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5016A - 수처리 시설에서의 유독가스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수처리 시설에서의 유독가스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5016A
KR20100015016A KR1020080075896A KR20080075896A KR20100015016A KR 20100015016 A KR20100015016 A KR 20100015016A KR 1020080075896 A KR1020080075896 A KR 1020080075896A KR 20080075896 A KR20080075896 A KR 20080075896A KR 20100015016 A KR20100015016 A KR 201000150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xic gas
water treatment
gas
leakage
treatment fac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5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일
추인숙
Original Assignee
이태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일 filed Critical 이태일
Priority to KR1020080075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15016A/ko
Publication of KR20100015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50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G08B21/14Toxic gas alar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처리 시설에서의 유독가스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수처리 시설내에 설치되어 유독가스의 누출여부에 따라 경보를 발생하는 가스경보기와, 수처리 시설내에 설치되어 유독가스의 누출농도를 검출하는 가스농도검출기와, 수처리 시설의 주변에 설치되어 바람의 세기를 측정하는 풍속측정기와, 수처리 시설의 주변에 설치되어 대기중 풍향을 측정하는 풍향측정기와, 상기 가스경보기의 경보 발생 시 상기 가스농도검출기로부터 검출된 유독가스의 누출농도 변화에 따라 누출량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유독가스의 누출량과 상기 풍속 및 풍향측정기로부터 측정된 풍속 및 풍향값을 이용하여 유독가스 피해범위를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유독가스 피해범위를 전자지도상에 표시하는 안전관리센터를 포함함으로써, 안전사고 예방을 최소화하고 유독가스 누출사고 시 즉각적이고 효과적인 대응체계를 구축하며 사고 예방을 위한 관리자의 안전관리 의식을 고취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igure P1020080075896
수처리 시설, 취수장, 정수장, 유독가스, 염소가스, 풍속, 풍향

Description

수처리 시설에서의 유독가스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A POISONOUS GAS SEFETY MANAGEMENT IN WATER TREATMENT FACILITIES}
본 발명은 수처리 시설에서의 유독가스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독가스 누출 시 단말기를 통해 즉각적으로 실시간 원격 현황 감시 및 예측 판단이 가능하며, 평상 시 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교육 용도로 활용 가능한 수처리 시설에서의 유독가스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금까지는 현장 각 장소에 설치된 센서를 이용한 누출여부와 현재의 풍향 및 풍속 데이터만 각기 따로 취합했다. 또한, 유독가스 누출 시 피해범위 확인은 단지 피해범위를 표시한 지도를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아래와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피해범위를 표시한 지도가 있더라도 오염지역 내 염소실 옥상에 설치된 풍향 및 풍속계를 보지 않는 한 오염지역 예측이 어렵고 실시간으로 풍향 변화 에 따른 오염지역의 변화추이를 파악하기가 어렵다.
둘째, 오염지역 예측이 어려움에 따라 피해범위를 예상하여 사업장 내 직원 및 인근 주민의 소산계획을 정확하게 수립하고 주민소산을 실시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하다.
한편, 아직까지도 안전관리 분야에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고, 유독가스 누출사고 시 효과적인 대응을 위한 유독가스 원격 상황 감시 및 자동제어 시스템의 구축도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독가스 누출 시 단말기의 화면을 통해 즉각적으로 실시간 원격 현황 감시 및 예측 판단이 가능하며, 평상 시 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교육 용도로 활용 가능한 수처리 시설에서의 유독가스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수처리 시설내에 설치되어 유독가스의 누출여부에 따라 경보를 발생하는 가스경보기; 수처리 시설내에 설치되어 유독가스의 누출농도를 검출하는 가스농도검출기; 수처리 시설의 주변에 설치되어 바람의 세기를 측정하는 풍속측정기; 수처리 시설의 주변에 설치되어 대기중 풍향을 측정하는 풍향측정기; 및 상기 가스경보기의 경보 발생 시 상기 가스농도검출기로부터 검출된 유독가스의 누출농도 변화에 따라 누출량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유독가스의 누출량과 상기 풍속 및 풍향측정기로부터 측정된 풍속 및 풍향값을 이용하여 유독가스 피해범위를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유독가스 피해범위를 전자지도상에 표시하는 안전관리센터를 포함하는 수처리 시설에서의 유독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안전관리센터는, 수처리 시설을 중심으로 일정 면적의 전자지도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전자지도 DB; 및 상기 가스경보기의 경보 발생 시 상기 가스농도검출기로부터 검출된 유독가스의 누출농도값과 기 설정된 기준농도값을 비교하여 누출확산정도를 판단하고, 상기 누출확산정도에 따라 누출농도 변화값을 이용하여 누출량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유독가스의 누출량과 상기 풍속 및 풍향측정기로부터 측정된 풍속 및 풍향값을 이용하여 유독가스 피해범위를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유독가스 피해범위를 상기 전자지도 DB에 저장된 전자지도 데이터와 매핑하여 전자지도상에 표시하는 중앙관리서버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유독가스의 종류 및 누출량에 따른 다양한 대처 상황정보들을 저장 및 관리하는 안전관리 DB가 더 구비되며, 상기 중앙관리서버는, 상기 산출된 유독가스의 종류 및 누출량에 따라 상기 안전관리 BD에 저장된 다양한 대처 상황정보들이 모니터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다양한 대처 상황정보들은 유독가스 누출에 따른 대피지역, 사용가능 안전장비, 안전장비 사용방법 또는 해당 지역주민 대피 장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앙관리서버는, 상기 산출된 유독가스의 누출량이 기 설정된 특정값보다 클 경우, 인터넷을 통해 연결된 유관기관(有關機關) 관리서버로 유독가스 누출경보메시지가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앙관리서버는, 상기 산출된 유독가스의 누출량이 기 설정된 특정값보다 클 경우, 이동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기 등록된 공공기관 담당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유독가스 누출경보와 관련된 문자메시지가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앙관리서버는 수처리 시설내에 설치된 소독 설비의 운전상태을 비롯한 유독가스의 누출여부, 상기 가스농도검출기로부터 검출된 유독가스의 누출농도값, 상기 풍속 및 풍향측정기로부터 측정된 풍속 및 풍향값을 실시간으로 제공받아 모니터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앙관리서버는, 상기 가스농도검출기로부터 검출된 유독가스의 누출농도값이 기 설정된 기준농도값보다 클 경우, 수처리 시설내에 설치된 소독 설비의 운전을 정지시킴과 아울러 수처리 시설내에 설치된 유독가스 중화 설비가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앙관리서버는, 평상 시에 수처리 시설내에 설치된 소독 설비를 정상 운전함과 아울러 관리자의 요청에 따라 소독 설비의 운전요령 및 안전장비의 사용요령 정보가 모니터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앙관리서버는, 평상 시에 관리자의 요청에 따라 가상의 누출농도값, 풍속 및 풍향값을 입력받아 가상의 유독가스 피해범위를 산출한 후, 상기 산출된 가상의 유독가스 피해범위 및 이에 해당하는 대처상황 정보들을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모니터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독가스는 염소가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수처리 시설내에 설치된 가스경보기 및 가스농도검출기와, 수처리 시설의 주변에 설치된 풍속 및 풍향측정기와, 전체적인 안전관리를 담당하는 안전관리센터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수처리 시설에서의 유독가스 안전관리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가스경보기를 통해 유독가스의 누출에 따른 경보 발생 시 상기 가스농도검출기로부터 검출된 유독가스의 누출농도값과 기 설정된 기준농도값을 비교판단하는 단계; (b) 상기 단계(a)의 판단 결과, 상기 가스농도검출기로부터 검출된 유독가스의 누출농도값이 기 설정된 기준농도값보다 클 경우, 누출농도 변화값을 이용하여 유독가스의 누출량을 산출하는 단계; (c) 상기 단계(b)에서 산출된 유독가스의 누출량과 상기 풍속 및 풍향측정기로부터 측정된 풍속 및 풍향값을 이용하여 유독가스 피해범위를 산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단계(c)에서 산출된 유독가스 피해범위를 기 저장된 전자지도 데이터와 매핑하여 전자지도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시설에서의 유독가스 안전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단계(d)이후에, 상기 단계(b)에서 산출된 유독가스의 누출량에 따라 기 저장된 다양한 대처 상황정보들을 모니터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다양한 대처 상황정보들은 유독가스 누출에 따른 대피지역, 사용가능 안전장비, 안전장비 사용방법 또는 해당 지역주민 대피 장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b)에서 산출된 유독가스의 누출량이 기 설정된 특정값보다 클 경우, 인터넷을 통해 연결된 유관기관(有關機關) 관리서버로 유독가스 누출경보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b)에서 산출된 유독가스의 누출량이 기 설정된 특정 값보다 클 경우, 이동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기 등록된 공공기관 담당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유독가스 누출경보와 관련된 문자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앙관리서버는 수처리 시설내에 설치된 소독 설비의 운전상태을 비롯한 유독가스의 누출여부, 상기 가스농도검출기로부터 검출된 유독가스의 누출농도값, 상기 풍속 및 풍향측정기로부터 측정된 풍속 및 풍향값을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모니터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b)이후에, 상기 가스농도검출기로부터 검출된 유독가스의 누출농도값이 기 설정된 기준농도값보다 클 경우, 상기 중앙관리서버는 수처리 시설내에 설치된 소독 설비의 운전을 정지시킴과 아울러 수처리 시설내에 설치된 유독가스 중화 설비가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앙관리서버는, 평상 시에 수처리 시설내에 설치된 소독 설비를 정상 운전함과 아울러 관리자의 요청에 따라 소독 설비의 운전요령 및 안전장비의 사용요령 정보가 모니터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앙관리서버는, 평상 시에 관리자의 요청에 따라 가상의 누출농도값, 풍속 및 풍향값을 입력받아 가상의 유독가스 피해범위를 산출한 후, 상기 산출된 가상의 유독가스 피해범위 및 이에 해당하는 대처상황 정보들을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모니터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은, 상술한 수처리 시설에서의 유독가스 안전관리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수처리 시설에서의 유독가스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유독가스 누출 시 단말기의 화면을 통해 즉각적으로 실시간 원격 현황 감시 및 예측 판단이 가능하며, 평상 시 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교육 용도로 활용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전사고 예방을 최소화하고 유독가스 누출사고 시 즉각적이고 효과적인 대응체계를 구축하며 사고 예방을 위한 관리자의 안전관리 의식을 고취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쳐 기재된 "유독가스"라 함은 아크릴로니 트릴, 아크릴알데히드, 아황산가스, 암모니아, 일산화탄소, 이황화탄소, 불소, 염소, 브롬화메탄, 염화메탄, 염화프렌, 산화에틸렌, 시안화수소, 황화수소, 모노메틸아민, 디메틸아민, 트리메틸아민, 벤젠, 포스겐, 요오드화수소, 브롬화수소, 염화수소, 불화수소, 겨자가스, 알진, 모노실란, 디실란, 디보레인, 세렌화수소, 포스핀, 또는 모노게르만 그 밖에 공기 중에 일정량 이상 존재하는 경우 인체에 유해한 독성을 가진 가스로서, 허용농도(정상인이 1일 8시간 또는 1주 40시간 통상적인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 건강상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는 정도의 공기 중의 가스의 농도를 말한다.)가 100만분의 200이하인 것을 말한다.
이러한 유독가스는 유독성으로 인한 중독과 사망, 폭발성, 부식성, 피부에 닿을 경우의 동상 유발 등 여러 가지 위험성을 가지는 특성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유독가스들 중 '염소가스'에 대하여 적용하였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염소가스이외의 다른 유독가스들에 대해서도 적용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시설에서의 유독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시설에서의 유독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은, 크게 가스경보기(100), 가스농도검출기(200), 풍속측정기(300), 풍향측정기(400) 및 안전관리센터(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가스경보기(100)는 수처리 시설(예컨대, 정수장 또는 취수장 등)내 에 복수개가 설치되어 있으며(도 2b, 도 2c 및 도 2i 참조), 유독가스의 누출여부를 감지하여 그 결과에 따라 경보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가스경보기(100)는 기본적으로 유독가스(예컨대, 염소가스)를 감지하기 위한 가스감지센서가 구비되는 바, 상기 가스감지센서는 가스누출 여부를 감지한 결과에 대응하는 가스 감지결과를 출력하며, 확산식과 흡입식이 있다. 다만, 확산된 가스가 상기 가스감지센서에 침입해서 감지되는 확산식이 공기펌프 등의 강제통기수단을 필요로 하지않기 때문에 소형으로 구성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가스농도검출기(200)는 가스경보기(100)와 마찬가지로 수처리 시설내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유독가스의 누출농도를 검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풍속측정기(300)는 수처리 시설의 주변에 설치되어 있으며, 대기중 바람의 세기를 측정하여 그 결과값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풍향측정기(400)는 풍속측정기(300)와 마찬가지로 수처리 시설의 주변에 설치되어 있으며, 대기중 풍향을 측정하여 그 결과값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안전관리센터(500)는 시스템의 전체적인 안전관리 및 제어를 담당하는 바, 가스경보기(100)의 경보 발생 시 가스농도검출기(200)로부터 검출된 유독가스의 누출농도 변화에 따라 누출량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유독가스의 누출량과 풍속측정기(300) 및 풍향측정기(400)로부터 측정된 풍속 및 풍향값을 이용하여 유독가스 피해범위를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유독가스 피해범위를 전자지도상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안전관리센터(500)는 수처리 시설을 중심으로 일정 면적의 전자지도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전자지도 DB(510)과, 가스경보기(100)의 경보 발생 시 가스농도검출기(200)로부터 검출된 유독가스의 누출농도값과 기 설정된 기준농도값을 비교하여 누출확산정도를 판단하고, 상기 누출확산정도에 따라 누출농도 변화값을 이용하여 누출량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유독가스의 누출량과 풍속측정기(300) 및 풍향측정기(400)로부터 측정된 풍속 및 풍향값을 이용하여 유독가스 피해범위를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유독가스 피해범위를 전자지도 DB(510)에 저장된 전자지도 데이터와 매핑하여 전자지도상에 표시하는 중앙관리서버(5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추가적으로, 유독가스의 종류 및 누출량에 따른 다양한 대처 상황정보들을 저장 및 관리하는 안전관리 DB(530)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중앙관리서버(520)는 상기 산출된 유독가스의 종류 및 누출량에 따라 안전관리 BD(530)에 저장된 다양한 대처 상황정보들이 모니터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양한 대처 상황정보들은 예컨대, 유독가스 누출에 따른 대피지역, 사용가능 안전장비(예컨대, 공기호흡기, 산소소생기, 방독면, 누출사고 시 응급복구용 안전장비 또는 휴대용 복합가스측정기 등), 안전장비 사용방법, 해당 사업장 직원 또는 지역주민 대피 방향과 대피 장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중앙관리서버(500)는 상기 산출된 유독가스의 누출량이 기 설정된 특정값보다 클 경우, 인터넷을 통해 연결된 유관기관(有關機關) 관리서버(600)로 유 독가스 누출경보메시지가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중앙관리서버(500)는 상기 산출된 유독가스의 누출량이 기 설정된 특정값보다 클 경우, 이동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기 등록된 공공기관 담당자의 이동통신 단말기(700)로 유독가스 누출경보와 관련된 문자메시지가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중앙관리서버(500)는 수처리 시설내에 설치된 소독 설비의 운전상태을 비롯한 유독가스의 누출여부, 가스농도검출기(200)로부터 검출된 유독가스의 누출농도값, 풍속측정기(300) 및 풍향측정기(400)로부터 각각 측정된 풍속 및 풍향값을 실시간으로 제공받아 모니터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중앙관리서버(500)는 가스농도검출기(200)로부터 검출된 유독가스의 누출농도값이 기 설정된 기준농도값보다 클 경우, 수처리 시설내에 설치된 소독 설비의 운전을 정지시킴과 아울러 수처리 시설내에 설치된 유독가스 중화 설비가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중앙관리서버(500)는 평상 시에 수처리 시설내에 설치된 소독 설비를 정상 운전함과 아울러 관리자의 요청에 따라 소독 설비의 운전요령 및 안전장비의 사용요령 정보가 모니터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중앙관리서버(500)는 평상 시에 관리자의 요청에 따라 가상의 누출농도값, 풍속 및 풍향값을 입력받아 가상의 유독가스 피해범위를 산출한 후, 상기 산출된 가상의 유독가스 피해범위 및 이에 해당하는 대처상황 정보들을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모니터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r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중앙관리서버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들을 나타낸 도면들로서, 도 2a는 유독가스 안전관리를 위한 각종 메뉴들이 구비된 전체적인 메인(Main)화면을 나타낸 것이고, 도 2b는 도 2a의 각종 메뉴들 중 3공장 염소가스검지경보장치(가스경보기) 설치 현황 메뉴항목을 선택할 경우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나타낸 것이고, 도 2c는 도 2a의 각종 메뉴들 중 4공장 염소가스검지경보장치(가스경보기) 설치 현황 메뉴항목을 선택할 경우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나타낸 것이고, 도 2d는 도 2a의 각종 메뉴들 중 정수장 평면도 메뉴항목을 선택할 경우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나타낸 것이고, 도 2e는 도 2a의 각종 메뉴들 중 정수장 주변 지형도 메뉴항목을 선택할 경우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나타낸 것이고, 도 2f 내지 도 2h는 도 2e의 상태에서 염소가스 누출량, 풍속 및 풍향값을 가상으로 입력할 경우 디스플레이되는 확대 및 축소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2i는 도 2a의 각종 메뉴들 중 취수장 염소실 염소가스검지경보장치(가스경보기) 설치 현황 메뉴항목을 선택할 경우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나타낸 것이고, 도 2j는 도 2a의 각종 메뉴들 중 취수장 평면도 메뉴항목을 선택할 경우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나타낸 것이고, 도 2k 및 도 2l은 도 2a의 각종 메뉴들 중 취수장 주변 지형도 메뉴항목을 선택한 후, 염소가스 누출량, 풍속 및 풍향값을 가상으로 입력할 경우 디스플레이되는 확대 및 축소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2m은 도 2a의 각종 메뉴들 중 염소설비 운전요령 메뉴항목을 선택할 경우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염소설비 운전요령의 세부 메뉴항목으로는 예컨대, 염소가스의 특성, 염소가스 시설현황, 염소실 안전수칙, 염소가스 누출시 응급조치 요령, 염소가스 누출시 개인대처 요령, 염소투입기 및 인젝터 교체운전 요령, PCU 조작요령, SCU 조작요령, 염소가스 라인교체 요령, 취수유량 또는 잔류염소 측정기 이상시 운전요령, 소독공정 잔류염소 목표관리 요령, 기화기 운전/운휴 요령, 가압수펌프 교체운전 및 스트레이너 분해청소 요령, 잔류염소 측정기 Calibration 요령, DAOS(Data Analysis Out-Put System)운전요령, 도수관로 및 흡수정 전염소 투입요령 또는 ORP 데이터 목표관리 운전요령 등이 포함되어 있다.
도 2n은 도 2a의 각종 메뉴들 중 안전장비 사용요령 메뉴항목을 선택할 경우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안전장비 사용요령의 세부 메뉴항목으로는 예컨대, 공기호흡기, 산소소생기, 방독면, 염소용기 안전장비(신라화학 안전장비, 우인화학 안전장비, 백광IST 안전장비) 또는 휴대용 가스측정기 등이 포함되어 있다.
도 2o는 도 2n의 세부 메뉴항목들 중 산소소생기 메뉴항목을 선택할 경우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나타낸 것이고, 도 2p는 도 2a의 각종 메뉴들 중 염소가스 사고대비 지침 메뉴항목을 선택할 경우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나타낸 것이고, 도 2q는 도 2a의 각종 메뉴들 중 유관기관 비상 연락망 메뉴항목을 선택할 경우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나타낸 것이고, 도 2r은 도 2a의 각종 메뉴들 중 염소가스 누출시 응급조치 요령 메뉴항목을 선택할 경우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시설에서의 유독가스 안전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흐름도로서, 별다른 설명이 없는 한 중앙관리서버(500)가 주체가 되어 수행함을 알려둔다.
도 1 및 도 3를 참조하면, 먼저, 가스경보기(100)를 통해 유독가스의 누출에 따른 경보 발생여부를 판단하여(S100), 경보 발생 시 가스농도검출기(200)로부터 검출된 유독가스의 누출농도값과 기 설정된 기준농도값을 비교판단한다(S200).
한편, 상기 단계S100에서의 판단 결과, 유독가스의 누출에 따른 경보 발생이 없을 경우 즉, 평상 시에는 수처리 시설내에 설치된 소독 설비를 정상적으로 운전한다(S150). 이와 더불어 관리자의 요청에 따라 소독 설비의 운전요령 및 안전장비의 사용요령 등의 정보를 모니터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의 요청에 따라 가상의 누출농도값, 풍속 및 풍향값을 입력받아 가상의 유독가스 피해범위를 산출한 후, 상기 산출된 가상의 유독가스 피해범위 및 이에 해당하는 대처상황 정보들을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모니터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상기 단계S200에서의 판단 결과, 가스농도검출기(200)로부터 검출된 유독가스의 누출농도값이 기 설정된 기준농도값보다 클 경우, 누출농도 변화값을 이용하여 유독가스의 누출량을 산출한다(S300).
이후에, 상기 단계S300에서 산출된 유독가스의 누출량과 풍속측정기(300) 및 풍향측정기(400)로부터 측정된 풍속 및 풍향값을 이용하여 유독가스 피해범위를 산 출한다(S400).
다음으로, 상기 단계S400에서 산출된 유독가스 피해범위를 전자지도 DB(510)에 저장된 전자지도 데이터와 매핑하여 전자지도상에 표시한다(S500).
추가적으로, 상기 단계S500이후에, 상기 단계S300에서 산출된 유독가스의 누출량에 따라 안전관리 BD(530)에 저장된 다양한 대처 상황정보들(예컨대, 유독가스 누출에 따른 대피지역, 사용가능 안전장비, 안전장비 사용방법 또는 해당 지역주민 대피 방향 및 장소 등)을 모니터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S300에서 산출된 유독가스의 누출량이 기 설정된 특정값보다 클 경우, 인터넷을 통해 연결된 유관기관(有關機關) 관리서버(600)로 유독가스 누출경보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S300에서 산출된 유독가스의 누출량이 기 설정된 특정값보다 클 경우, 이동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기 등록된 공공기관 담당자의 이동통신 단말기(700)로 유독가스 누출경보와 관련된 문자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중앙관리서버(500)는 수처리 시설내에 설치된 소독 설비의 운전상태을 비롯한 유독가스의 누출여부, 상기 가스농도검출기로부터 검출된 유독가스의 누출농도값, 상기 풍속 및 풍향측정기로부터 측정된 풍속 및 풍향값을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모니터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S300이후에, 가스농도검출기(200)로부터 검출된 유독가스의 누출농도값이 기 설정된 기준농도값보다 클 경우, 중앙관리서버(500)는 수처리 시설내에 설치된 소독 설비의 운전을 정지시킴과 아울러 수처리 시설내에 설치된 유 독가스 중화 설비가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처리 시설에서의 유독가스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안전관리 관련 위험항목들(예컨대, 유독가스 누출여부, 유독가스의 누출농도, 풍속 및 풍향 등)을 실시간으로 원격 감시하고, 자동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위험성을 갖는 다양한 종류의 유독가스 안전관리에 적용 가능하도록 평상시 보다 더 안전하게 관리하여 사고를 예방하고, 나아가 유사시에도 즉각적으로 피해를 최소화하는 대응이 자동적으로 신속한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안전관리 자동제어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즉, 유독가스 발생 장소별/센서별에 따른 가스 누출여부 및 센서별 누출농도, 과거 및 현재의 풍향/풍속 데이터 등을 감시하고, 유독가스 누출사고 시 단말기를 통해 즉각적으로 실시간 원격 현황 감시 및 예측 판단이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하며, 평상시 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교육 용도로 활용이 가능하도록 안전 교육 내용의 기능을 부가함으로써, 안전사고 예방을 최소화하고 유독가스 누출사고 시 즉각적이고 효과적인 대응체계를 구축하며, 사고예방을 위한 직원의 안전관리 의식을 고취시킬 수 있다.
특히, 유독가스의 안전관리 방법에 있어서, 첫째, 평상시 정상적인 유독가스 설비 운전 및 원격 제어와 사고예방을 위한 안전교육 용도로 시스템을 구축하여 활용할 수 있으며, 둘째, 유독가스 누출 시 실시간 원격 감시 및 가스 차단과 중화처 리의 자동화, 누출 확산 시 실시간 피해범위의 예측 판단과 주민 소산 계획의 자동 수립이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구축하여 활용할 수 있다.
즉, 평상시에는, 유독가스 설비의 운전상태, 유독가스의 누출여부 및 농도, 풍향 및 풍속 데이터를 현장에 있는 각 감지센서와 현장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간의 통신으로 데이터를 실시간 취득하여 원격으로 감시하고 자동으로 운전을 제어한다.
또한, 평상시 운영자는 HMI(Human Machine Interface)를 통해 가상 데이터(DATA)를 입력해서, 유독가스 누출농도와 풍향/풍속에 따른 피해범위, 대처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즉, 평상시에도 실제 사고가 발생했을 때와 마찬가지로 가상의 상황을 만들어서 유사시 각 상황에 즉각적으로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대한 최대 효과를 기하기 위하여 유독가스 설비의 운전요령과 안전장비의 사용요령을 관리자가 쉽게 이해하고 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안전교육의 프로그램 기능을 추가하여 확장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유독가스가 누출된 경우, 현장에서 가져온 누출농도와 풍향/풍속 데이터는 중앙관리서버(500)에서 누출량과 풍향/풍속 데이터에 따라 피해범위를 산출한다. 만약, 중앙관리서버(500)에서 원격으로 취득한 데이터를 통해 유독가스 누출농도가 허용농도 범위 값을 벗어났을 경우, 피해범위를 산출하여 관리자에게 알린다.
상기 관리자는 누출농도와 피해범위를 확인한 뒤, 현재 상황에 맞는 대처방법을 모니터를 통해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자체적으로 처리 가능한 일상적 상황인 경우 사업장 자체의 안전관리 시스템이 자동으로 유독가스 차단 및 중화처리 를 원격제어하고, 자체 처리가 불가능한 대형 누출사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인터넷을 통한 유관기관 유독가스 감시시스템 알람이 작동되어 신속하게 협조체제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자체 처리가 불가능한 대형 누출사고가 발생한 경우, 중앙관리서버(500)에 설정된 알람 경보값에 의해 웹(Web)으로 통합된 유관기관 상황실 컴퓨터 화면에 사고발생 알람화면을 표시하고, 유관기관 상황실 근무자는 웹 통합 컴퓨터를 통하여 사업장 자체의 사고내용 및 조치현황, 사고복구를 위한 유관기관 협조사항을 파악하고 즉각적인 조치를 실시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시설에서의 유독가스 안전관리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예컨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롬(ROM), 램(RAM), 시디-롬(CD-ROM), 자기 테이프,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이동식 저장장치, 비휘발성 메모리(Flash Memory),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된다.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시설에서의 유독가스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시설에서의 유독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a 내지 도 2r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중앙관리서버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들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시설에서의 유독가스 안전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흐름도이다.

Claims (21)

  1. 수처리 시설내에 설치되어 유독가스의 누출여부에 따라 경보를 발생하는 가스경보기;
    수처리 시설내에 설치되어 유독가스의 누출농도를 검출하는 가스농도검출기;
    수처리 시설의 주변에 설치되어 바람의 세기를 측정하는 풍속측정기;
    수처리 시설의 주변에 설치되어 대기중 풍향을 측정하는 풍향측정기; 및
    상기 가스경보기의 경보 발생 시 상기 가스농도검출기로부터 검출된 유독가스의 누출농도 변화에 따라 누출량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유독가스의 누출량과 상기 풍속 및 풍향측정기로부터 측정된 풍속 및 풍향값을 이용하여 유독가스 피해범위를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유독가스 피해범위를 전자지도상에 표시하는 안전관리센터를 포함하는 수처리 시설에서의 유독가스 안전관리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관리센터는,
    수처리 시설을 중심으로 일정 면적의 전자지도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전자지도 DB; 및
    상기 가스경보기의 경보 발생 시 상기 가스농도검출기로부터 검출된 유독가스의 누출농도값과 기 설정된 기준농도값을 비교하여 누출확산정도를 판단하고, 상 기 누출확산정도에 따라 누출농도 변화값을 이용하여 누출량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유독가스의 누출량과 상기 풍속 및 풍향측정기로부터 측정된 풍속 및 풍향값을 이용하여 유독가스 피해범위를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유독가스 피해범위를 상기 전자지도 DB에 저장된 전자지도 데이터와 매핑하여 전자지도상에 표시하는 중앙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시설에서의 유독가스 안전관리 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유독가스의 종류 및 누출량에 따른 다양한 대처 상황정보들을 저장 및 관리하는 안전관리 DB가 더 구비되며,
    상기 중앙관리서버는, 상기 산출된 유독가스의 종류 및 누출량에 따라 상기 안전관리 BD에 저장된 다양한 대처 상황정보들이 모니터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시설에서의 유독가스 안전관리 시스템.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다양한 대처 상황정보들은 유독가스 누출에 따른 대피지역, 사용가능 안전장비, 안전장비 사용방법 또는 해당 지역주민 대피 장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시설에서의 유독가스 안전관리 시 스템.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관리서버는, 상기 산출된 유독가스의 누출량이 기 설정된 특정값보다 클 경우, 인터넷을 통해 연결된 유관기관(有關機關) 관리서버로 유독가스 누출경보메시지가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시설에서의 유독가스 안전관리 시스템.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관리서버는, 상기 산출된 유독가스의 누출량이 기 설정된 특정값보다 클 경우, 이동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기 등록된 공공기관 담당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유독가스 누출경보와 관련된 문자메시지가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시설에서의 유독가스 안전관리 시스템.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관리서버는 수처리 시설내에 설치된 소독 설비의 운전상태을 비롯한 유독가스의 누출여부, 상기 가스농도검출기로부터 검출된 유독가스의 누출농도 값, 상기 풍속 및 풍향측정기로부터 측정된 풍속 및 풍향값을 실시간으로 제공받아 모니터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시설에서의 유독가스 안전관리 시스템.
  8.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관리서버는, 상기 가스농도검출기로부터 검출된 유독가스의 누출농도값이 기 설정된 기준농도값보다 클 경우, 수처리 시설내에 설치된 소독 설비의 운전을 정지시킴과 아울러 수처리 시설내에 설치된 유독가스 중화 설비가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시설에서의 유독가스 안전관리 시스템.
  9.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관리서버는, 평상 시에 수처리 시설내에 설치된 소독 설비를 정상 운전함과 아울러 관리자의 요청에 따라 소독 설비의 운전요령 및 안전장비의 사용요령 정보가 모니터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시설에서의 유독가스 안전관리 시스템.
  10.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관리서버는, 평상 시에 관리자의 요청에 따라 가상의 누출농도값, 풍속 및 풍향값을 입력받아 가상의 유독가스 피해범위를 산출한 후, 상기 산출된 가상의 유독가스 피해범위 및 이에 해당하는 대처상황 정보들을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모니터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시설에서의 유독가스 안전관리 시스템.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독가스는 염소가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시설에서의 유독가스 안전관리 시스템.
  12. 수처리 시설내에 설치된 가스경보기 및 가스농도검출기와, 수처리 시설의 주변에 설치된 풍속 및 풍향측정기와, 전체적인 안전관리를 담당하는 안전관리센터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수처리 시설에서의 유독가스 안전관리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가스경보기를 통해 유독가스의 누출에 따른 경보 발생 시 상기 가스농도검출기로부터 검출된 유독가스의 누출농도값과 기 설정된 기준농도값을 비교판단하는 단계;
    (b) 상기 단계(a)의 판단 결과, 상기 가스농도검출기로부터 검출된 유독가스의 누출농도값이 기 설정된 기준농도값보다 클 경우, 누출농도 변화값을 이용하여 유독가스의 누출량을 산출하는 단계;
    (c) 상기 단계(b)에서 산출된 유독가스의 누출량과 상기 풍속 및 풍향측정기로부터 측정된 풍속 및 풍향값을 이용하여 유독가스 피해범위를 산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단계(c)에서 산출된 유독가스 피해범위를 기 저장된 전자지도 데이터와 매핑하여 전자지도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시설에서의 유독가스 안전관리 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d)이후에, 상기 단계(b)에서 산출된 유독가스의 누출량에 따라 기 저장된 다양한 대처 상황정보들을 모니터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시설에서의 유독가스 안전관리 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다양한 대처 상황정보들은 유독가스 누출에 따른 대피지역, 사용가능 안전장비, 안전장비 사용방법 또는 해당 지역주민 대피 장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시설에서의 유독가스 안전관리 방법.
  15.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에서 산출된 유독가스의 누출량이 기 설정된 특정값보다 클 경우, 인터넷을 통해 연결된 유관기관(有關機關) 관리서버로 유독가스 누출경보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시설에서의 유독가스 안전관리 방법.
  16.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에서 산출된 유독가스의 누출량이 기 설정된 특정값보다 클 경우, 이동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기 등록된 공공기관 담당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유독가스 누출경보와 관련된 문자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시설에서의 유독가스 안전관리 방법.
  17.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관리서버는 수처리 시설내에 설치된 소독 설비의 운전상태을 비롯한 유독가스의 누출여부, 상기 가스농도검출기로부터 검출된 유독가스의 누출농도값, 상기 풍속 및 풍향측정기로부터 측정된 풍속 및 풍향값을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모니터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시설에서의 유독가스 안전관리 방법.
  18.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이후에, 상기 가스농도검출기로부터 검출된 유독가스의 누출농도값이 기 설정된 기준농도값보다 클 경우, 상기 중앙관리서버는 수처리 시설내에 설치된 소독 설비의 운전을 정지시킴과 아울러 수처리 시설내에 설치된 유독가스 중화 설비가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시설에서의 유독가스 안전관리 방법.
  19.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관리서버는, 평상 시에 수처리 시설내에 설치된 소독 설비를 정상 운전함과 아울러 관리자의 요청에 따라 소독 설비의 운전요령 및 안전장비의 사용요령 정보가 모니터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시설에서의 유독가스 안전관리 방법.
  20.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관리서버는, 평상 시에 관리자의 요청에 따라 가상의 누출농도값, 풍속 및 풍향값을 입력받아 가상의 유독가스 피해범위를 산출한 후, 상기 산출된 가상의 유독가스 피해범위 및 이에 해당하는 대처상황 정보들을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모니터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시설에서의 유독가스 안전관리 방법.
  21. 제12 항 내지 제20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80075896A 2008-08-04 2008-08-04 수처리 시설에서의 유독가스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0150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5896A KR20100015016A (ko) 2008-08-04 2008-08-04 수처리 시설에서의 유독가스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5896A KR20100015016A (ko) 2008-08-04 2008-08-04 수처리 시설에서의 유독가스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5016A true KR20100015016A (ko) 2010-02-12

Family

ID=42088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5896A KR20100015016A (ko) 2008-08-04 2008-08-04 수처리 시설에서의 유독가스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1501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84363A (zh) * 2017-10-17 2018-04-06 中国矿业大学(北京) 一种基于机器视觉技术的激光矿井气体遥测方法
CN110261878A (zh) * 2019-07-04 2019-09-20 四川省安全科学技术研究院 一种集成gnss和微震信息的多功能危化气体监测装置及系统
KR102194665B1 (ko) * 2019-08-06 2020-12-29 주식회사 유비마이크로 가스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및 가스 환경 모니터링 방법
CN113965598A (zh) * 2021-09-17 2022-01-21 河北汉姆倍睿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中央消杀智能系统及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84363A (zh) * 2017-10-17 2018-04-06 中国矿业大学(北京) 一种基于机器视觉技术的激光矿井气体遥测方法
CN107884363B (zh) * 2017-10-17 2023-10-24 中国矿业大学(北京) 一种基于机器视觉技术的激光矿井气体遥测方法
CN110261878A (zh) * 2019-07-04 2019-09-20 四川省安全科学技术研究院 一种集成gnss和微震信息的多功能危化气体监测装置及系统
KR102194665B1 (ko) * 2019-08-06 2020-12-29 주식회사 유비마이크로 가스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및 가스 환경 모니터링 방법
CN113965598A (zh) * 2021-09-17 2022-01-21 河北汉姆倍睿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中央消杀智能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7382B1 (ko) 유해 화학물질을 포함하는 재난상황의 긴급대처를 위한 통합관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재난대응 방법
RU2605258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обеспечения информации о соблюдении установленных требований и предупреждения о воздействии токсичного газа
US20170357926A1 (en) Fluid container resource management
KR102164651B1 (ko) 산업용 가스공급 설비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443718B1 (ko) 환경시설의 대기오염가스 확산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가상물리-기반 3차원 확산 예측지도 작성 시스템 및 그 방법
EP3405934B1 (en) Using bluetooth beacons to automatically update the location within a portable gas detector's logs
Benavides-Serrano et al. A quantitative assessment on the placement practices of gas detectors in the process industries
CN104750949A (zh) 一种气体泄漏中毒个人风险定量评估及表征方法
US2014034400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bnormal event response planning
TW201627955A (zh) 災害前置預警系統
Aneziris et al. A Total Safety Management framework in case of a major hazards plant producing pesticides
KR20100015016A (ko) 수처리 시설에서의 유독가스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66545B1 (ko) 위험물 유출 센트럴 모니터링 시스템
KR102240068B1 (ko) 테블릿 기반의 작업자 안전관리 시스템
Soman et al. Accidental release of chlorine from a storage facility and an on-site emergency mock drill: a case study
KR101634336B1 (ko) 함정내 손상통제 시스템 및 손상통제 방법
CN116583887A (zh) 先进的基于行为的安全通知系统和方法
Aneziris et al. Knowledge management in total safety for major hazards plants
CN114730409A (zh) 用于自动化湿料管理的系统和方法
CN109934557A (zh) 一种园区应急指挥平台
GR20190100313A (el) Συστημα και μεθοδος διαμορφωσης,εκτελεσης και παρακολουθησης δεδομενων λειτουργιας εγκαταστασης ή μοναδας
Tzortzakis et al. Tethys: sensor-based aquatic quality monitoring in waterways
KR20140051568A (ko) 산업 시설의 안전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및 기록매체
KR102518678B1 (ko) 디지털트윈을 통한 화재나 재난시 안전한 피난동선 정보를 제공하는 디지털트윈 피난 플랫폼
KR20130106050A (ko) 스마트 안전 통합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및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