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4330B1 - 악력기 - Google Patents

악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4330B1
KR102194330B1 KR1020190060259A KR20190060259A KR102194330B1 KR 102194330 B1 KR102194330 B1 KR 102194330B1 KR 1020190060259 A KR1020190060259 A KR 1020190060259A KR 20190060259 A KR20190060259 A KR 20190060259A KR 102194330 B1 KR102194330 B1 KR 102194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force
spring
spring member
stopper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0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4603A (ko
Inventor
안태진
Original Assignee
안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태진 filed Critical 안태진
Priority to KR1020190060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4330B1/ko
Priority to US16/879,315 priority patent/US11052283B2/en
Priority to CN202010441565.9A priority patent/CN111973931B/zh
Publication of KR20200134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46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4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4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23Wound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Linearly-compressed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4Exercising devices moving as a whole during exercis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58Mechanical means for varying the resistance
    • A63B21/00069Setting or adjusting the resistance level; Compensating for a preload prior to use, e.g. changing length of resistance or adjusting a valv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58Mechanical means for varying the resistance
    • A63B21/00069Setting or adjusting the resistance level; Compensating for a preload prior to use, e.g. changing length of resistance or adjusting a valve
    • A63B21/00072Setting or adjusting the resistance level; Compensating for a preload prior to use, e.g. changing length of resistance or adjusting a valve by changing the length of a lev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4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attached to static foundation, e.g. a user
    • A63B21/0407Anchored at two end points, e.g. installed within an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4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attached to static foundation, e.g. a user
    • A63B21/0407Anchored at two end points, e.g. installed within an apparatus
    • A63B21/0421Anchored at two end points, e.g. installed within an apparatus the ends moving relatively by a pivoting arrang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5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h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08For a single arm or le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for hands or fing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Springs (AREA)
  • Manipulator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악력기에 관한 것으로서, 제1 및 제2 몸체의 상단 부분이 회전축에 의해 서로 축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호 접근 및 이격 동작이 가능한 제1 암 및 제2 암을 포함하는 작동암과, 상기 작동암의 상호 접근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악력기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 몸체의 전후면에 서로 대칭되게 설치된 한 쌍의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스프링 부재 각각은 압축 스프링과, 상기 압축 스프링을 사이에 개재하여 압축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및 제2 스프링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 부재의 제1 및 제2 스프링 지지부는 각각 제1 및 제2 암을 사이에 두고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동작하는 제1 및 제2 스프링 부재 결합축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몸체에는 상기 제1 및 제2 스프링 부재 결합축의 양단이 임의의 조절하고자 하는 위치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스프링 부재의 탄성력의 세기 조절을 수행할 수 있는 복수의 제1 및 제2 탄성력 조절홈을 포함하는 악력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악력기{HAND GRIP}
본 발명은 악력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두 작동암의 상호 접근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여 근력 향상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악력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악력기는 손이나 팔뚝의 근력을 단련하기 위해 이용하는 운동기구로서, 크기가 작아 취급 및 휴대가 간편하여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사용자가 악력기를 한쪽 손으로 잡고서, 한 쌍의 작동암을 상호 접근되도록 가압하고 힘을 제거하는 릴리즈 동작을 반복적으로 하게 되는데, 스프링이 제공하는 탄성력을 극복할 수 있는 힘을 반복적으로 가하는 동작에 의해 손이나 팔에 근력이 향상되도록 한다.
종래의 악력기의 일예로서, 한 쌍의 암과 좌우 암 각각에 양단이 고정되고 중심부가 코일형으로 감긴 스프링을 포함하는 형태가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공지의 악력기는 스프링에 의해 제공되는 탄성력의 세기가 일정하므로 악력기의 강도 즉, 스프링에 의해 제공되는 탄성력의 세기를 변경하는 것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악력기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에 의해 탄성력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악력기가 한국등록특허 제0760083호 등으로 공지되어 있다.
탄성력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악력기는 상단 부분이 회전축에 의해 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1 및 제2 암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작동암과, 제1 암 내측으로 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 가이드와 상기 제1 가이드에 대하여 길이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가이드를 포함하는 스프링 가이드, 상기 스프링 가이드의 제1 가이드 및 제2 가이드 사이에서 기재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2 가이드의 단부 위치가 상기 제2 암 내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형성됨에 따라 스프링의 위치가 변경되면서 탄성력의 세기가 조절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의 탄성력의 세기가 조절 가능한 악력기는 탄성력의 세기를 사용자가 자신의 근력에 맞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운동선수용 등으로 사용되는 고강도 악력기로 제작하는 데에는 일정한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단점 때문에 일반인들이 가벼운 운동용으로 사용하는 악력기는 탄성력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타입이 사용되고 있으나 운동선수용 고강도 악력기의 경우 여전히 중심부가 코일형으로 감긴 스프링을 포함하는 형태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고강도 악력기의 경우 탄성력의 세기를 조절할 수 없으므로 강도에 따라 별개의 악력기를 사용해야 하는 단점뿐만 아니라 스프링 와이어의 굵기가 증가함에 따라 좌우 작동암이 동일 평면상에 정렬되지 않고 어긋남에 따라 그립감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760083호(2007.09.12)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한 쌍의 작동암이 서로 나란한 상태에서 접근 및 이격하는 방식으로 운동이 이루어지면서도 사용자의 근력에 맞게 탄성력의 세기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악력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파지하는 그립부를 교체하거나 회전 가능하게 하여 사용 편의성을 개선시킬 수 있도록 한 악력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 몸체 및 제1 그립부를 포함하는 제1 암; 제2 몸체 및 제2 그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몸체의 상단 부분이 상기 제1 몸체의 상단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암; 상기 제1 및 제2 몸체의 전후면에 서로 대칭되게 설치된 한 쌍의 스프링 부재로서, 상기 스프링 부재 각각은 압축 스프링과, 상기 압축 스프링을 사이에 개재하여 압축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및 제2 스프링 지지부를 포함하는 한 쌍의 스프링 부재; 상기 제1 스프링 지지부들을 서로 연결하며 상기 제1 몸체에 의해 지지되는 제1 스프링 부재 결합축; 및 상기 제2 스프링 지지부들을 서로 연결하고 상기 제2 몸체에 의해 지지되는 제2 스프링 부재 결합축을 포함하는 악력기 있어서, 상기 제1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 각각에는, 상기 제1 스프링 부재 결합축 및 상기 제2 스프링 부재 결합축 각각이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스프링 부재들에 의해 제공되는 탄성력의 세기를 조절가능하게 하는 복수의 제1 탄성력 조절홈과 복수의 제2 탄성력 조절홈이 형성되되, 상기 제1 몸체에는 상기 제1 스프링 부재 결합축이 관통하여 지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내부 측면에 상기 제1 스프링 부재 결합축이 결합될 수 있는 복수의 제1 탄성력 조절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탄성력 조절홈은 상기 제1 탄성력 조절홈에 대향하는 상기 제2 몸체의 일측 외부 측면에 복수개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스프링 부재 결합축 및 상기 제2 스프링 부재 결합축이 상기 복수의 제1 탄성력 조절홈과 상기 복수의 제2 탄성력 조절홈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위치의 조합에 따라 탄성력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악력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제1 몸체의 상단 부분을 개재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2 몸체와 결합되며, 상기 제1 몸체와 회전축에 의해 결합되는 전후면 연결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몸체의 상부면에는 상기 전후면 연결판 사이에 힌지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으로 상기 제1 몸체의 상단 부분에 형성된 접촉부와 접촉하는 접촉면을 가지는 스톱퍼를 포함하되, 상기 스톱퍼의 하면에는 복수의 스톱퍼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스톱퍼 고정홈에 대응하는 제2 몸체의 상부에는 압축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스톱퍼 고정홈에 결합되는 지지구가 배치되며, 상기 접촉부는 상기 스톱퍼의 상기 접촉면이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복수의 홈을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는 하부로 연장된 판형의 결합부를 구비하되, 상기 결합부에는 너트가 장착되는 너트 장착홈이 표면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의 단부에는 상기 너트 장착홈과 연결된 절개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그립부 및 상기 제2 그립부는 상기 결합부가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중공의 결합홈을 구비하되, 상기 제1 및 상기 제2 그립부의 하단에는 상기 결합홈과 연결되고 상기 너트에 체결되는 볼트가 삽입되는 볼트체결홀이 형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악력기에 의하면, 스프링 부재의 위치에 따라 탄성력의 세기 조절을 할 수 있는 경우의 수가 다양해져 사용자의 근력에 맞게 악력기의 강도를 여러 단계로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그립부를 교체하거나 회전 가능하게 하여 그립 면을 선택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 편의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력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악력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력기의 스톱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력기의 스프링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력기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력기의 탄성력의 세기 조절을 위한 스톱퍼의 동작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악력기의 제1 및 제2 그립부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악력기의 스프링 부재의 위치에 따른 탄성력의 세기 조절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악력기는, 좌우측에 각각 구비된 제1 암(10)과 제2 암(20)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작동암과, 작동암들의 전후면에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며 서로 연결된 한 쌍의 스프링 부재(50a,50b)를 포함한다.
제1 암(10)과 제2 암(20)은 상단 부분이 회전축(35)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회전축(35)을 중심으로 서로 나란한 상태에서 접근 및 이격하는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암(10)은 하부 부분을 이루는 제1 그립부(12)와, 상부 부분을 이루는 제1 몸체(14)로 구분된다.
제1 그립부(12)는 길이방향으로 중심부에 결합홈(13)이 형성된 원통형의 봉으로 이루어진다. 결합홈(13)은 결합부(15)가 끼워져 고정되게 형성된다. 제1 그립부(12)는 금속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몸체(14)는 판형 부재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몸체(14)는 금속 소재로 이루어진 판재를 레이저 가공, 프레스 가공 등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제1 몸체(14)의 하단에는 상기 제1 그립부(12)의 결합홈(13)에 끼워져 고정되는 결합부(15)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몸체(14)는 일측 즉, 제2 몸체(24)를 향하여 굴곡지게 연장된 형상을 구비한다.
제1 몸체(14)의 상단 부분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된 회전축 결합홀(19)이 형성되며, 회전축 결합홀(19)에는 회전축(35)이 고정된다.
제1 몸체(14)의 상단 우측면에는 회전축 결합홀(19)을 중심으로 하는 호형의 슬라이드 면(16)이 형성된다. 슬라이드 면(16)의 상부에는 스톱퍼(40)와 접촉하는 복수의 홈으로 이루어진 접촉부(17)가 형성된다.
제1 몸체(14)는 전후면 스프링 부재(50a,50b) 사이에 배치되며, 좌측 부분 표면에는 관통홀(18)이 형성된다. 관통홀(18)을 통해, 전후면에 위치한 각 스프링 부재(50a,50b)의 제1 스프링 지지부(51a)들을 서로 연결하는 제1 스프링 부재 결합축(57)이 연장된다. 제1 스프링지지부(51a)들은 제1 몸체(14)를 사이에 개재한 상태로 제1 스프링 부재 결합축(57)에 의해 연결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관통홀(18)에는 복수의 제1 탄성력 조절홈(181)이 형성된다. 예컨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제1 탄성력 조절홈(181)은 3개의 제1 탄성력 조절홈(181a, 181b, 181c, 도 9 참조)을 포함한다. 그러나 제1 탄성력 조절홈(181)의 개수에 의해 본 발명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탄성력 조절홈(181)은, 제1 몸체(14)에 형성된 관통홀(18)의 내부 측면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반원형 단면 형상으로 복수개가 형성된다. 제1 탄성력 조절홈(181)은 형성되는 관통홀(18)의 내부 측면은 제2 탄성력 조절홈(27)에 대향하는 측면이다.
제2 암(20)은 하부 부분을 이루는 제2 그립부(22)와, 상부 부분을 이루는 제2 몸체(24)를 포함한다.
삭제
제2 몸체(24)는 제1 몸체(14)와 동일하게 판형 부재로 형성된다. 즉, 금속 소재로 이루어진 판재를 레이저 가공, 프레스 가공 등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제2 몸체(24)의 하단에는 상기 제2 그립부(22)의 결합홈(23)에 끼워져 고정되는 결합부(25)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몸체(24)는 제1 몸체(14)에 대응하여 상부로 연장된 형상을 구비한다.
제2 몸체(24)의 상단 좌측면에는 제1 몸체(14)의 슬라이드 면(16)과 미끄럼 회전 운동이 가능하게 맞물리는 대응하는 형상, 즉 오목한 호형 형상의 대응 슬라이드 면(26)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제1 암(10)과 제2 암(20)이 회전축(35)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동작을 할 때, 슬라이드 면(16) 및 대응 슬라이드 면(26) 사이의 미끄럼 운동이 함께 일어나 작용력이 분산된다. 따라서, 암들이 회전축(35)에 의해서만 지지되는 방식과 달리 고강도의 탄성력의 작용 시에도 파손될 우려가 없다.
삭제
제2 몸체(24)는 제2 몸체(24)의 전후면측에 각각 배치되는 전면 연결판(30a) 및 후면 연결판(30b)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전면 연결판(30a) 및 후면 연결판(30b)은 금속 소재로 이루어진 판재를 레이저 가공, 프레스 가공 등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전면 연결판(30a) 및 후면 연결판(30b)은 서로 대칭된 형태를 형성되어, 제2 몸체(24)에 고정될 수 있다.
전후면 연결판(30a, 30b)들은 제2 몸체(24)의 연결판 고정홀(28)을 관통하여 전면 및 후면 연결판(30a,30b)을 서로 결속하는 고정부재(34)에 의해 제2 몸체(24)와 함께 고정된다. 전후면 연결판(30a,30b)에는 고정부재(34)의 체결을 위해 연결판 고정홀(28)에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홀(32)들이 형성되어 있다.
전후면 연결판(30a, 30b)들은 제2 몸체(24)의 연결판 고정홀(28)을 관통하여 전면 및 후면 연결판(30a,30b)을 서로 결속하는 고정부재(34)에 의해 제2 몸체(24)와 함께 고정되며, 고정부재(34)의 체결을 위해 연결판 고정홀(28)에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홀(32)들이 형성되어 있다.
삭제
삭제
전후면 연결판(30a,30b)은 상단이 제1 몸체(14)를 향해 좌측으로 연장되어 제1 몸체(14)의 상단을 사이에 개재할 수 있다. 전후면 연결판(30a,30b)에는 제1 몸체(14)의 회전축 결합홀(19)에 대응하여 대응 회전축 결합홀(31)이 형성되고, 회전축 결합홀(19) 및 대응 회전축 결합홀들(31)이 일치된 상태로 체결되는 회전축(35)에 의해 제1몸체(14)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로 인해 제1 몸체(14)와 제2 몸체(24)는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제2 몸체(24)는, 제1몸체(14)와 마주보는 외부 좌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반원형 단면 형상의 복수의 제2탄성력 조절홈(27)이 형성된다. 제2탄성력 조절홈(27)은 제2몸체(24)에서, 제1 몸체(14)와 대향하는 측면에, 제1탄성력 조절홈(181)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1몸체(14), 제2몸체(24) 및 전후면 연결판(30a,30b)은 금속 소재로 이루어진 판재를 레이저 가공, 프레스 가공 등을 통해 커팅하여 제조된 판형 부재로 형성되어 서로 결합된다. 따라서 금형 제작이 불필요하여 생산 단가를 낮출 수 있고 제작이 용이하다.
또한, 스프링 부재와 직접 접촉하는 부분들을 금속 소재로 제작 가능하므로 고강도 악력기에서 요구되는 지지력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조가 용이하면서도 스프링 부재(50a, 50b)가 제공되는 탄성력에 의해 제1 및 제2암(10,2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몸체(24)의 상부면에는 스톱퍼(40)가 배치된다. 스톱퍼(40)는 전면 연결판(30a)과 후면 연결판(30b) 사이에 개재되고 힌지축(38)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해 전면 및 후면 연결판(30a, 30b) 및 스톱퍼(40)에는 힌지축(38)의 삽입 결합을 위한 힌지홀(37, 42)이 형성되어 있다.
스톱퍼(40)의 좌측단에는 제1 몸체(14)를 향해 돌출된 접촉면(41)이 형성되고, 스톱퍼(40)의 우측단으로 조절편(44)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스톱퍼(40)의 접촉면(41)은 제1몸체(14)의 상단 우측면에 형성된 접촉부(17)와 접촉할 수 있다. 여기서, 접촉부(17)는 스톱퍼(40)의 돌출된 접촉면(41)이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복수의 홈을 구비할 수 있다. 조절편(44)은 스톱퍼(40)를 힌지축(38)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때 사용한다.
스톱퍼(40)의 하부에는 복수의 스톱퍼 고정홈(43)이 형성된다. 스톱퍼 고정홈(43)의 대응하는 위치의 제2 몸체(24)의 상부에는 스프링홈(47)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홈(47)에는 압축 스프링(45)과 지지구(46)가 설치된다. 지지구(46)는 압축 스프링(45)의 탄성력에 의해 스톱퍼 고정홈(43)에 접촉된다. 따라서, 지지구(46)가 제2 몸체(24) 위로 돌출되어 스톱퍼(40)의 스톱퍼 고정홈(43)에 고정되면서 스톱퍼(40)를 선택된 위치에서 지지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스톱퍼(40)는 제2 암(20)에 대한 제1 암(10)의 벌어짐 즉, 제1 및 제2 암(10,20)에 힘을 가하지 않는 릴리즈 상태에서의 제1 암(10)과 제2 암(20)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사용자가 힘을 가하여 제1 및 제2 암(10,20)을 접근시킨 후 힘을 제거하면 제1 및 제2암(10, 20)은 스프링 부재(50a, 50b)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축(35)을 중심으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는데, 일정 범위 이상 벌어지면 제1 암(10)의 접촉부(17)와 스톱퍼(40)의 접촉면(41)이 접촉하게 되므로, 제2 암(20)에 대한 제1암(10)의 회전이 제한되는 것이다. 즉, 제1암(10)과 제2암(20)은 제1암(10)의 접촉부(17)가 스톱퍼(40)의 접촉면(41)이 접촉하는 위치까지만 서로에 대해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의 스톱퍼(40)의 위치가 회전 제한 위치가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스톱퍼(40)는 하부면에 형성된 스톱퍼 고정홈(43)과 압축 스프링(45)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구(46)의 결합에 의해 회전 제한 위치 내에서 복수의 고정 위치를 가지고, 해당 고정 위치에서 스톱퍼(40)의 접촉면(41)은 접촉부(17)의 복수의 홈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스톱퍼(40)는 제1 암(10)과 제2 암(20)의 벌어짐의 정도 즉, 릴리즈 상태에서 제1 암(10)과 제2 암(20)의 간격, 즉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사용자가 힘을 가하여 제1 및 제2암(10,20)을 접근시킨 후(도 6 참조), 스톱퍼(40)의 조절편(44)을 눌러, 스톱퍼(40)의 접촉면(41)이 회전을 제한할 수 있는 회전 제한 위치를 벗어나 접촉부(17)와 접촉하지 위치까지 힌지축(38)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스톱퍼(40)의 좌측단에 위치한 접촉면(41)이 원래의 위치를 벗어나 제1 암(10)의 움직임을 일정 범위 내로 제한하지 않으므로 제1 및 제2 암(10, 20)은 스프링 부재(50a, 50b)에 의한 탄성력이 작용하지 않는 위치까지 이격되도록 서로에 대해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의 스톱퍼(40)의 위치가 조절 위치가 된다. 조절 위치에서 스프링 부재(50a,50b)는 무부하 상태가 되므로, 스프링 부재(50a, 50b)의 위치를 움직여 탄성력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탄성력의 세기 조절이 완료되면 제1 및 제2암(10, 20)을 오므린 상태에서 스톱퍼(40)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킨다.
탄성력의 세기 조절이 완료되면 제1 및 제2 암(10, 20)을 오므린 상태에서 스톱퍼(40)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스톱퍼는 벌어짐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회전 제한 위치와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 위치 사이에 회전할 수 있다, 또한 회전 제한 위치 내에서 복수의 고정 위치를 가져 제1 및 제2 암의 릴리즈 상태에서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스프링 부재(50a, 50b)의 탄성력의 세기를 조절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암(10)과 제2 암(20)의 제1 몸체(14)와 제2 몸체(24)의 전후면에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며 서로 연결된 한 쌍의 스프링 부재(50a, 50b)를 포함한다.
각각의 스프링 부재(50a, 50b)는 압축 스프링(59)과, 압축 스프링(59)을 사이에 개재하여 압축 가능하게 지지하며 양단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 스프링 지지부(51a,51b)를 포함한다.
각각의 제1 및 제2 스프링 지지부(51a,51b)는 압축 스프링(59)의 단부가 접촉 지지되는 접촉지지부(52)와, 압축 스프링(59)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53)를 포함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53)에는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홈(54)이 형성되어 가이드봉(55)이 상기 가이드홈(54)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삽입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스프링 지지부(51a,51b)들 사이에서 압축 스프링(59)의 길이 방향 압축 및 릴리즈 동작이 안내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가이드봉(55)이 별도로 형성되어 양단이 양측 가이드홈(54)에 삽입되는 형태를 도시하고 있으나, 가이드봉(55)이 일측 가이드(53)와 일체로 결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한 쌍의 스프링 부재(50a, 50b)는 제1 스프링 부재 결합축(57) 및 제2 스프링 부재 결합축(58)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동작한다. 스프링 부재(50a, 50b)들의 제1 및 제2스프링 지지부(51a,51b)들 각각에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홀(56a,56b)이 형성되어, 제1 및 제2 스프링 부재 결합축(57, 58)이 결합된다.
삭제
제1 스프링 지지부(51a)들의 결합을 살펴보면, 제1 스프링 지지부(51a)들이 제1 암(10)의 제1 몸체(14)의 전후면에 각각 배치된 상태에서, 제1 스프링 부재 결합축(57)이 제1 몸체(14)의 관통홀(18)과 제1 스프링 지지부(51a)들의 관통홀(56a)을 관통하여 삽입 고정된다. 제1 스프링 부재 결합축(57)은 관통홀(18)에 형성된 복수의 제1 탄성력 조절홈(181)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스프링 지지부(51b) 역시 관통홀(56b)을 통해 삽입되는 제2 스프링 부재 결합축(58)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제2 스프링 지지부(51b)들은 제2 몸체(24)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며, 제2 스프링 부재 결합축(58)이 제2 탄성력 조절홈(27)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악력기의 탄성력 조절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사용자가 악력기의 암에 힘을 가하지 않은 릴리즈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스톱퍼(40)는 접촉면(41)이 제1 암(10)의 접촉부(17)와 접촉할 수 있는 회전 제한 위치에 위치하여, 제1 암(10)과 제2 암(20)의 이격 정도를 규제하고 있다. 스톱퍼(40)의 접촉면(41)이 접촉부(17)의 복수의 홈 중 어느 홈에 접촉하는 지 여부에 따라 이격 거리가 결정된다.
도 6은 사용자가 악력기의 암에 힘을 가하여 제1 및 제2 암(10, 20)을 최대로 접근시킨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5와 대비하여 보면, 스톱퍼(40)가 힌지축(38) 중심으로 회전하여 위치가 조절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6 의 상태에서, 탄성력의 세기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먼저 스톱퍼(40)의 조절편(44)을 눌러 스톱퍼(40)를 힌지축(38)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를 통해 스톱퍼(40)의 접촉면(41)이 제1 몸체(14)의 접촉부(17)와 접촉하지 않는 위치로 스톱퍼(4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조절 위치 상태에서는 스톱퍼(40)의 좌측단 접촉면(41)이 제1 몸체(14)의 접촉부(17)와 접촉하는 위치를 벗어나므로 제1 암(10)이 제2 암(20)에 대하여 탄성력이 걸리지 않는 위치까지 회전하는 것이 허용된다. 스프링 부재(50a,50b)가 탄성력이 작용하지 않은 무부하 상태가 되어 제1 및 제2 스프링 부재 결합축(57,58)이 제1 및 제2 탄성력 조절홈(18,27)으로부터 자유롭게 이탈하게 되므로, 좌우측 스프링 부재 결합축(57,58)을 대응하는 제1 및 제2 탄성력 조절홈(18,27)의 임의의 조절하고자 하는 위치에 걸리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관통홀(18)이 스프링 부재(50a,50b)가 완전히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므로 용이하게 위치 조절이 가능하다.
제1 및 제2 스프링 부재 결합축(57,58)을 대응하는 제1 및 제2 탄성력 조절홈(18,27)들 중 어느 하나의 조절하고자 하는 위치로 각각 이동시킨 후, 제1 및 제2 암(10, 20)을 오므리고 스톱퍼(40)를 회전 제한 위치로 다시 원 위치시키는 것으로 탄성력 조절이 완료된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악력기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악력기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구성부호를 사용하며 반복적인 구성을 피하기 위하여 이들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악력기는 일 실시예와 대비하여 제1 및 제2 몸체(14, 24)와 제1 및 제2 그립부(12, 22)의 결합 구조가 상이하다.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악력기의 제1 및 제2그립부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악력기의 제1 및 제2그립부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및 제2 몸체(14,24)의 하부로 구비되는 결합부(15,25)의 단부에는 너트(61)가 장착되는 너트 장착홈(15a,25a)이 형성된다. 결합부(15, 25)는 제1 및 제2 몸체(14, 24)의 일부로 판형의 형태로 형성된다. 너트 장착홈(15a, 25a)은 판형으로 형성된 결합부(15, 25)의 표면을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고, 결합부(15, 25)의 단부에는 길이방향으로 너트 장착홈(15a, 25a)과 교차하여 연장되는 절개홈(15b, 25b)이 형성된다. 절개홈(15b, 25b)은 결합부(15, 25)의 단부의 벌어짐을 허용함으로 너트(61)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며, 볼트(62)가 너트(61)에 체결되는 것을 허용한다.
제1 및 제2 그립부(12,22)는 실린더 형상의 중공의 결합홈(13, 23)을 구비하고, 제1 및 제2그립부(12,22)의 하단에는 볼트(62)가 체결되는 중공의 볼트체결홀(12a,22a)이 형성되어 결합홈(13, 23)과 연결된다. 결합홈(13, 23)은 결합부(15, 25)가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므로 제1 및 제2 그립부(12,22)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볼트(62)는 둥근머리볼트가 사용될 수 있으며, 볼트머리가 볼트체결홀(12a,22a)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제1 및 제2그립부(12,22)를 결합부(15,25)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제1 및 제2그립부(12,22)의 그립면에는 운동시 손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돌기부가 형성되는 데, 이러한 돌기부는 파지한 손에 통증을 유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제1 및 제2그립부(12,22)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고, 또한 제1 및 제2그립부(12,22)를 회전 가능하게 하여 그립 면을 선택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손의 통증의 유발을 억제하여 사용 편의성을 개선하였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악력기에서 스프링 부재(50a, 50b)의 위치 변화에 따른 탄성력의 세기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악력기는 제1 및 제2탄성력 조절홈(181,27)의 개수만큼 탄성력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스프링 부재 결합축(57,58) 각각이 대응하는 제1 및 제2탄성력 조절홈들(181a, 181b, 181c, 27a, 27b, 27c, 27d, 27e, 27f)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할 때 스프링 부재(50a, 50b)에 의한 탄성력 작동선(L1 ~ L18)이 형성된다.
도 9 내지 도 10은 제1 스프링 부재 결합축(57)이 제1 탄성력 조절홈(181b, 181c, 181a)에 각각 위치한 경우에서, 제2 스프링 부재 결합축(58)이 제2 탄성력 조절홈(27a, 27b, 27c, 27d, 27e, 27f)에 각각 위치한 경우를 대비하여 보여주고 있다. 각각의 작동선에는 제1 및 제2 스프링 부재 결합축(57, 58)의 위치 변화에 따른 스프링 부재(50a, 50b)의 길이변화를 예시적으로 보여주기 위하여 길이(예컨대, 61,99는 61.99mm 의미함)가 표시되어 있다. 탄성력 작동선이 변경됨에 따라 회전축(35)과의 거리가 변경되고 탄성력의 세기 역시 변경된다.
도 9 내지 도 10으로부터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악력기는 제1 스프링 부재 결합축(57)과 제2 스프링 부재 결합축(58) 각각이 복수의 제1 탄성력 조절홈(181) 및 복수의 제2 탄성력 조절홈(27)에 선택적으로 결합하게 있게 됨에 따라 다양한 탄성력 세기 조절 단계를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도 9 내지 도 10 에 도시된 실시예는 3개의 제1 탄성력 조절홈(181)과 6개의 제2 탄성력 조절홈(27)을 구비함으로, 18단계로 탄성력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탄성력 세기 조절 단계는, 제1 및 제2탄성력 조절홈(18,27)의 개수에 따라 증감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악력기는 한 쌍의 스프링 부재(50a, 50b)에서는 일체로 동작하도록 지지하는 제1 및 제2 스프링 부재 결합축(57, 58)이 복수의 제1 및 제2탄성력 조절홈(181,27)에 삽입되는 위치의 조합 조건에 따라 다양한 경우의 수가 존재하므로 사용자의 근력에 맞게 악력기의 강도를 여러 단계로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제1 및 제2 암(10,20)의 전후면으로 한 쌍의 스프링 부재(50a, 50b)를 구비하므로 탄성력의 세기를 크게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탄성력의 세기 강도가 조절가능하게 된다. 악력에서 스프링에 의해 제공되는 탄성력은 스프링을 이루는 스프링 와이어의 굵기, 감긴 직경 및 길이에 의해 좌우되는 데 스프링 부재(50a, 50b)가 제1 암 및 제2 암의 외측에로 위치하여 다른 구성과의 간섭이 없으므로 스프링 와이어의 굵기 및 감긴 직경, 길이 등을 설계 강도에 따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제1 및 제2 그립부(12,22)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고, 제1 및 제2 그립부(12,22)를 회전 가능하게 하여 그립 면을 선택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 편의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제1 암 12 : 제1 그립부
13 : 결합홈 14 : 제1 몸체
17 : 접촉부 18 : 제1 탄성력 조절홈
19 : 회전축 결합홀 20 : 제2 암
22 : 제2 그립부 23 : 결합홈
24 : 제2 몸체 27 : 제2 탄성력 조절홈
28 : 연결판 고정홀 30a : 전면 연결판
30b : 후면 연결판 31 : 대응 회전축 결합홀
32 : 고정홀 34 : 고정부재
35 : 회전축 37 : 힌지홀
38 : 힌지축 40 : 스톱퍼
50a,50b : 스프링 부재 51a : 제1 스프링 지지부
51b : 제2 스프링 지지부 57 : 제1 스프링 부재 결합축
58 : 제2 스프링 부재 결합축 59 : 압축 스프링

Claims (6)

  1. 제1 몸체 및 제1 그립부를 포함하는 제1 암; 제2 몸체 및 제2 그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몸체의 상단 부분이 상기 제1 몸체의 상단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암; 상기 제1 및 제2 몸체의 전후면에 서로 대칭되게 설치된 한 쌍의 스프링 부재로서, 상기 스프링 부재 각각은 압축 스프링과, 상기 압축 스프링을 사이에 개재하여 압축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및 제2 스프링 지지부를 포함하는 한 쌍의 스프링 부재; 상기 제1 스프링 지지부들을 서로 연결하며 상기 제1 몸체에 의해 지지되는 제1 스프링 부재 결합축; 및 상기 제2 스프링 지지부들을 서로 연결하고 상기 제2 몸체에 의해 지지되는 제2 스프링 부재 결합축을 포함하는 악력기 있어서,
    상기 제1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 각각에는, 상기 제1 스프링 부재 결합축 및 상기 제2 스프링 부재 결합축 각각이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스프링 부재들에 의해 제공되는 탄성력의 세기를 조절가능하게 하는 복수의 제1 탄성력 조절홈과 복수의 제2 탄성력 조절홈이 형성되되,
    상기 제1 몸체에는 상기 제1 스프링 부재 결합축이 관통하여 지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내부 측면에 상기 제1 스프링 부재 결합축이 결합될 수 있는 복수의 제1 탄성력 조절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탄성력 조절홈은 상기 제1 탄성력 조절홈에 대향하는 상기 제2 몸체의 일측 외부 측면에 복수개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스프링 부재 결합축 및 상기 제2 스프링 부재 결합축이 상기 복수의 제1 탄성력 조절홈과 상기 복수의 제2 탄성력 조절홈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위치의 조합에 따라 탄성력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력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제1 몸체의 상단 부분을 개재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2 몸체와 결합되며, 상기 제1 몸체와 회전축에 의해 결합되는 전후면 연결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몸체의 상부면에는 상기 전후면 연결판 사이에 힌지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으로 상기 제1 몸체의 상단 부분에 형성된 접촉부와 접촉하는 접촉면을 가지는 스톱퍼를 포함하되,
    상기 스톱퍼의 하면에는 복수의 스톱퍼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스톱퍼 고정홈에 대응하는 제2 몸체의 상부에는 압축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스톱퍼 고정홈에 결합되는 지지구가 배치되며,
    상기 접촉부는 상기 스톱퍼의 상기 접촉면이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복수의 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력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는 하부로 연장된 판형의 결합부를 구비하되, 상기 결합부에는 너트가 장착되는 너트 장착홈이 표면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의 단부에는 상기 너트 장착홈과 연결된 절개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그립부 및 상기 제2 그립부는 상기 결합부가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중공의 결합홈을 구비하되, 상기 제1 및 상기 제2 그립부의 하단에는 상기 결합홈과 연결되고 상기 너트에 체결되는 볼트가 삽입되는 볼트체결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력기.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90060259A 2019-05-22 2019-05-22 악력기 KR102194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259A KR102194330B1 (ko) 2019-05-22 2019-05-22 악력기
US16/879,315 US11052283B2 (en) 2019-05-22 2020-05-20 Hand grip
CN202010441565.9A CN111973931B (zh) 2019-05-22 2020-05-22 握力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259A KR102194330B1 (ko) 2019-05-22 2019-05-22 악력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4603A KR20200134603A (ko) 2020-12-02
KR102194330B1 true KR102194330B1 (ko) 2020-12-22

Family

ID=73441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0259A KR102194330B1 (ko) 2019-05-22 2019-05-22 악력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052283B2 (ko)
KR (1) KR102194330B1 (ko)
CN (1) CN11197393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4066A (ko) 2021-06-30 2023-01-06 찹스존 주식회사 신속 운동부하 위치 변경 및 악력측정이 가능한 악력 운동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54291B2 (en) * 2015-12-03 2023-01-17 HCD Agency LLC Hinged arm muscle exercise device
USD966444S1 (en) 2020-09-04 2022-10-11 Everlast Worldwide, Inc. Hand grip exerciser
US11400341B2 (en) * 2020-09-04 2022-08-02 Everlast Worldwide, Inc. Hand grip exerciser
USD967913S1 (en) * 2021-04-28 2022-10-25 Cui Shang Exercise device
WO2023018818A1 (en) * 2021-08-13 2023-02-16 The Curators Of The University Of Missouri Variable resistance device
US20230233904A1 (en) * 2022-01-25 2023-07-27 Chia Lin Sport Co.,Ltd. Grip Exercis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5679B1 (ko) * 2012-12-24 2014-02-04 안태진 악력기
CN207253661U (zh) * 2017-09-11 2018-04-20 徐婷 一种握力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3581B1 (ko) * 2005-07-07 2007-01-24 안태진 완력기
KR100760083B1 (ko) * 2006-11-01 2007-09-18 안태진 악력기
KR20100013805A (ko) * 2008-08-01 2010-02-10 김수열 줄넘기 줄의 회전이 자유로운 줄넘기
US7824311B1 (en) * 2010-02-09 2010-11-02 Kuang-Chien Hsu Exercising handgrip having adjustable damping force
CN204017287U (zh) * 2014-07-09 2014-12-17 南通豪恺体育用品有限公司 可调节握力的握力器
US10981027B2 (en) * 2018-05-29 2021-04-20 Yunga Tart Llc Hand exerciser
KR102194331B1 (ko) * 2019-05-31 2020-12-22 안태진 완력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5679B1 (ko) * 2012-12-24 2014-02-04 안태진 악력기
CN207253661U (zh) * 2017-09-11 2018-04-20 徐婷 一种握力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4066A (ko) 2021-06-30 2023-01-06 찹스존 주식회사 신속 운동부하 위치 변경 및 악력측정이 가능한 악력 운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052283B2 (en) 2021-07-06
US20200368577A1 (en) 2020-11-26
KR20200134603A (ko) 2020-12-02
CN111973931B (zh) 2021-08-24
CN111973931A (zh) 2020-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4330B1 (ko) 악력기
KR101355679B1 (ko) 악력기
US8133158B2 (en) Handgrip
US10881903B2 (en) Hand grip
JP6802788B2 (ja) 把持機構および把持具
US20080103026A1 (en) Hand Gripper
JP2003526530A (ja) 部品移動用マニピュレータ装置
TW201628794A (zh) 擠壓鉗
CN105856196A (zh) 一种膝关节外骨骼助力装置
GB2478064A (en) Locking pliers comprising a locking mechanism with two adjustment mechanisms
US20200173216A1 (en) Hinge with opening device for pieces of furniture
KR20200101572A (ko) 착용식 근력 보조 장치
JP6748729B2 (ja) 揺動機構および把持具
KR100673581B1 (ko) 완력기
US11771952B2 (en) Chest expander
KR102256111B1 (ko) 악력기
KR101795936B1 (ko) 악력기
US9048605B2 (en) Hand operated crimping tool
KR20200018173A (ko) 개고리
TWM330845U (en) Adjustable grip device
US9751224B2 (en) Forceps
KR200490128Y1 (ko) 완력기
KR20230159942A (ko) 완력기
EP4273360A1 (en) Pivot hinge and pivotal door leaf
JP2916367B2 (ja) まつ毛カーラーにおける操作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