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4198B1 - 원격으로 제어가능한 전자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원격으로 제어가능한 전자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4198B1
KR102194198B1 KR1020140061784A KR20140061784A KR102194198B1 KR 102194198 B1 KR102194198 B1 KR 102194198B1 KR 1020140061784 A KR1020140061784 A KR 1020140061784A KR 20140061784 A KR20140061784 A KR 20140061784A KR 102194198 B1 KR102194198 B1 KR 102194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saving state
power saving
communication interface
ex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1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1754A (ko
Inventor
박준석
박경도
이하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4/337,848 priority Critical patent/US9497030B2/en
Priority to PCT/KR2014/006649 priority patent/WO2015012567A1/en
Publication of KR20150011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17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4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41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75Indicating network or usage conditions on the user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5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ine communication networks, e.g. low power modes or reduced link r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Sourc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본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를 절전 상태로 전환하는 제어부, 및, 전자 장치가 절전 상태로 전환되면, 외부 컴퓨팅 장치와 네트워크 세션을 확립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고,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전자 장치가 절전 상태인 상태에서 외부 컴퓨팅 장치와 네트워크 세션을 유지하고, 유지된 네트워크 세션을 통하여 절전 상태를 벗어나도록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면, 전자 장치를 비절전 상태로 전환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원격으로 제어가능한 전자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시스템{REMOTELY CONTROLLABLE ELECTRONIC DEVICE,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개시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원격으로 제어 가능한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전자 장치는 전력 소비를 줄이기 위하여,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는 절전 상태로 전환한다. 절전 상태로 진입한 전자 장치는 사용자가 해당 전자 장치에 전원 버튼을 눌러 웨이크-업해야 하는데, 최근의 전자 장치는 WoL(Wake on Lan)를 지원하여, 원격으로 절전 상태의 전자 장치를 깨울 수 있게 되었다.
여기서 WoL은 장치가 절전 상태로 동작하는 경우에도 특정 패킷(packet)을 수신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 어댑터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여, 절전 상태 중에 매직 패킷이라는 특정 패킷을 받게 되면, 장치를 웨이크-업 시켜 주어, 절전 또는 꺼져 있는 장치를 원격으로 깨우는 방법이다.
그러나 WoL 방법은 동일한 서브넷(Subnet) 또는 랜(lan), 즉 동일 공유기 내에 있는 장치만 깨울 수 있다는 범위의 제약이 있었다. 예를 들어, 회사에서 집에 있는 장치를 깨우고자 하는 경우, 회사와 집은 보통 동일 서브넷(Subnet)이 아니므로 WoL을 이용하여 집에 있는 장치를 깨울 수 없었다. 또한, 공유기를 사용하여 외부 망과 통신을 하는 집안 내부의 장치들은 사설 IP 주소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사설 IP 주소를 사용하는 장치들에게 웨이크-업 패킷을 전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VPN을 설치하거나, 공유기, 라우터에 특정 외부 IP 주소 및 포트를 허용하도록 설정하거나 포트 포워드 방식 등이 제안되고 있으나, 일반 사용자들이 이러한 네트워크 구성을 설정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며, VPN 설치에 비용이 비싸며, VPN 포트가 오픈되는 경우 보안이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개시는 전자 장치와 외부 컴퓨팅 장치 사이에 공유기, 라우터, 방화벽 등이 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손쉽게 외부 컴퓨팅 장치가 전자 장치를 웨이크-업할 수 있는 원격으로 제어가능한 전자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컴퓨팅 장치와 연결되는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를 절전 상태로 전환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전자 장치가 절전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외부 컴퓨팅 장치와 네트워크 세션을 확립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전자 장치가 절전 상태인 상태에서 상기 외부 컴퓨팅 장치와 네트워크 세션을 유지하고, 상기 유지된 네트워크 세션을 통하여 절전 상태를 벗어나도록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전자 장치를 비절전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네트워크 세션은 SSL(Secure Sockets Layer) 연결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공유기(Wireless router/switch), 라우터(router) 및 방화벽(firewall)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상기 외부 컴퓨팅 장치와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외부 컴퓨팅 장치에 주기적으로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외부 컴퓨팅 장치에 보낸 후에, 상기 외부 컴퓨팅 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전자 장치가 절전 상태인 경우에도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전자 장치는, 컨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외부 모바일 장치에 상기 저장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외부 모바일 장치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외부 컴퓨팅 장치로부터 상기 외부 컴퓨팅 장치의 IP 주소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부 컴퓨팅 장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서버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자 장치는, 데스크탑 컴퓨터, 랩탑 컴퓨터, 모바일 컴퓨팅 장치, 스마트폰, 피처폰, 태블릿 컴퓨터, 셋탑 박스(set top box) 및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자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 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및, 상기 하우징의 상기 일면에 상기 디스플레이에 인접하여 배치된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정자 장치는, 프로세서, 및,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제1 전자 장치로부터 주기적으로 신호가 수신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신호는 상기 통신 프로토콜에 맞추게 구성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제1 전자 장치로부터 주기적으로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주기적으로 수신된 신호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상기 주기적 신호의 부재에 적어도 기초하여,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절전 상태 또는 비절전 상태임을 판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제2 전자 장치(100-2)로 상기 컴퓨팅 전자 장치와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연결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 및 상기 연결된 제1 전자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전자 장치(100-2)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절전 상태를 벗어나도록 하는 제1 요청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요청 신호를 수신한 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제1 전자 장치로,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절전 상태를 벗어나도록 하는 제2 요청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공유기(wireless router/switch), 라우터(router) 및 방화벽(firewall)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상기 제1 전자 장치와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 1 외부 전자 장치 또는 절전 상태의 제 2 외부 전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 통신 인터페이스,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제 1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 1 외부 전자 장치 및 절전 상태의 상기 제 2 외부 전자 장치 간의 연결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제 2 외부 전자 장치가 절전 상태를 벗어나도록 하기 위한 신호 를 상기 제 1 외부 전자 장치에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신호를 송신한 후에, 상기 제 2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전자 장치는, 컨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는 제 2 외부 전자 장치에 상기 저장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제 2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자 장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 영역에 홈 버튼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공유기(Wireless router/switch), 라우터(router) 및 방화벽(firewall)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상기 제 2 전자 장치와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동 제어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를 절전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전자 장치가 절전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외부 컴퓨팅 장치와 네트워크 세션을 확립하는 단계, 상기 전자 장치가 절전 상태인 상태에서 상기 외부 컴퓨팅 장치와 네트워크 세션을 유지하는 단계, 및 상기 유지된 네트워크 세션을 통하여 절전 상태를 벗어나도록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전자 장치를 비절전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네트워크 세션을 유지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컴퓨팅 장치에 주기적으로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전자 장치의 구동 제어 방법은, 제1 전자 장치로부터 주기적으로 신호가 수신되는 단계, 및, 상기 주기적으로 수신된 신호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상기 주기적 신호의 부재에 적어도 기초하여,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절전 상태 또는 비절전 상태임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구동 제어 방법은, 제2 전자 장치(100-2)로 상기 컴퓨팅 전자 장치와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연결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 및 상기 연결된 제1 전자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구동 제어 방법은, 상기 제2 전자 장치(100-2)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절전 상태를 벗어나도록 하는 제1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구동 제어 방법은, 상기 제1 요청 신호를 수신한 후에, 상기 제1 전자 장치로,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절전 상태를 벗어나도록 하는 제2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외부 컴퓨팅 장치, 절전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외부 컴퓨팅 장치와 네트워크 세션을 확립하며, 절전 상태에서 상기 외부 컴퓨팅 장치와 네트워크 세션을 유지하는 제1 전자 장치, 및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절전 상태를 벗어나도록 요청하는 제1 요청 신호를 상기 외부 컴퓨팅 장치에 전송하는 제2 전자 장치(100-2)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컴퓨팅 장치는, 상기 제1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유지된 네트워크 세션을 통하여 상기 제1 전자 장치를 비절전 상태로 전환하도록 하는 제2 요청 신호를 송신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와 외부 컴퓨팅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
도 3은 도 1의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도 1의 외부 컴퓨팅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5 내지 도 7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컴퓨팅 장치에서의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11은 도 1의 전자 장치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시스템(1000)은 전자 장치(100) 및 외부 컴퓨팅 장치(200)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와 외부 컴퓨팅 장치(200) 사이에는 방화벽(10)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100)와 외부 컴퓨팅 장치(200) 사이에 방화벽인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구현시에 방화벽 대신에 공유기 또는 라우터 등이 배치될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0)는 외부 컴퓨팅 장치(200)에 저장된 컨텐츠의 전송을 외부 컴퓨팅 장치(200)에 요청하고, 요청에 대응하여 컨텐츠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인터넷 망에 연결 가능한 데스크탑 컴퓨터, 랩탑 컴퓨터, 모바일 컴퓨팅 장치, 스마트폰, 피처폰, 태블릿 컴퓨터, 셋 탑 박스(set top box),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등일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컨텐츠를 보관하고, 외부 컴퓨팅 장치(20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컨텐츠를 외부 컴퓨팅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송 동작을 전자 장치(100)의 동작 상태가 절전 상태인 상태에서도 수행될 수 있도록, 전자 장치(100)는 절전 상태에서 외부 컴퓨팅 장치(200)로부터 절전 상태를 벗어나도록 요청하는 신호(이하에서는 이러한 신호를 웨이크-업 명령이라고 지칭하나, 통상적인 웨이크-업 신호 이외에 전자장치(100)를 절전 상태로 벗어나도록 하는 신호 모두를 의미한다)을 수신할 수 있으며, 웨이크-업 명령에 따라 절전 상태를 벗어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자 장치(1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여기서 절전 상태는 전자 장치(100)의 CPU가 동작하지 않는 상태로 복수의 절전 상태(예를 들어, S2, S3, S4 절전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절전 상태는 S5 상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통신 인터페이스부에는 전원이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비절전 상태(또느 노멀 상태)는 전자 장치(100)의 CPU가 동작하는 상태이다.
외부 컴퓨팅 장치(200)는 전자 장치(100)와 네트워크 세션을 확립할 수 있으며, 확립된 네트워크 세션을 통하여 전자 장치(100)에 대한 웨이크-업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외부 컴퓨팅 장치(2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방화벽(10)은 전자 장치(100)에 저장된 정보 보안을 위해 외부에서 내부, 내부에서 외부의 정보 통신망에 불법으로 접근하는 것을 차단하는 시스템이다. 이와 같은 방화벽은 라우터, 응용 게이트웨이 또는 공유기에서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방화벽이 외부 컴퓨팅 장치(200)와 전자 장치(100)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내부의 통신망에 접근함에 있어서 포트가 차단되거나 주소가 변경하는 장치라면 방화벽 이외에 공유기(wireless router/switch), 라우터 등이 적용될 수도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와 외부 컴퓨팅 장치(200) 사이에 방화벽(10)이 위치하면, 외부 컴퓨팅 장치(200)는 전자 장치에 WoL 방법으로 웨이크-업 할 수 없다. 구체적으로, WoL에서 사용되는 매직 패킷(magic packet)은 깨울 대상의 MAC 주소를 포함하고, OSI 2 계층인 데이터 링크 계층을 통하여 전달되는바, 동일 로컬 서브넷에 브로드캐스팅되며 서브넷 밖으로는 전달될 수 없는 바, 방화벽(10) 외부의 외부 컴퓨팅 장치(200)는 WoL 방식으로 전자 장치(100)를 깨울 수 없다.
그러나 전자 장치와 외부 컴퓨팅 장치 간에 네트워크 세션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전자 장치와 외부 컴퓨팅 장치 사이에 방화벽이 존재하더라도 전자 장치와 외부 컴퓨팅 장치 간에 통신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전자 장치(100)와 외부 컴퓨팅 장치 간에 네트워크 세션을 형성하고, 전자 장치(100)가 절전 상태로 진입하더라도 형성된 네트워크 세션이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형성된 네트워크 세션을 통하여 절전 상태를 벗어나도록 하는 요청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와 외부 컴퓨팅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2의 각 단계는 레벨, 상태,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동작 상태가 절전 상태로 전환할 필요가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S410).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제어 명령이 기설정된 시간 동안 수신되지 않거나, 수행중이 작업이 기설정된 시간 동안 없거나, 사용자의 절전 상태로의 전환 명령이 있는 경우에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 상태를 절전 상태로 전환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전자 장치(100)의 동작 상태를 전환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면, 전자 장치(100)는 절전 상태로 동작 상태를 전환할 수 있다(S420). 여기서 절전 상태는 전자 장치의 CPU가 동작하지 않는 상태로 S2, S3, S4 상태일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절전 상태는 S5(전원 오프 상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컴퓨팅 전자 장치와 네트워크 세션 유지를 위한 네트워크 장치에 대한 전원은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작 상태가 전환되면, 외부 컴퓨팅 장치(200)와 네트워크 세션을 확립할 수 있다(S430). 여기서 네트워크 세션이란 망 환경에서 전자 장치(100)와 외부 컴퓨팅 장치(200) 간의 대화를 위한 논리적 연결이다. 예를 들어, SSL(Secure Sockets Layer) 연결을 확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SL 연결은 외부 컴퓨팅 장치와 전자 장치 간의 데이터를 전송 계층에서 암호화하여 전송하는 통신 규약으로, TLS(Transport layer Security)라고도 불린다. 이러한 SSL 연결은 전송계층의 암호화 방식인바, HTTP뿐만 아니라 NNTP, FTP, XMPP 등 응용계층 프로토콜의 종류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외부 컴퓨팅 장치(200)와의 네트워크 세션 유지를 위하여, 절전 상태인 상태에서 기설정된 주기 단위로 외부 컴퓨팅 장치(200)에 IP 데이터그램(datagramn)이 도달하는지를 확인하는 핑(ping)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핑(Packet Internet Groper, Ping)은 TCP/I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응용 프로그램으로 다른 호스트에 IP 데이터그램이 도착할 수 있는지를 검사하는 것을 의미한다.
전자 장치(100)가 절전 상태로 진입한 이후에, 외부 컴퓨팅 장치(200)는 전자 장치(100)를 깨울 필요가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S440). 구체적으로, 외부 컴퓨팅 장치(200)는 다른 전자 장치(또는 제2 전자 장치(100-2), 이하에서는 제2 전자 장치(100-2)라고 지칭한다. )로부터 전자 장치(100)에 저장된 컨텐츠를 요청받거나,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전자 장치(100)의 절전 상태를 벗어나도록 하는 웨이크-업을 요청하면, 전자 장치(100)를 깨울 필요가 있는 것을 판단하고, 유지된 네트워크 세션을 통하여 웨이크-업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S450). 여기서, 전송되는 웨이크-업 명령은 앞서 제2 전자 장치(100-2)가 외부 컴퓨팅 장치(200)로 전달하는 웨이크-업과 포맷 등은 다를 수 있다.
웨이크-업 명령을 수신한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 상태를 절전 상태에서 비절전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S460). 여기서 절전 상태 및 비절전 상태는 동작 상태 중 하나 이상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 단계부터 10 단계로 구성될 수 있는 동작 상태 중 1 단계부터 5 단계는 절전 상태, 6 단계부터 10 단계는 비절전 상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단계는 레벨, 상태,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1000)은 전자 장치(100)와 외부 컴퓨팅 장치(200) 사이에 네트워크 세션을 확립하고, 전자 장치(100)가 절전 상태로 진입한 경우에도 확립된 네트워크 세션을 유지하는바, 전자 장치(100)와 외부 컴퓨팅 장치 사이에 방화벽이 있는 경우에도, 외부 컴퓨팅 장치(200)는 전자 장치(100)를 웨이크-업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를 설명함에 있어서, 외부 컴퓨팅 장치(200)가 하나의 전자 장치(100)와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 외부 컴퓨팅 장치(200)는 복수의 전자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외부 컴퓨팅 장치(200)와 전자 장치(100) 간에 방화벽(10)만이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전자 장치(100)와 외부 컴퓨팅 장치(200) 사이에는 라우터 등과 같은 중계 장치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도 3은 도 1의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 저장부(130), 클라이언트부(140) 및 제어부(15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인터넷 망에 연결 가능한 데스크탑 컴퓨터, 랩탑 컴퓨터, 모바일 컴퓨팅 장치, 스마트폰, 피처폰, 셋탑 박스(set top box) 및 웨어러블 장치 등일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가 모바일 컴퓨팅 장치,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장치인 경우, 전자 장치(1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동작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동작 상태는 전자 장치(100) 내의 모든 구성이 동작하는 비절전 상태 및 비절전 상태보다 낮은 소비 전력으로 동작하는 절전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100)가 하나의 절전 상태만을 갖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절전 상태를 동작 상태로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전자 장치(100)를 컴퓨팅 전자 장치(미도시)에 연결하기 위해 형성되고,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및 인터넷망을 통해 외부 장치에 접속되는 형태뿐만 아니라, 무선 통신(예를 들어, GSM, UMTS, LTE, WiBRO 등의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서 접속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팅 전자 장치는 상술한 외부 컴퓨팅 장치일 수 있으며, 별도의 전자 장치일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컴퓨팅 전자 장치(200)와 컨텐츠를 송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컴퓨팅 전자 장치(200)로부터 컨텐츠 제공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제공 명령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컴퓨팅 전자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컴퓨팅 전자 장치에 컨텐츠 제공 명령을 송신하고, 송신된 제공 명령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컴퓨팅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컴퓨팅 전자 장치로부터 외부 컴퓨팅 장치(200)와의 네트워크 세션 확립 및 유지를 위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컴퓨팅 전자 장치로부터 외부 컴퓨팅 장치(200)와의 네트워크 세션 확립에 필요한 외부 컴퓨팅 장치의 주소 정보 및 네트워크 세션 유지에 필요한 핑 인터벌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서는 이러한 정보를 외부 컴퓨팅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상기 외부 컴퓨팅 장치와 다른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정보의 수신은 외부 컴퓨팅 장치로부터 수신하거나, 외부 컴퓨팅 장치와 다른 장치(예를 들어, 프리즌스(Presence)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외부 컴퓨팅 장치(200)와 네트워크 세션을 확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 상태가 절전 상태로 전환되기 전에, 기수신된 외부 컴퓨팅 장치의 주소 정보를 펌웨어(Firmware)에 전달하여 절전 상태에서 외부 컴퓨팅 장치(200)와 네트워크 세션을 확립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 세션이란 망 환경에서 두 장치 간의 논리적 연결로, 구현시에는 SSL(Secure Sockets Layer) 연결이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SSL 연결은 외부 컴퓨팅 장치와 전자 장치 간의 데이터를 전송 계층에서 암호화하여 전송하는 통신 규약으로, TLS(Transport layer Security)라고도 불린다. 이러한 SSL 연결은 전송계층의 암호화 방식인바, HTTP뿐만 아니라 NNTP, FTP, XMPP 등 응용계층 프로토콜의 종류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서는 SSL 연결만을 네트워크 세션으로 이용하였지만, 구현시에는 다른 연결을 이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외부 컴퓨팅 장치(200)와의 네트워크 세션을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외부 컴퓨팅 장치(200)에 주기적으로 신호(예를 들어, 핑)를 전송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기수신된 핑 인터벌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0)의 동작 상태가 절전 상태인 경우에도, 지속적으로 외부 컴퓨팅 장치(200)에 핑(ping)을 수행함으로써 확립된 네트워크 세션을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핑(ping)은 TCP/I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응용 프로그램으로 다른 호스트에 IP 데이터그램이 도착할 수 있는지를 검사하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핑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세션을 유지하는 것만을 설명하였지만, 네트워크 세션을 유지할 수 있는 기술이라면 핑 이외에 다른 것이 이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 상태가 절전 상태인 경우에도, 후술할 제어부(150)의 제어 없이 자체적으로 동작하기 위하여 프로세서와 저장소자(예를 들어, EEPROM)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웨이크-업 명령을 수신하면, 전자 장치(100)의 동작 상태를 비절전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 상태가 절전 상태인 경우에, 유지되는 네트워크 세션을 통하여 외부 컴퓨팅 장치(200)로부터 웨이크-업 명령을 수신하면, 수신된 웨이크-업 명령을 제어부(150, 구체적으로, 마이콤)에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전자 장치(100)에서 지원하는 각종 기능을 사용자가 설정 또는 선택할 수 있는 다수의 기능키를 구비하며, 전자 장치(100)에서 제공하는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터치 스크린과 같이 입력과 출력이 동시에 구현되는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키보드 및 마우스와 같은 입력 장치와 LCD와 같은 표시장치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컨텐츠를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저장부(130)에 기저장된 컨텐츠를 표시하거나, 컴퓨팅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계정 인증을 위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으며, 전자 장치(100)의 동작 상태의 전환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전자 장치의 동작 상태가 절전 상태인 경우에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전원 차단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전자 장치(100)의 구동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30)는 전자 장치(100)의 구동시 필요한 각종 명령어의 집합인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그램은 특정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응용프로그램뿐만 아니라 응용프로그램을 구동시키기 위한 운영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130)는 전자 장치의 동작 상태가 절전 상태인 경우에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전원 차단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130)는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13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하여 수신한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130)는 외부 컴퓨팅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외부 컴퓨팅 장치의 IP 주소(예를 들어, SSL 주소) 정보, 핑 인터벌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저장부(130)가 네트워크 세션 정보 및 핑 인터벌 정보를 저장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10) 내의 저장 소자에 상기 정보가 저장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130)는 전자 장치(100) 내의 저장매체 및 외부 저장 매체, 예를 들어, USB 메모리를 포함한 Removable Disk, 네트워크를 통한 웹서버(Web serve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부(140)는 전자 장치(100)에 대한 홈싱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홈싱크 서비스는 사용자 계정에 등록된 장치들에서 공유해 놓은 컨텐츠를 자유롭게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이다. 따라서, 클라이언트부(140)는 전자 장치(100)에 저장된 컨텐츠에 대해서 컴퓨팅 전자 장치(200)에 제공할 수 있으며, 반대로, 컴퓨팅 전자 장치(200)에 저장된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클라이언트부(140)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 상태가 비절전 상태인 경우에 동작한다. 즉, 전자 장치의 동작 상태가 절전 상태인 경우에 클라이언트부(140)는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전원 차단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전자 장치(100) 내의 각 구성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 상태를 결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의 입력이 없는 경우, 기설정된 시간 동안 작업이 수행되지 않은 경우가 발생한 경우 또는 사용자로부터 절전 상태로의 전환 명령을 수신한 경우, 제어부(150)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 상태를 절전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절전 상태 시에 사용자로부터 웨이크-업 명령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하여 수신하거나,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하여 외부 컴퓨팅 장치(200)로부터 웨이크-업-명령을 수신하면, 제어부(150)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 상태를 비절전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결정된 동작 상태에 대응되게 전자 장치(100)의 각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의 동작 상태가 절전 상태로 변경되면, 제어부(150)는 기설정된 구성만이 동작하도록 저장부(130) 및 클라이언트부(140)는 동작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절전 상태로의 전환 전에, 제어부(150)는 외부 컴퓨팅 장치(100)와의 네트워크 세션이 확립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 상태가 비절전 상태(또는 노멀 상태)로 변경되면, 절전 상태시에 동작하지 않은 구성들이 웨이크-업 되도록 전자 장치(100) 내의 각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 상태가 전환되면, 전자 장치(100)의 동작 상태가 전환되었음이 외부 컴퓨팅 장치(200)에 통지하고, 홈싱크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클라이언트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절전 상태로 진입하기 전에 외부 컴퓨팅 장치(200)와 네트워크 세션을 형성하고, 절전 상태가 진입되어도 형성된 네트워크 세션을 유지하는바, 절전 상태인 상태에서도 방화벽 외부의 외부 컴퓨팅 장치로부터 웨이크-업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자장치(100)는 외부 컴퓨터 장치(200)와 네트워크 세션을 형성하는 장치로 동작하거나, 외부 컴퓨터 장치에 다른 전자 장치의 웨이크 업을 요청하는 장치로도 동작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를 용이하게 구비하기 위하여, 네트워크 세션을 형성하는 장치를 특징지어 지칭할 때는 제1 전자 장치라고 지칭하고, 제1 전자 장치의 웨이크 업을 요청하는 장치를 지칭할 때는 제2 전자 장치(100-2)라고 지칭한다.
도 4는 도 1의 외부 컴퓨팅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컴퓨팅 장치(20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2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 저장부(230), 인증부(240), 홈싱크 관리부(250) 및 제어부(26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컴퓨팅 장치(200)는 인터넷 망에 연결 가능한 PC, 노트북, 서버 등일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외부 컴퓨팅 장치(200)를 컴퓨팅 전자 장치에 연결하기 위해 형성되고,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및 인터넷망을 통해 외부 장치에 접속되는 형태뿐만 아니라, 무선 통신(예를 들어, GSM, UMTS, LTE, WiBRO 등의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서 접속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팅 전자 장치는 도 1의 전자 장치(100)이거나 도 1의 전자 장치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다른 전자 장치일 수도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전자 장치(100)와 컨텐츠를 송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컨텐츠 제공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제공 명령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전자 장치(100)에 컨텐츠 제공 명령을 송신하고, 송신된 제공 명령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외부 컴퓨팅 장치(200)가 직접 컨텐츠를 송수신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두 전자 장치 간의 컨텐츠 전송에 대한 중계만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1 전자 장치로부터의 컨텐츠 요청에 대응하여, 제2 전자 장치(100-2)에 상기 요청에 대응되는 컨텐츠가 제1 전자 장치에 전송되도록 제2 전자 장치(100-2)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는 외부 컴퓨팅 장치를 통하지 않고, 제2 전자 장치(100-2)에서 제1 전자 장치에 직접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제1 전자 장치(100-1)에 네트워크 세션 확립 및 유지를 위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전자 장치(100)와의 네트워크 세션 확립에 필요한 외부 컴퓨팅 장치(200)의 주소 정보(구체적으로, IP 주소) 및 네트워크 세션 유지에 필요한 핑 인터벌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외부 컴퓨팅 장치(200)가 이러한 정보를 전자 장치(100)에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 이러한 정보의 전송은 외부 컴퓨팅 장치가 아닌 다른 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 세션 확립에 필요한 IP 주소는 외부 컴퓨팅 장치(200)의 IP 주소일 수 있으며, 다른 장치의 IP 주소일 수도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제1 전자 장치(100-1)와의 네트워크 세션을 확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제1 전자 장치(100-1)로부터 네트워크 세션 확립 요청을 수신하면, 전자 장치와의 네트워크 세션을 확립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 세션이란 망 환경에서 두 장치 간의 논리적 연결로, SSL(Secure Sockets Layer) 연결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제1 전자 장치(100-1)와의 네트워크 세션을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기설정된 주기마다 핑을 수신하면, 제1 전자 장치(100-1)와의 네트워크 세션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제2 전자 장치(100-2)로부터 제1 전자 장치(100-1)의 웨이크-업 요청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이러한 요청에 대응하여, 유지된 네트워크 세션을 이용하여 제1 전자 장치(100-1)에 웨이크-업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전달되는 웨이크-업 명령은 앞선 제2 전자 장치(100-2)에서 전달된 웨이크-업 명령과 동일한 포맷일 수 있으며, 다른 포맷일 수도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연결된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연결된 전자 장치(100)의 장치 정보, 동작 상태 정보 등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인증에 필요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인증에 필요한 정보는 계정 및 계정의 암호 등일 수 있다. 여기서 계정은 이메일 주소, ID 등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일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는 외부 컴퓨팅 장치(200)에서 지원하는 각종 기능을 사용자가 설정 또는 선택할 수 있는 다수의 기능키를 구비하며, 외부 컴퓨팅 장치(200)에서 제공하는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는 터치 스크린과 같이 입력과 출력이 동시에 구현되는 장치로 구현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키보드와 마우스와 같은 입력 장치와 LCD 등과 같은 표시 장치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는 외부 컴퓨팅 장치(200)에 연결된 전자 장치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는 연결된 전자 장치 각각의 상태 정보 및 연결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저장부(230)는 외부 컴퓨팅 장치(200)의 구동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부(230)는 외부 컴퓨팅 장치(200)의 구동시 필요한 각종 명령어의 집합인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그램은 특정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응용프로그램뿐만 아니라 응용프로그램을 구동시키기 위한 운영 프로그램(OS)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230)는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23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하여 수신한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컨텐츠를 외부 컴퓨팅 장치(200)가 저장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이러한 정보는 외부 서버 또는 다른 전자 장치에서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230)는 사용자 계정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부(220)는 전자 장치(100)의 인증 요청에 대응한 인증을 위한 계정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계정 정보는 계정, 계정의 암호, 계정에 속한 장치 정보, 및 계정에 속한 장치 각각의 연결 상태 정보 등일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이러한 정보를 외부 컴퓨팅 장치(200)가 저장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 이러한 정보는 외부 서버에 저장될 수 있으며, 하나의 외부 서버가 아니라 복수의 외부 서버가 상기 정보들을 분산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30)는 외부 컴퓨팅 장치(200) 내의 저장매체 및 외부 저장 매체, 예를 들어, USB 메모리를 포함한 Removable Disk, 네트워크를 통한 웹서버(Web serve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인증부(240)는 전자 장치(100)의 인증 요청에 대응하여 기저장된 사용자 계정 정보와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홈싱크 관리부(250)는 홈싱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계정에 등록된 복수의 전자 장치 간에 컨텐츠가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도록, 복수의 전자 장치 각각의 연결을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홈싱크 관리부(250)는 사용자 계정에 등록된 복수의 전자 장치 중 절전 상태인 제1 전자 장치에 대한 웨이크-업 명령이 제2 전자 장치(100-2)로부터 수신되면, 해당 제1 전자 장치에 대한 웨이크-업 명령이 송신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60)(또는 프로세서)는 외부 컴퓨팅 장치(200) 내의 각 구성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60)는 인증된 전자 장치(100)가 절전 상태로 진입하는 경우에 네트워크 세션이 확립되도록, 네트워크 세션 확립에 필요한 정보가 전자 장치(100)에 전송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하여 제1 전자 장치(100-1)로부터 주기적인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260)는 제1 전자 장치(100-1)가 비절전 상태 또는 절전 상태인 것을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10)는 주기적으로 수신된 신호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주기적 신호의 부재에 적어도 기초하여 제1 전자 장치(100-1)가 절전 상태인지 비절전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신의 상태를 알리는 킵 얼라이브 메시지가 주기적으로 수신하면, 킵 얼라이브 메시지를 전송하는 장치는 비절전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세션 유지를 위한 신호가 주기적으로 수신되면, 절전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60)는 제1 전자 장치(100-1)로부터 네트워크 세션의 확립 요청이 수신되면, 제1 전자 장치(100-1)와의 네트워크 세션이 확립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전자 장치(100-2)로부터 제1 전자 장치(100-1)에 대한 웨이크-업 요청을 수신하면, 제어부(260)는 제1 전자 장치(100-1)에 웨이크-업 명령이 전송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전자 장치(100-2)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면, 제어부(260)는 수신된 컨텐츠가 제1 전자 장치(100-1)에 전송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를 제어할 수 있으며, 반대로, 제1 전자 장치(100-1)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면, 제어부(260)는 수신된 컨텐츠가 제2 전자 장치(100-2)에 전송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를 제어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260)는 외부 컴퓨팅 장치(200)에 복수의 전자 장치가 연결되면, 연결된 복수의 전자 장치에 대한 홈싱크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홈싱크 관리부(2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컴퓨팅 장치(200)는 전자 장치가 절전 상태로 진입하더라도 전자 장치와 네트워크 세션을 유지하는바, 방화벽 외부의 전자 장치에 웨이크-업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이상과 같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전자 장치 및 외부 컴퓨팅 장치는 홈싱크(homesync)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홈싱크 시스템 및 홈싱크 시스템에 적용된 본원의 전자 장치 및 외부 컴퓨팅 장치에 대한 동작을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7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네트워크 세션으로 SSL 연결을 이용하는 것을 한정하여 설명한다.
홈싱크 시스템은 복수의 전자 장치 간의 컨텐츠 공유 등을 위하여 별도의 서버가 복수의 전자 장치의 상태 파악 및 복수의 전자 장치간의 데이터 패스를 생성하는 시스템이다.
홈싱크 서비스에서 사용자는 계정을 만들고, 홈싱크 서버에 사용중인 장치를 등록할 수 있으며, 제1 전자 장치 내의 미디어 컨텐츠 파일을 공유해 놓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이 수행되어 있는 경우, 제2 전자 장치(100-2)에서 사용자는 홈싱크 서버를 통한 로그인 과정을 통하여 제1 전자 장치 내의 미디어 컨텐츠 파일을 이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홈싱크 서버에 대한 로그인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서버(300, 400, 500, 600)와 연결된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와 복수의 서버(300, 400, 500, 600) 사이에는 방화벽(10)이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00)는 비절전 상태이며, 프리즌스 서버(Presence server, 400)에 자신이 동작함을 알리는 킵 얼라이브 메시지(keep alive message)를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여기서 킵 얼라이브 메시지는 전자 장치(100)와 외부 컴퓨팅 장치(200) 사이의 통신 프로토콜에 맞추어(in conformity with)에 구성되는 신호로,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신호일 수 있다.
계정 서버(account Server, 300)는 사용자에 대한 계정 정보를 저장하고, 연결을 요청한 전자 장치(100)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100)는 동작 상태가 비절전 상태 또는 노멀 상태인 경우에, 사용자로부터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인증 정보를 계정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계정 서버(300)는 인증된 사용자에 대해서 홈싱크 서비스 이용시에 사용될 액세스토큰(accessToken)을 인증된 전자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프리즌스 서버(Presence Server 400)는 홈싱크 서비스에 연결된 전자 장치의 연결 상태(connected/disconnected)를 관리하는 서버로, 연결 상태가 업데이트되면, 연결 상태가 업데이트된 전자 장치에 대한 이벤트를 수신하기를 원하는 장치에 연결 상태의 변화를 이벤트로 알려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로그인된 제1 전자 장치의 연결 상태를 받기 원하는 다른 전자 장치(즉, 사용자의 다른 전자 장치)에 제1 전자 장치가 연결되었음을 통지할 수 있다.
사용자 포털 서버(User Portal Server 500)는, 홈싱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 사용자 계정에 등록된 장치에 대한 정보 및 상태를 관리할 수 있다.
사용자는 홈싱크 서비스를 이용하여 자신이 등록한 장치에서 공유해 놓은 데이터 및 미디어 컨텐츠들을 홈싱크가 설치된 장치에서 언제든지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다만, 등록 장치가 꺼져있거나, 절전 상태인 경우, 사용자는 필요한 데이터를 이용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절전 상태인 장치를 웨이크-업할 필요가 있다.
SPP 서버(Samsung Push Server 600)는 상기 전자 장치(100)의 동작 상태가 절전 상태로 전화되면, 상기 전자 장치(100)와 SSL 연결을 확립하는 서버로, 전자 장치(100)에 대해서 SPP 서버(Samsung push Server 600)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 및 핑 인터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SPP 서버(Saumsug Push Server 600)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는 IP 주소, Session ID, Key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프리즌스 서버(Presence Server 400)와 사용자 포털 서버(User Portal Server 500)가 SPP 서버로 동작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구현시에는 프리즌스 서버(Presence Server 400)와 사용자 포털 서버(User Portal Server 500) 구분되는 별도의 SPP 서버가 이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예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 상태가 절전 상태로 전환되면, 전자 장치(100)와 외부 컴퓨팅 장치(200)와의 SSL 연결을 확립함으로써, 전자 장치(100)가 절전 상태인 경우에도 외부 컴퓨팅 장치(200)가 전자 장치(100)를 웨이크-업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외부 컴퓨팅 장치(200)는 계정 서버(Accout server, 300), 프리즌스 서버(Presence Server, 400), 사용자 포털 서버(User Portal Server, 500), SPP 서버(Samsung Push Server 600) 서버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서버(300, 400, 500, 600) 는 각 서버가 합쳐질 수도 있고 하나의 서버일 수도 있다.
SSL 연결을 확립하는 동작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 상태가 절전 상태로 전환되면, SPP 서버(Samsung Push Server 600)와 SSL 연결을 확립한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앞선 도 5의 로그인 과정에서 수신된 SSL 주소 정보(SSL 서버의 IP 주소)를 이용하여 SPP 서버(Samsung Push Server 600)와의 SSL 연결을 확립할 수 있다.
그리고 SSL 연결이 확립된 이후에, 전자 장치(100)는 동작 상태를 절전 상태로 전환하고, 절전 상태인 상태에서 SPP 서버(Samsung Push Server 600)와의 SSL 연결이 유지되도록 주기적으로 신호를 송신한다. 여기서 신호는 전자 장치(100)와 SPP 서버(Samsung Push Server 600) 사이의 통신 프로토콜에 맞추어(in conformity with)에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프리즌스 서버(Presence Server 프레즌스)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전달되는 킵 얼라이브 메시지의 수신이 중단되는바, 이를 기초로 제1 전자 장치(100-1)가 절전 상태로 진입함을 인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자 장치(100)와 SPP 서버(Samsung Push Server 600) 간에 SSL 연결이 확립된 이후에 전자 장치(100)의 웨이크-업 동작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 전자 장치(100-2)(20)는 사용자 포털 서버(500)에 제1 전자 장치(100-1)의 웨이크-업을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전자 장치(100-2)(20)는 제1 전자 장치(100-1)와 동일한 계정에 등록된 장치로 계정에 로그인되어 있는 상태이다.
웨이크-업 요청을 수신한 사용자 포털 서버(500)는 SPP 서버(Samsung Push Server 600)에 웨이크-업 요청 사실을 통지하고, 외부 컴퓨팅 장치(200)는 웨이크-업 명령을 유지된 SSL을 통하여 전달할 수 있다.
SPP 서버(Samsung Push Server 600)와 전자 장치(100)는 SSL로 연결되어 있는바, 방화벽(10)에 영향 없이 데이터(구체적으로, 웨이크-업 명령)를 송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SPP 서버(Samsung Push Server 600)에서 전송된 웨이크-업 명령은 방화벽에 불구하고 전자 장치(100)에 전달될 수 있다.
웨이크-업 명령을 수신하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 상태를 비절전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도 5 내지 도 7의 동작을 하나의 도면으로 정리하면 도 8과 같다. 한편, 도 5 내지 도 7을 설명함에 있어서, 전자 장치(100)의 동작 상태가 절전 상태로 전환된 이후에 전자 장치(100)가 외부 컴퓨팅 장치와 SSL 연결을 확립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 SSL 연결 확립은 전자 장치(100)가 절전상태로 전환되기 전에 수행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100)와 외부 컴퓨팅 장치 간에 SSL 연결이 확립된 이후에 전자 장치(100)의 동작 상태가 절전 상태로 전환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도 8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전자 장치(100-1)에 자신의 계정 정보를 입력하고(S801), 클라이언트부(140)는 계정 정보를 계정 서버(300)에 전송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S803). 이때, 계정 서버(300)는 인증된 사용자에 대해서 액세스토큰(accessToken)을 전송할 수 있다(S805). 이와 같은 동작은 사용자의 다른 전자 장치(100-2)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S807, S809, S811)
사용자가 제1 전자 장치(100-1)에 대한 사용을 수행하지 않아, 제1 전자 장치(100-1)의 동작 상태를 절전 상태로 전환하는 것으로 결정하면(S813), 제1 전자 장치(100-1)의 클라이언트부(140-1)는 프리즌스 서버(프레즌스)에 동작 상태가 전환됨을 통지하고(S817), 프리즌스 서버(프레즌스)는 제1 전자 장치(100-1)의 동작 상태의 전환을 제2 전자 장치(100-2)에 통지할 수 있다. 한편, 클라이언트부(140-1)와 프리즌스 서버(440) 간의 네트워크 세션이 끊기면, 프리즌스 서버(프레즌스)는 제1 전자 장치(100-1)의 동작 상태가 절전 상태로 전환된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S815).
그리고 제1 전자 장치(100-1)의 동작 상태를 절전 상태로 전환하는 것으로 결정하면, 제1 전자 장치(100-1)는 동작 상태를 절전 상태로 전환하고(S819), 제1 전자 장치(100-1)의 통신 인터페이스부(110-1)는 SPP 서버(Samsung Push Server 600)에 SSL 연결을 확립할 수 있다(S821). 한편, 구현시에 전환 동작과 SSL 연결 확립 동작의 순서는 바뀔 수 있다.
동작 상태가 절전 상태로 전환된 제1 전자 장치(100-1)의 클라이언트부(140-1)는 더 이상 동작하지 않고, 통신 인터페이스부(110-1)만이 기설정된 주기 마다 SPP 서버(Samsung Push Server 600)에 핑(ping)을 수행하여 SSL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S823)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2 전자 장치(100-2)가 제1 전자 장치(100-1)에 저장된 컨텐츠를 수신받기 원하면(S825), 제2 전자 장치(100-2)의 통신 인터페이스부(110-2)는 제1 전자 장치(100-1)가 웨이크-업 될 수 있도록, 사용자 포털 서버(500)에 제1 전자 장치(100-1)의 웨이크-업을 요청하고(S827), 사용자 포털 서버(500)는 SPP 서버(Samsung Push Server 600)에 제1 전자 장치(100-1)에 대한 웨이크-업을 요청할 수 있다(S829).
웨이크-업을 요청받은 SPP 서버(Samsung Push Server 600)는 유지된 SSL 연결을 통하여 제1 전자 장치(100-1)의 통신 인터페이스부(110-1)에 웨이크-업 명령을 전송한다(S831). 웨이크-업 명령을 수신한 통신 인터페이스부(110-1)는 제1 전자 장치(100-1)의 동작 상태가 비절전 상태로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S833).
제1 전자 장치(100-1)의 동작 상태가 비절전 상태로 전환되면, 제1 전자 장치(100-1)와 SPP 서버(Samsung Push Server 600) 간의 SSL 연결은 끊을 수 있다(S835).
한편, 도 5 내지 도 8을 설명함에 있어서, 외부 컴퓨팅 장치가 복수의 서버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하나의 장치로 구성될 수 있음이 자명하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동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의 동작 상태가 절전 상태로 전환할 필요가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S910).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이 기설정된 시간 동안 없거나, 수행중이 작업이 없는 경우에는 동작 상태를 절전 상태로 전환할 필요가 있음을 결정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전자 장치의 동작 상태를 전환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면, 전자 장치의 동작 상태를 절전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S920).
그리고 동작 상태가 절전 상태로 전환되면, 외부 컴퓨팅 장치와 네트워크 세션을 확립할 수 있다(S930). 구체적으로, 기저장된 외부 컴퓨팅 장치의 IP 주소를 이용하여, 외부 컴퓨팅 장치와의 SSL(Secure Sockets Layer) 연결을 확립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동작 상태를 전환한 이후에 네트워크 세션을 확립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네트워크 세션을 확립한 이후에 동작 상태를 절전 상태로 전환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전자 장치의 동작 상태가 절전 상태로 전환되더라도,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전원이 공급되고 자체적인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동작하는바, 기설정된 주기 단위로 외부 컴퓨팅 장치에 PING 신호(heartbeat)를 보낼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컴퓨팅 장치와의 확립된 네트워크 세션을 유지할 수 있다.
동작 상태가 절전 상태인 상태에서, 웨이크-업 명령을 수신하면(S940), 동작 상태를 절전 상태에서 비절전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S950). 구체적으로, 유지된 네트워크 세션을 통하여 외부 컴퓨팅 장치로부터 웨이크-업 명령을 수신하면, 전자 장치(100)의 동작 상태를 비절전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동 제어 방법은 절전 상태로 진입하기 전에 외부 컴퓨팅 장치와 네트워크 세션을 형성하고, 절전 상태가 진입되어도 형성된 네트워크 세션을 유지하는바, 절전 상태인 상태에서도 방화벽 외부의 외부 컴퓨팅 장치로부터 웨이크-업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도 9와 같은 구동 제어 방법은 도 3의 구성을 가지는 전자 장치상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그 밖의 구성을 가지는 전자 장치상에서도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전자 장치의 구동 제어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실행가능한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고, 상기 프로그램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컴퓨팅 장치의 구동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 전자 장치의 요청에 의하여, 제1 전자 장치(100-1)와의 네트워크 세션을 확립할 수 있다(S1010).
이후에, 제2 전자 장치(100-2)로부터 제1 전자 장치(100-1)에 대한 웨이크-업 요청을 수신하면(S1020), 확립된 제1 전자 장치(100-1)와의 네트워크 세션을 통하여 제1 전자 장치(100-1)에 웨이크-업 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S1030).여기서, 제1 전자 장치(100-1)로 전송되는 웨이크-업 명령은 제2 전자 장치(100-2)로부터 수신된 웨이크-업 명령과 동일할 수 있으며, 다를 포맷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 의하여 제2 전자 장치(100-1)가 비절전 상태로 변경되면, 제1 전자 장치(100-1)와 제2 전자 장치(100-2) 사이의 컨텐츠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컴퓨팅 장치의 구동 제어 방법은, 전자 장치가 절전 상태로 진입하더라도 전자 장치와 네트워크 세션을 유지하는바, 방화벽 외부의 전자 장치에 웨이크-업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도 10과 같은 구동 제어 방법은 도 4의 구성을 가지는 외부 컴퓨팅 장치상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그 밖의 구성을 가지는 외부 컴퓨팅 장치상에서도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컴퓨팅 장치의 구동 제어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실행가능한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고, 상기 프로그램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도 11은 도 1의 전자 장치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이동 가능한 모바일 장치(100)로, 하우징(101), 디스플레이(102), 스피커(103), 복수의 버튼(104, 105)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1)은 모바일 장치(100) 내의 각 구성을 지지하는 것으로, 케이스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102)는 하우징(101)의 일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스피커(103)는 디스플레이와 동일한 하우징의 일 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버튼(104, 105)은 하우징의 일 면에 배치되며, 앞선 디스플레이와 다른 하우징의 타 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와 동일한 일 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전자 장치(100)는 앞서 설명한 제2 전자 장치(100-2)로 동작할 수 있으며, 다른 전자 장치의 웨이크-업의 요청 및 다른 전자 장치에 저장된 컨텐츠의 요청 등을 외부 컴퓨팅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 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0: 전자 시스템 100: 전자 장치
110: 통신 인터페이스부 12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30: 저장부 140: 클라이언트부
150: 제어부 200: 외부 컴퓨팅 장치
210: 통신 인터페이스부 22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230: 저장부 240: 인증부
250: 홈싱크 관리부 260: 제어부

Claims (30)

  1. 외부 컴퓨팅 장치와 연결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를 절전 상태로 전환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전자 장치가 절전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외부 컴퓨팅 장치와 네트워크 세션을 확립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전자 장치가 절전 상태인 상태에서 상기 외부 컴퓨팅 장치와 네트워크 세션을 유지하고, 상기 유지된 네트워크 세션을 통하여 절전 상태를 벗어나도록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전자 장치를 비절전 상태로 전환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컴퓨팅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의 절전 상태 또는 비절전 상태를 판단하도록 절전 상태일 때는 기 설정된 제1 신호 또는 비절전 상태일 때는 기 설정된 제2 신호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세션은, SSL(Secure Sockets Layer) 연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공유기(Wireless router/switch), 라우터(router) 및 방화벽(firewall)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상기 외부 컴퓨팅 장치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외부 컴퓨팅 장치에 보낸 후에, 상기 외부 컴퓨팅 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전자 장치가 절전 상태인 경우에도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컨텐츠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외부 모바일 장치에 상기 저장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외부 모바일 장치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외부 컴퓨팅 장치로부터 상기 외부 컴퓨팅 장치의 IP 주소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컴퓨팅 장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서버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데스크탑 컴퓨터, 랩탑 컴퓨터, 모바일 컴퓨팅 장치, 스마트폰, 피처폰, 태블릿 컴퓨터, 셋탑 박스(set top box) 및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 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및
    상기 하우징의 상기 일 면에 상기 디스플레이에 인접하여 배치된 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3. 컴퓨팅 전자 장치에 있어서,
    프로세서; 및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제1 전자 장치로부터 주기적으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신호는 상기 통신 프로토콜에 맞추게 구성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주기적으로 수신된 신호 중 기 설정된 제1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상태를 절전 상태로 판단하고, 기 설정된 제2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상태를 비절전 상태로 판단하는, 컴퓨팅 전자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제2 전자 장치(100-2)로 상기 컴퓨팅 전자 장치와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연결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 및 상기 연결된 제1 전자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전자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전자 장치(100-2)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절전 상태를 벗어나도록 하는 제1 요청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전자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요청 신호를 수신한 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제1 전자 장치로,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절전 상태를 벗어나도록 하는 제2 요청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전자 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공유기(wireless router/switch), 라우터(router) 및 방화벽(firewall)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상기 제1 전자 장치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컴퓨팅 전자 장치.
  18.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 1 외부 전자 장치 또는 절전 상태의 제 2 외부 전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 통신 인터페이스;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제 1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 1 외부 전자 장치 및 절전 상태의 상기 제 2 외부 전자 장치 간의 연결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제 2 외부 전자 장치가 절전 상태를 벗어나도록 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제 1 외부 전자 장치에 송신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신호를 송신한 후에, 상기 제 2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 및 제2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주기적으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주기적으로 수신된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 및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가 절전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전자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컨텐츠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제 2 외부 전자 장치에 상기 저장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제 2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컨텐츠를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 영역에 홈 버튼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공유기(Wireless router/switch), 라우터(router) 및 방화벽(firewall)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상기 제 2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4. 삭제
  25. 삭제
  26. 컴퓨팅 전자 장치의 구동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1 전자 장치로부터 주기적으로 신호가 수신되는 단계; 및
    상기 주기적으로 수신된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절전 상태 또는 비절전 상태임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전자 장치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된 신호 중 기 설정된 제1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상태를 절전 상태로 판단하고, 기 설정된 제2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상태를 비절전 상태로 판단하는, 구동 제어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제2 전자 장치(100-2)로 상기 컴퓨팅 전자 장치와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연결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 및 상기 연결된 제1 전자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제어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자 장치(100-2)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절전 상태를 벗어나도록 하는 제1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제어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청 신호를 수신한 후에, 상기 제1 전자 장치로,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절전 상태를 벗어나도록 하는 제2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제어 방법.
  30. 시스템에 있어서,
    외부 컴퓨팅 장치;
    상기 외부 컴퓨팅 장치로 주기적으로 신호를 전송하고, 절전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외부 컴퓨팅 장치와 네트워크 세션을 확립하며, 절전 상태에서 상기 외부 컴퓨팅 장치와 네트워크 세션을 유지하는 제1 전자 장치; 및
    상기 외부 컴퓨팅 장치로 주기적으로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절전 상태를 벗어나도록 요청하는 제1 요청 신호를 상기 외부 컴퓨팅 장치에 전송하는 제2 전자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컴퓨팅 장치는, 상기 제1 전자 장치 및 상기 제2 전자 장치 각각으로부터 주기적으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전자 장치 및 상기 제2 전자 장치 각각에 대해 상기 주기적으로 수신된 신호 중 기 설정된 제1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절전 상태로 판단하며, 기 설정된 제2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비절전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제1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유지된 네트워크 세션을 통하여 상기 제1 전자 장치를 비절전 상태로 전환하도록 하는 제2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시스템.
KR1020140061784A 2013-07-22 2014-05-22 원격으로 제어가능한 전자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시스템 KR1021941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337,848 US9497030B2 (en) 2013-07-22 2014-07-22 Remotely controllable electronic device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PCT/KR2014/006649 WO2015012567A1 (en) 2013-07-22 2014-07-22 Remotely controllable electronic device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856875P 2013-07-22 2013-07-22
US61/856,875 2013-07-22
KR1020130130970A KR20150011737A (ko) 2013-07-22 2013-10-31 전자 장치, 원격 제어 장치, 구동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0130130970 2013-10-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1754A KR20150011754A (ko) 2015-02-02
KR102194198B1 true KR102194198B1 (ko) 2020-12-24

Family

ID=5248807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0970A KR20150011737A (ko) 2013-07-22 2013-10-31 전자 장치, 원격 제어 장치, 구동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0140061784A KR102194198B1 (ko) 2013-07-22 2014-05-22 원격으로 제어가능한 전자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0970A KR20150011737A (ko) 2013-07-22 2013-10-31 전자 장치, 원격 제어 장치, 구동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5001173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81638B2 (en) 2015-09-04 2020-06-09 Dialog Semiconductor Korea Inc. Communication system and IoT system
US9813984B2 (en) 2015-09-04 2017-11-07 Fci Inc Method of saving power of station in wireless network
US9961640B2 (en) 2015-09-04 2018-05-01 Fci Inc Communication system and IoT system
KR101684493B1 (ko) * 2015-10-19 2016-12-08 주식회사 에스원 무선 감지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870040B1 (ko) * 2016-11-02 2018-06-21 주식회사 에스원 보안 시스템의 무선 센서 시스템 연동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센서 시스템
KR102580786B1 (ko) 2018-02-05 2023-09-2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07841A1 (en) 2005-08-08 2007-09-06 Messay Amerga Sleep mode f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during out of service operation
US20090003319A1 (en) * 2007-06-28 2009-01-01 Kapil Sood Network interface apparatus
US20110128911A1 (en) 2009-11-23 2011-06-02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registration
US20130007484A1 (en) * 2011-07-01 2013-01-03 Sameh Gobriel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Transmitting Frequency to Maintain Remote Application Server Connectivit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07841A1 (en) 2005-08-08 2007-09-06 Messay Amerga Sleep mode f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during out of service operation
US20090003319A1 (en) * 2007-06-28 2009-01-01 Kapil Sood Network interface apparatus
US20110128911A1 (en) 2009-11-23 2011-06-02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registration
US20130007484A1 (en) * 2011-07-01 2013-01-03 Sameh Gobriel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Transmitting Frequency to Maintain Remote Application Server Connectiv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1754A (ko) 2015-02-02
KR20150011737A (ko) 2015-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4198B1 (ko) 원격으로 제어가능한 전자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시스템
US9497030B2 (en) Remotely controllable electronic device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EP2557825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forming wi-fi p2p group using Wi-Fi Direct
US20120278636A1 (en) Remote wake mechanism for a network system and remote wake method thereof
KR102246945B1 (ko) 저전력으로 원격 제어 가능한 전자 장치와 그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원격 제어 방법
US20100169677A1 (en) Remotely Powering On-Off Network Devices via a Network Interface Device
JP2009199283A (ja) 情報処理装置
KR20100080402A (ko) 전력이 감소된 상태의 네트워크 프로세싱을 위한 방법, 장치 및 머신 판독가능 매체
EP2856698B1 (en) Network presence offload
US11758401B2 (en) Network services in a mesh network
EP3713246B1 (en) Multimedia processing apparatus, multimedia processing server, and methods applied thereto
JP2016019179A (ja) 通信装置、端末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90229898A1 (en) Electronic apparatus,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60123149A (ko) 전자 장치, 그 전자 장치를 턴-온시키기 위한 웨이크 업 장치, 웨이크 업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42643A (ko) Vdi 환경에서 가상 서버와 접속을 위한 단말 장치 및 방법
JP2009259229A (ja) 遠隔制御装置、遠隔制御プログラム、遠隔制御方法、及び、遠隔制御システム
US1033452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that controls wireless network function to reduce power consumption, and recording medium therefor
US20190199752A1 (en) Security modes for enhanced network security
JP4835511B2 (ja) ホーム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2007336365A (ja) 端末装置、サーバ装置、通信方法、および通信プログラム
US11979321B1 (en) Enabling partial access to a local area network via a meshnet device
JP2011039770A (ja) 省電力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4022778A (ja) 通信システム、外部記憶装置、データ処理方法及びデータ処理プログラム
JP6417539B2 (ja) 情報処理装置
US11929908B1 (en) Accessing local network devices via mesh network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