500)에 연결된다. 입출력 장치(1600)는 입출력 인터페이스(1400)를 통해 컴퓨팅 장치(1100)(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연결될 수 있다. 입출력 장치(1600)는 포인팅 장치, 키보드, 터치 입력 장치, 음성 입력 장치, 센서 장치 및/또는 촬영 장치와 같은 입력 장치 및/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프린터, 스피커 및/또는 네트워크 카드와 같은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스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에 있어서, 특히, 극히 제한된 배터리 자원만으로 장시간 또는 기기의 수명이 다할 때까지 안정적으로 동작해야 하는 환경의 경우, WiFi나 LTE와 같은 고속/대용량의 통신기술보다는 배터리 소모 특성에 최적화되어 보다 넓은 영역에 대해 서비스가 가능한 LPWA(Low Power Wide Area) 네트워크가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120 : 제1 센서
130 : 제2 센서
310, 320, 330 : 작업장치
500 : 관리서버
510 : 생체정보 분석부
520 : 가스농도 분석부
530 : 사용자상태 판단부
540 : 작업장치 제어부
550 : 서버 통신부
560 : 데이터베이스부

Claims (10)

  1. 사용자가 위치한 작업장 내의 가스로 인한 작업의 안전을 모니터링하는 가스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가 착용한 물건 또는 사용자의 신체에 장착되어 가스농도를 센싱하는 제1 센서;
    사용자가 착용한 물건 또는 사용자의 신체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호흡정보를 포함한 생체신호를 센싱하는 제2 센서; 그리고
    미리 저장된 가스농도 및 생체신호에 대한 적정 작업형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로부터 수신된 상기 가스농도 및 생체신호로부터 현재 사용자의 가능 작업형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현재 사용자의 가능 작업형태에 따라 복수의 작업장치들 중 상기 가능 작업형태에 포함되는 작업장치는 사용가능 상태(온 상태)로 설정하고, 상기 가능 작업형태에 포함되지 않는 작업장치는 사용금지 상태(오프 상태)로 제어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정 작업형태 데이터는,
    미리 입력된 가스농도 및 생체신호에 따른 사용자별 가능 작업형태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사용자별 가능 작업형태정보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작업장치들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정 작업형태 데이터는,
    미리 저장된 상기 복수의 작업장치들 간에 상호 배타적 또는 동시적 온/오프 상관관계정보로서, 상기 작업장치들 간의 동시 작동 필수 장치 정보, 동시 작동 불가 장치 정보 및 동시 작동 가능 장치 정보를 포함하는 온/오프 상관관계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온/오프 상관관계정보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작업장치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각 사용자 별 사용가능한 작업장치를 확인하고, 상기 각 사용자 별 작업장치 사용가능 여부에 따라 작업장치의 사용권한을 상기 각 사용자에게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는, 가스를 센싱하는 가스센서; 그리고 풍향과 풍속을 센싱하는 풍향풍속계;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사용자가 이동하는 위치마다 상기 제1 센서에 의해 센싱된 가스농도 및 풍향풍속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작업장 내의 위치별 가스농도와 시간에 따른 가스농도변화 예측정보를 포함하는 가스농도지도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의 가스 농도를 산출하고, 상기 제1 센서로부터 획득된 풍향풍속 정보를이용하여 기 결정된 시간 후에 현재 위치에서 확산되는 가스의 확산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가스농도지도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정 작업형태 데이터는,
    미리 저장된 상기 복수의 작업장치들 간에 상호 배타적 또는 동시적 온/오프 상관관계정보로서, 상기 작업장치들 간의 동시 작동 필수 장치 정보, 동시 작동 불가 장치 정보 및 동시 작동 가능 장치 정보를 포함하는 온/오프 상관관계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온/오프 상관관계정보 및 상기 가스농도지도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작업장치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8. 사용자가 위치한 작업장 내의 가스로 인한 작업의 안전을 모니터링하는 가스 환경 모니터링 방법에 있어서,
    관리서버가 사용자가 착용한 물건 또는 사용자의 신체에 장착되어 가스농도를 센싱하는 제1 센서로부터 가스 센싱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관리서버가 사용자가 착용한 물건 또는 사용자의 신체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호흡을 포함한 생체신호를 센싱하는 제2 센서로부터 생체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그리고
    관리서버가 미리 저장된 가스농도 및 생체신호에 대한 적정 작업형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로부터 수신된 상기 가스 센싱정보 및 생체신호로부터 현재 사용자의 가능 작업형태를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관리서버가 판단된 현재 사용자의 가능 작업형태에 따라 복수의 작업장치들 중 상기 가능 작업형태에 포함되는 작업장치는 사용가능 상태(온 상태)로 설정하고, 상기 가능 작업형태에 포함되지 않는 작업장치는 사용금지 상태(오프 상태)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환경 모니터링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센싱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에서, 상기 관리서버는,
    가스를 센싱하는 가스센서와 풍향과 풍속을 센싱하는 풍향풍속계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센서로부터, 사용자가 이동하는 위치마다 상기 제1 센서에 의해 센싱된 가스농도 및 풍향풍속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가스 환경 모니터링 방법은,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작업장 내의 위치별 가스농도와 시간에 따른 가스농도변화 예측정보를 포함하는 가스농도지도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환경 모니터링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가능 작업형태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사용자별 가능 작업형태 및 상기 가스농도지도를 기초로 현재 사용자의 가능 작업형태를 판단하며,
    상기 적정 작업형태 데이터는,
    미리 입력된 가스농도 및 생체신호에 따른 사용자별 가능 작업형태정보; 그리고
    미리 저장된 상기 복수의 작업장치들 간에 상호 배타적 또는 동시적 온/오프 상관관계정보로서, 상기 작업장치들 간의 동시 작동 필수 장치 정보, 동시 작동 불가 장치 정보 및 동시 작동 가능 장치 정보를 포함하는 온/오프 상관관계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사용자별 가능 작업형태정보 및 상기 온/오프 상관관계정보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작업장치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환경 모니터링 방법.
KR1020190095338A 2019-08-06 2019-08-06 가스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및 가스 환경 모니터링 방법 KR1021946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338A KR102194665B1 (ko) 2019-08-06 2019-08-06 가스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및 가스 환경 모니터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338A KR102194665B1 (ko) 2019-08-06 2019-08-06 가스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및 가스 환경 모니터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4665B1 true KR102194665B1 (ko) 2020-12-29

Family

ID=74090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5338A KR102194665B1 (ko) 2019-08-06 2019-08-06 가스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및 가스 환경 모니터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466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7919A (ko) * 2020-03-20 2021-09-29 주식회사 파이퀀트 유해성분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해성분 분석 시스템
KR20220165393A (ko) 2021-06-08 2022-12-15 케이에스이씨 주식회사 수소가스 위험시설물 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88A (ja) * 1994-06-06 1996-01-09 Carrier Corp 施錠装置
KR20100015016A (ko) * 2008-08-04 2010-02-12 이태일 수처리 시설에서의 유독가스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053107A (ko) * 2009-11-13 2011-05-19 (주)인포빌 유해작업장 안전관리시스템
KR20170062625A (ko) * 2015-11-27 2017-06-08 주식회사 신명전기 작업 환경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88A (ja) * 1994-06-06 1996-01-09 Carrier Corp 施錠装置
KR20100015016A (ko) * 2008-08-04 2010-02-12 이태일 수처리 시설에서의 유독가스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053107A (ko) * 2009-11-13 2011-05-19 (주)인포빌 유해작업장 안전관리시스템
KR20170062625A (ko) * 2015-11-27 2017-06-08 주식회사 신명전기 작업 환경 관리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7919A (ko) * 2020-03-20 2021-09-29 주식회사 파이퀀트 유해성분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해성분 분석 시스템
KR102421489B1 (ko) 2020-03-20 2022-07-15 주식회사 파이퀀트 유해성분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해성분 분석 시스템
KR20220165393A (ko) 2021-06-08 2022-12-15 케이에스이씨 주식회사 수소가스 위험시설물 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4665B1 (ko) 가스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및 가스 환경 모니터링 방법
RU2728801C1 (ru) Самоконтроль для средства индивидуальной защиты
EP3242278B1 (en) Module and method for detecting air quality
US1184262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obust man-down alarms
KR102063194B1 (ko) 과학실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US10147293B2 (en) Computer-based safety control
KR102256673B1 (ko) 하수 경로에서 감지된 악취를 저감하여 사고를 방지하는 IoT 기반의 황화수소 측정 기기에 대한 모바일 모니터링 및 자동 운전 제어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1755533B1 (ko) 사물인터넷 기반 안전 관리 시스템
KR102229617B1 (ko) 스마트 iot 인공지능 가스경보 시스템
KR101794271B1 (ko) 공장 내 유해가스 검출을 통한 안전 관리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CN114220243A (zh) 一种摔倒监测方法、装置、设备及系统
KR20200073825A (ko) 공기 중 위험상황 감지를 위한 웨어러블 가스 측정 시스템
KR102272487B1 (ko) 가스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및 가스 환경 모니터링 방법
KR20210099150A (ko) 자동화된 호흡기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WO2020128952A2 (en) Negative pressure reusable respirator system for safety event detection
EP3722803B1 (en)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a chemical
US20230298450A1 (en) System and method for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KR102229620B1 (ko) 스마트 iot 인공지능 가스경보 시스템
KR102277578B1 (ko) 온실내 환경 정보 빅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비닐하우스병 예방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병 예방관리방법
CN112750270A (zh) 基于激光传感器的烟雾报警方法、装置及设备
CN116209887A (zh) 用于检测挥发性有机化合物的系统和方法
KR102037246B1 (ko) 안전 관리 장치 세트 및 시스템
KR102484308B1 (ko) 건설현장용 스마트 안전장치 및 스마트 안전시스템
KR102090729B1 (ko) 생체바이오형 공기질 위험 경고 및 개선장치
KR101711194B1 (ko) 소방관용 가스감지 경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