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4471B1 - 이중면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이중면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4471B1
KR102194471B1 KR1020200050464A KR20200050464A KR102194471B1 KR 102194471 B1 KR102194471 B1 KR 102194471B1 KR 1020200050464 A KR1020200050464 A KR 1020200050464A KR 20200050464 A KR20200050464 A KR 20200050464A KR 102194471 B1 KR102194471 B1 KR 102194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uble
forming
sided
molding
d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0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중현
Original Assignee
조중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중현 filed Critical 조중현
Priority to KR1020200050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44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4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4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22Apparatus with rollers and cutting discs or blades for shaping noodle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16Extrudi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16Extruding machines
    • A21C11/18Extruding machines with pist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24Apparatus for cutting out noodles from a sheet or ribbon of dough by an engaging pair of grooved roller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4/00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3/00Machines or apparatus for shaping batches of dough before subdivision
    • A21C3/02Dough-sheeters; Rolling-machines; Rolling-pi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3/00Machines or apparatus for shaping batches of dough before subdivision
    • A21C3/04Dough-extruding machines ; Hoppers with moving elements, e.g. rollers or belts as wall elements for drawing the doug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9Types of pasta, e.g. macaroni or noodles
    • A23L7/11Filled, stuffed or multilayered pasta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압출 방식에 의해 속재료를 공급함에 의해 다양한 종류의 속재료를 공급할 수 있게 하여 다양한 품목을 생산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 단가가 저렴하며, 노즐 교환이 용이한 이중면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겉재료의 내부 중앙에 속재료가 삽입되는 형태로 이중면을 성형할 수 있는 이중면 성형유닛; 상기 이중면 성형유닛의 상부 양측에서 2장의 겉재료를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된 겉재료 공급유닛; 및 상기 겉재료 공급유닛을 통해 공급되는 2장의 겉재료 사이로 속재료를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된 속재료 공급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이중면 성형유닛은: 서로 맞물려 회전하도록 2조 1쌍으로 이루어지는 성형롤러를 설치하되, 성형롤러의 외주면 둘레에는 각각 서로 대향하도록 성형홈부가 적어도 1개 이상으로 형성되어 인접하는 성형홈부가 서로 맞붙어서 이중면을 성형할 수 있도록 한 성형구멍; 및 상기 성형구멍에 인접하도록 성형롤러의 외주면 둘레에 형성되어 상기 성형구멍에 의해 형성되는 이중면의 외측부를 마감질하면서 절단할 수 있도록 한 절단돌부;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이중면 제조장치{dual noodles apparatus}
본 발명은 이중면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출 방식에 의해 속재료를 공급함과 아울러 롤러 방식에 의해 겉재료를 공급하고, 공급되는 겉재료와 속재료를 성형롤러에 의해 겉재료의 내부 중앙에 속재료가 삽입되는 형태로 이중면을 성형할 수 있게 한 이중면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면기는 재료를 투입하기 위한 호퍼, 투입된 재료를 반죽하여 밀어내기 위한 스크류, 반죽된 재료를 밀려나오게 하는 압출관, 밀려나온 재료를 일정 두께의 평판 형태로 만들기 위한 제면롤러, 상기 제면롤러에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장치 및 상기 평판형태의 재료를 면류로 세절하기 위한 세절롤러 등으로 구성된다.
면류를 만드는 대표적인 재료인 밀가루는 그 속에 클루텐이라는 특정성분이 있는데, 글루텐은 물로 반죽된 밀가루에 끈기와 탄력성을 주어 반죽된 밀가루를 면발로 뽑아 낼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면발을 섭취하는 이에게는 특유의 질감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밀가루만으로 제조된 면류는 영양학적으로 불균형을 이룬다는 비판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불충분한 영양을 보충하기 위한 손쉬운 방법으로 밀가루에 첨가재료를 섞어 면류로 제조하여 부족한 영양을 보충하는 방법이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은 첫째, 밀가루에 섞는 첨가재료의 량이 많아지면 만들어지는 면발에 글루텐의 함량이 적어져 면발이 잘 끊어지거나 면발로 뽑혀지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둘째, 첨가재료가 많은 량의 밀가루 반죽에 혼합되면 첨가재료 고유의 맛, 색, 향, 질감을 느낄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고자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10-0599007호에서 밀가루와 혼합반죽 하지 않고 첨가재료를 공급하여 첨가재료 자체의 향, 맛, 색, 질감 및 영양이 살아있으면서도 면발의 끈기와 탄력성이 유지되는 면류를 제조할 수 있는 '이중면, 이중면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속재료를 공급하기 위한 구성이 스크류로 이루어짐으로서, 스크류에 의해 속재료의 공급 시간이 오래 걸리고, 제조 원가가 상승되며, 구조가 복잡하여 고장의 원인이 됨은 물론 유지 보수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은 스크류에 의해 이송 가능한 재료만을 속재료로 사용할 수 밖에 없음으로서, 단일품만 생산이 가능한 단점도 있다.
국내 특허 등록번호 10-0599007호, 이중면, 이중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압출 방식에 의해 속재료를 공급함에 의해 다양한 종류의 속재료를 공급할 수 있게 하여 다양한 품목을 생산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 단가가 저렴하며, 노즐 교환이 용이한 이중면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중면 제조장치로서, 겉재료의 내부 중앙에 속재료가 삽입되는 형태로 이중면을 성형할 수 있는 이중면 성형유닛; 상기 이중면 성형유닛의 상부 양측에서 2장의 겉재료를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된 겉재료 공급유닛; 및 상기 겉재료 공급유닛을 통해 공급되는 2장의 겉재료 사이로 속재료를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된 속재료 공급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이중면 성형유닛은: 서로 맞물려 회전하도록 2조 1쌍으로 이루어지는 성형롤러를 설치하되, 2조 1쌍으로 이루어지는 성형롤러의 외주면 둘레에는 각각 서로 대향하도록 성형홈부가 적어도 1개 이상으로 형성되어 인접하는 성형홈부가 서로 맞붙어서 이중면을 성형할 수 있도록 한 성형구멍; 및 상기 성형구멍에 인접하도록 성형롤러의 외주면 둘레에 형성되어 상기 성형구멍에 의해 형성되는 이중면의 외측부를 마감질하면서 절단할 수 있도록 한 절단돌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형홈부는: 반원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요입되게 형성되어, 서로 맞붙었을 때 성형구멍이 원형이 되게 하여 상기 성형구멍을 통과하는 이중면의 겉재료가 원형으로 형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속재료 공급유닛은: 속재료를 투입하기 위한 호퍼; 상기 호퍼의 하부에 연락되게 형성되어 상기 호퍼에 투입된 된 속재료를 성형구멍의 중심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성형구멍의 크기보다는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성형구멍에 대응하도록 적어도 1개 이상으로 형성되는 속재료 공급관; 및 상기 속재료 공급관을 통해 상기 호퍼에 투입되는 속재료를 압출시켜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호퍼의 내부를 가압할 수 있도록 공압실린더 혹은 유압실린더에 의해 작동되도록 설치된 압출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출판은: 상기 호퍼에 투입된 속재료가 상기 속재료 공급관을 통해 압출되도록 상기 호퍼의 내부 전체를 가압할 수 있도록 호퍼의 내부 크기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출판은: 상기 호퍼에 투입된 속재료가 상기 속재료 공급관을 통해 압출되도록 상기 호퍼의 내부를 가압할 수 있도록 설치되되, 상기 속재료 공급관의 내부를 출몰하면서 속재료를 밀어줄 수 있도록 상기 속재료 공급관에 대응하는 적어도 1개 이상으로 형성되는 압출핀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겉재료 공급유닛은: 2조 1쌍으로 이루어지는 성형롤러의 상부 양측에서 소정 두께를 갖는 평판 형태로 2장의 겉재료를 각각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된 상기 이중면 성형유닛의 상부 양측에 각각 설치된 양단에 단턱을 갖는 2조 1쌍의 반죽늘림롤러; 및 상기 반죽늘림롤러를 통과하면서 평판 형태로 공급되는 겉재료를 상기 성형구멍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설치된 가이드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면 제조장치에 의하면, 속재료와 겉재료가 섞이지 않도록 이중면을 형성함에 의해 섭취하는 사람에게 각 재료가 가지고 있던 본래의 맛, 향, 질감을 느낄 수 있게 한 이중면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속재료를 압출 방식으로 공급함으로서 압출 방식으로 공급할 수 없는 다양한 종류의 속재료를 선택할 수 있게 하여 다양한 품목을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첨가되는 속재료의 양과는 관계없이 면발의 표면을 형성하는 겉재료가 가지는 고유의 탄력성이 유지되므로, 다소 많은 양의 속재료가 첨가되더라도 뽑혀진 면발이 끊어질 염려가 없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면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면 제조장치에 구비되는 성형롤러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표시의 성형롤러를 인접하게 설치하여 성형구멍이 형성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면 제조장치에 구비되는 성형롤러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표시의 성형롤러를 인접하게 설치하여 성형구멍이 형성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2표시의 성형롤러와 도 4표시의 성형롤러를 인접하게 설치하여 성형구멍이 형성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면 제조장치에 구비되는 반죽늘림롤러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면 제조장치에 구비되는 속재료 공급유닛의 호퍼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8표시의 호퍼 내부를 가압할 수 있는 압출판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도 8표시의 호퍼 내부에 도 9표시의 압출판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면 제조장치에 의해 형성되는 이중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면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중면 제조장치는 이중면 성형유닛(110)과 겉재료 공급유닛(130) 및 속재료 공급유닛(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중면 성형유닛(110)은 겉재료(12)의 내부 중앙에 속재료(14)가 삽입되는 형태의 이중면(10)을 성형할 수 있도록 서로 맞물려 회전하는 2조 1쌍으로 이루어지는 성형롤러(112)를 설치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성형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 및 동력전달수단이 설치됨은 당연하다.
이러한 성형롤러에 대한 여러 예가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면 제조장치에 구비되는 성형롤러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표시의 성형롤러를 인접하게 설치하여 성형구멍이 형성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면 제조장치에 구비되는 성형롤러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표시의 성형롤러를 인접하게 설치하여 성형구멍이 형성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2표시의 성형롤러와 도 4표시의 성형롤러를 인접하게 설치하여 성형구멍이 형성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이중면 성형유닛(110)의 2조 1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성형롤러(112)는 그 외주면 둘레에 각각 서로 대향하도록 성형홈부(112a)가 적어도 1개 이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성형홈부(112a)가 서로 맞붙어서 성형구멍(h)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성형구멍(h)을 통해 이중면(10)을 성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성형홈부(112a)는 성형롤러의 외주면에 반원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요입되게 형성되어, 상기 성형구멍(h)을 통과하는 이중면의 겉재료가 원형으로 형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성형홈부의 형상은 반원형상 이외의 다른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성형구멍(h)에 인접하도록 성형롤러(112)의 외주면 둘레에 절단돌부(112b)가 형성되어 상기 성형구멍(h)에 의해 형성되는 이중면(10)의 외측부를 절단돌부(112b)로서 마감질하면서 절단할 수 있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겉재료 공급유닛(130)은 이중면 성형유닛(110)의 상부 양측에서 2장의 겉재료(12)를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겉재료 공급유닛(130)은 2조 1쌍으로 이루어지는 성형롤러(112)의 상부 양측에 2조 1쌍의 반죽늘림롤러(132)를 설치하여, 2조 1쌍의 반죽늘림롤러(132)에 의해 소정 두께를 갖는 평판 형태로 2장의 겉재료를 성형롤러의 상부 양측에서 각각 공급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반죽늘림롤러(132)에 대한 일예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면 제조장치에 구비되는 반죽늘림롤러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죽늘림롤러(132)의 양단에는 단턱(132a)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반죽늘림롤러(132)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 및 동력전달수단이 설치됨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반죽늘림롤러(132)를 통과하면서 평판 형태로 공급되는 겉재료(12)는 가이드부재(134)에 안내되어 상기 성형구멍(h)으로 안내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재(134)의 설치 여부는 상기 성형롤러와 반죽늘림롤러의 거리가 비교적 멀리 떨어져 있을 경우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성형롤러와 반죽늘림놀러의 거리가 짧게되면 상기 가이드부재의 설치를 생략하여도 상기 반죽늘림롤러를 통과한 반죽(겉재료)가 상기 성형롤러로 용이하게 공급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속재료 공급유닛(120)은 겉재료 공급유닛(130)을 통해 공급되는 2장의 겉재료(12) 사이로 속재료(14)를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속재료 공급유닛(120)에 대한 일예가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첨부된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면 제조장치에 구비되는 속재료 공급유닛의 호퍼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8표시의 호퍼 내부를 가압할 수 있는 압출판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도 8표시의 호퍼 내부에 도 9표시의 압출판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속재료 공급유닛(120)은 호퍼(122)와 속재료 공급관(124) 및 압출판(126)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호퍼(122)는 속재료를 투입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가 개방되는 함체형으로 이루어지되, 양측면이 상부에서 하부로 좁아지는 경사면을 이루게 형성되어 상기 호퍼(122)의 내부에 투입되는 속재료가 하부로 용이하게 이동되게 한다.
또한, 상기 속재료 공급관(124)은 호퍼(122)의 하부에 연락되게 형성되어 상기 호퍼(122)에 투입되어 하부로 이동되는 속재료(14)가 상기 성형구멍(h)의 중심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성형구멍(h)에 대응하도록 적어도 1개 이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속재료 공급관(124)은 상기 성형구멍(h)의 크기보다는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성형구멍(h)의 양측에서 겉재료(12)가 공급되고 그 안쪽으로 속재료(14)가 공급됨으로서 이중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출판(126)은 호퍼(122)에 투입되는 속재료(14)를 압출시켜 상기 속재료 공급관(124)을 통해 속재료(14)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호퍼(122)의 내부를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압출판(126)은 실린더(128)에 의해 작동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압출판(126)은 피스톤의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128)는 공압실린더 혹은 유압실린더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압출판(126)은 상기 호퍼(122)에 투입된 속재료(14)가 상기 속재료 공급관(124)을 통해 압출되도록 상기 호퍼(122)의 내부 전체를 가압할 수 있도록 호퍼(122)의 내부 크기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출판(126)은 호퍼(122)에 투입된 속재료(14)가 상기 속재료 공급관(124)을 통해 압출되도록 상기 호퍼(122)의 내부를 가압할 수 있도록 설치되되, 상기 속재료 공급관(124)의 내부를 출몰하면서 속재료(14)를 밀어줄 수 있도록 상기 속재료 공급관(124)에 대응하는 적어도 1개 이상으로 형성되는 압출핀(127)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중면을 형성하기 위한 성형구멍(h)을 형성하도록 서로 대향하는 성형롤러(112)를 형성한 2조 1쌍으로 이루어지는 성형롤러(112)의 상부 양측에서 반죽늘림롤러(132)에 의해 2장의 겉재료(12)를 공급하고, 2장의 겉재료 사이에 압출 방식에 의해 속재료(14)를 공급함으로서 겉재료(12)의 내부 중앙에 속재료(14)가 삽입되는 형태로 이중면(도 11참조)을 성형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은 압출 방식에 의해 속재료를 공급함으로서 기존 스크류 방식으로는 공급할 수 없는 다양한 종류의 속재료를 공급할 수 있음으로 다양한 품목의 이중면을 생산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달성되는 것이며,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110 - 이중면 성형유닛 112 - 성형롤러
112a - 성형홈부 112b - 절단돌부
120 - 속재료 공급유닛 122 - 호퍼
124 - 속재료 공급관 126 - 압출판
130 - 겉재료 공급유닛 132 - 반죽늘림롤러

Claims (6)

  1. 이중면 제조장치에 있어서,
    겉재료(12)의 내부 중앙에 속재료(14)가 삽입되는 형태로 이중면(10)을 성형할 수 있는 이중면 성형유닛(110);
    상기 이중면 성형유닛(110)의 상부 양측에서 2장의 겉재료(12)를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된 겉재료 공급유닛(130); 및
    상기 겉재료 공급유닛(130)을 통해 공급되는 2장의 겉재료(12) 사이로 속재료(14)를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된 속재료 공급유닛(120);을 포함하되,
    상기 이중면 성형유닛(110)은:
    서로 맞물려 회전하도록 2조 1쌍으로 이루어지는 성형롤러(112)를 설치하되,
    2조 1쌍으로 이루어지는 성형롤러(112)의 외주면 둘레에는 각각 서로 대향하도록 성형홈부(112a)가 적어도 1개 이상으로 반원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요입되게 형성되어 인접하는 성형홈부(112a)가 서로 맞붙어서 원형이 되게 하여 겉재료(12)가 원형으로 형성되게 이중면을 성형할 수 있도록 한 성형구멍(h); 및
    상기 성형구멍(h)에 인접하도록 성형롤러(112)의 외주면 둘레에 형성되어 상기 성형구멍(h)에 의해 형성되는 이중면의 외측부를 마감질하면서 절단할 수 있도록 한 절단돌부(112b)를 포함하며,
    상기 겉재료 공급유닛(130)은:
    2조 1쌍으로 이루어지는 성형롤러(112)의 상부 양측에서 소정 두께를 갖는 평판 형태로 2장의 겉재료(12)를 각각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이중면 성형유닛(110)의 상부 양측에 각각 설치된 양단에 단턱(132a)을 갖는 2조 1쌍의 반죽늘림롤러(132); 및
    상기 반죽늘림롤러(132)를 통과하면서 평판 형태로 공급되는 겉재료(12)를 상기 성형구멍(h)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설치된 가이드부재(134)를 포함하고,
    상기 속재료 공급유닛(120)은:
    속재료를 투입하기 위한 호퍼(122);
    상기 호퍼(122)의 하부에 연락되게 형성되어 상기 호퍼(122)에 투입된 된 속재료를 성형구멍(h)의 중심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성형구멍(h)의 크기보다는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성형구멍(h)에 대응하도록 적어도 1개 이상으로 형성되는 속재료 공급관(124); 및
    상기 호퍼(122)에 투입된 속재료가 상기 속재료 공급관(124)을 통해 압출되도록 상기 호퍼(122)의 내부 전체를 가압할 수 있도록 호퍼(122)의 내부 크기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공압실린더 혹은 유압실린더에 의해 작동되도록 설치된 압출판(12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면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판(126)은:
    상기 속재료 공급관(124)의 내부를 출몰하면서 속재료를 밀어줄 수 있도록 상기 속재료 공급관(124)에 대응하는 적어도 1개 이상으로 형성되는 압출핀(12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면 제조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00050464A 2020-04-27 2020-04-27 이중면 제조장치 KR1021944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0464A KR102194471B1 (ko) 2020-04-27 2020-04-27 이중면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0464A KR102194471B1 (ko) 2020-04-27 2020-04-27 이중면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4471B1 true KR102194471B1 (ko) 2020-12-23

Family

ID=74089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0464A KR102194471B1 (ko) 2020-04-27 2020-04-27 이중면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447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1345A (ko) * 1998-02-27 1999-09-27 최영춘 중공부를갖는국수제조장치및그중공국수
KR20020088159A (ko) * 2001-05-17 2002-11-27 김상현 속재료가 내장된 면과 그제조장치
KR200305846Y1 (ko) * 2002-11-22 2003-03-03 류원호 중공부를 갖는 면의 제조장치
KR20050092159A (ko) * 2004-03-15 2005-09-21 조중현 이중면, 이중면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1345A (ko) * 1998-02-27 1999-09-27 최영춘 중공부를갖는국수제조장치및그중공국수
KR20020088159A (ko) * 2001-05-17 2002-11-27 김상현 속재료가 내장된 면과 그제조장치
KR200305846Y1 (ko) * 2002-11-22 2003-03-03 류원호 중공부를 갖는 면의 제조장치
KR20050092159A (ko) * 2004-03-15 2005-09-21 조중현 이중면, 이중면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0599007B1 (ko) 2004-03-15 2006-07-12 조중현 이중면, 이중면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006896A (zh) 一种油条机的面粉混合装置
KR20090113943A (ko) 나선구조 국수 제조기
KR102194471B1 (ko) 이중면 제조장치
CN109006895A (zh) 一种油条机的仿生揉面装置
CN209862114U (zh) 一种用于制备高端食材家常营养面条的挤压设备
KR102194474B1 (ko) 이중면 제조장치
KR101695305B1 (ko) 면발 압축기의 중공면 성형용 분창장치
CN204090879U (zh) 一种面皮成型模头及面条机
CN104542783B (zh) 挤压式馒头成形机
CN204070311U (zh) 一种适用于双色面皮包馅类食品的挤出黏合模具
CN206561574U (zh) 硅胶注射机筒螺杆
KR101700268B1 (ko) 내·외장 벽돌 무늬 형성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무늬가 형성된 내·외장 벽돌 제조방법
KR101775785B1 (ko) 심재가 구비된 우동 면발 성형 장치
CN105961821B (zh) 大豆拉丝蛋白变压式膨化机
KR20020007795A (ko) 중공부를 갖는 면 및 그 제조장치
JP3189550U (ja) 製麺機用麺抽出機
CN108497014B (zh) 一种多成型口的面包成型机
KR200219424Y1 (ko) 다색 떡 성형장치
KR200305846Y1 (ko) 중공부를 갖는 면의 제조장치
CN204707859U (zh) 一种醒面熟化装置及应用该装置的全自动制面机
CN111449102A (zh) 可塑形食品成形机
WO2000042870A1 (fr) Dispositif de distribution de pate pour une extrudeuse
KR100404047B1 (ko) 꽈배기 자동 제조장치
CN203814477U (zh) 一种用于面条机的搅拌挤压装置
JPH0711598Y2 (ja) サンドイッチ状練り製品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