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4632B1 - 긴급 출동 지원을 위한 일반차량 배차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관제 시스템 - Google Patents

긴급 출동 지원을 위한 일반차량 배차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관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4632B1
KR102194632B1 KR1020190025128A KR20190025128A KR102194632B1 KR 102194632 B1 KR102194632 B1 KR 102194632B1 KR 1020190025128 A KR1020190025128 A KR 1020190025128A KR 20190025128 A KR20190025128 A KR 20190025128A KR 102194632 B1 KR102194632 B1 KR 1021946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atch
vehicle
general
emergency
general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5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6647A (ko
Inventor
임우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토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토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토브
Priority to KR1020190025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4632B1/ko
Publication of KR20200106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66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4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46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20Monitoring the location of vehicles belonging to a group, e.g. fleet of vehicles, countable or determined number of vehicles
    • G08G1/202Dispatching vehicles on the basis of a location, e.g. taxi dispat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긴급 출동을 지원하기 위해 일반차량을 배차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지원하는 관제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일반차량 배차 방법은 긴급 출동을 위한 차량 지원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차량 지원 요청에 응답하여, 출동지 주변에 위치한 일반차량을 조회하는 단계, 상기 조회된 일반차량의 단말로 출동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및 제1 일반차량의 단말로부터 상기 출동 요청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면, 상기 제1 일반차량에 설치된 표시기기가 긴급 모드로 설정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긴급 출동 지원을 위한 일반차량 배차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관제 시스템{METHOD FOR DISPATCHING GENERAL VEHICLES TO SUPPORT AN EMERGENCY RESPONSE AND CONTROL SYSTEM SUPPORTING THE SAME}
본 개시는 긴급 출동 지원을 위한 일반차량 배차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긴급차량 부재로 인해 긴급 출동이 지연되는 경우 출동지 주변의 일반차량을 대신 배차함으로써 출동 지연으로 인한 인적물적 손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지원하는 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화재, 교통 사고 등과 같은 돌발적 긴급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긴급차량이 골든 타임(golden time) 내에 사고 발생 지점까지 도착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골든 타임 내에 도착하는지 여부가 곧 사고자의 생존 여부가 직결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종래부터 긴급차량을 신속하게 배차하는 방안에 대해 집중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왔다.
그러나, 종래의 연구들은 대부분 긴급차량에게 교통 우선 신호를 제공하는 방안에 치중되어 있으며, 긴급차량의 배차가 불가능한 상황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특별한 연구가 진행된 바가 없다.
하지만, 인근 지역에서 다수의 사고가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거나 대규모의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배차할 긴급차량이 부족하거나 골든 타임 내에 긴급차량이 사고 지점까지 도달할 수 없는 상황이 필연적으로 발생되기 마련이다.
따라서, 긴급차량의 배차가 불가능한 경우, 일반차량을 활용하여 긴급 출동을 지원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121638호 (2017.11.02 공개)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긴급 출동을 지원하기 위해 출동지 주변의 일반차량을 신속하게 배차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관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출동지 주변에 위치한 일반차량 중 최적의 차량을 출동대상차량으로 선택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관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긴급 출동을 나타내는 용도로 이용되는 표시기기의 오남용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관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의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긴급 출동 지원을 위한 일반차량 배차 방법은, 관제 시스템에서 긴급 출동을 지원하기 위해 일반차량을 배차하는 방법에 있어서, 긴급 출동을 위한 차량 지원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차량 지원 요청에 응답하여, 출동지 주변에 위치한 일반차량을 조회하는 단계, 상기 조회된 일반차량의 단말로 출동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및 제1 일반차량의 단말로부터 상기 출동 요청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면, 상기 제1 일반차량에 설치된 표시기기가 긴급 모드로 설정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일반차량을 조회하는 단계는, 상기 출동지 주변에 배차 가능한 긴급 차량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판정에 응답하여, 상기 일반차량을 조회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출동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조회된 일반차량이 택시인 경우, 상기 조회된 일반차량이 빈차 상태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빈차 상태라는 판정에 응답하여, 상기 출동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출동 요청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면, 상기 출동지까지의 내비게이션 정보가 상기 제1 일반차량의 내비게이션 지원기기를 통해 상기 제1 일반차량의 운전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일반차량이 상기 출동지 또는 최종 목적지에 도착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도착 판정에 응답하여, 상기 표시기기에 설정된 긴급 모드가 해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관제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일반차량의 단말과 통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함으로써, 긴급 출동을 위한 차량 지원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차량 지원 요청에 응답하여 출동지 주변에 위치한 일반차량을 조회하며, 상기 조회된 일반차량의 단말로 출동 요청을 전송하고, 제1 일반차량의 단말로부터 상기 출동 요청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면, 상기 제1 일반차량에 설치된 표시기기가 긴급 모드로 설정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팅 장치와 결합되어, 긴급 출동을 위한 차량 지원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차량 지원 요청에 응답하여, 출동지 주변에 위치한 일반차량을 조회하는 단계, 상기 조회된 일반차량의 단말로 출동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및 제1 일반차량의 단말로부터 상기 출동 요청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면, 상기 제1 일반차량에 설치된 표시기기가 긴급 모드로 설정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긴급 출동 지원 시스템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긴급 출동 지원을 위한 일반차량 배차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일반차량 조회 단계 S300를 부연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은 도 2에 도시된 출동 요청 전송 단계 S400의 상세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차량기기 제어 단계 S700의 상세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참조될 수 있는 내비게이션 지원기기의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긴급 모드 남용 규제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장치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개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개시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본 개시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 (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대한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몇몇 용어들에 대하여 명확하게 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긴급차량이란 소방차, 후송차량, 구급차, 경찰차, 범죄수사용 차량 등과 같이 긴급한 용도로 사용되는 모든 종류의 특수 차량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일반차량이란, 긴급차량에 해당하지 않는 모든 종류의 차량을 포함한다. 가령, 일반차량은 상업적 용도로 이용되는 택시(taxi), 비상업적 용도로 이용되는 일반 승용차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차량의 단말이란, 관제 시스템과의 통신 기능이 구비된 차량 측의 단말 장치를 의미한다. 가령, 상기 차량의 단말은 관제 시스템으로 출동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출동 요청에 대한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관제 시스템과의 통신 기능이 구비되어 있다면, 상기 차량의 단말은 어떠한 종류의 장치가 되더라도 무방하다. 가령, 차량의 단말은 운전자의 단말이 될 수 있고, 차량에 설치된 단말이 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차량기기란, 차량에 설치되고 전자적으로 제어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기기를 포함한다. 가령, 상기 차량기기는 비상등, 미등, 경광등, 택시등과 같은 각종 표시기기와 크락션, 내비게이션 지원기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표시기기란, 택시등, 경광등, 비상등과 같이 시각적인 표시 기능을 제공함과 동시에 전자적으로 제어가능한 모든 종류의 기기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내비게이션 지원기기란, 내비게이션 기능을 지원하는 모든 종류의 기기를 포함한다. 가령, 상기 내비게이션 지원기기는 내비게이션 앱이 탑재된 운전자 단말 또는 차량에 설치된 내비게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출동지란, 긴급 신고를 통해 접수된 출동 지점을 의미한다. 가령, 사고 발생을 이유로 긴급 출동이 요청된 경우, 상기 출동지는 사고 지점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목적지란, 출동대상차량의 최종 종착지로써 출동 임무가 종료되는 지점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출동지에서 임무가 종료되는 경우, 목적지는 상기 출동지가 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출동대상차량의 임무가 환자 이송인 경우, 상기 목적지는 인근 병원이 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인스트럭션(instruction)이란, 기능을 기준으로 묶인 일련의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들로서 컴퓨터 프로그램의 구성 요소이자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가리킨다.
이하,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긴급 출동 지원 시스템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몇몇 실시예에 따른 긴급 출동 지원 시스템은 관제 시스템(10), 하나 이상의 긴급차량(20) 및 하나 이상의 일반차량(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긴급 출동 지원 시스템에서, 관제 시스템(10)은 긴급 출동에 대한 신고 접수, 차량 배차, 차량 모니터링, 긴급 상황 모니터링 등과 같이 긴급 출동 지원을 위한 통합 관제 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이다.
몇몇 실시예에 따른 관제 시스템(10)은 긴급 출동 관제 센터(11), 차량 관제 센터(12) 및 교통 관제 센터(13)를 포함할 수 있다. 단, 이는 본 개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이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 요소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관제 시스템(10)의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기능적으로 구분되는 기능 요소들을 나타낸 것으로서, 복수의 구성 요소가 실제 물리적 환경에서는 서로 통합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실제 물리적 환경에서 상기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복수의 세부 기능 요소로 분리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컨대, 각 관제 센터(11 내지 13)의 제1 기능은 제1 컴퓨팅 장치에서 구현되고, 제2 기능은 제2 컴퓨팅 장치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의 서술에서, 관제 시스템(10) 또는 관제 센터(11 내지 13)의 동작은 관제 시스템(10) 또는 관제 센터(11 내지 13)를 구성하는 컴퓨팅 장치(e.g. 관제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상기 각각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설명한다.
긴급 출동 관제 센터(11)는 긴급 출동에 대한 신고 접수, 긴급차량 배차, 긴급 상황 모니터링 등의 관제 기능을 수행한다. 가령, 긴급 출동 관제 센터(11)는 119 관제 센터, 소방 관제 센터 등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으나,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긴급 출동 관제 센터(11)는 긴급 출동에 대한 신고가 접수되면 출동지 주변에 배차 가능한(즉, 출동 가능한) 긴급차량(20)이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긴급차량(20)을 출동지로 배차할 수 있다. 가령, 긴급 출동 관제 센터(11)는 긴급차량(20)의 단말로 출동 요청을 전송함으로써 상기 배차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나,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긴급차량(20)의 배차 가능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긴급 출동 관제 센터(11)는 긴급차량(20)의 상태, 위치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출동지 주변에 배차 가능한 긴급차량(20)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긴급 출동 관제 센터(11)는 차량 관제 센터(12)로 일반차량(30)의 배차를 요청하거나, 직접 일반차량(30)의 단말로 긴급 출동을 위한 차량 지원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출동 가능한 긴급차량(20)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도, 신속하게 배차가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차량 관제 센터(12)는 일반차량(30)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 차량 배차 등의 관제 기능을 수행한다. 차량 관제 센터(12)는 하나 이상의 컴퓨팅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컴퓨팅 장치는,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탑(laptop)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컴퓨팅 기능 및 통신 기능이 구비된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차량 관제 센터(12)는 차량 지원 요청에 응답하여 출동지 주변의 일반차량(30)을 출동지로 배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긴급차량(20)이 존재하지 않는 상황에서도, 신속하게 긴급 출동이 이루어짐으로써 인적 및 물적 손실이 최소화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2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차량 관제 센터(12)는 출동대상차량으로 결정된 일반차량(30)의 차량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가령, 차량 관제 센터(12)는 일반차량(30)의 표시기기가 긴급 모드로 설정되도록 제어하거나 긴급 모드가 해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는, 긴급 모드에 대한 제어가 차량 관제 센터(12)에 의해서만 수행될 수 있다. 즉, 긴급 모드의 오남용을 방지하기 위해, 일반차량(30)의 운전자에게는 긴급 모드에 대한 설정 및 해제 권한이 부여되지 않을 수 있다.
다음으로, 교통 관제 센터(13)는 교통 상황에 대한 모니터링, 교통 신호 제어 등의 관제 기능을 수행한다. 교통 관제 센터(13)는 교통 상황 정보를 다른 관제 센터(11, 12)에게 제공하거나, 다른 관제 센터(11, 12)의 요청에 따라 교통 신호를 제어할 수 있다. 가령, 교통 관제 센터(13)는 출동대상차량이 신속하게 출동지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출동지까지의 교통 신호를 제어(e.g. 교통 우선 신호 제공)할 수 있다.
관제 시스템(10)의 동작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도 2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관제 시스템(10)의 구성 요소(11 내지 13) 및/또는 차량(20, 30)과 관제 시스템(10)은 네트워크(40)를 통신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40)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유/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40)는 차량(20, 30) 단말 간에 형성되는 차량 애드혹 네트워크(Vehicle Ad-hoc NETwork, VANET)를 포함할 수도 있다.
지금까지 도 1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긴급 출동 지원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긴급 출동 지원을 위한 일반차량 배차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일반차량 배차 방법의 각 단계는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일반차량 배차 방법의 각 단계는 컴퓨팅 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일반차량 배차 방법에 포함되는 모든 단계는 하나의 물리적인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실행될 수도 있을 것이나, 상기 방법의 제1 단계들은 제1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고, 상기 방법의 제2 단계들은 제2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 일반차량 배차 방법은 다양한 시스템 및/또는 환경에서 수행될 수 있을 것이나, 이해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도 1에 예시된 환경을 가정하여 설명을 이어가도록 한다. 또한, 다른 언급이 없는 한, 상기 일반차량 배차 방법의 각 단계는 관제 시스템(10)의 차량 관제 센터(12)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가정하도록 한다. 따라서, 각 동작의 주어가 생략된 경우, 상기 각 동작은 상기 예시된 장치(12)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이하에서 후술될 방법들은 필요에 따라 논리적으로 수행 순서가 바뀔 수 있는 범위 안에서 각 동작의 수행 순서가 바뀔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긴급 출동 지원을 위한 일반차량 배차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단, 이는 본 개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이며, 필요에 따라 일부 단계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은 긴급 출동 신고를 접수하는 단계 S100로부터 시작된다. 예컨대, 긴급 출동 관제 센터(11)가 긴급 출동 신고를 접수할 수 있을 것이고, 상기 신고를 접수하는 방식은 어떠한 방식이 되더라도 무방하다.
단계 S200에서, 출동지 주변에 배차 가능한(즉, 출동 가능한) 긴급차량이 존재하는지 판정된다. 가령, 상기 판정 단계 S200은 긴급차량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긴급 출동 관제 센터(11)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배차 가능한 긴급차량이 존재한다는 판정에 응답하여, 단계 S600이 수행된다. 반대의 경우, 단계 S300이 수행된다.
단계 S300에서, 출동지 주변에 위치한 일반차량이 조회된다. 가령, 차량 관제 센터(13)는 일반차량의 위치/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정보에 기초하여 출동지 주변에 위치한 일반차량을 조회할 수 있을 것이나,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출동지 주변은 출동지를 기준으로 일정 거리 이내의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가령, 도 3에 도시된 관제 화면(50)을 참조하면, 출동지(51)를 기준으로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영역(52)이 출동지 주변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다수의 일반차량(53-1 내지 53-4, 54-3 내지 54-4) 중에서 일반차량(53-1 내지 53-4)이 조회 결과로 제공될 수 있다.
다른 몇몇 실시예서는, 상기 출동지 주변은 일정 시간 이내에 출동지에 도착할 수 있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출동지 부근의 교통 상황 및/또는 교통 환경 등에 기초하여 상기 영역의 크기(e.g. 도 3의 52 참조)가 변경될 수 있다. 가령, 출동지 부근의 교통이 혼잡한 경우, 비포장 도로가 존재하는 경우, 교차로, 커브길 등이 많은 경우에는 출동지까지의 소요 시간이 증가할 것이므로, 상기 영역의 크기는 감소될 수 있을 것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일정 거리 및 상기 일정 시간은 사고 유형 별로 정의된 골든 타임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값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사고 유형에 따라 출동지 주변을 나타내는 영역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단계 S400에서, 조회된 일반차량의 단말로 출동 요청이 전송된다. 상기 출동 요청은 조회된 전체 일반차량의 단말로 전송될 수도 있고, 선별된 일부 일반차량의 단말로 전송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회된 일반차량 각각에 대해 출동 적합성이 판단되고, 판단 결과를 기초로 선별된 일부 차량에 한하여 출동 요청이 전송될 수 있다(S410 내지 S430). 이때, 상기 출동 적합성을 판단하는 구체적인 방식은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상기 출동 적합성은 출동지 주변의 교통 상황 및/또는 교통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될 수 있다. 가령, 교통이 원활한 곳에 위치한 제1 일반차량이 교통이 혼잡한 곳에 위치한 제2 일반차량보다 출동에 더 적합하다고 판단될 수 있다. 또는, 직선 도로와 같이 단순한 교통 환경에 위치한 제1 일반차량이 복잡한 교통 환경(e.g. 골목길, 커브길, 교차로 등)에 위치한 제2 일반차량보다 출동에 더 적합하다고 판단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상기 출동 적합성은 상기 긴급 출동과 연관된 사고 정보와 상기 조회된 일반차량의 사양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고 정보는 사고의 유형, 사고의 규모 등과 같이 사고와 관련된 모든 종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양 정보는 차량의 크기, 종류, 구급 물품 존재 여부, 경광등 존재 여부, 점프선 존재 여부, 스페어 타이어 존재 여부 등과 같이 차량 자체의 사양과 차량에 존재하는 물품에 대한 사양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사고 유형이 단순 배터리 방전인 경우, 점프선이 존재하는 제1 일반차량이 점프선이 존재하지 않는 제2 일반차량보다 출동에 더 적합하다고 판단될 수 있다. 또는, 대규모의 사고인 경우, 8인승인 제1 일반차량이 4인승인 제2 일반차량보다 출동에 더 적합하다고 판단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서, 상기 출동 적합성은 일반차량의 운전자의 출동 이력에 기초하여 판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출동 이력은 전체 출동 횟수, 출동 요청에 대한 출동 비율(e.g. 출동 횟수/출동 요청 수신 횟수), 긴급 모드 남용 이력, 출동 결과에 대한 평가 점수 등과 같이 긴급 출동과 관련된 모든 종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가령, 전체 출동 횟수가 더 많은 제1 일반차량이 제2 일반차량보다 출동에 적합하다고 판단될 수 있다. 출동 횟수가 많을수록 비상 상황에 대한 경험이 많을 것이기 때문이다. 또는, 긴급 모드 남용 횟수가 적은 제1 일반차량이 남용 횟수가 많은 제2 일반차량보다 출동에 더 적합하다고 판단될 수 있다.
제4 실시예에서, 상기 출동 적합성은 일반차량 운전자의 응급 상황 대처 능력에 기초하여 판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응급 상황 대처 능력은 다양한 요소에 기초하여 평가(또는 예측)될 수 있다. 이를테면, 해당 운전자의 출동 이력(e.g. 출동 횟수, 출동 결과에 대한 평가 점수), 출동지의 응급 상황과 관련된 자격증 보유 여부, 인구 통계학적 정보, 출동지 인근에서의 운전 경력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응급 상황 대처 능력이 평가될 수 있을 것이나,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는, 응급 상황 대처 능력을 보다 정확하게 평가하기 위해 평가 요소 별로 차등적인 가중치가 부여될 수도 있다. 가령, 출동지의 응급 상황과 관련된 자격증 보유 여부에 더 높은 가중치가 부여될 수도 있다.
제5 실시예에서, 전술한 실시예들 중 적어도 일부의 조합에 기초하여 상기 출동 적합성이 판단될 수 있다. 가령, 교통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적합성 점수가 산정되고, 출동 이력에 기초하여 제2 적합성 점수가 산정되며, 각 적합성 점수를 종합(e.g. 가중평균)하여 최종 적합성 점수가 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최종 적합성에 따라 조회된 일반차량 각각에 대한 출동 적합성이 판단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조회된 일반차량이 택시인 경우, 해당 차량이 빈차 상태인지 여부에 대한 판정이 더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조회된 일반차량이 빈차 상태라는 판정에 응답하여, 상기 출동 요청이 전송될 수 있다. 빈차 상태에 있는 택시가 출동 요청에 응답할 가능성이 더 높기 때문이다. 다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단계 S500에서, 출동 요청에 응답한 일반차량 중에서 출동대상차량이 선택된다. 예를 들어, 상기 출동 요청에 응답한 복수의 일반차량 중에서 전술한 출동 적합성이 높은 차량이 출동대상으로 선택될 수 있을 것이나,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령, 출동 기회가 특정 일반차량(e.g. 출동 적합성이 높은 일부 차량)에게만 독점적으로 부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랜덤하게 출동대상이 선택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출동대상차량의 대수는 사고 규모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가령, 대규모의 사고인 경우라면 많은 인명 피해가 발생했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출동대상차량의 대수가 증가될 수 있다.
단계 S600은 긴급차량이 존재한다는 판정에 따라 수행되고, 전술한 단계 S500과 유사하게 배차 가능한 긴급차량 중에서 출동대상차량을 선택하는 단계이다. 이에 대한 설명은 단계 S500과 유사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단계 S700에서, 출동대상차량의 차량기기에 대한 제어가 수행된다. 즉, 본 단계 S700에서는 긴급 출동을 나타내도록 차량기기에 대한 제어가 수행된다. 출동대상차량이 일반차량인 경우, 차량 관제 센터(12)에서 출동대상차량의 단말로 제어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차량기기에 대한 제어가 수행될 수 있을 것이나,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출동대상차량이 일반차량인 것을 가정하여 설명을 이어가도록 한다.
도 5는 본 단계 S700의 세부 과정을 예시하고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기기 제어 단계 S700은 출동대상차량의 표시기기를 긴급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S710에서 시작될 수 있다. 가령, 차량 관제 센터(12)는 출동대상차량의 단말로 제어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표시기기가 긴급 모드로 설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을 것이나,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단계 S710에서, 표시기기가 긴급 모드로 설정되면, 긴급 출동을 나타내는 시각적 효과가 해당 표시기기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가령, 긴급 모드가 설정되면 경광등 또는 비상등이 켜지거나 택시등이 점멸되는 것과 같이 긴급 출동을 나타내는 시각적 효과가 표시기기를 통해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본 개시의 기술적 효과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긴급 출동을 나타낼 수 있다면 상기 표시기기는 어떠한 방식으로 동작되더라도 무방하다.
단계 S720에서, 내비게이션 지원 기기에 대한 제어가 수행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출동지 또는 목적지까지의 내비게이션 정보가 상기 내비게이션 지원 기기를 통해 출동대상차량의 운전자에게 제공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가령,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내비게이션 화면(60)이 출동대상차량의 내비게이션 지원기기를 통해 제공될 수 있고, 내비게이션 화면(60)에는 출동대상차량(62)의 현재 위치부터 출동지(61)까지의 이동 경로(63)가 표시될 수 있을 것이나, 내비게이션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은 어떠한 방식이 되더라도 무방하다.
몇몇 실시예에서는, 출동대상차량의 내비게이션 정보가 다른 일반차량의 내비게이션 지원기기를 통해 상기 다른 일반차량의 운전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도 7은 상기 다른 일반차량의 내비게이션 화면(70)을 예시하고 있는데, 내비게이션 화면(70)에는 출동대상차량(72)의 출동지(71)까지의 이동 경로(75)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내비게이션 화면(70)에는 해당 차량(73)의 목적지(74)까지의 이동 경로(76)도 표시될 수 있다. 출동대상차량의 내비게이션 정보를 다른 일반차량에도 제공하는 이유는 주변에 긴급 출동이 있음을 알림으로써 출동지 주변의 교통 혼잡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몇몇 실시예에서는, 출동대상차량의 목적지까지의 내비게이션 정보도 다른 일반차량에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다른 일반차량의 이동 경로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출동대상차량의 이동 경로와 중첩되는 경우, 상기 다른 일반차량의 이동 경로가 변경될 수 있다. 가령, 도 8에 도시된 내비게이션 화면(80)을 참조하면, 일반차량(83)의 이동 경로(86)의 일부가 출동대상차량(82)의 이동 경로(85)와 중첩되면, 일반차량(83)의 내비게이션 지원기기를 통해 변경된 이동 경로(87)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변경된 이동 경로(87)는 출동대상차량(82)의 이동 경로와 중첩되지 않고, 출동지(81) 부근을 우회하는 경로로 설정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출동지(81) 주변의 교통이 혼잡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을 이어가도록 한다.
단계 S730에서, 출동대상차량이 출동지 또는 목적지에 도착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본 단계 S730의 구체적인 판정 방식은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관제 센터(12)는 출동대상차량의 단말로부터 도착 알림이 수신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판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차량 관제 센터(12)는 출동대상차량의 현재 위치를 실시간 추적하고, 출동대상차량의 현재 위치가 출동지 부근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판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단계 S740에서, 도착 판정에 응답하여, 표시기기에 설정된 긴급 모드가 해제된다. 가령, 차량 관제 센터(12)는 긴급 모드 해제 메시지를 출동대상차량의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표시기기에 설정된 긴급 모드가 해제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나,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긴급 모드에 대한 설정 및 해제는 관제 시스템(10)에 의해서만 수행될 수 있다. 가령, 출동대상차량이 일반 차량인 경우 긴급 모드에 대한 제어 기능은 차량 관제 센터(12)에 의해서만 수행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운전자가 긴급 모드를 남용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는, 출동대상차량이 출동지 또는 목적지까지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 경로 상의 다른 일반차량의 차량기기가 제어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출동대상차량의 이동 경로 정보가 얻어지면, 상기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한 일반차량(e.g. 이동 경로 상에 정차 중인 차량들)의 표시기기가 긴급 모드로 설정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상기 이동 경로 상의 교통이 혼잡해지는 것이 방지되고, 인근에 긴급 출동이 있음을 빠르게 알릴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출동대상차량이 특정 일반차량을 지나간 경우, 상기 특정 일반차량의 표시기기에 설정된 긴급 모드는 해제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긴급 출동으로 인한 교통 통제의 영향이 최소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긴급 모드의 남용을 방지하기 위해 출동대상차량의 행동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비정상적인 행동을 규제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 대하여 도 9를 참조하여 부연 설명하도록 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출동대상차량의 행동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S810에서 시작된다. 모니터링 단계 S810은 표시기기가 긴급 모드인 동안에 수행될 수 있을 것이나,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상기 출동대상차량의 행동은 차량의 이동, 정지, 정차, 차량기기 제어 등과 같이 모니터링 가능한 모든 종류의 행동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820에서, 기준 규칙 위반 여부가 판정된다. 상기 기준 규칙은 출동대상차량이 준수해야할 규칙을 의미하는 것으로, 긴급 모드의 남용을 방지하기 위해 정의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기준 규칙의 세부 내용은 실시예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이해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기준 규칙을 위반한 사례를 예로 들면, 출동지까지의 교통이 원활함에도 불구하고 출동대상차량이 출동지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 경우, 출동대상차량이 정해진 시간 이상 정차 중인 경우, 출동 중에 승객을 탑승시키는 경우 등이 위반 사례에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위반 판정에 응답하여, 단계 S830이 수행될 수 있다. 단계 S830에서, 표시기기에 설정된 긴급 모드가 해제되고, 위반 차량은 출동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상기 위반 차량의 운전자에게 벌점 또는 벌금을 부과하는 등의 제재가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단계 S830 이후에, 차량 관제 센터(12)는 다른 일반 차량 또는 긴급차량을 을 출동대상차량으로 선별하여 배차할 수 있을 것이다.
몇몇 실시예에서는, 일반차량 운전자의 긴급 출동 지원을 촉구하기 위해 출동 지원에 따른 리워드가 제공될 수도 있다. 가령, 출동 요청에 응답한 일반차량의 운전자에게 소정의 리워드가 지급될 수 있는데, 상기 소정의 리워드는 해당 운전자가 골든 타임 내에 도착하였는지 여부, 출동에 소요된 시간, 출동에 대한 평가 결과, 기존 출동 횟수 등에 기초하여 차등적으로 산정될 수 있을 것이나,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리워드는 현금, 포인트, 암호화 화폐 등 어떠한 형태로 지급되더라도 무방할 것이다.
몇몇 실시예에서는, 차량 관제 센터(12)가 블록체인 시스템과 연동되고,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에서 발행된 암호화 화폐가 리워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일반차량의 리워드 지급 이력과 출동 이력 등이 블록체인을 통해 관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리워드 지급의 투명성과 출동 이력의 무결성 등이 분산된 환경에서도 보장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이 프라이빗 블록체인(private blockchain) 기반인 경우,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다 강화하기 위해 상기 프라이빗 블록체인에 기록된 데이터를 별도의 퍼블릭 블록체인(public blockchain)에 기록하는 앵커링(anchoring) 기법이 활용될 수도 있다.
한편, 몇몇 실시예에서는, 차량 관제 센터(12)가 출동지(즉, 긴급 상황 발생지) 근처에 위치한 제1 일반차량의 운전자에게 우선 출동을 요청할 수 있다. 이를테면, 차량 관제 센터(12)가 상기 제1 일반차량의 단말로 우선 출동 요청을 전송함으로써 상기 제1 일반차량이 출동지로 우선 출동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일반차량을 우선 출동시키는 이유는, 상기 제1 일반차량을 통해 출동지의 상황(e.g. 상황의 긴급성, 상황의 유형, 상황의 규모, 필요 인원, 필요 장비 등)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차량 관제 센터(12)가 상기 상황 정보를 얻는 방식은 상기 제1 일반차량의 운전자와의 통신을 통해 수신하는 방식, 상기 제1 일반차량에 설치된 블랙박스의 촬영 영상을 통해 얻는 방식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나,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차량 관제 센터(12)는 상기 제1 일반차량을 통해 얻어진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출동지 주변의 긴급차량 또는 제2 일반차량을 출동대상차량으로 선택하고 배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일반차량은 예를 들어 출동지로부터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차량, 상황 정보 전달에 관한 사전 교육을 받은 운전자의 차량, 응급 상황 대처 능력이 우수한 운전자의 차량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나,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 차량 관제 센터(12)는 상기 제1 일반차량의 차량기기(e.g. 표시기기)가 긴급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는, 출동지 또는 출동지 부근에 미리 알려진 상습 불법 주정차 구간 또는 교통 혼잡 구간이 존재하는 경우, 차량 관제 센터(12)는 출동지 근처에 위치한 제1 일반차량의 운전자에게 우선 출동을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일반차량을 우선 출동시키는 이유는, 상기 제1 일반차량을 통해 출동지 인근의 차량(e.g. 불법 주정차 차량 등) 또는 교통을 정리하여 출동대상차량의 진입로와 진출로를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차량 관제 센터(12)는 상기 제1 일반차량의 차량기기(e.g. 표시기기)가 긴급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차량 관제 센터(12)는 출동지 주변의 긴급차량 또는 제2 일반차량을 출동대상차량으로 선택하고 배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지금까지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긴급 출동 지원을 위한 일반차량 배차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상술한 방법에 따르면, 출동지 주변에 긴급차량이 존재하지 않는 상황에서도 인근의 일반차량을 활용하여 긴급 상황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골든 타임 초과로 인해 야기되는 인명 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기준 하에 출동에 가장 적합한 차량을 선별하여 긴급 출동에 배차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긴급 상황에 대처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긴급 모드에 대한 제어가 관제 시스템에 의해서만 수행됨으로써, 운전자가 긴급 모드를 오남용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시스템(e.g. 도 1의 관제 시스템 10, 관제 센터 11 내지 13)를 구현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팅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10), 버스(150), 통신 인터페이스(170), 프로세서(110)에 의하여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로드(load)하는 메모리(130)와, 컴퓨터 프로그램(191)를 저장하는 스토리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10에는 본 개시의 실시예와 관련 있는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개시가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도 10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 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컴퓨팅 장치(100)의 각 구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1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GPU(Graphic Processing Unit) 또는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에 대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구비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각종 데이터, 명령 및/또는 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130)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동작을 실행하기 위하여 스토리지(190)로부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191)을 로드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RAM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나,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버스(150)는 컴퓨팅 장치(100)의 구성 요소 간 통신 기능을 제공한다. 버스(150)는 주소 버스(Address Bus), 데이터 버스(Data Bus) 및 제어 버스(Control Bus) 등 다양한 형태의 버스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70)는 컴퓨팅 장치(100)의 유무선 인터넷 통신을 지원한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170)는 인터넷 통신 외의 다양한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통신 인터페이스(170)는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스토리지(190)는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191)을 비임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스토리지(190)는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또는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191)은 메모리(130)에 로드될 때 프로세서(110)로 하여금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10)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함으로써,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프로그램(191)은 긴급 출동을 위한 차량 지원 요청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차량 지원 요청에 응답하여, 출동지 주변에 위치한 일반차량을 조회하는 동작, 상기 조회된 일반차량의 단말로 출동 요청을 전송하는 동작 및 제1 일반차량의 단말로부터 상기 출동 요청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면, 상기 제1 일반차량에 설치된 표시기기가 긴급 모드로 설정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컴퓨팅 장치(100)를 통해 관제 시스템(10) 또는 차량 관제 센터(12)가 구현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그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들을 언급하였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 상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예를 들어 이동형 기록 매체(CD, DVD, 블루레이 디스크, USB 저장 장치, 이동식 하드 디스크)이거나, 고정식 기록 매체(ROM, RAM, 컴퓨터 구비 형 하드 디스크)일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기록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에 전송되어 상기 다른 컴퓨팅 장치에 설치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다른 컴퓨팅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개시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도시되어 있지만, 반드시 동작들이 도시된 특정한 순서로 또는 순차적 순서로 실행되어야만 하거나 또는 모든 도시 된 동작들이 실행되어야만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 상황에서는, 멀티태스킹 및 병렬 처리가 유리할 수도 있다. 더욱이, 위에 설명한 실시예들에서 다양한 구성들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가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고, 설명된 프로그램 컴포넌트들 및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수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패키지 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본 개시가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도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개시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개시에 의해 정의되는 기술적 사상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8)

  1. 관제 시스템에서 긴급 출동을 지원하기 위해 일반차량을 배차하는 방법에 있어서,
    긴급 출동을 위한 차량 지원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차량 지원 요청에 응답하여, 출동지 주변에 위치한 일반차량을 조회하는 단계;
    상기 조회된 일반차량의 단말로 출동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및
    제1 일반차량의 단말로부터 상기 출동 요청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면, 상기 제1 일반차량에 설치된 표시기기가 긴급 모드로 설정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조회된 일반차량의 단말로 출동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조회된 일반차량 중 제2 일반차량을 선정하고, 상기 제2 일반차량의 단말로 우선 출동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일반차량의 단말로부터 상기 출동지에 대한 상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조회된 일반차량의 단말로 상기 출동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긴급 출동 지원을 위한 일반차량 배차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차량을 조회하는 단계는,
    상기 출동지 주변에 배차 가능한 긴급 차량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판정에 응답하여, 상기 일반차량을 조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출동 지원을 위한 일반차량 배차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동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조회된 일반차량이 택시인 경우, 상기 조회된 일반차량이 빈차 상태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빈차 상태라는 판정에 응답하여, 상기 출동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출동 지원을 위한 일반차량 배차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동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출동지 주변의 교통 상황 정보를 기초하여 상기 조회된 일반차량 각각에 대해 출동 적합성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를 기초로 상기 조회된 일반차량 중에서 일부 차량을 선별하는 단계; 및
    상기 일부 차량의 단말로 상기 출동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출동 지원을 위한 일반차량 배차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동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긴급 출동과 연관된 사고 정보와 상기 조회된 일반차량의 사양 정보를 기초로 상기 조회된 일반차량 각각에 대해 출동 적합성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를 기초로 상기 조회된 일반차량 중에서
    일부 차량을 선별하는 단계; 및
    상기 일부 차량의 단말로 상기 출동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출동 지원을 위한 일반차량 배차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복수의 일반차량의 단말로부터 상기 출동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각 일반차량의 출동 이력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일반차량 중에서 상기 제1 일반차량을 출동대상차량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출동 지원을 위한 일반차량 배차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기기에 대한 긴급 모드 설정 및 해제는 상기 관제 시스템에 의해서만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출동 지원을 위한 일반차량 배차 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동 요청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면, 상기 출동지까지의 내비게이션 정보가 상기 제1 일반차량의 내비게이션 지원기기를 통해 상기 제1 일반차량의 운전자에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출동 지원을 위한 일반차량 배차 방법.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동 요청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면, 상기 제1 일반차량의 내비게이션 정보가 제2 일반차량의 내비게이션 지원기기를 통해 상기 제2 일반차량의 운전자에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출동 지원을 위한 일반차량 배차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일반차량의 내비게이션 정보는 상기 제1 일반차량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출동지까지의 제1 이동 경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일반차량의 제2 이동 경로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이동 경로와 중첩되는 경우, 상기 제1 이동 경로와 중첩되지 않는 제3 이동 경로가 상기 제2 일반차량의 내비게이션 지원기기를 통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출동 지원을 위한 일반차량 배차 방법.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일반차량이 상기 출동지 또는 최종 목적지에 도착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도착 판정에 응답하여, 상기 표시기기에 설정된 긴급 모드가 해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출동 지원을 위한 일반차량 배차 방법.
  12. 관제 시스템에서 긴급 출동을 지원하기 위해 일반차량을 배차하는 방법에 있어서,
    긴급 출동을 위한 차량 지원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차량 지원 요청에 응답하여, 출동지 주변에 위치한 일반차량을 조회하는 단계;
    상기 조회된 일반차량의 단말로 출동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제1 일반차량의 단말로부터 상기 출동 요청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면, 상기 제1 일반차량에 설치된 표시기기가 긴급 모드로 설정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1 일반차량의 상기 출동지까지의 이동 경로 정보를 얻는 단계;
    상기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한 제2 일반차량에 설치된 표시기기가 긴급 모드로 설정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일반차량이 상기 제2 일반차량을 지나갔다는 판정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일반차량의 표시기기에 설정된 긴급 모드가 해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출동 지원을 위한 일반차량 배차 방법.
  13. 관제 시스템에서 긴급 출동을 지원하기 위해 일반차량을 배차하는 방법에 있어서,
    긴급 출동을 위한 차량 지원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차량 지원 요청에 응답하여, 출동지 주변에 위치한 일반차량을 조회하는 단계;
    상기 조회된 일반차량의 단말로 출동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제1 일반차량의 단말로부터 상기 출동 요청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면, 상기 제1 일반차량에 설치된 표시기기가 긴급 모드로 설정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출동 요청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면, 상기 제1 일반차량의 행동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일반차량의 행동이 기준 규칙에 위반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위반 판정에 응답하여, 상기 표시기기에 설정된 긴급 모드가 해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출동 지원을 위한 일반차량 배차 방법.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동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조회된 일반차량의 운전자의 응급 상황 대처 능력을 기초로 상기 조회된 일반차량 각각에 대해 출동 적합성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를 기초로 상기 조회된 일반차량 중에서 일부 차량을 선별하는 단계; 및
    상기 일부 차량의 단말로 상기 출동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출동 지원을 위한 일반차량 배차 방법.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회된 일반차량의 단말로 출동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출동지 부근에 상습 불법 주정차 구간 또는 교통 혼잡 구간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조회된 일반차량 중 제2 일반차량을 선정하고, 상기 제2 일반차량의 단말로 우선 출동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출동 지원을 위한 일반차량 배차 방법.
  16. 삭제
  17. 하나 이상의 일반차량의 단말과 통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함으로써,
    긴급 출동을 위한 차량 지원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차량 지원 요청에 응답하여 출동지 주변에 위치한 일반차량을 조회하며, 상기 조회된 일반차량의 단말로 출동 요청을 전송하고, 제1 일반차량의 단말로부터 상기 출동 요청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면, 상기 제1 일반차량에 설치된 표시기기가 긴급 모드로 설정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조회된 일반차량 중 제2 일반차량을 선정하고, 상기 제2 일반차량의 단말로 우선 출동 요청을 전송하고, 제2 일반차량의 단말로부터 상기 출동지에 대한 상황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조회된 일반차량의 단말로 상기 출동 요청을 전송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제 시스템.
  18. 컴퓨팅 장치와 결합되어,
    긴급 출동을 위한 차량 지원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차량 지원 요청에 응답하여, 출동지 주변에 위치한 일반차량을 조회하는 단계;
    상기 조회된 일반차량의 단말로 출동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제1 일반차량의 단말로부터 상기 출동 요청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면, 상기 제1 일반차량에 설치된 표시기기가 긴급 모드로 설정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조회된 일반차량 중 제2 일반차량을 선정하고, 상기 제2 일반차량의 단말로 우선 출동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일반차량의 단말로부터 상기 출동지에 대한 상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조회된 일반차량의 단말로 상기 출동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90025128A 2019-03-05 2019-03-05 긴급 출동 지원을 위한 일반차량 배차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관제 시스템 KR1021946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5128A KR102194632B1 (ko) 2019-03-05 2019-03-05 긴급 출동 지원을 위한 일반차량 배차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관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5128A KR102194632B1 (ko) 2019-03-05 2019-03-05 긴급 출동 지원을 위한 일반차량 배차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관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6647A KR20200106647A (ko) 2020-09-15
KR102194632B1 true KR102194632B1 (ko) 2020-12-24

Family

ID=72450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5128A KR102194632B1 (ko) 2019-03-05 2019-03-05 긴급 출동 지원을 위한 일반차량 배차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관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463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0110Y1 (ko) 2003-09-30 2004-01-31 정은수 긴급출동 및 운행용 차량 관리 장치
KR101471352B1 (ko) 2012-12-28 2014-12-10 전자부품연구원 차량 정보 활용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KR101688652B1 (ko) 2010-08-31 2016-12-22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콜 서비스 운영 방법
KR101919247B1 (ko) 2017-09-01 2018-11-15 전수황 위급 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JP2018190142A (ja) * 2017-05-01 2018-11-2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緊急搬送手配装置、緊急搬送手配システムおよび緊急搬送手配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3202A (ko) * 2008-08-21 2010-03-04 주식회사 케이티 긴급 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121638A (ko) 2016-04-25 2017-11-02 (주)이지트래픽 긴급차량 우선신호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0110Y1 (ko) 2003-09-30 2004-01-31 정은수 긴급출동 및 운행용 차량 관리 장치
KR101688652B1 (ko) 2010-08-31 2016-12-22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콜 서비스 운영 방법
KR101471352B1 (ko) 2012-12-28 2014-12-10 전자부품연구원 차량 정보 활용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JP2018190142A (ja) * 2017-05-01 2018-11-2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緊急搬送手配装置、緊急搬送手配システムおよび緊急搬送手配方法
KR101919247B1 (ko) 2017-09-01 2018-11-15 전수황 위급 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6647A (ko) 2020-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53926A1 (en) Method and system for driving mode switching based on driver's state in hybrid driving
US20230004157A1 (en) Mixed-mode driving of a vehicle having autonomous driving capabilities
US11112793B2 (en) Mixed-mode driving of a vehicle having autonomous driving capabilities
JP7253446B2 (ja) 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US20190064800A1 (en) Mixed-mode driving of a vehicle having autonomous driving capabilities
US20190064803A1 (en) Mixed-mode driving of a vehicle having autonomous driving capabilities
US20190306779A1 (en) Vehicle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vehicle communication device
JP7140067B2 (ja) 車両制御装置、車両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8138980A1 (ja) 制御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836412B2 (en) System, method, and program for preventing accidents
US11807278B2 (en) Autonomous vehicle passenger safety monitoring
WO2017022263A1 (ja) 車両管理システムおよび車両管理方法
EP3555866B1 (en) Vehicle management system
CN115131960B (zh) 一种针对道路车辆事故的智能安全处理方法及装置
US20230278584A1 (en) Autonomous vehicl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EP3435355B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7428839B2 (ja) 情報処理方法
WO2022244285A1 (ja) 保険料算定方法、プログラム及び保険料算定システム
Das et al. Traffic signal priority control strategy for connected emergency vehicles with dilemma zone protection for freight vehicles
KR102194632B1 (ko) 긴급 출동 지원을 위한 일반차량 배차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관제 시스템
EP408043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N112810623A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以及记录介质
JP2021039473A (ja) 移動体制御装置および移動体の室内の監視制御装置
US10435051B1 (en) System, method, and program for preventing accidents
CN117456714A (zh) 车辆安全预警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