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1737A - 전자 장치, 원격 제어 장치, 구동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원격 제어 장치, 구동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1737A
KR20150011737A KR1020130130970A KR20130130970A KR20150011737A KR 20150011737 A KR20150011737 A KR 20150011737A KR 1020130130970 A KR1020130130970 A KR 1020130130970A KR 20130130970 A KR20130130970 A KR 20130130970A KR 20150011737 A KR20150011737 A KR 201500117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remote control
network session
control device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0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석
박경도
이하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61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4198B1/ko
Priority to US14/337,848 priority patent/US9497030B2/en
Priority to PCT/KR2014/006649 priority patent/WO2015012567A1/en
Publication of KR20150011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17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75Indicating network or usage conditions on the user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5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ine communication networks, e.g. low power modes or reduced link r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본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를 절전 모드로 전환하는 제어부,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가 절전 모드로 전환되면, 원격 제어 장치와 네트워크 세션을 확립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고, 원격 제어 장치와 네트워크 세션을 확립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네트워크 세션이 확립되면,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를 절전 모드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가 절전 모드인 상태에서 원격 제어 장치와 네트워크 세션을 유지하고, 유지된 네트워크 세션을 통하여 웨이크-업 명령을 수신하면,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를 노멀 모드로 전환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원격 제어 장치, 구동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ELECTRONIC APPARATUS, REMOTE CONTROLLING APPARATUS, DRIVING METHOD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전자 장치, 원격 제어 장치, 구동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와 원격 제어 장치 사이에 공유기, 라우터, 방화벽 등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손쉽게 원격 제어 장치가 전자 장치를 웨이크-업할 수 있는 전자 장치, 원격 제어 장치, 구동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전자 장치는 전력 소비를 줄이기 위하여,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는 절전 모드로 전환한다. 절전 모드로 진입한 전자 장치는 사용자가 해당 전자 장치에 전원 버튼을 눌러 웨이크-업해야 하는데, 최근의 전자장치는 WoL(Wake on Lan)를 지원하여, 원격으로 절전 상태의 전자 장치를 깨울 수 있게 되었다.
여기서 WoL은 장치가 절전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도 특정 패킷(packet)을 수신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 어댑터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여, 절전 모드 중에 매직 패킷이라는 특정 패킷을 받게 되면, 장치를 웨이크-업 시켜 주어, 절전 또는 꺼져 있는 장치를 원격으로 깨우는 방법이다.
그러나 WoL 방법은 동일한 서브넷(Subnet) 또는 랜(lan), 즉 동일 공유기 내에 있는 장치만 깨울 수 있다는 범위의 제약이 있었다. 예를 들어, 회사에서 집에 있는 장치를 깨우고자 하는 경우, 회사와 집은 보통 동일 서브넷(Subnet)이 아니므로 WoL을 이용하여 집에 있는 장치를 깨울 수 없었다. 또한, 공유기를 사용하여 외부 망과 통신을 하는 집안 내부의 장치들은 사설 IP 주소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사설 IP 주소를 사용하는 장치들에게 웨이크-업 패킷을 전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VPN을 설치하거나, 공유기, 라우터에 특정 외부 IP 주소 및 포트를 허용하도록 설정하거나 포트 포워드 방식 등이 제안되고 있으나, 일반 사용자들이 이러한 네트워크 구성을 설정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며, VPN 설치에 비용이 비싸며, VPN 포트가 오픈되는 경우 보안이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 장치와 원격 제어 장치 사이에 공유기, 라우터, 방화벽 등이 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손쉽게 원격 제어 장치가 전자 장치를 웨이크-업할 수 있는 전자 장치, 원격 제어 장치, 구동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와 연결되는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를 절전 모드로 전환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가 절전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원격 제어 장치와 네트워크 세션을 확립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가 절전 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원격 제어 장치와 네트워크 세션을 유지하고, 상기 유지된 네트워크 세션을 통하여 웨이크-업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를 노멀 모드로 전환한다.
이 경우, 상기 네트워크 세션은 SSL(Secure Sockets Layer) 연결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원격 제어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 사이에는 공유기(Wireless router/switch), 라우터(router) 및 방화벽(firewall) 중 적어도 하나가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기설정된 주기 단위로 상기 원격 제어 장치에 Ping신호(heartbeat)를 보내어 네트워크 세션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외부 기기로부터 핑(Ping) 인터벌 정보를 수신하여 기저장하고, 상기 기저장된 핑 인터벌 정보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세션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가 절전 모드인 경우에 전원 차단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가 절전 모드인 경우에도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전원 공급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한편, 본 전자 장치는, 컨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를 경유하여 외부 기기에 상기 저장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세션 주소를 수신하여 기저장하고, 상기 기저장된 네트워크 세션 주소에 따라 상기 원격 제어 장치와 네트워크 세션을 확립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원격 제어 장치는, 사용자 계정에 등록된 복수의 전자 장치 간에 컨텐츠를 공유시키는 서버일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전자 장치와 연결되는 원격 제어 장치는, 제1 전자 장치와 네트워크 세션을 확립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제1 전자 장치에 대한 웨이크-업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확립된 제1 전자 장치와의 네트워크 세션을 통하여 상기 제1 전자 장치에 웨이크-업 명령을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와 연결되는 전자 장치의 구동 제어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를 절전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원격 제어 장치와 네트워크 세션을 확립하는 단계,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가 절전 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원격 제어 장치와 네트워크 세션을 유지하는 단계, 및, 상기 유지된 네트워크 세션을 통하여 웨이크-업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를 노멀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네트워크 세션은 SSL(Secure Sockets Layer) 연결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원격 제어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 사이에는 공유기(Wireless router/switch), 라우터(router) 및 방화벽(firewall) 중 적어도 하나가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지하는 단계는, 기설정된 주기 단위로 상기 원격 제어 장치에 Ping신호(heartbeat)를 보내어 네트워크 세션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전자 장치의 구동 제어 방법은, 외부 기기로부터 핑(Ping) 인터벌 정보를 수신하여 기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지하는 단계는, 상기 기저장된 핑 인터벌 정보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세션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절전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구성을 제외한 전자 장치의 나머지 구성에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본 전자 장치의 구동 제어 방법은, 상기 원격 제어 장치를 경유하여 외부 기기에 상기 전자 장치에 기저장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전자 장치의 구동 제어 방법은,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세션 주소를 수신하여 기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확립하는 단계는, 상기 기저장된 네트워크 세션 주소에 따라 상기 원격 제어 장치와 네트워크 세션을 확립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원격 제어 장치는, 사용자 계정에 등록된 복수의 전자 장치 간에 컨텐츠를 공유시키는 서버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전자 장치와 연결되는 원격 제어 장치의 구동 제어 방법은, 제1 전자 장치와 네트워크 세션을 확립하는 단계,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제1 전자 장치에 대한 웨이크-업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확립된 제1 전자 장치와의 네트워크 세션을 통하여 상기 제1 전자 장치에 웨이크-업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와 연결되는 전자 장치의 구동 제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를 절전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원격 제어 장치와 네트워크 세션을 확립하는 단계,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가 절전 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원격 제어 장치와 네트워크 세션을 유지하는 단계, 및, 상기 유지된 네트워크 세션을 통하여 웨이크-업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를 노멀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와 원격 제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
도 3은 도 1의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도 1의 원격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5 내지 도 7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에서의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시스템(1000)은 전자 장치(100) 및 원격 제어 장치(200)로 구성된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와 원격 제어 장치(200) 사이에는 방화벽(10)이 배치된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100)와 원격 제어 장치(200) 사이에 방화벽인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구현시에 방화벽 대신에 공유기 또는 라우터 등이 배치될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에 저장된 컨텐츠의 전송을 원격 제어 장치(200)에 요청하고, 요청에 대응하여 컨텐츠를 수신하여 표시한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인터넷 망에 연결 가능한 PC, 노트북, 휴대폰, 스마트폰, PMP, MP3 player 등일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컨텐츠를 보관하고, 원격 제어 장치(20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컨텐츠를 원격 제어 장치(200)에 전송한다. 이와 같은 전송 동작을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절전 모드인 상태에서도 수행될 수 있도록, 전자 장치(100)는 절전 모드 상태에서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웨이크-업 명령을 수신할 수 있으며, 웨이크-업 명령에 따라 웨이크-업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자 장치(1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여기서 절전 모드는 전자 장치(100)의 CPU가 동작하지 않는 상태로 S2, S3, S4 절전 상태를 의미한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절전 모드는 S5 상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통신 인터페이스부에는 전원이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격 제어 장치(200)는 전자 장치(100)와 네트워크 세션을 확립할 수 있으며, 확립된 네트워크 세션을 통하여 전자 장치(100)에 대한 웨이크-업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원격 제어 장치(2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방화벽(10)은 전자 장치(100)에 저장된 정보 보안을 위해 외부에서 내부, 내부에서 외부의 정보 통신망에 불법으로 접근하는 것을 차단하는 시스템이다. 이와 같은 방화벽은 라우터, 응용 게이트웨이 또는 공유기에서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방화벽이 원격 제어 장치(200)와 전자 장치(100)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내부의 통신망에 접근함에 있어서 포트가 차단되거나 주소가 변경하는 장치라면 방화벽 이외에 공유기, 라우터 등이 적용될 수도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와 원격 제어 장치(200) 사이에 방화벽(10)이 위치하면, 원격 제어 장치(200)는 전자 장치에 WoL 방법으로 웨이크-업 할 수 없다. 구체적으로, WoL에서 사용되는 매직 패킷(magic packet)은 깨울 대상의 MAC 주소를 포함하고, OSI 2 계층인 데이터 링크 계층을 통하여 전달되는바, 동일 로컬 서브넷에 브로드캐스팅되며 서브넷 밖으로는 전달될 수 없는 바, 방화벽(10) 외부의 원격 제어 장치(200)는 WoL 방식으로 전자 장치(100)를 깨울 수 없다.
그러나 전자 장치와 원격 제어 장치 간에 네트워크 세션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전자 장치와 원격 제어 장치 사이에 방화벽이 존재하더라도 전자 장치와 원격 제어 장치 간에 통신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전자 장치(100)와 원격 제어 장치 간에 네트워크 세션을 형성하고, 전자 장치(100)가 절전 모드로 진입하더라도 형성된 네트워크 세션이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형성된 네트워크 세션을 통한 웨이크-업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와 원격 제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동작 모드가 절전 모드로 전환할 필요가 있는지 판단한다(S410).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제어 명령이 기설정된 시간 동안 수신되지 않거나, 수행중이 작업이 기설정된 시간 동안 없거나, 사용자의 절전 모드로의 전환 명령이 있는 경우에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절전 모드로 전환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전환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면, 전자 장치(100)는 절전 모드로 동작 모드를 전환한다(S420). 여기서 절전 모드는 전자 장치의 CPU가 동작하지 않는 모드로 S2, S3, S4 모드일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절전 모드는 S5(전원 오프 상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외부 기기와 네트워크 세션 유지를 위한 네트워크 장치에 대한 전원은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작 모드가 전환되면, 원격 제어 장치(200)와 네트워크 세션을 확립한다(S430). 여기서 네트워크 세션이란 망 환경에서 전자 장치(100)와 원격 제어 장치(200) 간의 대화를 위한 논리적 연결이다. 예를 들어, SSL(Secure Sockets Layer) 연결을 확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SL 연결은 원격 제어 장치와 전자 장치 간의 데이터를 전송 계층에서 암호화하여 전송하는 통신 규약으로, TLS(Transport layer Security)라고도 불린다. 이러한 SSL 연결은 전송계층의 암호화 방식인바, HTTP뿐만 아니라 NNTP, FTP, XMPP 등 응용계층 프로토콜의 종류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와의 네트워크 세션 유지를 위하여, 절전 모드인 상태에서 기설정된 주기 단위로 원격 제어 장치(200)에 IP 데이터그램(datagramn)이 도달하는지를 확인하는 핑(ping)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핑(Packet Internet Groper, Ping)은 TCP/I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응용 프로그램으로 다른 호스트에 IP 데이터그램이 도착할 수 있는지를 검사하는 것을 의미한다.
전자 장치(100)가 절전 모드로 진입한 이후에, 원격 제어 장치(200)는 전자 장치(100)를 깨울 필요가 있는지 판단한다(S440). 구체적으로, 원격 제어 장치(200)는 외부 기기(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전자 장치(100)에 저장된 컨텐츠를 요청받거나, 외부 기기가 전자 장치의 웨이크-업을 요청하면, 전자 장치(100)를 깨울 필요가 있는 것을 판단하고, 유지된 네트워크 세션을 통하여 웨이크-업 명령을 전송한다(S450).
웨이크-업 명령을 수신한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절전 모드에서 노멀 모드로 전환한다(S460).
이상과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1000)은 전자 장치(100)와 원격 제어 장치(200) 사이에 네트워크 세션을 확립하고, 전자 장치(100)가 절전 모드로 진입한 경우에도 확립된 네트워크 세션을 유지하는바, 전자 장치(100)와 원격 제어 장치 사이에 방화벽이 있는 경우에도, 원격 제어 장치(200)는 전자 장치(100)를 웨이크-업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를 설명함에 있어서, 원격 제어 장치(200)가 하나의 전자 장치(100)와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 원격 제어 장치(200)는 복수의 전자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원격 제어 장치(200)와 전자 장치(100) 간에 방화벽(10)만이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전자 장치(100)와 원격 제어 장치(200) 사이에는 라우터 등과 같은 중계 장치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도 3은 도 1의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 저장부(130), 클라이언트부(140) 및 제어부(15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인터넷 망에 연결 가능한 PC, 노트북, 휴대폰, 스마트폰, PMP, MP3 등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동작 모드를 갖는다. 여기서 복수의 동작 모드는 전자 장치(100) 내의 모든 구성이 동작하는 노멀 모드 및 노멀 모드보다 낮은 소비 전력으로 동작하는 절전 모드를 포함한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100)가 하나의 절전 모드만을 갖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절전 모드를 동작 모드로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전자 장치(100)를 외부 기기(미도시)에 연결하기 위해 형성되고,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및 인터넷망을 통해 외부 장치에 접속되는 형태뿐만 아니라, 무선 통신(예를 들어, GSM, UMTS, LTE, WiBRO 등의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서 접속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기기는 상술한 원격 제어 장치일 수 있으며, 별도의 전자 장치일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외부 기기와 컨텐츠를 송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외부 기기로부터 컨텐츠 제공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제공 명령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외부 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외부 기기에 컨텐츠 제공 명령을 송신하고, 송신된 제공 명령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외부 기기로부터 원격 제어 장치(200)와의 네트워크 세션 확립 및 유지를 위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외부 기기로부터 원격 제어 장치(200)와의 네트워크 세션 확립에 필요한 원격 제어 장치의 주소 정보 및 네트워크 세션 유지에 필요한 핑 인터벌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서는 이러한 정보를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와 다른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정보의 수신은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하거나, 원격 제어 장치와 다른 장치(예를 들어, 프리즌스(Presence)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원격 제어 장치(200)와 네트워크 세션을 확립한다. 구체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절전 모드로 전환되기 전에, 기수신된 원격 제어 장치의 주소 정보를 펌웨어(Firmware)에 전달하여 절전 모드 상태에서 원격 제어 장치(200)와 네트워크 세션을 확립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 세션이란 망 환경에서 두 장치 간의 논리적 연결로, 구현시에는 SSL(Secure Sockets Layer) 연결이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SSL 연결은 원격 제어 장치와 전자 장치 간의 데이터를 전송 계층에서 암호화하여 전송하는 통신 규약으로, TLS(Transport layer Security)라고도 불린다. 이러한 SSL 연결은 전송계층의 암호화 방식인바, HTTP뿐만 아니라 NNTP, FTP, XMPP 등 응용계층 프로토콜의 종류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서는 SSL 연결만을 네트워크 세션으로 이용하였지만, 구현시에는 다른 연결을 이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원격 제어 장치(200)와의 네트워크 세션을 유지한다. 구체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기수신된 핑 인터벌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절전 모드 상태인 경우에도, 지속적으로 원격 제어 장치(200)에 핑(ping)을 수행함으로써 확립된 네트워크 세션을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핑(ping)은 TCP/I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응용 프로그램으로 다른 호스트에 IP 데이터그램이 도착할 수 있는지를 검사하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핑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세션을 유지하는 것만을 설명하였지만, 네트워크 세션을 유지할 수 있는 기술이라면 핑 이외에 다른 것이 이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절전 모드인 경우에도, 후술할 제어부(150)의 제어 없이 자체적으로 동작하기 위하여 프로세서와 저장소자(예를 들어, EEPROM)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웨이크-업 명령을 수신하면,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노멀 모드로 전환한다. 구체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절전 모드인 경우에, 유지되는 네트워크 세션을 통하여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웨이크-업 명령을 수신하면, 수신된 웨이크-업 명령을 제어부(150, 구체적으로, 마이콤)에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전자 장치(100)에서 지원하는 각종 기능을 사용자가 설정 또는 선택할 수 있는 다수의 기능키를 구비하며, 전자 장치(100)에서 제공하는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터치 스크린과 같이 입력과 출력이 동시에 구현되는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키보드 및 마우스와 같은 입력 장치와 LCD와 같은 표시장치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컨텐츠를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저장부(130)에 기저장된 컨텐츠를 표시하거나,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계정 인증을 위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으며,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모드의 전환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가 절전 모드인 경우에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전원 차단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전자 장치(100)의 구동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30)는 전자 장치(100)의 구동시 필요한 각종 명령어의 집합인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그램은 특정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응용프로그램뿐만 아니라 응용프로그램을 구동시키기 위한 운영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이러한 저장부(130)는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가 절전 모드인 경우에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전원 차단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130)는 컨텐츠를 저장한다. 그리고 저장부(13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하여 수신한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13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네트워크 세션 주소(예를 들어, SSL 주소) 정보, 핑 인터벌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저장부(130)가 네트워크 세션 정보 및 핑 인터벌 정보를 저장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10) 내의 저장 소자에 상기 정보가 저장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130)는 전자 장치(100) 내의 저장매체 및 외부 저장 매체, 예를 들어, USB 메모리를 포함한 Removable Disk, 네트워크를 통한 웹서버(Web serve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부(140)는 전자 장치(100)에 대한 홈싱크 서비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홈싱크 서비스는 사용자 계정에 등록된 장치들에서 공유해 놓은 컨텐츠를 자유롭게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이다. 따라서, 클라이언트부(140)는 전자 장치(100)에 저장된 컨텐츠에 대해서 외부 기기에 제공할 수 있으며, 반대로, 외부 기기에 저장된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클라이언트부(140)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노멀 모드인 경우에 동작한다. 즉,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가 절전 모드인 경우에 클라이언트부(140)는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전원 차단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전자 장치(100) 내의 각 구성에 대한 제어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결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의 입력이 없는 경우, 기설정된 시간 동안 작업이 수행되지 않은 경우가 발생한 경우 또는 사용자로부터 절전 모드로의 전환 명령을 수신한 경우, 제어부(150)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절전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절전 모드 시에 사용자로부터 웨이크-업 명령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하여 수신하거나,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하여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웨이크-업-명령을 수신하면, 제어부(150)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노멀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결정된 동작 모드에 대응되게 전자 장치(100)의 각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절전 모드로 변경되면, 제어부(150)는 기설정된 구성만이 동작하도록 저장부(130) 및 클라이언트부(140)는 동작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절전 모드로의 전환 전에, 제어부(150)는 원격 제어 장치(100)와의 네트워크 세션이 확립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노멀 모드로 변경되면, 절전 모드시에 동작하지 않은 구성들이 웨이크-업 되도록 전자 장치(100) 내의 각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전환되면,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전환되었음이 원격 제어 장치(200)에 통지하고, 홈싱크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클라이언트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절전 모드로 진입하기 전에 원격 제어 장치(200)와 네트워크 세션을 형성하고, 절전 모드가 진입되어도 형성된 네트워크 세션을 유지하는바, 절전 모드인 상태에서도 방화벽 외부의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웨이크-업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원격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20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2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 저장부(230), 인증부(240), 홈싱크 관리부(250) 및 제어부(26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원격 제어 장치(200)는 인터넷 망에 연결 가능한 PC, 노트북, 서버 등일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원격 제어 장치(200)를 외부 기기(미도시)에 연결하기 위해 형성되고,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및 인터넷망을 통해 외부 장치에 접속되는 형태뿐만 아니라, 무선 통신(예를 들어, GSM, UMTS, LTE, WiBRO 등의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서 접속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기기는 도 1의 전자 장치(100)이거나 도 1의 전자 장치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다른 전자 장치일 수도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외부 기기와 컨텐츠를 송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외부 기기로부터 컨텐츠 제공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제공 명령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외부 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외부 기기에 컨텐츠 제공 명령을 송신하고, 송신된 제공 명령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원격 제어 장치(200)가 직접 컨텐츠를 송수신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두 전자 장치 간의 컨텐츠 전송에 대한 중계만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1 전자 장치로부터의 컨텐츠 요청에 대응하여, 제2 전자 장치에 상기 요청에 대응되는 컨텐츠가 제1 전자 장치에 전송되도록 제2 전자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는 원격 제어 장치를 통하지 않고, 제2 전자 장치에서 제1 전자 장치에 직접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전자 장치(100)에 네트워크 세션 확립 및 유지를 위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전자 장치(100)와의 네트워크 세션 확립에 필요한 원격 제어 장치의 주소 정보 및 네트워크 세션 유지에 필요한 핑 인터벌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원격 제어 장치(200)가 이러한 정보를 전자 장치(100)에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 이러한 정보의 전송은 원격 제어 장치가 아닌 다른 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전자 장치(100)와의 네트워크 세션을 확립한다. 구체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네트워크 세션 확립 요청을 수신하면, 전자 장치와의 네트워크 세션을 확립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 세션이란 망 환경에서 두 장치 간의 논리적 연결로, SSL(Secure Sockets Layer) 연결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전자 장치(100)와의 네트워크 세션을 유지한다. 구체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기설정된 주기마다 핑을 수신하면, 전자 장치(100)와의 네트워크 세션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외부 기기로부터 전자 장치(100)의 웨이크-업 요청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이러한 요청에 대응하여, 유지된 네트워크 세션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에 웨이크-업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연결된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연결된 전자 장치(100)의 장치 정보, 동작 상태 정보 등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인증에 필요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인증에 필요한 정보는 계정 및 계정의 암호 등일 수 있다. 여기서 계정은 이메일 주소, ID 등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일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는 원격 제어 장치(200)에서 지원하는 각종 기능을 사용자가 설정 또는 선택할 수 있는 다수의 기능키를 구비하며, 원격 제어 장치(200)에서 제공하는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는 터치 스크린과 같이 입력과 출력이 동시에 구현되는 장치로 구현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키보드와 마우스와 같은 입력 장치와 LCD 등과 같은 표시 장치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는 원격 제어 장치(200)에 연결된 전자 장치의 정보를 표시한다. 이때,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는 연결된 전자 장치 각각의 상태 정보 및 연결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저장부(230)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구동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저장부(230)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구동시 필요한 각종 명령어의 집합인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그램은 특정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응용프로그램뿐만 아니라 응용프로그램을 구동시키기 위한 운영 프로그램(OS)을 포함한다.
그리고 저장부(230)는 컨텐츠를 저장한다. 그리고 저장부(23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하여 수신한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컨텐츠를 원격 제어 장치(200)가 저장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이러한 정보는 외부 서버 또는 다른 전자 장치에서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230)는 사용자 계정 정보를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저장부(220)는 전자 장치(100)의 인증 요청에 대응한 인증을 위한 계정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계정 정보는 계정, 계정의 암호, 계정에 속한 장치 정보, 및 계정에 속한 장치 각각의 연결 상태 정보 등일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이러한 정보를 원격 제어 장치(200)가 저장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 이러한 정보는 외부 서버에 저장될 수 있으며, 하나의 외부 서버가 아니라 복수의 외부 서버가 상기 정보들을 분산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30)는 원격 제어 장치(200) 내의 저장매체 및 외부 저장 매체, 예를 들어, USB 메모리를 포함한 Removable Disk, 네트워크를 통한 웹서버(Web serve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인증부(240)는 전자 장치(100)의 인증 요청에 대응하여 기저장된 사용자 계정 정보와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홈싱크 관리부(250)는 홈싱크 서비스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계정에 등록된 복수의 전자 장치 간에 컨텐츠가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도록, 복수의 전자 장치 각각의 연결을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홈싱크 관리부(250)는 사용자 계정에 등록된 복수의 전자 장치 중 절전 모드인 전자 장치에 대한 웨이크-업 명령이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면, 해당 전자 장치에 대한 웨이크-업 명령이 송신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원격 제어 장치(200) 내의 각 구성에 대한 제어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60)는 인증된 전자 장치(100)가 절전 모드로 진입하는 경우에 네트워크 세션이 확립되도록, 네트워크 세션 확립에 필요한 정보가 전자 장치(100)에 전송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60)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네트워크 세션의 확립 요청이 수신되면, 전자 장치(100)와의 네트워크 세션이 확립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기기로부터 전자 장치(100)에 대한 웨이크-업 요청을 수신하면, 제어부(260)는 전자 장치(100)에 웨이크-업 명령이 전송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60)는 원격 제어 장치(200)에 복수의 전자 장치가 연결되면, 연결된 복수의 전자 장치에 대한 홈싱크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홈싱크 관리부(2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200)는 전자 장치가 절전 모드로 진입하더라도 전자 장치와 네트워크 세션을 유지하는바, 방화벽 외부의 전자 장치에 웨이크-업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이상과 같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전자 장치 및 원격 제어 장치는 홈싱크(homesync)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홈싱크 시스템 및 홈싱크 시스템에 적용된 본원의 전자 장치 및 원격 제어 장치에 대한 동작을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7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네트워크 세션으로 SSL 연결을 이용하는 것을 한정하여 설명한다.
홈싱크 시스템은 복수의 전자 장치 간의 컨텐츠 공유 등을 위하여 별도의 서버가 복수의 전자 장치의 상태 파악 및 복수의 전자 장치간의 데이터 패스를 생성하는 시스템이다.
홈싱크 서비스에서 사용자는 계정을 만들고, 홈싱크 서버에 사용중인 장치를 등록할 수 있으며, 제1 전자 장치 내의 미디어 컨텐츠 파일을 공유해 놓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이 수행되어 있는 경우, 제2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는 홈싱크 서버를 통한 로그인 과정을 통하여 제1 전자 장치 내의 미디어 컨텐츠 파일을 이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홈싱크 서버에 대한 로그인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서버(300, 프레즌스, 500)와 연결된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와 복수의 서버(300, 프레즌스, 500) 사이에는 방화벽(10)이 위치한다.
계정 서버(account Server, 300)는 사용자에 대한 계정 정보를 저장하고, 연결을 요청한 전자 장치(100)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따라서, 전자 장치(100)는 동작 모드가 노멀 모드인 경우에, 사용자로부터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인증 정보를 계정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계정 서버(300)는 인증된 사용자에 대해서 홈싱크 서비스 이용시에 사용될 액세스토큰(accessToken)을 인증된 전자 장치에 전송한다.
프리즌스 서버(Presence Server 프레즌스)는 홈싱크 서비스에 연결된 전자 장치의 연결 상태(connected/disconnected)를 관리하는 서버로, 연결 상태가 업데이트되면, 연결 상태가 업데이트된 전자 장치에 대한 이벤트를 수신하기를 원하는 장치에 연결 상태의 변화를 이벤트로 알려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로그인된 제1 전자 장치의 연결 상태를 받기 원하는 다른 전자 장치(즉, 사용자의 다른 전자 장치)에 제1 전자 장치가 연결되었음을 통지할 수 있다.
그리고 프리즌스 서버(프레즌스)는 로그인 된 전자 장치(100)에 대해서 SPP 서버(Samsung Push Server)의 IP 주소와 핑 인터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 포털 서버(User Portal Server 500)는, 홈싱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 사용자 계정에 등록된 장치에 대한 정보 및 상태를 관리한다.
사용자는 홈싱크 서비스를 이용하여 자신이 등록한 장치에서 공유해 놓은 데이터 및 미디어 컨텐츠들을 홈싱크가 설치된 장치에서 언제든지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다만, 등록 장치가 꺼져있거나, 절전 상태인 경우, 사용자는 필요한 데이터를 이용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절전 상태인 장치를 웨이크-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절전 모드로 전환되면, 전자 장치(100)와 원격 제어 장치(200)와의 SSL 연결을 확립함으로써, 전자 장치(100)가 절전 상태인 경우에도 원격 제어 장치(200)가 전자 장치(100)를 웨이크-업 할 수 있도록 한다. SSL 연결을 확립하는 동작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절전 모드로 전환되면, 원격 제어 장치(100)와 SSL 연결을 확립한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앞선 도 5의 로그인 과정에서 수신된 SSL 주소 정보(SSL 서버의 IP 주소)를 이용하여 원격 제어 장치(또는 원격 제어 서버)와의 SSL 연결을 확립할 수 있다.
그리고 SSL 연결이 확립된 이후에, 전자 장치(100)는 동작 모드를 절전 모드로 전환하고, 절전 모드인 상태에서 원격 제어 장치(200)와의 SSL 연결이 유지되도록 주기적으로 Ping을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전자 장치(100)와 원격 제어 장치(200) 간에 SSL 연결이 확립된 이후에 전자 장치(100)의 웨이크-업 동작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 전자 장치(20)는 사용자 포털 서버(500)에 제1 전자 장치(100)의 웨이크-업을 요청한다. 여기서 제2 전자 장치(20)는 제1 전자 장치(100)와 동일한 계정에 등록된 장치로 계정에 로그인되어 있는 상태이다.
웨이크-업 요청을 수신한 사용자 포털 서버(500)는 원격 제어 장치(200)에 웨이크-업 요청 사실을 통지하고, 원격 제어 장치(200)는 웨이크-업 명령을 유지된 SSL을 통하여 전달한다.
원격 제어 장치(200)와 전자 장치(100)는 SSL로 연결되어 있는바, 방화벽(10)에 영향 없이 데이터(구체적으로, 웨이크-업 명령)를 송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원격 제어 장치(200)에서 전송된 웨이크-업 명령은 방화벽에 불구하고 전자 장치(100)에 전달된다.
웨이크-업 명령을 수신하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노멀 모드로 전환한다.
이상과 같은 도 5 내지 도 7의 동작을 하나의 도면으로 정리하면 도 8과 같다. 한편, 도 5 내지 도 7을 설명함에 있어서,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절전 모드로 전환된 이후에 전자 장치(100)가 원격 제어 장치와 SSL 연결을 확립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 SSL 연결 확립은 전자 장치(100)가 절전모드로 전환되기 전에 수행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100)와 원격 제어 장치 간에 SSL 연결이 확립된 이후에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절전 모드로 전환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도 8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전자 장치(100-1)에 자신의 계정 정보를 입력하고(S801), 클라이언트부(140)는 계정 정보를 계정 서버(300)에 전송하여 인증을 수행한다(S803). 이때, 계정 서버(300)는 인증된 사용자에 대해서 액세스토큰(accessToken)을 전송한다(S805). 이와 같은 동작은 사용자의 다른 전자 장치(100-2)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S807, S809, S811)
사용자가 제1 전자 장치(100-1)에 대한 사용을 수행하지 않아, 제1 전자 장치(100-1)의 동작 모드를 절전 모드로 전환하는 것으로 결정하면(S813), 제1 전자 장치(100-1)의 클라이언트부(140-1)는 프리즌스 서버(프레즌스)에 동작 모드가 전환됨을 통지하고(S817), 프리즌스 서버(프레즌스)는 제1 전자 장치(100-1)의 동작 모드의 전환을 제2 전자 장치(100-2)에 통지할 수 있다. 한편, 클라이언트부(140-1)와 프리즌스 서버(440) 간의 네트워크 세션이 끊기면, 프리즌스 서버(프레즌스)는 제1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절전 모드로 전환된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S815).
그리고 제1 전자 장치(100-1)의 동작 모드를 절전 모드로 전환하는 것으로 결정하면, 제1 전자 장치(100-1)는 동작 모드를 절전 모드로 전환하고(S819), 제1 전자 장치(100-1)의 통신 인터페이스부(110-1)는 원격 제어 장치(200)에 SSL 연결을 확립한다(S821). 한편, 구현시에 전환 동작과 SSL 연결 확립 동작의 순서는 바뀔 수 있다.
동작 모드가 절전 모드로 전환된 제1 전자 장치(100-1)의 클라이언트부(140-1)는 더 이상 동작하지 않고, 통신 인터페이스부(110-1)만이 기설정된 주기 마다 원격 제어 장치(200)에 핑(ping)을 수행하여 SSL 연결을 유지한다(S823)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2 전자 장치(100-2)가 제1 전자 장치(100-1)에 저장된 컨텐츠를 수신받기 원하면(S825), 제2 전자 장치(100-2)의 통신 인터페이스부(110-2)는 제1 전자 장치(100-1)가 웨이크-업 될 수 있도록, 사용자 포털 서버(500)에 제1 전자 장치(100-1)의 웨이크-업을 요청하고(S827), 사용자 포털 서버(500)는 원격 제어 장치(200)에 제1 전자 장치(100-1)에 대한 웨이크-업을 요청한다(S829).
웨이크-업을 요청받은 원격 제어 장치(200)는 유지된 SSL 연결을 통하여 제1 전자 장치(100-1)의 통신 인터페이스부(110-1)에 웨이크-업 명령을 전송한다(S831). 웨이크-업 명령을 수신한 통신 인터페이스부(110-1)는 제1 전자 장치(100-1)의 동작 모드가 노멀 모드로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S833).
제1 전자 장치(100-1)의 동작 모드가 노멀 모드로 전환되면, 제1 전자 장치(100-1)와 원격 제어 장치(200) 간의 SSL 연결은 끊을 수 있다(S835).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동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가 절전 모드로 전환할 필요가 있는지 판단한다(S910).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이 기설정된 시간 동안 없거나, 수행중이 작업이 없는 경우에는 동작 모드를 절전 모드로 전환할 필요가 있음을 결정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를 전환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면,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를 절전 모드로 전환한다(S920).
그리고 동작 모드가 절전 모드로 전환되면, 원격 제어 장치와 네트워크 세션을 확립한다(S930). 구체적으로, 기저장된 원격 제어 장치의 IP 주소를 이용하여, 원격 제어 장치와의 SSL(Secure Sockets Layer) 연결을 확립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동작 모드를 전환한 이후에 네트워크 세션을 확립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네트워크 세션을 확립한 이후에 동작 모드를 절전 모드로 전환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가 절전 모드로 전환되더라도,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전원이 공급되고 자체적인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동작하는바, 기설정된 주기 단위로 원격 제어 장치(200)에 PING 신호(heartbeat)를 보낼 수 있다. 이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와의 확립된 네트워크 세션을 유지할 수 있다.
동작 모드가 절전 모드인 상태에서, 웨이크-업 명령을 수신하면(S940), 동작 모드를 절전 모드에서 노멀 모드로 전환한다(S950). 구체적으로, 유지된 네트워크 세션을 통하여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웨이크-업 명령을 수신하면,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노멀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동 제어 방법은 절전 모드로 진입하기 전에 원격 제어 장치(200)와 네트워크 세션을 형성하고, 절전 모드가 진입되어도 형성된 네트워크 세션을 유지하는바, 절전 모드인 상태에서도 방화벽 외부의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웨이크-업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도 9와 같은 구동 제어 방법은 도 3의 구성을 가지는 전자 장치상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그 밖의 구성을 가지는 전자 장치상에서도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전자 장치의 구동 제어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실행가능한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고, 상기 프로그램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의 구동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 전자 장치의 요청에 의하여, 제1 전자 장치와의 네트워크 세션을 확립한다(S1010).
이후에,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제1 전자 장치에 대한 웨이크-업 요청을 수신하면(S1020), 확립된 제1 전자 장치와의 네트워크 세션을 통하여 제1 전자 장치에 웨이크-업 명령을 송신한다(S1030).
이상과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의 구동 제어 방법은, 전자 장치가 절전 모드로 진입하더라도 전자 장치와 네트워크 세션을 유지하는바, 방화벽 외부의 전자 장치에 웨이크-업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도 10과 같은 구동 제어 방법은 도 4의 구성을 가지는 원격 제어 장치상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그 밖의 구성을 가지는 원격 제어 장치상에서도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의 구동 제어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실행가능한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고, 상기 프로그램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 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0: 전자 시스템 100: 전자 장치
110: 통신 인터페이스부 12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30: 저장부 140: 클라이언트부
150: 제어부 200: 원격 제어 장치
210: 통신 인터페이스부 22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230: 저장부 240: 인증부
250: 홈싱크 관리부 260: 제어부

Claims (21)

  1. 원격 제어 장치와 연결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를 절전 모드로 전환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가 절전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원격 제어 장치와 네트워크 세션을 확립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가 절전 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원격 제어 장치와 네트워크 세션을 유지하고, 상기 유지된 네트워크 세션을 통하여 웨이크-업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를 노멀 모드로 전환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세션은 SSL(Secure Sockets Layer) 연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 사이에는 공유기(Wireless router/switch), 라우터(router) 및 방화벽(firewall) 중 적어도 하나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기설정된 주기 단위로 상기 원격 제어 장치에 Ping신호(heartbeat)를 보내어 네트워크 세션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외부 기기로부터 핑(Ping) 인터벌 정보를 수신하여 기저장하고, 상기 기저장된 핑 인터벌 정보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세션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가 절전 모드인 경우에 전원 차단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가 절전 모드인 경우에도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전원 공급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컨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를 경유하여 외부 기기에 상기 저장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세션 주소를 수신하여 기저장하고, 상기 기저장된 네트워크 세션 주소에 따라 상기 원격 제어 장치와 네트워크 세션을 확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장치는,
    사용자 계정에 등록된 복수의 전자 장치 간에 컨텐츠를 공유시키는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0. 복수의 전자 장치와 연결되는 원격 제어 장치에 있어서,
    제1 전자 장치와 네트워크 세션을 확립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제1 전자 장치에 대한 웨이크-업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확립된 제1 전자 장치와의 네트워크 세션을 통하여 상기 제1 전자 장치에 웨이크-업 명령을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원격 제어 장치.
  11. 원격 제어 장치와 연결되는 전자 장치의 구동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를 절전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원격 제어 장치와 네트워크 세션을 확립하는 단계;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가 절전 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원격 제어 장치와 네트워크 세션을 유지하는 단계; 및
    상기 유지된 네트워크 세션을 통하여 웨이크-업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를 노멀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동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세션은 SSL(Secure Sockets Layer) 연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제어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 사이에는 공유기(Wireless router/switch), 라우터(router) 및 방화벽(firewall) 중 적어도 하나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제어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하는 단계는,
    기설정된 주기 단위로 상기 원격 제어 장치에 Ping신호(heartbeat)를 보내어 네트워크 세션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제어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외부 기기로부터 핑(Ping) 인터벌 정보를 수신하여 기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지하는 단계는, 상기 기저장된 핑 인터벌 정보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세션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제어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절전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구성을 제외한 전자 장치의 나머지 구성에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제어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장치를 경유하여 외부 기기에 상기 전자 장치에 기저장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제어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세션 주소를 수신하여 기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확립하는 단계는,
    상기 기저장된 네트워크 세션 주소에 따라 상기 원격 제어 장치와 네트워크 세션을 확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제어 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장치는,
    사용자 계정에 등록된 복수의 전자 장치 간에 컨텐츠를 공유시키는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제어 방법.
  20. 복수의 전자 장치와 연결되는 원격 제어 장치의 구동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1 전자 장치와 네트워크 세션을 확립하는 단계;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제1 전자 장치에 대한 웨이크-업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확립된 제1 전자 장치와의 네트워크 세션을 통하여 상기 제1 전자 장치에 웨이크-업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동 제어 방법.
  21. 원격 제어 장치와 연결되는 전자 장치의 구동 제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를 절전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원격 제어 장치와 네트워크 세션을 확립하는 단계;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가 절전 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원격 제어 장치와 네트워크 세션을 유지하는 단계; 및
    상기 유지된 네트워크 세션을 통하여 웨이크-업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를 노멀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0130130970A 2013-07-22 2013-10-31 전자 장치, 원격 제어 장치, 구동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2015001173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1784A KR102194198B1 (ko) 2013-07-22 2014-05-22 원격으로 제어가능한 전자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시스템
US14/337,848 US9497030B2 (en) 2013-07-22 2014-07-22 Remotely controllable electronic device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PCT/KR2014/006649 WO2015012567A1 (en) 2013-07-22 2014-07-22 Remotely controllable electronic device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856875P 2013-07-22 2013-07-22
US61/856,875 2013-07-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1737A true KR20150011737A (ko) 2015-02-02

Family

ID=5248807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0970A KR20150011737A (ko) 2013-07-22 2013-10-31 전자 장치, 원격 제어 장치, 구동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0140061784A KR102194198B1 (ko) 2013-07-22 2014-05-22 원격으로 제어가능한 전자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1784A KR102194198B1 (ko) 2013-07-22 2014-05-22 원격으로 제어가능한 전자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50011737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4493B1 (ko) * 2015-10-19 2016-12-08 주식회사 에스원 무선 감지기 및 그 제어 방법
US9813984B2 (en) 2015-09-04 2017-11-07 Fci Inc Method of saving power of station in wireless network
US9961640B2 (en) 2015-09-04 2018-05-01 Fci Inc Communication system and IoT system
KR20180048028A (ko) * 2016-11-02 2018-05-10 주식회사 에스원 보안 시스템의 무선 센서 시스템 연동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센서 시스템
WO2019151677A1 (ko) * 2018-02-05 2019-08-08 삼성전자(주)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0681638B2 (en) 2015-09-04 2020-06-09 Dialog Semiconductor Korea Inc. Communication system and IoT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27014B2 (en) * 2005-08-08 2013-09-03 Qualcomm Incorporated Sleep mode f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during out of service operation
US8369254B2 (en) * 2007-06-28 2013-02-05 Intel Corporation Network interface apparatus
US8750145B2 (en) * 2009-11-23 2014-06-10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registration
US8566625B2 (en) * 2011-07-01 2013-10-22 Inte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transmitting frequency to maintain remote application server connectivity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13984B2 (en) 2015-09-04 2017-11-07 Fci Inc Method of saving power of station in wireless network
US9961640B2 (en) 2015-09-04 2018-05-01 Fci Inc Communication system and IoT system
US10045295B2 (en) 2015-09-04 2018-08-07 Fci Inc Method of saving power of station in wireless network
US10681638B2 (en) 2015-09-04 2020-06-09 Dialog Semiconductor Korea Inc. Communication system and IoT system
KR101684493B1 (ko) * 2015-10-19 2016-12-08 주식회사 에스원 무선 감지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48028A (ko) * 2016-11-02 2018-05-10 주식회사 에스원 보안 시스템의 무선 센서 시스템 연동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센서 시스템
WO2019151677A1 (ko) * 2018-02-05 2019-08-08 삼성전자(주)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1500441B2 (en) 2018-02-05 2022-11-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11693469B2 (en) 2018-02-05 2023-07-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1754A (ko) 2015-02-02
KR102194198B1 (ko) 2020-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97030B2 (en) Remotely controllable electronic device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2194198B1 (ko) 원격으로 제어가능한 전자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시스템
EP2557825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forming wi-fi p2p group using Wi-Fi Direct
US20120278636A1 (en) Remote wake mechanism for a network system and remote wake method thereof
KR101830940B1 (ko) Wifi 설정 포팅
US20100169677A1 (en) Remotely Powering On-Off Network Devices via a Network Interface Device
JP2007104310A (ja) ネットワーク装置、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鍵更新方法
KR102246945B1 (ko) 저전력으로 원격 제어 가능한 전자 장치와 그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원격 제어 방법
JP6193185B2 (ja) 通信装置、端末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9199283A (ja) 情報処理装置
US11758401B2 (en) Network services in a mesh network
KR20150042643A (ko) Vdi 환경에서 가상 서버와 접속을 위한 단말 장치 및 방법
US11750500B1 (en) Upgrading meshnet connections in a mesh network
JP2019068204A (ja) 通信装置と端末装置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552303B2 (ja) 通信装置および中継装置およびそれら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US11929983B1 (en) Enabling partial access to a local area network via a meshnet device
US11929908B1 (en) Accessing local network devices via mesh network devices
US20230319594A1 (en) Optimizing meshnet connections in a mesh network
JP6180996B2 (ja) 画像形成装置
US2015016313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ctivating apparatus, activating system, and activating method
US11799830B2 (en) Access control in a mesh network
US11863618B2 (en) Status management in a mesh network
US11831604B1 (en) Optimizing access to local network devices via mesh network devices
JP2011039770A (ja) 省電力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1081622A (ja) 電源管理システム、電源管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電源管理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