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3632B1 - 파각란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파각란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3632B1
KR102193632B1 KR1020200064199A KR20200064199A KR102193632B1 KR 102193632 B1 KR102193632 B1 KR 102193632B1 KR 1020200064199 A KR1020200064199 A KR 1020200064199A KR 20200064199 A KR20200064199 A KR 20200064199A KR 102193632 B1 KR102193632 B1 KR 1021936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king
egg
support shaft
support shafts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4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인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양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3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36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3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a single impulsive force, e.g. by falling weight
    • G01N3/307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a single impulsive force, e.g. by falling weight generated by a compressed or tensile-stressed spring; generated by pneumatic or hydraul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3/00Testing, sorting or cleaning eggs ; Conveying devices ; Pick-up devices
    • A01K43/04Grading eggs
    • A01K43/10Grading and stamp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2Food
    • G01N33/08Eggs, e.g. by candl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3Generation of the force
    • G01N2203/0032Generation of the force using mechanical means
    • G01N2203/0035Spr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58Kind of property studied
    • G01N2203/006Crack, flaws, fracture or rupture
    • G01N2203/0062Crack or flaw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격대가 계란을 타격한 다음에 감지되는 반발력을 이용하여 균열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므로 정확하고 신속하게 균열의 감지가 가능하고 구조가 단순하게 이루어지는 파각란 검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파각란 검출장치는 계란을 이송하는 이송컨베이어의 위쪽에 배치되어 설치되는 프레임과, 프레임에 간격을 두고 폭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되는 복수의 타격지지축과, 간격을 두고 타격지지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반발감지센서가 설치되는 복수의 타격대와, 타격대를 타격지지축에 회전가능하게 고정하고 한쪽에 타격안내돌기가 형성되는 타격조립부재와, 타격대의 끝단부가 이송컨베이어쪽으로 가까워지도록 힘을 가하는 복수의 탄성부재와, 타격지지축과 간격을 두고 프레임에 설치되는 복수의 회전지지축과, 회전지지축에 설치되고 타격안내돌기와 접하여 타격대가 회전하는 것을 일정 각도 범위에서 제한하는 복수의 타격안내부재와, 프레임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여 회전지지축을 회전시키는 동력전달장치와, 반발감지센서에서 감지된 반발력을 설정된 반발력과 비교하여 균열의 발생여부를 판단하여 출력하는 중앙처리장치와,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출력되는 균열 발생 계란의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파각란 검출장치 {Cracked Egg Detection Device}
본 발명은 파각란 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계란을 타격한 다음에 감지되는 반발력을 이용하여 균열의 발생 여부를 확인하므로 정확하고 신속하게 균열의 감지가 가능한 파각란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계장에서 하루 생산되는 계랸의 양은 대략 수백판에서 수천판에 이르므로, 계란에 균열(금)이 있는지를 하나하나 육안으로 검사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그리고, 대부분의 양계장에서는 계란의 수거로부터 세척, 검사, 포장 등의 공정을 자동화하여 인력을 절감하고 생산효율을 높이고 있다.
최근에는 자동화 공정의 컨베이어를 따라 이동하는 계란을 하나하나 타격하며 타격음을 분석하여 균열이 있는 계란(파각란)을 검사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제공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79401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22992호, 제10-2011-0021470호, 일본 등록특허공보 제4182476호, 등에는 계란을 타격하여 발생하는 음파를 이용하여 파각란을 검출하는 기술들이 공개되어 있다.
종래 음파를 이용하여 파각란을 검출하는 기술들에 있어서는 계란을 타격하는 타격구 근처에 타격된 계란에서 나는 음파를 수집하는 음파수집기기를 별도로 설치하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모든 계란에 대해 타격 검사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설치공간이 부족하다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음파를 이용하여 파각란을 검출하는 기술들의 경우에는 수집하는 음파에 주변의 소음(기계장치의 소음 등)이 혼입되어 검출의 정확성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에 조감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타격대가 계란을 타격한 다음에 감지되는 반발력을 이용하여 균열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므로 정확하고 신속하게 균열의 감지가 가능하고 구조가 단순하게 이루어지는 파각란 검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각란 검출장치는 다수의 계란을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의 열로 배열된 상태로 이송하는 이송컨베이어의 위쪽에 배치되어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상기 이송컨베이어에 적재되어 이송되는 계란의 이송방향 전후 간격에 대응되는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이송컨베이의 폭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되는 복수의 타격지지축과, 상기 이송컨베이어에 적재되어 이송되는 계란의 좌우 간격에 대응되는 간격을 두고 상기 타격지지축에 배치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끝단부에는 계란과 충돌후의 반발력을 감지하는 반발감지센서가 설치되는 복수의 타격대와, 상기 타격대를 각각 상기 타격지지축에 회전가능하게 고정하고 한쪽에 타격안내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타격조립부재와, 상기 타격대의 끝단부가 상기 이송컨베이어쪽으로 가까워지도록 각각 힘을 가하는 복수의 탄성부재와, 상기 타격지지축과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복수의 회전지지축과, 상기 타격지지축에 설치되는 타격대에 각각 대응하도록 상기 회전지지축에 설치되고 상기 타격조립부재의 타격안내돌기와 접하여 상기 타격대의 끝단부가 이송컨베이어쪽으로 가까워지도록 회전하는 것을 일정 각도 범위에서 제한하는 복수의 타격안내부재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회전지지축을 회전시키는 동력전달장치와, 상기 반발감지센서에서 감지된 반발력을 설정된 반발력과 비교하여 균열의 발생여부를 판단하여 출력하는 중앙처리장치와, 상기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출력되는 균열 발생 계란의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타격지지축과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상기 탄성부재의 끝단부가 고정되는 탄성고정대를 더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여부를 제어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복수의 타격지지축 중에서 홀수번째 행(홀수행)에 위치하는 타격지지축에는 계란의 중앙부 양쪽을 타격하도록 타격대를 설치하고, 짝수번째 행(짝수행)에 위치하는 타격지지축에는 계란의 양쪽 끝부분쪽을 타격하도록 타격대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타격지지축은 계란이 회전하면서 이송될 때에 하나의 계란에 대하여 서로 다른 복수의 지점을 타격하도록 복수개의 행을 하나의 세트로 구성하여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각란 검출장치에 의하면, 타격대가 계란에 충돌하면 발생하는 반발력을 감지하여 균열의 발생여부를 감지하므로, 주변의 소음에 영향을 받지 않아 확실하게 균열이 발생한 파각란을 구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각란 검출장치에 의하면, 하나의 계란에 대하여 복수의 지점을 타격하여 균열 여부를 감지하도록 이루어지므로, 계란의 한쪽에 발생한 미세한 균열도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포장되는 계란의 품질을 높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각란 검출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각란 검출장치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각란 검출장치에 있어서, 중앙처리장치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각란 검출장치에 있어서, 타격지지축에 타격대를 설치한 일예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각란 검출장치에 있어서, 타격대의 타격작동을 나타내는 부분확대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각란 검출장치에 있어서, 타격대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저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각란 검출장치에 있어서, 구동모터와 동력전달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모듈(MODULE)이란 용어는 특정한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하나의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디든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파각란 검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가지 다양한 형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밀접한 관계가 없는 부분은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으며, 발명의 설명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반복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각란 검출장치는, 도 1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10)과, 복수의 타격지지축(20)과, 타격대(30)와, 타격조립부재(40)와, 탄성부재(50)와, 회전지지축(24)과, 타격안내부재(60)와, 구동모터(70)와, 동력전달장치(80)와, 중앙처리장치(90)와, 표시장치(9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은 다수의 계란(8)을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의 열로 배열된 상태로 이송하는 이송컨베이어(2)의 위쪽에 배치되어 설치된다.
상기 이송컨베이어(2)에는 계란(8)이 각각 하나씩 분리되어 안착되는 안착공간을 형성하는 복수의 안착롤러(4)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에서 계란(8)은 진행방향 앞뒤에 이웃하여 위치하는 안착롤러(4)의 사이에 형성되는 안착공간에 하나씩 적재된 상태로 이송된다.
상기 이송컨베이어(2) 및 안착롤러(4)는 계란의 이송에 사용되는 공개된 이송컨베이어의 다양한 구조를 적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은 사각상자형상으로 형성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프레임(10)은 상기 이송컨베이어(2)의 위쪽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상태로 고정 설치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에는 계란(8)의 이송방향으로 길게 복수의 축지지벽(14)을 수직한 방향으로 세워서 설치한다.
상기 복수의 축지지벽(14)에는 상기 타격지지축(20), 회전지지축(24), 동력전달장치(80)의 회전축 등의 끝단부가 지지된다.
상기 프레임(10)의 상면에는 덮개판(12)을 설치하여 이물질이 타격대(30)나 이송컨베이어(2) 쪽으로 낙하하여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10)의 계란(8)의 이송방향 앞쪽과 뒤쪽에는 상기 축지지벽(14)의 양단부가 연결 고정되는 측벽(16)이 상기 덮개판(12)으로부터 세워지는 상태로 설치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타격지지축(20)은 상기 프레임(10)에 양쪽 끝단부가 고정된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타격지지축(20)은 상기 프레임(10)에 이송컨베이어(2)의 폭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된다.
상기 타격지지축(20)은 상기 이송컨베이어(2)에 적재되어 이송되는 계란(8)의 이송방향 전후 간격에 대응되는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설치된다.
도 1 내지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타격대(30)는 상기 이송컨베이어(2)에 적재되어 이송되는 계란(8)의 좌우 간격에 대응되는 간격을 두고 상기 타격지지축(20)에 배치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복수의 타격지지축(20) 중에서 홀수번째 행(홀수행)에 위치하는 타격지지축(20)에는 계란(8)의 중앙부 양쪽을 타격하도록 타격대(30)를 설치하고, 짝수번째 행(짝수행)에 위치하는 타격지지축(20)에는 계란(8)의 양쪽 끝부분쪽을 타격하도록 타격대(30)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홀수행의 타격지지축(20)에는 하나의 계란(8)을 기준으로 중앙부를 중심으로 양쪽에서 각각 타격하도록 2개를 한쌍으로 타격대(30)를 설치한다.
상기에서 홀수행의 타격지지축(20)에는 하니의 계란(8)을 기준으로 중앙부분에 1개의 타격대(30)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짝수행의 타격지지축(20)에는 하나의 계란(8)을 기준으로 양족 끝부분쪽을 타격하도록 2개를 한쌍으로 타격대(30)를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타격대(30)를 설치하면, 홀수행과 짝수행을 통과하면서 총 4개의 타격대(30)가 하나의 계란(8)을 중앙부를 중심을 양쪽의 대칭되는 위치 총 4곳을 타격하게 된다.
상기 타격지지축(20)은 계란(8)이 회전하면서 이송될 때에 하나의 계란(8)에 대하여 서로 다른 복수의 지점을 타격하도록 복수개의 행을 하나의 세트로 구성하여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타격지지축(20)을 홀수행과 짝수행을 한조로 하여 총 6개의 조, 즉 총 12개의 타격지지축(20)을 설치하면, 계란(8)이 이송컨베이어(2)를 통하여 회전하면서 이송될 때에 60도 간격으로 6곳의 다른 지점을 타격하여 균열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타격지지축(20)과 타격대(30)를 구성하면, 하나의 계란(8)에 대하여 충분히 많은 지점(총 24곳)에 대하여 검사가 이루어지므로, 미세하게 균열이 발생한 계란(8)도 보다 확실하게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계란(8)의 특정한 몇 지점만을 검사하는 경우에는 미세한 균열이 발생한 경우 이를 감지하지 못할 우려가 높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타격대(30)는 각각 상기 타격조립부재(40)를 통하여 상기 타격지지축(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타격조립부재(40)는 상기 타격지지축(20)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타격조립부재(40)의 한쪽에는 상기 타격대(30)의 고정측 끝단부가 고정된다.
상기 타격대(30)의 자유단측 끝단부에는 계란(8)과 충돌후의 반발력을 감지하는 반발감지센서(38)가 설치된다.
상기 반발감지센서(38)로는 작용하는 압력에 비례하여 압전센서, 충격감지센서, 스트레인게이지 등의 충돌 또는 충격이 발생한 경우에 전류 또는 전압, 저항의 변화가 발생하는 소자를 이용하는 센서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타격대(30)가 회전하면서 자유단측 끝단부가 계란(8)을 타격(충돌)하였을 때에 계란(8)에 균열이 발생한 경우와 정상적인 계란(8)의 경우에는 타격대(30)의 끝단부에 작용하는 반발력에 차이가 있다. 상기 타격대(30)의 반발력은 타격대(30)의 끝단부 타격지점에 가해지는 압력의 차이 또는 상기 타격대(30)에 반반력에 의해 발생하는 변형(strain) 등을 측정하는 것으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타격대(30)의 자유단측 끝단부는 계란(8)과 접촉하는 경우에 작은 지점에 충격이 집중되지 않도록 둥근 곡면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타격대(30)의 자유단측 끝단부에는 구형상의 완충구(36)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완충구(36)의 재질은 계란(8)의 표면에 흠집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계란(8) 껍질과 유사한 강도 및 경도를 갖는 재질을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완충구(36)의 재질을 너무 부드러운 재질로 형성하게 되면, 충격력을 완충구(36)에서 흡수하는 양이 커서 반발감지센서(38)에서 충분하게 반발력을 감지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상기 완충구(36)에 상기 반발감지센서(38)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타격조립부재(40)의 한쪽에는 타격안내돌기(46)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탄성부재(50)는 상기 타격대(30)의 자유단측 끝단부가 상기 이송컨베이어(2)쪽으로 가까워지도록 각각 힘을 가하도록 설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탄성부재(50)의 한쪽 끝부분은 상기 타격조립부재(40)에 형성되는 스프링고정부(48)에 고정되고, 반대쪽 끝부분은 상기 타격지지축(20)과 간격을 두고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상기에서 프레임(10)에 상기 타격지지축(20)과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상기 탄성부재(50)의 끝단부가 고정되는 탄성고정대(56)를 더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탄성고정대(56)는 상기 타격지지축(20)으로부터 상기 이송컨베이어(2)의 반대쪽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한다.
도 2 및 도 5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회전지지축(24)은 상기 타격지지축(20)과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상기 프레임(10)에 설치된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회전지지측(24)에는 타격안내부재(60)가 설치된다.
상기 타격안내부재(60)는 상기 타격지지축(20)에 설치되는 타격조립부재(40)에 일대일로 대응하도록 배치하여 설치한다.
예를 들면, 상기 타격안내부재(60)는 상기 타격지지축(20)에 설치되는 타격대(30)에 각각 대응하도록 상기 회전지지축(24)에 설치된다.
상기 타격안내부재(60)는 상기 타격조립부재(40)의 타격안내돌기(46)와 접하여 상기 타격대(30)의 끝단부가 이송컨베이어(2)쪽으로 가까워지도록 회전하는 것을 일정 각도 범위에서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타격안내부재(60)는 둘레의 일부를 절개하여 돌기삽입홈(66)을 형성하고, 상기 타격조립부재(40)의 타격안내돌기(46)가 돌기삽입홈(66)에 삽입될 때에 상기 타격대(30)의 자유단측 끝단부가 이송컨베이어(2)에 이송되는 계란(8)쪽으로 이동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타격안내돌기(46)가 돌기삽입홈(66)에 삽입되면, 상기 탄성부재(50)의 탄성력이 작용하여 상기 타격조립부재(40)는 도 5에서 보아서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타격대(30)의 자유단측 끝단부가 계란(8)을 타격하게 된다(도 5에서 실선으로 나타냄).
그리고, 상기 타격안내돌기(46)가 돌기삽입홈(66)을 벗어나서 타격안내부재(60)의 원주면과 접한 상태를 유지하면, 상기 탄성부재(50)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상기 타격조립부재(40)는 도 5에서 보아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타격대(30)의 자유단측 끝단부는 계란(8)으로부터 이격하게 된다(도 5에서 이점쇄선으로 나타냄).
상기 타격안내부재(60)는 상기 회전지지축(24)에 일체로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회전지지축(24)을 사각파이프 또는 사각막대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타격안내부재(60)의 중앙부에 사각구멍을 형성하여 조립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타격안내부재(60)을 둘레의 일부가 절개되어 돌기삽입홈(66)이 형성되는 원판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회전지지축(24)은 구동모터(70)의 회전력을 동력전달장치(80)를 통하여 전달받아 회전한다.
상기 구동모터(70)는 상기 프레임(20)에 설치된다.
상기 동력전달장치(80)는 상기 구동모터(70)의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회전지지축(24)을 회전시키도록 구성한다.
예를 들면, 도 2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동력전달장치(80)는 상기 구동모터(70)의 구동풀리(72)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1차 종동풀리(81)와, 상기 1차 종동풀리(81)와 벨트(83)를 연결되는 2차 종동풀리(82)와, 2차 종동풀리(82)와 동일 회전축(85)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전달기어(86)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1차 종동풀리(81)와 2차 종동풀리(82) 및 벨트(83), 하나의 전달기어(86)는 세트를 이루어 하나의 회전지지축(60)에 하나의 세트씩 대응 배치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이웃하는 회전지지축(60)에 대응하는 상기 전달기어(86)의 사이에는 중간기어(87)를 설치하여 상기 회전지지축(60)이 모두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동력전달장치(80)를 구성하면, 상기 구동모터(70)의 회전력이 전달됨에 따라 모든 회전지지축(24)이 같은 속도와 같은 회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70)의 회전속도를 상기 이송컨베이어(2)의 이송속도에 대응하여 맞추는 것에 의하여 상기 타격대(30)가 일정하게 상기 이송컨베이어(2)로 이송되는 각각의 계란(8)을 정확하게 타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중앙처리장치(90)에서는 상기 반발감지센서(38)에서 감지된 반발력을 설정된 반발력과 비교하여 균열의 발생여부를 판단하여 출력한다.
상기 표시장치(98)에는 상기 중앙처리장치(90)로부터 출력되는 균열이 발생한 것으로 감지된 계란(8)의 위치를 표시한다.
예를 들면, 이송컨베이어(2)에 적재되어 이송되는 계란(8)을 이송되는 속도에 맞추어 이미지 도는 실제 촬영되는 영상으로 나타내면서, 균열이 발생한 것으로 감지되는 계란(8)을 적색 등의 특정 색상으로 표시장치(98)에 표시되도록 중앙처리장치(90)를 구성하면, 작업자는 표시장치(98)의 화면을 보는 것으로 어느 위치의 계란(8)에 균열이 발생했는지를 용이하게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파각란인 계란(8)을 이송컨베이어(2) 상에서 골라내어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중앙처리장치(90)는 상기 구동모터(70)의 작동여부를 제어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파각란 검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발명의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2 - 이송컨베이어, 4 - 안착롤러, 8 - 계란, 10 - 프레임, 12 - 덮개판
14 - 축지지벽, 20 - 타격지지축, 24 - 회전지지축, 30 - 타격대
36 - 완충구, 38 - 반발감지센서, 40 - 타격조립부재, 46 - 타격안내돌기
48 - 스프링고정부, 50 - 탄성부재, 56 - 탄성고정대, 60 - 타격안내부재
66 - 돌기삽입홈, 70 - 구동모터, 72 - 구동풀리, 80 - 동력전달장치
81 - 1차 종동풀리, 82 - 2차 종동풀리, 83 - 벨트, 85 - 회전축
86 - 전달기어, 87 - 중간기어, 90 - 중앙처리장치, 98 - 표시장치

Claims (6)

  1. 다수의 계란을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의 열로 배열된 상태로 이송하는 이송컨베이어의 위쪽에 배치되어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상기 이송컨베이어에 적재되어 이송되는 계란의 이송방향 전후 간격에 대응되는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이송컨베이의 폭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되는 복수의 타격지지축과, 상기 이송컨베이어에 적재되어 이송되는 계란의 좌우 간격에 대응되는 간격을 두고 상기 타격지지축에 배치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끝단부에는 계란과 충돌후의 반발력을 감지하는 반발감지센서가 설치되는 복수의 타격대와, 상기 타격대를 각각 상기 타격지지축에 회전가능하게 고정하고 한쪽에 타격안내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타격조립부재와, 상기 타격대의 끝단부가 상기 이송컨베이어쪽으로 가까워지도록 각각 힘을 가하는 복수의 탄성부재와, 상기 타격지지축과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복수의 회전지지축과, 상기 타격지지축에 설치되는 타격대에 각각 대응하도록 상기 회전지지축에 설치되고 상기 타격조립부재의 타격안내돌기와 접하여 상기 타격대의 끝단부가 이송컨베이어쪽으로 가까워지도록 회전하는 것을 일정 각도 범위에서 제한하는 복수의 타격안내부재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회전지지축을 회전시키는 동력전달장치와, 상기 반발감지센서에서 감지된 반발력을 설정된 반발력과 비교하여 균열의 발생여부를 판단하여 출력하는 중앙처리장치와, 상기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출력되는 균열 발생 계란의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타격지지축과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상기 탄성부재의 끝단부가 고정되는 탄성고정대를 더 설치하고,
    상기 복수의 타격지지축 중에서 홀수번째 행(홀수행)에 위치하는 타격지지축에는 계란의 중앙부 양쪽을 타격하도록 타격대를 설치하고, 짝수번째 행(짝수행)에 위치하는 타격지지축에는 계란의 양쪽 끝부분쪽을 타격하도록 타격대를 설치하고,
    상기 타격지지축은 계란이 회전하면서 이송될 때에 하나의 계란에 대하여 서로 다른 복수의 지점을 타격하도록 복수개의 행을 하나의 세트로 구성하여 설치하고,
    상기 타격안내부재에는 둘레의 일부를 절개하여 상기 타격조립부재의 타격안내돌기가 삽입되는 돌기삽입홈을 형성하는 파각란 검출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여부를 제어하도록 구성하는 파각란 검출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00064199A 2020-05-21 2020-05-28 파각란 검출장치 KR1021936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61068 2020-05-21
KR1020200061068 2020-05-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3632B1 true KR102193632B1 (ko) 2020-12-21

Family

ID=74090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4199A KR102193632B1 (ko) 2020-05-21 2020-05-28 파각란 검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36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51979A (zh) * 2021-08-21 2021-10-26 杨秀成 一种耐热钢强度检测设备
KR20230053556A (ko) * 2021-01-12 2023-04-21 은 식 신 구운계란의 파각 검출 및 추출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02285A1 (en) * 1992-12-14 1994-06-22 FPS Food Processing Systems B.V. Method for detecting hair cracks or holes in egg shells, and apparatus for carrying out this method
JPH10227767A (ja) * 1997-02-14 1998-08-25 Nambu Electric Co Ltd 卵に対する衝撃付与装置
JP2001037367A (ja) * 1999-07-27 2001-02-13 Kyowa Kikai Kk 卵自動選別装置及び不良卵検出装置
JP2001086894A (ja) * 1999-09-17 2001-04-03 Kyowa Kikai Kk ひび卵検出装置及び鶏卵自動選別装置
KR20140022992A (ko) * 2012-08-16 2014-02-26 김장권 계란검사장치의 음파발생 타격장치
KR20160084365A (ko) * 2013-11-06 2016-07-13 교와기까이가부시끼가이샤 검사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02285A1 (en) * 1992-12-14 1994-06-22 FPS Food Processing Systems B.V. Method for detecting hair cracks or holes in egg shells, and apparatus for carrying out this method
JPH10227767A (ja) * 1997-02-14 1998-08-25 Nambu Electric Co Ltd 卵に対する衝撃付与装置
JP2001037367A (ja) * 1999-07-27 2001-02-13 Kyowa Kikai Kk 卵自動選別装置及び不良卵検出装置
JP2001086894A (ja) * 1999-09-17 2001-04-03 Kyowa Kikai Kk ひび卵検出装置及び鶏卵自動選別装置
KR20140022992A (ko) * 2012-08-16 2014-02-26 김장권 계란검사장치의 음파발생 타격장치
KR20160084365A (ko) * 2013-11-06 2016-07-13 교와기까이가부시끼가이샤 검사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3556A (ko) * 2021-01-12 2023-04-21 은 식 신 구운계란의 파각 검출 및 추출 장치
KR102598195B1 (ko) 2021-01-12 2023-11-02 은 식 신 구운계란의 파각 검출 및 추출 장치
CN113551979A (zh) * 2021-08-21 2021-10-26 杨秀成 一种耐热钢强度检测设备
CN113551979B (zh) * 2021-08-21 2022-11-15 深圳三思试验设备有限公司 一种耐热钢强度检测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3632B1 (ko) 파각란 검출장치
KR102219114B1 (ko) 파각란 검출장치
JP5830105B2 (ja) 卵を検査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815792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inside of pipe
EP1873519A3 (en) Ultrasonic inspection and repair mode selection
JP2606885B2 (ja) 卵殻の弾性の検査を介して卵殻の亀裂或は損傷の存在を測定する卵の検査方法及びその装置
US20080229844A1 (en) Glass testing apparatus
KR101380657B1 (ko) 계란검사장치의 음파발생 타격장치
KR101679401B1 (ko) 파각란 품질 판정 장치
JP2001086894A (ja) ひび卵検出装置及び鶏卵自動選別装置
CN103257469A (zh) 显示器基板质量检测装置及检测方法
JP3749961B2 (ja) 卵のひび割れ程度検出装置及びこの検出装置を具備した卵選別装置
CN105683746B (zh) 检测装置
JP5643940B2 (ja) 鶏卵選別装置
CN105758924A (zh) 一种弹性条激励式禽蛋全表面裂纹在线检测装置
CN103185746A (zh) 裂缝蛋检测装置
JP5954094B2 (ja) 農畜産物の搬送装置
CN107271547A (zh) 一种基于声学的禽蛋裂纹检测装置
KR101450011B1 (ko) 위상배열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터빈로터 버켓 제트커버의 테논 연결부의 검사장치
CN219573996U (zh) 一种皮蛋裂纹检测机
KR102494707B1 (ko) 파각란 검사 시스템의 타격 측정 장치
CN117269185B (zh) 一种鸡蛋蛋壳表面细微裂纹的视觉检测设备及其方法
JP2020148619A (ja) 卵分類装置、卵分類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230165501A (ko) 전기 방전 기반 미세 파각란 선별 장치
KR20210015014A (ko) 난각 파손 검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